KR20220104271A -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 Google Patents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271A
KR20220104271A KR1020227023712A KR20227023712A KR20220104271A KR 20220104271 A KR20220104271 A KR 20220104271A KR 1020227023712 A KR1020227023712 A KR 1020227023712A KR 20227023712 A KR20227023712 A KR 20227023712A KR 20220104271 A KR20220104271 A KR 2022010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se
hours
asm
acid sphingomyelinase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551B1 (ko
Inventor
에드워드 에이치 슈크맨
로버트 제이 데스닉
제랄드 에프 콕스
로라 피 앤드류스
제임스 엠 머레이
Original Assignee
이칸 스쿨 오브 메디슨 엣 마운트 시나이
젠자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25265&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201042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칸 스쿨 오브 메디슨 엣 마운트 시나이, 젠자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칸 스쿨 오브 메디슨 엣 마운트 시나이
Priority to KR1020237040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773A/ko
Publication of KR2022010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65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e.g. lipases, ribonucle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04Phosphoric diester hydrolases (3.1.4)
    • C12Y301/04012Sphingomyelin phosphodiesterase (3.1.4.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ASMD), 및 특히 니만-피크 질환(NPD)의 비신경병성 증상, 및 특정 양태에서 B형 NPD를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를 사용하는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DOSE ESCALATION ENZYME REPLACEMENT THERAPY FOR TREATING ACID SPHINGOMYELINASE DEFICIENCY}
본 발명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ASMD), 및, 특히 니만-피크 질환(NPD)의 비신경계 증상, 및 특정 양태에서 B형 NPD를 앓고 있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를 사용하는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2009년 8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238,113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E.C. 3.1.4.12: ASM)는 뇌, 간, 폐, 비장 및 림프절에서 발견되는 인지질 저장 물질인 스핑고미엘린을 세라마이드 및 포스포릴콜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리소좀 포스포다이에스테라제 효소이다. ASM 활성의 결핍은 스핑고미엘린을 분해시키지 못하는 신체의 불능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니만-피크 질환이라 명명되는 리소좀 저장 질환의 형태가 초래된다.
니만-피크 질환은 대식세포 및 뉴런과 같은 세포의 리소좀 내의 스핑고미엘린의 과도한 축적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손상시키는 유전적 상염색체 열성 지질 저장 장애이다. A형 니만-피크는 영아에게 나타나는 급속 진행성 신경변성 질환이며, 전형적으로 2 내지 3세 내에 사망하게 된다. B형 니만-피크는 간 및 비장의 비대, 및 호흡 곤란을 발생시키며, 일반적으로 성년 초기에 사망에 이른다. ASM 결핍과 연관된 이들 2가지 유형의 니만-피크 질환은 본원에서 총괄적으로 니만-피크 질환 또는 ASM 결핍(ASMD)으로서 지칭된다. 다른 유형의 니만-피크 질환, 예컨대 C형은 ASM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없으며, ASM의 기능에 그 직접적인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다. A 및 B 아형의 현저한 임상적 이질성의 기초가 되는 생화학적 및 분자적 결함에 대한 속성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두 가지 아형 모두를 앓는 환자들이 잔여 ASM 활성(정상의 약 1 내지 10%)을 가질지라도, 생화학적 분석으로는 상기 두 가지 표현형을 신뢰성 있게 구분할 수 없다. 더욱이, B형 NPD의 임상적 과정은 매우 다양하며, 현재 질환의 중증도를 잔여 ASM 활성도와 연관시킬 수 없다.
NPD는 일반 집단보다 아슈케나지 유대인 혈통(Ashkenazi Jewish)의 개인들에게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 아슈케나지 유대인 중에서 A형 질환의 발생률은 40,000명 중 약 1명이고, 유전자 빈도(q)는 200명 중 약 1명이고, 이형접합체 보인자 빈도(2 pq)는 100명 중 1명인 것으로 예측된다(문헌[Goodman, 1979, in "Genetic Disorders Among The Jewish People," John Hopkins Univ. Press, Baltimore, pp. 96-100]). 아슈케나지 유대인 집단에서 B형 NPD의 이형접합체 보인자 발생률은 보다 덜 빈번하다(굿맨(Goodman)의 상기 참조). A형 및 B형 NPD에 대한 복합 이형접합체 보인자 빈도는 적절한 아슈케나지 유대인들 70명 중 약 1명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A형 또는 B형 NPD를 앓는 환자의 효소적 진단이 신뢰적으로 실행될 수 있을지라도(스펜스(Spence) 및 칼라한(Callahan)의 문헌 참조), 특히 효소 공급원으로서 주변 백혈구를 사용하는 필수 이형접합체의 효소적 검출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짐작하건대, 일부 공급원 내의 중성 스핑고미엘리나제의 발생 및/또는 돌연변이 대립형질로부터 발생되는 잔여 ASM 활성의 존재로 인해 질환 아형 모두에 대한 보인자를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식별할 수 없었다. 상기 중성 스핑고미엘리나제를 발현시키지 않는, 배양된 피부 섬유아세포의 사용으로도 이형접합체에서의 분명한 결과를 입증하지 못하였다. 개별 국가들에서 실시된 전염병학 연구들에서, 전세계 일부 국가에서 A형 및 B형 니만-피크 질환의 복합된 발생률은 신생아 167,000명 중 1명 내지 250,000명 중 1명인 것으로 예측된다(문헌[Miekle et al., 1999 JAMA 281(3):249-254; Poorthuis et al., 1999 Hum Genet 105:151-156; Pinto et al., 2004 Euro. J. Hum. Gene. 12:87-92]). 이형접합체 보인자 비율은 200명 중 1명 내지 250명 중 1명인 것으로 생각된다.
효소 대체 요법은 다른 리소좀 저장 질환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효소 대체 요법은 결핍된 효소 활성을 외부에서 공급된 효소로 보충하려는 것이다. 니만-피크 질환을 위한 효소 대체 요법의 경우, 그 목표는 해당 질환을 앓는 개인에게서 스핑고미엘린을 분해 처리하고 리소좀 내에서의 그의 축적을 방지하는 것이다. 효과를 얻기 위해선, 이러한 요법은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을 분해시키는 데 충분한 양의 대체 효소가 초기에 요구되고, 스핑고미엘린의 추가 축적을 막기 위해 대체 효소의 계속적인 투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ASMD를 앓는 인간 피험자, 특히 NPD의 비신경계 증상, 및 특정 양태에서 B형 NPD를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소인 ASM은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으로 이러한 환자에게 투여되며, 이어서 후속 투여에서 단계적으로 증가된다. 그 다음, 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의 ASM이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최고 내약용량보다 적은 치료상 효과적인 투여량이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인간 피험자, 즉 ASMD 환자들 또는 니만-피크 환자들에게서 축적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의 부분제거(debulking)에 필요한 ASM의 투여량이 (독성의 임상적 징후를 포함하는) 독성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이는, 결핍되어 있지만 적어도 일부 효소 활성을 갖는 덜 중증 형태의 ASMD, B형 NPD 환자들에게서 특히 놀라운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NPD의 치료에는 병리학적 기관들(예컨대, 특히 간, 비장, 폐, 심장, 콩팥 및 뇌)에서 ASM 효소의 적절한 분배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높은 투여량이 요구된다. ASM 녹아웃 마우스 모델(ASKMO 마우스)에서의 연구들에 의하면, 투여된 재조합 인간 ASM(rhASM)의 대부분이 간 및 비장에 분산되며, 이때 기질을 감소시키지만, 폐, 심장 및 뇌에서는 그 정도가 아주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헌[Miranda et al., FASEB 2000, 14:1988]; 및 문헌[He et al., 1999, Biochimica et Biophsyica Acta 1432: 251-264]의 도 9B 참조). 상기 ASMKO 마우스 모델에서 더 높은 투여량의 rhASM을 사용하는 후속적인 연구들에서, 기질은 감소되고 독성은 ≤ 3.0 mg/kg의 투여량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사실상, 독성의 임상적 증상은 ≥ 10 mg/kg의 투여량이 사용될 때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문헌["Dose Responsive Toxicological Findings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Human Acid Sphingomyelinase (rhASM) to Acid Sphingomyelinase Knock-out (ASMKO) Mice. C. Nickerson, J. Murray, A. Vitsky, M. Hawes, S. Ryan, P. Ewing, B. Thurberg, L. Andrews. Dept Pharm/Tox, Pathology, Genzyme Corp., Framingham, MA., American Society of Human Genetics 2005]; 및 문헌[Elevat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Decreases in Cardiovascular Hemodynamics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Human Acid Sphingomyelinase (rhASM) to Acid Sphingomyelinase Knock-out (ASMKO) Mice. J. Murray, A.M. D'Angona, C. Nickerson, A. Vitsky, M. Hawes, S. Ryan, P. Ewing, B. Thurberg, L. Andrews. Dept. Pharmacology/Toxicology & Pathology, Genzyme Corp., Framingham, MA., Society of Toxicology 2006]을 참고한다.
이들 ASKMO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1.0 mg/kg rhASM의 보수적 최대 투여량으로 신경계 증상이 없는 ASMD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였다. 아주 예기치 않게도, 임상 증상을 포함한 관련 이상 반응의 발현을 비롯하여, 상기 인간 피험자에서의 독성이 0.3 mg/kg의 낮은 투여량을 사용해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었는데, 이는 적어도 일부 효소 활성이 존재하는 비교적 경증의 질환을 앓는 이들 인간 피험자보다 더욱 중증의 상태를 반영하는 녹아웃 마우스 모델에는 ASM 효소가 없기 때문이다.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서, ASM 치료에서 발생하는 독성 부작용은 ASMD 환자에게 저장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의 분해로부터와, 그 생성물, 즉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반응 및 고빌리루빈혈증을 유발하는 전-세포사멸 유발성 세라마이드의 방출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병리학적 기관들 내에 적절하게 분산시키는 데에 필요한 ASM 효소의 높은 투여량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게 하는 요법을 개발하였다. 이 요법에 따르면, 초기 치료에 매우 낮은 투여량의 ASM을 사용하여 저장된 기질을 서서히 분해하게 되며, 따라서 수반되는 부작용이 훨씬 줄어들게 된다. 상기 기질이 피험자 내에서 고갈됨에 따라 (상기 저장 기질이 부분제거됨에 따라), 투여량은 안전하게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 프로토콜에 따르면,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ASM 효소가 NPD 질환 환자에게 초기 투여되고, 투여량은 시간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된다. ASM 효소의 투여량이 단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환자는 총 빌리루빈 농도, 급성 반응물들의 생성, 염증 매개자의 생성 및 관련 이상 반응들에 대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낮은 투여량의 ASM 투여 및 상기 투여량의 단계적 증가는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의 부분제거를 촉진시킨다. 일단 환자에게서 스핑고미엘린이 부분제거되면, 보다 높은 투여량이 안전하게 환자에게 투여되어서 표적 기관(예컨대, 간, 비장, 폐, 심장, 콩팥, 뇌, 골수, 골격, 관절 등)에 ASM 효소를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이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환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 투여량을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투여량을 다음 수준으로 증가시키기 전에 안정한 반응을 확보하기 위해서 염증 반응, 빌리루빈 농도(총, 직접 및 간접) 및/또는 다른 생화학적 마커의 척도인, 혈장 스핑고미엘린 수준, 혈장 세라마이드 수준, "급성 반응물"의 생성 및 염증 매개자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치료를 모니터링한다. 이들 마커는 C-반응성 단백질(CRP) 또는 높은 민감성 CRP(hs-CRP), 사이토카인(예컨대, IL-8, IL-6), 칼시토닌(calcitonin) 및 페리틴(ferritin)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관련 이상 반응에 대해 상기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전신 증상(예컨대, 발열, 메스꺼움, 구토, 통증, 근육통) 및 황달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1mg/kg 미만의 투여량이 치료를 시작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초기 투여량은 치료 투여량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는 최고 내약용량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단 환자에서 축적된 스핑고미엘리나제 기질이 부분제거되면, 투여량은 독성이 관찰될 때까지 추가로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투여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황에 따라 연속적으로 주기적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a) 상기 인간 피험자 내의 축적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을 부분제거하기 위한 요법으로, (i) 초기에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ASM을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ii)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상기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고, 증가된 빌리루빈 또는 관련 이상 반응이 나타남에 따라 각각의 연속적 투여량 후의 하나 이상의 부작용에 대해 피험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법, 및 (b) 상기 피험자에 대한 유지 투여량으로서 상기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 이하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지 요법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rhASM을 0.1 mg/kg; 0.3 mg/kg; 0.6 mg/kg; 및 1.0 mg/kg의 순차적 투여량으로 투여량 단계적 증가 요법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되, 이때 rhASM의 각각의 투여량은 2회 이상 투여되고, 각각의 투여량은 2주 간격으로 투여되고, 투여량을 다음 수준으로 증가시키기 전에 독성 부작용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간 피험자 내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가 다음과 같이 제조 투여된다: (a) 축적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을 부분제거하기 위한 요법에서, (i)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의 투여; (ii)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의 투여, 및 증가된 빌리루빈 또는 관련 이상 반응이 나타남에 따라 각각의 연속적 투여량 후 하나 이상의 부작용에 대한 환자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요법, 및 (b) 상기 피험자에 대한 유지 투여량으로서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 이하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지 요법.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간 피험자 내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재조합 인간 ASM이 0.1 mg/kg; 0.3 mg/kg; 0.6 mg/kg; 및 1.0 mg/kg의 순차적 투여량으로 투여량 단계적 증가 요법으로 제조 투여되고, 이때 각각의 투여량은 2회 이상 투여되고, 각각의 투여량은 2주 간격으로 투여되고, 투여량을 다음 수준으로 증가시키기 전에 독성 부작용에 대해 피험자를 모니터링한다.
도 1은 프로토콜 설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하기 설명한 프로토콜에서 등록된 환자들의 신상정보 및 기준선 특성들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도 3a, 3b 및 3c는 상이한 투여량들의 rhASM을 투여받고 있는 상이한 환자들에서 시간에 따른 혈장 세라마이드 수준들(도 3a) 및 혈장 스핑고미엘린 수준들(도 3b), 및 건조 혈반 내 스핑고미엘린 수준(도 3c)을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그래프의 우측 축은 환자 수와 rhASM의 투여량을 나타낸다.
도 4는 프로토콜에서 상이한 투여량들의 rhASM을 투여받고 있는 상이한 환자들에서 시간에 따라 정해진 총 빌리루빈 수준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우측 축은 환자 수와 rhASM의 투여량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5g는, 프로토콜에서 상이한 투여량들의 rhASM을 투여받고 있는 상이한 환자들에서 시간에 따라 정해진 CRP/hs-CRP(도 5a), 백분율 중성구들(도 5b), 피브리노겐(도 5c), 페리틴(도 5d), IL-8(도 5e), IL-6(도 5f) 및 칼시토닌(도 5g)의 수준들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그래프의 우측 축은 환자 수와 rhASM의 투여량을 나타낸다.
도 6은 rhASM의 상이한 투여량에 대한 4명의 환자들 각각에 대한 치료 후 발생된 이상 반응의 차트이며, 상기 이상 반응은 치료와 관련된(관련 가능성이 있음, 관련 있음, 또는 명백히 관련 있음) 것으로 간주되었다.
도 7은 ASMD를 보유한 환자들에서 제2상 rhASM 반복 투여량 프로토콜의, 투여량 단계적 증가 및 투여량 유지 단계들로 이루어진, 1차 치료 기간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용어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 및 "대략"은 주어진 값에 있어서 주어진 값 전후의 어느 정도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결과 값은 표현상 인용한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 양태에서 "약"은 주어진 값이나 범위의 10%, 15%, 25% 이내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노인"은 65세 이상의 인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성인"은 18세 이상의 인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소아"는 1세 내지 18세의 인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영아"는 신생아부터 1세까지의 인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아"는 1세 내지 3세의 인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이상 반응"이란 "약학 제품을 투여한 환자나 임상적 검사 피험자에서의 임의의 유해한 의료적 발생"을 의미하는데,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l.l권(the 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Study Data Tabulation Model standard terminology v. 3.l.l)에 정해진 바와 같다. "관련 이상 반응"은 치료와 우연한 관계를 갖는 이상 반응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지 투여량" 등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ASMD 환자들에게 투여하는 투여량을 가리킨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다음과 같은 원하는 치료 효과들을 하나, 둘, 셋, 넷 또는 그 이상 유지시킨다: (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 비장 용적 감소, (i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간 검체의 생화학적 분석 및/또는 조직형태학적 분석에 의해 평가된 간의 스핑고미엘린 수준 감소, (ii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예측된 최대 운동부하, 피크 산소 소비 및 이산화탄소 생성을 포함하여, 자전거 근육힘기록(ergometry)에 의한 최대 운동부하에 의해 평가된 운동량 증가, (iv) 문헌[American Thoracic Society, 1991, Am Rev. Respir. Dis. 144: 1202-1218]에 기재된 기술들, 예를 들면 확산능(DLco), 예컨대 표준 폐활량 기술들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예측된 강제 폐활량(FVC) 백분율, 표준 폐활량 기술들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1초 이내 강제 호기량(FEV1), 및 총 폐용량에 의해 평가된 폐 기능 증가, (v) 기관지폐포 세척(BAL) 스핑고미엘린 감소, (v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 간 용적 감소: (vi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 또는 흉부 X-선에 의해 분석된 폐 외관 개선, (viii) 예컨대, 직렬 질량 분석기(tandem mass spectrometry)에 의해 측정된 간, 피부, 혈장 및 건조 혈반(DBS) 내 스핑고미엘린 농도 감소, (ix) ASMD 및/또는 그와 연관된 증상의 중증도 감소 또는 약화, (x) ASMD와 연관된 증상의 지속기간 감소, (xi) ASMD와 연관된 증상의 재발 방지, (xii) 피험자의 입원 단축, (vi) 입원 기간의 단축, (xiii) 피험자의 생존 증가, (xiv) 사망률 감소, (xv) 입원율 감소, (xvi) ASMD와 연관된 증상 수 감소, (xvii) ASMD 환자들의 무증상 생존 증가, (xviii) 신경계 기능 개선(예, 정신운동 기능, 사회적 반응 등), (xix) 예컨대, BAL 세포 수 및 프로파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폐 청소율 개선, (xx) 키토트리오시다제의 혈청 수준 감소, (xxi) 케모카인(c-c) 모티프 리간드 18(CCL18)의 혈청 수준 감소, (xxii) 지질 프로파일 개선(예, HDL, LDL,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리드, 및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 및 (xxiii) 예컨대, 설문지에 의해 평가되는 개선된 삶의 질. 특정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환자에 의한 최고 또는 최대 내약용량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0.5 mg/kg 내지 1.5 mg/kg, 0.75 mg/kg 내지 1.25 mg/kg, 1 mg/kg 내지 2.5 mg/kg, 1 mg/kg 내지 2.75 mg/kg, 1.5 mg/kg 내지 2.5 mg/kg, 1.5 mg/kg 내지 2.75 mg/kg, 2 mg/kg 내지 2.5 mg/kg, 2 mg/kg 내지 2.75 mg/kg, 2.5 mg/kg 내지 2.75 mg/kg, 2.5 mg/kg 내지 3 mg/kg, 3 mg/kg 내지 4 mg/kg, 3 mg/kg 내지 5 mg/kg, 4 mg/kg 내지 5 mg/kg, 2 mg/kg 내지 5 mg/kg 또는 5 mg/kg 내지 10 mg/kg 범위의 ASM 투여량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5 mg/kg 내지 15 mg/kg, 10 mg/kg 내지 15 mg/kg, 10 mg/kg 내지 20 mg/kg, 15 mg/kg 내지 20 mg/kg, 20 mg/kg 내지 30 mg/kg, 25 mg/kg 내지 50 mg/kg, 30 mg/kg 내지 40 mg/kg, 30 mg/kg 내지 45 mg/kg 또는 40 mg/kg 내지 50 mg/kg 범위의 ASM 투여량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0.75 mg/kg, 0.80 mg/kg, 0.85 mg/kg, 0.90 mg/kg, 0.95 mg/kg, 1 mg/kg, 1.1 mg/kg, 1.2 mg/kg, 1.25 mg/kg, 1.3 mg/kg, 1.4 mg/kg, 1.5 mg/kg, 1.75 mg/kg, 또는 2 mg/kg의 ASM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2.5 mg/kg, 2.75 mg/kg, 3 mg/kg, 3.25 mg/kg, 3.5 mg/kg, 3.75 mg/kg, 4 mg/kg, 4.25 mg/kg, 4.5 mg/kg, 4.75 mg/kg, 5 mg/kg, 5.5 mg/kg, 6 mg/kg, 6.5 mg/kg, 7 mg/kg, 7.5 mg/kg, 8 mg/kg, 8.5 mg/kg, 9 mg/kg, 9.5 mg/kg 또는 10 mg/kg의 ASM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11 mg/kg, 12 mg/kg, 13 mg/kg, 14 mg/kg, 15 mg/kg, 20 mg/kg, 25 mg/kg, 30 mg/kg, 35 mg/kg, 40 mg/kg, 45 mg/kg 또는 50 mg/kg의 ASM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1 mg/kg 이상, 2 mg/kg 이상, 3 mg/kg 이상, 4 mg/kg 이상, 5 mg/kg 이상, 6 mg/kg 이상, 7 mg/kg 이상, 8 mg/kg 이상의 ASM으로, 최고 투여량이 10 mg/kg의 ASM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10 mg/kg 이상, 15 mg/kg 이상, 20 mg/kg 이상, 25 mg/kg 이상, 30 mg/kg 이상 또는 35 mg/kg 이상의 ASM으로, 최고 투여량이 50 mg/kg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무독성 투여량" 등은 하기 중에서 1, 2, 3 또는 모두를 초래하지 않는, ASMD 환자들에게 투여한 투여량을 의미한다: (i) 중등 또는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으로, 정상적인 일상 기능을 방해하고 추가적으로 모니터링, 간섭 또는 치료를 요구하는 임상적 증상, 또는 추가적으로 모니터링, 치료 또는 검사를 요구하는 비정상적인 실험실 값 또는 임상적으로 우려되는 절차상 결과로 정의됨(예컨대,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1.1권을 참고한다). (ii) ASM 투여량 투여 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되는, 1.5 mg/dL, 1.75 mg/dL, 2.0 mg/dL, 2.1 mg/dL, 2.2 mg/dL, 2.3 mg/dL, 2.4 mg/dL, 2.5 mg/dL, 2.6 mg/dL, 2.7 mg/dL, 2.75 mg/dL, 2.8 mg/dL, 2.9 mg/dL, 3.0 mg/dL, 3.1 mg/dL, 3.2 mg/dL, 3.3 mg/dL, 3.4 mg/dL, 3.5 mg/dL, 3.6 mg/dL, 3.7 mg/dL, 3.8 mg/dL, 3.9 mg/dL 또는 4 mg/dL 초과, 또는 2.1 mg/dL 내지 2.5 mg/dL, 2.1 mg/dL 내지 3.0 mg/dL, 또는 2.1 mg/dL 내지 4 mg/dL 범위인 총 빌리루빈 값, (iii)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의 8.2 μg/mL, 8.3 μg/mL, 8.4 μg/mL, 8.5 μg/mL, 8.75 μg/mL, 9 μg/mL, 9.5 μg/mL, 10 μg/mL, 11 μg/mL, 12 μg/mL, 13 μg/mL, 14 μg/mL, 15 μg/mL, 16 μg/mL, 17 μg/mL, 18 μg/mL, 19 μg/mL, 20 μg/mL, 25 μg/mL, 30 μg/mL, 35 μg/mL, 40 μg/mL, 45 μg/mL, 50 μg/mL, 55 μg/mL, 60 μg/mL, 65 μg/mL, 70 μg/mL, 75 μg/mL 또는 80 μg/mL 초과, 또는 8.2 μg/mL 내지 10 μg/mL, 8.5 μg/mL 내지 10 μg/mL, 9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5 μg/mL, 10 μg/mL 내지 20 μg/mL, 15 μg/mL 내지 20 μg/mL, 또는 20 μg/mL 내지 30 μg/mL 범위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iv) 급성 반응/작용. ASM의 상기 "무독성 투여량"은 예컨대, 사용한 효소의 안정성, 사용한 효소의 활성, 및/또는 상기 효소의 투여 경로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활성이 증가된, 변형된 ASM 효소의 투여량은 비변형된 ASM의 투여량보다 낮을 수도 있다. 당해 분야에 기술을 보유한 자라면 상기 효소의 안정성, 상기 효소의 활성, 및/또는 상기 효소의 투여 경로에 기초하여 투여된 효소의 투여량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급성 반응은 ASM의 투여 후 나타나는 초기 반응(일반적으로, 예컨대, 12 내지 72시간 이내)으로 염증성 반응을 보인다. 급성 반응은 급성 반응물(예, CRP/hs-CRP, 페리틴, 피브리노겐, 철 또는 트랜스페린 등)의 농도 변화, 중성구들의 백분율 변화, 프로트롬빈 시간 변화, 또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변화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CRP/hs-CRP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CRP/hs-CRP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CRP/hs-CRP 농도보다 큰 혈장 CRP/hs-CRP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8.1 mg/L, 8.2 mg/L, 8.3 mg/L, 8.4 mg/L, 8.5 mg/L, 9 mg/L, 9.5 mg/L, 10 mg/L, 11 mg/L 또는 12 mg/L보다 크거나, 8.5 mg/L 내지 10 mg/L, 8.5 mg/L 내지 12 mg/L 또는 10 mg/L 내지 12 mg/L 범위인 혈장 CRP/hs-CRP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페리틴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페리틴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페리틴 농도보다 큰 혈장 페리틴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300 ng/mL, 325 ng/mL, 350 ng/mL, 375 ng/mL, 400 ng/mL, 425 ng/mL, 450 ng/mL, 475 ng/mL, 500 ng/mL, 525 ng/mL, 550 ng/mL, 575 ng/mL, 600 ng/mL, 625 ng/mL, 650 ng/mL, 675 ng/mL, 700 ng/mL, 725 ng/mL, 750 ng/mL, 775 ng/mL, 800 ng/mL, 850 ng/mL, 900 ng/mL, 950 ng/mL, 1000 ng/mL, 1050 ng/mL, 1100 ng/mL, 1150 ng/mL 또는 1200 ng/mL보다 크거나, 600 ng/mL 내지 800 ng/mL, 650 ng/mL 내지 850 ng/mL, 600 ng/mL 내지 1000 ng/mL, 600 ng/mL 내지 1200 ng/mL, 800 ng/mL 내지 1000 ng/mL, 900 ng/mL 내지 1000 ng/mL, 또는 1000 ng/mL 내지 1200 ng/mL 범위인 혈장 페리틴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IL-8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혈장 또는 혈청 IL-8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IL-8 농도보다 큰 혈장 또는 혈청 IL-8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24 pg/mL, 50 pg/mL, 75 pg/mL, 100 pg/mL, 200 pg/mL, 300 pg/mL, 400 pg/mL, 500 pg/mL, 600 pg/mL, 700 pg/mL, 800 pg/mL 또는 900 pg/mL보다 큰 혈장 IL-8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IL-6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혈장 또는 혈청 IL-6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또는 혈청 IL-6 농도보다 큰 혈장 또는 혈청 IL-6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4.4 pg/mL, 6 pg/mL, 8 pg/mL, 10 pg/mL, 15 pg/mL, 20 pg/mL, 25 pg/mL 또는 30 pg/mL보다 큰 혈장 IL-6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칼시토닌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혈장 또는 혈청 칼시토닌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칼시토닌 농도보다 큰 혈장 또는 혈청 칼시토닌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9.4 pg/mL, 20 pg/mL, 30 pg/mL, 40 pg/mL, 50 pg/mL, 75 pg/mL, 100 pg/mL, 150 pg/mL, 200 pg/mL 또는 250 pg/mL보다 큰 혈장 칼시토닌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피브리노겐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피브리노겐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보다 큰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350 mg/dL, 375 mg/dL, 400 mg/dL, 425 mg/dL 또는 450 mg/dL보다 크거나, 350 mg/dL 내지 400 mg/dL, 350 mg/dL 내지 450 mg/dL 또는 400 mg/dL 내지 450 mg/dL 범위인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과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의 정상 백분율보다 큰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70%, 75%, 80%, 85%, 90%, 95% 이상인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무독성 낮은 투여량" 등은 피험자에게 투여한 초기 투여량의 맥락에서 ASMD를 치료하기 위해 피험자에게 투여한 ASM의 최초 투여량으로서 무독성인 투여량을 의미한다. 특정 양태에서, 무독성 낮은 투여량은 0.001 mg/kg 내지 0.01 mg/kg, 0.001 mg/kg 내지 0.01 mg/kg, 0.001 mg/kg 내지 0.05 mg/kg, 0.001 mg/kg 내지 0.1 mg/kg, 0.001 mg/kg 내지 0.5 mg/kg, 0.05 mg/kg 내지 0.275 mg/kg, 0.075 mg/kg 내지 0.275 mg/kg, 0.05 mg/kg 내지 0.2 mg/kg, 0.075 mg/kg 내지 0.2 mg/kg, 0.1 mg/kg 내지 0.275 mg/kg, 0.1 mg/kg 내지 0.25 mg/kg, 0.1 mg/kg 내지 1 mg/kg, 0.5 mg/kg 내지 1 mg/kg, 0.75 mg/kg 내지 1 mg/kg, 0.1 mg/kg 내지 2 mg/kg, 0.5 mg/kg 내지 2 mg/kg, 0.75 mg/kg 내지 2 mg/kg, 1 mg/kg 내지 2 mg/kg 또는 1.25 mg/kg 내지 2 mg/kg, 1.5 mg/kg 내지 2 mg/kg 또는 1.75 mg/kg 내지 2 mg/kg의 ASM의 투여량이다. 일부 특정 양태에서, 무독성 낮은 투여량은 0.001 mg/kg, 0.005 mg/kg, 0.0075 mg/kg, 0.01 mg/kg, 0.0125 mg/kg, 0.025 mg/kg, 0.05 mg/kg, 0.075 mg/kg, 0.1 mg/kg, 0.125 mg/kg, 0.15 mg/kg, 0.175 mg/kg, 0.2 mg/kg, 0.225 mg/kg, 0.25 mg/kg, 0.275 mg/kg, 0.3 mg/kg, 0.4 mg/kg, 0.5 mg/kg, 0.6 mg/kg, 0.7 mg/kg, 0.75 mg/kg, 0.8 mg/kg, 0.9 mg/kg 또는 1 mg/kg의 ASM의 투여량이다.
용어 "피험자" 및 "환자"는 본원에서 인간을 의미하도록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인간은 ASMD를 앓고 있거나, 앓는 것으로 진단을 받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상 효과적인"이란 ASM 투여량을 피험자에게 투여한다는 맥락에서 이롭거나 치료 효과를 초래하는 ASM의 양을 의미한다. 구체적 양태에서, 용어 "치료상 효과적인"이란 ASM 투여량을 피험자에게 투여한다는 맥락에서 적어도 하나, 둘, 셋, 넷 또는 그 이상의 하기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ASM의 양을 의미한다: (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 비장 용적 감소, (i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간 검체의 생화학적 분석 및/또는 조직형태학적 분석에 의해 평가된 간 스핑고미엘린 수준 감소, (ii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예측된 최대 운동부하, 피크 산소 소비 및 이산화탄소 생성을 포함하여, 자전거 근육힘기록에 의한 최대 운동부하에 의해 평가된 운동량 증가, (iv) 문헌[American Thoracic Society, 1991, Am. Rev. Respir. Dis. 144: 1202-1218]에 기재된 기술들, 예를 들면 확산능(DLco), 예컨대 표준 폐활량 기술들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예측된 강제 폐활량(FVC) 백분율, 예컨대 표준 폐활량 기술들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1초 이내 강제 호기량(FEV1), 및 총 폐용량에 의해 평가된 폐 기능 증가, (v) 기관지폐포 세척(BAL) 스핑고미엘린 감소, (v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 간 용적 감소: (vii)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 또는 흉부 X-선에 의해 평가된 폐 외관 개선, (viii) 예컨대, 직렬 질량 분석기(tandem mass spectrometry)에 의해 측정된 간, 피부, 혈장 및 건조 혈반(DBS) 내 스핑고미엘린 농도 감소, (ix) ASMD 및/또는 그와 연관된 증상의 중증도 감소 또는 약화, (x) ASMD와 연관된 증상의 지속기간 감소, (xi) ASMD와 연관된 증상의 재발 방지, (xii) 피험자의 입원 단축, (vi) 입원 기간의 단축, (xiii) 피험자의 생존 증가, (xiv) 사망률 감소, (xv) 입원율 감소, (xvi) ASMD와 연관된 증상 수 감소, (xvii) ASMD 환자들의 무증상 생존 증가, (xviii) 신경계 기능 개선(예, 정신운동 기능, 사회적 반응 등), (xix) 예컨대, BAL 세포 수 및 프로파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폐 청소율 개선, (xx) 키토트리오시다제의 혈청 수준 감소, (xxi) CCL18의 혈청 수준 감소, (xxii) 지질 프로파일 개선(예, HDL, LDL,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리드, 및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 및 (xxiii) 예컨대, 설문지에 의해 평가되는 개선된 삶의 질.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요법"은 ASMD 또는 그와 연관된 상태 또는 증상의 치료, 관리, 또는 약화에 사용 가능한, 임의의 프로토콜, 방법, 조성들, 제형들, 및/또는 제제를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용어 "요법"은 ASMD 또는 그와 연관된 상태 또는 증상의 치료, 관리, 또는 약화에 사용 가능한, 생물학적 요법, 보충 요법, 및/또는 기타 요법들을 의미한다. 양태에서, 용어 "요법"은 하기 중에서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을 하는 요법을 의미한다: (i) 병리 부위들에 ASM의 전달을 개선, (ii) ASM의 활성을 개선, 및 (iii) ASM의 안정성을 개선. 특정 양태에서, 용어 "요법"은 ASM 이외의 요법을 의미한다. 구체적 양태에서, "추가 요법"은 ASM 이외 요법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독성 효과" 등은 ASM의 투여량의 투여에 이어지는 하기들 중 하나, 둘, 셋 또는 전부를 의미한다: (i) 중등 또는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으로, 정상적인 일상 기능을 방해하고 추가적으로 모니터링, 간섭, 또는 치료를 요구하는 임상적 증상, 또는, 추가적으로 모니터링, 치료, 또는 검사를 요구하는 비정상적인 실험실 값 또는 임상적으로 우려되는 절차상 결과로 정의됨(예컨대,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1.1권을 참고한다), (ii) ASM 투여량 투여 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1.5 mg/dL, 1.75 mg/dL, 2.0 mg/dL, 2.1 mg/dL, 2.2 mg/dL, 2.3 mg/dL, 2.4 mg/dL, 2.5 mg/dL, 2.6 mg/dL, 2.7 mg/dL, 2.75 mg/dL, 2.8 mg/dL, 2.9 mg/dL, 3.0 mg/dL, 3.1 mg/dL, 3.2 mg/dL, 3.3 mg/dL, 3.4 mg/dL, 3.5 mg/dL, 3.6 mg/dL, 3.7 mg/dL, 3.8 mg/dL, 3.9 mg/dL 또는 4 mg/dL 초과, 또는 2.1 mg/dL 내지 2.5 mg/dL, 2.1 mg/dL 내지 3.0 mg/dL, 또는 2.1 mg/dL 내지 4 mg/dL 범위인 총 빌리루빈 값, (iii)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의 8.2 μg/mL, 8.3 μg/mL, 8.4 μg/mL, 8.5 μg/mL, 8.75 μg/mL, 9 μg/mL, 9.5 μg/mL, 10 μg/mL, 11 μg/mL, 12 μg/mL, 13 μg/mL, 14 μg/mL, 15 μg/mL, 16 μg/mL, 17 μg/mL, 18 μg/mL, 19 μg/mL, 20 μg/mL, 25 μg/mL, 30 μg/mL, 35 μg/mL, 40 μg/mL, 45 μg/mL, 50 μg/mL, 55 μg/mL, 60 μg/mL, 65 μg/mL, 70 μg/mL, 75 μg/mL 또는 80 μg/mL 초과, 또는 8.2 μg/mL 내지 10 μg/mL, 8.5 μg/mL 내지 10 μg/mL, 9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5 μg/mL, 10 μg/mL 내지 20 μg/mL, 15 μg/mL 내지 20 μg/mL, 또는 20 μg/mL 내지 30 μg/mL 범위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iv) 급성 반응.
급성 반응은 급성 반응물(예, C-반응성 단백질, 페리틴, 알부민, IL-8, IL-6, 칼시토닌, 피브리노겐, 철 또는 트랜스페린 등)의 농도 변화, 중성구들의 백분율 변화, 프로트롬빈 시간 변화, 또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변화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CRP/hs-CRP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CRP/hs-CRP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CRP/hs-CRP 농도보다 큰 혈장 CRP/hs-CRP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8.1 mg/L, 8.2 mg/L, 8.3 mg/L, 8.4 mg/L, 8.5 mg/L, 8.6 mg/L, 8.7 mg/L, 8.8 mg/L, 8.9 mg/L, 9 mg/L, 9.5 mg/L, 10 mg/L, 11 mg/L 또는 12 mg/L 초과, 또는 8.5 mg/L 내지 10 mg/L, 또는 8.5 mg/L 내지 12 mg/L, 또는 10 mg/L 내지 12 mg/L 범위인 혈장 CRP/hs-CRP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페리틴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페리틴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페리틴 농도보다 큰 혈장 페리틴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600 ng/mL, 625 ng/mL, 650 ng/mL, 675 ng/mL, 700 ng/mL, 725 ng/mL, 750 ng/mL, 775 ng/mL, 800 ng/mL, 850 ng/mL, 900 ng/mL, 950 ng/mL, 1000 ng/mL, 1050 ng/mL, 1100 ng/mL, 1150 ng/mL 또는 1200 ng/mL보다 크거나, 600 ng/mL 내지 800 ng/mL, 650 ng/mL 내지 850 ng/mL, 600 ng/mL 내지 1000 ng/mL, 600 ng/mL 내지 1200 ng/mL, 800 ng/mL 내지 1000 ng/mL, 900 ng/mL 내지 1000 ng/mL, 또는 1000 ng/mL 내지 1200 ng/mL 범위인 혈장 페리틴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피브리노겐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피브리노겐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보다 큰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350 mg/dL, 375 mg/dL, 400 mg/dL, 425 mg/dL 또는 450 mg/dL보다 크거나, 350 mg/dL 내지 400 mg/dL, 350 mg/dL 내지 450 mg/dL 또는 400 mg/dL 내지 450 mg/dL 범위인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알부민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알부민 농도의 감소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3.5 내지 5.0 g/dL의 정상 범위로부터 하기의 0.2, 0.4, 0.6, 1, 1.5, 2.0 g/dL 알부민 농도 크기 감소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페리틴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페리틴 농도의 감소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60 내지 170 mcg/dL의 정상 범위로부터 하기의 20, 40, 60, 80, 100, 120, 140, 160 mcg/dL 페리틴 농도 크기 감소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트랜스페린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트랜스페린 농도의 감소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202 내지 336 mg/dL의 정상 범위로부터 하기의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mg/dL 트랜스페린 농도 크기 감소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과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의 정상 백분율보다 큰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70%, 75%, 80%, 85%, 90%, 95% 또는 그 이상인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ASMD, 특히 NPD의 비신경계 증상, 및 특정 양태에서 B형 NPD를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효소, 즉 ASM을 초기에 무독성 낮은 투여량으로 이러한 환자에게 투여하고, 이어서 후속 투여에서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의 ASM을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최고 내약용량보다 적은 치료상 효과적인 투여량을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NPD의 치료에는 병리학적 기관(예컨대, 비장, 폐, 심장, 콩팥 및 뇌)에서 ASM 효소를 적절히 분산시키는데 충분한 높은 투여량이 요구된다. ASMKO 마우스에서 재조합 인간 ASM의 정맥 내 투여 후, 대부분의 ASM 활성이 간으로 유입된 한편, 소량의 ASM 효소적 활성이 다른 병리 기관들, 예컨대 비장, 심장, 콩팥 및 폐에서 검출되었다(예컨대, 문헌[He et al., 1999, Biochimia et Biophsyica Acta 1432: 251-264]의 도 9B 참조). 따라서, ASMD 또는 니만-피크 질환을 앓는 환자들에게서 폐, 심장 및 콩팥으로의 투여 효소를 확실히 분산 및 전달하기 위해 매우 높은 투여량의 투여가 요구된다.
ASM 녹아웃 마우스 모델(ASKMO 마우스)에서의 연구들에서는 투여된 rhASM의 대부분이 간 및 비장으로 분산되어, 이때 기질을 감소시키지만, 폐, 심장 및 뇌에서는 그 정도가 아주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헌[Miranda et al. FASEB 2000, 14:1988]). ASMKO 마우스 모델에서 보다 높은 투여량의 rhASM을 사용한 후속 연구들에서는, 기질은 감소되고 독성은 ≤ 3.0 mg/kg의 투여량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제로, 독성의 임상 증상은 ≥ 10 mg/kg의 투여량이 사용될 때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문헌["Dose Responsive Toxicological Findings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Human Acid Sphingomyelinase (rhASM) to Acid Sphingomyelinase Knock-out (ASMKO) Mice," C. Nickerson, J. Murray, A. Vitsky, M. Hawes, S. Ryan, P. Ewing, B. Thurberg, L. Andrews. Dept Pharm/Tox, Pathology, Genzyme Corp., Framingham, MA., American Society of Human Genetics 2005] 및 문헌["Elevat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Decreases in Cardiovascular Hemodynamics Follow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Human Acid Sphingomyelinase (rhASM) to Acid Sphingomyelinase Knock-out (ASMKO) Mice," J. Murray, A.M. D'Angona, C. Nickerson, A. Vitsky, M. Hawes, S. Ryan, P. Ewing, B. Thurberg, L. Andrews. Dept. Pharmacology/Toxicology & Pathology, Genzyme Corp., Framingham, MA., Society of Toxicology 2006]을 참고한다.
이들 ASKMO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1.0 mg/kg의 보수적 최대 투여량으로 비신경병성 ASMD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였다. 아주 예기치 않게도, 임상 증상을 포함한 관련되는 이상 반응의 발현을 비롯하여, 상기 인간 피험자에서의 독성이 0.3 mg/kg 정도의 낮은 투여량을 사용하여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었는 데, 이는 적어도 일부 효소 활성이 존재하는 비교적 경증의 질환을 앓는 이들 인간 피험자보다 중증의 상태를 반영하는 녹아웃 마우스 모델에는 ASM 효소가 없기 때문이다.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서, NPD 환자들에 대한 ASM의 높은 투여량 투여는 다량의 스핑고미엘린을 고농도 세라마이드로 가수분해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NPD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독성 부작용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ASM 효소는 세포의 혈장 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스핑고미엘린(예컨대, 문헌[Milaus et al., 2010 FEBS Letters 584: 1887-1894] 참조)을 세라마이드 및 포스포콜린으로 가수분해한다. 세라마이드는 세포 사멸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사멸 유발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문헌[Smith and Schuchman, 2008, FASEB 22: 3419-3431] 참조).
더욱이, 특성화된 리소좀 저장 질환과 연관된 다른 리소좀 효소들과 달리, ASM은 상기 혈장에서 발견되는 중성 pH 및 리소좀에서 발견되는 산성 pH에서 스핑고미엘린을 가수분해한다(예컨대, 문헌[Schissel et al., 1998. J. Biol. Chem. 273: 2738-2746] 참고). 상기 혈장 내에서 기능하는 ASM 효소의 능력은 지질단백질 및 세포의 혈장 막에서 발견되는 스핑고미엘린의 가수분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분해 산물, 즉 세라마이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높은 투여량의 ASM 효소가 투여된 NPD 환자들에서 관찰된 독성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높은 투여량의 효소의 투여와 연관된 독성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면서 병리학적 기관들에 ASM 효소를 적절히 분산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 기술된 요법들을 개발하였는 데, 이 요법에 따르면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ASM 효소를 NPD 환자에게 초기에 투여하고, 투여량을 시간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상기 ASM 효소의 투여량이 단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총/직접/간접 빌리루빈 농도, 급성 반응물들의 생성, 염증 매개자의 생성 및 관련 이상 반응들에 대해 상기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낮은 투여량의 ASM의 투여 및 상기 효소의 단계적 증가는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의 부분제거를 촉진시킨다. 일단 상기 환자에게서 스핑고미엘린이 부분제거되면, 보다 높은 투여량의 상기 ASM 효소가 안전하게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어서 표적 기관들(예컨대, 간, 비장, 폐, 심장, 콩팥, 뇌, 골수, 골격, 관절 등)에 상기 ASM 효소를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을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최고 내약용량 미만의 치료상 효과적인 투여량을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환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 투여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정 양태에서, 투여량을 다음 수준으로 증가시키기 전에 안정한 반응을 확보하기 위해서 염증 반응, 빌리루빈 농도(총, 직접 및 간접) 및/또는 다른 생화학적 마커의 척도인, 혈장 스핑고미엘린 수준, 혈장 세라마이드 수준, "급성 반응물"의 생성 및 염증 매개자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치료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들 마커는 CRP/hs-CRP, 사이토카인(예컨대, IL-8, IL-6), 칼시토닌 및 페리틴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관련 이상 반응에 대해 상기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는 전신 증상(예컨대, 발열, 메스꺼움, 구토, 통증, 근육통 및 황달)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투여량 단계적 증가 프로토콜(Dose Escalation Protocol)
하나 이상의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의 ASM을 피험자에게 투여해서 상기 피험자에게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된 ASMD의 치료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정 기간 후, ASM의 투여량은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일단 이 투여량이 정해지면, 상기 피험자를 치료하는 유지 투여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지 투여량은 ASMD를 치료하기 위해 매주, 격주 또는 월 단위로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i) 관련 이상 반응들, (ii) 총/직접/간접 빌리루빈 농도, (iii)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iv) 급성 반응 중 하나, 둘, 셋 또는 이들 모두에 대해 매 3개월, 매 6개월 또는 1년 단위로, 유지 투여량을 받는 피험자를 모니터링한다. 만약 상기 피험자가 중등도의 관련 이상 반응(예컨대, 관련된 중등의 이상 반응), ASMD 없는 인간(예컨대, 건강한 인간)의 총 빌리루빈 값보다 높은 총 빌리루빈 농도, ASMD 없는 인간(예컨대, 건강한 인간)의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보다 높은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급성 반응을 경험하면,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된 투여량을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에게 평가받아 상기 투여량이 조정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a) (i)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의 ASM을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고, (ii)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상기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고, 각각의 연속적 투여량 후, 증가된 빌리루빈 또는 관련 이상 반응으로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부작용 효과에 대해 피험자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인간 피험자 내에 축적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을 부분제거하기 위한 요법, 및 (b) 상기 피험자의 유지 투여량으로서 상기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 이하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지 요법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초기 투여량 범위는 0.1 mg/kg 내지 0.5 mg/kg 또는 0.1 mg/kg 내지 1 mg/kg의 ASM이다. 일부 양태에서, 이전 투여량 후, 상기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들을 1, 2, 3 또는 4주에 투여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들을 상기 이전 투여량보다 약 0.1 mg/kg, 0.2 mg/kg, 0.3 mg/kg, 0.4 mg/kg, 0.5 mg/kg, 0.6 mg/kg, 0.7 mg/kg, 0.8 mg/kg, 0.9 mg/kg, 1 mg/kg, 1.2 mg/kg, 1.5 mg/kg, 1.75 mg/kg, 2 mg/kg, 3 mg/kg, 4 mg/kg 또는 5 mg/kg 더 높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들은 상기 이전 투여량보다 0.1 내지 0.5 mg/kg, 0.1 mg/kg 내지 1 mg/kg, 0.5 mg/kg 내지 1 mg/kg, 0.5 mg/kg 내지 2 mg/kg, 1 mg/kg 내지 2 mg/kg, 2 mg/kg 내지 4 mg/kg 또는 2 mg/kg 내지 5 mg/kg 더 높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1 mg/kg 내지 2.5 mg/kg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최고 내약용량은 유지 투여량으로서 상기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D를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a) 상기 인간 피험자 내에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분제거용 ASM 투여, 이때 상기 부분제거용 ASM 투여는: (i)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ASM을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고, (ii) 만약 상기 인간 피험자가 증가된 총 빌리루빈 농도, 증가된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급성 반응물들의 생성, 염증 매개자들의 생성, 또는 이상 반응(예,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1.1권에 의해 정의된 것)으로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부작용들을 표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상기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함, 및 (b) 유지용 ASM 투여, 이때 상기 유지용 ASM 투여는 ASM의 유지 투여량을 상기 인간 피험자에게 반복 투여하는 것을 포함함. 일부 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ASM 투여량 투여 후 일정 시간(예컨대, 6시간, 12시간, 1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매주, 또는 다음 투여량 시점) 동안 하나 이상의 부작용들이나 총 빌리루빈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특정 양태에서, 투여되는 유지 투여량은 상기 환자의 치료 과정 도중에 조정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된 유지 투여량은 상기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이다.
특정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 ASM을 투여하는 단계(예컨대, 0.1 mg/kg, 0.2 mg/kg, 0.3 mg/kg, 0.4 mg/kg, 0.5 mg/kg, 0.6 mg/kg, 0.7 mg/kg, 0.8 mg/kg, 0.9 mg/kg, 1 mg/kg, 0.1 mg/kg 내지 0.5 mg/kg, 또는 0.5 mg/kg 내지 1 mg/kg의 ASM 투여량)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여 측정된 하나 이상의 병리학적 기관들에서 ASM 활성의 수준이, ASMD가 없는 피험자(예컨대, 건강한 피험자 또는 5,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175 명 이상의 피험자 집단) 내 동일 기관들에서 ASM 활성의 적어도 5%, 6%, 7%, 8%, 9%, 10%, 12%, 15%, 20%, 25%, 30%, 35%, 40%, 50%, 75%, 80%, 85%, 90%, 95% 또는 그 이상이 될 때까지 일정 기간(예컨대, 3일, 1주, 2주, 또는 3주) 후에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된 ASM의 투여량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0.1 mg/kg 투여량의 ASM을 투여하는 단계,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들,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여 측정된 병리학적 기관들에서 ASM 활성의 수준이, ASMD가 없는 피험자(예컨대, 건강한 피험자 또는 5,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175 명 이상의 피험자 집단) 내 동일 기관들에서 정상적인 ASM 활성의 5% 내지 10%, 5% 내지 15%, 5% 내지 20%, 10% 내지 15%, 10% 내지 20%, 15% 내지 20%, 15% 내지 25%, 25% 내지 50%, 50% 내지 75%, 또는 75% 내지 95%이 될 때까지 일정 기간 후에(예컨대, 3일, 1주, 2주 또는 3주)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된 ASM의 투여량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만약 총 빌리루빈 농도가 2.0 mg/dL 또는 2.1 mg/dL 이하이고, 상기 피험자가 중등 또는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겪지 않는다면 상기 투여량은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정상인 건강한 피험자들 내의 ASM의 활성은, 문헌[Horinouchi et al., 1995, Nature Genetics 10: 288-293](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분석을 이용한 건강한 마우스들에서 유사 기관들 내의 ASM 활성을 기초로 뇌, 심장, 콩팥, 및 간의 경우 약 20 내지 40 유닛/mg의 단백질인 것으로 측정된다. 특정 양태에서, 정상인 건강한 피험자들 내의 ASM의 활성은, 문헌[Horinouchi et al., 1995, Nature Genetics 10: 288-293]에 기재된 분석을 이용한 건강한 마우스들에서 유사 기관들 속의 ASM 활성을 기초로 폐의 경우 약 15 내지 25 유닛/mg의 단백질, 비장의 경우 약 10 내지 15 유닛/mg의 단백질인 것으로 측정된다. 특정 양태에서, 일단 상기 ASM 활성이 하나 이상의 병리학적 기관들에서 정상 또는 정상의 일정 백분율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 이하의 투여량을 상기 유지 투여량으로서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기 피험자의 건강에 따라서 상기 유지 투여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피험자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유지 투여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a)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의 ASM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b) 상기 ASM 투여량 투여 후에 만약 인간이 하기 부작용들 중에서 하나, 둘, 셋, 또는 넷을 나타내지 않는다면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단계: (i) 예컨대,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1.1권에 의해 정해진,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 (ii) 상기 ASM 투여량 투여 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랫동안 지속하는, 1.5 mg/dL, 1.75 mg/dL, 2.0 mg/dL, 2.1 mg/dL, 2.2 mg/dL, 2.3 mg/dL, 2.4 mg/dL, 2.5 mg/dL, 2.6 mg/dL, 2.7 mg/dL, 2.75 mg/dL, 2.8 mg/dL, 2.9 mg/dL, 3.0 mg/dL, 3.1 mg/dL, 3.2 mg/dL, 3.3 mg/dL, 3.4 mg/dL, 3.5 mg/dL, 3.6 mg/dL, 3.7 mg/dL, 3.8 mg/dL, 3.9 mg/dL 또는 4 mg/dL 초과, 또는 2.1 mg/dL 내지 2.5 mg/dL, 2.1 mg/dL 내지 3.0 mg/dL, 또는 2.1 mg/dL 내지 4 mg/dL 범위인 총 빌리루빈 값, (iii) 상기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8.2 μg/mL, 8.3 μg/mL, 8.4 μg/mL, 8.5 μg/mL, 8.75 μg/mL, 9 μg/mL, 9.5 μg/mL, 10 μg/mL, 11 μg/mL, 12 μg/mL, 13 μg/mL, 14 μg/mL, 15 μg/mL, 16 μg/mL, 17 μg/mL, 18 μg/mL, 19 μg/mL, 20 μg/mL, 25 μg/mL, 30 μg/mL, 35 μg/mL, 40 μg/mL, 45 μg/mL, 50 μg/mL, 55 μg/mL, 60 μg/mL, 65 μg/mL, 70 μg/mL, 75 μg/mL 또는 80 μg/mL 초과, 또는 8.2 μg/mL 내지 10 μg/mL, 8.5 μg/mL 내지 10 μg/mL, 9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5 μg/mL, 10 μg/mL 내지 20 μg/mL, 15 μg/mL 내지 20 μg/mL, 또는 20 μg/mL 내지 30 μg/mL 범위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iv) 급성 반응. 본 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은 상기 항목 (i) 내지 (iv)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지 않는 한, 연속적으로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투여받을 수 있다. 상기 인간이 상기 항목 (i) 내지 (iv)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서, 상기 항목 (i) 내지 (iv)들 중에서 증상을 초래한 동일한 투여량을 반복하거나 이전 투여량으로 투여량이 감소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a) 0.1 mg/kg의 초기 ASM 투여량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 (b) 상기 ASM 투여량 투여에 이어서 상기 인간을 하기 중에서 하나 이상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i) 총 빌리루빈 농도, (ii) 관련 이상 반응의 발현, (iii) 급성 반응, 또는 (iv)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c) 상기 항목 (i) 내지 (iv)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ASM의 투여량을 조정(예, 증가 또는 감소)할지 유지할지 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전 (c) 단계에서 정한 ASM 투여량 투여 후에 (b) 및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a) 0.1 mg/kg의 2회 초기 ASM 투여량을 2 내지 4주 간격으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 (b) 각각의 ASM 투여량 투여에 이어서 상기 인간을 하기 중에서 하나 이상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i) 총 빌리루빈 농도, (ii) 관련 이상 반응의 발현, (iii) 급성 반응, 또는 (iv)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c) 상기 항목 (i) 내지 (iv)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ASM의 투여량을 조정(예, 증가 또는 감소)할지 유지할지 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전 (c) 단계에서 정한 ASM 투여량 투여 후에 (b) 및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양태에 따라서, 만약 0.1 mg/kg의 초기 투여량 또는 (c) 단계에서 정한 조정된 투여량이: (i) ASM의 다른 투여량 투여 시한 전에 2.0 mg/dL 이하의 총 빌리루빈 농도, (ii) 관련 이상 반응이 없거나 단지 경증의 관련 이상 반응이 있는 경우, (iii) ASM의 마지막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의 정상 범위 이내의 혈장 세라마이드, 또는 (iv) 급성 반응이 없거나 통계학상으로 유의하지 않은 급성 반응을 초래하였다면, 상기 인간은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2 내지 4주 간격으로 1회 이상 투여받을 수 있다. 하지만, 만약 0.1 mg/kg의 초기 투여량 또는 (c) 단계에서 정한 조정된 투여량이: (i) ASM의 다른 투여량 투여 시한 전에 2.1 mg/dL 이상인 총 빌리루빈 농도, (ii) 관련 이상 반응, (iii) ASM의 마지막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의 정상 범위 초과 혈장 세라마이드, 또는 (iv) 통계학상으로 유의한 급성 반응을 초래하였다면, 상기 투여량은 유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A) 0.1 mg/kg의 2회 초기 투여량의 ASM을 2주 간격으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ASM 초기 투여량 투여에 이어서 상기 인간을 (i) 총 빌리루빈 농도, (ii) 관련 이상 반응의 증상, 또는 (iii) (i) 및 (ii) 모두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상기 항목 (i) 내지 (iii)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ASM의 투여량을 조정(예, 증가 또는 감소)할지 유지할지 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전 (C) 단계에서 정한 ASM 투여량 투여 후에 (B) 및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때 (a)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2.0 mg/dL 이하이거나 상기 인간이 경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나타낸다면, 상기 인간에게 투여한 투여량은 증가되고, (b)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2.1 mg/dL 내지 3.1 mg/dL이거나 상기 인간이 중등의 관련 이상 반응을 나타낸다면, 상기 인간은 계속해서 1 내지 4회, 2 내지 4주 간격으로 현재의 투여량을 받으며,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마지막 투여량 투여 후 여전히 2.0 mg/dL보다 큰 경우, 이 투여량이 유지되고, (c)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3 mg/dL을 초과하거나 상기 인간이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나타낸다면, 상기 인간에게 투여한 투여량은 감소되거나 더 이상 ASM이 투여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A) 0.3 mg/kg의 2회 초기 투여량의 ASM을 2주 간격으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ASM 투여량 투여에 이어서 상기 인간을 (i) 총 빌리루빈 농도, (ii) 관련 이상 반응의 증상, 또는 (iii) (i) 및 (ii) 모두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상기 항목 (i) 내지 (iii)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ASM의 투여량을 조정(예, 증가 또는 감소)할지 유지할지 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전 (C) 단계에서 정한 ASM 투여량 투여 후에 (B) 및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때 (a)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2.0 mg/dL 이하이거나 상기 인간이 경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나타낸다면, 상기 인간에게 투여한 투여량은 증가되고, (b)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2.1 mg/dL 내지 3.1 mg/dL이거나 상기 인간이 중등의 관련 이상 반응을 나타낸다면, 상기 인간은 계속해서 1 내지 4회, 2 내지 4주 간격으로 현재의 투여량을 받으며,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마지막 투여량 투여 후 여전히 2.0 mg/dL보다 큰 경우, 투여량이 유지되고, (c) 만약 상기 총 빌리루빈 농도가 3 mg/dL을 초과하거나 상기 인간이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나타낸다면, 상기 인간에게 투여한 투여량은 감소되거나 더 이상 ASM이 투여되지 않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0.1 mg/kg 투여량의 ASM 및 2주 후 2주 마다 0.3 mg/kg 투여량의 ASM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0.1 mg/kg 투여량의 ASM, 상기 0.1 mg/kg 투여량의 ASM 투여 2주 후 0.3 mg/kg 투여량의 ASM, 및 상기 0.3 mg/kg 투여량의 ASM 투여 2주 후 0.6 mg/kg 투여량의 ASM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0.1 mg/kg 투여량의 ASM, 상기 0.1 mg/kg 투여량의 ASM 투여 2주 후 0.3 mg/kg 투여량의 ASM, 상기 0.3 mg/kg 투여량의 ASM 투여 2주 후 0.6 mg/kg 투여량의 ASM, 및 상기 0.6 mg/kg 투여량의 ASM 투여 2주 후 1 mg/kg 투여량의 ASM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각각의 투여량은 상기 투여량을 다음 수준으로 단계적 증가하기 전에 2회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반복될 수도 있다. 이들 양태에 따르면, 상기 투여량은 상기 총 빌리루빈 값이 2.0 mg/dL 이하이고/이거나 상기 피험자가 경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겪는 경우에만 단계적 증가된다. 상기 투여량은 상기 총 빌리루빈 값이 2.1 및 3 mg/dL이고/이거나 상기 피험자가 중등의 관련 이상 반응을 겪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량은 상기 총 빌리루빈 값이 3.0 mg/dL의 총 빌리루빈 값보다 크고/크거나 상기 피험자가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겪는 경우에는 이전에 내성을 가진 투여량으로 감소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환자는 다음 하기 실시예 3 및 4에 기재된 프로토콜 또는 유사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ASMD에 대한 치료를 받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D를 치료하는 방법은 0.1 mg/kg, 0.2 mg/kg, 0.3 mg/kg, 0.4 mg/kg, 0.5 mg/kg, 0.6 mg/kg, 0.7 mg/kg, 0.8 mg/kg, 0.9 mg/kg, 1 mg/kg, 또는 0.1 mg/kg 내지 0.5 mg/kg, 또는 0.1 mg/kg 내지 1 mg/kg 투여량의 ASM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고, 만약 총 빌리루빈 농도가 2.1 mg/dL 이하이고 상기 피험자가 중등 또는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을 겪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기간 후(예컨대, 3일, 1주, 2주, 3주 또는 4주) 연속적으로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한 ASM 투여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 투여량은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대 또는 최고 내약용량에 이를 때까지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병리학적 기관들내에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이 부분제거될 때까지 그러한 최대 또는 최고 내약용량이 투여되며, 그 후 여전히 치료상 효과적인 최대 내약용량보다 낮은 유지 투여량을 상기 피험자에게 투여한다. 일부 양태에서, 환자의 상태가 개선되면서 시간이 갈수록 상기 유지 투여량을 축소한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들 또는 예컨대,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1.1권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관련 이상 반응들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2일, 3일,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ASM의 투여 전 환자의 총 빌리루빈 농도에 비해서 총 빌리루빈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정상적인 총 빌리루빈 농도보다 큰 총 빌리루빈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적인 총 빌리루빈 농도는 약 1.2 mg/d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약 1.5 mg/dL, 1.75 mg/dL, 2.0 mg/dL, 2.1 mg/dL, 2.2 mg/dL, 2.3 mg/dL, 2.4 mg/dL, 2.5 mg/dL, 2.6 mg/dL, 2.7 mg/dL, 2.75 mg/dL, 2.8 mg/dL, 2.9 mg/dL, 3.0 mg/dL, 3.1 mg/dL, 3.2 mg/dL, 3.3 mg/dL, 3.4 mg/dL, 3.5 mg/dL, 3.6 mg/dL, 3.7 mg/dL, 3.8 mg/dL, 3.9 mg/dL 또는 4 mg/dL보다 크거나 2.1 mg/dL 내지 2.5 mg/dL, 2.1 mg/dL 내지 3.0 mg/dL, 또는 2.1 mg/dL 내지 4 mg/dL 범위인 총 빌리루빈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적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보다 큰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적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는 약 1.5 내지 8 μg/mL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8.2 μg/mL, 8.3 μg/mL, 8.4 μg/mL, 8.5 μg/mL, 8.75 μg/mL, 9 μg/mL, 9.5 μg/mL, 10 μg/mL, 11 μg/mL, 12 μg/mL, 13 μg/mL, 14 μg/mL, 15 μg/mL, 16 μg/mL, 17 μg/mL, 18 μg/mL, 19 μg/mL, 20 μg/mL, 25 μg/mL, 30 μg/mL, 35 μg/mL, 40 μg/mL, 45 μg/mL, 50 μg/mL, 55 μg/mL, 60 μg/mL, 65 μg/mL, 70 μg/mL, 75 μg/mL 또는 80 μg/mL 초과, 또는 8.2 μg/mL 내지 10 μg/mL, 8.5 μg/mL 내지 10 μg/mL, 9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5 μg/mL, 10 μg/mL 내지 20 μg/mL, 15 μg/mL 내지 20 μg/mL, 또는 20 μg/mL 내지 30 μg/mL 범위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최고 내약용량은 급성 반응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급성 반응은 급성 반응물의 농도 변화, 프로트롬빈 시간 변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변화, 또는 중성구들의 백분율 변화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성 반응은 피험자에게 ASM 투여 후 하기 인자들 중에서 피험자에게 ASM 투여하기 전 하기 인자들이나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의 하기 인자들과 비교해 하나 이상의 인자에 증가를 보이는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중성구들의 백분율, 프로트롬빈 시간(PT),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PTT), 총 빌리루빈 농도, C-반응성 단백질(CRP/hs-CRP) 농도, 혈청 아밀로이드 A(SAA), 혈청 아밀로이드 P 요소,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페리틴 농도, IL-6 농도, IL-8 농도, 칼시토닌 농도, 알부민 농도, 또는 피브리노겐 농도. 급성 반응은 ASM 투여하기 전 철 농도 또는 알부민 농도에 비해서, 또는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의 철 농도 또는 알부민 농도에 비해서 피험자에게 ASM 투여 후 철 농도 또는 알부민 농도의 감소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CRP/hs-CRP 농도에 비해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CRP/hs-CRP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CRP/hs-CRP 농도보다 큰 혈장 CRP/hs-CRP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적인 혈장 CRP/hs-CRP 농도는 약 8 mg/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8.1 mg/L, 8.2 mg/L, 8.3 mg/L, 8.4 mg/L, 8.5 mg/L, 8.6 mg/L, 8.7 mg/L, 8.8 mg/L, 8.9 mg/L, 9 mg/L, 9.5 mg/L, 10 mg/L, 11 mg/L 또는 12 mg/L 초과, 또는 8.5 mg/L 내지 10 mg/L, 또는 8.5 mg/L 내지 12 mg/L, 또는 10 mg/L 내지 12 mg/L 범위인 혈장 CRP/hs-CRP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페리틴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페리틴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페리틴 농도보다 큰 혈장 페리틴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 혈장 페리틴 농도는 10 내지 30 ng/mL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300 ng/mL, 325 ng/mL, 350 ng/mL, 375 ng/mL, 400 ng/mL, 425 ng/mL, 450 ng/mL, 475 ng/mL, 500 ng/mL, 525 ng/mL, 550 ng/mL, 575 ng/mL, 600 ng/mL, 625 ng/mL, 650 ng/mL, 675 ng/mL, 700 ng/mL, 725 ng/mL, 750 ng/mL, 775 ng/mL, 800 ng/mL, 850 ng/mL, 900 ng/mL, 950 ng/mL, 1000 ng/mL, 1050 ng/mL, 1100 ng/mL, 1150 ng/mL, 또는 1200 ng/mL보다 크거나, 600 ng/mL 내지 800 ng/mL, 650 ng/mL 내지 850 ng/mL, 600 ng/mL 내지 1000 ng/mL, 600 ng/mL 내지 1200 ng/mL, 800 ng/mL 내지 1000 ng/mL, 900 ng/mL 내지 1000 ng/mL, 또는 1000 ng/mL, 또는 1000 ng/mL 내지 1200 ng/mL 범위인 혈장 페리틴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며,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IL-8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혈장 또는 혈청 IL-8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IL-8 농도보다 큰 혈장 또는 혈청 IL-8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24 pg/mL, 50 pg/mL, 75 pg/mL, 100 pg/mL, 200 pg/mL, 300 pg/mL, 400 pg/mL, 500 pg/mL, 600 pg/mL, 700 pg/mL, 800 pg/mL, 또는 900 pg/mL보다 큰 혈장 IL-8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IL-6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혈장 또는 혈청 IL-6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또는 혈청 IL-6 농도보다 큰 혈장 또는 혈청 IL-6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4.4 pg/mL, 6 pg/mL, 8 pg/mL, 10 pg/mL, 15 pg/mL, 20 pg/mL, 25 pg/mL, 또는 30 pg/mL보다 큰 혈장 IL-6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 전 환자의 칼시토닌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혈장 또는 혈청 칼시토닌 농도의 증가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칼시토닌 농도보다 큰 혈장 또는 혈청 칼시토닌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9.4 pg/mL, 20 pg/mL, 30 pg/mL, 40 pg/mL, 50 pg/mL, 75 pg/mL, 100 pg/mL, 150 pg/mL, 200 pg/mL 또는 250 pg/mL 초과의 혈장 칼시토닌 농도를 급성 반응의 측정자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피브리노겐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피브리노겐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보다 큰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는 150 mg/dL 내지 300 mg/dL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350 mg/dL, 375 mg/dL, 400 mg/dL, 425 mg/dL, 또는 450 mg/dL보다 크거나, 350 mg/dL 내지 400 mg/dL, 350 mg/dL 내지 450 mg/dL 또는 400 mg/dL 내지 450 mg/dL 범위인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과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의 정상 백분율보다 큰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총 백혈구 중 중성구의 정상 백분율은 45% 내지 60%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70%, 75%, 80%, 85%, 90%, 95% 이상인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투여한 ASM에 대한 항체들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과민성 반응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1 mg/kg 내지 2.5 mg/kg, 2 mg/kg 내지 3 mg/kg, 3 mg/kg 내지 5 mg/kg, 5 mg/kg 내지 10 mg/kg, 10 mg/kg 내지 15 mg/kg, 15 mg/kg 내지 20 mg/kg, 15 mg/kg 내지 25 mg/kg, 20 mg/kg 내지 30 mg/kg, 또는 25 mg/kg 내지 50 mg/kg이다. 일부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1 mg/kg, 2 mg/kg, 3 mg/kg, 4 mg/kg, 5 mg/kg, 6 mg/kg, 7 mg/kg, 8 mg/kg, 9 mg/kg, 10 mg/kg, 11 mg/kg, 12 mg/kg, 13 mg/kg, 14 mg/kg, 또는 15 mg/kg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20 mg/kg, 25 mg/kg, 30 mg/kg, 35 mg/kg, 40 mg/kg, 45 mg/kg, 또는 50 mg/kg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중증의 관련 이상 반응들 또는 예컨대, 임상데이터교환 표준컨소시엄 연구 데이터 도표화 모델 표준 용어 제3.1.1권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관련 이상 반응들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2일, 3일,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ASM의 투여 전 환자의 총 빌리루빈 농도에 비해서 총 빌리루빈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정상 총 빌리루빈 농도보다 큰 총 빌리루빈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 총 빌리루빈 농도는 약 1.2 mg/d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5일, 1주, 2주 또는 3주보다 오래 지속하는, 약 1.5 mg/dL, 1.75 mg/dL, 2.0 mg/dL, 2.1 mg/dL, 2.2 mg/dL, 2.3 mg/dL, 2.4 mg/dL, 2.5 mg/dL, 2.6 mg/dL, 2.7 mg/dL, 2.75 mg/dL, 2.8 mg/dL, 2.9 mg/dL, 3.0 mg/dL, 3.1 mg/dL, 3.2 mg/dL, 3.3 mg/dL, 3.4 mg/dL, 3.5 mg/dL, 3.6 mg/dL, 3.7 mg/dL, 3.8 mg/dL, 3.9 mg/dL 또는 4 mg/dL보다 크거나 2.1 mg/dL 내지 2.5 mg/dL, 2.1 mg/dL 내지 3.0 mg/dL, 또는 2.1 mg/dL 내지 4 mg/dL 범위인 총 빌리루빈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적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보다 큰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적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는 약 1.5 내지 8 μg/mL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8.2 μg/mL, 8.3 μg/mL, 8.4 μg/mL, 8.5 μg/mL, 8.75 μg/mL, 9 μg/mL, 9.5 μg/mL, 10 μg/mL, 11 μg/mL, 12 μg/mL, 13 μg/mL, 14 μg/mL, 15 μg/mL, 16 μg/mL, 17 μg/mL, 18 μg/mL, 19 μg/mL, 20 μg/mL, 25 μg/mL, 30 μg/mL, 35 μg/mL, 40 μg/mL, 45 μg/mL, 50 μg/mL, 55 μg/mL, 60 μg/mL, 65 μg/mL, 70 μg/mL, 75 μg/mL 또는 80 μg/mL초과, 또는 8.2 μg/mL 내지 10 μg/mL, 8.5 μg/mL 내지 10 μg/mL, 9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2 μg/mL, 10 μg/mL 내지 15 μg/mL, 10 μg/mL 내지 20 μg/mL, 15 μg/mL 내지 20 μg/mL, 또는 20 μg/mL 내지 30 μg/mL 범위인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급성 반응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급성 반응은 급성 반응물의 농도 변화, 프로트롬빈 시간 변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변화, 또는 중성구들의 백분율 변화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성 반응은 피험자에게 ASM 투여 후 하기 인자들 중에서 피험자에게 ASM 투여하기 전 하기 인자들이나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의 하기 인자들과 비교해 하나 이상의 인자에 증가를 보이는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중성구들의 백분율, 프로트롬빈 시간(PT),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PTT), 총 빌리루빈 농도, C-반응성 단백질(CRP/hs-CRP) 농도, 혈청 아밀로이드 A(SAA), 혈청 아밀로이드 P 요소,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페리틴 농도, 알부민 농도 또는 피브리노겐 농도. 급성 반응은 ASM 투여 전 피험자에게서의 철 농도 또는 알부민 농도에 비해서나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의 철 농도 또는 알부민 농도에 비해서 피험자에게 ASM 투여 후 철 농도 또는 알부민 농도의 감소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CRP/hs-CRP 농도에 비해서,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CRP/hs-CRP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CRP/hs-CRP 농도보다 큰 혈장 CRP/hs-CRP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적인 혈장 CRP/hs-CRP 농도는 약 8 mg/L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8.1 mg/L, 8.2 mg/L, 8.3 mg/L, 8.4 mg/L, 8.5 mg/L, 8.6 mg/L, 8.7 mg/L, 8.8 mg/L, 8.9 mg/L, 9 mg/L, 9.5 mg/L, 10 mg/L, 11 mg/L 또는 12 mg/L 초과, 또는 8.5 mg/L 내지 10 mg/L, 또는 8.5 mg/L 내지 12 mg/L, 또는 10 mg/L 내지 12 mg/L 범위인 혈장 CRP/hs-CRP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페리틴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페리틴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페리틴 농도보다 큰 혈장 페리틴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 혈장 페리틴 농도는 10 내지 30 ng/mL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600 ng/mL, 625 ng/mL, 650 ng/mL, 675 ng/mL, 700 ng/mL, 725 ng/mL, 750 ng/mL, 775 ng/mL, 800 ng/mL, 850 ng/mL, 900 ng/mL, 950 ng/mL, 1000 ng/mL, 1050 ng/mL, 1100 ng/mL, 1150 ng/mL, 또는 1200 ng/mL보다 크거나, 600 ng/mL 내지 800 ng/mL, 650 ng/mL 내지 850 ng/mL, 600 ng/mL 내지 1000 ng/mL, 600 ng/mL 내지 1200 ng/mL, 800 ng/mL 내지 1000 ng/mL, 900 ng/mL 내지 1000 ng/mL, 또는 1000 ng/mL 내지 1200 ng/mL 범위인 혈장 페리틴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피브리노겐 농도와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피브리노겐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정상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보다 큰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정상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는 150 mg/dL 내지 300 mg/dL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약 350 mg/dL, 375 mg/dL, 400 mg/dL, 425 mg/dL, 또는 450 mg/dL보다 크거나, 350 mg/dL 내지 400 mg/dL, 350 mg/dL 내지 450 mg/dL 또는 400 mg/dL 내지 450 mg/dL 범위인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 전 환자의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과 비교할 때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총 백혈구 중 중성구의 정상 백분율보다 큰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에게서 상기 총 백혈구 중 중성구의 정상 백분율은 45% 내지 60%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ASM 투여량 투여 후 6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서 70%, 75%, 80%, 85%, 90%, 95% 또는 그 이상인 총 백혈구 중 중성구 백분율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투여한 ASM에 대한 항체들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과민성 반응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최고 내약용량은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초래하지 않고 ASMD를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최고 투여량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1 mg/kg 내지 2.5 mg/kg, 2 mg/kg 내지 3 mg/kg, 3 mg/kg 내지 5 mg/kg, 5 mg/kg 내지 10 mg/kg, 10 mg/kg 내지 15 mg/kg, 15 mg/kg 내지 20 mg/kg, 15 mg/kg 내지 25 mg/kg, 20 mg/kg 내지 30 mg/kg, 또는 25 mg/kg 내지 50 mg/kg이다. 일부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1 mg/kg, 2 mg/kg, 3 mg/kg, 4 mg/kg, 5 mg/kg, 6 mg/kg, 7 mg/kg, 8 mg/kg, 9 mg/kg, 10 mg/kg, 11 mg/kg, 12 mg/kg, 13 mg/kg, 14 mg/kg, 또는 15 mg/kg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상 효과적인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은 20 mg/kg, 25 mg/kg, 30 mg/kg, 35 mg/kg, 40 mg/kg, 45 mg/kg, 또는 50 mg/kg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ASM의 투여량은 매 3일, 매 4일, 매 5일, 매 6일, 매 주, 매 8일, 매 9일, 매 10일, 매 11일, 매 12일, 매 13일, 매 2주, 매 3주, 매 4주, 또는 매 5주마다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ASM의 투여량은 매 3 내지 5일, 매 3 내지 7일, 매 5 내지 7일, 매 5 내지 10일, 매 5 내지 14일, 매 7 내지 14일, 매 2 내지 4주, 또는 매 3 내지 5주마다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 투여 빈도는 상기 투여량을 조정하면서 변화한다. 예컨대, 0.3 mg/kg 투여량을 매 주 또는 2주마다 투여할 수도 있고 1 mg/kg 투여량을 매 2주 또는 3주마다 투여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에서, ASM 투여량(예, 유지 투여량)은 12주, 20주, 25주, 30주, 35주, 40주, 45주, 50주, 52주, 1년, 1.5년, 2년, 2.5년, 3년, 3.5년, 4년 동안 또는 환자가 관련 이상 반응,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의 총 빌리루빈 값보다 큰 총 빌리루빈 값, ASMD가 없는 인간(예, 건강한 인간)의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보다 큰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급성 반응을 겪을 때까지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의 ASM은 매 3일, 매 4일, 매 5일, 매 6일, 매 주, 매 8일, 매 9일, 매 10일, 매 11일, 매 12일, 매 13일, 매 2주, 매 3주, 매 4주, 또는 매 5주마다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ASM의 투여량은 매 3 내지 5일, 매 3 내지 7일, 매 5 내지 7일, 매 5 내지 10일, 매 5 내지 14일, 매 7 내지 14일, 매 2 내지 4주, 또는 매 3 내지 5주마다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무독성의 낮은 초기 투여량의 ASM은 4주, 6주, 8주, 12주, 14주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 투여량의 연속적 증가는 이전 투여량보다 약 0.1 mg/kg, 0.2 mg/kg, 0.3 mg/kg, 0.4 mg/kg, 0.5 mg/kg, 0.6 mg/kg, 0.7 mg/kg, 0.8 mg/kg, 0.9 mg/kg, 1 mg/kg, 1.2 mg/kg, 1.5 mg/kg, 1.75 mg/kg, 2 mg/kg, 3 mg/kg, 4 mg/kg 또는 5 mg/kg 높다. 일부 양태에서, ASM 투여량의 연속적 증가는 이전 투여량보다 0.1 mg/kg 내지 0.5 mg/kg, 0.1 mg/kg 내지 1 mg/kg, 0.5 mg/kg 내지 1 mg/kg, 0.5 mg/kg 내지 2 mg/kg, 1 mg/kg 내지 2 mg/kg, 2 mg/kg 내지 4 mg/kg 또는 2 mg/kg 내지 5 mg/kg 높다.
본원에 기술된 ASM의 투여량들은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유용한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ASM의 투여량들의 특정 투여 경로에는 정맥내, 심실내, 진피내, 경피, 피하, 근육내, 비강내, 흡입, 폐내, 국소, 경점막, 두개내, 경막내, 경막외 및 활막내 투여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양태에서, ASM의 투여량은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전신적으로(예컨대,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ASM의 투여량은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국소 투여된다.
ASMD의 신체(비-중추신경계) 증상들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ASM 효소의 투여량은 혈뇌 장벽을 효과적으로 가로지를 수 없다. 따라서, 구체적 양태에서, ASM은 환자에게 심실내 투여되거나 NPD 환자의 뇌에 경막내 투여된다. 예컨대, 리소좀 저장 효소의 심실내 전달 방법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공개 제2009/0130079호 및 제2009/0123451호를 참고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은 환자에게 뇌실내 투여된다. 예컨대, ASM의 뇌실내 주입 방법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Dodge et al., 2009, Experimental Neurology 215: 349-357]을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은 환자에게 간접 실질내 주사를 통해 투여된다(예컨대, 문헌[Yang et al., 2007, Experimental Neurology 207: 258-266] 참고). 일부 양태에서, 하기 환자 집단 섹션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효소를 뇌에 표적화하는, 변형 형태의 ASM을 환자에게 투여해서 ASMD를 치료한다.
환자에게 투여된 ASM 효소의 단지 적은 백분율만이 폐에 도달한다. 따라서, 구체적 양태에서, ASM은 환자의 폐에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은 비강내 투여 또는 흡입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된다. 예컨대, ASM의 비강 투여와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Ziegler et al., 2009,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 97: 35-42]을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하기 환자 집단 섹션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효소를 폐에 표적화하는, 변형된 형태의 ASM이 환자에게 투여되어서 ASMD를 치료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은 분무기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폐로의 ASM의 전달은 기관지경, 계량흡입기 또는 분무기를 통한 폐내 주사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 효소는 뇌 및 폐와 같은 특정 기관들에 국소적으로 투여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전신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 효소의 상기 국소적 투여는 상기 효소의 전신적 투여를 보충한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ASM 효소는 환자 내에 축적된 스핑고미엘린이 전신적 투여(예컨대, 정맥내 투여)에 의해 부분제거된 후에, 예컨대 뇌 또는 폐에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환자는 ASM 투여 전에 유전형 검사를 받는다. 일부 양태에서, 환자에 의해 발현된 ASM의 글리코실화 패턴은 ASM 투여 전에 결정된다. 환자에 의해 내인성적으로 발현된 것과 유사한/상용 가능한 ASM의 투여는 면역원성에 대한 잠재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정 양태에서, 내인성적으로 발현된 ASM의 활성은 ASM 투여 전에 결정된다. 내인성적으로 발현된 ASM의 활성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DBS와, 배양된 섬유아세포에서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비장 용적을 감소시키는 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간의 스핑고미엘린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간 검체들의 생화학적 분석 및/또는 조직형태학적 분석에 의해 평가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운동 역량을 증가시키는 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예측된 최대 운동부하, 피크 산소 소비 및 이산화탄소 생성을 비롯한, 자전거 근육힘기록에 의한 최대 운동부하에 의해 평가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폐 기능을 증가시키는 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DLco, FVC, FEV 및/또는 TLC에 의해 평가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기관지 폐포 세척(BAL) 스핑고미엘린을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간 용적을 감소시키는 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폐 외관을 개선시키는 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고해상도 CT 스캔 또는 흉부 X-선에 의해 평가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폐 청소율을 개선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간, 피부, 혈장 및 DBS 내의 스핑고미엘린 농도를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혈청 키토트리오시다제 수준을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혈청 CCL18 수준을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환자의 지질 프로파일을 개선시킨다(예컨대,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D의 중증도 및/또는 이와 연관된 증상을 감소 또는 완화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D와 연관된 증상의 기간을 단축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D와 연관된 증상의 재발을 방지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피험자의 입원을 단축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입원 기간을 단축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피험자의 생존을 증가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피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피험자의 입원율을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D와 연관된 증상의 수를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D 환자들의 무증상 생존을 증가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피험자의 신경계 기능(예컨대, 정신운동 기능, 사회적 반응 등)을 개선시킨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킨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데, 이는 예컨대, 설문지["Brief Fatigue Inventory"]("BFI"; 문헌[Mendoza et al., 1999, Cancer 85(5): 1186-1196]), 설문지["Brief Pain Inventory-Short Form"]("BPI-SF"; 문헌[Cleeland et al., 1994, Ann Acad Med Singapore 23(2): 129-138]), 설문지["ASM-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이는 설문지["BFI"], 설문지["BPI-SF"] 및 설문지["Short Form-36 Health Survey"]의 조합 형태임), 호흡곤란 및 피로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지["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 Self-Administered Standardized"](CRQ-SAS; 문헌[Schunemann et al., 2005, Eur. Respir. J. 25: 31-40]) 및 설문지["Activity Measure for Post-Acute Care"](AM-PAC)(기능 이동성(예컨대, 움직임, 자기돌봄 및 응용 인식)을 분석하는 컴퓨터-적응 검사)에 의해 평가된다.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효소
ASM은 스핑고미엘린을 세라마이드 및 포스포릴콜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능력을 보유하는 임의 형태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효소를 지칭하며, 이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039,388호, 제4,082,781호, 제5,686,240호 및 제7,563,591호, 및 국제공개 제WO2007/078806호 및 제WO2006/058385호에 개시된 기술들에 의해 평가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효소는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술된 형광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서 스핑고미엘린을 세라마이드 및 포스포릴콜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는,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것처럼, ASM-1(하기 서열번호 1) 활성의 적어도 30%, 35%, 40%, 45%, 50%, 75%, 80%, 85%, 80%, 90%, 95% 또는 98%, 또는 30% 내지 50%, 40% 내지 50%, 50% 내지 75%, 50% 내지 90%, 75% 내지 80%, 75% 내지 90%, 75% 내지 95%, 또는 85% 내지 95%를 갖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ASM은 인간 ASM이다. 선택적인 스플라이싱으로부터 유래한 인간 ASM의 다양한 이성질형(isoform)들이 존재한다. 인간 ASM 이성질형들 중 하나인 인간 ASM 이성질형 1(때때로 ASM-1로서 지칭됨)은 유니프로트케이비/스위스-프로트(UniProtKB/Swiss-Prot.) 등록 번호 제P17405-1호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다른 인간 ASM 이성질형인 인간 이성질형 2(때때로 ASM-2로서 지칭됨)는 유니프로트케이비/스위스-프로트 등록 번호 제P17405-2호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제 3 인간 ASM 이성질형인 인간 이성질형 3(때때로 ASM-3으로서 지칭됨)은 유니프로트케이비/스위스-프로트 등록 번호 제P17405-3호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가장 많은 이성질형인 ASM-1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1
(서열번호 1). ASM-1의 363 내지 374인 아미노산 잔기들(즉, IGGFYALSPYPG ( 열번호 2))이 YLSSVETQEGKR(서열번호 3) 아미노산들로 대체되며, ASM-1의 375 내지 418인 아미노산 잔기들이 ASM-2로부터 누락되고 있는 점에서, ASM-2는 ASM-1과 다르다. ASM-1의 363 내지 418인 아미노산 잔기들이 ASM-3으로부터 누락되고 있는 점에서, ASM-3은 ASM-1과 다르다. ASM-2 및 ASM-3이,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효소 활성을 갖는 정도까지, 이들은 피험자에 투여 가능한 ASM으로서 포함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2 및 ASM-3이,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ASM-1의 활성의 적어도 30%, 35%, 40%, 45%, 50%, 75%, 80%, 85%, 80%, 90%, 95% 또는 98%, 또는 30% 내지 50%, 40% 내지 50%, 50% 내지 75%, 50% 내지 90%, 75% 내지 80%, 75% 내지 90%, 75% 내지 95%, 또는 85% 내지 95%를 갖는 정도까지, 이들은 피험자에 투여 가능한 ASM으로서 포함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인간 ASM은 상기 서열번호 1에 개시된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의 아미노산 서열, 미국 특허 제6,541,218호에 개시되어 있는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의 아미노산 서열(예컨대, 미국 특허 제6,541,218호의 서열번호 2), 또는 문헌[Schuchman et al., 1991, J. Biol. Chem. 266: 8531-8539]의 도 3에 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러한 문헌 각각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인간 ASM은 가공된 성숙 형태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인간 ASM은 미성숙하고, 미가공된 형태이다. ASM-1과 관련하여, 상기 미성숙 형태는 길이가 629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잔기들 1 내지 46에서 발견되는 시그널 펩타이드를 함유한다. ASM-1의 상기 성숙 형태는 상기 시그널 펩타이드가 결핍하며, 아미노산 잔기 47 내지 아미노산 잔기 629로부터 유래한다. 인간 ASM-1은 아미노산 잔기들 85 내지 169 유래 사포신 B형 도메인을 함유한다. ASM-1과 관련하여, 하기 아미노산 잔기들이 글리코실화된다(특히, N-연결 글리코실화됨): 86, 175, 335, 395 및 520.
인간 ASM의 이성질형들과 더불어, 인간 ASM의 다양한 자연 발생 변형체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ASM의 추정 시그널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의 헥사뉴클레오타이드 반복 단위체를 갖는 인간 ASM 유전자의 자연 발생 변형체들이 동정되어 있다(예컨대, 문헌[Wan and Schuchman, 1995,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270: 207-210](9, 7, 6, 5 및 4개의 헥사뉴클레오타이드 반복에 상응하는 5개의 대립유전자의 동정을 기술하고 있으며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됨)을 참고한다). 또한, 단일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인간 ASM의 자연 발생 변형체들이 동정되어 있다. 예컨대, 단일 다형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Schuchman et al., 1991, J. of Biol. Chem 266: 8531-8539] 및 문헌[Schuchman et al., 1991, Nucleic Acids Research 19(11): 3160]을 참고한다. 인간 ASM의 임의의 자연 발생 변형체들이,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효소 활성을 갖는 정도까지, 이들은 피험자에 투여 가능한 ASM으로서 포함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인간 ASM의 임의의 자연 발생 변형체들이,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ASM-1의 활성의 적어도 30%, 35%, 40%, 45%, 50%, 75%, 80%, 85%, 80%, 90%, 95% 또는 98%, 또는 30% 내지 50%, 40% 내지 50%, 50% 내지 75%, 50% 내지 90%, 75% 내지 80%, 75% 내지 90%, 75% 내지 95%, 또는 85% 내지 95%를 갖는 정도까지, 이들은 피험자에 투여 가능한 ASM으로서 포함된다.
인간 ASM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대한 다수의 단일 뉴클레오타이드 다형체(SNP)들이 동정되어 있다(예컨대, SNP의 예에 관해서는 ncbi 웹사이트("ncbi.nlm.nih.gov/projects/SNP/")를 참고한다). ASM의 암호화 유전자 내에서 임의의 SNP가,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효소적 활성을 갖는 정도까지, 이들은 피험자에 투여 가능한 ASM으로서 포함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의 암호화 유전자 내에서 임의의 SNP가, 예컨대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ASM-1의 활성의 적어도 30%, 35%, 40%, 45%, 50%, 75%, 80%, 85%, 80%, 90%, 95% 또는 98%, 또는 30% 내지 50%, 40% 내지 50%, 50% 내지 75%, 50% 내지 90%, 75% 내지 80%, 75% 내지 90%, 75% 내지 95%, 또는 85% 내지 95%를 갖는 정도까지, 이들은 피험자에 투여될 수 있는 ASM으로서 포함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은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인간 ASM의 상기 변형된 형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7,527,956호에 개시된 것들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인간 ASM의 상기 변형된 형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국제공개 제WO2008/136451호에 개시된 것들 중 하나이다. 일부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은 하기 성질들 중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i) 비변형된 인간 ASM에 비해 증가된 병리 부위들에 대한 표적화(예컨대, 폐 및/또는 뇌), (ii) 비변형된 인간 ASM에 비해 증가된 안정성, 및 (iii) 비변형된 인간 ASM에 비해 증가된 활성.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이 ASM의 안정성, 활성 및 표적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의 표적화를 평가하기 위한 문헌[Gamacho et al., 2008, J. Pharmacol. Exp. Ther. 325: 400-408](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기술들이 사용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ASM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He et al., 1999,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432: 251-264] 또는 문헌[Dhami et al., 2001, Lab. Invest. 81: 987-999]에 기재된 기술들이 사용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ASM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에 기재된 기술들이 사용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ASM은 비변형된 인간 ASM(예컨대, ASM-1)에 비해 증가된 효소 활성을 갖는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예컨대, 야생형 재조합 인간 ASM(예컨대, ASM-1)보다 높은 활성을 갖는 효소 활성의 재조합 인간 ASM의 돌연변이 형태에 대해서는, 문헌[Qiu et al., 2003, J. Biol. Chem. 278(35): 32744-32752] 및 미국 특허 제7,527,956호를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은 아연 양이온들의 첨가로 인해 비변형된 인간 ASM(예컨대, ASM-1)보다 증가된 효소 활성을 갖는다. 예컨대, ASM 활성에서 아연의 역할과 관련된 논의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Schissel et al., 1998, J. Biol. Chem 273: 18250-18259]을 참고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ASM은 비변형된 인간 ASM(예컨대, ASM-1)에 비해 인간 ASM의 자연 수용체에 대한 증가된 친화도를 갖는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예컨대, 만노스 6-포스페이트 또는 고 만노스)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ASM은 미국 특허 제7,001,994호 및 국제공개 제WO2010/075010호 및 미국 특허공개 제2010/0173385호(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올리고사카라이드에 공액결합되어서 효소를 그의 자연 수용체에 표적화하는 것을 증가시킨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ASM은 ASM을 위한 자연 수용체보다는 대안적 수용체(예컨대, 폐와 같은 기관에 대한 표적화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세포간 접착 분자(ICAM)-1)에 결합하는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본 양태에서, 상기 ASM은 비변형된 인간 ASM(예컨대, ASM-1)에 비해 증가된 안정성을 갖는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은 표적화 잔기, 예컨대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IGF)-I, IGF-II, 렙틴,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CSF), 또는 인간 인슐린 수용체(HIR)에 결합하는 인간화된 항체(humanized antibody)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공액결합 또는 융합된다. 예컨대, 리소좀 저장 효소들을 위한 표적화 잔기로서의 IGF-I의 용도의 논의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공개 제2009/0029467호 및 미국 특허 제7,560,424호를 참고하고, 리소좀 저장 효소들을 위한 표적화 잔기로서의 IGF-II의 용도의 논의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7,396,811호를 참고한다. 상기 표적화 잔기 IGF-I 및 IGF-II는 상기 ASM 효소를 상기 리소좀에 표적화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표적화 잔기로서의 호르몬, 예컨대 G-CSF 및 렙틴의 용도에 대한 논의는,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국제공개 제WO2007/091250호 및 미국 특허공개 제2010/0183577호를 참고한다. 예컨대, 효소와 같은 약제에 연결된 인간 인슐린 수용체(HIR)를 결합시키는 인간화된 단일클론 항체의 논의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공개 제2004/0101904호를 참고한다. HIR에 결합하는 표적화 잔기 G-CSF, 렙틴 및 항체는 뇌에 대한 ASM 효소의 표적화를 촉진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은 비변형된 ASM(예컨대, 비변형된 인간 ASM, 예컨대 ASM-1)에 비해 활성이 감소된 ASM의 변형된 형태(예컨대,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은 비변형된 ASM(예컨대, 비변형된 인간 ASM, 예컨대 ASM-1)에 비해 병리 부위에 대한 표적화가 증가되고 효소 활성이 감소된 ASM의 변형된 형태(예컨대, 인간 ASM의 변형된 형태)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은 ASM의 고도로 포스포릴화된 형태이다. 예컨대, 리소좀 효소의 고도로 포스포릴화된 형태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술들의 논의에 대해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공개 제2002/0150981호를 참고한다.
상기 ASM 효소는 재조합 DNA 방법, cDNA 클로닝(예컨대, 인간 ASM의 cDNA 클론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Schuchman et al., 1991, J. Biol. Chem 266: 8531-8539] 및 미국 특허 제5,773,278호 참조), 게놈 클로닝, 유전자 활성화(예컨대, 유전자 활성화 기술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641,670호 참조), 또는 높은 수준의 ASM 효소를 생성시키는 선택된 세포주(예컨대, 포유동물, 효모, 원핵, 곤충 세포(예컨대, Sf9, Sf21, 트리코플러시아 나이(Trichoplusia ni),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 및 봄빅스 모리(Bombyx mori) 및 식물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SM뿐만 아니라 ASM의 제조 방법이, 예컨대 미국 특허 제5,773,278호, 제6,541,218호, 제5,686,240호 및 제7,527,95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ASM은 재조합 방식으로 제조된 ASM(예컨대, 재조합 방식으로 제조된 인간 ASM)이다. 적절한 가공, 즉 시그널 분할, 글리코실화, 포스포릴화 및 단백질 분류를 위한 세포 기구 및 요소들을 갖는 세포 발현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적절하게 폴딩되고 가공된 생물학적 활성 효소의 발현을 위한 포유동물 세포 발현 시스템이 바람직하며, 인간에게 투여되는 경우, 이러한 발현 생성물은 적절한 조직 표적화를 나타내고 부정적인 면역 반응은 나타내지 않는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ASM(예컨대, 인간 ASM)은 포유동물 세포에서 ASM cDNA의 과발현에 의해 생성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인간 ASM은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서 인간 ASM cDNA의 과발현에 의해 생성된다. 예컨대, 문헌[He et al., 1999, Biochimia et Biophsyica Acta 1432: 251-264] 및 미국 특허 제6,541,218호(CHO 세포에서 인간 ASM cDNA의 과발현 방법에 대해 참고하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됨)를 참고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인간 ASM은 알파-2,6-시알리트랜스퍼라제를 동시 발현시키는 CHO 세포에서 인간 ASM cDNA의 과발현에 의해 생성된다.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알파-2,6-시알리트랜스퍼라제를 발현시키도록 엔지니어링된 CHO 세포를 기재하는 미국 특허 제5,047,335호를 참고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포유동물 세포는 인간 세포이다. ASM(예컨대, 인간 ASM)을 재조합 발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인간 세포의 예로는 크루셀(Crucell) Per.C6 세포, HT 1080 세포, HeLa 세포, HEK 293 세포, 293T 세포, WI38 세포, HuT292 세포, LF 1043(HEL) 세포, MRC-5 세포, TMK-1 세포, BT483 세포, Hs578T 세포, HTB2 세포, HTB3 세포, HTB4 세포, BT 20 세포, T47D 세포, CRL7O3O 세포, HsS78Bst 세포, 721 세포, A2780 세포, A172 세포, A253 세포, COR-L23/R23 세포, COV-434 세포, DU145 세포, DuCaP 세포, EM2 세포, Saos-2 세포, U373 세포, WM39 세포, L132 세포, A-5489 세포, G-293 세포, G-401 세포, CAKI-1 세포, RD 세포 및 YAR 세포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ASM을 발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인간 세포의 다른 예로는 유럽 분자생물학 실험실(European Molecular Biology Laboratory)의 면역 다형체 데이터베이스(Immuno Polymorphism Database), 및 미국 보건국(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및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형태, 예컨대 미국 버지니아주 매나사스 소재의 미국 미생물 보존센터(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및 미국 메릴랜드주 워커스빌 소재의 라이프라인 셀 테크놀로지(Lifeline Cell Technology)의 데이터베이스에 열거된 인간 세포주들이 포함된다. 생산을 위해 인간 세포주를 사용하는 경우, rhASM이 cDNA, hASM을 위한 gDNA를 사용하거나 유전자 활성화 기술에 의해,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641,670호에 기재된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SM(예컨대, 인간 ASM)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포유동물 세포의 예로는 Vero 세포, VERY 세포, BHK 세포, COS 세포, MDCK 세포 또는 3T3 세포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에서, 골수종 세포가 ASM(예컨대, 인간 ASM)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골수종 세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NS0 세포, 45.6 TG1.7 세포, AF-2 클론 9B5 세포, AF-2 클론 9B5 세포, J558L 세포, MOPC 315 세포, MPC-11 세포, NCI-H929 세포, NP 세포, NS0/1 세포, P3 NS1 Ag4 세포, P3/NS1/1-Ag4-1 세포, P3U1 세포, P3X63Ag8 세포, P3X63Ag8.653 세포, P3X63Ag8U.1 세포, RPMI 8226 세포, Sp20-Ag14 세포, U266B1 세포, X63AG8.653 세포, Y3.Ag.1.2.3 세포 및 YO 세포가 포함된다.
일부 양태에서, 식물 세포 배양 시스템이 ASM의 발현에 사용된다. 예컨대, 식물 세포 배양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백질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식물 세포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929,304호, 제7,504,560호, 제6,770,799호, 제6,551,820호, 제6,136,320호, 제6,034,298호, 제5,914,935호, 제5,612,487호 및 제5,484,719호, 미국 특허공개 제2009/0208477호, 제2009/0082548호, 제2009/0053762호, 제2008/0038232호, 제2007/0275014호 및 제2006/0204487호, 및 문헌[Shoji et al., 2008, Vaccine, 26(23):2930-2934] 및 문헌[D'Aoust et al., 2008, J. Plant Biotechnology, 6(9):930-940]을 참고한다. 특히, 미국 특허공개 제2009/0208477호, 제2008/0038232호 및 제2006/0204487호는 유전자이식 식물 뿌리, 특히 당근 세포를 사용하는 효소 활성이 있는 고 만노스 리소좀 효소들의 발현 및 제조를 기재하고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당근 세포들을 엔지니어링하여 ASM을 발현시킨다. 특정 양태에서, 조류(algae)(예컨대, 클라마이도모나스 레인하드티(Chlamydomonas reinhardtii)를 엔지니어링해서 ASM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예컨대, 문헌[Rasala et al., 2010, Plant Biotechnology Journal](2010년 3월 7일자로 온라인 공개됨;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됨) 참조).
ASM의 조직 및 세포 흡수는 고 만노스 잔기들(예컨대, 대식세포 내) 및 만노스-6-포스페이트(예컨대, 간 내) 모두에 의해 매개된다. 따라서, 약물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형된 글리칸 함량 및/또는 포스포릴화를 통한 ASM의 제조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SM은 돌연변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골지 프로세싱(Golgi processing) 만노시다제에 대한 돌연변이, 예컨대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단백질 또는 활성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만노시다제의 분산 또는 기타 번역후 변형, 예컨대 탄수화물 쇄의 프로세싱을 변형시킨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돌연변이는 골지 프로세싱 만노시다제 활성 수준을 감소시킨다. 상기 돌연변이는 클래스 1 프로세싱 만노시다제; 클래스 2 프로세싱 만노시다제, 클래스 1 프로세싱 만노시다제 및 클래스 2 프로세싱 만노시다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클래스 1 프로세싱 만노시다제에는, 골지 만노시다제 IA, 골지 만노시다제 IB, 골지 만노시다제 IC가 포함된다. 클래스 2 프로세싱 만노시다제에는 골지 만노시다제 II가 포함된다. 예컨대, 고 만노스 단백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국제공개 제WO02/15927호 및 미국 특허 제7,138,262호를 참고한다.
특정 양태에서, ASM을 발현시키는 세포들은 만노시다제 억제제, 예컨대 항체, 키푸넨신(kifunensine), 스와인소닌(swainsonine), 만노스타틴(mannostatin), 6-데옥시-1,4-다이데옥시-1,4-이미노-D-만니톨(6-데옥시-DIM), 또는 6-데옥시-6-플루오로-1,4-다이데옥시-1,4-이미노-D-만니톨(6-데옥시-6-플루오로-DIM)의 존재 하에서 배양된다. 이러한 억제제들의 존재 하의 ASM의 배양은 고 만노스 ASM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ASM을 발현시키는 세포들은 핵산 서열, 예컨대 안티센스 분자 또는 리보자임을 포함하며, 이는 세포 만노시다제 핵산 서열, 예컨대 mRNA에 결합하거나 이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고 만노스 단백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국제공개 제WO02/15927호 및 미국 특허 제7,138,262호를 참고한다.
특정 양태에서, 재조합 발현된 상기 ASM 효소의 탄수화물 쇄들은 다양한 효소, 예컨대 뉴라미니다제, 갈락토시다제 및 베타-N 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제로 연속적으로 처리해서 리모델링(remodeling)된다. 예컨대, 리소좀 효소의 탄수화물 쇄들을 리모델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549,892호를 참고한다.
만노스-6-포스페이트(M6P)에 의해 매개된 ASM의 흡수는 ASM의 변형에 의해 향상되어서 고도로 포스포릴화된 만노스 잔기들 및 M6P를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ASM은 상기 ASM에 추가의 만노스-6-포스페이트를 도입시키는 재조합 기술에 의해 변형되어서, 세포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Matsuoka et al., 2010 Mole. Ther. 18:1519-1526]을 참고한다. 다른 양태에서, ASM은 만노스 6-포스페이트(M6P)를 함유하는 고도로 포스포릴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유도체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7,001,994호, 미국 특허공개 제2010/0173385호 및 국제공개 제WO2010/075010호를 참고한다. 다른 접근으로는, 효모 배양 시스템을 추가의 고도로 포스포릴화된 만노스-6-포스페이트 잔기들을 함유하는 재조합 ASM의 발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Akeboshi et al., 2009 Glycobiology 19(9):1002-1009]을 참고한다.
일단 ASM이 생성되면, 이는 단백질의 단리 또는 정제를 위해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 예컨대 크로마토그래피(예컨대, 이온교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특히 ASM에 대한 친화도에 의해, 단백질 A에 의해, 및 사이징 칼럼(sizing column) 크로마토그래피), 원심분리, 차등 용해도, 또는 단백질의 단리 또는 정제를 위한 임의의 다른 표준 기술에 의해 단리 또는 정제될 수 있다. 상기 ASM 효소가 상기 배양된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경우, ASM가 배지로부터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 예컨대, ASM의 정제 방법에 대해서는, 문헌[He et al., 1999, Biochimia et Biophsyica Acta 1432: 251-264]을 참고한다.
상기 ASM 효소는 임의의 투여 경로(예컨대, 주입, 피하, 근육내, 경막내, 심실내, 비강내, 흡입 또는 진피내)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ASM 효소는 사용 전에, 예컨대 멸균 염수(예컨대, 0.9% 염화 나트륨) 또는 멸균수로 재구성되는 동결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ASM 효소는 수성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ASM은 아연이 포함된 제형으로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 효소는, 예컨대 주사기 펌프나 펌프가 구비된 주입 백을 사용하는 주입식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은 담체, 예컨대 리포솜 또는 다중양이온성(polycationic) 담체에서 피험자에 투여된다. 예컨대, ASM을 투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담체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716,614호를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ASM은 ICAM-1-표적 나노담체에서 피험자에 투여된다. 예컨대, ICAM-1-표적 나노담체를 사용하는 ASM 전달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Muro et al., 2006, Mol. Ther. 13(1): 135-141]을 참고한다.
환자 집단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서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갖는 인간이거나 상기 돌연변이를 갖는 것으로 진단받은 인간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니만-피크 질환(NPD)을 앓는 인간이거나 상기 NPD를 앓는 것으로 진단받은 인간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A형 NPD를 앓는 인간이거나 상기 A형 NPD를 앓는 것으로 진단받은 인간이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B형 NPD를 앓는 인간이거나 상기 B형 NPD를 앓는 것으로 진단받은 인간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SMPD1 유전자에서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돌연변이는 미스센스 돌연변이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돌연변이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의 결실을 초래하는 결실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갖는다.
[표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예컨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유전자(SMPD1로 지정됨) 내의 돌연변이들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Simonaro et al., 2002, Am. J. Hum. Genet. 71: 1413-1419]을 참고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정상 인간 ASM, 예컨대 ASM-1의 활성의 2 내지 5%, 5 내지 10%, 5 내지 15%, 5 내지 20%, 5% 내지 30% 또는 20% 내지 30%로 ASM을 내인적으로 발현시킨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정상 인간 ASM, 예컨대 ASM-1의 활성의 30%, 25%, 20%, 15%, 10%, 5%, 4%, 3%, 2% 또는 1% 미만으로 ASM을 내인적으로 발현시킨다. 예컨대, ASM의 활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들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039,388호, 제4,082,781호, 제5,686,240호 및 제7,563,591호, 및 국제공개 제WO2007/078806호 및 제WO2006/058385호를 참고한다. 구체적 양태에서, 문헌[He et al., 2003, Analytical Biochemistry 314: 116-120](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기재된 형광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이 ASM의 활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NPD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나타낸다. NPD의 증상들로는 팽창된 배, 간비대, 비장비대, 간비장비대, 호중성백혈구감소증, 폐 질환, 림프절병, 조직화학적 특성의 NPD 거품 세포의 존재, 빈혈(예컨대, 소적혈구 빈혈), 저혈소판증, 재발성 구토, 만성 변비, 성장 부전(예컨대, 감소된 라이너(liner) 성장 및 체중), 사춘기 지연, 재발성 타박상, 재발성 출혈, 죽종형성 지질 프로파일(고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리드, LDL, 및 저 HDL), 통증(두통, 등, 사지, 배), 피로, 조기 포만, 낮은 지구력, 골감소증, 신경계 증상들 및 호흡 곤란(예컨대, 사이질폐 질환, 숨참)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NPD의 신경계 증상으로는 선홍색 반점, 근육긴장저하, 근무력, 정신운동 지연, 경직, 사회적 무반응(social unresponsiveness), 과민성 및 발작이 포함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비신경병성 NPD와 일치하는 2개 이상의 임상적 특징들을 나타내는 인간 피험자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에 대해 치료된 피험자는 비신경병성 NPD, 즉, 저혈소판증, 빈혈, 호중성백혈구감소증, 간비대, 비장비대 및 폐 질환과 일치하는 2개 이상의 임상적 특징들을 나타내는 인간 피험자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신경병성 NPD와 일치하는 2개 이상의 임상적 특징들을 나타내는 인간 피험자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건강한 인간의 비장 용적보다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배 많은 비장 용적을 갖는 인간이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자기공명영상(MRI)에 의해 평가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건강한 인간의 비장 용적보다 8배 많은 비장 용적을 갖는 인간이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건강한 인간의 비장 용적보다 8 내지 12배, 9 내지 12배, 10 내지 12배, 또는 12 내지 14배 많은 비장 용적을 갖는 인간이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정상보다 ≥ 8의 배수(MN)(즉, 체중의 1.6%)의 비장 용적을 갖는 인간이며, 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 예컨대 MRI에 의해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건강한 인간의 예측된 확산능(DLCO)의 20% 내지 80%, 25% 내지 80%, 30% 내지 80%, 40% 내지 80%, 50% 내지 80% 또는 60% 내지 80%의 DLCO를 갖는 인간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건강한 인간의 예측된 DLCO의 20% 내지 90%, 25% 내지 90%, 30% 내지 90%, 40% 내지 90%, 50% 내지 90%, 60% 내지 90% 또는 70% 내지 90%의 DLCO를 갖는 인간이다. DLCO는 폐포모세혈관막을 가로지르는 확산-제한 기체(예컨대, 일산화탄소)의 분당 확산 속도이다. DLCO는 흡입된 일산화탄소의 공지된 양에 따라 내쉰 일산화탄소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이 DLCO를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인간 유아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생후 2 내지 3개월, 생후 2 내지 6개월, 생후 3 내지 6개월, 생후 4 내지 6개월, 생후 5 내지 8개월, 또는 생후 6 내지 9개월의 인간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인간 소아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1 내지 3세, 2 내지 3세, 3 내지 5세, 4 내지 5세, 5 내지 7세, 또는 6 내지 9세의 인간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인간 성인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노인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10 내지 18세, 10 내지 20세, 12 내지 20세, 15 내지 20세, 20 내지 25세, 21 내지 25세, 21 내지 30세, 25 내지 30세, 30 내지 35세, 35 내지 40세, 40 내지 45세, 45 내지 50세, 50 내지 55세, 55 내지 60세, 60 내지 65세, 65 내지 70세, 70 내지 75세, 75 내지 80세, 80 내지 85세, 85 내지 90세, 90 내지 95세 또는 95 내지 100세의 인간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인간 여성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인간 남성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임신하지 않거나 모유수유하지 않는 여성 인간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임신하거나, 임신 예정이거나, 모유수유하는 여성 인간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주요 기관 이식(예컨대, 간 또는 골수 이식)을 하지 않은 인간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주요 기관 이식(예컨대, 간 또는 골수 이식)을 한 인간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전체 또는 부분적 비장절제를 하지 않은 인간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전체 또는 부분적 비장절제를 한 인간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앓지 않았거나 그러한 진단을 받지 않았던 인간이다: 활동성 간염 B, 활동성 간염 C,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경화증, 또는 유의적 심장 질환(예컨대, 중등 또는 중증의 폐동맥 고혈압 또는 판막 기능이상, 또는 심장초음파검사에 의한 50% 미만, 40% 미만, 30% 미만 또는 20% 미만의 좌심실 박출 분율).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앓거나 그러한 진단을 받았던 인간이다: 활동성 간염 B, 활동성 간염 C,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경화증, 또는 유의적 심장 질환(예컨대, 중등 또는 중증의 폐동맥 고혈압 또는 판막 기능이상, 또는 심장초음파검사에 의한 50% 미만, 40% 미만, 30% 미만 또는 20% 미만의 좌심실 박출 분율).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갖지 않은 인간이다: 1.25, 1.5, 1.75 또는 2 초과의 국제 정상화 비율(INR), ㎕당 60 x 103개 미만의 혈소판 개수, 250 IU/L 초과의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250 IU/L 초과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또는 1.5 mg/dL, 1.75 mg/dL 또는 2 mg/dL 초과의 총 빌리루빈.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인간이다: 1.25, 1.5, 1.75 또는 2 초과의 국제 정상화 비율(INR), ㎕당 60 x 103개 미만의 혈소판 개수, 250 IU/L 초과의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250 IU/L 초과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또는 1.5 mg/dL, 1.75 mg/dL 또는 2 mg/dL 초과의 총 빌리루빈.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 약제들 중 하나 이상을 복용하지 않은 인간이다: 클로르프로마진, 이미프라민 또는 데시프라민.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 약제들 중 하나 이상을 복용하는 인간이다: 클로르프로마진, 이미프라민 또는 데시프라민.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출혈을 초래 또는 연장시킬 수 있거나(예컨대, 항응고제,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마늘 보충제, 은행 및 인삼), 잠재적 간독성을 가질 수 있는(예컨대, 3-하이드록시-3-메틸 글루타릴[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들, 에리트로마이신, 발프로산, 항우울제, 카바(kava) 및 에키네시아(echinaecea)) 허브 보충제 또는 약제를 복용하지 않는 인간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 허브 보충제 또는 약제들 중 하나 이상을 복용하는 인간이다: 항응고제,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마늘 보충제, 은행, 인삼, 3-하이드록시-3-메틸 글루타릴[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들, 에리트로마이신, 발프로산, 항우울제, 카바 및 에키네시아.
구체적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방법들에 따라 ASMD 치료를 받은 피험자는 하기 실시예 1, 3 및 4에서 피험자에 대한 기준들 중 하나, 둘 또는 그 이상, 또는 이들 모두를 충족하는 인간이다.
치료 모니터링
본원에 제공된 방법에 따라, 다수의 매개변수들(예컨대, 인자 또는 마커)을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신체 검사는 ASM의 투여 전 그리고 ASM을 사용하는 치료 도중 필요 또는 권고에 따라 실시된다. 신체 검사는 하기 평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인 외관, 피부, 머리, 귀, 눈, 코 및 목구멍(HEENT), 림프절, 심장, 폐, 배, 팔다리/관절, 신경계, 정신 상태 및 반사작용. 임의의 양태에서, 활력 징후, 연속적 심박수, 호흡수, 온도 및 산소 포화도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평가될 수 있다. 심박수는, 예컨대 ASM의 투여량 투여 6시간 전에 시작하여 ASM의 투여량 투여 72시간 후까지 원격측정에 의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구체적 양태에서, 전혈구 수 및 감별 혈구수, 혈액요소질소(BUN), 중탄산염, 크레아티닌, 글루코스, 요산, 칼슘, 포스페이트, 알부민, 총 단백질, 나트륨, 칼륨, 염화물, 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크레아틴 키나제, MB 분획물을 갖는 크레아틴 키나제, 및 요검사(이를 테면, 뇨 색깔, 외관, 비중, pH, 단백질, 글루코스, 케톤, 빌리루빈, 헤모글로빈, 및 해당되는 경우 현미경)를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특정된 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간 검사, 응집 연구 및/또는 공복 지질 프로파일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실시될 수 있다. 간 기능 검사들은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T), 알칼리 포스파타제(AP), 감마-글루타밀 트랜스퍼라제(GGT) 및 총 및 직접적 빌리루빈의 농도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응집 연구들은 프로트롬빈 시간(PT),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PTT), 국제 정상화 비율(INR), D-이량체 농도 및 피브리노겐 농도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공복 지질 프로파일 평가는 총 콜레스테롤(TC),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극저밀도 지질단백질(VLDL) 및 트라이글리세리드의 평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피부 생검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실시된다. 일부 양태에서, 간 생검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실시된다. 피부 및 간 생검에서의 스핑고미엘린 수준은 변형 조직학적 분석(metamorph histological analysis)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폐 기능 검사들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실시된다. 폐 기능검사 장비 눈금조정 및 검사시행 프로토콜은 미국 흉부 학회(ATS) 안내지침(ATS, 문헌[1991, Am Rev Respir Dis 144: 1202-1218])에 따라 표준화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예측된 강제 폐활량(FVC) 백분율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 후 평가된다. FVC는 강제 조작 동안 소멸된 공기의 총 부피이다. 상기 FVC는 표준 폐활량 기술들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1초 간의 강제 호기량(FEV1)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 후 실시될 수 있다. FEV1은 FVC의 최초 1초 동안 방출된 공기의 부피이다. 상기 FEV1은 표준 폐활량 기술들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총 폐용량(TLC)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 후 평가될 수 있다. TLC는 최대 들숨 노력에 따른 폐 내 공기의 총 부피이다. 상기 TLC는 전체 신체 체적변동기록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DLCO는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 후 평가될 수 있다. DLCO는 폐포모세혈관막을 가로지르는 확산-제한 기체(예컨대, 일산화탄소)의 분당 확산 속도이다. DLCO는 흡입된 일산화탄소(CO)의 공지된 양에 따라 내쉰 일산화탄소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폐포모세혈관막을 가로질러 확산하지 않는 헬륨은, 공기 포획을 조절하기 위해 흡입된 CO를 사용하는 추적자로서,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흉부 X-선(전후 및 측방향)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얻을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복부 MRI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얻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혈액 검체는 바이오마커, 빌리루빈 농도, 및 총 백혈구 세포의 중성구 백분율을 평가하기 위해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채취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하기 바이오마커의 농도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CRP/hs-CRP 농도, 스핑고미엘린 농도, 철 농도, 페리틴 농도, 칼시토닌 농도, 알부민 농도, SAA, 혈청 아밀로이드 P 성분, ACE, CCL18, 키토트리오시다제, 트랜스페린, 피브리노겐 농도, 및 혈장 스핑고미엘린 농도,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하기 사이토카인의 농도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IL-6 및 IL-8.
특정 양태에서, ASM에 대항하는 항체(예컨대, 항-재조합 인간 ASM IgG 및/또는 항-재조합 인간 ASM IgE)의 농도는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평가된다. 일부 양태에서,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보체 인자들의 농도는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혈청 트립타제의 농도는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에 대한 IgE-매개 반응들을 측정하는 피부 검사는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ASM에 관한 약동학적 프로파일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측정된다. 일부 양태에서, BAL 세포 개수는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측정된다.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분석될 수 있는 다른 매개변수에 관한 하기 실시예 3을 참조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자 또는 마커는 ASM의 투여량 투여 1주, 72시간, 48시간, 24시간, 12시간, 6시간, 4시간, 2시간, 1시간, 30분 또는 15분 전 평가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자 또는 마커는 ASM의 투여량 투여 도중 평가된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인자 또는 마커는 ASM의 투여량 투여 도중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자 또는 마커는 ASM의 투여량 투여 15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72시간, 4일, 5일, 6일, 1주, 2주, 3주, 4주, 1개월, 2개월, 3개월 또는 그 이상 후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인자 또는 마커는 ASM의 특정 투여 횟수 후 수시간 또는 수주 후 평가된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인자 또는 마커는 ASM의 특정 투여 횟수 후 매 4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또는 6개월 후 분석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인자 또는 마커는 매 4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또는 12개월마다 평가된다. 일부 양태에서, 인자 또는 마커는 매 1 내지 2개월, 매 1 내지 4개월, 매 2 내지 4개월, 매 2 내지 4개월, 매 3 내지 4개월, 매 2 내지 5개월, 매 3 내지 5개월, 매 4 내지 5개월, 매 2 내지 6개월, 매 3 내지 6개월, 매 4 내지 6개월, 또는 매 5 내지 6개월마다 평가된다. 특정 양태에서, 인자 또는 마커는 매 6 내지 8개월, 매 6 내지 12개월, 매 8 내지 12개월, 매 9 내지 12개월, 또는 매 10 내지 12개월마다 평가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인자들 또는 마커들은 ASM의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평가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인자들 또는 마커들의 분석 결과는 ASM의 투여량이 조정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생물학적 검체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에 따라, 생물학적 검체는 세포 집단, 인자 또는 마커(예컨대, 바이오마커)의 검출 및/또는 측정 전에 하나 이상의 전처리 단계들을 거친다. 특정 양태에서, 생물학적 체액은 원심분리, 여과, 침전, 투석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전처리되거나, 이러한 전처리 단계들의 조합에 의해 전처리된다. 다른 양태에서, 조직 검체는 동결, 화학적 고정, 파라핀 함침, 탈수, 투과(permabilization) 또는 균질화에 의해 전처리된 후, 원심분리, 여과, 침전, 투석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전처리되거나, 이러한 전처리 단계들의 조합에 의해 전처리된다. 특정 양태에서, 검체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에 따라 검체 내의 특정 세포 유형의 개수 또는 양을 측정하기 전에, 검체로부터 특정 유형의 세포들을 제거하거나, 검체로부터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전처리된다.
상기 생물학적 검체는 조직 검체, 생물학적 체액, 분비물, 또는 인간 피험자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검체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검체는 혈액 검체 또는 골수 검체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검체는 조직 검체(예컨대, 간, 피부 또는 폐 생검)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검체는 생물학적 체액, 예컨대 뇨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검체는 가래 또는 코 분비물 검체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검체는 구강 면봉채취물(mouth swab)이다.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은 생물학적 검체 내에 존재하는 특정 유형의 세포의 존재, 개수, 양 또는 백분율을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들은 형광활성화 세포 분류기(FACS)를 사용하여 분류될 수 있다. 형광활성화 세포 분류기(FACS)는 세포를 포함하는 입자들의 형광 특성들을 기초하여 상기 입자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공지된 방법이다. 예컨대, 문헌[Kamarch, 1987, Methods Enzymol 151:150-165]을 참고한다. 개별 입자들 내의 형광성 잔기들의 레이저 여기(laser excitation)는 작은 전기 전하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혼합물로부터 양성 및 음성 입자들의 전자기적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정 세포들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결정인자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 항체 또는 리간드는 형광색소, 예컨대 FITC 또는 피코에리트린으로 표지화된다. 세포들은 형광 표지화된 항체 또는 리간드를 세포에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표지화된 항체 또는 리간드로 항온처리된다. 세포들은 세포 분류기를 통해 가공되며, 이로 인해 다른 세포로부터 해당 세포가 분리될 수 있다. FACS 분류된 입자들은 미세적정 판들의 개별 웰 내에 직접적으로 침작되어서 분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자성 비드들이 또한 세포를 분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들은, 자성 비드들(0.5 내지 100 ㎛ 직경)을 결합시키는 이들의 능력을 기초로 하여 입자들을 분리시키는 방법인, 자기 활성화된 세포 분류(MACS) 기술을 사용하여 분류될 수 있다. 다양한 유용한 변형, 예컨대 세포-고체 상 표면 분자 또는 합텐(hapten)을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항체의 공유결합 첨가가 자성 미세구체 상에서 실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자기장이 적용되어서 선택된 비드들을 물리적으로 조작한다. 구체적 양태에서, 혈액 세포 표면 마커에 대한 항체들은 자성 비드들에 커플링된다. 그런 다음, 상기 비드들은 혈액 세포 배양액과 혼합되어 결합된다. 그 다음, 세포는 자기장을 통과하여서 해당 혈액 세포 표면 마커들을 갖는 세포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이들 세포들은 단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배양액 접시의 표면은 항체들로 코팅될 수 있으며, 패닝(panning)이라고 지칭되는 방법에 의해 세포들을 분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별 접시는 특정 세포들에 특이적인 항체로 코팅될 수 있다. 세포는 우선 해당 혈액 세포 특이적 항체로 코팅된 접시에 첨가될 수 있다. 철저하게 헹군 후, 접시에 결합되어 있는 세포들은 해당 세포 마커들을 발현시키는 세포일 것이다. 세포 표면 항원 결정인자 또는 마커의 예로는, T 림프구들 및 자연 킬러 세포에 대한 CD2, T 림프구들에 대한 CD3, 백혈구들에 대한 CD11a, T 림프구들에 대한 CD28, B 림프구들에 대한 CD19, B 림프구들에 대한 CD20, B 림프구들에 대한 CD21, B 림프구들에 대한 CD22, B 림프구들에 대한 CD23, 백혈구들에 대한 CD29, 단핵구에 대한 CD14, 혈소판에 대한 CD41, 혈소판에 대한 CD61, 과립구에 대한 CD66, 과립구에 대한 CD67, 및 단핵구 및 대식세포에 대한 CD68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마커(예컨대, 바이오마커) 또는 인자의 존재, 농도 또는 양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마커(예컨대, 바이오마커) 또는 인자의 존재, 농도 또는 양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단백질 수준 및/또는 RNA 수준에서 측정될 수 있다. 단백질 수준에서, 면역검정, 예컨대 ELISA 및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및 웨스턴 블로팅이 마커(예컨대, 바이오마커) 또는 인자의 존재, 농도 또는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FACS가 마커(예컨대, 바이오마커) 또는 인자의 존재, 농도 또는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RNA 수준에서, RT-PCR 및 노던 블로팅이 마커(예컨대, 바이오마커) 또는 인자의 존재, 농도 또는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병용 요법(CO-THERAPY)
일부 양태에서, ASMD의 치료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과 병용하는 ASM의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병용하는"은, ASM의 투여와 관련하여, ASMD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예컨대, 약품)의 투여 전후 또는 동시에 ASM 투여량의 투여를 지칭한다. 용어 "병용하는"의 사용은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이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의 투여량 투여와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의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약 1 내지 5분, 1 내지 30분, 30분 내지 60분, 1시간, 1 내지 2시간, 2 내지 6시간, 2 내지 12시간, 12 내지 24시간, 1 내지 2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15주, 20주, 26주, 52주, 11 내지 15주, 15 내지 20주, 20 내지 30주, 30 내지 40주, 40 내지 50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12개월, 1년, 2년,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기간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투여량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1일, 1주, 2주, 3주, 4주,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1년, 2년 또는 5년 미만의 간격으로 투여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병용 요법은 매 2 내지 4주마다 ASM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을 1주 1회, 매 2주 1회, 매 3주 1회, 매 4주 1회, 매 1개월 1회, 매 2개월(예컨대, 약 8주) 1회, 매 3개월(예컨대, 약 12주) 1회 또는 매 4개월(예컨대, 약 16주) 1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피험자에게 주기적으로 투여된다. 주기 요법은 일정 기간 동안 ASM의 투여 후, 일정 기간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의 투여, 및 이 연속적인 투여를 반복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주기 요법은 또한 ASM 또는 추가 요법이 일정 기간(예컨대,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1주, 2주, 3주, 4주, 5주, 10주, 20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12개월, 2년 또는 3년) 동안 투여되지 않는 휴지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투여되는 주기의 횟수는 1 내지 12회, 2 내지 10회, 또는 2 내지 8회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을 추가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하기 전 일정 기간 동안 단일 제제로서 ASM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ASMD의 치료 방법들은 ASM을 추가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하기 전 일정 기간 동안 추가 요법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시된 방법들에 따른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의 투여는 ASM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의 단독 투여에 비해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본원에 제시된 방법들에 따른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의 투여는 ASM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의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 효과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승효과"는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예컨대, 제제들)과 병용되는 투여량 ASM의 투여의 효과를 지칭하며, 이때 병용은 임의의 2개 이상의 단일 요법들(예컨대, 제제들)의 부가적 효과들보다 더욱 효과적이다. 특정 양태에서, 병용 요법의 상승 효과는 ASM 또는 추가 요법의 더 낮은 투여량(예컨대, 최적 투여량 미만의 투여량)의 사용 및/또는 피험자에 대한 ASM 또는 추가 요법의 덜 빈번한 투여를 허용한다. 특정 양태에서, ASM 또는 추가 요법을 더 낮은 투여량으로 이용하고/하거나 ASM 또는 상기 추가 요법을 덜 빈번하게 투여하는 능력은, ASMD의 치료에서 ASM 또는 상기 추가 요법의 각 효능의 감소없이 피험자에 대한 ASM 또는 상기 추가 요법 각각의 투여와 연관된 독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양태에서, 상승 효과는 ASMD의 치료시 ASM 및 상기 추가 요법들 각각의 효능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일부 양태에서, ASM과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의 병용의 상승 효과는 임의의 단일 요법의 사용과 연관된 부정적 또는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방지 또는 감소시킨다.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ASM과 병용되어 피험자에게 투여되어서 ASM의 특정 투여량의 투여와 연관될 수 있는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감소 또는 완화시킨다: (i) 관련 이상 반응들, (ii) ASMD 없는 인간(예컨대, 건강한 인간)에 대한 빌리루빈 값보다 높은 총 빌리루빈 값, (iii) ASMD 없는 인간(예컨대, 건강한 인간)에 대한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보다 높은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iv) 급성 반응. 구체적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ASM과 병용되어 피험자에게 투여되어서 ASM의 특정 투여량의 투여와 연관될 수 있는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최소화시키면서 폐 기능을 증가시킨다: (i) 관련 이상 반응들, (ii) ASMD 없는 인간(예컨대, 건강한 인간)에 대한 빌리루빈 값보다 높은 총 빌리루빈 값, (iii) ASMD 없는 인간(예컨대, 건강한 인간)에 대한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보다 높은 혈장 세라마이드 농도, 또는 (iv) 급성 반응.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ASM과 병용되어 피험자에게 투여되어서 ASMD와 연관된 증상을 제어하거나 완화시킨다. 일부 양태에서, ASM과 병용하여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통증 완화제이다. ASM과 병용하여 투여되는 요법들의 특정 예로는 N-아세틸-L-시스테인(NAC), S-아데노실-L-메티오닌(SAM), 인터류킨(IL)-6 항체, IL-6 수용체 항체, 덱사메타손, L-닐(Nil)(유발가능 NOS의 선택적 억제제), L-네임(NAME)(NOS의 선택적 억제제),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b-FGF), 이미프라민(스핑고미엘리나제 억제제), D609(스핑고미엘리나제 억제제) 및 N-올레오일에탄올아민(NOE, 세라마이드 억제제)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에서, 샤페론, 예컨대 작은 분자 샤페론은 ASM과 병용하여 투여된다. 예컨대, ASM과 병용하여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제제(예컨대, 작은 분자)에 대해서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7,750,050호 및 국제공개 제WO2004/045574호 및 제WO2010/015816호를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샤페론(예컨대, 작은 분자 샤페론)은 하기의 것들 중 하나, 둘 또는 모두에 해당한다: 병리 부위에 대한 ASM의 표적화를 증가시키고, ASM의 활성을 안정화시키고, ASM의 활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양태에서,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컨대 덱사메타손은 ASM과 병용하여 투여된다. 예컨대, ASM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는 제제들(예컨대,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7,658,916호를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기질 환원 분자는 ASM과 병용하여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구체적 양태에서, 스핑고미엘린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스핑고미엘린 합성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이들 둘 다인 분자(예컨대, 작은 분자)는 ASM과 병용하여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예컨대, 스핑고미엘린 합성효소 억제제들, 예컨대 트라이사이클로데칸-9-일-산토게네이트 및 스핑고미엘린 합성효소 siRNA에 대해서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문헌[Li et al., 2007, Biochim Biophys Act 1771(9):1186-1194]을 참고한다.
일부 양태에서, ASM의 잠재적 면역원성을 감소시키는 요법은 ASM과 병용하여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양태에서, 베네드릴은 ASM과 병용하여 피험자에게 투여된다.
ASM과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의 병용은 동일한 약학 조성물로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르게는,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별도의 약학 조성물로 피험자에게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별도의 약학 조성물로 피험자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ASM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요법들은 또한 동일한 또는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제품
하나의 측면에서, 최종 포장되고 라벨링된 약학 제품들이 본원에 기재되고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약학 제품은 적절한 용기 또는 콘테이너(예컨대, 유리 바이알 또는 용봉되는 다른 콘테이터) 내의 ASM의 단위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단위 투여 형태는 ASM의 동결건조된 형태이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상기 약학 제품은 ASM의 동결건조된 형태를 재구성하기 위한 멸균 염수 또는 멸균수가 들어 있는 제2 콘테이너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단위 투여 형태는 피험자에게 투여되기 전 재구성이 필요없는 ASM의 수성 형태이다. 구체적 양태에서, ASM의 상기 단위 투여 형태는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효소를 피험자에게 투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ASM을 함유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단위 투여 형태는 피험자에 대한 ASM의 선택된 투여 경로에 적합하다. 구체적 양태에서, 상기 단위 투여 형태는 피험자에 대한 정맥내 전달에 적합하다.
하나의 양태에서, 약학 제품은 피험자에 대한 ASM의 투여를 위해 적절한 용기 또는 콘테이너(예컨대, 유리 바이알 또는 용봉되는 다른 콘테이너) 및 주입 펌프 또는 주사기 펌프 내의 ASM의 단위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임의의 약학 제품과 관련하여, 포장 물질 및 콘테이너는 보관 및 선적 기간 동안 제품의 안정성을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약학 제품은 ASMD를 적절하게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의사, 기술자 또는 환자에게 권고하는 사용 지침서 또는 기타 정보 자료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약학 제품은 실제 투여량(예컨대, 투여량 단계적 증가 프로토콜), 모니터링 절차들 및 기타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은 투여 용법을 표시 또는 제안하는 지시 수단들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약학 제품은 환자의 유전자형 검사 수단(예컨대, SMPD1 유전자를 위한 PCR 프라이머)을 포함한다.
실시예 1: ASM이 결핍된 인간 성인에서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rhASM) 효소 대체 요법의 인간 시험
도입
ASMD는 스핑고미엘린이 정상적으로 세라마이드 및 포스포릴콜린으로 이화반응될 수 없는 경우 생성되는 상염색체 열성 리소좀 저장 장애이다. 결과적으로, 스핑고미엘린은 망상내피 시스템으로 주로 이루어진 세포들 내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간비장비대, 빈혈, 저혈소판증 및 사이질 폐 질환이 초래된다. 성장 지연 및 죽종형성 지질 프로파일이 또한 통상적으로 발견된다. 잔여 ASM 활성이 적거나 전혀 없는 환자들은 유아기에 시작되는 가장 중증의 증상들, 성장 장애, 신경변성을 보이며 3세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A형 니만-피크 질환, A형 NPD). 더 높은 양의 잔여 ASM 활성을 갖는 환자들에게서는 다양한 연령에서 발병이 시작되며, 발생 근원이 각기 다르고 신체적 증상을 갖거나, 신경학적 병발이 적거나 전혀 없으며, 일반적으로 성인까지 생존한다(NPD B). 현재, ASMD를 앓는 환자들에 대한 치료 방법이 전혀 없다.
효소 대체 요법(ERT)은 일부 리소좀 저장 장애, 예컨대 고셔병(Gaucher disease), I, II 및 VI형 점액다당류증, 파브리병(Fabry disease) 및 폼페병(Pompe disease)을 치료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재조합 인간 리소좀 효소들은 정맥내 투여되며, 리소좀에 대한 연속적인 표적화를 위해 수용체-매개된 세포내이입에 의해 세포들 내에 흡수된다. ASMD의 치료를 위한 이론의 증거는 에드워드 슈흐만 박사(Dr. Edward Schuchman)의 실험실(마운트 시나이 메디컬 센터(Mount Sinai Medical Center))에 의해 ASM 녹아웃 마우스(ASMKO) 모델에서 입증되었으며, 이때 재조합 인간 ASM(rhASM)의 정맥내 주사가 간 및 비장 내의 스핑고미엘린 수준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며, 폐에서는 더 적게 감소되었다(문헌[Miranda et al., FASEB 2000;14:1988]). 그러나, 스핑고미엘린 수준들은 뇌에서 감소되지 않았는데, 이는 rhASM이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르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ASMKO 마우스가 잔여 ASM 활성 또는 단백질을 전혀 갖지 않고 신속하고 중증의 신경계 질환으로 발전되는 사실로 인해, 이 동물은 A형 NPD의 모델에 가장 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문헌[Buccinna et al., 2009, J. Neurochem. 109:105-115] 참조).
추가 연구들에서는 rhASM의 격주 투여가 투여량-의존적 방식(0.3 내지 3 mg/kg)으로 ASMKO 마우스 내의 스핑고미엘린 수준을 감소시켰음이 확인되었다. 단회 및 반복 투여에 대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은 수준(NOAEL)은 ASMKO 마우스에서 각각 0.3 및 3 mg/kg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rhASM의 보다 높은 투여량을 사용하여 폐 내의 스핑고미엘린 수준을 고갈시키려는 후속적인 시도들은 예기치 못한 독성을 유발시켰다. ≥ 10 mg/kg 투여량에서, 정상 동물이 아닌 ASMKO 마우스는 매우 상승된 사이토카인 수준 설정에서 간 염증, 부신 출혈, 심혈관 쇼크 및 사망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암시하는 것이다. rhASM의 높은 투여량에서 관찰되는 독성 및 사이토카인 상승은 rhASM의 더 낮은 투여량을 사용하는 ASMKO 마우스의 사전 치료에 의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었으며, 이는 스핑고미엘린 분해의 속도 및 양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A형 NPD를 위한 모델인 ASMKO 마우스에서, ≤ 0.3 mg/kg rhASM의 단회 투여량 및 ≤ 3.0 mg/kg rhASM의 반복 투여량에 따르면 독성이 관찰되지 않고, ≥ 10 mg/kg rhASM의 단회 투여량이 투여될 때까지 중증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0.03 mg/kg rhASM의 보수적 시작 투여량은 ASMKO 마우스에서 관찰된 단회 투여량 NOAEL(0.3 mg/kg)에 대해 10배 안정성이 확보하도록 인간 피험자의 단회 투여량 치료를 위해 선택되었다. 1.0 mg/kg rhASM의 최대 투여량은, 중증 독성이 ASMKO 마우스에서 관찰된 투여량(10 mg/kg)에 관한 10배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인간 피험자의 단회 투여량 치료를 위해 선택되었다. 하기에 규정된 프로토콜이 완성됨에 따라, 인간 피험자에서의 독성은 0.3 mg/kg rhASM 정도의 낮은 투여량에서 예기치 않게도 관찰되었다.
물질 및 방법
인간 프로토콜 설계
이 프로토콜은 단일 기관, 단회 투여량, 투여량 단계적 증가 제1상 임상시험이었다. 1차 시험 목적은 비신경병성 ASMD(니만-피크 B)를 앓는 인간 성인에게 rhASM의 단회 투여량들의 안전성 및 약동학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0.03, 0.1, 0.3, 0.6 및 1.0 mg/kg rhASM의 단회 투여량들이 투여량 코호트(dose cohort)에게 연속적으로 주입되었다. 원래의 시험 설계는 최소 15명의 환자를 필요로 하였다(각 3명의 환자들로 구성된 5개 코호트). 환자 등록의 어려움 때문에, 프로토콜은 처음 2개의 코호트가 각각 3명의 환자들을 등록하고 나머지 3개의 코호트가 각각 2명의 환자들을 등록하도록 정정하였다.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에서는 시험의 실행을 검토하고, 모든 프로토콜 절차들은 IRB에 의해 승인을 받았다. 도 1은 프로토콜 환자 흐름을 나타낸다.
환자들
프로토콜에 대한 자격을 위해, 환자들은 18 내지 65살이어야 하며, 불충분한 ASM 효소 활성, ≥ 2x 정상의 비장 용적, AST 및 ALT ≤ 250 IU/L, 빌리루빈 ≤3.6 mg/dL, INR ≤ 1.5, DLco > 30% 예측, 및 혈소판 ≥ 60,000/mL이어야 한다. 환자들은, 경화증(간 생검에 의함), 유의적 심장 질환, 전체 비장절제를 갖거나, 잠재적 간독성, 출혈이 촉진되거나 rhASM이 억제된 약제 또는 허브 보충제를 복용한 경우는 제외되었다.
총 13명의 환자들이 등록되고, 11명의 환자들에게는 rhASM이 주입되었다. rhASM은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에서 ASM cDNA의 과발현에 의해 제조되었다. 주입된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0.8살이며, 모두는 코카서스인(히스패닉/라틴계 사람은 제외)이며, 평균 비장 용적은 정상의 10.8배이었다. 한 사람은 부분 비장절제를 하였고, 나머지 환자들은 프로토콜 등록시 전혀 비장치료를 받지 않았다. 도 2는 이 프로토콜에서 환자들의 신상정보 및 기준선 특성들을 나타낸다.
일단 스크리닝이 완료되고 적격성이 확인되면, 환자들은 기준선 원격측정을 위해 밤새도록 심장환자 중환자실(CCU)에 입원시키고, 다음날 아침에 rhASM을 주입하였다. 환자들을 원격측정을 하면서 투여 후 72시간 동안 모니터링하였다(CCU에서 24시간 그리고 일반 임상연구 센터에서 48시간). 환자들은 14일째에 1박 방문으로 그리고 28일째에는 외래환자 방문으로 재방문하였다.
프로토콜 도중 실시된 의료 분석들은 다음과 같다:
- 신체 검사 - 제0, 1, 2, 14 및 28일
- 화학, 혈액 및 뇨검사 - 주입 전, 24, 48, 72시간, 14, 28일 후
- 간 기능 검사 - 주입 전, q12 내지 72시간, 14, 28일 후; 알도스테론, 코르티솔, 델타-4-안드로스테네디온- 주입 전, q12 내지 72시간 후
- ACTH 자극 검사 - 스크리닝, 14일 원격측정 - 72시간 연속 ECG; 심장초음파사진 - 주입 전, 주입 종료시 및 주입 후 1, 2, 6, 12 및 4시간, 14일
- 심장 바이오마커(BNP, 심장 트로포닌-I, CPK-MB) - 주입 전, 2, 6, 12, 24시간 후
- 혈장 중의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 수준 - 주입 전, 24, 48, 72시간, 14 및 28일 후
- 폐 기능 검사 및 CXR - 스크리닝, 14일
- MRI에 의한 간 및 비장 용적 - 스크리닝, 14일
- 간 및 피부 생검 - 스크리닝, 14일
- 바이오마커 - 투여 전, 14, 28일
- 항-rhASM IgG 검사 - 주입 전, 28일
- 약동학 - 주입 전 30분 내, 주입 시작 후 15분 후, 주입 종료시 및 주입 후 다음의 시간 지점: 15, 30, 45분, 1, 2, 3, 4, 6, 8, 12, 18, 24, 48, 72시간.
- 사이토카인(IL-1a, IL-1b, IL-6, G-CSF, GM-CSF, MIP-1a, TNF-a) - 약동학적 시간 지점(전술된 지점) + 14일
결과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 세라마이드 수준들 및 혈장 스핑고미엘린 수준들은 각각 몇몇 시간 지점들에서 측정하였다. 혈장 세라마이드 수준들에서는 6시간까지 투여량-의존적 상승을 나타내고, 18 내지 72시간에서 피크를 나타냈다. 혈장 스핑고미엘린 수준들은 기준선에서 정상이었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최고 투여량(1 mg/kg)을 투여받은 환자 번호 12112에서, 혈장 스핑고미엘린 수준은 투여 후에 증가하고, 72시간에서 피크를 나타냈다.
도 4는 프로토콜 도중 일부 시간 지점들에 걸쳐 측정된 총 빌리루빈 수준들을 나타낸다. 총 빌리루빈에서는 24시간까지 투여량-관련 상승을 나타내고, 48 내지 60시간에서 피크를 나타냈다. 최고 총 빌리루빈은 최고 투여량(1 mg/kg)을 투여받은 환자 번호 12112에서, 4.7 mg/dL이었다. 직접 및 간접 빌리루빈에서 비례적 증가가 존재하였다. ALT, AST 또는 알칼리 포스파타제에서는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최고 투여량(1 mg/kg, 환자 번호 12112) 및 최저 투여량(0.03 mg/kg, 환자 번호 10503)을 투여받은 2명의 환자에서 72시간(도시되지 않음)에 걸쳐 GGT에서 완만한 증가가 존재하였다.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용적률 수준들은 프로토콜 내내 안정적이었으며, 이는 용혈이 상승 빌리루빈 수준들의 원인이 아님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5g는, 일부 환자들에 대한 일부 시간 지점들에서 측정된, 급성 반응(염증) 마커들, CRP/hs-CRP, % 중성구, 피브리노겐, 페리틴, IL-8, IL-6 및 칼시토닌 각각의 수준들을 나타낸다. CRP/hs-CRP에서는 24시간까지 일시적 투여량-관련 상승을 나타내고, 48 내지 72시간에서 피크를 나타내고, 14일째 정상으로 되돌아갔다. 다른 급성 반응물들에서도 또한 증가(% 중성구들, 피브리노겐, 페리틴, PT 및 PTT) 및 감소(철, 알부민)를 나타냈다. 또한, 특정 염증성 바이오마커, 예컨대 사이토카인 IL-6 및 IL-8, 및 칼시토닌에서는, 투여량-의존적이고 주입 48시간 후 피크를 나타내는 실질적 상승을 나타냈다. 이들 염증 매개자 중에서, 내림 순으로 가장 큰 변화들은 IL 8(피크 33.8 x 정상의 상한선), 칼시토닌(피크 33.4 x 정상의 상한선), CRP(피크 9.8 x 정상의 상한선), 및 페리틴(3.9 x 정상의 상한선)에서 발생하였다. 혈소판 개수 또는 피브린-분할 생성물의 수준에서는 어떠한 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도시되지 않음). 실험실 급성 반응물들에서의 증가는 일부 환자에게서 발열, 메스꺼움, 구토, 두통, 통증 및 근육통의 신체적 임상 증상들과 상관되었다.
도 6은 rhASM의 상이한 투여량에 대한 4명의 환자들 각각에 대한 치료 후 발생 이상 반응의 차트이며, 상기 반응들은 치료와 관련된(관련 가능성이 있음, 관련 있음, 명백히 관련 있음) 것으로 간주되었다. 차트에 나타난 바와 같이, rhASM 0.3 mg/kg 투여량이 투여된 환자 번호 11509는 2일째 약간 중증의 이상 반응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프로토콜에서 보고된 관련 이상 반응들과 관련하여, 원격측정, ECG, 심장초음파사진, 또는 바이오마커(BNP, 심장 트로포닌-I, CPK-MB) 또는 부신 호르몬 기능상실에 의한 유의적 심혈관 변화들이 존재하지 않았다. 한 환자(번호 12112, 1.0 mg/kg 코호트)는 투여 24시간 후 아침에 상승된 코르티솔 수준을 나타냈으며, 이는 대개 일부 지속되는 중등의 관련 이상 반응들에 대한 정상적 생리학적 긴장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 0.3 mg/kg rhASM을 투여받은 6명 중 4명의 환자들은 약물 관련된 것으로 평가된 총 19개의 임상적 및 실험적 관련 이상 반응들을 경험하였다. 관련 이상 반응들의 중증도는 경증에서 중증의 상태까지였으며, 대부분은 중등의 상태로, 어떠한 간섭도 필요하지 않았다. 이들은 발열(n=2), 통증[근육통; 복부, 다리 및 엉덩이 통증](n=2), 메스꺼움(n=2), 공막 황달(scleral icterus) 및 뇨 우로빌리노겐(n=1), 피로(n=1), 구토(n=1), 간 생검에 대한 림프구 침윤물/간세포 변성(n=1), 급성 반응(n=4), 상승된 빌리루빈(n=2), 및 증가된 피브린 D-이량체(n=1)를 포함하였다. 임상적 증상들의 발현은 주입 12시간 후 시작하고 72시간까지 해결되었지만, 단 한 환자에게서 엉덩이 통증은 72시간 후에 시작하였다. 14일에, 한 환자의 간 생검(0.6 mg/kg rhASM, 환자 번호 12313)에서는 새로운 2개 부위의 림프구 침윤물을 나타냈으며, 하나는 작은 것이고(0.1 mm 직경), 다른 것은 보통의 것이었으며(0.5 mm 직경), 이는 간세포 변성과 연관된 것이었다. 이 프로토콜은 코호트 5에서의 첫번째 환자(1 mg/kg rhASM, 환자 번호 12112)가 고빌리루빈혈증(피크 4.7 mg/dL)의 투여량-제한 독성을 경험한 후 중단되었다.
이 결과들에서는, 0.3 mg/kg 이상의 rhASM 투여량을 투여받은 ASMD를 앓는 인간에게서 투여량-관련 임상적 및 실험실적 이상 반응들의 예기치 않은 지연된 발현이 나타났다. 또한, 이 프로토콜의 결과들에 견주어 2가지 주요 안전성 실험실 관찰들이 이루어졌다. 하나는 고빌리루빈혈증과 관련되며, 이때 직접 및 간접 빌리루빈에서의 투여량 상승에 대한 비례 관계는 간 손상의 일관적 마커(AST, ALT, AP) 또는 용혈의 증거(헤모글로빈 및 적혈구용적률)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명의 환자들은 48 내지 72시간에서 완만하게 상승된 GGT를 갖고, 한 명의 환자는 새로운 2개의 간 부위 림프구 침윤물을 가졌으며, 이들 중 하나는 간세포 변성과 연관되었다.
다른 관찰은 급성 반응, 즉 염증과 관련되었다. 결과에서는, 증가하는 투여량의 rhASM에 대한 반응으로 CRP/hs-CRP, % 중성구, 페리틴, IL-6, IL-8, 칼시토닌, 피브리노겐, PT, PTT에서의 증가, 및 철 및 알부민에서의 감소를 나타냈다. 발열, 메스꺼움, 구토, 통증 및 근육통의 신체적 임상적 증상들은 급성 반응과 관련 가능성이 많았다. 결과에서는, 심혈관 변화와 연관된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의 증거 및 부신 호르몬 기능상실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전술된 프로토콜은 ASMD를 앓는 성인 인간 환자들에게서 효소 대체 요법에 대한 최초 경험이다. 인간의 생체활성 투여량에서, rhASM은 심혈관 변화와 연관된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초래하지 않았거나, 부신 호르몬 기능상실을 초래하지 않았다. 주요 안전성 관찰들은 투여량-관련 고빌리루빈혈증 및 급성 반응이었다. 이상 반응들 모두는 세라마이드 및 포스포릴콜린으로의 스핑고미엘린의 분해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분자 메커니즘은 완전히 알 수 없다. 빌리루빈, 세라마이드, CRP/hs-CRP, IL-8, IL-6, 칼시토닌 및 페리틴을 포함하는 일부 안전성 바이오마커가 확인되었다. 또한, 고빌리루빈혈증 발견에 기초하여, rhASM의 최대 내성화된 시작 투여량은 0.6 mg/kg이었다.
더욱이, 환자에게서 임상적 증상들을 갖는 이상 반응들의 발현이 0.3 mg/kg 정도의 낮은 투여량에서 관찰되었다는 사실은 놀라운 것으로, ASMKO 마우스에서 NOAEL("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은 수준")이 0.3 mg/kg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ASMKO 마우스에서 독성의 임상적 증상은 10 mg/kg 이상의 투여량이 사용될 때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녹아웃 마우스에서의 부분제거 후 반복 투여량 정맥내 주사 독성 프로토콜
본 실시예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녹아웃(ASMKO) 마우스에서의 부분제거 후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의 반복된 정맥내 투여의 잠재적 독성의 조사를 설명한다. 독성 부작용이 ASMKO 마우스에서 10 mg/kg rhASM의 초기 투여량에서 관찰되기 시작한다는 사실 하에, 다음 조사는, ASMKO 마우스에서 rhASM의 높은 투여량이 최소 또는 관찰 불가능한 독성으로 ASMKO 마우스의 병리 표적 부위, 예컨대 폐 및 뇌에 투여될 수 있어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의 단계적 상승 투여량의 투여가 충분하게 축적 스핑고미엘린을 부분제거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었다.
연구 날짜(SD) 1, 3, 5, 7일에 3 mg/kg rhASM을 JK ASMKO 마우스에 투여하였다(부분제거 단계). SD 9일에 시작하고, 13주 동안 격주(7개 투여량)마다 계속적으로, 3, 10 또는 30 mg/kg rhASM의 치료 투여량을 마우스에 투여했다(치료 단계).
rhASM은 수컷 및 암컷 ASMKO 마우스에게 측부 꼬리 정맥 내에 볼루스 주사를 통해 정맥내 투여하였다. 3 mg/kg rhASM을 부분제거 단계 동안 1 내지 3개의 군에 투여했다(SD 1, 3, 5 및 7일). 군 1, 2 및 3은 각각 치료 단계 동안 3, 10 및 30 mg/kg rhASM을 투여했다(SD 9, 23, 37, 51, 65, 79 및 93일). 각 군에서 마우스의 하나의 하위집합들(군 1에서 첫째 2마리 마우스/성별 및 군 2 및 3에서 첫째 4마리 마우스/성별)은 독성동태학(TK)(5분) 및 세라마이드 수준들(4시간)의 분석을 위해 연구 전, 그리고 치료 단계 투여량 1, 4 및 7 후 5분 및 4시간 후 혈액을 채취했다. 각 군에서 마우스의 다른 하위집합(군 1에서 최종 2마리 마우스/성별 및 군 2 및 3에서 최종 4마리 마우스/성별)은 설치류 다중-분석물 프로파일(4시간) 및 급성 단백질/간 기능 검사 수준들(24시간)의 분석을 위해 연구 전, 그리고 치료 단계 투여량 1, 4 및 7 후 4시간 및 24시간 후 혈액을 채취했다. 하기 표 2의 연구 설계를 참조한다.
최초 치료 단계 투여량 및 이후 각각의 투여량으로 시작하는 과민성 반응의 가능성으로 인해, 각 마우스를 검사 물품 투여 후 과민성의 징후(예컨대, 안절부절, 씹기, 얼굴 문지르기, 두드러기, 부종, 졸음 및 지저분한 털가죽)에 대해 면밀히 관찰하였다. 치료 단계의 최초 투여량 및 이후의 각 투여량 시작 전에 다이펜하이드라민(DPH)을 마우스에 투여했다.
시판 중인 원료 용액 50 mg/mL를 0.9% 멸균 염수로 희석시킴으로써 농도 5 mg/mL의 DPH를 제조하였다. 가능한 과민성 반응을 방지하도록 rhASM을 투여하기 10 내지 20분 전, 가장 최근의 체중에 기초하여 20 mg/kg(4 mL/kg)의 투여량으로 DPH를 복강내(IP) 투여하였다. 임의의 동물이 DPH 전치료에도 불구하고 검사 물품 투여 후 과민성 반응을 보였다면, DPH의 제2 투여량을 10 mg/kg(2 mL/kg)으로 IP 투여하였다.
SD 100일에 CO2 질식을 통해 모든 마우스를 안락사시켰다. 안락사 후, 심장 천공을 통해 임상적 병리학 및 면역원성 분석을 위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 채취 후, 모든 마우스에 대해 부검을 실시하였다. 모든 조직을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BF)에 보존한 후, 조직병리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핑고미엘린 부하의 분석을 위해 2% 글루타르알데히드/2% 파라포름알데히드에 간, 비장, 콩팥 및 폐의 조각을 보존하였다. 또한, 간, 비장, 콩팥 및 폐의 조각을 채취하고, 미래의 가능한 분석을 위해 ≤ -70℃에서 보관하였다.
부검 후, 동물시체를 포함하는 모든 잔여 조직들을 10% NBF에 보관했다.
[표 2]
Figure pat00007
생존시 관찰:
연구 첫날은 SD1(투여 첫날)로 간주하였다. SD -1일자에 시작하는 연구 과정 동안 매주 1회 동물 체중을 측정하고, 그 후 매주 월요일에 측정하였다. 월요일 내지 금요일 동안 매일 1회 케이지사이드(Cageside) 관찰을 실시하였다. 임의의 비정상 및 정상 관찰을 기록하였다. 각 투여량 투여 직전에, 그리고 투여 후 10 내지 20분 및 50 내지 70분 후에 투여 후 임상적 관찰/등급 설정을 실시하였다. 임의의 비정상 및 정상 관찰을 기록하였다. 담당 수의사 및/또는 연구 담당자는 이상 반응의 사례에 대해 컨설팅하였으며, 이들의 권고에 기초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였다.
안락사:
동물의 건강 및 웰빙(well being)에 악영향을 미친 이상 반응이 존재한다면, 동물을 CO2 질식을 통해 안락사시키고, 흉부, 복부 및 두개골 강들을 통해 개방시키고, 미래의 가능한 분석을 위해 10% 중성 완충된 포르말린(NBF)에 보관했다. 동물이 죽은 것으로 확인되면, 동물시체 전체를 미래의 가능한 분석을 위해 10% NBF에 보관했다. 연구의 종료 시, 모든 생존 동물들은 CO2 질식으로 안락사시켰다.
검체 채취:
투여량 분석: 각 투여 날짜에 제형화한 후, 1 내지 10분 내에 모든 투여량 수준들로부터 검사 물품의 약 500 ㎕를 채취하고, ≤ -7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냉동고로 이전할 때까지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투여량 분석 검체를 SD 1, 3, 5, 7, 9, 23, 37, 51, 65, 79 및 93일자에 전달하고, 분석할 때까지 ≤ -70℃에서 보관하였다. A280 분석을 통해 투여량 분석 검체들을 측정하였다.
혈액 채취: TK 분석용 혈액 채취를 위해, 설치류 다중-분석물 프로파일 및 급성 단백질/간 기능 검사 수준 마우스를 이소플루레인과 산소의 혼합물로 마취시켰다. 혈액 채취는 혈액 채취표(하기 표 4 및 5 참고) 및 하기 내용에 따라 SD -1, 9, 51 및 93일(각각 연구 전 및 1번째, 4번째 및 7번째 치료 단계 투여)에 실시하였다.
rhASM 독성동태학: 군 1에서 최초 2마리 마우스/성별 및 군 2 및 3에서 최초 4마리 마우스/성별에게서 피크 rhASM 수준 분석을 위해 연구 전(SD -1) 및 1번째, 4번째 및 7번째 치료 단계 투여 5분 후 혈액 검체를 채취하였다. 모든 동물로부터 혈액을 무의식 마우스의 안와정맥총(retro-orbital plexus)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전혈 약 60 ㎕를 적혈구용적률 튜브 내에 모으고, 실온에서 적어도 1분 동안 응고시켰다. 이들 검체를 분당 10,000회 회전(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청을 얻었다.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채취하고, ≤ -7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냉동고로 이전할 때까지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일단 이전 후, 모든 검체를 분석할 때까지 ≤ -70℃에서 보관하였다. TK 검체를 SD 1, 9, 51 및 93일에 이전하였다. TK 검체를 효소결합 면역흡착 측정법(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라마이드 수준들의 분석: 군 1에서 최초 2마리 마우스/성별 및 군 2 및 3에서 최초 4마리 마우스/성별로부터 세라마이드 수준 분석을 위해 연구 전(SD -1), 1번째, 4번째 및 7번째 치료 단계 투여 4시간 후 혈액 검체를 채취하였다. 이러한 동물로부터 혈액을 무의식 마우스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전혈 약 240 ㎕를 칼륨 EDTA 튜브 내에 모으고, 최대 30분 동안 누테이터 로커(Nutator rocker)에 두어 응고의 형성을 방지하였다. 이들 검체로부터 10,0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장을 얻었다.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채취하고, ≤ -7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냉동고로 이전할 때까지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일단 이전 후, 모든 검체를 질량 분광계 군(Mass Spectrometry Group)에 의해 분석할 때까지 ≤ -70℃에서 보관하였다. 세라마이드 검체들을 SD 94일까지 이전하였다. 세라마이드 검체를 질량 분광계로 측정하였다.
설치류 다중- 분석물 프로파일(MAP)의 분석: 군 1에서 최초 2마리 마우스/성별 및 군 2 및 3에서 최초 4마리 마우스/성별로부터 설치류 다중-분석물 프로파일 분석을 위해 연구 전(SD -1), 및 1번째, 4번째 및 7번째 치료 단계 투여 4시간 후 혈액 검체를 채취했다. 이들 동물로부터 혈액을 무의식 마우스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전혈 약 150 ㎕를 혈청 분리기 튜브 내에 모으고, 적어도 30분 동안 응고시켰다. 이들 검체로부터 10,0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청을 얻었다.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채취하고, ≤ -7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냉동고로 이전할 때까지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일단 이전 후, 설치류 다중-분석물 프로파일의 분석을 위해 SD 94일까지 배송할 때까지 모든 검체를 ≤ -70℃에서 보관하였다. 검체를 드라이 아이스 상에 룰스 베이스드 메디슨(Rules Based Medicine)으로 배송하였다. 설치류 다중-분석물 프로파일 표(하기 표 3 참조)에서는 측정된 분석물들을 열거하고 있다.
[표 3]
Figure pat00008
급성 단백질/간 기능 검사 수준들의 분석: 군 1에서 최후 2마리 마우스/성별 및 군 2 및 3에서 최후 4마리 마우스/성별로부터 급성 단백질(혈청 아밀로이드-A 및 혈청 아밀로이드-P) 및 간 기능(빌리루빈 및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수준들 분석을 위해 연구 전(SD -1), 및 1번째, 4번째 및 7번째 치료 단계 투여 24시간 후 혈액 검체를 채취했다. 이들 동물로부터 혈액을 무의식 마우스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전혈 약 150 ㎕를 혈청 분리기 튜브 내에 모으고, 적어도 30분 동안 응고시켰다. 이들 검체로부터 10,0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청을 얻었다.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채취하고 ≤ -7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냉동고로 이전할 때까지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일단 이전 후, 급성 단백질/간 기능 검사 분석을 위해 SD 94일까지 배송할 때까지 ≤ -70℃에서 보관하였다. 검체들을 드라이 아이스 상에 애널리틱스(Analytics)로 배송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9
[표 5]
Figure pat00010
부검
임상적 병리학 및 면역원성의 분석을 위한 최종 혈액 채취: 안락사 후, 임상적 병리학 및 면역원성 분석을 위한 모든 주요 연구 동물로부터 전혈(약 ≥ 500 ㎕) 채취를 위해 모든 동물들에 심장 천공을 실시하였다. 약 150 ㎕의 전혈을 칼륨 EDTA 튜브에 채취하고, 혈액학 매개변수의 분석을 위해 가볍게 뒤흔들어 주었다. 가볍게 위아래로 흔든 후, 모든 검체를 다음 분석을 위해 2 내지 10℃에서 보관할 때까지 실온에서 보관하며 누테이터 로커 상에서 교반하였다. (혈액학 분석을 위해 150 ㎕의 제거 후 심장 스틱(cardiac stick)으로부터의) 잔여 혈액을 혈청 분리기 튜브에 넣고, 적어도 30분 동안 실온에서 응고시키고, 10,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기 내에서 회전시켰으며, 혈청을 채취할 것이다. 혈청 약 30 ㎕를 면역원성 분석을 위해 에펜도프 튜브(eppendorf tube)에 넣고, 나머지 혈청을 임상적 화학 분석을 위해 에펜도프 튜브에 넣었다. 면역원성 검체들을 ≤ -7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냉동고로 이전할 때까지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면역원성 검체들을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모든 검체들을 다음 분석을 위해 ≤ -20℃에 보관할 때까지, 임상적 화학 검체를 드라이 아이스에 보관하였다. 혈액학 및 임상적 화학 분석물 표(하기 표 6 참고)에 측정된 분석물들을 열거한다.
[표 6]
Figure pat00011
모든 동물들의 혈액학 및 임상적 화학 분석 결과들은 면허받은 병리학자에 의해 해석되었다.
조직 채취: SD 100일에 안락사시킨 후, 모든 동물들을 조직 채취를 위해 부검시켰다. 부검은 동물시체의 외부 특징들, 외부 신체 개구들, 복강 및 흉강, 기관 및 조직의 조사를 포함하였다. 육안 발견들을 기록하였다. 조직 채취표(하기 표 7 참고)에는 10% NBF에 채취된 조직들을 열거하고 있다. 육안적 병변들도 또한 채취하고, 10% NBF에 보관하였다. 잔여 동물시체를 10% NBF 중에 보존하였다.
[표 7]
Figure pat00012
진한 글자체 검체들이 칭량될 것임
기관 중량: 부검 시, 상기 진한 글씨체의 기관을 칭량하고, 쌍으로 이루어진 기관도 함께 칭량하였다. 중량을 기관 중량 양식 상에 기록하였다. 기관 대 체중(%) 및 기관 대 뇌 중량비를 부검 전에 취한 체중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조직병리학: 연구에서 임의의 동물로부터의 육안적 병변들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로부터의 검체들을 조직검사에 전달하였다. 각 동물로부터의 앞서 열거된 보존된 조직들을 파라핀에 함침시켰다. 모든 조직을 섹션화하고,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모든 조직 섹션들은 조직 변화의 평가를 위해 면허받은 병리학자에 의해 현미경으로 검사되었다.
모든 동물들로부터의 간, 비장, 콩팥 및 폐의 검체를 채취하고, 스핑고미엘린 부하의 분석을 위해 2% 글루타르알데히드/2% 파라포름알데히드 중에 고정시켰다. 이들 조직들을 칼륨 다이크로메이트/오스뮴 테트록사이드 중에 고정시킨 후, 에폰(epon)에 함침시켰다. 1 ㎛ 섹션들을 광학 현미경 검사를 위해 탠산 및 톨루이딘 블루로 염색하였다. 각 검체 내의 스핑고미엘린 부하를 면허받은 병리학자가 메타모프(MetaMorph)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컴퓨터 형태계측으로 정량화하였다.
모든 동물들로부터의 간, 비장, 콩팥 및 폐의 검체를 채취하고, 액체 질소 중에 냉동시키고, 미래의 가능한 분석을 위해 ≤ -7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검체 분석:
투여량 분석은 A280 분석 및 독성동태학을 통해 측정하고, 면역원성 검체들을 ELISA에 의해 분석하였다.
세라마이드 분석을 질량 분광계를 통해 측정하였다.
시스멕스(Sysmex) XTV 2000 IV 혈액학 분석기 및 라드녹스 데이토나(Radnox Daytona) 임상적 화학 분석기 각각을 사용하여 혈액학 및 임상적 병리학 검체를 측정하였다.
SOP에 따라 면허받은 병리학자에 의해 조직 검체를 가공하고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해석하였다. SOP에 따라 면허받은 병리학자에 의해 임상 병리학적 분석 결과들을 해석하였다.
실시예 3: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 rhASM ) 효소 대체 요법의 단계적 증가 투여량
도입
이하 기재되는 프로토콜은 rhASM의 더 높은 반복 투여량을 달성하기 위한 선택적 방법으로 환자 내 투여량 단계적 증가를 이용한다. 40주 동안 매 2주(q2w)마다 투여된 0.3, 0.6 및 1.0 mg/kg의 투여량의 rhASM 주입 시 안전성, 효능 및 약동학(PK), 및 rhASM 주입의 장기간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한다.
물질 및 방법
프로토콜 설계
치료되는 12명의 B형 NP 환자들은 남성 여성 모두로 이루어진다. 환자들은 초기에 0.1 mg/kg rhASM을 적어도 1회 투여받을 것이다. 그 다음, 0.1 mg/kg rhASM 주입이 내성화된 환자들은 내성화됨에 따라 0.3 mg/kg, 0.6 mg/kg 및 1 mg/kg의 단계적 증가 투여량으로 매 2주마다 투여받는다. 그 다음, 1.0 mg/kg을 내성화한 환자들은 비장 용적에 의해 계층화되고(정상의 < 12배 또는 ≥ 12배), 2개의 표적 투여량 1.0 mg/kg rhASM 또는 3.0 mg/kg 중 하나를 받도록 무작위배정되며, 3.0 mg/kg 군으로 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은 내성화됨에 따라 2.0 mg/kg 및 이어서 3.0 mg/kg으로 단계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0.1 mg/kg 투여량의 rhASM을 내성화하지 못하는 환자는 교체된다. 보다 높은 투여량에서 단계적 상승을 내성화할 수 없는 환자들은 26주 유지 투여량 기간 동안 그들의 최대 내약용량을 유지할 것이다.
모든 환자들은 0.1 mg/kg으로부터 그들의 표적 투여량까지 단계적으로 투여량이 증가할 것이다. 단계적 증가 기간 동안의 투여량 조정은 표적 투여량이 도달될 때까지(내성화되는 경우) 매 2주 간격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초기 주입(0.1 mg/kg rhASM) 및 후속적 투여량 투여 후, 환자의 결과들, 즉 이상 반응(AE) 발생/중증도 및 혈청 빌리루빈, hsCRP, 및 다른 급성 반응 단백질, 및 세라마이드가 검토될 것이다. 다음의 기준들이 투여량 단계적 증가 기간 동안 투여될 다음 투여량을 결정할 것이다:
1. 총 빌리루빈 값 ≤ 2.0 mg/dL 또는 경증의 AE → 다음 투여량으로 단계적 증가(적용 가능한 경우),
2. 총 빌리루빈 값 = 2.1 내지 3.0 mg/dL 또는 중등의 AE → 투여량 단계적 증가 없음, 현 투여량 반복,
3. 총 빌리루빈 값 > 3.0 mg/dL 또는 중증의 AE → 앞서 투여된/내성화된 수준까지 투여량 감소.
rhASM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 임의의 중대한 이상 반응(SAE), 다음의 계획된 투여량 전에 < 2.0 mg/dL까지 감소되지 않은 빌리루빈 값, 또는 투여된 투여량에서 rhASM의 안전성과 관련된 우려사항을 증가시키는 임의의 AE는 투여량-제한-독성(DLT)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환자가 DLT를 경험하면, 환자를 위한 후속적 투여량들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어야 한다. 환자들은 DLT가 초래되는 투여량을 투여받기 위해 재도전할 수 있으며, 내성화된다면, 원래 계획된 바와 같이 치료가 진행될 것이다.
환자가 0.1 mg/kg의 2회 투여량을 내성화할 수 없다면(즉, 초기 주입 및 단회 재도전 투여량), 이들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투여량으로 치료되지 않을 것이며, 연구에서 중단 및 교체될 것이다. 0.3 mg/kg 투여량을 내성화하는 환자들은 초기 rhASM 주입(0.1 mg/kg)을 투여받을 것이며, 2주 후, 0.3 mg/kg rhASM을 받을 것이다(단, 0.1 mg/kg 투여 후 투여량 단계적 증가 기준들이 충족되는 경우). 후속적 rhASM 투여량들은 최대 18주 동안 투여량 단계적 증가 기간 q2w 동안 투여될 것이다. 환자가 0.3 mg/kg까지 성공적으로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후속적으로 기준 2 또는 3(전술된 기준)을 충족한다면, 환자는 2회 재도전할 수 있다. 재도전이 성공적이지 않다면(즉, 표적 투여량에 도달될 수 없다면), 환자는 40주 치료 기간의 나머지 동안 0.1 mg/kg의 rhASM 투여량을 계속적으로 투여받을 것이다.
0.6 mg/kg 투여량 용법으로 치료되는 환자들은 초기 rhASM 주입(0.1 mg/kg) 후, 1회 투여량의 0.3 mg/kg rhASM, 이어서 40주 치료 기간의 나머지 동안 0.6 mg/kg rhASM q2w를 받을 것이다(단, 0.1 mg/kg 및 0.3 mg/kg의 이전 rhASM 주입들이 잘 내성화된 경우). 1.0 mg/kg 용법으로 치료되는 환자들은 초기 rhASM 주입(0.1 mg/kg), 이어서 1회 투여량의 0.3 mg/kg rhASM, 이어서 1회 투여량의 0.6 mg/kg rhASM, 이어서 40주 치료 기간의 나머지 동안 1.0 mg/kg rhASM q2w를 받을 것이다(단, 0.1 mg/kg, 0.3 mg/kg 및 0.6 mg/kg의 이전 rhASM 주입들이 잘 내성화된 경우). 환자가 0.3으로부터 0.6 mg/kg까지 또는 0.6으로부터 1.0 mg/kg까지 성공적으로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후속적으로 기준 2 또는 3(상기 기준)을 충족한다면, 환자는 2회 재도전할 수 있다. 재도전이 성공적이지 않다면(즉, 표적 투여량에 도달될 수 없다면), 환자는 40주 치료 기간의 나머지 동안 더 낮은 내약용량을 계속적으로 투여받을 것이다.
40주 치료 단계 후, 환자들은 그들의 유지 투여량 수준에서 계속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환자들
각 환자는 이들 용법들에 따라 치료되는 하기 기준들을 충족해야 한다:
1. 니만-피크(N-P) 질환과 일치되는 기록된 ASM 결핍,
2. 예측된 정상 값의 > 20% 및 ≤ 80%인 확산능(DLCO),
3. 정상의 ≥ 8배의 비장 용적(체중의 ≥ 1.6%),
4. 임신 가능한 여성 환자들은 β-hCG에 대한 혈청 임신 검사가 음성이어야 하며, 프로토콜 기간 중 의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동의해야 한다.
치료
환자들은 약 35분에 걸쳐 단일 0.1 mg/kg rhASM IV를 받을 것이다. 투여 안내지침은 하기 표 8에 요약되어 있다. 초기 0.1 mg/kg rhASM 주입에 내성화된 환자들은 표적 치료 투여량까지 투여량 단계적 증가를 실시할 것이다(rhASM 0.3, 0.6 또는 1.0 mg/kg). 모든 환자들은 0.1 mg/kg으로부터 그들의 표적 투여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된 투여량을 받을 것이다. 단계적 증가 기간 도중의 투여량 조정은 표적 투여량에 도달될 때까지 매 2주 간격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표 8]
Figure pat00013
기준선에서 비장비대의 각 환자의 정도는 질환 중증도의 표시자로서 정상의 배수(x 정상)로 기록될 수 있다. 정상 비장 용적은 체중의 0.2%이다.
각 방문에서, 환자들은 새로운 또는 진행 중인 이상 반응들(AE)에 대해 평가받아야 한다.
임상적 평가변수들은 유지 투여량 기간의 기준선으로부터 26주까지의 변화율(%)로서 측정될 수 있다. 주요 효능 평가변수는 MRI에 의해 측정될 때 비장 용적에서의 감소이다. 2차 효능 평가변수들은 간의 스핑고미엘린 수준의 감소, 자전거 근육힘기록에 의해 예측된 최대 운동부하에 의해 측정될 때 운동능에서의 증가, 예측된 DLco(%)로서 증가된 폐 기능, 기관지 폐포 세척(BAL) 세포 개수 및 프로파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증가된 폐 청소율,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 사이토카인 및 키토트리오시다제 수준들을 포함한다. 3차 효능 평가변수들은 MRI에 의해 측정될 때 간 용적에서의 감소; 예측된 FVC, FEV1, TLC(%)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증가된 폐 기능; 고해상도 CT 스캔, 흉부 X-선에 의해 결정된 개선된 폐 외관; HDL, LDL, 총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리드 수준들, 및 총 콜레스테롤에 의해 결정될 때 개선된 지질 프로파일; HDL 콜레스테롤 비율; 개선된 혈소판 개수; 헤모글로빈; 피부, 혈장, DBS에서의 감소된 스핑고미엘린 수준들, 및 다른 바이오마커, 예컨대 CCL18, ACE에서의 개선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 rhASM ) 효소 대체 요법의 단계적 증가 투여량
도입
이하 기재되는 프로토콜은 ASMD를 앓는 성인 환자들에서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의 안전성, 효능 및 약동학을 평가하는 반복-투여량, 투여량 비교를 이용한다. 프로토콜의 목적은 하기 사항을 포함한다: (i) rhASM의 투여량 단계적 증가의 안전성 평가, (ii) 26주 동안 매 2주마다 정맥내 투여된 rhASM의 최대 내성화된 또는 무작위배정된 투여량의 안전성, 효능 및 약동학 평가, 및 (iii) 26주부터 프로토콜이 완료될 때(적어도 182주 기간)까지 매 2주마다 정맥내 투여된 rhASM 주입의 장기간 안전성 및 효능 평가.
물질 및 방법
환자들
각 환자들은 이들 용법에 따라 치료되는 하기 기준들을 충족해야 한다:
1. 니만-피크 질환(NPD)과 일치하는 기록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결핍.
2. 비신경병성 NPD와 일치하는 저혈소판증, 빈혈, 호중성백혈구감소증, 간비대, 비장비대 및 폐 질환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특성적 임상 특징들.
3. 예측된 정상 값의 > 20% 및 ≤ 80%인 일산화탄소의 확산능(DLCO),
4. 정상(MN)의 ≥ 8배의 비장 용적(체중의 ≥ 1.6%). 일부 비장절제는 스크리닝/기준선으로부터 ≥ 1년인 경우 허용될 수 있고, 잔여 비장 용적은 ≥ 8 MN이다.
5. 임신 가능한 여성 환자들은 β-인간 융모성 생식샘자극호르몬(β-HCG)에 대한 혈청 임신 검사가 음성이어야 하며, 프로토콜 기간 중 의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동의해야 한다.
프로토콜 설계
0.1 mg/kg에서 rhASM을 내성화할 수 있는 환자들은 프로토콜에 등록될 수 있다. 각 환자에서, 프로토콜 참여는 3개 기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스크리닝/기준선(-60 내지 -1일).
2. 1차 치료 기간(약 32 내지 46주).
투여량 단계적 증가(DE) 단계(1차 DE - 약 6 내지 16주).
· 0.1로부터 0.3, 0.6, 1.0 mg/kg까지 rhASM을 안전하게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환자들은 비장 용적에 의해 계층화될 수 있고(< 12 및 ≥ 12 MN), 1.0 mg/kg에서 연속적으로 투여하거나 2.0으로부터 3.0 mg/kg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계속적으로 투여하도록 무작위배정한 후, 나머지 프로토콜 동안 3.0 mg/kg rhASM 또는 최대 내약용량(2차 DE - 4주)을 투여받는다.
· 비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은 그들의 최대 내약용량을 받을 수 있다(< 1.0 mg/kg rhASM).
투여량 유지(Dose Maintenance)(DM) 단계(최대 내성화된 또는 무작위배정된 투여량에서 26주).
3. 장기간 치료 기간(최대 내성화된 또는 무작위배정된 투여량에서 적어도 182주)
스크리닝/기준선 평가들은 rhASM의 초기 주입 적어도 24시간 전 완료될 수 있다. 프로토콜 내의 등록은 환자가 0.1 mg/kg에서 rhASM의 2회 투여량을 내성화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에, 모든 적격한 환자들은 투여량 단계적 증가(DE) 1일에 0.1 mg/kg rhASM의 단회 투여량을 받을 수 있다. 이 투여량을 내성화시킬 수 없는 환자들은 2주 후 재도전한다. 0.1 mg/kg rhASM의 2회 투여량(즉, 초기 투여량 및 재도전 투여량)을 내성화할 수 없는 환자들은, (0.1 mg/kg에서 rhASM을 내성화시킬 수 있는) 약 12명의 환자들이 확실하게 등록되도록 중단 및 교체된다.
rhASM의 투여량은 1차 DE 단계 동안 매 2주마다 0.1로부터 0.3, 0.6, 1.0 mg/kg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1차 DE 단계 동안, 환자들은 0.1로부터 1.0 mg/kg까지 매 2주마다 안전하게 단계적으로 rhASM 투여량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음).
1차 및 2차 DE 단계 동안, 다음의 투여량 단계적 증가 기준은 투여되는 rhASM의 다음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1. 총 빌리루빈(rhASM의 다음 계획된 투여량 전의 최고 값으로서, 주입전 혈액 채취를 포함함)이 ≤ 2.0 mg/dL 또는 전혀 없는/경증의 관련 이상 반응(AE)인 경우 → 다음 투여량으로 단계적으로 증가.
2. 총 빌리루빈이 > 2.0이지만 < 3.0 mg/dL이거나 중등의 관련 AE인 경우 → 동일한 투여량을 반복 실시함.
· 총 빌리루빈이 다음 투여량 바로 전 > 2.0 mg/dL로 잔존하는 경우 → 일시적으로 환자의 추가 투여를 중단함(잠재적 투여량-제한 독성[DLT]).
3. 총 빌리루빈이 ≥ 3.0 mg/dL이거나 중증의 관련 AE인 경우 → 투여량을 감소시킴.
· 총 빌리루빈이 다음 투여량 바로 전 > 2.0 mg/dL로 잔존하는 경우 → 일시적으로 환자의 추가 투여를 중단함(잠재적 DLT).
4. 16주 1차 DE 단계 종료시까지 무작위배정 투여량 또는 최대 내약용량을 유지시키기 전, 환자들은 단지 1차 DE 단계에서 필요한 정도의 횟수만큼 (특정 투여량 수준에서) 재도전할 수 있다(재도전은 2차 DE 단계에서는 허용되지 않음).
5. 등록된 환자들(즉, 0.1 mg/kg에서 rhASM을 내성화시킬 수 있는 환자들)은 1.0 mg/kg의 투여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없고 무작위배정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그들의 표적 무작위배정 투여량(즉, 1.0 또는 3.0 mg/kg rhASM)을 내성화시킬 수 없는 경우 교체될 수 없다. 이들 환자들은 그들의 최대 내약용량으로 프로토콜에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주입이 누락되는 경우, 환자는 이전 주입과 동일한 투여량을 받을 수 있다. ± 5일의 방문허용 기간이 초과되어 주입이 실시될 수 없는 경우, 환자는 상기 주입에 대해 다음 예정된 시간에서 다음 주입을 받아야 한다.
이 프로토콜 목적 상, 하기 기준들 중 임의의 것을 충족하는 경우, 결과들은 소정의 투여량의 rhASM에 대한 잠재적 투여량-제한 독성(DLT)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 rhASM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의사가 판단한 임의의 중대한 이상 반응(SAE), 또는
· 다음 투여량 바로 전 총 빌리루빈이 > 2.0 mg/dL로 잔존하거나,
· 의사가 판단할 때, 투여된 투여량에서 rhASM의 안전성에 관한 우려사항을 증가시키는 임의의 이상 반응(AE).
관련 이상 반응의 중증도는 의사에 의해 평가될 것이다. 경증의 관련 이상 반응은 통상적으로 일시적이며, 단지 최소 치료적 또는 처치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중등의 관련 이상 반응은 통상적으로 추가의 특정 치료 개입으로 경감된다. 이 반응들은 일상 생활의 일반적 활동에 지장을 주며, 불편함을 초래하나, 피험자에게 상당한 또는 영구적 유해 위험을 미치지 않는다. 중증의 이상 반응은 일상 생활의 일반적 활동에 지장을 주거나, 임상적 상태에 상당히 영향을 주거나, 집중적 치료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16주까지 단계적으로 증가된 투여량을 받고 안전하게 1.0 mg/kg rhASM을 내성화하는 모든 환자들은 비장 용적에 의해 계층화될 수 있고(< 12 및 ≥ 12 MN), 1:1 비율로 다음에 무작위배정될 수 있다:
· 26주 동안 매 2주마다 1.0 mg/kg rhASM(또는 최대 내약용량)을 계속적으로 투여받거나,
· 2.0으로부터 3.0 mg/kg까지 투여량 단계적 증가(DE) 후, 26주 동안 매 2주마다 3.0 mg/kg rhASM(또는 최대 내약용량)을 계속적으로 투여받음.
2차 DE 단계 동안, 3.0 mg/kg 군으로 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은, 3.0 mg/kg(또는 최대 내약용량, 도 7 참고)에서 26주 DM 단계를 시작하기 전 단지 4주에 걸쳐 그들의 rhASM 투여량을 3.0 mg/kg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1차 DE 단계는 각 환자에 대해 약 6 내지 16주일 수 있다. 이는 rhASM의 투여량 단계적 증가 동안 환자가 겪게 될 수 있는 개별 환자 내성 문제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차 DE 단계 동안, 각 환자는 매 2주마다 0.1로부터 1.0 mg/kg까지 단계적으로 그들의 rhASM의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음).
1차 DE 단계는 환자가 1.0 mg/kg rhASM의 투여량을 받고 내성화하는 경우 또는 16주에 이르는 경우 어느 쪽이든 먼저 해당되는 경우 완료될 수 있다. 투여량에 재도전할 수 있는 기준 또는 투여량의 감소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 환자는 각 투여량의 단회 주입을 받을 수 있으며(즉, rhASM의 총 4회 주입), 이로써 6주의 1차 DE 단계가 진행된다. 그러나, 투여량 재도전 또는 투여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기준들이 충족되는 경우, 1차 DE 단계의 기간은 6주 초과일 수 있지만, 16주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16주까지 단계적으로 증가된 투여량을 받고 1.0 mg/kg을 안전하게 내성화시키는 환자들은 2개의 표적 투여량 군(즉, 1.0 또는 3.0 mg/kg rhASM) 중 하나에 배정될 수 있다.
3.0 mg/kg rhASM으로 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은 2차 DE 단계를 시작할 수 있으며(도 7 참고), 이는 2회 주입, 즉 1.0 mg/kg의 최초 내약용량 후 2주에 제1차 주입(즉, 2.0 mg/kg), 및 1.0 mg/kg의 최초 내약용량 후 4주에 제2차 주입(즉, 3.0 mg/kg 또는 최대 내약용량)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2차 DE 단계는 1.0 mg/kg의 최초 내약용량 4주 후 완료될 수 있다. 재도전 투여량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환자가 2.0 mg/kg의 최초 투여량을 내성화시킬 수 없는 경우, 제2 rhASM 투여량은 최대 내약용량(즉, 1.0 mg/kg)까지 감소될 수 있거나, 잠재적 투여량-제한 독성(DLT)이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환자들은 1차 치료 기간의 26주 DM 단계 동안 매 2주마다 최대 내성화된 또는 무작위배정된 투여량에서 rhASM을 계속적으로 IV 투여받을 수 있다. 이는 무작위배정된 및 비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mg/kg 투여량 군 내의 환자들은 무작위배정 후 1.0 mg/kg의 그들의 최초 투여량에서 DM 단계를 시작할 수 있는 반면, 3.0 mg/kg 군 내의 환자들은 무작위배정 후 rhASM의 그들의 3차 투여량에서 DM 단계를 시작할 수 있다. 후속적인 rhASM 투여량들은 모든 무작위배정된 환자들에 대해 DM 단계에서 26주 동안 매 2주마다 IV 투여될 수 있다.
비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은 그들의 16주 DE 단계 2주 후 최초 rhASM 투여량에서 DM 단계를 시작할 수 있다. 이들 환자들은 총 26주 동안 매 2주마다 그들의 최대 내성화된 rhASM 투여량(< 1.0 mg/kg)을 계속 투여받을 수 있다.
무작위배정된 환자가 DM 단계에서 주입 도중 중등/중증의 관련 AE(즉, 주입 관련 반응(IAR))를 경험하는 경우, 환자는 rhASM 주입을 중단 한 후 재시작하거나(즉, 중지), 주입 속도를 늦춰 투여받을 수 있다. 단, 잠재적 DLT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환자는 DM 단계의 나머지 기간 동안 이 rhASM의 투여량을 계속 투여받을 수 있다.
모든 26주 프로토콜 평가가 완료된 후, 모든 환자들(비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을 포함함)은 장기간 치료 기간을 시작할 수 있으며, 프로토콜 동안 또는 프로토콜의 종료 때까지 적어도 182주[3.5년] 동안 매 2주마다 (DM 단계에서 투여된 rhASM 투여량으로) rhASM IV 치료를 계속 받을 수 있다. 장기간 치료 기간은 프로토콜 완료(또는 환자 철회/중단) 방문 및 안전 추적조사 전화방문(rhASM 최종 투여 후 30 내지 37일 후)을 포함한다. rhASM의 개별 환자 투여량은 1차 치료 기간 분석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장기간 치료 기간에서 조정될 수 있다. 임의의 필요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
환자들은 1차 DE 단계 동안 매 2주마다 0.1, 0.3, 0.6 및 1.0 mg/kg으로 rhASM의 정맥내 주입을 받을 것이다. 3.0 mg/kg rhASM으로 무작위배정된 환자들은 2차 DE 단계 동안 2주 후 3.0 mg/kg(또는 최대 내약용량)을 투여받기 전 2.0 mg/kg을 받을 것이다. 26주 DM 단계 도중, 환자들에는 DM 단계 후 매 2주마다 1.0 또는 3.0 mg/kg(또는 최대 내약용량) rhASM이 투여될 것이다. 장기간 치료 기간 동안, DE 단계 동안 투여된 rhASM 투여량이 매 2주마다 IV 투여될 것이다.
환자들은 투여량에 따라 약 35 내지 135분의 기간에 걸쳐 rhASM의 각 정맥내 주입을 받을 것이다(하기 표 9 참고). 프로토콜 치료(rhASM)는 표준 프로그램 가능한 주입 펌프 및 0.22 ㎛의 저 단백질-결합 인라인 필터를 사용하여 주입될 것이다. 투여량을 mg/kg으로 계산하기 위하여, 신체 질량 지수(BMI) ≤ 30 (체중(kg))/(신장(m))의 환자에 대해 실제 체중을 사용하고, BMI > 30의 환자에 대해, 환자의 신장을 사용하여 30의 BMI에 상응하는 체중을 계산한다.
[표 9]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임상적 평가변수들은 rhASM의 최대 내성화된 또는 무작위배정된 투여량을 투여받은지 26주 후, 정상의 비장 용적 배수에서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율(%)로서 측정될 수 있다(자기 공명 영상에 의해 측정됨). 제2 효능 평가변수들은 간 용적(MRI에 의해 측정됨), 폐 영상(고해상도 컴퓨터화된 단층촬영 스캔 및 흉부 X선에 의함), 폐 기능 검사, 예컨대 일산화탄소의 예측된 확산능 백분율, 예측된 강제 폐활량 백분율, 1초 강제 호기량, 및 총 폐 투여량, 자전거 근육힘기록에 의한 운동능, 예컨대 예측된 최대 운동부하, 피크 산소 소모 및 이산화탄소 생성, 변화에 대한 의사의 총체적 분석, 효능 바이오마커, 예컨대 혈청 키토트리오시다제, CCL18 및 ACE, 및 혈액학 매개변수, 혈소판 개수, 헤모글로빈 수준을 포함한다. 효능 평가들은 또한 공복 지질, 응집 연구, 질병 관련된 바이오마커, 건강 결과 측정 및 환자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평가들은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실시될 수 있다. 안전 평가들은 하기의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계 평가를 포함한 신체 검사, 활력 징후(예컨대, 수축 및 이완 혈압, 체온, 심박수, 호흡수 및 산소 포화도), ECG, 도플러(Doppler)를 사용하는 CHO, 혈액 화학(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염화물, 혈액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요산, 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총 빌리루빈, 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알칼리 포스페이트, 총 단백질, 알부민, 글루코스, 콜레스테롤 등), 혈액학(예컨대, 전혈구수), 뇨분석, 암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에 대한 바이오마커 분석, 호르몬, 사이토카인(예컨대, IL-8 및 IL-6), 심혈관 위험, 급성 반응물들 및 다른 세포 과정, 혈청 항-rhASM IgG 농도, 혈청 항-rhASM IgE 농도, 혈청 트립타제 활성, 및 과민성에 대한 피부 검사. 또한, 약동학적 및 약물역학 평가들은 투여량 투여 전, 도중 및/또는 후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핑고미엘린 수준들은 생검에 의해 간 및 피부에서, 및 직렬 질량 분석계에 의해 혈장 및 DBS에서 평가될 수 있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각 개별 공개 또는 특허 또는 특허출원이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도록 특별히 개별적으로 명시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인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특정 양태에 의해 그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상, 기재된 것과 더불어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이 상기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분명히 인지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GENZYME CORPORATION <120> DOSE ESCALATION ENZYME REPLACEMENT THERAPY FOR TREATING ACID SPHINGOMYELINASE DEFICIENCY <130> 6923-159-999 <140> PCT/US2010/047057 <141> 2010-08-28 <150> US 61/238,113 <151> 2009-08-28 <160> 3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6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3> human ASM isoform 1 (ASM-1), UniProtKB/Swiss-Prot Accession No. P17405-1 <400> 1 Met Pro Arg Tyr Gly Ala Ser Leu Arg Gln Ser Cys Pro Arg Ser Gly 1 5 10 15 Arg Glu Gln Gly Gln Asp Gly Thr Ala Gly Ala Pro Gly Leu Leu Trp 20 25 30 Met Gly Leu Val Leu Ala Leu Ala Leu Ala Leu Ala Leu Ala Leu Ser 35 40 45 Asp Ser Arg Val Leu Trp Ala Pro Ala Glu Ala His Pro Leu Ser Pro 50 55 60 Gln Gly His Pro Ala Arg Leu His Arg Ile Val Pro Arg Leu Arg Asp 65 70 75 80 Val Phe Gly Trp Gly Asn Leu Thr Cys Pro Ile Cys Lys Gly Leu Phe 85 90 95 Thr Ala Ile Asn Leu Gly Leu Lys Lys Glu Pro Asn Val Ala Arg Val 100 105 110 Gly Ser Val Ala Ile Lys Leu Cys Asn Leu Leu Lys Ile Ala Pro Pro 115 120 125 Ala Val Cys Gln Ser Ile Val His Leu Phe Glu Asp Asp Met Val Glu 130 135 140 Val Trp Arg Arg Ser Val Leu Ser Pro Ser Glu Ala Cys Gly Leu Leu 145 150 155 160 Leu Gly Ser Thr Cys Gly His Trp Asp Ile Phe Ser Ser Trp Asn Ile 165 170 175 Ser Leu Pro Thr Val Pro Lys Pro Pro Pro Lys Pro Pro Ser Pro Pro 180 185 190 Ala Pro Gly Ala Pro Val Ser Arg Ile Leu Phe Leu Thr Asp Leu His 195 200 205 Trp Asp His Asp Tyr Leu Glu Gly Thr Asp Pro Asp Cys Ala Asp Pro 210 215 220 Leu Cys Cys Arg Arg Gly Ser Gly Leu Pro Pro Ala Ser Arg Pro Gly 225 230 235 240 Ala Gly Tyr Trp Gly Glu Tyr Ser Lys Cys Asp Leu Pro Leu Arg Thr 245 250 255 Leu Glu Ser Leu Leu Ser Gly Leu Gly Pro Ala Gly Pro Phe Asp Met 260 265 270 Val Tyr Trp Thr Gly Asp Ile Pro Ala His Asp Val Trp His Gln Thr 275 280 285 Arg Gln Asp Gln Leu Arg Ala Leu Thr Thr Val Thr Ala Leu Val Arg 290 295 300 Lys Phe Leu Gly Pro Val Pro Val Tyr Pro Ala Val Gly Asn His Glu 305 310 315 320 Ser Thr Pro Val Asn Ser Phe Pro Pro Pro Phe Ile Glu Gly Asn His 325 330 335 Ser Ser Arg Trp Leu Tyr Glu Ala Met Ala Lys Ala Trp Glu Pro Trp 340 345 350 Leu Pro Ala Glu Ala Leu Arg Thr Leu Arg Ile Gly Gly Phe Tyr Ala 355 360 365 Leu Ser Pro Tyr Pro Gly Leu Arg Leu Ile Ser Leu Asn Met Asn Phe 370 375 380 Cys Ser Arg Glu Asn Phe Trp Leu Leu Ile Asn Ser Thr Asp Pro Ala 385 390 395 400 Gly Gln Leu Gln Trp Leu Val Gly Glu Leu Gln Ala Ala Glu Asp Arg 405 410 415 Gly Asp Lys Val His Ile Ile Gly His Ile Pro Pro Gly His Cys Leu 420 425 430 Lys Ser Trp Ser Trp Asn Tyr Tyr Arg Ile Val Ala Arg Tyr Glu Asn 435 440 445 Thr Leu Ala Ala Gln Phe Phe Gly His Thr His Val Asp Glu Phe Glu 450 455 460 Val Phe Tyr Asp Glu Glu Thr Leu Ser Arg Pro Leu Ala Val Ala Phe 465 470 475 480 Leu Ala Pro Ser Ala Thr Thr Tyr Ile Gly Leu Asn Pro Gly Tyr Arg 485 490 495 Val Tyr Gln Ile Asp Gly Asn Tyr Ser Gly Ser Ser His Val Val Leu 500 505 510 Asp His Glu Thr Tyr Ile Leu Asn Leu Thr Gln Ala Asn Ile Pro Gly 515 520 525 Ala Ile Pro His Trp Gln Leu Leu Tyr Arg Ala Arg Glu Thr Tyr Gly 530 535 540 Leu Pro Asn Thr Leu Pro Thr Ala Trp His Asn Leu Val Tyr Arg Met 545 550 555 560 Arg Gly Asp Met Gln Leu Phe Gln Thr Phe Trp Phe Leu Tyr His Lys 565 570 575 Gly His Pro Pro Ser Glu Pro Cys Gly Thr Pro Cys Arg Leu Ala Thr 580 585 590 Leu Cys Ala Gln Leu Ser Ala Arg Ala Asp Ser Pro Ala Leu Cys Arg 595 600 605 His Leu Met Pro Asp Gly Ser Leu Pro Glu Ala Gln Ser Leu Trp Pro 610 615 620 Arg Pro Leu Phe Cys 625 <210> 2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3> amino acid residues 363 to 374 of ASM-1 <400> 2 Ile Gly Gly Phe Tyr Ala Leu Ser Pro Tyr Pro Gly 1 5 10 <210> 3 <211> 1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3> amino acid residues 363 to 374 of ASM-2 (see UniProtKB/Swiss-Prot Accession No. P17405-2) <400> 3 Tyr Leu Ser Ser Val Glu Thr Gln Glu Gly Lys Arg 1 5 10

Claims (51)

  1. (a) (i) 초기의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를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ii) 연속적으로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상기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하고, 각각의 연속적 투여량 후 상승된 빌리루빈 또는 관련 이상 반응으로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피험자에 축적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을 제거하는 요법, 및
    (b) 상기 인간 피험자에 대한 유지 투여량으로서 상기 인간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 이하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지 요법
    을 포함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2. (a) (i) 초기의 무독성 낮은 투여량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를 투여하는 단계, 및 (ii) 연속적으로 보다 높은 투여량의 ASM을 투여하는 단계, 및 각각의 연속적 투여량 후 상승된 빌리루빈 또는 관련 이상 반응으로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부작용에 대해 인간 피험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적된 스핑고미엘린 기질을 제거하는 요법, 및
    (b) 상기 인간 피험자에 대한 유지 투여량으로서 상기 인간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 이하의 투여량의 투여를 포함하는 유지 요법
    에서 투여되도록 제조된, 인간 피험자에서의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3. 제 1 항에 있어서,
    ASM이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초기의 투여량이 0.1 mg/kg 내지 1 mg/kg의 rhASM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초기의 투여량이 0.1 mg/kg 내지 0.5 mg/kg의 rhASM인,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초기의 투여량이 0.1 mg/kg의 rhASM인, 방법.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 후 1, 2, 3 또는 4 주에 투여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 후 1 주에 투여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 후 2 주에 투여되는, 방법.
  10. 제 7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보다 약 0.1 내지 1.0 mg/kg 높은, 방법.
  11. 제 7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보다 약 0.1 내지 0.5 mg/kg 높은, 방법.
  12.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이 1 mg/kg 내지 3 mg/kg인,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고 내약용량이 유지 투여량으로서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투여량이 최고 내약용량보다 적은 치료상 효과적인 투여량인,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된 빌리루빈 또는 관련 이상 반응으로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부작용에 대해 유지 요법 기간에 피험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유지 투여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투여량이 2 주 내지 4 주마다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방법.
  17. 제 2 항에 있어서,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18. 제 17 항에 있어서,
    초기의 투여량이 0.1 mg/kg 내지 1 mg/kg의 rhASM인,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19. 제 17 항에 있어서,
    초기의 투여량이 0.1 mg/kg 내지 0.5 mg/kg의 rhASM인,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20. 제 17 항에 있어서,
    초기의 투여량이 0.1 mg/kg의 rhASM인,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21. 제 2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 후 1, 2, 3 또는 4 주에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2. 제 21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상기 이전 투여량 후 1 주에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3. 제 21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 후 2 주에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4. 제 21 항, 제 22 항 및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보다 약 0.1 내지 1.0 mg/kg 높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5. 제 21 항, 제 22 항 및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높은 투여량이 이전 투여량보다 약 0.1 내지 0.5 mg/kg 높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6. 제 2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피험자에 의한 최고 내약용량이 1 mg/kg 내지 3 mg/kg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7. 제 2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고 내약용량이 유지 투여량으로서 인간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8. 제 27 항에 있어서,
    유지 투여량이 최고 내약용량보다 적은 치료상 효과적인 투여량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29. 제 27 항에 있어서,
    유지 투여량이 2 주 내지 4 주마다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30. (a) 0.1 mg/kg, (b) 0.3 mg/kg, 및 (c) 0.6 mg/kg의 순차적 투여량으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rhASM의 각각의 투여량이 2 회 이상 투여되고, 각각의 투여량이 2 주 간격으로 투여되고, 피험자가 다음 수준으로 상기 투여량을 상승시키기 전에 독성 부작용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앓는 인간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순차적 투여량 1 mg/k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순차적 투여량 2 mg/k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순차적 투여량 3 mg/kg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4. (a) 0.1 mg/kg, (b) 0.3 mg/kg, 및 (c) 0.6 mg/kg의 순차적 투여량으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투여되도록 제조되고,
    이때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의 각각의 투여량이 2 회 이상 투여되고, 각각의 투여량이 2 주 간격으로 투여되고, 피험자가 다음 수준으로 상기 투여량을 상승시키기 전에 독성 부작용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인간 피험자에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35. 제 34 항에 있어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순차적 투여량 1 mg/kg을 추가로 포함하는,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36. 제 35 항에 있어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순차적 투여량 2 mg/kg을 추가로 포함하는,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37. 제 36 항에 있어서,
    단계적 증가 투여량 요법에서 순차적 투여량 3 mg/kg을 추가로 포함하는, 재조합 인간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rhASM).
  3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정맥내 투여되는, 방법.
  3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진피내, 피하 또는 근육내 투여되는, 방법.
  4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이 A형 니만 피크 질환(NPD)인, 방법.
  41.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이 B형 니만 피크 질환(NPD)인, 방법.
  42.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피험자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를 갖는, 방법.
  43.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연변이가 L302P, H421Y 또는 R496L인, 방법.
  44.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6 항 및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피험자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상기 돌연변이가 △R608인, 방법.
  45.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정맥내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46.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피하 또는 근육내 투여되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47.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이 A형 니만 피크 질환(NPD)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48.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이 B형 니만 피크 질환(NPD)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49.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피험자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를 갖는,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50.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연변이가 L302P, H421Y 또는 R496L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51. 제 2 항,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및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피험자가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상기 돌연변이가 △R608인,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
KR1020227023712A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60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0891A KR20230164773A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811309P 2009-08-28 2009-08-28
US61/238,113 2009-08-28
KR1020217026374A KR102608546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PCT/US2010/047057 WO2011025996A2 (en) 2009-08-28 2010-08-28 Dose escalation enzyme replacement therapy for treating acid sphingomyelinase deficienc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374A Division KR102608546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891A Division KR20230164773A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271A true KR20220104271A (ko) 2022-07-26
KR102608551B1 KR102608551B1 (ko) 2023-12-04

Family

ID=4362526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891A KR20230164773A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127005293A KR102094253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217026374A KR102608546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207008342A KR20200034828A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227023712A KR102608551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891A KR20230164773A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127005293A KR102094253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217026374A KR102608546B1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KR1020207008342A KR20200034828A (ko) 2009-08-28 2010-08-28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 결핍을 치료하기 위한 투여량 단계적 증가 효소 대체 요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9) US8349319B2 (ko)
EP (3) EP3482767B1 (ko)
JP (7) JP5955219B2 (ko)
KR (5) KR20230164773A (ko)
CN (3) CN105999238A (ko)
AU (5) AU2010286550B2 (ko)
BR (1) BR112012004377A2 (ko)
CA (1) CA2773133A1 (ko)
CL (1) CL2012000495A1 (ko)
CY (1) CY1122128T1 (ko)
DK (2) DK3482767T3 (ko)
ES (2) ES2902229T3 (ko)
FR (1) FR22C1062I2 (ko)
HR (2) HRP20211992T1 (ko)
HU (3) HUE046598T2 (ko)
IL (3) IL300625A (ko)
LT (2) LT3482767T (ko)
MX (1) MX356873B (ko)
NL (1) NL301211I2 (ko)
PL (2) PL2470199T3 (ko)
PT (2) PT2470199T (ko)
RU (3) RU2569744C2 (ko)
SI (2) SI3482767T1 (ko)
TR (1) TR201911293T4 (ko)
WO (1) WO2011025996A2 (ko)
ZA (2) ZA201201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7560A2 (en) 2004-07-01 2006-01-19 University Of Pennsylvania Targeted protein replacement for the treatment of lysosomal storage disorders
US20080228056A1 (en) 2007-03-13 2008-09-18 Michael Blomquist Basal rate testing using frequent blood glucose input
US7751907B2 (en) 2007-05-24 2010-07-06 Smiths Medical Asd, Inc. Expert system for insulin pump therapy
US8221345B2 (en) 2007-05-30 2012-07-17 Smiths Medical Asd, Inc. Insulin pump based expert system
HUE035779T2 (en) 2007-06-06 2018-05-28 Genzyme Corp Gene therapy for lysosomal storage disorders
LT3482767T (lt) * 2009-08-28 2022-01-10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Didinamos dozės fermentų pakaitinė terapija, skirta rūgštinės sfingomielinazės nepakankamumui gydyti
US8882701B2 (en) 2009-12-04 2014-11-11 Smiths Medical Asd, Inc. Advanced step therapy delivery for an ambulatory infusion pump and system
CA2798812A1 (en) 2010-05-21 2011-11-24 Ohmx Corporation Detection of cancer by assaying psa enzymatic activity
BR112013023774B1 (pt) 2011-03-18 2022-01-11 Genzyme Corporation Inibidores de glicosilceramida sintase
HUE051021T2 (hu) 2011-09-07 2021-01-28 Sinai School Medicine Ceramidáz és sejtek differenciálódása
EP2780716B1 (en) * 2011-11-15 2019-07-31 Centogene AG Method for the diagnosis of niemann-pick disease
EP3679923B1 (en) 2012-06-01 2021-08-04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Ceramide level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s
MA37975B2 (fr) 2012-09-11 2021-03-31 Genzyme Corp Inhibiteurs de synthase de glucosylcéramide
HUE046113T2 (hu) 2013-03-14 2020-02-28 Icahn School Med Mount Sinai Terápiás sav ceramidáz készítmények és azok elõállítási és felhasználási eljárásai
JO3713B1 (ar) 2013-03-15 2021-01-31 Genzyme Corp أشكال ملح (s)-كوينوكليدين-3-يل(2-(2-(4-فلوروفينيل)ثيازول-4-يل)بروبان-2-يل)كارباميت
CA2912274A1 (en) * 2013-05-14 2014-11-20 Centogene Ag Method for the diagnosis of niemann-pick disease
SG10201709925SA (en) * 2013-06-07 2017-12-28 Genzyme Corp Marker for acid sphingomyelinase disorders and uses thereof
JP6984854B2 (ja) * 2015-10-08 2021-12-22 国立大学法人千葉大学 ニーマン・ピック病c型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US10569016B2 (en) 2015-12-29 2020-02-25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closed loop and open loop control of an ambulatory infusion pump
CA3073648A1 (en) * 2017-08-24 2019-02-28 Sanofi Treatment of abnormal bone conditions in acid sphingomyelinase deficiency patients
WO2019070577A1 (en) 2017-10-02 2019-04-11 Denali Therapeutics Inc. FUSION PROTEINS COMPRISING SUBSTITUTE ENZYM THERAPY ENZYMES
UY38238A (es) 2018-05-25 2019-12-31 Genzyme Corp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para el tratamiento de la deficiencia de esfingomielinasa ácida
TW202220648A (zh) 2020-07-24 2022-06-01 美商健臻公司 包含芬谷司他(venglustat)之醫藥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4737A2 (en) * 2006-01-20 2007-07-26 Genzyme Corporation Intraventricular enzyme delivery for lysosomal storage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781A (en) 1976-06-04 1978-04-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Synthesis of 2-alkanoylamino-4-nitrophenyl phosphorylcholine-hydroxide
US4039388A (en) 1976-06-04 1977-08-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Government Diagnostic test for Niemann-Pick disease
IL74761A0 (en) 1984-04-13 1985-06-30 Hughes Howard Med Inst Human phenylalanine hydroxylase cdna clones,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in diagnosing classical phenylketonuria
US4683195A (en) 1986-01-30 1987-07-28 Cetus Corporation Process for amplifying, detecting, and/or-cloning nucleic acid sequences
US4863195A (en) * 1987-10-02 1989-09-05 Capozzola Carl A Identification tag
US5047335A (en) 1988-12-21 1991-09-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 Process for controlling intracellular glycosylation of proteins
US5549892A (en) 1988-12-23 1996-08-27 Genzyme Corporation Enhanced in vivo uptake of glucocerebrosidase
US5773278A (en) 1991-05-03 1998-06-30 Mount Sinai Medical Center Acid sphingomyelinase gene
US5612487A (en) 1991-08-26 1997-03-18 Edible Vaccines, Inc. Anti-viral vaccines expressed in plants
US6034298A (en) 1991-08-26 2000-03-07 Prodigene, Inc. Vaccines expressed in plants
US5484719A (en) 1991-08-26 1996-01-16 Edible Vaccines, Inc. Vaccines produced and administered through edible plants
US5641670A (en) 1991-11-05 1997-06-24 Transkaryotic Therapies, Inc. Protein production and protein delivery
US5716614A (en) 1994-08-05 1998-02-10 Molecular/Structural Bio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livering active agents to mammalian brains in a complex with eicosapentaenoic acid or docosahexaenoic acid-conjugated polycationic carrier
EP0865499B1 (en) 1995-09-14 2009-03-18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Production of lysosomal enzymes in plant-based expression systems
JP2820106B2 (ja) 1996-02-29 1998-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ラヒックシェーパ装置
US20050032211A1 (en) 1996-09-26 2005-02-10 Metabogal Ltd. Cell/tissue cult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IL155588A0 (en) 2003-04-27 2003-11-23 Metabogal Ltd Methods for expression of enzymatically active recombinant lysosomal enzymes in transgenic plant root cells and vectors used thereby
EP1230257A4 (en) 1998-12-23 2003-08-13 Thompson Boyce Plant Res EXPRESSION OF IMMUNOGENOUS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TRANSGENIC PLANTS
US6534300B1 (en) 1999-09-14 2003-03-18 Genzyme Glycobiology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for producing highly phosphorylated lysosomal hydrolases
WO2001071014A2 (en) 2000-03-17 2001-09-27 Boyce Thompson Institute For Plant Research, Inc. Expression of recombinant human acetylcholinesterase in transgenic plants
US20020095135A1 (en) * 2000-06-19 2002-07-18 David Meeker Combination enzyme replacement, gene therapy and small molecule therapy for lysosomal storage diseases
US7138262B1 (en) 2000-08-18 2006-11-21 Shire Human Genetic Therapies, Inc. High mannose proteins and methods of making high mannose proteins
AR034413A1 (es) 2000-08-25 2004-02-25 Nestor Abel Chamoles Metodo para determinar la actividad de las enzimas lisosomales
US7723296B2 (en) 2001-01-18 2010-05-25 Genzyme Corporation Methods for introducing mannose-6-phosphate and other oligosaccharides onto glycoproteins and its application thereof
US7001994B2 (en) 2001-01-18 2006-02-21 Genzyme Corporation Methods for introducing mannose 6-phosphate and other oligosaccharides onto glycoproteins
US7560424B2 (en) 2001-04-30 2009-07-14 Zystor Therapeutics, Inc. Targeted therapeutic proteins
ATE384736T1 (de) 2001-04-30 2008-02-15 Zystor Therapeutics Inc Subzelluläres targeting von therapeutischen proteinen
IES20011101A2 (en) * 2001-12-21 2003-06-25 Japkinstill Services Ltd A Bi-directional Messaging System
US7658916B2 (en) 2002-04-05 2010-02-09 Genzyme Corporation Methods of enhancing lysosomal storage disease therapy by modulation of cell surface receptor density
WO2007095318A2 (en) 2006-02-13 2007-08-23 Fraunhofer Usa, Inc. Influenza antigens, vaccin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7585518B2 (en) 2002-11-19 2009-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duct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r increasing ceramide levels in skin
US7388079B2 (en) 2002-11-27 2008-06-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livery of pharmaceutical agents via the human insulin receptor
US7951557B2 (en) 2003-04-27 2011-05-31 Protalix Ltd. Human lysosomal proteins from plant cell culture
WO2004111198A2 (en) 2003-06-12 2004-12-23 Genzyme Corporation Modified human acid sphingomyelinase having increased activit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50026823A1 (en) * 2003-06-20 2005-02-03 Biomarin Pharmaceutical Inc. Use of the chaperone receptor-associated protein (RAP) for the delivery of therapeutic compounds to the brain and other tissues
US7442372B2 (en) * 2003-08-29 2008-10-28 Biomarin Pharmaceutical Inc. Delivery of therapeutic compounds to the brain and other tissues
EP1691819A4 (en) 2003-11-25 2009-05-06 Sinai School Medicine THERAPY ON CHAPERON BASIS FOR NIEMANN PICK DISEASE
KR20070085291A (ko) 2004-10-13 2007-08-27 프로탈릭스 리미티드 식물 세포 배양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615224B2 (en) 2004-12-02 2009-11-10 Women's And Children's Hospital Multiplex-bead complex for determination of lysosomal storage disorders
AU2006333135A1 (en) 2005-12-15 2007-07-12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nzymatic methods for measuring plasma and tissue sphingomylelin and phosphatidylcholine
US10265412B2 (en) 2006-02-06 2019-04-23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Enzyme replacement therapy for treating lysosomal storage diseases
MX361816B (es) 2006-02-09 2018-12-17 Genzyme Corp Suministro intraventricular lento.
WO2008136451A1 (ja) 2007-04-27 2008-11-13 Nagase & Co., Ltd. スフィンゴミエリナーゼ
WO2010015816A2 (en) 2008-08-06 2010-02-11 Summit Corporation Plc Treatment of lysosomal storage disorders and other proteostatic diseases
PL2465542T3 (pl) 2008-12-16 2015-06-30 Genzyme Corp Koniugaty białko-oligosacharyd
LT3482767T (lt) * 2009-08-28 2022-01-10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Didinamos dozės fermentų pakaitinė terapija, skirta rūgštinės sfingomielinazės nepakankamumui gydyti
EP2721151B1 (en) * 2011-06-20 2017-12-06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Anti-tnf-therapy for the mucopolysaccharidoses and other lysosomal disor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4737A2 (en) * 2006-01-20 2007-07-26 Genzyme Corporation Intraventricular enzyme delivery for lysosomal storage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7440T2 (hu) 2022-05-28
ES2738859T3 (es) 2020-01-27
NL301211I1 (nl) 2022-12-28
US20190151419A1 (en) 2019-05-23
US8658162B2 (en) 2014-02-25
FR22C1062I2 (fr) 2023-12-29
KR102608546B1 (ko) 2023-12-04
US9114139B2 (en) 2015-08-25
IL266915B2 (en) 2023-07-01
IL218324B (en) 2019-05-30
US9655954B2 (en) 2017-05-23
AU2020256322B2 (en) 2024-02-29
HUS2200050I1 (hu) 2022-12-28
ZA201601362B (en) 2017-05-31
RU2569744C2 (ru) 2015-11-27
KR20200034828A (ko) 2020-03-31
AU2018204156A1 (en) 2018-06-28
JP2024026214A (ja) 2024-02-28
CA2773133A1 (en) 2011-03-03
DK2470199T3 (da) 2019-08-05
RU2015145255A (ru) 2019-01-11
CN102596232A (zh) 2012-07-18
ZA201201435B (en) 2020-05-27
AU2016216625B2 (en) 2018-07-05
FR22C1062I1 (fr) 2023-02-03
IL218324A0 (en) 2012-04-30
EP3998078A1 (en) 2022-05-18
AU2010286550A1 (en) 2012-03-15
PT2470199T (pt) 2019-08-07
NL301211I2 (nl) 2023-02-02
KR102608551B1 (ko) 2023-12-04
CN106047835A (zh) 2016-10-26
MX2012002449A (es) 2012-03-14
JP7167281B2 (ja) 2022-11-08
AU2024201085A1 (en) 2024-03-07
PL3482767T3 (pl) 2022-02-14
US20110052559A1 (en) 2011-03-03
JP2018076322A (ja) 2018-05-17
JP6251307B2 (ja) 2017-12-20
RU2012111823A (ru) 2013-10-10
PT3482767T (pt) 2021-12-29
US10188705B2 (en) 2019-01-29
EP2470199A4 (en) 2013-03-27
KR20120081077A (ko) 2012-07-18
US20140335070A1 (en) 2014-11-13
HRP20191385T1 (hr) 2019-11-01
AU2016216625A1 (en) 2016-09-15
IL266915B1 (en) 2023-03-01
CL2012000495A1 (es) 2014-02-07
ES2902229T3 (es) 2022-03-25
US20130078231A1 (en) 2013-03-28
US8709408B2 (en) 2014-04-29
US20210077593A1 (en) 2021-03-18
CN105999238A (zh) 2016-10-12
HUE046598T2 (hu) 2020-03-30
AU2010286550B2 (en) 2016-05-19
RU2731616C2 (ru) 2020-09-07
EP2470199A2 (en) 2012-07-04
US20130078230A1 (en) 2013-03-28
LT2470199T (lt) 2019-10-10
EP2470199B1 (en) 2019-05-22
KR20230164773A (ko) 2023-12-04
IL266915A (en) 2019-07-31
CY1122128T1 (el) 2020-11-25
MX356873B (es) 2018-06-18
AU2020256322A1 (en) 2020-11-12
JP5955219B2 (ja) 2016-07-20
WO2011025996A9 (en) 2011-08-25
SI2470199T1 (sl) 2019-11-29
TR201911293T4 (tr) 2019-08-21
US8349319B2 (en) 2013-01-08
KR20210107153A (ko) 2021-08-31
HRP20211992T1 (hr) 2022-04-01
SI3482767T1 (sl) 2022-03-31
PL2470199T3 (pl) 2019-11-29
JP2022003065A (ja) 2022-01-11
JP2020090513A (ja) 2020-06-11
IL300625A (en) 2023-04-01
RU2015145255A3 (ko) 2019-08-12
DK3482767T3 (da) 2021-12-20
WO2011025996A2 (en) 2011-03-03
EP3482767A1 (en) 2019-05-15
EP3482767B1 (en) 2021-10-06
JP7395693B2 (ja) 2023-12-11
RU2020128994A (ru) 2022-03-02
LT3482767T (lt) 2022-01-10
WO2011025996A3 (en) 2012-03-15
KR102094253B1 (ko) 2020-03-31
US20160120957A1 (en) 2016-05-05
BR112012004377A2 (pt) 2017-12-12
JP2023012499A (ja) 2023-01-25
US20180055916A1 (en) 2018-03-01
JP2016153408A (ja) 2016-08-25
JP2013502933A (ja) 2013-01-31
JP6952810B2 (ja) 2021-10-20
AU2018204156B2 (en) 2020-07-16
US20220305091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7281B2 (ja) 酸性スフィンゴミエリナーゼ欠乏症に対する用量漸増酵素補充療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