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218A - 흡연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흡연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218A
KR20220100218A KR1020210002371A KR20210002371A KR20220100218A KR 20220100218 A KR20220100218 A KR 20220100218A KR 1020210002371 A KR1020210002371 A KR 1020210002371A KR 20210002371 A KR20210002371 A KR 20210002371A KR 20220100218 A KR20220100218 A KR 2022010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filter
smoking article
area
a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729B1 (ko
Inventor
고형호
박용학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0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7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8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pecial devices, e.g. spikes or grippers, for holding the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흡연 보조 기구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는, 필터 천공 영역을 구비한 흡연 물품에 장착되는 흡연 보조 기구로서, 개방된 상류 말단을 통해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구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구 본체는 수용 공간을 통해 흡연 물품을 수용함에 따라 필터 천공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수용 공간은 흡연 물품이 수용되더라도 필터 천공 영역이 통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구 미장착 상태와 유사함 흡연감이 제공될 수 있으며, 천공을 통해 새어나오는 연기가 상류 방향으로 배출되어 손 냄새 저감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흡연 보조 기구{AUXILIARY APPARATUS FOR SMOKING}
본 개시는 흡연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필터 천공을 구비한 흡연 물품에 장착되어 손 냄새 저감 및 연기 흐름 제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흡연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흡연 과정 중에 발생되는 연기는 궐련의 필터 부위를 파지하는 흡연자의 손에 배어 흡연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 이르기까지 담배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에 흡연자는 보통 흡연을 한 후 손에 밴 담배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손을 씻는 행위를 한다. 그러나, 흡연 후 항상 손을 씻을 수 있는 여건이 제공되는 것도 아니고, 흡연 시마다 매번 손을 씻어야 하는 것은 흡연자에게 상당한 번거로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필터 부위에 천공을 구비한 궐련의 경우, 흡연 중에 연소가 이루어지는 상류 말단뿐만 아니라 천공을 통해서도 연기가 새어나올 수 있으며, 천공을 통해 새나오는 연기 또한 흡연자의 손에 담배 냄새가 배게 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 냄새 저감 및 연기 흐름 제어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흡연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구 장착 상태에서도 기구 미장착 상태와 유사한 흡연감을 보장할 수 있는 흡연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연자에게 보다 다양한 흡연 체험을 보장할 수 있는 흡연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는, 필터 천공 영역을 구비한 흡연 물품에 장착되는 흡연 보조 기구로서, 개방된 상류 말단을 통해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함에 따라 상기 필터 천공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흡연 물품이 수용되더라도 상기 필터 천공 영역이 통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구 본체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크류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구 본체의 내경과 상기 흡연 물품의 직경의 차이는 0.1mm 내지 1.5mm이고, 상기 흡연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천공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구 본체의 상류 말단까지의 거리는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 보조 기구가 장착된 흡연 물품과 상기 흡연 보조 기구가 미장착된 흡연 물품의 공기희석률 차이는 20% 이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필터 천공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기구 본체의 부분은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 천공 영역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중앙부 및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주변부보다 높은 데니어(denier)를 갖는 섬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연 물품이 상기 기구 본체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필터의 상류 말단이 상기 흡연 물품의 하류 말단에 접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 천공 영역을 구비한 흡연 물품에 장착되는 흡연 보조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흡연 보조 기구는 흡연자의 손이 흡연 물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 냄새 저감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보조 기구가 흡연 물품에 장착되면, 기구 본체에 의해 필터 천공 영역이 커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 중에 필터 천공을 통해 새어나오는 연기가 자연스럽게 흡연자의 손(또는 구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상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어, 손 냄새 저감 효과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기구 장착 후에도 필터 천공 영역의 통기 상태가 보장되도록 흡연 보조 기구가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가령, 흡연 보조 기구의 내벽에 스크류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장착 후에도 필터 천공 영역으로의 외기 유입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구 장착 상태에서도 필터 천공을 통해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기구 미장착 상태와 유사한 흡연감이 보장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 형태의 홈은 흡연 물품을 강하게 지지함으로써, 흡연 중에 흡연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흡연 물품이 이탈되는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보조 기구의 내부에 필터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필터는 담배맛을 조절하거나 향미를 부여함으로써, 흡연자에게 다양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흡연 물품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와 그의 장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의 내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의 내벽 구조에 따른 외기 유입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의 세부 내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의 공기희석률 제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흡연 보조 기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의 구조와 주류연 집중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연 물품은 연소형 흡연 물품과 가열형 흡연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연기(smoke) 및/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거나 흡연에 이용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쇄된 재생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흡연 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흡연 물품(100)에서, 필터부(110)는 흡연 물질부(120)의 하류 또는 하류 방향에 위치하고, 흡연 물질부(120)는 필터부(110)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흡연 물품(100)을 예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100)은 필터부(110)와 흡연 물질부(120) 및 래퍼(111, 121,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흡연 물품(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필터부(110)는 흡연 물질부(120)에서 발생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필터 물질(또는 여과 물질)로 구성된 필터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 래퍼(111)에 의해 래핑될 수 있다. 필터부(110)는 필터 플러그와 이를 래핑하고 있는 필터 래퍼(111)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필터부(110)는 흡연 물질부(120)의 하류에 위치하여 흡연 물질부(120)의 하류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0)와 흡연 물질부(120)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길이 축 방향으로 정렬되며, 티핑 래퍼(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티핑 래퍼(130)는 필터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흡연 물질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래핑하여 필터부(110)와 흡연 물질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필터부(110)가 흡연 물품(100)의 하류 말단을 형성하는 경우, 필터부(110)는 흡연자의 구부와 접촉되는 마우스피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필터 래퍼(111)에는 천공 영역(1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천공 영역(140)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141)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천공(141)의 개수, 배열 형태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천공 영역(140)은 흡연 중에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공기희석률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희석률은 최종 주류연의 총 부피와 최종 주류연 내에 포함된 외기의 부피 비(ratio)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연 물질부(120)는 연소 또는 가열됨에 따라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 물질부(120)는 흡연 물질부 래퍼(121)에 의해 래핑될 수 있다. 또한, 흡연 물질부(120)는 흡연 물질과 이를 래핑하고 있는 흡연 물질부 래퍼(121)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흡연 물질부(120)는 필터부(110)의 상류에 위치하여 필터부(110)의 상류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흡연 물질부(120)에서 발생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은 필터부(110)를 통해 흡연자의 구부로 흡입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쇄된 재구성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은 습윤제, 향미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첨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는 담배 물질 내의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고유의 맛을 부드럽게 하고, 무화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는 예를 들어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클로브 추출물(또는 클로브 물질)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부(120)는 연소 시에 소리 발생 인자로 작용하는(즉, 연소음을 발생시키는) 물질(이하, "소리 발생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 발생 물질은 예를 들어 15중량% 내지 90중량%의 탄수화물 물질, 5중량% 내지 45중량%의 글리세린 및 3중량% 내지 43중량%의 수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 장치를 통해 비드 형태(e.g. 직경이 약 0.8mm 내지 2.0mm인 비드)로 제조된 물질일 수 있다. 탄수화물 물질(e.g. 스타치, 아가, 펙틴)이 연소 시에 소리를 발생시킨다는 놀라운 사실은 지속적인 연구 과정 중에 밝혀진 것인데,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탄수화물 물질이 연소될 때 결정 구조가 깨지면서 일정한 소리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연 시에 청각적 효과가 더 부여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흡연 물품(100)의 경우 흡연 중에 천공 영역(140)을 통해 연기가 새어나올 수 있는데, 이러한 연기 또한 흡연자의 손에 담배 냄새가 배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연기로 인해 발생되는 손 냄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흡연 보조 기구(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200)와 그의 장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보조 기구(200)는 손 냄새 저감 등을 목적으로 흡연 시에 흡연 물품(1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보조적 기구일 수 있다. 가령, 흡연 보조 기구(200)는 흡연 물품(100)의 파지 부위(e.g. 필터부 110)에 장착되어 흡연 시에 흡연자의 손이 흡연 물품(1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 냄새 저감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보조 기구(200)는 흡연 물품(100)의 천공 영역(140)에서 새어나오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또는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e.g. 흡연 물질부 12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손 냄새 저감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보조 기구(200)는 상류 말단(211)과 하류 말단(212)이 개방된 형태의 기구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흡연 보조 기구(220)는 기구 본체(210) 외에 다른 구성물(또는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보조 기구(200)는 기구 본체(210) 내에 배치된 필터(e.g. 도 8의 2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본 예시와 관련하여서는 추후 도 8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기구 본체(210)의 내부에는 흡연 물품(100)의 적어도 일부(e.g. 필터부 1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흡연자는 개방된 상류 말단(211)을 통해 흡연 물품(100)을 수용 공간에 수용시킴으로써 흡연 보조 기구(2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흡연 물품(100)을 상기 수용 공간에서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흡연 보조 기구(200)의 장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기구 본체(210)는 장착 시에 흡연 물품(100)의 천공 영역(140)을 커버(cover)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흡연 물품(100)이 기구 본체(2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됨에 따라 천공 영역(140)이 커버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영역(140)을 커버한다는 것은 천공 영역(140)을 완전하게 막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천공 영역(140)의 통기 상태를 보장하면서 천공 영역(140)을 덮거나 가리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 중에 천공 영역(140)이 커버됨에 따라 천공 영역(140)을 통해 새어나오는 연기가 흡연자의 손(또는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e.g. 흡연 물질부 12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 냄새 저감 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천공 영역(140)의 통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기구 본체(210)는 장착 시에 흡연 물품(10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외기 유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설계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영역(140)의 통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기구 본체(210)의 내벽에 스크류(screw) 형태의 홈(이하, "스크류홈"으로 약칭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 형태는 사선, 나선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홈을 통해 천공 영역(140)으로의 외기 유입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200) 장착 상태에서도 스크류홈을 통해 외기(화살표 참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가 다시 천공(141, 142)을 통해 흡연 물품(1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구(200) 장착 여부에 따라 흡연 물품(100)의 공기희석률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기구(200) 장착 상태에서도 미장착 상태와 유사한 흡연감이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홈은 흡연 물품(100)을 강하게 지지함으로써, 흡연 중에 흡연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흡연 보조 기구(200)로부터 흡연 물품(100)이 이탈되는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스크류홈의 경사도, 피치(pitch), 형성 위치, 형성 영역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천공 영역(140)에 대응되는 기구 본체(210)의 내벽 영역(214)에는 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내벽 영역(214)의 두께는 스크류홈의 내벽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즉, 스크류홈의 오목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 이러한 경우, 천공 영역(140) 부근에서 외기 유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기구(200) 장착 상태에서도 흡연 물품(100) 내로 원활하게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구 본체(210)의 제1 내벽 영역(213)에 형성된 제1 스크류홈의 피치(P1)가 제2 내벽 영역(215)에 형성된 제2 스크류홈의 피치(P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 내벽 영역(213)은 천공 영역(140)에 대응되는 내벽 영역(214)의 하류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하고, 제2 내벽 영역(215)은 내벽 영역(214)의 상류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치(P2)가 큰 제2 스크류홈을 통해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고, 피치(P1)가 작은 제1 스크류홈을 통해 흡연 물품(10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천공 영역(140)의 통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기구 본체(21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다른 구조로 설계 및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구 본체(210)는 흡연 물품(10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기구 본체(210)의 내벽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구 본체(210)는 흡연 물품(10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기구 본체(210)의 내벽에는 장착 시에 흡연 물품(100)과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기구 본체의(210)의 일부분은 흡연 물품(10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다른 일부분은 흡연 물품(100)의 직경과 유사한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구 본체(210)의 상류 말단부터 천공 영역(140)의 대응 부분까지는 외기 유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흡연 물품(10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그 외 부분은 천공 영역(140)을 통해 새어나오는 연기가 하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연 보조 기구(200)로부터 흡연 물품(1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연 물품(100)의 직경과 유사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예시들의 다양한 조합에 기초하여 기구 본체(210)가 설계 및 제조될 수도 있다.
흡연 보조 기구(200) 또는 기구 본체(210)는 상술한 효과들과 내구성, 장착성(결합성), 장착 용이성 등을 담보하기 위해 적절한 사양(e.g. 길이, 두께, 장착 시 공기희석률, 강도 등)을 갖도록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기구 본체(210)의 내경과 흡연 물품(100)의 직경의 차이는 약 3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2.5mm, 2.0mm 또는 1.5mm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mm 내지 1.5mm, 약 0.1mm 내지 1.2mm 또는 약 0.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가령, 흡연 물품(100)의 직경이 약 4mm 내지 7.8mm인 경우, 기구 본체(210)의 내경은 약 4.69 mm 내지 8.22mm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흡연 보조 기구(200) 장착 후에도 원활한 외기 유입이 보장될 수 있고, 흡연 보조 기구(200)로부터 흡연 물품(100)이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흡연 물품(100)이 기구 본체(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천공 영역(140)으로부터 기구 본체(210)의 상류 말단까지의 거리는 약 4mm 내지 25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mm 내지 20mm, 약 5mm 내지 20mm, 약 5mm 내지 18mm 또는 약 6mm 내지 12mm일 수 있다. 가령, 필터부(110)의 길이가 약 23mm 내지 28mm인 경우, 기구 본체(210)의 길이는 약 29mm 내지 35mm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천공 영역(140)이 적절하게 커버되어, 천공 영역(140)에서 나오는 연기가 상류 방향으로 잘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흡연 보조 기구(200)가 너무 길게 제조됨에 따라 사용 편의성과 심미성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기구 본체(210)의 두께는 약 1.2mm 내지 4.0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5mm 내지 3.0mm, 약 1.8mm 내지 2.5mm 또는 약 1.8mm 내지 2.2mm 일 수 있다. 가령, 기구 본체(210)의 두께는 약 2.0mm 내외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적절한 기계적 강도가 확보될 수 있고, 내벽에 스크류홈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흡연 보조 기구(200)가 장착된 흡연 물품(100)과 미장착된 흡연 물품(100)의 공기희석률 차이는 약 20%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5%, 13%, 11% 또는 9%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 또는 약 5%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흡연 보조 기구(200) 장작 시에 미장착 상태와 유사한 흡연감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들에서, 기구 본체(210)의 내경은 약 7.8 mm 내지 9.5mm이고, 외경은 약 9.3mm 내지 13.5mm이며, 두께는 약 1.5mm 내지 4.0mm이고, 길이는 약 27mm 내지 35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기구 본체(210)의 내경은 약 8.22mm, 외경은 약 12.40mm, 길이는 약 32mm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구 본체(210)는 인체에 무해(e.g. 열에 의해 유해물질을 유발하지 않음)하고,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거의 없으며,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로 제조되면, 기구 본체(210)의 재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의 예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등과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소재를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들에서, 기구 본체(210)는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폴리락트산은 옥수수와 사탕수수로 만들어진 생분해성 수지로써,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균열이나 수축 현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기구 본체(210)가 흡연 물품(100)의 공기희석률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141) 또는 천공 영역(140)에 대응되는 기구 본체(210)의 특정 부분(216)이 흡연자의 외력(F)에 의해 천공 영역(140)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자는 흡연 보조 기구(200)를 장착한 후에 기구 본체(210)의 특정 부분(e.g. 216)을 조작하여 천공(e.g. 141, 142)으로의 외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도 7의 좌측 천공 141 부분 참조) 흡연 물품(100)의 공기희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흡연자는 상기 특정 부분(e.g. 216)을 조작하여 천공(e.g. 141)으로의 외기 유입을 허용함으로써 흡연 물품(100)의 공기희석률을 이전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다. 기구 본체(210)는 단일 조작에 의해 흡연 물품(100)의 천공 영역(140) 전체를 막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조작에 의해 제1 부분(216)이 제1 천공(141)을 개별적으로 막고 제2 조작에 의해 제2 부분이 제2 천공(142)을 개별적으로 막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 보조 기구(2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천공 영역(140)을 구비한 흡연 물품(100)의 파지 부위에 장착되는 흡연 보조 기구(2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흡연 보조 기구(200)는 흡연자의 손이 흡연 물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 냄새 저감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보조 기구(200)가 흡연 물품(100)에 장착됨에 따라 필터 천공(140) 영역이 커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흡연 중에 천공 영역(140)을 통해 새어나오는 연기가 자연스럽게 흡연자의 구부(또는 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상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손 냄새 저감 효과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흡연 보조 기구(200)의 본체(210)가 천공 영역(140)의 통기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기구(200) 장착 후에도 미장착 상태와 유사한 흡연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흡연자에게 보다 다양한 흡연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필터를 구비한 흡연 보조 기구(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220)를 구비한 흡연 보조 기구(2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흡연 보조 기구(200)가 기구 본체(210) 내에 배치된 필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220)는 예를 들어 기구 본체(210)의 하류 말단 부근에 배치되어, 흡연 물품(220)이 기구 본체(210)에 수용됨에 따라 필터(220)의 상류 말단이 흡연 물품(100)의 하류 말단(즉, 필터부 110의 하류 말단)에 접경할 수 있다.
필터(220)는 흡연 물품(100)의 담배맛을 조절하거나 흡연 시에 특정 향미를 부가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다양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필터(220)의 제거능에 따라 담배맛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고, 필터(220)에 가향 처리를 함으로써 흡연 시에 향미가 부가될 수 있다. 필터(220)는 흡연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흡연자는 필터(220)를 다양하게 변경해가며 동일한 흡연 물품(100)으로부터 다양한 흡연 체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필터(220)는 다양한 유형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필터(220)는 가향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20)는 향액이 함유된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슐은 외력에 의해 파열되는 파열성 캡슐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기구 본체(210)는 흡연자의 외력이 잘 전달될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필터(220)는 TJNS(Transfer Jet Nozzle System) 필터와 같이 가향처리된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필터(220)는 향액이 첨가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220)에 의해 흡연 물품(100)의 향미가 강화되거나 새로운 향미가 부여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필터(220)는 보습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20)는 보습처리된(즉, 보습 물질이 첨가된)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습 물질의 예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220)에 의해 무화량이 증대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고벌크(bulk)의 셀룰로오스 물질이 필터(220)의 필터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터(220)의 액상 수용 능력이 극대화되어 고성능의 보습 필터 또는 가향 필터가 제조될 수 있는데,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벌크는 두께를 평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데, 벌크가 높은 셀룰로오스 물질은 내부에 많은 공극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량의 액상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벌크의 셀룰로오스 물질에 다량의 향액을 첨가하는 경우 고성능의 가향 필터(e.g. 향 발현성이 향상됨)가 제조될 수 있고, 고벌크의 셀룰로오스 물질에 다량의 보습 물질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고성능의 보습 필터(e.g. 무화량 증대 효과가 강화됨)가 제조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물질의 예로는 들어 종이(paper)를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액상 물질이 향액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셀룰로오스 물질의 벌크 수치는 셀룰로오스 물질의 목표 공극도(또는 목표 향액 수용량)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나, 대략 1g/cm3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물질의 벌크는 대략 1.5 g/cm3, 2g/cm3, 2.5g/cm3 또는 2.5g/cm3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에서, 셀룰로오스 물질의 액상 수용량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예들에서는, 필터(220)의 소재로 친수성의 셀룰로오스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친수성 셀룰로오스 물질의 예로는 종이를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친수성의 셀룰로오스 물질은 소수성의 향액에 대해 효과적일 수 있는데, 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와는 달리 친수성의 셀룰로오스 물질은 소수성 향액에 의해 잘 팽윤(swelling)되지 않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토우)는 셀룰로오스를 아세틸기로 치환한 물질이자, 치환도가 약 2,45인 비친수성 소재에 해당한다. 이러한 소재에 유사한 성질(e.g.소수성)을 갖는 향액이 첨가되는 경우, 소재가 팽윤되어 필터 플러그(10)의 물성에 부정적인 영향(e.g. 흡인 저항 증가)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친수성의 셀룰로오스 물질은 다량의 소수성 향액이 첨가되더라도 잘 팽윤되지 않아 향액으로 인해 필터(220)의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액 첨가 전후로 필터(220)의 원주, 흡인 저항 등의 물성 차이가 미미할 수 있다.
필터(220)에 첨가되는 향액은 용매와 가향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용매의 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이하 "PG"로 약칭함), 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fatty acid triglyceride; 이하 "MCTG"로 약칭함)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G는 극성(또는 친수성) 용매이기 때문에 가향 물질이 극성(또는 친수성)인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고, MCTG는 비극성(또는 소수성) 용매이기 때문에 가향 물질이 비극성(또는 소수성)인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비극성의 MCTG는 비극성의 가향 물질을 잘 용해시킬 수 있고, 휘발성을 갖는 가향 물질의 휘산도 잘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MCTG는 멘톨과 같은 가향 물질의 휘산도 잘 억제할 수 있어서, 멘톨의 용매로 MCTG가 이용되면 흡연 중에 멘톨향의 발현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멘톨과 MCTG의 조합은 흡연 초반에 멘톨향이 과발현되고 흡연 중반 이후 멘톨향이 잘 발현되지 않는 문제를 한층 완화시킬 수 있다.
가향 물질은 멘톨 등과 같이 향이 발현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 종류의 가향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예들에서, 가향 물질은 상온(e.g. 20±5)에서 결정성 고체로 존재하는 물질(e.g. L-멘톨)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매와 가향 물질 간의 함량비가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용매의 함량이 적은 경우 가향 물질이 필터 물질 내에 고체상으로 침전되어 필터(220)의 흡인 저항과 경도 등을 급격하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예시에서, 가향 물질의 바람직한 함량은 대략 60중량% 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량은 대략 50중량% 또는 40중량% 이하일 수 있다.
한편, 향액(액상)의 첨가량은 필터(220) 내 셀룰로오스 물질의 함량(또는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대략 6mg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8mg 내지 24mg, 12mg 내지 24mg 또는 16mg 내지 24mg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향 발현성이 증가하고 수용 용량을 초과하여 향액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최소화되며, 흡연 시 지나치게 강한 향이 발현되어 흡연자에게 오히려 거부감을 주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필터(220)의 세부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필터(220)는 단일 필터 구조로 설계될 수 있고, 이중 필터, 삼중 필터와 같이 다중 필터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20)는 중앙부(221)와 주변부(2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부(221)와 주변부(222) 간에는 흡인저항 차이가 발생되도록 설계(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부(221)의 흡인저항이 주변부(222)보다 낮도록 설계(제조)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연 시 주류연의 이동이 중앙부(221) 쪽으로 집중되어 중앙부(221)의 효과와 활용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가령, 중앙부(221)가 캡슐(223)을 포함하는 가향 필터인 경우, 주류연 집중으로 인해 캡슐(223)의 발향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앙부(221)가 보습 필터인 경우, 주류연 집중으로 인해 보습 물질의 이행량이 증대되어 무화량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 등의 도면에서 우측 방향 화살표는 주류연의 이동 경로를 의미하고, 화살표의 굵기는 주류연의 이동량을 의미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주변부(222)와 중앙부(221) 간에 흡인저항 차이는 약 15mmH2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20mmH20, 30mmH20 또는 40mmH2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 주류연 집중 효과가 담보되고 적절한 빨림성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변부(222)와 중앙부(221) 간의 흡인저항 차이를 달성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섬유 물질의 데니어(denier) 차이(e.g. 모노데니어 차이, 토탈데니어 차이)를 통해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저데니어(모노데니어)의 섬유 물질로 주변부(222)를 구성하고, 고데니어(모노데니어)의 섬유 물질로 중앙부(221)를 구성함으로써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데니어가 낮을수록 섬유의 굵기가 얇아지고, 얇은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 필터는 제거능이 우수한 만큼 흡인저항도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를 조절함으로써 흡인저항의 차이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서,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과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 간의 모노데니어 차이는 약 0.9(dp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3 또는 5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약 5 또는 5.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 8 또는 9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약 5 내지 30, 약 5.5 내지 27, 약 5.9 내지 25 또는 약 7 내지 21일 수 있다. 그리고,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약 8, 7 또는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또는 4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약 3 내지 8, 약 3.5 내지 7.5, 약 4 내지 7 또는 약 5 내지 6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주변부(222)와 중앙부(221) 간에 흡인저항 차이가 담보되고, 적절한 제거능 또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과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 간의 토탈데니어 차이는 약 5,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00, 10,000 또는 15,000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토탈데니어는 약 27,000 또는 2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2,000, 18,000 또는 16,00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토탈데니어는 약 13,000 내지 27,000, 약 14,000 내지 26,000, 약 15,000 내지 25,000 또는 약 17,000 내지 22,000일 수 있다. 그리고,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토탈데니어는 약 20,000, 23,000, 25,000 또는 27,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8,000, 32,000 또는 38,00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토탈데니어는 약 23,000 내지 40,000, 약 24,000 내지 38,000, 약 25,000 내지 35,000 또는 약 26,000 내지 32,000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주변부(222)와 중앙부(221) 간에 흡인저항 차이가 담보되고, 적절한 제거능 또한 확보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섬유 물질 단면의 형상 차이로부터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 또는 Y 단면 형상의 섬유 물질로 주변부(222)를 구성하고, 원형 단면 형상의 섬유 물질로 중앙부(221)를 구성함으로써,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X 또는 Y 단면 형상이 원형 형상에 비해 흡인저항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들에서는, 섬유 물질의 배열 차이로부터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부(221)보다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섬유 물질로 주변부(222)를 구성함으로써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가 나란하게 배열될수록 기류 패스가 용이하게 확보되어 흡인저항이 감소하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될수록 흡인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들에서는, 상술한 예시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흡인저항 차이가 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주변부(222)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5.9 이상, 토탈데니어는 21,000 이하일 수 있고, 중앙부(221)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5 이하, 토탈데니어는 28,00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데니어 차이를 통해 약 20mmH20 이상의 흡인 저항 차이가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221)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221)가 하류 말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주변부(222)와 중앙부(221) 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저항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인저항 차이에 중앙부(221)의 구조적 특성이 더해져, 주류연 집중 효과가 보다 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부(221)의 효과와 활용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중앙부(221)의 길이 축에 대한 시계 방향의 경사각이 일정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상기 경사각은 다양한 패턴(e.g. 점진적으로 증가/감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부(221)는 직선 형태의 경사가 아니라 곡선 형태(e.g. 볼록/오목)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가 도 10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220)를 구비한 흡연 보조 기구(2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흡연 보조 기구(200)의 내부에 필터(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220)는 담배맛을 조절하거나 향미를 부여함으로써, 흡연자에게 다양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연 물품
110: 필터부
111: 필터 래퍼
120: 흡연 물질부
121: 흡연 물질부 래퍼
130: 팁 페이퍼
140: 천공 영역
141: 천공
200: 흡연 보조 기구
210: 기구 본체
220: 필터
221: 중앙부
222: 주변부
223: 캡슐

Claims (9)

  1. 필터 천공 영역을 구비한 흡연 물품에 장착되는 흡연 보조 기구로서,
    개방된 상류 말단을 통해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흡연 물품을 수용함에 따라 상기 필터 천공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흡연 물품이 수용되더라도 상기 필터 천공 영역이 통기되도록 형성되는,
    흡연 보조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는 스크류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연 보조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천공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내벽의 영역에는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흡연 보조 기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상기 필터 천공 영역의 하류에 위치한 제1 내벽 영역과 상류에 위치한 제2 내벽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벽 영역에 형성된 홈의 피치는 상기 제2 내벽 영역에 형성된 홈의 피치보다 작은,
    흡연 보조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내경과 상기 흡연 물품의 직경의 차이는 0.1mm 내지 1.5mm이고,
    상기 흡연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천공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구 본체의 상류 말단까지의 거리는 5mm 내지 20mm인,
    흡연 보조 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보조 기구가 장착된 흡연 물품과 상기 흡연 보조 기구가 미장착된 흡연 물품의 공기희석률 차이는 20% 이하인,
    흡연 보조 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천공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기구 본체의 부분은 외력에 의해 상기 필터 천공 영역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흡연 보조 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중앙부 및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주변부보다 높은 데니어(denier)를 갖는 섬유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흡연 물품이 상기 기구 본체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필터의 상류 말단이 상기 흡연 물품의 하류 말단에 접경하는,
    흡연 보조 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5.9 내지 25이고,
    상기 주변부에 포함된 섬유 물질의 모노데니어는 4 내지 7인,
    흡연 보조 기구.
KR1020210002371A 2021-01-08 2021-01-08 흡연 보조 기구 KR10259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71A KR102593729B1 (ko) 2021-01-08 2021-01-08 흡연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71A KR102593729B1 (ko) 2021-01-08 2021-01-08 흡연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18A true KR20220100218A (ko) 2022-07-15
KR102593729B1 KR102593729B1 (ko) 2023-10-24

Family

ID=8240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371A KR102593729B1 (ko) 2021-01-08 2021-01-08 흡연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7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237A (ko) * 2011-06-27 2014-03-19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제품 필터 및 그를 위한 삽입식 필터 유닛
KR101710120B1 (ko) * 2010-03-29 2017-02-24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물품
US9986758B2 (en) * 2008-07-23 2018-06-0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Ventilating sheath for smoking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6758B2 (en) * 2008-07-23 2018-06-0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Ventilating sheath for smoking article
KR101710120B1 (ko) * 2010-03-29 2017-02-24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물품
KR20140034237A (ko) * 2011-06-27 2014-03-19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제품 필터 및 그를 위한 삽입식 필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729B1 (ko)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8766T3 (es) Artículo para fumar que tiene filtro con segmento de tubo hueco
JP2020099338A (ja) 喫煙物及び喫煙物用マウスピース
US7987856B2 (en) Smoking article with bypass channel
US8905037B2 (en) Enhanced subjective activated carbon cigarette
AU2019293162B2 (en) An aerosol generating component for a tobacco heating device and a mouthpiece therefor
BRPI0709264B1 (pt) artigo para fumar com um restritor
PT2134200E (pt) Artigos de fumar com restritor e formador de aerossol
EP1797780A1 (en) Smoking article
CN112423607A (zh) 卷烟
JP2020114231A (ja) 喫煙物及び喫煙物用マウスピース
KR102593729B1 (ko) 흡연 보조 기구
KR102450712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RU274645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блок для изделия для курения
CN114667070B (zh) 发出声音的吸烟制品
KR102386081B1 (ko)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66512B1 (ko) 흡연물품 필터 및 이를 위한 보조 필터
WO2020201716A1 (en) Smoking article
KR102571393B1 (ko) 향 지속성이 개선된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50720B1 (ko) 생분해성이 증진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651849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JP2023547844A (ja) タバコの臭いが低減された喫煙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527969A (ja) カスタマイズ型喫煙体験を提供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これに適用され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EP4213656A1 (en) Article with a refreshing liquid substance
CN116490084A (zh) 包括加香片的接装纸及包括该接装纸的吸烟制品
KR20210076510A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