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874A - Steriliz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teriliz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874A
KR20220098874A KR1020210000711A KR20210000711A KR20220098874A KR 20220098874 A KR20220098874 A KR 20220098874A KR 1020210000711 A KR1020210000711 A KR 1020210000711A KR 20210000711 A KR20210000711 A KR 20210000711A KR 20220098874 A KR20220098874 A KR 20220098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outlet
fluid
unit
pass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편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
Priority to KR102021000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874A/en
Publication of KR2022009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8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ant injection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infectant injection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a fluid by adopting the principle of a humidifier using ultrasonic waves, and uniformly discharging the supplied fluid. The disinfectant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body; a supply unit built into the frame body and supplying fluid; an inj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body; and a passage unit provided between the supply unit and the injection unit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from the supply unit to the injection unit.

Description

소독제 분사장치{STERILIZING APPARATUS}Disinfectant spraying device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를 이용한 가습기의 원리를 채용하여 수증기의 형태로 유체를 공급시키고, 공급된 유체를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 fluid in the form of water vapor and uniformly discharging the supplied fluid by adopting the principle of a humidifier using ultrasonic waves.

일반적으로 세균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야하는 실내에는 작업자가 들어가기 전에 작업자의 몸과 손, 발을 약품에 의하여 소독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주기적인 살균, 소독이 이루어져야 하는 장소인 학교, 병원, 요양소, 호텔, 사우나, 목욕탕 등의 공공시설물과 식품가공시설, 공업용수 냉각타워, 육류의 가공 설비, 음식과 식품 준비 기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세척이나 살균, 소독은 항상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발함에 따라 이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In general, the body, hands, and feet of the worker are disinfected with chemicals before the worker enters the room where the inflow of bacteria or foreign substances must be blocked.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s, hospitals, sanatoriums, hotels, saunas, and public baths where periodic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ust be performed, food processing facilities, industrial water cooling towers, meat processing facilities, food and food preparation equipment, etc. Clean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re always performed in the city, and the importance of this is growing, especially with the outbreak of the corona virus.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장소들은 필요에 따라 매번 작업자가 간단한 약품 장치들을 사용하여 살균, 소독을 실시하고는 있지만, 이는 수동으로 작업자가 여러 장소를 돌아다니며 작업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주요 부분의 내부 소독으로만 방역을 실시하는 실정이었다.And in the above places, the operator performs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using simple chemical devices whenever necessary, but this entail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nually move the operator to various places, and most of the In the building, quarantine was carried out only by internal disinfection of major parts.

한편,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1990호 등이 존재하는데, 종래기술의 경우 전신에 액체 소독제를 뿌리기 위해 노즐방식의 분무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자가 크고, 액체 방울이 맺혀 사람에게 분사하였을 때 신체와 옷이 젖게 되어 불쾌감을 유발시키고, 소독장치로의 소독액의 공급이 균일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소독액의 분사 시에 물체에 평행하게 분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존재하였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for this, there exis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51990, etc.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a nozzle-type spray means is used to spray a liquid disinfectant all over the body, the particles are large, and liquid droplets are formed, which is When spraying, the body and clothes were wet, causing discomfort, the supply of the disinfectant to the disinfection device was not uniform, an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not being able to spray the disinfectant in parallel to the object when spraying i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독제 분사장치가 게이트 형식으로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지나가는 사람에게 유체를 전신으로 분사시켜 다수가 밀집할 수 있는 공중 이용 시설 등에서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시킬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is installed in a gate type and sprays the fluid throughout the body to people passing inside it, so that disease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public faciliti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gather.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또한 유체를 분사부에 고르게 분배시키고, 분배된 유체가 분사 시에 흩날리지 않고, 분사장치 내에 위치한 사람에게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분사되는 분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jector that is sprayed in parallel so that the fluid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sprayer, the distributed fluid is not scattered during spraying, and can reach a person located in the sprayer stably.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분사장치는, 프레임바디,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디에 내장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디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분사부, 그리고 상기 공급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분사부로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한다.Disinfectant spra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ising a frame body, and a supply unit built in the frame body and supplying a fluid,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body and a passage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art and the injection part and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from the supply part to the injection part.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구의 내측에 구비되되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메쉬망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는 아래로 볼록한 커브라인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includes a mesh network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jection hol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injection hole includes a curved line convex downward.

또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분사구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구의 방향으로 패인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1통로유닛 및 상기 제1통로유닛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부의 일 면을 밀폐시키는 제2통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통로유닛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로유닛은 내면에 상기 제1통로유닛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ssage unit includes a first passage unit including a discharge por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ort, and including a hollow portion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a first passag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passage unit to seal one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 second passage unit, wherein the outlet includes a bent member bent outward of the first passage unit, and the second passage unit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first passage unit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ssage unit.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배출구 및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출구 및 상기 하부 배출구는 각각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상부 절곡부재 및 하부 절곡부재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includes an upper outle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outlet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utlet, and the upper outlet and the lower outlet each have an upper bending member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outlet and a lower portion It includes a bending member.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소독제 분사장치가 게이트 형식으로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지나가는 사람에게 유체를 전신으로 분사시켜 다수가 밀집할 수 있는 공중 이용 시설 등에서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preventing diseases in public faciliti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gather by spraying the fluid to the person passing by in the form of a gate in which the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gate. .

또한 유체를 분사부에 고르게 분배시키고, 분배된 유체가 분사 시에 흩날리지 않고, 분사장치 내에 위치한 사람에게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분사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fluid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injection unit, and the distributed fluid is not scattered during injection, and has an effect that can be injected in parallel so that it can reach a person located in the injection device stably.

도 1은 소독제 분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프레임바디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프레임바디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분사부 외측의 상세도.
도 5는 분사부 내측의 상세도.
도 6은 통로부의 사시도.
도 7 및 8은 배출구 및 절곡부재의 상세도.
도 9는 제1통로유닛 및 제2통로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공급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rame body.
3 is a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frame body.
4 is a detailed view of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unit.
5 is a detailed view of the inside of the injection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ssage portion;
7 and 8 are detailed views of the outlet and the bending member.
9 is a view showing a first passage unit and a second passage uni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ly uni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only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that they ar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names are no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를 이용한 가습기의 원리를 채용하여 유체를 공급시키고, 공급된 유체를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 fluid by adopting the principle of a humidifier using ultrasonic waves and uniformly discharging the supplied fluid.

그리고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분사부(2) 측을 전면으로, 상기 분사부(2) 측에 반대되는 방향을 후면으로 기술하기로 하고, 내측은 상기 프레임바디(F)의 내측을, 외측은 상기 프레임바디(F)의 외측으로 기술하기로 한다.And unless there is a special description, the injection part (2) side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jection part (2) side will be described as the back side, the inside is the inside of the frame body (F), and the outside is the above It will be described as the outside of the frame body (F).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분사장치(이하 분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부(2)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두 개의 본체(P)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바디(F) 상에는 광학센서(미도시) 등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광학센서 내로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한 유체가 분사되는 방식이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hereinafter, the spra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main bodies (P)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spraying parts 2 to which the fluid is sprayed face each other. that can be checked In addition, an optical sensor (not shown) is attached on the frame body (F), and when movement of an object is detected in the optical sensor, the fluid is sprayed.

그리고 상술한 유체의 실시예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독제가 사용될 수 있다.And as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fluid, a disinfectant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그리고 광학센서(미도시)와 더불어 각 프레임바디(F) 상에는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일 측에 구비된 일 본체(P)와 타 측에 구비된 타 본체(P)가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e optical sensor (not shown),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s provided on each frame body (F) so that one main body (P)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main body (P) provided on the other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 able to perform

그리하여 일 본체(P)에서만 물체가 감지되거나 타 본체(P)에서만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감지를 수행한 본체(P)에서만 유체가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감지를 수행하지 못한 본체(P)도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감지를 수행한 본체(P)로부터 신호를 수신해 분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an object is detected only in one main body (P) or an object is detected only in the other main body (P), the fluid is not sprayed only from the detected main body (P), but the main body (P) that has not performed the detection is also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It is possible to perform injection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ain body (P) that has been sensed through (not shown).

그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바디(F)에 내장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1)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공급부(1)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T),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T)를 수용하는 하우징(H)을 포함한다.Next, looking at the supply unit 1 built in the frame body F and supplying the fluid, the supply unit 1 accommodates a storage tank T for storing the fluid, and the storage tank T. and a housing (H).

여기서 저장탱크(T)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가습기의 원리를 채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수증기의 형태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storage tank T can store the fluid as described above, and adopt the principle of a humidifier using ultrasonic waves to supply the stored fluid in the form of water vapor.

그리고 중요한 점은 상기한 유체가 수증기의 형태로 공급된다는 점인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바디(F)의 외면에 상기 프레임바디(F)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분사부(2)에 상기 유체가 균일하게 공급(이하 균일 공급)되어야 하고, 그리고 균일하게 공급된 유체가 각 분사구(21)에서 평행하게 분사(이하 평행 분사)될 필요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균일 공급 및 평행 분사의 실현 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물론 균일 공급은 펌프 등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실현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언급하고 싶은 것은 펌프 등을 구동시키는 전원의 공급 없이도 구조적인 형상으로 균일 공급을 실현시키는 실시예이다. 물론 여기서 상기한 펌프 등을 본 발명에서 무조건적으로 배제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And an important point is that the above-mentioned fluid is supplied in the form of water vapor. Accordingly, the fluid is transferred to the injection unit 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body 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body F. needs to be uniformly supplied (hereinafter, uniformly supplied), and the uniformly supplied fluid needs to be injected in parall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allel injection) from each injection port 21 . A means for realizing such uniform supply and parallel inj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f course, uniform supply can be realized to some extent by using a pump, etc., but what I want to mention characterist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that realizes uniform supply in a structural shape without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pump or the like.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the above-described pump and the like should be unconditionally exclud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저장탱크(T)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T)의 상면에는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두 개의 구멍은 분사부(2) 측에 구비된 유출공(T3) 및 상기 유출공(T3)의 후측에 구비되는 유입공(T2)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각 유출공(T3) 및 유입공(T2)이 구비되어 있는 이유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하우징(H)의 외면에 구비되어 있는 휀(11)을 이용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부(2)까지 공급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휀(11)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이 상기 하우징(H)의 근처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And looking at the storage tank (T) in detail, as show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wo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T), these two holes are the injection part (2) ) corresponds to the outlet hole (T3) provided on the side and the inlet hole (T2)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let hole (T3). And the reason that each outlet hole (T3) and the inlet hole (T2)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later, but using the fan 1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H) to supply the fluid to the injection unit (2) it is for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a motor for driving the fan 11 may be provided near the housing (H).

그리고 도 2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에는 상기 유입공(T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유입공 대응부(H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공(T3)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유출공 대응부(H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내부공간(H4)으로 상기 저장탱크(T)를 수용시키면 상기 유입공 대응부(H2)와 상기 유입공(T2)의 중심이 일치하고, 상기 유출공 대응부(H3)와 상기 유출공(T3)의 중심이 일치한다.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10, the housing (H) has an inlet hole corresponding portion (H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let hole (T2), the position of the outlet hole (T3) The outlet hole corresponding portion (H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d 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storage tank (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H4) of the housing (H), the center of the inlet hole corresponding portion (H2) and the inlet hole (T2) coincide and , the center of the outlet hole corresponding portion (H3) and the outlet hole (T3) coincide.

그리고 상기 유입공 대응부(H2)의 상부에 휀(11)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유입공(T2)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유출공(T3)으로 상기 유체가 통로부(3)를 지나 상기 분사부(2)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d a fan 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let corresponding part H2,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inlet hole T2, and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passage part 3 to the outlet hole T3 and the injection part (2) can be supplied.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H)의 하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손잡이가 달린 베이스(H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베이스(H1)는 슬라이드 형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저장탱크(T)를 하우징(H)으로부터 빼내거나 수용시킬 때 상기 베이스(H1)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 이를 수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And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 is provided with a base (H1) with a handle on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 This can be done by pulling or pushing the base H1 when the T) is taken out or accommodated from the housing H.

그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바디(F)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구(21)를 포함하는 분사부(2)에 대해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2)는 상기 프레임바디(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바디(F)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길게 늘어져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 공급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Next, looking at the injection part 2 includ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body F, the injection part 2 is the frame body F as described above. )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body (F)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elongat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uniform supply.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구(21)는 소정의 이격 폭(25l)을 갖는 이격 공간(25)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바디(F)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핵심적인 것은 상기 이격 폭(25l)과 분사구(21) 폭(21l)의 비율인데,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비율이 1:3에 해당할 수 있다.As a solution to this, as shown in FIG. 4, the injection hole 21 has a separation space 25 having a predetermined separation width 25l,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body F. have. The key is the ratio of the separation width 25l to the width 21l of the injection hole 21, preferably, their ratio may correspond to 1:3.

만약 이 비율보다 이격 폭(25l)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공급부(1)와 가까운 분사구(21)의 하부에서 유체가 과다하게 분사되어 상대적으로 공급부(1)와 먼 분사구(21)에 해당하는 분사구(21)의 상부에서는 유체의 분사가 미미해지게 되며, 이 비율보다 이격 폭(25l)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후술할 통로부(3)에서 상기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기 통로부(3)의 내부에 이슬이 맺혀 분사되지 못하고 처리구(23)로 소실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If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width 25l is shorter than this ratio, the fluid is excessively spray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21 that is relatively close to the supply unit 1, so that the supply unit 1 and the injection port 21 far from the supply unit 1 are relatively spray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injection hole 21, the injection of the fluid becomes insignificant, and when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width 25l is longer than this ratio, the time for the fluid to stay in the passage part 3 to be described later increases. Dew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assage part 3 , so that it cannot be sprayed and the amount of fluid lost to the processing port 23 increases.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구(21)는 상기 분사구(21)의 윗변, 아랫변 또는 둘 모두에 아래로 볼록한 커브라인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커브라인의 구비를 통하여 수증기 형태의 유체가 액화되어 분사구(21) 근처에 이슬이 맺혔을 때에도 이러한 유체가 아래로 볼록한 커브라인의 중앙으로 모일 수 있게 되어 상기 분사구(21)의 하부에 위치한 처리구(23)로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 아래로 볼록이라고 함은 2차 함수 그래프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용어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구(23)가 절곡된 각도를 나타내는 처리각(θ23)은 30 ~ 60 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구(23)의 표면을 따라 상기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될 위험이 있고, 6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구(23)의 표면 상에 상기 유체가 낙하하기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And as shown in FIG. 4 , the injection hole 21 may include a downwardly convex curve line on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or both of the injection hole 21 . Even when the fluid is liquefied and dew is formed near the injection hole 21, this fluid can b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downward convex curve line, so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by the processing hole 23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jection hole 21 will have an effect. Also, down here, convexity can be understood as a term used when expressing a quadratic function graph. And as shown in Figure 4, the treatment angle (θ 23 ) representing the bent angle of the treatment tool 23 is preferably 30 ~ 60 degrees, if it is less than 30 degrees, the treatment tool 23 ), there is a risk that the fluid cannot be smoothly discharged along the surface, and when it exceeds 60 degrees,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fluid becomes difficult to fall on the surface of the processing tool 23 .

그리고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2)는 상기 분사구(21)의 내측에 구비되되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메쉬망(22)을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분사부(2)의 후면에 결합하는 통로부(3)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홀 사이로 수증기 형태의 유체를 균질하게 분사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injection unit 2 includes a mesh network 22 having a plurality of hole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ort 21, which is the injection unit (2)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assage part 3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 it can serve to mitigate the impact, and also serves to uniformly spray the fluid in the form of water vapor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그리고 상기 분사부(2)는 상기 분사부(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공 대응부(H3) 측으로 절곡된 안내유닛(24)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안내유닛(24)은 후술할 통로부(3)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분사구(21) 바깥으로 원활하게 분사되는 것을 도와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닛(24)이 절곡된 각도에 해당하는 안내각(θ24)은 30 ~ 40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분사구(21)와 상기 유출공 대응부(H3)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게 되어 유체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4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사구(21)의 하부와 상기 유출공 대응부(H3)까지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게 되어 상기 분사구(21)의 상부까지 상기 유체를 골고루 이동시키지 못하게 될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And the injection unit 2 is provided under the injection unit 2,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unit 24 bent toward the outlet hole corresponding portion (H3), such a guide unit 24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help the fluid moving through the passage part 3 to be smoothly injected out of the injection port 21 . And the guide angle (θ 24 )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guide unit 24 is bent preferably corresponds to 30 to 40 degrees, and when it is less than 30 degrees, the injection port 21 and the outlet hole corresponding part If the distance to (H3) becomes too far, there is a risk of a disruption in the fluid supply, and when it exceeds 40 degree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injection port 21 and the outlet hole corresponding part (H3) is too close. There is a risk of not being able to evenly move the fluid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hole 21 .

그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1)와 상기 분사부(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공급부(1)에서 상기 분사부(2)로 이동하는 통로부(3)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면, 도 6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부(3)는, 상기 분사구(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출구(311)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구(311)의 방향으로 패인 중공부(312)를 포함하는 제1통로유닛(31) 및 상기 제1통로유닛(31)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부(312)의 일 면을 밀폐시키는 제2통로유닛(32)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2통로유닛(32)이 상기 제1통로유닛(31)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이다.Next, if we look at the passage part 3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art 1 and the injection part 2 and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from the supply part 1 to the injection part 2, FIG. As shown in 6 and 9, the passage portion 3, including the outlet 311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ort 21, but includes a hollow portion 312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311) It can be seen that it includes a first passage unit 31 and a second passage unit 32 tha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passage unit 31 to seal one surface of the hollow part 312 . Thus, the second passage unit 3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unit (31).

이러한 통로부(3)의 역할은 전술했듯이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분사부(2)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인데, 제1통로유닛(31)의 배출구(311)에는 상기 제1통로유닛(31)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재(313)를 포함함으로써 평행 분사 및 유체 분사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통로유닛(32)은 내면에 상기 제1통로유닛(31)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320)를 포함함으로써 균일 공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role of the passage unit 3 is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 moves to the injection unit 2 as described above, and the outlet 311 of the first passage unit 31 has the first By including the bending member 313 bent to the outside of the passage unit 31,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aightness of the parallel injection and the fluid injection, and the second passage unit 3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unit 31 ) It is possible to perform uniform supply by including the protruding member 320 to the side.

먼저 상기 배출구(311)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11)는 상기 배출구(3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배출구(311a) 및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배출구(311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출구(311a) 및 상기 하부 배출구(311b)는 각각 상기 배출구(311)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상부 절곡부재(313a) 및 하부 절곡부재(313b)를 포함한다.First, looking at the outlet 311,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outlet 311 is provided at the upper outlet 311a provided at the upper par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utlet 311 and at the lower part. and a lower outlet 311b that becomes include

그리하여 상기 유체가 통로부(3)를 지나 상기 분사부(2)로 이동할 때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재(313)에 유체가 충돌하면서 상기 배출구(311)의 중심 측으로 집적되어 상기 유체의 평행 분사 및 유체 분사의 직진성 확보를 실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재(313)의 절곡각(θ3)은 40 ~ 50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전술한 평행 분사 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passage part 3 and moves to the injection part 2, the fluid collides with the bent bending member 313 and is accumul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outlet 311, so that the fluid collides with the parallel injection of the fluid and the fluid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the straightness of the injection. And, as shown in FIG. 8 , the bending angle θ 3 of the bending member 313 preferably corresponds to 40 to 50 degrees,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aforementioned parallel injection.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11)는 상기 상부 배출구(311a)와 하부 배출구(311b)가 한 쌍을 이뤄 상기 제1통로유닛(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배출구(311b)의 길이가 상기 상부 배출구(311a)의 길이보다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11)는 상기 분사구(21)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nd as shown in FIG. 6, the outlet 311 is a pair of the upper outlet 311a and the lower outlet 311b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assage unit 3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outlet (311b)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outlet (311a). The outlet 31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port 21 .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출구(311a)의 모서리 상부 끝 쪽에는 상부를 향하는 슬릿 형태의 슬릿공(314)을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하부 배출구(311b)의 모서리 하부 끝 쪽에는 하부를 향하는 슬릿 형태의 슬릿공(31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공(314)의 구비를 통해 상기 상부 절곡부재(313a)와 상기 하부절곡부재(313)에 의해 유체가 상기 배출구(311)의 중앙으로 과도하게 집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배출구(311)의 폭 방향을 향하는 슬릿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구(311)의 길이 방향으로 과도하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폭 방향과 길이 방향에 관해 언급하면, 어떤 특정 면적에서 짧은 쪽을 폭 방향으로, 그리고 긴 쪽을 길이 방향으로 정의하여 서술한 것이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러한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And as shown in Fig. 7, the upper end of the edge of the upper outlet (311a) includes a slit-shaped slit hole 314 facing upward, and similarly, the lower end of the corner of the lower outlet (311b) faces downward. It includes a slit hole 314 in the form of a slit. And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slit hole 314,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accumulation of the fluid into the center of the outlet 311 by the upper bending member 313a and the lower bending member 313, and also Sinc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it fac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let 31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uid from excessively sprea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311 . And when it comes to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the short side is defin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 side is defined as the length direction in a specific area,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se standards.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공(314)의 폭에 해당하는 슬릿공 폭(W)과 슬릿공(314)의 길이에 해당하는 슬릿공 길이(L)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슬릿공 폭(W) 대 상기 슬릿공 길이(L)의 비는 1 : 6 ~ 7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전술한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구(311)의 길이 방향으로 과도하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8 , looking at the slit hole width W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lit hole 314 and the slit hole length L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lit hole 314 , the slit hole The ratio of the width (W) to the length (L) of the slit hole is preferably 1: 6 to 7, through which the above-described fluid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excess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311). effect can be maximized.

그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로유닛(32)의 돌출부재(320)는 중앙이 비어있는 연통공(323)과 상기 연통공(323)의 둘레를 감싸 형성된 바디(322) 그리고 상기 바디(322)의 일 측에 결합되는 브라켓(321)을 포함한다. 도 9에는 상기 바디(322)의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상기 연통공(323)이 소정의 면적을 가져 상기 유체가 상기 통로부(3)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연통공(323)의 구비를 통해 유체의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데, 상기 연통공(323)의 면적은 상기 중공부(312)의 면적보다 약 두 배 가량 작아야 상기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9 , the protruding member 320 of the second passage unit 32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323 with an empty center and a body 322 formed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323 . ) and a bracket 321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322 . Although the shape of the body 322 has a rectangular shape in FIG. 9 ,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may be employed.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 communication hole 323 has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fluid can easily move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passage part 3 .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oving speed of the fluid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323, and the area of the communication hole 323 must be about twic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hollow part 312 to achieve the above effect. can be maximized.

그 다음으로 상기 통로부(3)의 하부에는 후측으로 절곡된 안내유닛(24) 대응부(34)가 구비된다. 이러한 안내유닛(24) 대응부(34)는 자명하게도 상기한 안내유닛(24)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전술하였듯이 유체가 통로부(3)를 지나 상기 분사부(2)로 분사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Next, the lower portion of the passage portion 3 is provided with the guide unit 24, the corresponding portion 34 bent to the rear side. The guide unit 24 corresponding part 3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unit 24, so that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passage part 3 and is sprayed to the spray part 2 as described above. can be made easily.

그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를 제어하는 제어부(4)가 상기 프레임바디(F)의 상부 측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든지, 상기 프레임바디(F)의 외측에 구비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든지, 알림 소리를 제어한다는지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 소리는 유체가 고갈되었을 때 센서에 의해 알림을 설정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Next,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unit 4 for controlling the supply unit 1 is built i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body F,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Various functions such as controlling a user displa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body F or controlling a notification sound may be performed. The notification sound refers to setting a notification by the sensor when the fluid is exhausted, which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do.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 프레임바디 H: 하우징
T: 저장탱크 P: 본체
1: 공급부 11: 휀
2: 분사부 21: 분사구
23: 처리구 24: 안내유닛
25: 이격공간
3: 통로부 31: 제1통로유닛
32: 제2통로유닛 34: 안내유닛 대응부
F: Frame body H: Housing
T: storage tank P: body
1: supply part 11: fan
2: injection part 21: injection hole
23: treatment section 24: guide unit
25: separation space
3: passage part 31: first passage unit
32: second passage unit 34: guide unit correspondence unit

Claims (4)

프레임바디;
상기 프레임바디에 내장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프레임바디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분사부;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분사부로 이동하는 통로부;
를 포함하는 소독제 분사장치.
frame body;
a supply unit embedded in the frame body and supplying a fluid;
an inj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body; and
a passage part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art and the injection part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from the supply part to the injection part;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구의 내측에 구비되되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메쉬망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는 아래로 볼록한 커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분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jection unit includes a mesh network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injection port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injection port disinfectant 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rved line convex downwar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분사구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구의 방향으로 패인 중공부를 포함하는 제1통로유닛 및 상기 제1통로유닛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부의 일 면을 밀폐시키는 제2통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통로유닛의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로유닛은 내면에 상기 제1통로유닛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분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ssage unit includes a first passage unit including a discharge port provided inside the injection port and a hollow portion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a second passag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passage unit to seal one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including a passage unit;
The outlet includes a bending member ben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assage unit,
The second passage unit is a disinfectant spra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first passage unit on the inner surf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배출구 및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출구 및 상기 하부 배출구는 각각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상부 절곡부재 및 하부 절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분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let includes an upper outlet provided in the upper part and a lower outlet provided in the lower par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utlet,
The upper outlet and the lower outlet each include an upper bent member and a lower bent member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outlet.
KR1020210000711A 2021-01-05 2021-01-05 Sterilizing apparatus KR202200988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11A KR20220098874A (en) 2021-01-05 2021-01-05 Steriliz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11A KR20220098874A (en) 2021-01-05 2021-01-05 Steriliz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874A true KR20220098874A (en) 2022-07-12

Family

ID=824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711A KR20220098874A (en) 2021-01-05 2021-01-05 Steriliz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87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8192B (en) Hand washing machine
KR101139795B1 (en) Device for disinfection spray
US7757700B2 (en) Wash chamber for automated appendage-washing apparatus
US20130079732A1 (en) Ultrasonic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KR20100133171A (en) Body sterilizer ejecting particle type antiseptic solution
WO2004094067A3 (en) Automated cleansing sprayer having separate cleanser and air vent paths from bottle
ATE302651T1 (en) AUTOMATED CLEANING SPRAYER
KR20090097647A (en) Auto unattended sterilization jet system
GB2502248A (en) Hand washing and drying device
JP2009160019A (en) Bathroom sterilization system
KR200441147Y1 (en) Hand dryer having means for disinfection
KR100585485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of chamber pot and bidet seat
KR20220098874A (en) Sterilizing apparatus
KR20220006250A (en) Disassembly prefabricated clean gate structure
JP2018047055A (en) Washing equipment for bathroom wash place floor
JP2018047061A (en) Washing equipment for bathroom wash place floor
KR200344348Y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of chamber pot and bidet seat
KR20230087736A (en) Disinfection device of gage type
JPH11178781A (en) Bathroom washing system
JP2018047053A (en) Washing equipment for bathroom wash place floor
JP2018047062A (en) Washing equipment for bathroom wash place floor
JP2018047060A (en) Washing equipment for bathroom wash place floor
JP2018047052A (en) Washing equipment for bathroom wash place floor
GB0617397D0 (en) Shwasher
TWM437209U (en) Improved ozone water sterilizing spray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