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938A -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938A
KR20220095938A KR1020200187965A KR20200187965A KR20220095938A KR 20220095938 A KR20220095938 A KR 20220095938A KR 1020200187965 A KR1020200187965 A KR 1020200187965A KR 20200187965 A KR20200187965 A KR 20200187965A KR 20220095938 A KR20220095938 A KR 2022009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control unit
sensor unit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429B1 (ko
Inventor
곽동순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전에 화재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 센서부의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화재 경보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FI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PREDICTING FI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화재 발생 전에 화재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의 역할은 연기, 불꽃, 열 등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중앙 수신기에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앙 수신기에 수신된 화재 정보는 관리자 또는 수신기 자체 판단에 의해서 경보를 울려 사람들을 대피하게 한다.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는 크게 4종류로 나뉘어진다.
화재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 및 이종합금으로 열에 의한 변형을 이용한 열 감지기가 있고, 화재 시 인화물질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가 있으며, 불꽃에서 방사되는 불꽃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 되었을 때 작동하는 불꽃 감지기가 있다. 그리고 열 감지기능, 연기 감지기능, 자외선 및 적외선 불꽃 감지기능을 모두 가진 복합식 감지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00858호에는 종래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물리적 현상에서 불은 일반적으로 고체가 액체(또는 고체에서 기체)로,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여 기체(기화)에서 불이 붙게 되어 있다. 그래서 연기 감지기는 열감지기 보다 화재감지가 빠르므로 조기 화재 발견으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연기감지기는 감지기 내에 연기가 들어오는 순간을 기다렸다가 일정량의 연기가 검출되면 화재로 인식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기감지기는 청소 시 발생되는 먼지, 벌레, 담배연기 등을 판별할 능력이 없어서 오동작 가능성이 많다.
통계에 의하면 주로 많이 발생하는 화재원인으로 추측 되어지는 것으로 전기가 흐르고 있는 전선 접속점의 노화로 인한 것과 전선 이외의 물체를 통해 전기가 외부로 흐르는 누전, 합선 등과 같이 전기로 인한 것이 가장 많고 또한 취급 부주의로 인한 유류화재, 가스화재 등이 있다.
그리고 담배, 불장난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가 전체 화재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담배의 경우 잠자리에 들면서 흡연하거나 누워서 담배를 피워 물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어린이들에 의한 라이타 및 촛불 등의 장난으로 인한 화재 발생율 역시 높다. 이 모든 화재의 원인은 화재의 진압 후 분석 판단에 의해서 결론이 내려진 것이다.
또한 화재가 진압된 후 화재 발생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서 여러 가지로 감식을 하게 되는데 초기진압이 아니고서는 화재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화재의 발생 전에 화재를 예측하여 화재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 전에 냄새 등을 감지하여 화재를 예측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는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 센서부의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화재 경보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센서부는 금속산화물 센서, 폴리머 센서, 광음향 분광 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마이크로 캔틸레버 센서 및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의 색상 변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디스플레이어, 경보기, 원격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은 감지 센서부가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감지 센서부의 감지 정보를 제어부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화재 예측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화재 발생을 예측하면 알림부로 전기 신호를 보내 화재 발생을 경고하는 화재 경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나노벨트, 나노막매, 나노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과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계 가스의 산화/환원 반응의 발생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전도성 폴리머의 전도도 변화 발생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의 음파 발생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광원의 굴절률 변화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진동 공진 주파수의 변화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화재 예측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의 색상 변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은 냄새를 통해 화재를 미리 예측하여 화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은 냄새를 통해 화재를 미리 예측하여 화재를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는 감지 센서부(100), 제어부(200) 및 알림부(300)를 포함한다.
감지 센서부(100)는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부(1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건물 등과 같은 실내의 내부 밀폐된 곳곳 마다 설치되어 냄새 및 가스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부(100)는 금속산화물 센서, 폴리머 센서, 광음향 분광 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마이크로 캔틸레버 센서 및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센서부(100)는 상술한 센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냄새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센서는 반도체 특성을 가진 금속산화물의 전기전도도가 산화물 표면에서 가스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반응은 사용된 산화물의 전자적 구조, 화학적 조성, 결정 구조, 결정 방향, 입자 크기, 가스에 노출되는 산화물의 표면특성 등의 조절에 의해 특성 설계가 가능하다. 산화물의 다결정상 중에서 특정 결정상에 따라서 특정 가스에 대한 선택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결정성을 가진 SnO2와 TiO2의 금홍석(Rutile)구조에서는 일산화탄소(CO)와 탄화수소계 가스를 잘 감지하며,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가진 산화물은 산화성 가스에 대해 고감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신뢰성 있는 감응특성을 얻으려면 산화물의 결정구조가 결정 안정성을 가지는 구간 내에 있어야 한다
가스감지 물질로서 나노벨트, 나노막매, 나노점과 같이 나노 구조체를 갖는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 센서는 가스 흡착할 때 폴리머가 부풀어 오름으로써 전도성 폴리머의 전기적 특성이 바뀌거나 폴리머가 코팅된 캔틸레버소자의 공진주파수가 바뀌게 된다. 전도도 및 공진주파수는 주요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가스감지의 원리는 가스에 대한 고유한 친화력을 가진 폴리머와 전도성 물질의 혼합으로 구성된 복합체에 분석물의 흡착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변하는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폴리머, 특히 폴리피롤과 같은 폴리헤테로사이클 계통이 휘발성 가스에 대한 흡착 능력이 있을 수 있다.
감지 물질의 응답 특성은 폴리머의 분자량, 폴리머 체인의 종류, 수소 결합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복합체는 휘발 용제가 흡착될 때 부피가 증가되는데, 이는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폴리머는 전도성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여러 개의 고유한 전도성을 가진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폴리머는 폴리헤테로사이클 물질일 수 있는데, 이때 흡착성의 선택도의 가용성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폴리비닐페놀, 폴리에틸렌산화물, 에틸셀룰로스와 같은 부도체성 폴리머에 카본블랙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본블랙이 복합체의 전기전도도 변화 기여체이다. 알코올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증기압을 가진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잘 반응할 수 있다.
광음향 분광 센서는 레이저 펄스를 가스에 비추어주면 가스에서 열팽창/수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음파가 발생된다. 입사되는 빛의 파장을 바꾸어 가면서 발생되는 음파의 크기 변화 특성을 분석하게 되면 다양한 가스 성분별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광음향 분광 센서는 공진기 등을 이용한 수신 음파 증폭 기술과 잡음을 제어하는 기술을 감도 향상기술에 활용하고 있으며, ppt 이하의 초소량의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광음향 분광 센서는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더욱더 신뢰성 높고 감도가 좋은 냄새 및 가스 감지를 할 수 있다.
광음향 분광 센서는 사람의 코의 기능과 같이 실시간 연속적으로 가스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의 표면 플라즈몬(SPs)은 금속 매질의 표면에서 동일한 에너지와 운동량, 동일한 위상(in-phase)을 갖고 진동하는 전하 밀도의 양자화된 집단적 운동이다.
표면 플라즈몬의 운동량은 주어진 에너지에 대해 금속 매질과 이에 접하는 유전 매질(dielectric media)의 굴절률과 흡수 특성, 즉 매질의 유전함수(dielectric func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일 국소적으로 금속 매질의 계면에 접한 유전 매질의 굴절률 혹은 두께의 변화가 있다면 표면 플라즈몬의 운동량은 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에너지원(energy source)에 대해 특정 조건에서 표면 플라즈몬이 이를 공명 흡수하는 경우가 생겨나는데, 이를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흡수라고 한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는 조사되는 광원(light source)의 파장이나 입사 각도를 조절하여 국소적으로 변화된 굴절률에 따른 공명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데, 금속 매질과 접해있는 유전 매질(기체, 액체 등)의 국소적인 굴절률 변화를 광원의 입사 조건, 즉 입사 각도나 파장에 따른 함수로 알아내는 조건을 찾는 것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의 기본적인 원리일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의 국소적인 굴절률의 변화를 보기 위한 방법은 주어진 파장에서 입사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과 입사 각도를 고정하고 다색 광원을 사용하여 파장의 변화를 보는 방법과 입사광의 파장과 입사 광원을 고정하고, 2차원 면 광원을 조사하여 반사율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표현하는 방법(표면 플라즈몬 공명 이미징)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마다 센서를 구성하는 각 매질의 유전 특성(dielectric property)과 그 구조에 따라 센서의 성능 지수(FOM)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를 구성하는 금속의 종류와 박막의 두께, 그리고 입사 광원의 파장과 입사 각도 등 필요한 파라미터를 적절히 선택하여 센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캔틸레버 센서는 단일 가스분자를 검출할 수 있는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가스 내 가스분자가 마이크로 캔틸레버 표면에 흡착하면 마이크로 캔틸레버 무게 변화에 따라 진동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가스분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가스분자에 결합하는 항체 분자로 마이크로 캔틸레버를 코팅하면 분석하고자 하는 가스분자를 분석할 수 있어서 우수한 선택성을 얻을 수 있다.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는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즉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는 특정한 냄새에 대해 특유의 색으로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는 바이러스 기반의 컬러 필름을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 센서부(100)의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300)는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200)의 명령에 의해 화재 경보를 알릴 수 있다.
알림부(300)는 모니터, 모바일 기기의 액정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어, 소리를 통해 위험을 알리는 경보기, 모바일 단말기기로 화재 위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어부(200)가 감지 센서부(100)의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화재를 예측할 시 알림부(300)를 통해 화재 위험을 사용자 또는 소방서로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소방서는 화재 위험을 예측하여 화제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화재 발생을 대비하여 빠르게 준비를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100)의 바이러스가 특정한 색으로 발현될 시 알림부(300)를 통해 사용자 또는 소방서에 화재 위험성을 경고하여 화제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화재 발생을 대비하여 빠르게 준비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은 감지 단계(S1), 화재 예측 단계(S2) 및 화재 경고 단계(S3)를 포함한다.
감지 단계(S1)는 감지 센서부(100)가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화재 예측 단계(S2)는 제어부(200)가 감지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감지 단계(S1)와 화재 예측 단계(S2)의 사이에서 감지 센서부(100)는 감지 센서부(100)의 나노벨트, 나노막매, 나노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나노 구조체를 갖는 산화물과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계 가스의 산화/환원 반응의 발생 시 제어부(2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 단계(S1)와 화재 예측 단계(S2)의 사이에서 감지 센서부(100)는 가스 흡착에 의해 감지 센서부(100)의 폴리머가 부풀어 오름으로써 전도성 폴리머의 전기적 특성이 바뀌거나 폴리머가 코팅된 캔틸레버소자의 공진주파수가 바뀌게 되면 제어부(2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 단계(S1)와 화재 예측 단계(S2)의 사이에서 감지 센서부(100)는 가스에 의해 감지 센서부(100)의 열팽창/수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음파의 발생 시 제어부(2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 단계(S1)와 화재 예측 단계(S2)의 사이에서 감지 센서부(100)는 감지 센서부(100)의 금속 매질과 접해있는 유전 매질(기체, 액체 등)의 국소적인 광원 굴절률 변화 시 제어부(2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 단계(S1)와 화재 예측 단계(S2)의 사이에서 감지 센서부(100)는 가스 내 가스분자가 감지 센서부(100)의 마이크로 캔틸레버 표면에 흡착하여 마이크로 캔틸레버 무게 변화에 따라 진동 공진 주파수가 변화할 시 제어부(200)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감지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를 분석한 데이터와의 동일 퍼센트를 비교하여 소정의 퍼센트 이상 동일 시 화재 발생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화재 예측 단계(S2)에서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100)의 색상 변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 할 수 있다.
즉 감지 센서부(100)는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특정한 냄새에서 바이러스 특유의 색을 발현하고 이러한 바이러스의 발현된 색을 통해 역으로 제어부(200)가 특정한 냄새를 판단할 수 있다. 결국 화재 발생 시 발생되는 특정한 냄새 및 가스에서 바이러스가 발현될 수 있는 특유의 색 정보를 제어부(200)에 설정하고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100)의 바이러스 색과 기 설정된 색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부(200)가 화재를 예측할 수 있다.
화재 경고 단계(S3)는 제어부(200)가 화재 발생을 예측하면 알림부(300)로 전기 신호를 보내 화재 발생을 경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알림부(300)는 모니터, 모바일 기기의 액정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어, 소리를 통해 위험을 알리는 경보기, 모바일 단말기기로 화재 위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 관리자 또는 소방서, 경찰서, 119센터 등과 같은 관공서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은 냄새를 통해 화재를 미리 예측하여 화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은 냄새를 통해 화재를 미리 예측하여 화재를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감지 센서부
200: 제어부
300: 알림부

Claims (11)

  1.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 센서부의 감지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화재 경보를 알리는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금속산화물 센서, 폴리머 센서, 광음향 분광 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마이크로 캔틸레버 센서 및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러스 기반 냄새 센서의 색상 변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디스플레이어, 경보기, 원격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
  5. 감지 센서부가 냄새 및 가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감지 센서부의 감지 정보를 제어부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화재 예측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화재 발생을 예측하면 알림부로 전기 신호를 보내 화재 발생을 경고하는 화재 경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나노벨트, 나노막매, 나노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화물과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계 가스의 산화/환원 반응의 발생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전도성 폴리머의 전도도 변화 발생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의 음파 발생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광원의 굴절률 변화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와 상기 화재 예측 단계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진동 공진 주파수의 변화 시 상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재 예측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의 색상 변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KR1020200187965A 2020-12-30 2020-12-30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KR10256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965A KR102564429B1 (ko) 2020-12-30 2020-12-30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965A KR102564429B1 (ko) 2020-12-30 2020-12-30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38A true KR20220095938A (ko) 2022-07-07
KR102564429B1 KR102564429B1 (ko) 2023-08-07

Family

ID=8239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965A KR102564429B1 (ko) 2020-12-30 2020-12-30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39A (ko) * 2019-09-27 2019-10-11 채령 조기화재 검지센서 단말기
KR102084884B1 (ko) * 2019-07-10 2020-03-04 에이치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 예방 감지 시스템
KR102155294B1 (ko) * 2020-03-05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84B1 (ko) * 2019-07-10 2020-03-04 에이치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 예방 감지 시스템
KR20190115439A (ko) * 2019-09-27 2019-10-11 채령 조기화재 검지센서 단말기
KR102155294B1 (ko) * 2020-03-05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429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ur et al. Fire sensing technologies: A review
CN109579091B (zh) 传感器启用抽油烟机***和方法
US6166647A (en) Fire detector
US2008003035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s detection
CA2058928C (en) Simple fire detector
US7214939B1 (en) Ultra low power NDIR carbon dioxide sensor fire detector
JPS60228940A (ja) 軽減されたガス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08625A1 (en) Infrared sensor
JPS6061651A (ja) ガス混合体の成分の選択的な測定のための装置
EP3084396A1 (en) Gas detector
EP3084404B1 (en) Gas detector clogging detection
CN112638480A (zh) 支持传感器的抽油烟机
Nebiker et al. Photoacoustic gas detection for fire warning
KR102661027B1 (ko) 고감도 냄새 센서를 이용한 사전 화재 예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예측 방법
KR102564429B1 (ko)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
Kanakam et al. Electronic noses: Forestalling fire disasters: A technique to prevent false fire alarms and fatal casualties
Sulthana et al. Review Study on Recent Developments in Fire Sensing Methods
CN111272701A (zh) 一种基于金属氧化物纳米晶的气体传感器及其使用方法
Palamar et al. Fire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701965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ire detection
Warmack et al. Home Smoke Alarms
WO2010019025A2 (en) Ga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2945929B2 (ja) 可燃性ガスの光識別検知方法および光吸収検知材
Ayeni et al. IoT-Based Gas and Smoke Detection System using Blynk application with Automatic SMS and Alarm Notifications
CN118294385A (zh) 基于光声光谱技术的电力电缆火灾早期预警方法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