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521A -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521A
KR20220095521A KR1020200187127A KR20200187127A KR20220095521A KR 20220095521 A KR20220095521 A KR 20220095521A KR 1020200187127 A KR1020200187127 A KR 1020200187127A KR 20200187127 A KR20200187127 A KR 20200187127A KR 20220095521 A KR20220095521 A KR 20220095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ower sensor
cushioning material
signal
materi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645B1 (ko
Inventor
윤상조
이훈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KR102020018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6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하부센서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로 구성되어,상기 제1 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로 구성하되,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되되,상기 하부센서는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부센서는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며,외부면의 하부는 외주연으로 확장되도록 구성하고,상기 하부센서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을 받을 경우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함체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Leakage detection senso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센서함체부, 완충재커버 및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의 누수감지센서는 도9에 도시된 것으로 베이스부(10), 도전라인(20), 커버부(30), 양면접착테이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전라인(20), 상기 도전라인(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부(30), 및 상기 커버부(30)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싱홀(40)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라인(20)은 부식과 오작동 방지를 위해 상기 도전라인(20)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 및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21)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 및 대칭되게 배치된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21)의 내측으로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21)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을 포함하며, 2개 베이스부(10)는 후술하는 도전라인(20)이 배치되는 층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라인(20)은 베이스부(10)의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체로서, 전기가 흐를 때 누수가 되는 경우 합선이 되어 누수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라인(20)은 주도전라인(21)과 부도전라인(22)을 포함할 수 있다.
주도전라인(21)은 전술한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2개의 주도전라인(21)은 일단이 도선 등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일례로, 도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도전라인(21)은 베이스부 (10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은 주도전라인(2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누수 감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은 대칭으로 배치된 주도전라인(2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은 일측의 주도전라인(21)으로부터 돌출한 부도전라인(22)과 타측의 주도전라인(21)으로부터 돌출한 부도전라인(22)이 서로 하나 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의 교차 패턴은 한쌍의 도전라인 (200)의 간격을 좁혀 한쪽 도전라인(20)만을 타고 흐르는 누수나 미량의 누수라도 양쪽의 부도전라인(22)에 좀 더 용이하게 감지되게 하여 누수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도전라인(22)의 교차 패턴은 후술하는 하나의 센싱홀 (40)을 투과하는 누수의 위치를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팅층은 도전라인(20)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부식 방지와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라인(20)은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습도나 금속, 금속성 분진, 인체 등의 접촉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실제 누수가 아닌 경우에도 누수로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코팅층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누수나 습도 등으로부터 도전라인(20)의 부식 등을 방지하고 도전라인(20)을 보호하여 도전라인(2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관이음부 전부에 대하여 감아야 하는 단점과 복잡한 구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왔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074337(2011.10.17)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15-0136644(2015.12.08)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610053(2016.04.07)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08-0056531(2008.06.23)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보호커버에는 체크밸브를 구성하고 보호커버의 내부에는 완충를 구성하여 센서함체부를 삽입함으로써 밀봉효과와 누설로 인한 압력을 받을때 완충재에 구성한 센서함체부의 누수감지센서가 즉시 신호선을 단선시키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작업현장에서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서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신호선의 접속에 따른 정확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누설되는 액체가 오직 하부센서로부터 상부센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하여 누설되는 즉시 센서가 단선이 되는 해당 개소를 확인할 수 있어 관이음부의 누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하부센서;
상기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하부센서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로 구성하되,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부센서는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부센서는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며,
외부면의 하부는 외주연으로 확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을 받을 경우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센서함체부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2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철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요부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에 배치된 각각의 두개의 신호선은 단부 부분에 각각 신호1선단자 및 신호2선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상응하도록 상기 상부센서는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각각 신호1선연결단자 및 신호2선연결단자를 구성 및 결합하여 각각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 및 상기 제2하부센서는 각각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의 빈공간을 구성하여 액체가 삽입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켜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센서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 형태가 되도록 벽면을 구성하되,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항의 센서함체부를 관이음부에 누수감지하도록 구성된 커버부의 내부벽부에 센서함체삽입부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함체부를 상기 센서함체삽입부에 삽입하되,
상기 센서함체부의 하부는 내부로 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부의 상부는 외부로 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관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누수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센서가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완충재커버를 구성한다.
상기 완충재커버의 상부에 상기 완충재커버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재의 외부에 구성하되,
체크밸브를 구성하도록 체크밸브삽입홀부를 구성하는 보호커버를 가진다.
여기서 완충재커버에 구성된 상기 센서함체부는 상기 관이음부에서 누설된 액체가 상기 하부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센서로 압력을 주어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센서가 이탈되고,
누설된 액체는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에 구성한 체크밸브를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체크밸브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구성을 갖도록 체크밸브삽입홀부를 구성하는 보호커버를 가진다.
누수감지센서를 보호커버에 구성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누수감지센서는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로 결합하여 구성하되,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를 결합하는 하부센서결합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의 신호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센서와 결합하는 상하부센서결합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의 신호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한 상기 상부센서를 센서함체부에 삽입하는 센서함체부삽입단계;
상기 센서함체부의 하부는 외주연방향으로 확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센서함체부의 내부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완충재커버의 센서함체삽입부에 결합하되,
상기 하부센서는 상기 완충재커버의 내부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상부센서는 관이음부에 구성한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입하는 완충재커버결합단계;
상기 완충재커버에서 상기 하부센서로부터의 누설압력이 상기 상부센서를 이탈시킨후에 상기 누설된 압력이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로 향하도록 구성하는 보호커버의 체크밸브삽입홀부과 결합하는 체크밸브결합단계를 포함한 누수감지센서를 센서함체부에 삽입하고 완충재커버와 체크밸브를 보호커버에 결합하는 누수감지센서 결합방법을 가진다.
발명의 제1효과는 보호커버에는 체크밸브를 구성하고 보호커버의 내부에는 완충재커버를 구성하여 센서함체부를 삽입함으로써 밀봉효과와 누설로 인한 압력을 받을때 완충재커버에 구성한 센서함체부의 누수감지센서가 즉시 신호선을 단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발명의 제2효과는 작업현장에서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서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신호선의 접속에 따른 정확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발명의 제3효과는 누설되는 액체가 오직 하부센서로부터 상부센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하여 누설되는 즉시 센서가 단선이 되는 해당 개소를 확인할 수 있어 관이음부의 누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a도는 하부센서가 서로 이격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가 서로 결합되어있는 것으로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상부센서로 제1하부센서와 제2하부센서에 있는 신호단자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이다.
제3a도는 센서함체부의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센서함체부의 측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센서함체부 내에 하부감지센서가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이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4c도는 제4a도에 상부센서를 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상부완충재커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하부완충재커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6a도는 관과 관이음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b도는 완충재커버를 감싸고 있는 보호커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6c도는 보호커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6d도는 완충재커버에 센서함체부를 삽입하고 보호커버에 체크밸브를 삽입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6e도는 보호커버의 관의 표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수밀이 되도록 패킹재를 부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체크밸브의 외형을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체크밸브의 상부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7c도는 체크밸브의 하부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누수감지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배경기술이 되는 도이다.
도면1a 내지 도2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누수감지센서는 제1하부센서(100) 및 제2하부센서(200)를 결합하고 상부에 상부센서(300)을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100) 및 제2하부센서(200)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100) 및 제2하부센서(200)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의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300)로 누수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1a의 우측도면에 의하면 상기 제2하부센서(200)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철부(230,240)를 구성한다.
도면1a의 좌측도면에 의하면 상기 제1하부센서(100)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요부(130,140)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철부(230,240)와 결합요부(130,140)사이에는 억지끼움마춤방식 또는 상하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를 결합한다음 신호선을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센서(300)와 결합하며,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에 배치된 각각의 두개의 신호선은 단부 부분에 각각 신호1선단자(115,215) 및 신호2선단자(125,225)를 구성한다.
상기 신호1선단자(115,215) 및 상기 신호2선단자(125,225)에 상응하도록 상기 상부센서(300)는 상기 신호1선단자(115,215) 및 상기 신호2선단자(125,225)에 상응하는 구성을 요부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각각 신호1선연결단자(315a,315b) 및 신호2선연결단자(325a,325b)를 구성 및 결합하여 각각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1선연결단자(315a,315b)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315a와 315b는 대략 ㄷ 자형으로 선이 연결되어있어 신호1선단자 115와 215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신호2선연결단자(325a,325b)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325a와 325b는 대략 ㄷ 자형으로 선이 연결되어있어 신호2선단자 125와 225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센서는 각단자로 이어지는 신호연결선(315,325)이 연결되어있어 하부센서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것이다.
작업현장에서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서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신호선의 접속에 따른 정확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결합요부(130,140) 및 결합철부(230,240)에 의하여 구성된 상기 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300)는 누설액체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이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액체의 팽창압력은 상기 제1하부센서(100) 및 상기 제2하부센서(200)는 각각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152,154)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252,254)의 빈공간을 구성하여 액체가 삽입하는 압력에 의하여 상부에 구성된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여 액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이탈되어 단선된다. 이로 인하여 관이음부가 누액되고 있다는 사실을 단선이 일어나고 있는 부위를 서버에서 확인함으로써 누액이 발생하는 즉시 사고위치를 확인하여 측각적인 사후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제까지는 누수감지센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3a 내지 도7c에 의하여 설명하면 상기의 누수감지센서를 센서함체부(400)에 삽입하여 관이음부에 구성된 완충재커버(700)의 내부원주면에 구성된 센서함체삽입부(715)에 삽입하는 것이다.
보호커버(500)는 내부에 구성된 완충재커버(700)와 관(800)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밀폐부재(540)로 인하여 밀봉구성하여 관이음부(810)에서 누설되는 액체는 반드시 하부센서의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152,154)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252,254)의 빈공간을 통과하여 완충재커버(700)의 외주연부에 구성한 상부센서(300)를 이탈시키고 이후에 누설되는 액체는 체크벨브(600)를 통하여 보호커버(500)의 외부로 흘러가도록 구성한다.
보호커버(500)외부에서 내부로 수분이 진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부센서(300)는 하부센서와 결합하면 하부센서 하면으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누설되는 빈공간이 없도록 구성한다.
즉 하부센서(100,200)는 누설되는 액체가 흘러가도록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부센서(300)는 오직 해당되는 액체의 압력을 받도록 수밀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500)는 완충재커버 및 관이음부를 감싸기 위하여 반원형의 보호커버(500)를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결합으로 수밀하게 되도록 고무패킹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갖고 있는 것으로 구성한다.
보호커버는 보호커버결합볼트홀(550)을 통하여 볼트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 및 상기 상부센서(300)를 결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센서함체부(400)를 가진다.
센서함체부는 상기 하부센서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 형태지도록 벽면을 구성하되,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하부센서도 테이퍼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구성한 것은 센서함체부(400)는 완충재커버의 내측면에 구성한 센서함체삽입부(715)에 삽입되어있어 관이음부(810)로부터 어느정도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어 하부센서는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있어 하부센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완충재커버(700)는 관이음부(810)의 주변부인 관으로부터 수밀이 요구된다.
즉 센서함체부(400)의 하부는 완충재커버(700)의 센서함체삽입부(715)에 부착되는 곳으로 관이음부(810)에서 흘러나온 액체(물,기름,화학약품 등등)가 압력에 의하여 상부센서(300)를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이 가해지면 상부센서 (300)는 완충재커버(700)의 센서함체삽입부(715)에 위치하게 되는데 충분하게 이탈되도록 상부센서(300)가 삽입된 면과 상기 완충재커버(700)을 둘러싼 보호커버(500)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거리를 충분하게 구성하여 상부센서(300)를 단선이 되도록 이탈시키는 구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센서함체부(400)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하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여 완충재커버(700)의 센서함체삽입부(715)에 삽입하고 완충재커버(70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00)에는 체크밸브(600)가 구성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센서함체부(400)에 상기 하부센서와 상기 상부센서(300)를 결합하여 삽입하고 난 후에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완충재커버(700)의 센서함체삽입부(715)에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완충재커버(700)은 상부완충재커버(710)와 하부완충재커버(720)로 구성하여 결합한다.
상기 완충재커버(700)의 외부에는 보호커버(500)를 가진다.
보호커버의 내부직경은 완충재커버의 외부커버의 직경보다 더 작게 구성하여
완충재커버를 보다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타이트하게 구성하여 완충재커버가 관이음부(810) 주변부로 부터 수밀이 더 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호커버(500)도 관(800)과 밀접하게 구성하여 수밀이 요구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500)에는 상기 체크밸브(600)를 구성하도록 체크밸브삽입홀부(5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500)의 내주면에는 체크밸브삽입홀부(510)을 각각 구성한다.
여기서 센서함체부(400)는 관이음부(810)에서 나온 액체가 상기 하부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센서(300)로 압력을 주어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센서 (300)가 이탈되고 누설된 액체는 보호커버(500)에 구성한 상기 체크밸브(600)를 개방하도록 하여 외부에서는 물이 흘러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보호커버(50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a 내지 도7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의 체크밸브(6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노즐부( 610)은 보호커버의 체크밸브삽입홀부(5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체크밸브의 하부에 해당하는 체크밸브하부(620)는 내부면쪽으로 구성되어있어 보호커버의 내부압력이 일정한 수준이 되었을 경우에 상부센서(300)를 이탈되도록 한 누설된 액체가 체크밸브하부(620)로 이동되어 액체흐름부(630)로 일정한 압력이상을 가할 경우 외부로 누설된 액체를 흘려보낸다.
이렇게 구성한 것은 외부의 수압에 의하여 내부로 흘러들어오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하기와 같은 방법을 가진다.
누수감지센서는 상부센서(300) 및 하부센서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100) 및 제2하부센서(200)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를 결합하는 하부센서결합단계(S100)를 갖는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의 신호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센서(300)와 결합하는 상하부센서결합단계(S200)를 갖는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의 신호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한 상기 상부센서(300)를 센서함체부(400)에 삽입하는 센서함체부(400)삽입단계(S300)를 갖는다.
상기 센서함체부(400)의 하부는 함체부외주연부(410)로 확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센서함체부(400)의 내부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완충재커버(700)의 센서함체삽입부(715)에 결합한다.
상기 하부센서는 상기 완충재커버(700)의 내부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상부센서(300)는 관이음부(810)에 구성한 상기 완충재커버(700)의 외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입하는 완충재커버결합단계(S400)를 갖는다.
상기 완충재커버(700)에서 상기 하부센서로부터의 누설압력이 상기 상부센서(300)를 이탈시킨후에 상기 누설된 압력이 체크밸브(600)를 통해 외부로 향하도록 구성하는 보호커버(500)의 체크밸브삽입홀부(510)과 결합하는 체크밸브결합단계(S500)를 포함한 누수감지센서를 완충재커버(700)와 체크밸브(600)를 보호커버(500)에 결합하는 누수감지센서 결합방법을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제1하부센서 110,210:신호1선 115,215:신호1선단자
130,140:결합요부 152,154: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
200:제2하부센서 120,220:신호2선 125,225:신호2선단자
230,240:결합철부 252,254: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
300:상부센서 315,325:신호연결선
315a,315b:신호1선연결단자 325a,325b:신호2선연결단자
400:센서함체부 410:함체부외주연부
500:보호커버 510:체크밸브삽입홀부 540:밀폐부재
550:보호커버결합볼트홀
600:체크밸브 610:노즐부 620:체크밸브하부 630:액체흐름통로
700:완충재커버 710:상부완충재커버 715:센서함체삽입부
720:하부완충재커버 800:관 810:관이음부

Claims (9)

  1. 하부센서;
    상기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하부센서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로 구성하되,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여 센서함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부센서는 상기 센서함체부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부센서는 상기 센서함체부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센서함체부 외부면의 하부는 외주연으로 확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을 받을 경우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철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요부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에 배치된 각각의 두개의 신호선은 단부 부분에 각각 신호1선단자 및 신호2선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상응하도록 상기 상부센서는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각각 신호1선연결단자 및 신호2선연결단자를 구성 및 결합하여 각각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센서 및 상기 제2하부센서는 각각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의 빈공간을 구성하여 액체가 삽입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켜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함체부는 상기 하부센서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 형태가 되도록 벽면을 구성하되,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함체부는 관이음부에 누수감지하도록 구성된 완충재커버의 내부벽부에 센서함체삽입부를 삽입구성하여,
    상기 센서함체부를 상기 센서함체삽입부에 삽입하되,
    상기 센서함체부의 하부는 상기 완충재커버의 내부로 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부의 상부는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로 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관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누수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센서가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되어 단선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커버의 상부에 상기 완충재커버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재의 외부에 보호커버를 구성하되,
    상기 보호커버에 체크밸브를 구성하도록 체크밸브삽입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커버에 구성된 상기 센서함체부는 상기 관이음부에서 누설된 액체가 상기 하부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센서로 압력을 주어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센서가 이탈되고,
    누설된 액체는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에 구성한 체크밸브를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체크밸브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구성을 갖도록 상기 보호커버에 체크밸브삽입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9. 누수감지센서는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로 결합하여 구성하되,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를 결합하는 하부센서결합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의 신호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센서와 결합하는 상하부센서결합단계;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의 신호선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한 상기 상부센서를 센서함체부에 삽입하는 센서함체부삽입단계;
    상기 센서함체부의 하부는 외주연방향으로 확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센서함체부의 내부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완충재커버의 센서함체삽입부에 결합하되,
    상기 하부센서는 상기 완충재커버의 내부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상부센서는 관이음부에 구성한 상기 완충재커버의 외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입하는 완충재커버결합단계;
    상기 완충재커버에서 상기 하부센서로부터의 누설압력이 상기 상부센서를 이탈시킨후에 상기 누설된 압력이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로 향하도록 구성하는 보호커버의 체크밸브삽입홀부과 결합하는 체크밸브결합단계를 포함한 누수감지센서를 완충재커버와 체크밸브를 보호커버에 결합하는 누수감지센서 결합방법.

KR1020200187127A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10265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27A KR102657645B1 (ko)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27A KR102657645B1 (ko)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21A true KR20220095521A (ko) 2022-07-07
KR102657645B1 KR102657645B1 (ko) 2024-04-17

Family

ID=8239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127A KR102657645B1 (ko)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64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019A (ko) * 2004-03-24 2005-09-29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JP2006078389A (ja) * 2004-09-10 2006-03-23 Toyoko Kagaku Co Ltd 漏水検知装置
KR100660649B1 (ko) * 2005-12-13 2006-12-22 주식회사 위스코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KR20080056531A (ko) 2006-12-18 2008-06-23 주식회사 위스코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090067303A (ko) * 2007-12-21 2009-06-25 윤상조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10-17 김영식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150136644A (ko) 2014-05-27 2015-12-08 코웨이 주식회사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수처리기기
KR101610053B1 (ko) 2015-11-10 2016-04-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누수감지센서
KR20180113400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20190092107A (ko) * 2018-01-30 2019-08-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019A (ko) * 2004-03-24 2005-09-29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JP2006078389A (ja) * 2004-09-10 2006-03-23 Toyoko Kagaku Co Ltd 漏水検知装置
KR100660649B1 (ko) * 2005-12-13 2006-12-22 주식회사 위스코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KR20080056531A (ko) 2006-12-18 2008-06-23 주식회사 위스코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090067303A (ko) * 2007-12-21 2009-06-25 윤상조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10-17 김영식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150136644A (ko) 2014-05-27 2015-12-08 코웨이 주식회사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수처리기기
KR101610053B1 (ko) 2015-11-10 2016-04-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누수감지센서
KR20180113400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20190092107A (ko) * 2018-01-30 2019-08-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645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923B1 (ko) 센서칩을 구비하는 센서유닛,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압력검출장치
US7316154B1 (en) Seals with integrated leak progression detection capability
US8166829B2 (en) Method and system of an ultrasonic flow meter transducer assembly
CN101353961A (zh) 井眼测井探测器及其制造方法
EP3345271B1 (en) Dual output subsea sensor connection assembly, sensor assembly and subsea cable harness
KR20220095521A (ko)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US20190033156A1 (en) Refrigerant circuit component
EP2250409B1 (en) Seals with integrated leak progression detection capability
KR20070117382A (ko)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KR20220095553A (ko)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63A (ko)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US20220170812A1 (en) Pressure seal with built in testing system
US10240425B2 (en) Connection assembly, sensor assembly and subsea cable harness
US11293825B2 (en) Pressure sensor with improved sealing
KR200412983Y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230020273A (ko) 센서함체부 및 이를 이용한 누수감지센서
JP6781259B2 (ja) 圧力センサ
JP7431094B2 (ja) 圧力センサ
TWI806215B (zh) 洩漏偵測感知器及其適用之洩漏偵測系統
JP6698044B2 (ja) 圧力センサ
JP6456314B2 (ja) 冷媒回路構成部品
CN116066762A (zh) 泄漏检测感知器及其适用的泄漏检测***
JP2024030758A (ja) 配線シート
JP2019090651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