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449A -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449A
KR20220093449A KR1020200184161A KR20200184161A KR20220093449A KR 20220093449 A KR20220093449 A KR 20220093449A KR 1020200184161 A KR1020200184161 A KR 1020200184161A KR 20200184161 A KR20200184161 A KR 20200184161A KR 20220093449 A KR20220093449 A KR 2022009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noodles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716B1 (ko
Inventor
정동관
Original Assignee
정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관 filed Critical 정동관
Priority to KR102020018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716B1/ko
Priority to CN202180075816.9A priority patent/CN116438118A/zh
Priority to PCT/KR2021/013293 priority patent/WO2022145634A1/ko
Publication of KR2022009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본 발명은 비빔용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바쁜 현대인들은 간편한 식생활을 추구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섭취하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 중에 라면은 식사대용이나 간식으로 남녀노소 모두가 선호하는 식품으로, 최근 지속적으로 라면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라면 중에서도 컵라면은 별도의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만 부어서 간단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간 및 공간에 제약이 있는 소비자들이 많이 소비하고 있다.
또한, 컵라면은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국물이 있는 컵라면뿐만 아니라 짜장면, 비빔면, 라볶기 등과 같이 국물이 없는 면 요리를 컵라면을 통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빔용 컵라면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물이 없는 컵라면의 조리 방식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용기 내에 내장된 건조된 면을 부드럽게 복원시키고, 면이 복원되면 용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 제품에 별첨된 여러 소스를 면에 비벼 섭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비빔용 컵라면 용기는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에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면이 뜨거운 물에 의해 복원되면 사용자는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을 찔러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을 통해 용기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 후 각종 소스를 면에 비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사용자가 뚜껑의 배출공을 뾰족한 물건으로 일일이 찔러서 배출공을 형성하고, 용기를 파지하여 기울여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뜨거운 물을 배출하야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용기 내부의 뜨거운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뜨거운 물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용기를 기울여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뚜껑이 열려 내부의 면이 쏟아질 수 있으며, 배출공을 통해 면의 일부가 소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 후 각종 소스를 이용하여 면에 비빌 때, 용기 내부에 어느 정도의 물기 남아 있어야 면에 소스가 잘 묻으면서 용이하게 비벼질 수 있다. 그러나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이 적을 경우는 소스로 면을 비비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반대로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는 소스에 비벼진 면에 국물이 너무 많아 맛이 싱거워지고 비빔면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컵라면은 스트로폼이나 종이로 된 단열재 용기 내에 건조된 면과 스프 등과 같은 내용물을 내장하고, 용기 상부에 뚜껑을 접착하여 용기를 밀폐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컵라면 용기는 코팅된 종이나 폴리에틸렌 소재의 단열성이 높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를 드는 경우에는, 용기에 담겨진 뜨거운 물의 열감이 강하게 전달되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컵라면은 그 특성상, 취식하는 경우에는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용기를 들고 이동하거나 용기를 손에 들로 먹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상 더욱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는 2중 구조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기에 대한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가 구비된 특성상, 용기에 담겨진 뜨거운 물의 열기에 대한 단열성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외피가 단순히 단열성을 높이는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그 제작에 따른 비용과,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것에 비하여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54395호 (등록일자 2019.12.04.) 등록특허공보 제10-1838195호 (등록일자 2018.03.07.) 등록특허공보 제10-1490983호 (등록일자 2015.02.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서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안전하게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있어,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라면의 면발을 불린 후, 물을 배출하여 면을 각종 소스에 비비는 중간에 물을 손쉽게 증가시킬 수 있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특징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용기(20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는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용기(100)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 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일측면에 외부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도록 스코어링(scoring)을 갖는 접이선(221)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선(221)으로 접이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하다.
둘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서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안전하게 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컵라면 용기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 쏟아지는 것과 일부의 면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있어,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라면의 면발을 불린 후, 물을 배출하여 면을 각종 소스에 비비는 중간에 물을 손쉽게 증가시킬 수 있어, 소스로 면을 비빌 수 있는 적당량의 물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언제나 용이하게 비빌 수 있으며, 맛있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넷째,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b)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 스프 및 각종 소스 등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상기 상부가 개방된 외부 용기(100)를 밀폐하는 뚜껑(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은 유연한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용기(100)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필름,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용기(100)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또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등에 폴리에틸렌 코팅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팅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용기(20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며,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 용기(200)는 몸통부(210)와,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21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230)는 상기 몸통부(210)에 바닥면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통부(210)의 옆면 하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21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210)의 외부 너비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너비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21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때, 상기 몸통부(210)의 외주면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부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손잡이부(220)의 형상은 막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일측면에 외부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도록 스코어링(scoring)을 갖는 접이선(2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이선(221)으로 접이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를 분리시킨 후 상기 외부 용기(100)의 외주면 구비되는 접착 부재(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0)가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용기(200)는 하부에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외주면을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200)와 상기 외부 용기(100)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켜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 용기(200)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 용기(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 용기(200)의 외주면이 하나의 면으로 연장되고, 분리면의 둘레를 따라 미세한 타공 슬릿이 반복되어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분리 시에 상기 타공 슬릿을 절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200)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또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등에 폴리에틸렌 코팅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팅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용기(100)는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 용기(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에 뚜껑을 접착하여 밀폐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의 전체 높이는 몸통부(210) 및 손잡이부(220)를 구비하는 상기 내부 용기(200)의 전체 높이보다 높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최상단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내부 용기(200)에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해 수용된 물은 모두 몸통부(210)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230)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내부 용기(200)의 몸통부(210)의 하단에는 상기 몸통부(210)의 전체 면적만큼의 수용공간이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100)의 상측에 상기 내부 용기(200)의 손잡이부(220)가 걸쳐져야 하므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의 전체 높이는 상기 내부 용기(200)의 몸통부(210) 높이보다 최소 2배 이상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사용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2(a)(b)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는 건조된 면(20)과 (야채)스프가 수용되어 있다.
이에,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 건조된 면(20)을 익기기 위한 뜨거운 물(10)을 담아, 수용공간에 내장된 건조된 면(20)을 부드럽게 복원시킨다.
이후,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가 상부로 분리되면서, 상기 내부 용기(200)에 담겨져 있는 물(10)은 상기 내부 용기(20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230)를 통해 하단에 있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는 뜨거운 물(10)에 의해 복원된 면(20)과 스프가 담겨지고, 대부분의 물(10)은 배출구(230)를 통해 하단의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30)는 면발(20)의 두께 및 (야채)스프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으로 구성되어 물(10)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나 스프가 함께 배출되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0)에 구비된 손잡이부(220)를 접이선을 따라 외부 방향으로 접은 후, 접혀진 손잡이부(220)의 일면을 상기 외부 용기(1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접착 부재(1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20)가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 각종 소스를 넣은 후 면(20)을 각종 소스에 비비서 면을 섭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담겨져 있는 물(10)에 상기 내부 용기(200)의 하단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 담겨지는 물(10)의 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소스로 면(20)을 비빌 수 있는 적당량의 물(10)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소스와 면(20)을 비빌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의 하단에는 뜨거운 물(10)을 저장하는 외부 용기(100)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라면을 섭취하는 중에도 면(20)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면(20)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20)을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비빔용 컵라면에 적용된 실시예로만 기재하였으나, 이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한정하여 기재하고 있는 것일 뿐,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티백이나, 찻잎을 걸러지도록 하는 차 거름망을 구비하는 찻잔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종이컵과 현재 카페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중인 일회용컵(예, 602, 802, 1302, 1602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물 20: 라면
100: 외부 용기 110: 접착 부재
200: 내부 용기 210: 몸통부
220: 손잡이부 221: 접이선
230: 배출구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포함되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20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는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220)를 포함하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100)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 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일측면에 외부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도록 스코어링(scoring)을 갖는 접이선(221)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선(221)으로 접이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KR1020200184161A 2020-12-28 2020-12-28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KR10248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61A KR102482716B1 (ko) 2020-12-28 2020-12-28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CN202180075816.9A CN116438118A (zh) 2020-12-28 2021-09-29 筛漏式碗面容器
PCT/KR2021/013293 WO2022145634A1 (ko) 2020-12-28 2021-09-29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61A KR102482716B1 (ko) 2020-12-28 2020-12-28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49A true KR20220093449A (ko) 2022-07-05
KR102482716B1 KR102482716B1 (ko) 2022-12-28

Family

ID=8225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161A KR102482716B1 (ko) 2020-12-28 2020-12-28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82716B1 (ko)
CN (1) CN116438118A (ko)
WO (1) WO202214563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71U (ja) * 1983-06-18 1985-01-10 上田 吉雄 汁もの食品持ち帰えり容器の形状と構成
KR20140092614A (ko) * 2013-01-16 2014-07-24 이정민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KR101838195B1 (ko) 2016-04-29 2018-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20180039511A (ko) * 2016-10-10 2018-04-18 최용선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102054395B1 (ko) 2018-10-11 2019-12-10 주식회사농심 컵라면용 이중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070U (ja) * 1991-05-28 1992-12-07 大阪瓦斯株式会社 二重底食品容器
KR20160019413A (ko) * 2013-04-09 2016-02-19 엘리아스 하다드 피티와이 엘티디 포장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71U (ja) * 1983-06-18 1985-01-10 上田 吉雄 汁もの食品持ち帰えり容器の形状と構成
KR20140092614A (ko) * 2013-01-16 2014-07-24 이정민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KR101490983B1 (ko) 2013-01-16 2015-02-11 이정민 이중 물 배출구조를 갖는 컵라면 용기
KR101838195B1 (ko) 2016-04-29 2018-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20180039511A (ko) * 2016-10-10 2018-04-18 최용선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102054395B1 (ko) 2018-10-11 2019-12-10 주식회사농심 컵라면용 이중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38118A (zh) 2023-07-14
KR102482716B1 (ko) 2022-12-28
WO2022145634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6698A1 (en) Container cover with integrated compartments
KR20220093449A (ko)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101838195B1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102286237B1 (ko) 간편식 국수
KR102054395B1 (ko) 컵라면용 이중용기
KR20180039511A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US20130175197A1 (en) Outer package for securely supporting cup-shaped product onc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outer package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KR20180064249A (ko)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KR200286315Y1 (ko) 컵라면 뚜껑을 이용한 그릇
EP1300343A1 (en) Food container
KR102649388B1 (ko) 누름 뚜껑구조 용기
JP3238743U (ja) 食用具材最中
CN215456091U (zh) 一种便携式食物杯中杯
CN210823353U (zh) 一种汤面分离打包盒
KR20210041750A (ko) 가열이 가능한 일회용 라면용기
JP3544363B2 (ja) 容器入り食品
KR20180070040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CN210619002U (zh) 方便营养快餐套装
CN211618615U (zh) 一种便携式多功能茶包装置
JP3229944U (ja) 替え玉付きカップ麺
KR20180131890A (ko) 다용도 믹스 트랜스 뚜껑 종이컵
JP3163390B2 (ja) 容器入りサラダ
WO2023078867A1 (en) Container for f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