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058A -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058A
KR20220093058A KR1020220076364A KR20220076364A KR20220093058A KR 20220093058 A KR20220093058 A KR 20220093058A KR 1020220076364 A KR1020220076364 A KR 1020220076364A KR 20220076364 A KR20220076364 A KR 20220076364A KR 20220093058 A KR20220093058 A KR 20220093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shift
gea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687B1 (ko
Inventor
다이 나카무라
준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0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0000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0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66471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770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169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2009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058A/ko
Priority to KR102023012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 A01B33/065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comprising a plurality of rotors carried by an elongate, substantially closed transmission casing, transversely connectable to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구동측 회전 부재와 종동측 회전 부재와 클러치 조작 부재와, 압박 스프링의 배치 구조를 연구하여, 작업 케이스부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미션 케이스를,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의 사양의 다양화를 도모하기 쉬운 구조로 하고,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미션 케이스 전체의 부품 개수의 증가나 중량 증가를 피하도록 한다. 또한, 복수개의 기어 쌍에 의한 각 변속단의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개소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마진을, 각 기어 쌍마다의 전달 토크에 따른 크기로 하여, 변속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작업 케이스부(4) 내의 작업 클러치(8)이 구동측 회전 부재(80)과, 종동측 회전 부재(81)과, 압박 스프링(82)을 구비하고,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외주측의 걸림 결합부(81c)에 걸림 결합하고, 압박 스프링(82)에 저항하여 종동측 회전 부재(81)을 구동측 회전 부재(80)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 가능한 클러치 조작 부재(83)을 구비하고, 압박 스프링(82)은 클러치 조작 부재(83)과 걸림 결합부(81c)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 반경 방향에서의 내방 측에 장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케이스부(3)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모종 이식 장치 또는 파종 장치에 변속하여 전달하는 식파계 변속 기구를 내장한 식파 작업 케이스부(4)가 구비되고, 파종 작업 케이스부(4)는, 메인 케이스부(3)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메인 케이스부(3)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메인 케이스부(3)와 파종 작업 케이스부(4)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시 맞물림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기어 쌍과, 기어 쌍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쌍을 선택하는 변속 조작체(1070)를 구비하고, 변속 조작체(1070)는, 기어 쌍을 구성하는 전동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전동 기어를 걸림 결합 대상으로서 택일적으로 결합 분리 가능한 변속 키 부분(1071)을 구비하고, 걸림 결합 대상의 전동 기어에 대한 변속 키 부분(1071)의 걸림 결합 마진은, 복수의 기어 쌍 중에서, 주간 피치 또는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한 기어 쌍이 선택될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TRANSMISSION DEVICE OF PADDY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포장을 주행 이동 가능한 주행 기체에, 주행 구동계에 변속 동력을 출력하는 메인 케이스부와, 작업 장치로 변속 동력을 출력하는 작업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작업 케이스부에, 작업계 변속 기구로부터 작업 구동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 가능한 작업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는 작업기의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을 주행 이동 가능한 주행 기체에, 지면에 대하여 모종 이식을 행하는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볍씨를 뿌리는 직파 장치 등의 작업 장치를 구비한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을 주행 이동 가능한 주행 기체에, 지면에 대하여 모종 이식을 행하는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볍씨를 뿌리는 직파 장치 등의 작업 장치를 구비한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 클러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 구조의 것에서는, 구동측 회전 부재와 종동측 회전 부재의 걸림 결합 개소와, 종동측 회전 부재에 대한 클러치 조작 부재의 걸림 결합 개소와, 압박 스프링이, 작업 케이스부 내의 출력축의 축선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었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직파 장치 등의 식파계의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수전 작업기에서는,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의 동력을 시비 장치에도 공급하기 위한, 시비 동력의 취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수전 작업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1]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있다.
[1] 미션 케이스의 내부에 주행 구동계의 변속 기구와 주(株)간 변속 기구가 내장되고, 미션 케이스의 후방부에 시비 구동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륜 구동용의 주행 전동축이 시비 구동 케이스를 관통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주행 전동축의 도중에서 시비 장치를 향하여 구동력을 분기 전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한편,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직파 장치 등의 식파계의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수전 작업기에서는,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의 동력을, 주행 구동계와는 별도로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직파 장치에도 공급하기 위한 동력 취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수전 작업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2]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있다.
[2] 미션 케이스의 내부에, 주행 구동계의 주행 부 변속부와, 모종 이식 장치에 대한 제1, 제2 주(株)간 변속부가 내장되어 있다. 주행 부 변속부에서 변속된 동력은, 출력축 및 전동 체인을 거쳐 전륜 및 후륜에 출력되고, 제1, 제2 주간 변속부에서 변속된 동력은, 동력 취출축을 거쳐 모종 이식 장치에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2 주간 변속부에서는, 복수개의 기어 쌍이 사용되고, 각 변속부에 구비한 변속 키(특허문헌에서는, 클러치체)에서 대상의 기어 쌍이 선택됨으로써, 다단의 주간 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73087호 공보(단락 번호 「0038」, 「0039」, 도 5, 도 7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23110호 공보(단락 번호 「0086」, 「0092」, 「0094」, 도 9, 도 13, 도 14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9399호 공보(단락 번호 「0032」, 「0036」, 「0038」, 「0050」, 도 3, 도 4, 도 6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기의 전동 장치에서는, 구동측 회전 부재의 축선 방향 길이와, 종동측 회전 부재의 축선 방향 길이와, 압박 스프링의 축선 방향 길이의 총합에 상당하는 스페이스가 작업 케이스부 내의 출력축 상에 필요해져, 전동 장치를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 케이스부 내에 있어서의 구동측 회전 부재와 종동측 회전 부재와 클러치 조작 부재와, 압박 스프링의 배치 구조를 고안하여, 작업 케이스부의 더 한층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수전 작업기에서는, 미션 케이스와는 별도로 시비 구동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시비 구동 기구도 미션 케이스 내에 내장하는 경우에 비하여, 미션 케이스 자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미션 케이스 내부에는, 주행 구동계의 변속 기구 외에, 주간 변속 기구도 장비되어 있으므로, 미션 케이스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시비 구동 케이스를 미션 케이스와는 별도로 구비하면, 시비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사양의 수전 작업기에서는 시비 구동 케이스를 떼어내고, 시비 장치를 구비하는 사양의 수전 작업기에만 시비 구동 케이스를 장비시킨다고 하는 것처럼, 수전 작업기의 사양에 따른 구조를 얻기 쉽다는 점에서는 유리하다.
그러나, 미션 케이스와 시비 구동 케이스를, 서로 독립된 다른 케이스에 의해 구성하면, 사양의 다양화를 도모하기 쉬운 편리성이 있는 반면, 각 케이스마다, 그 내부에서 베어링 구조나 시일 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 개수의 증가를 초래하기 쉽다. 또한, 케이스끼리의 접속 개소에서는, 접속 부분에서 대향하는 벽면끼리 접속되어, 이중벽 구조로 되기 때문에 전체 중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고, 이들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미션 케이스를,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의 사양의 다양화를 도모하기 쉬운 구조로 함과 함께,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미션 케이스 전체의 부품 개수의 증가나 중량 증가를 피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수전 작업기에서는, 각 변속단의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개소에 있어서, 각각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부위의 구조가 모두 거의 동일한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어 쌍에 대한 변속 키의 걸림 결합은, 복수개의 기어 쌍 중 어느 것을 걸림 결합 대상으로서 선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변속용 기어인 각 기어 쌍은, 변속비에 따라 기어 직경이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고, 변속단마다 전달 토크도 상이한 구조의 것이다. 이로 인해, 전달 토크가 작아도 되도록 설정된 기어 쌍과, 전달 토크가 크게 설정된 기어 쌍은, 소요 토크에 따라 소요 강도도 상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조의 것에서는, 변속 키에 대한 모든 기어 쌍의 걸림 결합 마진이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최대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기어 쌍에 맞게, 모든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마진을 크게 설계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즉, 상정되는 전달 토크가 작은 변속단의 기어 쌍에서는, 변속 키의 걸림 결합 마진이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커진 구조의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 쌍 중 소직경측의 전동 기어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마진을 크게 하면, 그 걸림 결합 마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동 기어 자체가 대직경화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소직경측의 전동 기어 직경이 커지면, 거기에 맞물리는 대직경측의 전동 기어 직경도 필연적으로 커져, 기어 쌍의 전체가 대형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어 쌍에 의한 각 변속단의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개소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마진을, 각 기어 쌍마다의 전달 토크에 따른 크기로 하여, 변속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전동 장치의 특징은, 입력된 엔진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를 구비하여 주행 구동계에 변속 동력을 출력하는 메인 케이스부와, 상기 메인 케이스부를 거쳐 입력된 엔진 동력을 변속하는 작업계 변속 기구를 내장하고, 작업 장치로 변속 동력을 출력하는 작업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케이스부에는, 상기 작업계 변속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을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하는 작업 구동축과, 상기 작업계 변속 기구로부터 상기 작업 구동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 가능한 작업 클러치가 내장되고, 상기 작업 클러치는,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상측에서 상기 작업계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측 회전 부재와, 그 구동측 회전 부재보다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서 상기 작업 구동축에 외부 끼움되어, 상기 작업 구동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측 회전 부재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구동측 회전 부재와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는, 각각의 대향면에 맞물림 상태에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구동측 회전 부재에 대하여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가, 상기 작업 구동축의 축선 방향을 따라 원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측 회전 부재측으로 향하여 가압 압박하는 압박 스프링이 상기 작업 구동축에 외부 끼움되어 설치되고, 이 압박 스프링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측 회전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 가능한 클러치 조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의 외주측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측 회전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압박 스프링은,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에서의 내방 측에 장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동측 회전 부재에 대한 압박 스프링의 맞닿음 위치를, 클러치 조작 부재와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개소의 존재 위치에 따른 제약을 받을 일 없이 걸림 결합 개소보다 반경 방향에서의 내방 측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소요 길이의 압박 스프링을 사용하면서도, 종동측 회전 부재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을 짧게 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의 상기 맞물림부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수용부가, 상기 작업 구동축의 축선 방향에서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 상기 맞물림부가 형성된 상기 대향면측 근처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수용부가, 작업 구동축의 축선 방향에서 클러치 조작 부재와 상기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 맞물림부가 형성된 대향면측 근처 개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측 회전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종동측 회전 부재와 압박 스프링을 중복시켜, 확실하게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압박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작업 케이스부의 내면측에 있어서의 고정부와의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작업 구동축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부측보다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권취 직경이 큰 원뿔대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압박 스프링이 신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굴곡되는 등의 변형이 되기 어려워져, 스프링력을 적확하게 발휘시키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압박 스프링은,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의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지지되는 측의 권취 직경이 반대측의 권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반대측의 권취 직경은, 상기 압박 스프링의 내주면이 상기 작업 구동축의 외주면에 맞닿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스프링 수용부에 지지되는 측의 권취 직경을 크게 하고, 반대측의 권취 직경을 작게 하여 작업 구동축의 외주면에 맞닿을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압박 스프링을, 특별한 고정용 부재의 부가를 요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작업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작업 구동축의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의 회전 축심 둘레에서 조작되는 조작 핀과, 상기 작업 케이스부의 외측에 노출된 부위의 상기 조작 핀의 축 단부에 설치한 조작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 케이스부에, 상기 조작 플레이트의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조작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클러치 조작 부재의 조작성을 손상시킬 일 없이, 작업 케이스부로부터의 빠져 나감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작업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 범위에 상당하는 범위에서, 상기 조작 플레이트의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서의 조작을 허용할 수 있는 가이드 부분을 구비한 것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클러치 조작 부재의 작업 케이스부로부터의 빠져 나감을 규제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그 클러치 조작 부재에 의한 조작 범위를 적절하게 인지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작업 구동축은,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와 일체 회전하는 출력 전동 축체와, 그 출력 전동 축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상기 출력 전동 축체보다 전동 방향 상측의 동력이 전달되는 통상 축체에 의한 이중축 구조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 축체 중, 가장 전동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메인 케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출력용 베벨 기어의 통 보스 내주측에 삽입되고, 그 가장 전동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상기 통상 축체의 내주측 통로가, 상기 메인 케이스부 내와 상기 이중축 구조 부분 간을 접속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메인 케이스부 내의 출력용 베벨 기어의 통 보스 내주측의 공간과, 통상 축체의 내주측 통로와, 출력 전동 축체와 통상 축체의 이중축 구조 부분을 유효 이용하여, 메인 케이스부 내의 윤활유를 작업 케이스부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 축체는, 상기 출력 전동 축체의 축선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로 분단되고, 그 분단된 각 통상 축체에, 당해 통상 축체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축선 방향 길이가 긴 출력 전동 축체를 사용해도, 그 도중에 존재하는 통상 축체끼리의 간극을 이용하여, 적당한 윤활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의 특징은, 입력된 엔진 동력을 변속하는 주 변속 기구와, 그 주 변속 기구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여 주행 구동계에 출력하는 부 변속 기구를 장비하는 메인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모종 이식 장치 또는 파종 장치에 변속하여 전달하는 식파계 변속 기구를 내장한 식파 작업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파계 변속 기구를 내장하여 모종 이식 장치 또는 파종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식파 작업 케이스부를, 주행 구동계에 동력을 출력하는 주 변속 기구나 부 변속 기구가 장비된 메인 케이스부와는 별도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의 주요부인 메인 케이스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합되는 식파계 변속 기구의 사양을 여러 종류로 선택 가능하고, 사양의 다양성이 풍부한 수전 작업기를 얻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메인 케이스부와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시킨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부 자체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하나의 밀폐 케이스로서 구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완전 개별적인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같은, 접속 개소에서 대향하는 벽면 부분이 이중 구조로 되어 중량이 증가한다거나, 축 지지 구조나 시일부가 수없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기 전동 기구를 내장하여 상기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분립체 공급 장치에 분기 전동하는 분기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 케이스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 상기 분기 케이스부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 전동 기구를 내장하여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분립체 공급 장치에 분기 전동하는 분기 케이스부를, 주행 구동계에 동력을 출력하는 주 변속 기구나 부 변속 기구가 장비된 메인 케이스부와는 별도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의 주요부인 메인 케이스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합되는 분기 전동 기구의 사양을 여러 종류로 선택 가능하고, 사양의 다양성이 풍부한 수전 작업기를 얻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메인 케이스부와 분기 케이스부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시킨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부 자체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조합되어 연결된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하나의 밀폐 케이스로서 구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완전 개별적인 케이스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같은, 접속 개소에서 대향하는 벽면 부분이 이중 구조로 되어 중량이 증가한다거나, 축 지지 구조나 시일부가 수없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파계 변속 기구는,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메인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걸치는 변속 조작축과, 그 변속 조작축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상기 변속 조작축에 지지된 시프트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기어의 변속 조작에 수반하는 슬라이드 조작 범위가,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메인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걸쳐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메인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도 시프트 기어의 변속 조작에 수반하는 슬라이드 조작 범위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프트 기어의 변속 조작에 수반하는 슬라이드 조작 범위 중, 식파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 내 설정해야 할 공간의 용적을 삭감할 수 있고, 식파 작업 케이스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 케이스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된 주행 구동계의 주행용 전동축에 외부 끼움되어, 그 주행용 전동축을 지지하는 입력측 통상부와,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분기 구동축에 외부 끼움되어, 그 분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출력측 통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측 통상부가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측 통상부는 상기 입력측 통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 구동축보다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가까운 측의 상기 입력측 통상부 내에,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가 장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를 분기 구동축보다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먼 측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분기 구동축보다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먼 측에 있어서의 입력측 통상부의 공간을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분기 케이스부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가 상기 분기 구동축에 지지되고,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는,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는, 상기 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의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의 위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를 주행용 전동축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분기 케이스부를 메인 케이스부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분기 케이스부의 조립 분해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의 대향 개소에 형성되는 상기 분기 케이스부의 개구부는,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 지지된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것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를 주행용 전동축에 지지시킨 채로 분기 케이스부의 개구부로부터 출납할 수 있으므로, 분기 케이스부에 대한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 및 주행용 전동축의 조립 분해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 구동축의 입력측의 단부는, 상기 분기 케이스부에 형성된 출력측 개구에 대하여 삽입 인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분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분기 구동축에 있어서의 입력측의 단부의 삽입 한계 위치에 상당하는 개소이고, 상기 분기 구동축의 입력측의 단부에 맞닿는 위치에 상기 주행용 전동축이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분기 케이스부에 대한 분기 구동축의 입력측의 단부 위치를 위치 결정하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부 변속 기구는,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변속축과,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변속축에 걸쳐,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과, 작업 주행에 적합한 저속용의 기어 쌍이 구비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측 변속축 상에서, 상기 기어 쌍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시프트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시프트 부재는, 상기 하측 변속축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각 기어 쌍 중,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기어의 존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물림 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부재의 양측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기 하측 기어의 각각에는, 상기 시프트 부재의 상기 맞물림 치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오목부 중,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기어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하측 변속축에 외부 끼움되는 상기 하측 기어의 축 지지 구멍과 이어지는 형상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하측 기어의 맞물림 오목부는, 하측 기어의 축 지지 구멍과 동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맞물림 오목부의 위치를, 하측 변속축의 축 직경에 극한까지 근접시킨 소직경의 것으로 할 수 있고, 고속용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하측 기어를 보다 소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속용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감속비를 높이기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하측 기어의 축 지지 구멍과 이어짐으로써, 맞물림 오목부의 형상도 심플한 것으로 하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행 구동계의 동력이 전달되는 차축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차축 케이스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전동축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전동 상측의 베벨 기어 쌍과, 상기 전동축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전동 하측의 베벨 기어 쌍이 구비되고, 또한 각 베벨 기어 쌍이 감속 전동되는 것임과 함께, 상기 전동 상측의 베벨 기어 쌍보다 상기 전동 하측의 베벨 기어 쌍에 있어서의 감속비가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차축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동축의 상하 양측에서 감속됨과 함께, 그 전동축의 상하 양측에 있어서도, 전동 상측의 베벨 기어 쌍보다 전동 하측의 베벨 기어 쌍에 있어서의 감속비가 크다. 이에 의해, 전동 하측의 최종 출력 개소에 가까운 부위에서의 감속비를 가능한 한 크게 하고, 그것보다 상류측에 있어서의 토크 경감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의 특징은, 엔진 동력을 변속하여 모종 이식 장치 또는 파종 장치로 전달하는 식파계 변속 기구가 식파 작업 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식파계 변속 기구는, 전동 상측의 입력측 전동축과 전동 하측의 출력측 전동축에 걸쳐 상시 맞물림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기어 쌍과, 상기 기어 쌍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쌍을 선택하여 동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변속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조작체는, 상기 기어 쌍을 구성하는 전동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전동 기어를 걸림 결합 대상으로서 택일적으로 결합 분리 가능한 변속 키 부분을 구비하고, 걸림 결합 대상의 상기 전동 기어에 대한 상기 변속 키 부분의 걸림 결합 마진은, 복수의 상기 기어 쌍 중에서, 상기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상기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한 상기 기어 쌍이 선택될수록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어 쌍 중에서,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한 기어 쌍이 선택될수록, 걸림 결합 대상의 전동 기어에 대한 변속 키 부분의 걸림 결합 마진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한 기어 쌍일수록 큰 전달 토크를 요하는 것임을 고려하여, 그 주간 피치 또는 파종 피치를 짧게 한 부위의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마진을, 주간 피치 또는 파종 피치가 긴 부위에 있어서의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마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변속단의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마진을 각 기어 쌍마다의 전달 토크에 따른 크기로 하고, 주간 피치 또는 파종 피치가 긴 부위에 있어서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마진의 낭비 부분을 생략함으로써 최대한 소직경화되는 것이 가능해져, 전체 구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측 전동축 또는 상기 출력측 전동축의 축선 방향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전동 기어끼리 사이에, 상기 입력측 전동축 또는 상기 출력측 전동축의 축선 방향에서의 간격을 설정하는 복수의 칼라가 배치되고, 상기 칼라끼리의 간격은, 상기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상기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한 상기 기어 쌍이 존재하는 개소일수록, 상기 전동 기어에 대한 상기 변속 키 부분의 걸림 결합량이 많아지도록 넓은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기어끼리의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칼라를 이용하여, 그 칼라끼리의 간격을 광협 변경함으로써,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칼라끼리의 간격의 광협 변경에 의해, 그 칼라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는 변속 키 부분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전동 기어에 대한 걸림 결합량도 변화하므로, 칼라끼리의 간격을 변경하기만 한 간단한 구조로 전동 기어에 대한 변속 키 부분의 걸림 결합량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측 전동축 또는 상기 출력측 전동축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전동 기어끼리의 간격은, 상기 칼라끼리의 간격을 넓힌 개소에 존재하는 상기 전동 기어끼리의 간격보다도, 상기 칼라끼리의 간격을 좁힌 개소에 존재하는 상기 전동 기어끼리의 간격이 좁혀져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측 전동축 또는 상기 출력측 전동축의 축선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 쌍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선 방향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기어 쌍을 구성하는 전동 기어의 치부끼리의 간격으로서는, 칼라끼리의 간격을 넓힌 개소에 존재하는 전동 기어의 치부끼리의 간격보다도, 칼라끼리의 간격을 좁힌 개소에 존재하는 전동 기어의 치부끼리의 간격이 좁혀져 있다.
이에 의해, 칼라끼리의 간격과 함께, 전달 토크의 작은 부위에 있어서의 전동 기어의 치부끼리의 간격도 좁혀진 상태로 하여, 보다 한층 식파계 변속 기구를 콤팩트화하여, 식파 작업 케이스부 내에 배치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속 조작체는, 상기 변속 키 부분과, 그 변속 키 부분을 상기 입력측 전동축 또는 상기 출력측 전동축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여, 걸림 결합 대상이 되는 상기 전동 기어에 대한 걸림 결합 위치를 선택 조작하는 슬라이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키 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조작부에 대한 연결 개소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상기 슬라이드 조작부에 의한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는 교차하는 상기 전동 기어와의 걸림 결합 방향에서 요동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변속 조작체로서, 전동 기어에 대한 걸림 결합 위치를 선택 조작하는 슬라이드 조작부와, 슬라이드 조작부에 대한 연결 개소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슬라이드 조작부에 의한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는 교차하는 전동 기어와의 걸림 결합 방향에서 요동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변속 키를 사용함으로써, 변속 키에 의한 걸림 결합 깊이를, 각 기어 쌍마다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 변속 조작체가 장비된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조작부의 지지부에서는, 슬라이드 조작부의 복잡한 요동 작동을 행하는 것에 대응시킬 필요가 없는, 단순한 슬라이드 조작에 대응할 수 있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시일 구조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변속 조작체는, 상기 변속 키 부분을 걸림 결합 대상의 상기 전동 기어측에 눌러 압박하는 탄성 압박 기구를 구비하고, 이 탄성 압박 기구에 의한 누름 압박 개소는, 복수의 상기 기어 쌍보다도 상기 요동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상기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하고 있는 상기 기어 쌍일수록, 상기 탄성 압박 기구에 의한 누름 압박 개소로부터 상기 요동 지점측 근처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변속 키 부분을 걸림 결합 대상의 전동 기어측에 눌러 압박하는 탄성 압박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변속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기어 쌍에 대한 변속 키의 걸림 결합 깊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압박 기구에 의한 누름 압박 개소는, 복수의 기어 쌍보다도 요동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정되고,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한 주간 피치 또는 파종 장치에 의한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하고 있는 기어 쌍일수록, 탄성 압박 기구에 의한 누름 압박 개소로부터 요동 지점측 근처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레의 작용으로 주간 피치 또는 파종 피치를 짧게 설정하고 있는 기어 쌍일수록, 탄성 압박 기구에 의한 누름 압박 작용이 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기어 쌍과 변속 키의 걸림 결합 개소에, 큰 토크가 작용한 경우에도, 변속 키가 기어 쌍과의 걸림 결합 개소로부터 간단하게 풀릴 가능성이 적어진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력 전달 계통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3은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메인 케이스부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주간 케이스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분기 케이스부의 수평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메인 케이스부에 대한 주간 케이스부와 분기 케이스부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부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시프트 부재와 하측 기어의 맞물림 부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이식 클러치의 조작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이식 클러치의 조작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륜측의 차축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동력 전달 계통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13은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메인 케이스부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14는 부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시프트 부재와 하측 기어의 맞물림 부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메인 케이스부에 대한 주간 케이스부와 분기 케이스부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주간 케이스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주간 케이스부에 있어서의 식파계 변속 기구의 상하 방향에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식파계 변속 기구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이식 클러치의 조작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이식 클러치의 조작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분기 케이스부의 수평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주간 변속용 레버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패턴 표시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버 가이드부의 패턴 표시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이 기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승용형 이앙기 등의 작업기(주행 기체(1))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도 1, 2에 있어서의 화살표 F 참조)이 「전」, 후진측으로의 진행 방향(도 1, 2에 있어서의 화살표 B 참조)이 「후」, 그 전후 방향에서의 전향 자세를 기준으로 한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 3에 있어서의 화살표 R 참조)이 「우」, 마찬가지로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 3에 있어서의 화살표 L 참조)이 「좌」이다.
[전체 구성]
도 1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전동 장치를 적용한 일례이고, 지면에 대하여 모종 이식을 행하는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볍씨를 뿌리는 직파 장치 등의 작업 장치(식파계 작업 장치)를 구비한 수전 작업기의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기체 프레임(10)의 하방에, 주행 구동 장치로서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및 구동 가능한 전륜(11F)과, 좌우 한 쌍의 구동 가능한 후륜(11R)을 구비하고, 기체 프레임(10)에 탑재된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전륜(11F)과 후륜(11R)이 구동되는 자주식의 주행 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에는, 엔진(E)을 내장한 원동부(13)가 운전부 플로어(14) 상에서 기체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다. 원동부(13)의 후방측에서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 중앙부의 운전부 플로어(14) 상에, 전륜(11F)을 조향 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15) 및 운전 좌석(12)을 가진 탑승 운전부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2)의 후방부에는, 시비 장치(9)(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함)가 탑재되어 있다. 시비 장치(9)는, 비료 탱크(90)에 저류시킨 비료를, 도시하지 않은 조출 장치로부터 소정량씩 조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공급 경로를 거쳐 모종 이식 장치(2)에 장비한 작구기(91)에 보내어, 포장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후방측에는, 승강 작동용의 유압 실린더(26)를 가진 링크 기구(25)를 통하여 모종 이식 장치(2)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용형 이앙기는, 모종 이식 장치(2)에 의해 포장에 대한 벼 등의 모종의 이식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원동부(13)의 좌우 양측에, 전후 이동 가능할 정도의 좌우 방향의 간격을 두고 예비 모종의 적재대(17)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는, 승강 작동용의 유압 실린더(26)를 가진 링크 기구(25)를 통하여 모종 이식 장치(2)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용형 이앙기는, 모종 이식 장치(2)에 의해 포장에 대한 벼 등의 모종의 이식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모종 이식 장치(2)는 4조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21), 그 전동 케이스(21)의 후방부의 우측 및 좌측의 횡측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식 케이스(22), 이식 케이스(22)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이식 아암(23)(이식 갈고리 구동 기구), 접지 플로트(24), 및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의 적재대(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모종의 적재대(20)가 좌우로 왕복 횡이송 구동됨에 수반하여, 이식 케이스(22)가 회전 구동되고, 모종의 적재대(20)의 하부로부터 이식 아암(23)이 교대로 모종을 취출하여 밭 면에 이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에는, 전륜(11F)을 축 지지한 미션 케이스(M)가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프레임(10)의 후방부에는, 후륜(11R)을 좌우에 장비한 차축 케이스(19)가 지지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M)로부터는 전방을 향하여 전방 프레임(10F)이 연장되고, 이 전방 프레임(10F)에 엔진(E)이 횡방향으로 탑재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M)의 좌우 양측에는, 차축 케이스(16)가 좌우 양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좌우의 전륜(11F, 11F)이 설치되어 있다.
후륜(11R)의 차축 케이스(19)는,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프레임(10A, 10A)의 하측에, 서스펜션 스프링(18)을 통하여 좌우 각각 별도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좌우 롤링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계]
엔진(E)의 동력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M)에서의 동력 전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션 케이스(M)에 입력된 엔진(E)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M) 내에서, 전륜(11F) 및 후륜(11R) 등을 구동하기 위한 주행 구동계와, 식파계 작업 장치로서의 모종 이식 장치(2) 또는 파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작업 장치 구동계와, 시비 장치(9)를 구동하기 위한 시비 구동계로 분기하여 출력된다.
미션 케이스(M)는, 주행 구동계의 부 변속 기구(3A) 등을 내장하는 메인 케이스부(3)와, 그 메인 케이스부(3)의 후방부측에 배치된 주간 케이스부(4)(작업 케이스부, 식파 작업 케이스부에 상당함)와 케이스부(5)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 케이스부(4)는, 메인 케이스부(3)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모종 이식 장치(2)에 변속하여 전달하는 주간 변속 기구(4A)(작업계 변속 기구, 식파계 변속 기구에 상당함)를 내장하고, 분기 케이스부(5)는, 메인 케이스부(3)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시비 장치(9)에 분기 전동하는 분기 전동 기구(5A)를 내장하고 있다.
엔진(E)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M)에 있어서의 메인 케이스부(3)의 외벽부에 장착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펌프축(60a)에 전달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모터축(61a)으로부터 메인 케이스부(3)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30)의 내부로 입력된다. 즉,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는 무단의 주 변속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주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력이 미션 케이스(M) 내에서 더 변속된다.
[주행 구동계]
우선, 주행 구동계의 전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E)의 동력은, 벨트 전동 기구(62)를 통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변속 입력축인 펌프축(60a)에 전달되어 유압 펌프(60)가 회전 구동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변속 출력축인 모터축(61a)이, 메인 케이스부(3)의 케이스 본체(30) 내에 있어서의 제1 변속축(31)(상측 변속축에 상당함)에, 스플라인 감합 상태로 접속되고, 모터(6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변속축(31)이 회전 구동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변속축(31)에는, 주행 구동계의 상측 저속 기어(31a)와, 상측 고속 기어(31b)가 일체 회전하도록 장비되고, 또한 작업 장치 구동계의 감속 전동용의 출력 기어(31c)가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변속축(31) 중, 모터축(61a)에 연결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케이스 본체(30)의 측벽(30b)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부(33a)를 구비한 연장축(33)의 통 보스부(33b)에 삽입 끼움되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연장축(33)은, 통 보스부(33b)의 외주부에 이식 전동 기어(33c)를 구비하고, 측벽(30b)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부(33a)에 제1 외부 기어(36a)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감속 전동용의 출력 기어(31c) 및 이식 전동 기어(33c)는, 후술하는 제2 변속축(32)에 회전 가능하게 헐겁게 끼우게 한 중계 기어(32f)에 맞물려져 있다.
제1 변속축(31)과 평행한 축심을 가진 제2 변속축(32)(하측 변속축에 상당함)이, 케이스 본체(30)에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변속축(32)에는, 상측 저속 기어(31a)와 맞물리는 하측 저속 기어(32a)(하측 기어에 상당함)와, 상측 고속 기어(31b)와 맞물리는 하측 고속 기어(32b)(하측 기어에 상당함)가 제2 변속축(3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측 저속 기어(31a)와 하측 저속 기어(32a)의 기어 쌍, 및 상측 고속 기어(31b)와 하측 고속 기어(32b)의 기어 쌍, 그리고 이들 기어 쌍끼리의 사이에서 제2 변속축(32)에 축 지지된 시프트 부재(34)를 구비함으로써 부 변속 기구(3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쌍 중, 상측 저속 기어(31a)와 하측 저속 기어(32a)의 조합이 작업 주행에 적합한 저속용의 기어 쌍이고, 상측 고속 기어(31b)와 하측 고속 기어(32b)의 조합이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이다.
시프트 부재(34)는, 제2 변속축(32)에 스플라인 감합하여, 제2 변속축(32)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제2 변속축(32)의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각 기어 쌍에 대향하는 시프트 부재(34)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 기어 쌍 중,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저속 기어(32a) 및 하측 고속 기어(32b)가 존재하고 있는 좌우 양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맞물림 치부(34a, 34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시프트 부재(34)와 대향하는 위치의, 하측 저속 기어(32a)와 하측 고속 기어(32b)의 각각에는, 시프트 부재(34)의 맞물림 치부(34a, 34b)에 대하여 택일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32c, 32d)가 형성되어 있다.
시프트 부재(34)의 맞물림 치부(34a, 34b) 중, 직경이 큰 하측 저속 기어(32a)에 대향하는 측의 맞물림 치부(34a)는, 시프트 부재(34)의 외주 에지 부근에서, 제2 변속축(32)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반대측의 직경이 작은 하측 고속 기어(32b)에 대향하는 측의 맞물림 치부(34b)는, 시프트 부재(34)의 내주 에지 부근에서, 제2 변속축(32)의 외주면에 근접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맞물림 오목부(32c, 32d) 중, 하측 저속 기어(32a)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32c)는, 이것에 대향하는 위치의 시프트 부재(34)측의 맞물림 치부(34a)에 맞물림 가능한 형상으로, 제2 변속축(32)의 외주면으로부터는 이격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고속 기어(32b)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32d)는, 이것에 대향하는 위치의 시프트 부재(34)측의 맞물림 치부(34b)에 맞물림 가능한 형상으로, 제2 변속축(32)의 외주면에 가까운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고속 기어(32b)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32d)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변속축(32)에 외부 끼움되는 하측 고속 기어(32b)의 축 지지 구멍(32e)과 연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측 고속 기어(32b)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32d)를, 제2 변속축(32)의 외주면에 극한까지 근접시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시프트 부재(34)는, 그 시프트 부재(34)를 안은 상태에서 지지하는 조작판(34c)과, 그 조작판(34c)과 일체로 고정된 조작 로드(34d)를 사용하여, 케이스 본체(30)의 외부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로드(34d)를 가장 케이스 본체(30) 내로 압입한 위치가, 작업 주행에 적합한 저속용의 기어 쌍을 시프트 부재(34)가 선택한 위치이며, 조작 로드(34d)를 가장 케이스 본체(30)의 외측으로 인출한 위치가,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을 시프트 부재(34)가 선택한 위치이다. 시프트 부재(34)가 어느 기어 쌍도 선택하지 않은 중간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가 중립 위치이다.
시프트 부재(34)를 통하여 제2 변속축(32)에 전달된 동력은, 제2 변속축(32)에 고정된 연동 기어(35a)를 통하여, 전륜 출력 기어(35b)에 전달된다. 전륜 출력 기어(35b)는, 전륜 구동축(63)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통 부재(35c)의 우측단측의 외주부에 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통 부재(35c)의 좌측단측은, 외주부에 스플라인 감합한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35d)의 보스부를 통하여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70)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 출력 기어(35b)가 구동되면, 통 부재(35c)를 통하여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35d)와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70)가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70)의 회전에 수반하여 좌우의 전륜 구동축(63)이 회전 구동되고,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35d)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것에 맞물리는 후륜 입력용 베벨 기어(64a) 및 후륜 출력축(64)(주행용 전동축에 상당함)이 회전 구동된다.
전륜 출력 기어(35b)의 보스부 우측단에는,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7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구동축(63)에 외부 끼움되는 미끄럼 이동 통(71)의 좌측 단부에도, 상기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71a)에 결합 분리 가능한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미끄럼 이동 갈고리부(7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미끄럼 이동 갈고리부(71b)는, 케이스 본체(30)를 관통하여 설치된 디퍼렌셜 기어 로크 조작 핀(72)의 회동 조작에 의해 결합 분리 조작된다. 즉, 디퍼렌셜 기어 로크 조작 핀(72)의 회동 조작에 의해 미끄럼 이동 통(71)이 전륜 구동축(63)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전륜 출력 기어(35b)의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71a)에 대하여 결합 분리 작동한다.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미끄럼 이동 갈고리부(71b)가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71a)에 걸림 결합한 디퍼렌셜 기어 로크 상태에서는, 디퍼렌셜 기어 장치(7)에 의한 차동이 로크된다.
[작업 장치 구동계]
상술한 주행 구동계와는 별도로, 식파계 작업 장치의 모종 이식 장치(2)에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 장치 구동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종 이식 장치(2)로의 동력은, 메인 케이스부(3)의 후방부에 설치된 주간 케이스부(4) 내의, 주간 변속 기구(4A) 및 이식 클러치(8)(작업 클러치에 상당함)를 통하여, 주간 케이스부(4)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출력 전동 축체(42)로부터 취출되어, 후방의 모종 이식 장치(2)에 전달된다.
도 4,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간 케이스부(4)는, 메인 케이스부(3)의 케이스 본체(30)와는 별체로 구성된 주간 케이스 본체(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간 케이스 본체(40)는 메인 케이스부(3)에 대하여 연결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간 케이스부(4)와 메인 케이스부(3)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40a, 30a)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부(3)로부터 주간 케이스부(4) 내로의 동력 전달은, 케이스 본체(30)의 좌우의 측벽(30b, 30b)에 걸쳐 설치한 작업계 전동축(37)과, 작업계 전동축(37)에 고정된 베벨 기어(37a)와, 그 베벨 기어(37a)에 맞물리는 출력용 베벨 기어(38)를 통하여 행해진다.
작업계 전동축(37)으로는, 케이스 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업계 전동축(37)의 축 부분에 설치한 제2 외부 기어(36b)를, 연장축(33)의 케이스 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 부분에 설치한 제1 외부 기어(36a)와 맞물리게 하고 있고, 이에 의해 동력 전달이 행해진다.
주간 케이스부(4) 내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긴 작업 구동축(41)(변속 조작축에 상당함)이, 주간 케이스부(4)의 전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작업 구동축(41)은, 후방의 모종 이식 장치(2)로의 전동축(27)이 연결되는 출력 전동 축체(42)와, 그 출력 전동 축체(42)의 전단측 부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전동 방향 상측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방부 통상 축체(43)(통상 축체에 상당함)에 의한, 이중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상측의 전방부 통상 축체(43)는, 그 전단부가 메인 케이스부(3)의 케이스 본체(30) 내부로 침입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이 전방부 통상 축체(43)의 가장 전동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스플라인부가 메인 케이스부(3) 내에 위치하는 출력용 베벨 기어(38)의 통 보스 내주측의 스플라인부에 삽입되어 있다.
출력용 베벨 기어(38)는, 메인 케이스부(3)의 케이스 본체(30)측에 구비한 볼 베어링(38a)에 의해 보스부 외주측이 지지되고, 이에 의해 내주측에 삽입된 전방부 통상 축체(43)도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본체(30)측에 구비한 볼 베어링(38a)에는, 전방부 통상 축체(43) 중, 출력용 베벨 기어(38)에 삽입된 부위보다 후방측의 약간 대직경의 부위가 내부 끼움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볼 베어링(38a)의 이너 레이스의 후단측에는, 전방부 통상 축체(43) 중 더욱 대직경의 부위가 맞닿아, 전방측으로의 위치 규제가 행해져 있다.
전방부 통상 축체(43)는, 출력 전동 축체(42)가 삽입되는 대직경 구멍(43a)보다 전방측에, 메인 케이스부(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소직경 구멍(4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방부 통상 축체(43)의 소직경 구멍(43b) 및 대직경 구멍(43a)이, 메인 케이스부(3)의 내부 공간과 주간 케이스부(4)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내주측 통로로 되어 있다.
전방부 통상 축체(43)가 존재하는 개소보다 후방측에 있어서의 출력 전동 축체(42)의 외주부에는, 중간 통상체(44)(통상 축체에 상당함)와 후방 통상체(45)(통상 축체에 상당함)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중간 통상체(44)의 후단부와 후방 통상체(45)의 전단부의 사이에 토크 리미터(46)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통상체(45)의 후단부와, 그 후방 통상체(45)보다 후방측에 있어서의 출력 전동 축체(42)의 사이에, 이식 클러치(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출력 전동 축체(42)의 외주부에, 중간 통상체(44)와 후방 통상체(4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상태로 존재하고, 이 출력 전동 축체(42)가 전방부 통상 축체(43)의 내주측 통로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주간 케이스부(4) 내에 있어서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하기 쉽다.
즉, 메인 케이스부(3)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윤활유가, 출력용 베벨 기어(38)의 통 보스 내주측을 통과하여 유입되고, 도 4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통상 축체(43)와 중간 통상체(44)의 사이, 중간 통상체(44)와 후방 통상체(45)의 사이, 및 후방 통상체(45)와 후방측의 출력 전동 축체(42)의 사이로부터, 작업 구동축(41) 상에서 회전하는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을 이용하면서, 양호하게 윤활할 수 있다.
전방부 통상 축체(43)는 외주부에 스플라인부(43c)를 형성하고 있고, 그 스플라인부(43c)에 외부 끼움된 시프트 기어(47)가 일체 회전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시프트 기어(47)는, 약간 잇수가 상이한 근사한 직경의 제1 치부(47a)와 제2 치부(47b)를 구비하고, 어느 한쪽의 치부(47a, 47b)가, 택일적으로 종동측 기어(47c)에 맞물림 가능하도록, 전방부 통상 축체(43)의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시프트 기어(47)의 이동 범위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치부(47a)와 제2 치부(47b)의 양쪽이 주간 케이스부(4) 내에 위치하는 상태와, 제1 치부(47a) 부분의 전방부 혹은 일부가, 주간 케이스부(4)로부터 비어져 나와 메인 케이스부(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주간용 변속 조작 부재(100)에 의한 조작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주간 케이스부(4) 내에는, 작업 구동축(41)과 평행하게 위치시킨 변속축(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변속축(48)에 상기 종동측 기어(47c)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변속축(48)에는, 출력 전동 축체(42)측의 중간 통상체(44)에 고정된 복수(도면 중에서는 3매)의 변속 기어(44a)와 상시 맞물림 상태에서 설치된 복수(도면 중에서는 3매)의 변속 기어(48a)가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상시 맞물림 상태에 있는 변속 기어(44a, 48a)와, 변속축(48) 내에서 슬라이드 조작되는 변속 로드(48b), 및 디텐트 기구를 이용한 위치 결정 기구(48c)에 의해, 상시 맞물림 상태에 있는 변속 기어(44a, 48a)끼리의 조합을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기어(47)와 종동측 기어(47c)를 이용한 제1 변속부(4B)와, 상시 맞물림 상태에 있는 변속 기어(44a, 48a)끼리의 조합을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2 변속부(4C)에 의해, 주간 변속 기구(4A)가 구성되어 있다.
주간 변속 기구(4A)에 있어서의 주간용 변속 조작 부재(1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주간 케이스부(4)의 상부 벽 부분을 관통하는 조작축(101)의 하단부에, 제1 치부(47a)와 제2 치부(47b)의 사이에 끼워 넣는 걸림 핀(102)이 고정되어 있고, 상부 벽 부분의 외부에 위치하는 조작축(101)의 상단부에 판상 조작체(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판상 조작체(103)를 조작축(101)의 축심 둘레에서 회동 조작함으로써, 편심 위치에 존재하는 걸림 핀(102)이 시프트 기어(47)를 작업 구동축(41)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상 조작체(103)의 축심 둘레에서의 위치는, 볼 디텐트 기구(104)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토크 리미터(46)는, 중간 통상체(44)의 후단부에 고정한 받침판(46a)과, 그 받침판(46a)을 향하여 맞닿는 누름판(46b)과, 누름판(46b)을 받침판(46a)측을 향하여 가압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46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식 클러치(8)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작업 구동축(41) 중, 후방 통상체(45)의 후단부에는, 후방 통상체(45)의 외주측 스플라인과 걸림 결합하여 후방 통상체(45)와 일체 회동하는 원반상의 구동측 회전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통상체(45)보다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출력 전동 축체(42)의 외주측에는, 그 출력 전동 축체(4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부(42a)와 걸림 결합하여, 출력 전동 축체(42)와 일체 회동, 및 출력 전동 축체(42)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종동측 회전 부재(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측 회전 부재(81)는, 압박 스프링(82)에 의해 구동측 회전 부재(80)측을 향하여 가압 압박되어 있고, 구동측 회전 부재(80)와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각각의 대향면에는, 서로 맞물림 상태에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맞물림부(80a, 81a)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 스프링(82)은,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맞물림부(81a)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81b)와, 주간 케이스부(4)의 내면측에 있어서의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주간 케이스부(4)의 내면측에 있어서의 고정부로서는, 출력 전동 축체(42)를 지지하는 볼 베어링(49)의 이너 레이스(49a)의 내측 단부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 위치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압박 스프링(82)의 형상은, 작업 구동축(41)의 축선 방향에서 스프링 수용부(81b)에 맞닿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권취 직경이, 이너 레이스(49a)의 내측 단부에 맞닿는 측의 권취 직경보다 크게 설정된 원뿔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박 스프링(82) 중, 이너 레이스(49a)의 내측 단부에 맞닿는 측의 권취 직경은, 외부 끼움된 출력 전동 축체(42)의 외경과 동일 정도이거나, 약간 큰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별히 위치 결정 수단을 요하지 않고, 출력 전동 축체(42)를 지지하는 볼 베어링(49)의 이너 레이스(49a)의 내측 단부를 이용하여, 그 단부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종동측 회전 부재(8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에 맞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83)에 의해, 압박 스프링(82)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구동측 회전 부재(80)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되는 것이며, 외주부에 클러치 조작 부재(83)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81c)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83)는, 주간 케이스부(4)의 상부 벽 부분을 관통하는 조작 핀(84)을 구비하고, 그 조작 핀(84)의 하단부에,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걸림 결합부(81c)와 맞닿아, 조작 핀(84)의 회동 조작에 수반하여, 종동측 회전 부재(81)를 출력 전동 축체(42)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이동시키는 조작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83)는, 작업 구동축(41)의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의 회전 축심(p1) 둘레로 조작되는 조작 핀(84) 중, 주간 케이스부(4)의 외측에 노출된 부위의 조작 핀(84)의 축 단부에, 이 조작 핀(84)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 플레이트(8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조작 플레이트(85)의 일부를 상하에서 끼워넣도록 지지하면서, 그 조작 플레이트(85)의 상기 회전 축심(p1) 둘레에서의 회동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가이드 부재(86)가, 주간 케이스부(4)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핀(84)은, 회전 축심(p1)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 이동을 조작 플레이트(85)로 규제받고, 회전 축심(p1) 둘레에서의 조작 범위를, 조작 플레이트(85)와 조작 가이드 부재(86)의 맞닿음에 의해 규제받는다.
상기 조작 핀(84)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걸림 결합부(81c)의 걸림 결합 개소에 대하여,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스프링 수용부(81b)의 위치가,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반경 방향에서의 내방 측이며, 또한 작업 구동축(41)의 축선 방향에서는,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걸림 결합부(81c)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 맞물림부(81a)가 형성된 대향면측 근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81b)가, 조작 핀(84)과 종동측 회전 부재(81)의 걸림 결합부(81c)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 반경 방향에서의 내방 측이고, 또한 맞물림부(81a)가 존재하는 측에 근접하도록 크게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이에 의해, 압박 스프링(82)의 작업 구동축(41)의 축선 방향 길이가, 작업 구동축(41)의 축선 방향에서의 조작 핀(84)의 위치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이 피해져, 주간 케이스부(4)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비 구동계]
상술한 주행 구동계로부터, 시비 장치(9)에 대하여 구동력을 분기 전동하는 시비 장치 구동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부(3)의 후방부측에는, 메인 케이스부(3)와는 별체로 구성된 분기 케이스부(5)가, 설치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부(3)와 분기 케이스부(5)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0a, 50a)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 케이스부(5)는, 메인 케이스부(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륜 출력축(64)을 지지하는 입력측 통상부(50A)와, 후륜 출력축(6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분기 전동축(51)에 외부 끼움되어, 그 분기 전동축(51)을 지지하는 출력측 통상부(50B)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측 통상부(50A)와 출력측 통상부(50B)는, 공통의 내부 공간을 가진 일체물로 구성되어 있다.
후륜 출력축(64)으로부터 분기 전동축(51)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는 입력측 통상부(50A) 내에 장비되고, 그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에 맞물리는 시비용 베벨 기어(53)(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에 상당함)는, 출력측 통상부(50B) 내에 장비되어 있다.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는, 분기 전동축(51)보다 메인 케이스부(3)에 가까운 측의 입력측 통상부(50A) 내에 설치되어 있다.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35d)에 맞물리는 후륜 입력용 베벨 기어(64a)를 전단부에 구비한 후륜 출력축(64)이, 전단측을 메인 케이스부(3)의 케이스 본체(30)에 설치한 볼 베어링(39)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부가, 분기 케이스부(5)의 후단부 근처에 설치한 볼 베어링(5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후륜 출력축(64)은, 그 축선 방향의 도중 위치에 단차부(64C)(위치 결정부에 상당함)가 설치되어 있고, 단차부(64C)보다 전동 방향에서의 상측에 상당하는 전방부가 대직경 축 부분(64A)이고, 단차부(64C)보다 전동 방향에서의 하측에 상당하는 후방측이 소직경 축 부분(64B)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64C)는 메인 케이스부(3)와 분기 케이스부(5)의 경계 근처에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 축 부분(64B) 중 단차부(64C)에 가까운 부위에 스플라인부(64D)가 형성되고, 이 스플라인부(64D)에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를 스플라인 감합시키고 있다.
메인 케이스부(3)와의 대향 개소에 형성되는 분기 케이스부(5)의 개구부(50a)는, 후륜 출력축(64)에 지지된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분기 케이스부(5)에 후륜 출력축(64)을 내장할 때, 미리 후륜 출력축(64)에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분기 케이스부(5)에 내장할 수 있어, 조립 분해 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후륜 출력축(64)에 지지된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52)에 맞물리는 시비용 베벨 기어(53)를 입력측 단부에 장비하는 분기 전동축(51)은, 후륜 출력축(64)에 대하여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 케이스부(5)의 출력측 통상부(50B)에 형성된 출력측 개구(50b)측으로부터 입력측 단부를 삽입 인발 가능하게 구성되고, 출력측 단부를 출력측 통상부(50B)의 출력측 개구(50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출력측 개구(50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분기 전동축(51)의 돌출 부분에, 시비 장치(9)로의 도시하지 않은 연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기 전동축(51)은, 출력측 통상부(50B)로의 삽입 한계 위치에 상당하는 개소이며, 입력측 단부가 후륜 출력축(64)에 맞닿는다. 즉, 분기 전동축(51)을 출력측 개구(50b)로부터 삽입 한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출력측 통상부(50B)로 삽입하면, 그 입력측 단부가 후륜 출력축(64)에 맞닿는 위치 관계이도록, 입력측 통상부(50A)에 대한 후륜 출력축(64)의 위치를 정하고 있다.
시비용 베벨 기어(53)는, 분기 전동축(5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분기 전동축(51)과 시비용 베벨 기어(53)는 시비 클러치(55)(작업 클러치에 상당함)를 통하여 결합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비 클러치(55)는, 분기 전동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부에 스플라인 감합한 통상 시프트 부재(5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통상 시프트 부재(56)의 시비용 베벨 기어(53)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한 갈고리부(56a)와, 통상 시프트 부재(56)에 대향하는 시비용 베벨 기어(53)측의 걸림 결합 오목부(53a)를 결합 분리 조작함으로써, 시비용 베벨 기어(53)의 회전을 분기 전동축(51)으로 전동하는 상태와, 전달을 끊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 시프트 부재(56)는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시비용 베벨 기어(53)측으로 가압 압박되어 있고, 이 가압 압박력에 저항하여 통상 시프트 부재(56)를 시비용 베벨 기어(53)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 축체(58)가, 출력측 통상부(50B)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차축 케이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륜 구동축(63)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차축 케이스(16)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전동축(65)이 설치되고, 이 전동축(65)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전동 상측의 상부 베벨 기어 쌍(66)과, 전동축(65)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전동 하측의 하부 베벨 기어 쌍(67)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각 베벨 기어 쌍(66, 67)은, 각각이 감속 전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동 상측의 상부 베벨 기어 쌍(66)보다 전동 하측의 하부 베벨 기어 쌍(67)에 있어서의 감속비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후륜(11R)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축 케이스(19)에 있어서도, 상방측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후방 하방을 향하는 전동축(6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축(65)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있어서도, 전륜(11F)측의 상부 베벨 기어 쌍(66)이나 하부 베벨 기어 쌍(67)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전동 하측에서의 감속비를 크게 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케이스부로서 주간 케이스부(4)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업기가 직파 장치를 구비한 파종기에 사용한 경우에는, 작업 케이스부는, 직파 장치에 의한 점파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작업 케이스부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시비 장치(9)를 사용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초제나, 해충 기피제 등의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클러치로서 이식 클러치(8)에 적용한 기술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는 하지 않지만, 시비 클러치(55)을 상술한 작업 클러치로서의 이식 클러치(8)과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축체로서, 전방부 통상 축체(43)과, 중간 통상체(44)과, 후방 통상체(45)의 3예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상 축체로서, 전방부 통상 축체(43)만을 사용한 구조이거나, 더 많은 통상체의 조합에 의한 구조여도 상관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식파 작업 케이스부로서 주간 케이스부(4)를 구비한 이앙기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직파 장치를 구비한 파종기에 사용한 경우에는,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직파 장치에 의한 점파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작업 케이스부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시비 장치(9)를 사용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초제나, 해충 기피제 등의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식파 작업 케이스부와 분기 케이스부의 양쪽을 구비하고, 각각을 개구부(40a, 50a)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식파 작업 케이스부만을 개구부(40a)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 변속 기구(3A)에 있어서의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하측 고속 기어(32b)의 맞물림 오목부(32c, 32d)가, 축 지지 구멍(32e)과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축 지지 구멍(32e)이 완전한 둥근 구멍이고, 맞물림 오목부(32c, 32d)가 축 지지 구멍(32e)에 근접하고는 있지만, 축 지지 구멍(32e)과는 다른 독립된 요입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9〕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1에, 지면에 대하여 모종 이식을 행하는 모종 이식 장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볍씨를 뿌리는 직파 장치 등의 작업 장치(식파계 작업 장치)를 구비한 수전 작업기의 일례로서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기체 프레임(1010)의 하방에, 주행 구동 장치로서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및 구동 가능한 전륜(1011F)과, 좌우 한 쌍의 구동 가능한 후륜(1011R)을 구비하고, 기체 프레임(1010)에 탑재된 엔진(E100)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전륜(1011F)과 후륜(1011R)이 구동되는 자주식의 주행 기체(100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001)에는, 엔진(E100)을 내장한 원동부(1013)가 운전부 플로어(1014) 상에서 기체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다. 원동부(1013)의 후방측에서 주행 기체(1001)의 전후 방향 중앙부의 운전부 플로어(1014) 상에 전륜(1011F)을 조향 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1015) 및 운전 좌석(1012)을 가진 탑승 운전부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012)의 후방부에는, 시비 장치(1009)(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함)가 탑재되어 있다. 시비 장치(1009)는 비료 탱크(1090)에 저류시킨 비료를, 도시하지 않은 조출 장치로부터 소정량씩 조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공급 경로를 거쳐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장비한 작구기(1091)에 보내어, 포장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1)의 후방측에는, 승강 작동용의 유압 실린더(1026)를 가진 링크 기구(1025)를 통하여 모종 이식 장치(1002)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용형 이앙기는,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의해 포장에 대한 벼 등의 모종의 모종 이식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1001)의 전방부에는, 원동부(1013)의 좌우 양측에, 전후 이동 가능할 정도의 좌우 방향의 간격을 두고 예비 모종 적재대(1017)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1)의 후방부에는, 승강 작동용의 유압 실린더(1026)를 가진 링크 기구(1025)를 통하여 모종 이식 장치(1002)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용형 이앙기는,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의해 포장에 대한 벼 등의 모종의 모종 이식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모종 이식 장치(1002)는 4조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1021), 그 전동 케이스(1021)의 후방부의 우측 및 좌측의 횡측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식 케이스(1022), 이식 케이스(1022)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이식 아암(1023)(이식 갈고리 구동 기구), 접지 플로트(1024) 및 모종이 적재되는 모종 적재대(10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모종 적재대(1020)가 좌우로 왕복 횡이송 구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이식 케이스(1022)가 회전 구동되고, 모종 적재대(1020)의 하부로부터 이식 아암(1023)이 교대로 모종을 취출하여 논바닥에 이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001)에 있어서의 기체 프레임(1010)의 전방부에는, 전륜(1011F)을 축 지지한 미션 케이스(M100)가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프레임(1010)의 후방부에는, 후륜(1011R)을 좌우에 장비한 차축 케이스(1019)가 지지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M100)로부터는 전방을 향하여 전 프레임(1010F)이 연장되고, 이 전방 프레임(1010F)에 엔진(E100)이 횡방향으로 탑재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M100)의 좌우 양측에는, 차축 케이스(1016)가 좌우 양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좌우의 전륜(1011F, 1011F)이 설치되어 있다.
후륜(1011R)의 차축 케이스(1019)는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프레임(1010A, 1010A)의 하측에, 서스펜션 스프링(1018)을 통하여 좌우 각각 별도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좌우 롤링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계〕
엔진(E100)의 동력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M100)에서의 동력 전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션 케이스(M100)에 입력된 엔진(E100)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M100) 내에서, 전륜(1011F) 및 후륜(1011R) 등을 구동하기 위한 주행 구동계와, 식파계 작업 장치로서의 모종 이식 장치(1002) 또는 파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작업 장치 구동계와, 시비 장치(1009)를 구동하기 위한 시비 구동계로 분기하여 출력된다.
미션 케이스(M100)는, 주행 구동계의 부 변속 기구(1003A) 등을 내장하는 메인 케이스부(1003)와, 그 메인 케이스부(1003)의 후방부측에 배치된 주간 케이스부(1004)(식파 작업 케이스부에 상당함)와 분기 케이스부(1005)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 케이스부(1004)는 메인 케이스부(1003)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모종 이식 장치(1002)에 변속하여 전달하는 주간 변속 기구(1007)(식파계 변속 기구에 상당함)를 내장하고, 분기 케이스부(1005)는 메인 케이스부(1003)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시비 장치(1009)에 분기 전동하는 분기 전동 기구(1005A)를 내장하고 있다.
엔진(E100)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M100)에 있어서의 메인 케이스부(1003)의 외벽부에 장착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06)의 펌프축(1060a)에 전달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06)의 모터축(1061a)으로부터 메인 케이스부(1003)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1030)의 내부로 입력된다. 즉,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06)는 무단의 주 변속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주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력이 미션 케이스(M100) 내에서 더 변속된다.
〔주행 구동계〕
우선, 주행 구동계의 전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100)의 동력은, 벨트 전동 기구(1062)를 통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06)의 변속 입력축인 펌프축(1060a)에 전달되어 유압 펌프(1060)가 회전 구동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006)의 변속 출력축인 모터축(1061a)이, 메인 케이스부(1003)의 케이스 본체(1030) 내에 있어서의 제1 변속축(1031)(상측 변속축에 상당함)에, 스플라인 감합 상태로 접속되고, 모터(106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변속축(1031)이 회전 구동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속축(1031)에는 주행 구동계의 상측 저속 기어(1031a)와, 상측 고속 기어(1031b)가 일체 회전하도록 장비되고, 또한, 작업 장치 구동계의 감속 전동용 출력 기어(1031c)가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변속축(1031) 중 모터축(1061a)에 연결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케이스 본체(1030)의 측벽(1030b)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10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부(1033a)를 구비한 연장축(1033)의 통 보스부(1033b)에 삽입 끼움되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연장축(1033)은, 통 보스부(1033b)의 외주부에 이식 전동 기어(1033c)를 구비하고, 측벽(1030b)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10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부(1033a)에 제1 외부 기어(1036a)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감속 전동용의 출력 기어(1031c) 및 이식 전동 기어(1033c)는, 후술하는 제2 변속축(1032)에 회전 가능하게 헐겁게 끼우게 한 중계 기어(1032f)에 맞물려져 있다.
제1 변속축(1031)과 평행한 축심을 가진 제2 변속축(1032)(하측 변속축에 상당함)이, 케이스 본체(1030)에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변속축(1032)에는, 상측 저속 기어(1031a)와 맞물리는 하측 저속 기어(1032a)(하측 기어에 상당함)와, 상측 고속 기어(1031b)와 맞물리는 하측 고속 기어(1032b)(하측 기어에 상당함)가 제2 변속축(103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상측 저속 기어(1031a)와 하측 저속 기어(1032a)의 기어 쌍 및 상측 고속 기어(1031b)와 하측 고속 기어(1032b)의 기어 쌍 및 이들 기어 쌍끼리의 사이에서 제2 변속축(1032)에 축 지지된 시프트 부재(1034)를 구비함으로써 부 변속 기구(1003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쌍 중 상측 저속 기어(1031a)와 하측 저속 기어(1032a)의 조합이 작업 주행에 적합한 저속용의 기어 쌍이며, 상측 고속 기어(1031b)와 하측 고속 기어(1032b)의 조합이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이다.
시프트 부재(1034)는 제2 변속축(1032)에 스플라인 감합하여, 제2 변속축(1032)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제2 변속축(1032)의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각 기어 쌍에 대향하는 시프트 부재(1034)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 기어 쌍 중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저속 기어(1032a) 및 하측 고속 기어(1032b)가 존재하고 있는 좌우 양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맞물림 치부(1034a, 1034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시프트 부재(1034)와 대향하는 위치의, 하측 저속 기어(1032a)와 하측 고속 기어(1032b)의 각각에는, 시프트 부재(1034)의 맞물림 치부(1034a, 1034b)에 대하여 택일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1032c, 1032d)가 형성되어 있다.
시프트 부재(1034)의 맞물림 치부(1034a, 1034b) 중 직경이 큰 하측 저속 기어(1032a)에 대향하는 측의 맞물림 치부(1034a)는, 시프트 부재(1034)의 외주 에지 부근에서, 제2 변속축(1032)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반대측의 직경이 작은 하측 고속 기어(1032b)에 대향하는 측의 맞물림 치부(1034b)는, 시프트 부재(1034)의 내주 에지 부근에서, 제2 변속축(1032)의 외주면에 근접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맞물림 오목부(1032c, 1032d) 중 하측 저속 기어(1032a)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1032c)는, 이것에 대향하는 위치의 시프트 부재(1034)측의 맞물림 치부(1034a)에 맞물림 가능한 형상으로, 제2 변속축(1032)의 외주면으로부터는 이격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고속 기어(1032b)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1032d)는, 이것에 대향하는 위치의 시프트 부재(1034)측의 맞물림 치부(1034b)에 맞물림 가능한 형상으로, 제2 변속축(1032)의 외주면에 가까운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고속 기어(1032b)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1032d)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속축(1032)에 외부 끼움하는 하측 고속 기어(1032b)의 축 지지 구멍(1032e)과 연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측 고속 기어(1032b)에 형성되는 맞물림 오목부(1032d)를, 제2 변속축(1032)의 외주면에 극한까지 접근시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시프트 부재(1034)는 그 시프트 부재(1034)를 안은 상태에서 지지하는 조작판(1034c)과, 그 조작판(1034c)과 일체로 고정된 조작 로드(1034d)를 사용하여, 케이스 본체(1030)의 외부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로드(1034d)를 가장 케이스 본체(1030) 내에 압입한 위치가, 작업 주행에 적합한 저속용의 기어 쌍을 시프트 부재(1034)가 선택한 위치이며, 조작 로드(1034d)를 가장 케이스 본체(1030)의 외측으로 인출한 위치가,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을 시프트 부재(1034)가 선택한 위치이다. 시프트 부재(1034)가 어느 기어 쌍도 선택하지 않은 중간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가 중립 위치이다.
시프트 부재(1034)를 통하여 제2 변속축(1032)에 전달된 동력은, 제2 변속축(1032)에 고정된 연동 기어(1035a)를 통하여, 전륜 출력 기어(1035b)에 전달된다. 전륜 출력 기어(1035b)는, 전륜 구동축(1063)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한 통 부재(1035c)의 우단측의 외주부에 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통 부재(1035c)의 좌단측은, 외주부에 스플라인 감합한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1035d)의 보스부를 통하여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1066)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 출력 기어(1035b)가 구동되면, 통 부재(1035c)를 통하여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1035d)와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1066)가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1066)의 회전에 수반하여 좌우의 전륜 구동축(1063)이 회전 구동되고,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1035d)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것에 맞물리는 후륜 입력용 베벨 기어(1064a) 및 후륜 출력축(1064)(주행용 전동축에 상당함)이 회전 구동된다.
전륜 출력 기어(1035b)의 보스부의 우단에는,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1067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구동축(1063)에 외부 끼움되는 미끄럼 이동 통(1067)의 좌측 단부에도, 상기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1067a)에 결합 분리 가능한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미끄럼 이동 갈고리부(106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미끄럼 이동 갈고리부(1067b)는, 케이스 본체(1030)를 관통하여 설치된 디퍼렌셜 기어 로크 조작 핀(1068)의 회동 조작에 의해 결합 분리 조작된다. 즉, 디퍼렌셜 기어 로크 조작 핀(1068)의 회동 조작에 의해 미끄럼 이동 통(1067)이 전륜 구동축(1063)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전륜 출력 기어(1035b)의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1067a)에 대하여 결합 분리 작동한다.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미끄럼 이동 갈고리부(1067b)가 디퍼렌셜 기어 로크용 갈고리부(1067a)에 걸림 결합한 디퍼렌셜 기어 로크 상태에서는, 디퍼렌셜 기어 장치(1065)에 의한 차동이 로크된다.
〔작업 장치 구동계〕
상술한 주행 구동계와는 별도로, 식파계 작업 장치의 모종 이식 장치(1002)에 동력을 전달하는 작업 장치 구동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종 이식 장치(1002)로의 동력은, 메인 케이스부(1003)의 후방부에 설치된 주간 케이스부(1004) 내의, 주간 변속 기구(1007) 및 이식 클러치(1008)(작업 클러치에 상당함)를 통하여, 주간 케이스부(1004)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출력 전동 축체(1042)로부터 취출되어, 후방의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전달된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간 케이스부(1004)는 메인 케이스부(1003)의 케이스 본체(1030)와는 별체로 구성된 주간 케이스 본체(10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간 케이스 본체(1040)는 메인 케이스부(1003)에 대하여 연결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간 케이스부(1004)와 메인 케이스부(1003)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040a, 1030a)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부(1003)로부터 주간 케이스부(1004) 내로의 동력 전달은, 케이스 본체(1030)의 좌우의 측벽(1030b, 1030b)에 걸쳐 설치한 작업계 전동축(1037)과, 작업계 전동축(1037)에 고정한 베벨 기어(1037a)와, 그 베벨 기어(1037a)에 맞물리는 출력용 베벨 기어(1038)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작업계 전동축(1037)으로는, 케이스 본체(10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업계 전동축(1037)의 축 부분에 설치한 제2 외부 기어(1036b)를, 연장축(1033)의 케이스 본체(10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 부분에 설치한 제1 외부 기어(1036a)와 맞물리게 하고 있고, 이에 의해 동력 전달이 행하여진다.
주간 케이스부(1004) 내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긴 작업 구동축(1041)(변속 조작축에 상당함)이, 주간 케이스부(1004)의 전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작업 구동축(1041)은, 후방의 모종 이식 장치(1002)로의 전동축(1027)이 연결되는 출력 전동 축체(1042)와, 그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전단측 부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전동 방향 상측의 동력이 전달되는 통상 축체(1043)에 의한, 부분적인 이중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상측에 위치하는 통상 축체(1043)의 전단부는, 메인 케이스부(1003)의 케이스 본체(1030)의 내부로 침입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통상 축체(1043)의 가장 전동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스플라인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스플라인부가 메인 케이스부(1003) 내에 위치하는 출력용 베벨 기어(1038)의 통 보스 내주측의 스플라인부에 삽입되어 있다.
출력용 베벨 기어(1038)는 메인 케이스부(1003)의 케이스 본체(1030)측에 구비한 볼 베어링(1038a)에 의해 보스부 외주측이 지지되고, 이에 의해 내주측에 삽입된 통상 축체(1043)도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본체(1030)측에 구비한 볼 베어링(1038a)에는, 통상 축체(1043) 중 출력용 베벨 기어(1038)에 삽입된 부위보다도 후방측의 약간 대직경의 부위가 내부 끼움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볼 베어링(1038a)에 있어서의 이너 레이스의 후단측에는, 통상 축체(1043) 중 더욱 대직경의 부위가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통상 축체(1043)의 전방측으로의 위치 규제가 행하여지고 있다.
통상 축체(1043)는 출력 전동 축체(1042)가 삽입되는 대직경 구멍(1043a)보다도 전방측에, 메인 케이스부(100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소직경 구멍(104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상 축체(1043)의 소직경 구멍(1043b) 및 대직경 구멍(1043a)이, 메인 케이스부(1003)의 내부 공간과 주간 케이스부(1004)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내주측 통로로 되어 있다.
통상 축체(1043)가 존재하는 개소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의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외주부에는, 중간 통상체(1044)와, 후방 통상체(104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중간 통상체(1044)의 후단부와 후방 통상체(1045)의 전단부의 사이에 토크 리미터(1046)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통상체(1045)의 후단부와, 그 후방 통상체(1045)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의 출력 전동 축체(1042) 사이에, 이식 클러치(100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외주부에, 중간 통상체(1044)와 후방 통상체(104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상태로 존재하고, 이 출력 전동 축체(1042)가 통상 축체(1043)의 내주측 통로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주간 케이스부(1004) 내에 있어서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하기 쉽다.
즉, 메인 케이스부(1003)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윤활유가, 출력용 베벨 기어(1038)의 통 보스 내주측을 통하여 유입되고, 도 16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축체(1043)와 중간 통상체(1044) 사이, 중간 통상체(1044)와 후방 통상체(1045) 사이 및 후방 통상체(1045)와 후방측의 출력 전동 축체(1042) 사이로부터, 작업 구동축(1041) 상에서 회전하는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을 이용하면서, 양호하게 윤활할 수 있다.
〔주간 변속 기구〕
주간 변속 기구(1007)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간 변속 기구(1007)는 전동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변속부(1007A)와, 그것보다도 전동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변속부(1007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변속부(1007A)에서는 고저 2단의 변속이 행하여지고, 제2 변속부(1007B)에서는 고, 중 저의 3단의 변속이 행하여져, 합계 6속의 변속단에 의한 변속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변속부(1007A)에서는, 작업 구동축(1041)의 통상 축체(1043)에 설치된 시프트 기어(1047)와, 상기 작업 구동축(1041)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변속축(1048)의 전단부에 고정 지지된 종동측 기어(1048a)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 축체(1043)는 외주부에 스플라인부(1043c)를 형성하고 있고, 그 스플라인부(1043c)에 외부 끼움된 시프트 기어(1047)가 일체 회전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시프트 기어(1047)는 약간 잇수가 상이한 근사한 직경의 제1 치부(1047a)와 제2 치부(1047b)를 구비하고, 어느 한쪽의 치부(1047a, 1047b)가 택일적으로 종동측 기어(1048a)에 맞물림 가능하도록, 통상 축체(1043)의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 기어(1047)의 이동 범위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치부(1047a)와 제2 치부(1047b)의 양쪽이 주간 케이스부(1004) 내에 위치하는 제2 변속 위치와, 제1 치부(1047a) 부분의 전부 혹은 일부가, 주간 케이스부(1004)로부터 비어져 나와 메인 케이스부(100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 변속 위치로, 변속 조작 위치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간용 변속 조작 부재(1100)에 의한 조작 범위는, 시프트 기어(1047)를 제1 변속 위치와 제2 변속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시프트 기어(1047)는 제1 치부(1047a)와 제2 치부(1047b) 사이에, 후술하는 주간용 변속 조작 부재(1100)의 걸림 핀(1102)을 꽂아넣기 상태로 삽입 가능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프트 기어(1047)는 제1 치부(1047a)보다도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스부(1047c)를 구비하고, 제2 치부(1047b)보다도 후방측을 향해서는, 상기 보스부(1047c)에 상당하는 부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시프트 기어(1047)는 그 전후 방향의 단부 중 일방측의 단부인 전단부측에만 보스부(1047c)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보스부(1047c)의 돌출 길이는, 통상 축체(1043)에 대하여 시프트 기어(1047)가 전후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길이 설정되어 있다.
즉, 통상 축체(1043)에 대하여 시프트 기어(1047)가 전후 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조립되면, 제1 치부(1047a)가 종동측 기어(1048a)와의 걸림 결합측으로 조작되어도, 시프트 기어(1047)의 보스부(1047c)의 단부가, 중간 통상체(1044)의 전단부(1044a)에 맞닿아, 제1 치부(1047a)를 종동측 기어(1048a)와의 걸림 결합 개소까지 이동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이, 보스부(1047c)의 돌출 길이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보스부(1047c)가 일방측의 단부에만 설치된 것이, 시프트 기어(1047)의 역방향에서의 조립을 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움이 되고 있다.
주간 케이스부(1004) 내에는, 작업 구동축(1041)과 평행하게 위치시킨 변속축(1048)(입력측 전동축에 상당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변속축(1048)과 작업 구동축(1041)의 출력 전동 축체(1042)에 걸쳐 제2 변속부(1007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변속부(1007B)는, 상기 종동측 기어(1048a)보다도 전동 하측에서, 변속축(1048)에 지지된 복수(도면 중에서는 3매)의 변속 기어(1049)(전동 기어에 상당함)와, 그 변속 기어(1049)에 상시 맞물림 상태로, 출력 전동 축체(1042)에 외부 끼움하는 중간 통상체(1044)(출력측 전동축에 상당함)에 고정된 복수(도면 중에서는 3매)의 종동 변속 기어(1044b)(전동 기어에 상당함)에 의한 기어 쌍을 구비하고 있다.
변속축(1048)에 지지된 변속 기어(1049)는 변속축(1048)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느슨하게 삽입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상시 맞물림 상태에 있는 복수의 변속 기어(1049)와 복수의 종동 변속 기어(1044b) 사이에서는, 변속축(1048) 내에서 슬라이드 조작되는 변속 조작체(1070)에 의해, 복수개의 변속 기어(1049)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으로써, 기어 쌍을 통하여 변속 동력이 출력 전동 축체(1042)측으로 전달된다.
즉, 변속 조작체(1070)에서 선택된 변속 기어(1049)와 맞물림 상태에 있는 종동 변속 기어(1044b)에 대하여, 변속축(1048)의 회전이, 서로 맞물림 상태에 있는 변속 기어(1049)와 종동 변속 기어(1044b)의 기어비에 따른 변속 동력으로서 전달된다.
변속 조작체(1070)는, 각 변속 기어(1049)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대하여 결합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걸림 돌기(1071a)를 구비하는 변속 키 부분(1071)과, 그 변속 키 부분(1071)의 상기 걸림 돌기(1071a)의 위치를, 변속축(1048)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여, 걸림 결합 대상이 되는 변속 기어(1049)에 대한 걸림 결합 위치를 선택 조작하는 슬라이드 조작부(107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속 키 부분(1071)의 걸림 돌기(1071a)를 걸림 결합 대상의 변속 기어(1049)의 내주측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눌러 압박하는 탄성 압박 기구(1073)를 구비하고 있다.
변속 키 부분(1071)과 슬라이드 조작부(1072)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조작부(1072)의 전단부에 형성된 외주 홈(1072a)에, 변속 키 부분(1071)의 후단측 돌편(1071b)이 걸림 삽입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조작부(1072)가 축선 방향에서 전후로 밀고 당김 조작되는 것에 수반하여, 변속 키 부분(1071)도 동일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가, 슬라이드 조작부(1072)를 가장 주간 케이스 본체(1040)의 내부로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변속 키 부분(1071)의 걸림 돌기(1071a)는, 복수개의 변속 기어(1049) 중 최전단측의 변속 기어(1049)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걸림 결합되어, 변속축(1048)의 회전 동력을 최전단측의 변속 기어(1049)에 전달한다.
이 최전단측의 변속 기어(1049)를 선택한 상태가, 제2 변속부(1007B)에서 변속축(1048)의 회전을 가장 저속으로 출력 전동 축체(1042)측으로 전달하는 저속 전동 위치이다.
저속 전동 위치에 존재하는 최전단측의 변속 기어(1049)는 편심 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동일하게 편심 기어로 구성된 중간 통상체(1044)측의 최전단측의 종동 변속 기어(1044b)와 맞물려 있다.
이 저속 전동 위치에서의 전동 상태에서는, 주행 속도에 대한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있어서의 이식 아암(1023)의 구동 속도가 가장 저속이 되고, 주간 피치는 제2 변속부(1007B)에서 가장 길어진다. 이때, 변속축(1048)에 의한 변속 기어(1049)의 구동 토크는 가장 작아도 된다.
또한, 이 저속 전동 위치에서의 전동 상태에서는, 변속축(1048)의 회전이, 부등속으로의 전동 상태에서 중간 통상체(1044)측으로 전달된다. 이것은, 이식 아암(1023)의 구동 속도가 가장 저속이 되므로, 이식 도중의 갈고리가 논바닥의 진흙 속에서 질질 끌리는 상태로 되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이식 아암(1023)의 구동 회전 궤적 중에서, 갈고리가 진흙 속에 존재하는 범위의 구동 속도를 부분적으로 빨리 하여, 갈고리가 진흙 속으로부터 빨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는, 슬라이드 조작부(1072)를 가장 주간 케이스 본체(104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변속 키 부분(1071)의 걸림 돌기(1071a)는, 복수개의 변속 기어(1049) 중 최후단측의 변속 기어(1049)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걸림 결합되어, 변속축(1048)의 회전 동력을 최후단측의 변속 기어(1049)에 전달한다.
이 최후단측의 변속 기어(1049)를 선택한 상태가, 제2 변속부(1007B)에서 변속축(1048)의 회전을 가장 고속으로 출력 전동 축체(1042)측으로 전달하는 고속 전동 위치이다. 이 고속 전동 위치에서의 전동 상태에서는, 주행 속도에 대한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있어서의 이식 아암(1023)의 구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고, 주간 피치는 제2 변속부(1007B)에서 가장 짧아진다. 이때, 변속축(1048)에 의한 변속 기어(1049)의 구동 토크는 가장 커진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슬라이드 조작부(1072)를 가장 주간 케이스 본체(1040)의 내부로 압입한 상태와 가장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의 중간 위치가, 중속 전동 위치이다.
이 중속 전동 위치에서는, 변속 키 부분(1071)의 걸림 돌기(1071a)는, 복수개의 변속 기어(1049) 중 중간 위치에 존재하는 변속 기어(1049)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걸림 결합되어, 변속축(1048)의 회전 동력을 중간 위치의 변속 기어(1049)에 전달한다. 중속 전동 위치에서의 전동 상태에서는, 주행 속도에 대한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있어서의 이식 아암(1023)의 구동 속도가 중간속이 되고, 주간 피치도 중간적인 길이가 된다. 이때, 변속축(1048)에 의한 변속 기어(1049)의 구동 토크도 중간의 크기가 된다.
탄성 압박 기구(1073)는 코일 스프링(1073a)으로 압박된 강구(1073b)를, 변속 키 부분(1071)의 길이 방향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부(1071c)에 눌러 압박하고 있다. 이 변속 키 부분(1071)의 요입부(1071c)에 강구(1073b)가 눌러 압박됨으로써, 요입부(1071c)와는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1071a)가, 걸림 결합 대상의 변속 기어(1049)의 내주측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눌러 압박된다. 이들 코일 스프링(1073a), 강구(1073b) 및 요입부(1071c)를 구비함으로써, 탄성 압박 기구(1073)가 구성되어 있다.
변속 키 부분(1071)은 변속 키 부분(1071)과 슬라이드 조작부(1072)의 연결 개소인 곳의, 외주 홈(1072a)과 후단측 돌편(1071b)의 걸림 결합 개소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탄성 압박 기구(1073)에 의한 누름 압박 방향, 즉, 슬라이드 조작부(1072)에 의한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에서, 변속 기어(1049)의 내주측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를 향하여 요동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압박 기구(1073)에 의한 누름 압박 개소는, 제2 변속부(1007B)에 있어서의 복수의 기어 쌍보다도, 상기 요동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레의 작용으로 주간 피치를 짧게 설정하고 있는 기어 쌍일수록, 탄성 압박 기구(1073)에 의한 누름 압박 작용이 강하게 작용한다.
제2 변속부(1007B)에 있어서의 변속 기어(1049) 중 최후단측의 고속 기어와 중간 위치의 중속 기어는, 각각 칼라(1074)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에 있다. 그리고, 최전단측의 저속 기어는, 칼라(1074)와 변속축(1048)의 일부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칼라(1074)끼리의 간격(a1001, a1002, a1003)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이식 장치(1002)에 의한 주간 피치를 짧게 설정한 기어 쌍이 존재하는 개소일수록, 변속 기어(1049)에 대한 변속 키 부분(1071)의 걸림 결합량이 많아지도록 넓은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걸림 돌기(1071a)는,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이 가는 형상의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칼라(1074)끼리의 간격(a1001, a1002, a1003)이 넓으면, 변속 기어(1049)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대하여 깊게 걸림 결합되어, 걸림 결합 마진이 커지고, 반대로 얕으면 변속 기어(1049)의 걸림 결합 오목부(1049a)에 대한 걸림 결합 마진이 작아진다.
제2 변속부(1007B)에 있어서의 변속 기어(1049)는 종동 변속 기어(1044b)에 맞물리는 부위의 치부(1049b)의 전후 방향폭은 모두 동일폭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각 변속 기어(1049)의 허브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서 복수 개소에 점재하는 팽출부(104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1049c)의 돌출량은, 각 변속 기어(1049)마다 상이하게 되어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전방부의 저속 기어는 후방측의 허브면에 돌출량이 적은 팽출부(1049c)가 형성되고, 중간 위치의 중속 기어는 후방측의 허브면에 돌출량이 큰 팽출부(104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후방부의 고속 기어는, 전후 양측의 허브면으로부터 전후 양방향으로 팽출부(1049c, 1049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속 기어(1049)의 치부(1049b)의 폭과 팽출부(1049c)를 포함한 전후 방향폭은, 전술한 칼라(1074)끼리의 간격(a1001, a1002, a1003)과 합치하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변속 기어(1049)의 치부(1049b)끼리의 간격(b1001, b1002)은, 칼라(1074)끼리의 간격(a1001, a1002, a1003)을 넓힌 개소에 존재하는 변속 기어(1049)의 치부(1049b)끼리의 간격(b1001)보다도, 칼라(1074)끼리의 간격(a1001, a1002, a1003)을 좁힌 개소에 존재하는 변속 기어(1049)의 치부(1049b)끼리의 간격(b1002)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변속 조작체(1070)는, 제2 변속 레버(1075)의 조작에 의해 변속축(1048)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조작체(1070)의 슬라이드 조작부(1072)에는, 그 후단부에 제2 변속 레버(1075)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변속 레버(1075)는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조작부(1072)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주간 케이스 본체(1040)의 상부에 설치된 레버 지지부(107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변속 레버(1075)의 레버체 중 레버 지지부(1076)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부위에서는, 제2 변속 레버(1075)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 위치의 레버체 부분의 중심이 사실상의 요동 중심이 되고, 이 요동 중심을 나타내는 요동 중심선(y1001)의 둘레로 제2 변속 레버(1075)가 요동 조작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변속 레버(1075)를 요동 중심선(y1001)의 둘레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변속 조작체(1070)의 슬라이드 조작부(1072)가, 변속축(1048)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레버 지지부(1076)는 제2 변속 레버(1075)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지만, 이 중간부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은 규제하면서,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 이동은 소정 범위 내에서 허용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U자상으로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요입 피봇부(1076a)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변속 레버(1075)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좌우 방향에서의 소정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제2 변속 레버(1075)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의 축 중심과 합치하는 요동 중심선(y1001)도, 좌우 방향에서의 소정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즉, 요동 중심선(y1001)도 좌우 방향에서의 소정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부(1072)의 전후 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제2 변속 레버(1075)의 요동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간 변속 기구(1007)에 있어서의 주간용 변속 조작 부재(1100)는, 도 15,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주간 케이스부(1004)의 상부 벽 부분을 관통하는 조작축(1101)의 하단부에, 제1 치부(1047a)와 제2 치부(1047b) 사이에 끼워 넣는 걸림 핀(1102)이 고정되어 있고, 상부 벽 부분의 외부에 위치하는 조작축(1101)의 상단부에 판상 조작체(1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판상 조작체(1103)를 조작축(1101)의 축심 둘레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편심 위치에 존재하는 걸림 핀(1102)이 시프트 기어(1047)를 작업 구동축(1041)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상 조작체(1103)의 축심 둘레에서의 위치는, 볼 디텐트 기구(1104)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주간 변속 기구(1007)의 제1 변속부(1007A)를 조작하는 주간용 변속 조작 부재(1100)는, 중간의 연계 기구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판상 조작체(1103)가, 도 22에 도시하는 제1 변속 레버(1077)에 연계되어 있다.
이 제1 변속 레버(1077)의 상단부는, 주행 기체(1001)의 운전부 플로어(1014)에 설치한 레버 가이드부(1110)의 T자형의 가이드 홈(1111)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변속 레버(1077)의 상단부는, 도면 중에서 좌우 횡방향의 가이드 홈(1111) 내에 위치하고, 가이드 홈(1111)에 안내되면서, 제1 변속 위치와 제2 변속 위치의 2위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변속부(1007B)를 조작하는 제2 변속 레버(1075)의 상단부도, 상기 레버 가이드부(1110)의 가이드 홈(1111) 중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의 가이드 홈(1111) 내에 위치하고, 가이드 홈(1111)에 안내되면서, 저속 변속 위치와 중속 변속 위치와 고속 변속 위치의 3위치 중 어느 것을 선택 가능하도록,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버 가이드부(1110)에서는, T자형의 가이드 홈(1111)의 좌우 양측에, 주간 피치를 나타내는 수치가 기재된 패턴 표시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 22에 도시하는 것에서는, 도면 중 좌측 상방에, 주간 피치 14㎝를 지지하는 「14」의 문자 패턴이 존재하고 있다. 이 주간 피치 14㎝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제1 변속 레버(1077)를 가이드 홈(1111)의 좌단부에 위치시키고, 제2 변속 레버(1075)를 최전방부의 「14」의 문자 패턴의 오른쪽 옆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변속 레버(1077)가 제1 변속 위치에서 고속측으로 조작되고, 제2 변속 레버(1075)도 고속 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이식 장치측이 최고속 상태로 구동되어, 주간 피치를 가장 밀한 14㎝로 설정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1 변속 레버(1077)를 가이드 홈(1111)의 우단부를 향하여 조작하여, 문자 패턴 「16」의 전방 위치로 조작하면, 제1 변속 레버(1077)가 제2 변속 위치로 전환되어, 저속측으로 전환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2 변속 레버(1075)의 위치가 변함없으면, 주간 피치는 16㎝로 설정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제2 변속 레버(1075)의 위치를 문자 패턴 「21」의 왼쪽 옆에 위치시키면, 주간 피치는 21㎝로 설정되고, 문자 패턴 「28」의 왼쪽 옆에 위치시키면, 주간 피치는 28㎝로 설정된다.
제1 변속 레버(1077)를 가이드 홈(1111)의 좌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면, 제2 변속 레버(1075)의 위치가 문자 패턴 「18」의 오른쪽 옆에 위치하고, 주간 피치는 18㎝로 설정되고, 문자 패턴 「24」의 오른쪽 옆에 위치시키면, 주간 피치는 24㎝로 설정된다.
즉, 제1 변속 레버(1077)의 좌우의 움직임으로, 시프트 기어(1047)를 제1 변속 위치와 제2 변속 위치로 전환하고, 가이드 홈(1111)의 좌측의 문자 패턴군과 우측의 문자 패턴의 군을 선택하고, 제2 변속 레버(1075)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으로, 각 문자 패턴의 군으로부터 목적의 문자 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변속 레버(1077)와 제2 변속 레버(1075)의 조작 위치에 의한 주간 피치의 설정을, 눈에 의한 오조작이 적은 상태로 행하기 쉬운 것이다.
레버 가이드부(1110)의 가이드 홈(1111)은, 주행 기체(1001)의 운전부 플로어(1014)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레버 가이드부(1110)에 있어서의 패턴 표시부(1112)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가이드 홈(1111) 내의 제1 변속 레버(1077) 및 제2 변속 레버(1075)는 운전부 플로어(1014)의 상면보다도 상방측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평소에는 운전부 플로어(1014) 상의 매트로 가려진 상태에 있어, 필요에 따라 매트를 걷어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간 변속 기구(1007)에 의해 변속된 동력은, 중간 통상체(1044)로부터 토크 리미터(1046)에 전달된다.
토크 리미터(1046)는 중간 통상체(1044)의 후단부에 고정한 원판상의 받침판(1046a)과, 그 받침판(1046a)을 향하여 맞닿는 누름판(1046b)과, 누름판(1046b)을 받침판(1046a)측을 향하여 가압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1046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토크 리미터(1046)를 거쳐, 주간 변속 기구(1007)에 의한 변속 동력이 이식 클러치(1008)에 전달된다.
〔이식 클러치〕
이식 클러치(1008)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작업 구동축(1041) 중 후방 통상체(1045)의 후단부에는, 후방 통상체(1045)의 외주측 스플라인과 걸림 결합하여 후방 통상체(1045)와 일체 회동하는 원반상의 구동측 회전 부재(1080)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통상체(1045)보다도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외주측에는, 그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부(1042a)와 걸림 결합하여, 출력 전동 축체(1042)와 일체 회동 및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종동측 회전 부재(10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측 회전 부재(1081)는 압박 스프링(1082)에 의해 구동측 회전 부재(1080)측을 향하여 가압 압박되어 있고, 구동측 회전 부재(1080)와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각각의 대향면에는, 서로 맞물림 상태에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맞물림부(1080a, 1081a)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 스프링(1082)은,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맞물림부(1081a)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081b)와, 주간 케이스부(1004)의 내면측에 있어서의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주간 케이스부(1004)의 내면측에 있어서의 고정부로서는, 출력 전동 축체(1042)를 지지하는 볼 베어링(1040b)의 이너 레이스(1040c)의 내측 단부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 위치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압박 스프링(1082)의 형상은, 작업 구동축(1041)의 축선 방향에서 스프링 수용부(1081b)에 맞닿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권취 직경이, 이너 레이스(1040c)의 내측 단부에 맞닿는 측의 권취 직경보다도 크게 설정된 원뿔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박 스프링(1082) 중 이너 레이스(1040c)의 내측 단부에 맞닿는 측의 권취 직경은, 외부 끼움된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외경과 동일 정도이거나, 약간 큰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별히 위치 결정 수단을 요하지 않고, 출력 전동 축체(1042)를 지지하는 볼 베어링(1040b)의 이너 레이스(1040c)의 내측 단부를 이용하여, 그 단부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종동측 회전 부재(1081)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에 맞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1083)에 의해, 압박 스프링(1082)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구동측 회전 부재(1080)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되는 것이며, 외주부에 클러치 조작 부재(1083)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1081c)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083)는 주간 케이스부(1004)의 상부 벽 부분을 관통하는 조작 핀(1084)을 구비하고, 그 조작 핀(1084)의 하단부에,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걸림 결합부(1081c)와 맞닿아, 조작 핀(1084)의 회동 조작에 수반하여, 종동측 회전 부재(1081)를 출력 전동 축체(1042)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이동시키는 조작부(1084a)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083)는 작업 구동축(1041)의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의 회전 축심(p1001) 둘레로 조작되는 조작 핀(1084) 중 주간 케이스부(1004)의 외측에 노출된 부위의 조작 핀(1084)의 축 단부에, 이 조작 핀(1084)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 플레이트(108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조작 플레이트(1085)의 일부를 상하에서 끼워넣도록 지지하면서, 그 조작 플레이트(1085)의 상기 회전 축심(p1001) 둘레에서의 회동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가이드 부재(1086)가 주간 케이스부(1004)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핀(1084)은, 회전 축심(p1001)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 이동을 조작 플레이트(1085)로 규제받고, 회전 축심(p1001) 둘레에서의 조작 범위를, 조작 플레이트(1085)와 조작 가이드 부재(1086)의 맞닿음에 의해 규제받는다.
상기 조작 핀(1084)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걸림 결합부(1081c)와의 걸림 결합 개소에 대하여,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스프링 수용부(1081b)의 위치가,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반경 방향에서의 내측측이며, 또한 작업 구동축(1041)의 축선 방향에서는,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걸림 결합부(1081c)와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도 맞물림부(1081a)가 형성된 대향면측 근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1081b)가, 조작 핀(1084)과 종동측 회전 부재(1081)의 걸림 결합부(1081c)의 걸림 결합 개소보다도 반경 방향에서의 내측측이고, 또한 맞물림부(1081a)가 존재하는 측에 근접하도록 크게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이에 의해, 압박 스프링(1082)의 작업 구동축(1041)의 축선 방향 길이가, 작업 구동축(1041)의 축선 방향에서의 조작 핀(1084)의 위치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주간 케이스부(1004)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비 구동계〕
상술한 주행 구동계로부터, 시비 장치(1009)에 대하여 구동력을 분기 전동하는 시비 장치 구동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부(1003)의 후방부측에는, 메인 케이스부(1003)와는 별체로 구성된 분기 케이스부(1005)가, 설치 볼트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부(1003)와 분기 케이스부(1005)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030a, 1050a)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 케이스부(1005)는 메인 케이스부(100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륜 출력축(1064)을 지지하는 입력측 통상부(1050A)와, 후륜 출력축(106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분기 전동축(1051)에 외부 끼움되어, 그 분기 전동축(1051)을 지지하는 출력측 통상부(1050B)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측 통상부(1050A)와 출력측 통상부(1050B)는 공통된 내부 공간을 가진 일체물로 구성되어 있다.
후륜 출력축(1064)으로부터 분기 전동축(1051)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는 입력측 통상부(1050A) 내에 장비되고, 그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에 맞물리는 시비용 베벨 기어(1053)(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에 상당함)는 출력측 통상부(1050B) 내에 장비되어 있다.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는 분기 전동축(1051)보다도 메인 케이스부(1003)에 가까운 측의 입력측 통상부(1050A) 내에 설치되어 있다.
후륜 출력용 베벨 기어(1035d)에 맞물리는 후륜 입력용 베벨 기어(1064a)를 전단부에 구비한 후륜 출력축(1064)이, 전단측을 메인 케이스부(1003)의 케이스 본체(1030)에 설치한 볼 베어링(1039)에 지지되고, 후단부가, 분기 케이스부(1005)의 후단부 근처에 설치한 볼 베어링(1054)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후륜 출력축(1064)은, 그 축선 방향의 도중 위치에 단차부(1064C)(위치 결정부에 상당함)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1064C)보다도 전동 방향에서의 상측에 상당하는 전방부가 대직경 축 부분(1064A)이고, 단차부(1064C)보다도 전동 방향에서의 하측에 상당하는 후방측이 소직경 축 부분(1064B)에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064C)는 메인 케이스부(1003)와 분기 케이스부(1005)의 경계 근처에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 축 부분(1064B) 중 단차부(1064C)에 가까운 부위에 스플라인부(1064D)가 형성되고, 이 스플라인부(1064D)에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를 스플라인 감합시키고 있다.
메인 케이스부(1003)와의 대향 개소에 형성되는 분기 케이스부(1005)의 개구부(1050a)는, 후륜 출력축(1064)에 지지된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분기 케이스부(1005)에 후륜 출력축(1064)을 내장할 때에, 미리 후륜 출력축(1064)에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분기 케이스부(1005)에 내장할 수 있어, 조립 분해 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후륜 출력축(1064)에 지지된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1052)에 맞물리는 시비용 베벨 기어(1053)를 입력측 단부에 장비하는 분기 전동축(1051)은, 후륜 출력축(1064)에 대하여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 케이스부(1005)의 출력측 통상부(1050B)에 형성된 출력측 개구(1050b)측으로부터 입력측 단부를 삽입 인발 가능하게 구성되고, 출력측 단부를 출력측 통상부(1050B)의 출력측 개구(1050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출력측 개구(1050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분기 전동축(1051)의 돌출 부분에, 시비 장치(1009)로의 도시하지 않은 연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기 전동축(1051)은, 출력측 통상부(1050B)로의 삽입 한계 위치에 상당하는 개소이고, 입력측 단부가 후륜 출력축(1064)에 맞닿는다. 즉, 분기 전동축(1051)을 출력측 개구(1050b)로부터 삽입 한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출력측 통상부(1050B)로 삽입하면, 그 입력측 단부가 후륜 출력축(1064)에 맞닿는 위치 관계이도록, 입력측 통상부(1050A)에 대한 후륜 출력축(1064)의 위치를 정하고 있다.
시비용 베벨 기어(1053)는 분기 전동축(105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분기 전동축(1051)과 시비용 베벨 기어(1053)는 시비 클러치(1055)(작업 클러치에 상당함)를 통하여 결합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비 클러치(1055)는 분기 전동축(10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부에 스플라인 감합한 통상 시프트 부재(105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통상 시프트 부재(1056)의 시비용 베벨 기어(1053)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한 갈고리부(1056a)와, 통상 시프트 부재(1056)에 대향하는 시비용 베벨 기어(1053)측의 걸림 결합 오목부(1053a)를 결합 분리 조작함으로써, 시비용 베벨 기어(1053)의 회전을 분기 전동축(1051)으로 전동하는 상태와, 전달을 끊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 시프트 부재(1056)는 코일 스프링(1057)에 의해 시비용 베벨 기어(1053)측으로 가압 압박되어 있고, 이 가압 압박력에 저항하여 통상 시프트 부재(1056)를 시비용 베벨 기어(1053)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 축체(1058)가, 출력측 통상부(1050B)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식파 작업 케이스부로서 주간 케이스부(1004)를 구비한 이앙기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직파 장치를 구비한 파종기에 사용한 경우에는,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직파 장치에 의한 점파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작업 케이스부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시비 장치(1009)를 사용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초제나, 해충 기피제 등의 약제를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2〕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 가이드부(1110)에 있어서의 패턴 표시부(1112)로서, T자형의 가이드 홈(1111)의 좌우로 배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형의 가이드 홈(1111)의 전방측 및 횡측에 배치하거나,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의 가이드 홈(1111)의 전후좌우로 배치하는 등, 적당한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3〕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간 변속 기구(1007)의 변속 조작체(1070)는, 입력측 전동축에 상당하는 축으로서 배치한 변속축(1048)측에 설치하고, 출력측 전동축으로서 설치한 중간 통상체(1044)에 고정의 종동 변속 기어(1044b)에 대하여 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한 구조의 것을 예시했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측 전동축에 상당하는 축으로서 배치한 변속축(1048)측에 고정의 전동 기어를 설치하고, 출력측 전동축으로서 설치한 중간 통상체(1044)에 상대 회전 가능한 전동 기어를 설치하고, 그 중간 통상체(1044)측의 상대 회전 가능한 전동 기어를 변속 조작체(1070)에서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4조 이식용의 승용형 이앙기에 한하지 않고, 3조 이하의 소수조, 혹은 5조 이상의 모종 이식 장치나 직파 장치를 채용한 작업기, 수전 작업기 또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각종 작업기의 전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주행 기체
2: 모종 이식 장치(작업 장치)
3: 메인 케이스부
3A: 부변속 기구
4A: 작업계 변속 기구(식파계 변속 기구)
4: 파종 케이스부(작업 케이스부)
5: 분기 케이스부
5A: 분기 전동 기구
6: 주 변속 기구
8: 작업 클러치
16: 차축 케이스
30a: 개구부
31: 상측 변속축
32: 하측 변속축
32a, 32b: 하측 기어
32c, 32d: 맞물림 오목부
32e: 축 지지 구멍
34: 시프트 부재
34a, 34b: 맞물림 치부
40a: 개구부
41: 변속 조작축(작업 구동축)
42: 출력 전동 축체
43: 전방부 통상 축체
47: 시프트 기어
50a: 개구부
50A: 입력측 통 형상부
50B: 출력측 통 형상부
51: 분기 구동축
52: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
53: 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
64: 주행용 전동축
64C: 위치 결정부
65: 전동축
66: 베벨 기어 쌍
67: 베벨 기어 쌍
80: 구동측 회전 부재
80a: 맞물림부
81: 종동측 회전 부재
81a: 맞물림부
81b: 스프링 수용부
81c: 걸림 결합부
82: 압박 스프링
83: 클러치 조작 부재
84: 조작 핀
85: 조작 플레이트
86: 조작 가이드 부재
p1: 회전 축심
1001: 주행 기체
1002: 모종 이식 장치(작업 장치)
1004: 식파 작업 케이스부
1007: 주간 변속 기구(식파계 변속 기구)
1041: 변속 조작축
1044: 중간 통상체(출력측 전동축)
1044b: 종동 변속 기어(전동 기어)
1047: 시프트 기어
1048: 변속축(입력측 전동축)
1049: 변속 기어(전동 기어)
1049b: 치부
1070: 변속 조작체
1071: 변속 키 부분
1072: 슬라이드 조작부
1073: 탄성 압박 기구
1074: 칼라

Claims (7)

  1. 입력된 엔진 동력을 변속하는 주 변속 기구와, 그 주 변속 기구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여 주행 구동계에 출력하는 부 변속 기구를 장비하는 메인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모종 이식 장치 또는 파종 장치에 변속하여 전달하는 식파계 변속 기구를 내장한 식파 작업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고,
    분기 전동 기구를 내장하여 상기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분립체 공급 장치에 분기 전동하는 분기 케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 케이스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 상기 분기 케이스부는, 서로의 연결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끼리를 접합시킨 밀폐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공간끼리 연통되어 있고,
    상기 분기 케이스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된 주행 구동계의 주행용 전동축에 외부 끼움되어, 그 주행용 전동축을 지지하는 입력측 통상부와,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분기 구동축에 외부 끼움되어, 그 분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출력측 통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측 통상부가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측 통상부는 상기 입력측 통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 구동축보다 상기 메인 케이스부에 가까운 측의 상기 입력측 통상부 내에,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가 장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파계 변속 기구는,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메인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걸치는 변속 조작축과, 그 변속 조작축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상기 변속 조작축에 지지된 시프트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기어의 변속 조작에 수반하는 슬라이드 조작 범위가, 상기 식파 작업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메인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걸쳐 설정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가 상기 분기 구동축에 지지되고,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는,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는, 상기 분기 입력용 베벨 기어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의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의 위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부와의 대향 개소에 형성되는 상기 분기 케이스부의 개구부는, 상기 주행용 전동축에 지지된 상기 분기 출력용 베벨 기어가 삽입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것인,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구동축의 입력측의 단부는, 상기 분기 케이스부에 형성된 출력측 개구에 대하여 삽입 인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분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분기 구동축에 있어서의 입력측의 단부의 삽입 한계 위치에 상당하는 개소이고, 상기 분기 구동축의 입력측의 단부에 맞닿는 위치에 상기 주행용 전동축이 지지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 변속 기구는,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변속축과,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변속축에 걸쳐,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과, 작업 주행에 적합한 저속용의 기어 쌍이 구비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측 변속축 상에서, 상기 기어 쌍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시프트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시프트 부재는, 상기 하측 변속축의 축선 방향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각 기어 쌍 중, 동력 전달 방향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기어의 존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물림 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부재의 양측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기 하측 기어의 각각에는, 상기 시프트 부재의 상기 맞물림 치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오목부 중, 노상 주행에 적합한 고속용의 기어 쌍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기어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하측 변속축에 외부 끼움되는 상기 하측 기어의 축 지지 구멍과 이어지는 형상인,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행 구동계의 동력이 전달되는 차축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차축 케이스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전동축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전동 상측의 베벨 기어 쌍과, 상기 전동축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전동 하측의 베벨 기어 쌍이 구비되고, 또한 각 베벨 기어 쌍이 감속 전동되는 것임과 함께, 상기 전동 상측의 베벨 기어 쌍보다 상기 전동 하측의 베벨 기어 쌍에 있어서의 감속비가 크게 설정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KR1020220076364A 2016-06-30 2022-06-22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KR10258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268A KR20230142383A (ko) 2016-06-30 2023-09-15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0645 2016-06-30
JPJP-P-2016-130644 2016-06-30
JP2016130644A JP2018000089A (ja) 2016-06-30 2016-06-30 水田作業機の伝動装置
JP2016130645A JP6647158B2 (ja) 2016-06-30 2016-06-30 作業機の伝動装置
JPJP-P-2016-177042 2016-09-09
JP2016177042A JP6611690B2 (ja) 2016-09-09 2016-09-09 水田作業機の伝動装置
KR1020170079841A KR102467198B1 (ko) 2016-06-30 2017-06-23 작업기의 전동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41A Division KR102467198B1 (ko) 2016-06-30 2017-06-23 작업기의 전동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268A Division KR20230142383A (ko) 2016-06-30 2023-09-15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058A true KR20220093058A (ko) 2022-07-05
KR102585687B1 KR102585687B1 (ko) 2023-10-06

Family

ID=610003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41A KR102467198B1 (ko) 2016-06-30 2017-06-23 작업기의 전동 장치
KR1020220076364A KR102585687B1 (ko) 2016-06-30 2022-06-22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KR1020230123268A KR20230142383A (ko) 2016-06-30 2023-09-15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41A KR102467198B1 (ko) 2016-06-30 2017-06-23 작업기의 전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268A KR20230142383A (ko) 2016-06-30 2023-09-15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67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120B1 (ko) * 2018-04-09 2019-05-0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3087A (ja) 2007-01-22 2008-07-31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2008289399A (ja) 2007-05-23 2008-12-04 Kubota Corp 田植機
KR20150133023A (ko) * 2014-05-19 2015-11-27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JP2015223110A (ja)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1514B2 (ja) * 2010-04-07 2015-04-15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JP5648585B2 (ja) * 2011-05-31 2015-01-0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3087A (ja) 2007-01-22 2008-07-31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JP2008289399A (ja) 2007-05-23 2008-12-04 Kubota Corp 田植機
KR20150133023A (ko) * 2014-05-19 2015-11-27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JP2015223110A (ja)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383A (ko) 2023-10-11
KR102585687B1 (ko) 2023-10-06
KR102467198B1 (ko) 2022-11-16
KR20180003440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163B1 (ko) 수전 작업기
JP6611690B2 (ja) 水田作業機の伝動装置
KR20220093058A (ko)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CN105283339B (zh) 收割机用的传动装置
JP2008212121A (ja) 乗用型田植機
CN103358902A (zh) 水田作业机
JP6210802B2 (ja) 水田作業機
JP6647158B2 (ja) 作業機の伝動装置
JP4274969B2 (ja) 田植機
JP2018000089A (ja) 水田作業機の伝動装置
KR102317489B1 (ko) 승용 이앙기
KR102634128B1 (ko) 작업기 및 수전 작업기
CN106385895B (zh) 水田作业机
JP2016136901A (ja) 田植機又は直播機
JP2019170344A (ja) 作業機
CN217905041U (zh) 用于田园管理机的竖直轴四驱驱动装置
KR102282517B1 (ko)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JP4436063B2 (ja) 移植機
KR100408934B1 (ko) 농작업기
JP2005054968A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H06245611A (ja) 苗植装置
KR20210131851A (ko) 농업 작업기의 동력 인출 장치
CN101223385B (zh) 变速箱
JP2020162443A (ja) 作業機
JPH07184436A (ja) 施肥装置を具備する乗用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