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975A - 직냉식 제빙기 - Google Patents

직냉식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975A
KR20220092975A KR1020227019080A KR20227019080A KR20220092975A KR 20220092975 A KR20220092975 A KR 20220092975A KR 1020227019080 A KR1020227019080 A KR 1020227019080A KR 20227019080 A KR20227019080 A KR 20227019080A KR 20220092975 A KR20220092975 A KR 20220092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old
leg
refrigeration applianc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천 쉬
토마스 더블유. 맥콜로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681,931 external-priority patent/US11181309B2/en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6Rotation angle of the ejector ejecting ice from a stationary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장 기기는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얼음 트레이 조립체를 포함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는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 얼음 틀에 배치된 히터,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에 접하며 열전도에 의해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제빙기 냉매관, 및 커버에 통합된 급수 컵 및 얼음 틀의 입구와 정렬된 출구를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냉식 제빙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7년 12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제15/852,022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원은 전반적으로 냉장 기기용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냉식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 기기, 예를 들어 가정용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내지 냉동 섹션을 모두 갖는다. 신선식품실은 과일, 야채, 음료 등의 식품류를 보관하는 곳이며, 냉동실은 냉동 상태로 유지돼야 하는 식품류를 보관하는 곳이다. 냉장고에는 신선식품실을 0℃보다 높은, 예를 들어, 0.25℃ 내지 4.5℃의 온도로 유지하고 냉동실을 0℃보다 낮은, 예를 들어 0℃ 내지 -20℃의 온도로 유지하는 냉장 시스템이 구비된다.
그러한 냉장고에서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의 서로에 대한 배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떤 경우에는 냉동실이 신선식품실 위에 위치하고 다른 경우에는 냉동실이 신선식품실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많은 현대식 냉장고에서는 냉동실과 신선식품실이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과 신선식품실을 어떻게 배치하든 간에, 일반적으로 이들 격실에는 개별 접근 도어가 구비되어 다른 한 격실을 주위 공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어느 한 격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는 일반적으로 "사각 얼음"으로 지칭되는 얼음 조각(이러한 얼음 조각 중 다수가 사각형 형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을 만들기 위한 장치가 종종 구비된다. 이러한 제빙 장치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동실에 위치하며 대류에 의해, 즉 얼음 트레이에 담긴 물 위로 냉기를 순환시켜 물을 사각 얼음으로 얼림으로써 얼음을 제조한다. 얼린 얼음 조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통 역시 종종 제빙 장치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얼음 조각은 냉동실을 주변 공기와 차단하는 도어의 분배 포트를 통해 저장 통으로부터 분배할 수 있다. 얼음의 분배는 일반적으로 저장 통과 냉동실 도어의 분배 포트 사이에 연장되는 얼음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신선식품실의 수직 아래에 배치된 냉동실을 포함하는 소위 "하냉동" 냉장고와 같은 냉장고의 경우, 제빙기를 냉동실 내에 배치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사용자는 냉장고가 놓여 있는 바닥과 가까운 위치에서 얼린 얼음 조각을 가져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신선식품실 접근 도어와 같은 편리한 높이에 얼음 디스펜서를 구비하려면 얼린 얼음 조각을 냉동실에서 신선식품실 접근 도어의 디스펜서로 운반하기 위해 정교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빙기는 일반적으로 하냉동 냉장고의 신선식품실에 포함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물의 빙점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는 격실 내에서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야기한다.
제빙기의 얼음 트레이와 직접 접촉하여 얼음 트레이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코일을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가 제공된다. 제빙기는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 얼음 틀에 배치된 히터,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에 접하며 열전도에 의해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제빙기 냉매관을 포함한다.
제빙기의 제빙기 냉매관은 얼음 틀의 대향하는 측면 표면들에 접하는 제1 레그(leg) 및 제2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 기기는 얼음 틀에 고정되고 제빙기 냉매관에 대해 유지력을 인가함으로써 제빙기 냉매관이 측면 표면과 접하도록 치우치게 하는 유지 클립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냉장 기기의 제빙기 냉매관은 얼음 틀로부터 연장되며 그 위에 복수의 냉각핀(fin)을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팬이 복수의 냉각핀을 가로질러 공기를 전달함으로써 제빙기 전체에 걸쳐 냉각 기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 기기는 일체형 몸체로서 얼음 틀과 일체로 형성된 급수 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 틀 및 급수 컵은 둘 다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 기기는, 제빙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빙기의 얼음 통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얼음 상자 증발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얼음 상자 증발기는 제빙기 냉매관의 출구에 연결된다. 원심 팬이 제빙기의 얼음 통으로부터 얼음 상자 증발기를 거쳐 다시 얼음 통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가 제공된다. 제빙기는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 얼음 틀에 배치된 히터, 및 얼음 틀의 측면 표면에 인접한 얼음 틀을 통해 연장되어 냉매를 전달하고 열전도에 의해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한다.
본 양태에 따른 냉장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에 배치되고 외경이 적어도 하나의 통로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냉매관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 틀은 냉매관 주위에 오버몰딩되어 냉매관이 이에 의해 얼음 틀 내에 캡슐화되도록 할 수 있다.
냉장 기기는 얼음 틀과 함께 일체형 몸체로서 형성된 급수 컵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 틀 및 급수 컵은 둘 다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 기기는, 제빙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빙기의 얼음 통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얼음 상자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얼음 상자 증발기는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의 출구에 연결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제빙기, 및 밸브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가 제공된다. 제빙기는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을 포함한다. 제빙기 냉매관은 열전도에 의해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킨다. 밸브는 입구, 제빙기 냉매관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1 출구, 및 제빙기 냉매관 주위의 바이패스 라인과 연결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한다. 밸브의 입구는 밸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밸브의 제1 출구와 연결되어 냉매가 제빙기 냉매관 및 시스템 증발기를 통해 그 순서대로 흐르게 한다. 밸브의 입구는 밸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밸브의 제2 출구와 연결되어 냉매가 바이패스 라인 및 시스템 증발기를 통해 그 순서대로 흐르게 한다.
냉장 기기에서, 바이패스 라인에 배치된 얼음 상자 증발기는 밸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냉매가 제빙기 냉매관 및 시스템 증발기만을 통해서 그 순서대로 흐르고, 밸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냉매가 얼음 상자 증발기 및 시스템 증발기만을 통해서 그 순서대로 흐른다.
냉장 기기에서, 제빙기 냉매관의 출구 및 바이패스 라인에 연결된 얼음 상자 증발기는 상기 밸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냉매가 제빙기 냉매관, 얼음 상자 증발기, 및 시스템 증발기만을 통해서 그 순서대로 흐르고, 밸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냉매가 얼음 상자 증발기 및 시스템 증발기만을 통해서 그 순서대로 흐른다.
냉장 기기의 제빙기 냉매관은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과 접할 수 있다.
냉장 기기의 얼음 틀은 얼음 틀의 측면 표면에 인접한 얼음 틀을 통해 연장되어 냉매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얼음 트레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가 제공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는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을 포함한다. 히터가 얼음 틀에 배치된다. 제빙기 냉매관이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에 접하며 열전도에 의해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킨다. 커버에 통합된 급수 컵 및 얼음 틀의 입구와 정렬된 출구를 포함하는 커버가 제공된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커버 및 얼음 틀은 그 사이에 얼음 배출기용 지지 베어링을 잡아두도록 구성되고, 지지 베어링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얼음 스트리퍼(stripper)의 일부이다.
전술한 냉장 기기는 얼음 배출기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냉장 기기의 센서는 얼음 배출기의 특징부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특징부는 얼음 배출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윤곽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기어박스에 부착되는 베일 암(bail ar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의 베일 암은 기어박스에 부착된 제1 레그 및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레그를 갖는 L자형일 수 있다. 제2 레그는 이격된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베일 암은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고, 베일 암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베일 암의 제2 레그는 얼음 틀 아래에 위치된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제1 레그는 베일 암의 피벗 축에 대해 제2 레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얼음 트레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가 제공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는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을 포함한다. 히터가 얼음 틀에 배치된다. 제빙기 냉매관이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에 접하며 열전도에 의해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킨다. 베일 암이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기어박스에 부착된다. 베일 암은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며, 베일 암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베일 암의 레그가 얼음 틀 아래에 위치된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베일 암은 기어박스에 부착된 제1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레그를 갖는 L자형일 수 있다. 제2 레그는 이격된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베일 암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얼음 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제1 레그는 베일 암의 피벗 축에 대해 제2 레그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는 커버에 통합된 급수 컵 및 얼음 틀의 입구와 정렬된 출구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커버 및 얼음 틀은 그 사이에 얼음 배출기용 지지 베어링을 잡아두도록 구성될 수 있고, 지지 베어링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얼음 스트리퍼의 일부일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는 얼음 배출기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센서는 얼음 배출기의 특징부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냉장 기기에서, 특징부는 얼음 배출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윤곽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폐쇄 위치에 있는 냉장고 도어를 도시한 가정용 프렌치 도어 하냉동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로서, 개방 위치에 있는 도어와 신선식품실의 제빙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명료함을 위해 제빙기 프레임의 측벽을 제거한 제빙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빙기용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5-5 선에 따른 도 4a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용 제빙기 증발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용 제빙기 증발기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빙기 증발기가 있는 도 3의 제빙기의 측면도로서, 여기서 화살표는 제빙기 내의 공기 순환 경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제3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냉장고용 냉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제빙기 증발기 및 얼음 상자 증발기의 측면 사시도로서, 제빙기 증발기 및 얼음 상자 증발기를 통한 냉매의 유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3의 13-13 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냉장고용의 냉각 시스템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3의 제빙기용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제4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로서, 베일 암을 제1 상부 위치 및 제2 하부 위치 양쪽 모두에서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커버가 제거된 도 15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일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일 단부의 단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20-20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베일 암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22-22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5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단부도로서, 베일 암을 제1 상부 위치 및 제2 하부 위치 양쪽 모두에서 도시한다.
도 24는 도 15의 기어박스의 분해도이다.
도 25는 도 15의 기어박스의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커버 및 중간 커버가 제거된 도 24의 기어박스의 정면도로서, 얼음 통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작동 상태의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하우징이 제거된 도 25의 기어박스의 배면도로서, 얼음 통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작동 상태의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를 도시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전체적으로 20으로 지시된 가정용 냉장고 형태의 냉장 기기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가정용 냉장고(20)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20) 이외의 냉장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가 냉동실(22)의 수직 위에 배치된 신선식품실(24)을 포함하는 냉장고(20)의 하냉동 구성으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냉장고(20)는 적어도 신선식품실(24) 및 제빙기(50)(도 2)를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구성, 예를 들어 상냉동 냉장고(냉동실이 신선식품실 위에 배치됨), 양문형 냉장고(신선식품실이 냉동실 옆에 있음), 독립형 냉장고나 냉동고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도어(26)는 냉장고(20)의 캐비넷(29)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신선식품실(24)에 대한 접근을 제한 및 허용한다. 도어(26)는 신선식품실(24)의 입구를 가로질러 전체 측방향 거리에 걸쳐 있는 단일 도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신선식품실(24)을 둘러싸기 위해 집합적으로 신선식품실(24) 입구의 전체 측방향 거리에 걸쳐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프렌치형 도어(26)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구성을 위해, 도어(26) 중 적어도 하나에 센터 플립 멀리언(center flip mullion)(31)(도 2)이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도어(26)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시일이 도어(26)의 대향 측면들(27)(도 2) 사이의 위치에서 신선식품실(24)의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닿는 표면을 설정한다. 멀리언(31)은 도어(26)가 닫혀있을 때 도어(2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과 도어(26)가 열려 있을 때의 다른 방향 사이에서 피벗되도록 도어(26)에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센터 멀리언(31)의 외부 노출 표면은 센터 멀리언(31)이 제1 방향에 있을 때 도어(2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센터 멀리언(31)이 제2 방향에 있을 때 도어(26)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각도를 형성한다. 시일과 멀리언(31)의 외부 노출 표면은 신선식품실(24)의 측면들 사이의 대략 중간에서 협력한다.
적어도 얼음 조각을, 그리고 선택사항으로 물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28)(도 1)가 신선식품실(24)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도어(26) 중 하나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펜서(28)는 얼린 얼음 조각이 신선식품실(24) 내에 배치된 제빙기(50)의 얼음 통(54)(도 2)으로부터 분배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레버, 스위치, 근접 센서 또는 기타 장치를 포함한다. 얼음 통(54)으로부터의 얼음 조각은 구멍(62)을 통해 얼음 통(54)에서 빠져나와서, 얼음 슈트(chute)(32)(도 2)를 통해 디스펜서(28)로 전달될 수 있는데, 얼음 슈트(3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펜서(28)와 얼음 통(54) 사이의 도어(26)를 통해 연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실(22)은 신선식품실(24)의 수직 아래에 배치된다. 냉동실(22)에 보관된 식품류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냉동실 바스켓(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서랍 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냉동실(2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서랍 조립체는 손잡이(25)를 포함하는 냉동실 도어(2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25)를 잡고 냉동실 도어(21)를 당겨 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동실 바스켓이 냉동실(2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되게 된다.
냉동실(22)은 냉동실(22)에 보관된 식품류를 냉동시키고/시키거나 냉동 상태로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냉동실(22)은 냉동실(22)에서 열에너지를 제거하는 냉동실 증발기(82)(도 11)와 열적으로 연통되어, 냉장고(20)의 운전 중에 냉동실(22) 내부 온도를 0℃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의 온도로 유지한다.
냉장고(20)는 신선식품실(24)을 형성하는 내부 라이너(liner)(34)(도 2)를 포함한다. 신선식품실(24)은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보관된 식품류의 부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신선식품실(24)은 신선식품실(24)의 온도를 일반적으로 0℃보다 높은 차가운 온도로 유지하여 신선식품실(24) 내의 식품류가 동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차가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4.5℃임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실 증발기(82)에 의해 열에너지가 제거된 차가운 공기를 신선식품실(24)에 불어넣어 그 내부의 온도를 0℃ 초과,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4.5℃로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신선식품실(24) 내의 온도를 냉동실(22)과 무관하게 별도로 유지하기 위해 선택사항으로 별도의 신선식품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를 전용으로 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선식품실(24)의 온도는 0℃ 내지 4.5℃ 범위(그 범위에 속하는 모든 하위 범위 및 모든 개별 온도 포함)의 빡빡한 허용 오차 내에서 차가운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는 선택사항으로 신선식품실(24) 내의 차가운 온도를 0.25℃ 내지 4℃의 온도라는 충분히 빡빡한 허용 오차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제빙기(5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기(50)는 프레임 또는 인클로저(52), 얼음 통(54), 에어 핸들러 조립체(70) 및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얼음 통(54)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 조각을 저장하고, 에어 핸들러 조립체(70)는 냉각된 공기를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와 얼음 통(54)으로 순환시킨다. 제빙기(50)는 임의의 적절한 패스너(fastner)를 사용하여 신선식품실(24) 내에 고정된다. 프레임(52)은 얼음 통(54)을 수용하기 위해 대개 직사각형 모양이다. 프레임(52)은 제빙기(50)를 신선식품실(24)로부터 열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단열된 벽을 포함한다. 제빙기(50)의 프레임(52)을 냉장고(20)의 신선식품실(24)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패스너(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가 프레임(52)에 고정된다.
명료함을 위해 제빙기(50)는 프레임(52)의 측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기(50)는 단열된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얼음 통(54)은 개방된 전방 단부 및 개방된 상부를 갖는 하우징(56)을 포함한다. 전면 커버(58)가 하우징(56)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어 하우징(56)의 전방 단부를 둘러싼다. 얼음 통(54)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되면, 하우징(56)과 전면 커버(58)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 조각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얼음 통(54)의 내부 공동(54a)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58)는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기계적 패스너에 의해 하우징(56)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적절한 도구의 예에는 나사, 너트 및 볼트, 또는 도구 없이 손으로 전면 커버(58)를 하우징(56)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탭 시스템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마찰 피팅이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전면 커버(58)는 접착제, 용접, 제거 불가능한 패스너 등과 같은 방법(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하우징(56)의 제 위치에 제거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양한 다른 예에서, 전면 커버(58)의 측면에 오목부(59)가 형성되어, 제빙기(50)에서 얼음 통(54)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한다. 전면 커버(58)의 바닥에는 구멍(62)이 형성된다. 회전식 오거(auger)(도시되지 않음)가 얼음 통(54)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오거가 회전함에 따라, 얼음 통(54)의 얼음 조각은 얼음 분쇄기(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 구멍(62)을 향해 밀려난다. 얼음 분쇄기는 사용자가 분쇄된 얼음을 요청할 경우 얼음 분쇄기로 운반된 얼음 조각을 분쇄하기 위해 제공된다. 선택사항으로 오거는 에어 핸들러 조립체(70)의 오거 모터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회전될 수 있다. 구멍(62)은 도어(26)가 닫혀있을 때 얼음 슈트(32)(도 2)와 정렬된다. 이러한 정렬은 오거가 얼음 통(54)에 저장된 얼린 얼음 조각을 디스펜서(28)에 의해 분배하기 위해 얼음 슈트(32) 내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는 얼음 틀(102), 커버(118), 얼음 조각을 부분적으로 녹이기 위한 수확 히터(126)(도 4b 및 도 5), 복수의 스위퍼 암(132)(도 5) 및 제빙기 증발기(150)를 포함한다. 얼음 틀(102)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얼음 틀(102)은 단일 일체형 몸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얼음 틀(102)은 상부 표면(104), 하부 표면(106) 및 측면 표면(108)을 포함한다. 얼음 틀(102)의 상부 표면(104)에는 복수의 공동(112)이 형성된다. 복수의 공동(112)은 얼음 조각으로 얼려질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공동(112)은 위어(weir)(114)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위어(114)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공동(112) 사이에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공동(112)은 다수의 변종을 가질 수 있다. 얼음 조각이 복수의 스위퍼 암(132)에 의해 제거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큐브 모양과 크기가 가능하다(예를 들어, 초승달, 입방체, 반구형, 원통형, 별, 달, 회사 로고, 모양과 크기의 동시 조합 등).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동(112)은 얼음 틀(102)의 측방향으로 정렬된다.
얼음 틀(102)의 하부 표면(106)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확 히터(126)를 수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하부 표면(106)은 내부에 수확 히터(126)를 수용하기 위해 하부 표면(106)의 주변 둘레로 연장되는 홈(106a)을 포함한다.
측면 표면(108)은 제빙기 증발기(150)를 수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거나 조형된다. 측면 표면(108)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빙기 증발기(150)의 외부 프로파일과 면밀하게 일치하는 세장형의 오목부(108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18)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를 신선식품실(24)의 라이너(34)에 고정시키기 위해 얼음 틀(102)의 상부 표면(104)에 부착된다. 얼음 틀(102)은 유닛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빙기(50)의 프레임(52)의 내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커버(118)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를 라이너(34) 또는 프레임(52)의 상부 벽에 있는 짝을 이루는 개구(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탭(118a)을 포함한다. 커버(118)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118b)는 개구(122)를 형성하기 위해 얼음 틀(102)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개구(122)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얼음 조각이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얼음 틀(102)의 하부 표면(106)에 수확 히터(126)를 부착하여 얼음 틀(102)에 가열효과를 줌으로써 얼음 수확 작업 중에 응고된 얼음 조각을 얼음 틀(102)에서 분리한다. 히터(126)는 전기저항식 히터일 수 있으며, 얼음 틀(102)의 하부 표면(106)에 형성된 홈(106a)에 잡혀있을 수 있다. 히터(126)는 전도성 열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얼음 틀(102)과 직접 또는 실질적으로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확 히터(126)는 하부 표면(106)의 주변부 둘레로 연장되는 U자형 요소이며 원통형 외부 표면을 갖는다. 홈(106a)은 수확 히터(126)의 외부 원통형 외부 표면과 일치하는 원통형 윤곽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U자형 히터(126)의 레그는 얼음 틀(102)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히터(126)가 얼음 틀(102)과 직접 또는 실질적으로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한 히터(126)는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나선형 등(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복수의 스위퍼 암(132)은 얼음 틀(102)의 상부 표면(104)에 형성된 공동(112)에 배치된다. 복수의 스위퍼 암(132)은 회전 가능한 샤프트(134)에 부착되는 세장형의 요소이다. 샤프트(134)가 회전함에 따라 스위퍼 암(132)은 공동(112)을 통해 이동하여 공동(112)의 얼음 조각을 얼음 틀(102) 밖으로 밀어낸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134)는 얼음 틀(10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스위퍼 암(132)이 얼음 조각을 얼음 틀(102) 위의 영역으로 밀어넣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커버(118)의 하부 표면은 얼음 조각을 커버(118)와 얼음 틀(102) 사이의 개구(122)로 향하게 하기 위해 만곡된다. 스위퍼 암(132)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얼음 조각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로부터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 아래에 위치하는 얼음 통(54)(도 3)으로 배출된다.
복수의 스위퍼 암(132)을 작동시키기 전에, 수확 히터(126)에 전원을 공급하여 얼음 틀(102)을 가열하며, 얼음 틀(102)은 다시 복수의 공동(112)에 있는 얼음 조각의 하부 표면을 녹인다. 얼음 조각의 하부 표면에 액체의 얇은 막이 형성되어 얼음 틀(102)로부터 얼음 조각을 분리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면 복수의 스위퍼 암(132)이 얼음 조각을 얼음 틀(102)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얼음 틀(102)은 일체로 형성된 급수 컵(136)을 포함하는 일체형 몸체이다. 급수 컵(136)은 얼음 틀(102)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특히, 얼음 틀(102)은 금속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제조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급수 컵(136)은 얼음 틀(102)의 공동(112)을 향해 경사진 평평한 측벽 및 바닥 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급수 컵(136)에 주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얼음 틀(102)의 공동(112)으로 흐를 것이다. 수확 히터(126)에 의해 제공되는 열에너지는 정상 작동 중에 급수 컵(136)에 축적될 수 있는 서리 또는 얼음을 녹이기에도 충분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빙기 증발기(150)는 제1 레그(152), 제2 레그(154) 및 연결부(15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레그(152)는 U자형이고 상부 부분(152a) 및 하부 부분(152b)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레그(154)는 U자형이고 상부 부분(154a) 및 하부 부분(154b)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152a, 154a) 및 하부 부분(152b, 154b)이 얼음 틀(102)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세장형 요소로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부분(152a, 154a, 152b, 154b)은 얼음 틀(102)의 각각의 측면 표면(108)과 밀접하게 또는 면대면으로 접촉하는 한 다른 형상, 예를 들어 곡선형, 물결형, 톱니형, 계단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빙기 증발기(150)는 U자 형상이다. 제빙기 증발기(150)는 얼음 틀(102)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제빙기 증발기(150)는 제빙기 증발기(150)로 냉매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 단부(162)와 제빙기 증발기(150)에서 냉매가 배출되도록 하는 출구 단부(164)를 포함한다. 제1 모세관(98)(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함)이 입구 단부(162)에 부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빙기 증발기(150)는 원통형 외부 표면을 갖고, 얼음 틀(102)의 측면 표면(108)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부(108a)는 일치하는 윤곽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목부(108a)는 바람직하게는 제빙기 증발기(150)의 제1 및 제2 레그(152, 154)의 원통형 외부 표면의 적어도 절반 또는 180°와 접촉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접촉량은 1/2 또는 18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제빙기 증발기(150)를 얼음 틀(102)의 양쪽 측면 표면(108)에 고정하도록 제빙기 증발기(150)에 유지력을 인가하기 위해 유지 클립(172)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립(172)은 얼음 틀(102)의 측면 표면(108)에 있는 슬롯형 개구(108b)와 맞물리는 형상의 상단부(174)를 포함한다. 클립(172)의 하단부(176)는 얼음 틀(102)의 하부 표면(106)에 클립(172)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단부(174)는 클립(172)을 슬롯형 개구(108b)에 고정하기 위해 J자 형상이고, 하단부(176)는 얼음 틀(102)의 하부 표면(106)의 대향 가장자리들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리브(106b)에 클립(172)을 부착하기 위해 S자 형상이다. 클립(172)은 상단부(174)를 슬롯형 개구(108b)에 삽입한 다음 하단부(176)가 세장형 리브(106b) 또는 얼음 틀(102)의 동등한 기능부에 스냅 또는 클립 결합될 때까지 클립(172)을 얼음 틀(102)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설치된다. 클립(172)은 제빙기 증발기(150)를 얼음 틀(102)의 측면 표면(108)과 밀접하게 접촉하거나 접하도록 치우치게 하거나 유지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제빙기 증발기(150)는 얼음 틀(102)의 측면 표면(108) 상의 각각의 오목부(108a) 내로 스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기 증발기(150)는 복수의 냉각 핀(1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빙기 증발기(150)가 제빙기(50)에 배치될 때 복수의 핀(182)은 순환 팬(184)에 근접한 에어 핸들러 조립체(70)에 위치될 수 있다. 팬(184)에 전원이 공급되면 공기는 복수의 핀(182) 위로 운반되고 냉각된 공기는 제빙기(50) 내부로 순환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된 공기는 얼음 통(54)으로 전달되어 그 안의 얼음 조각을 차갑게 유지한다. 도 8의 화살표는 제빙기 증발기(150) 위로 공기를 전달하는 순환 팬으로부터 제빙기(50)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의 경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와 유사한 제2 실시예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얼음 트레이 조립체(200)는 얼음 틀(202)을 포함한다. 제2 얼음 트레이 조립체(200)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얼음 틀(102)과 유사하게, 얼음 틀(202)은 얼음 조각으로 얼려질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동(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얼음 틀(202)은 얼음 틀(202)의 측방향으로 얼음 틀(202)의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의 내부 공동(202a)을 포함한다. 세장형 공동(202a)은 제빙기 증발기(150)의 제1 레그(152)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2 레그(154)를 수용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얼음 틀(202)은 제빙기 증발기(150)가 공동(202a)에 완전히 삽입될 때 제빙기 증발기(150)의 연결부(156)를 수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된 후면(202b)을 포함한다. 제빙기 증발기(150)를 얼음 틀(202)에 고정하기 위해 클립 또는 패스너(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에서, 제빙기 증발기(150)의 제1 레그(152) 및 제2 레그(154)는 얼음 틀(102)의 외부 표면에 위치된다. 제2 실시예 얼음 트레이 조립체(200)에서, 제빙기 증발기(150)의 제1 레그(152) 및 제2 레그(154)는 얼음 틀(202)의 내부에 위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와 유사한 제3 실시예 얼음 트레이 조립체(300)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얼음 트레이 조립체(300)는 얼음 틀(302)을 포함한다. 제3 얼음 트레이 조립체(300)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와 동일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얼음 틀(102)과 유사하게, 얼음 틀(302)은 얼음 조각으로 얼려질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동(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 얼음 트레이 조립체(200)와 유사하게, 제3 실시예 얼음 트레이 조립체(300)는 얼음 틀(302) 내부에 위치된 튜브(303)를 포함한다.
얼음 틀(302)은 중합체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버몰딩 기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튜브(303) 주위에 주조되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강철의 주물 또는 주조된 블록이다. 튜브(303)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금속 얼음 틀(302)을 주조하는 데 필요한 열을 견디는 다른 고온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튜브(303)를 냉장고(20)의 냉각 시스템에 유체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튜브(303)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303)는 얼음 틀(302)의 한쪽을 따라 배치된다. 튜브(303)는 내부 U-채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튜브(303)는 얼음 틀(302)의 양쪽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서로 연결되고 냉각 시스템이 제3 제빙기 증발기(350)를 정의할 때 튜브(303)는. 튜브(303)는 하나 이상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고 튜브(303)가 얼음 틀(302)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튜브(303)의 외경이 구멍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함이 고려된다. 튜브(303)는 튜브(303)를 얼음 틀(302)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303)는 틀의 하부 표면에 평행하다. 튜브(303)는 틀의 하부 표면에 대해 경사지거나 각을 이룰 수 있음이 고려된다.
얼음 틀(302)에 튜브(303)를 배치하는 대신에 복수의 통로(도시되지 않음)가 얼음 틀(302) 자체에 형성될 수 있고 얼음 틀(302)을 통해 연장되어 냉매용 유로를 형성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얼음 틀(302)의 통로를 냉장고의 냉각 시스템의 적절한 부분에 유체 연결하기 위해 적절한 커넥터가 얼음 틀(302) 자체에 부착될 것이다. 이와 같이, 얼음 틀(302) 자체가 제빙기 증발기(350)를 한정한다.
본원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 200, 300)는 제빙기 증발기(150, 350)가 얼음 틀(102, 202, 302)과 직접(또는 실질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직접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얼음 조각은 얼음을 생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원격 위치(예를 들어, 냉동실)에서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 없이 만들어진다. 직접적인 접촉은 제빙기 증발기(150, 350)가 얼음 틀(102, 202, 302)에 접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얼음을 생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원격 위치(예를 들어, 냉동실)로부터 덕트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는 않지만, 제빙 생산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얼음 통(54)에 저장된 얼음 조각을 냉동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원하는 경우에는,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시스템 증발기(도시되지 않음) 주위로부터 냉기가 덕트를 통해 유입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이는 예를 들어, 얼음 통(54)이 제빙기 증발기(150, 350)와 분리되어 있거나 그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제공되는 구성에서 또는 가속화된 얼음 형성이 요구되는 구성에서 유용할 수 있다.
여전히, 단순화를 위해 "증발기"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대신에 제빙기 증발기(150, 350)가 물을 얼음 조각으로 응고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얼음 틀(102, 202, 302)을 냉각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열전 소자(또는 다른 냉각 소자)일 수 있다. 유사한 작동 서비스 라인(예를 들어, 전기 라인)이 전술한 유입/배출 라인과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냉장고(20)용 냉각 시스템(8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냉각 시스템(80)은 냉동실 증발기(82), 액분리기(84)(선택 사항), 압축기(86), 응축기(88) 및 건조기(92)와 같은 기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기존의 구성요소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밸브(94)와 얼음 상자 증발기(96) 사이에 연결된다. 밸브(94)와 건조기(92) 둘 다 냉장고(20)의 기계실(도시되지 않음)에 위치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밸브(94)는 단일 입구(94a) 및 2개의 출구(94b, 94c)를 포함한다. 입구(94a)는 응축기(88)에 연결되고, 선택 사항으로 건조기(92)에 연결된다. 제빙기 증발기(150, 350)에 제1 출구(94b)가 연결된다(화살표 "A"로 표시됨). 제1 모세관(98)은 밸브(94)의 제1 출구(94b)를 제빙기 증발기(150, 350)에 연결한다. 얼음 상자 증발기(96)에 제2 출구(94c)가 연결된다(화살표 "B"로 표시됨). 제2 모세관(99)은 밸브(94)의 제2 출구(94c)를 얼음 상자 증발기(96)에 연결한다. 얼음 상자 증발기(96)는 선택 사항인 구성요소임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빙기 증발기(150)가 얼음 통(54)의 얼음 조각을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도록 충분히 구성된 냉각 핀(182)을 포함하는 경우 제빙기 증발기(96)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제빙기 증발기(150)가 얼음 상자 증발기(96)에 연결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밸브(94)가 제1 위치(즉, 입구(94a)를 통해 들어가고 제1 출구(94b)를 통해 나가는)에 있을 때 냉매는 유로 "A"를 따라 제1 모세관(98)을 통해 흘러서 제빙기 증발기(150)의 입구 단부(162)로 들어가고, 제빙기 증발기(150)를 통해 흐르며, 출구 단부(164)로 나와서, 얼음 상자 증발기(96)의 입구 단부(96a)로 들어가고, 얼음 상자 증발기(96)를 통해 흐르며, 얼음 상자 증발기(96)의 출구 단부(96b)로 나온다(화살표 "C"로 표시됨). 밸브(94)가 제2 위치(즉, 입구(94a)를 통해 들어가고 제2 출구(94c)를 통해 나가는)에 있을 때, 냉매는 유로 "B"를 따라 제2 모세관(99)을 통해 흘러서 얼음 상자 증발기(96)의 입구 단부(96a)로 들어가고, 얼음 상자 증발기(96)를 통해 흐르며, 얼음 상자 증발기의 출구 단부(96b)로 나온다(화살표 "C"로 표시됨). 이와 같이, 밸브(9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냉매는 제빙기 증발기(150)를 우회한다.
얼음 수확 과정, 풀 버킷(full bucket) 모드, 얼음 상자 증발기(96)의 제상 중에 또는 제빙기(50)가 "OFF"일 때, 밸브(94)는 제2 출구(94c)가 얼음 상자 증발기(96)에 유체 연결되고 냉매가 제빙기 증발기(150, 350)를 우회하도록 제2 위치에 있다. 다른 과정/작동 모드 중에는, 밸브(94)는 밸브(94)의 제1 출구(94b)가 제빙기 증발기(150, 350)에 연결되고 냉매가 제빙기 증발기(150, 350)를 통과한 다음 얼음 상자 증발기(96)로 흐르도록 제1 위치에 있다.
도 14는 얼음 상자 증발기(96)와 제빙기 증발기(150, 350)가 평행한 경로로 배치된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제1 모세관(98)에 의해 쌍안정 밸브(94)의 제1 출구(94b)에 연결되고, 얼음 상자 증발기(96)는 제2 모세관(99)에 의해 쌍안정 밸브(94)의 제2 출구(94c)에 연결된다. 밸브(94)가 제1 위치(즉, 입구(94a)를 통해 들어가고 제1 출구(94b)를 통해 나가는)에 있을 때, 냉매는 유로 "A"를 따라 제1 모세관(98)과 제빙기 증발기(150)를 통해 흐른다. 밸브(94)가 제2 위치(즉, 입구(94a)를 통해 들어가고 제2 출구(94c)를 통해 나가는)에 있을 때, 냉매는 유로 "B"를 따라 제2 모세관(99) 및 얼음 상자 증발기(96)를 통해 흐른다. 이와 같이, 밸브(9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냉매는 제빙기 증발기(150)를 우회하고 밸브(9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냉매는 얼음 상자 증발기(96)를 우회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상자 증발기(96)는 제빙기 증발기(150, 350) 주변의 우회 라인 또는 경로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얼음 상자 증발기(96) 주변의 우회 라인 또는 경로에 배치된다.
얼음 수확 과정, 풀 버킷 모드, 얼음 상자 증발기(96)의 제상 중에 또는 제빙기(50)가 "OFF"일 때, 밸브(94)는 제2 출구(94c)가 얼음 상자 증발기(96)에 유체 연결되고 냉매가 제빙기 증발기(150, 350)를 우회하도록 제2 위치에 있다. 다른 과정/작동 모드 중에는, 밸브(94)는 밸브(94)의 제1 출구(94b)가 제빙기 증발기(150, 350)에 연결되고 얼음 상자 증발기(96)를 우회하도록 제1 위치에 있다.
밸브(94)의 스위칭은 제빙기(50)를 위한 냉각 시스템(80)의 작동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단순화를 위해, 에어 핸들러 조립체(70)의 하우징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2의 화살표는 제빙기 증발기(150) 및 얼음 상자 증발기(96)를 통한 냉매의 경로를 도시한다.
밸브(94)는 제빙기 증발기(150, 350)로 들어가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쌍안정 밸브, 스테퍼 밸브 또는 전자식 팽창 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이 고려된다. 쌍안정 밸브는 이원 밸브, 즉 유동의 100%가 제1 출구(94b) 또는 제2 출구(94c)를 통해 빠져나가는 "어느 하나/또는" 밸브일 수 있다. 전자식 팽창 밸브는 얼음 상자 증발기(96)로의 냉매의 유동과 독립적으로 제빙기 증발기(150, 350)로의 냉매의 유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제빙기 증발기(150, 350)로의 냉매의 유동은 압축기(86)가 작동 중이고 냉매가 얼음 상자 증발기(96)로 전달되고 있는 중이라고 하더라도 제빙 중에 적절하게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팽창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빙기 증발기(150, 350) 및 얼음 상자 증발기(96)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압축기(86)의 작동에 추가로 또는 그를 대신하여, 전자식 팽창 밸브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조절하여 냉각 수요에 기초한 제빙기 증발기(150, 350)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얼음 조각이 생성되지 않을 때보다 물이 얼음 조각을 형성하기 위해 얼려지고 있는 동안 제빙기 증발기(150, 350)에 의한 냉각 수요가 더 크다. 따라서 전자식 팽창 밸브가 제빙기 증발기(150, 350)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작동하는 동안에는 압축기(86)의 작동을 변경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얼음이 제빙기(50)에 의해 생성될 때, 제어기(도시되지 않음)가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수 있다. 전자식 팽창 밸브를 통과한 후 냉매는 제빙기 증발기(150, 350)로 들어가 팽창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체로 증발한다. 제빙기 증발기(150, 350)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상변화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화 잠열을 끌어당겨서 제빙기 증발기(150, 350)의 외부 표면의 온도를 0℃ 아래로 낮춘다. 얼음 틀(102, 202, 302)에서 제빙기 증발기(150, 350)의 외부 표면에 노출된 부분의 온도가 낮아짐으로써 공동(112) 내의 물이 결빙되어 얼음 조각이 형성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빙기(50)는 순환 팬(64)을 포함한다. 얼음 상자 증발기(96)는 공기가 얼음 통(54)으로부터, 얼음 상자 증발기(96) 위로 그리고 다시 얼음 통(54)으로 끌어당겨지도록 순환 팬(64)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순환 팬(64)은 공기가 팬(64)의 중심으로 흡입된 다음 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리 배출되는 원심 또는 농형 팬일 수 있음이 고려된다. 순환 팬(64)은 공기가 팬의 회전축을 따라 팬을 통해 전달되는 축류 팬일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얼음 상자 증발기(96)는 얼음 상자 증발기(96)의 제상 사이클 동안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히터(97)(도 12)를 포함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히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이 얼음 상자 증발기(96) 및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의 급수 컵(136)(도 5) 둘 다를 제상하기에 충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용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얼음 조각을 생성하기 위해 얼음 틀(102, 202, 302) 내의 물로부터 열에너지를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냉장고(20)의 냉동실(22)에 냉각을 제공하는 냉동실 증발기(82)와 동일한 냉각 루프의 일부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냉동실 증발기(82)와 직렬 또는 병렬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빙기 증발기(150, 350)는 완전히 독립적인 냉동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원의 제빙기는 냉동실 도어에 장착 및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비록 여전히 냉동실 내에 배치되긴 하지만, 적어도 제빙기(및 아마도 얼음 통)는 냉동실 도어의 내부 표면에 장착된다. 얼음 틀과 얼음 통은 분리된 요소일 수 있고, 이때 하나는 냉동실 캐비넷 내에 남아 있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 도어에 있음이 고려된다.
시스템 증발기를 비롯한 신선식품실 또는 냉동실의 증발기로부터 냉기가 냉동실 도어로 덕트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냉기는 다양한 구성으로 덕트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냉동실 도어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연장되는 덕트, 또는 냉동실 라이너의 측벽 내지 냉동실 라이너의 천장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가 있다. 일례에서, 냉기 덕트는 냉동실의 천장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얼음 틀을 가로질러 그 위로 냉기를 배출하는 (냉동실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제빙기에 인접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냉동실 도어의 내부에도 얼음 통이 있는 경우, 냉기는 얼음 통을 가로질러 아래쪽으로 흘러 얼음 조각을 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냉기는 냉동실의 증발기로 다시 연장되는 덕트를 통해 냉동실로 되돌아갈 수 있다. 냉기가 냉동실 도어 상에 또는 내부에 있는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덕트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얼음 틀은 얼음 수확을 위해 (중력 또는 트위스트 트레이를 통해) 뒤집힌 상태로 회전될 수 있거나 스위퍼 핑거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냉동실 증발기로부터의 냉기 덕트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열전 냉각기 내지 다른 대안적인 냉각 장치 또는 다양한 기체 및/또는 액체 유체를 사용하는 열교환기가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얼음 틀에서 얼음 형성을 촉진 및/또는 가속화하기 위해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히트 파이프 또는 다른 열전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원의 제빙기는 냉동실 서랍에 장착 및 사용하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본원의 제빙기는 신선식품실의 캐비넷 내부 또는 신선식품 도어 상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얼음 틀과 얼음 통은 분리된 요소일 수 있고, 이때 하나는 신선식품 캐비넷 내에 남아 있고 다른 하나는 신선식품 도어에 있음이 고려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신선식품실 또는 냉동실의 다른 증발기, 예를 들어 시스템 증발기로부터 냉기가 덕트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냉기는 다양한 구성으로 덕트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선식품 도어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연장되는 덕트, 또는 신선식품 라이너의 측벽 내지 신선식품 라이너의 천장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가 있다. 일례에서, 냉기 덕트는 신선식품실의 천장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얼음 틀을 가로질러 그 위로 냉기를 배출하는 (신선식품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제빙기에 인접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신선식품 도어의 내부에도 얼음 통이 있는 경우, 냉기는 얼음 통을 가로질러 아래쪽으로 흘러 얼음 조각을 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냉기는 관련 증발기가 있는 격실, 예를 들어 전용 제빙기 증발기실 또는 냉동실로 다시 연장되는 덕트를 통해 신선식품실로 되돌아갈 수 있다. 냉기가 신선식품 도어 상에 또는 내부에 있는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덕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얼음 틀은 얼음 수확을 위해 (중력 또는 트위스트 트레이를 통해) 뒤집힌 상태로 회전될 수 있거나 스위퍼 핑거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냉동실 증발기(또는 유사하게 신선식품 증발기)로부터의 냉기 덕트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열전 냉각기 내지 다른 대안적인 냉각 장치 또는 다양한 기체 및/또는 액체 유체를 사용하는 열교환기가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또 다른 대안에서, 얼음 틀에서 얼음 형성을 촉진 및/또는 가속화하기 위해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히트 파이프 또는 다른 열전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원의 제빙기는 신선식품 서랍에 장착 및 사용하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15 내지 도 23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는 일반적으로 얼음 틀(510), 얼음 스트리퍼(540), 얼음 배출기(550), 커버(570), 기어박스(630) 및 베일 암(610)을 포함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얼음 틀(510)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얼음 틀(510)은 단일 일체형 몸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얼음 틀(510)은 상부(512), 하부(514) 및 측면(516)을 포함한다. 얼음 틀(510)의 상부(512)에 복수의 공동(518)이 형성된다. 복수의 공동(518)은 얼음 조각으로 얼려질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공동(518)은 위어(522)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위어(522)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공동(518) 사이에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구멍(524)을 갖는다. 도 20을 참조하면, 구멍(524)은 인접한 공동(518) 사이의 물의 자유 유동을 개선하기 위해 공동(518)의 바닥 근처 위치로 연장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공동(518)은 다수의 변종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얼음 조각이 얼음 배출기(550)에 의해 제거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큐브 모양과 크기가 가능하다(예를 들어, 초승달, 입방체, 반구형, 원통형, 별, 달, 회사 로고, 모양과 크기의 동시 조합 등).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동(518)은 얼음 틀(510)의 측방향으로 정렬된다.
얼음 틀(510)의 하부(514)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수확 히터(126)(도 20)를 수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측면(516)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빙기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되거나 조형된다.
얼음 틀(510)의 제1 단부에 있는 벽(525)의 상부 가장자리에 오목부(523)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목부(523)는 호 형상이다. 얼음 틀(510)의 대향하는 제2 단부로부터 벽(526)이 연장된다. 벽(526)의 일 단부는 얼음 틀(510)에 대한 입구(528)를 한정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입구(528)는 하나의 공동(518)으로 직접 연장되고, 중간 단계 또는 물이 입구(528)로부터 공동(518)으로 흐를 때 튀는 것을 촉진할 수 있는 다른 특징부가 없다. 벽(526)의 상부 가장자리에 오목부(532)가 형성된다. 오목부(532)에 인접한 벽(526)을 통해 구멍(534)이 연장된다. 오목부(532)는 얼음 스트리퍼(5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얼음 틀(510)의 한쪽 측면(516)의 가장자리에 2개의 슬롯(536)이 형성된다. 각 슬롯(536)에 인접하게 대응하는 탭(538)이 위치된다. 슬롯(536)과 탭(53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얼음 스트리퍼(540)의 결합 특징부와 정렬되고 결합하도록 위치와 치수가 정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 틀(510)은 얼음 틀(510)의 측면(516)이 종래의 얼음 틀에 비해 더 짧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급수 과정 동안 물이 튀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고려된다. 측면(516)의 높이가 줄어들면 얼음 틀(510)의 재료비가 줄어들고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얼음 스트리퍼(540)는 얼음 스트리퍼(540)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탭(542)을 포함하는 세장형의 요소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탭(542)은 얼음 스트리퍼(540)가 얼음 틀(510)에 고정될 때 얼음 틀(510)의 위어(522)와 정렬되도록 위치와 치수가 정해진다. 특히, 얼음 스트리퍼(540)가 얼음 틀(510)의 한쪽 측면(516)의 상단부에 부착될 때, 각각의 탭(542)은 각각의 위어(522)의 일부의 위로 연장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인접한 탭(542) 사이에 노치(543)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543)는 수확 과정 중에 얼음 틀(510)로부터 사각 얼음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얼음 스트리퍼(540)에서 노치(543) 주변에 있는 부분은 노치(543)로부터의 재료 손실을 조정하기 위해 보강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탭(545)은 얼음 스트리퍼(540)로부터 연장되고 얼음 틀(510)의 슬롯(536)과 맞물리도록 위치와 치수가 정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탭(545) 및 슬롯(536)은 얼음 스트리퍼(540)를 얼음 틀(510)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얼음 틀(510)의 오목부(532)에 수용되는 얼음 스트리퍼(540)의 단부에 지지체(544)가 형성된다. 얼음 스트리퍼(540)에서 지지체(544)에 인접한 부분을 통해 구멍(546)이 연장된다. 구멍(546)은 지지체(544)가 얼음 틀(510)의 오목부(532)에 수용될 때 얼음 틀(510)의 구멍(534)과 정렬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지지체(544)는 얼음 배출기(550)가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지지체(544)는 얼음 배출기(550)의 매칭부가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 베어링의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얼음 배출기(550)는 본체(552)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암(554)이 있는 본체(552)를 갖는 막대 형상 요소이다. 암(554)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얼음 배출기(550)의 제1 단부(556)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어박스(630)의 제1 개구(631a) 내로 수용되어 제1 단부(556)가 기어박스(630) 내부의 출력 기어(658)(도 24)와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제1 단부(556)는 얼음 틀(510)의 오목부(523) 내에서 회전한다. 이와 관련하여, 얼음 틀(510)의 오목부(523)와 얼음 스트리퍼(540)의 지지체(544)는 얼음 배출기(550)가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 표면을 한정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얼음 배출기(550)는 얼음 틀(510)과 얼음 스트리퍼(540) 내에 위치된다. 얼음 배출기(550)의 암(554)은 얼음 스트리퍼(540)의 탭(542)과 얼음 틀(510)의 공동(518) 사이의 공간과 정렬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얼음 배출기(550)가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암(554)은 얼음 틀(510)의 공동(518)을 통해 이동하여 얼음 조각(도시되지 않음)을 공동(518) 밖으로 밀어낸다.
다시 도 16을 참조하면, 얼음 배출기(550)의 제2 단부(558)로부터 돌출부(562)가 연장된다. 돌출부(562)는 제어기(800)(도 15)가 암(554)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암(554)에 대해 고정된다. 돌출부(562)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얼음 배출기(550)의 제2 단부(558)에 근접하게 센서(555)(도 15에 개략적으로 도시됨)가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800)는, 검출된 돌출부(562)의 방향에 기초하여, 얼음 틀(510)의 공동(518)에 대한 암(55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센서(555)는 광학 센서, 근접 센서, 기계적 스위치(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돌출부(562)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센서일 수 있음이 고려된다. 센서(555)의 방향은 조립 중에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562)는 일반적으로 D자 형상이다. 돌출부(562)는 회전될 때 방향이 변하는 임의의 다른 형상, 예를 들어 L자 형상, 별 모양 등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또한, 돌출부(562) 대신에 구성요소(563), 예를 들어 자석이 제2 단부(558)에 배치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얼음 배출기(550)가 회전함에 따라 구성요소(563)의 위치가 변경되고 센서(555)는 구성요소의 새로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570)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를 프레임 또는 인클로저(52)에 고정하기 위해 얼음 틀(510)의 상부(512)에 부착되며, 프레임 또는 인클로저(52)는 다시 신선식품실의 라이너에 부착된다. 커버(570)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를 라이너의 결합 특징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슬롯형 탭(572a, 572b)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형 탭(572a)의 개구의 길이는 슬롯형 탭(572b)의 개구보다 길어서, 커버(570)가 프레임 또는 인클로저(52)에 부착될 때, 결합 특징부(예를 들어, 숄더(shoulder) 나사(도시되지 않음))가 먼저 슬롯형 탭(572a)과 맞물리고 그 다음에 슬롯형 탭(572b)과 맞물리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4개의 슬롯형 탭(572a, 572b) 전부가 초기에 동시에 맞물릴 필요는 없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커버(570)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574)는 개구(571)를 형성하기 위해 얼음 틀(510)의 측면(516)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도 23). 개구(571)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얼음 배출기(550)가 회전할 때 얼음 틀(510) 내의 얼음 조각이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급수 컵(580)은 커버(570)의 일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급수 컵(580)은 벽(584)에 의해 한정되는 개방 상부(582)를 갖는다. 급수 컵(580)의 바닥 벽(586)(도 19)은 물이 급수 컵(580)의 출구(588)로 향하게 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출구(588)는 커버(570)가 얼음 틀(510)에 부착될 때 출구(588)가 얼음 틀(510)의 벽(526)에 형성된 입구(528)와 정렬되고 결합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이와 같이, 급수 컵(580)으로 주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얼음 틀(510)의 공동(518)으로 흐를 것이다. 대안적으로, 급수 컵은 얼음 틀(510)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70)는 커버(570)의 일 단부에 하향 돌출부(576)를 포함한다. 구멍(578)이 하향 돌출부(576)를 통해 연장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구멍(578)은 커버(570)가 얼음 틀(510)에 고정될 때 얼음 스트리퍼(540)의 구멍(546) 및 얼음 틀(510)의 구멍(534)과 정렬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패스너(579)가 구멍(578, 546, 534)을 통해 연장되어 커버(570), 얼음 배출기(550), 및 얼음 스트리퍼(540)를 얼음 틀(510)에 정렬시킨다. 특히, 패스너(579)는 커버(570)의 구멍(578), 얼음 틀(510)의 구멍(534) 및 얼음 스트리퍼(540)의 구멍(546)을 그 순서대로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돌출부(612)가 베일 암(610)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기어박스(630)의 제2 개구(631b)에 대한 치수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612)는 정사각형 형상이다. 돌출부(612)가 제2 개구(631b)를 통해 연장되는 한 돌출부(612)는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별 모양, 삼각형, 나사 모양 등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제2 개구(631b)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702)(도 26)가 베일 암(610)을 피벗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702)의 개구(704)와 정렬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베일 암(610)은 일반적으로 제1 레그(614) 및 제2 레그(622)를 갖는 L자형 요소이다. 베일 암은 제빙기 옆에 위치한 얼음 통에 저장된 얼음의 존재 및 높이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돌출부(612)는 기어박스(630)와 결합하기 위해 제1 레그(614)의 말단부에 배치된다. 베일 암(610)을 기어박스(630)에 고정하기 위해 돌출부(612)를 통해 연장되는 구멍(616)을 통해 패스너(도시되지 않음)가 연장될 수 있다. 제2 레그(622)는 제1 레그(614)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제2 레그(622)는 일반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가지며(도 22 참조) 베이스 부분(624) 및 레그 부분(626)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624)과 레그 부분(626) 사이에는 복수의 이격된 리브(628)가 위치된다. 복수의 이격된 리브(628)는 베이스 부분(624)과 레그 부분(626)에 의해 한정된 직사각형 공간(C)(도 22 참조) 내에 있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된 리브(628)는 베일 암(610)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격된 리브(628)는 베일 암(610)의 피벗 축(D)(도 15 및 도 21 내지 도 23 참조)에 평행하도록 정렬된다. 피벗 축(D)은 구멍(616)에 의해 한정된다.
제2 레그(622)의 말단부는 각진 패드(629)를 한정하기 위해 제2 레그(62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각진 패드(629)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얼음 통(54)(도 3)에 배치된 얼음 조각과 맞물리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진 패드(629)의 측면은 모따기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기어박스(630)는 하우징(632), 커버(642), 중간 커버(644) 및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650)를 포함한다. 하우징(632)은 하우징(632)의 양쪽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탭(636)을 포함한다. 기어 박스(630)를 커버(570)(도 15)의 장착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예를 들어,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탭(636)을 통해 구멍(634)이 연장된다. 하우징(632)은 기어박스(630)를 커버(570) 및 얼음 틀(510)에 추가로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수용하는 다른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가 하우징(63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장착 포스트(638)가 하우징(63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구성요소는 하우징(632)에 대해 고정, 피벗 가능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의 장착 포스트(638)에 장착된다.
커버(642)는 하우징(632)의 개방 단부를 닫기 위해 하우징(632)에 부착된다.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구동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하우징(632)의 영역(646)에 배치된다. 구동 기어는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650)에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의 출력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될 수 있다. 중간 커버(644)가 하우징(632)에 배치되며,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650)를 수용하고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구동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는 영역(646)을 둘러싸기 위한 챔버를 한정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650)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구동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는 제1 기어(652)를 포함한다. 제1 기어(652)는 제1 중간 기어(654)를 구동하고, 제1 중간 기어(654)는 다시 제2 중간 기어(656)를 구동한다. 제2 중간 기어(656)는 출력 기어(658)를 구동한다. 출력 기어(658)는 하우징(632)의 제1 개구(631a)와 정렬되도록 치수가 정해진 개구(658a)를 포함한다. 얼음 배출기(550)(도 16)의 제1 단부(556)는 제1 개구(631a)를 통해 연장되고 출력 기어(658)의 개구(658a)와 맞물린다. 제1 기어(652), 제1 및 제2 중간 기어(654, 656), 및 출력 기어(658)를 통해, 모터의 회전은 얼음 배출기(550)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기어 메커니즘 조립체(650)는 기어박스(630)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레버 암(662)을 또한 포함한다. 제1 레버 암(662)은 제1 레버 암(662)의 중앙 피벗 몸체(666)로부터 연장되는 제1 레그(664)를 포함한다. 제1 레그(664)의 말단부에는 포켓(668)이 형성된다. 포켓(668)은 자성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돌출부(669)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레그(664)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되고 출력 기어(658)의 한쪽에 있는 제1 캠(659)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제2 레그(672)가 중앙 피벗 몸체(666)로부터 연장되고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후크 부분(674)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제1 레버 암(662)을 제1 위치로 치우치게 하며, 이는 도 27a, 도 27c, 도 28a 및 도 28c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레버 암(662)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암(682)에 형성된 포켓(688)과 맞물리는 포스트(676)(도 25)를 또한 포함한다.
제2 레버 암(682)은 중앙 피벗 몸체(684) 및 중앙 피벗 몸체(684)에 부착된 암 부분(686)을 포함한다. 포켓(688)은 제1 레버 암(662)의 포스트(676)를 수용하도록 위치와 치수가 정해진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702)로부터 연장되는 포스트(706)와 맞물리기 위해 암 부분(686)의 말단부에 수용부(692)가 형성된다. 돌출부(694)가 암 부분(686)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되며, 출력 기어(658)에서 제1 캠(659)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캠(671)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구동 샤프트(702)는 베일 암(610)의 말단부에 있는 돌출부(612)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개구(704)를 포함한다. 개구(704)는 구동 샤프트(702)가 하우징(632)에 위치될 때 기어박스(630)(도 24)의 제2 개구(631b)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구동 샤프트(702)로부터 연장되는 포스트(706)는 제2 레버 암(682)의 수용부(692) 내로 수용되도록 치수와 위치가 정해진다. 포스트(706)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하부 위치(B)에 있는 베일 암(610)에 대응하는 제1 회전 위치로 구동 샤프트(702)를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의 작동 중에, 제어기(800)는 얼음이 얼음 통(54)(도 3)에 추가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먼저 베일 암(6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800)는 기어박스(630) 내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하여 베일 암(610)이 피벗 축(D)을 중심으로 도 15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위치(A)에서 제2 하부 위치(B)로 피벗되도록 할 수 있다. 베일 암(610)이 제2 하부 위치(B)에 도달하기 전에 얼음 조각과 접촉하는 경우(예를 들어, 베일 암(610)을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동력의 증가 또는 베일 암(610)이 얼음 조각과 접촉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기어, 연결 장치 및 센서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800)는 베일 암(610)을 제1 상부 위치(A)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경우 제어부(800)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로부터 얼음 통(54)으로 얼음을 수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일 암(610)이 얼음 조각에 접촉하지 않고 제2 하부 위치(B)에 도달하면, 제어기(800)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가 얼음 조각을 얼음 통(54)으로 수확하도록 할 수 있다(도 3).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진 패드(629)의 측면은 모따기된다. 이러한 모따기는 베일 암(610)이 제2 하부 위치(B)에 있을 때 사용자가 얼음 통(54)을 제거할 경우 베일 암(610)이 손상될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어기(800)는 얼음 통(54)이 가득 찼는지 비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어박스(6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면, 기어박스(630)는 하우징(632)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PCB)(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는 홀 센서(710)를 포함한다.
도 27a 및 도 28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레버 암(662, 682)은 "홈" 위치로 지칭되는 제1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제1 위치에서, 제1 레버 아암(662)의 후크 부분(674)에 부착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자성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668)을 포함하는) 제1 레버 암(662)의 말단부를 홀 센서(710)에 인접한 제1 위치로 치우치게 한다. 자성 요소가 홀 센서(710)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홀 센서(710)는 제어기(800)에 "LOW"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레버 암(662)의 돌출부(669)가 출력 기어(658)에 있는 제1 캠(659)의 오목부(659a) 내로 수용되기 때문에 제1 레버 암(662)은 제1 위치 내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레버 암(682)의 돌출부(694)는 출력 기어(658)의 제2 캠(671)과 맞물려서 제2 레버 암(682)이 제1 위치에 있도록 한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레버 암(682)은 (도 27a에 대해) 하향 피벗되어 구동 샤프트(702)가 상부 위치(A)(도 15)에 있는 베일 암(610)에 대응하는 제2 회전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출력 기어(65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도 27a 내지 도 27d 참조) 출력 기어(658)는 결국 제2 레버 암(682)의 돌출부(694)가 제2 캠(671)의 오목부(671a)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제2 레버 암(682)의 포스트(706)에 부착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구동 샤프트(702)가 베일 암(610)을 제1 상부 위치(A)에서 제2 하부 위치(B)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베일 암(610)이 제2 하부 위치(B)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제1 레버 암(662) 및 제2 레버 암(682)은 도 27b 및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것이다. 특히, 제2 레버 암(682)의 돌출부(694)는 제2 레버 암(682)이 제2 위치로 피벗되도록 오목부(671a)의 바닥에 닿을 것이다. 제2 레버 암(682)이 피벗됨에 따라, 제2 레버 암(682)의 포켓(688)은 제1 레버 암(662)의 포스트(676)와 맞물려서 제1 레버 암(662)이 제2 위치로 피벗되게 할 것이다. 제2 위치에서, 제1 레버 암(662)의 포켓(668)(및 그 안의 자성 요소)은 홀 센서(710)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자성 요소가 홀 센서(710)로부터 떨어져 위치될 때, 홀 센서(710)는 "HIGH"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800)에 보낼 것이다.
대조적으로, 베일 암(610)이 제2 하부 위치(B)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얼음 통(54)의 얼음 조각과 접촉하는 경우, 돌출부(694)는 오목부(671a)의 바닥에 닿지 않을 것이며 제2 레버 암(682)은 제1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도 27c 및 도 27b를 참조한다. 이 위치에서 포켓(668)(및 그 안의 자성 요소)은 홀 센서(710)에 인접하게 유지될 것이고 홀 센서(710)는 "LOW"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800)에 보낼 것이다.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버 암(662)의 돌출부(669)는 제1 레버 암(662)이 제1 위치에 유지되도록 오목부(659a)에 위치될 것이다.
출력 기어(658)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도 27a 내지 도 27d 참조), 제2 레버 암(682)의 돌출부(694)는 계속해서 제2 캠(671)을 타고 제2 레버 암(682)을 제1 위치에 그리고 베일 암을 제1 상부 위치(A)에 유지할 것이다. 제1 레버 암(662)의 돌출부(669)는 제1 캠(659)을 타고 제1 레버 암(662)이 제2 위치로 피벗되게 할 것이다. 이 제2 위치에서 포켓(668)(및 그 안의 자성 요소)은 홀 센서(710)로부터 멀어지게 피벗할 것이다. 자성 요소가 홀 센서(710)로부터 이동될 때, 홀 센서(710)는 "HIGH"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기(800)에 보낼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기어(65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도 27a 내지 도 27d 참조), 홀 센서(710)로부터의 신호는 얼음 통(54)이 가득 찼는지 또는 덜 찼는지에 기초하여 HIGH와 LOW 사이에서 변화할 것이다. 특히, HIGH와 LOW 사이의 변화의 순서는 얼음 통(54)이 가득 찼는지 또는 덜 찼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제어기(800)는 변화의 순서에 기초하여 제어기(800)가 얼음 통(54)이 가득 찼는지 또는 덜 찼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얼음 통(54)의 상태, 즉 가득 찼는지 또는 덜 찼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기어박스(630)를 제공한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얼음 통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센서가 필요하다.
얼음 통(54)이 덜 차 있는 경우, 얼음 조각이 얼음 틀(510)로부터 수확된다. 특히, 기어박스(630)와 관련된 모터는 암(554)이 공동(518)을 통해 이동하도록 얼음 배출기(5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암(554)이 공동(518)을 통해 이동할 때, 암(554)은 공동(518)의 얼음 조각을 얼음 틀(510) 밖으로 밀어낸다. 기어박스(630) 반대쪽에 있는 제빙기 조립체(500)의 단부에서 보았을 때(도 23 참조), 얼음 배출기(5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얼음 배출기(550)가 얼음 조각을 얼음 틀(510) 위의 영역으로 밀어넣도록 한다. 커버(570)의 하부 표면은 얼음 조각을 커버(570)와 얼음 틀(510) 사이의 개구(571)로 향하게 하기 위해 만곡된다. 얼음 배출기(55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얼음 조각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로부터 얼음 트레이 조립체(500) 아래에 위치한 얼음 통(54)(도 3)으로 배출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얼음 틀(510)로부터 얼음 조각을 배출하는 동안, 베일 암(610)은 제1 상부 위치(A)에 있다. 특히, 제1 레그(614)는 기어박스(630)의 한쪽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2 레그(622)는 얼음 틀(510) 아래에 위치된다. 얼음 틀(510)은 얼음 조각이 얼음 통(54)(도 3)을 향해 떨어질 때 얼음 조각이 베일 암(610)의 제2 레그(622)를 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떨어지는 얼음 조각으로부터 베일 암(610)의 제2 레그(622)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쉴드 또는 플레이트가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얼음 조각을 배출하는 동안 베일 암(610)의 제2 레그(622)를 얼음 틀(510)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얼음 조각이 베일 암(610)에 또는 베일 암(610)과 얼음 틀(510) 사이에 박히거나 끼일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일 암(610)을 위한 피벗 축(D)(도 15 및 도 21 내지 도 23 참조)에 비해, 제1 레그(614) 및 제2 레그(622)는 거리(d)만큼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도 22 및 도 23 참조). 오프셋은 제1 레그(614)가 기어박스(630)의 측면에 매우 근접하게 유지되도록 허용할 수 있는 반면, 제2 레그(622)는 베일 암(610)의 피벗 동안 얼음 틀(510) 아래에 유지됨이 고려된다. 거리(d)는 약 15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약 19.5 mm일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른 사람들이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면 수정 및 변경이 떠오를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9)

  1.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상기 신선식품실과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상기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얼음 트레이 조립체로서,
    상기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
    상기 얼음 틀에 배치된 히터,
    상기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에 접하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제빙기 냉매관, 및
    커버로서, 상기 커버에 통합된 급수 컵 및 상기 얼음 틀의 입구와 정렬된 출구를 갖는 커버
    를 포함하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
    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얼음 틀은 그 사이에 얼음 배출기용 지지 베어링을 잡아두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베어링은 상기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얼음 스트리퍼의 일부인, 냉장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기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얼음 배출기의 특징부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냉장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부는 상기 얼음 배출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윤곽 형상인, 냉장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기어박스에 부착되는 베일 암을 더 포함하는, 냉장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은 상기 기어박스에 부착된 제1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레그를 갖는 L자형이고, 상기 제2 레그는 이격된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은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고, 상기 베일 암이 상기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일 암의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얼음 틀 아래에 위치되는, 냉장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베일 암의 피벗 축에 대해 상기 제2 레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냉장 기기.
  10. 목표 온도가 0℃보다 높은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보다 낮은 영하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상기 신선식품실과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증발기;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상기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얼음 트레이 조립체로서,
    상기 얼음 조각을 위해 복수의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 상부 표면을 갖는 얼음 틀,
    상기 얼음 틀에 배치된 히터,
    상기 얼음 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에 접하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얼음 틀을 0℃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 제빙기 냉매관, 및
    상기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기어박스에 부착된 베일 암으로서, 상기 베일 암의 레그가 상기 얼음 틀의 하부 표면에 인접한 상부 위치와 상기 베일 암의 상기 레그가 상기 얼음 틀의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한 베일 암
    을 포함하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
    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은 상기 기어박스에 부착된 제1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로부터 연장되는 제2 레그를 갖는 L자형이고, 상기 제2 레그는 이격된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베일 암이 상기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얼음 틀 아래에 위치되는, 냉장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베일 암의 피벗 축에 대해 상기 제2 레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냉장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커버로서, 상기 커버에 통합된 급수 컵 및 상기 얼음 틀의 입구와 정렬된 출구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얼음 틀은 그 사이에 얼음 배출기용 지지 베어링을 잡아두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베어링은 상기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얼음 스트리퍼의 일부인, 냉장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기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얼음 배출기의 특징부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냉장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부는 상기 얼음 배출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윤곽 형상인, 냉장 기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얼음 틀 아래에 배치된 얼음 통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일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센서로부터 수신된 일련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얼음 통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 지원자.
KR1020227019080A 2019-11-13 2020-09-11 직냉식 제빙기 KR20220092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81,931 2019-11-13
US16/681,931 US11181309B2 (en) 2017-12-22 2019-11-13 Direct cooling ice maker
PCT/US2020/050370 WO2021096586A1 (en) 2019-11-13 2020-09-11 Direct cooling ice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975A true KR20220092975A (ko) 2022-07-04

Family

ID=7591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80A KR20220092975A (ko) 2019-11-13 2020-09-11 직냉식 제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092975A (ko)
CN (1) CN114667426B (ko)
BR (1) BR112022009060A2 (ko)
WO (1) WO2021096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6830B (zh) * 2021-08-09 2023-02-24 河北壹雪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且便于脱模的块冰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3181B2 (en) * 2009-02-28 2014-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978406B2 (en) * 2009-02-28 2015-03-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of minimizing frost accumulation
JP4680311B2 (ja) * 2009-09-16 2011-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の製氷装置
KR101613415B1 (ko) * 2010-01-04 2016-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07166B1 (ko) *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5194707A1 (ko) * 2014-06-20 2015-12-23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제빙기 히터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9060A2 (pt) 2022-08-09
WO2021096586A1 (en) 2021-05-20
CN114667426B (zh) 2024-05-28
CN114667426A (zh)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4729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AU2018388901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US10837689B2 (en) Ice maker with rotating ice tray
US10036585B2 (en) Ice maker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KR101650303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776544B2 (en) Refrigeration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
US11598566B2 (en) Revolving ice maker
KR20220092975A (ko) 직냉식 제빙기
US20230272955A1 (en) Direct cooling ice maker
US11649999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