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215A - 자가투여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가투여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215A
KR20220091215A KR1020200182504A KR20200182504A KR20220091215A KR 20220091215 A KR20220091215 A KR 20220091215A KR 1020200182504 A KR1020200182504 A KR 1020200182504A KR 20200182504 A KR20200182504 A KR 20200182504A KR 20220091215 A KR20220091215 A KR 2022009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eparation
self
auxiliary devic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510B1 (ko
Inventor
김수인
염혜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십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십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십자
Priority to KR102020018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510B1/ko
Priority to MX2023007394A priority patent/MX2023007394A/es
Priority to PCT/KR2021/018496 priority patent/WO2022139259A1/ko
Publication of KR2022009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215A/ko
Priority to KR1020230009774A priority patent/KR102577301B1/ko
Priority to KR1020230009775A priority patent/KR102510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510B1/ko
Priority to KR1020230118328A priority patent/KR10259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7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e.g. vein location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injection site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9Aesthetic features, e.g. distraction means to prevent fears of child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투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 및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중공과 연통되는 니들홀을 포함하며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모듈은 니들 및 니들을 감싸고 있는 니들캡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모듈이 삽입공간 내에 배치될 때 니들캡은 니들홀을 관통하며, 상기 분리부의 하방 이동 시 니들캡이 주사기모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의료인인 사용자의 주사바늘에 대한 두려움 및 자가투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자가투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투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가투여 보조장치{DEVICE FOR ASSISTING SELF-ADMINISTRATION}
본 발명은 자가투여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주사기를 장착하여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손쉽게 투여가 가능한 자가투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실린더(Cylinder), 플런저(Plunger), 니들(Needle)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플런저를 눌러 실린더 내의 약물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통 약물의 주입은 환자에게 주입하고자 약물을 의사가 처방해주면,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등의 의료인력이 주사기를 환자의 주사 위치에 대고 주사액을 투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하루에도 수회에 걸쳐 주사를 맞아야 하는 환자, 항암 환자 등 특수한 상황에서 정해진 시간에 주사가 필요한 환자, 장기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자 등 병원이 아닌 집에서 자가투여가 필요한 환자도 다수 존재한다.
자가투여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투약부위를 알코올솜으로 소독한 후, 투약 경로 (피하 또는 근육내)에 따라 주사바늘을 투약부위로 찔러넣어 일정 용량의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가투여는 환자가 주사를 맞기 위해 매번 병원을 방문하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투약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 중증환자, 암환자들이 주사를 맞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므로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가투여는 환자가 직접 자신의 몸에 주사를 놓아야 하므로 투약지도를 충분히 받는다고 하여도 심리적으로 불안할 수 있고, 높은 주사제 비용으로 인해 자가투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이러한 심리적인 불안감으로 인해 환자들은 의사가 자가투여를 처방했다고 하여도 스스로 주사를 놓지 못하고 다시 주사제를 가지고 근처 병원에서 주사를 의뢰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울러, 움직임이 심한 소아의 경우 주사 기술이 숙련되어 있지 않다면 보호자가 주사를 놓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정확한 방법으로 주사하지 못하면 매우 불편하고 통증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환자가 항상 니들의 주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사를 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피하 조직에 니들이 덜 주입되어 주사 효과가 저하되거나, 니들이 과다하게 주입되어 통증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의료인인 사용자의 주사바늘에 대한 두려움 및 자가투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자가투여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투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투여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주사기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 및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중공과 연통되는 니들홀을 포함하며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분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모듈은 니들 및 니들을 감싸고 있는 니들캡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모듈이 삽입공간 내에 배치될 때 니들캡은 니들홀을 관통하며, 상기 분리부의 하방 이동 시 니들캡이 주사기모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주사기모듈로부터 니들캡의 분리 시, 하방으로 이동된 분리부의 하단은 니들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천공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분리부의 측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딩홀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모듈로부터 니들캡의 분리가 완료된 후 분리부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홀의 최상단에 위치할 때, 분리부의 하단과 니들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하강방지홀; 및 상기 분리부에 형성되며 하강방지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강방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강방지부가 하강방지홀로부터 이탈된 후, 분리부가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커버부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날개부; 및 상기 제1날개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하강방지홀의 양측에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회동 거리를 제어하는 다수의 회동규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일단이 본체부에 피봇(pivot) 결합되어 있고 회동규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는 회동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상단에는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파지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내측면에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주사기모듈이 본체부의 삽입공간 내에 정위치 장착된 후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삽입공간의 일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분리부는 탄성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분리전방부와 분리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전방부와 분리후방부는 탄성부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동규제부는 하강방지부를 가압하여 분리전방부와 분리후방부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니들홀의 직경은 분리부가 상방 이동할 때에 비해 하방 이동할 때 상대적으로 더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파지부에는 좌우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분리부의 하부면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다수의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본체부는, 주사기모듈의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기둥부; 및 한 쌍의 본체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주사기모듈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본체기둥부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주사기모듈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레일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본체기둥부의 상부면에는 각각 주사기모듈의 상부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홀이 천공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본체연결부에는 커버부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동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회동규제홈은 하강방지홀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규제홈의 내측 단부는 하강방지홀에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하단에는 각각 본체부에 돌출된 회동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홀이 천공되고,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는 회동핀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날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날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체결단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에는 각각 체결단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체결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파지부는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접촉되는 접촉단부로부터 원위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에서 상기 분리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분리삽입부; 및 분리삽입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분리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분리부를 이용하여 니들캡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니들캡 제거 후에도 분리부가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의료인인 사용자가 주사바늘을 직접 보지 않고 몸 속에 침투시키고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사바늘에 대한 비의료인인 사용자의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바늘이 주사부위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어서 자가투여 시 사용자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주사바늘의 체내 침투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어 비의료인인 사용자별 주사방법의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투약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날개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날개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날개부의 정면과 제2날개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날개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는 주사기모듈(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크게 본체부(100), 커버부(200) 및 분리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타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주사기모듈(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공간(111)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주사기모듈(10)을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하, 좌우, 전후 등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각 구성이 해당 방향에 배치되어야 한다거나, 각 구성이 해당 방향으로 조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설치되며, 본체부(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사용자는 본체부(100)에 주사기모듈(10)을 삽입한 후, 커버부(200)를 잠금상태로 닫아 주사기모듈(10)이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단에 설치된다. 분리부(300)는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주사기모듈(10)의 니들캡(14)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주사기모듈(10)이 본체부(100)에 장착되었을 때, 주사기모듈의 니들캡(14)은 본체부(100) 및 분리부(300)를 관통하여 아래로 노출되는데, 사용자는 분리부(300)를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겨 니들캡(14)을 주사기모듈(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주사기모듈의 니들(13)은 니들캡(14)이 분리된 후에도 분리부(3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주사바늘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주사기모듈(10)은 약물이 저장되는 실린더(11), 플런저(12), 니들(도 12 참조, 13), 니들캡(1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1)의 외측에 세이프티가드(15)가 장착되어 있는데, 세이프티가드(15)는 약물 주입 완료 후 사용자가 주사기모듈(10)을 본 발명에서 제거한 뒤 외부에 노출된 니들(13)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기모듈(10)이 세이프티가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사바늘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주사기모듈(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성의 주사기모듈이 본 발명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100)에 주사기모듈(10)을 장착하고 커버부(200)를 닫으면 자동으로 주사하기 위한 세팅이 완료되므로 편하게 주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와 본체연결부(120)로 이루어진다. 본체기둥부(110)와 본체연결부(120)는 합성수지, 천연수지, 금속 등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는 서로 이격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 사이에는 주사기모듈(10)이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111)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 각각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어 하단으로 분리부(300)가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의 삽입공간(111) 쪽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한 쌍의 레일부(112)가 각각 형성된다. 레일부(11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고, 이러한 레일부(112)에 의해 주사기모듈(10)은 삽입공간(111)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전후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의 외측면에는 각각 후술되는 분리부(300)의 슬라이딩부(도 10 참조, 3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홀(113)이 상하로 길게 천공된다. 슬라이딩홀(113)은 니들캡(14)의 분리는 용이하면서 피하 조직에 니들(13)이 5 내지 10 mm 깊이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규격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후술되는 분리부(300)의 슬라이딩부(314)가 슬라이딩홀(113)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분리부(300)가 본체부(100)와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었을 때, 분리부(300)의 하단과 니들(13)의 하단 사이의 거리(d)는 5 내지 10 mm가 된다.
분리부의 하단과 니들의 하단 사이의 거리(d)가 5 mm 미만인 경우 배, 허벅지, 상완 등과 같은 피하주사부위에서 니들이 피하까지 침투하지 못할 수 있고, 거리(d)가 10 mm 초과인 경우 니들이 근육으로 침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피부에 분리부(300)의 하부면을 접촉시킨 뒤 주사부위에 대해 본 발명의 자가투여 보조장치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게 위치시키고 커버부(200)를 주사부위를 향해 이동시키면 니들이 피하내로 침투될 수 있도록 거리(d)가 5 내지 10 mm 가 규격화되어 있어 비의료인인 사용자의 자가투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면서 자가투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의 상부면에는 각각 안착홀(114)이 천공될 수 있다. 주사기모듈(10)이 본체부(100)에 장착되었을 때, 안착홀(114)에는 주사기모듈(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안착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사기모듈(10)을 정위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연결부(120)는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의 하단을 연결하며, 내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연결부(120)의 중앙 부분에는 주사기모듈(10)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121)이 형성된다.
본체연결부(120)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각각 후술되는 분리부(300)의 하강방지부(도 10 참조, 3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강방지홀(122)이 상하로 길게 천공된다. 분리부(300)가 상부로 이동하여 본체부(100)에 가깝게 이동되었을 때, 하강방지부(315)는 하강방지홀(122)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분리부(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분리부(300)는 하강방지부(315)가 하강방지홀(122)로부터 이탈된 후에 하방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연결부(120)에는 하강방지홀(122)의 상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원호 형상의 회동규제홈(123)이 함몰 형성되고, 회동규제홈(123)은 하강방지홀(122)에 통하여 연결된다. 회동규제홈(123)은 커버부(200)의 회동 거리를 제어한다. 이러한 회동규제홈(123)에는 후술되는 커버부(200)의 회동규제부(도 6 및 7 참조, 215, 225)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회동규제홈(123)의 내측 단부는 하강방지홀(122)에 연통되고, 회동규제홈(123)의 외측 단부에는 회동규제부(215, 225)가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스토퍼(124)가 돌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커버부(200)가 잠금상태로 닫혀 있을 때 회동규제부(215, 225)는 하강방지홀(122)의 상단에 위치하고, 커버부(200)가 열림상태로 완전히 열려 있을 때 회동규제부(215, 225)는 회동스토퍼(124)에 접촉되어 있으며, 커버부(200)가 잠금상태와 열림상태 사이에 있을 때 회동규제부(215, 225)는 회동규제홈(123)에 수용된다.
아울러, 본체연결부(120)에는 두 쌍의 회동핀(125)이 돌출 형성된다. 회동핀(125)은 하강방지홀(122)의 하단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커버부(200)의 회동홀(도 6 및 7 참조, 216, 226)에 삽입된다.
한편, 본체연결부(120)의 내측면 하단에는 하강경사면(126)이 형성된다. 하강경사면(126)은 하강방지홀(122)의 하단과 본체연결부(12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연결부(120)의 하단으로부터 하강방지홀(122)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강경사면(126)은 분리부(300)를 본체부(100) 방향으로 위로 삽입할 때는 하강방지부(315)가 하강방지홀(12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부(300)를 본체부(100)로부터 아래로 뺄 때에는 하강방지부(315)가 하강방지홀(12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날개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날개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날개부의 정면과 제2날개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날개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0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날개부(210) 및 제1날개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날개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와 마찬가지로 커버부(200)도 합성수지, 천연수지, 금속 등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감쌈에 따라 주사기모듈(10)은 본체부(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는 양측으로 오픈되는 형태이며,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는 대칭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날개부(210)의 구성은 제2날개부(220)에도 동일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서로 가깝게 모여서 일측면이 접촉되어 있을 때 주사기모듈(10)은 잠금상태가 되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서로 멀리 떨어져서 본체부(100)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때 주사기모듈(10)은 열림상태가 된다.
상기 제1날개부(210)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부(211)가 결합되고, 제2날개부(220)의 외측면에는 제2체결부(221)가 결합된다. 제1체결부(211)와 제2체결부(221)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체결단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에는 각각 체결단부(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체결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213, 223)이 형성된다. 제1체결부(211)의 체결단부(미도시)는 도면의 표현 방식에 의해 가려져서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체결부(221)의 체결단부(222)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잠금상태일 때, 제1체결부(211)의 체결단부는 제2날개부(220)의 체결홀(223)에 삽입되고, 제2체결부(221)의 체결단부(222)는 제1날개부(210)의 체결홀(213)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를 닫았을 때,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잠금상태가 되었음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는 제1체결부(211)와 제2체결부(221)가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이 가장 크고, 제1체결부(211)와 제2체결부(22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는 잠금상태일 때 전체적으로 배흘림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으며, 주사 과정에서 손이 미끌려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날개부(210)의 우측 부분과 제2날개부(220)의 좌측 부분에는 각각 약액부(214, 224)가 함몰 형성된다.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잠금상태일 때 약액부(214, 224)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천공되며, 내부에 장착된 주사기모듈(10)의 실린더(11)에 수용된 약물의 양을 체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하단에는 각각 회동홀(216, 226)이 천공된다. 이러한 회동홀(216, 226)에는 본체연결부(120)에 형성된 두 쌍의 회동핀(125)이 삽입되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는 회동핀(125)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내측면에는 각각 회동규제부(215, 225)가 돌출 형성된다. 회동규제부(215, 225)는 회동홀(216, 226)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며,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회동홀(216, 226)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원호 형태로 이동된다.
회동규제부(215, 225)는 본체연결부(120)에 함몰 형성된 회동규제홈(12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회동규제부(215, 225)는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회전 반경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잠금상태로 닫혀 있을 때 회동규제부(215, 225)는 하강방지홀(122)의 상단에 위치하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열림상태로 완전히 열려 있을 때 회동규제부(215, 225)는 회동스토퍼(124)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상단에는 각각 파지부(217, 227)가 형성된다. 파지부(217, 227)는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잠금상태일 때 접촉되는 접촉단부(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날개부의 우측단부(210a) 및 제2날개부의 좌측단부(220a))로부터 원위단부(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날개부의 좌측단부(210b) 및 제2날개부의 우측단부(220b))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파지부(217, 227)는 제1체결부(211) 및 제2체결부(221)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이탈방지부(219, 229) 상부에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공간에 손가락을 넣고 좌우방향으로 균등한 힘을 주어 손쉽게 커버부(200)를 열림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양쪽에 균등한 크기의 힘이 가해져서 커버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파지부(217, 227)의 중앙 부분에는 지시부(218, 228)가 돌출 형성된다. 지시부(218, 228)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열림 방향을 알려줌과 동시에 사용자가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내측면 상부에는 각각 이탈방지부(219, 229)가 돌출 형성된다. 주사기모듈(10)을 본체부(100)에 장착하였을 때, 이탈방지부(219, 229)는 주사기모듈(10)의 상부 일측(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이프티가드(15)의 상부)을 가로막아 주사기모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탈방지부(219, 229)는 주사기모듈(10)을 본체부(100) 내부에 정위치 장착시킨 상태에서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 체결하였을 때, 삽입공간(111)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분리삽입부(310) 및 분리삽입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분리접촉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리삽입부(31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타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분리접촉부(320)는 분리삽입부(310)의 하단에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분리접촉부(320)의 직경은 분리삽입부(3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며, 분리삽입부(310)와 분리접촉부(320)를 포함하는 분리부(300)는 전체적으로 'ㅗ'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리삽입부(310)와 분리접촉부(320)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주사기모듈(10)의 니들캡(14) 또는 니들(13)을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삽입부(310)의 양 측부에는 탄성부(313)가 형성된다. 탄성부(313)는 분리삽입부(310)를 분리전방부(311)와 분리후방부(312)로 구획하며, 이러한 탄성부(313)에 의해 분리전방부(311)와 분리후방부(312)는 탄성부(313)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31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절개홈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리전방부(311)와 분리후방부(312)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평상시 분리전방부(311)와 분리후방부(312)는 탄성부(313)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잡고 외력을 가하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삽입부(310)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부(314)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314)는 탄성부(313)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본체기둥부(110)의 외측면에 천공된 슬라이딩홀(1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슬라이딩부(314)는 상부의 두께가 하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분리부(300)가 본체부(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300)가 상부로 이동하여 분리부(300)가 본체부(10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었을 때 슬라이딩부(314)는 슬라이딩홀(113)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분리부(300)가 하부로 이동하여 분리부(300)가 본체부(100)로부터 최대한 멀리 배치되었을 때 슬라이딩부(314)는 슬라이딩홀(113)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분리전방부(311)의 전방면과 분리후방부(312)의 후방면에는 각각 하강방지부(315)가 돌출 형성된다. 하강방지부(315)는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연결부(120)의 하강방지홀(122)에 삽입될 수 있다.
분리부(300)가 상부로 이동하여 분리부(300)가 본체부(10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었을 때 하강방지부(315)는 하강방지홀(122)에 삽입되고, 분리부(300)가 하부로 이동하여 분리부(300)가 본체부(100)로부터 최대한 멀리 배치되었을 때 하강방지부(315)는 하강방지홀(122)로부터 이탈된다.
하강방지부(315)가 하강방지홀(122)로부터 이탈된 이후 분리부(300)가 하방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분리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사기모듈(10)의 니들캡(14)이 의도와 달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강방지부(315)의 상단에는 분리경사면(315a)이 형성되고, 하강방지부(315)의 하단에는 분리단턱면(315b)이 형성된다. 분리경사면(315a)은 본체연결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하강경사면(126)의 형태에 대응하여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분리단턱면(315b)은 분리삽입부(310)에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하강방지부(315)의 상단에 분리경사면(31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부(300)는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하강방지부(315)의 하단에 분리단턱면(315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부(300)는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
한편, 상기 분리접촉부(32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접촉돌기(321)가 돌출 형성된다. 다수의 접촉돌기(321)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접촉돌기(321)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가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분리접촉부(320)의 중앙 부분에는 니들홀(322)이 형성된다. 주사기모듈(10)을 본체부(100)의 삽입공간(111)에 배치하였을 때, 니들캡(14)은 삽입공간(111), 중공(121) 및 니들홀(322)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니들홀(322)은 니들캡(1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며, 니들홀(322)의 직경은 분리부(30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 비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더 감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파지부(217, 227)에 손가락을 넣어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를 양쪽으로 잡아 당기고, 커버부(200)를 열림상태로 둔다.
그 다음, 본체부(100)의 삽입공간(111)에 주사기모듈(10)을 삽입하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를 회전핀을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본체부(100)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상태로 만들며, 주사기모듈(10)이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한다(도 1 참조).
이때, 제1체결부(211)의 체결단부는 제2날개부(220)의 체결홀(223)에 삽입되고, 제2체결부(221)의 체결단부(222)는 제1날개부(210)의 체결홀(213)에 삽입되며, 사용자는 잠금상태가 되었음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300)의 하강방지부(315)는 본체부(100)의 하강방지홀(122)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분리부(30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니들캡(14)이 의도와 달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200)가 열림상태일 때, 하강방지부(315) 하단의 직교하는 분리단턱면(315b)이 하강방지홀(122)의 하단에 걸려 있으므로 분리부(300)는 쉽게 아래로 이동되지 않는다.
커버부(200)가 잠금상태일 때, 커버부(200) 내측에 돌출된 회동규제부(215, 225)는 회동규제홈(123) 상에서 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강방지홀(122)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동된 회동규제부(215, 225)는 하강방지홀(122)에 삽입된 하강방지부(315)를 후방 및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분리전방부(311)와 분리후방부(312)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하강방지부(315)는 하강방지홀(122)로부터 좀 더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가 잠금상태일 때 분리부(300)는 좀 더 쉽게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주사기모듈(10)의 본체부(100) 장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분리부(300)를 잡고 분리전방부(311)와 분리후방부(312)가 오므라들도록 하면서 아래로 잡아당긴다. 이때, 분리부(300)의 니들홀(322)은 니들캡(14)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으므로 분리부(300)가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니들캡(14)이 주사기모듈(10)로부터 분리된다.
니들캡(14)이 분리되었을 때, 분리부(300)의 하단은 니들(13)의 하단에 비해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니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니들에 찔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분리접촉부(320)를 피부에 대고 니들(13)과 피부가 90°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니들(13)을 피하 조직에 삽입하여 투약을 위한 준비를 마친다. 분리접촉부(320)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접촉돌기(321)는 자가투여 보조장치가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니들(13)이 피하 조직에 삽입될 때, 분리부(300)는 위로 이동하여 본체부(10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며, 분리부(300)의 하단과 니들(13)의 하단 사이의 거리(d)는 피하 조직에 약물을 주입하기 적당한 길이인 약 5 내지 10 mm가 된다.
마지막으로, 니들(13)의 피부 삽입까지 완료되면, 사용자는 커버부(200)의 약액부(214, 224)를 보면서 실린더(11)에 수용된 약물의 양을 체크하고, 플런저(12)를 눌러 피하 조직에 약물이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11)의 외측에 세이프티가드(15)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약물 주입 후 사용자가 니들(13)에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모듈(10)을 전술한 과정의 반대 과정으로 커버부(200)를 열어 제거하고, 다음 사용시 다시 자가투여 보조장치에 주사기모듈(10)을 장착하여 재차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는 본체부(커버부 내부에 가려져서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 커버부(200) 및 분리부(300)를 포함하여 주사기모듈(10)을 장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투여 보조장치와 유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 역시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를 구비하고, 잠금상태 또는 열림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분리부(300)는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니들캡(14)을 주사기모듈(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상대적으로 상단의 직경이 크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다가, 최하단으로 갈수록 다시 직경이 커져서 최하단의 직경이 가장 큰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200)의 약액부(214, 224)는 상부의 폭이 좁고 하부의 폭이 넓은 '물방울' 형태로 형성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분리부(300)는 커버부(200)의 하단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상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일체형 디자인으로 형성되며, 전방면과 후방면에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상단의 직경이 가장 크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어 최하단의 직경이 가장 작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13의 (b)에 도시된 제1날개부(210)의 상단은 제2날개부(220)의 상단을 포개어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약액부(214, 224)는 가운데 부분의 폭이 가장 넓고 상단 및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분리부(300)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분리부와 마찬가지로 커버부(200)의 하단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상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일체형 디자인으로 형성된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상단의 직경이 가장 크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어 최하단의 직경이 가장 작은 형태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달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3의 (c)에 도시된 제1날개부(210)와 제2날개부(220)의 외측면에는 음각단차가 형성되며, 이러한 음각단차는 사용자의 검지 또는 중지가 걸리는 부분에서 안정적인 파지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분리부(30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주사기모듈 11 : 실린더 12 : 플런저
13 : 니들 14 : 니들캡 15 : 세이프티가드
100 : 본체부 110 : 본체기둥부 111 : 삽입공간
112 : 레일부 113 : 슬라이딩홀 114 : 안착홀
120 : 본체연결부 121 : 중공 122 : 하강방지홀
123 : 회동규제홈 124 : 회동스토퍼 125 : 회동핀
126 : 하강경사면 200 : 커버부 210 : 제1날개부
210a : 접촉단부 210b : 원위단부 211 : 제1체결부
213 : 체결홀 214 : 약액부 215 : 회동규제부
216 : 회동홀 217 : 파지부 218 : 지시부
219 : 이탈방지부 220 : 제2날개부 220a : 접촉단부
220b : 원위단부 221 : 제2체결부 222 : 체결단부
223 : 체결홀 224 : 약액부 225 : 회동규제부
226 : 회동홀 227 : 파지부 228 : 지시부
229 : 이탈방지부 300 : 분리부 310 : 분리삽입부
311 : 분리전방부 312 : 분리후방부 313 : 탄성부
314 : 슬라이딩부 315 : 하강방지부 315a : 분리경사면
315b : 분리단턱면 320 : 분리접촉부 321 : 접촉돌기
322 : 니들홀

Claims (21)

  1. 주사기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 및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중공과 연통되는 니들홀을 포함하며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분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모듈은 니들 및 니들을 감싸고 있는 니들캡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모듈이 삽입공간 내에 배치될 때 니들캡은 니들홀을 관통하며,
    상기 분리부의 하방 이동 시 니들캡이 주사기모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모듈로부터 니들캡의 분리 시, 하방으로 이동된 분리부의 하단은 니들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천공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분리부의 측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딩홀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모듈로부터 니들캡의 분리가 완료된 후 분리부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홀의 최상단에 위치할 때, 분리부의 하단과 니들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하강방지홀; 및
    상기 분리부에 형성되며 하강방지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강방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강방지부가 하강방지홀로부터 이탈된 후, 분리부가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날개부; 및 상기 제1날개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하강방지홀의 양측에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회동 거리를 제어하는 다수의 회동규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일단이 본체부에 피봇(pivot) 결합되어 있고 회동규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는 회동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상단에는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파지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내측면에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주사기모듈이 본체부의 삽입공간 내에 정위치 장착된 후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삽입공간의 일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탄성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분리전방부와 분리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전방부와 분리후방부는 탄성부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회동규제부는 하강방지부를 가압하여 분리전방부와 분리후방부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홀의 직경은 분리부가 상방 이동할 때에 비해 하방 이동할 때 상대적으로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좌우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하부면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다수의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주사기모듈의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기둥부; 및
    한 쌍의 본체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주사기모듈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본체기둥부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주사기모듈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레일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본체기둥부의 상부면에는 각각 주사기모듈의 상부 일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홀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연결부에는 커버부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회동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규제홈은 하강방지홀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규제홈의 내측 단부는 하강방지홀에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하단에는 각각 본체부에 돌출된 회동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홀이 천공되고,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는 회동핀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날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날개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체결단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에는 각각 체결단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체결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가 접촉되는 접촉단부로부터 원위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분리삽입부; 및
    분리삽입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분리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00182504A 2020-12-23 2020-12-23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49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04A KR102494510B1 (ko) 2020-12-23 2020-12-23 자가투여 보조장치
MX2023007394A MX2023007394A (es) 2020-12-23 2021-12-08 Dispositivo de asistencia de autoadministracion.
PCT/KR2021/018496 WO2022139259A1 (ko) 2020-12-23 2021-12-08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009774A KR10257730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009775A KR10251001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118328A KR102592660B1 (ko) 2020-12-23 2023-09-06 자가투여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04A KR102494510B1 (ko) 2020-12-23 2020-12-23 자가투여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775A Division KR10251001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009774A Division KR10257730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15A true KR20220091215A (ko) 2022-06-30
KR102494510B1 KR102494510B1 (ko) 2023-02-06

Family

ID=8215954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504A KR102494510B1 (ko) 2020-12-23 2020-12-23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009775A KR10251001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009774A KR10257730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118328A KR102592660B1 (ko) 2020-12-23 2023-09-06 자가투여 보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775A KR10251001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009774A KR102577301B1 (ko) 2020-12-23 2023-01-25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0230118328A KR102592660B1 (ko) 2020-12-23 2023-09-06 자가투여 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4) KR102494510B1 (ko)
MX (1) MX2023007394A (ko)
WO (1) WO20221392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8078A1 (en) * 2012-04-05 2015-03-26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devices having cartridge port with cartridge ejection arrangement
FR3025433A1 (fr) * 2014-09-09 2016-03-11 Nemer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retrait d'un capuchon de protection d'une aiguille de seringue
WO2019231432A1 (en) * 2018-05-29 2019-12-05 Janssen Pharmaceuticals, Inc. Cap for an injection device
JP6650494B2 (ja) * 2018-07-24 2020-02-19 アッヴ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式針シュラウドを有する自己注射用器具
US20200197622A1 (en) * 2018-12-21 2020-06-25 Janssen Pharmaceuticals, Inc. Accessory for an Injection Device including a Pivotable Cov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94B1 (ko) 2003-12-27 2007-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GB201420939D0 (en) 2014-11-25 2015-01-07 Smiths Detection Watford Ltd Proces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hemical identification in a det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8078A1 (en) * 2012-04-05 2015-03-26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devices having cartridge port with cartridge ejection arrangement
FR3025433A1 (fr) * 2014-09-09 2016-03-11 Nemer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retrait d'un capuchon de protection d'une aiguille de seringue
WO2019231432A1 (en) * 2018-05-29 2019-12-05 Janssen Pharmaceuticals, Inc. Cap for an injection device
JP6650494B2 (ja) * 2018-07-24 2020-02-19 アッヴ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式針シュラウドを有する自己注射用器具
US20200197622A1 (en) * 2018-12-21 2020-06-25 Janssen Pharmaceuticals, Inc. Accessory for an Injection Device including a Pivotabl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425A (ko) 2023-09-15
KR102592660B1 (ko) 2023-10-24
KR102494510B1 (ko) 2023-02-06
KR102577301B1 (ko) 2023-09-12
MX2023007394A (es) 2023-07-05
KR102510011B1 (ko) 2023-03-15
KR20230019186A (ko) 2023-02-07
WO2022139259A1 (ko) 2022-06-30
KR20230019185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476B2 (en) Sharps protector device for protecting a user from a sharp tip of a medical needle
EP2763723B1 (en) Inserter for simultaneous insertion of multiple transcutaneous parts
JPH0824720B2 (ja) 投与再充填制限付き薬物注入装置
US1204262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user from a sharp tip of a medical needle
US8882727B2 (en) Needle having a safety device
KR102510011B1 (ko) 자가투여 보조장치
KR102501996B1 (ko) 뇌실포트 조립체
RU28223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мощи в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й инъекции пациентом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JP2013517072A (ja) 自動格納式非液状物質安全注射装置
US2023019103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user from a sharp tip of a medical needle
TR2023007037T2 (tr) Kendi̇ kendi̇ne uygulama yardimci ci̇hazi
US2024015704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User from a Sharp Tip of a Medical Needle
RU2806631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иглы губера в сборе
US11529507B2 (en) Intravenous priming cap
JP3189197U (ja) 自動格納式非液状物質安全注射装置
KR20220033280A (ko) 약제 혼합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