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275A - 터미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275A
KR20220086275A KR1020200176579A KR20200176579A KR20220086275A KR 20220086275 A KR20220086275 A KR 20220086275A KR 1020200176579 A KR1020200176579 A KR 1020200176579A KR 20200176579 A KR20200176579 A KR 20200176579A KR 20220086275 A KR20220086275 A KR 2022008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lever
base frame
button
main body
sepa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275A/ko
Publication of KR2022008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분리장치이다. 본 발명은 본체(10), 본체커버(20) 그리고 동작레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본체(10)의 설치부(14)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30)에 시이소오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본체커버(20)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44)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과 동작레버(40)의 동작부(42) 사이에는 탄성부재(52)가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분리장치{Detaching device for 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랜스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을 하우징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상기 랜스와 터미널 사이의 걸림 또는 랜스와 하우징 사이의 걸림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터미널 분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는 터미널을 하우징에서 빼내기 위해서 공구를 사용하는데, 이들 공구는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랜스의 선단을 조작하여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직접 공구를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작업하므로, 공구의 끝부분이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부분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심지어는 터미널에도 공구에 의해 긁힘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에 개시된 공구들은 손잡이 부분과 실제로 랜스에 접촉되는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어 어느 일측이라도 손상이 발생하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09-0006705 호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8-0022008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과 터미널 측에 접촉되는 부분이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분리를 위해 랜스를 조작하는 부분만을 움직여 터미널의 분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설치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장착되고 버튼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커버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시이소오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선단에 구비된 조작부가 랜스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동작레버와, 상기 동작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커버의 버튼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동작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동작레버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안착되는 본체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에서 상기 설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본체채널과 대응되게 커버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와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동작레버의 조작부와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은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는 상기 버튼이 설치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레버의 선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와 동작부가 시이소오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폭방향 양단으로 돌출되게 장착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채널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설치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장착되고 버튼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커버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고 시이소오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선단에 구비된 조작부가 랜스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동작레버와, 상기 동작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커버의 버튼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동작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동작레버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에 상기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에 상기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는 상기 동작레버가 시이소오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폭방향 양측에 지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동작레버의 조작부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조작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에는 상기 동작레버의 경사면과 반대쪽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방향 양단으로 연장되게 장착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형성된 본체채널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분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 형성된 설치부가 본체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동작레버와 베이스프레임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상기 동작레버나 베이스프레임이 손상되면 상기 본체에서 상기 동작레버나 베이스프레임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분리장치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을 누름에 의해 동작레버가 시이소오운동되면서 동작레버 선단의 조작부가 랜스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작레버 선단의 조작부가 특정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해서 동작레버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어서, 랜스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이 최소화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랜스 주변이 분리장치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동작레버와 베이스프레임의 선단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본체커버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터미널용으로 사용되는 동작레버와 베이스프레임을 채용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동작레버의 조작부가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와 대응되는 단면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터미널 분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리장치의 골격을 본체(1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커버(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20)도 본체(10)의 일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본체(10)와 본체커버(20)를 합쳐서 전체가 대략 봉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와 본체커버(20)에 의해 구성되는 봉형상의 앞부분은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본체커버(20)가 설치되는 부분은 설치부(14)이다. 상기 설치부(14)는 상기 본체(10)의 앞쪽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4)에는 상기 본체커버(20)와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프레임(30)과 동작레버(40)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4)에는 본체채널(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채널(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프레임(3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채널(16)은 본체(1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서로 직교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채널(16)에서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본체(10)의 선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채널(16)에서 본체(10)의 선단에는 선단개구(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개구(18)는 상기 본체(10)의 선단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채널(16)에서 본체(10)의 양측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것 부분은 본체(10)의 폭방향 양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20)는 상기 본체(10)의 설치부(1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2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본체(10)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본체(10)와 본체커버(20)가 서로 체결되는 형상을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본체(10)와 본체커버(20)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는 돌기를 타측에는 홈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걸어지도록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돌기를 상기 본체커버(20)에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돌기와 홈은 상기 본체커버(20)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되는 갯수가 달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20)에서 상기 설치부(14)에 안착되는 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구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커버(20)를 관통하여 버튼통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통공(22)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44)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통공(22)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통공(22)의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44)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버튼통공(22)의 형상은 횡단면이 다각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커버(30)에서 상기 설치부(14)에 안착되는 면에는 동작채널(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채널(24)은 상기 본체채널(16) 중에서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채널(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작레버(40)가 위치되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설치부(14)의 본체채널(16)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본체커버(20)의 일면에는 커버채널(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채널(26)은 상기 본체채널(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채널(26)은 상기 본체채널(16)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채널(26)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채널(26)이 없는 대신에 상기 본체채널(16)을 상대적으로 더 깊게 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프레임(30)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커버(30)의 선단에는 상기 동작채널(24)이 연장되어 선단개구(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개구(28)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작레버(40)의 앞쪽 부분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본체채널(16)에는 베이스프레임(3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동작레버(40)가 소정 각도 시이소오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은 동작레버(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동작레버(40)의 일측면과 주변을 구획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은 상기 본체(10)의 폭보다 훨씬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모양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에는 다수개의 장착날개(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3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폭방향 양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3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이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에는 선단지지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지지부(34)는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지지부(34)의 일측 표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선단지지부(34)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에는 지지편(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36)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양측의 지지편(36)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36)에는 회전중심축(3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38)은 아래에서 설명될 동작레버(40)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38)은 상기 지지편(36)에 있거나 또는 동작레버(40) 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38)은 상기 지지편(36)이나 동작레버(40)와는 별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 상에는 동작레버(40)가 시이소오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폭과 거의 유사한 폭을 가지는 띠모양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지지편(36)을 중심으로 시이소오운동할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40)는 동작부(42)와, 경사부(46) 그리고 조작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42)에는 버튼(44)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44)을 사용자가 눌러줌에 의해 상기 동작레버(40)의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버튼(44)은 상기 동작부(42)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버튼(44)의 위치는 상기 동작부(42)의 일측 끝부분일 수 있다. 상기 버튼(44)은 상기 본체커버(20)의 버튼통공(2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6)는 상기 동작부(42)와 조작부(46) 사이에 높이차가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6)의 경사에 의해 상기 동작부(42)가 상기 조작부(46)에 비해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지지편(36)에 상기 경사부(46)에 인접한 조작부(48) 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버튼(44)이 눌러지면 상기 지지편(36)을 중심으로 상기 동작레버(40)가 회전되어 상기 조작부(48)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지지부(34)에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8)에서는 앞쪽 부분에 경사면(5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사면(5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지지부(34)에 형성된 경사면과 반대쪽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경사면(50)에 의해 상기 조작부(48)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48)의 경사면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지지부(34)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동작레버(40)와 베이스프레임(30)가 밀착된 상태에서 선단 부분이 두께가 최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조작부(48)가 랜스와 랜스가 걸어진 부분 사이의 틈새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0)과 상기 동작레버(40)의 동작부(42) 사이에는 탄성부재(5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2)는 상기 동작레버(40)의 동작부(42)에 있는 버튼(44)이 상기 본체커버(20)의 버튼통공(22)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2)는 상기 동작레버(4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동작레버(40)의 조작부(48)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지지부(34)에 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2)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44)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였을 때, 상기 버튼(44)과 동작레버(4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2)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지지부(34)와 동작레버(40)의 조작부(48)가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터미널 분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분리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터미널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분리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과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터미널 분리장치가 동작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이나 도 3의 상태에서 본체(10)를 사용자가 잡고, 상기 동작레버(40)와 베이스프레임(30)을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동작레버(40)의 선단이 랜스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44)을 눌러서 상기 동작레버(40)를 동작시킨다. 상기 랜스는 터미널에 형성되거나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랜스와 터미널의 일측 사이 또는 상기 랜스와 하우징의 일측 사이로 상기 베이스프레임(30)과 동작레버(40)의 선단이 삽입되고 상기 동작레버(40)의 경사면(50)이 상기 랜스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44)을 눌러주면 상기 동작레버(40)가 동작되어 상기 랜스를 탄성변형시켜서 상대물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튼(44)을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버튼(44)이 상기 본체커버(20)의 버튼통공(22)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동작레버(40)의 동작부(42)를 눌러준다. 상기 동작부(42)가 눌러지면 상기 탄성부재(52)가 탄성변형되어 압축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42)가 상기 버튼(44)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지지편(36)의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시이소오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조작부(48)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선단지지부(3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동작레버(40)의 동작에 의한 상기 선단지지부(34)의 이동은 랜스가 상대물로부터 분리되어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동작레버(40)의 동작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이 특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랜스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베이스프레임(30)을 특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튼(44)만을 눌러주면 되므로, 랜스 주변이 베이스프레임(30)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레버(40)의 조작부(48) 선단이 랜스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우징 내의 터미널을 하우징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버튼(44)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52)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동작레버(40)는 상기 지지편(36)의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시이소오운동을 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즉, 도 1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앞쪽에 상기 동작레버(40)의 조작부(48)가 안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뒤쪽 부분에는 상기 탄성부재(52)에 의해 상기 동작레버(40)의 동작부(42)가 베이스프레임(30)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동작레버(40)에 경사부(46)와 동작부(42)가 모두 있으나, 다르게는 상기 동작부(4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별도의 경사부(46)가 없도록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동작레버(4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0) 상에 설치되어 있으나, 다르게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이 없이 상기 본체(10)의 설치부(14)에 시이소오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편(36)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구성이 본체(10)나 본체커버(20)에 구비되어 상기 동작레버(40)가 시이소오 운동하도록 될 수 있다.
10: 본체 12: 손잡이부
14: 설치부 16: 본체채널
18: 선단개구 20: 본체커버
22: 버튼통공 24: 동작채널
26: 커버채널 28: 선단개구
30: 베이스프레임 32: 장착날개
34: 선단지지부 36: 지지편
38: 회전중심축 40: 동작레버
42: 동작부 44: 버튼
46: 경사부 48: 조작부
50: 경사면 52: 탄성부재

Claims (13)

  1. 손잡이부와 설치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장착되고 버튼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커버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시이소오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선단에 구비된 조작부가 랜스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동작레버와,
    상기 동작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커버의 버튼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동작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동작레버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터미널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안착되는 본체채널이 형성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에서 상기 설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본체채널과 대응되게 커버채널이 형성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레버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와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동작레버의 조작부와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은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레버는 상기 버튼이 설치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레버의 선단에 위치되는 상기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와 동작부가 시이소오운동을 하는 터미널 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폭방향 양단으로 돌출되게 장착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채널 내에 위치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7. 일측에 설치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장착되고 버튼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커버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고 시이소오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선단에 구비된 조작부가 랜스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동작레버와,
    상기 동작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커버의 버튼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동작레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동작레버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터미널 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에 상기 버튼이 설치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레버는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에 상기 버튼이 설치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는 상기 동작레버가 시이소오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폭방향 양측에 지지편이 구비되어 상기 동작레버의 조작부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레버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조작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에는 상기 동작레버의 경사면과 반대쪽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의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폭방향 양단으로 연장되게 장착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설치부에 형성된 본체채널 내에 위치되는 터미널 분리장치.
KR1020200176579A 2020-12-16 2020-12-16 터미널 분리장치 KR20220086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79A KR20220086275A (ko) 2020-12-16 2020-12-16 터미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79A KR20220086275A (ko) 2020-12-16 2020-12-16 터미널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75A true KR20220086275A (ko) 2022-06-23

Family

ID=8222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579A KR20220086275A (ko) 2020-12-16 2020-12-16 터미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2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05U (ko) 2007-12-28 2009-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탈거공구
KR20180022008A (ko) 2016-08-23 201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잠금해제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해제공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05U (ko) 2007-12-28 2009-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탈거공구
KR20180022008A (ko) 2016-08-23 201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잠금해제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해제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623B1 (ko) 포크인 와이어 컨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EP2031614B1 (en) Trigger switch
JP4102680B2 (ja) プラグのロック機構
EP2442327B1 (en) Switch
US4782243A (en) Pulse generator
JP461207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6602081B1 (en) Shielding cap and electric socket arrangement
CN112530758A (zh) 一种断路器
US10811209B2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20220086275A (ko) 터미널 분리장치
JP4707565B2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KR20140064289A (ko) 레버타입 커넥터
CN116417021A (zh) 移动固态硬盘
US6335674B1 (en) Circuit breaker with a push button
US4174508A (en) Relay latching apparatus
JP6897611B2 (ja) マイクロ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JP336846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887340B2 (en) Fix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JP4965857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US6204449B1 (en) Projections on face electrical receptacle for preventing inadvertent tripping of test switch by oversized electrical plug
GB1599179A (en) Electric switch
KR100322500B1 (ko) 2단형 스위치조립체
CN218958194U (zh) 带开关的插座
KR100474019B1 (ko) 향상된 방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조립체
JP4761796B2 (ja) 蓋体を具えた電気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