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40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404A
KR20220085404A KR1020200175431A KR20200175431A KR20220085404A KR 20220085404 A KR20220085404 A KR 20220085404A KR 1020200175431 A KR1020200175431 A KR 1020200175431A KR 20200175431 A KR20200175431 A KR 20200175431A KR 20220085404 A KR20220085404 A KR 2022008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filter
water
re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헌
이민혁
최용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404A/ko
Priority to PCT/KR2021/018658 priority patent/WO2022131681A1/ko
Publication of KR2022008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29Water softe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29Water softening arrangements
    • A47L15/42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alt container or the ion exc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및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섬프로 공급하는 외부수원과 상기 섬프 사이에 배치되는 연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수장치는,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고, 상기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필터; 및 상기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제가 저장되고,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재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이온교환수지 또는 상기 재생제로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는 밸브장치를 통해 상기 필터와 분리가능토록 연결되어, 필터와 재생기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연수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캐비닛 내부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 및 스팀을 분사하여, 세척대상에 묻은 이물질 및 세균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세척수에 함유된 양이온이 세척대상에 얼룩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기세척기에는 공급되는 세척수를 연수화시키는 연수장치가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연수장치는 이온교환수지와 재생제가 동일한 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에 배치된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고, 상기 공간의 부피를 저감시켜 제품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2125724는, 식기세척기에 배치되는 연수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온교환탱크와 별도로 급수저장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연수장치의 부피가 과도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문헌 10-2018-0044254는, 이온교환수지와 재생제를 별도로 저장하는 연수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온교환수지의 저장공간과 재생제의 저장공간 간의 세척수 순환을 위하여 별도의 펌프가 구비됨으로써, 설비비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2125724 한국공개문헌 10-2018-004425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수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든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유로설계가 최적화된 연수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재생제의 투입유로가 단순화된 연수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간적으로 컴펙트화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연수효율이 향상된 연수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및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섬프로 공급하는 외부수원과 상기 섬프 사이에 배치되는 연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수장치는,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고, 상기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필터; 및 상기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제가 저장되고,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재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이온교환수지 또는 상기 재생제로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는 밸브장치를 통해 상기 필터와 분리가능토록 연결되어, 필터와 재생기를 분리배치함과 동시에 밸브장치를 통해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세척조의 측벽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세척조의 하벽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어, 연수장치를 세척조에 컴펙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측벽과 하벽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모서리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메인밸브;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재생기 간의 상기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서브밸브를 포함할 수 있어, 밸브장치를 통해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밸브는,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의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 1서브밸브; 및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메인밸브로의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 2서브밸브를 포함할 수 있어, 낭비되는 세척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메인밸브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형성된 제 1허브홀을 통해 상기 허브와 연통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유로; 상기 허브에 형성된 제 2허브홀을 통해 상기 허브와 연통되고, 상기 재생제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유로; 및 상기 서브밸브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재생기로부터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3유로를 포함할 수 있어, 메인밸브를 통해 제 1, 2, 3유로로 유동하는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수장치는, 상기 세척수에 상기 재생제가 투입되지 않는 일반연수모드 또는 상기 세척수에 상기 재생제가 투입되는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될 수 있고,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연수장치가 상기 일반연수모드로 가동될 시, 상기 제 2허브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연수장치가 상기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될 시, 상기 제 1허브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입수유로; 및 상기 입수유로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로 유입된 상기 세척수는,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상기 밸브장치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밸브장치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출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공간에 돌출된 제 2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입수유로 및 상기 컨테이너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상기 컨테이너에 돌출된 가이드와 접촉될 수 있어, 이온교환수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입수유로에 배치되는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하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어, 이온교환수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섬프와 연결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어, 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재생기를 통해 섬프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재생기는, 상기 밸브장치를 통과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 1재생유로; 및 상기 제 1재생유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필터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 2재생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기는, 상기 재생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재생유로로부터 상기 제 2재생유로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재생제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필터와 재생기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연수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필터와 재생기 내에 유동하는 세척수를 밸브장치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유로설계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메인밸브를 통한 유로절환을 통해, 재생제의 투입유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필터와 재생기를 세척조의 벽에 부착시킴으로써, 세척조의 외측공간을 활용하여 식기세척기를 컴펙트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필터 내의 공간을 이온교환수지 저장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다량의 이온교환수지를 통해 연수효율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종단면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횡단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조와 연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조와 연수장치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장치와 섬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연수모드일 때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연수모드일 때 밸브장치의 개폐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반연수모드일 때 밸브장치의 개폐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연수모드일 때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연수모드일 때 밸브장치의 개폐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연수모드일 때 밸브장치의 개폐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세척조(100)(도 2참조)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식기세척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고,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방은 개구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개구된 부위로 세척대상을 세척조(100)로 투입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의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여 세척조(100)를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하여 세척조(100)를 캐비닛(10)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상하이동 가능토록 캐비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바디(21)와; 도어바디(21)에 상하이동가능토록 연결되는 하부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바디(21)는 캐비닛(10)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 도어바디(21)의 상하이동을 위한 가이드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도어(22)의 하측단(20b)은 도어(20)의 최하단일 수 있고, 하부도어(22)는 도어바디(21)로부터 상하이동되어 캐비닛(10)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도어(20)에 상하이동가능토록 연결되는 컨트롤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식기세척기(1)의 구동정보를 표시하고, 식기세척기(1)의 행정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도어(20)에 상하이동가능토록 연결되어, 도어(2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의 상측단(20a)은 도어(20)의 최상단일 수 있고, 컨트롤패널(30)은 도어바디(21)로부터 상하이동되어 캐비닛(1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세척조(100)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하여 측방에서 투시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세척조(100)는,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된다. 세척조(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공간(100S)을 형성한다.
세척조(100)의 하측에는,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구동부(200)가 배치된다. 구동부(2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후술할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되는 구동공간(200S)을 형성한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상부랙(110)과, 상부랙(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하부랙(120)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상부랙(110) 및 하부랙(120)에 안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가 배치될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랙(110,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일 수 있고, 랙(110,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랙(110, 120)과 나란하게 배치된 두 종류의 프레임이 교차되어 형성된 십자가형상일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가질 수도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튜브(Tube)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랙(110)의 하측 또는 하부랙(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조(100) 내에는, 분사튜브(160)를 회전시키는 구동어셈블리(162)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어셈블리(162)는, 랙(110, 120) 및 분사튜브(16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는, 하부랙(120)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분사튜브(150)와; 상부랙(110)과 하부랙(120) 사이에 배치된 어퍼분사튜브(160)와; 상부랙(110)의 상측에 배치된 탑분사튜브(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각각은, 후술할 세척펌프(220)(도 3참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구동부(200)로부터 연장된 분사관(130)이 배치될 수 있다.
분사관(130)은, 세척펌프(220)로부터 연장되고, 어퍼분사튜브(160) 및 탑분사튜브(170) 각각을 향해 분지되어 연장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는 분사관(130)과 연결되어, 분사관(13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는 분사관(130)과 연결되어, 분사관(13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후술할 분배챔버(240)(도 3참조)와 연결되어, 분배챔버(240)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각각에는, 세척수를 세척조(100) 내로 공급하는 분사노즐(151, 161, 171)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에는, 하부랙(120)을 향해 돌출된 로어분사노즐(151)이 형성될 수 있고, 로어분사노즐(151)은, 로어분사튜브(15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세척조(100)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하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하부랙(120)의 하부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에는, 상부랙(110)을 향해 돌출된 어퍼분사노즐(161)이 형성될 수 있고, 어퍼분사노즐(161)은, 어퍼분사튜브(160)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는, 세척조(100)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고,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상부랙(110)의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에는, 세척조(1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탑분사노즐(171)이 형성될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는, 세척조(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세척조(100) 내부를 향해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세척조(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노즐(180)이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도어(20)에 인접한 세척조(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하부랙(1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후술할 구동부(200)의 히터(230)와 연결되어, 히터(230)에서 발생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공간(100S)은, 세척대상,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및 스팀노즐(18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고, 구동공간(200S)은, 세척공간(100S)의 하측에 형성된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척공간(100S)은 세척조(100)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 1높이(H1)만큼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구동공간(200S)은 구동부(200)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 2높이(H2)만큼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높이는 제 1높이(H1)와 제 2높이(H2)의 합일 수 있고, 세척공간(100S)과 구동공간(200S)이 차지하는 높이의 합일 수 있다.
세척공간(100S)의 높이(H1)는, 구동공간(200S)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세척공간(100S)의 높이(H1)는 유지하면서, 동시에 캐비닛(10)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서, 구동공간(200S)의 높이(H2)는 낮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동부(200)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구동공간(200S)의 내부구조를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구동부(200)는, 세척조(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섬프(210)와, 섬프(210)와 연결되고 섬프(210)에 수용된 세척수를 세척조(100)를 향해 압출하는 세척펌프(220)와, 세척펌프(220) 및 분사노즐(151, 161, 171)과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가열되는 공간이 형성된 히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분사노즐(151, 161, 171) 및 히터(230)와 각각 연결되고, 세척펌프(22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분배챔버(240)와, 섬프(2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배수펌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섬프(210)와 연결되는 연수장치(300)를 포함한다.
섬프(210)는, 분사노즐(151, 161, 171)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분사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섬프(210)는, 세척조(100)와 연통되는 섬프홀(210s)이 형성될 수 있고, 섬프홀(210s)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섬프(210)는, 세척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11)는, 섬프홀(210s)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척조(100)로부터 섬프(210)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필터(211)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세척펌프(22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섬프(210)와 연결되어, 섬프(210)에 수용된 세척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섬프(210)는, 배수관(253)을 통해 배수펌프(250)와 연결될 수 있고, 섬프(210) 내에 수용된 세척수 및 이물질은 배수관(253)을 통해 배수펌프(25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세척수배출관(254)과 연결될 수 있다. 세척수배출관(254)은, 캐비닛(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섬프(210) 내의 세척수 및 이물질을 배수관(253)을 통해 흡입하여, 세척수배출관(254)을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압출할 수 있다.
연수장치(300)는, 외부수원(50) 및 섬프(210)와 각각 연결되어, 외부수원(50)으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를 섬프(210)로 공급한다. 연수장치(300)는, 외부수원(50)으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에 함유된 이온을 제거하여, 섬프(210)로 공급할 수 있다.
섬프(210)는, 섬프유입관(213)을 통해 연수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는, 섬프유입관(213)을 통해 이온이 제거된 상태의 연수화된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펌프유입관(223)을 통해 섬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히터유입관(233)을 통해 히터(230)와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섬프(210) 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펌프유입관(223)을 통해 흡입하여, 히터유입관(233)을 통해 히터(230)로 압출할 수 있다.
히터(230)는, 히터유입관(233)을 통해 세척펌프(220)와 연결될 수 있고, 히터토출관(234)을 통해 분배챔버(240)와 연결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온수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온수상태의 세척수는 히터토출관(234)을 통해 분배챔버(240)로 유입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스팀상태의 세척수는 스팀노즐유입관(183)을 통해 스팀노즐(180)로 유입될 수 있다. 스팀노즐(180)로 유입된 상기 스팀상태의 세척수는, 세척조(100) 내부에 수용된 세척대상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히터토출관(234)을 통해 히터(230)와 연결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히터(230)에 의해 가열된 액상의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상하로 개구된 복수의 분배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복수의 분배홀(241)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튜브(150, 160, 170)로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241) 중 어느 하나는, 로어분사튜브(150)와 연통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241) 중 다른 하나는, 분사관(130)을 통해 어퍼분사튜브(160) 또는 탑분사튜브(170)와 연통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어느 하나의 분배홀(241)을 통해 로어분사튜브(150)로 유동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분배홀(241)을 통해 어퍼분사튜브(160) 또는 탑분사튜브(170)로 유동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분배홀(241)에 직접 삽입되어 분배챔버(24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분배홀(241)에 삽입되는 별도의 관을 통해 분배챔버(24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어퍼분사튜브(160) 및 탑분사튜브(170)는, 분배홀(241)에 삽입되는 분사관(130)을 통해 분배챔버(240)와 연결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유입된 세척수를 로어분사튜브(150), 어퍼분사튜브(160), 탑분사튜브(1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복수의 분배홀(241)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고, 복수의 분배홀(241) 중 복수개를 통해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섬프(210)와, 세척펌프(220)와, 히터(230)와, 분배챔버(240)와, 배수펌프(250)와, 연수장치(300) 각각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섬프(210)와, 세척펌프(220)와, 히터(230)와, 분배챔버(240)와, 배수펌프(250)와, 연수장치(300)는 서로 적어도 일부분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 내에서 각 구조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방향을 정의한다. 도어(20)가 배치되는 방향을 전방, 도어(20)와 대향되는 방향을 후방, 도어(2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좌측을 좌방, 도어(2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우측을 우방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정의된 전후방 또는 좌우방은 후술할 내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연수장치(300)는, 구동부(2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유입관(213)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수장치(300)와 섬프(2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섬프(210)는 연수장치(3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섬프(210)보다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섬프(21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관(253)은, 섬프(210)로부터 좌측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섬프(210)와 배수펌프(250)를 연결할 수 있다.
세척수배출관(254)은, 배수펌프(250)로부터 좌측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캐비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펌프유입관(223)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섬프(210)와 세척펌프(220)를 연결할 수 있다. 펌프유입관(223)은, 배수관(21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펌프유입관(223)은, 섬프유입관(213)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유입관(23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척펌프(220)와 히터(230)를 연결할 수 있다. 히터유입관(233)은, 펌프유입관(22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토출관(234)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히터(230)와 분배챔버(240)를 연결할 수 있다. 히터토출관(234)은, 히터유입관(23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토출관(234)은, 펌프유입관(223)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토출관(234)과 펌프유입관(223)은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섬프(210)는, 좌우방향으로 세척펌프(2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섬프(210)는, 전후방향으로 분배챔버(2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섬프(210)보다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섬프(21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전후방향으로 히터(23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좌우방향으로 히터(23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분배챔버(240)는, 좌우방향으로 배수펌프(25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230)는, 분배챔버(240)보다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분배챔버(240)보다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배수관(253), 펌프유입관(223), 히터유입관(233), 히터토출관(234)을 잇는 유로구조가 'U'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200) 내의 밀집된 공간에 배수펌프(250), 섬프(210), 세척펌프(220), 히터(230), 분배챔버(240)를 모두 배치할 수 있어, 공간적 활용도가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연수장치(300)가 세척조(100)에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연수장치(300)가 결합된 세척조(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연수장치(300)가 결합된 세척조(100)를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세척조(100)의 전체적인 외형은 전방이 개구된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세척조(100)는, 외벽(101, 102, 103, 104)으로 둘러싸인 내측에 세척대상이 배치되는 세척공간(100S)을 형성할 수 있다.
세척조(100)는, 세척공간(100S)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벽(101)과, 상벽(101)과 대향되는 하벽(102)과, 상벽(101)과 하벽(102)을 연결하는 측벽(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03, 104)은, 상벽(101)과 하벽(10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측벽(103)과, 상벽(101)과 하벽(10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측벽(1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섬프(210)는, 하벽(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벽(102)과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는, 하벽(102)을 통해 세척공간(100S)과 연통될 수 있다. 섬프홀(210s)은, 하벽(102)을 통해 세척공간(100S)과 연통될 수 있다.
측벽(103)과 하벽(102)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서리(105)를 형성할 수 있다. 모서리(105)는,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측벽(103)과 하벽(102)을 연결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수장치(300)는, 내부에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필터(310)와, 이온교환수지(E)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제가 저장되는 재생기(320)와, 필터(310)와 재생기(320)를 연결시키는 밸브장치(330)를 포함한다.
필터(310)는, 측벽(103)의 외측에 측벽(103)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310)는, 측벽(10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측벽(103)의 외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필터(310)는, 측벽(103)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세척조(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재생기(320)는, 하벽(102)의 하측에 하벽(102)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하벽(10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하벽(102)의 하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하벽(102)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세척조(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밸브장치(330)는, 모서리(105)의 외측에 모서리(105)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밸브장치(330)는, 모서리(105)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모서리(105)의 외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밸브장치(330)는, 모서리(105)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세척조(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하벽(102)과 측벽(103)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310)와 재생기(320)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필터(310)와 재생기(320)는, 세척조(100)의 모서리(105)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밸브장치(3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상측으로 돌출된 어퍼보스(329)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보스(329)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고, 어퍼보스(329)를 통해 재생제를 재생기(320) 내로 투입할 수 있다.
어퍼보스(329)는, 하벽(102)을 관통하여 세척조(100)에 고정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어퍼보스(329)가 하벽(102)을 관통함으로써 세척조(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연수장치(300)는, 섬프유입관(213)을 통해 섬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는, 필터(310)를 통과하여 연수화된 세척수를 섬프유입관(213)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연수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필터(310)와 재생기(320)가 결합된 형태의 연수장치(300)를 도시한 것이다.
필터(310)는, 후술할 외부수원(50)과 연결되는 입수포트(311a)와, 입수포트(311a)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입수유로(311)와, 입수유로(311)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컨테이너(312)와, 컨테이너(31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출수유로(3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10)는, 재생기(320)와 연결되는 밸브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밸브장치(330)는 필터(310)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필터(310)와는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다.
입수포트(311a)로 유입된 세척수는, 입수유로(311)를 통해 밸브장치(330)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장치(330)는, 입수유로(311)를 통해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를 컨테이너(312) 또는 재생기(320)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는, 컨테이너(312)를 향해 유동할 수 있고, 컨테이너(312) 내에 저장된 이온교환수지(E)를 통과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E)를 통과하여 연수화된 세척수는, 출수유로(313)를 통해 밸브장치(330)로 유입될 수 있다.
출수유로(313)를 통해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재생기(3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필터(31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은 조립된 필터(310)의 전체외관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8은 분해된 필터(310)를 부품별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310)는, 필터상단(310c)과, 필터상단(310c)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필터측단(310d)과, 필터상단(310c)과 대향되고 제 1필터측단(310d)과 연결되는 필터하단(310e)과, 제 1필터측단(310d)과 대향되는 제 2필터측단(310f)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상단(310c)의 연장된 길이는 필터하단(310e)보다 길 수 있다. 제 1필터측단(310d)이 연장된 길이는 제 2필터측단(310f)이 연장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필터(310)는, 필터(310)와 재생기(320)를 연결하는 밸브장치(330)와, 밸브장치(330)와 이격되고 입수포트(311a)가 형성된 유입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장치(330)와 유입단(340)은 동일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밸브장치(330)는 필터하단(310e)과 연결되고 유입단(340)은 제 2필터측단(310f)과 연결될 수 있다.
밸브장치(330)는, 필터하단(310e)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단(340)은, 제 2필터측단(310f)으로부터 밸브장치(330)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입수유로(311)는, 유입단(340)에 형성된 입수포트(311a)로부터 제 2필터측단(310f)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밸브장치(330)의 상측에는, 입수유로(311)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컨테이너(312)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제 2필터측단(310f)보다 제 1필터측단(310d)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필터(310) 내에 형성된 이온교환수지(E)의 저장을 위한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후술할 제 1가이드(316) 및 배리어(315)에 의해 내부공간이 규정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밸브장치(330)와 연결되어, 입수유로(31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필터(310)는, 컨테이너(31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출수유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제 1필터측단(310d)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컨테이너(312)와 제 1필터측단(310d) 사이에 출수유로(313)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필터상단(310c)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컨테이너(312)와 필터상단(310c) 사이에 출수유로(313)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출수유로(313)는, 컨테이너(312)의 상측으로부터 컨테이너(312)의 하측까지 컨테이너(31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출수유로(313)는, 컨테이너(312)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한 번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를 통과한 세척수는, 출수유로(313)를 따라 유동하여, 밸브장치(3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필터(310)는,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케이스(310a)와, 케이스(310a)와 결합되는 블록(310b)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310b)은, 입수유로(311) 및 컨테이너(312)를 커버하도록 케이스(310a)와 연결될 수 있다. 블록(310b)은 케이스(310a)와 열융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블록(310b)은, 케이스(31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블록(310b)은, 컨테이너(312)를 커버하도록 케이스(310a)와 결합되는 제 1결합부(310b1)와, 입수유로(311)를 커버하도록 케이스(310a)와 결합되는 제 2결합부(310b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가이드(316)와,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공간에 돌출형성된 제 2가이드(317)와, 상하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리어(31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제 1가이드(316)와 배리어(315)에 의해 이온교환수지(E)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312)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2가이드(317)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 1가이드(316)와 제 2가이드(317)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배리어(315)는 제 1가이드(316) 및 제 2가이드(317)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리어(315)는, 컨테이너(312)의 상측경계를 형성하는 제 1배리어(315a)와, 컨테이너(312)의 하측경계를 형성하는 제 2배리어(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316)는, 컨테이너(312)의 일측경계를 형성하는 제 1경계가이드(316a)와, 컨테이너(312)의 타측경계를 형성하는 제 2경계가이드(3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경계가이드(316a)는, 입수유로(311)와 컨테이너(312)를 구획할 수 있고, 제 2경계가이드(316b)는, 출수유로(313)와 컨테이너(312)를 구획할 수 있다.
제 2가이드(317)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돌출가이드(317a)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돌출가이드(317a)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 2돌출가이드(3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가이드(317)는, 제 1경계가이드(316a)와 제 2경계가이드(316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가이드(316)와 제 2가이드(317)는, 블록(310b)이 결합되는 융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310b)은, 제 1가이드(316)와 제 2가이드(317)와 열융착을 통해 결합되어 이온교환수지(E)에 접촉될 수 있다. 블록(310b)이 제 1가이드(316)와 제 2가이드(317)를 통해 케이스(310a)에 결합됨으로써, 이온교환수지(E)를 열(heat)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 1결합부(310b1)는, 제 1가이드(316)와 제 2가이드(317) 각각에 결합될 수 있고, 제 2결합부(310b2)는, 입수유로(311)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310)는, 입수유로(311)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314)와,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메인밸브(331)와,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서브밸브(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필터(310)를 통한 세척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필터(310)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입수포트(311a)는, 외부수원(50)과 연결되어, 외부수원(5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입수포트(311a)를 통해 필터(31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입수유로(311)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입수유로(311)는, 입수포트(311a) 및 유량계(314)와 연결된 제 1입수유로(311b)와, 유량계(314)로부터 연장된 제 2입수유로(311c)와, 제 2입수유로(311c)와 연결되고 굴곡지게 형성된 제 3입수유로(311d)와, 제 3입수유로(311d)와 밸브장치(330)를 연결하는 제 4입수유로(311e)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계(314)는, 입수유로(311)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입수유로(311b)와 제 2입수유로(31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수유로(311b)는, 입수포트(311a)와 유량계(31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입수유로(311c)는, 유량계(314)와 제 3입수유로(311d)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입수유로(311c)는 연장된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입수유로(311d)는, 제 2입수유로(311c)와 연결될 수 있고, 아래로 볼록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 4입수유로(311e)는, 제 3입수유로(311d)로부터 밸브장치(3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4입수유로(311e)는, 연장된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4입수유로(311e)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는, 유량계(314) 및 제 2입수유로(311c)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4입수유로(311e)와 제 2입수유로(311c)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서로 간에 대향류(Counterflow)를 형성할 수 있다.
입수유로(311)를 따라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는, 컨테이너(31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컨테이너(312)와 밸브장치(330) 사이에는, 밸브장치(330)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확산영역(318)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와 밸브장치(330)는 상하로 이격되어, 사이에 확산영역(318)을 형성할 수 있다. 확산영역(318)은, 밸브장치(330)와 제 2배리어(315b) 사이의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확산영역(318)을 통과한 세척수는, 제 2배리어(315b)를 투과하여 컨테이너(31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배리어(315)는, 세척수는 투과시키고 이온교환수지(E)는 투과시키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가이드(316, 317)에 의해 유동흐름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 2배리어(315b)를 투과한 세척수는, 제 1경계가이드(316a)와 제 1돌출가이드(317a) 사이와, 제 1돌출가이드(317a)와 제 2돌출가이드(317b) 사이와, 제 2돌출가이드(317b)와 제 2경계가이드(316b) 사이로 각각 유동할 수 있다.
제 1가이드(316)와 제 2가이드(317)에 의해, 세척수는 컨테이너(312)의 전체영역으로 고르게 퍼져서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컨테이너(312)는, 상측으로 갈수록 횡방향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컨테이너(312)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 1경계가이드(316a)는 상방으로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경계가이드(316a)는, 제 2배리어(315b)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연장부(316a1)와, 제 1연장부(316a1)로부터 상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제 2연장부(316a2)와, 제 2연장부(316a2)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연장부(316a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연장부(316a3)는, 제 1연장부(316a1)보다 제 2필터측단(310f)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 1연장부(316a1)는, 제 3연장부(316a3)보다 제 2가이드(317)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연장부(316a2)는, 제 1연장부(316a1)로부터 제 2필터측단(310f)을 향하여 절곡지게 연장되어 제 3연장부(316a3)와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를 통과한 세척수는, 이온교환수지(E)에 의해 함유된 이온이 제거된 상태로 출수유로(313)로 유입될 수 있다.
출수유로(313)는, 컨테이너(312)와 필터상단(310c)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 1출수유로(313a)와, 컨테이너(312)와 제 1필터측단(310d)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출수유로(313b)와, 컨테이너(312)와 필터하단(310e)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 3출수유로(313c)와, 제 3출수유로(313c)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4출수유로(313d)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유로(313)는, 컨테이너(31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12)를 통과하여 출수유로(313)로 유입된 세척수는, 컨테이너(3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출수유로(313)를 통해 유동하여 밸브장치(330)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장치(330)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재생기(320)와 각각 연결되는 제 1연결포트(334)와, 제 2연결포트(335)와, 제 3연결포트(3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연결포트(334), 제 2연결포트(335) 및 제 3연결포트(336)는,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밸브장치(330)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4출수유로(313d)는, 제 3연결포트(336)와 연결될 수 있고, 출수유로(313)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는, 제 3연결포트(336)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재생기(32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재생기(320)의 전체외형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재생기(320)를 부품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재생기(320)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1연결포트(334)가 삽입되는 제 1림(324)과,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2연결포트(335)가 삽입되는 제 2림(325)과,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 3연결포트(336)가 삽입되는 제 3림(3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재생기(320)는, 재생제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재생바디(320a)와, 재생바디(320a)의 하부에 연결되는 로어커버(320b)와, 재생바디(320a)의 상부에 연결되는 어퍼커버(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림(324), 제 2림(325) 및 제 3림(326)은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어퍼커버(320c)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제 1림(324)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1연결포트(334)와 연결되는 제 1서포터(324a)와, 제 2림(325)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2연결포트(335)와 연결되는 제 2서포터(325a)와, 제 3림(326)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3연결포트(336)와 연결되는 제 3서포터(32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서포터(324a)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림(32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서포터(325a)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림(32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3서포터(326a)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3림(32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제 1림(324)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실러(324b)와, 제 2림(325)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실러(325b)와, 제 3림(326)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3실러(3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실러(324b)는, 제 1연결포트(334)를 지지할 수 있고,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실러(325b)는, 제 2연결포트(335)를 지지할 수 있고,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실러(326b)는, 제 3연결포트(336)를 지지할 수 있고,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재생기(320)를 통한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2는 섬프(210)와 연결된 연수장치(300)를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재생바디(320a)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310)를 통과하면서 이온교환수지(E)에 의해 이온이 제거된 세척수는, 재생기(320)를 통해 섬프(2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는, 필터(310), 밸브장치(330), 재생기(320), 섬프유입관(213)을 차례로 통과한 다음 섬프(2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재생기(320)는, 섬프(210)와 연결되고 이온교환수지(E)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급유로(32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로(323)는, 제 3연결포트(336)와 연통되는 공급로입구(323a)와, 섬프유입관(213)과 연결되는 출수포트(320d)와 연통되는 공급로출구(323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로(323)는, 공급로입구(323a)로부터 공급로출구(323b)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 3연결포트(336)를 통해 재생기(320) 내로 유입된 세척수를 출수포트(320d)를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재생기(320)는, 밸브장치(330)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 1재생유로(321)와, 재생제가 저장되는 재생공간(320s)을 형성하는 재생제박스(327)와, 제 1재생유로(32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필터(310)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 2재생유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재생유로(321)는, 제 1연결포트(334)와 연통되는 제 1재생로입구(321a)와, 재생제박스(327)와 연통되는 제 2재생로입구(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재생유로(321)는, 제 1재생로입구(321a)로부터 제 2재생로입구(321b)까지 연장될 수 있고, 연장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재생제박스(327)는, 제 1재생유로(321)와 제 2재생유로(322)를 연결할 수 있고, 제 1재생유로(321)로부터 제 2재생유로(322)를 향해 갈수록 폭이 확장될 수 있다.
재생공간(320s)에 저장된 재생제는, 제 1재생유로(32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에 용해될 수 있고, 세척수에 용해된 상태로 제 2재생유로(322)를 통해 이온교환수지(E)로 공급될 수 있다.
재생제박스(327)는, 제 1재생유로(321)와 연결되는 박스선단(327a)과, 박스선단(327a)과 대향되는 박스후단(327e)과, 박스선단(327a)으로부터 박스후단(327e)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박스측벽(327b)과, 박스선단(327a)으로부터 박스후단(327e)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박스측벽(327c)과, 후술할 드레인팬(328)과 접촉되는 박스코너(327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재생유로(321)를 통해 재생제박스(327)로 유입된 세척수는, 박스선단(327a)으로부터 제 1박스측벽(327b)과 제 2박스측벽(327c)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박스측벽(327b)과 제 2박스측벽(327c) 사이로 유동하던 세척수는, 박스후단(327e)에 배치된 드레인팬(328)을 통해 박스코너(327d)를 돌아 제 2재생유로(322)로 유입될 수 있다.
재생기(320)는, 재생공간(320s) 내의 세척수를 제 2재생유로(322)로 안내하는 드레인팬(328)이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328)은, 박스후단(327e)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로 개구된 복수의 드레인홀(328a)이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홀(328a)을 통해 드레인팬(328)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박스코너(327d)를 돌아 제 2재생유로(322)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재생유로(322)는, 드레인팬(328)과 연통된 제 1재생로출구(322a)와, 제 2연결포트(335)와 연통된 제 2재생로출구(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재생유로(322)는, 제 1재생로출구(322a)로부터 제 2재생로출구(322b)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재생제가 용해된 세척수를 필터(310)를 향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 드레인팬(328)을 통해 제 2재생유로(322)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2연결포트(335)를 통해 필터(310) 내로 유입되어, 컨테이너(312)에 저장된 이온교환수지(E)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연수장치(300)가 일반연수모드로 가동될 때의 밸브장치(330)를 설명한다. 도 14는 일반연수모드일 때 연수장치(300)의 정면도이고, 도 15(a)는 일반연수모드일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의 확대도이고, 도 15(b)는 일반연수모드일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의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연수장치(300)가 일반연수모드로 가동될 때, 입수유로(311)를 통해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재생기(320)로 유입되지 않고 곧바로 컨테이너(312)를 향해 유동한다.
일반연수모드일 때, 외부수원(50)에서 공급된 세척수는 입수포트(311a)를 통해 입수유로(311)를 통과한다. 입수유로(311)를 통과한 세척수는 밸브장치(330)에 형성된 허브(337)로 유입된다. 허브(337)에 배치된 메인밸브(331)는, 허브(337)로 유입된 세척수가 이온교환수지(E)를 향하여 연장된 제 1유로(338)로 유동하도록 유동흐름을 조절한다. 제 1유로(338)를 통해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컨테이너(312)를 통과한 뒤 출수유로(313)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서브밸브(332)는,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밸브장치(3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출수유로(313)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3연결포트(336)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 뒤, 전술한 공급유로(323)를 통해 섬프(210)로 공급된다.
도 1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는,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메인밸브(331)와, 필터(310)로부터 재생기(320)로의 세척수 유동을 차단하는 제 1서브밸브(332)와, 필터(310)로부터 메인밸브(331)로의 세척수 유동을 차단하는 제 2서브밸브(3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밸브장치(330)는, 반드시 제 1서브밸브(332)와 제 2서브밸브(333) 두 종류의 서브밸브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도15(b)와 같이 단일의 서브밸브(332)만을 구비하여도 족하다.
밸브장치(330)는, 메인밸브(331)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입수유로(311)와 연통되는 허브(337)와, 허브(337)에 형성된 제 1허브홀(337a)을 통해 허브(337)와 연통되고 이온교환수지(E)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유로(338)와, 허브(337)에 형성된 제 2허브홀(337b)을 통해 허브(337)와 연통되고 재생기(3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유로(339)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연수모드일 때, 메인밸브(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330a)는, 메인밸브(331)가 제 1허브홀(337a)을 개방하고 제 2허브홀(337b)을 폐쇄하도록 메인밸브(3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 1유로(338)는 개방되고, 제 2유로(339)는 폐쇄된다. 허브(337)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1허브홀(337a)을 통해 제 1유로(338)로 유입된다. 제 1유로(338)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1유로홀(338a)을 통과한 뒤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다. 제 1서브밸브(332)는, 확산영역(318)으로부터 재생기(320)로의 유동흐름을 차단한다. 이 때, 제 1유로(338)에 배치된 제 2서브밸브(333)는, 제 2필터유입홀(333b)이 형성된 제 2안착부(333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제 1유로(338)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를 확산영역(318)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이온교환수지(E)를 통과한 뒤, 출수유로(313)로 유입되고, 제 3연결포트(336)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다.
도 1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와 달리 제 2서브밸브(333)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연수모드일 때, 입수유로(311)를 통해 허브(337)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1유로(338)로 유입된다. 제 2서브밸브(333)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 1유로(338)로 유입된 세척수는 곧바로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16,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연수장치(300)가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될 때의 밸브장치(330)를 설명한다. 도 16는 재생연수모드일 때 연수장치(300)의 정면도이고, 도 17(a)는 재생연수모드일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의 확대도이고, 도 17(b)는 재생연수모드일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의 확대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연수장치(300)가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될 때, 입수유로(311)를 통해 밸브장치(33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재생기(320)를 거친 뒤 컨테이너(312)를 향해 유동한다.
밸브장치(330)는, 서브밸브(332)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재생기(320)로부터 이온교환수지(E)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3유로(335a)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연수모드일 때, 외부수원(50)에서 공급된 세척수는 입수포트(311a)를 통해 입수유로(311)를 통과한다. 입수유로(311)를 통과한 세척수는 밸브장치(330)에 형성된 허브(337)로 유입된다. 허브(337)에 배치된 메인밸브(331)는, 허브(337)로 유입된 세척수가 재생기(320)를 향하여 연장된 제 2유로(339)로 유동하도록 유동흐름을 조절한다. 제 2유로(339)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재생공간(320s)을 통과한 뒤 제 3유로(335a)를 통해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서브밸브(332)는, 재생공간(320s)을 통과한 세척수가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되도록 제 3유로(335a)를 개방할 수 있다. 확산영역(318)과 컨테이너(312)를 거쳐 출수유로(313)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3연결포트(336)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 뒤, 전술한 공급유로(323)를 통해 섬프(210)로 공급된다.
도 17(a)를 참조하면, 재생연수모드일 때, 메인밸브(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330a)는, 메인밸브(331)가 제 1허브홀(337a)을 폐쇄하고 제 2허브홀(337b)을 개방하도록 메인밸브(3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 2유로(339)는 개방되고, 제 1유로(338)는 폐쇄된다. 허브(337)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2허브홀(337b)을 통해 제 2유로(339)로 유입된다. 제 2유로(339)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2유로홀(339a)을 통과한 뒤 제 1연결포트(334)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다. 재생기(32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재생공간(320s)을 거쳐 제 2재생유로(322) 및 제 2연결포트(335)를 통해 제 3유로(335a)로 유입된다. 제 2서브밸브(333)는, 확산영역(318)으로부터 제 1유로(338)로의 유동흐름을 차단한다. 이 때, 제 3유로(335a)에 배치된 제 1서브밸브(332)는, 제 1필터유입홀(332b)이 형성된 제 1안착부(332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제 3유로(335a)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를 확산영역(318)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확산영역(318)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이온교환수지(E)를 통과한 뒤, 출수유로(313)로 유입되고, 제 3연결포트(336)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다.
도 17(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30)와 달리 제 2서브밸브(333)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재생연수모드일 때, 입수유로(311)를 통해 허브(337)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2유로(339)로 유입된다. 제 2유로(339)를 통해 재생기(32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재생공간(320s)을 거친 뒤 제 3유로(335a)로 유입된다. 제 2서브밸브(333)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 1유로(338)에는 소정의 세척수가 잔존해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캐비닛
20: 도어 30: 컨트롤패널
50: 외부수원 100: 세척조
200: 구동부 210: 섬프
300: 연수장치 310: 필터
311: 입수유로 312: 컨테이너
313: 출수유로 320: 재생기
330: 밸브장치 331: 메인밸브
332: 제 1서브밸브 333: 제 2서브밸브

Claims (20)

  1.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및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섬프로 공급하는 외부수원과 상기 섬프 사이에 배치되는 연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수장치는,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고, 상기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필터; 및
    상기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제가 저장되고,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재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이온교환수지 또는 상기 재생제로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조절하는 밸브장치를 통해 상기 필터와 분리가능토록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세척조의 측벽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세척조의 하벽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측벽과 하벽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모서리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메인밸브;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재생기 간의 상기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서브밸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밸브는,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재생기로의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 1서브밸브; 및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메인밸브로의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 2서브밸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메인밸브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형성된 제 1허브홀을 통해 상기 허브와 연통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유로;
    상기 허브에 형성된 제 2허브홀을 통해 상기 허브와 연통되고, 상기 재생제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유로; 및
    상기 서브밸브가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재생기로부터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3유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장치는,
    상기 세척수에 상기 재생제가 투입되지 않는 일반연수모드 또는 상기 세척수에 상기 재생제가 투입되는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되고,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연수장치가 상기 일반연수모드로 가동될 시, 상기 제 2허브홀을 폐쇄하는 식기세척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장치는,
    상기 세척수에 상기 재생제가 투입되지 않는 일반연수모드 또는 상기 세척수에 상기 재생제가 투입되는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되고,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연수장치가 상기 재생연수모드로 가동될 시, 상기 제 1허브홀을 폐쇄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입수유로; 및
    상기 입수유로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유입된 상기 세척수는,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상기 밸브장치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장치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유동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출수유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식기세척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가이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공간에 돌출된 제 2가이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입수유로 및 상기 컨테이너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컨테이너에 돌출된 가이드와 접촉되는 식기세척기.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입수유로에 배치되는 유량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하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상기 섬프와 연결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상기 밸브장치를 통과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 1재생유로; 및
    상기 제 1재생유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필터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 2재생유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상기 재생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재생유로로부터 상기 제 2재생유로를 향해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재생제박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00175431A 2020-12-15 2020-12-15 식기세척기 KR20220085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31A KR20220085404A (ko) 2020-12-15 2020-12-15 식기세척기
PCT/KR2021/018658 WO2022131681A1 (ko) 2020-12-15 2021-12-09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31A KR20220085404A (ko) 2020-12-15 2020-12-15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04A true KR20220085404A (ko) 2022-06-22

Family

ID=8205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31A KR20220085404A (ko) 2020-12-15 2020-12-15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5404A (ko)
WO (1) WO20221316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254A (ko) 2015-06-19 2018-05-02 비트론 에스.피.에이. 식기세척기용 통합 콤포넌트
KR102125724B1 (ko) 2013-09-10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9047A1 (de) * 1990-06-15 1991-12-19 Bauknecht Hausgeraete Zulaufmengensteuerung fuer spuel- und waschgeraete
IT1291036B1 (it) * 1997-02-18 1998-12-14 Prealpina Tecnoplastica Sistema di dolcificazione dell'acqua in una macchina lavastoviglie.
KR101276009B1 (ko) * 2006-08-04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연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95650B1 (ko) * 2016-08-04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재킷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24B1 (ko) 2013-09-10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80044254A (ko) 2015-06-19 2018-05-02 비트론 에스.피.에이. 식기세척기용 통합 콤포넌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681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563B1 (ko) 식기 세척기
CN104619905B (zh) 带有液体引导装置的家用器具
BRPI0506303B1 (pt) lavadora de louças automática
JP2017529489A (ja) ポンプ及びそのポンプを備えた食洗機
CN101176649A (zh) 洗碗机的蒸汽排出结构以及具备它的洗碗机
CN108937783A (zh) 洗碗机
TWI619865B (zh) 對稱型雙螺旋布槽之染布機
EP34316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109737B2 (en) Dishwasher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20190087150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20085404A (ko) 식기세척기
US20090126766A1 (en) Dish washer and steam providing unit for the same
KR20080087363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2527574B1 (ko) 식기세척기
KR20220125562A (ko) 식기세척기
CN103857319B (zh) 洗碗机
KR102595650B1 (ko) 워터재킷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00009239A (ko) 식기세척기
KR20230077334A (ko) 식기세척기
KR102416453B1 (ko) 식기세척기
KR20220117664A (ko) 식기세척기
KR20220080522A (ko) 식기세척기
CN207299088U (zh) 吸油烟机和用于吸油烟机的清洗***
KR101265248B1 (ko) 염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