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349A -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349A
KR20220077349A KR1020200166192A KR20200166192A KR20220077349A KR 20220077349 A KR20220077349 A KR 20220077349A KR 1020200166192 A KR1020200166192 A KR 1020200166192A KR 20200166192 A KR20200166192 A KR 20200166192A KR 20220077349 A KR20220077349 A KR 2022007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hmds
soliton
hydrophobic surface
microreso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석
정동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6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349A/ko
Publication of KR2022007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8Manufacturing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HMDS(hexamethyldisilazane)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로 수분 흡착을 방지하여 기존의 소자 제작 방식과 솔리톤 모드(Soliton mode) 잠금 기술을 유지하면서도 Q-factor의 저하 없이 대기 노출에 오랜 시간동안 솔리톤 모드 잠금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Surface dehydration treatment of microresonators to prevent excess thermal instability}
광주파수빗(optical frequency comb)은 주파수 영역에서 등간격을 갖는 광신호로서 시간영역에서는 펨토초 펄스의 형태를 가진다. 광주파수빗은 초정밀분광학, 시간 및 주파수표준, 초정밀거리측정 등 다양한 과학분야에서 필수요소이나 모드잠금 레이저와 같은 큰 레이저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한계로 인해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한다.
본 개시는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Hexamethyldisilazane(HMDS)을 이용한 소수성 표면 처리는 제작이 완료된 초고품위 실리카 마이크로공진기를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된 실리카 마이크로공진기를 HMDS 증기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자 실리카 표면은 소수성의 단일 박막층이 형성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HMDS 처리 후 광주파수빗 발생과 관련한 광학 성능의 저하가 없고, 기존의 소자 제작 과정과 솔리톤 모드 잠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가 외부 조건과 상관없이 상용화 가능한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 발명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표면처리 기술은 장시간에 걸쳐 소자의 열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펄스 동작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생성 기술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고정밀 계측 분야뿐 아니라 차세대 통신용 5G/6G 시스템 및 국방 분야의 신호원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HMDS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HMDS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 후의 광학 성능 변화 그래프이다.
도 3은 표면처리 유무와 대기 노출 시간에 따른 열 선 이동 변화 그래프이다.
도 4는 솔리톤의 광스펙트럼의 예시이다.
도 5는 단일 솔리톤의 반복률(~22 GHz)과 모드 잠금 시간에 따른 반복률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HMDS 처리에 따른 실리카 표면에서의 화학 반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silica wedge resonators의 Q-factor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파수빗(optical frequency comb)은 주파수 영역에서 등간격을 갖는 광신호로서 시간영역에서는 펨토초 펄스의 형태를 가진다. 광주파수빗은 초정밀분광학, 시간 및 주파수표준, 초정밀거리측정 등 다양한 과학분야에서 필수요소이나 모드잠금 레이저와 같은 큰 레이저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한계로 인해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한다.
최근 온 칩 고품위 광공진기의 Kerr 비선형성을 기반으로 광주파수빗을 매우 작은 칩 소자 위에서 간단하게 발생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초소형 광빗은 크기가 작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 외에도 기존의 광주파수빗 발생 기술로는 불가능한 높은 반복율(GHz-THz)로 동작시킬 수 있어 초고속 5G/6G 통신 기술 등 새로운 응용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솔리톤 펄스 발생시 필연적으로 공진기 내부의 온도 변화가 수반되어 열적으로 불안정해 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 주파수를 빠른 속도로 되먹임제어(feedback control) 함으로써 솔리톤을 유지할 수 있다. 솔리톤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1.5μm 파장대역은 수분 흡착으로 인해 광흡수가 강하게 일어나 공진기 내부 온도 변화의 폭이 더 커지게 된다. 수분 흡착에 의한 열적 불안정성은 일반적인 회로의 되먹임제어 한계를 능가하며, 따라서 소자가 대기의 수분에 일정시간 이상 노출되면 솔리톤 모드 잠금에 의한 광빗 발생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HMDS(hexamethyldisilazane)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로 수분 흡착을 방지하여 기존의 소자 제작 방식과 솔리톤 모드(Soliton mode) 잠금 기술을 유지하면서도 Q-factor의 저하 없이 대기 노출에 오랜 시간동안 솔리톤 모드 잠금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HMDS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Hexamethyldisilazane(HMDS)을 이용한 소수성 표면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작이 완료된 초고품위 실리카 마이크로공진기를 고온에서 열처리한 후 HMDS 증기에 노출시켜, 소자 실리카 표면에 소수성의 단일 박막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단일 박막층은 수분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면서, 다른 광학 성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저렴하고 간단한 기구로 30분 미만 짧은 시간안에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도 2는 HMDS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 후의 광학 성능 변화 그래프이고, 도 3은 표면처리 유무와 대기 노출 시간에 따른 열 선 이동 변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HMDS를 이용한 소수성 표면처리 후의 광학 성능 변화를 살펴보면, 솔리톤 펄스 동작파워와 발생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Q 인자와 2차 분산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표면처리 유무와 대기 노출 시간에 따른 공진기 열특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표면처리된 소자의 열특성은 저열화가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고,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열특성 저열화가 신호를 통해 관찰된다.
도 4는 솔리톤의 광스펙트럼의 예시이고, 도 5는 단일 솔리톤의 반복률(~22 GHz)과 모드 잠금 시간에 따른 반복률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소수성 표면 처리가 된 광공진기를 바탕으로 기존의 솔리톤 모드 잠금 기술에 의한 솔리톤 모드 잠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22 GHz의 주기를 갖는 펄스의 반복률 변화는 10 kHz 미만으로 매우 낮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HMDS 처리에 따른 실리카 표면에서의 화학 반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silica wedge resonators의 Q-factor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HMDS 처리에 따른 실리카 표면에서의 화학 반응이다.
도 6의 (b)는 1550 nm에서의 HMDS 처리 전의 silica wedge resonators의 Q-factor이고, (c)는 HMDS 처리 후의 Q-factor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표면처리 기법을 통해 수분흡착 방지가 가능하고, 저렴한 설비를 통해 30분내에 빠르고 간단하게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HMDS 처리 후 광주파수빗 발생과 관련한 광학 성능의 저하가 없고, 기존의 소자 제작 과정과 솔리톤 모드 잠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는 펌프 레이저와 비선형성이 높은 칩-스케일 공진기를 이용해 나노초(nanosecond, 10-9 sec) 이하의 주기가 매우 짧은 펄스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핵심이 되는 칩-스케일 공진기 중 현재까지 가장 높은 효율을 보이는 실리카 기반 공진기는 향후 상용화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공기중 수분의 흡착으로 인해 성능이 열화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가 외부 조건과 상관없이 상용화 가능한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 발명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인 펄스 신호원은 각종 고속, 고정밀 물리량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펄스는 마이크로파로 수기가헤르츠-수십 기가헤르츠 수준의 마이크로파로 변환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하고 우수한 마이크로파 신호는 차세대 5G/6G 통신용 신호원 및 우주측지기준점(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에 활용할 수 있고 고성능 레이더 신호원에 활용할 수 있다.
수 GHz 이상의 칩-스케일 펄스 발생 기술은 아직 연구실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이라서, 상용화를 위해선 펄스 생성 기술 및 장시간 안정도를 확보해야 하는데, 본 발명이 제안하는 표면처리 기술은 장시간에 걸쳐 소자의 열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펄스 동작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생성 기술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고정밀 계측 분야뿐 아니라 차세대 통신용 5G/6G 시스템 및 국방 분야의 신호원으로 적극 활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수요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능이 우수한 칩-스케일 펄스 발생기의 생성 기술은 이를 이용한 고정밀, 고속 계측분야, 통신, 국방 분야와 같은 큰 산업 분야뿐 아니라 우주측지기준점과 같은 기초분야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온 칩 초소형 펄스 제작의 핵심 부품인 초소형 공진기 중 가장 품질계수(Quality factor)가 높고 효율이 뛰어난 실리카 기반 광공진기를 외부 환경에 영향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

  1.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2. 고온에서 열처리한 실리카 마이크로공진기를 HMDS 증기에 노출시켜 표면에 소수성의 단일 박막층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200166192A 2020-12-02 2020-12-02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KR20220077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92A KR20220077349A (ko) 2020-12-02 2020-12-02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92A KR20220077349A (ko) 2020-12-02 2020-12-02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49A true KR20220077349A (ko) 2022-06-09

Family

ID=8198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92A KR20220077349A (ko) 2020-12-02 2020-12-02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3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Soliton bursts and deterministic dissipative Kerr soliton generation in auxiliary-assisted microcavities
Liu et al. Titanium selenide saturable absorber mirror for passive Q-switched Er-doped fiber laser
Li et al. Chaotic time-delay signature suppression in a semiconductor laser with frequency-detuned grating feedback
Wang et al. Graphene-Bi2Te3 heterostructure as broadband saturable absorber for ultra-short pulse generation in Er-doped and Yb-doped fiber lasers
Riccardi et al. Short pulse generation from a graphene-coupled passively mode-locked terahertz laser
Maruyama et al. Ambipolar light-emitting organic single-crystal transistors with a grating resonator
Liu et al. Application of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in mid‐infrared fiber laser
Niu et al. Perfect soliton crystals in the high-Q microrod resonator
Zhao et al. A cascaded tunable DFB semiconductor laser with compact structure
Li et al. Band-rejection feedback for chaotic time-delay signature suppression in a semiconductor laser
Ai et al. Dual-wavelength mode-locked fiber laser based on graphene materials
Yun et al. Tunable erbium-doped fiber ring laser based on thermo-optic polymer waveguide Bragg grating
Lao et al. Quantum decoherence of dark pulses in optical microresonators
Wang et al. All-optical logic OR gate using SOA and delayed interferometer
KR20220077349A (ko) 열 특성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공진기 소수성 표면 처리 방법
Arsenijević et al. Breakthroughs in photonics 2013: Passive mode-locking of quantum-dot lasers
Wei et al. Review on the broadband time‐delay‐signature‐suppressed chaotic laser
Chen et al. Dual-wavelength mode-locked erbium-doped fiber ring laser using highly nonlinear fiber
Merghem et al. Long-term frequency stabilization of 10-GHz quantum-dash passively mode-locked lasers
Dong et al. A coupled all-optical microwave oscillator with large tuning range based on SBS
Afridi et al. Effect of thermal tuning and mode coupling on soliton microcombs in AlN microresonators
Vanner et al. Broadband optical delay with a large dynamic range using atomic dispersion
Wang et al. Evolution of soliton rain in a Tm-doped passive mode-locked all-fiber laser
Zhu et al. Active bandwidth control of external-cavity system for improving mode-hop-free synchronous tuning characteristics of an external-cavity diode laser
Habruseva et al. Mode-locked semiconductor lasers with optical inj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