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947A - 브레이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947A
KR20220069947A KR1020227009784A KR20227009784A KR20220069947A KR 20220069947 A KR20220069947 A KR 20220069947A KR 1020227009784 A KR1020227009784 A KR 1020227009784A KR 20227009784 A KR20227009784 A KR 20227009784A KR 20220069947 A KR20220069947 A KR 2022006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working surface
counter support
braking profil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리히 뷔틀러
자코노 로메오 로
미샤 잘펜모저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6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34Safe lift clips; K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2Guideways; Guides with a speci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트레블링 본체를 위한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갖는 레일 상에서 제동하기 위해 적합하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강제 요소 및 카운터 지지부를 포함한다. 강제 요소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2 강제 작업면을 갖는다. 카운터 지지부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을 갖는다.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고 제 2 강제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열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디바이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디바이스, 엘리베이터 설비의 트레블링 본체를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트레블링 본체는 전형적으로 트레블 경로를 따라 상이한 플로어들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루트를 따르는 레일들은 종종 있다. 브레이크 레일들은 트레블링 본체를 제동하는 데 사용된다. 가이드 레일들은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레일은 브레이크 레일과 가이드 레일의 기능 양쪽을 수행한다. 트레블링 본체들은 전형적으로 트리거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레일 상의 제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디바이스들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어 디바이스가 트레블링 본체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과도한 운동을 검출하면, 제어 디바이스, 종종 속도 제한기는, 일반적으로 속도 제한기 케이블에서 증가된 장력의 형태로 트리거 신호를 브레이크 디바이스로 보내고 이로써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킨다. 트레블링 본체는 활성화된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하게 정지된다. 오늘날 레일은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브레이크 디바이스들은 시트 금속 프로파일들이 종래의 브레이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된 하중들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시트 금속 레일들 상에서 거의 사용될 수 없다.
출원 EP3353104 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 레일 프로파일 상에 법선력들을 보다 부드럽게 분배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JP H02 48390 A 및 JP S56 56484 A 는 각각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을 갖는, 레일 상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디바이스들을 도시한다.
하나의 목적은 이때 개선된 브레이크 디바이스 및 전체적으로 개선된 엘리베이터 설비를 개발하는 것임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갖는 레일 상에서 제동하기 위해 적합하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강제 요소 및 카운터 지지부를 포함한다. 강제 요소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2 강제 작업면을 갖는다. 카운터 지지부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 상에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을 갖는다.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제 1 제동 프로파일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고 제 2 강제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열된다. 뿐만 아니라, 강제 요소는 스프레딩될 수 있고, 스프레딩은 제 1 강제 작업면을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시키고, 제 2 강제 작업면을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설비의 트레블링 본체에 대한 안내 시스템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안내 시스템은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갖는 바람직하게 2개의 레일들 상에서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기에 적합하다. 안내 시스템은 레일들에 대한 그 배향 및 위치가 본질적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3개 이상의 안내 요소들을 포함한다. 안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특히,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은 안내 표면들로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목적를 해결하고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구비한 레일 및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레일은 하나 이상의 시트 금속 부품들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그중에서도 그리고 다음에 설명된 발견들 및 사상들에 기초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은 각각 강제 요소의 표면들이다.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각각 카운터 지지부의 표면들이다.
브레이크 디바이스가 아직 트리거되지 않은 휴지 위치에서, 강제 요소는 제동 프로파일들의 표면들로부터 제거된다. 강제 요소, 및 특히 강제 요소의 강제 작업면들은 제동 프로파일을 터치할 수 없다. 카운터 지지부, 및 특히 그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제동 프로파일을 터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2개의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중 하나는 상응하는 제동 프로파일을 터치하고, 이로써 제동 프로파일과 트레블링 본체 사이의 안내력을 전달한다. 이 순간 다른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과 다른 제동 프로파일 사이에 유격이 존재한다. 휴지 위치에서, 안내력을 전달하는 기능은 따라서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을 갖는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을 갖는 제 2 제동 프로파일 사이에서 교번할 수 있고, 따라서 안내력의 방향에 맞춤될 수 있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트레블링 본체를 레일 상에 제동하는데 사용된다. 제동 작동을 개시하도록, 강제 요소의 강제 작업면들의 각각은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의 방향으로 전진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강제 작업면은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의 방향으로 전진되고, 제 2 강제 작업면은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의 방향으로 전진된다. 강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웨지와 같은 제동 요소를 갖는다. 강제 요소가 브레이크 웨지를 갖는다면, 통과하는 (moving past) 브레이크 프로파일과의 브레이크 웨지의 접촉이 전진하는 운동의 방향으로 접촉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보강을 갖거나 또는 보강없이, 강제 요소는 전진 운동의 방향으로 충분히 큰 접촉 압력을 발생시킨다. 강제 요소는 양쪽 제동 프로파일들을 가압한다. 레일은 제동 프로파일이 접촉 압력 하에서 탄성, 즉 가역적으로 변형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변형은 카운터 지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제동 프로파일이 카운터 지지부에 대해, 그리고 특히 2개의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에 대해 안착되자마자, 각각의 제동 프로파일은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과 강제 작업면 사이에 클램핑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이때 완전한 제동력을 전개한다. 가압력은 마찰력들을 발생시키고, 이는 2개의 강제 작업면 및 2개의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양쪽에 대해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레일은 트레블링 본체의 주행 경로를 따라 배열되는 프로파일이다. 레일은 제 1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은 바람직하게 후방에서 서로 연결된다. 전형적인 형상은 예를 들어, C-프로파일이다.
레일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제동 프로파일을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제동 프로파일 상의 개구들, 세장형 구멍들 또는 보어홀들이 존재함으로써 샤프트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레일은 유리하게는 벤딩 작동 또는 롤 프로파일링에 의해 시트 금속으로부터 제조된다. 한편으로, 그것은 개방 프로파일일 수 있다. 본질적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시트는 2개의 벤딩 에지들에서 폴딩된다. 이는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및 후방 연결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C-프로파일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개방 프로파일의 생성은 몇개의 작업 단계들만을 요구하고 따라서 무엇보다도 비용이 저렴하다.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폐쇄 프로파일일 수 있다. 폐쇄 프로파일은 롤 프로파일링에 의해 대부분 제조되는 전형적으로 더 복잡한 부품이다. 시트의 하나의 에지는 전형적으로 시트의 다른 에지에 연결되고, 프로파일을 통한 단면은 여러 번 연결된다. 2개의 프로파일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드, 즉 시트 금속의 이중 층으로서 구성된다. 접착제 또는 필러가 이중 층의 2개의 시트 사이에 도포될 수 있거나, 그것들은 서로 접촉한다. 후방 연결은 유리하게는 중공 프로파일로서 구성되며, 이는 특히 안내력과 관련하여 레일에 높은 레벨의 강도를 발생시킨다.
대안적으로, 레일은 또한 기계가공된 스트랜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열간 압연된 C-프로파일이 바람직하게 블랭크로서 사용된다. C-프로파일은 차례로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및 후방 연결을 포함한다. 제동 프로파일들은 이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이 각각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끄러운 표면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밀링에 의해 기계가공된다. 특히, 기계가공된 표면들은 카운터 지지부의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과의 접촉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유리하게는, 각각의 제동 프로파일의 2개 또는 3개의 표면들이 기계가공된다. 하이브리드 제조 프로세스들은 또한 열간 압연된 압출된 프로파일 대신에, 비교적 두꺼운 시트 금속이 C-프로파일로 형성되고, 그후 이는 매끄러운 표면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기계가공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레일들의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그것들은 세그먼트들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세그먼트들은 5m 또는 2.5m 의 길이를 갖는다.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제동 프로파일, 제 2 제동 프로파일 또는 양쪽 제동 프로파일들은 본질적으로 일정한 플레이트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구성된다.
제동 프로파일은 유리하게는 트레블링 본체의 트레블 경로를 따라 제동 프로파일의 전체 범위에 걸쳐 본질적으로 일정한 플레이트 두께를 갖는다. 플레이트 두께는 복수의 재료의 층들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재료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의 형상의 설계는 제조가 용이하다.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은 서로 각도를 이룬다. 이러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0° 이므로, 제동 프로파일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동 프로파일들은 또한 0°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는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후방 연결로부터 시작하여 제동 프로파일들은 더 멀리 이동하거나, 후방 연결로부터 시작하여 제동 프로파일들은 함께 더 가까이 이동한다.
플레이트의 형태의 제동 프로파일에 대한 대안예는, 예를 들어, 라운드형 로드-형상의 제동 프로파일들, T-형상의 또는 웨지-형상의 제동 프로파일들이다. 이러한 대안적인 형상들을 갖는 제동 프로파일들은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다른 안내력들을 전달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은 대향하는 표면 법선들을 가지며,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대향하는 표면 법선들을 갖다.
작업면들은 제동 프로파일들 중 하나의 전형적으로 플랫형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면들이 본질적으로 플랫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작업면들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링 또는 조면화와 같은 표면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구조들은 강제 작업면들에 대한 최적의 제동 효과를 달성하도록 또는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에 대한 최적의 제동 효과 및/또는 최적의 슬라이딩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사용된다.
표면 법선들은 작업면들이 상호작용하도록 의도되는 제동 프로파일의 방향으로 작업면들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표면 법선은 작업면의 평면에 수직이다.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은 대향하는 표면 법선들을 가지며,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대향하는 표면 법선들을 갖는 것이 유리한 데, 왜냐하면 강제 작업면들 상의 법선력들이 본질적으로 서로 보상하기 때문이다. 제 1 강제 작업면 상의 법선력들과 제 2 강제 작업면 상의 법선력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양이다. 표면 법선들이 대향하기 때문에 힘들은 본질적으로 서로 상쇄된다. 표면 법선이 작은 각도만큼 대향하는 배향으로부터 벗어나면 큰 합력이 강제 요소 상에 발생한다. 강제 요소 상의 이러한 큰 합력은, 그후 예를 들어, 트레블링 본체 상의 부착 또는 연결 요소에 의해 흡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단락의 설명은 카운터 지지부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즉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의 법선력들은 또한 본질적으로 서로를 보상하고, 강제 작업면들에 대해서와 유사한 설명들이 적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동 프로파일은 유리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2개의 대안적인 실시예들 중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은 본질적으로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제 2 제동 프로파일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열되고,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각각 중간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의 측 상에 배열된다.
중간 영역은 2개의 제동 프로파일의 각각의 내부 표면에 의해 걸쳐지는 그 평면들에 의해 걸쳐지는 공간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카운터 지지부는 외측으로부터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주위에서 맞물리고, 강제 요소는 중간 영역에 배열된다. 제동 작동을 개시하도록, 강제 요소는 스프레딩되고, 그 결과로 강제 요소의 강제 작업면들은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의 방향으로 전진된다.
즉, 제 1 강제 작업면과 제 2 강제 작업면은 강제 요소의 스프레딩으로 인해 서로 멀리 이동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강제 요소는 메커니즘에 의해 멀리 푸시되는 2개의 부품들을 가질 수 있다.
청구되지 않은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는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제 2 제동 프로파일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열되고, 제 1 및 제 2 강제 작업면은 각각 중간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의 측 상에 배열된다.
추가의 청구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강제 요소는 협소화될 수 있는 강제 작업면들 사이에서의 거리를 가지며, 강제 작업면들 사이에서의 거리의 협소화는 제 1 강제 작업면을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시키고 제 2 강제 작업면을 제 2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시킨다.
이들 청구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강제 요소는 외측으로부터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주위에서 맞물리고, 카운터 지지부 요소는 중간 영역에 배열된다. 제동 작동을 개시하도록, 강제 요소는 협소화되고, 그 결과로 강제 요소의 강제 작업면들은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의 방향으로 전진된다.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방식은 1차적으로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이 제 1 제동 프로파일을 함께 클램핑하고, 제 2 강제 작업면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이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함께 클램핑하는 것이다. 카운터 지지부는 제동 프로파일들의 외측에 있고 강제 요소는 제동 프로파일들의 내측에 있거나, 카운터 지지부는 제동 프로파일들의 내측에 있고 강제 요소는 제동 프로파일들의 외측에 있다. 양쪽 변형예에서, 카운터 지지부 및 강제 요소 양쪽에서 제동 동안 발생하는 법선력들이 본질적으로 서로를 상쇄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합력은 본질적으로 마찰에 의해 생성된 제동력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강제 요소에 대해 전진 운동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강제 요소는 전진 운동에 의해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될 수 있다.
강제 작업면들이 제동 프로파일에 대해 전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강제 요소의 스프레딩 또는 협소화는 전진 운동으로서 지칭된다. 유리하게는, 액추에이터는 강제 요소의 2개의 서브영역들이 서로 멀어지게 또는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하게 허용하는 운동을 구동함으로써 전진 운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진 운동은 액추에이터에 전기, 압축된 공기 또는 유압의 형태로 외측으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가 강제 요소의 서브영역들의 상대 운동을 위한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양쪽 경우들에서, 강제 작업면들의 전진 운동의 방향은 제동 프로파일의 표면 법선들의 방향으로 적어도 최소 운동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는 선형 구동을 통해 또 다른 서브-영역들로부터 강제 요소의 서브-영역들 중 하나를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강제 요소를 팽창시키는 전기 모터이다. 2개의 서브-영역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형태로 구성된 강제 작업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제 요소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또는 제 2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될 수 있고 레일을 따르는 트레블 운동에 의해 제동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제동 요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동 요소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제 요소는 브레이크 웨지 또는 편심을 포함하고, 강제 요소는 제동 프로파일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운동이 제동 프로파일에 대한 강제 요소의 접촉 압력의 증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브레이크 웨지들 또는 편심들의 형태인 제동 요소들은 각각 강제 요소의 부분 영역을 형성하고 각각 강제 작업면을 갖는다. 강제 요소는 또한 추가의 서브-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이것은 예를 들어 제동 요소들에 대한 가이드일 수 있다.
강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제동 요소를 갖는다. 제 1 제동 요소는 제 1 강제 요소 작업면을 갖는다. 전진 운동은 제 1 제동 요소가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할 때까지 제 1 제동 요소를 제 1 제동 프로파일을 향해 이동시킨다. 접촉은 초기에 비교적 낮은 법선력을 포함한다. 제 1 제동 프로파일과의 제 1 제동 요소의 접촉은 마찰력들을 발생시켜, 구동 운동은 그와 함께 제동 요소들을 이동시켜 제동 위치로 그것들을 시프트한다. 이는 법선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법선력은 트레블링 본체를 제동하고 홀딩할 수 있을 정도로 큰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점은 전진 운동이 작은 힘으로 드라이브 또는 전진 스프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이다. 법선력의 주요 부분은 제동 요소를 통한 트레블 운동이 추가의 전진 운동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증강된다. 강제 요소가 제 1 제동 요소를 배타적으로 갖는다면, 이때 단지 하나의 제동 요소만이 베어링을 갖는 이점이 있고, 따라서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제조는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강제 요소는 유리하게는 제 1 제동 요소 및 제 2 제동 요소를 갖는다. 제 1 제동 요소는 제 1 강제 요소 작용면을 갖고, 제 2 제동 요소는 제 2 강제 요소 작용면을 갖는다. 강제 요소는 전진 운동을 통해 제동 프로파일들과 접촉될 수 있다. 접촉은 초기에 비교적 낮은 법선력을 포함한다. 트레블 운동의 결과로서, 제동 요소들과 제동 프로파일들 사이의 접촉은 제동 요소들이 제동 위치로 움직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제동 요소들을 갖는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이점은 제동 프로파일들과의 접촉시에 제동 요소들의 대칭적인 추가의 전진 운동에 있으며, 이는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 상의 제동력들이 동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로서, 이러한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연결 요소는 더 약할 수 있고, 더 비용 효율적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강제 요소 상의 토크가 비교적 작기 때문이다.
또한, 제동 후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해제는 작은 해제력만을 요구하는 것이 유리하다. 양쪽 제동 요소들이 강제 요소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적은 노력으로 강제 요소 상에서 그들의 지지부를 따라 그들의 원래 위치로 다시 2개의 제동 요소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해제력은 충분하다.
대안적으로, 강제 요소는 하나의 제동 요소만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제동 요소만이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더 비용 효율적이다. 전진은 더이상 대칭적이지 않다. 제 1 측 상에서 제동 요소에 있어서,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용면과 제 1 제동 프로파일 사이에 슬라이딩이 존재하고, 따라서 맞물림 동안 마찰력이 존재한다. 제동 요소는 초기에 여전히 제동 프로파일에 부착된다. 그것은 거의 마찰 없이 안내되기 때문에 정지 마찰력이 매우 낮다. 그러나, 제 2 제동 프로파일에서는, 강제 작업면 또는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이 제동 프로파일과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강제 작업면들 양쪽은 마찰력들을 받는다. 따라서, 맞물림 동안, 제 2 제동 프로파일에서의 제동력은 제 1 제동 프로파일에서보다 상당히 크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해제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제동 요소는 가이드를 따라 매우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는 한편, 제동 요소 상에 있지 않은 다른 3개의 작업면은 트레블링 본체가 들어올려질 때 슬라이딩 마찰로 인해 큰 힘들을 발생시키고, 트레블링 본체의 중량 뿐만 아니라 상기 힘은 극복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는 전기 또는 전자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외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를 통해 전진 운동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전기 신호는 다른 에너지 소스들에 의해 구동되는 전진 운동을 제어한다. 다른 에너지 소스들은, 예를 들어, 강제 요소의 인장된 스프링과 같은 별개의 전력 공급원 또는 에너지 저장부로서 역할을 한다. 전기 또는 전자 신호는 단지 이러한 에너지원 또는 이러한 에너지 저장부로부터의 에너지의 유동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인장된 스프링은 폴에 의해 유지된다. 폴을 홀딩하는 전자석의 공급 전류를 스위칭 오프함으로써, 인장된 스프링은 초기에 부분적으로 이완되어 강제 요소의 서브영역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킨다. 남아있는 스프링 인장력은 작업면들 상에 법선력으로 역할을 한다. 제동 프로파일들, 또는 서로에 대한 그들의 연결은, 강제 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힘들로 인해 카운터 지지부에 대한 유격이 극복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제동 프로파일들은 강제 작업면들과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운터 지지부 및 강제 요소는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직접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요소는,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의 영역에서 제 1 강제 작업면, 제 2 강제 작업면,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또는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카운터 지지부에 대한 강제 요소의 상대 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대 운동은 수직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진행한다.
언급된 4개의 작업면들이 적어도 쌍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기 때문에, 이들 작업면들 중 하나에 수직인 방향은 본질적으로 다른 작업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또한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모든 4개의 작업면들은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며; 따라서, 이들 작업면 중 하나에 수직인 방향은 또한 본질적으로 모든 다른 작업면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연결 요소에 의해 허용되는 카운터 지지부에 대한 강제 요소의 상대 운동은 본질적으로, 특히 제 1 및 제 2 강제 작업면의 영역에서 설명된 방향을 가져서, 강제 요소가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의 변형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설정된다. 이는 2개의 강제 작업면들이 제동 프로파일들에 동일한 법선력을 인가하게 허용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피스 구성요소로서 구성된다. 연결 요소의 약간의 탄성은 상대 운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강제 요소의 관절연결부 또는 선형 베어링이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설계도 고려될 수 있다. 관절연결부 또는 선형 베어링을 사용할 때, 바람직하게는 카운터-지지 요소에 대해 강제 요소를 센터링하는 센터링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 상의 볼 캐치 또는 스프링은 강제 요소를 중앙 위치에서 홀딩할 수 있어서 구동 작동 동안 강제 요소가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에 대해 유격을 갖는다.
안내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안내 요소의 안내 표면으로서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을 사용한다. 이는 안내 요소가 이러한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경우에 교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종래의 트레블링 본체는 전형적으로 정확히 4개의 가이드 유닛 및 전형적으로 정확히 2개의 브레이크 디바이스들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종래에 설치된 안내 요소들 중 2개가 브레이크 디바이스로 교체된다. 카는 바람직하게는 안내 기능을 갖는 2개의 브레이크 디바이스들 및 2개의 종래의 안내 요소들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은, 2개의 브레이크 디바이스들이 트레블링 본체의 바닥에 부착되고 2개의 종래의 안내 요소들이 트레블링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종래의 안내 요소들은 그것들이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중 하나에 대해 안내하거나, 유리하게는 양쪽 제동 프로파일들에 대해 안내하도록 그 기하학적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카운터 지지부의 안내 특성들과 유사한 안내 요소들은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의 양쪽 내부 측들 또는 2개의 제동 프로파일의 양쪽 외부 측들과 접촉한다.
안내력들은 트레블링 본체의 운동의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작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작업면의 평면에서 브레이크 프로파일들의 전방 에지들을 통해 유리하게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별개의 슬라이딩 코팅을 통해, 예를 들어 C-프로파일의 형태의 레일의 베이스에 이들 힘들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 금속 부품들로부터 형성된 레일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는 제작 및 설치가 특히 저렴하다. 특히, 레일 프로파일들을 폐쇄 레일 프로파일들로서 설계함으로써, 우수한 강성을 달성하고 동시에 매우 경량화된 설계를 달성할 수 있다. 폐쇄 레일 프로파일들은 또한 케이블 덕팅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강도를 개선하거나 노이즈를 감소시거나 구동 품질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 충전된다.
레일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구성요소로서, 트레블링 본체를 제동하기 위한 레일 및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레일은 브레이크 레일로서만 역할을 할 수 있다. 레일은 시트 금속 부품들로 저렴하게 제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및 특징, 세부사항은 다음의 실시예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여기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고 축적에 적용되지 않는다.
도 1 은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를 통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동 위치에서 캐치 웨지들을 갖는 도 1 에서와 동일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에서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 는 액추에이터를 갖는 강제 요소를 도시한다.
도 5 는 편심을 갖는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6 은 하나의 웨지만을 갖는 강제 요소를 구비한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7 은 외부 강제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8 은 설계된 해결책의 등각도이다.
도 9 는 레일 및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갖는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 은 중간 영역의 도면이다.
도 11 은 중간 영역의 또 다른 도면이다.
도 1 은 트레블링 본체 (1) 에 부착될 때 브레이크 디바이스 (2) 의 제 1 실시예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 (2) 는 연결 요소 (43) 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카운터 지지부 (11) 및 강제 요소 (9) 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제 1 제동 프로파일 (7)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 (8) 과 맞물리고, 이들 양쪽은 레일 (5) 의 일부이다. 레일 (5) 은 시트 금속으로부터 롤링된 폐쇄 프로파일이다. 제동 프로파일들 (6) 은 2개의 층들을 가지며 그들의 단부에서 약간 더 큰 벤딩 반경 (66) 을 갖는다. 폐쇄 프로파일은 그것이 개방 프로파일보다 더 강성이라는 이점을 갖는다. 레일은 레일 지지부 (53) 에서 스크류들에 의해 체결된다. 레일 지지부 (53) 는, 무엇보다도, 금속 프로파일 또는 통로 벽일 수 있다.
제 1 강제 작업면 (13) 과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7) 은 제 1 제동 프로파일 (7) 이 그들 사이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 2 강제 작업면 (15) 과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9) 은 제 2 제동 프로파일 (8) 이 그들 사이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강제 요소는, 브레이크 디바이스가 휴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하게 하도록 스프레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스프레딩은 제동 요소들 (31), 즉 브레이크 웨지들 (37) 이 제동 프로파일들 (6) 에 더 근접하게 한다. 브레이크 웨지들 (37) 은 트레블 방향으로 메인 운동 성분에 의해 선형 운동을 실행한다. 제동 프로파일 (6) 의 방향으로의 운동 성분은 작업면들 (13, 15, 17, 19) 에 법선력을 증강하는 역할을 한다.
강제 요소 (9) 는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6) 사이의 중간 영역에 위치된다. 중간 영역의 설명도는 도 10 및 도 11 에서 찾을 수 있다.
연결 요소 (43) 는 약간 탄성이 있도록 구성되어, 강제 요소 (9) 가 제동 프로파일들 (6)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연결 요소 (43) 의 탄성 복원력은 강제 작업면 (13 및 15) 을 제동 프로파일들 (6) 로부터 거리를 두어 유지시킨다. 4개의 작업면들에 대한 법선력들은 선택된 배열로 인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양을 갖는다.
도 2 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2) 가 제동되는 작동 상태에서 도 1 에서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제동 요소 (31), 즉 브레이크 웨지들 (37) 은 제동 위치로 시프트된다. 브레이크 웨지들 (37) 은 제 1 강제 작업면 (13) 및 제 2 강제 작업면 (15) 이 제동 프로파일들 (6) 에 대해 가압되는 방식으로 제동 프로파일들 (6) 상의 마찰력에 의해 변위된다. 레일 (5) 은 탄성적 및 가역적으로 변형된다. 제동 프로파일들 (6) 은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7)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9) 까지 변위되고 탄성적이다. 이러한 시프트는 레일 (5) 의 약간의 변형을 수반한다. 큰 법선력들은 브레이크 웨지들 (37) 과 카운터 지지부 (11) 사이에 클램핑된 제동 프로파일들 (6) 상에 작용한다. 이러한 법선력들은 큰 마찰력들을 발생시킨다. 법선력은 브레이크 웨지들의 변위가 제한되고, 강제 요소 (9) 가 최대로 스프레딩될 때 제동력이 설정점 값의 범위에서 제한되는 방식으로 카운터 지지부가 탄성적으로 되게 된다는 점에서 제한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들의 세트가 제동력을 제한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3 은 도 1 로부터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브레이크 웨지들의 형태의 제동 요소들 (31) 은 강제 요소 (9) 의 코어 요소를 따라 안내된다.
제 1 실시예는 안내 시스템에서 안내 요소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7) 과 제 1 제동 프로파일 (7) 사이에 초기 유격 (S1) 이 존재한다.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9) 과 제 2 제동 프로파일 (8) 사이에 제 2 유격 (S2) 이 존재한다. 구동 동안, 2개의 유격들 (S1 및 S2) 은 안내 요소 상에서의 하중들에 맞춤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2개의 유격들 중 하나는 터치를 통해 취소된다. 다른 유격은 상응하게 더 크다. 안내력이 터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브레이크 디바이스 (2) 를 위한 트레블링 본체는 작업면들 (13, 15, 17 및/또는 19) 에 수직인 변위에 대해 고정되게 안내된다. 레일을 향한 브레이크 디바이스 (2) 의 변위는 확대된 벤딩 반경 (66) 을 갖는 제동 프로파일들 (6) 이 카운터 지지부 (11) 와 접촉된다는 사실에 의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강제 요소 (9) 가 연결 요소 (43) 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슬라이딩 코팅을 갖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는 도 1, 도 2, 도 3 의 브레이크 디바이스 (2) 에 사용될 때의 액추에이터 (29) 를 갖는 강제 요소 (9) 를 도시하지만, 그러나 단지 브레이크 웨지 (37) 에 대해서는 또한 도 6 에 도시된다. 전진 운동 (30) 의 상황 내에서 서로로부터 멀리 제 1 브레이크 웨지 (37) 상의 제 1 강제 작업면 (13) 과 제 2 브레이크 웨지 (37) 상의 제 2 강제 작업면 (15) 을 스프레딩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웨지는 인장 플레이트 (401) 에 연결된다. 인장 플레이트 (401) 는 인장 로드 (402) 를 통해 스프링 형태의 에너지 저장부 (55) 에 연결된다. 전자석 (292) 은 래칫 레버 (293) 에서 드로잉될 수 있다. 외측으로부터의 전기 또는 전자 신호 (41), 특히 공급 전압에서의 강하가 전자석을 스위치 오프시키고 그 결과로서 전자석이 그 홀딩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폴 (294) 은 당김 로드 (402) 상에서 유지 러그 (295) 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로서, 제동 요소들 (31), 또는 더 정확하게는 브레이크 웨지들 (37) 은 이때 상향으로 이동되고 그 과정에서 서로 이격되어 스프레딩된다. 전자석 (292) 으로부터 폴 레버 (293) 를 신뢰성있게 분리하도록 사용되는 보조 스프링 (291) 은 또한 폴 (294) 을 신뢰성있게 트리거하는 역할을 한다. 유지 러그 (295) 와 폴 (294) 사이의 접촉 표면의 양호한 구성에 의해, 보조 스프링 (291) 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트레블링 본체가 트레블 방향 (33) 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웨지들 (37) 과 제동 프로파일들 (6) 사이의 마찰력은 브레이크 웨지들 (37) 이 제동 프로파일들 (6) 과 접촉하자마자 브레이크 웨지들 (37) 을 더 상향으로 구동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5 는 편심들 (39) 로서 구성된 제동 요소들 (31) 을 갖는 강제 요소 (9) 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 모드는 도 1 내지 도 4 와 유사하다. 브레이크 웨지의 전진 운동과 대조적으로, 편심 (39) 의 전진 운동은 편심 (39) 의 회전 운동에 기초한다.
도 6 은 이러한 경우에 브레이크 웨지 (37) 의 형태의 제동 요소 (31) 만을 구비한 강제 요소 (9) 를 갖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2) 를 도시한다. 제 1 강제 작업면 (13) 은 강제 요소 (9) 에 대해 직접 구성된다. 매우 얇은 연결 요소 (43) 가 또한 도시된다. 레일 (5) 및 2개의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7, 19) 을 갖는 카운터 지지부 (11) 는 각각 2개의 제동 요소들 (31) 을 포함하는, 이전의 도면들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디바이스가 맞물릴 때, 제 1 강제 작업면 (13) 은 이미 제 1 제동 프로파일 (7) 에 대해 마찰되는 반면, 제 2 강제 작업면 (15) 은 제 2 제동 프로파일 (8) 에 부착되고 이로써 동반되어, 법선력의 증가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제 1 강제 작업면 (13) 상의 제동력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제 2 강제 작업면 (15) 은 제동 요소 (31) 가 본질적으로 마찰 없이 강제 요소 (9) 에 대해 안내되기 때문에, 아직 임의의 실질적인 제동력을 생성하지 않는다. 제동 요소 (31) 가 강제 요소 (9) 상의 스톱에 부딪힐 때에만, 제 2 강제 작업면 (15) 상에 생성된 제동력이 제동력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도 7 은 외부 강제 요소 (9) 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2) 를 도시한다. 제 1 강제 작용면 (13) 과 제 2 강제 작용면 (15) 사이에서의 거리를 갖는 강제 요소 (9) 는 협소하게 될 수 있다. 강제 요소의 협소화, 즉 2개의 강제 작업면들 (13 및 15) 사이에서의 거리의 감소는 2개의 강제 작업면들 (13 및 15) 을 제동 프로파일들 (6) 과 접촉하게 한다. 브레이크 디바이스 (2) 는 브레이크 웨지 (37) 및 스프링 조립체 (71) 를 포함하고, 이들 양쪽은 강제 요소 (9) 에 부착된다. 따라서, 카운터 지지부는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과는 대조적으로, 카운터 지지부 (11) 는 이때 제 1 제동 프로파일 (7) 과 제 2 제동 프로파일 (8) 사이의 중간 영역에 있다. 연결 요소 (43) 는 강제 요소 (9) 에 대한 카운터 지지부 (11) 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따라서, 2개의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 (17 및 19) 은 각각 제동 프로파일 (6) 에 대해 안착될 수 있고, 연결 요소 (43) 상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7 및 19) 사이로 압력들을 전달할 수 있다.
레일 (5) 은 시트 금속으로 형성되며, 비대칭으로 구성된다. 개방 프로파일은 몇개의 작업 단계들만으로의 제조를 허용한다.
도 7 의 개념들은 또한 이전의 도면들로부터의 개념들과 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강제 요소 (9) 는 양쪽 측들 상에 제동 요소들 (31) 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규정된 제동력을 얻도록 카운터 지지부 (11) 를 다소 유연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카운터 지지부는 스프링 조립체 (71) 를 가질 수 있다. 제동 요소들 (31) 은 브레이크 웨지 (37) 또는 편심들로서, 심지어 단일의 편심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개방 제동 프로파일 (5) 대신에, 폐쇄 제동 프로파일 (5) 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8 은 설계된 해결책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강제 요소 (9) 는 제동 프로파일들 (도시 생략) 사이의 중간 영역에 위치된다.
에너지 저장부 (55) 가 보이는 액추에이터는 카운터 지지부 (11) 의 내부에 위치된다. 제동 요소 (31) 는 브레이크 웨지들 (37) 로서 구성되고, 제 1 강제 요소 작용면 (13) 및 제 2 강제 요소 작용면 (15) 은 각각 브레이크 웨지들 (37) 상에 위치된다. 카운터 지지부 (11) 는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7) 및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19) 를 갖는다.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 (17 및 19) 은 트레블링 본체에 대한 안내부로서 역할을 하도록 슬라이딩 라이닝들로서 구성된다.
도 9 는 레일 (5) 및 브레이크 디바이스 (2) 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3) 의 안내 시스템 (47) 을 도시한다. 레일 (5) 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제동 프로파일들 (6) 을 포함한다. 레일 (5) 은 트레블링 본체 (1) 에 대한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여, 그것은 트레블링 운동 (33) 의 방향으로 레일 (5)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카의 바닥에서 2개의 브레이크 디바이스들 (2) 뿐만 아니라, 트레블링 본체 (1) 는 또한 2개의 추가의 안내 요소들 (51) 을 통해 안내된다.
안내 요소들 (51) 및 브레이크 디바이스들 (2) 은 제동 프로파일들 (6) 의 각각의 외부 표면들과의 접촉을 통해 트레블링 본체 (1) 를 안내한다.
도 10 및 도 11 은 중간 영역 (25) 의 상세한 규정들을 도시한다. 중간 영역 (25) 은 제 1 제동 프로파일 (7)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 (8) 의 각각의 내부 표면에 의해 걸쳐지는 그 평면들에 의해 걸쳐지는 공간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갖는", "포함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하지 않고, 단수형의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또한 상기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들에서 도면부호들은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2)

  1.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갖는 레일 상에서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트레블링 본체를 위한 브레이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강제 요소 및 카운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 요소는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에서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1 강제 작업면 및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 상에서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2 강제 작업면을 갖고,
    상기 카운터 지지부는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에서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 상에서 작용하게 되어 있는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을 가져서, 상기 제 1 강제 작업면 및 상기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2 강제 작업면 및 상기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고,
    상기 강제 요소는 스프레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레딩은 상기 제 1 강제 작업면을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강제 작업면을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 또는 양쪽 제동 프로파일들은 본질적으로 일정한 플레이트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구성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제 작업면 및 상기 제 2 강제 작업면은 대향하는 표면 법선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상기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대향하는 표면 법선들을 갖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제 작업면 및 상기 제 2 강제 작업면은 본질적으로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과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 및 상기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은 각각 상기 중간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의 측 상에 배열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는, 상기 강제 요소에 대해 전진 운동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 요소는 상기 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될 수 있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요소는 상기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또는 상기 제 2 제동 프로파일과 접촉될 수 있고 레일을 따르는 트레블 운동에 의해 제동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제동 요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동 요소들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요소는 브레이크 웨지 또는 편심을 포함하고, 상기 강제 요소는 상기 제동 프로파일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상기 브레이크 디바이스의 운동이 상기 제동 프로파일에 대한 상기 강제 요소의 접촉 압력의 증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또는 전자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지지부 및 상기 강제 요소는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직접 연결되는, 브레이크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카운터 지지부에 대한 상기 강제 요소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 1 강제 작업면 및 제 2 강제 작업면의 영역에서의 상기 운동은,
    - 상기 제 1 강제 작업면에,
    - 상기 제 2 강제 작업면에,
    - 상기 제 1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에 그리고/또는
    - 상기 제 2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브레이크 디바이스.
  11.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갖는 2개의 레일들 상에서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기에 적합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상기 트레블링 본체를 위한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안내 시스템은 레일에 대한 상기 트레블링 본체의 정렬 및 위치가 본질적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트레블링 본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3개 이상의 안내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디바이스로서 구성되고, 특히 카운터 지지부 작업면들은 안내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디바이스를 갖고 제 1 제동 프로파일 및 제 2 제동 프로파일을 구비한 레일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로서,
    상기 레일은 하나 이상의 시트 금속 부품들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KR1020227009784A 2019-09-30 2020-09-04 브레이크 디바이스 KR20220069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0616.1 2019-09-30
EP19200616 2019-09-30
PCT/EP2020/074847 WO2021063631A1 (de) 2019-09-30 2020-09-04 Brem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947A true KR20220069947A (ko) 2022-05-27

Family

ID=6810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784A KR20220069947A (ko) 2019-09-30 2020-09-04 브레이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12535B2 (ko)
EP (1) EP4038002A1 (ko)
JP (1) JP2022549963A (ko)
KR (1) KR20220069947A (ko)
CN (1) CN114531870B (ko)
BR (1) BR112022005599A2 (ko)
WO (1) WO2021063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2222B2 (en) * 2018-10-26 2022-02-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ing devic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1259A (en) * 1962-11-09 1965-10-12 Otis Elevator Co Monorail for counterweight frames
JPS5656484A (en) 1979-10-09 198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H0791005B2 (ja) 1988-08-08 1995-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JP3798853B2 (ja) * 1996-08-30 2006-07-1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
EP1697248A4 (en) * 2003-12-09 2009-07-01 Otis Elevator Co GUIDE RAIL FOR ELEVATOR
MY143851A (en) 2006-12-05 2011-07-15 Inventio Ag Braking device for holding and braking a lift cabin in a lift facility
EP2571800A4 (en) 2010-05-21 2017-11-01 Otis Elevator Company Sheet metal guide rail for an elevator system
MX341637B (es) 2011-09-30 2016-08-25 Inventio Ag Dispositivo de freno con actuacion electromecanica.
MX363590B (es) 2012-11-27 2019-03-28 Inventio Ag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 cuerpo móvil en un sistema de ascensor.
US10017356B2 (en) 2012-12-14 2018-07-10 Otis Elevator Company Sheet metal guide rail for an elevator system
CH707833A1 (de) 2013-03-28 2014-09-30 Phoenix Mecano Komponenten Ag Aufzugsanlage mit einer Bremsvorrichtung.
ES2920375T3 (es) * 2014-02-04 2022-08-03 Otis Elevator Co Carril guía combinado para un sistema de ascensor
ES2770898T3 (es) 2015-09-23 2020-07-03 Inventio Ag Disposición para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con un dispositivo de retención
CN109466995B (zh) * 2017-09-08 2020-11-27 奥的斯电梯公司 简单支撑的再循环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31870B (zh) 2024-03-05
US20220348439A1 (en) 2022-11-03
WO2021063631A1 (de) 2021-04-08
BR112022005599A2 (pt) 2022-07-19
CN114531870A (zh) 2022-05-24
EP4038002A1 (de) 2022-08-10
US11912535B2 (en) 2024-02-27
JP2022549963A (ja)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159B2 (en) Safety brake for a travel body of an elevator system
US8991561B2 (en) Elevator braking equipment
US9145282B2 (en) Friction brake having an actuator unit that acts perpendicularly to the brake application direction
KR20140082942A (ko)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JP2008143707A (ja)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レール、エレベータ装置のブレーキ装置、ならびにエレベータ装置の案内、保持、および制動のための方法
CN111483901A (zh) 电梯安全装置
KR20220116149A (ko)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해제 유닛
KR20220069947A (ko) 브레이크 디바이스
US20140339025A1 (en) Guide/damper arrangement for an elevator
KR20040089576A (ko) 리니어 모터를 구비한 드라이브, 이 드라이브를 구비한승강기 및 이 드라이브의 작동방법
JP4981175B2 (ja) 自己倍力型のディスクブレーキ
EP3363760B1 (en) Elevator braking device including buckling beams
KR20220110220A (ko) 엘리베이터용의 안전 브레이크
KR10195708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를 위한 브레이크 장치
JP2016064893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CN113195392A (zh) 具有电梯制动装置的电梯***结构
KR20210059380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JP2019202830A (ja) 荷役機械用制動装置
AU2020402079B2 (en) Brake device, e.g. with a wedge-shaped brake element, for braking a travelling body that can be moved in a guided manner along a guide rail in a movement direction
JP2011201694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US20230049908A1 (en) Apparatus for guiding and braking a travel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which body is to be moved along a guide track
CN108137274B (zh) 升降机***的组件、升降机***和制动升降机轿厢的方法
JP2023505699A (ja) 移動方向にガイドレールに沿って案内されるように移動可能な走行体を制動するための、例えば偏心要素を有する制動装置
KR20160113786A (ko) 전동 브레이크의 이동너트 회전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