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230A -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230A
KR20220069230A KR1020200156153A KR20200156153A KR20220069230A KR 20220069230 A KR20220069230 A KR 20220069230A KR 1020200156153 A KR1020200156153 A KR 1020200156153A KR 20200156153 A KR20200156153 A KR 20200156153A KR 20220069230 A KR20220069230 A KR 2022006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red pine
exhaust
exhaust duc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김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준 filed Critical 김성준
Priority to KR102020015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230A/ko
Publication of KR2022006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6Wood, e.g. lumber, ti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조실 내에서 적송오일을 추출함과 동시에 적송을 건조하는 방법은 건조실에 설치된 순환팬 및 히터를 가동하여 적송이 적재된 건조 공간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건조실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배기댐퍼를 개방한 상태로 배기덕트 중간에 설치된 배기팬을 가동시켜 건조 공간 내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추출된 적송 오일이 오일통으로 낙하 수집되도록 배기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배기덕트의 유출구 측에 설치된 쿨러를 통하여 냉각시키는 단계와, 건조공간 내부의 온도가 70 내지 90℃의 건조온도까지 상승되고, 90 내지 170시간이 경과되어 오일 추출 종료시간이 되면 배기덕트로의 증기 배출이 차단되도록 배기댐퍼를 차단상태로 제어하고 배기팬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건조공간의 내부 습도가 적송 내부 함수율 15%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습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순환팬과 히터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red fine matched red pine oil extraction}
본 발명은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송 목재 건조와 동시에 오일 추출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적송 목재의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는 무늬와 색감이 미려하고 휨모멘트가 강하여 한옥의 주재료로 사용하고 창호나 전통 소목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단 건축재나 가구재 등으로 사용하려면 겨울철에 베어야 하는데 이는 목재수분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목재수분이 적은 겨울철에 베어야 제재나 가공후에 수분에 의한 충해나 곰팡이균 피해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건축용 가구용의 고급용재로서의 경제적 이용률이 매우 낮은 편이다.
한편 송엽차, 송엽주 등 소나무 추출물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서, 건강유지와 질병 예방차원으로 널리 사용되어 오던 것이었는데, 이시진의 『본초강목』과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악창(종기)등을 치료하고 오장 등을 편안히 하며, 장복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곡물을 끊어도 허기지지 않고 목마르지 않으며, 중풍, 심장병, 노하 등을 억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 송엽 추출물에는, 테르펜, 비타민, 필수/비필수아미노산,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강한 약리작용을 가진 다양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여러 종의 소나무들 중에서도 그 성분을 추출하였을 때,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류나 테르펜류 성분 등의 함유량이 높고, 약리작용 효과가 우수한 것은 적송인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Pinus resinosa(적송)은, EC50이 61㎍/L인데 반해, Pinus strobes(스트로브잣나무)는 EC50이 159㎍/L로서, 항산화력이 2배 이상일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적송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SOD 발현을 감소시키고,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지녀 피부 노화에 방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도 밝혀져 있다.
이러한 노화 방지, 살균 작용 등의 효능이 가진 적송엽 추출물에 대한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특히, 복용 편의를 위해, 적송엽 추출 오일을 연질캡슐에 담은 제품 등이 판매되고 있다.
한편, 여름에 베어 낸 나무는 습기가 많아 벌레가 생기고 파랗게 청이 들기 쉽다. 또한 여름철에는 잡목과 풀이 우거져 있어 벌목한 나무를 운반하기 어렵다. 벌목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처서가 지난 가을이다. 가을이 되어 낙엽이 떨어진 나무는 수분도 함께 줄어드는데 이를 ‘나무에서 물이 내린다’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겨울에 벌목한 나무가 단단하고 함수율이 적어 목재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높다. 그러므로 여름에 벌목한 목재는 운반 및 건조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목재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벌목한 나무는 대략 3년 이상의 건조기간을 갖는다. 제대로 건조되지 않은 나무를 사용하면 비틀어지고 갈라지는 변형이 발생하기에 탈피한 원목은 응달에서 천천히 건조한다. 나무의 성질을 거스르지 않고 건조시키는 일에는 많은 정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자연 건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목재의 생산 단가 높아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단기간에 목재를 건조하기 위하여 열기건조, 증기건조, 훈연건조, 진공건조 도는 고주파 건조 등의 인공건조를 통하여 함수율 15% 이하의 목재 건조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열기 건조는 추출물 보다는 건조시간 단축에 중점을 두고 100℃ 이상의 고온 저습 환경에서 건조하므로 추출물에는 관심이 없다. 한편, 추출물을 중점으로 하는 방식은 목재의 생산 보다는 송엽, 톱밥, 분쇄물 등과 같은 목재 부산물로부터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국내 산림의 80% 이상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수입목재에 의존하여 한옥 및 목재시장의 90% 이상이 수입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산 소나무제품의 생산원가절감 및 가치재고와 이용률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039262호 등록특허 제10-1773452호 등록특허 제10-1813863호 등록특허 제10-1817505호 등록특허 제10-1903630호 등록특허 제10-1361756호 공개특허 제10-2018-0116955호 공개특허 제10-2013-01344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적송 목재의 건조와 동시에 적송 오일의 추출양도 증대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적송 목재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송 건조시 추출되는 송진을 수거할 수 있는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건조공간 상부에 기계설치공간이 마련된 건조실과, 기계설치공간에 설치된 순환팬과, 기계설치공간 내의 순환팬 전방에 설치된 히터와, 건조공간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와, 건조실 지붕에 설치되어 배기덕트 내의 증기를 외부로 토출시기키 위한 배기팬과, 배기덕트의 증기 유입구 측에 설치된 배기댐퍼와, 배기덕트의 증기 유출구 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시키는 쿨러와, 배기덕트의 유출구 하방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오일을 수집하기 위한 오일통과, 건조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건조공간 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하여 센싱된 건조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에 응답하여 순환팬, 히터, 배기팬, 배기댐퍼 및 쿨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순환팬 및 히터를 가동하여 건조 공간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배기댐퍼를 개방한 상태로 배기팬을 가동시켜 건조 공간 내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기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쿨러를 통하여 냉각시켜서 추출된 적송 오일이 오일통으로 수집되도록 제어하고, 건조공간 내부의 온도가 세팅된 건조온도까지 상승되고, 세팅된 오일 추출 종료시간이면 배기덕트로의 증기 배출이 차단되도록 배기댐퍼를 차단상태로 제어하고 배기팬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건조공간의 내부 습도가 세팅된 건조 습도까지 떨어지면 순환팬과 히터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팅된 건조온도는 70 내지 90℃ 이고, 오일 추출 종료시간은 90시간 내지 170시간이 바람직하다. 70℃ 미만이면 전체적인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되는 적송 오일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며, 90℃ 보다 높으면 건조시간은 단축되지만 목재의 갈라짐이나 뒤틀림이 발생될 우려가 높아지며, 추출되는 오일량도 상대적으로 줄게 된다. 한편 건조되는 목재의 가공 형태에 따라 판재와 같이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90 내지 120시간 정도이지만 구조목이나 기둥목과 같이 두게가 두꺼운 경우에는 120 내지 170시간 정도로 시간 설정이 달라지게 프로그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세팅된 건조 습도는 적송 내부 함수율이 15%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습도로 프로그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조 공간에 적재되는 적송은 금속정반 상에 적재되고, 금속정반에는 적재된 적송으로부터 추출된 송진이 수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조실 내에서 적송오일을 추출함과 동시에 적송을 건조하는 방법은 건조실에 설치된 순환팬 및 히터를 가동하여 적송이 적재된 건조 공간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건조실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배기댐퍼를 개방한 상태로 배기덕트 중간에 설치된 배기팬을 가동시켜 건조 공간 내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추출된 적송 오일이 오일통으로 낙하 수집되도록 배기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배기덕트의 유출구 측에 설치된 쿨러를 통하여 냉각시키는 단계와, 건조공간 내부의 온도가 70 내지 90℃의 건조온도까지 상승되고, 90 내지 170시간이 경과되어 오일 추출 종료시간이 되면 배기덕트로의 증기 배출이 차단되도록 배기댐퍼를 차단상태로 제어하고 배기팬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건조공간의 내부 습도가 적송 내부 함수율 15%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습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순환팬과 히터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은 적송 건조와 동시에 오일 추출물 이나 송진도 함께 수거할 수 있으므로 국내산 적송의 생산원가절감 및 가치재고와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00℃ 미만의 저온에서 열풍 증류 건조시킴으로써 갈라짐이나 뒤틀림이 적어서 국내산 적송 목재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송 오일을 추출하기 위한 적송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건조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송 오일을 추출하기 위한 적송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조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조장치(10)는 건조실(100) 내부에 건조공간(102)과 기계설비공간(104)을 포함한다. 기계설비공간(104)은 전조공간(102)의 상부에 위치한다. 건조실(100)은 콘크리트 바닥에 우레탄 단열 및 철판으로 보강된 벽체와 지붕으로 구성된다. 일측벽에는 열풍통로(106)가 형성되어 있다. 열풍통로(106)에 공급된 열풍은 측벽 하방에 위치한 통풍구를 통해 건조공간(102)의 하방측으로 유입되고, 건조공간(102)의 천정에 위치한 유출구를 통해 기계설치공간(104)으로 유출되는 순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기계설비공간(104)에는 순환팬(110) 및 히터(120)가 설치된다. 순환팬(110)은 예컨대 800φ 3세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전방에 에어로 핀 타입 15KW 히터들이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건조공간(102) 내부에는 히터(12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순환팬(110)에 의해 열풍으로 순환되게 된다(도1의 실선 화살표 참조).
건조실(100)에는 배기덕트(130)가 설치된다. 배기덕트(130)의 유입구는 건조공간(102)에 연통되고, 지붕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지붕에는 시로코 타입의 배기팬(140)이 설치되고 배기덕트(130)의 중간에 배치되어 건조공간(102)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기덕트(130)의 유입구 측에 배기댐퍼(150)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덕트(130)의 유출구 측에는 쿨러(160)가 설치되고, 유출구 하방에는 오일통(17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덕트(130)를 따라 배출되는 증기는 유출구 측에 설치된 쿨러(160)에 의해 냉각되면서 내측표면에 응축되고 응축수는 내측면을 타고 낙하되어 오일통(170)에 수집되게 된다(도 1의 점선 화살표 참조).
건조실(100)의 건조 공간(102) 내부에는 온도센서(180) 및 습도센서(190)가 설치되고 제어부(200)에 센싱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00)는 센싱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에 응답하여 순환팬(110), 히터(120), 배기팬(140), 배기댐퍼(150) 및 쿨러(160)의 가동및 정지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건조공간(102)에 적재되는 적송 목재는 판재, 각목, 구조목, 기둥재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된 다음에 벤딩된 채로 금속정반(300)에 탑재되어 건조공간(102)에 적재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타이밍도를 나타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조운전명령이 하달되면 제어부(200)는 순환팬(110) 및 히터(120)를 가동하여 열풍을 순환시키면서 건조공간(10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2일 즉 48시간 정도 경과되면 50℃ 정도로 상승되고 다시 2일 정도 경과되면 목표 설정온도인 80℃로 상승되게 된다.
동시에 배기팬(140), 배기 댐퍼(150) 및 쿨러(160)도 가동하여 배기댐퍼(150)는 개방상태로 하여 건조공간(102)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초기 열풍 건조에 의해 적송 내부의 수분성분이 증기로 배출되면서 추출된 오일은 응축수에 포함되어 오일통(170)에 수거되게 된다. 한편, 목재에서 배출된 송진성분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금속정반(300)에 수집되게 된다.
제어부(200)에서는 온도센서(180)를 통해 세팅된 건조온도 예컨대 80℃까지 상승하면, 타이머를 통한 오일 추출 종료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고 오일 추출 종료시간, 예컨대 150시간, 즉 6일 내지 7일 정도 경과되면 배기팬(140) 및 배기댐퍼(150)을 제어하여 증기 배출을 정지하여 오일 추출은 종료하고, 열풍 순환으로 목재 건조를 지속시킨다.
제어부(200)는 예컨대 300시간, 즉 2주 정도 경과하면 순환팬(110) 및 히터(120)의 가동을 중지하고 2일 내지 3일 정도의 온도하강상태를 유지한다.
적송의 벌목시기, 예컨대 여름철, 겨울철, 목재의 두께에 따라 증기 배출시간 및 건조시간이 프로그램되며, 목재의 갈라짐이나 뒤틀림을 최소화하면서도 오일 추출량의 극대화를 위한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적송의 경제적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적재 목재를 준비한다(S100). 예컨대 길이 2,400mm 이상 굵기 100φ이상의 국내산 적송 원목을 벌목 수집하여 20일 이내에 제재소로 입고한다. 이어서 입고된 적송원목은 원목 대차에 올린 후에 일정한 두께로 세로로 자른다. 세로로 일정하에 켜진 나무는 눕혀서 가로방향으로 자른다. 판재나 각재 형태로 가공된 목재를 재단기로 자른다. 벤딩을 할 수 있는 정반에 산대를 넣어가며 적층후 벤딩한다. 벤딩된 목재는 정반에 탑재된 상태로 지게차 등에 의해 건조실(100)에 적재된다.
제어부(200)는 건조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건조실(100)에 설치된 순환팬(110) 및 히터(120)를 가동하여 적송이 적재된 건조 공간(102)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온도를 상승시킨다(S102).
제어부(200)는 건조실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130)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배기댐퍼(150)를 개방한 상태로 배기덕트(130) 중간에 설치된 배기팬(140)을 가동시켜 상기 건조 공간(102) 내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S104).
제어부(200)는 추출된 적송 오일이 오일통(170)으로 낙하 수집되도록 배기덕트(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배기덕트(130)의 유출구 측에 설치된 쿨러(160)를 통하여 냉각시킨다(S106).
제어부(200)는 건조공간(102) 내부의 온도가 70 내지 90℃의 건조온도까지 상승되고, 90 내지 170시간이 경과되어 오일 추출 종료시간이 되면 배기덕트(130)로의 증기 배출이 차단되도록 배기댐퍼(150)를 차단상태로 제어하고 배기팬(14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S108).
제어부(200)는 건조공간(102)의 내부 습도가 적송 내부 함수율 15%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습도 이하로 떨어지면 순환팬(110)과 히터(12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S110)
이와 같이 추출되어 오일통(170)에 수거된 오일 함유 응축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되어 오일성분으로 수득되고 수득된 오일 성분은 포장되거나 기능성 용품제조 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건조장치
100 : 건조실
102 : 건조공간
104 : 기계설비공간
106 : 열풍통로
110 : 순환팬
120 : 히터
130 : 배기덕트
140 : 배기팬
150 : 배기댐퍼
160 : 쿨러
170 : 오일통
180 : 온도센서
190 : 습도센서
200 : 제어부
300 : 금속정반
310 : 적송 목재

Claims (5)

  1. 건조공간(102) 상부에 기계설치공간(104)이 마련된 건조실(100);
    상기 기계설치공간(104)에 설치된 순환팬(110);
    상기 기계설치공간(104) 내의 순환팬(110) 전방에 설치된 히터(120);
    상기 건조공간(102)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130);
    상기 건조실(100) 지붕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130) 내의 증기를 외부로 토출시기키 위한 배기팬(140);
    상기 배기덕트(130)의 증기 유입구 측에 설치된 배기댐퍼(150);
    상기 배기덕트(130)의 증기 유출구 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시키는 쿨러(160);
    상기 배기덕트(130)의 유출구 하방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오일을 수집하기 위한 오일통(170);
    상기 건조공간(102)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80);
    상기 건조공간(102) 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190); 및
    상기 온도센서(180) 및 습도센서(190)를 통하여 센싱된 상기 건조공간(102)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순환팬(110), 히터(120), 배기팬(140), 배기댐퍼(150) 및 쿨러(16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순환팬(110) 및 히터(120)를 가동하여 건조 공간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배기댐퍼(150)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배기팬(140)을 가동시켜 상기 건조 공간(102) 내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배기덕트(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쿨러(160)를 통하여 냉각시켜서 추출된 적송 오일이 상기 오일통(170)으로 수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건조공간(102) 내부의 온도가 세팅된 건조온도까지 상승되고, 세팅된 오일 추출 종료시간이면 상기 배기덕트(130)로의 증기 배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배기댐퍼를 차단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배기팬(140)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건조공간(102)의 내부 습도가 세팅된 건조 습도까지 떨어지면 상기 순환팬(110)과 히터(12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된 건조온도는 70 내지 90℃ 이고, 상기 오일 추출 종료시간은 90시간 내지 170시간인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된 건조 습도는 적송 내부 함수율이 15%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습도인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간(102)에 적재되는 적송은 금속정반(300) 상에 적재되고, 상기 금속정반(300)에는 적재된 적송으로부터 추출된 송진이 수집되는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5. 건조실 내에서 적송오일을 추출함과 동시에 적송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설치된 순환팬(110) 및 히터(120)를 가동하여 적송이 적재된 건조 공간(102)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실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130)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배기댐퍼(150)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배기덕트(130) 중간에 설치된 배기팬(140)을 가동시켜 상기 건조 공간(102) 내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추출된 적송 오일이 오일통(170)으로 낙하 수집되도록 상기 배기덕트(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배기덕트(130)의 유출구 측에 설치된 쿨러(160)를 통하여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공간(102) 내부의 온도가 70 내지 90℃의 건조온도까지 상승되고, 90 내지 170시간이 경과되어 오일 추출 종료시간이 되면 상기 배기덕트(130)로의 증기 배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배기댐퍼(150)를 차단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배기팬(14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공간(102)의 내부 습도가 적송 내부 함수율 15%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습도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순환팬(110)과 히터(12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 적송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방법.
KR1020200156153A 2020-11-20 2020-11-20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220069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53A KR20220069230A (ko) 2020-11-20 2020-11-20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53A KR20220069230A (ko) 2020-11-20 2020-11-20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30A true KR20220069230A (ko) 2022-05-27

Family

ID=8179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53A KR20220069230A (ko) 2020-11-20 2020-11-20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230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4495A (ko) 2012-05-31 2013-12-10 최종호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 건조 장치
KR101361756B1 (ko) 2013-05-29 2014-02-12 허진희 편백오일의 추출방법
KR101773452B1 (ko) 2017-03-20 2017-08-31 주식회사 더마랩 증숙, 건조 과정을 이용한 솔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3863B1 (ko) 2016-12-15 2018-01-02 김영우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추출방법
KR101817505B1 (ko) 2016-10-21 2018-02-21 대한민국 소나무 줄기 유래 정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03630B1 (ko) 2014-12-31 2018-1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로부터 정유 및 폴리페놀 분획을 연속 추출하는 방법
KR20180116955A (ko) 2017-04-18 2018-10-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생재 건조-열처리 공정
KR102039262B1 (ko) 2018-06-22 2019-11-26 백희순 소나무 오일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4495A (ko) 2012-05-31 2013-12-10 최종호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 건조 장치
KR101361756B1 (ko) 2013-05-29 2014-02-12 허진희 편백오일의 추출방법
KR101903630B1 (ko) 2014-12-31 2018-1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로부터 정유 및 폴리페놀 분획을 연속 추출하는 방법
KR101817505B1 (ko) 2016-10-21 2018-02-21 대한민국 소나무 줄기 유래 정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13863B1 (ko) 2016-12-15 2018-01-02 김영우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추출방법
KR101773452B1 (ko) 2017-03-20 2017-08-31 주식회사 더마랩 증숙, 건조 과정을 이용한 솔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6955A (ko) 2017-04-18 2018-10-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생재 건조-열처리 공정
KR102039262B1 (ko) 2018-06-22 2019-11-26 백희순 소나무 오일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9284B (zh) 一种黑茶及生产工艺
CN100579741C (zh) 木材超高温热处理方法
CN102172934B (zh) 一种木材回旋干燥方法
CN104962295B (zh) 一种竹材碳化、烘干的一体装置及其方法
US20120210595A1 (en) High temperature lumber treatment system
CN101069972A (zh) 一种热处理炭化木材的生产方法
CN107192224B (zh) 微压自排式木材高效节能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106643012A (zh) 一种专用于小径木材的干燥方法
KR102471592B1 (ko) 즉석 비빔밥 제조 방법
CN111438780A (zh) 一种木材过热蒸汽干燥及热处理的一体化装置及使用方法
CN106546069B (zh) 一种木材可批量干燥方法
CN108908596B (zh) 竹片碳化干燥工艺
KR20220069230A (ko) 오일 추출을 위한 적송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N207285063U (zh) 一种藤茶加工装置
CN101171975A (zh) 杏太阳能干燥工艺
CN101890741A (zh) 一种橡胶木综合改性处理方法
CN105387711B (zh) 一种用于实木茶盘的木材的烘干方法
CN206056216U (zh) 一种余热回收利用的木材风热烘干装置
Peacock et al. A comparison of hop drying with unheated, dehumidified air versus traditional drying with heated air
CN101852539B (zh) 木材高温与常温聚合交替干燥的制备工艺
CN103860381B (zh) 一种低破肚无生心定色人参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N111480875A (zh) 带有导流管的烟草烘架及烤烟导流管烘烤的方法
EP0316294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getrockneter Hackschnitzel
CN107047822B (zh) 一种红茶加工方法
CN205079552U (zh) 一种低温风干循环除湿的水产品干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