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08A -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08A
KR20220065508A KR1020200152101A KR20200152101A KR20220065508A KR 20220065508 A KR20220065508 A KR 20220065508A KR 1020200152101 A KR1020200152101 A KR 1020200152101A KR 20200152101 A KR20200152101 A KR 20200152101A KR 20220065508 A KR20220065508 A KR 20220065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lug
molding
molding body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효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508A/ko
Priority to PCT/KR2021/013018 priority patent/WO2022102955A1/en
Publication of KR2022006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01R13/504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different pieces being assembled by press-f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7Traverse cable outlet or wir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입력단자(31)가 구비되는 플러그헤드(20)와, 상기 플러그헤드(20)에 연결되는 몰딩바디(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바디(25)에는 상기 입력단자(31)에 연결된 입력와이어(Wl,Wn)가 내장되고, 보강커버(40,60)에 의해 표면이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바디(25)에는 연장바디(28,29)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딩바디(25)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후면과 상기 연장바디(28,29)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몰딩바디(25)는 상기 플러그헤드(20) 및 상기 연장바디(28,29)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바디(25)의 전방에는 간섭회피부(K)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K)는 전원플러그와 소켓(C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Power plug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어플라이언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들은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소모하므로, 전자제품들에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원 플러그에는 케이블 등에 연결되도록 플러그 핀이 내장되고, 플러그 핀이 전원 소켓에 꽂히면 전자제품 본체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플러그는 그 자체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전원 플러그가 소켓이나 멀티탭(power strips)에 꽂히면 전원 플러그가 소켓 또는 멀티탭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자제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원 플러그의 두께를 감안하여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최근에는 벽에 최대한 밀착시키는 빌트인(Built-in) 타입의 전자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전원 플러그의 두께로 인해 전자제품을 벽 쪽으로 밀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원 플러그에서 케이블이 연장되는 부분을 얇게 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절연두께가 얇아져 합선이나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 플러그를 커넥터 타입으로 만들어 전원 플러그가 소켓이나 멀티탭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등록특허 DE102007045400B4(선행기술1)과, 독일 공개특허 DE102008045191A1(선행기술2)에는 전원 플러그를 얇은 커넥터 구조로 구현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내부에 설치된 핀과 전선을 다수개의 부품(하우징)으로 감싸는 구조로서 전원 플러그의 내부로 수분과 습기가 쉽게 침투할 수 있고, 전원 플러그의 두께가 얇아지는 대신 전체 면적이 넓어지는 단점이 있다.
독일등록특허 DE102007045400B4(선행기술1) 독일 공개특허 DE102008045191A1(선행기술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플러그가 소켓이나 멀티탭과 간섭되는 부분을 얇게 하되, 얇아지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플러그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전원 플러그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헤드와, 상기 플러그헤드에 연결되는 몰딩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바디에는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된 입력와이어가 내장되고, 보강커버에 의해 표면이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바디의 하부에는 연장바디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딩바디는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과 상기 연장바디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몰딩바디는 상기 플러그헤드 및 상기 연장바디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바디의 전방에는 간섭회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는 전원플러그와 소켓 사이의 간섭을 방지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몰딩바디의 후면을 감싸는 제1보강커버와, 상기 상기 몰딩바디의 전면을 감싸는 제2보강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제2보강커버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커버 및 제2보강커버는 몰딩바디에 내장된 와이어의 절연성이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혀줄 뿐 아니라, 몰딩바디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헤드의 전면과 상기 연장바디의 전면은 상기 몰딩바디의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헤드의 저면과 상기 연장바디의 상단 사이의 함몰된 공간에 상기 간섭회피부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헤드, 상기 몰딩바디 및 상기 연장바디는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플러그를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와이어는 상기 메인플러그의 내부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내장될 수 있다. 이처럼 인서트사출을 통해 부품간의 틈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외부의 습기나 수분이 전원플러그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바디는 상기 입력단자가 상기 플러그헤드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 상기 몰딩바디의 후면 및 상기 연장바디의 후면은 서로 연속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플러그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뿐 아니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원플러그는 평면구조로 노출되므로, 전원플러그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헤드의 두께(A), 상기 몰딩바디의 두께(B) 및 상기 연장바디의 두께(C)는 A>C>B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바디에는 다수개의 정렬홀들이 관통되고, 상기 다수개의 정렬홀들 사이에 상기 입력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몰딩보강부 또는 상기 제2몰딩보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정렬홀에 삽입되는 정렬핀이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정렬홀을 통해 와이어들의 정렬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일정한 절연거리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바디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함몰되고, 상기 제1보강커버 또는 상기 제2보강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턱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디에 연결되는 상기 몰딩바디의 하단에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보강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부의 측면을 감싸는 제1경사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2보강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부의 전면을 감싸는 제2경사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에는 소켓(또는 멀티탭)과 간섭되는 부분에 간섭회피부가 형성되어, 소켓과의 간섭으로 인해 전원플러그가 돌출되는 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원플러그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고, 빌트인 타입의 전자제품을 벽 쪽으로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간섭회피부로 인해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몰딩바디를 보강커버가 감싸 강도를 보완해줄 수 있다. 보강커버는 몰딩바디에 내장된 와이어의 절연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혀줄 뿐 아니라, 몰딩바디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어 전원플러그의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를 구성하는 메인플러그는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입력단자와 입력와이어가 내장될 수 있다. 인서트사출을 통해 부품간의 틈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외부의 습기나 수분이 전원플러그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전원플러그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몰딩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이고, 특히 몰딩바디의 후면은 플러그헤드의 후면 및 연장바디의 후면과 서로 연속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플러그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뿐 아니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원플러그는 평면구조로 노출되므로, 전원플러그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딩바디에는 정렬홀이 관통되는데, 정렬홀은 서로 이웃한 두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정렬홀을 통해 와이어들의 정렬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일정한 절연거리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멀티탭(power strip) 및 소켓에 각각 끼워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의 일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플러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플러그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보강커버의 구성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가 소켓(C2)이나 멀티탭(C1) 등에 장착되었을 때 외부로 돌출되는 두께를 작게 하면서도, 수분유입을 방지하고 또한 얇아진 두께로 인해 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전원플러그가 적용된 홈어플라이어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원플러그의 구조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전원플러그가 멀티탭(C1)과 소켓(C2)에 장착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는 크게 헤드부(A1), 몰딩부(A2) 및 연장부(A3)를 포함하고, 몰딩부(A2)의 전방에는 간섭회피부(K)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K)는 도 2(a)에서 보듯이 멀티탭(C1)과 몰딩부(A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고, 도 2(b)에서 보듯이 소켓(C2)과 몰딩부(A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도 2(b)에서 도면부호 A는 벽체를 나타낸다.
상기 간섭회피부(K)의 높이(H1, 도 1참조)는 (i) 상기 멀티탭(C1)의 전원연결부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ii) 소켓(C2)의 전원연결부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간섭회피부(K)의 높이(H1)는 제2보강커버(60)의 제2경사커버(65a)의 상단(65a')에서 상기 제2보강커버(60)의 하부받침부(64) 사이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A1)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전방으로는 한 쌍의 입력단자(3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입력단자(31)는 전원연결핀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220V 교류전원의 입력에 맞는 원기둥형상이지만, 규격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A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입력단자(31)와 입력와이어(Wl,Wn)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달리, 연결단자가 생략되고 상기 입력단자(31)와 상기 입력와이어(Wl,Wn)가 직결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A1)의 하부에는 몰딩부(A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A2)에는 상기 입력와이어(Wl,Wn)를 포함하는 와이어들(W)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W)은 상기 몰딩부(A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데, 얇은 두께를 위해서 몰딩부(A2)에 내장되는 와이어들(W)은 피복이 생략되고 심선으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얇은 피복으로 에워싸인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A1)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몰딩부(A2)의 하부에는 연장부(A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A3)는 상기 와이어들(W)이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도 1에는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A3)는 일반적인 피복으로 감싸진 케이블(2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A3)의 상단에는 단선방지부(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선방지부(28)는 상기 연장부(A3)의 일부이고, 상기 몰딩부(A2)에서 연장되는 와이어가 과도하게 큰 각도로 휘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선방지부(28)는 여러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딩부(A2)는 상기 헤드부(A1)의 후면과 상기 연장부(A3)의 후면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몰딩부(A2)는 상기 헤드부(A1) 및 상기 연장부(A3)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몰딩부(A2)의 전방에는 자연스럽게 간섭회피부(K)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A1)의 후면은 상기 입력단자(31)가 돌출된 전면의 반대면이 되고, 연장부(A3)의 후면은 도 1을 기준으로 보이는 연장부(A3)의 전면과 반대편에 형성된 표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몰딩부(A2)의 전방이란 전원플러그가 소켓(C2) 등에 꽂혔을 때, 상기 소켓(C2)을 향하는 앞부분을 의미한다.
이처럼 상기 몰딩부(A2)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만들어져 간섭회피부(K)가 확보될 수 있으나, 상기 몰딩부(A2)는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몰딩부(A2)에 큰 외력이 가해져 상기 몰딩부(A2)가 휘어지면 자칫 상기 몰딩부(A2)가 파손되거나, 내장된 와이어가 노출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몰딩부(A2)의 전후면은 각각 보강커버(40,6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헤드부(A1)의 두께(L1)와, 상기 몰딩부(A2)의 두께(L2)와 상기 연장부(A3)의 두께(L3)를 비교하면, L1>L3>L2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몰딩부(A2)의 두께(L2)가 전원플러그 전체에서 가장 얇은 것이다. 상기 몰딩부(A2)를 지난 후에는 상기 연장부(A3)에서 다시 두께가 증가하므로, 상기 연장부(A3)에서는 보강커버(40,60) 없이도 와이어의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를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몰딩부(A2)의 두께(L2)가 상기 멀티탭(C1) 등 설치부에서 돌출되는 전원플러그의 전체 두께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딩부(A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이고, 특히 헤드부(A1)의 후면, 몰딩부(A2)의 후면 및 연장부(A3)의 후면은 평면에 가까운 서로 연속된 표면을 형성하므로, 전원플러그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과 도 4의 분해도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는 다수개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플러그의 중심에는 메인플러그(10)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플러그(10)의 후방과 전방에서 각각 제1보강커버(40) 및 제2보강커버(6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플러그(1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플러그(10)는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메인플러그(10)는 상기 입력단자(31)와 상기 입력단자(31)에 연결된 입력와이어(Wl,Wn)를 포함하는 와이어들(W)의 일부가 내장된 상태에서 외부의 골격이 인서트사출되어 전체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의 습기나 수분이 상기 메인플러그(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플러그(10)에는 상기 입력단자(31)와 함께 단자부(30)를 구성하는 제1접지단자(33) 및 제2접지단자(35)도 함께 인서트사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플러그(10)는 절연성 재질인 폴리염화 비닐 (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도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플러그(10)의 구조를 보면, 상기 메인플러그(10)의 상부에는 플러그헤드(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헤드(20)의 헤드몸체(21)는 전후방향, 즉 도 3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도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측면에는 돌출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는 전원플러그가 소켓(C2) 등에 끼워질 때 소켓(C2)의 오조립방지부(미도시)에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상부(23)는 곡면형상일 수 있고,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상부(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접지단자(33)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전면에는 입력단자(3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31)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일부는 플러그헤드(20)의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입력와이어(Wl,Wn)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입력단자(31)는 각각 도전성 재질, 예컨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일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입력단자(31) 중 어느 하나는 교류전원의 뉴트럴(Neutral) 라인(Wn)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교류 전원의 라이브(live) 라인(W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상부(23)에는 제1접지단자(33)가 노출되고, 플러그헤드(20)의 하부(23b)에는 제2접지단자(35)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단자(33)와 상기 제2접지단자(35)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내부에서 버스바나 별도의 단자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단자(33)와 상기 제2접지단자(35)는 소켓(C2) 등의 접지부(ground)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이어들(W)은 서로 절연된 3가닥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입력단자(31) 중 어느 하나는 교류 전원의 뉴트럴(Neutral) 라인(Wn)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교류 전원의 라이브(live) 라인(Wl)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지단자(33) 및 제2접지단자(35)는 접지(Ground) 라인(We)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제1접지단자(33)와 상기 제2접지단자(35)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플러그헤드(20)의 후면은 평면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헤드(20)의 후면이 평면형상이 됨에 따라 전원플러그가 소켓(C2) 등에 끼워지면 후방으로 노출되는 표면이 평면이거나 평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헤드(20)의 하부에는 몰딩바디(2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몰딩바디(25)는 상기 플러그헤드(20)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입력단자(31)에 연결된 입력와이어(Wl,Wn) 및 상기 제1접지단자(33, 또는 제2접지단자(35))에 연결된 접지와이어(We)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몰딩바디(25)는 상기 와이어들(W)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일종의 인슐레이션부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들(W)은 별도의 인슐레이션(피복)으로 감싸진 상태일 수도 있지만, 두께를 줄이기 위해 심선 부분만 상기 몰딩바디(25)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몰딩바디(25)의 전면(25a)은 상기 제2보강커버(60)를 향하게 되고, 상기 몰딩바디(25)를 관통해서 정렬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상기 정렬홀(26)들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들(W)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정렬홀(26)들은 다수개의 열들을 구성하면서 상기 몰딩바디(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몰딩바디(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정렬홀(26a)과 제2정렬홀(26b)이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제1정렬홀(26a)과 제2정렬홀(26b)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 7과 도 8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라이브라인(Wl), 접지라인(We) 및 뉴트럴라인(Wn)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라이브라인(Wl), 접지라인(We) 및 뉴트럴라인(Wn)은 실제로 상기 몰딩바디(25)에 내장되어 보이지 않는다.
상기 제1정렬홀(26a)과 상기 제2정렬홀(26b)은 상기 몰딩바디(25)를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몰딩바디(25)는 (i) 상기 몰딩바디(25)의 좌측단과 제1정렬홀(26a)의 사이 구역과, (ii) 상기 제1정렬홀(26a)과 상기 제2정렬홀(26b)의 사이 구역과, (iii) 상기 제2정렬홀(26b)과 상기 몰딩바디(25)의 우측단 사이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역에는 와이어들(W) 중에서 라이브라인(Wl), 접지라인(We) 및 뉴트럴라인(Wn)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렬홀(26)들은 서로 이웃한 두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줄 수 있고, 또한 정렬홀(26)을 통해 와이어들(W)의 정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홀(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렬핀(66)이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정렬홀(26)은 상기 메인플러그(10)를 인서트사출할 때, 상기 와이어들(W)을 금형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미도시)이 위치했던 부분일 수도 있다.
상기 몰딩바디(25)의 측면에는 가이드홈(27)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7)은 상기 몰딩바디(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몰딩바디(25)의 측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홈(27)은 상기 몰딩바디(25)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이 된다. 상기 가이드홈(27)에는 제1보강커버(40) 또는 제2보강커버(6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된 가이드턱(47)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몰딩바디(25)의 하단에는 경사부(2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5a)는 상기 몰딩바디(25)의 하부에서 상기 연장바디(28,29)를 향해 점점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5a)는 와이어들(W)이 연장부(A3)로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켜 와이어들(W)을 보호하기 위한 부분으로 볼 수 있는데, 상기 연장바디(28,29)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경사부(25a)의 측면은 상기 제1보강커버(40)의 제1경사커버(45')가 덮을 수 있고, 상기 경사부(25a)의 전면은 상기 제2보강커버(60)의 제2경사커버(65a)가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25a)도 상기 몰딩바디(25)의 나머지 부분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보강커버(40) 및 제2보강커버(6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몰딩바디(25)의 하부에는 연장바디(28,29)가 연결된다. 상기 연장바디(28,29)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몰딩바디(25)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장바디(28,29)에는 상기 와이어들(W)이 연장되는 연장케이블(29)이 포함되고, 상기 연장케이블(29)과 상기 몰딩바디(25)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단선방지부(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선방지부(28)와 상기 몰딩바디(25)의 사이에는 체결홈(28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8a)은 상기 단선방지부(28)와 상기 몰딩바디(25) 보다 폭이 작은 부분으로, 여기에는 제1보강커버(40)의 체결리브(49)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플러그(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플러그(10)의 후방과 전방에서 각각 제1보강커버(40)와 제2보강커버(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는 상대적으로 얇은 상기 몰딩바디(25)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가 상기 몰딩바디(25) 뿐 아니라,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일부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플러그(10)를 구성하는 상기 플러그헤드(20), 상기 몰딩바디(25) 및 상기 연장바디(28,29)의 두께를 비교하면, 상기 플러그헤드(20)의 두께(A), 상기 몰딩바디(25)의 두께(B) 및 상기 연장바디(28,29)의 두께(C)는 A>C>B의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상기 메인플러그(10)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두께는 앞서 설명한 헤드부(A1), 몰딩부(A2) 및 연장부(A3)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는 서로 조립되어 그 사이에 상기 메인플러그(1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는 상기 몰딩바디(25)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모두 감싸므로, 상기 몰딩바디(25)가 어떤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상기 몰딩바디(25)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커버(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보강커버(40)에는 상기 플러그헤드(20)를 감싸는 제1헤드보강부(4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에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는 헤드포켓(4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헤드포켓(43)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헤드포켓(43) 안쪽으로 상기 플러그헤드(20)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의 측면에는 돌출형합부(42)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형합부(42)의 위아래에는 각각 함몰형합부(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형합부(42)와 상기 함몰형합부(42a)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돌출부(22)와 대응하고, 또한 전원플러그가 소켓(C2) 등에 끼워질 때 소켓(C2)의 오조립방지부(미도시)에 형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형합부(42)와 상기 함몰형합부(42a)의 형태는 소켓(C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헤드포켓(43)의 내면에는 걸림단부(4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부(45a)는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커버(50)가 걸리는 부분으로, 상기 헤드포켓(43)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에는 헤드커버(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커버(50)는 상기 헤드포켓(43)의 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헤드포켓(43)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커버(50)는 상기 헤드포켓(43)의 후방개구부(43a)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헤드커버(50)는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와 별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헤드커버(50)는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헤드커버(50)의 커버몸체(51)는 원판구조이고, 상기 커버몸체(51)의 가장자리에는 걸림리브(5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55)는 상기 헤드포켓(43)의 상기 걸림단부(45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헤드커버(50)의 표면(52)에는 다양한 표시나 문자 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원규격, 제품의 명칭, 브랜드 등의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지거나, 프린팅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의 하부는 개방되어 하부개구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개구부(44)를 통해서 상기 몰딩바디(25)와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연결부분이 상기 헤드포켓(43) 안쪽으로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에는 제1몰딩보강부(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보강부(45)는 상기 몰딩바디(25)의 후면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보강부(45)는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의 하부로 연장되고,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보강부(45)는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어 그 중심에 안착공간(46)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46)에는 상기 몰딩바디(25)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46)의 내면에는 가이드턱(47)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턱(47)은 상기 몰딩바디(25)의 가이드홈(27)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턱(47)이 상기 가이드홈(27)에 끼워지면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몰딩바디(25) 사이가 서로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보강부(45)의 하단에는 제1경사커버(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커버(45')는 상기 몰딩바디(25)의 상기 경사부(25a)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경사커버(45')의 안쪽에는 가이드채널(48)과 체결리브(49)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홈(28a)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플러그(10)를 기준으로 제1보강커버(40)의 반대편에는 제2보강커버(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커버(60)는 상기 메인플러그(1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보강커버(4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커버(40)와 상기 제2보강커버(60) 사이의 조립은 제2보강커버(60)의 조립돌기가 상기 제1보강커버(40)에 끼워져 이루어지거나, 접착제 또는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보강커버(60)는 제2헤드보강부(61)와 제2몰딩보강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보강부(61)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헤드보강부(61)는 상기 입력단자(31)와 제1접지단자(33) 및 제2접지단자(35)를 차폐하지 않으면서,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에는 조립편(61')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립편(61')은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의 상부에는 상기 제2헤드보강부(61)가 일부 끊어져 상단개구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개구부(62a)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33)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의 하부에는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의 일부가 생략되어, 하단개구부(6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개구부(62b)에는 상기 제2접지단자(35)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의 배면구조를 보면,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에는 다수개의 조립돌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의 배면에는 제1조립돌기(63a), 제2조립돌기(63b) 및 제3조립돌기(63c)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조립돌기(63a), 제2조립돌기(63b) 및 제3조립돌기(63c)는 각각 상기 제1헤드보강부(41)에 끼워지거나, 상기 헤드포켓(43)의 입구 내면에 압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와 제2몰딩보강부(65) 사이에는 하부받침부(6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부(64)는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저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플러그헤드(20)의 저면에 대응하도록 곡면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몰딩보강부(65)는 상기 제2헤드보강부(61)에 연결되고, 상기 몰딩바디(25)의 전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2몰딩보강부(65)는 상기 몰딩바디(25)의 전면에 대응하는 평판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몰딩보강부(45)의 양측면은 상기 제1몰딩보강부(45)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몰딩보강부(65)의 배면에는 정렬핀(66)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정렬핀(66)은 상기 몰딩바디(25)의 상기 정렬홀(26)에 삽입되는 것으로, 원기둥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정렬핀(66)은 상기 제2몰딩보강부(65)의 배면에 구비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정렬핀(66)은 상기 제1몰딩보강부(45)의 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몰딩보강부(65)의 하단에는 제2경사커버(6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커버(65a)는 상기 몰딩바디(25)의 경사부(25a)의 전면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경사부(25a)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부호 67은 걸림돌부로, 상기 걸림돌부(67)는 상기 몰딩바디(25)의 체결홈(28a)에 걸릴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전원플러그는 냉장고, 냉동고, 와인냉장고, 의류처리장치, 세탁기, 건조기 등과 같이 다양한 홈어플라이언스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전원플러그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빌트인 타입의 전자제품에 적용하면 전자제품을 벽 쪽으로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100번대의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보듯이, 전원플러그를 구성하는 메인플러그(10)의 후방 및 전방에는 각각 제1보강커버(140)와 제2보강커버(16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앞선 실시례와 달리 상기 제1보강커버(140)와 제2보강커버(160)에는 각각 제1헤드보강부(41)와 제2헤드보강부(61)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보강커버(140)와 제2보강커버(160)는 각각 상기 몰딩바디(25) 부분만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플러그(10)에서 두께가 얇아 보호가 필요한 부분인 몰딩바디(25) 부분만 상기 제1보강커버(140)와 제2보강커버(160)가 보호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몰딩바디(25)와 상기 플러그헤드(2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도 외력에 취약하므로, 함께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메인플러그 20: 플러그헤드
25: 몰딩바디 28,29: 연장바디
30: 단자부 31: 입력단자
33,35: 접지단자 40: 제1보강커버
41: 제1헤드보강부 43: 헤드포켓
45: 제1몰딩보강부 50: 헤드커버
60: 제2보강커버 61: 제2헤드보강부
65: 제2몰딩보강부 A1: 헤드부
A2: 몰딩부 A3: 연장부

Claims (18)

  1. 전원입력을 위한 한 쌍의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헤드;
    상기 플러그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된 입력와이어가 내장되며, 보강커버에 의해 표면이 감싸지는 몰딩바디;와
    상기 플러그헤드의 반대편에서 상기 몰딩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도록 하는 연장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바디는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과 상기 연장바디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몰딩바디는 상기 플러그헤드 및 상기 연장바디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바디의 전방에는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전원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커버는
    상기 몰딩바디의 후면을 감싸는 제1보강커버;와
    상기 제1보강커버의 반대편에서 상기 몰딩바디의 전면을 감싸고, 상기 제1보강커버와 결합하는 제2보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제2보강커버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원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헤드의 전면과 상기 연장바디의 전면은 상기 몰딩바디의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러그헤드의 저면과 상기 연장바디의 상단 사이의 함몰된 공간에 상기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전원플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인 전원플러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헤드, 상기 몰딩바디 및 상기 연장바디는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플러그를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와이어는 상기 메인플러그의 내부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내장되는 전원플러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디는 상기 입력단자가 상기 플러그헤드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플러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 상기 몰딩바디의 후면 및 상기 연장바디의 후면은 서로 연속된 표면을 형성하는 전원플러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헤드의 두께(A), 상기 몰딩바디의 두께(B) 및 상기 연장바디의 두께(C)의 크기는 A>C>B인 전원플러그.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커버는
    상기 플러그헤드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는 헤드포켓이 형성된 제1헤드보강부;와
    상기 제1헤드보강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몰딩바디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는 제1몰딩보강부;를 포함하는 전원플러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커버는
    상기 플러그헤드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1헤드보강부에 결합되는 제2헤드보강부;와
    상기 제2헤드보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몰딩바디의 전면을 감싸며, 상기 제1몰딩보강부에 결합되는 제2몰딩보강부;를 포함하는 전원플러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디에는 다수개의 정렬홀들이 관통되고, 상기 다수개의 정렬홀들 사이에 상기 입력와이어가 배치되는 전원플러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정렬홀들은 다수개의 열들을 구성하면서 상기 몰딩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열들 사이에 상기 입력와이어가 배치되는 전원플러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몰딩보강부 또는 상기 제2몰딩보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정렬홀에 삽입되는 정렬핀이 돌출되는 전원플러그.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디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함몰되고, 상기 제1보강커버 또는 상기 제2보강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턱이 돌출되는 전원플러그.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디에 연결되는 상기 몰딩바디의 하단에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보강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부의 측면을 감싸는 제1경사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2보강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경사부의 전면을 감싸는 제2경사커버가 구비되는 전원플러그.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보강부에는 헤드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헤드포켓의 후면을 차폐하는 전원플러그.
  17. 전원입력을 위한 한 쌍의 입력단자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된 입력와이어가 내장되며, 전후면이 각각 보강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몰딩부;와
    상기 헤드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몰딩부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과 상기 연장부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연장부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부의 전방에는 간섭회피부가 형성되는 전원플러그.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의 전원플러그를 구비한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200152101A 2020-11-13 2020-11-13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KR20220065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01A KR20220065508A (ko) 2020-11-13 2020-11-13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PCT/KR2021/013018 WO2022102955A1 (en) 2020-11-13 2021-09-24 Power plug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01A KR20220065508A (ko) 2020-11-13 2020-11-13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08A true KR20220065508A (ko) 2022-05-20

Family

ID=8160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101A KR20220065508A (ko) 2020-11-13 2020-11-13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5508A (ko)
WO (1) WO202210295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5191A1 (de) 2008-08-30 2010-03-04 Schulte-Elektrotechnik Gmbh & Co Kg Netzstecker
DE102007045400B4 (de) 2007-09-21 2010-06-10 Schulte-Elektrotechnik Gmbh & Co Kg Netzsteck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361A (ja) * 1998-10-28 2000-05-12 Kii O 扁平状差し込みプラグ
CN203415741U (zh) * 2013-06-17 2014-01-29 宁波方特电器有限公司 扁平插头
CN203932488U (zh) * 2014-05-16 2014-11-05 宁波瑞明电器有限公司 扁插头
KR101618739B1 (ko) * 2014-11-20 2016-05-12 서영빈 전원선 플러그용 안전 커버기구
CN206041119U (zh) * 2016-08-03 2017-03-22 宁波瑞明电器有限公司 一种扁插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5400B4 (de) 2007-09-21 2010-06-10 Schulte-Elektrotechnik Gmbh & Co Kg Netzstecker
DE102008045191A1 (de) 2008-08-30 2010-03-04 Schulte-Elektrotechnik Gmbh & Co Kg Netzste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955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038B2 (ja) コネクタ
US7232346B2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additional signal contacts
US4981447A (en) Electrical connector
US5505637A (en) Shielded connector with hermaphroditic shell
US99543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40302709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CN201069846Y (zh) 线缆连接器组件
TW201725806A (zh) 電連接器組合
US1079745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unitary metallic shell having outer part and inner part with transitional region therebetween
KR20060085175A (ko) 전기 커넥터
TW202010195A (zh) 防水連接器
KR20190074949A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JPH0628193B2 (ja) Emi対策用電気コネクタ
KR20220065508A (ko) 전원플러그 및 이를 구비한 홈어플라이언스
JP5229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23038763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324310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KR102015003B1 (ko) 터미널 케이스
EA005474B1 (ru) Углово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с взаимной установкой обоих угловых колен
JP6812917B2 (ja) 端子金具
EP1096618B1 (en) Shield connector
KR102499819B1 (ko) 커넥터
US11228151B1 (en) Angular connector
JP3591337B2 (ja) 回路遮断器
KR100248965B1 (ko) 차폐식 전기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