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323A -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323A
KR20220061323A KR1020200146980A KR20200146980A KR20220061323A KR 20220061323 A KR20220061323 A KR 20220061323A KR 1020200146980 A KR1020200146980 A KR 1020200146980A KR 20200146980 A KR20200146980 A KR 20200146980A KR 20220061323 A KR20220061323 A KR 2022006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wearable device
wearable
facial expression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신관용
강윤슬
Original Assignee
(주)모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팩 filed Critical (주)모팩
Priority to KR102020014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323A/ko
Publication of KR2022006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헬멧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정수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부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 단위파트 및 상기 상부 단위파트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기 설정된 위치에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가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Head-Mounting Type Wearable Device for Facial Capture}
본 발명은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가 서로 결합된 형태의 헬멧 어셈블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연기의 몰입도를 높여 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퍼포먼스 캡쳐란 페이셜 캡쳐와 모션 캡쳐를 동시에 진행하는 개념이다.
과거에는 이와 같은 퍼포먼스 캡쳐를 위해 대상이 되는 연기자의 얼굴 표정을 워크스테이션 웹 캠으로 포착하고, 몸의 움직임을 연기자가 착용한 슈트를 통해 따로 포착한 뒤, 추후에 따로 두 모션 데이터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자의 몸과 얼굴의 움직임의 괴리감이 전체 결과물에 어색한 동선과 움직임으로 표현되어 나와 완성도다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이와 같은 문제는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격적으로 상용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도입으로 인해, 연기자의 표정 연기와 몸의 움직임을 동시에 데이터화하여 워크스테이션에 저장될 수 있게 되면서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
한편 페이셜 캡쳐를 위한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헬멧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이와 같은 헬멧에 페이셜 캡쳐를 위한 다양한 기구를 장착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기존 상용화된 헬멧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공통적으로 헬멧과 이에 장착되는 카메라 등의 무게로 인해 안정도가 크게 떨어지게 되며, 외국인들 기준으로 만들어진 형태로 인해 동양인에게 매우 불편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상용화된 헬멧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배터리 등 부속품의 발열로 인한 화상의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모든 연기자들의 몰입도를 극심하게 방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58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이와 함께 불편을 느낄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제거하여 연기의 몰입도를 높여 보다 우수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헬멧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정수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부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 단위파트 및 상기 상부 단위파트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기 설정된 위치에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가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헬멧 어셈블리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사용자의 모발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모발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헬멧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단위파트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이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커버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커버파트의 전방에는 제1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상기 보조커버파트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의 전방에는 제1대응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제1대응와이어연결부는 서로 결합용 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어느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의 후방에는 제2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의 후방에는 제2대응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제2대응와이어연결부는 서로 결합용 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측부 단위파트와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측부 단위파트에 장착되는 제1마운팅부재,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제2마운팅부재 및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마운팅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 및 상기 제2조인트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인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인트부 및 상기 제2조인트부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 및 상기 제2마운팅부재와의 상대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는, 상기 헬멧 어셈블리에 장착되며, 상기 헬멧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기구 장착용 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 장착용 붐은, 서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관절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는, 상기 기구 장착용 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기구 장착용 붐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카메라 마운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헬멧 어셈블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연기의 몰입도를 높여 보다 우수한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 부속품의 발열로 인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최종 영상의 매칭 및 보정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부 단위파트의 제1결합부와 측부 단위파트의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연결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를 통해 페이셜 캡쳐 과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부 단위파트의 제1결합부와 측부 단위파트의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헬멧 어셈블리(100)와,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를 포함한다.
헬멧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110, 120, 130)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다양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헬멧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정수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 단위파트(110)와, 상부 단위파트(1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기 설정된 위치에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가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측부 단위파트(120, 130)는 헬멧 어셈블리(100)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제1측부 단위파트(120)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측부 단위파트(130)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상부 단위파트(110)에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위파트(110)는 양측부에 제1결합부(113)가 형성되며, 측부 단위파트(120, 130)는 제1결합부(113)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3-도면 상 생략, 133을 대표적으로 도시)가 형성되어, 상부 단위파트(110) 및 측부 단위파트(120, 13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33)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다소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헬멧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두부에 맞추어 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33)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며,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33)를 관통하는 결합부재(B1, B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결합부(113)는 제2결합부(133)가 안착되도록 제1단차(115)를 가지며, 제2결합부(133)는 제1결합부(113)가 안착되도록 제2단차(135)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됨으로써 상부 단위파트(110) 및 측부 단위파트(120, 13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부 단위파트(110)에는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기홀(11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헬멧 어셈블리(100)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사용자의 모발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모발통과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헬멧 어셈블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모발이 긴 사용자도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부 단위파트(1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이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커버파트(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커버파트(131)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와 연결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착용 시 고정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보조커버파트(131)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 중 어느 하나와 힌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전방에 제1와이어연결부(132a)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 중 보조커버파트(131)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의 전방에는, 제1대응와이어연결부(12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와이어연결부(132a) 및 제1대응와이어연결부(122a)는 서로 결합용 와이어(W)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용 와이어(W)의 장력에 따라 고정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의 후방에는 제2와이어연결부(122b)가 형성되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120, 130)의 후방에는 제2대응와이어연결부(13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연결부(122b) 및 제2대응와이어연결부(132b) 역시 마찬가지로 서로 결합용 와이어(W)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측부 단위파트(120, 130)와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연결유닛(14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140)은 측부 단위파트(120, 130)에 장착되는 제1마운팅부재(143)와,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 측에 장착되는 제2마운팅부재(145)와, 제1마운팅부재(143) 및 제2마운팅부재(145)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인트부재(1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조인트부재(141)는 구체적으로 제1마운팅부재(143)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조인트부(142)와, 제1조인트부(142)와 이격되고, 제2마운팅부재(145)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조인트부(144)와, 제1조인트부(142) 및 상기 제2조인트부(14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조인트부(142) 및 제2조인트부(144)는, 제1마운팅부재(143) 및 제2마운팅부재(145)와의 상대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 중 기구 장착용 붐(200)의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마운팅부재(143) 및 제1조인트부(142)의 각각의 대향면과, 제2마운팅부재(145) 및 제2조인트부(144)의 각각의 대향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결합 이(142a, 14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이(142a, 143a)는 서로 반대 측과 엇갈리게 치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는 상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를 통해 페이셜 캡쳐 과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는 헬멧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며, 헬멧 어셈블리(10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기구 장착용 붐(200)과, 기구 장착용 붐(20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400)과, 기구 장착용 붐(200)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20)를 장착하기 위한 카메라 마운팅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구 장착용 붐(200)은 서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관절파트(200a, 2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측부 단위파트(120, 130)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연결유닛(140)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형 관절파트(200b)와, 이와 같은 한 쌍의 연장형 관절파트(200b)의 전단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관절파트(200a)를 포함한다.
이때 기구 장착용 붐(200)은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면서 내구성을 높히기 위해 카본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 조사유닛(400)은 사용자의 얼굴에 발생하는 그림자로 인한 미인식 현상을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조사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링 LED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되어 고정클립(410)에 의해 한 쌍의 연장형 관절파트(200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더불어 이와 같은 광 조사유닛(400)에는 무선 디밍 기능이 적용되어 주변 환경에 따라 빛을 제어하고, 연기자의 집중도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마운팅유닛(300)은 고정클립(310)에 의해 전방 관절파트(200a)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장착되어 한 쌍의 카메라(32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200, 300, 400)는 배터리모듈, 송신기 등과 같은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터리모듈, 송신기는 자체 무게 및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몸 측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몸에는 배터리모듈 및 송신기용 하드랙이 착용될 수 있으며, 이는 마커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사용자의 몸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상과 같은 각 구성요소들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어깨끈 형태의 벨트를 적용하여 더 향상된 고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부 단위파트(110)의 제1결합부(113)와 측부 단위파트(120, 130)의 제2결합부(133)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 단위파트(110)의 제1결합부(113)와 측부 단위파트(120, 130)의 제2결합부(133) 간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결합부(113)는 제2결합부(133)가 안착되도록 제1단차(115)를 가지며, 제2결합부(133)는 제1결합부(113)가 안착되도록 제2단차(135)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됨으로써 상부 단위파트(110) 및 측부 단위파트(120, 13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부 단위파트(110)는 제1결합부(11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결합돌기(116)를 더 포함하며, 또한 측부 단위파트(120, 130)는 제2결합부(133)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2결합돌기(136)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부 단위파트(110)에는 제2결합돌기(136)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17)이 형성되고, 측부 단위파트(120, 130)에는 제1결합돌기(116)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3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각 다위 파트 간에 보다 강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헬멧 어셈블리
110: 상부 단위파트
111: 모발통과홀
112: 통기홀
120, 130: 측부 단위파트
131: 보조커버파트
140: 연결유닛
200: 기구 장착용 붐
200a: 전방 관절파트
200b: 연장형 관절파트
300: 카메라 마운팅유닛
310, 410: 고정클립
400: 광 조사유닛

Claims (15)

  1. 복수 개의 단위파트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헬멧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정수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양측부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 단위파트; 및
    상기 상부 단위파트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기 설정된 위치에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가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를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어셈블리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사용자의 모발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모발통과홀이 형성된,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단위파트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이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커버파트를 더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파트의 전방에는 제1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상기 보조커버파트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의 전방에는 제1대응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제1대응와이어연결부는 서로 결합용 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어느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의 후방에는 제2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부 단위파트 중 다른 하나의 측부 단위파트의 후방에는 제2대응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제2대응와이어연결부는 서로 결합용 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단위파트와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측부 단위파트에 장착되는 제1마운팅부재;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제2마운팅부재; 및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마운팅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 및 상기 제2조인트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인트부재;
    를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인트부 및 상기 제2조인트부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 및 상기 제2마운팅부재와의 상대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는,
    상기 헬멧 어셈블리에 장착되며, 상기 헬멧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기구 장착용 붐을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장착용 붐은,
    서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관절파트를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셜 캡쳐 어셈블리는,
    상기 기구 장착용 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장착용 붐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카메라 마운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200146980A 2020-11-05 2020-11-05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220061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980A KR20220061323A (ko) 2020-11-05 2020-11-05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980A KR20220061323A (ko) 2020-11-05 2020-11-05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323A true KR20220061323A (ko) 2022-05-13

Family

ID=8158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980A KR20220061323A (ko) 2020-11-05 2020-11-05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3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863A (ko) 2005-08-26 2008-06-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얼굴 모션 데이터 캡쳐링 및 처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863A (ko) 2005-08-26 2008-06-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얼굴 모션 데이터 캡쳐링 및 처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1156T3 (es) Dispositivo de cámara
US1084560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head-mounted display
US20180055203A1 (en) Ear-mounted device
US20190204617A1 (en) Wearable device
US20190250412A1 (en) Display device
WO2000053269A1 (en) Multi-purpose eyewear
US20160045018A1 (en) Universal retaining device for a mobile multimedia terminal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US9977249B2 (en) Support member for wearable device
US20200109920A1 (en) Ballistic Helmet With an Accessory System
WO2017193691A1 (zh) 增强现实智能眼镜
US5920371A (en) Versatile headband optical mounting assembly
KR20110091611A (ko) 시상봉합면에 위치하는 길이조절형 헤드밴드
KR20220061323A (ko) 얼굴 표정 수집을 위한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DE212016000067U1 (de) Am Ohr befestigte Vorrichtung
JP4641647B2 (ja) 拡大鏡
CN109116567A (zh) 一种佩戴舒服且便于调试的vr眼镜
JP6703513B2 (ja) 画像表示装置
US8384618B2 (en) Display apparatus
TW201923422A (zh) 可穿戴設備
JP697923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WO2022071064A1 (ja) アイウェア
US10281085B1 (en) Head-mounted wireless photographic apparatus
CN214425743U (zh) 一种适配隔离防护装备的可塑形式聚光额灯
CN214154692U (zh) 一种头戴式图像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