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789A -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789A
KR20220060789A KR1020200146782A KR20200146782A KR20220060789A KR 20220060789 A KR20220060789 A KR 20220060789A KR 1020200146782 A KR1020200146782 A KR 1020200146782A KR 20200146782 A KR20200146782 A KR 20200146782A KR 20220060789 A KR20220060789 A KR 2022006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ing
module
treated water
livestock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엄영길
정소기
Original Assignee
힐링파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링파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힐링파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789A/ko
Publication of KR2022006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축사나 분뇨 처리를 위한 축산시설로부터 악취나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를 물리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다양한 악취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는 제거할 수 있고, 다양한 모듈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로부터 악취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산시설의 실내로부터 오염가스를 흡기하여 오염가스의 유동을 형성하는 흡기 모듈과, 상기 흡기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흡기 모듈에 연결되어 처리수나 처리액으로 오염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러빙 처리 모듈과,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을 거쳐 배출된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에 연결되어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DEVICE FOR CLEANING AIR FOR LIVESTOCK FACILITY}
본 발명은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축사나 분뇨 처리를 위한 축산시설로부터 악취나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를 물리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다양한 악취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는 제거할 수 있고, 다양한 모듈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시설은 자동화, 기계화의 힘입어 그 규모가 나날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한된 장소에서 고밀도의 가축을 생육하게 되므로 대량으로 발생되는 가축분뇨로 인한 대기 및 수질 오염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축을 생육시키는 과정뿐만 아니라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악취가 발생되는데, 그 악취는 축산시설로부터 먼 거리에서도 강하게 감지되어 민원이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더욱이 2005년 2월부터 시행된 악취방지법(환경부)에 의하면 2006년 1월 1일부터 돼지 사육시설 면적이 50 ㎡ 이상 되는 축산시설에 대해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지정 악취가스의 배출에 대한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악취방지법은 폐수관리법과 함께 축산농가에서는 엄격히 준수해야 하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사나 축분 퇴비장과 같은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주성분은 황화수소(H2S)와 암모니아(NH3)이며, 이러한 악취물질들은 악취에 의한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반응성이 강해 건축물이나 주요시설의 부식을 야기시킨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는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냉각응축방식, 고온산화(열소각)방식, 촉매산화방식, 흡착방식, 화학적 처리방식 및 생물학적 처리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각응축방식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296호(악취 정화방법 및 그 정화장치, 2014.11.19) 등이 개시되어 있고, 고온산화(열소각)방식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999호(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축산분뇨의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2012.08.27)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7768호(축산분뇨용 악취제거장치, 2017.01.12)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촉매산화방식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986호(고효율 악취제거장치, 2008.06.30)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52호(액상 복합 미네랄 미생물 축산악취 제거제, 2011.11.21) 등이 개시되어 있고, 흡착방식으로 흡착제를 이용하는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3757호(악취 발생시설의 탈취장치, 2005.10.18)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051호(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2009.09.11)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화학적 처리방식으로 중화제를 이용한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387호(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2010.09.20)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8971호(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2013.09.04) 등이 개시되어 있고, 생물학적 처리방식으로 퇴비나 우드칩과 같은 바이오 필터를 이용하는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0800호(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2005.05.12)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281호(악취의 효과적 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축사, 2014.05.26)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악취가스 제거 장치는 주로 상기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만을 이용하여 악취가스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의 방식만으로 구현된 종래의 악취가스 제거 장치의 경우 다양한 오염 물질을 모두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방식을 구현하는 구성이 오랜 정화 동작에 따른 피로도 증가로 인하여 악취가스 제거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2가지 이상의 방식이 복합된 악취가스 제거 장치의 경우는 전체 장치의 규모가 커서 이들을 설치하고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뿐만 아니라 복합 방식을 구현하는 구성이 고정적으로 설계되어 방식의 변경이나 추가 및 삭제가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296호(2014.11.19) : 악취 정화방법 및 그 정화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999호(2012.08.27) :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축산분뇨의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7768호(2017.01.12) : 축산분뇨용 악취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986호(2008.06.30) : 고효율 악취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52호(2011.11.21) : 액상 복합 미네랄 미생물 축산악취 제거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3757호(2005.10.18) : 악취 발생시설의 탈취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051호(2009.09.11) :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387호(2010.09.20) :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8971호(2013.09.04) :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0800호(2005.05.12) : 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281호(2014.05.26) : 악취의 효과적 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축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의 축사나 분뇨 처리를 위한 축산시설로부터 악취나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를 물리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다양한 악취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는 제거할 수 있고, 다양한 모듈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로부터 악취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산시설의 실내로부터 오염가스를 흡기하여 오염가스의 유동을 형성하는 흡기 모듈과, 상기 흡기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흡기 모듈에 연결되어 처리수나 처리액으로 오염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러빙 처리 모듈과,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을 거쳐 배출된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에 연결되어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상기 흡기 모듈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와 처리수를 접촉시켜 먼지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상기 흡기 모듈의 오염가스가 배출되는 측으로 유입구 측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배출구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스크러버 케이스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의 하부에서 스크러버 케이스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위치되어 내부에 처리수가 담기는 처리수 수조와,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원통체의 외주에서 하부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처리수 수조에 담긴 처리수에 잠기도록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수평으로 놓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러빙 드럼과, 상기 스크러빙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와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외주면에서 상부에 위치된 부분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실링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외주면은 그 외주면을 통해 오염공기가 통과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이 상기 처리수에 잠긴 위치에서 상기 처리수와 접촉되어 그 처리수가 표면 또는 내부에 적셔진 다음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처리수 담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처리수 담체부는, 상기 오염공기가 통과되는 공극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 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처리수 담체부는, 상기 오염공기가 통과는 틈새를 갖도록 서로 떨어져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 공간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담체 디스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담체 디스크부 표면에는 요철 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이 회전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잠기는 위치에 처리수를 퍼서 올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수 버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을 통과하여 흐르는 오염가스로 오염가스 제거제가 용해된 처리액을 분무하여 하나 이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의 배출구 측으로 유입구 측이 연결되어 그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배출구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 케이스와, 오염공기의 통과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 케이스의 통로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담체 필터부와, 상기 담체 필터부로 상기 처리액을 분무하는 분무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바이오 처리 모듈은,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가 접촉되어 흐르는 바이오 필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오 필터부에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 제제가 처리된 제1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바이오 필터부는, 골이 평행하게 형성된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 패드를 이웃하는 필터 패드 사이에서 골이 서로 교차되게 복수의 필터 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미생물 제제에 포함된 미생물은 바실러스 츄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LRI 02 KCCM 11490P), 슈도모나스 카에니(Pseudomonas caeni JLRI 03 KCCM 11491P), 및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JLRI 04 KCCM 11492P)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바이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바이오 처리 모듈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가 접촉되어 흐르는 건초나 우드칩이 충진된 바이오 베드가 포함된 제2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가축의 축사나 분뇨 처리를 위한 장소로부터 악취나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는 오염 공기를 물리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다양한 악취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는 제거할 수 있고, 다양한 모듈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배치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의 스크러밍 드럼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의 스크러빙 드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바이오 바이오 처리 모듈의 필터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의 스크러밍 드럼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의 스크러빙 드럼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의 바이오 바이오 처리 모듈의 필터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축사나 가축의 분뇨 처리 시설과 같은 축산시설(S)로부터 먼지 및 악취를 포함한 상태로 배출되는 오염가스(Ai)에서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Ao)를 대기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1)가 축산시설(S)의 실내로부터 오염가스(Ai)를 흡입하여 정화시켜 정화된 공기(Ao)를 대기중으로 배출도록 축산시설(S)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1)는 흡기 모듈(10), 스크러빙 처리 모듈(20,30) 및 바이오 처리 모듈(40,50)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들 모듈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도 1에는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과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이 순서대로 연결되고, 바이오 처리 모듈은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과 제2 바이오 처리 모듈(50)이 순서대로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1 또는 제2 모듈 중 어느 1개의 모듈만이 선택되어 구성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또는 제2 모듈 모두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모듈 내부로는 흡입된 오염공기(Ai)가 통과되면서 처리되는데, 전방에 위치된 모듈에서 다음 모듈로 공기가 흐르도록 서로 연통되게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부(J1,J2,J3,J4)에서 연결된다. 즉, 흡기 모듈(10)과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은 제1 연결부(J1)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과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은 제2 연결부(J2)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과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은 제3 연결부(J3)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과 제2 바이오 처리 모듈(50)은 제4 연결부(J4)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도면에는 이들 연결부(J1,J2,J3,J4)가 이웃하는 플랜지를 맞대어 연결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연결 구조는 끼우기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웃하는 모듈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축산시설(S)로부터 흡기 모듈(10)로 흡기된 오염공기(Ai)는 흡기 모듈(10),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 및 제2 바이오 처리 모듈(50) 각각의 내부를 지나는 유동(F1,F2,F3,F4,F5)을 형성하면서 각 모듈(10,20,30,40,50)의 내부를 흐르게 된다.
도 2는 각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기 모듈(10)은 축산시설(S)의 실내로부터 오염가스(Ai)를 흡입하여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10)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 모듈(10)은 흡기 케이스(11)의 흡입구(111) 측을 통하여 축산시설(S)의 실내로부터 오염공기(Ai)를 흡기하여 배출구(112)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흡기 케이스(11)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 유동(F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흡기 모듈(10)의 흡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F1)을 형성하기 위한 흡기팬(12)이 구비되며, 상기 흡기 케이스(11)의 흡입구(111)는 축산시설(S)의 실내와 연통되게 축산시설(S)로 연결되며, 흡기 케이스(11)의 배출구(112)는 제1 연결부(J1)에서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의 스크러버 케이스(21)의 유입구(211)가 연결된다.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20,30)은 상기 흡기 모듈(1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흡기 모듈(10)에 연결되어 처리수나 처리액으로 오염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면에는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과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은 상기 흡기 모듈(10)로부터 유입되어 내부를 지나는 유동(F2)을 형성하면서 흐르는 오염가스와 처리수(W)를 접촉시켜 먼지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은 스크러버 케이스(21), 스크러빙 드럼(22), 처리수 담체부(23), 회전 구동부(24), 처리수 수조(25), 실링부(26) 및 처리수 공급부(27)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는 상기 흡기 모듈(10)의 오염가스가 배출되는 측, 즉 흡기 모듈(10)의 배출구(112)로 유입구(211) 측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211) 측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배출구(212)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 유동(F2)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스크러빙 드럼(22)이 설치되며, 그 하부는 처리수(W)가 담기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처리수 수조(25)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은 상기 처리수 담체부(23)과 함께 처리수 수조(25)에 담긴 처리수(W)에 적셔져 그 내부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와 처리수(W)와의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내부에 처리수 담체부(23)가 담긴 스크러빙 드럼(22)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은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수평으로 놓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회전 지지는 드럼의 중앙부를 가로지르게 구비된 회전축(221)이 축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드럼의 외주면이 지지 롤러(22a)에 의해 지지되록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221)과 지지 롤로(22a)가 모두 채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처리수(W)와의 접촉을 위해 오염공기가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을 반드시 통과하도록 상기 스크러빙 드럼(22)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은 원통체의 높이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폭을 모두 채우는 정도가 되어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반드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과 마주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와 마주친 오염공기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22)를 통과하여 그 내부에 채워진 처리수 담체부(23)에 적셔진 처리수(W)와 접촉되면서 먼지나 오염물질이 중화되거나 제거되는 처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이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수평으로 놓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에서 하부에 위치된 부분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처리수 수조(25)에 담긴 처리수(W)에 잠기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에서 하부는 처리수(W)로 막히게 되어 오염공기는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에서 하부로는 통과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이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수평으로 놓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에서 상부에 위치된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상부의 내면 사이의 틈새로 오염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상부 내면과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에서 상부에 위치된 부분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실링부(26)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통체 형상의 스크러빙 드럼(22)은 회전축(221)과, 복수의 반경 방향 프레임(222), 내측 원주 방향 프레임(223), 내측 높이 방향 프레임(224), 외측 원주 방향 프레임(225) 및 외측 높이 방향 프레임(226)을 연결하여 원통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구조는 원통체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221)이 원통체의 중앙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회전축(221)에 연결된 연결된 복수의 반경 방향 프레임(222)이 상기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경 방향 프레임(222)의 중심과 말단 사이의 위치에서 내측 원주 방향 프레임(223)이 원형으로 내측 원주를 일주하게 형성되어 상기 반경 방향 프레임(222)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반경 방향 프레임(222)의 말단의 위치에서 외측 원주 방향 프레임(223)이 외측 원주를 일주하게 형성되어 상기 반경 방향 프레임(222)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서로 연결된 반경 방향 프레임(222), 내측 원주 방향 프레임(223) 및 외측 원주 방향 프레임(225)은 원통체의 높이 방향으로 양측 말단부에 각각 배치될 뿐만 아니라 원통체의 높이가 긴 경우 원통체의 높이 방향으로 적절한 개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원통체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 반경 방향 프레임(222), 내측 원주 방향 프레임(223) 및 외측 원주 방향 프레임(225)은 각각 상기 원통체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놓이고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복수의 내측 높이 방향 프레임(224) 및 외측 높이 방향 프레임(2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로 원통체 모양으로 형성된 스크러빙 드럼(22)의 내부에는 표면이나 기공 등에 처리수(W)가 적셔지기 위한 처리수 담체부(23)가 담기는데,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회전으로 상기 처리수 담체부(23)가 상기 이탈되지 않도록 가두기 위한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이 프레임 구조물에 부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망(227)은 상기 내측 원주 방향 프레임(223)과 내측 높이 방향 프레임(224)의 외측을 둘러싸 원기둥 형상이 유지되게 결합되며, 상기 외측망(228)은 상기 외측 원주 방향 프레임(225)과 내측 높이 방향 프레임(226)의 외측을 둘러싸 원기둥 형상이 유지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동심원으로 배치된 내측망(227)와 외측망(228)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는 처리수 담체부(23)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은 오염공기는 통과되면서 상기 처리수 담체부(23)은 빠지지 않는 그물망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과 마주친 오염공기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망(228)을 통해 스크러빙 드럼(22)의 내측을 지나면서 그 내부에 채워진 처리수 담체부(23)의 표면에 적셔진 처리수(W)와 접촉되어 정화 처리되어 다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은 스크러빙 드럼(22)의 회전으로 처리수(W)에 순차적으로 담궈지면서 그 표면이 처리수(W)에 적셔지는데, 오염공기는 상기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의 표면에 적셔진 처리수(W)와 접촉되면서 정화 처리가 된다. 즉, 상기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은 처리수(W)가 표면에 적셔지는 처리수 담체부(23)과 같은 담체 기능을 일부 수행하는데, 이러한 담체의 기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내측망(227)과 외측망(228)은 가능한 넓은 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 담체부(23)는 상기 오염공기가 통과되는 공극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 물체이다. 상기 처리수 담체부(23)은 자갈이나 굵은 모래 또는 볼(ball) 형상 등과 같이 오염공기가 지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채워지는 형상을 가지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처리수 담체부(23)에는 미세한 기공이나 구멍과 같이 처리수(W)가 적셔지고 오염공기가 접촉되는 표면적이 커지는 형상이나 구조가 외면이나 내부에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처리 담체부(23)는 광물이나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라믹이나 지르코늄과 같이 오염물질의 제거나 중화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크러빙 드럼(22)은 회전되면서 그 일부가 처리수 수조(25)에 담기 처리수(W)에 잠기게 되며, 그 과정에서 처리수 담체부(23)의 표면에 처리수(W) 적셔진다. 효율적인 오염공기의 처리를 위해서는 처리수(W)가 스크러빙 드럼(22)의 회전으로 많은 양이 적셔지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도록 퍼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에는 처리수 버킷이 구비되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이 회전되면서 상기 처리수(W)에 잠기는 위치에 처리수(W)를 퍼서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처리수 버킷은 버킷과 같은 모양으로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상기 처리수 버킷이 외측 높이 방향 프레임(226)으로 C형상의 단면을 갖는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외측 높이 방향 프레임(226) 자체가 처리수 버킷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는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을 구성하는 스크러빙 드럼(22')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크러빙 드럼(22')은 오염공기가 통과는 틈새를 갖도록 서로 떨어져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내부 공간에 축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된 원반 형상의 담체 디스크부(222')가 회전축(221')에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오염공기는 상기 담체 디스크부(22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스크러빙 드럼(22')를 통과하게 되며, 오염공기는 상기 담체 디스크부(2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담체 디스크부(222')의 표면에 적셔진 처리수(W)와 접촉된다. 즉 상기 담체 디스크부(222')는 그 자체가 처리수 담체부 기능을 일부 수행한다. 처리수(W)가 적셔지고 오염공기가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담체 디스크부(222') 표면에는 요철 또는 돌기(22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돌기(223')가 담체 디스크(2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돌기(223')은 처리수 담체부(23')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 구동부(24)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상기 회전 구동부(24)가 모터의 출력축과 스크러빙 드럼(22)의 회전축(221)이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처리수 수조(25)는 내부에 처리수(W)가 담기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처리수 수조(25)는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하부에서 스크러버 케이스(21)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위치된다. 상기 처리수 수조(25)는 별도 독립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처리수 수조(25)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가 간단하고 오염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러버 케이스(21)와 처리수 수조(25)의 연결 부위의 기밀을 위한 구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유리하다.
상기 실링부(26)는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상부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와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실링부(26)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길이(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 말단이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21)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고 타츠 말단은 상기 스크러빙 드럼(2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 공급부(27)는 상기 처리수 수조(25)의 처리수(W)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이를 보충하도록 공급하고, 상기 처리수 수조(25)의 처리수(W)가 오염된 경우 이를 정화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수 공급부(27)는 배출관(261)을 통해 상기 처리수 수조(25)로부터 배출된 처리수(W)에서 먼지와 같은 입자 물질을 탱크에서 침전시켜 제거하고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처리수(W)를 공급관(271)을 통해 상기 처리수 수조(25)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은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20)의 배출구(212) 측으로 유입구(311) 측이 연결되어 그 유입구(311) 측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배출구(312)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 유동(F3)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 케이스(31)와, 오염공기의 통과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 케이스(31)의 통로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담체 필터부(33)와, 상기 담체 필터부(33)로 처리액(L)을 분무하는 분무 수단(34)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처리액(L)은 오염공기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약제가 용해된 제제로서, 오염공기는 상기 담체 필터부(33)을 통과하면서 상기 처리액(L)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담체 필터부(33)의 하부에는 처리액 수거조(32)가 구비되어 상기 담체 필터부(33)으로부터 낙하된 처리액(L)이 담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액(L)에는 오염공기의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약품이 포함되는데, 그 약품(C)의 공급은 약품통(35)에 담긴 약품(C)을 약품 공급관(351)을 통해 처리액 분무관(341)로 펌핑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오 처리 모듈(40,50)은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20,30)을 거쳐 배출된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20,30)에 연결되어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상기 바이오 처리 모듈(40,50)이 바이오 필터(42)가 구비된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과 바이오 베드로 구성된 제2 바이오 처리 모듈(50)으로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은 상기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가 접촉되어 흐르는 바이오 필터부(42)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오 필터부(42)에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 제제가 분사 처리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오 필터부(42)는 일측 측부에 유입구(411)가 형성되고 상부로 배출구(412)가 형성된 필터 케이스(41)의 내부에 충진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411)의 유입구(411)는 상기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30)을 구성하는 덕트 케이스(31)의 배출구(312)와 연결되어 그 유입구(411)로 오염공기가 유입된다.
도 5에는 바이오 필터부(42)가 필터 패드(421)가 적층되어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오 필터부(42)는 골이 평행하게 형성된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 패드(421)를 여러 장 겹쳐 결합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필터 패드(421)은 이웃하는 필터 패드(421) 사이에서 골이 서로 교차되게 적층되며, 오염공기는 바이오 필터부(42)의 측부로 유입(Fin)되어 골과 골 사이를 지나 타측 측부로 배출(Fout)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이오 필터부(42)에는 미생물 제제가 미생물 제제 분무 노즐(43)을 통해 분무되며, 분무된 미생물 제제는 바이오 필터부(42)에 의해 보유되며, 그 보유된 미생물 제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 필터부(42)를 통과하는 오염공기가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화 처리된다. 상기 미생물 제제에는 바실러스 츄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LRI 02 KCCM 11490P), 슈도모나스 카에니(Pseudomonas caeni JLRI 03 KCCM 11491P), 및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JLRI 04 KCCM 11492P)와 같은 미생물이 포함된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미생물 제제 공급통(44)로부터 미생물 공급관(441)을 통해 펌핑되어 상기 바이오 필터부(42)의 상부에 구비된 미생물 제제 분무 노즐(43)에 의해서 상기 바이오 필터부(42)의 상부로 분사된다. 상기 바이오 필터부(42)로부터 낙하된 미생물 제제는 드레인관(442)를 통해 미생물 제제 공급통(44)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2 바이오 처리 모듈(50)은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가 접촉되어 흐르는 건초나 우드칩(52)이 충진된 바이오 베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바이오 처리 모듈(50)은 하부에 유입구(511)가 형성되고 상부에 배출구(512)가 형성된 베드 케이스(51)의 내부에 건토나 우드칩(52)가 채워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드 케이스(51)의 유입구(511)는 상기 제1 바이오 처리 모듈(40)의 배출구(412)에 연결되어 그 유입구(511)을 통해 오염공기가 상기 베드 케이스(51)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건초나 우드칩(52) 사이를 통과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일부 오염물질이 분해 처리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 축산시설
W 처리수
L 처리액
1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10 흡기 모듈
11 흡기 케이스
12 흡기팬
20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
21 스크러버 케이스
22 스크러빙 드럼
221 회전축
222 반경 방향 프레임
223 내측 원주 방향 프레임
224 내측 높이 방향 프레임
225 외측 원주 방향 프레임
226 외측 높이 방향 프레임
227 내측망
228 외측망
23 처리수 담체부
24 회전 구동부
25 처리수 수조
26 실링부
27 처리수 공급부
30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
31 덕트 케이스
32 처리액 수거조
33 담체 필터부
34 분무 수단
35 약품통
40 제1 바이오 처리 모듈
41 필터 케이스
42 바이도 필터부
421 필터 패드
43 미생물 제제 분무 노즐
44 미생물 제제 공급통
50 제2 바이오 처리 모듈
51 베드 케이스
52 건초나 우드칩
50 제2 바이오 처리 모듈

Claims (13)

  1.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로부터 악취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산시설의 실내로부터 오염가스를 흡기하여 오염가스의 유동을 형성하는 흡기 모듈과,
    상기 흡기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흡기 모듈에 연결되어 처리수나 처리액으로 오염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러빙 처리 모듈과,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을 거쳐 배출된 오염가스가 내부를 흐르도록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에 연결되어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상기 흡기 모듈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와 처리수를 접촉시켜 먼지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상기 흡기 모듈의 오염가스가 배출되는 측으로 유입구 측이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배출구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스크러버 케이스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의 하부에서 스크러버 케이스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위치되어 내부에 처리수가 담기는 처리수 수조와,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원통체의 외주에서 하부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처리수 수조에 담긴 처리수에 잠기도록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수평으로 놓여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러빙 드럼과, 상기 스크러빙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와, 상기 스크러버 케이스와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외주면에서 상부에 위치된 부분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실링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외주면은 그 외주면을 통해 오염공기가 통과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이 상기 처리수에 잠긴 위치에서 상기 처리수와 접촉되어 그 처리수가 표면 또는 내부에 적셔진 다음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처리수 담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담체부는, 상기 오염공기가 통과되는 공극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 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담체부는, 상기 오염공기가 통과는 틈새를 갖도록 서로 떨어져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 공간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담체 디스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디스크부 표면에는 요철 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7. 제3항 내지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빙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러빙 드럼이 회전되면서 상기 처리수에 잠기는 위치에 처리수를 퍼서 올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수 버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8. 제2항 내지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을 통과하여 흐르는 오염가스로 오염가스 제거제가 용해된 처리액을 분무하여 하나 이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러빙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러빙 처리 모듈의 배출구 측으로 유입구 측이 연결되어 그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배출구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 케이스와,
    오염공기의 통과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 케이스의 통로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담체 필터부와,
    상기 담체 필터부로 상기 처리액을 분무하는 분무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처리 모듈은, 상기 스크러빙 처리 모듈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가 접촉되어 흐르는 바이오 필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오 필터부에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 제제가 처리된 제1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필터부는, 골이 평행하게 형성된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 패드를 이웃하는 필터 패드 사이에서 골이 서로 교차되게 복수의 필터 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에 포함된 미생물은 바실러스 츄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JLRI 02 KCCM 11490P), 슈도모나스 카에니(Pseudomonas caeni JLRI 03 KCCM 11491P), 및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JLRI 04 KCCM 11492P)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바이오 처리 모듈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오염가스가 접촉되어 흐르는 건초나 우드칩이 충진된 바이오 베드가 포함된 제2 바이오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1020200146782A 2020-11-05 2020-11-05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20220060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82A KR20220060789A (ko) 2020-11-05 2020-11-05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82A KR20220060789A (ko) 2020-11-05 2020-11-05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89A true KR20220060789A (ko) 2022-05-12

Family

ID=8159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82A KR20220060789A (ko) 2020-11-05 2020-11-05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7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294B1 (ko) 2023-03-02 2023-10-12 주식회사 다빈치 Oh 라디칼 산소수를 이용하는 악취가스 탈취장치
WO2024071752A1 (ko) * 2022-09-27 2024-04-04 주식회사 워터베이션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800B1 (ko) 2002-04-30 2005-05-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KR100523757B1 (ko) 2005-04-06 2005-10-25 이종문 악취 발생시설의 탈취장치
KR100843986B1 (ko) 2007-08-28 2008-07-07 성호 김 고효율 악취제거장치
KR200446051Y1 (ko) 2009-04-15 2009-09-21 김태현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KR100984387B1 (ko) 2010-08-06 2010-09-29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장)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087052B1 (ko) 2009-10-14 2011-11-25 구자준 액상 복합 미네랄 미생물 축산악취 제거제
KR101178999B1 (ko) 2008-08-11 2012-08-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축산분뇨의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KR200468971Y1 (ko) 2013-01-23 2013-09-10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402281B1 (ko) 2012-11-16 2014-06-03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악취의 효과적 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축사
KR101465296B1 (ko) 2011-05-27 2014-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악취 정화방법 및 그 정화장치
KR101697768B1 (ko) 2016-12-02 2017-02-01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축산분뇨용 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800B1 (ko) 2002-04-30 2005-05-1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퇴비 바이오필터 및 그를 이용한 악취가스의 제거방법
KR100523757B1 (ko) 2005-04-06 2005-10-25 이종문 악취 발생시설의 탈취장치
KR100843986B1 (ko) 2007-08-28 2008-07-07 성호 김 고효율 악취제거장치
KR101178999B1 (ko) 2008-08-11 2012-08-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축산분뇨의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KR200446051Y1 (ko) 2009-04-15 2009-09-21 김태현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KR101087052B1 (ko) 2009-10-14 2011-11-25 구자준 액상 복합 미네랄 미생물 축산악취 제거제
KR100984387B1 (ko) 2010-08-06 2010-09-29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장)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465296B1 (ko) 2011-05-27 2014-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악취 정화방법 및 그 정화장치
KR101402281B1 (ko) 2012-11-16 2014-06-03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악취의 효과적 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축사
KR200468971Y1 (ko) 2013-01-23 2013-09-10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697768B1 (ko) 2016-12-02 2017-02-01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축산분뇨용 악취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752A1 (ko) * 2022-09-27 2024-04-04 주식회사 워터베이션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시스템
KR102588294B1 (ko) 2023-03-02 2023-10-12 주식회사 다빈치 Oh 라디칼 산소수를 이용하는 악취가스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9084A (en) Combined air and water pollution control system
KR102216106B1 (ko)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20220060789A (ko)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19990008460A (ko) 유출물 처리 시스템
JP4408088B2 (ja) 浄化装置を備えたトンネル及びトンネル内の汚染ガスの浄化方法
KR101220282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20060126021A (ko)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0936440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탈취방법 및 그 탈취기
KR100818763B1 (ko) 폭기방법의 변경과 상치형 바이오필터박스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371501B1 (ko) 폐가스 정화용 바이오필터
KR101041216B1 (ko) 회전형 바이오 탈취장치
KR200403396Y1 (ko) 생물학적 처리수(미생물 제재)를 이용한 습식형 악취제거장치
KR102067809B1 (ko) 분진포집 및 악취가스 제거를 위한 복합 탈취장치
KR102505527B1 (ko) 탈취장치
CN102580519A (zh) 一种除臭装置
KR100693186B1 (ko) 생물학적 처리수(미생물 제재)를 이용한 습식형 악취제거장치
KR101481634B1 (ko) 수족관용 물관리장치
KR102282157B1 (ko) 축사의 악취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 방법
KR19990073885A (ko) 복합성 악취처리 시스템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200354707Y1 (ko) 고압교반형 바이오필터장치
KR100669005B1 (ko) 초음파 바이오필터 장치
JP2001503827A (ja) 粒子および有害ガスの排気を清浄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532644B1 (ko) 복합 탈취 시스템
KR102331252B1 (ko)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