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466A - 방호복 - Google Patents

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466A
KR20220059466A KR1020227001132A KR20227001132A KR20220059466A KR 20220059466 A KR20220059466 A KR 20220059466A KR 1020227001132 A KR1020227001132 A KR 1020227001132A KR 20227001132 A KR20227001132 A KR 20227001132A KR 20220059466 A KR20220059466 A KR 20220059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protective clothing
suit
wearer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시바타
유이치로 하야시
히로키 타케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한 쌍의 소매 부분과, 길 부분을 구비하는 방호복이며, 방호복은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갖고,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 또는 무릎 관절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덮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피복 부분을 구비하고, 제 1 생지는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며,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60㎜ 이상 110㎜ 이하이며, 제 2 생지는 관절 피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방호복의 전체의 표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표면적은 15% 이상 70% 이하인 방호복.

Description

방호복
본 발명은 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방호용 제품은 그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의 형태 및 기능을 갖는 것이 있다. 그 중에서도 방호용 제품은 혈액 및 바이러스 등의 인체에 대해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유해 물질로부터의 방호를 목적으로 성능, 즉 혈액 배리어성 및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방호용 제품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방호용 제품은 혈액 배리어성 및 바이러스 배리어성은 우수하지만, 투습성이 부족하여 방호용 제품 내가 신체로부터 발생한 발한 등에 의해 고습도가 되어 더운 느낌 및 땀이 차는 느낌이라고 한 착의 쾌적성의 향상이 과제로 되고 있다.
그래서, 바이러스 배리어성 및 혈액 배리어성(이하, 바이러스 배리어성 및 혈액 배리어성을 합쳐 배리어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및 투습성이 우수한 기능성 생지를 사용한 방호복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이 기능성 생지는 미세한 관통공을 다수 구비하는 미다공성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국제공개 제2017/119355호
그런데, 방호복은 착용 시에 착용자의 팔꿈치의 움직임이 크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능성 생지를 구비하는 미다공성 필름은 강연도가 높다. 그 때문에 기능성 생지의 강연도도 높다. 그 결과, 강연도가 높은 기능성 생지를 사용한 방호복은 착용자가 팔꿈치를 움직였을 때에 팔꿈치의 동작에 대해 저항이 생기기 쉬워 작업성을 저하시키기 쉽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사정을 감안하여 투습성과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 또한 작업성도 우수한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방호복은 한 쌍의 소매 부분과, 길 부분을 구비하는 방호복이며, 상기 방호복은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갖고,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 또는 무릎 관절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덮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피복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며,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60㎜ 이상 110㎜ 이하이며,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관절 피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방호복의 전체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제 1 생지의 표면적은 15% 이상 70% 이하인 방호복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1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1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5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5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6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6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비교예 4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비교예 4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비교예 5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비교예 5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7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7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8의 방호복의 앞면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8의 방호복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방호복은 한 쌍의 소매 부분과, 길 부분을 구비한다. 방호복은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갖는다. 방호복은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 또는 무릎 관절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덮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피복 부분을 구비한다. 제 1 생지는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며,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60㎜ 이상 110㎜ 이하이다. 제 2 생지는 관절 피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20㎜ 이상 50㎜ 이하이다. 방호복의 전체의 표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표면적은 15% 이상 70% 이하이다.
제 1 생지는 높은 배리어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또한 높은 투습성을 구비한 생지이다. 한편, 높은 배리어성과 높은 투습성을 구비하는 제 1 생지는 그 생지의 구성이 원인이 되어 강연도가 60㎜ 이상 110㎜ 이하로 단단해지는 경향이 보여진다. 한편, 제 2 생지는 높은 배리어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또한 유연한 생지이다. 한편으로, 높은 배리어성을 구비하고, 유연한 제 2 생지의 투습도는 제 1 생지의 투습도와 비교해서 낮다. 이것은 제 2 생지의 구성에 기인한다.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높은 배리어성과 높은 투습성을 구비하는 제 1 생지가 방호복의 표면적의 전체에 대해 15% 이상 70% 이하의 비율로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높은 배리어성을 구비하고 유연한 제 2 생지가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피복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투습성과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 또한 작업성도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 신장이 171㎝이며, 상완 길이가 32㎝이며, 경측·견봉 직선 거리가 15㎝이며, 경와 높이가 140㎝이며, 흉골 중점 높이가 128㎝이며, 전액와 폭이 34㎝이며, 견갑골 하각 간 직선 거리가 20㎝이며, 대퇴 길이가 44㎝이며, 경골 상부 가장자리 높이가 43㎝인 착용자가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제 1 실시형태)에서는 관절 피복 부분이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와,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를 갖고, 제 2 생지가 부분 A 및 부분 B에 배치되어 있는 양태에 대해 예시한다.
부분 A 및 부분 B는 착용 시에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이다. 따라서, 방호복의 부분 A 및 부분 B는 착용자가 팔꿈치를 구부리고 폈을 때에 착용자의 팔꿈치의 구부리고 폄의 운동에 맞춰 방호복의 생지가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부분 A 및 부분 B에 제 2 생지인 유연성이 우수한 생지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방호복은 착용 시에 착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방호복은 작업성이 우수하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방호복의 일부분에 투습성이 높은 생지가 배치되어 있고, 한편으로, 착용자의 움직임이 많은 부위를 덮는 방호복의 부분에는 유연성이 높은 생지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방호복은 착용 시의 쾌적성과 착용 시의 작업성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부분 C를 구비하고, 제 1 생지가 부분 C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에 있어서, 대흉근의 부근에는 심장이나 폐 등의 인체에 있어서 중요한 장기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대흉근 및 대흉근의 주위의 부위에 있어서 이들의 부위 이외의 부위에 비해 더위를 보다 민감하게 느낀다고 말해지고 있다. 또한, 인체는 땀이 증발할 때에 피부로부터 온도를 빼앗음으로써 체온을 낮춘다. 그러나, 습도가 높을수록 땀을 흘렸을 때에 땀이 기화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인체는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덥게 느끼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부분 C에 제 1 생지인 투습성이 높은 생지를 사용함으로써 방호복은 착용자의 대흉근의 부근의 습도를 외기의 습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보다 쾌적성이 우수하다.
또한, 길 부분은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견갑하근을 덮는 부분 D를 구비하고, 제 1 생지가 부분 D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에 있어서, 견갑하근의 부근에는 심장이나 폐 등의 인체에 있어서 중요한 장기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견갑하근 및 견갑하근의 주위의 부위에 있어서 이들의 부위 이외의 부위에 비해 더위를 보다 민감하게 느낀다고 말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부분 D에 제 1 생지인 투습도가 높은 생지를 사용함으로써 방호복은 착용자의 견갑하근의 부근의 습도를 외기의 습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보다 투습성이 우수하고, 착용자가 느끼는 쾌적성이 보다 우수하다.
방호복은 후드를 더 구비하고, 길 부분과 후드가 일체로 되어 있으며, 후드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는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두부를 덮는 부분이다. 착용자의 두부에는 뇌가 존재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두부는 착용자의 두부 이외의 부위에 비해 더위를 보다 민감하게 느낀다고 말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후드에 제 1 생지인 투습성이 높은 생지를 사용함으로써 방호복은 착용자의 방호복 내의 습도를 외기의 습도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착용자가 느끼는 쾌적성이 보다 우수하다.
방호복이 후드를 구비하는 경우, 방호복은 길 부분과 후드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 부분과 후드가 별체로 되어 있는 경우, 방호복은 길 부분과 후드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기 간극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방호복은 길 부분과 후드가 겹치는 부분을 많이 형성하여 간극을 막을 필요가 생긴다. 길 부분과 후드가 겹치는 부분은 투습성이 저하하기 쉽고, 유연성도 저하하기 쉽다. 이것에 대해 길 부분과 후드가 일체로 되어 있는 방호복은 길 부분과 후드 사이에 간극이 없고, 길 부분과 후드가 겹치는 부분이 없다. 그 때문에 방호복은 착용 시의 쾌적성과 작업성이 보다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하의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방호복은 관절 피복 부분으로서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더 갖고, 제 2 생지는 부분 E 및 부분 F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E 및 부분 F는 착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폈을 때에 방호복의 생지가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부분 E 및 부분 F에 제 2 생지인 유연한 생지가 사용되어 있음으로써 방호복은 방호복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작업성이 보다 향상된다.
방호복이 하의를 구비하는 경우, 방호복은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의와 하의가 별체로 되어 있는 방호복은 상의와 하의를 착용했을 때에 상의와 하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기 간극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방호복은 상의와 하의가 겹치는 부분을 많이 형성하여 간극을 막을 필요가 생긴다. 상의와 하의가 겹치는 부분은 투습성이 저하하기 쉽고, 유연성도 저하하기 쉽다. 이것에 대해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되어 있는 방호복은 상의와 하의 사이에 간극이 없고, 상의와 하의가 겹치는 부분이 없다. 그 때문에 방호복은 착용 시의 쾌적성과 작업성이 보다 우수하다.
(제 1 생지)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지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생지는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다. 제 1 생지의 투습도는 350g/㎡/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g/㎡/hr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생지의 투습도는 600g/㎡/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g/㎡/hr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생지의 투습도가 200g/㎡/hr 이상임으로써 방호복은 착용 시에 있어서 방호복 내의 습도가 낮게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방호복은 쾌적성이 우수하다.
제 1 생지의 투습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1 생지의 투습도는 제 1 생지를 구성하는 미다공성 필름의 두께나 공극률 등을 변동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제 1 생지는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다. 바이러스 배리어성은 클래스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래스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생지의 바이러스 배리어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1 생지의 바이러스 배리어성은 제 1 생지를 구성하는 미다공성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공극률을 낮게 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제 1 생지는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다. 혈액 배리어성은 클래스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래스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임으로써 방호복은 배리어성이 우수하다.
제 1 생지의 혈액 배리어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1 생지의 혈액 배리어성은 제 1 생지를 구성하는 미다공성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공극률을 낮게 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이러스 배리어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정의된다. 우선, JIS T8061(2010)(ISO16604:2004에 상당)에 의해 정하는 D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고, 바이러스가 투과하지 않는 압력 중 최대가 되는 압력값(최대 압력)을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최대 압력값을 JIS T8122(2007)(EN14126:2003에 상당)에 나타내어진 내박테리오파지 침투성의 기준을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바이러스 배리어성(클래스 1∼6)이 정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혈액 배리어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정의된다. 우선, JIS T8060(2007)(ISO16603:2004에 상당)에 의해 정하는 D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혈액이 투과하지 않는 압력 중 최대가 되는 압력값(최대 압력값)을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최대 압력값을 JIS T8122(2007)(EN14126:2003에 상당)에 나타내어진 내인공 혈액 침투성의 기준을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혈액 배리어성(클래스 1∼6)이 정의된다.
제 1 생지는 강연도가 60㎜ 이상이다. 강연도는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강연도는 110㎜ 이하이다. 강연도는 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강연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방호복이 유연해져 방호복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 1 생지의 강연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의 제 1 생지는 높은 배리어성과 높은 투습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극률이 30% 이상 60% 이하이며, 또한 두께가 5㎛ 이상 50㎛ 이하인 미다공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미다공성 필름을 사용한 제 1 생지는 단단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생지의 강연도는 60㎜ 이상으로 조정되기 쉽다. 또한, 제 1 생지의 강연도는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이나, 두께 등을 조정하는 방법이나, 미다공성 필름이 복수의 미다공성 필름층의 적층체인 경우에는 층간의 접착층의 구성을 조정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어느 정도 소망의 것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 1 생지에 있어서,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며,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인 것을 실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 1 생지의 강연도는 60㎜ 이상으로 조정되기 쉽다. 한편, 제 1 생지의 강연도가 작을수록 방호복은 유연한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제 1 생지의 강연도의 상한은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다공성 필름이란, 다수의 세공을 갖는 필름이며, 또한 공극률이 5% 이상인 필름을 말한다. 또한, 무공 필름이란, 미다공성 필름이 갖는 세공을 갖지 않는 무공의 필름, 및 실질적으로 세공을 갖지 않는 필름이다. 실질적으로 세공을 갖지 않는 필름이란, 공극률이 5% 미만인 필름을 말한다.
미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수지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불소계 수지 등이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는, 내열성, 성형성, 생산 비용의 저감, 내약품성, 및 내산화·환원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단량체 성분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3-메틸펜텐-1,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5-에틸-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알릴벤젠, 시클로펜텐, 노르보넨, 및 5-메틸-2-노르보넨 등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이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단량체 성분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고, 상기 단량체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를 블렌딩한 조성물 등이어도 좋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단량체 성분 이외에, 예를 들면 비닐알코올, 및 무수 말레산 등을 공중합 및/또는 그라프트 중합해도 상관없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내열성, 투기성, 및 공공률 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미다공성 필름은 구성하는 수지의 주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성분」이란, 특정 성분이 전체 성분 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50질량%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다공성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이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다공성 필름 중에 세공인 관통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관통공을 형성하는 방법은 습식법, 건식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제 1 생지에 있어서,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생지에 있어서,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극률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제 1 생지는 배리어성 및 투습성의 양방이 보다 우수하다.
제 1 생지는 미다공성 필름 외, 예를 들면 돌자 강도, 인장 강도, 및 내수압 등 그 외 필요로 되는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섬유층을 가져도 좋다.
섬유층은 직물, 편물, 부직포, 및 종이 등의 섬유 구조체가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섬유층은 비용이나 인장 강도 등이 우수한 관점으로부터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부직포는 습식 부직포나 레진 본드식 건식 부직포, 서멀 본드식 건식 부직포, 스펀 본드식 건식 부직포, 니들 펀치식 건식 부직포, 워터제트 펀치식 건식 부직지포 또는 플래시 방사식 건식 부직포 등 외, 단위중량이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초지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가 적합하다. 이들 중에서도 부직포는 스펀 본드식 건식 부직포가 비용이나 인장 강도 등의 면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섬유층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섬유층의 소재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술파이트, 불소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다. 또한, 2성분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 섬유의 형태로서는 2종 이상의 수지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섬유이어도 좋고, 부직포로서 복수의 단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존재하는 혼섬이어도 좋고, 심초형이나 해도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과 같이 1개의 섬유에 복수의 성분이 있어도 좋다.
미다공성 필름과 섬유층을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접합 방법은 요철 조각된 롤과 한 쌍의 롤에 의해 압박되고, 이들의 롤에 열이나 초음파, 고주파에 의해 열을 부여하여 부분 접착을 행하는 엠보스 가공이나, 저융점의 접착 성분을 갖는 분체를 산포하고, 열 처리를 행하여 부분 접착하는 신터 가공, 핫멜트 접착제 등을 스프레이 산포하여 투습성 필름과 섬유층을 부분적으로 접착하는 핫멜트 가공 등이다. 또한, 접착제 등을 미다공성 필름 또는 섬유층의 전체면에 코팅 등으로 부여하여 적층하는 방법은 투습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은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해 15% 이상이며,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은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해 70% 이하이며,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호복은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착용자에 대해 보다 우수한 쾌적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방호복은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에 대해 보다 우수한 작업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 2 생지)
제 2 생지는 강연도가 20㎜ 이상이다. 강연도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연도는 50㎜ 이하이다. 강연도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생지의 강연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의 제 2 생지는 제 2 생지가 무공 필름인 경우에는 무공 필름의 공극률을 5% 미만으로 하고, 무공 필름의 두께를 50㎛ 이상 300㎛ 이하로 함으로써 강연도를 20㎜ 이상 50㎜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생지의 강연도는 제 2 생지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높게 할 수 있고, 제 2 생지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강연도는 소재의 유연성을 기지의 수단에 의해 조정함으로써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생지의 강연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방호복은 착용자의 몸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져 작업성이 향상되기 쉽다. 또한, 제 2 생지의 강연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방호복은 착용자가 작업을 행하는 중에 땀을 흘렸을 때에 제 2 생지가 착용자의 몸에 휘감겨 붙기 어려워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다.
제 2 생지는,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다. 바이러스 배리어성은 클래스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래스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임으로써 방호복은 배리어성이 우수하다.
제 2 생지의 바이러스 배리어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2 생지가 무공 필름인 경우에는 무공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무공 필름의 공극률을 낮게 함으로써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생지는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다. 혈액 배리어성은 클래스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래스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임으로써 방호복은 배리어성이 우수하다.
제 2 생지의 혈액 배리어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2 생지의 혈액 배리어성은 제 2 생지를 구성하는 미다공성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공극률을 낮게 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이러스 배리어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정의된다. 우선, JIS T8061(2010)(ISO16604:2004에 상당)에 의해 정하는 D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바이러스가 투과하지 않는 압력 중 최대가 되는 압력값(최대 압력)을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최대 압력값을 JIS T8122(2007)(EN14126:2003에 상당)에 나타내어진 내박테리오파지 침투성의 기준을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바이러스 배리어성(클래스 1∼6)이 정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혈액 배리어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정의된다. 우선, JIS T8060(2007)(ISO16603:2004에 상당)에 의해 정하는 D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혈액이 투과하지 않는 압력 중 최대가 되는 압력값(최대 압력값)을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최대 압력값을 JIS T8122(2007)(EN14126:2003에 상당)에 나타내어진 내인공 혈액 침투성의 기준을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혈액 배리어성(클래스 1∼6)이 정의된다.
제 2 생지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2 생지의 소재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 기지의 방수용의 포백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무공 필름을 제 2 생지로 함으로써 우수한 혈액 배리어성, 및 우수한 바이러스 배리어성을 갖는 제 2 생지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제 2 생지가 무공 필름인 경우에는 제 2 생지는 무공 필름의 공극률을 5% 미만으로 하고, 무공 필름의 두께를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배리어성이 얻어지기 쉽다.
제 2 생지의 공극률은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무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극률이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제 2 생지는 강연도, 혈액 배리어성, 바이러스 배리어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쉽다.
제 2 생지의 투습도는 제 1 생지의 투습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리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제 2 생지를 얻기 위해서 제 2 생지를 무공 필름에 의해 제작했을 경우, 제 2 생지의 투습도는 제 1 생지의 투습도보다 낮아진다. 제 2 생지의 투습도는 0g/㎡/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g/㎡/hr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생지의 투습도는 100g/㎡/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hr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생지의 투습도가 0g/㎡/hr이었다고 해도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투습성이 우수한 제 1 생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 중에 있어서의 방호복 내의 습도가 낮게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방호복은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생지의 투습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를 들면, 제 2 생지의 투습도는 제 2 생지가 무공 필름인 경우에는 무공 필름의 공극률 및 두께를 변동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은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은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해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방호복은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착용자에 대해 보다 우수한 작업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방호복은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에 대해 보다 우수한 쾌적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관절 피복 부분으로서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와,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를 갖고, 또한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갖는 방호복을 예시했다. 이것을 대신하여, 본 발명의 방호복은 관절 피복 부분으로서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갖고,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 및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를 갖고 있지 않는 방호복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본 실시형태의 방호복은 부분 E 및 부분 F가 유연성이 우수한 제 2 생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방호복은 착용 시의 쾌적성과 착용 시의 작업성(특히, 하반신)을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을 주로 설명하는 것이다.
(1) 한 쌍의 소매 부분과, 길 부분을 구비하는 방호복이며, 상기 방호복은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갖고,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 또는 무릎 관절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덮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피복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며,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60㎜ 이상 110㎜ 이하이며,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관절 피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방호복의 전체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제 1 생지의 표면적은 15% 이상 70% 이하인 방호복.
(2) 상기 관절 피복 부분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와,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를 갖고,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B에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된 방호복.
(3) 상기 관절 피복 부분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갖고,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부분 E 및 상기 부분 F에 배치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방호복.
(4) 상기 제 1 생지는 미다공성 필름을 갖고, 상기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은 3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 2 생지는 무공 필름을 갖고, 상기 무공 필름의 공극률은 5% 미만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복.
(5) 상기 방호복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부분 C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상기 부분 C에 배치되어 있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복.
(6) 후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길 부분과 상기 후드는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후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복.
(7) 상기 길 부분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견갑하근를 덮는 부분 D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상기 부분 D에 배치되어 있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복.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여러가지의 측정 방법, 쾌적성 시험 방법 및 작업성 시험 방법을 설명한다.
[측정 방법]
(1) 두께
다이얼 게이지식 두께계(JIS B7503(1997), PEACOCK제 UPRIGHT DIAL GAUGE(0.001×2㎜), No.25, 측정자 10㎜φ 평형(平型), 50gf 하중)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했다.
(2) 공극률
생지를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얻어진 샘플의 단면을 Hitachi, Ltd.제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S-800을 사용하여 3000배의 배율로 3점 촬상하고, 3점의 촬상의 평균값으로부터 공극률을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했다.
공극률=시야 내의 공극의 면적/시야 내의 필름의 면적
(3) 생지의 바이러스 배리어성
JIS T8061(2010)(ISO16604:2004에 상당)에 의해 정하는 D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바이러스가 투과하지 않는 압력 중 최대가 되는 압력값(최대 압력)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최대 압력값을 JIS T8122(2007)(EN14126:2003에 상당)에 나타내어진 내박테리오파지 침투성의 기준을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를 행했다.
(4) 생지의 혈액 배리어성
JIS T8060(2007)(ISO16603:2004에 상당)에 의해 정하는 D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여 혈액이 투과하지 않는 압력 중 최대가 되는 압력값(최대 압력값)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최대 압력값을 JIS T8122(2007)(EN14126:2003에 상당)에 나타내어진 내인공 혈액 침투성의 기준을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를 행했다.
(5) 투습도
JIS L1099(2012) A-1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g/㎡/hr로 나타냈다.
(6) 강연도
JIS L1096(1999)에서 규정되는 A법(45° 캔틸레버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종방향 및 횡방향의 높은 값을 강연도의 값으로 하고, 단위를 ㎜로 나타냈다.
(7) 쾌적성 시험 방법
모니터가 방호복(M 사이즈)을 착용한 후, 발판 승강을 한 후의 의복 내의 습도 및 쾌적성(후덥지근함)을 모니터가 평가했다. 상기 쾌적성 시험을 같은 방호복에 대해 3명의 모니터가 실시하고, 3명의 모니터의 평가 중 가장 많은 시험 결과를 최종시험 결과로서 채용했다. 쾌적성 시험에 참가한 3명의 모니터는 남성이며, 체중은 58∼64kg, 신장은 168∼174㎝이었다.
<시험 방법>
각 모니터에는 이하의 S1, S2, S3, S4, S5의 순서를 따라 쾌적성 시험을 실시시켰다.
S1: 팬츠(폴리에스테르 88%, 폴리우레탄 12%)와 면의 앵클 양말만을 착용한다.
S2: 목 뒤에 온습도 센서(온습도 센서: T&D사제 SHA-3151, 데이터 로거: T&D사제 온도토리 TR-72wf)를 부착하고, 방호복을 착용하고, 스니커즈를 신는다.
S3: 20℃ 50%RH 분위기의 방에서 30분간 착석하고, 정지한다.
S4: 30℃ 50%RH 분위기의 방으로 이동하고, 동 분위기에서 발판 승강(발판 승강 간격: 15보/10초, 발판 높이 20㎝)을 20분간 행한다.
S5: 20분 후의 의복 내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쾌적성을 평가한다.
<평가 기준>
A: 방호복은 땀참이 없어 쾌적성이 매우 우수했다.
B: 방호복은 땀참이 적어 쾌적성이 우수했다.
C: 방호복은 땀참이 많아 쾌적성이 뒤떨어졌다.
(8) 작업성 시험 방법
모니터가 방호복(M 사이즈)을 착용한 후, 발판 승강을 하고 있을 때의 작업성(걷기 쉬움)과, 강연도를 평가하고 있을 때의 작업성(평가하기 쉬움)을 모니터가 평가했다. 상기 작업성 시험을 같은 방호복에 대해 3명의 모니터가 실시하고, 3명의 모니터의 평가 중 가장 많은 시험 결과를 최종 시험 결과로서 채용했다. 쾌적성 시험에 참가한 3명의 모니터는 남성이며, 체중은 58∼64kg, 신장은 168∼174㎝이었다.
<시험 방법>
각 모니터에게는 이하의 M1, M2의 작업성 시험을 실시시켰다.
M1: (7) 쾌적성 시험 방법에 있어서, 발판 승강을 하고 있을 때의 작업성(걷기 쉬움)을 평가한다.
M2: (6) 강연도의 샘플 컷, 평가하고 있을 때의 작업성(평가하기 쉬움)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평가 기준>
A: 방호복은 걷기 쉽고, 평가하기 쉬워 작업성이 매우 우수했다.
B: 방호복은 약간 걷기 쉽고, 약간 평가하기 쉬워 작업성이 우수했다.
C: 방호복은 걷기 어렵고, 평가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뒤떨어졌다.
(9) 착용자의 신체 치수
신체 치수는 하기의 항목을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신장: 바닥면으로부터 두정점까지의 연직 거리
상완 길이: 견봉점으로부터 요골점까지의 직선 거리
경측·견봉 직선 거리: 경측점으로부터 견봉점까지의 직선 거리
경와 높이: 바닥면으로부터 경와점까지의 연직 거리
흉골 중점 높이: 바닥면으로부터 흉골 중점까지의 연직 거리
전액와 폭: 좌우의 전액와점 간의 직선 거리
견갑골 하각 간 직선 거리: 좌우의 견갑골 하각점 간의 직선 거리
대퇴 길이: 전자점으로부터 경골점까지의 연직 거리
경골 상부 가장자리 높이: 바닥면으로부터 경골점까지의 연직 거리
(10) 방호복의 바이러스 배리어성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봉제하고, 얻어진 방호복에 대해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팔꿈치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및/또는 오른쪽 무릎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 착용 시에 착용자의 왼쪽 팔꿈치 관절을 덮은 방호복의 부분(및/또는 왼쪽 무릎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 및 착용 시에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의 합계 3개∼5개의 부위에 있어서, 「(3) 생지의 바이러스 배리어성」의 항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바이러스 배리어성을 평가하여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가장 낮은 바이러스 배리어성을 방호복의 바이러스 배리어성으로 했다.
(11) 방호복의 혈액 배리어성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봉제하고, 얻어진 방호복에 대해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팔꿈치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및/또는 오른쪽 무릎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 착용 시에 착용자의 왼쪽 팔꿈치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및/또는 왼쪽 무릎 관절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 및 착용 시에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방호복의 부분의 합계 3개∼5개의 부위에 있어서, 「(4) 생지의 혈액 배리어성」의 항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혈액 배리어성을 평가하여 각 부위에 있어서의 가장 낮은 혈액 배리어성을 방호복의 혈액 배리어성으로 했다.
(실시예 1)
제 1 생지로서 2매의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 본드 부직포(단위중량: 20g/㎡)와, 1매의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12㎛, 공극률: 45%)을 준비했다. 이어서, 스펀 본드 부직포, 미다공성 필름 및 스펀 본드 부직포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층간이 접착된 제 1 생지 1-1을 준비했다. 여기서, 제 1 생지 1-1의 각 층간의 접착은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각 층간에 배치하여 행했다. 제 1 생지의 각 층간에 있어서의 핫멜트 접착제의 함유량은 각 층간당 2.0g/㎡이었다. 또한, 제 2 생지 2-1로서 폴리에틸렌제 무공 필름(두께: 200㎛, 공극률: 1% 미만)을 준비했다. 제 1 생지 1-1, 제 2 생지 2-1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그 후, 얻어진 제 1 생지 1-1 및 얻어진 제 2 생지 2-1로부터 방호복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츠를 잘라냈다. 이어서, 후드를 갖는 연결형의 방호복의 형태로 하기 위해서 이들의 복수의 파츠를 재봉틀로 봉합했다. 얻어진 방호복을 실시예 1의 방호복으로 했다.
얻어진 방호복의 개념도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1의 방호복(8)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1의 방호복(8)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방호복(8)은 한 쌍의 소매 부분, 길 부분, 하의 및 후드(6)를 구비하고 있다. 앞길 부분은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부분 C와 착용자의 견갑하근를 덮는 부분 D를 구비하고 있다. 부분 C는 참조 부호 3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부분 D는 참조 부호 7로 나타내어져 있다. 한 쌍의 소매 부분의 일방은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소매 부분의 타방은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를 구비하고 있다. 부분 A는 참조 부호 1로 나타내어져 있고, 부분 B는 참조 부호 2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하의는 착용자의 오른쪽 발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발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구비하고 있다. 부분 E는 참조 부호 4로 나타내어져 있고, 부분 F는 참조 부호 5로 나타내어져 있다. 후드, 부분 C, 부분 D, 부분 E 및 부분 F는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고, 부분 A 및 부분 B는 제 2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및 부분 A∼F를 제외한 방호복의 다른 부분은 제 2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 중의 백색으로 표시된 영역에 상당하는 방호복의 부분은,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 중의 도트로 표시된 영역에 상당하는 방호복의 부분은 제 2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1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제 1 생지를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스펀 본드 부직포를 2매 준비하고,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12㎛, 공극률: 45%)을 2매 준비했다. 이어서, 이들을 스펀 본드 부직포,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 및 스펀 본드 부직포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층간이 접착된 제 1 생지 1-2를 준비했다. 제 1 생지에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과 얻어진 제 1 생지 1-2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얻어진 제 1 생지 1-2와 제 2 생지 2-1을 표 2의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2의 방호복으로 했다. 실시예 2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2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제 1 생지를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12㎛, 공극률: 45%)을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12㎛, 공극률: 33%)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생지 1-3을 준비했다. 제 1 생지에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과, 얻어진 제 1 생지 1-3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얻어진 제 1 생지 1-3과 제 2 생지 2-1을 표 2의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3의 방호복으로 했다. 실시예 3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3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제 2 생지를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제 2 생지 2-2로서 폴리에틸렌제 무공 필름(두께: 300㎛, 공극률: 1% 미만)을 준비했다. 얻어진 제 2 생지 2-2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제 1 생지 1-1과 얻어진 제 2 생지 2-2를 표 2의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4의 방호복으로 했다. 실시예 4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4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제 1 생지 1-1과 제 2 생지 2-1을 표 2에 기재된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5의 방호복(8a)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5의 방호복(8a)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의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또한, 하의는 착용자의 오른쪽 발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발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구비하고 있다. 부분 E는 참조 부호 4a로 나타내어져 있고, 부분 F는 참조 부호 5a로 나타내어져 있다. 후드, 부분 C 및 부분 D는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고, 부분 A, 부분 B, 부분 E 및 부분 F는 제 2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및 부분 A∼F를 제외한 방호복의 다른 부분은 제 2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 중의 백색으로 표시된 영역에 상당하는 방호복의 부분은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 중의 도트로 표시된 영역에 상당하는 방호복의 부분은 제 2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5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5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제 1 생지 1-1과 제 2 생지 2-1을 표 2에 기재된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6의 방호복(8b)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6의 방호복(8b)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1이나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4와 마찬가지의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실시예 6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6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제 1 생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12㎛, 공극률: 45%)을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60㎛, 공극률: 25%)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생지 1-4를 얻었다. 제 1 생지에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과 두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제 1 생지 1-4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얻어진 제 1 생지 1-4와 제 2 생지 2-1을 표 2의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1의 방호복을 얻었다.
비교예 1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비교예 1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제 1 생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12㎛, 공극률: 45%)을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두께: 4㎛, 공극률: 45%)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생지 1-5를 얻었다. 제 1 생지에 사용한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과 두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제 1 생지 1-5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얻어진 제 1 생지 1-5와 제 2 생지 2-1을 표 2의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2의 방호복을 얻었다.
비교예 2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비교예 2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제 2 생지로서 폴리에틸렌제 무공 필름(두께: 400㎛, 공극률: 1% 미만) 2-3을 준비했다. 얻어진 제 2 생지 2-3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제 1 생지 1-1과 얻어진 제 2 생지 2-3을 표 2의 조합으로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3의 방호복을 얻었다.
비교예 3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과,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비교예 3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는 모든 생지를 제 2 생지 2-1로 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4의 방호복을 얻었다. 도 7은 비교예 4의 방호복(8c)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8은 비교예 4의 방호복(8c)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6과 마찬가지의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방호복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비교예 4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방호복의 각 부위에 사용하는 모든 생지를 제 1 생지 1-1로 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비교예 5의 방호복을 얻었다. 도 9는 비교예 5의 방호복(8d)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10은 비교예 5의 방호복(8d)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8과 마찬가지의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방호복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1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비교예 5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부분 A 및 부분 B에 제 1 생지 1-1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7의 방호복을 얻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7의 방호복(8e)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7의 방호복(8e)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10과 마찬가지의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방호복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7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8)
하의 중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 및 왼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의 윗부분에 제 1 생지 1-1로 이루어지는 부위 G를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8의 방호복을 얻었다. 부위 G는 참조 부호 9f가 붙여져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8의 방호복(8f)의 앞면의 개념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일실시형태인 실시예 8의 방호복(8f)의 배면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5∼7, 비교예 4, 비교예 5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12와 마찬가지의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방호복의 방호복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제 2 생지의 합계의 면적의 면적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실시예 8의 방호복을 이용하여 3명의 모니터가 쾌적성 시험과 작업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8의 방호복은 모두 쾌적성 시험에 있어서 땀참이 없거나 적어 쾌적성이 우수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8의 방호복은 모두 작업성 시험에 있어서 걷기 쉽고, 평가하기 쉬워 작업성이 우수했다.
한편, 비교예 1의 방호복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인 제 1 생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의복 내가 고습도가 되고, 땀참이 많아 쾌적성이 뒤떨어졌다. 비교예 2의 방호복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인 제 1 생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바이러스 배리어성 및 혈액 배리어성이 낮았다. 비교예 3의 방호복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인 제 2 생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걷기 어렵고, 평가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뒤떨어졌다. 비교예 4의 방호복은 본 발명의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병용하지 않고 제 2 생지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의복 내가 고습도가 되고, 땀참이 많아 쾌적성이 뒤떨어졌다. 비교예 5의 방호복은 본 발명의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병용하지 않고 제 1 생지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걷기 어렵고, 평가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뒤떨어졌다.
1, 1d, 1e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
2, 2d, 2e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
3, 3c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부분 C
4, 4a, 4c 착용자의 오른쪽 발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
5, 5a, 5c 착용자의 왼쪽 발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
6, 6b 후드
7, 7b, 7c 착용자의 견갑하근를 덮는 부분 D
8, 8a, 8b, 8c, 8d, 8e, 8f 방호복
9f 착용자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의 윗부분

Claims (7)

  1. 한 쌍의 소매 부분과, 길 부분을 구비하는 방호복이며,
    상기 방호복은,
    제 1 생지 및 제 2 생지를 갖고,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 또는 무릎 관절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덮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 피복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투습도가 200g/㎡/hr 이상이며,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60㎜ 이상 110㎜ 이하이며,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관절 피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바이러스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또한 혈액 배리어성이 클래스 4 이상이며,
    강연도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방호복의 전체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제 1 생지의 표면적은 15% 이상 70% 이하인 방호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피복 부분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A와, 착용자의 왼쪽 팔의 팔꿈치 관절을 덮는 부분 B를 갖고,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부분 A 및 상기 부분 B에 배치되어 있는 방호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피복 부분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E와, 착용자의 왼쪽 다리의 무릎 관절을 덮는 부분 F를 갖고,
    상기 제 2 생지는 상기 부분 E 및 상기 부분 F에 배치되어 있는 방호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생지는 미다공성 필름을 갖고,
    상기 미다공성 필름의 공극률은 3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 2 생지는 무공 필름을 갖고,
    상기 무공 필름의 공극률은 5% 미만인 방호복.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대흉근을 덮는 부분 C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상기 부분 C에 배치되어 있는 방호복.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길 부분과 상기 후드는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후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생지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복.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 부분은 상기 방호복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견갑하근를 덮는 부분 D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생지는 상기 부분 D에 배치되어 있는 방호복.
KR1020227001132A 2019-09-11 2020-09-01 방호복 KR20220059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5185 2019-09-11
JPJP-P-2019-165185 2019-09-11
PCT/JP2020/033107 WO2021049375A1 (ja) 2019-09-11 2020-09-01 防護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466A true KR20220059466A (ko) 2022-05-10

Family

ID=7486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32A KR20220059466A (ko) 2019-09-11 2020-09-01 방호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87395A1 (ko)
EP (1) EP4029394A4 (ko)
JP (1) JPWO2021049375A1 (ko)
KR (1) KR20220059466A (ko)
CN (1) CN114340431A (ko)
BR (1) BR112022002568A2 (ko)
MX (1) MX2022002795A (ko)
WO (1) WO2021049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1014438A (es) * 2019-06-13 2022-01-06 Toray Industries Ropa protectora.
TWI761273B (zh) 2021-08-03 2022-04-11 衛普實業股份有限公司 抗血液及病毒之防護衣用非織物
US20230263245A1 (en) * 2022-02-18 2023-08-24 Kevin Patrick Hoffert Protective crawl suit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355A1 (ja) 2016-01-06 2017-07-13 東レ株式会社 防護服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078A (en) * 1984-03-05 1990-06-12 W. L. Gore & Associates, Inc. Unitized garment system for particulate control
US4683593A (en) * 1985-10-17 1987-08-04 Kappler, Inc. Protective garment
US4823404A (en) * 1988-06-10 1989-04-25 Kimberly-Clark Corporation Two piece protective garment
US5155867A (en) * 1991-05-23 1992-10-20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undergarment
ZA929044B (en) * 1991-12-19 1993-05-19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protective garment adapted to stretchably conform to a wearer.
US5509142A (en) * 1993-06-30 1996-04-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aised arm coveralls
GB9713014D0 (en) * 1997-06-20 1997-08-27 Minnesota Mining & Mfg Protective garments
JP2001037893A (ja) * 1999-07-28 2001-02-13 Kuramoto Sangyo:Kk 防護性と動作性とを兼ね備えた防火服の構成方法、および、同防火服
ITPS20010029A1 (it) * 2001-11-15 2003-05-15 Cl Com Advanced Tecnology Srl Indumento di protezione contro gli agenti biologici
US20070192947A1 (en) * 2003-07-10 2007-08-23 Cylena Medical Technologies Inc. Protective apparel with improved doffing
US20050130521A1 (en) * 2003-12-10 2005-06-16 Wyner Daniel M. Protective laminates
PL2142023T3 (pl) * 2007-03-22 2015-11-30 Carraro S R L Ubiór chroniący przed porażeniem prądem elektrycznym
US10863783B2 (en) * 2007-04-16 2020-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tective apparel with angled stretch panel
WO2012026030A1 (ja) * 2010-08-26 2012-03-01 株式会社重松製作所 化学防護服
JP2013133566A (ja) * 2011-12-27 2013-07-08 Toray Ind Inc 耐電圧性作業服
EP3078704A4 (en) * 2013-12-03 2017-07-19 Toray Industries, Inc. Porous film, water-resistant and moisture-transmitting material, and medical garment and protective garment using water-resistant and moisture-transmitting material
US10278435B2 (en) * 2014-04-30 2019-05-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otective garments and methods of making
JP6579742B2 (ja) * 2014-10-30 2019-09-25 セーレン株式会社 防護服用素材および防護服
EP3039977B8 (en) * 2014-12-12 2023-03-1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uit designs and doffing method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G11201704978YA (en) * 2014-12-26 2017-07-28 Toray Industries Protective clothing
JP2016129992A (ja) * 2015-01-15 2016-07-21 東洋紡株式会社 防護材料
US20170120083A1 (en) * 2015-10-29 2017-05-04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integrated hood for garment
WO2017169718A1 (ja) * 2016-03-30 2017-10-05 東レ株式会社 衣類
JP2018139899A (ja) * 2017-02-28 2018-09-13 東レ株式会社 防護服
JPWO2020009136A1 (ja) * 2018-07-04 2021-07-08 東レ株式会社 防護服
CN115485134A (zh) * 2020-04-13 2022-12-16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防护织物和由其制成的服装
US20220061412A1 (en) * 2020-08-26 2022-03-03 II Robert E. Culver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garment
US11963560B2 (en) * 2021-01-10 2024-04-23 Fung Lead Medical And Sports Co., Ltd. Medical protective gar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355A1 (ja) 2016-01-06 2017-07-13 東レ株式会社 防護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87395A1 (en) 2022-09-15
EP4029394A1 (en) 2022-07-20
CN114340431A (zh) 2022-04-12
WO2021049375A1 (ja) 2021-03-18
JPWO2021049375A1 (ko) 2021-03-18
EP4029394A4 (en) 2023-09-13
MX2022002795A (es) 2022-04-06
BR112022002568A2 (pt)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9466A (ko) 방호복
JP6646159B2 (ja) テクスチャー加工された、通気性のあるテキスタイル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調製された衣類
RU2227096C2 (ru)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из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пленки, обладающий повышенной прочностью на разры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AU701796B2 (en) Nonwoven protective laminate
JP2011511887A (ja) 複合布
KR20150111350A (ko) 탄성 복합 패브릭을 포함하는 가먼트
JPH11504397A (ja) 液体分散衣類
JPWO2020009136A1 (ja) 防護服
WO2014024792A1 (ja) 使い捨て着用物
JP2018509533A (ja) コンフォーマブル低密度フルオロポリマー繊維ブレンドを含む布
JP6897898B1 (ja) 防護服
EP2626456B1 (en)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and product thereof
JP2010018941A (ja) 防寒衣服
WO2017119355A1 (ja) 防護服
JP2009256863A (ja) 複合ファブリック
JP2000160463A (ja) 柔軟性不織布
TWI736035B (zh) 溫熱器具
WO2023171175A1 (ja) 防護服
Gosavi et al. Nonwoven laminates containing cotton for medical applications
MXPA97008075A (en) Nonwoven protective laminate
JP2002242063A (ja) 衣料用不織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