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126A -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 Google Patents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126A
KR20220053126A KR1020200137191A KR20200137191A KR20220053126A KR 20220053126 A KR20220053126 A KR 20220053126A KR 1020200137191 A KR1020200137191 A KR 1020200137191A KR 20200137191 A KR20200137191 A KR 20200137191A KR 20220053126 A KR20220053126 A KR 20220053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storage space
ope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율
Original Assignee
강동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율 filed Critical 강동율
Priority to KR102020013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126A/ko
Publication of KR2022005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08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수납장본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판재, 상기 수납장본체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납장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와 연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수납장본체에 상기 송풍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송풍부가 상기 내부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송풍부가 수납장본체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를 공기정화부를 통해 정화시켜 수납장본체의 수납공간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수납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기술의 수납장이 놓이는 공간 내의 공기 또한 수납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정화되므로 본 기술은 수납장 내의 수납공간의 내부공기를 청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납장이 놓이는 주변 공간의 외부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cabinet with internal and external air cleaning function}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장 내부 및 외부의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칫솔, 면도기, 수건 등의 일상용품, 의류, 신발, 식기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유행성 질병이 발생하는 요즘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증대되고 있다.
특히, 욕실이나 화장실은 습기로 인하여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야기하고 있다.
기존의 대부분의 수납장은 물품 보관이라는 용도에만 집중하고 있을 뿐 위생을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수납장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에 대한 위생을 고려한 기술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KR 제20-0453405호 "살균기를 내장한 욕실장"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욕실장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부분에서는 살균이 가능하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수납장 내부를 골고루 청결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수납공간을 골고루 청결하게 유지하며, 수납공간 중 일부가 외부에 개방되더라도 나머지 수납공간은 외부에 개방되지 않아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지 않으며, 수납장이 배치되는 공간 또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수납장본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판재, 상기 수납장본체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납장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와 연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수납장본체에 상기 송풍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송풍부가 상기 내부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판재에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판재는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복수개의 상기 판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송풍부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판재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홀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 마련되는 상기 관통홀 중 둘 이상의 관통홀은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 마련되는 상기 도어는 각각 복수개의 상기 구획공간 중 대응되는 구획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 마련되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이하 개방도어라 함-가 열릴 경우, 상기 개방도어에 대응되는 구획공간-이하 개방구획공간이라 함-은 상기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판재 중 상기 개방구획공간의 외각을 형성하는 판재-이하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라 함-에는 상기 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막는 제1관통홀차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방도어에는 부분개방도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구획공간의 일부-이하 부분개방구획공간이라 함-는 상기 부분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판재 중 상기 부분개방구획공간의 외곽을 형성하는 판재-이하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라 함-에는 상기 부분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막는 제2관통홀차단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은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공기정화부가 위치하는 공간-이하 제1공간이라 함- 및 상기 송풍부가 위치하는 공간-이하 제2공간이라 함-으로 분할하는 수납공간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분할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공간분할부의 대향면 및 상기 송풍부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공간분할부의 대향면에는 각각 제1통기구 및 제2통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기구와 상기 제2통기구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 한편,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은 상기 송풍부 또는 상기 송풍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1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은 상기 공기정화부 또는 상기 공기정화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1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살균부는 상기 공기정화부 또는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또 한편,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은 개방된 상기 수납장본체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장본체의 내면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2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송풍부가 수납장본체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를 공기정화부를 통해 살균 및 정화시켜 수납장본체의 수납공간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수납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판재에 관통홀을 마련함으로써 공기정화부를 통해 정화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수납공간에 골고루 순환시켜 제공할 수 있어 수납공간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기울기가 서로 다른 관통홀을 활용함으로써 사각지대가 최소화하여 수납공간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판재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개폐할 수 있는 제1관통홀차단부 및 제2관통홀차단부를 통해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 중 어느 한 도어가 열리더라도 복수의 도어 중 다른 도어에 의하여 닫혀 있는 수납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도어가 열리지 않은 수납공간을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제1통기구 및 제2통기구를 통하여 구비하는 수납공간분할부를 통하여 수납공간을 공기정화부가 위치하는 공간인 제1공간과 송풍부가 위치하는 공간인 제2공간으로 분할하고, 제1통기구 및 제2통기구를 서로 이격되게 마련함으로써 송풍부에 의해 공기정화부를 통해 수납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수납공간 전체를 골고루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복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구획된 본 기술의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서 외부공기가 순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복수개 마련되는 도어 중 어느 한 도어가 열릴 경우 제1관통홀차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수납공간분할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복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구획된 본 기술의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서 외부공기가 순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복수개 마련된 도어에 의해 수납공간이 폐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도 2의 (a)의 경우 송풍부에 의한 수납공간 내부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복수개 마련되는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인 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제1관통홀차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사각형 내의 그림은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제1관통홀차단부가 동작하여 개방구획공간에 인접하는 구획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을 막아 개방구획공간에 인접하는 구획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수납공간분할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제1통기구가 마련된 수납공간분할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제2통기구가 마련된 수납공간분할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c)는 수납공간이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송풍부가 수납장본체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를 공기정화부를 통해 살균 및 정화시켜 수납장본체의 수납공간으로 유입하여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수납공간분할부의 역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100)은 수납장본체(110), 판재(120), 도어(130), 송풍부(140) 및 공기정화부(15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수납공간분할부(124), 제1발열부(160), 제1살균부(170), 제2발열부(180), 제2살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100)은 수납장(100)으로 간략하여 호칭하기로 한다.
수납장본체(110)는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다.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마련되는 한 수납장본체(110)의 소재, 형상 등에는 제한이 없다.
판재(120)는 수납공간(112)을 구획한다. 수납공간(112)을 구획하고, 수납공간(112)에 수용되는 대상체(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는 한 판재(120)의 소재, 형상 등에는 제한이 없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20)는 수납공간(112)을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판재(120)는 수납공간(112)을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분할할 수도 있다.
도어(130)는 수납장본체(110)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한다. 수납장본체(110)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한 도어(130)의 소재, 형상 등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도어(130)는 수납장본체(110)의 측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부(미도시)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수납장본체(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가 마련되어 도어(130)가 열린 후 외력이 제거되면 도어(130)가 수납장본체(110)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도어(130)가 닫도록 하거나,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30)가 수납장본체(110) 또는 판재(1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수납공간(112)을 외부와 격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송풍부(140)는 수납장본체(110)에 마련되며, 수납공간(112)을 외부와 연통한다. 송풍부(140)로는 예로서 전기모터와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송풍팬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기정화부(150)는 수납장본체(110)에 송풍부(140)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수납공간(112)을 상기 외부와 연통한다. 공기정화부(150)로는 공기정화필터부(150), 흡입부(152)와 연동되는 음이온발생부(154)가 예로서 활용될 수 있다.
공기정화필터부(150a)로는 예로서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공기를 수납공간(112)으로 유입하는 과정에서 헤파필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세균, 곰팡이 등이 수납공간(1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납공간(112)의 내부공기를 청정하게 할 수 있다. 다르게는, 공기정화필터부(150a)로는 구리와 섬유를 혼합하여 제작되는 항균동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항균동을 통하여 필터에 부착된 바이러스, 세균 등을 살균함과 동시에 필터에서 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음이온발생부(154)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음이온발생부(154)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장본체(110)에 마련되고 수납장본체(110)에 마련되는 음이온배출구를 통하여 흡입부(152) 방향으로 음이온을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부(140)는 수납공간(112)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하며, 송풍부(140)가 상기 내부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공기정화부(150)를 통해 정화되어 수납공간(112)으로 유입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송풍부(140)가 수납장본체(11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를 공기정화부(150)를 통해 정화시켜 수납장본체(110)의 수납공간(112)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수납공간(112)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기술의 수납장(100)이 놓이는 공간 내의 공기 또한 수납장(100)으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정화되므로 본 기술은 수납장(100) 내의 수납공간(112)의 내부공기를 청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납장(100)이 놓이는 주변 공간 즉, 수납장(100)의 외부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공기정화부(150) 또는 송풍부(140)에 직접 도는 인접하여 향기제공부(162)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송풍부(140)에 인접하여 마련된 향기제공부(162)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향기제공부(162)는 예로서 편백나무 피톤치드향 제공부(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피톤치드향 제공부를 공기정화부(150) 또는 송풍부(140)에 마련함으로써 수납공간(112)뿐만 아니라 본 기술의 수납장(100)이 마련된 공간(예로서 욕실 등)에 피톤치드의 은은한 향을 제공함으로써 수납장(100)의 수납공간(112)뿐만 아니라 수납장(100)이 마련된 공간의 냄새제거와 살균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향기제공부(162)는 예로서 수납공간(112)에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향기배출구를 통해 아로마(aroma)를 배출하는 고체 또는 액체 형상의 향체로 마련될 수 있다.
판재(120)에는 관통홀(122)이 마련될 수 있다. 판재(120)는 복수개 마련되어 수납공간(122)을 복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공기정화부(150)를 통해 수납공간(122)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관통홀(122)을 통해 복수개의 판재(120)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122)을 경유하여 송풍부(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20)에 마련되는 관통홀(122)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 마련되는 관통홀(122) 중 둘 이상의 관통홀은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의 기울기는 예로서 판재(120)의 법선벡터를 기준으로 약 0도 내지 약 45도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수납장본체(110)의 좌측 측면 하단에 마련된 공기정화부(150) 및 우측 측면 상단에 마련된 송풍부(14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송풍부(140)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송풍부(14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관통홀(122)을 포함하는 판재(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면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관통홀(122)의 경사를 달리함으로써 공기정화부(150)로 유입되어 정화된 외부공기는 사각지대가 최소화된 상태로 수납공간(122) 전체를 골고루 순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수납공간(122)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어(130)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 마련되는 도어(130)는 각각 복수개의 구획공간(114) 중 대응되는 구획공간(114)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 마련되는 도어(130) 중 어느 한 도어-이하 개방도어(130a)라 함-가 열릴 경우, 개방도어(130a)에 대응되는 구획공간-이하 개방구획공간(114a)이라 함-은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판재(120) 중 개방구획공간(114a)의 외각을 형성하는 판재-이하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라 함-에는 개방도어(130a)가 열릴 경우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에 마련되는 관통홀(122)을 막는 제1관통홀차단부(122a, 122a1)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납장(100)에는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30)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130)가 개폐하는 구획공간(114)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도어인 개방도어(130a)를 열면 개방도어(130a)에 대응되는 구획공간(114)인 개방구획공간(114a)은 외부에 노출된다. 제1관통홀차단부(122a1)는 개방구획공간(114a)의 외각을 형성하는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에 마련되어 개방도어(130a)가 열릴 경우 이동하여 도 4의 (e) 및 (f)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의 관통홀(122)을 막아 개방도어(130a)에 인접한 구획공간(114)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내부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제1관통홀차단부(122a, 122a1)는 예로서 판재(120) 또는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판재(120) 또는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의 내부 안쪽에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관통홀차단부(122a, 122a1)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판재(120) 또는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의 바깥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거리제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도어(130a)에는 부분개방도어(130b)가 마련될 수 있다. 개방구획공간(114a)의 일부-이하 부분개방구획공간(114b)이라 함-는 부분개방도어(130b)가 열릴 경우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판재(120) 중 부분개방구획공간(114b)의 외곽을 형성하는 판재-이하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라 함-에는 부분개방도어(130b)가 열릴 경우,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에 마련되는 관통홀(122)을 막는 제2관통홀차단부(122b, 122b1)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납장(100)에는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30)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130)가 개폐하는 구획공간(114)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도어인 개방도어(130a)는 복수의 구획공간(114)인 개방구획공간(114a)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개방도어(130a)가 개폐할 수 있는 개방구획공간(114a)중 일부를 개폐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2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도어(130a)에 부분개방도어(130b)를 마련하여 개방도어(130a)가 개폐할 수 있는 개방구획공간(114a) 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부분개방도어(130b)를 열면 부분개방도어(130b)에 대응되는 구획공간(114)인 부분개방구획공간(114b)은 외부에 노출된다. 제2관통홀차단부(122b1)는 부분개방구획공간(114b)의 외각을 형성하는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에 마련되어 부분개방도어(130b)가 열릴 경우 이동하여 도 4의 (e) 및 (f)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의 관통홀(122)을 막아 부분개방도어(130b)에 인접한 구획공간(114a)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내부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제2관통홀차단부(122b, 122b1)는 제1관통홀차단부(122a, 122a1)와 실질적으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관통홀차단부(122a, 122a1) 또는 제2관통홀차단부(122b, 122b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 또는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의 상부와 하부에 도어(130)가 밀착되어 있을 경우, 즉 도어(130)가 닫혀 있을 경우 도 4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122)은 개방된다. 이를 통하여 인접한 수납공간(122) 또는 구획공간(114)은 서로 연통된다.
도 4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 또는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의 상부 도어(130)가 개방된 경우, 제1관통홀차단부(122a) 또는 제2관통홀차단부(122b)가 동작하여 관통홀(122)은 닫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도어(130)가 개방된 수납공간(122) 또는 구획공간(144)는 서로 차단된다.
마찬가지로, 도 4의 (e)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a) 또는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120b)의 하부 도어(130)가 개방된 경우, 제1관통홀차단부(122a1) 또는 제2관통홀차단부(122b1)가 동작하여 관통홀(122)은 닫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도어(130)가 개방된 수납공간(122) 또는 구획공간(144)는 서로 차단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개방도어(130a)에 부분개방도어(130b)를 마련하여 개방도어(130a)가 개폐할 수 있는 개방구획공간(114a) 중 일부를 개폐하더라도 인접한 수납공간(122) 또는 구획공간(144)이 외부공기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수납공간분할부(124)는 수납공간(112)을 공기정화부(150)가 위치하는 공간-이하 제1공간이라 함- 및 송풍부(140)가 위치하는 공간-이하 제2공간이라 함-으로 분할할 수 있다. 수납공간분할부(124)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공기정화부(150)에 대향하는 수납공간분할부(124)의 대향면 및 송풍부(140)에 대향하는 수납공간분할부(124)의 대향면에는 각각 제1통기구(124a) 및 제2통기구(124b)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통기구(124a)와 제2통기구(124b)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수납장본체(110)의 좌측 측면 하단에 마련된 공기정화부(150) 및 우측 측면 상단에 마련된 송풍부(14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수납공간(112)을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으로 분할하는 수납공간분할부(124)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공기정화부(15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마련되는 제1통기구(124a)와 송풍부(14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마련되는 제2통기구(124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5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도어(130)에 의해 수납공간(112)이 닫힌 상태에서, 송풍부(140)가 수납장본체(11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송풍부(140)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에 대응하는 공기가 공기정화부(150)를 통하여 유입된다. 이때, 수납공간분할부(124)를 마련함으로써 송풍부(14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2공간의 공기는 수납공간분할부(124)의 제2통기구(124b)를 통해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급된다. 송풍부(14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제2통기구(124b)를 마련함으로써 제2통기구(124b)를 통하여 유입되어 송풍부(140)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간을 전체적으로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송풍부(140)가 수납장본체(11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공기정화부(15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에 대응하는 공기가 송풍부(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수납공간분할부(124)를 마련함으로써 공기정화부(150)를 통하여 수납공간(112)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에 대응하는 제1공간의 공기가 제1통기구(124a) 및 수납공간분할부(124)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제2통기구(124b)를 통하여 상기 제2공간으로 제공된 후 송풍부(140)로 배출된다. 공기정화부(15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제1통기구(124a)를 마련함으로써 공기정화부(150)를 통하여 유입되어 제1통기구(124a)를 통하여 상기 제2공간으로 제공되는 공기는 상기 제1공간을 전체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제2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공기정화부(150)로 유입되어 정화된 외부공기는 사각지대가 최소화된 상태로 수납공간(122) 전체를 골고루 순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수납공간(122)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122)이 마련되는 판재(120)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획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외부공기가 수납공간(122)을 보다 더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판재(120)의 관통홀(122)의 경사를 달리함으로써 외부공기가 수납공간(122)을 보다 더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관통홀(122)을 구비하는 판재(120)의 역할에 대해서는 앞서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는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제1발열부(160)는 송풍부(140) 또는 송풍부(140)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발열부(160)를 송풍부(140) 또는 송풍부(140)에 인접하여 마련함으로써 공기정화부(150)를 통해 정화되어 수납공간(122)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본 기술의 수납장(100)이 마련된 공간(예, 습기가 많은 욕실 등)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의 (b)에는 제1발열부(160)로서 송풍부(140)에 마련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1발열부(160)로는 히팅와이어, 면상발열체, 세라믹 히터 발열체 등 통상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살균부(170)는 공기정화부(150) 또는 공기정화부(150)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살균부(170)는 공기정화부(150) 또는 공기정화부(150)를 통해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살균부(170)는 공기정화부(150)를 직접 살균함으로써 공기정화부(150)의 동작과정에서 공기정화부(150)에 부착되는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번식에 의한 공기정화부(150)의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살균부(170)로는 UV-C 파장(약 200 내지 약 280nm)의 LED 살균기 등 다양한 살균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인체 노출시 사람에게 유해하지 않은 약 405nm 내지 약 461nm 파장의 LED 살균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제2발열부(180)는 공기정화부(150)에 인접하여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발열부(180)는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발열부(180)는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승 경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수납공간(112)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발열부(180)로는 히팅와이어, 면상발열체, 세라믹 히터 발열체 등 통상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살균부(190)는 개방된 수납장본체(110)의 일면에 대향하는 수납장본체(110)의 내면이나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에 대향하는 도어(13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는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에 대향하는 도어(130)의 상기 일면에 마련되는 제2살균부(19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2의 (b)에는 개방된 수납장본체(110)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수납장본체(110)의 상기 내면에 마련되는 제2살균부(19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2살균부(190)는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에 수용되는 칫솔, 면도기, 수건 등과 같은 대상체(미도시)를 살균할 수 있다. 제2살균부(190)로는 UV-C 파장(약 200 내지 약 280nm)의 LED 살균기 등 다양한 살균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인체 노출시 사람에게 유해하지 않은 약 405nm 내지 약 461nm 파장의 LED 살균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수납장(100)은 도어(130)가 닫힌 경우에 도어(130)와 수납장본체(110) 또는 도어(130)와 판재(1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한 밀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밀착부는 수납장본체(110)의 테두리에 대향하는 도어(130)의 대향위치 또는 판재(120)에 대향하는 도어(130)의 대향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밀착부는 도어(130)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몸체(미도시) 및 상기 몸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수납장본체(110) 또는 판재(120) 방향으로 말린 날개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의 소재로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도어(130)와 수납장본체(110) 또는 도어(130)와 판재(1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납장(100) 기술은 공기정화부(150)와 제1발열부(160)와 연계한 송풍부(140)를 통하여 수납장본체(110) 내부의 수납공간(112) 또는 구획공간(114)뿐만 아니라 수납장(100)이 마련되는 공간(예, 욕실 등)을 동시에 살균하고, 청정하게 유지하고, 습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납장(100)의 송풍부(140), 제1발열부(160), 제1살균부(170), 제2발열부(180) 및 제2살균부(190)는 사용자의 조작, 미리 설정된 방식 등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납장(100)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도어 개폐센서 등 다양한 센서(미도시)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센서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납장(100)에는 LED 표시등,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시각적 표시수단, 부저 등과 같은 음향적 표시수단 등이 마련되어 상기 센서들, 송풍부(140), 제1발열부(160), 제1살균부(170), 제2발열부(180) 및 제2살균부(190) 등의 동작여부를 외부로 알려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도어(130)를 닫았을 경우에 약 405nm LED를 약 3시간 동안 켠 후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송풍부(140), 제1발열부(16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약 3시간마다 약 30분씩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송풍부(140), 제1발열부(16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동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살균부(170), 제2살균부(190)의 LED가 작동 중일 때 수납장(100)은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을 통하여 LED가 작동 중이라는 표시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100a: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110: 수납장본체
112: 수납공간
114: 구획공간
114a: 개방구획공간
114b: 부분개방구획공간
120: 판재
120a: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
120b: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
122: 관통홀
122a, 122a1: 제1관통홀차단부
122b, 122b1: 제2관통홀차단부
124: 수납공간분할부
124a: 제1통기구
124b: 제2통기구
130: 도어
130a: 개방도어
130b: 부분개방도어
140: 송풍부
150: 공기정화부
150a: 공기정화필터부
152: 흡입부
154: 음이온발생부
160: 제1발열부
162: 향기제공부
170: 제1살균부
180: 제2발열부
190: 제2살균부

Claims (9)

  1.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수납장본체;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판재;
    상기 수납장본체의 개방된 상기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납장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와 연통하는 송풍부; 및
    상기 수납장본체에 상기 송풍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송풍부가 상기 내부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판재는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복수개의 상기 판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송풍부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홀은 복수개 마련되며, 복수개 마련되는 상기 관통홀 중 둘 이상의 관통홀은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복수개 마련되며,
    복수개 마련되는 상기 도어는 각각 복수개의 상기 구획공간 중 대응되는 구획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복수개 마련되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한 도어-이하 개방도어라 함-가 열릴 경우, 상기 개방도어에 대응되는 구획공간-이하 개방구획공간이라 함-은 상기 외부와 연통하되,
    복수의 상기 판재 중 상기 개방구획공간의 외각을 형성하는 판재-이하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라 함-에는 상기 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막는 제1관통홀차단부가 마련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도어에는 부분개방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개방구획공간의 일부-이하 부분개방구획공간이라 함-는 상기 부분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외부와 연통하되,
    복수의 상기 판재 중 상기 부분개방구획공간의 외곽을 형성하는 판재-이하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라 함-에는 상기 부분개방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부분개방구획공간외곽형성판재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막는 제2관통홀차단부가 마련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공기정화부가 위치하는 공간-이하 제1공간이라 함- 및 상기 송풍부가 위치하는 공간-이하 제2공간이라 함-으로 분할하는 수납공간분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분할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기정화부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공간분할부의 대향면 및 상기 송풍부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공간분할부의 대향면에는 각각 제1통기구 및 제2통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제1통기구와 상기 제2통기구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 또는 상기 송풍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1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 또는 상기 공기정화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1살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살균부는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살균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수납장본체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상기 수납장본체의 내면 또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2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KR1020200137191A 2020-10-22 2020-10-22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KR20220053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191A KR20220053126A (ko) 2020-10-22 2020-10-22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191A KR20220053126A (ko) 2020-10-22 2020-10-22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26A true KR20220053126A (ko) 2022-04-29

Family

ID=8142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191A KR20220053126A (ko) 2020-10-22 2020-10-22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3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573B1 (ko)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반려동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살균 및 냄새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573B1 (ko)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반려동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살균 및 냄새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635B2 (ja) 低温プラズマ・紫外線複合殺菌装置
US20030034459A1 (en) Hygienic cabinet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CN107796217B (zh) 浴室管理设备
KR102299070B1 (ko) 이동식 책 걸이대가 갖추어진 책 소독기
KR20190108248A (ko)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장난감 살균 소독장치
KR200422381Y1 (ko) 다기능 신발장
KR20220109870A (ko) 신발관리기
KR20220053126A (ko) 내외부 공기의 청정기능을 구비한 수납장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JP2004275758A (ja) 衛生管理可能な収納ボックス
KR20180026952A (ko) 욕실관리기
KR200315254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칫솔 살균기
KR102521846B1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20200138998A (ko)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JP2004242970A (ja) 歯ブラシ除菌装置
JP2006340783A (ja) 保管庫
KR20210093105A (ko) 신발관리장치
JP2021180746A (ja) 手指殺菌装置
KR200319394Y1 (ko) 동전인식기가 부착된 신발 살균 보관함
KR102307752B1 (ko) 고정식 책 걸이대가 갖추어진 책 소독기
CN216022239U (zh) 洗漱用具消毒装置
KR102411083B1 (ko) 다기능 칫솔 살균기
CN213721678U (zh) 低噪音干手器
KR102522370B1 (ko) 차압 공기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