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912A -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912A
KR20220049912A KR1020200133619A KR20200133619A KR20220049912A KR 20220049912 A KR20220049912 A KR 20220049912A KR 1020200133619 A KR1020200133619 A KR 1020200133619A KR 20200133619 A KR20200133619 A KR 20200133619A KR 20220049912 A KR20220049912 A KR 2022004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alancer
circulation passage
clothes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정관웅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912A/ko
Priority to EP21190980.9A priority patent/EP3985157A1/en
Priority to US17/406,615 priority patent/US20220120010A1/en
Publication of KR2022004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워 캐비닛, 상기 드로워 캐비닛에서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에 구비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되며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 상기 캐비닛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바디 및 상기 드럼바디를 잇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연장면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이 구비되는 밸런서 하우징,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드럼의 회전에 따라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해 유동되는 액체 및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액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액체가 치우치는 측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본 개시에 따르면, 밸런서의 무게중심을 낮추고 의류의 수용공간을 늘릴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Balancer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는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세탁은 물과 세제를 투입해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옷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하며, 건조는 젖어 있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의류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중 소량의 세탁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해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본래의 의류처리장치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들 수 있다.
드럼은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dynamic balance)을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또는 원심력이 만드는 모멘트가 회전축에 대해서 전부 0 (zero)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강체(rigid body)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면 동적균형이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세탁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할 경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탁물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드럼이 허용범위 내에서 진동하면서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는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 이는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 발생한다. 언밸런스 상태로 회전되는 드럼은 진동하고, 드럼의 진동은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낳는다.
의류처리장치는 작동간의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해 밸런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밸런스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언밸런스상태에 밸런서가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가 없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6587호(2020.04.07)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1636호(2015.01.06)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의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의류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밸런서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순환유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정밀한 언밸런스 해소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밸런서 하우징의 상측에서 밸런서 하우징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드럼의 고속 회전시 물이 치우치는 부분에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1링 구조 또는 2링 구조를 갖는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워 캐비닛, 상기 드로워 캐비닛에서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에 구비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바디 및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와 연통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이 구비되는 밸런서 하우징 및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액체가 치우치는 측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면,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내측에 구비되어 밸런서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하부면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에 상기 함몰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은 상기 드럼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럼 연결부 및 상기 드럼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드럼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내측면보다 상기 외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외측면보다 상기 내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에 함몰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순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와 상기 제2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함몰연장부 및 상기 제1 함몰연장부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함몰 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로워 캐비닛은 의류의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유닛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바디 및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와 연통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이 구비되는 밸런서 하우징 및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액체가 치우치는 측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면,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내측에 구비되어 밸런서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하부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은 상디 드럼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럼 연결부 및 상기 드럼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내측면보다 상기 외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외측면보다 상기 내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에 함몰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순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와 상기 제2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함몰연장부 및 상기 제1 함몰연장부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함몰 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밸런서 하우징 내에 유동하는 액체가 드럼의 고속 회전시 낮은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효율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종래의 밸런서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밸런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터브(2), 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상기 터브(2)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고, 도 1은 상기 캐비닛(1)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드럼(3)으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드럼(3)에 저장된 의류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캐비닛 투입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바디(11) 및 상기 캐비닛 투입구(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패널(1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의 상면에 캐비닛 투입구(12)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캐비닛 투입구(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3)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캐비닛 투입구(12) 및 도어(13)가 반드시 캐비닛(1)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브(2)는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2)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2)와 연통되는 터브 투입구(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22)를 형성할 수 있고, 터브 투입구(2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 투입구(12)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터브(2)는 터브(2)의 외관을 형성하는 터브 바디(21)를 구비할 수 있다. 터브 바디(21)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술한 캐비닛 투입구(12)와 연통되는 터브 투입구(2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터브(2)의 상면이 개방되어 터브 투입구(22)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22)는 캐비닛 투입구(12)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 투입구(12)와 연통된다.
상기 터브(2)는 터브 지지부(23)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 지지부(23)는 상기 터브(2)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급수부(5)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5)는 급수원과 터브(2)를 연결하는 급수관(51), 상기 급수관(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제가 저장되고 터브(2)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급수부(5)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제공급장치를 경유한 물이 세제와 함께 터브(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 투입구(22)를 통해 터브(2)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는 상기 물 분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물 분사장치를 통해 터브(2)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터브(2)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수부(6)는 터브(2) 내부의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62), 상기 배수관에 구비된 배수펌프(6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터브(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은 터브(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기 위해,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3)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바디(31), 드럼바디(31)를 잇도록 구비되며 드럼바디(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의류를 지지하는 연장면(32) 및 드럼바디(31)의 일측에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3)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2)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33)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3)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일면이 개방되어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면이 상기 드럼 투입구(3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31)의 외주면에는 드럼바디(31)의 내부와 외부, 즉 드럼(3)의 내부와 드럼(3)에 의해 구분되는 터브(2)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31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로 공급된 물은 상기 드럼(3) 연통홀(310)을 통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구동부(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는 터브(2)의 외부에 고정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4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2), 상기 터브(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3) 등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3)은 상기 터브(2)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캐비닛 투입구(12)는 캐비닛(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투입구(22)는 터브(2)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33)는 드럼(3)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드럼(3) 내부의 일정영역에 의류가 집중된 상태로 드럼(3)이 회전할 경우, 상기 드럼(3)에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가 발생한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3)이 회전하면,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드럼(3)은 진동하면서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3)의 진동은 터브(2)나 캐비닛(1)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거나 감쇠시키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럼(3)의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밸런서(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터브(2)는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드럼(3)은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3)은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드럼 투입구) 및 개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연장면(바닥면, 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의 상면이 상기 드럼 투입구(33)에 대응되고, 하면이 상기 연장면(33)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투입구(33)은 캐비닛(1)의 캐비닛 투입구(12) 및 터브(2)의 터브 투입구(22)를 거쳐 투입되는 의류가 통과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 또는 물 분사장치 등과 같은 수단과 연결되어 터브(2)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과정 등에서 급수부(5)를 제어하여 급수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세탁과정 또는 헹굼과정 등에서 터브(2)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급수량은 캐비닛(1)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컨트롤 패널)(14)를 통해 조절될 수도 있고, 세탁물의 양 또는 구동부(4)의 부하 등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급수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세탁과정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령 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급수량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급수부(5)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방면에 인출구(12)가 구비된 캐비닛(1) 및 캐비닛(1) 일측에 구비되는 드로워(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캐비닛(1)은 의류를 처리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도면에는 전방면에 캐비닛 투입구(12)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캐비닛(1) 내의 의류처리는 세탁 또는 건조에 국한되지 않고, 의류에 열을 가하며 스팀을 분사하는 리프레시 등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의류처리장치(드로워)(100')와 결합되는 의류처리유닛는 세탁, 건조, 리프레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유닛은 세탁기, 건조기, 세탁/건조기, 다리미 및 의류거치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에 드로워(10)가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드로워(10)는 캐비닛(1)의 어느 일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설치 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드로워(10)는 캐비닛(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설치면을 기준으로 캐비닛(1)의 하측에 드로워(10)가 구비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드로워(10)는 드로워 바디(20) 및 드로워 바디(20)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캐비닛(101)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캐비닛(101)은 상술한 캐비닛(1)과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드로워 캐비닛(101)은 캐비닛(1)과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부재로 구분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캐비닛(1)과 드로워 캐비닛(101)이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드로워 캐비닛(10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20), 상기 드로워 바디(2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드로워(10)는 드로워 바디(20), 상기 드로워 바디(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02), 상기 드로워 바디(20)에 고정된 드로워 패널(20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201)은 드로워(10) 및 캐비닛(1)의 전방면에 마련될 수 있다. 드로워 패널(201)은 캐비닛(1)의 전방면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길이만큼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조상의 문제, 기능의 부가에 따라 드로워 패널(201)의 형상을 달라질 수 있다.
드로워 커버(202)는 드로워 바디(20) 내에 수용되는 터브(30)와 드로워 바디(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드로워 커버(202)는 터브 커버(30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 드로워 커버(2021) 및 제1 드로워 커버(2021)의 상측에서 제1 드로워 커버(2021)와 결합되는 제2 드로워 커버(202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커버(202)에는 의류가 투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투입구(203)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 바디(20)는 상부에 개방면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202)는 상기 드로워 바디(2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10)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01)은 드로워 바디(20)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1)으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핸들)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 바디(20)는 드로워 캐비닛(101) 및 드로워 바디(20)에 연결되는 레일부(110)를 통해 쉽게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01)의 상부면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터브(30)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수단(급수밸브, 펌프), 상기 드럼(40)을 회전시키는 수단(구동부)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수단이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202)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20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20) 내부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드로워 커버(20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할 급수관(602)이 삽입되는 드로워 투입구(2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10)은 너비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다른 처리장치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 및 상기 드로워 투입구(203)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드로워 바디(20)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301), 상기 터브 바디(301)에 결합하여 상기 터브(3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0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30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0)의 너비가 드로워 바디(20)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터브 바디(301)의 너비는 터브 바디(301)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바디(301)는 터브 지지부(303)를 통해 드로워 바디(20)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303)는 상기 드로워 바디(20)에서 상기 터브 바디(20)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제1브라켓,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로워 바디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브라켓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 제2브라켓, 일단(상단)은 상기 제1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상기 제2브라켓에 연결된 지지바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터브 지지부(303)는 상기 터브 바디(3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02)에는 상기 터브 바디(301)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304) 및 급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304)는 상기 드로워 투입구(20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커버(3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터브 도어(30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도어(305)는 상기 드로워 투입구(20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터브 도어(305)는 상기 드로워(10)가 드로워 캐비닛(101)에서 인출된 때 상기 터브 투입구(30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구에는 급수관(602)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401) 및 드럼 바디(401)를 잇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며 드럼바디(40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면(402)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40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 또는 상부면에 드럼 투입구(403)가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01)의 원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드럼 바디(401) 내부를 터브(30)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40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드럼 바디(401)는 구동부(5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터브 바디(30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30)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501), 상기 스테이터(501)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02), 및 상기 터브 바디(30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401)와 상기 로터(502)를 연결하는 회전축(50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03)은 상기 터브 투입구(304)에 대해 직각을 형성(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01)의 상단에는 밸런서(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서(7)는 상기 드럼 바디(401)가 회전할 때 상기 드럼 바디에 발생된 진동을 감쇠하는 수단이다. 상기 밸런서(7)는 상기 드럼 바디(401)의 상단에 고정된 밸런서 하우징(71)이 구비되고 밸런서 하우징(71) 내측에 밸런서 하우징(71)과 대응되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된 순환유로(74) 및 상기 순환유로(74)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액체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601)를 통해 물을 공급 받는다. 상기 급수부(601)는 상기 급수구와 드로워 캐비닛(101)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602),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602)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60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04)를 통해 상기 드로워 캐비닛(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604)는 상기 터브 바디(301)의 바닥면과 후술할 배수펌프(606)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605), 상기 배수펌프(606)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드로워 캐비닛(10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0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캐비닛(101)의 후방면에는 상기 제2배수관(607)이 관통하는 드로워 캐비닛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606)는 상기 드로워 바디(20) 또는 드로워 캐비닛(10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배수관(605)과 제2배수관(607)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배수펌프(606)가 드로워 바디(20)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펌프(606)는 상기 드로워 바디(22)의 내부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제2배수관(607)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상기 제2배수관(607)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3 내지 도 5에 적용되는 밸런서에 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즉,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밸런서(7)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로딩(Top-Loading)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도 구비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의류처리장치가 합쳐진 형태 중 하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와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밸런서(7)는 드럼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바디(401)의 상측, 즉 드럼 투입구(403)가 형성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밸런서(7)는 드럼(40)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밸런서(7)는 밸런서 하우징(71) 및 밸런서 커버(7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서 하우징(71)은 상기 드럼 바디(40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40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밸런서 하우징(71)은 밸런서 하우징(71)을 관통하는 밸런서 관통홀(73)이 구비되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밸런서(7)는 내부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74), 및 상기 순환유로(74)에 저장된 액체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액체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액체는 밸런서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드럼(40)의 회전에 따라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해 유동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밸런서 관통홀(73)은 상기 터브 투입구(304)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터브 투입구(304)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밸런서 관통홀(73)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401)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밸런서 관통홀(73)은 드럼 투입구와 연통되어 밸런서 관통홀(73)을 통과한 의류는 드럼 투입구를 통해 드럼바디(401)내로 투입된다.
밸런서 하우징(71)의 상단과 상기 밸런서 커버(72)의 하단은 열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밸런서 하우징(71)과 밸런서 커버(72)는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어 밸런서(7)의 외관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는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밸런서 하우징(71)과 밸런서 커버(72)를 분해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밸런서 하우징(71)과 밸런서 커버(7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런서 하우징(71)의 하단은 상기 드럼 바디(40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71)의 상측은 상기 드럼 바디(40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01)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 액체가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순환유로(74)에는 다수의 슬립방지벽(75)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서 하우징(71)에는 상기 슬립방지벽(75)이 구비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순환유로(74)의 외측면(712)(터브 바디의 원주면을 마주보는 면)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순환유로(74)의 내측면(713)(드럼 바디의 중심을 향하는 면)을 향해 돌출된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벽(75)의 자유단은 상기 순환유로(74)의 내측 원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드럼 바디(401)의 저속회전 시 또는 상기 드럼 바디(401)가 편심회전할 경우, 액체가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슬립방지벽(75)은 상기 밸런서 관통홀(7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의 판(board)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74)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순환유로(74)의 너비(드럼 바디의 지름방향에 평행한 순환유로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드럼 바디의 부피가 감소하는 단점(드럼 바디가 처리 가능한 의류의 양이 감소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순환유로(74)의 너비는 상기 순환유로의 높이(드럼 바디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순환유로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종래의 밸런서와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종래의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대한 설명에 앞서, 밸런서(7)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밸런서 하우징(71) 및 밸런서 커버(72)의 높이(밸런서의 높이) 및 순환유로(74)의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의류처리장치(100')의 언밸런스 상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밸런서(7)의 무게중심(G)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드럼 바디(401)의 상단 및 상기 터브(30)의 상단 진동이 커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밸런서(7)의 무게중심(G)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터브 지지부(303)의 하단과 상기 무게중심(G)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다(터브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점과 드럼 전체의 무게중심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는 상기 터브 지지부(303)의 하단에서 상기 무게중심(G)에 작용하는 힘(액체가 순환유로 내부를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에 직교하는 거리(모멘트 암의 길이)가 증가함을 의미하고, 모멘트 암의 길이 증가는 상기 터브(30)의 상단 진동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유로의 부피를 증가시키면서도, 상기 밸런서의 무게중심(G)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밸런서(7)의 높이가 긴 것이 유리하나 무게중심이 높아져 언밸런스의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밸런서(7)의 높이를 확보하면서도 무게중심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드럼(4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불평형(언밸런스)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밸런서(7)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가 순환유로(74)를 따라 유동된다. 이때 액체는 밸런서(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액체가 밸런서(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치우치는 이유는 액체에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도 7(a) 및 도 7(b)은 액체가 밸런서 하우징(7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치우쳐진 형태, 즉 드럼의 고속회전시 수면(水面)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7)는 함몰부(711)를 포함한다. 함몰부(711)는 드럼(40)이 회전될 때 액체가 치우치는 측의 상측에서 순환유로(74)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함몰부(711)는 밸런서 하우징(71)의 상측에서 순환유로(74)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밸런서에 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7)는 드럼(40)의 회전시 액체가 치우치는 부분의 높이(밸런서의 높이방향 기준) 작아진다.
무게중심은 물체의 각 부분에서 작용하는 중력의 합력의 작용점이다. 따라서, 액체가 치우치는 부분의 높이가 작아지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무게중심이 낮아진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밸런서의 무게중심(G)보다 함몰부(711)가 구비되는 밸런서(7)의 무게중심(G')은 밸런서(7)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d)만큼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40)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언밸런스 발생에 밸런서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밸런서(7)는 드럼(40)의 회전시 언밸런스 정도가 기준치 이상일 때 소음과 진동을 줄여주기 위해 구비되는 부분인데, 밸런서(7)로 인해 언밸런스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밸런서(7)의 높이를 지나치가 낮게 결정하면 의류가 수용될 공간이 줄어들어 세탁(또는 건조)와 같이 의류처리성능의 저하를 동반한다.
밸런서(7)는 함몰부(711)를 구비함으로써, 언밸런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의류의 수용공간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함몰부(711)에 대해 다시 설명한다.
밸런서 하우징(71)은 밸런서 하우징(71)의 반경방향 최외측에 마련되는 외측면(712), 밸런서 하우징(71)의 최내측에 구비되어 밸런서 관통홀(73)을 형성하는 내측면(713) 및 외측면(712)과 내측면(713)을 연결하는 하부면(714)을 포함한다.
외측면(712), 내측면(713) 및 하부면(714)은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면(714)은 드럼바디(401)의 내측에 삽입되어 드럼(40)과 연결되거나 드럼바디(401)의 상측에서 드럼바디(40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712)은 상기 드럼바디(401)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4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럼 연결부(712a) 및 상기 드럼 연결부(712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12b) 및 돌출부(712b)와 연결되는 함몰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 연결부(712a), 돌출부(712b), 함몰부(7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연결부(712a)는 드럼바디(401)와 연결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 연결부(712a)의 길이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밸런서(7)와 드럼(40)은 드럼에 구비되는 밸런서 결합부(40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밸런서 결합부(405)는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연결부(712a) 및 하부면(714)측에서 체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드럼 연결부(712a)가 드럼(40)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는 비드부(404)가 밸런서 결합부(405)가 될 수 있다.
돌출부(712b)는 밸런서 하우징(7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수록 유리하다. 다만, 드럼바디(401)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 공간효율성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712b)는 드럼바디(401)가 형성하는 공간과 동일한 길이 또는 이보다 조금 더 길거나 짧은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함몰부(711)는 외측면(712)에서 내측면(71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함몰연장부(711a) 및 제1 함몰연장부(711a)에서 밸런서(또는 드럼)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함몰연장부(711b)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유로(74)에서 유동되는 액체는 드럼(40)의 고속 회전시 제1 함몰연장부(711a)의 연장 길이까지 치우칠 수 있다. 즉, 드럼(40)의 고속 회전시 밸런서 하우징(71)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2 함몰연장부(711b)의 가상의 연장선의 외측에 액체가 위치될 수 있다.
제2 함몰연장부(711b)는 상술한 밸런서 커버(72)와 열융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밸런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순환유로가 2개 구비된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순환유로가 1개 구비된 밸런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밸런서 하우징(71) 내에는 격벽(76)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76)은 밸런서 하우징(71)의 외측면(712) 및 내측면(713) 사이에 위치되어 밸런서 하우징(71)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격벽에 의해 순환유로(74)는 제1 순환유로(741) 및 제2 순환유로(742)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런서 하우징(71)은 격벽(76)에 의해 구획되며 내측면(713)보다 외측면(712)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1 챔버(C1) 및 격벽(76)에 의해 구획되며 외측면(712)보다 내측면(713)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챔버(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711)는 제1 챔버(C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순환유로(741)에 저장되는 액체와 제2 순환유로(742)에 수용된 액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순환유로(741, 742)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순환유로(74)가 1개 구비되는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밸런서(7)의 반경방향 길이는 드럼바디(401)의 반경방향 길이에 종속되어 결정되므로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73)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순환유로(74)가 1개 구비되는 경우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73)의 크기를 충분히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711)로 인해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낮아진 무게중심(G')의 길이(d)만큼 비드부(404)의 길이(밸런서의 높이방향 기준)를 줄이고, 비드부(404)에서 줄인 만큼 밸런서 하우징(71)의 길이를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는 종래의 무게중심과 동일한 무게중심을 가지나 의류의 저장용량이 더 큰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14: 컨트롤 패널
2: 터브 21: 터브 바디 22: 터브 투입구 23: 터브 지지부
3: 드럼 31: 드럼 바디 32: 연장면
310: 연통홀 33: 드럼 투입구 34: 비드부
4: 구동부 41: 스테이터 42: 로터 43: 회전축
5: 급수부 51: 급수관 52: 급수밸브
6: 배수부 61: 배수펌프 62: 배수관
7: 밸런서 71: 밸런서 하우징 711: 함몰부
711a: 제1 함몰연장부 711b: 제2 함몰연장부
712: 외측면 712a: 드럼 연결부 712b: 돌출부 713: 내측면 714: 하부면
72: 밸런서 커버 73: 밸런서 관통홀 75: 슬립방지벽
76: 격벽 74: 순환유로 741: 제1 순환유로 742: 제2 순환유로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0: 드로워 11: 드로워 캐비닛 110: 레일부
20: 드로워 바디 201: 드로워 패널
2021, 2022: 드로워 커버 203: 드로워 투입구
30: 터브 301: 터브 바디 302: 터브 커버
303: 터브 지지부 304: 터브 투입구 305: 터브 도어
40: 드럼 401: 드럼 바디 401a: 연통홀
402: 연장면 403: 드럼 투입구 404: 비드부 405: 밸런서 결합부
50: 구동부 501: 스테이터 502: 로터 503: 회전축
601: 급수부 602: 급수관 603: 급수밸브
604: 배수부 605: 제1 배수관 606: 배수펌프 607: 제2 배수관

Claims (17)

  1. 드로워 캐비닛;
    상기 드로워 캐비닛에서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바디;
    상기 드로워 바디 내에 구비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바디 및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와 연통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이 구비되는 밸런서 하우징; 및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액체가 치우치는 측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면;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내측에 구비되어 밸런서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하부면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에 상기 함몰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기 드럼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럼 연결부 및 상기 드럼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드럼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내측면보다 상기 외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외측면보다 상기 내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에 함몰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순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와 상기 제2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함몰연장부 및 상기 제1 함몰연장부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함몰 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캐비닛은 의류의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유닛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며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는 드럼바디 및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바디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드럼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와 연통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밸런서 관통홀이 구비되는 밸런서 하우징; 및
    상기 밸런서 하우징 내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액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순환유로;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액체가 치우치는 측의 상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향해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 하우징은,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면;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최내측에 구비되어 밸런서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상기 내측면 및 상기 하부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디 드럼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럼 연결부 및 상기 드럼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 중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내측면보다 상기 외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외측면보다 상기 내측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에 함몰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챔버 내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고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순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와 상기 제2 순환유로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함몰연장부 및 상기 제1 함몰연장부에서 상기 드럼바디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함몰 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33619A 2020-10-15 2020-10-15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19A KR20220049912A (ko) 2020-10-15 2020-10-15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EP21190980.9A EP3985157A1 (en) 2020-10-15 2021-08-1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balancer
US17/406,615 US20220120010A1 (en) 2020-10-15 2021-08-19 Balanc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19A KR20220049912A (ko) 2020-10-15 2020-10-15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12A true KR20220049912A (ko) 2022-04-22

Family

ID=7731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19A KR20220049912A (ko) 2020-10-15 2020-10-15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20010A1 (ko)
EP (1) EP3985157A1 (ko)
KR (1) KR2022004991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36A (ko)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및 이를 갖춘 세탁기
KR20200036587A (ko) 2018-09-28 2020-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9864B (en) * 1978-08-18 1982-06-30 Hotpoint Ltd Balancing arrangements
JP2003079993A (ja) * 2001-09-17 2003-03-18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CN102362027B (zh) * 2009-03-20 2014-08-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US9010159B2 (en) * 2010-04-13 2015-04-2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ring
US9453297B2 (en) * 2014-12-03 2016-09-2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dynamic balancer
KR101846171B1 (ko) * 2015-04-27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079279A (ko) * 2017-12-27 2019-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36A (ko)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및 이를 갖춘 세탁기
KR20200036587A (ko) 2018-09-28 2020-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0010A1 (en) 2022-04-21
EP3985157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805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68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8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69732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2669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2A (ko)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32942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67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51530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P3279386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91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9603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30151529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318547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049409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20210120298A (ko) 세탁장치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12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07020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83620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22003135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9602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