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405A -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 Google Patents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405A
KR20220048405A KR1020200131510A KR20200131510A KR20220048405A KR 20220048405 A KR20220048405 A KR 20220048405A KR 1020200131510 A KR1020200131510 A KR 1020200131510A KR 20200131510 A KR20200131510 A KR 20200131510A KR 20220048405 A KR20220048405 A KR 20220048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ircuit
circuit training
train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730B1 (en
Inventor
유왕윤
Original Assignee
(주)투핸즈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핸즈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투핸즈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20013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730B1/en
Publication of KR2022004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9Field sensors, e.g. rad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interactive exercise equipment. The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based interactive exercis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step for providing a list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 (2) a step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s provided, and user input for setting details about the content is received; (3) a step in which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s sequentially registered in a circuit slot; (4) a step in which circuit training is generated, wherein the circuit training sequentially provides individual exercise content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according to the details; and (5) a step in which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is provided to a use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based interactiv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or trainers can create circuit training that's right for themselves on their own, and can enjoy circuit training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motion tracking.

Description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A method of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본 발명은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서킷 트레이닝은 근육, 호흡, 순환 기능의 점진적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트레이닝법을 말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으로는 근력이나 파워, 근지구력을 양성할 수는 있으나 각 세트(set) 사이에 휴식을 취하면서 운동하므로, 심장이나 폐에 그 기능을 발달시킬 만한 부담이 걸리지 않는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휴식 시간을 거의 두지 않고 한 운동에서 다음 운동으로 이동하는 계속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고안하여, 서킷 트레이닝이라 이름 붙였다.Circuit training refers to a training method aimed at the gradual development of muscles, breathing, and circulation. Although strength training,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can be nurtured with weight training, there is a limit that does not put a burden on the heart or lungs to develop its function because exercise is performed while resting between each set. To compensate for this limitation, a continuous training method that moves from one exercise to the next with little rest time was devised and named circuit training.

서킷 트레이닝은 여러 가지의 운동을 조합하여 하나의 세트로 하고, 이 세팅된 운동의 순회 수행 시간을 계측하면서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서킷 트레이닝에서는 스케줄의 첫 번째 운동부터 최후의 운동까지를 1세트로 하되 보통 3회 정도를 반복한다. 그리고 처음 시작할 때부터 3회 끝내는 데 걸리는 총 소요 시간을 측정해 두었다가 1~2개월 뒤에 같은 트레이닝을 하여, 총 소요 시간이 얼마나 단축되었는가를 측정, 이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트레이닝을 계속하는 것이다. 이같이 쉬지 않고 계속하는 트레이닝이기 때문에 순환 및 호흡 기능에 주는 부담은 크며, 따라서 이들의 기능적 발달을 촉진하고, 스태미나의 증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Circuit training is performed by combining various exercises to form a set, and measuring the circulating execution time of this set exercise. Specifically, in circuit training, one set from the first exercise to the last exercise in the schedule is usually repeated about 3 times. And after measuring the total time it takes to finish three times from the beginning, the same training is performed after 1 to 2 months, measuring how much the total time required is reduced, and training is continued so that the required time is shortened. Since this is continuous training without a break, the burden on circulation and respiratory functions is large, thus promoting their functional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stamina can be achieved.

한편, 과학이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신체 활동이 감소하고, 대다수 현대인에게서 운동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만과 같은 성인병에 해당하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급격한 날씨 변화와 환경오염, 미세먼지, 전염성 질병 등으로 야외 활동이 제한되면서, 실내에서 충분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운동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physical activity of modern people is decreasing, and lack of exercise is occurring in most modern people. In particular, the population corresponding to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addition, as outdoor activities are restricted due to rapid weather changes, environmental pollution, fine dust, and infectious diseases, interest in exercise that enables sufficient physical activity indoors is increasing.

실내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운동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 트레이닝은 체력 증진에 한계가 있다. 또한, 유산소 운동을 위한 트레드밀과 같은 장비는, 운동 과정이 단조롭고 정해진 코스만을 반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운동을 중도에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There is weight training as the most common exercise that can be done indoors, but as described above, weight training has a limit in improving physical strength. In addition, equipment such as a treadmill for aerobic exercise has a problem in that the exercise process is monotonous and repeats only a predetermined course, so that the user often gives up on the exercise in the middle.

이런 경우 서킷 트레이닝을 활용하면, 여러 운동을 바꾸어가면서 빠른 속도로 계속하므로 지루하지 않게 운동을 할 수 있고, 체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서킷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운동은 웨이트 트레이닝에 비해 상당히 가벼운 것이 아니면 안 되며, 운동 선택이 적절하지 못하면 신체에 지나친 부담을 주어 자칫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순환 및 호흡 기능에 부담이 크므로 중도에 포기하기 쉬워서, 혼자 서킷 트레이닝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같이, 서킷 트레이닝의 구성과 진행에는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므로, 종래에는 주로 운동선수들의 훈련이나 학생들의 수업 시간 등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었다.In this case, if you use circuit training, you can continue exercising at a high speed while changing various exercises, so you can exercise without getting bored, and it can help you improve your physical strength. However, the exercise used for circuit training must be fairly light compared to weight training, and if the exercise selection is not appropriate, it may place an excessive burden on the body and lead to injury. In addition, since the burden on circulation and respiratory functions is large, it is easy to give up halfway, so it is difficult to do circuit training alone. As such, since professional help is required for the configuration and progress of circuit training, conventionally, it has been limitedly used mainly for training of athletes or class time for students.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20-0082990호(발명의 명칭: VR 스포츠를 통한 피트니스 관리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현실을 이용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기술은, VR 장치를 머리에 착용해야 하므로 동작이 불편하여 충분한 운동 효과를 얻기 힘들다. 특히, 이러한 선행기술은 맨몸으로 다양한 운동을 하는 서킷 트레이닝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82990 (title of the invention: fitness management method through VR sports) and the like have been disclos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enjoying sports using virtual reality, it is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exercise effect because the operation is inconvenient because the VR device must be worn on the head. In particular, such prior art has a limit that cannot be applied to circuit training in which various exercises are performed with the bare body.

따라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신체를 충분히 사용하면서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서킷 트레이닝에 적합한 운동으로 각 사용자에게 맞게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고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configure and provide circuit training for each user with an exercise suitable for circuit training so that circuit training can be performed while using the body sufficiently without a separate device.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 및 개별 운동 콘텐츠별로 입력받은 세부 사항을 이용해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생성된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설정된 세부 사항에 따라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통해 순서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트레이너가 직접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시간, 순서로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할 수 있고, 증강현실 및 모션 트래킹을 통해 맨몸으로 재미있게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generates circuit training using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details input for each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individu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By providing the exercise content in sequenc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the set details, users or trainers can directly configure circuit training in an exercise, time, and sequence suitable for each user, and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motion track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which allows for fun circuit training with bare body.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서킷 트레이닝을 하는 사용자 모션을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오브젝트나 장치 착용 없이 몸만으로 실내에서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고,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서 바닥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2개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서킷 트레이닝을 할 때도 빠르고 정확하게 각각의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and tracks the user's motion for circuit training using a lidar sensor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Circuit training can be done indoors with only the body without wearing a device, and the motion tracking range is wide so that the floor can be used efficient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that can track each user's motion quickly and accurately even when doing s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viding circuit training, comprising: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It is implemented by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and tracks the user's motion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1) 개별 운동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1) providing a list of individual workout contents;

(2) 상기 제공된 리스트에서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에 대해 운동 시간을 포함하는 세부 사항의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2)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selected from the provided list, and receiving an input of setting details including exercise time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3) 상기 입력받은 세부 사항이 설정된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서킷 슬롯에 순서대로 등록하는 단계;(3) sequentially registering the individual workout contents in which the received details are set in a circuit slot;

(4) 상기 서킷 슬롯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를 상기 세부 사항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는 단계; 및(4) generating circuit training that sequentially provides individual workout contents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according to the details; and

(5) 상기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to the use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설정을 입력받는 세부 사항은,Preferably, the details of receiving the setting input in step (2) are,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의 운동 시간 및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의 종료 후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를 시작하기까지의 휴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 exercise time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a rest time until starting the nex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fter the end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에서는,More preferably, in step (5),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통해, 상기 운동 시간 동안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운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휴식 시간 동안 릴렉싱 모드를 활성화하며, 상기 휴식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s provided during the exercise time, the relaxation mode is activated during the rest time when the exercise time elapses, and the circuit training is configured when the rest time elapses.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it training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manner of providing individual exercise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Preferably, in step (3),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서킷 슬롯 중에서 가장 앞의 비어 있는 서킷 슬롯부터 순서대로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를 등록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서킷 슬롯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의 삭제 및 순서 변경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을 수행하며, 상기 서킷 슬롯을 자동 정렬할 수 있다.In a group comprising: registering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in order from the first empty circuit slot among a plurality of circuit slots arranged in a line, and deleting and changing the order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t least one selected edit may be performed, and the circuit slots may be automatically align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는,Preferably,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comprises: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바닥면에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를 위한 영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부;a projector uni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jecting an image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on a floor surface;

상기 프로젝터부의 투영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라이다 센서부;a lidar sensor unit installed toward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or unit;

상기 라이다 센서부를 이용해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하는 모션 트래킹부; 및a mo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user's motion by recognizing a user's lo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using the lidar sensor unit; and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상기 서킷 트레이닝의 구성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부를 통해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제공하되, 상기 모션 트래킹부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해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training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nd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uni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training to provide the circuit trai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the user, but the user is tracked by the motion tracking uni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the user using mo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다 센서부는,More preferably, the lidar sensor unit,

상기 본체 하단의 양 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two lidar sensor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에서는,More preferably, in step (5),

상기 서킷 트레이닝의 반복 횟수를 입력받고,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상기 반복 횟수만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반복 횟수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모션 트래킹부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해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의 운동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An individual exercise that receives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ircuit training and provides the circuit training to the user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configures the circuit training using user motion tracked by the motion tracking unit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progresses. It can be provided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exercise time of the conten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는,More preferably,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트레이너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기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trainer terminal, and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the train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상기 단계 (5)에서는,In step (5),

상기 트레이너 단말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비접촉 방식의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Circuit train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rainer terminal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o provide non-contact training to the user.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 및 개별 운동 콘텐츠별로 입력받은 세부 사항을 이용해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생성된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설정된 세부 사항에 따라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통해 순서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트레이너가 직접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시간, 순서로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할 수 있고, 증강현실 및 모션 트래킹을 통해 맨몸으로 재미있게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ircuit training is generated using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details input for each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individual exercises constituting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By providing the content in sequenc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the set details, users or trainers can directly configure circuit training in an exercise, time, and sequence suitable for each user, and bare body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motion tracking circuit training can be fu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서킷 트레이닝을 하는 사용자 모션을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오브젝트나 장치 착용 없이 몸만으로 실내에서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고,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서 바닥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2개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서킷 트레이닝을 할 때도 빠르고 정확하게 각각의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and tracks the user's motion for circuit training using a lidar sensor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a separate object You can do circuit training indoors with only your body without wearing any devices, and you can use the floor efficiently because of the wide motion tracking range. It can also track each user's motion quick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 서킷 트레이닝 생성을 위한 메인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 개별 운동 콘텐츠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300에서, 개별 운동 콘텐츠가 서킷 슬롯에 등록된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 서킷 트레이닝의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 싱글 라이다 센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 듀얼 라이다 센서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a main screen for circuit training generation in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for example, a screen o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s displayed in step S200 of a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tha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s registered in a circuit slot in step S300 of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circuit training in step S400 of a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for example,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in step S500 of a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ngle lidar sensor structure in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ual lidar sensor structure in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 개별 운동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100),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에 대해 세부 사항의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S200),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서킷 슬롯에 순서대로 등록하는 단계(S300), 서킷 슬롯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세부 사항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는 단계(S400) 및 서킷 트레이닝을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 list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 (S100),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providing and receiving detailed settings for the respectiv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S200), sequentially registering individual exercise content in the circuit slot (S300), and registering individual exercise content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according to the details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step (S400) of generating circuit training provided in order and a step (S500) of providing the circuit training to a user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 하드웨어에서 기록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서버 컴퓨터,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저장 및 구현되어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mplemented by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and tracks the user motion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can That is,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software recorded in hardware including a memory and a processor,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erver computer, a PDA, a smart It can be stored and implemented in a phone, tablet PC, etc. and mounted on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는, 본체(110), 프로젝터부(120), 라이다 센서부(130), 모션 트래킹부(140), 센서 연결부(150), 제어부(160), 통신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스피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부(180)나 별도의 입력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가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를 이용해 단계 S100 내지 단계 S500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i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on a floor surface and user motion is tracked to control interaction between content and a user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device 100,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 a projector unit 120 , and a lidar sensor unit 130 . , a motion tracking unit 140 , a sensor connection unit 150 , a control unit 160 , a communication unit 170 , a display unit 180 , and a speaker unit 190 . That is, in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ccess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a separate input device. An input signal is input, and the control unit 160 may be implemented by performing steps S100 to S500 using the input signal. Each configu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은,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와 트레이너 단말기(200)가 통신하여,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가 트레이너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부(160)가 입력 신호를 이용해 단계 S100 내지 단계 S500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 in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nd the trainer terminal 200 communicate,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trainer terminal 200 , and the controller 160 performing steps S100 to S500 using the input signal.

즉,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는, 통신부(170)를 통해 트레이너 단말기(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사용자에게 서킷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너는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거나 운동 자세, 운동 시간 등을 코칭하는 등 트레이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train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provide circuit training to the user remotely. The trainer installs the application on the terminal, receives and checks the user's exercise data from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and generates appropriate circuit training for each user or coaches exercise posture, exercise time, etc. training data can provide

여기서, 트레이너 단말기(200)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desktop) PC, 랩탑(laptop) PC, 넷북(netbook)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사전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렌즈, 또는 머리착용형 장치(HMD, head-mounted-device),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술한 다양한 장치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Here, the train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s include smartphones, tablet personal computers (PCs), mobile phones, video phones, e-book readers, desktop PCs, laptop PCs, netbook computers, workstation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rv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edia box, a game console, an electronic dictionary, or a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is an accessory type (eg, a watch, a ring, a bracelet, Anklets, necklaces, eyeglasses, contact lenses, or head-mounted-devices (HMDs), integral fabrics or garments (such as electronic garments), body-mounted (such as skin pads or tattoos) , or at least one of an implantable circuit In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devices, and may b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devices.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단계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step of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Each step may be implemented by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ubject performing each step may be omitted.

단계 S100에서는,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운동 콘텐츠(10)는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가벼운 운동을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콘텐츠화한 것으로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특히, 개별 운동 콘텐츠(10)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추적하고 가이드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형 콘텐츠일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가 미리 저장된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하거나, 트레이너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100, a list of individual workout contents 1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a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for light exercise suitable for configuring circuit training, an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 there is. In particula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may be interactive content capable of tracking and guiding the user's exercise situ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In step S100 ,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may output a list of pre-stor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to the display unit 180 or provide it to the trainer terminal 2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 서킷 트레이닝 생성을 위한 메인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달리기, 제자리 달리기, 왕복 달리기, 발 벌려 뛰기 등 체력 단련을 위한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순서는, 사용자들의 선택 빈도에 따라 많은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a main screen for generating circuit training in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n step S100 of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 fitness training such as running, running in place, reciprocating running, and jump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st of individual workout content 10 for In this case, the order of the individual workout contents 10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selected by many user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election of the users.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화면의 하단에는 각각의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등록해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기 위한 서킷 슬롯(20), 편집을 위한 메뉴 등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circuit slot 20 for configuring circuit training by registering each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 menu for editing, etc.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5 .

단계 S200에서는, 제공된 리스트에서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10)에 대해 운동 시간을 포함하는 세부 사항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단계 S200에서 설정을 입력받는 세부 사항은,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운동 시간 및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종료 후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시작하기까지의 휴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200 ,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selected from the provided list may be provided, and detailed settings including an exercise time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may be input. At this time, the details of receiving the setting in step S200 may include the exercise time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nd the rest time from the end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to the start of the nex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 ca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트레이너 단말기(200)로 출력된 리스트에서 사용자 또는 트레이너가 어느 하나의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방법, 운동 효과, 주의사항 등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운동 시간과 휴식 시간을 조절하여 세부 사항의 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시간은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출력되는 시간이고, 휴식 시간은 해당 운동 시간 종료 후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시작되거나 서킷 트레이닝이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서킷 트레이닝은 여러 가지 운동을 휴식 없이 계속하여 체력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므로, 휴식 시간은 초 단위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a screen o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displayed in step S200 of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or trainer selects any on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from the list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or the trainer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6, the exercise metho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such as exercise effects and precautions, may be output. In additio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 it is possible to input detailed settings by adjusting the exercise time and the rest time. Here, the exercise time may be a time during which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output, and the rest time may mean a time until the nex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starts or circuit training ends after the corresponding exercise time ends. Since circuit training is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by continuing various exercises without rest, the rest time may be set in seconds.

단계 S300에서는, 입력받은 세부 사항이 설정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서킷 슬롯(20)에 순서대로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300에서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서킷 슬롯(20) 중에서 가장 앞의 비어 있는 서킷 슬롯(20)부터 순서대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등록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서킷 슬롯(20)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삭제 및 순서 변경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을 수행하며, 서킷 슬롯(20)을 자동 정렬할 수 있다.In step S300 ,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for which the received details are set may be sequentially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20 . More specifically, in step S300,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sequentially registered from the first empty circuit slot 20 among the plurality of circuit slots 20 arranged in a line, an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circuit slot ( 20), it is possible to perform at least one edit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deletion and order change of the individual workout contents 10 registered in , and automatically align the circuit slots 20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300에서,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서킷 슬롯(20)에 등록된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운동 시간과 휴식 시간 등의 세부 사항을 설정하고 “확인”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10)인 “마운틴 클라이머”가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서킷 슬롯(20) 중에서 가장 앞에 있는 서킷 슬롯(20)에 등록될 수 있다. 그 다음 선택되는 개별 운동 콘텐츠(10)는 두 번째 서킷 슬롯(20)에 등록되는 방식으로 순서대로 서킷 슬롯(20)이 채워지게 되며,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등록된 서킷 슬롯(20)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등록된 서킷 슬롯(20)을 선택하고 휴지통 모양의 메뉴를 이용해 삭제하거나 드래그 앤 드롭으로 순서를 변경하면, 앞에서부터 빈 슬롯 없이 채워지도록 서킷 슬롯(20)이 자동 정렬될 수 있다.7 is an example of how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20 in step S300 of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drawing show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if you set details such as exercise time and rest time and select "OK", as shown in FIG. It may be registered in the frontmost circuit slot 20 among the plurality of circuit slots 20 arranged as . Then,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sequentially filled in the circuit slot 20 in such a way that it is registered in the second circuit slot 20, and the circuit slot 20 in which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registered You can change the order by dragging and dropping. In addition, if you select a circuit slot 20 in which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registered and delete it using a trash can-shaped menu or change the order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circuit slot 20 is automatically filled without an empty slot from the front. can be sorted.

단계 S400에서는, 서킷 슬롯(20)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세부 사항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는, 서킷 슬롯(20)에 등록된 순서대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In step S400 , it is possible to generate circuit training in which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20 is sequentially provided according to details.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may generate and store circuit training that provides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n the order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20 .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 서킷 트레이닝의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는, 개별 운동 콘텐츠(10)들로 복수의 서킷 슬롯(20)이 채워지면, 복수의 개별 운동 콘텐츠(10)로 구성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은 “프로그램 저장” 메뉴를 이용해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서킷 트레이닝에 명칭을 설정해 저장할 수 있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circuit training in step S4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in step S4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ircuit slots 20 with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10 . When this is fill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circuit train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The created circuit training can be saved using the “Save Program” menu. At this time, you can set a name for the circuit training and store it.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프로그램 보기” 메뉴를 이용해 기존에 저장된 서킷 트레이닝 목록을 확인하고, 목록을 편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서킷 트레이닝을 선택하면,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가 저장된 서킷 트레이닝을 불러와서, 단계 S100 내지 단계 S400을 수행할 필요 없이 기존에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으로 단계 S500을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8, by using the “Program View” menu, the previously stored circuit training list may be checked and the list may be edited. In addition, when any one circuit training is selected from the program list,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calls the stored circuit training, and steps S500 are performed with the circuit training created previously without the need to perform steps S100 to S400. can also be done

단계 S500에서는,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가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해 증강현실 기반으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하며, 운동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500 ,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to provid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tracks the user's motion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 you can check whether the user is doing the exercise properly, etc. and provide feedback.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500에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통해, 운동 시간 동안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하고, 운동 시간이 경과하면 휴식 시간 동안 릴렉싱 모드를 활성화하며, 휴식 시간이 경과하면 릴렉싱 모드를 종료하고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킷 트레이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step S500,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provided during the exercise time, and when the exercise time elapses, the relaxation mode is activated during the rest time, and the rest time elapses. By doing so, circuit training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terminating the relaxation mode and providing the nex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constituting the circuit train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되는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로, 현재 플레이 중인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운동 시간 중 잔여 시간(“00:38”),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순서대로 나열된 복수의 서킷 슬롯(20), 반복 횟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운동 중인 개별 운동 콘텐츠(10)가 등록된 서킷 슬롯(20)의 가시성을 높여 표시하여(도 9에서는 “스텝레더”), 현재 운동 단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in step S5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in step S500 of the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training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is displayed. , the remaining time (“00:38”) of the exercise time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currently being played, a plurality of circuit slots 20 in which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constituting the circuit training is sequentially listed, the number of repetitions, etc. can be printed out. In particular, by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circuit slot 20 in which the individual workout content 10 currently being exercised is registered (“step ladder” in FIG. 9 ),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current exercise stage.

또한, 릴렉싱 모드에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로 릴렉싱 이미지 및 릴렉싱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릴렉싱 모드는, 서킷 트레이닝의 운동 사이에 잠시 쉴 수 있도록, 산책 정도의 느낌을 주는 이미지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릴렉싱 이미지는 움직이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현재 날씨를 반영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Also, in the relaxing mode, a relaxing image and a relaxing sound may be output to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 The relaxation mode may output images and sounds that give a feeling of walking, so as to take a break between circuit training exercises. In this case, the relaxing image may be a moving image or a moving image, or may be an image reflecting the current weather received by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from the outside.

한편, 단계 S500에서는, 서킷 트레이닝의 반복 횟수를 입력받고, 서킷 트레이닝을 반복 횟수만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반복 횟수가 진행됨에 따라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모션 트래킹부(140)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해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운동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모션을 인식해 사용자가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정확하게 잘 수행하고 있으면 운동 시간을 자동으로 늘리고, 사용자가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충분히 따라오지 못하면 운동 시간을 줄이고 휴식 시간을 늘리는 등으로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500,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circuit training is received, and circuit training is provided to the user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but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progresses,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is tracked. The exercise time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constituting the circuit training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nd provided using user motion. That is, by recognizing the user's motion, if the user is performing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ccurately and well, the exercise time is automatically increased. can be adjusted and provided.

한편, 단계 S500에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로 직접 입력받은 입력 신호에 따라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너 단말기(2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비접촉 방식의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S500, circuit training gener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directly input to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the trainer terminal 200 ) by providing circuit train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non-contact training.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for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o do it

본체(110)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일 수 있으며, 내면에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으나, 구체적인 형태나 모양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1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이동 보조를 위한 보조 바퀴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동식으로 구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장소를 자유롭게 옮겨서 서킷 트레이닝을 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a frame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 and may include a computer device including the control unit 160 on its inner surface. The body 11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2 , but a specific shape or shap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implement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as a mobile devic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and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auxiliary wheels for movement assistance, the circuit can be moved freely as needed. You can also play training.

프로젝터부(120)는,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며, 바닥면에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위한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전면에 프로젝터가 설치되어, 본체(110)의 앞에서 사용자가 개별 운동 콘텐츠(10) 또는 서킷 트레이닝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프로젝터는 벽면이 아닌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도록 방향을 조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projector unit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 and may project an image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on the floor surface. As shown in FIG. 2 , a projecto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or circuit training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 and the projector is installed on the floor instead of the wall. It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direction to project the image on the .

또한, 프로젝터부(120)는, 바닥면에 직사각형 형태의 투영 영역을 프로젝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부(120)를 이용해 바닥면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모니터나 휴대 단말기, TV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때보다 훨씬 넓은 투영 영역을 활용해 다양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영 영역은 4.5m × 2.6m 크기일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부(120)는 투영 영역의 모양이 마름모꼴 등으로 왜곡되지 않고 직각 사각형이 되도록 왜곡을 보정하여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Also, the projector 120 may project a rectangular projection area on the floor surface. In this way, by fully utilizing the floor surface using the projector unit 120 ,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10 using a much wider projection area than when us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mobile terminal, or TV. For example, the projected area may be 4.5m x 2.6m in size. Meanwhile, the projector unit 120 may project the image by correcting the distortion so that the shape of the projection area is not distorted in a rhombic shape or the like but is a right-angled rectangle.

라이다 센서부(130)는, 프로젝터부(120)의 투영 방향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투영 영역에서 서킷 트레이닝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기 위해, 라이다 센서부(130)는 투영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라이다 센서부(130)가 포함하는 라이다 센서는, RP Lidar A3일 수 있으며, 레이저 스캐닝 범위는 20m 정도일 수 있다. 특히, 라이다 센서부(130)는 2개의 라이다 센서(130a, 1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다 센서부(130)는, 레이저를 생성 및 조사하는 광 송신 모듈,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산란된 광신호를 집속시키는 광 수신 모듈, 및 광 수신 모듈에 의해 집속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광 감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idar sensor unit 130 may be installed toward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or unit 120 . That is, in order to recognize the motion of the user using circuit training in the projection area, the lidar sensor unit 130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projection area. In this case, the lidar sensor included in the lidar sensor unit 130 may be RP Lidar A3, and the laser scanning range may be about 20 m. In particular, the lidar sensor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lidar sensors 130a and 130b. More specifically, the lidar sensor unit 130 receives the optical signal focused by the light transmitting module for generating and irradiating the laser, the light receiving module for focusing the optical signal scattered by the user's body, and the light receiving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sensing module for sensing.

모션 트래킹부(140)는, 라이다 센서부(130)를 이용해 개별 운동 콘텐츠(10)에 따른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다. 즉, 광 감지 모듈에서 감지된 광신호를 이용해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션 트래킹부(140)는, 라이다 센서부(130)를 이용해 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지점의 사용자 발 위치를 인식하며, 사용자 발 위치 변화를 추적해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다. 즉, 라이다 센서부(130)는 지면으로부터 5㎝ 정도 높이의 평면을 레이저 스캐닝하여 사용자 발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데, 모션 트래킹부(140)는 사용자 발의 위치 변화를 사용자 모션으로 트래킹할 수 있다.The motion tracking unit 140 may track the user's motion by recognizing the user's lo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using the lidar sensor unit 130 . That is, the user's motion can be tracked using the optical signal detected by the optical sensing module. More specifically,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may use the lidar sensor unit 130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s foot at a predetermined point from the ground, and track the user's motion by track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s foot. That is, the lidar sensor unit 130 can detect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the user's foot by laser scanning a plane at a height of about 5 cm from the ground, and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tracks the position change of the user's foot as a user motion. can do.

기존의 사용자 모션 트래킹 방식으로는, 카메라를 이용한 센싱이 많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초고속 카메라 센서, 3D 뎁스 카메라 센서, 키넥트 카메라 센서(Kinetic camera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초고속 카메라 센서는 가상현실 운동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트래킹이 불가능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1명씩 사용해야 하며, 별도의 오브젝트가 필요한 한계가 있다. 3D 뎁스 카메라 센서는, 특정 심도(depth)에서의 변화 값을 검출해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 심도에서 이벤트를 발생시켜야 하고, 1~10명 정도의 소수만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오브젝트가 필요한 한계가 있다. 키넥트 카메라 센서는 피사체의 모션을 검출하는데, 카메라 화각 때문에 센싱 범위가 좁아서 정해진 위치에서 운동해야 하므로 활동 범위가 좁으며, 한 번에 1명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As a conventional user motion tracking method, sensing using a camera has been widely used. For example, a high-speed camera sensor, a 3D depth camera sensor, a Kinetic camera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The high-speed camera sensor can be used for virtual reality exercise, etc. In order to process data, continuous tracking is impossible, it must be used by one person at a fixed location, and there are limitations that require a separate object. Since the 3D depth camera sensor detects and uses a change value at a specific depth, an event must be generated at a specific depth, only a small number of 1 to 10 people can use it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a separate object is required. . The Kinect camera sensor detects the motion of a subject. Due to the camera angle of view, the sensing range is narrow, so you have to exercise in a fixed position, so the range of activity is narrow, and there is a limit that only one person can use it at a tim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는, 라이다 센서부(130) 및 모션 트래킹부(140)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오브젝트나 장치 착용 없이 몸만으로도 증강현실 스포츠를 즐길 수 있고,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서 투영 영역을 포함하는 바닥면을 충분히 이용해 여기저기 이동하며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부(130)가 1~30명의 위치를 동시에 트래킹할 수 있으므로 단체 스포츠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함께 운동하는 재미를 주고 협동심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lidar sensor unit 130 and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so that only the body is required without wearing a separate object or device. You can enjoy augmented reality sports, and the range of motion tracking is wide, so you can move around and exercise by using the floor surface including the projection area su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lidar sensor unit 130 can track the positions of 1 to 30 people at the same time, it can be applied to group sports, thereby making it fun to exercise together and helping to cultivate a sense of cooperation.

센서 연결부(150)는, 일 말단은 본체(110) 하단의 측면에 연결되고 다른 말단은 라이다 센서부(130)에 연결되어, 라이다 센서부(130)가 본체(11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연결부(150)는 바 형태로 본체(110)의 양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 연결부(150)의 길이는 80~120㎝ 정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센서 연결부(150)는 본체(110) 하단의 측면과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나 이동 시에 센서 연결부(150)를 접어서 편리하게 보관 또는 이동할 수 있다.The sensor connection unit 15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dar sensor unit 130, so that the lidar sensor unit 130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110 They can be connected so as to be spaced apart as much as possibl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sensor connection part 15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110 in the form of a bar, and the length of the sensor connection part 150 is about 80 to 120 cm, more specifically can be 100 cm.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nsor connection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by a hinge structure, so that when not in use or when moving, the sensor connection part 150 can be folded and stored or moved conveniently.

한편, 라이다 센서부(130)는, 본체(110) 하단의 양 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라이다 센서(130a, 13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2개의 라이다 센서(130a, 130b)는 센서 연결부(150)를 통해 본체(110) 하단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에서는, 2개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모션을 트래킹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복수의 사용자를 트래킹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dar sensor unit 130 may include two lidar sensors 130a and 130b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two lidar sensors 130a. , 130b)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through the sensor connection unit 150 . In particular, 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by tracking the user's motion using two lidar sensor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track a plurality of users.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 싱글 라이다 센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 듀얼 라이다 센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서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 모션 트래킹을 할 수도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면 사용자들의 상대적 위치로 인한 트래킹 실패를 회피하고, 여러 사용자의 위치를 간섭 없이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ngle lidar sensor structure in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ual lidar sensor structure in a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real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 In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uses a single lidar sensor as shown in FIG. 10 for user motion Tracking may be performed, but as shown in FIG. 11 , if two lidar sensors are used, tracking failure due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users is avoided, and the positions of several user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without interference.

즉,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레이저 스캐닝 그늘이 발생하게 되어 그늘에 위치한 객체는 탐지할 수 없다. 싱글 라이다 센서 구조에서, 두 사용자의 위치가 중복되지 않으면 각각의 사용자의 모션 트래킹에 문제가 없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er B가 Player A의 레이저 스캐닝 그늘에 위치하면 Player B는 트래킹이 불가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a lidar sensor is used, a laser scanning shadow is generated, and an object located in the shade cannot be detected. In the single lidar sensor structure, if the positions of the two users do not overlap, there is no problem in tracking the motion of each user. becomes impossible

반면에, 두 개의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듀얼 라이다 센서 구조), 제1 라이다 센서(130a)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그늘 영역은, 제2 라이다 센서(130b)에 의해 스캐닝되므로, 간섭 없이 복수 사용자의 모션 트래킹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ayer B가 Player A의 제1 라이다 센서(130a)의 레이저 스캐닝 그늘에 위치하더라도, Player B의 모션은 제2 라이다 센서(130b)에 의해 트래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wo lidar sensors (dual lidar sensor structure), the laser scanning shadow area by the first lidar sensor 130a is scanned by the second lidar sensor 130b, so the interference Motion tracking of multiple users at the same time can be performed without That is, as shown in FIG. 11 , even if Player B is located in the laser scanning shadow of the first lidar sensor 130a of Player A, the motion of Player B can be tracked by the second lidar sensor 130b. there is.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따라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서킷 트레이닝의 구성에 따라 프로젝터부(120)를 통해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기반으로 서킷 트레이닝을 제공하되, 모션 트래킹부(140)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해 개별 운동 콘텐츠(10)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와 개별 운동 콘텐츠(10) 또는 서킷 트레이닝이 인터랙션할 수 있도록, 모션 트래킹부(140)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개별 운동 콘텐츠(10) 또는 서킷 트레이닝의 입력 신호로 변환해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circuit training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through the projector unit 12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training to provide the user with circuit trai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nd the user may be controlled using the user motion tracked by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 That is, the controller 160 converts the user motion tracked by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into an input signal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or circuit training so that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or circuit training can interact with the user. year can be transmitted.

통신부(170)는, 트레이너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트레이너 단말기(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해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를 이용해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트레이너 단말기(200)에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의 서킷 트레이닝 이용 정보를 제공하여, 트레이너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킷 트레이닝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7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이동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4G/5G(3/4/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communicate with the trainer terminal 200 , receive an input signal from the trainer terminal 200 ,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60 . The controller 160 may generate and provide circuit training using the input signal.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provide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s circuit training usage information to the trainer terminal 200 so that circuit training suitable for the user is provided by the trainer's selection.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a Wi-Fi (Wireless Fidelity) capable of Internet acces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Bluetooth),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4G/5G It may be understood that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including (3/4/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Long Term Evolution (LTE) are applied.

디스플레이부(180)는,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며,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서킷 트레이닝과 관련된 플레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는 본체(1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열람하고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선택하는 등 각종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 and may receive a selection signal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nd output play information related to circuit training.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display unit 180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 so that the user can read various information and selec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to enable various input/output such as selection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 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스피커부(190)는, 서킷 트레이닝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본체(110)의 전면이나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The speaker unit 190 may output a sound related to circuit training. The speaker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main body 110 , and the volume may be adjus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

한편, 디스플레이부(180) 및 스피커부(190)는, 통신부(170)가 트레이너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트레이너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트레이너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및 스피커부(190)로 출력함으로써, 직접 대면 접촉 없이도 사용자와 트레이너가 원격으로 얼굴을 보고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의 전면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서킷 트레이닝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신부(170)를 이용해 트레이너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speaker unit 190 may output a real-time trainer imag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70 from the trainer terminal 200 . That is, as shown in FIG. 4 , by outputting a real-time trainer image to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speaker unit 190, the user and the trainer can remotely see faces and provide or receive training services without direct face-to-face contact. . To this end, a camer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photograph a user using circuit training, and the capture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iner terminal 2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7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 및 개별 운동 콘텐츠(10)별로 입력받은 세부 사항을 이용해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생성된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설정된 세부 사항에 따라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통해 순서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트레이너가 직접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시간, 순서로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할 수 있고, 증강현실 및 모션 트래킹을 통해 맨몸으로 재미있게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using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nd the details input for each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 By generating the training and providing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constituting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in orde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t details, the user or the trainer directly provides an exercise suitable for each user; You can organize circuit training in time and order, and you can enjoy circuit training with your bare body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motion track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서킷 트레이닝을 하는 사용자 모션을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오브젝트나 장치 착용 없이 몸만으로 실내에서 서킷 트레이닝을 할 수 있고,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서 바닥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2개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서킷 트레이닝을 할 때도 빠르고 정확하게 각각의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and tracks the user's motion for circuit training using a lidar sensor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You can do circuit training indoors with only your body without wearing a separate object or device, and you can use the floor efficiently because of the wide motion tracking range. At the same time, even during circuit training, each user's motion can be tracked quickly and accurately.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implemented in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_ROM and DVD, and floppy disks. It may include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is case,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it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개별 운동 콘텐츠
20: 서킷 슬롯
100: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
110: 본체
120: 프로젝터부
130: 라이다 센서부
130a: 제1 라이다 센서
130b: 제2 라이다 센서
140: 모션 트래킹부
150: 센서 연결부
160: 제어부
170: 통신부
180: 디스플레이부
190: 스피커부
200: 트레이너 단말기
S100: 개별 운동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S200: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에 대해 세부 사항의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S300: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서킷 슬롯에 순서대로 등록하는 단계
S400: 서킷 슬롯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를 세부 사항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는 단계
S500: 서킷 트레이닝을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10: Individual workout content
20: circuit slot
100: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10: body
120: projector unit
130: lidar sensor unit
130a: first lidar sensor
130b: second lidar sensor
140: motion tracking unit
150: sensor connection
160: control unit
170: communication department
180: display unit
190: speaker unit
200: trainer terminal
S100: Step of providing a list of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S200: Step of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ndividual exercise content and receiving detailed settings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S300: Step of sequentially registering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in circuit slots
S400: Creating a circuit training that provides individual workout content registered in a circuit slot in order according to details
S500: providing circuit training to a user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Claims (8)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으로서,
바닥면에 영상을 투영하고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하여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며,
(1)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제공된 리스트에서 선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10)에 대해 운동 시간을 포함하는 세부 사항의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입력받은 세부 사항이 설정된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서킷 슬롯(20)에 순서대로 등록하는 단계;
(4) 상기 서킷 슬롯(20)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상기 세부 사항에 따라 순서대로 제공하는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는 단계; 및
(5) 상기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circuit training, comprising:
It is implemented by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floor and tracks the user's motion to contro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user,
(1) providing a list of individual workout content (10);
(2)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selected from the provided list, and receiving an input of setting details including exercise time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3) sequentially registering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n which the received details are set in the circuit slot 20;
(4) generating circuit training that sequentially provides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20 according to the details; and
(5)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the generated circuit training to the use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설정을 입력받는 세부 사항은,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운동 시간 및 해당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종료 후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시작하기까지의 휴식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tails of receiving the setting in step (2),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exercise time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nd the rest time until the next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started after the end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 to provide circuit training 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통해, 상기 운동 시간 동안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하고, 상기 운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휴식 시간 동안 릴렉싱 모드를 활성화하며, 상기 휴식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다음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n step (5),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provided during the exercise time, and when the exercise time elapses, a relaxation mode is activated during the rest time, and when the rest time elapses, the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it training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manner of providing the following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10) constituting the circuit tr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서킷 슬롯(20) 중에서 가장 앞의 비어 있는 서킷 슬롯(20)부터 순서대로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등록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서킷 슬롯(20)에 등록된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삭제 및 순서 변경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을 수행하며, 상기 서킷 슬롯(20)을 자동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3),
Among the plurality of circuit slots 20 arranged in a line,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sequentially registered from the frontmost empty circuit slot 20, and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s 10 registered in the circuit slot 2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re registered. Circuit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edit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deletion and order change of the exercise content 10 is performed, and the circuit slots 20 are automatically arranged How to provide tr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며, 바닥면에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위한 영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부(120);
상기 프로젝터부(120)의 투영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라이다 센서부(130);
상기 라이다 센서부(130)를 이용해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에 따른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하는 모션 트래킹부(140); 및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생성하고, 상기 서킷 트레이닝의 구성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부(120)를 통해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제공하되, 상기 모션 트래킹부(140)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해 상기 개별 운동 콘텐츠(10)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body 110;
a projector unit 1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projecting an image for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on a floor surface;
a lidar sensor unit 130 installed toward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jector unit 120;
a motion tracking unit 140 for tracking user motion by recognizing a user lo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using the lidar sensor unit 130; and
The circuit training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nd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unit 12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training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circuit trai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and the user using the user motion tracked by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How to provide circuit training 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 센서부(130)는,
상기 본체(110) 하단의 양 측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라이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idar sensor unit 130,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lidar sensor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서킷 트레이닝의 반복 횟수를 입력받고,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상기 반복 횟수만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반복 횟수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모션 트래킹부(140)에서 트래킹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해 상기 서킷 트레이닝을 구성하는 개별 운동 콘텐츠(10)의 운동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n step (5),
Receiv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ircuit training, and provide the circuit training to the user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configure the circuit training using the user motion tracked by the motion tracking unit 140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progresses.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rcise time of the individual exercise content (10)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는,
트레이너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기(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해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통신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트레이너 단말기(2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생성한 서킷 트레이닝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비접촉 방식의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100)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It communicates with the trainer terminal 200, and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70 that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train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60,
In step (5),
Circuit training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it train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trainer terminal 200 is provided to the user to provide non-contact training to the user Way.
KR1020200131510A 2020-10-12 2020-10-12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KR102476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10A KR102476730B1 (en) 2020-10-12 2020-10-12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10A KR102476730B1 (en) 2020-10-12 2020-10-12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405A true KR20220048405A (en) 2022-04-19
KR102476730B1 KR102476730B1 (en) 2022-12-14

Family

ID=8139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10A KR102476730B1 (en) 2020-10-12 2020-10-12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7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6738B2 (en) * 2012-01-31 2015-09-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program
US20200047027A1 (en) * 2018-08-07 2020-02-13 Interactive Strength, Inc. User interface system for an interactive exercise machine
KR102088333B1 (en) * 2019-08-20 2020-03-13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Team training system with mixed reality based exerci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6738B2 (en) * 2012-01-31 2015-09-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program
US20200047027A1 (en) * 2018-08-07 2020-02-13 Interactive Strength, Inc. User interface system for an interactive exercise machine
KR102088333B1 (en) * 2019-08-20 2020-03-13 주식회사 마이베네핏 Team training system with mixed reality based exercis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730B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33B1 (en) Team training system with mixed reality based exercise apparatus
KR102233395B1 (e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using lidar sensors
US20230094802A1 (en) Reflective video display apparatus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demonstr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70221379A1 (en) Information terminal, motion evaluating system, motion evalu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996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sisted activity training
KR20200130231A (en) Direct live entertainment using biometric sensor data for detection of neural conditions
US11682157B2 (en) Motion-based online interactive platform
CN11425339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58218B1 (en) Smart mirror for processing motivation scenario,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and motivation scenario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mart mirror
Eckert et al. A modular middleware approach for exergaming
KR102476285B1 (en) Method for measuring individual exercise amount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KR102051004B1 (en) Mixed reality based exercise system providing optimized sound
KR102476730B1 (en)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KR20230100557A (en) The method of providing a moving image to guide exercise and the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20230100558A (en) The method of providing a moving image to guide exercise and the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102301575B1 (en) Music modulation auditory feedback system using wireless earphones and smart phones
KR102464094B1 (en) Motion tracking apparatus with dual lidar sensor
KR102088345B1 (en) Controlling apparatus based on theme for operation type equipment interlocked with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W201729879A (en) Movable interactive dancing fitness system
KR102430084B1 (e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system using lidar sensors
CN116370954B (en) Game method and game device
Rector Technological advances
WO2023011356A1 (en) Video gen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40135617A1 (en) Online interactive platform with motion detection
Lounaskorpi Developing new VR possibilities for the Sports and Fitness Sector in Fin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