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89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897A
KR20220046897A KR1020200130147A KR20200130147A KR20220046897A KR 20220046897 A KR20220046897 A KR 20220046897A KR 1020200130147 A KR1020200130147 A KR 1020200130147A KR 20200130147 A KR20200130147 A KR 20200130147A KR 20220046897 A KR20220046897 A KR 2022004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unit
water
detergent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운
심혜현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897A/ko
Priority to EP21201194.4A priority patent/EP3981904A1/en
Priority to CN202111170571.6A priority patent/CN114293346B/zh
Priority to AU2021245233A priority patent/AU2021245233A1/en
Priority to US17/497,288 priority patent/US20220112648A1/en
Priority to CN202311480345.7A priority patent/CN117265836A/zh
Publication of KR2022004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897A/ko
Priority to AU2023222923A priority patent/AU20232229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3/025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a rotatable imperforate tub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6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the powder or tablets being added directly, e.g. without the need of a flush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및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저장유닛, 공급케이스 및 급수유닛을 포함하며, 저장유닛은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공급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샤워부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샤워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의 물을 상기 샤워부로 전달하는 샤워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공개문헌 KR 10-2018-0090003 A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세제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제공급장치의 저장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용될 수 있다.
저장유닛은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장유닛에 세제를 저장한 뒤 상기 저장유닛을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로 인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저장유닛의 외에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과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에 저장되는 세제와 급수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공급케이스의 바닥부로 제공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급케이스의 바닥부에는 세제 등이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세제 등이 잔존하는 경우 세제공급장치의 청결성과 위생성에 불리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유닛은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내부의 세제 일부가 의도치 않게 공급케이스의 바닥부로 누출될 수 있어 이를 세척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는 세제공급장치 외에도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저장공간의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면서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급케이스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세제공급장치의 청결성과 위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급케이스의 세척을 위한 샤워부와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의 작동이 하나의 급수밸브를 통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성간 최적 배치를 통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효율적으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밸브 및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유닛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급수유닛은 내부에 물이 유동될 수 있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로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유닛으로 물을 전달하는 급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유닛은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샤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는 샤워유로를 통해 급수부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공급케이스의 내부로 전달하므로, 별도의 호스 또는 급수유로가 필요하지 않아 효율적인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급수부와 샤워부는 하나의 급수밸브 및 급수호스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급수밸브를 통해 급수부와 샤워부의 작동 여부가 함께 결정될 수 있어 간단하고 효과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샤워부는 적어도 일부가 급수부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세제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유닛은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세제 중 적어도 일부를 세제호스를 통해 급수유닛으로 전달하며, 세제호스는 급수유닛의 외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급수유닛은 급수유로의 양측으로 상기 세제호스가 삽입 및 수용되는 호스수용홈이 마련되어 복수의 구성이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및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캐비닛은 전면에 세제개구부가 마련되고, 터브는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다.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한다. 세제공급장치는 저장유닛, 공급케이스 및 급수유닛을 포함한다.
저장유닛은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공급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샤워부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샤워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의 물을 상기 샤워부로 전달하는 샤워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유닛은 세제 및 상기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세제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배출부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배출부보다 전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샤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부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부보다 전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내부에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를 향해 물이 유동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로부터 상기 샤워유로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전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유로는 일부가 상기 급수부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급수부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로는 상기 급수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유로측벽 사이로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고, 상기 한 쌍의 유로측벽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부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샤워유로는 상기 급수부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샤워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유로는 상기 급수유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샤워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부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급수유닛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급수밸브를 통해 유동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되어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샤워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이 함께 단속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급수밸브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단속되는 급수호스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내부의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급수부로 전달되고, 상기 급수부로 전달되는 물이 상기 샤워유로를 통해 상기 샤워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샤워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측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급케이스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샤워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샤워부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샤워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샤워수유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 및 제2세제가 저장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제가 세제호스를 통해 상기 급수유닛으로 전달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세제 및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제호스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유닛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급수유닛은 외면에 상기 세제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호스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호스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물이 공급되는 급수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로 물이 전달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호스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한 쌍의 세제호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을 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저장유닛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되는 걸림탄성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탄성돌기는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세제호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저장유닛,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 및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전달받고,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샤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급케이스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세제공급장치의 청결성과 위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급케이스의 세척을 위한 샤워부와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의 작동이 하나의 급수밸브를 통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성간 최적 배치를 통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효율적으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제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는 저장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저장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공급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공급케이스에 마련되는 샤워수유동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급수유닛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급수유닛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급수유닛의 급수부 및 샤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걸림탄성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걸림탄성돌기와 걸림돌기의 접촉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의류처리장치(1)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세제공급장치(100)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세제개구부(18)가 구비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30) 및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30)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상기 작동상태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에 의류개구 및 의류도어(1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비닛(10)의 의류개구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의류 등의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의류도어(12)는 캐비닛(10)에 힌지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의류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의 일측에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조작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들과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도어(12)는 캐비닛(10) 또는 드럼(30)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전면에 세제개구부(18)가 마련될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세제개구부(18)의 후방에 세제공급장치(100)가 위치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8)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캐비닛(10)의 전면에 마련되고 개방홀을 포함하는 세제개구부(1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제개구부(18)는 캐비닛(10)의 전면에서 모서리 영역, 예컨대 상기 전면의 상단부 일측에서 조작부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은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닛(10)은 전면패널, 후면패널, 측면패널,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향의 정의는 캐비닛(10)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캐비닛(10)에서 세제개구부(18)가 형성되는 일면이 본 발명의 전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은 후술하는 저장유닛(200)의 인입방향 및 인출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캐비닛(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세제개구부(18)의 후방에 위치되는 세제공급장치(100)는 캐비닛(10) 내부에서 캐비닛(10)의 상부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캐비닛(10)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는 세제공급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세제공급장치(10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200),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200)을 수용하는 공급케이스(300) 및 상기 저장유닛(20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세제공급장치(10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200)에 저장되는 세제를 세탁과정 등에서 드럼(30) 또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제는 세탁물의 세탁 효과 또는 세탁물의 케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세제는 가루 형태 또는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내부에 급수밸브(45)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밸브(45)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고,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급수밸브(45)는 개방상태가 되어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폐쇄상태가 되어 물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밸브(45)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급수호스(40)를 통해 유동되어 세제공급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급수밸브(4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급수밸브(45) 중 어느 하나는 냉수용 외부급수원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온수용 외부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호스(40)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는 냉수용 외부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밸브(45)에 결합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온수용 외부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밸브(45)에 결합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상기 급수호스(40)가 결합되는 급수커넥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커넥터(410)는 급수유닛(400)에 마련될 수 있고, 급수유닛(400)은 급수커넥터(4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는 급수유로(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급수유로(4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유닛(200)으로 공급하는 급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급수부(430)로부터 연장되는 샤워유로(442)를 포함할 수 있고, 샤워유로(442)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공급케이스(300)에 공급하는 샤워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440)는 급수부(43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급수부(430)는 급수밸브(45)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단속되는 급수호스(40)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므로, 단일의 급수밸브(45) 제어만으로 급수부(430) 및 샤워부(44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급수유닛(400)은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저장유닛(200)에 의해 탄성 변형 및 복원되면서 탄성력을 저장유닛(2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에 대한 감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걸림탄성돌기(405)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손잡이부(205)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의 세제 중 적어도 일부가 세제펌프(320)를 통해 유출되어 세제호스(350)를 지나 급수유닛(400)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급수유닛(400)에는 세제호스(350)가 결합되는 세제커넥터(450)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과 급수유닛(400)간의 세제 유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에는 세제공급장치(100)를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도 4를 기준으로 급수유닛(400)의 하방에 저장유닛(200)이 위치될 수 있고, 저장유닛(200)의 하방에 공급케이스(300)가 위치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다시 저장유닛(200) 또는 공급케이스(3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급수호스(40) 및 급수밸브(45)를 통해 외부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세제 등이 저장되는 저장공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공간(210)은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210)은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212) 및 제2세제가 저장되는 제2공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상기 저장공간(210)이 형성되는 저장프레임과, 상기 저장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부(205)와, 상기 저장프레임에 결합되어 저장공간(210)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세제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는 저장유닛(200)의 하방에 위치되는 바닥부(301)와, 상기 바닥부(301) 및 저장유닛(20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측벽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302)는 바닥부(301)의 측방향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의 내부에는 저장유닛(20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공급케이스(300)는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20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공급케이스(300)는 바닥부(301)에 드레인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 또는 급수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와 물은 상기 드레인부(310)를 통해 공급케이스(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공급케이스(3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과 세제는 터브(20) 또는 드럼(3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200)은 캐비닛(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200)은 전후방향을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캐비닛(10)에서 의류도어(12)와 세제개구부(18)가 서로 다른 면에 마련되는 경우라도 상기 세제개구부(18) 및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방향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이 정의될 수 있다.
도 5에는 캐비닛(10)의 세제개구부(18)를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개구부(18)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제개구부(18)의 개구 형상은 저장유닛(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8)는 캐비닛(10)의 전면패널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8)는 캐비닛(10)의 전면 중 상단부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8)는 의류도어(1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8)는 캐비닛(10)의 전면에서 세제개구부(18)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보다 후방으로 함입될 수 있다. 세제개구부(18)가 함입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저장유닛(200)의 손잡이부(205)가 상기 세제개구부(18)의 전방에 위치되어 캐비닛(1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된 저장유닛(200)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유닛(200)은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05)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캐비닛(10)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205)를 파지하여저장유닛(200)을 잡아당김으로써 저장유닛(200)을 캐비닛(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저장유닛(200)에 마련되는 인출제한부에 의해 인출거리가 설계적으로 결정되는 설정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상기 설정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제1공간(212) 및 제2공간(214)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200)은 제1공간(212)을 폐쇄하는 세제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커버(2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세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상기 설정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세제캡을 저장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공간(212)으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상기 설정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제2공간(214)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제2공간(214)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유닛(200)의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공간(214)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제2공간(214)으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유닛(200)이 설정거리만큼 인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유닛(200)을 캐비닛(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저장공간(210)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성에 유리하다.
저장유닛(200)이 설정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제한부는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인출제한부를 조작하여 인출제한부에 의한 인출거리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출제한부를 필요에 따라 조작하여 저장유닛(200)을 캐비닛(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인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세제커버(230)가 분리된 저장유닛(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200)은 저장프레임과 손잡이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05)는 저장프레임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5)와 저장프레임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5)는 저장유닛(200)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캐비닛(1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저장프레임은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210)은 일면이 개방되어 세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프레임은 내부에 저장공간(210)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공간(210)은 상기 격벽부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공간(210)은 제1공간(212) 및 제2공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간(212)에는 제1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제2공간(214)에는 제2세제가 저장될 수 있다.
제1세제 및 제2세제는 저장되는 공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뿐, 반드시 그 특성이 상이한 것은 아닐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이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세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저장프레임의 저장공간(210)은 저장프레임의 길이방향, 예컨대 캐비닛(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1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간(212) 사이에는 격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제2공간(214)이 마련될 수 있다.
제2공간(214)은 제1공간(212)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장프레임에는 제1공간(212)의 제1세제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세제연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연결부(213)는 세제의 유동이 단속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연결부(213)는 저장프레임의 후방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후술하는 세제펌프(320)와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저장유닛(200)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면 공급케이스(300)의 세제펌프(320)와 세제연결부(213)가 연결되고, 세제연결부(213)는 세제펌프(320)가 연결되면서 세제 유동을 허용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제1공간(212)의 제1세제가 세제펌프(320)에 의해 저장유닛(2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제2공간(214)과 연통되는 세제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배출부(220)는 저장프레임에서 상기 제2공간(21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배출부(220)는 제2공간(214)에 존재하는 세제 및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마련될 수 있다.
세제배출부(220)는 저장프레임에서 상기 제2공간(214)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세제배출부(220)는 세제가 배출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배출부(22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 등은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스(300)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공급케이스(300)는 바닥부(301) 및 측벽부(302)를 포함할 수 있고, 바닥부(301)와 측벽부(30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는 저장유닛(200)이 수용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저장유닛(200)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방에 급수유닛(400)이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급수유닛(400)은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공급케이스(3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장유닛(200) 및 공급케이스(3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공급케이스(300)의 상방에 위치되어 공급케이스(300)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공급케이스(300)와 결합되어 함께 저장유닛(20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며, 공급케이스(300)는 후방벽에 상기 저장유닛(200)과 연결되는 세제펌프(32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펌프(320)는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유닛(200)에 마련되는 제1공간(212)의 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된 세제펌프(320)가 도시되어 있다. 세제펌프(320)는 공급케이스(300)의 후방벽에 마련됨으로써 캐비닛(1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저장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펌프(320)는 공급케이스(300)의 후방벽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급케이스(300)의 후방벽을 관통하는 연결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커넥터는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된 저장유닛(200)의 세제연결부(213)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는 세제 및 물의 유동에 유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는 바닥부(301)에 세제 및 물이 배출되기 위한 드레인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부(310)는 개구를 통해 세제 및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부(31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와 물은 드럼(30) 또는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는 세제와 물이 드레인부(310)를 향해 유동되도록 경사지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의 측벽부(302)에는 샤워수유동홈(305)이 마련될 수 있다. 샤워수유동홈(305)은 공급케이스(300)의 측벽부(302)로부터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저장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워수유동홈(305)은 급수유닛(400)을 향하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샤워수유동홈(305)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샤워수유동홈(305)의 내부로 전달되어 유동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급수유닛(400)은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3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샤워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샤워수유동홈(305)은 상기 샤워부(44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급수유닛(400)의 샤워부(440)를 통해 낙하되는 물이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샤워수유동홈(305)으로 유입될 수 있고, 샤워수유동홈(305)은 상기 샤워부(440)를 통해 유입된 물이 공급케이스(300) 바닥부(301)의 전방측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부(301)를 전체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샤워수유동홈(305)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유닛(400)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급수유닛(400)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및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에 세제개구부(18)가 마련되고,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에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며, 세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3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200), 공급케이스(300) 및 급수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상기 세제개구부(18)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인입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10)을 포함한다.
공급케이스(300)는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200)이 수용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상기 저장유닛(20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400)은 급수부(430), 샤워부(440) 및 샤워유로(44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430)는 상기 저장유닛(200)으로 물을 공급하고, 샤워부(440)는 상기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샤워유로(442)는 상기 급수부(4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샤워부(44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430)의 물을 상기 샤워부(44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샤워부(440)는 상기 급수부(430)로부터 물을 전달받고, 상기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고할 때, 급수유닛(400)은 급수호스(40)와 연결되는 급수커넥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급수호스(40)는 급수밸브(45)와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밸브(45)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급수유닛(400)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급수밸브(45), 급수호스(40) 및 급수커넥터(410)를 통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커넥터(410)와 연결되어 급수호스(40)를 통해 전달되는 물이 유동되는 급수유로(4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저장유닛(200)의 제1공간(212)에 저장되는 제1세제가 세제펌프(320) 및 세제호스(350)를 통해 급수유닛(4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호스(350)는 급수유닛(40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급수유닛(400)의 급수부(430)에 직접 제1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의 급수부(430)와 연통되는 세제커넥터(4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세제커넥터(450)와 세제호스(350)가 연결되어 상기 세제호스(350)를 통해 유동되는 세제, 즉 제1세제가 급수부(430)로 직접 공급되어 물과 함께 저장유닛(200)의 제2공간(214)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샤워부(440)는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과정에서 저장공간(210)에 저장되는 세제의 일부가 의도치 않게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샤워부(440)는 공급케이스(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물을 공급함으로써 공급케이스(300)의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급케이스(300)의 내부 청결성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샤워부(440)는 샤워유로(442)를 통해 급수부(430)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샤워유로(442)는 급수부(430)와 샤워부(440)를 연결시키며 급수부(430)의 물이 샤워부(440)를 향해 유동되는 경로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워부(440)는 급수부(430)로부터 물을 공급받음으로써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별도의 호스나 유로가 형성될 필요가 없어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효과적으로 샤워부(44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급수부(430) 및 샤워유로(44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닛(400)은 급수밸브(45)를 통해 유동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되어 상기 급수밸브(45)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부(430) 및 상기 샤워부(4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이 함께 단속될 수 있다.
전술한 도 3에는 급수부(430) 및 샤워부(4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함께 단속할 수 있는 급수밸브(45)가 도시되어 있다. 급수밸브(45)는 급수호스(40)를 통한 물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유닛(400)이 급수밸브(45)와 연결되는 급수호스(4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음으로써, 급수밸브(45)의 조작만으로 급수부(430) 및 샤워부(440)는 작동이 함께 조절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급수부(430) 및 샤워부(440)의 물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저장유닛(200)은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212) 및 제2세제가 저장되는 제2공간(2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제가 세제호스(350)를 통해 상기 급수유닛(400)으로 전달되며, 상기 급수유닛(400)은 상기 급수부(430)를 통해 상기 제1세제 및 물을 상기 제2공간(214)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공간(212), 제2공간(214) 및 세제배출부(220)를 포함하는 저장유닛(200)은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제1세제 및 물을 제2공간(214)으로 전달하는 급수부(43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200)은 저장공간(210)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공간(210)은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212) 및 제2세제가 저장되는 제2공간(214)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유닛(20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210)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저장공간(210)은 제2공간(214)이 격벽부에 의해 둘러싸여 제1공간(212)과 구획되어 세제의 혼합이 방지되며, 제1공간(212)은 격벽부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다. 도 7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공간(212) 및 상기 제1공간(212)에 둘러싸이도록 위치되는 제2공간(214)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저장유닛(200)은 제2공간(214)과 연통되는 세제배출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공간(214)에 존재하는 세제 또는 물 등은 상기 세제배출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저장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등은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세제 및 물 등이 배출될 수 있는 드레인부(310)를 포함하며, 저장유닛(200) 또는 급수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및 물 등은 드레인부(310)를 통해 세제공급장치(100)로부터 배출되어 드럼(30) 또는 터브(2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유닛(200)의 제1공간(212)에 저장되는 제1세제는 세제호스(350)를 통해 급수유닛(400)의 급수부(4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200)은 제1공간(212)의 세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제1세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세제호스(350)를 통해 급수유닛(400)으로 공급되는 제1세제는 물과 함께 급수부(430)를 통해 저장유닛(200)의 제2공간(214)으로 공급될 수 있고, 저장유닛(200)은 세제배출부(220)를 통해 제2공간(214)의 세제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장공간(210)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더라도, 세제가 배출될 수 있는 세제배출부(220)는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2공간(214)에만 마련하더라도 저장공간(210) 전체의 세제가 결국 저장유닛(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구조적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호스(35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유닛(40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급수유닛(400)은 외면에 상기 세제호스(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호스(3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호스수용홈(460)이 마련될 수 있다.
세제호스(350)는 저장유닛(200)에 직접 연결되거나 공급케이스(300)의 세제펌프(320)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의 세제펌프(320)에 연결되는 경우, 세제펌프(320)는 상기 공급케이스(300)에 수용되는 저장유닛(200)의 제1공간(21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유닛(200)은 제1공간(212)에 연통하는 세제연결부(213)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연결부(213)는 세제펌프(320)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세제의 유동을 허용하는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연결부(213)는 저장유닛(200)의 제1공간(212)과 저장유닛(200)의 외부를 연결하는 관 형상의 내부에 세제펌프(320)의 연결 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밸브가 포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세제호스(350)는 공급케이스(300) 또는 저장유닛(200)으로부터 연장되어 급수유닛(40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급수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부(430)는 도 4 등을 참고할 때 저장유닛(200)의 제2공간(214)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물과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급수부(430)가 제2공간(214)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 세제커넥터(450)가 급수부(430)의 상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세제커넥터(450)는 별도의 유로가 없더라도 세제호스(350)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직접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유닛(400)의 내부에 세제가 유동되는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세제호스(350)가 직접 급수유닛(40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급수부(430)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바, 급수유닛(400)의 내부에 세제가 유동되는 유로가 없어 세척이나 위생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급수유닛(400)의 외면상에 세제호스(350)가 수용되는 호스수용홈(460)이 마련될 수 있다. 호스수용홈(460)은 세제호스(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세제호스(350)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호스(350)가 급수유닛(40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더라도 상기 세제호스(350)가 호스수용홈(460)에 수용되므로 급수유닛(400)으로부터 돌출되어 차지하는 부피가 크게 감소되므로 공간 효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어 저장유닛(200)의 저장공간(210)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닛(400)은 물이 공급되는 급수호스(40)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부(430)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430)로 물이 전달되는 급수유로(420);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호스(35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급수유로(420)는 상기 한 쌍의 세제호스(3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호스(40)가 결합되는 급수커넥터(410)가 급수유닛(400)의 후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급수유닛(400)의 내부에는 급수커넥터(410)와 급수부(430)를 연결하는 급수유로(420)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유로(420)는 급수유닛(4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급수유닛(40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저장유닛(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공간(212)은 서로 다른 세제펌프(320) 및 세제호스(35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세제호스(350)가 급수유닛(400)에 연결될 수 있다.
세제호스(350)는 공급케이스(300)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세제펌프(320)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급수유닛(400)의 상면상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유닛(400)의 호스수용홈(460)은 급수유닛(40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호스수용홈(460)은 급수유닛(400)의 후단부로부터 세제커넥터(45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호스수용홈(460)은 급수유닛(400)의 외면으로부터 급수유닛(400)의 내부로 함입되는 홈의 형상을 가지고, 급수유로(420)는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호스수용홈(460) 및 급수유로(420)는 함께 급수유닛(400)의 내부에서 공간을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호스수용홈(460)과 급수유로(420)는 함께 급수유닛(40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대략 전방을 향해 연장되므로, 상호간의 최적 배치를 통한 구조 설계가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세제호스(350)와 대응되도록 급수유닛(400)의 외면상에 한 쌍의 호스수용홈(460)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호스수용홈(460) 사이로 급수유로(420)가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유로(420) 및 호스수용홈(460) 간의 구조적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급수유로(420) 및 호스수용홈(460)이 배치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닛(400)은 급수밸브(45)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단속되는 급수호스(40)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내부의 급수유로(420)를 통해 상기 급수부(430)로 전달되고, 상기 급수부(430)로 전달되는 물이 상기 샤워유로(442)를 통해 상기 샤워부(44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샤워부(440)를 위한 호스 또는 밸브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하나의 밸브 및 호스를 통해 급수부(430) 및 샤워부(440)의 물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세제공급장치(100)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유닛(200)은 세제 및 상기 급수부(43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세제배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샤워부(4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배출부(22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배출부(220)보다 전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공간(214)의 후방측에 세제배출부(220)가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샤워부(440)의 적어도 일부가 제2공간(214)의 상방에 위치되는 급수부(430)보다 전방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샤워부(440)가 세제배출부(220)보다 전방에 위치됨으로써 제2공간(214)의 전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세제배출부(220)로부터 의도치 않게 누출되는 세제를 샤워부(440)에서 공급되는 물을 통해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워부(4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부(43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부(430)보다 전방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샤워부(4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므로, 샤워부(4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공급케이스(300)의 측벽부(302) 및 바닥부(301)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유닛(400)은 내부에 상기 급수부(430)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430)를 향해 물이 유동되는 급수유로(420)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430)는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420)로부터 상기 샤워유로(442)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전달유로(445)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유로(445)는 일부가 상기 급수부(430)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로(4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급수부(43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및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유로(445)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유로(445) 및 샤워유로(442)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유로(420)는 급수유닛(4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급수커넥터(410)와 급수부(43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급수유로(420)는 급수호스(40)를 통해 급수유닛(400)으로 유입되는 물이 급수부(430)를 향해 유동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급수부(430)는 내부에 전달유로(445)가 마련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는 급수유로(4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사워유로측으로 유동시키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는 후단측이 상기 급수유로(420)와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급수유로(420)의 개구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전단측이 상기 샤워유로(442)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는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에는 급수부(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배출되기 전 체류하는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달유로(445)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의 외부란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에는 전달유로(445)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충전될 수 있다. 급수부(430)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물배출홀(435)이 마련될 수 있고,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에 체류하는 물은 상기 물배출홀(435)을 통해 저장유닛(200)의 제2공간(214)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에는 세제커넥터(450)와 연결되는 세제공간이 정의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간에 유동되는 세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세제배출홀(436)이 급수부(43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430)는 내부공간에서 세제가 유동되는 세제공간과 물이 유동되는 나머지 공간이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나머지 공간의 하면에 마련되는 물배출홀(435)과 세제공간의 하면에 마련되는 세제배출홀(436)이 구분되어 물과 세제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워유로(442)는 급수부(43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물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물배출홀(435)이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샤워유로(442)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수압이 저하되어 샤워부(440)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부(430)의 내부에서 급수유로(420)로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샤워유로(442)측까지 유동시키는 전달유로(445)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샤워유로(442) 및 샤워부(440)로 공급될 수 있는 물의 양과 수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전달유로(445)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됨에 따라 전달유로(445)를 통해 유동되는 물이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에도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급수부(430)의 물 배출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유로(445)는 상기 급수부(430)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유로측벽(446) 사이로 상기 급수유로(4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고, 상기 한 쌍의 유로측벽(446)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부(4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유로(445)는 한 쌍의 유로측벽(446)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유로측벽(446)은 급수부(430)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형태이고, 전달유로(445)는 상기 한 쌍의 유로측벽(446) 사이로 물이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유로측벽(446)은 각각 일부가 개방되어 개방부(447)를 형성할 수 있다. 개방부(447)는 측벽의 일부가 생략되거나 절개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는 유로측벽(446)의 개방부(447)를 통해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고, 전달유로(445)를 통해 유동되는 물은 상기 개방부(447)를 통해 상기 급수부(4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개방부(447)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되어 전달유로(4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유로(445)를 통해 유동되는 물은 급수부(430)의 전후방향으로 공급되는 물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달유로(445)의 양측에는 세제커넥터(450)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달유로(445)와 세제커넥터(450)간의 구조적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커넥터(450)가 배치되는 커넥터수용부(470)가 마련될 수 있고, 커넥터수용부(470)는 전달유로(445)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470)는 급수유닛(400)의 외면으로부터 함입된 홈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호스수용홈(460)과 연결될 수 있다. 호스수용홈(460)에 안착되어 연착되는 세제호스(350)는 급수유닛(400)으로부터의 이격없이 커넥터수용부(470)로 진입될 수 있고, 커넥터수용부(470)에는 세제커넥터(450)가 마련되어 세제호스(350)의 이격없이 세제커넥터(450)와 세제호스(350)가 연결될 수 있어 급수유닛(400)으로부터 세제커넥터(450) 또는 세제호스(350)의 돌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세제커넥터(450)는 세제호스(35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연장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세제호스(350)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급수유닛(4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꺽이지 않는 상태에서 세제커넥터(450)와 결합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워유로(442)는 상기 급수부(430)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샤워부(440)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유로(445)는 상기 급수유로(4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부(430)의 전단부로부터 샤워유로(442)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급수부(430)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샤워부(440)와 급수부(430)를 연결하는 샤워유로(442)의 불필요한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달유로(445)는 급수부(430)의 내부에서 급수유로(4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커넥터(410) 및 급수유로(420)는 급수부(4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전달유로(445)는 급수부(43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샤워유로(442)가 급수유로(420)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경우라도 전달유로(445)에 의해 샤워유로(442)측으로 충분한 양과 수압을 가지는 물이 공급될 수 있어 샤워부(440)의 운용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워유로(4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부(430)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급수유닛(4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유닛(400)은 상기 저장유닛(20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샤워부(440)는 상기 급수유닛(400)의 측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부(430)는 저장유닛(200)의 상방에 위치되어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부(430)는 저장유닛(200)의 제2공간(214)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2공간(214)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샤워부(440)는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300)의 상방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공급케이스(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샤워부(440)가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물을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샤워부(440)가 급수유닛(400)의 측방향 양측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워부(440)가 급수유닛(400)의 측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샤워부(440)의 하방에 저장유닛(200)이 위치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유닛(200)은 샤워부(44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폭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샤워부(4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공급케이스(300)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급케이스(300)는 샤워부(44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폭이 증가되어 측벽부(302)와 저장유닛(200)이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샤워부(440)의 물이 저장유닛(200)을 회피하여 공급케이스(3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급케이스(300)는 전술한 샤워수유동홈(305)이 측벽부(302)에 마련됨으로써, 샤워수유동홈(30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샤워부(440)의 물이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샤워부(440)는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 전방측을 세척할 수 있도록 급수부(430) 또는 세제배출부(22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워유로(442)는 급수부(430)의 전단부로부터 급수유닛(4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샤워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케이스(300)는 상기 공급케이스(300)는 바닥부(301) 및 상기 바닥부(30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측벽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302)는 샤워슈유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샤워수유동홈(305)은 상기 샤워부(44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샤워부(440)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샤워부(44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될 수 있다. 도 8에는 샤워수유동홈(305)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측벽부(302)에 형성된 샤워수유동홈(305)이 도시되어 있다.
샤워수유동홈(305)은 적어도 일부가 샤워부(44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샤워수유동홈(305)에서 샤워부(440)의 하방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워부(440)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샤워수유동홈(3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샤워수가 그대로 공급케이스(300)의 측벽부(302) 또는 바닥부(301)로 낙하되는 경우 샤워수에 의해 세척되는 공급케이스(300) 내측면의 면적이 제한적일 수 있고, 따라서 샤워수에 의해 세척되지 못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샤워부(440)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압이나 물의 양을 고려할 때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고, 구조적으로 복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급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샤워수유동홈(305)을 형성하고, 상기 샤워수유동홈(305)을 통해 샤워부(440)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의 유동을 가이드하여 세척 면적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샤워수유동홈(305)은 공급케이스(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만입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측벽부(302)로부터 바닥부(301)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급케이스(300)의 바닥부(301)에는 샤워수유동홈(305)과 더불어 샤워부(440)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리브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탄성돌기(405)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걸림돌기(407) 및 걸림탄성돌기(405)의 작동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유닛(400)은 걸림탄성돌기(40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걸림탄성돌기(405)는 상기 저장유닛(200)을 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유닛(20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저장유닛(200)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탄성돌기(405)는 상기 급수유로(420)와 상기 세제호스(3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탄성돌기(405)는 급수유닛(400)에 마련되어 저장유닛(2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급수유닛(400)은 저장유닛(20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고, 걸림탄성돌기(405)는 적어도 일부가 급수유닛(40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유닛(4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의 걸림탄성돌기(405)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탄성돌기(405)는 탄성을 가지는 스트립 형태의 부재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탄성돌기(405)는 전후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각각 급수유닛(400)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급수유닛(40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탄성돌기(405)는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탄성 변형 및 복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200)의 저장프레임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07)가 마련될 수 있고,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걸림탄성돌기(405)는 걸림돌기(407)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고 다시 복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와 같이 캐비닛(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200)은 걸림돌기(407)가 걸림탄성돌기(40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407)와 걸림탄성돌기(405)는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저장유닛(200)의 인출되는 경우, 걸림돌기(407)는 걸림탄성돌기(405)를 가압하여 변형시키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탄성돌기(405)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걸림탄성돌기(405)에 의해 저항력을 느끼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걸림탄성돌기(405)에 의해 저장유닛(200)의 인출과정을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저장유닛(200)이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걸림돌기(407)는 걸림탄성돌기(405)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저장유닛(2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탄성돌기(405)에 의해 저항감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유닛(2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탄성돌기(405)의 저항감을 통해 저장유닛(200)의 인입 정도를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걸림탄성돌기(405)의 복원력은 걸림돌기(407)에 전달되어 저장유닛(2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유닛(200)의 인입과정에서 걸림탄성돌기(405)의 복원력은 저장유닛(200)의 인입을 도울 수 있고, 저장유닛(200)의 인출과정에서 걸림탄성돌기(405)의 복원력은 저장유닛(200)의 인출을 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유닛(200)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일정 수준 이상 저장유닛(200)을 직접 이동시키고 나면 걸림탄성돌기(405)의 복원력에 의한 저장유닛(200)의 이동 효과를 느낄 수 있어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2 : 의류도어 18 : 세제개구부
20 : 터브 30 : 드럼
40 : 급수호스 45 : 급수밸브
100 : 세제공급장치 200 : 저장유닛
205 : 손잡이부 210 : 저장공간
212 : 제1공간 213 : 세제연결부
214 : 제2공간 220 : 세제배출부
230 : 세제커버 300 : 공급케이스
305 : 샤워수유동홈 310 : 드레인부
320 : 세제펌프 350 : 세제호스
400 : 급수유닛 401 : 급수베이스
402 : 급수커버 405 : 걸림탄성돌기
410 : 급수커넥터 420 : 급수유로
430 : 급수부 432 : 혼합억제리브
433 : 제1억제리브 434 : 제2억제리브
435 : 물배출홀 436 : 세제배출홀
437 : 차폐부 438 : 개방영역
440 : 샤워부 442 : 샤워유로
445 : 전달유로 446 : 유로측벽
447 : 개방부 450 : 세제커넥터
452 : 연장결합부 455 : 역류방지부
460 : 호스수용홈 462 : 이탈억제부
470 : 커넥터수용부

Claims (16)

  1. 전면에 세제개구부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인입되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저장유닛;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 및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샤워부;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샤워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의 물을 상기 샤워부로 전달하는 샤워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세제 및 상기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세제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제배출부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배출부보다 전방으로 물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부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부보다 전방으로 물이 배출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내부에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를 향해 물이 유동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로부터 상기 샤워유로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전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유로는 일부가 상기 급수부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급수부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로는 상기 급수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유로측벽 사이로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고, 상기 한 쌍의 유로측벽의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부 내부와 연통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유로는 상기 급수부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샤워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유로는 상기 급수유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부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급수유닛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급수밸브를 통해 유동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마련되어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샤워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이 함께 단속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급수밸브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단속되는 급수호스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내부의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급수부로 전달되고, 상기 급수부로 전달되는 물이 상기 샤워유로를 통해 상기 샤워부로 전달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샤워부는 상기 급수유닛의 측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케이스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샤워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샤워부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샤워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샤워수유동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제1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 및 제2세제가 저장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제가 세제호스를 통해 상기 급수유닛으로 전달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세제 및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호스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수유닛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급수유닛은 외면에 상기 세제호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제호스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호스수용홈이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물이 공급되는 급수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로 물이 전달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호스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한 쌍의 세제호스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을 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유닛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저장유닛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되는 걸림탄성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탄성돌기는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세제호스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저장유닛;
    내부에 상기 저장유닛이 수용되는 공급케이스; 및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전달받고, 상기 저장유닛을 회피하여 상기 공급케이스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샤워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30147A 2020-10-08 2020-10-08 의류처리장치 KR20220046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47A KR20220046897A (ko) 2020-10-08 2020-10-08 의류처리장치
EP21201194.4A EP3981904A1 (en) 2020-10-08 2021-10-06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111170571.6A CN114293346B (zh) 2020-10-08 2021-10-08 衣物处理装置
AU2021245233A AU2021245233A1 (en) 2020-10-08 2021-10-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497,288 US20220112648A1 (en) 2020-10-08 2021-10-08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311480345.7A CN117265836A (zh) 2020-10-08 2021-10-08 衣物处理装置
AU2023222923A AU2023222923B2 (en) 2020-10-08 2023-08-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147A KR20220046897A (ko) 2020-10-08 2020-10-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897A true KR20220046897A (ko) 2022-04-15

Family

ID=7808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147A KR20220046897A (ko) 2020-10-08 2020-10-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12648A1 (ko)
EP (1) EP3981904A1 (ko)
KR (1) KR20220046897A (ko)
CN (2) CN114293346B (ko)
AU (2) AU20212452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494A (ja) * 2001-06-01 2002-12-10 Hitachi Ltd 洗濯機
KR101476183B1 (ko) * 2008-02-18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DE102014220026A1 (de) * 2014-10-02 2016-04-0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Einspülsystem
KR20180052282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281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68673B1 (ko) 2017-02-02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L3692200T3 (pl) * 2017-10-05 2023-09-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Pralk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1904A1 (en) 2022-04-13
US20220112648A1 (en) 2022-04-14
AU2023222923B2 (en) 2024-05-09
AU2023222923A1 (en) 2023-09-21
CN117265836A (zh) 2023-12-22
AU2021245233A1 (en) 2022-04-28
AU2021245233A2 (en) 2022-09-08
CN114293346B (zh) 2023-11-28
CN114293346A (zh)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50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050100556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US2024015095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786336B1 (en) Detergent supply device
KR20230169002A (ko) 의류처리장치
CN111519399B (zh) 衣物处理装置
KR20070059426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2022004689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5415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6898A (ko) 의류처리장치
EP397457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4136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59312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1474433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20230020801A (ko) 의류처리장치
US1167425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0129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17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8641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727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