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91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915A
KR20220044915A KR1020220038270A KR20220038270A KR20220044915A KR 20220044915 A KR20220044915 A KR 20220044915A KR 1020220038270 A KR1020220038270 A KR 1020220038270A KR 20220038270 A KR20220038270 A KR 20220038270A KR 20220044915 A KR20220044915 A KR 20220044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ncapsulation
organic layer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960B1 (ko
Inventor
박용환
김미영
안치욱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9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위에 위치하고, 교대로 적층된 유기층과 무기층을 포함하는 봉지부, 그리고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평탄화막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막의 가장자리 측면이 상기 기판의 면과 이루는 제1각은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측면이 상기 기판의 면과 이루는 제2각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al active laye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전기장 생성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고,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러한 데이터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 등의 불순물이 표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면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전기 소자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면 발광층의 발광색의 변질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 내부의 전기 소자를 외부로부터 격리하여 수분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encapsulation) 처리가 진행된다. 이러한 밀봉 처리 방법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발광층 등이 형성된 하부 기판 상부에 PET(polyester) 등의 유기 고분자로 이루어진 층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봉지 기판으로 커버 또는 캡(cap)을 형성하고 하부 기판 및 봉지 기판의 가장자리를 밀봉재로 봉합하는 방법, 봉지 기판 대신에 복수의 박막을 적층하여 형성된 봉지층을 포함하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복수의 봉지층을 포함하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완성된 하부 기판 상에 복수의 유기층 및 무기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봉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봉지층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특히 높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기 때문에 요즘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 EM),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감지 전극으로 이루어진 감지 축전기를 포함하고,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가 터치 센서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감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 또는 충전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는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배선은 터치 전극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거나 터치에 따라 생성된 터치 전극의 감지 출력 신호를 터치 구동부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에 내장되거나(in-cell type) 표시 장치의 바깥쪽 면에 직접 형성되거나(on-cell type) 별도의 터치 센서부가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add-on cell type)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 위에 터치 센서부를 부착하는 경우 터치 센서부를 표시 패널과 별도로 제작하고 터치 센서부를 표시 장치 위에 부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수율이 저하되고 원가 상승한다. 또한 터치 센서부를 표시 장치 위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해 터치 센서부와 표시 장치 사이 또는 터치 센서부 상부에 점착층이 위치하는데, 이에 의해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부착된 터치 센서부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되고 반사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헤이즈(haze)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치 센서를 표시 장치의 바깥쪽 면에 직접 형성하는 온셀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 온셀 타입의 터치 센서는 봉지층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러나 봉지층은 복수의 유기층과 무기층을 포함하므로 봉지층의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거나 단차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봉지층 위에 터치 센서와 같은 패턴을 형성할 경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전극 또는 터치 배선 등의 패턴에 불량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한다.
또한 봉지층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에서 봉지층의 두께가 낮아지는데, 이 경우 하부 기판 위에 형성된 전극(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과 터치 센서의 터치 전극 또는 터치 배선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용량(noise capacitance)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기생 용량이 커지면 터치 센서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봉지층의 윗면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에만 터치 센서를 형성하게 되므로 터치 센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데드 스페이스가 더욱 증가한다. 이는 터치 센서가 아닌 패턴을 봉지층 위에 형성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하부 기판 상의 전극과 터치 센서 사이의 기생 용량의 증가를 막기 위해 봉지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봉지층이 포함하는 유기층의 리플로우(reflow) 양이 많아진다. 그러면 유기층이 바깥으로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고 노출된 유기층을 통해 투습이 이루어져 표시 장치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노출된 유기층을 덮기 위한 무기층의 면적이 더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데드 스페이스가 더 늘어나게 되고 표시 장치의 사이즈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 기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봉지층을 이용해 밀봉 처리되는 표시 장치에서 데드 스페이스의 증가 및 기생 용량의 증가 없이 터치 센서와 같은 패턴을 봉지층 위에 형성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위에 위치하고, 교대로 적층된 유기층과 무기층을 포함하는 봉지부, 그리고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평탄화막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막의 가장자리 측면이 상기 기판의 면과 이루는 제1각은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측면이 상기 기판의 면과 이루는 제2각보다 크다.
상기 평탄화막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가 포함하는 상기 유기층은 상기 무기층으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각은 대략 7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평탄화막의 윗면은 전체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는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윗면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막의 가장자리 측면은 실질적으로 곡면인 부분인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막의 가장자리 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막은 상기 봉지부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 및 상기 평탄화막의 윗면은 전체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 봉지층을 이용해 밀봉 처리되는 표시 장치에서 데드 스페이스의 증가 및 기생 용량의 증가 없이 터치 센서와 같은 패턴이 박막 봉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판(display panel)(300)을 포함한다.
표시판(300)은 평면 구조로 볼 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표시 영역(DA)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eripheral area)(P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 및 화소(PX)와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표시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표시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게이트 신호선과 데이터선은 서로 교차하며 뻗을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주변 영역(PA)으로 연장되어 패드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대략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화소(PX)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 및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표시판(300)에 집적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일 수 있다. 화소(PX)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선이 전달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데이터선이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들 기본색의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삼원색 또는 사원색을 들 수 있다.
그러면 도 1과 함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화소(PX) 부분의 단면 구조를 자세히 도시하고, 도 3은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1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유리,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폴리이미드(PI) 등의 다양한 플라스틱, 금속 박막 또는 초박형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위에는 배리어막(barrier layer)(111)이 위치한다. 배리어막(111)은 외부로부터의 불순물이 기판(110)을 통과해 상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배리어막(111)은 무기막 및 유기막 중 적어도 하나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막(111)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산질화규소(SiOxN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막(111)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배리어막(111) 위에는 복수의 반도체(154b)가 위치한다. 반도체(154b)는 채널 영역(152b)과 채널 영역(152b)의 양 옆에 위치하며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53b) 및 드레인 영역(155b)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154b)는 비정질 규소,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154b) 위에는 질화규소(SiNx) 또는 산화규소(SiOx)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및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하는 복수의 게이트 도전체(gate conductor)가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24b)은 반도체(154b)의 일부, 특히 채널 영역(152b)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및 게이트 도전체 위에는 제1 보호막(180a)이 위치한다. 제1 보호막(180a) 및 게이트 절연막(140)은 반도체(154b)의 소스 영역(153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3b), 그리고 드레인 영역(155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80a) 위에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복수의 입력 전극(173b) 및 복수의 출력 전극(175b)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도전체(data conductor)가 위치한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사 신호선과 교차할 수 있다. 입력 전극(173b)은 데이터선(171)과 연결되어 있다. 출력 전극(175b)은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다. 입력 전극(173b)과 출력 전극(175b)은 반도체(154b) 위에서 마주한다.
입력 전극(173b) 및 출력 전극(175b)은 각각 접촉 구멍(183b, 185b)을 통해 반도체(154b)의 소스 영역(153b) 및 드레인 영역(155b)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4b), 입력 전극(173b) 및 출력 전극(175b)은 반도체(154b)와 함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를 이룬다. 그러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데이터 도전체 위에는 질화규소 또는 산화규소 따위의 무기 절연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제2 보호막(180b)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출력 전극(175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5c)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각 화소(PX)의 화소 전극(191)은 제2 보호막(180b)의 접촉 구멍(185c)을 통해 출력 전극(175b)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반투과성 도전 물질 또는 반사성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기판(110)의 위의 층, 예를 들어 배리어막(111)부터 제2 보호막(180b)까지의 층을 함께 트랜지스터층(TFL)이라 한다.
제2 보호막(180b) 위에는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격벽이라고도 함)(36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화소 정의막(360)의 개구부는 각 화소(PX)에서 빛이 방출되는 단위 표시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6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360) 및 화소 전극(191) 위에는 발광 부재(370)가 위치한다. 발광 부재(370)는 차례대로 적층된 제1 유기 공통층(371), 복수의 발광층(373), 그리고 제2 유기 공통층(3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공통층(371)은 예를 들어 차례대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공통층(371)은 화소(PX)가 배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화소(PX)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층(373)은 각각 대응하는 화소(PX)의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373)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기본색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내는 복수의 유기 물질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유기 공통층(375)은 예를 들어 차례대로 적층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기 공통층(375)은 화소(PX)가 배치되어 있는 표시 영역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각 화소(PX)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기 공통층(371, 375)은 발광층(373)의 발광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유기 공통층(371, 375)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발광 부재(370) 위에는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대향 전극(270)이 위치한다. 대향 전극(270)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 전극(27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은(Ag) 등의 금속을 얇게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각 화소(PX)의 화소 전극(191), 발광 부재(370) 및 대향 전극(270)은 발광 소자를 이루며, 화소 전극(191) 및 대향 전극(270) 중 하나가 캐소드(cathode)가 되고 나머지 하나가 애노드(anode)가 된다.
편의상, 화소 정의막(360) 및 화소 전극(191)부터 대향 전극(270)까지의 층을 함께 발광 소자층(EL)이라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부재(370)로부터의 빛을 위쪽으로 발출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 발광 방식(top emission type)일 수 있다.
대향 전극(270) 위에는 봉지부(encapsulating portion)(380)가 위치한다. 봉지부(380)는 발광 부재(370) 및 대향 전극(270)을 밀봉(encapsulation)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부(380)는 복수의 봉지층(encapsulating thin film layers)(380_1, 380_2, 380_3, ... 380_n)을 포함한다. 봉지층(380_1, 380_2, 380_3, ... 380_n)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며, 유기층과 무기층은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평탄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무기층은 산화 알루미늄(AlOx), 산화규소(SiOx), 질화규소(SiNx) 등의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봉지층(380_1, 380_2, 380_3, ... 380_n)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봉지층(380_1)은 무기층일 수도 있고 유기층일 수도 있다. 봉지층(380_1, 380_2, 380_3, ... 380_n)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는 봉지층(380_n)도 무기층일 수도 있고 유기층일 수도 있다. 가장 위에 위치하는 봉지층(380_n)은 무기층인 경우에는 봉지부(380)에 대한 투습을 더욱 잘 차단할 수 있다. 봉지부(380)가 포함하는 무기층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유기층을 덮어 유기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봉지부(380)가 포함하는 유기층은 무기층으로 덮여 봉지부(380)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층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막을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복수의 봉지층(380_1, 380_2, 380_3, ..., 380_n)을 포함하는 봉지부(380)의 윗면은 대체로 평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은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봉지부(380)의 윗면도 점차 낮아진다. 윗면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와 주변 영역(PA)에 걸쳐 있을 수도 있고, 대부분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봉지부(380)의 윗면은 주변 영역(PA)과 표시 영역(DA)의 경계 부근에 인접한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질 수도 있고, 주변 영역(PA) 내에서부터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질 수도 있다.
봉지부(380)의 윗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부분에서는 봉지부(380)의 두께도 점차 얇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부(380)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가장자리 부분의 윗면은 위쪽을 향하지 않고 옆을 향하는 면이므로 봉지부(380)의 측면이라 한다. 봉지부(380)의 측면은 대체로 곡면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부(380)의 끝 부분에서 봉지부(380)의 측면은 기판(110)의 면과 만나고, 이 부분에서 봉지부(380)의 측면 또는 측면에 접하는 가상의 면이 기판(110)의 면과 이루는 각(B)은 예각을 이루며, 더 구체적으로는 각(B)은 45도보다 작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대략 20도보다 작을 수도 있다. 즉,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은 프로파일은 완만하게 형성된다.
봉지부(380) 위에는 평탄화막(390)이 위치한다. 평탄화막(390)은 봉지부(380)의 전면 위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부 위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평탄화막(390)은 적어도 봉지부(380)의 윗면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평탄화막(390)이 실질적으로 봉지부(380)의 전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평탄화막(39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평탄화막(390)이 포함하는 유기 물질은 봉지부(380)가 포함하는 유기층의 유기 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평탄화막(390)이 포함하는 유기 물질은 봉지부(380)가 포함하는 유기층의 유기 물질과 동일하거나 다른 점성을 가질 수 있다.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의 측면의 대부분이 기판(110)의 면과 이루는 각(A)은 봉지부(380)의 측면이 기판(110)과 이루는 각(B)보다 크다. 즉,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부분의 프로파일은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의 프로파일보다 급하게 형성된다. 특히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이 기판(110)의 면과 이루는 각(A)은 대략 70도 이상일 수 있으며 거의 90도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을 기판(110)의 면에 대해 가능한 수직으로 형성함으로써 평탄화막(390)의 윗면의 평탄화된 면적을 최대로 만들 수 있다.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은 대부분 평탄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 곡면을 이루거나 꺾인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평탄화막(390)은 스크린 인쇄법 또는 감광성 유기 물질을 이용한 사진 공정 등의 방법으로 봉지부(38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평탄화막(390)이 바깥쪽으로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투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하부에 봉지부(380)가 위치하므로 투습에 의한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봉지부(380)가 포함하는 유기층은 대부분 무기층으로 덮여 있으므로 평탄화막(390)을 통해 투습이 발생하여도 봉지부(380)를 통과하여 발광 소자층(EL)까지 도달할 수 없다.
표시 영역(DA)에서 봉지부(380)와 평탄화막(390)의 총 두께(d1)는 대략 10 u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평탄화막(390) 위에는 복수의 패턴이 위치한다. 복수의 패턴은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의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터치란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물체가 표시 장치의 터치면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 물체가 표시 장치의 터치면에 접근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패턴은 터치 전극(410)과 이에 연결된 터치 배선(411)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410)은 대부분 표시 영역(DA)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도 있다. 터치 배선(411)은 주로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으나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의 윗면에 직접 형성된 터치 센서를 온셀 타입 터치 센서라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부분의 측면이 기판(110)의 면에 대해 급경사를 이루므로 평탄화막(390)의 윗면의 평탄화된 면적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평탄화막(390)에 복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이 극대화된다.
만약, 평탄화막(390)이 없다면 복수의 패턴은 봉지부(380)의 윗면에 형성되고,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의 프로파일이 완만하므로 패턴의 불량 방지를 위해 봉지부(380)의 평탄화된 윗면에만 패턴을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패턴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형성되기 어려워 터치 센서 등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된다. 그러면 표시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막(390)에 의해 봉지부(380)의 완만한 프로파일 부분이 덮여 평탄화된 윗면이 극대화되며, 주변 영역(PA)의 대부분의 영역에서도 평탄화막(390)의 윗면이 평탄화된다. 따라서 터치 센서 등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고 데드 스페이스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베젤(bezel)을 줄일 수 있어 수요자의 욕구를 더욱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층(EL)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270)과 터치 센서의 패턴 사이에 기생 용량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생 용량이 커지면 터치 센서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만약 평탄화막(390) 없이 봉지부(380) 위에 직접 터치 센서의 패턴을 형성할 경우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터치 센서의 패턴은 대향 전극(270)과 터치 센서의 패턴 사이의 기생 용량을 높인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의 패턴을 봉지부(380)의 평탄한 윗면 위에만 형성하게 될 것이고, 그러면 데드 스페이스가 더욱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부(380) 위에 평탄화막(390)이 형성되어 대향 전극(270)과 패턴 사이의 기생 용량이 감소되어 패턴으로 구성되는 터치 센서의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데드 스페이스 면적을 줄일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평탄화막(390)에 위에 형성되는 패턴에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평탄화막(390) 위에 형성되는 패턴은 예를 들어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표시판(3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블 표시 장치가 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도 1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표시판(300)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인 터치 감지 영역(touch sensible area)(TA) 및 그 주변에 위치하는 터치 주변 영역(PAt)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영역(TA)은 외부 물체가 표시판(300)에 접근하거나 표시판(300) 위의 터치면에 접촉하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터치 감지 영역(TA)은 표시 영역(DA)과 중첩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영역(TA)와 표시 영역(DA)의 대부분은 서로 대응하고 터치 주변 영역(PAt)과 주변 영역(PA)의 대부분은 서로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PA)의 일부도 터치 감지 영역(TA)에 포함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의 일부만이 터치 감지 영역(TA)에 대응할 수도 있다.
터치 감지 영역(TA)에는 터치 센서가 위치한다. 터치 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 EM),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복수의 터치 전극(410)을 포함하며, 복수의 터치 전극(410)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은 터치 감지 영역(T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은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도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a)과 제2 터치 전극(410b)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동일한 행 또는 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은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열 또는 행에 배열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이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이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 행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은 제1 연결부(412a)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 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은 제2 연결부(412b)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410)은 터치 배선(411)과 연결되어 있다. 각 행의 서로 연결된 제1 터치 전극(410a)은 제1 터치 배선(411a)을 통해 터치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고, 각 열의 서로 연결된 제2 터치 전극(410b)은 제2 터치 배선(411b)을 통해 터치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배선(411a)과 제2 터치 배선(411b)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주변 영역(PAt)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터치 감지 영역(T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배선(411a)과 제2 터치 배선(411b)의 끝부분은 터치 주변 영역(PAt)에서 패드부(450)를 형성한다.
제1 터치 전극(410a) 및 제2 터치 전극(410b)은 표시판(300)으로부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투과도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전극(410a) 및 제2 터치 전극(410b)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은나노와이어(AgNw) 등의 얇은 금속층, 메탈 메쉬(metal mesh),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터치 배선(411a)과 제2 터치 배선(411b)은 제1 터치 전극(410a) 및 제2 터치 전극(410b)이 포함하는 투명한 도전 물질 또는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410a)과 제2 터치 전극(410b)은 터치 센서로서 기능하는 상호 감지 축전기(mutual sensing capacitor)를 형성한다. 상호 감지 축전기는 제1 터치 전극(410a) 및 제2 터치 전극(410b) 중 하나를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감지 출력 신호로서 나머지 터치 전극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a)과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10b)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 터치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터치 구동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터치 전극은 터치 센서로서 자가 감지 축전기(self sensing capacitance)를 형성할 수 있다. 자가 감지 축전기는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될 수 있고, 손가락 등의 외부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은 대체로 평탄한 면을 이루며 기판(110)의 면과 대략 70도보다 큰 각(A)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은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모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형성하고 표시 장치 단위로 셀커팅할 때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평탄화막(390)의 가장자리 측면은 별도의 무기층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 3과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평탄화막(390)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막(390)은 봉지부(380)의 전면 위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부 위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평탄화막(390)은 봉지부(38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탄화막(390)은 봉지부(380)의 윗면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평탄화막(390)은 표시 영역(DA)의 안쪽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고 주로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평탄화막(39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막(390)이 봉지부(380)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어 윗면을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등의 패턴을 평탄화막(390) 위에도 형성할 수 있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고 데드 스페이스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 밖에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여러 특징 및 효과가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기판
191: 화소 전극
270: 대향 전극
300: 표시판
360: 화소 정의막
373: 발광층
380: 봉지층
390: 평탄화막
410: 터치 전극
411: 터치 배선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위에 위치하며, 제1 유기층과 제1 무기층을 포함하는 봉지부,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유기층, 그리고
    상기 제2 유기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의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그리고
    상기 제2 유기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의 터치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유기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터치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상 상기 봉지부의 상기 경사면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복수의 터치 배선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봉지부의 상기 경사면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기층은 상기 제1 무기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의 윗면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봉지부의 일부를 덮지 않는 표시 장치.
  6.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위에 위치하며, 제1 유기층과 제1 무기층을 포함하는 봉지부,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는 제2 유기층, 그리고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봉지부의 윗면과 접촉하는 제1 터치 센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유기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기판의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의 터치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배선은 상기 제2 유기층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유기층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배선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봉지부의 상기 경사면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복수의 터치 배선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봉지부의 상기 경사면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의 윗면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표시 장치.
  13. 제7항에서,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봉지부의 일부를 덮지 않는 표시 장치.
  14.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위치하는 대향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위에 위치하며, 제1 유기층과 제1 무기층을 포함하는 봉지부,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2 유기층, 그리고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센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봉지부와 중첩하며 상기 제2 유기층과는 중첩하지 않는 제1 부분, 그리고
    상기 봉지부 및 상기 제2 유기층 모두와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기판의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의 터치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배선은 상기 제2 유기층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유기층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서,
    상기 봉지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 패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봉지부의 상기 경사면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9. 제14항에서,
    상기 봉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유기층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20. 제14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 패턴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봉지부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038270A 2015-04-16 2022-03-28 표시 장치 KR10248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70A KR102488960B1 (ko) 2015-04-16 2022-03-28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016A KR102381391B1 (ko) 2015-04-16 2015-04-16 표시 장치
KR1020220038270A KR102488960B1 (ko) 2015-04-16 2022-03-28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016A Division KR102381391B1 (ko) 2005-04-16 2015-04-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15A true KR20220044915A (ko) 2022-04-12
KR102488960B1 KR102488960B1 (ko) 2023-01-16

Family

ID=571292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016A KR102381391B1 (ko) 2005-04-16 2015-04-16 표시 장치
KR1020220038270A KR102488960B1 (ko) 2015-04-16 2022-03-28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016A KR102381391B1 (ko) 2005-04-16 2015-04-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198103B2 (ko)
KR (2) KR102381391B1 (ko)
CN (2) CN1153602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31B1 (ko) * 2012-03-21 2018-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시블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KR102345004B1 (ko) * 2015-02-26 2021-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7152256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15232B1 (ko) * 2016-09-30 2023-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54095B1 (ko) * 2016-09-30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086B1 (ko) * 2016-09-30 2019-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KR20180076689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05972B1 (ko) 2017-01-18 2019-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976581B2 (en) * 2017-02-06 2021-04-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325171B1 (ko) * 2017-03-20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8181799A (ja) * 2017-04-21 2018-11-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311316B1 (ko) 2017-04-24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8255B1 (ko) 2017-05-31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947537B2 (ja) * 2017-06-01 2021-10-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87631B1 (ko) 2017-06-30 2022-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CN107394041B (zh) * 2017-07-21 2019-09-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基底及其制作方法、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KR102349337B1 (ko) * 2017-07-31 2022-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584819B (zh) 2017-08-29 2019-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装置
KR102479964B1 (ko) * 2017-08-30 2022-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398678B1 (ko) 2017-09-07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58485A1 (ja) * 2017-09-21 2019-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KR102399820B1 (ko) 2017-10-27 2022-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KR102552266B1 (ko) 2018-01-31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490652B (zh) * 2018-02-09 2020-05-2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Gamma自动调整的方法和***
KR102524043B1 (ko) 2018-02-12 2023-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1154B1 (ko) 2018-03-27 2022-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323350B (zh) * 2018-03-29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封装方法、薄膜封装结构、显示装置
KR102582641B1 (ko) 2018-11-30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8414A (ko) * 2018-12-05 2020-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00085386A (ko) * 2019-01-04 2020-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860422B (zh) * 2019-01-31 2021-06-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97374A (ko) * 2019-02-07 2020-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0134715A (ja) * 2019-02-20 2020-08-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00107026A (ko) * 2019-03-05 2020-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121400A (ko) * 2019-04-15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10005447A (ko) * 2019-07-05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0429201B (zh) 2019-07-05 2020-08-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
CN110989231A (zh) * 2019-11-25 2020-04-10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片和显示面板
KR20210085912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1508A (ko) * 2020-04-23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4148710A4 (en) * 2020-05-09 2023-06-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PANEL
KR20220073296A (ko) *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JP7145992B2 (ja) * 2021-01-19 2022-10-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121A (ko) * 2008-11-28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57426A (ko) * 2012-10-30 2014-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80246A (ko) * 2012-12-20 2014-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287A (en) * 1983-12-29 1987-06-09 Fiddian Green Richard G Apparatus and method for sustaining vitality of organ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MY130565A (en) * 1998-09-18 2007-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field optical storage medium and optical data storage system therefor
US7358104B2 (en) * 2002-10-08 2008-04-15 Samsung Electornics Co., Ltd. Contact portion of semiconductor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tact portion
CA2419704A1 (en) * 2003-02-24 2004-08-24 Ignis Innovat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ixel wit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KR100741962B1 (ko) * 2003-11-26 2007-07-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0601370B1 (ko) * 2004-04-28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99998B1 (ko) * 2004-09-23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7638214B2 (en) * 2005-05-25 2009-12-29 The Gillette Company Fuel cells
KR100731745B1 (ko) * 2005-06-22 200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600254B2 (ja) * 2005-11-22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1341608B (zh) * 2005-12-19 2011-05-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有机led器件
KR100821068B1 (ko) * 2006-05-16 2008-04-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700B1 (ko) * 2006-12-29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73080B1 (ko) * 2007-05-10 2008-12-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833772B1 (ko) * 2007-06-20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5736B1 (ko) * 2007-06-29 2014-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가능한 전자 책
KR100905855B1 (ko) * 2007-11-06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구속용 그린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층 세라믹 기판제조방법
JP5192828B2 (ja) * 2008-01-08 2013-05-08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15092A (ja) * 2008-07-07 2010-01-21 Fujifilm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00344B1 (ko) * 2008-08-26 2015-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KR101074801B1 (ko) * 2009-09-09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20110085794A (ko) * 2010-01-21 2011-07-27 오은영 흡수체 포화를 사전 경고하는 수단을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
KR101886801B1 (ko) 2010-09-14 2018-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JP5647864B2 (ja) * 2010-11-05 2015-0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20130301196A1 (en) * 2010-12-27 2013-11-14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KR101221722B1 (ko) * 2011-03-04 2013-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08745A (ko) 2011-07-13 2013-01-23 이원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CN102751445B (zh) * 2012-05-31 2015-07-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封装薄膜及制造该封装薄膜的方法
US8608525B1 (en) * 2012-06-05 2013-12-17 Guardian Industries Corp. Coated articles and/or devices with optical out-coupling layer stacks (OCL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40002410A1 (en) * 2012-06-29 2014-01-02 Synaptics Incorporated Fully addressable transmitter electrode control
JP6002478B2 (ja) * 2012-07-04 2016-10-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903054B1 (ko) * 2012-07-11 2018-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EP2685515A1 (en) * 2012-07-12 2014-01-15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a barrier foil
CN102929008B (zh) * 2012-10-25 2015-04-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1951223B1 (ko) 2012-10-26 2019-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8505B1 (ko) 2012-11-19 2019-10-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9349988B2 (en) * 2012-11-20 2016-05-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73309B1 (ko) * 2012-11-29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53880B1 (ko) * 2012-11-29 2014-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3310B1 (ko) * 2012-12-06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258968B (zh) * 2013-04-28 2016-05-1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主动式oled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049006B1 (ko) * 2013-06-13 2019-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4400B1 (ko) * 2013-08-30 2020-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510798A (zh) * 2013-09-13 2015-03-16 Hon Hai Prec Ind Co Ltd 單片式玻璃觸控屏及其製造方法
KR102100767B1 (ko) * 2013-11-26 2020-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92035B1 (ko) * 2013-12-02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514564B (zh) * 2013-12-10 2015-12-2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KR102347532B1 (ko) * 2014-01-23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21763A2 (en) * 2014-02-13 2015-08-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data processing device
KR102181237B1 (ko) * 2014-03-17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109690B2 (en) * 2014-03-20 2018-10-23 Joled Inc.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th optimized bank profile
KR20150137214A (ko) * 2014-05-28 2015-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5152A (ko) * 2014-08-26 2016-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구조물 및 보호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62598B1 (ko) * 2014-09-03 2021-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0048B1 (ko) * 2014-09-16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425418B2 (en) * 2014-09-30 2016-08-2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40937B1 (ko) * 2014-10-10 2021-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76997B1 (ko) * 2014-10-13 2021-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6541334B2 (ja) * 2014-11-05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121A (ko) * 2008-11-28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57426A (ko) * 2012-10-30 2014-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80246A (ko) * 2012-12-20 2014-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960B1 (ko) 2023-01-16
US20200272272A1 (en) 2020-08-27
US11137848B2 (en) 2021-10-05
US20190155435A1 (en) 2019-05-23
KR102381391B1 (ko) 2022-03-31
KR20160124319A (ko) 2016-10-27
US11599215B2 (en) 2023-03-07
US10198103B2 (en) 2019-02-05
US20220004277A1 (en) 2022-01-06
CN115360228A (zh) 2022-11-18
CN106057845A (zh) 2016-10-26
US20160306472A1 (en) 2016-10-20
US10649569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960B1 (ko) 표시 장치
US1159915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KR102289934B1 (ko)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69919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88711B1 (ko) 표시 장치
KR1021681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963086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33813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086484A (zh) 显示设备
KR102304895B1 (ko)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10130903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467016B1 (ko)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