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82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823A
KR20220041823A KR1020227001247A KR20227001247A KR20220041823A KR 20220041823 A KR20220041823 A KR 20220041823A KR 1020227001247 A KR1020227001247 A KR 1020227001247A KR 20227001247 A KR20227001247 A KR 20227001247A KR 20220041823 A KR20220041823 A KR 20220041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output
signal
vibrato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요시오카
도모히로 스즈키
다이스케 미키
마사오 젠
데츠오 이케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4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using transducers reproducing the same frequency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5Application of the precedence or Haas effect, i.e. the effect of first wavefront, in order to improve sound-source loc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확실하게 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판상의 패널부와, 패널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음성 신호에 따라서 패널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구비하고, 가진부는, 복수의 가진기를 갖고,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가진기 중, 음성 신호의 출력 대상의 가진기인 출음 가진기와 함께, 음성 신호의 분산 대상의 가진기인 분산 출음 가진기에,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기술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다 확실하게 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디스플레이의 박형 경량화가 진행하고 있다. 또한, 스피커에 대해서도 박형 경량화가 진행하여, 콘형 스피커를 대신하여, 플랫 패널 스피커(FPS: Flat Panel Speaker)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에서는, 발열이 동작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발열의 대책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0934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877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4345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발열의 대책에 관한 기술에서는, 표시 패널을 진동판으로 사용한 플랫 패널 스피커에 관한 대책으로서는 충분하지 않아, 확실하게 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확실하게 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측면의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판상의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서 상기 패널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복수의 가진기를 갖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 중,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 대상의 가진기인 출음 가진기와 함께, 상기 음성 신호의 분산 대상의 가진기인 분산 출음 가진기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이다.
본 기술의 일측면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판상의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서 상기 패널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진부에는, 복수의 가진기가 포함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진기 중,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 대상의 가진기인 출음 가진기와 함께, 상기 음성 신호의 분산 대상의 가진기인 분산 출음 가진기로,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본 기술의 일측면의 표시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백 섀시를 분리했을 때의 표시 장치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Y-Y선에 따른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표시 패널의 표시 셀에 대하여 배치되는 가진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신호 처리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선행음 효과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분산 가능 범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리미터와 게이트에 있어서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제3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리미터와 게이트에 있어서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제4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리미터와 게이트에 있어서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본 기술의 실시 형태
2. 변형예
<1. 본 기술의 실시 형태>
(표시 장치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로서, 표시 장치(1)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1)의 배면 구성예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으로서 구성된다. 표시 장치(1)는 영상 표시면(10A)에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영상 표시면(10A)으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즉, 표시 장치(1)는 플랫 패널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10)와, 패널부(10)의 이면에 배치되어서 패널부(10)를 진동시키는 가진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또한, 패널부(10) 및 가진부(20)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30)와, 패널부(10)를 회동부(50)를 통하여 지지하는 지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가진부(20) 및 신호 처리부(30)는 패널부(10)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10)는 패널부(10)의 이면측에, 가진부(20), 및 신호 처리부(30)를 보호하는 리어 커버(10R)를 갖고 있다. 리어 커버(10R)는 판상의 금속판이나 수지판 등으로 구성되고, 회동부(50)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리어 커버(10R)를 분리했을 때의, 표시 장치(1)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는, 신호 처리부(30)에 상당하는 회로 기판(30A)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의 A는, 가진부(20)에 3개의 가진기(21; 21a, 21b, 21c)를 설치한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의 A에 있어서의 Y-Y선에 따른 단면 구성예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B는, 가진부(20)에, 5개의 가진기(21; 21a, 21b, 21c, 21d, 21e)를 설치한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부(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상의 표시 셀(11)과, 공극(15)을 통하여 표시 셀(11)과 대향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12)(대향 플레이트)와, 백 섀시(13)를 갖고 있다.
표시 셀(11)의 표면(가진부(20)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영상 표시면(10A)으로 되어 있다. 패널부(10)는 또한,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 사이에 고정 부재(14)를 갖고 있다.
고정 부재(14)는 표시 셀(11)의 외연을 따라서 배치되고,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를 서로 고정하는 기능과, 공극(15)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너 플레이트(12)는 가진기(21a, 21b, 21c)를 지지하는 기판이다. 이너 플레이트(12)는 가진기(21a, 21b, 21c)를 설치하는 개소에 가진기용의 개구를 갖고 있다.
백 섀시(13)는 이너 플레이트(12)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고 있어, 이너 플레이트(12)의 휨이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또한, 백 섀시(13)는 이너 플레이트(12)의 개구(가진기용의 개구 등)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고 있다. 백 섀시(13)에 형성된 개구 중, 가진기용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는, 가진기(21a, 21b, 21c)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가진부(20)는 3개의 가진기(21a, 21b, 21c)를 갖고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서로 공통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시 셀(11)을 이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가진기(21a)는 좌측에 치우져서 배치되고, 가진기(21b)는 우측에 치우져서 배치되고, 가진기(21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앙보다도 약간 상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a, 21b, 21c)는, 각각,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과, 당해 보이스 코일을 감은 보빈과, 자기 회로를 갖고, 진동원이 되는 스피커용의 액추에이터이다.
가진기(21a, 21b, 21c)는, 보이스 코일에 전기 신호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전자 작용의 원리에 따라서 보이스 코일에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동력이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24)를 통하여 표시 셀(11)에 전달되어, 표시 셀(11)에 음성 전류의 변화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켜, 공기가 진동하여 음압이 변화한다.
가진부(20)는 또한, 가진기(21a, 21b, 21c)마다, 고정부(23) 및 진동 전달 부재(24)를 갖고 있다. 고정부(23)는 가진기(21a, 21b, 21c)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개구(23a)와, 고정부(23)를 볼록부(12A)에 고정할 때에 사용하는 나사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23b)을 갖고 있다. 각 가진기(21a, 21b, 21c)는, 고정부(23)를 통하여, 이너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과, 가진기(21a, 21b, 21c)의 보빈에 접하고 있고, 표시 셀(11)의 이면과, 가진기(21a, 21b, 21c)의 보빈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4)는 적어도,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패널부(10)는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 사이에 제진 부재(16)를 갖고 있다. 제진 부재(16)는 각 가진기(21a, 21b, 21c)에 의해 표시 셀(11)에 발생하는 진동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갖는다.
패널부(10)는 또한, 이너 플레이트(12)와 백 섀시(13)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을 갖는다. 접착층(18) 또는 점착층(19)은 이너 플레이트(12)와 백 섀시(13)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층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3의 A 등을 참조하여, 가진부(20)에, 3개의 가진기(21a, 21b, 21c)를 마련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로, 5개의 가진기(21a, 21b, 21c, 21d, 21e)를 마련하는 등,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10)의 표시 셀(11)에 대하여 배치되는 가진기(21)의 수나 배치 위치는 임의이다.
(가진기의 배치예)
도 5는, 패널부(10)의 표시 셀(11)에 대하여 배치되는 가진기(21)의 배치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패널부(10)의 표시 셀(11)의 화면 전체의 영역을,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5×5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영역마다, 가진기(21)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5×5 분할한 화면의 각 영역을, 분할 블록(111)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5에는, 설명의 사정상, 분할 블록(111)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수에 대응한 번호(1 내지 5)와 문자(A 내지 E)를 패널부(10)의 화면 좌측과 상측의 영역에 표기하고 있다. 또한, 분할 블록(111-ij)의 표기는, i가 가로 방향의 문자를 나타내고, j가 세로 방향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부(10)에 있어서는, 5×5의 분할 블록(111)마다, 그 영역의 중심에, 흰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가진기(21)가 각각 마련되고, 합계 25개의 가진기(21)가 배치되어 있다.
A열에 주목하면, 분할 블록(111-A1)에는, 그 영역의 중심에, 가진기(21-A1)가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분할 블록(111-A2 내지 111-A5)에는, 각 영역의 중심에, 가진기(21-A2 내지 21-A5)가 각각 마련된다.
B열에 주목하면, 분할 블록(111-B1 내지 111-B5)에는, 각 영역의 중심에, 가진기(21-B1 내지 21-B5)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C열에 주목하면, 분할 블록(111-C1 내지 111-C5)에는, 각 영역의 중심에, 가진기(21-C1 내지 21-C5)가 각각 마련된다.
D열에 주목하면, 분할 블록(111-D1 내지 111-D5)에는, 각 영역의 중심에, 가진기(21-D1 내지 21-D5)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E열에 주목하면, 분할 블록(111-E1 내지 111-E5)에는, 각 영역의 중심에, 가진기(21-E1 내지 21-E5)가 각각 마련된다.
(신호 처리부의 구성예)
도 6은, 도 5에 5×5의 분할 블록(111)(에 마련된 5×5의 가진기(21))에 대응한 신호 처리부(3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30)는 튜너(31), 영상 디코더(32), 영상 처리부(33), 음성 디코더(34), 및 음성 처리부(35)를 갖고 있다.
튜너(31)는 수신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고,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따른 방송 스트림을 추출한다. 튜너(31)는 추출한 방송 스트림 중, 영상 스트림을 영상 디코더(32)로 출력하고, 음성 스트림을 음성 디코더(34)로 출력한다.
영상 디코더(32)는 튜너(3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스트림에 대하여 디코드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부(33)로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33)는 패널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영상 디코더(3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패널부(10)(의 표시 셀(11))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패널부(10)에는,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이 표시된다.
음성 디코더(34)는 튜너(3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스트림에 대하여 디코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35)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35)는 음성 디코더(3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음성 처리부(35)는 5×5의 분할 블록(111)(도 5)마다 마련되는 5×5의 가진기(21)로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 매트릭스(37), 및 증폭기(38)를 갖고 있다. 신호 처리부(36)와 증폭기(38)는 5×5의 분할 블록(111)마다 마련되는 가진기(21)에 대응하여 복수 마련된다. 또한, 음성 처리부(35)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행하여지는 신호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신호 처리부(36)는 신호 처리부(36-A1 내지 36-A5, 36-B1 내지 36-B5, 36-C1 내지 36-C5, 36-D1 내지 36-D5, 및 36-E1 내지 36-E5)로 구성된다. 증폭기(38)는 증폭기(38-A1 내지 38-A5, 38-B1 내지 38-B5, 38-C1 내지 38-C5, 38-D1 내지 38-D5, 및 38-E1 내지 38-E5)로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진기(21-A1)에 대응한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A1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가진기(21-A2 내지 21-A5, 21-B1 내지 21-B5, 21-C1 내지 21-C5, 21-D1 내지 21-D5, 21-E1 내지 21-E5)에 대응한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A2 내지 A5, B1 내지 B5, C1 내지 C5, D1 내지 D5, E1 내지 E5라고 각각 칭한다.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생성한 음성 신호 A1을, 증폭기(38-A1)로 증폭하여, 가진기(21-A1)로 출력함으로써, 가진기(21-A1)를 구동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생성한 음성 신호 A2 내지 A5를, 증폭기(38-A2 내지 38-A5)로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진기(21-A2 내지 21-A5)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생성한 음성 신호 B1 내지 B5를, 증폭기(38-B1 내지 38-B5)로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진기(21-B1 내지 21-B5)를 구동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생성한 음성 신호 C1 내지 C5를, 증폭기(38-C1 내지 38-C5)로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진기(21-C1 내지 21-C5)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또한,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생성한 음성 신호 D1 내지 D5를, 증폭기(38-D1 내지 38-D5)로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진기(21-D1 내지 21-D5)를 구동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35)는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로 생성한 음성 신호 E1 내지 E5를, 증폭기(38-E1 내지 38-E5)로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진기(21-E1 내지 21-E5)를 구동한다.
표시 장치(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화면 다분할 구동의 예)
이어서,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에서는, 음원의 위치에 대응한 출력 대상의 가진기(21)(이하, 출음 가진기라고도 함)만을 가진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 대상의 다른 가진기(21)(이하, 분산 출음 가진기라고도 함)로 음성 신호를 분산하여 가진함으로써, 출음 가진기의 발열이, 분산 출음 가진기로 분산되도록 한다.
즉,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음원의 위치에 대응한 가진기(21)(출음 가진기)만을 가진하면, 당해 가진기(21)가 발열하여,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10)의 표시 셀(11)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에서는, 음원의 위치에 대응한 가진기(21)(출음 가진기)의 주변 등에 배치되는 다른 가진기(21)(분산 출음 가진기)에, 음성 신호를 분산하여 재생함으로써 열의 분산을 행하여, 표시 셀(11)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영향이 저감되도록 한다.
또한, 주변 등에 배치되는 다른 가진기(21)(분산 출음 가진기)에 대하여 음성 신호를 균등하게 분산하면, 음원의 위치가 나뉘어서 정위를 손상시켜버린다.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에서는, 음원의 위치에 대응한 가진기(21)의 주변 등에 배치되는 다른 가진기(21), 즉, 요망되는 출음 가진기 이외의 분산 출음 가진기로 분산되는 음성 신호에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선행음 효과에 의해, 정위가 개선되도록 한다. 즉, 분산 출음 가진기로 음성 신호를 분산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도, 선행음 효과에 의해, 출음 위치의 정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패널부(10)의 표시 셀(11)의 화면에 있어서의 5×5의 분할 블록(111) 중, 분할 블록(111-D4)에 마련된 가진기(21-D4)가 출음 가진기로 되고, 그 주변에 마련된 8개의 가진기(21; 21-C3, 21-C4, 21-C5, 21-D3, 21-D5, 21-E3, 21-E4, 21-E5)가 분산 출음 가진기로 된다.
여기에서는, 음원의 위치(소리의 중심 위치)에 대응한 가진기(21-D4)로부터만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에 배치된 8개의 가진기(21)로 음성 신호를 분산하여 재생하고 있기 때문에(도면 중의 「출음 0.75」), 가진기(21)의 발열에 의한 열의 분산이 행하여져, 표시 셀(11)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영향이 저감된다.
또한, 이때, 주변에 배치된 8개의 가진기(21)에서는, 분산되는 음성 신호에 딜레이가 걸려 있기 때문에(도면 중의 「딜레이 있음」), 선행음 효과에 의해, 출음 위치의 정위가 손상될 일은 없다. 도 8은, 선행음 효과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선행음 효과란, 어떤 소리와, 그 소리가 수ms 내지 수10ms 정도(예를 들어 1 내지 30ms 정도) 지연되어서 다른 장소로부터 발해진 경우에는, 선행하는 소리의 장소로부터 하나의 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효과이다. 이 선행음 효과는, 하스 효과(Haas Effect)라고도 칭해진다.
도 8에 있어서, 유저(User)에 대하여 좌우로 하나씩 스피커(SP-A, SP-B)를 배치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좌측의 스피커(SP-A)와 우측의 스피커(SP-B)로부터, 동일한 소리를, 동일한 음량으로 울렸을 때, 유저는, 스피커(SP-A, SP-B)의 배치 위치의 중간 위치의 허상(SP-C)으로부터 소리가 들리는 것처럼 느껴진다.
한편, 우측의 스피커(SP-B)의 배치 위치를, 유저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스피커(SP-B)의 위치로부터 스피커(SP-B')의 위치로 이동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좌측의 스피커(SP-A)와 우측의 스피커(SP-B')로부터, 동일한 소리를, 동일한 음량으로 울렸을 때, 좌측의 스피커(SP-A)로부터의 소리가 먼저 닿으므로, 유저는 좌측의 스피커(SP-A)로부터만 소리가 들리게 되어, 실제로는 우측의 스피커(SP-B')로부터 들리는 소리도 좌측으로부터 들리는 것처럼 느껴진다.
또한, 도 7의 예에서는, 분산 출음 가진기를, 출음 가진기의 주변의 가진기(21)로 했지만, 출음 가진기의 주변 이외의 가진기(21)로 해도 된다. 단, 분산 출음 가진기가 되는 가진기(21)로서, 출음 가진기의 주변(바로 근처의 주변)의 가진기(21)를 선택한 쪽이, 출음 가진기의 주변 이외의 가진기(21)를 선택했을 때와 비교하여, 음질이 좋아진다.
도 9는, 인접하는 가진기(21)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경우에 있어서의 분산 가능 범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는, 횡축을 음성 신호의 재생 주파수(Hz)로 하고, 종축을 가진기(21) 간의 거리(㎝)로 한 경우에, 인접하는 가진기(21)의 간격이 34㎝로 될 때의 분산 가능 범위를 꺾은 선(L)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꺾은 선(L)은, 재생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예를 들어 500Hz 이상)로 되는 경우에는, 출음 가진기의 주변(예를 들어 34㎝의 범위 내)의 가진기(21)를 분산 출음 가진기로 하여, 분산 출력함으로써, 음질을 담보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진기(21-D4)가 출음 가진기(기준)로 되는 경우에, 재생 주파수가 500Hz로 될 때, 분산 가능 범위가 34㎝로 되므로, 그 기준의 배치 위치의 주변에 마련된 가진기(21-C4, 21-D3, 21-D5, 21-E4) 등을, 분산 출음 가진기로 할 수 있다.
한편, 이 꺾은 선(L)은, 재생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예를 들어 125Hz 이하 등)로 되는 경우에는, 출음 가진기의 주변 이외의 가진기(21)를 분산 출음 가진기로 하여, 더 넓은 범위(예를 들어 136㎝의 범위 내)로 분산 출력하더라도, 음질 열화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진기(21-D4)가 출음 가진기(기준)로 되는 경우에, 재생 주파수가 200Hz로 될 때, 분산 가능 범위가 84㎝로 되므로, 그 기준의 배치 위치의 주변에 마련된 가진기(21)에 추가로, 가진기(21-B4)나, 가진기(21-D2) 등의 보다 넓은 범위에 배치된 가진기(21)를 분산 출음 가진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 신호의 재생 주파수에 따라서 출음 가진기의 분산 가능 범위가 변화하기 때문에, 당해 분산 가능 범위에 따라서 분산 출음 가진기가 선택되게 된다. 또한, 분산 가능 범위의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어, 재생 주파수를 파장으로 나타냈을 때에, 그 반파장 이내에 분산 출력할 수 있다.
(제1 예)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을 적용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일례로서, 단순 분할 제어를 설명한다.
도 10은, 음성 처리부(35)(도 6)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36)는 지연기(301)와 증폭기(302)를 포함한다. 매트릭스(37)는 가산기(303)를 포함한다.
즉, 도 10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에서는, 2×2의 분할 블록(111-A1, 111-A2, 111-B1, 111-B2)에 대하여 마련되는 가진기(21-A1, 21-A2, 21-B1, 21-B2)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 A2, B1, B2가 생성된다.
또한, 도 10의 구성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2×2의 분할 블록(111)에 각각 마련되는 가진기(21)에 대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5×5의 분할 블록(111)의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적용 가능하다.
신호 처리부(36-A1)에서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이, 증폭기(302-A1-1)와, 지연기(301-A1-1 내지 301-A1-3)에 각각 입력된다.
증폭기(302-A1-1)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지정된 게인 (0.4)로 증폭하여, 가산기(303-A1)로 출력한다.
지연기(301-A1-1)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소정의 지연량만큼 지연시켜, 증폭기(302-A1-2)로 출력한다. 증폭기(302-A1-2)는, 지연기(301-A1-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지정된 게인 (0.2)로 증폭하여, 가산기(303-A2)로 출력한다.
지연기(301-A1-2)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소정의 지연량만큼 지연시켜, 증폭기(302-A1-3)로 출력한다. 증폭기(302-A1-3)는, 지연기(301-A1-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지정된 게인 (0.2)로 증폭하여, 가산기(303-B1)로 출력한다.
지연기(301-A1-3)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소정의 지연량만큼 지연시켜, 증폭기(302-A1-4)로 출력한다. 증폭기(302-A1-4)는, 지연기(301-A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지정된 게인 (0.2)로 증폭하여, 가산기(303-B2)로 출력한다.
즉, 신호 처리부(36-A1)에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에 게인을 적용함으로써 당해 음성 신호 A1을 소정의 음압 레벨(음량)로 할당하고, 가진기(21-A1)뿐만 아니라, 가진기(21-A2, 21-B1, 21-B2)로도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때, 가진기(21-A2, 21-B1, 21-B2)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을 지연시킴으로써, 선행음 효과가 실현되도록 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36-A2)에서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2가, 증폭기(302-A2-1)와, 지연기(301-A2-1 내지 301-A2-3)에 각각 입력된다.
지연기(301-A2-1 내지 301-A2-3)와, 증폭기(302-A2-1 내지 302-A2-4)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2에 대하여 지연 또는 증폭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증폭기(302-A2-1 내지 302-A2-4)로부터의 음성 신호 A2가, 가산기(303-A2, 303-A1, 303-B1, 및 303-B2)의 각각으로 출력된다.
즉, 신호 처리부(36-A2)에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 A2를 소정의 음압 레벨로 할당하고, 가진기(21-A2)뿐만 아니라, 가진기(21-A1, 21-B1, 21-B2)로도 지연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36-B1)에서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B1이, 증폭기(302-B1-1)와, 지연기(301-B1-1 내지 301-B1-3)에 각각 입력된다.
지연기(301-B1-1 내지 301-B1-3)와, 증폭기(302-B1-1 내지 302-B1-4)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B1에 대하여 지연 또는 증폭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증폭기(302-B1-1 내지 302-B1-4)로부터의 음성 신호 B1이, 가산기(303-B1, 303-A1, 303-A2, 및 303-B2)의 각각으로 출력된다.
즉, 신호 처리부(36-B1)에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 B1을 소정의 음압 레벨로 할당하고, 가진기(21-B1)뿐만 아니라, 가진기(21-A1, 21-A2, 21-B2)로도 지연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36-B2)에서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B2가, 증폭기(302-B2-1)와, 지연기(301-B2-1 내지 301-B2-3)에 각각 입력된다.
지연기(301-B2-1 내지 301-B2-3)와, 증폭기(302-B2-1 내지 302-B2-4)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B2에 대하여 지연 또는 증폭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증폭기(302-B2-1 내지 302-B2-4)로부터의 음성 신호 B2가, 가산기(303-B2, 303-B1, 303-A2, 및 303-A1)의 각각으로 출력된다.
즉, 신호 처리부(36-B2)에서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B2를 소정의 음압 레벨로 할당하고, 가진기(21-B2)뿐만 아니라, 가진기(21-A1, 21-A2, 21-B1)로도 지연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가산기(303-A1)에는, 증폭기(302-A1-1)로부터의 음성 신호 A1, 증폭기(302-A2-2)로부터의 음성 신호 A2, 증폭기(302-B1-2)로부터의 음성 신호 B1, 및 증폭기(302-B2-4)로부터의 음성 신호 B2가 입력된다.
가산기(303-A1)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 A2, B1, 및 B2를 가산하고, 그 가산 신호를, 음성 신호 A1로서 출력한다. 즉, 가진기(21-A1)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에는, 입력된 음성 신호 A1에 대하여 지연된 음성 신호 A2, B1, B2가 음압적으로 추가되어 있다.
가산기(303-A2)는, 거기에 입력되는, 증폭기(302-A1-2)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증폭기(302-A2-1)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증폭기(302-B1-3)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증폭기(302-B2-3)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A2로서 출력한다. 이 음성 신호 A2에는, 입력된 음성 신호 A2에 대하여 지연된 음성 신호 A1, B1, B2가 음압적으로 추가되어 있다.
가산기(303-B1)는, 거기에 입력되는, 증폭기(302-A1-3)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증폭기(302-A2-3)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증폭기(302-B1-1)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증폭기(302-B2-2)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B1로서 출력한다. 이 음성 신호 B1에는, 입력된 음성 신호 B1에 대하여 지연된 음성 신호 A1, A2, B2가 음압적으로 추가되어 있다.
가산기(303-B2)는, 거기에 입력되는, 증폭기(302-A1-4)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증폭기(302-A2-4)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증폭기(302-B1-4)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증폭기(302-B2-1)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B2로서 출력한다. 이 음성 신호 B2에는, 입력된 음성 신호 B2에 대하여 지연된 음성 신호 A1, A2, B1이 음압적으로 추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 A2, B1, B2는, 증폭기(38-A1, 38-A2, 38-B1, 38-B2)에 각각 입력되고 증폭되어, 가진기(21-A1, 21-A2, 21-B1, 21-B2)로 각각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단순 분할 제어에서는, 가진기(21-A1, 21-A2, 21-B1, 21-B2)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 A2, B1, B2 각각이, 지연된 다른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포함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음성 신호가 분산되어 재생되기 때문에, 열의 분산이 실현되어, 표시 셀(11)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음성 신호에 딜레이를 걸고 있기 때문에, 선행음 효과가 실현되어, 출음 위치의 정위가 손상될 일도 없다.
(제2 예)
이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일례로서, 다이내믹 분할 제어를 설명한다.
도 11은, 음성 처리부(35)(도 6)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 대응한 구성은, 도 10의 단순 분할 제어에 대응한 구성과 비교하여, 증폭기(302) 대신에 리미터(311)와 게이트(312)가 마련된다.
도 11에 있어서는, 도 10의 증폭기(302-A1-1, 302-A2-1, 302-B1-1, 및 302-B2-1) 대신에 리미터(311-A1, 311-A2, 311-B1, 및 311-B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도 10의 증폭기(302-A1-2 내지 302-A1-4, 302-A2-2 내지 302-A2-4, 302-B1-2 내지 302-B1-4, 및 302-B2-2 내지 302-B2-4) 대신에 게이트(312-A1-1 내지 312-A1-3, 312-A2-1 내지 312-A2-3, 312-B1-1 내지 312-B1-3, 및 312-B2-1 내지 312-B2-3)가 마련되어 있다.
리미터(311-A1)는, 거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행하고, 당해 리미터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A1을, 가산기(303-A1)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12의 A는, 리미터 처리를 행할 때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A에서는, 횡축을 리미터(311)에의 입력으로 하고, 종축을 리미터(311)로부터의 출력으로 했을 때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꺾은 선(LL1)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에서는,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압 레벨(음량)의 최댓값이, 소정의 값(0.4)으로 제한되어 있어, 입력이 0.4가 될 때까지는, 입력과 출력은 동등하지만, 입력이 0.4 이상이 되면 출력은 0.4로 제한되어, 동일한 음압 레벨로 제한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리미터 처리를 설명했지만, 음압 레벨이 소정의 값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컴프레서 처리가 행하여지게 해도 된다. 즉, 컴프레서 처리에서는, 음압 레벨이 소정의 값 이하일 때에는 음압 저감은 행하여지지 않지만, 음압 레벨이 소정의 값 이상인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그 음압 레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억압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1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리미터(311-A2, 311-B1, 311-B2)는, 리미터(311-A1)와 마찬가지로, 음성 신호 A2, B1, B2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각각 행하여, 가산기(303-A2, 303-B1, 303-B2)로 각각 출력한다.
게이트(312-A1-1)는, 지연기(301-A1-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에 대한 게이트 처리를 행하고, 당해 게이트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A1을, 가산기(303-A2)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12의 B는, 게이트 처리를 행할 때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B에서는, 횡축을 게이트(312)에의 입력으로 하고, 종축을 게이트(312)로부터의 출력으로 했을 때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꺾은 선(LG1)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B에서는, 게이트 처리에 의해, 소정의 값 이하의 음압 레벨(음량)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어, 입력이 0.4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음압 레벨이 출력되고, 입력이 1.0이 되면 출력은 0.2가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게이트 처리를 설명했지만, 소정의 값 이하의 음압 레벨을 낮추도록 하는 익스팬더 처리가 행하여지게 해도 된다.
도 1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게이트(312-A1-2, 312-A1-3)는, 게이트(312-A1-1)와 마찬가지로, 지연기(301-A1-2, 301-A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에 대한 게이트 처리를 각각 행하여, 가산기(303-B1, 303-B2)로 각각 출력한다.
게이트(312-A2-1 내지 312-A2-3)는, 지연기(301-A2-1 내지 301-A2-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2에 대한 게이트 처리를 각각 행하여, 가산기(303-A1, 303-B1, 303-B2)로 각각 출력한다.
게이트(312-B1-1 내지 312-B1-3)는, 지연기(301-B1-1 내지 301-B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B1에 대한 게이트 처리를 각각 행하여, 가산기(303-A1, 303-A2, 303-B2)로 각각 출력한다.
게이트(312-B2-1 내지 312-B2-3)는, 지연기(301-B2-1 내지 301-B2-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B2에 대한 게이트 처리를 각각 행하여, 가산기(303-A1, 303-A2, 303-B1)로 각각 출력한다.
가산기(303-A1)는, 거기에 입력되는, 리미터(311-A1)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게이트(312-A2-1)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게이트(312-B1-1)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게이트(312-B2-3)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A1로서 출력한다.
가산기(303-A2)는, 거기에 입력되는, 게이트(312-A1-1)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리미터(311-A2)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게이트(312-B1-2)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게이트(312-B2-2)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A2로서 출력한다.
가산기(303-B1)는, 거기에 입력되는, 게이트(312-A1-2)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게이트(312-A2-2)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리미터(311-B1)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게이트(312-B2-1)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B1로서 출력한다.
가산기(303-B2)는, 거기에 입력되는, 게이트(312-A1-3)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게이트(312-A2-3)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게이트(312-B1-3)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리미터(311-B2)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음성 신호 B2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 A2, B1, B2는, 가진기(21-A1, 21-A2, 21-B1, 21-B2)로 각각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서는, 가진기(21-A1, 21-A2, 21-B1, 21-B2)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 A1, A2, B1, B2 각각이, 리미터 처리와 게이트 처리에 의해, 지연된 다른 음성 신호의 음압 레벨을 포함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음성 신호가 분산되어 재생되기 때문에, 열의 분산이 실현되어, 표시 셀(11)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음성 신호에 딜레이를 걸고 있기 때문에, 선행음 효과가 실현되어, 출음 위치의 정위가 손상될 일도 없다.
(제3 예)
이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일례로서, 다이내믹 분할 제어를 행할 때에, 밸런스 우선의 최대 출력 억제를 가미한 제어를 설명한다.
도 13은, 음성 처리부(35)(도 6)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의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 대응한 구성에서는, 도 11의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 대응한 구성과 비교하여, 지연기(301), 가산기(303), 리미터(311), 및 게이트(312)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가산기(303)의 후단에, 리미터(321)가 새롭게 마련된다.
또한, 리미터(311, 321)에 의해 행하여지는 리미터 처리와, 게이트(312)에 의해 행하여지는 게이트 처리의 일례가, 도 14의 A와, 도 14의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리미터 처리 대신에 컴프레서 처리가 행하여져도 상관없다. 또한, 게이트 처리 대신에 익스팬더 처리가 행하여져도 상관없다.
도 13에 있어서는, 가산기(303-A1, 303-A2, 303-B1, 303-B2)의 후단에, 리미터(321-A1, 321-A2, 321-B1, 321-B2)가 각각 마련된다.
리미터(321-A1)는, 가산기(303-A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행하고, 당해 리미터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A1을 출력한다. 이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성 신호 A1의 최대 출력이 억제된다.
리미터(321-A2, 321-B1, 321-B2)는, 리미터(321-A1)와 마찬가지로, 가산기(303-A2, 303-B1, 303-B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2, B1, B2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각각 행한다. 이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성 신호 A2, B1, B2의 최대 출력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밸런스 우선의 최대 출력 억제를 가미한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서는, 각 채널의 가산기(303)의 후단에 마련된 리미터(321)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최대 출력이 억제되어 있다. 이때, 각 채널에서는, 리미터(311)에 의해 자기 채널의 음성 신호에 제한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채널의 음성 신호의 밸런스가 우선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제4 예)
마지막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화면 다분할 구동의 제어 방법의 일례로서, 다이내믹 분할 제어를 행할 때에, 자기 채널 우선의 최대 출력 억제를 가미한 제어를 설명한다.
도 15는, 음성 처리부(35)(도 6)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6)와 매트릭스(37)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 대응한 구성에서는, 도 11의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 대응한 구성과 비교하여, 지연기(301), 가산기(303), 및 게이트(312)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리미터(311)가 제거되고, 가산기(303)의 후단에, 리미터(321)가 마련된다.
또한, 리미터(321)에 의해 행하여지는 리미터 처리와, 게이트(312)에 의해 행하여지는 게이트 처리의 일례가, 도 16의 A와, 도 16의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리미터 처리 대신에 컴프레서 처리가 행하여져도 상관없다. 또한, 게이트 처리 대신에 익스팬더 처리가 행하여져도 상관없다.
가산기(303-A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과, 게이트(312-A2-1)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게이트(312-B1-1)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게이트(312-B2-3)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리미터(321-A1)로 출력한다.
리미터(321-A1)는, 가산기(303-A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1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행하고, 당해 리미터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A1을 출력한다. 이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성 신호 A1의 최대 출력이 억제된다.
가산기(303-A2)는, 게이트(312-A1-1)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A2와, 게이트(312-B1-2)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게이트(312-B2-2)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리미터(321-A2)로 출력한다.
리미터(321-A2)는, 가산기(303-A2)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A2를 출력한다. 이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성 신호 A2의 최대 출력이 억제된다.
가산기(303-B1)는, 게이트(312-A1-2)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게이트(312-A2-2)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B1과, 게이트(312-B2-1)로부터의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리미터(321-B1)로 출력한다.
리미터(321-B1)는, 가산기(303-B1)로부터의 음성 신호 B1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B1을 출력한다. 이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성 신호 B1의 최대 출력이 억제된다.
가산기(303-B2)는, 게이트(312-A1-3)로부터의 음성 신호 A1과, 게이트(312-A2-3)로부터의 음성 신호 A2와, 게이트(312-B1-3)로부터의 음성 신호 B1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B2를 가산하여, 리미터(321-B2)로 출력한다.
리미터(321-B2)는, 가산기(303-B2)로부터의 음성 신호 B2에 대한 리미터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B2를 출력한다. 이 리미터 처리에 의해, 음성 신호 B2의 최대 출력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자기 채널 우선의 최대 출력 억제를 가미한 다이내믹 분할 제어에서는, 각 채널의 가산기(303)의 후단에 마련된 리미터(321)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최대 출력이 억제되어 있다. 이때, 각 채널에서는, 자기 채널의 음성 신호에 제한이 가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자기 채널의 음성 신호가 우선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2. 변형예>
또한, 하나의 가진기(21)에서는, 출력 가능한 음압에는 한계가 있어서, 어떤 가진기(21)로 충분한 출력 음압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가진기(21)의 발열 문제와는 별도로, 본 기술을, 출력 음압을 높일 목적으로 이용하고, 그 주위의(혹은 주위 이외의) 가진기(21)로 음성 신호가 분산되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진동원이 되는 스피커용의 액추에이터인 가진기(21)가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고, 당해 보이스 코일에 전기 신호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전자 작용의 원리에 따라서 보이스 코일에 구동력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가진기(21)는 보이스 코일에 한하지 않고, 전압 액추에이터 등의 다른 액추에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다른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기타의 액추에이터에 의한 발열이 동작에 영향을 주는 것이 상정되지만, 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그 발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 장치(1)가 텔레비전 수상기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여도 된다. 나아가, 표시 장치(1)는 디지털 사이니지, 의료용 모니터, 방송국에 적합한 업무용 모니터(프로페셔널용 모니터), 차량 탑재용의 디스플레이 등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패널부(10)로서,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를 2차원상으로 배치한 표시 패널인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부나, 화소에 LED를 사용한 CLED(Crystal Light Emitting Diode) 표시부나, 액정 소자 및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를 2차원상으로 배치한 표시 패널인 액정 표시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에서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대응한 통신 회로(통신 모듈), HDMI(등록 상표)(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나,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소정의 규격에 준거한 인터페이스 등을 마련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에서는, 튜너(31)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에 한하지 않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동화상 배신 서비스(OTT(Over The Top) 서비스 등)에 의해 스트리밍 배신되는 통신 콘텐츠나, 녹화기(녹화 재생기)에 의해 녹화된 녹화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한, 도 6의 신호 처리부(30) 또는 음성 처리부(35)가, 신호 처리 장치로서 단독의 장치로서 구성되게 해도 된다. 이때, 당해 신호 처리 장치는, 튜너(31), 영상 디코더(32), 또는 음성 디코더(34) 등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포함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혹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판상의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서 상기 패널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복수의 가진기를 갖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 중,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 대상의 가진기인 출음 가진기와 함께, 상기 음성 신호의 분산 대상의 가진기인 분산 출음 가진기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2)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하여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가진부의 각 가진기는, 상기 패널부의 소정의 영역마다 배치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는, 상기 출음 가진기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재생 주파수에 따른 분산 가능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재생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로 되는 경우, 상기 출음 가진기의 주변에 배치된 가진기를,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에 포함시키고,
상기 재생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로 되는 경우, 상기 출음 가진기의 주변 이외에 배치된 가진기를,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에 포함시키는
상기 (4)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는, 상기 출음 가진기의 주변의 영역에 배치된 가진기를 포함하는
상기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제1 게인으로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지연된 상기 제1 음성 신호를 제2 게인으로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음성 신호이며 지연 및 증폭이 실시된 상기 제2 음성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
를 갖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에 리미터 처리 또는 컴프레서 처리를 실시하는 제1 리미터·컴프레서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지연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에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를 실시하는 게이트·익스팬더와,
상기 리미터 처리 또는 상기 컴프레서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음성 신호이며 지연 및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음성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
를 갖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가산기에 의해 가산된 가산 신호에 리미터 처리 또는 컴프레서 처리를 실시하는 제2 리미터·컴프레서를 더 갖는
상기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지연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에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를 실시하는 게이트·익스팬더와,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음성 신호이며 지연 및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음성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 의해 가산된 가산 신호에 리미터 처리 또는 컴프레서 처리를 실시하는 리미터·컴프레서
를 갖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상기 신호 처리부는, 콘텐츠의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11)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 표시 장치
10: 패널부
11: 표시 셀
20: 가진부
21, 21-A1 내지 21-E5: 가진기
30: 신호 처리부
31: 튜너
32: 영상 디코더
33: 영상 처리부
34: 음성 디코더
35: 음성 처리부
36, 36-A1 내지 36-E5: 신호 처리부
37: 매트릭스
38, 38-A1 내지 38-E5: 증폭기
111, 111-A1 내지 111-E5: 분할 블록
301, 301-A1-1 내지 301-B2-3: 지연기
302, 302-A1-1 내지 302-B2-4: 증폭기
303, 303-A1 내지 303-B2: 가산기
311, 311-A1 내지 311-B2: 리미터
312, 312-A1-1 내지 312-B2-3: 게이트
321, 321-A1 내지 321-B2: 리미터

Claims (12)

  1.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판상의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서 상기 패널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부는, 복수의 가진기를 갖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가진기 중,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 대상의 가진기인 출음 가진기와 함께, 상기 음성 신호의 분산 대상의 가진기인 분산 출음 가진기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하여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의 각 가진기는, 상기 패널부의 소정의 영역마다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는, 상기 출음 가진기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재생 주파수에 따른 분산 가능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주파수로 되는 경우, 상기 출음 가진기의 주변에 배치된 가진기를,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에 포함시키고,
    상기 재생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로 되는 경우, 상기 출음 가진기의 주변 이외에 배치된 가진기를,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에 포함시키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는, 상기 출음 가진기의 주변의 영역에 배치된 가진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제1 게인으로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지연된 상기 제1 음성 신호를 제2 게인으로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음성 신호이며 지연 및 증폭이 실시된 상기 제2 음성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
    를 갖는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에 리미터 처리 또는 컴프레서 처리를 실시하는 제1 리미터·컴프레서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지연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에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를 실시하는 게이트·익스팬더와,
    상기 리미터 처리 또는 상기 컴프레서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음성 신호이며 지연 및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음성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
    를 갖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가산기에 의해 가산된 가산 신호에 리미터 처리 또는 컴프레서 처리를 실시하는 제2 리미터·컴프레서를 더 갖는
    표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지연된 상기 제1 음성 신호에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를 실시하는 게이트·익스팬더와,
    상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분산 출음 가진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음성 신호이며 지연 및 게이트 처리 또는 익스팬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음성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에 의해 가산된 가산 신호에 리미터 처리 또는 컴프레서 처리를 실시하는 리미터·컴프레서
    를 갖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콘텐츠의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구성되는
    표시 장치.
KR1020227001247A 2019-07-31 2020-07-17 표시 장치 KR20220041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0677 2019-07-31
JPJP-P-2019-140677 2019-07-31
PCT/JP2020/027789 WO2021020158A1 (ja) 2019-07-31 2020-07-17 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823A true KR20220041823A (ko) 2022-04-01

Family

ID=7422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247A KR20220041823A (ko) 2019-07-31 2020-07-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00285B2 (ko)
EP (1) EP4007295A4 (ko)
JP (1) JPWO2021020158A1 (ko)
KR (1) KR20220041823A (ko)
CN (1) CN114175674A (ko)
WO (1) WO202102015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452A (ja) 2005-08-03 2007-02-15 Nec Access Technica Ltd 平面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一体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7187734A (ja) 2016-04-04 2017-10-1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含む両面表示装置
JP2018093469A (ja) 2016-11-30 2018-06-1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179U (ja) * 1983-10-31 1985-05-2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スクリ−ン
GB2376595B (en) 2001-03-27 2003-12-24 1 Ltd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 sound field
US8879766B1 (en) * 2011-10-03 2014-11-04 Wei Zhang Flat panel displaying and sounding system integrating flat panel display with flat panel sounding unit array
IL225374A0 (en) * 2013-03-21 2013-07-31 Noveto Systems Ltd Array@Matamari
EP2999238A4 (en) * 2013-05-15 2017-03-29 Sony Corporation Audio output device, audio output method, and video display device
KR102380627B1 (ko) 2017-05-29 2022-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063968B1 (en) * 2017-06-02 2018-08-28 Apple Inc. Dynamic master assignment in distributed wireless audio system for thermal and power mitigation
KR102488383B1 (ko) * 2017-12-13 2023-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US11076225B2 (en) * 2019-12-28 2021-07-27 Intel Corporation Haptics and microphone display integ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452A (ja) 2005-08-03 2007-02-15 Nec Access Technica Ltd 平面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一体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7187734A (ja) 2016-04-04 2017-10-1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含む両面表示装置
JP2018093469A (ja) 2016-11-30 2018-06-1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8138A1 (en) 2022-08-04
US11800285B2 (en) 2023-10-24
EP4007295A4 (en) 2022-10-12
CN114175674A (zh) 2022-03-11
EP4007295A1 (en) 2022-06-01
JPWO2021020158A1 (ko) 2021-02-04
WO2021020158A1 (ja)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6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9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356794B1 (ko) 표시장치
US20060120542A1 (en) Flat panel output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36388A1 (en) Flat panel audio output apparatus and video/audio output apparatus
KR202201443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93469A (ja)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CN108028990B (zh) 声音再现显示器
KR102366760B1 (ko) 표시장치
KR201900136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20220041823A (ko) 표시 장치
CN111512642B (zh) 显示设备和信号生成设备
US20220095054A1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sound output method
WO2021117575A1 (ja) 音声出力装置、及び加振機構
CN111385723B (zh) 声音产生设备、显示装置和汽车装置
WO2021020157A1 (ja) 表示装置
KR1026897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9485A (ko) 음향 발생기 및 음향 장치
CN117063487A (zh) 显示装置、输出方法以及显示模块
KR20060034414A (ko) 오디오출력패널 및 그 오디오출력패널을 갖는디스플레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