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380A -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380A
KR20220041380A KR1020200124502A KR20200124502A KR20220041380A KR 20220041380 A KR20220041380 A KR 20220041380A KR 1020200124502 A KR1020200124502 A KR 1020200124502A KR 20200124502 A KR20200124502 A KR 20200124502A KR 20220041380 A KR20220041380 A KR 2022004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eawater
filtration tank
gas
filter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128B1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진
Priority to KR102020012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8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양식장에 공급되는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해수에 미세한 산소버블 또는 오존버블을 생성시켜 해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리고 유해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해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sea water supply system for aquaculture farm of land base}
본 발명은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양식장에 공급되는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해수에 미세한 산소버블 또는 오존버블을 생성시켜 해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리고 유해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해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산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양식기술의 확산 및 발전에 따라 바다물을 끌어들여서 어패류를 육상에서 양식하는 육상 양식장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양식장은 양식 수조 내부에 해수를 저수한 후 사료를 공급하면서 어패류를 인공적으로 양식한다. 육상 양식을 위해서는 바다에 취수관을 설치하고 취수관을 통해 해수를 육상 양식장으로 공급하는 해수공급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깨끗한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취수하는 해수 중의 뻘과 같은 이물질 제거 및 유해세균의 제거가 필요하다. 국내의 자연 해수에는 다양한 유해생물인 병원균 및 병원충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유해 생물들은 양식되는 어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유해세균에 노출된 어패류를 사람이 생식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어 육상 양식에 취입되는 해수의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3104호에는 양식장용 여과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양식장용 여과시스템은 여과재가 충전된 여과조로 취수해 해수를 공급하여 해수를 여과한 후 양식수조로 공급한다. 이라한 여과시스템은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해수 중의 유해세균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수 중의 용존산소량이 낮을 경우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없다.
또한, 상기 여과시스템은 역세척시 취수된 해수를 역세척수로 이용하므로 해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역세척의 효과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3104호: 양식장용 여과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육상 양식장에 공급되는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해수에 미세한 산소버블 또는 오존버블을 생성시켜 해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리고 유해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해수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된 해수를 세척수로 사용하여 여재의 역세척을 수행하므로 역세척 효과가 우수한 해수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은 상부에 해수유입관이 연결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유공판과; 상기 유공판의 상부에 여재를 적층시켜 형성하며 상기 해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유닛과;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여과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 중에 산소 버블 또는 오존 버블을 생성시키기 위한 미세버블생성수단과;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세척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켜 상기 필터유닛을 세척하기 위한 역세수단과; 상기 여과탱크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충돌하여 세척수의 흐름을 사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세척수분산부;를 구비한다.
상기 여과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의해 상기 해수유입관을 통한 해수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상기 역세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역세수단은 상기 여과수배출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와, 상기 세척수저장조와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상기 세척수유입관에 설치되는 세척수공급펌프와, 상기 여과탱크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관과, 상기 여과수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를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미세버블생성수단 중 어느 하나로 유입시키는 쓰리웨이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미세버블생성수단은 상기 여과수배출관과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여과수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여과수 중으로 산소 또는 오존을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관과, 상기 가스주입관과 연결되는 산소발생기 및 오존발생기를 구비한다.
상기 미세버블생성수단은 상기 가스주입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액혼합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액혼합모듈은 상기 가스주입관과 연결되며 측면에 가스배출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사각통 형상의 가스분출박스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내측면에 부착된 탄성막과, 상기 가스배출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막에 형성된 컷팅슬릿과, 일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바깥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비틀려 형성된 제 1와류유도패널과, 상기 가스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와류유도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바깥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와류유도패널과 반대방향으로 비틀려 형성된 제 2와류유도패널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해수에 미세한 산소버블 또는 오존버블을 생성시켜 해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리고 유해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깨끗한 해수를 육상 양식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된 해수 중 일부를 저장하여 필터유닛의 역세척시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필터유닛의 세척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여과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여과탱크의 요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요부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내 요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은 상부에 해수유입관이 연결된 여과탱크(10)와, 여과탱크(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여과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유공판(20)과, 유공판(20)의 상부에 여재를 적층시켜 형성한 필터유닛(30)과, 여과탱크(10)의 하부에 연결된 여과수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 중에 산소 버블 또는 오존 버블을 생성시키기 위한 미세버블생성수단(40)과, 여과탱크(10)의 하부에 연결된 세척수유입관(15)을 통해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켜 필터유닛(30)을 세척하기 위한 역세수단(50)과, 여과탱크(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세척수유입관(15)을 통해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충돌하여 세척수의 흐름을 사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세척수분산부(60)를 구비한다.
여과탱크(10)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과탱크(10)의 상면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저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과탱크(1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19)가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과탱크(10)의 상면에는 해수유입관(11)이 연결된다. 해수유입관(11)을 통해 바다에서 취수된 해수가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해수유입관(11)에는 해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해수공급펌프(1)가 설치된다. 또한, 해수유입관(11)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3)가 설치된다.
여과탱크(10)의 저면에는 여과수배출관(13)과 세척수유입관(15)이 각각 연결된다. 세척수유입관(15)은 저면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여과수배출관(13)은 세척수유입관(15)과 이격되게 위치한다. 여과수배출관(13)을 통해 여과된 해수, 즉 여과수가 배출된다.
여과탱크(10)의 내부에는 유공판(20)과 필터유닛(30)이 설치된다.
유공판(20)은 여과탱크(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수평하게 설치된다. 유공판(20)은 여과탱크(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유공판(20)에는 다수의 관통홀들(21)이 형성된다. 각 관통홀(21)에는 스트레이너(23)가 장착된다.
도시된 스트레이너(23)는 관통홀(21)에 삽입되는 중공구조의 나사부(24)와, 나사부(24)의 상부에 형성되며 관통홀(21)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걸림턱(25)과, 걸림턱(25)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관통슬릿(27)이 형성된 헤드(26)와, 나사부(24)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링(28)으로 이루어진다.
유공판(20)의 상부에서 나사부(24)를 관통홀(21)로 삽입시킨 후 유공판(20)의 하부에서 체결링(28)을 나사부(24)에 체결시키면 스트레이너(23)가 유공판(20)에 고정된다.
필터유닛(30)은 해수유입관(11)을 통해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 중의 뻘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유닛(30)은 유공판(20)의 상부에 여재를 적층시켜 형성된다.
여재로 모래, 자갈, 활성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가령, 필터유닛(30)은 유공판(20)의 상부에 자갈을 적층시켜 형성한 자갈층(31)과, 자갈층(31)의 상부에 모래를 적층시켜 형성한 하부모래층(33)과, 하부모래층(33)의 상부에 활성탄을 적층시켜 형성한 활성탄층(35)과, 활성탄층(35)의 상부에 모래를 적층시켜 형성한 상부모래층(3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수유입관(11)을 통해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는 상부모래층(37), 활성탄층(35), 하부모래층(33), 자갈층(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 자갈층(31)을 통과한 해수는 스트레이너(23)의 관통슬릿(27)을 통해 유공판(2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여과수배출관(13)을 통해 여과탱크(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미세버블생성수단(40)은 여과탱크(10)의 하부에 연결된 여과수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 중에 산소 버블 또는 오존 버블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세버블생성수단(40)에 의해 여과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여과수 중의 유해세균을 사멸시킨다.
미세버블생성수단(40)은 여과수배출관(13)과 연결되는 펌프(41)와, 여과수배출관(13)과 연결되어 펌프(41)로 유입되는 여과수 중으로 산소 또는 오존을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관(43)과, 가스주입관(43)과 연결되는 산소발생기(44) 및 오존발생기(47)를 구비한다.
여과수배출관(13)은 펌프(41)의 흡입측과 연결된다. 그리고 여과수배출관(13)에는 가스주입관(43)이 연결된다. 가스주입관(43)은 후술할 역세수단의 분기관(51)과 펌프(41) 사이에 위치한다. 여과수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에는 가스주입관(43)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주입된다. 가스가 주입된 여과수는 펌프(41)로 유입된다.
산소발생기(44)와 오존발생기(47)는 각각 산소공급관(45) 및 오존공급관(48)에 의해 가스주입관(43)과 연결된다. 산소공급관(45)과 오존공급관(48)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46)(49)가 각각 설치된다. 산소공급관(45)의 밸브(46)와 오존공급관(48)의 밸브(49)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개방되거나, 둘다 모두 개방되거나, 둘다 모두 닫혀있을 수 있다.
가스가 혼입된 여과수는 펌프(41)의 임펠러를 통과하면서 버블이 미세하게 부서지면서 펌프(41)의 토출측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혼입된 여과수는 펌프(41)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산소버블 또는 미세한 오존버블이 여과수 중에 생성된다. 산소버블 또는 오존버블이 생성된 여과수는 육상 양식장으로 공급된다.
산소공급관(45)에 설치된 밸브(46)를 개방하면 산소가 여과수 중으로 유입되고, 펌프(41)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산소버블이 생성된다. 따라서 육상 양식장으로 공급되는 여과수의 용존산소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오존공급관(45)에 설치된 밸브(49)를 개방하면 오존이 여과수 중으로 유입되고, 펌프(41)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오존버블이 생성된다. 이러한 여과수는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오존에 의해 각종 유해세균 및 유해생물이 사멸된다.
한편, 여재들 사이의 공극이 막혀 필터유닛(30)의 여과기능이 저하되면 세척수를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시켜 필터유닛(30)을 세척하기 위한 역세수단(50)이 구비된다.
역세수단(50)은 여과수배출관(13)에서 분기되는 분기관(51)과 연결되어 분기관(51)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53)와, 세척수저장조(53)와 여과탱크(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세척수유입관(15)에 설치되는 세척수공급펌프(55)와, 여과탱크(10)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어 필터유닛(30)을 통과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관(17)과, 여과수배출관(13)에 설치되어 여과수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를 분기관(51) 또는 미세버블생성수단의 펌프(41) 중 어느 하나로 유입시키는 쓰리웨이밸브(59)를 구비한다.
분기관(51)은 여과수배출관(13)으로부터 분기된다. 분기관(51)과 여과수배출관(13)의 연결부위에는 쓰리웨이밸브(59)가 설치된다. 쓰리웨이밸브(59)는 유로를 전환시켜 여과수를 분기관(51)으로 유입시키거나, 펌프(41)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수를 여과시 초기에 배출되는 여과수는 분기관(51)으로 유입시켜 세척수저장조(53)로 공급한다. 그리고 세척수저장조(53)에 여과수가 일정량 채워지면 쓰리웨이밸브(59)가 작동하여 유로를 전환시킨다. 이에 따라 여과수는 분기관(51)으로 유입되지 않고 펌프(41)로 유입되어 육상 양식장으로 공급된다.
세척수저장조(53)는 분기관(51)과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수저장조(53)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척수저장조(53)의 수위값에 의해 분기관(51)으로 여과수 유입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가령, 세척수저장조(53)의 수위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쓰리웨이밸브(59)는 분기관(51)의 유로를 닫고, 펌프(41)측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세척수저장조(50)의 수위가 설정된 값에 미달되면 쓰리웨이밸브(59)는 분기관(51)의 유로를 개방시키고, 펌프(41)측의 유로를 닫는다.
상술한 수위센서와 쓰리웨이밸브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세척수저장조(53)에 저장된 여과수는 필터유닛(30)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제거된 여과수를 세척수로 이용하므로 역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세척수저장조(53)는 세척수유입관(15)에 의해 여과탱크(10)와 연결된다. 세척수유입관(15)에는 세척수공급펌프(55)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척수유입관(15)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57)가 설치된다. 필터유닛(30)의 역세시 밸브(57)를 개방시킨 후 세척수공급펌프(55)를 가동시키면 세척수저장조(53)에 저장된 세척수가 여과탱크(10)의 하부로 유입된다. 여과탱크(10)의 하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유공판(20)과 필터유닛(30)을 통과하고, 이때 여재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여재들의 공극에 끼어있는 이물질들이 탈리되면서 세척수와 함께 세척수배출관(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필터유닛(30)의 역세에 의해 필터유닛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세시 세척수유입관(15)을 통해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은 매우 불균일하다. 즉, 세척수유입관(15)이 위치한 여과탱크(10) 내부 중앙에는 강한 압력으로 세척수 흐름이 형성되지만, 중앙에서 벗어난 가장자리 영역은 세척수의 압력은 크게 저하된다. 이 경우 필터유닛(30)의 중앙측은 세척이 잘 이루어지나 필터유닛(30)의 가장자리측은 세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세척수분산부(60)를 구비한다.
세척수분산부(60)는 여과탱크(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세척수유입관(15)을 통해 여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충돌하여 세척수의 흐름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척수분산부(60)는 세척수유입구(16)의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들(61)과, 지지대들(61)에 상부에 결합되며 세척수유입구(16)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충돌판(63)을 구비한다.
지지대들(61)은 여과탱크(10)의 바닥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충돌판(63)은 세척수유입구(1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세척수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는 마주하는 충돌판(63)에 충돌하면서 전후좌우 사방으로 흐름이 분산된다. 따라서 여과탱크(1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의 흐름은 넓게 확산된 상태로 필터유닛(30)을 통과하므로, 필터유닛(30)을 통과하는 세척수의 압력 편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여과탱크(1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역세수단(50)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압력감지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는 여과탱크(10)에 설치되어 여과탱크(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의해 해수유입관(11)을 통한 해수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역세수단(50)을 작동시킨다.
여재의 공극이 점차 막히면 여과탱크(10)의 내부 압력은 상승한다. 여과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제어부는 역세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미세버블생성수단은 기액혼합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액혼합모듈(70)은 가스주입관(51)의 단부와 연결되어 여과수배출관(13)의 내부에 설치된다.
기액혼합모듈(70)은 가스주입관(43)과 연결되며 측면에 가스배출구(73)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사각통 형상의 가스분출박스(71)와, 가스분출박스(71)의 내측면에 부착된 탄성막(75)과, 가스배출구(7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탄성막(75)에 형성된 컷팅슬릿(77)과, 일측은 가스분출박스(71)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가스분출박스의 바깥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비틀려 형성된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가스배출구(73)를 사이에 두고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은 가스분출박스(71)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가스분출박스(73)의 바깥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2와류유도패널(83)을 구비한다.
가스주입관(43)은 여과수배출관(13)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가스분출박스(71)는 육면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스분출박스(71)의 상부에 가스주입관(43)의 단부가 결합된다. 가스주입관(43)을 통해 산소 또는 오존이 가스분출박스(71)의 내부로 유입된다.
가스분출박스(71)의 측면에는 가스배출구(73)가 형성된다. 가스배출구(73)는 가스분출박스(71)의 네 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가스배출구(73)는 상하로 긴 장공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스분출박스(71)의 내측면에는 탄성막(75)이 부착된다. 탄성막(75)은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막(75)에는 컷팅슬릿(77)이 형성된다. 컷팅슬릿(77)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컷팅슬릿(77)은 탄성막(75)을 칼로 베어 형성할 수 있다. 컷팅슬릿(77)은 가스배출구(73)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컷팅슬릿(77)의 상하길이는 가스배출구(73)의 상하 길이보다 짧다. 컷팅슬릿(77)의 위치는 가스배출구(7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탄성막에 형성된다.
가스분출박스(71)로 가스가 유입되면 가스분출박스(7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컷팅슬릿(77)이 벌어지면서 가스가 가스배출구(73)를 통해 가스분출박스(71)의 외부로 분출된다. 그리고 가스가 가스분출박스(71)로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 컷팅슬릿(77)은 탄성막의 탄성력에 의해 닫혀있다.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스배출구(73)는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 사이에 위치한다.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은 사각 판재를 180°비틀어서 만들어진 형태를 갖는다.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은 비틀린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은 가스분출박스(71)의 측면마다 한쌍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총 4쌍의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이 설치된다.
가스배출구(73)를 통해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 사이로 배출되는 가스는 제 1와류유도패널(81)과 제 2와류유도패널(83)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인 와류들이 형성되어 충돌하면서 가스분출박스(71) 주위로 확산되면서 여과수와 혼합되므로 기액 혼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기액혼합모듈(70)을 통해 여과수 중에 가스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키면서 혼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여과탱크 20: 유공판
23: 스트레이너 30: 필터유닛
40: 미세버블생성수단 50: 역세수단
60: 세척수분산부

Claims (5)

  1. 상부에 해수유입관이 연결된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유공판과;
    상기 유공판의 상부에 여재를 적층시켜 형성하며 상기 해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유닛과;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여과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 중에 산소 버블 또는 오존 버블을 생성시키기 위한 미세버블생성수단과;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세척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로 세척수를 유입시켜 상기 필터유닛을 세척하기 위한 역세수단과;
    상기 여과탱크의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유입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와 충돌하여 세척수의 흐름을 사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세척수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의해 상기 해수유입관을 통한 해수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상기 역세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수단은 상기 여과수배출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와, 상기 세척수저장조와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를 연결하는 상기 세척수유입관에 설치되는 세척수공급펌프와, 상기 여과탱크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관과, 상기 여과수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를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미세버블생성수단 중 어느 하나로 유입시키는 쓰리웨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버블생성수단은 상기 여과수배출관과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여과수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여과수 중으로 산소 또는 오존을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관과, 상기 가스주입관과 연결되는 산소발생기 및 오존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버블생성수단은 상기 가스주입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액혼합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액혼합모듈은 상기 가스주입관과 연결되며 측면에 가스배출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사각통 형상의 가스분출박스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내측면에 부착된 탄성막과, 상기 가스배출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막에 형성된 컷팅슬릿과, 일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바깥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비틀려 형성된 제 1와류유도패널과, 상기 가스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와류유도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분출박스의 바깥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와류유도패널과 반대방향으로 비틀려 형성된 제 2와류유도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KR1020200124502A 2020-09-25 2020-09-25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KR10248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02A KR102485128B1 (ko) 2020-09-25 2020-09-25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02A KR102485128B1 (ko) 2020-09-25 2020-09-25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80A true KR20220041380A (ko) 2022-04-01
KR102485128B1 KR102485128B1 (ko) 2023-01-06

Family

ID=8118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02A KR102485128B1 (ko) 2020-09-25 2020-09-25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2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552A (ja) * 2003-10-06 2005-04-2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加圧多層式マイクロオゾン殺菌・浄化・畜養殺菌システム
KR200383103Y1 (ko) * 2005-02-01 2005-04-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하수의 고도처리용 가변식 모래여과장치
KR200383104Y1 (ko) 2005-02-01 2005-04-29 김용득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JP2010246493A (ja) * 2009-04-20 2010-11-04 Nakata Coating Co Ltd 水供給システム
KR101150675B1 (ko) * 2011-09-20 2012-05-25 신지훈 역세기능을 구비한 상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349280B1 (ko) * 2012-11-30 2014-01-08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482156B1 (ko) * 2014-09-11 2015-01-15 (주) 지엠펌프 육상 양어장용 해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552A (ja) * 2003-10-06 2005-04-2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加圧多層式マイクロオゾン殺菌・浄化・畜養殺菌システム
KR200383103Y1 (ko) * 2005-02-01 2005-04-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하수의 고도처리용 가변식 모래여과장치
KR200383104Y1 (ko) 2005-02-01 2005-04-29 김용득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JP2010246493A (ja) * 2009-04-20 2010-11-04 Nakata Coating Co Ltd 水供給システム
KR101150675B1 (ko) * 2011-09-20 2012-05-25 신지훈 역세기능을 구비한 상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349280B1 (ko) * 2012-11-30 2014-01-08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482156B1 (ko) * 2014-09-11 2015-01-15 (주) 지엠펌프 육상 양어장용 해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128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6313A1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洗浄方法
EP2882525B1 (en) Aerator device, filter system, and method of aerating a filter
JP2010528833A (ja) パルス化エアリフトポンプを備えた膜モジュール
KR20100028116A (ko) 간단한 여과 시스템을 위한 세정 방법
KR20110090665A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KR102379024B1 (ko) 나노버블수 생성장치
JP6176881B2 (ja) 混合処理体、混合処理法、流体混合器、流体混合処理装置、及び、魚介類養殖システム
JPWO2015111592A1 (ja) 閉鎖循環濾過養殖システム
JP5652758B2 (ja) ポンプエアレ−ション装置
JP2012005947A5 (ko)
AU202143529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oxygenation of water bodies
WO2015061310A1 (en) Air-powered water circulation systems for ponds
KR20220041380A (ko)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KR20100116904A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KR101128006B1 (ko) 산소 용해장치
JP2004305886A (ja) 散気装置
KR100983905B1 (ko) 활어수족관
KR101783260B1 (ko)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양식장
JPH11319866A (ja) 浄水装置
JP2006198462A (ja) 平膜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KR20180098038A (ko) 녹조 제거장치
KR101466643B1 (ko) 활어운반차량용 해수 정수장치
KR20110081557A (ko) 버블을 이용한 산소용해장치
JP2004321009A (ja) 水耕栽培装置
US11045769B2 (en) Submerged membrane unit diffuser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