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758A -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758A
KR20220040758A KR1020200123853A KR20200123853A KR20220040758A KR 20220040758 A KR20220040758 A KR 20220040758A KR 1020200123853 A KR1020200123853 A KR 1020200123853A KR 20200123853 A KR20200123853 A KR 20200123853A KR 20220040758 A KR20220040758 A KR 2022004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hamber
tube body
tube
cell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민용
Original Assignee
전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용 filed Critical 전민용
Priority to KR102020012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758A/en
Publication of KR2022004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4Blood stirrers, e.g. for defibr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8Flow directing inserts
    • C12M27/20Baffles; Ribs; Ribbons; Auger v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5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separation tube and a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e body having a chamber for accommodating blood for centrifugation formed; and a cell activation uni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and activating blood cells by colliding with the blood centrifuged in the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od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혈액 분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Blood separation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액 분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소판, 단핵구, 백혈구, 림프구 등을 포함하는 혈액유체(Blood fluid)에 물리적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혈액 내에 포함된 혈소판 등을 활성화하는 혈액 분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separation tube and a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physical stress to a blood fluid containing platelets, monocytes, leukocytes, lymphocytes, etc., platelets contained in the blood It relates to a blood separation tube for activating the back, and a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혈액은 폐에서 받아들인 산소를 조직세포에 운반하고, 조직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폐로 운반하여 밖으로 방출시키고, 소화관에서 흡수된 영양소를 장기나 조직 세포로 운반하며, 조직의 분해 산물로서 생체에 불필요한 물질을 신장으로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키고, 내분비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을 작용 기관·조직까지 운반하고, 체열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 밖에 생체에 침입한 세균·이물질 등을 파괴·무독화 시키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Blood transports oxygen received from the lungs to tissue cells, transports carbon dioxide from the tissues to the lungs and releases them, transports nutrients absorbed from the digestive tract to organs or tissue cells, and kidneys substances unnecessary to the living body as decomposition products of tissues It transports and discharges the hormones from the endocrine glands to the working organs and tissues, distributes body heat evenly to maintain a constant body temperature, and destroys and detoxifies other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invaded the living body.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이러한 혈액은 각종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부분도 있지만, 혈액 내에 성장인자가 풍부히 들어 있는 혈소판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단핵구, 림프구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에서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며 혈장은 PRP(Plate Rich Plasma) 및 PPP(Platelet poor plasma)로 나누어진다. 이 중 PRP는 통증부분 특히 무릎, 인대, 근육 등에 이식되어 줄기세포를 자극하여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Although this blood is partly used as a major indicator for judging various diseases or health conditions, platelets rich in growth factors in blood are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Blood consists of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platelets, monocytes, lymphocytes, etc. Among them, platelets are mainly present in plasma, and plasma is divided into PRP (Plate Rich Plasma) and PPP (Platelet poor plasma). Among them, PRP has been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because it is implanted in painful areas, particularly knees, ligaments, and muscles, and helps to stimulate stem cells to generate cells.

PRP에는 일반 혈액보다 2~7배 많은 혈소판 및 3~5배 정도 많은 백혈구 또는 단핵구가 존재하며, 혈소판에서 생성 및 분비되는 성장인자들이 상처 부위의 세포재생을 촉진시켜서 창상 치유 및 세포 혹은 조직 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PRP의 효과를 더 증대시키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칼슘, 외국에서는 콜라겐, 트롬빈의 화학물질 또는 혈소판 활성화 단백질을 첨가하여 혈소판을 미리 활성화시켜 성장인자를 분비하게 한 후에 주사하는 방법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PRP contains 2-7 times more platelets and 3-5 times more white blood cells or monocytes than normal blood. It is known to help.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this PRP, calcium in Korea, collagen, thrombin in foreign countries, or platelet activating protein is added to activate platelets in advance to secrete growth factors, and then injection is used in clinical practice.

그러나, 칼슘은 연골에 주사할 경우 중화되어 의미가 없고, 피하지방에 주사할 경우 홍조 및 피부발진과 통증유발 현상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또한 트롬빈과 콜라겐은 혈액응고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물질로서 완벽하게 분리해 내지 못하고 환자에게 주사될 경우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어 이들을 첨가하는 방법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화학적 활성인자를 첨가하는 것이 아닌 물리적 스트레스(physical stress)를 인가하여 혈소판 등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9779호가 제안된 바 있었다.However, calcium is neutralized and meaningless when injected into cartilage. When injected into subcutaneous fat,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redness, skin rash, and pain. Also, thrombin and collagen are substances that directly act on blood clotting. However, the method of adding them was in need of improvement because it could not be completely separated and could act as a potential risk factor when injected into a patient.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report on a method of activating platelets by applying a physical stress rather than adding a chemical activator, and based on thi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129779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9779호에서는 혈소판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유체에 모세관 스트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내부 직경 2mm 이하의 통로와, 상기 통로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양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생물학적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포함하는 혈소판 활성화 장치를 제안하여, 모세관 통로를 반복적으로 통과시켜 활성화된 혈소판을 수득할 수 있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29779, a passage with an inner diameter of 2 mm or less for applying capillary stress to a biological fluid including platelets, a receiving part of the passage and both ends of the receiving part, are formed, By proposing a platelet activ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ntrances or exits through which injection or discharge is possible, it was possible to obtain activated platelets by repeatedly passing through the capillary passage.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9779호에서는 상기 통로가 폭이 좁은 영역과 넓은 영역이 교번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혈소판을 활성화 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미세한 통로 내부에 교번적으로 복수의 패턴을 형성해야 함에 따라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통로가 단일 채널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하는 혈소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혈액의 왕복 횟수가 혈액 양에 따라 증가할 수밖에 없어 혈소판을 활성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9779, the passage has a structure in which narrow and wide areas are alternately formed to activate platelets. Not only i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s a pattern of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253호에 다채널의 혈액 통로가 구비된 혈소판 활성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길이가 긴 혈소판 활성화 장치의 양단부에 마련된 주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주사기를 장착하고, 혈액이 혈소판 활성화 장치를 통과하며 왕복이동하도록 양쪽 주사기의 피스톤을 강한 힘으로 여러 번 왕복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문제점과 원심분리한 혈액을 채취하여 별도의 장치에 장착하여 물리적 스트레스를 인가하여야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29253 discloses a platelet activating device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blood passage, but a syringe is mounted at the inlet and outle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 platelet activating device, respectively. The pistons of both syringes must be reciprocated several times with strong force so that the blood passes through the platelet activation device and reciprocates. Physical stress must be appli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9779호(발명의 명칭: 모세관 스트레스 인가에 의한 혈소판 활성화 방법, 공개일: 2012.11.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9779 (Title of the invention: platelet activation method by capillary stress application, publication date: 2012.11.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9253호(발명의 명칭: 다채널 혈액 통로를 구비한 혈소판 활성화 장치, 등록일: 2014.08.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29253 (Title of the invention: platelet activation device with multi-channel blood passage, registration date: 2014.08.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심분리하는 동안에 혈액 분리 튜브 내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 현상을 이용하여 혈소판, 백혈구, 단핵구, 림프구 등의 혈구세포에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간단하면서, 이중의 원심분리 작업 및 원심분리 후에 별도의 물리적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의료인의 작업 스트레스 없애주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세포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 분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using the vortex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blood separation tube during centrifugation to apply physical stress to blood cells such as platelets, white blood cells, monocytes, and lymphocytes, the structure is simple Blood separation tube that is simple to manufacture, eliminates the work stress of medical personnel by omitting the double centrifugation operation and the process of applying separate physical stress after centrifugation, and can prevent cell contamination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 스트레스가 인가된 버피코트(연막층)를 소실없이 직경이 좁은 중간수용부로 이동시켜 의료인들이 버피코트(연막층)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온전히 채취할 수 있는 혈액 분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separation tube that allows medical personnel to completely collect the buffy coat (smoke film) while visually checking the buffy coat (smoke film) by moving the buffy coat (smoke film layer) to which physical stress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receiving unit with a narrow diameter without loss.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실리카 재질의 세포활성화제를 혈액 분리 튜브에 일정한 용량으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중량을 정밀하게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운 공정을 해소하고, 또한 1분당 수천 RPM으로 회전하면서 원심분리되는 동안 유리재질이 서로 부딪치면서 소용돌이 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실리카 가루나, 기타 주입된 실리카 가루가 인체에 재주입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혈액 분리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ifficult process of precisely matching the weight in the process of injecting a cell activating agent made of silica material into a blood separation tube at a constant volume, and also frees up during centrifugation while rotating at several thousand RPM per minute. Invented to provide a blood separation tube that can prevent accidents in which fine silica powder or other injected silica powder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wirling while material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can be re-injected into the human body and a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for another purpose of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분리하기 위한 혈액을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챔버에서 원심분리되는 과정에서 와류되는 혈액과 충돌하여 혈액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세포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ube body having a chamber for accommodating blood for centrifugation; It can be achieved by a blood separation tube, which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and includes a cell activation unit that activates blood cells by colliding with the vortexed blood during centrifugation in the chamber.

여기서,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일정 높이와 폭과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 공간 혹은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요철벽, 또는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돌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ell activation part has a predetermined height, width, and length, is formed to protrude, and is formed to protrude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or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tube 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It may include any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또한,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 요철벽 또는 상기 복수의 미세 돌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미세 요철벽 및 상기 미세 돌기보다 더 큰 높이로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챔버에서 원심분리되는 혈액세포를 혼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 activation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or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to a greater height than the fine concavo-convex walls and the fine protrusions, the chamber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partition walls for mixing the blood cells to be centrifuged in the.

상기 미세 요철벽은 상기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ne concavo-convex wall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챔버는, 혈액의 혈장이 모이는 상부 챔버와, 혈액의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버피코트(buffy coat)가 모이는 중간 챔버와, 혈액의 적혈구가 모이는 하부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hamber may include an upper chamber in which plasma of blood collects, an intermediate chamber in which a buffy coat containing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of blood collects, and a lower chamber in which red blood cells of blood collect. .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챔버에 수용되어, 원심분리시 적혈구층을 활성화하는 활성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or lower chamber, it may further include an active column for activating the red blood cell layer during centrifugation.

상기 활성기둥의 외측면에는, 일정 길이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활성기둥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 또는 일정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활성기둥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미세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미세 요철벽은 상기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tive column,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to a certain length and a certain height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column, or a certain protrusion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column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protrusions arranged at intervals may be provided, and the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상기 하부 챔버에 기밀을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패킹과, 상기 하부 패킹을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acking that is movably accommodated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n the lower chamber, and a piston for moving the lower packing.

그리고, 상기 하부패킹은 원형의 마개를 둘러싼 링 형태일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cking may be in the form of a ring surrounding a circular stopper.

상기 활성 기둥은, 상기 튜브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챔버를 개폐하는 하부 마개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active pillar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a lower stopp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to open and close the lower chamber.

상기 튜브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원심분리시 상기 튜브 본체의 떨림을 방지하는 떨림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nti-vibration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body to prevent vibration of the tube body during centrifug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혈액을 채혈하는 단계; 혈액을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회전하는 원심분리과정과 동시에 유체의 와류현상으로 혈구 세포에 물리적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단계; 혈장층과 버피코트와 적혈구층으로 분리하는 단계: 혈장층으로부터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 버피코트를 혈장과 함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활성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llecting blood; applying a physical stress to the blood cells by a vortex phenomenon of the fluid at the same time as the centrifugation process in which the blood is rota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Separation into a plasma layer, a buffy coat, and a red blood cell layer: extracting plasma from the plasma layer;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cell activ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the buffy coat together with plasma.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혈액 분리 튜브 및 세포활성화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조과정이 단순하여 제조 효율을 높이며, 원심분리시 튜브의 떨림을 방지하여, 물리적 스트레스가 인가된 버피코트층의 각 혈구가 흐트러지면서 혈장층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원심분리 과정만을 통하여 세포의 물리적 스트레스 인가 및 활성화를 이루어, 원심분리 후에 별도로 버피코트(연막층)를 채취한 뒤 다시 세포활성화 키트에 이송하여 작업하는 동안에 일어날 수 있는 혈액오염을 방지하며, 의료인이 직접 힘들게 주사기의 피스톤 왕복운동으로 수십 차례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주거나, 고가의 자동화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기존의 혈액 분리 튜브 및 방법의 단점을 없애어 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lood separation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latively simple,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preventing the tube from shaking during centrifugation, so that each blood cell of the buffy coat layer to which the physical stress is applied It prevents dispersion into the plasma layer as it is disturbed, and applies physical stress to cells and activates them only through the centrifugation process. After centrifugation, the buffy coat (smoke layer) is separately collected and transferred back to the cell activation kit during work. Prevents possible blood contamination, and eliminates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blood separation tubes and methods that require medical personnel to apply physical pressure dozens of times by reciprocating the piston of a syringe or to separately provide expensive automated equipment.

또한, 인체에 해로운 실리카 가루가 원심분리된 혈액과 함께 인체에 주입되는 것을 막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afely used by preventing the silica powder harmful to the human body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human body together with the centrifuged blood.

또한, 원심분리 후에 버피코트(연막층)를 직경이 좁은 중간 챔버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버피코트(연막층)가 거친 표면에 달라붙어 수득율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단점을 개선하여, 상부 챔버 또는 직경이 좁은 중간 챔버 중의 적어도 하나에만 형성하여 하부 챔버에서 이송되는 활성화된 버피코트(연막층)가 소실없이 의료인에 의하여 채취할 수 있게 하여 고가의 세포치료제가 소실되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buffy coat (smoke film layer) to the intermediate chamber with a narrow diameter after centrifugation, the disadvantage that the buffy coat (smoke film layer) sticks to the rough surface and the yield is very low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upper chamber or narrow diameter By forming only in at least one of the intermediate chambers, the activated buffy coat (smoke layer) transferred from the lower chamber can be collected by medical personnel without loss, thereby preventing expensive cell therapy products from being lost and discarded.

또한, 상부 챔버에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된 미세 요철벽은 앵글 방식의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 과정에서 비중이 무거운 적혈구가 상부수용부에 머물지 않고 하부수용부로 쉽게 이동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하여, 원심분리시 적혈구가 상부 챔버에 머물지 않고 빠른 시간에 하부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 깨끗한 버피코트와 혈장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길게 형성된 미세 요철벽에 좀 더 넓은 면적으로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ne concavo-convex wall formed in the upper chamber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induces red blood cells with heavy specific gravity to move easily to the lower receptacle without staying in the upper receptacle during the centrifugation process in an angle-type centrifuge. During centrifugation, it helps red blood cells to move to the lower chamber quickly without staying in the upper chamber during centrifug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a clean buffy coat and plasma, and physical stress with a larger area on the long micro-irregular wall. There are advantages to adding

그리고, 투명한 재질의 실리콘 및 합성플라스틱 소재의 튜브 재질로 인하여 광에너지의 인가효율을 높여 세포활성화의 효율을 증가시킨다.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cell activa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light energy application efficiency due to the transparent silicone and the synthetic plastic tub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파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present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도 1 내지 도 3 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show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a)는 튜브 본체(10)와 세포활성화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lood separation tub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body 10 and a cell activation unit.

튜브 본체(10)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튜브 형상을 가진다.The tube body 10 has a hollow tube shape with one side open.

튜브 본체(10)의 내부에는 원심분리하기 위한 혈액을 수용하는 챔버(11)가 형성된다.A chamber 11 for accommodating blood for centrifugation is formed inside the tube body 10 .

챔버(11)는, 일측 개구로부터 원기둥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길이 연장된 상부 챔버(13)와, 상부 챔버(13)의 하단부로부터 원추 단면형상을 가지며 길이 연장된 하부 챔버(17)를 포함한다.The chamber 11 includes an upper chamber 13 having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ing in length from one opening, and a lower chamber 17 having a con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ing in length from a lower end of the upper chamber 13 .

이러한 챔버(11)에 채혈한 혈액을 수용하고, 튜브 본체(10)를 원심분리기에 장착하여 원심분리하면, 혈액의 주요 성분은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며 챔버(11)에 적층된다.When the collected blood i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11 and the tube body 10 is mounted in a centrifuge and centrifuged, the main components of the blood are separated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are stacked in the chamber 11 .

따라서, 혈액의 성분 중 가장 무거운 적혈구는 하부 챔버(17)에 적혈구층을 형성하며 적층되고, 적혈구층 위에는 혈액의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버피코트(buffy coat, 연막층)가 적층되며, 버피코트 위에는 혈액의 혈장층이 적층된다.Therefore, red blood cells, the heaviest of the components of blood, form a red blood cell layer in the lower chamber 17 and are stacked, and on the red blood cell layer, a buffy coat (buffy coat) containing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of blood is stacked, and the buffy coat A plasma layer of blood is layered on top.

이러한, 버피코트와 혈장층은 상부 챔버(13)에 상호 경계를 이루며 적층된다.These buffy coats and the plasma layer are stacked in the upper chamber 13 to form a boundary with each other.

한편, 세포활성화부는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구체적으로는, 상부 챔버(13)를 형성하는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요철 형태로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cell activation unit is specifical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in the form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forming the upper chamber 13 .

세포활성화부는 일정 높이와 폭과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튜브 본체(1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요철벽(31)으로 이루어진다.The cell activation un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width and length, is formed to protrude,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31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10 .

이러한 미세 요철벽(31)은 튜브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These fine concavo-convex walls 3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10 .

이에 따라, 세포활성화부는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연속적인 파형상으로 돌출된다.Accordingly, the cell activation unit protrudes in a continuous wave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

이와 같이,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튜브 본체(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미세 요철벽(31)을 마련함으로써, 혈액이 앵글방식의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되는 동안에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서는 혈액이 소용돌이 쳐지게 된다. 즉,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서 유속이 발생하게 되고, 이 때 혈구도 같이 빠르게 와류하게 되며, 혈구가 와류되는 동안에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요철벽(31)에 충돌하게 되어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특히, 길게 형성된 미세 요철벽(31)에 의해, 좀 더 넓은 면적으로 원심분리되는 혈액의 혈구에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게 되어, 혈액 세포를 활성화하게 된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fine concavo-convex wall 3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while the blood is centrifuged in an angle-type centrifuge of the tube body 10 In the chamber 11, the blood is swirled. That is, a flow rate is generated in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and at this time, the blood cells also rapidly vortex, and while the blood cells are vortexed,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 31), causing physical stress. In particular, physical stress can be applied to the blood cells of blood that are centrifuged over a larger area by the long fine concavo-convex wall 31 , thereby activating the blood cells.

이때 광에너지가 동시에 가해지면 각 혈구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은 온열효과로 부드러워지고 이는 상기 물리적 스트레스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At this time, when light energy is simultaneously applied, the cell wall or membrane of each blood cell is softened by the thermal effect, which further increases the physical stress effect.

또한, 미세 요철벽(31)을 튜브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튜브의 제조과정에서 금형코어의 슬라이드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조 단가의 인하가 이루어지며, 원심분리 과정에서 비중이 무거운 적혈구가 튜브 본체(10)의 상부에 머물지 않고 튜브 본체(10)의 하부로 쉽게 이동 즉, 적혈구가 상부 챔버(13)에 머물지 않고 하부 챔버(17)로 쉽게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시 적혈구가 상부 챔버(13)에 머물지 않고 빠른 시간에 하부 챔버(17)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 깨끗한 버피코트와 혈장을 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fine concavo-convex wall 31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10, the slide action of the mold core is smoothly perform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ub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 the centrifugation process Red blood cells with heavy specific gravity move easily to the lower part of the tube body 10 without staying in the upper part of the tube body 10, that is, the role of inducing the red blood cells to easily move to the lower chamber 17 without staying in the upper chamber 13 will do Therefore, during centrifugation, red blood cells do not stay in the upper chamber 13 and move to the lower chamber 17 in a short time, thereby obtaining a clean buffy coat and plasma.

또한, 세포활성화부는 복수의 격벽(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 activ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1 .

격벽(41)은 미세 요철벽(31)보다 더 큰 높이로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으로부터 튜브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격벽(41)은 복수의 미세 요철벽(31) 사이에 마련된다.The partition wall 41 is formed to protrude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1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to a height greater than the fine concavo-convex wall 31 .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1 ar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31 .

이와 같이, 세포활성화부에 복수의 격벽(41)을 더 포함함으로써, 튜브 본체(10)의 중심 쪽에 위치한 혈액과 튜브 본체(10)의 내측면 쪽에 위치한 혈액이 골고루 섞이는 효과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 있는 혈액의 혈구에 골고루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해주는 효과를 가져 온다.In this way, by further includi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1 in the cell activation unit, the bloo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ube body 10 and the blood located at the inner side of the tube body 10 are evenly mixed, resulting in It brings the effect of evenly applying physical stress to the blood cells of the blood in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세포활성화부로서 복수의 미세 요철벽(31) 대신에, 복수의 엠보싱 형태의 미세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미세 돌기는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튜브 본체(1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세포활성화부는 복수의 미세 요철벽(31)과, 복수의 미세 돌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instead of the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31 as the cell activation unit, a plurality of embossed fin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10 . In addition, the cell activation unit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31 and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한편, 미 설명된 참조부호 21은 상부 마개이고, 참조부호 25는 상부 패킹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개와 상부 패킹은 투명한 소재로 하여 광에너지의 투과가 쉽게 할 수 있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21,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denotes an upper cap, and 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n upper packing. In addition, the upper stopper and the upper packing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light energy can be easily transmitted.

상부 마개(21)는 튜브 본체(10)의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마개(21)는 튜브 본체(10)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stopper 2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tube body 10 . The upper stopper 21 may be fitted or screwed to the tube body 10 .

상부 마개(21)의 중앙에는 상부 패킹(25)이 부분 노출되는 노출공(2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An exposure hole 23 through which the upper packing 25 is partially expos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topper 21 .

상부 패킹(25)은 노출공(23)을 차폐하도록 상부 마개(21)에 마련된다. 상부 패킹(25)은 주사기(미도시)의 바늘이 쉽게 통과하고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packing 25 is provided on the upper stopper 21 to shield the exposed hole 23 . The upper packing 25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so that a needle of a syringe (not shown) passes easily and airtightness is maintained.

이와 같이, 상부 마개(21)를 튜브 본체(10)의 개구에 결합하고, 튜브 본체(10)의 개구를 상부 패킹(25)으로 차폐하여 튜브 본체(10)의 챔버(11)를 기밀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coupling the upper stopper 21 to the opening of the tube body 10, and shielding the opening of the tube body 10 with the upper packing 25,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can be kept airtight. there will be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a)는 튜브 본체(10)의 외주면에, 원심분리시 튜브 본체(10)의 떨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떨림방지판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떨림방지판을 마련함으로써, 튜브 본체(10)가 원심분리 과정 중에 떨리는 것을 막아주어, 혈액의 층 분리가 섞이지 않아 선명하게 분리되어, 추출하기 쉽게 도와준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blood separation tub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anti-vibration plat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10 to prevent vibration of the tube body 10 during centrifugation. can be provided.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anti-vibration plate, the tube body 10 is prevented from shaking during the centrifugation process, so that the layer separation of blood does not mix, it is clearly separated, and it helps to make extraction easier.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a)를 이용하여, 혈액 세포를 활성화시켜 혈액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by activating blood cells using the blood separation tub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환자의 정맥혈 또는 골수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채혈한 혈액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a)의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 주입한다.First, blood is collected from a patient's venous blood or bone marrow, and the collected blood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of the blood separation tub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튜브 본체(10)의 개구를 상부 마개(21)로 결합하고 상부 패킹(25)으로 차폐하여, 튜브 본체(10)의 챔버(11)를 기밀 유지한다. 이에 따라, 튜브 본체(10)의 챔버(11)는 외부와 단절된 구조를 갖게 되어, 혈액 성분을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 공기와의 노출을 막아주어 혈액의 오염을 막아주며, 혈액의 보존기간을 더욱 연장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opening of the tube body 10 is coupled with the upper stopper 21 and shielded with the upper packing 25 to keep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airtight. Accordingly,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has a structure that is cut off from the outside, prevents exposure to external ai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vents contamination of blood, and shortens the storage period of blood. can be extended further.

여기서, 튜브 본체(10)의 개구를 상부 마개(21)로 결합한 상태에서, 채혈한 혈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챔버(11)로 주입할 수도 있다.Here,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tube body 10 is coupled with the upper stopper 21, the collected blood may be injected into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using a syringe. .

이어서, 혈액이 수용된 혈액 분리 튜브(1a)를 앵글방식의 원심분리기의 버킷에 장착하여, 원심분리기를 분당 2000~4000rpm으로 회전시켜 혈액을 원심분리시킨다.Then, the blood separation tube (1a) containing the blood is mounted in a bucket of an angle-type centrifuge, and the centrifuge is rotated at 2000 to 4000 rpm per minute to centrifuge the blood.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혈액 성분 중 무거운 적혈구는 챔버(11)의 아래쪽으로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단핵구나 백혈구, 혈소판은 챔버(11)의 중간으로 모이고, 혈장은 챔버(11)의 윗쪽에 모이게 된다.When the blood is centrifuged, heavy red blood cells among the blood components sink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11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nd relatively light monocytes, leukocytes, and platelets gather in the middle of the chamber 11, and plasma is collected in the chamber 11 ) are gathered at the top of the

그리고, 혈액이 원심분리되는 동안에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서는 혈액이 소용돌이 쳐지게 된다. 즉,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서 혈액의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 때 혈구도 같이 빠르게 흐르게 되며, 혈액은 유동하는 동안에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미세 요철벽(31)에 충돌하게 되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혈액의 충돌은 분당 수천 번 회전하는 동안 일어나게 된다.And, while the blood is centrifuged, the blood is swirled in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 That is, a vortex of blood occurs in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and at this time, the blood cells also flow rapidly, and the fine uneven wal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while the blood flows ( 31), causing stress. These collisions of blood occur during thousands of revolutions per minute.

그리고,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41)에 의하여, 튜브 본체(10)의 중심에서 바깥쪽에 위치한 혈액과 상대적으로 튜브 본체(10)의 안쪽에 있던 혈액이 골고루 섞이는 효과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튜브 본체(10)에 수용된 혈액의 혈구에 골고루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해주는 효과를 가져 온다.And, by the partition wall 4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the blood located outside the center of the tube body 10 and the blood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ube body 10 relatively evenly mix. As a result, it brings about the effect of uniformly applying physical stress to the blood cells of the blood accommodated in the tube body 10 .

그리고, 이때 세포활성화를 유도하는 다양한 파장의 광에너지를 조사하게 되면 광에너지에 의하여 각 혈구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은 부드러워지고 이는 혈구 세포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는 더욱 효과적으로 인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light energy of various wavelengths inducing cell activation is irradiated, the cell wall or membrane of each blood cell is softened by the light energy, and the physical stress applied to the blood cell cell is more effectively applied.

혈액의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비중의 차이에 의해 무거운 적혈구는 하부 챔버(17)로 모여 적혈구층을 형성하고,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버피코트는 적혈구층 위에 적층하며 상부 챔버(13)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혈장층은 버피코트에 적층하며 상부 챔버(13)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어, 혈액은 적혈구층과 버피코트와 혈장층으로 분리된다.When the centrifugation of blood is completed, heavy red blood cells are collected in the lower chamber 17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to form a red blood cell layer, and a buffy coat including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is laminated on the red blood cell layer,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hamber 13 Formed in the region, the plasma layer is laminated on the buffy coat and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chamber 13, so that blood is separated into a red blood cell layer, a buffy coat, and a plasma layer.

이어서,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주사기를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혈장층으로 찔러, 혈장을 추출하거나, 또는 주사기를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버피코트로 찔러, 버피코트를 혈장과 함께 추출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centrifugation is complete, the syringe is pricked into the plasma layer of the tube body 10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to extract plasma, or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burpee of the tube body 10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By stabbing the coat, the buffy coat can be extracted along with the plasma.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4 shows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튜브 본체(10)는 양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FIG. 4 , the blood separation tube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tube body 10 has a hollow tubular shape with both sides open.

튜브 본체(10)의 내부에는 원심분리하기 위한 혈액을 수용하는 챔버(11)가 형성된다.A chamber 11 for accommodating blood for centrifugation is formed inside the tube body 10 .

챔버(11)는 상부 챔버(13)와, 중간 챔버(15)와, 하부 챔버(17)를 포함한다.The chamber 11 includes an upper chamber 13 , an intermediate chamber 15 , and a lower chamber 17 .

상부 챔버(13)는 혈액을 원심분리했을 때 혈액의 혈장이 모여 혈장층을 형성하는 곳으로서, 튜브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upper chamber 13 is a place where blood plasma is collected to form a plasma layer when blood is centrifuged, and is located above the tube body 10 .

중간 챔버(15)는 혈액의 백혈구 및 혈소판이 모여 버피코트(buffy coat)를 형성하는 곳으로서, 튜브 본체(10)의 중간에 위치한다.The intermediate chamber 15 is a place where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of blood gather to form a buffy coat, and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ube body 10 .

하부 챔버(17)는 혈액의 적혈구가 모여 적혈구층을 형성하는 곳으로서 튜브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한다.The lower chamber 17 is a place where red blood cells of blood gather to form a red blood cell layer, and is located below the tube body 10 .

상부 챔버(13)의 직경은 중간 챔버(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중간 챔버(15)의 직경은 하부 챔버(1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상부 챔버(13)와 중간 챔버(15), 그리고 중간 챔버(15)와 하부 챔버(17)의 각 연결부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어, 튜브 본체(10)의 내부에서 원심분리되는 혈액의 유동이 잘 일어나게 된다.The diameter of the upper chamber 13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chamber 15 , and the diameter of the middle chamber 15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chamber 17 . The upper chamber 13 and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the lower chamber 17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is gradually changed, so that the blood centrifuged inside the tube body 10 is flow is good.

한편, 중간 챔버(15) 및 각 연결부를 제외한 상부 챔버(13) 및 하부 챔버(17)의 내측면에는, 세포활성화부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미세 요철벽(31) 또는 복수의 미세 돌기(35)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chamber 13 and the lower chamber 17 excluding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each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fine uneven walls 31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a cell activation part.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35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세포활성화부로서 상부 챔버(13)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미세 요철벽(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챔버(17)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미세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31 as shown in FIG. 2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13 as a cell activation unit, and the lower chamber 17 ),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3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하부 챔버(17)에 복수의 미세 돌기(35)를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벼운 혈구가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상승하기 전에 회전하면서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forming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35 in the lower chamber 17, it has an effect of allowing relatively light blood cells to receive physical stress while rotating before rising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복수의 미세 돌기(35)는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튜브 본체(10)의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35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are formed to protrude,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10 .

또한, 중간 챔버(15)와 하부챔버(17) 상부 사이에는 미세 요철벽(31) 또는 미세 돌기(35)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중간 챔버(15)와 하부챔버(17) 상부 사이에 미세 요철벽(31) 또는 미세 돌기(35)를 형성하지 않는 이유는, 원심분리가 끝나서 하부 챔버(17)에 존재하는 버피코트(연막층)를 중간 챔버(15)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점성이 있는 버피코트(연막층)가 중간 챔버(15)와 하부챔버(17) 상부 사이의 미세 요철벽(31)이나 미세 돌기(35)에 부착되면서 소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되면 애써 만든 고가의 활성화된 혈액세포가 제대로 추출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ine concavo-convex wall 31 or the fine protrusion 35 is not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the lower chamber 17 . As such, the reason for not forming the fine concave-convex wall 31 or the fine protrusion 35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the lower chamber 17 is that the buffy coat present in the lower chamber 17 after centrifugation is complet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moke film layer) to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 viscous buffy coat (smoke film layer) is formed between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the lower chamber 17 upper part of the fine concavo-convex wall 31 or fine protrusions ( 35) to prevent it from disappearing while being attached to it. This is because, in this case, the expensive, activated blood cells made with great effort cannot be extracted properly and are discarded, resulting in a loss.

그리고, 하부 챔버(17)에는 미세 요철벽(31)이나 미세 돌기(35)를 형성하되, 하부 챔버(17)의 바닥에 위치한 하부 패킹(55)보다 위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한 중력가속도에 의하여 혈액이 바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위한 하부 패킹(55)과 하부 챔버(17)의 내측면 사이로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이 틈으로 혈액이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And, the lower chamber 17, but to form the fine protrusion wall 31 or the fine protrusion 35, it is preferable to form above the lower packing 55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hamber (17). This is because a minute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17 and the lower packing 55 to prevent blood from escaping to the floor by strong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blood can escape through this gap.

또한, 튜브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예컨대, 상부 챔버(13)와 중간 챔버(15)의 외측면에는, 원심분리시 튜브 본체(10)의 떨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떨림방지판(51)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10, for examp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13 and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t least one anti-vibration plate 51 to prevent vibration of the tube body 10 during centrifugation. This is provided.

이와 같이, 떨림방지판(51)을 마련함으로써, 튜브 본체(10)가 원심분리 과정중에 떨리는 것을 막아주어, 혈액의 층 분리가 섞이지 않아 선명하게 분리되어 추출하기 쉽게 도와준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anti-vibration plate 51, the tube body 10 is prevented from shaking during the centrifugation process, so that the blood layers are not mixed and separated clearly and easily extracted.

여기서, 떨림방지판(51)은 세로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로로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Here, one or more anti-shake plate 51 may be provi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lthough not shown.

하부 챔버(17)에는 하부 패킹(55)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패킹(55)은 탄성변형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하부 챔버(17)에 기밀을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하부 패킹(55)은 튜브 본체(10)의 타측 개구를 폐쇄하고, 원심분리시 가해지는 하중으로 발생되는 하부 패킹(55)의 강한 밀착력으로 원심분리시 혈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wer chamber 17 is provided with a lower packing 55 . The lower packing 55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elastic body, and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lower chamber 17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The lower packing 55 closes the other opening of the tube body 10 and prevents blood from leaking during centrifugation due to the strong adhesion of the lower packing 55 generated by the load applied during centrifugation.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 패킹은 마개의 외측면을 둘러싼 링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the lower packing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이러한 하부 패킹(55)은 피스톤(61)에 의해 이동된다.This lower packing 55 is moved by the piston 61 .

그리고 상기 피스톤(61)은 스크루 방식 혹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사기 밀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piston 61 may be formed in a screw type or in the form of a syringe pusher, although not shown.

한편, 원심분리를 통하여 세포활성화와 비중에 의한 층 분리가 동시에 끝난 혈액은 피스톤(61)으로 밀어올려서, 적혈구층 위에 분리 적층되는 버피코트(연막층)를 직경이 좁은 중간 챔버(15)에 위치시켜 놓아, 하얀색의 버피코트(연막층)가 하부 챔버(17)에 있을 때 보다 더욱 확연히 보이게 되어 의료인들이 누구나 손쉽게 주사기를 이용하여 소실없이 채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od, which has been simultaneously activated and separated by specific gravity through centrifugation, is pushed up by the piston 61, and the buffy coat (smoke layer) that is separated and stacked on the red blood cell layer is placed in the narrow intermediate chamber 15 Because the white buffy coat (smoke layer) is more clearly visible than when it is in the lower chamber 17, any medical person can easily collect it without loss by using a syringe.

이 때, 피스톤(61)에는 별도의 승강레일(63)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튜브 본체(10)의 하부 마개(53)를 통하여 하부 패킹(55)을 천천히 밀어올릴 수 있다.At this time, a separate lifting rail 6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61, and the lower packing 55 can be slowly pushed up through the lower stopper 53 of the tube body 10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피스톤(61)에 손잡이(65)를 형성하여, 의료인들이 손잡이(65)를 쥐고 밀어 올릴 때 손가락의 앞부분을 받쳐주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하부 패킹(55)을 밀어 올릴 수 있어 힘을 들어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handle 65 on the piston 61, when medical personnel hold the handle 65 and push up, it supports the front part of the finger, so that the lower packing 55 can be pushed up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There are advantages to listening.

그리고, 하부 패킹(55)의 상단에는 봉 형상의 활성기둥(71)이 마련되어 있다. 활성기둥(71)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하부 챔버(17)에 수용되어, 원심분리시 하부 챔버(17)에 형성되는 적혈구층을 활성화한다.In addition, a rod-shaped active column 7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cking 55 . The active pillar 7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chamber 17 to activate the red blood cell layer formed in the lower chamber 17 during centrifugation.

활성기둥(7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75)이 마련되어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75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tive pillar 71 .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75)은 일정 길이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활성기둥(71)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보조 미세 요철벽(75)은 튜브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75 are formed to protrud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pillar 71 . The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 75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10 .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활성기둥(7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75) 대신에, 복수의 보조 미세 엠보싱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미세 엠보싱돌기는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활성기둥(71)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Here,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embossing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ive pillar 71 instead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75 .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embossing projections are formed to protrude with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pillar 71 .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b)를 이용하여, 혈액 세포를 활성화시켜 혈액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by activating blood cells by using the blood separation tube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환자의 정맥혈 또는 골수에서 혈액을 채혈하여, 채혈한 혈액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b)의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 주입한다.First, blood is collected from a patient's venous blood or bone marrow, and the collected blood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of the blood separation tube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튜브 본체(10)의 개구를 상부 마개(21)로 결합하고, 상부 패킹(25)으로 차폐하여 튜브 본체(10)의 챔버(11)를 기밀 유지한다.Next, the opening of the tube body 10 is coupled with the upper stopper 21 and shielded with the upper packing 25 to keep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airtight.

이어서, 혈액이 수용된 혈액 분리 튜브(1b)를 원심분리기의 버킷에 장착하여, 원심분리기를 분당 2000~4000rpm으로 회전시켜 혈액을 원심분리시킨다.Then, the blood separation tube 1b containing the blood is mounted on the bucket of the centrifuge, and the centrifuge is rotated at 2000 to 4000 rpm per minute to centrifuge the blood.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주입된 혈액이 원심분리하는 동안에, 혈액세포는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서 미세 요철벽(31)과 격벽(41)과 미세 엠보싱 돌기(35)와 활성기둥(71)의 보조 미세 요철벽(75)과 충돌하여 세포 활성화된다.When the blood is centrifuged, while the injected blood is centrifuged, the blood cells are generated in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with the fine concavo-convex wall 31 and the partition wall 41, the fine embossing protrusion 35 and the active column. The cell is activated by colliding with the secondary micro-irregularity wall 75 of 71 .

활성화된 혈액은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혈액 성분 중 무거운 적혈구와,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버피코트와, 혈장이 하부 챔버(17)로부터 상부 챔버(13)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In the activated blood, the buffy coat including heavy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and plasma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chamber 17 toward the upper chamber 13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한편, 정상적인 혈액의 경우, 버피코트는 중간 챔버(15)를 벗어나 하부 챔버(17)에 형성된 적혈구층 위에 적층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rmal blood, the buffy coat leaves the intermediate chamber 15 and is deposited on the red blood cell layer formed in the lower chamber 17 .

버피코트가 하부 챔버(17)에 적층되면, 피스톤(61)으로 하부 마개(53) 및 하부 패킹(55)을 중간 챔버(15)를 향해 밀어올려 버피코트가 직경이 좁은 중간 챔버(15)에 위치하도록 하면, 버피코트가 쉽게 보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61)으로 하부 패킹(5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버피코트를 추출하려는 혈액에 따라 적혈구와 버피코트, 그리고 혈장의 구성비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하부 패킹(55)을 밀어올려 버피코트를 중간 챔버(15)에 오게 하여,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주사기로 정확히 추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buffy coat is deposited in the lower chamber 17, the lower stopper 53 and the lower packing 55 are pushed up toward the intermediate chamber 15 with the piston 61 so that the buffy coat is deposited in the narrow-diameter intermediate chamber 15. Positioned so that the buffy coat is easily visible. As such,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packing 55 with the piston 61, the lower packing 55 is pushed up even if the composition ratio of red blood cells, buffy coat, and plasma is not uniform depending on the blood from which the buffy coat is to be extracted. is brought to the intermediate chamber 15, so that it can be accurately extracted with a syringe while visually discriminating.

그리고, 주사기를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상부 챔버(13)의 혈장층으로 찔러, 혈장을 추출하거나, 또는 주사기를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중간 챔버(15)의 버피코트로 찔러, 버피코트를 혈장과 함께 추출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syringe is punctured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into the plasma layer of the upper chamber 13 of the tube body 10 to extract plasma, or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of the tube body 10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A puncture with the buffy coat in the chamber 15 allows the buffy coat to be extracted along with the plasma.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 blood separation tub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c)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달리, 캡 형상의 하부 마개(53)가 하부 챔버(17)를 형성하는 튜브 본체(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 the blood separation tube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p-shaped lower stopper 53 that forms the lower chamber 17 ,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10).

하부 마개(53)는 튜브 본체(1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하부 챔버(17)를 개폐한다. 하부 마개(53)의 내주에는 암나사부가(54) 형성되고, 튜브 본체(10)의 하부 외주면에는 하부 마개(53)의 암나사부(54)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9)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stopper 53 is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lower chamber 17 . A female threaded portion 5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stopper 53 , and a male threaded portion 19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ed portion 54 of the lower stopper 53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10 to a predetermined length. has been

또한, 하부 마개(53)의 중앙에는 봉 형상의 활성기둥(71)이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활성기둥(71)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하부 챔버(17)에 수용되어, 원심분리 시 하부 챔버(17)에 형성되는 적혈구층을 활성화한다.In addition, in the center of the lower stopper 53, a rod-shaped active pillar 71 is provided to protrude. The active column 7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chamber 17 to activate the red blood cell layer formed in the lower chamber 17 during centrifugation.

활성기둥(7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75)이 마련되어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75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tive pillar 71 .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75)은 일정 길이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활성기둥(71)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보조 미세 요철벽(75)은 튜브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75 are formed to protrud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pillar 71 . The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 75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10 .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챔버(17)에 형성된 활성기둥(7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75) 대신에, 복수의 보조 미세 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미세 돌기는 돌출 형성되어, 활성기둥(71)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17)에 형성된 활성기둥(71)의 미세요철벽(75)의 패턴은 수직방향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ive pillar 71 formed in the lower chamber 17 , instead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75 .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pillar 71 . In addition, the pattern of the fine concavo-convex wall 75 of the active column 71 formed in the lower chamber 17 is not limi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bu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활성기둥(71)을 스크루 방식으로 밀어올려 중간 챔버(15)를 막은 상태에서 한번 더 원심분리하게 되면 좀 더 고농축의 버피코트를 획득할 수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f the active column 71 is pushed up in a screw manner and centrifuged once more while the intermediate chamber 15 is blocked, a more highly concentrated buffy coat can be obtain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리 튜브(1c)의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 혈액을 주입하고, 주입된 혈액이 원심분리하는 동안에, 혈액세포는 튜브 본체(10)의 챔버(11)에서 미세 요철벽(31)과 격벽(41)과 미세 돌기(35)와 활성기둥(71)의 보조 미세 요철벽(75)과 충돌하여 세포 활성화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blood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11 of the tube body 10 of the blood separation tube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ile the injected blood is centrifuged, the blood cells are separated from the tube. In the chamber 11 of the body 10 , the cells are activated by colliding with the micro concavo-convex wall 31 , the partition wall 41 , the fine protrusion 35 , and the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 75 of the active pillar 71 .

활성화된 혈액은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혈액 성분 중 무거운 적혈구와,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버피코트와, 혈장이 하부 챔버(17)로부터 상부 챔버(13)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In the activated blood, the buffy coat including heavy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and plasma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chamber 17 toward the upper chamber 13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그리고, 주사기를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상부 챔버(13)의 혈장층으로 찔러, 혈장을 추출하거나, 또는 주사기를 상부 패킹(25)을 통해 튜브 본체(10)의 중간 챔버(15)의 버피코트로 찔러, 버피코트를 혈장과 함께 추출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syringe is punctured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into the plasma layer of the upper chamber 13 of the tube body 10 to extract plasma, or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of the tube body 10 through the upper packing 25 A puncture with the buffy coat in the chamber 15 allows the buffy coat to be extracted along with the plasm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혈액을 이용한 혈액 분리 튜브 및 그 방법에 비하여 원심분리시 튜브의 떨림을 방지하며, 원심분리 과정만을 통하여 세포의 활성화를 이루어, 원심분리 후에 별도로 버피코트(연막층)를 채취한 뒤 다시 세포활성화 키트에 이송하여 작업하는 동안에 일어날 수 있는 혈액오염을 방지하며, 의료인이 직접 힘들게 주사기의 피스톤 왕복운동으로 여러 번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주거나, 고가의 자동화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기존의 혈액 분리 튜브 및 방법의 단점을 해결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haking of the tube during centrifug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lood separation tube using blood and its method, and activates the cells only through the centrifugation process, and separate buffy coat (smoke layer) after centrifugation After collecting, transfer to the cell activation kit to prevent blood contamination that may occur during work It addresses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blood separation tubes and methods.

또한, 인체에 해로운 실리카 가루가 원심분리된 혈액과 함께 인체에 주입되는 것을 막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afely used by preventing the silica powder harmful to the human body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human body together with the centrifuged blood.

또한, 본 발명은 원심분리후에 버피코트(연막층)를 직경이 작은 중간 챔버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버피코트(연막층)가 거친 표면에 달라붙어 수득율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단점을 개선하여, 의료인이 하부 챔버에서 이송되는 활성화된 버피코트(연막층)를 소실없이 채취할 수 있게 되어, 고가의 세포치료제가 소실되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isadvantage that the yield is very poor because the buffy coat (smoke layer) sticks to the rough surfac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buffy coat (smoke film layer) to the intermediate chamber with a small diameter after centrifugation, so that medical personnel can The activated buffy coat (smoke layer) transferred from the chamber can be collected without loss, preventing expensive cell therapy products from being lost and discarded.

또한, 상부 챔버에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된 미세 요철벽은, 앵글 방식의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 과정에서 비중이 무거운 적혈구가 상부 챔버에 머물지 않고 하부 챔버로 쉽게 이동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하여, 원심분리시 적혈구가 상부 챔버에 머물지 않고 빠른 시간에 하부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 깨끗한 버피코트와 혈장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길게 형성된 미세 요철벽에 좀 더 넓은 면적으로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ne concavo-convex wall formed in the upper chamber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induces red blood cells with heavy specific gravity to be easily moved to the lower chamber without staying in the upper chamber during the centrifugation process in an angle-type centrifuge. When centrifuged, it helps red blood cells to move to the lower chamber quickly without staying in the upper chamber during centrifug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a clean buffy coat and plasma, There are advantages to stress.

하부 챔버에 마련된 활성기둥의 복수의 미세 보조요철벽은 중간 챔버 또는 상부 챔버로 이동하므로, 원심분리 후에 버피코트(연막층)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버피코트(연막층)가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없고, 따라서 버피코트(연막층) 및 이들이 포함된 혈장층을 소실되는 현상없이 상부 챔버로 이송한 뒤, 활성기둥을 중간 챔버에 삽입하여 혈액의 상하층의 이동을 막고 한번 더 원심분리하여, 농축과 동시에 활성화할 때 버피코트가 하부 챔버로 내려오지 못한 상태에서 고농도의 세포활성화 물질을 얻을 수도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fine auxiliary concavo-convex walls of the active pillar provided in the lower chamber move to the middle chamber or the upper chamber, the phenomenon of the buffy coat (smoke film) sticking to the surfac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buffy coat (smoke film) after centrifugation is prevented. Therefore, after transferring the buffy coat (smoke layer) and the plasma layer containing them to the upper chamber without loss, an active column is inserted into the middle chamb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blood, and centrifugation is performed once more to concentrate When activat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concentration of cell activating material while the buffy coat does not come down to the lower chamb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도시한 형태의 혈액 분리 튜브에 국한되어 적용되지 않고, 혈액을 원심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기에 장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혈액 분리 튜브에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blood separation tube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lood separation tube mounted in a centrifuge to centrifuge blood. .

1a, 1b, 1c: 혈액 분리 튜브
10: 튜브 본체
11: 챔버
13: 상부 챔버
15: 중간 챔버
17: 하부 챔버
31: 미세 요철벽
35: 미세 엠보싱돌기
41: 격벽
51: 떨림방지판
53: 하부 마개
55: 하부 패킹
61: 피스톤
71: 활성기둥
75: 보조 미세 요철벽
1a, 1b, 1c: blood separation tube
10: tube body
11: Chamber
13: upper chamber
15: middle chamber
17: lower chamber
31: fine uneven wall
35: fine embossing projections
41: bulkhead
51: anti-shake plate
53: lower stopper
55: lower packing
61: piston
71: active column
75: auxiliary fine uneven wall

Claims (15)

원심분리하기 위한 혈액을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챔버에서 원심분리되는 혈액과 충돌하여 혈액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세포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a tube body having a chamber for accommodating blood for centrifugation;
and a cell activation uni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and colliding with blood centrifuged in the chamber to activate blood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일정 높이와 폭과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요철벽, 또는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According to claim 1,
The cell activation un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width, and length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or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 blood separation tube compri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microprotrusion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 요철벽 또는 상기 복수의 미세 돌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미세 요철벽 및 상기 미세 돌기보다 더 큰 높이로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챔버에서 원심분리되는 혈액세포를 혼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ll activation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or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to a greater height than the fine concavo-convex walls and the fine protrusions, and centrifuge in the chamber.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partition walls for mixing the blood cells to be sepa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벽은 상기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ne concavo-convex wall is a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혈액의 혈장이 모이는 상부 챔버와,
혈액의 백혈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버피코트(buffy coat)가 모이는 중간 챔버와,
혈액의 적혈구가 모이는 하부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According to claim 1,
The chamber is
an upper chamber in which the plasma of blood collects;
an intermediate chamber in which a buffy coat comprising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of blood is collected;
A blood separation tube comprising a lower chamber for collecting red blood cells of blo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일정 높이와 폭과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요철벽 및, 일정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상기 상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ell activation un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width and length, is formed to protrude at a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a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and a predetermined protrusion is formed to increase the spac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that are placed and disposed,
The cell activation unit is a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요철벽은 상기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ne concavo-convex wall is a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활성화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 요철벽 또는 상기 복수의 미세 돌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미세 요철벽 및 상기 미세 돌기보다 더 큰 높이로 상기 튜브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챔버에서 원심분리되는 혈액세포를 혼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ell activation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ne concavo-convex walls or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body to a greater height than the fine concavo-convex walls and the fine protrusions, and centrifuge in the chamber.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partition walls for mixing the blood cells to be sepa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챔버에 수용되어, 원심분리시 하부에 있는 혈구들을 활성화하는 활성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lood separation tube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cha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ctive column for activating blood cells in the lower portion during centrifug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기둥의 외측면에는, 일정 길이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활성기둥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미세 요철벽, 상기 활성기둥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미세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 미세 요철벽은 상기 튜브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9. The method of claim 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tive pillar,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s are formed to protrude to a certain length and a certain height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pillar,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ctive pillar A plurality of auxiliary fine protrusions are provided,
The auxiliary fine concavo-convex wall is a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tub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챔버에 기밀을 유지하며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패킹과,
상기 하부 패킹을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6. The method of claim 5,
a lower packing that is movably received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n the lower chamber;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ston for moving the lower packing.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기둥은, 상기 튜브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챔버를 개폐하는 하부 마개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11. The method of claim 9 or 10,
The active colum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the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toppe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chamber.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원심분리시 상기 튜브 본체의 떨림을 방지하는 떨림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6.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ti-vibration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body to prevent vibration of the tube body during centrifugation.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 또는 상부패킹이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분리 튜브.
6.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blood separ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opper or upper packing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혈액을 채혈하는 단계;
혈액을 원심분리시켜, 혈액에 물리적 스트레스 또는 물리적 스트레스와 동시에 광에너지를 인가하는 단계;
혈장층과 버피코트와 적혈구층으로 분리하는 단계:
혈장층으로부터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
버피코트를 혈장과 함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활성화 방법.
drawing blood;
centrifuging the blood to apply physical stress or light energy to the blood simultaneously with the physical stress;
Separation into plasma layer, buffy coat and red blood cell layer:
extracting plasma from the plasma layer;
Cell activ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the buffy coat together with plasma.
KR1020200123853A 2020-09-24 2020-09-24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407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53A KR20220040758A (en) 2020-09-24 2020-09-24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53A KR20220040758A (en) 2020-09-24 2020-09-24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58A true KR20220040758A (en) 2022-03-31

Family

ID=8093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853A KR20220040758A (en) 2020-09-24 2020-09-24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75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779A (en) 2011-05-19 2012-11-28 (주)바이오버드 Methods for Activating Platelet by Applying Capillary Stresses
KR101429253B1 (en) 2014-05-22 2014-08-12 (주) 굿모닝 바이오 Platelet activation device with multi-channel blood pass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779A (en) 2011-05-19 2012-11-28 (주)바이오버드 Methods for Activating Platelet by Applying Capillary Stresses
KR101429253B1 (en) 2014-05-22 2014-08-12 (주) 굿모닝 바이오 Platelet activation device with multi-channel blood pas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2471B2 (en) centrifuge
US104785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issue, particularly adipose tissue
US2003005537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xtraction of bone marrow
KR101170146B1 (en) Seperator and colle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of platelet rich plasma
KR20160107345A (en) Adipose tissue centrifuge and method of use
US11033295B2 (en) Atraumatically formed tissue composition, devic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treatment
EP2823832B1 (en) Component separator
US20220257841A1 (en) Centrifuge Device and Method of Use
EP4034303B1 (en) Centrifuge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284876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of platelet rich plsama and purification fat
WO20120038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telet concentrate
KR20220040758A (en) Blood separate tube and cell ac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230381792A1 (en) Portable Centrifuge Apparatus & Methods
KR102490576B1 (en) Blood separate tube with cell activation part
CN212702463U (en) Platelet-rich plasma centrifugal device
US20230390760A1 (en) Blood separation tube comprising cell activation part
CN212702460U (en) Integrated platelet-rich plasma centrifugal device
RU2817650C1 (en) Blood separation tube containing cell activation portion
CN209253748U (en) A kind of double syringe autologous plasma collection device
KR20220034417A (en) Centrifugal separator
RU2818126C1 (en) Vacuum test tube for producing plasma enriched with growth factors
KR101569172B1 (en) Component separating device
KR20170006820A (en) Method of concentrating platelet and concentrator therefor
KR101333788B1 (en) Separating vials and their uses
RU31964U1 (en) Blood sampl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