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822A -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822A
KR20220039822A KR1020227008506A KR20227008506A KR20220039822A KR 20220039822 A KR20220039822 A KR 20220039822A KR 1020227008506 A KR1020227008506 A KR 1020227008506A KR 20227008506 A KR20227008506 A KR 20227008506A KR 20220039822 A KR20220039822 A KR 2022003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lectronic device
state
display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화 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키 지시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청구는 2019년 8월 16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759666.8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키, 가상 키 등과 같은 키가 설치되어 있으며, 키에 대한 조작을 통해,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한 유형의 키는 중간 프레임과 같은 쉘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 키캡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키캡을 누를 때, 키캡의 움직임이 키캡 아래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연결을 트리거하여, 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 다른 유형의 키는 중간 프레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중간 프레임과 같은 쉘에 감지 소자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키캡을 누르는 경우, 중간 프레임의 키 위치가 변형되고, 감지 소자가 해당 변형을 감지하여, 키의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유형의 키는 중간 프레임의 개구부가 전자기기의 기계적 강도, 방수, 방진 등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으나, 이러한 유형의 키에는 중간 프레임의 표면에 돌출부 등 식별 특징이 없으므로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의 위치를 식별하는 데 편리하지 않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여,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 위치를 식별하는 데 편리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키 지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키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키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대응하는 키가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를 피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라면 창의적 노동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도면들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 지시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1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2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 지시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방식으로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가 비-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1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1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가 비-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2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키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2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가 펼침 상태에 있을 때,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1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1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키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가 펼침 상태에 있을 때,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2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가 펼침 상태에 있을 때,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3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개략도 2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 중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이하에 개시될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키 지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여기서, 해당 키는 물리적 키, 감지 키, 터치 키 및 기타 형태의 키일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키는 누르기, 터치하기, 클릭하기 등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대화형 명령을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의 일 예시를 제공하고, 상기 키는 압력 센서와 같은 감지 소자(21)를 갖고, 감지 소자(21)는 전자기기의 중간 프레임(22)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23)이 키를 누를 경우, 중간 프레임(22)은 힘을 받아 변형이 발생되고(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감지 소자(21)를 통해 중간 프레임(22)의 변형 정도를 감지한다. 즉, 키가 받는 압력값에 근거하여, 해당 키가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1: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 스크린 상태 정보, 중앙처리장치(CPU)의 상태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운동 파라미터는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플립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전력 가속도계가 구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는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인 경우, 3차원 좌표계에서 전자기기의 선형 가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는, 속도 센서가 있는 전자기기는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의 운동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는,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등이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플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상태 정보는 스크린 온 상태에 대한 제1 정보, 스크린 오프 상태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CPU의 상태 정보는 CPU의 작업 상태, 실행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스크린 상태 정보가 스크린 온 상태에 대한 제1 정보를 나타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CPU의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CPU의 작업 상태가 사용자 상태임; CPU의 실행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 스크린 상태 정보, 중앙처리장치(CPU)의 상태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해당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정보가 CPU의 상태 정보 및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인 경우, CPU의 작업 상태가 사용자 상태이고,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면,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며, 물론 다른 조합 방식도 가능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문자, 도형 등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고, 사용자가 클릭, 스와이프 등 동작을 통해 입력하는 대화형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일 구현 방식으로, 조작을 편의화하고 공간을 절약하여 과도하게 작거나 큰 키의 사이즈로 인해 조작이 불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는 대응되는 키의 위치에 가까울 수 있고, 목표 지시 아이콘의 세로 길이는 대응되는 키의 분포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 방식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모형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모형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하나의 코너(예: 오른쪽 아래 코너)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해당 모형 아이콘에는 각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모형 아이콘은 각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섬네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키의 키 조작 영역과 다르다. 예를 들어, 키의 조작 영역은 전자기기의 중간 프레임에 위치하고, 키 디스플에이 영역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키의 조작 영역은 중간 프레임 상의 키가 있는 영역이고,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지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어, 사용자가 중간 프레임에서 키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편리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예시가 제시되며, 전자기기의 중간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키를 설정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키 A, B, C, D, E, F는 차례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31) 상의 지시 아이콘 A1, B1, C1, D1, E1, F1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솔루션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대응하는 키가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를 피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키 지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 스크린 상태 정보, 중앙처리장치(CPU)의 상태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운동 파라미터는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플립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전력 가속도계가 구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는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인 경우, 3차원 좌표계에서 전자기기의 선형 가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는, 속도 센서가 있는 전자기기는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의 운동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는,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등이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플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상태 정보는 스크린 온 상태에 대한 제1 정보, 스크린 오프 상태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CPU의 상태 정보는 CPU의 작업 상태, 실행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스크린 상태 정보가 스크린 온 상태에 대한 제1 정보를 나타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CPU의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CPU의 작업 상태가 사용자 상태임; CPU의 실행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 스크린 상태 정보, 중앙처리장치(CPU)의 상태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해당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정보가 CPU의 상태 정보 및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인 경우, CPU의 작업 상태가 사용자 상태이고,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면,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며, 물론 다른 조합 방식도 가능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문자, 도형 등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고, 사용자가 클릭, 스와이프 등 동작을 통해 입력하는 대화형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일 구현 방식으로, 조작을 편의화하고 공간을 절약하여 과도하게 작거나 큰 키의 사이즈로 인해 조작이 불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는 대응되는 키의 위치에 가까울 수 있고, 목표 지시 아이콘의 세로 길이는 대응되는 키의 분포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 방식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모형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모형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하나의 코너(예: 오른쪽 아래 코너)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해당 모형 아이콘에는 각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모형 아이콘은 각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섬네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키의 키 조작 영역과 다르다. 예를 들어, 키의 조작 영역은 전자기기의 중간 프레임에 위치하고, 키 디스플에이 영역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키의 조작 영역은 중간 프레임 상의 키가 있는 영역이고,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지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어, 사용자가 중간 프레임에서 키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편리하다.
예를 들어, 제1 방식이 명시적인 방식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은 명시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명시적인 방식은, 타겟 지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키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패턴/인터페이스에 강조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키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디스플레이 내용과 색상, 투명도 등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상에서 분명히 구별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을 쉽게 발견하고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시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실선으로 표시한다.
단계 13: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작거나 같음;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작거나 같음; 상기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은, 스크린 상태 정보가 스크린 오프 상태에 대한 제2 정보를 나타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CPU의 상태 정보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은, CPU의 작업 상태가 시스템 상태이고/이거나 실행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함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아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 스크린 상태 정보, 중앙처리장치(CPU)의 상태 정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경우, 해당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정보가 스크린 상태 정보 및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인 경우, 스크린 상태 정보가 스크린 온 상태에 대한 제1 정보로 표현되고,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아니면,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며, 물론 다른 조합 방식도 가능하며, 본 개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방식이 암시적 방식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은 암시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암시적 방식은, 타겟 지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키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패턴/인터페이스에 약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키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디스플레이 내용과 색상, 투명도 등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상에서 접근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해당 지시 아이콘을 발견하고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목표 지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예를 들어, 암시적 방식에서의 목표 지시 아이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투명도는 명시적 방식에서의 목표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투명도보다 높다. 바람직하게, 암시적 방식에서의 목표 지시 아이콘은 완전히 투명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표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시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은 점선으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으로 전환되는 경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은 명시적 방식에서 암시적 방식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하고,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으로 전환되는 경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은 암시적 방식에서 명시적 방식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예시가 제시되며, 전자기기의 중간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키를 설정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키(A, B, C, D, E, F)는 차례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31) 상의 지시 아이콘(A1, B1, C1, D1, E1, F1)에 각각 대응된다.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비-고정적일 수 있다. 즉,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패턴, 모양, 색상 등)는 키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 인터페이스에서 키(E)의 기능은 볼륨 조정 기능(볼륨 업 ‘+’ 및 볼륨 다운 ‘-’)일 수 있고, 열람 인터페이스(예: 전자책의 열람 인터페이스, 브라우저의 브라우징 인터페이스)에서, 키(E)의 기능은 페이지 넘김 기능(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등이 될 수 있다.
게임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면, 상기 키(A, C, D, F)는 왼쪽 방향 키, 오른쪽 방향 키, 가속 키, 브레이크 키와 같은 키 조작 명령에 대응하며, 키(B)는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조작, 스크린 온 조작, 스크린 오프 조작 중 하나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키(E)는 사용자의 볼륨 조정 조작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솔루션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대응하는 키가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를 피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에이 영역에서, 제2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으로써, 표 지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키는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는 활성화 상태 및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는 상기 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는 비활성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는 감지 소자를 갖는 감지 키이고, 키가 활성화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실시예의 방식을 사용하여 키가 트리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키가 트리거된 경우, 전자기기는 해당 트리거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실행한다. 즉, 키는 사용자의 누르기, 클릭하기 등 동작을 정상적으로 감지하고,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해당 이벤트를 능동적으로 보고하고, 전자기기는 해당 이벤트에 대해 응답한다.
키가 트리거되지 않았거나 키가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경우, 해당 키에 대한 누리기 동작 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전자기기는 모두 응답하지 않는다. 즉, 해당 키는 사용자의 누리기, 클릭하기 등 조작을 감지할 수 없고,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해당 이벤트를 능동적으로 보고하지도 않고, 전자기기도 해당 이벤트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당 키가 볼륨 조정 기능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키가 활성화 모드에 있으면, 사용자가 해당 키를 누를 때 전자기기는 음량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키가 비활성화 모드에 있으면, 사용자가 해당 키를 누를 때 전자기기는 음량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 1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운동 파라미터는 속도, 가속도, 플립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운동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키의 기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의 기능 상태는,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는 활성화 상태 및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 파라미터가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키는 상기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큼; 상기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큼; 상기 회전 상태는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의 제1 회전 상태보다 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파라미터가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키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작거나 같음; 상기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작거나 같음; 상기 회전 상태가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2 플립 상태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식으로, 저전력 가속도계가 구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인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이면, 3차원 좌표계에서 전자기기의 선형 가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선형 가속도를 통해, 전자기기의 현재 운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경우,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선형 가속도가 제1 가속도 범위에 있으면(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선형 가속도의 변화량이 0에 가까움),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는 정지 상태 즉,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연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투명도를 높이는 것과 같은 암시적 모드로 구성되고,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손에 있고 또 사용자가 걷기, 수영, 달리기 등 운동 상태에 있는 경우,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선형 가속도가 제2 가속도 범위에 있으면(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선형 가속도의 변화량이 비교적 크거나 일정한 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냄),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는 격렬한 움직임/흔들림 상태 즉,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진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투명도를 낮추는 것과 같은 명시적 모드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가 정지 상태로 모니터링되는 경우,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가 격렬한 움직임/흔들림 상태로 모니터링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일 구현 방식으로, 속도 센서가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인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이면 전자기기의 운동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운동 속도를 통해, 전자기기의 현재 운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경우,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운동 속도가 제1 속도 범위에 있으면(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운동 속도의 변화량이 0에 가까움),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가 정지 상태 즉,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연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투명도를 높이는 것과 같은 암시적 모드로 구성되고,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손에 또는 사용자가 걷기, 수영, 달리기 등 운동 상태에 있는 경우,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운동 속도가 제2 속도 범위에 있으면(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운동 속도의 변화량이 비교적 높거나 일정한 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냄),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는 격렬한 움직임/흔들림 상태 즉,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진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투명도를 낮추는 것과 같은 명시적 모드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가 정지 상태로 모니터링되는 경우,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가 격렬한 움직임/흔들림 상태로 모니터링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일 구현 방식으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등이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인 경우, 전자기기의 플립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평 상태에서 수평면과 미리 설정된 각도의 협각을 갖는 상태(테이블에 놓여 있던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짐)로 전환되거나, 또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평으로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위를 향한 상태로 폴립되거나, 또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평으로 위를 향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아래를 향한 상태로 폴립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폴립 상태는 제1 폴립 상태 즉,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진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투명도를 낮추는 것과 같은 명시적 방식으로 구성되고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으면, 상기 전자기기의 폴립 상태가 제2 폴립 상태 즉,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연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투명도를 높이는 것과 같은 암시적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전자기기가 잠금화면 상태에 있을 경우, 전자기기의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키의 기능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정지 상태에서 능동적으로 키를 활성화하고 지시 아이콘을 통해 키의 위치를 추가 지시하고, 운동 상태에서 능동적으로 키를 비활성화하고 키 위치에 대한 지시 아이콘의 지시를 취소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 경험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전자기기가 정지 상태일 때 깔끔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명시적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1: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감지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키 내의 감지 소자를 통해, 상기 키의 감지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상기 키의 작업 상태가 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키의 작업 상태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키가 활성화 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키가 있는 영역을 누르거나 클릭하면, 키가 트리거된다. 트리거라는 것은, 키가 압력, 온도, 변형량 등 감지 파라미터에 변화가 발생하거나, 비교적 뚜렷한 변화(압력, 온도, 변형 등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함)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면, 사용자의 키 조작 동작이 검출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키의 트리거 상태는 발생되는 선후순서에 근거하여, 적어도 트리거 전, 트리거 중 및 트리거 후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 전, 트리거 후는 모두 비-트리거된 상태이고, 트리거 중은 트리거된 상태이다.
단계 122: 작업 상태와 디스플레이 모드 사이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작업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결정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목표 작업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은 지시 아이콘의 모양, 지시 아이콘의 패턴, 지시 아이콘의 색상 등에서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해당 전자기기는 스마트워치이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지시 아이콘(A)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지시 아이콘(B)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지시 아이콘(A)은 스마트워치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키(61)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워치 문자판의 숫자 또는 눈금일 수 있고, 지시 아이콘(B)은 키(61)의 트리거 상태 및 해당 기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워치 문자판의 키 기능의 아이콘일 수 있다.
단계 123: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목표 디스플레이 모드에 근거하여,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작업 상태가 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1 패턴을 갖는 아이콘이고,
상기 키의 작업 상태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여기서,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2 패턴을 갖는 아이콘이다.
선택적으로, 키가 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의 패턴은 제1 패턴이고, 키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해당 목표 지시 아이콘의 패턴은 제2 패턴이다. 여기서, 키가 트리거 전, 트리거 후 단계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은 트리거 중 단계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과 다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워치의 키(61)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상기 키(61)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A)은 "3"과 같은 시계 눈금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어 스마트워치의 디스플레이 시간 및 키(61)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워치의 키(61)가 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상기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B)은 "전원 패턴"과 같은 스마트워치 문자판 상의 키 기능 아이콘으로 키의 기능이 턴온/턴오프 기능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61)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C)은 읽지 않은 메시지 수 및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도형일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61)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D)은 스마트워치 문자판 상의 전원 키 도형일 수 있다. 사용자가 키(61)를 터치/누르지 않은 경우(키(61)가 비-트리거된 상태임), 키(6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지시 아이콘(C)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키(61)를 터치/누르는 경우(즉, 키(61)가 트리거된 상태임), 상기 키(6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지시 아이콘(C)은 지시 아이콘(D)으로 교체되고, 사용자가 키(61)를 놓을 경우(즉 키(61)가 비-트리거된 상태임), 상기 키(6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지시 아이콘(D)은 지시 아이콘(C)으로 교체된다. 바람직하게, 지시 아이콘(C), 지시 아이콘(D)의 디스플레이되는 도형 크기, 디스플레이 위치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해당 실시예에서, 키의 작업 상태에 대해, 즉 키가 트리거된 상태 및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서로 다른 지시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되어, 키의 작업 상태를 제시하고, 지시 아이콘의 디스플레이와 키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을 통해, 해당 키의 현재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편리하다.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물리적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예를 들어, 해당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포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임 - ;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구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 기능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오디오 재생 인터페이스인 경우, 키(E)의 기능은 볼륨 조정 기능(볼륨 업 ‘+’ 및 볼륨 다운 ‘-’)일 수 있고,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열람 인터페이스(예: 전자책의 열람 인터페이스, 브라우저의 브라우징 인터페이스)인 경우, 키(E)의 기능은 페이지 넘김 기능(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등이 될 수 있다. 이로써, 현재 포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전자기기의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서로 다른 지시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키 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폴더블 스크린이고,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폴더블 스크린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1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1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2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2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2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아래에 구체적인 예시를 결합하여, 폴더블 스크린을 갖는 전자기기의 키 지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시 1: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스크린을 갖는 전자기기의 예시를 제공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00)이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키(101, 102)에 대응하는 기능은 볼륨 업, 볼륨 다운이 될 수 있고, 키(10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볼륨 업’의 지시 아이콘(A)이 디스플레이되고, 키(102)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볼륨 다운’의 지시 아이콘(B)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가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키(101, 102)에 대응하는 기능은 게임 조작 기능의 왼쪽 방향, 오른쪽 방향이 될 수 있고, 키(10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왼쪽 방향’의 지시 아이콘(C)이 디스플레이되고, 키(102)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 ‘오른쪽 방향’의 지시 아이콘(D)이 디스플레이된다.
예시 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0) 아래에는 압력 센서와 같은 원리를 기반으로 구현되는 키(121)가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키(12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폴딩을 구현하는 회전축 또는 경첩구조(122)와 디스플레이 스크린(120) 사이에 설치된다. 키(1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변형이 발생되어 키(121)에 압력을 전달한다. 즉, 키(121)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키(121)의 기능은 단일 페이지/더블 페이지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키(1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 투영 영역(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지시 아이콘(E)은 단일 페이지/더블 페이지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기능의 지시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페이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예시가 제공된다. 즉,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완전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로 사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페이지 디스플레이에 대한 예시를 제공한다. 즉,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왼쪽, 오른쪽에 두 페이지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왼쪽, 오른쪽 두 페이지의 내용은 개별적으로 뚜렷한 분할 페이지 특징을 갖는다.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키(121)의 기능은 다음 페이지로의 전환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키(1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 투영 영역(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 지시 아이콘(F)(또는 지시 아이콘(G))은 다음 페이지로의 전환 기능의 지시 아이콘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서, 키(121)는 실제적으로 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하고, 측면 키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키(121)가 위치한 영역을 누르는 경우, 전자기기는 페이지 다운의 동작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조작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도 16의 좌측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경우, 키(12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지시 아이콘(F)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도 16의 우측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경우, 키(121)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지시 아이콘(G)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물리적 상태, 즉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키의 현재 기 기능을 제시하기 위해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서로 다른 지시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제품의 사용성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기기(1700)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전자기기(1700)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1710);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720);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1700)는,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730);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키의 키 조작 영역과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는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는 활성화 상태 및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를 갖고,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는 상기 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는 비활성화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이고, 여기서, 상기 운동 파라미터는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플립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720)은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서브모듈;
상기 키의 작업 상태와 상기 키의 지시 아이콘 사이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작업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서브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는 감지 키이고, 상기 제1 획득 서브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키의 감지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서브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상기 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유닛 - 여기서,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1 패턴의 아이콘을 가짐 - ;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상기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 - 여기서,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2 패턴의 아이콘을 가짐 -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720)은 구체적으로,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서브모듈;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서브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폴더블 스크린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720)은,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폴더블 스크린의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서브모듈;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1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1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3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2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2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2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4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도 1 내지 도 16의 방법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기 전자기기(1700)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대응하는 키가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를 피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전자기기(1800)는 무선 주파수 장치(1801), 네트워크 모듈(1802), 오디오 출력 장치(1803), 입력 장치(1804), 센서(1805), 디스플레이 장치(1806), 사용자 입력 장치(1807), 인터페이스 장치(1808), 메모리(1809), 프로세서(1810) 및 전원 공급 장치(1811) 등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분야에 당업자라면 도 18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가 전자기기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프로세서(1810)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기 전자기기(1800)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목표 지시 아이콘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대응하는 키가 있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조명이 약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키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문제를 피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8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8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18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18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네트워크 모듈(18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접속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803)는 무선 주파수 장치(1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8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18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1803)는 전자기기(1800)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803)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8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장치(18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8041) 및 마이크로폰(18042)이 포함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18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18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8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809)(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1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80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8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8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전자기기(18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8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80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전자기기(1800)가 귀쪽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8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자세 식별(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계보기,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18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8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806)는 디스플레이 패널(18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8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8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1807)는 터치 패널(18071) 및 기타 입력 장비(18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8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8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18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8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송신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810)에 다시 송신하고, 프로세서(1810)에 의해 송신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18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8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18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비(18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비(18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더 나아가, 터치 패널(18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8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8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검출하면 프로세서(18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정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18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8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8에서 터치 패널(1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8061)이 두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전자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1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8061)이 통합되어 전자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1808)는 외부 장치와 전자기기(18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8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전자기기(1800)의 하나 이상의 소자로 송신하거나 전자기기(1800)와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8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8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10)는 전자기기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전자기기 전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18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18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전자기기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8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선적으로, 프로세서(18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처리 장치가 통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처리 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18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전자기기(1800)는 또한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1811)(예: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선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1811)는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8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8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810), 메모리(1809), 메모리(18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8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8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키 지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키 지시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을 위한 모듈, 유닛, 서브 모듈, 서브 유닛 등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장치 또는 그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의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에 설명된 기능의 모듈(예: 단계, 함수) 등에 의해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그룹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잘 알려진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상기 방법 또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도 본 개시를 구성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저장 매체도 본 개시를 구성한다. 물론, 상기 저장 매체는 모든 공지된 저장 매체이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각 단계는 분해 및/또는 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조합은 본 개시의 등가 솔루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설명의 순서대로 시간 순서대로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시간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단계는 병렬로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에 의해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특정 구현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특정 구현 방식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본 개시의 계시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주지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양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5)

  1.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키 지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키의 키 조작 영역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는 활성화 상태 및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를 갖고,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는 상기 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는 비활성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이고, 상기 운동 파라미터는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플립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키의 작업 상태와 상기 키의 지시 아이콘 사이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작업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결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감지 키이고,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키의 감지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상기 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1 패턴의 아이콘을 가짐 - ;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상기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2 패턴의 아이콘을 가짐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구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폴더블 스크린이고,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폴더블 스크린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1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1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2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2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2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지시 방법.
  11.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2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키의 키 조작 영역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는 활성화 상태 및 키 조작 기능에 응답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를 갖고,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는 상기 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는 비활성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전자기기의 운동 파라미터이고, 상기 운동 파라미터는 이동 속도, 이동 가속도, 플립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보다 큼;
    상기 전자기기의 플립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서브모듈;
    상기 키의 작업 상태와 상기 키의 지시 아이콘 사이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작업 상태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서브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감지 키이고, 상기 제1 획득 서브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키의 감지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상기 감지 파라미터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비-트리거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서브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상기 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유닛 -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1 패턴의 아이콘을 가짐 - ;
    상기 키의 목표 작업 상태가 상기 비-트리거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1 방식으로 상기 키에 대응하는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유닛 -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은 제2 패턴의 아이콘을 가짐 -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서브모듈;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서브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키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폴더블 스크린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키가 상기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폴더블 스크린의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3 획득 서브모듈;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1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1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1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3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상기 폴더블 스크린이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키의 기능을 제2 키 기능으로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상기 키에 대응하는 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2 키 기능에 대응하는 제2 목표 지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4 디스플레이 서브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프로세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3.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키 지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키 지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27008506A 2019-08-16 2020-07-29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 KR20220039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59666.8A CN110413172B (zh) 2019-08-16 2019-08-16 一种按键指示方法及电子设备
CN201910759666.8 2019-08-16
PCT/CN2020/105515 WO2021031816A1 (zh) 2019-08-16 2020-07-29 按键指示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822A true KR20220039822A (ko) 2022-03-29

Family

ID=6836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506A KR20220039822A (ko) 2019-08-16 2020-07-29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20182B2 (ko)
EP (1) EP4016268A4 (ko)
JP (1) JP7321360B2 (ko)
KR (1) KR20220039822A (ko)
CN (1) CN110413172B (ko)
WO (1) WO2021031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3172B (zh) 2019-08-16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指示方法及电子设备
US20220291736A1 (en) * 2019-11-14 2022-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nction activations via display device depressions
CN111459382A (zh) * 2020-03-30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12764647B (zh) * 2021-01-26 2023-08-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3211790A1 (en) * 2022-04-25 2023-11-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facilitating operations
US11837067B2 (en) * 2022-04-25 2023-12-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facilitating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612B2 (ja) * 2004-03-18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アイコン表示制御方法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2012145867A (ja) * 2011-01-14 2012-08-02 Nikon Corp 電子機器
JP2013065289A (ja) * 2011-08-29 2013-04-11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25260A (ja) * 2012-04-23 2013-10-31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キー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4134867A (ja) * 2013-01-08 2014-07-24 Sharp Corp 情報処理端末
CN104035648A (zh) * 2013-03-04 2014-09-10 联想(北京)有限公司 状态切换的方法及电子终端
CN104216640B (zh) * 2013-05-29 2019-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物理按键位置提示方法及电子设备
CN105487786A (zh) * 2015-11-30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图标管理方法及装置
CN106484236B (zh) * 2016-10-14 2019-10-29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物理按键提示操作的方法及装置
KR102364420B1 (ko) * 2017-04-26 2022-0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6504216B2 (ja) * 2017-08-30 2019-04-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566579B (zh) * 2017-10-19 2020-0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427524A (zh) * 2018-02-11 2018-08-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897668A (zh) * 2018-06-26 2018-11-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413172B (zh) * 2019-08-16 2021-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指示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21360B2 (ja) 2023-08-04
WO2021031816A1 (zh) 2021-02-25
EP4016268A1 (en) 2022-06-22
EP4016268A4 (en) 2023-03-15
US11720182B2 (en) 2023-08-08
CN110413172B (zh) 2021-08-03
JP2022545201A (ja) 2022-10-26
CN110413172A (zh) 2019-11-05
US20220171471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9822A (ko) 키 지시 방법 및 전자기기
US20170199662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EP2851779A1 (e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CN108459797A (zh) 一种折叠屏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108113B (zh) 网页切换方法及装置
CN110750189B (zh) 一种图标显示方法及装置
CN108595089A (zh) 一种虚拟按键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728923B (zh) 一种操作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9669747A (zh) 一种移动图标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535334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동 단말
CN108733282A (zh) 一种页面移动方法及终端设备
CN110032309A (zh) 一种分屏方法及终端设备
KR102636438B1 (ko)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방법 및 단말
CN108388396A (zh) 一种界面切换方法及移动终端
CN108600498B (zh) 信息提示方法及装置
KR20220167389A (ko)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장치 및 전자 장비
CN109254719A (zh) 一种显示界面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9933267B (zh) 控制终端设备的方法及终端设备
CN111338525A (zh)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8984062B (zh) 一种内容显示方法、终端
CN108897477B (zh) 一种操作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8469944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1443860B (zh) 触控方法和电子设备
CN108833679B (zh) 一种对象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8920090B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