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503A -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503A
KR20220036503A KR1020200118783A KR20200118783A KR20220036503A KR 20220036503 A KR20220036503 A KR 20220036503A KR 1020200118783 A KR1020200118783 A KR 1020200118783A KR 20200118783 A KR20200118783 A KR 20200118783A KR 20220036503 A KR20220036503 A KR 2022003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coupling
display module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복
이교웅
김성일
서준성
유환용
Original Assignee
(주)비젼에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에이드 filed Critical (주)비젼에이드
Priority to KR102020011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503A/ko
Priority to US17/110,198 priority patent/US20220082842A1/en
Publication of KR2022003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23Electronic aspects, e.g. circuits for stimulation, evaluation, control; 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calib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8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 G01R33/0385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in relation with magnetic force measur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constitutive elements
    • G02B2027/016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은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부 각각의 중심 영역은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MONOCULAR DISPLAY MODULE WITH LCOS MICRO DISPLAY}
본 발명은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가상의 환경을 구축하여 실제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이며,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실제로 보이는 주변 환경에 가상의 정보를 투영하여 함께 표현하는 기술로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은 현실-가상 연속성(Reality-Virtuality Continuum)상의 개념으로부터,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동시에 융합하여 환경을 구축하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증강 가상(AV)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게임, 레저 등의 외부 활동과 더불어 산업 분야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뿐 아니라 엘코스(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e) 디스플레이 역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광학적으로 이방성을 갖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만들어 냄으로써, 종래의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에 비해서 두께를 더 얇게 제작할 수 있고, 전력소모가 적은 특징이 있어 많이 사용이 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응답 속도가 빠르고 시야각이 우수한 엘코스(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e)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응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결합된 상태에서 LCOS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어느 하나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은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부 각각의 중심 영역은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탈부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유닛은, 상기 안전모의 차양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에는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안전모의 차양 전방 끝단을 따라 제공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레일 결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제1 레일의 가운데 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최상단 영역을 지나 상기 안전모의 후면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제공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안전모의 최상단 영역 및 후면 영역에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자기장과 서로 상이한 자기력을 갖는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발생되는 제1 자기장 및 상기 제2 고정부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력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몸체부와 별도로 제공되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력계를 통해 상기 제1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기력계를 통해 상기 제2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부 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거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거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중력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중력 감지 유닛; 및 상기 중력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에는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안전모 내측 하단의 헤드라인을 따라 제공되는 제3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상기 안전모에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는, 안전모의 차양 형상에 대응되는 차양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안전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상기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결합된 상태에서 LCOS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어느 하나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이 안전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이 안전모 차양 영역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이 안전모의 상부 영역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각도 조절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안전모에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제1 결합부에 차양부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안전모(2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1 결합부(100), 디스플레이부(200) 및 몸체부(30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00)는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몸체부(300)는 제1 결합부(100) 및 디스플레이부(2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결합부(100), 디스플레이부(200) 및 몸체부(300) 각각의 중심 영역은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는 몸체부(300)에 포함되거나, 제1 결합부(100), 디스플레이부(200) 및 몸체부(300)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전원 공급부가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는 안전모의 일부 영역에 제공되는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안전모와는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는 형식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100)는 탈부착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탈부착 유닛(110)에 의해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안전모 차양(21)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탈부착 유닛(110)의 결합 위치는 안전모(20)를 착용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용자가 자신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디스플레이부(200)를 용이하게 바라볼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사용하고자 하지 않을 때에는 안전모 차양(21)에 결합되더라도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안전모 차양(21)의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안전모 차양(21) 영역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안전모(20)의 상부 영역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레일 결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 결합 유닛(120)에 의해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안전모 차양(21)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레일 결합 유닛(120)은 안전모(20)에 제공되는 레일(3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30)은 안전모 차양(21)의 전방 끝단을 따라 제공되는 제1 레일(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 결합 유닛(120)은 제1 레일(31)을 따라 안전모 차양(21)의 전방 끝단에서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를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레일(31)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제1 고정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1)는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기 설정된 자기장 크기에 해당하는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제1 고정부(41)는 제1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레일 결합 유닛(120)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레일 결합 유닛(120)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어느 하나의 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레일 결합 유닛(120)을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원하는 위치의 제1 고정부(41)에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일(30)은 제1 레일(31)의 가운데 영역으로부터 안전모(20)의 최상단 영역을 지나 안전모(20)의 후면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제공되는 제2 레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00)는 제1 레일(31) 및 제2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제1 결합부(100)에 포함된 레일 결합 유닛(120)이 제1 레일(31) 및 제2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를 안전모(20)의 상부 영역으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레일(32)은 안전모(20)의 최상단 영역 및 안전모(20)의 후면 영역에 제공되는 제2 고정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42)는 제1 고정부(41)와 마찬가지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기 설정된 자기장 크기에 해당하는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제2 고정부(42)는 제2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제1 결합부(100)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레일 결합 유닛(120)이 안전모(20)의 최상단 영역 또는 안전모(20)의 후면 영역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레일 결합 유닛(120)을 안전모(20)의 최상단 영역 또는 안전모(20)의 후면 영역에 고정시킴으로써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00)는 제1 고정부(41)에서 발생되는 제1 자기장 및 제2 고정부(42)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력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몸체부(300)와 별도로 제공되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의 경우 몸체부(300)와 별도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몸체부(300)와 결합되어 제공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제어부는 자기력계를 통해 제1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기력계를 통해 제2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의 전원을 on/off 시킬 필요 없이 자기력계를 통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200)를 on/off 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1 거리 조절부(310) 및 제2 거리 조절부(32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300)는 제1 거리 조절부(310) 및 제2 거리 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리 조절부(310)는 사용자의 정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와 몸체부(300) 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거리 조절부(320)는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결합부(100)와 몸체부(300)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제1 거리 조절부(310) 및 제2 거리 조절부(320)에 의한 거리 조절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각도 조절부(33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300)는 각도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33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각도 조절부(330)는 중력 감지 유닛(미도시) 및 각도 조절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중력 감지 유닛은 중력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각도 조절 유닛은 중력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중력 방향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몸체부(300)가 각도 조절부(330)부를 포함함으로써 항상 디스플레이부(200)가 중력에 평행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안전모(20)가 기울어지더라도 디스플레이부(200)를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몸체부(300)는 제2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디스플레이부(200)를 몸체부(300)에 고정시키되, 디스플레이부(200)가 몸체부(300)로부터 탈부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일(30)은 제3 레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일은 안전모(20) 내측 하단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 말하면 안전모(20) 중 사용자의 헤드라인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00)는 레일 결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 결합 유닛(120)은 제3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안전모에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제1 결합부(100)에 차양부(130)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20)에는 안전모 차양(21)이 이미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안전모의 경우에는 차양이 미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이와 같이 안전모에 차양이 미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경우, 제1 결합부(100)가 안전모의 차양 형상에 대응되는 차양부(130)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레일 결합 유닛(120)이 결합된 차양부(130)는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안전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상에는 제1 결합부(100)에 포함된 레일 결합 유닛(120)이 차양부(130)에 제공되는 제1 레일(3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제1 결합부(100)에 포함된 탈부착 유닛(110)이 곧장 차양부(130)에 제공되는 형태 역시 가능하다.
차양부(130)와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안전모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차양부(130)와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안전모의 일부 영역에 자석이 제공되는 경우, 차양부(130)와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안전모는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모(20)에 결합된 상태에서 LCOS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어느 하나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20: 안전모
21: 안전모 차양
30: 레일
31: 제1 레일
32: 제2 레일
41: 제1 고정부
42: 제2 고정부
100: 제1 결합부
110: 탈부착 유닛
120: 레일 결합 유닛
130: 차양부
200: 디스플레이부
300: 몸체부
310: 제1 거리 조절부
320: 제2 거리 조절부
330: 각도 조절부

Claims (14)

  1.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부 각각의 중심 영역은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탈부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유닛은, 상기 안전모의 차양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는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안전모의 차양 전방 끝단을 따라 제공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레일 결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공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제1 레일의 가운데 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최상단 영역을 지나 상기 안전모의 후면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제공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안전모의 최상단 영역 및 후면 영역에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자기장과 서로 상이한 자기력을 갖는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제1 결합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발생되는 제1 자기장 및 상기 제2 고정부에서 발생되는 제2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력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몸체부와 별도로 제공되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력계를 통해 상기 제1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기력계를 통해 상기 제2 자기장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부 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중력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중력 감지 유닛; 및
    상기 중력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는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안전모 내측 하단의 헤드라인을 따라 제공되는 제3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상기 안전모에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는, 안전모의 차양 형상에 대응되는 차양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차양이 제공되지 않는 안전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상기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200118783A 2020-09-16 2020-09-16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KR20220036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783A KR20220036503A (ko) 2020-09-16 2020-09-16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US17/110,198 US20220082842A1 (en) 2020-09-16 2020-12-02 Monocular display module with lcos micro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783A KR20220036503A (ko) 2020-09-16 2020-09-16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03A true KR20220036503A (ko) 2022-03-23

Family

ID=8062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783A KR20220036503A (ko) 2020-09-16 2020-09-16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82842A1 (ko)
KR (1) KR202200365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7123A (ja) * 2021-01-29 2022-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FR3135536A1 (fr) * 2022-05-12 2023-11-17 Thales Module d'affichage porté sur tête ou sur cas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2842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6896B2 (en) Virtual monitor display technique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96965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lightweight clip-on wearable device
US7515344B2 (en) Binocular display with improved contrast uniformity
KR20220036503A (ko) Lcos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안 디스플레이 모듈
US5034809A (en) Personal video viewing apparatus
US8791990B2 (en) Eyewear with segmented look-through elements
EP2469875A2 (en) Head-mounted display
US4871247A (en) Cornea-borne image and light display device
KR20170055908A (ko) 모자형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영상시스템
TW201346333A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JP2023179472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H0795498A (ja) 眼鏡型ディスプレイ
JP2020528162A (ja) 仮想環境における複数の観察者のための改良
JP2009163049A (ja) 眼鏡ディスプレイ
CN108267860A (zh) 头戴式显示装置
JPH08275207A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97923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CN208672922U (zh) 一种vr组件和vr眼镜
KR102191096B1 (ko) 시야창이 확장된 증강현실 근안 디스플레이
US202301185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7229048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Kintz Autostereoscopic properties of spherical panoramic virtual displays
JPH05260527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23078882A (ja) 画像表示装置
JP2020155979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