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39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393A
KR20220036393A KR1020200117615A KR20200117615A KR20220036393A KR 20220036393 A KR20220036393 A KR 20220036393A KR 1020200117615 A KR1020200117615 A KR 1020200117615A KR 20200117615 A KR20200117615 A KR 20200117615A KR 20220036393 A KR20220036393 A KR 2022003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side
disposed
circuit board
opening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393A/ko
Priority to US17/332,961 priority patent/US11275469B1/en
Priority to CN202111049334.4A priority patent/CN114188371A/zh
Publication of KR2022003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27Non-rectangular flat PCB, e.g. circul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36Paralle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45Crossin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09Multiple rows of pads, lands, terminals or dummy patterns; Multiple rows of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제1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1 배선 및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표시 패널 아래의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그리고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 장변에 교차하는 단변, 제1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장변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 및 제2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장변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 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층 및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장치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표시 장치는 지문 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근접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타이저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방식, 감압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전자기 공진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와 무관하게, 스타일러스 펜과 디지타이저의 전극 패턴 사이의 전자기 공진에 의해 위치 정보가 인식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센서는 적외선 방식의 광 센서일 수 있다. 적외선 광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수신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방출된 적외선이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지타이저와 센서는 모두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타이저의 일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센서는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에 의해 단절된 디지타이저의 배선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는 센서를 덮으며 개구 상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지타이저와 제1 연성 회로 기판 사이의 오정렬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1 연성 회로 기판과 센서에 연결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제1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상기 표시 패널 아래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 상기 장변에 교차하는 단변, 상기 제1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장변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 및 상기 제2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장변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장변과 상기 단변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드는 상기 돌출부 내의 상기 장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단변에 중첩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드는 상기 제1 연결 패드보다 상기 장변과 상기 단변이 접하는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모서리에 가까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평면상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에 중첩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쿠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면상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상기 표시 패널 아래의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평행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2 장변을 연결하는 단변, 상기 제1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 및 상기 제2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 중 상기 제1 장변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는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배선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배선은 평면상 적어도 한 번 꺾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변의 길이는 상기 제2 장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변의 길이는 상기 제2 장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단변에 중첩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면상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복수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복수의 제2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상기 표시 패널 아래의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평행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2 장변을 연결하는 단변, 상기 제1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패드들 및 상기 제2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드들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지타이저의 제1 배선들 및 제2 배선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제1 연결 패드들 및 제2 연결 패드들이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장변에만 배치됨에 따라, 디지타이저와 제1 연성 회로 기판 사이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단변에 제1 연결 패드들 및 제2 연결 패드들이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제1 연성 회로 기판과 센서에 연결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II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II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II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표시 영역(DA)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영역(DA) 내에 위치하는 감지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은 표시 장치(10)의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영역(SA)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의 평면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감지 영역(SA)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감지 영역(SA)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DA)에는 표시 영역(DA)의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200), 디지타이저(300), 쿠션층(400), 센서(500), 제1 연성 회로 기판(600), 제2 연성 회로 기판(700), 구동 회로 기판(800), 및 방열층(9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회로 소자층(110) 및 표시 소자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110)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회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로 소자들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배선 등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유리 등을 포함하는 리지드 기판일 수 있고, 폴리이미드 등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이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에 표시 패널(100)은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또는 말릴 수 있다.
표시 소자층(120)은 회로 소자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120)은 표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소자들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고, 표시 패널(100)에서 방출되는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는 윈도우(200)를 통해 표시 패널(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0)는 이의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윈도우(200) 아래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표시 장치(10)의 전면(또는, 표시면)을 통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는 입력 감지층 및 반사 방지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 감지층은 외부 물체가 표시 장치(10)에 접촉하거나 접근하는 것 등과 같은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감지층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은 윈도우(200)를 통해 표시 패널(100)로 입사되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감지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은 표시 패널(100) 및 윈도우(200)와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표시 패널(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입력 장치로써 사용자가 지시하는 표시 장치(10)의 전면 상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는 디지타이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표시 장치(10)의 전면에서의 입력 장치(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에 직교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들(3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기장 또는 전기장은 배선들(305)에 전자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지타이저(300)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디지타이저(300)의 어느 지점에 근접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들(305)은 배선들(305)에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배선들(305)에서 방출되는 자기장 또는 전자장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에 전자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지타이저(300)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호 통신하여 다양한 입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선들(305)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들(305)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백금(Pt), 니켈(Ni), 구리(Cu), 타이타늄(Ti), 팔라듐(Pd), 마그네슘(Mg), 칼슘(Ca), 리튬(Li), 크로뮴(Cr), 탄탈륨(Ta), 몰리브데넘(Mo), 스칸듐(Sc), 네오디뮴(Nd), 이리듐(Ir),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x), 티타늄 질화물(TiNx), 탄탈륨 질화물(TaNx), 스트론튬 루테늄 산화물(SrRuxOy), 아연 산화물(ZnOx),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산화물(SnOx), 인듐 산화물(InOx), 갈륨 산화물(GaOx), 인듐 아연 산화물(IZO)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제1 개구(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OP1)는 감지 영역(SA)에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구(OP1)는 평면상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선들(305) 중 제1 개구(OP1)에 중첩하는 배선들(305)은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쿠션층(400)은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400)은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10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쿠션층(400)은 폼 형상 또는 겔 형상일 수 있다. 쿠션층(400)은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 발포 우레탄, 발포 스펀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400)은 제2 개구(O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OP2)는 제1 개구(OP1)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개구(OP1) 및 제2 개구(OP2)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하면이 노출될 수 있다.
센서(500)는 표시 패널(100) 아래의 제1 개구(OP1) 및 제2 개구(OP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500)는 적외선,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지문 인식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500)는 적외선,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홍체 인식 센서, 근접 센서 등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500)는 디지타이저(300)의 내측벽 및 쿠션층(400)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개구(OP1)의 크기 및 제2 개구(OP2)의 크기는 센서(50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센서(5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디지타이저(300)의 하면에 접촉하며 센서(500)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크기는 제1 개구(OP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된 디지타이저(300)의 배선들(305)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 회로 기판(800)은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 기판(800)에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칩이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구동 회로 기판(800)은 상기 구동 칩과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센서(500)와 구동 회로 기판(80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센서(50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동 회로 기판(8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센서(500)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구동 회로 기판(8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열층(900)은 디지타이저(3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900)은 표시 패널(10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고, 표시 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방열층(900)은 구리(Cu)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그래파이트(graphite), 탄소 나노튜브, 히트 파이프(heat pip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II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타이저(300)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되는 복수의 제1 배선들(310)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되는 복수의 제2 배선들(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센서(500)가 배치되는 제1 개구(OP1)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배선들(310) 및 제2 배선들(320)은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타이저(300)는 제1 개구(OP1)에 인접하는 제1 배선들(310)의 단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패드들(330) 및 제1 개구(OP1)에 인접하는 제2 배선들(320)의 단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패드들(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들(330)은 후술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연결 패드들(610)에 각각 연결되고, 제2 패드들(340)은 후술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선들(31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연결 패드들(6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배선들(32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센서(500) 아래에 배치되며 제1 개구(OP1)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1 장변(LS1), 제1 장변(LS1)에 평행하는 제2 장변(LS2), 제1 장변(LS1)의 일 단과 제2 장변(LS2)의 일 단을 연결하는 제1 단변(SS1), 및 제1 장변(LS1)의 타 단과 제2 장변(LS2)의 타 단을 연결하는 제2 단변(S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장변(LS2)은 제1 장변(LS1)으로부터 제1 방향(DR1)에 위치하고, 제2 단변(SS2)은 제1 단변(SS1)으로부터 제2 방향(DR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복수의 제1 연결 패드들(610), 복수의 제2 연결 패드들(620), 복수의 제1 연결 배선들(630), 복수의 제2 연결 배선들(640), 제1 절연층(650), 제2 절연층(660), 제3 절연층(670), 전자기 차단층(680), 및 제4 절연층(69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패드들(610), 제2 연결 패드들(620), 제1 연결 배선들(630), 및 제2 연결 배선들(64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 패드들(610), 제2 연결 패드들(620), 제1 연결 배선들(630), 및 제2 연결 배선들(640)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백금(Pt), 니켈(Ni), 구리(Cu), 타이타늄(Ti), 팔라듐(Pd), 마그네슘(Mg), 칼슘(Ca), 리튬(Li), 크로뮴(Cr), 탄탈륨(Ta), 몰리브데넘(Mo), 스칸듐(Sc), 네오디뮴(Nd), 이리듐(Ir),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x), 티타늄 질화물(TiNx), 탄탈륨 질화물(TaNx), 스트론튬 루테늄 산화물(SrRuxOy), 아연 산화물(ZnOx),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산화물(SnOx), 인듐 산화물(InOx), 갈륨 산화물(GaOx), 인듐 아연 산화물(IZO)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패드들(610), 제2 연결 패드들(620), 제1 연결 배선들(630), 및 제2 연결 배선들(640)은 상기 물질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드들(610)은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는 각각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610)이 배치되고, 복수의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610)이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드들(610)은 디지타이저(300)의 제1 패드들(33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제1 연결 패드들(610)은 제1 패드들(330)에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패드들(610)은 디지타이저(300)의 제1 배선들(3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드들(610)과 이에 접촉하는 제1 패드들(330) 아래에는 솔더들(SL)이 배치될 수 있다. 솔더들(SL)은 제1 연결 패드들(610)과 이에 접촉하는 제1 패드들(330)을 서로 고정시키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630) 각각은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6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610)이 제1 연결 배선(6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배선들(63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의 제1 패드들(330)이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연결 패드들(610)에 접촉하고, 제1 연결 패드들(610)이 제1 연결 배선들(6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 개구(OP1)에 의해 물리적으로 단절되는 디지타이저(300)의 제1 배선들(3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된 디지타이저(300)의 제1 배선들(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의 단부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 사이에서 제2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PP1) 및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 사이에서 제2 방향(DR)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PP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방향(DR2)으로의 제1 장변(LS1)의 길이는 제2 방향(DR2)으로의 제2 장변(LS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도 4에는 제1 돌출부(PP1) 및 제2 돌출부(PP2) 각각이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돌출부(PP1) 및 제2 돌출부(PP2) 각각은 다양한 다각형의 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PP1) 및 제2 돌출부(PP2)에는 각각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배치되고, 복수의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장변(LS1)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은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은 디지타이저(300)의 제2 패드들(34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2 패드들(340)에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 패드들(620)은 디지타이저(300)의 제2 배선들(3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과 이에 접촉하는 제2 패드들(340) 아래에는 솔더들(SL)이 배치될 수 있다. 솔더들(SL)은 제2 연결 패드들(620)과 이에 접촉하는 제2 패드들(340)을 서로 고정시키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들(640) 각각은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2 연결 배선(6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들(640)은 제1 연결 배선들(630)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630)과 제2 연결 배선들(640) 사이에는 제1 절연층(650)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630)은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에 배치되고, 제2 연결 배선들(640)은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에 반대되는 제2 면(65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패드들(610) 및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 제2 면(652), 및 측면(653)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연결 패드들(610) 및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장변(LS1) 또는 제2 장변(LS2)을 감싸며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 제2 면(652), 및 측면(653)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배선(630)은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610)의 부분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배선(640)은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패드(62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연층(650)의 제2 면(652)에 배치되는 제2 연결 배선(640)은 제1 절연층(650)을 관통하는 비아 홀(VH)들을 통해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패드(620)의 상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660)은 제1 절연층(650)의 제1 면(651) 상에 배치되고, 제1 연결 배선들(630)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층(660)은 제1 연결 패드들(610) 및 제2 연결 패드들(620)을 노출할 수 있다. 제2 절연층(660)은 폴리이미드(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670)은 제1 절연층(650)의 제2 면(652) 상에 배치되고, 제2 연결 배선들(640)을 덮을 수 있다. 제3 절연층(670)은 제1 연결 패드들(610) 및 제2 연결 패드들(620)을 노출할 수 있다. 제3 절연층(670)은 커버레이(cover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차단층(680)은 제2 절연층(6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기 차단층(680)은 서로 중첩하는 센서(5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 사이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690)은 전자기 차단층(6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690)은 폴리이미드(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 배선들(640)은 평면상 적어도 한 번 꺾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패드들(610)이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연결 패드들(610)을 우회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640)은 적어도 한 번 꺾일 수 있다. 도 4에는 제2 연결 배선들(640)이 평면상 두 번 꺾이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2 연결 배선들(640)은 평면상 한 번 또는 세 번 이상 꺾일 수도 있다.
디지타이저(300)의 제2 패드들(340)이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에 접촉하고,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2 연결 배선들(6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 개구(OP1)에 의해 물리적으로 단절되는 디지타이저(300)의 제2 배선들(3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된 디지타이저(300)의 제2 배선들(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서(500)에 연결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제1 개구(OP1) 내부로부터 디지타이저(3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개구(OP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제1 개구(OP1) 내부로부터 디지타이저(3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단변(SS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개구(OP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제1 단변(SS1)에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성 회로 기판(700)은 제1 돌출부(PP1)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돌출부(PP1)와 제2 연성 회로 기판(700)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에는 각각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배치되고, 복수의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지타이저(3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방향(DR2)으로의 정렬을 위해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을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디지타이저(300)의 제1 패드들(330)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연결 패드들(610) 사이의 오정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타이저(3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정렬을 위해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디지타이저(300)의 제2 패드들(340)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사이의 오정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단변(SS1)에 배치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과 제1 단변(SS1)에 중첩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70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이 디지타이저(300)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1 장변(LS1)에 배치됨에 따라, 디지타이저(3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 사이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와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정렬을 위해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에 제2 연결 패드들(620)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디지타이저(300)의 제2 패드들(340)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사이의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연결 패드들(620)과 제2 연성 회로 기판(700) 사이에 간섭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이 디지타이저(300)로부터 들뜨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II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의 단부들 및 제2 장변(LS2)의 단부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 사이에서 제2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PP3) 및 제2 장변(LS2)과 제2 단변(SS2) 사이에서 제2 방향(DR)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PP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방향(DR2)으로의 제1 장변(LS1)의 길이는 제2 방향(DR2)으로의 제2 장변(LS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도 6에는 제3 돌출부(PP3) 및 제4 돌출부(PP4) 각각이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3 돌출부(PP3) 및 제4 돌출부(PP4) 각각은 다양한 다각형의 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돌출부(PP3) 및 제4 돌출부(PP4)에는 각각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배치되고, 복수의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은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연결 패드들(620)이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이 좀 더 많은 개수의 디지타이저(300)의 제2 배선들(3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구(OP1)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제1 개구(OP1)에 의해 단절되는 디지타이저(300)의 제2 배선들(320)이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에 의해 연결되고, 표시 장치의 감지 영역(도 1의 SA)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II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변(SS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단변(SS2)은 제1 단변(SS1)에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보다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접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1 모서리(CN1) 또는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접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2 모서리(CN2)에 가까울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중 하나는 제1 장변(LS1)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보다 제1 모서리(CN1)에 가깝고,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중 다른 하나는 제1 장변(LS1)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보다 제2 모서리(CN2)에 가까울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II 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1 장변(LS1)의 단부들 및 제2 장변(LS2)의 단부들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패드들(620)은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보다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접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3 모서리(CN3) 또는 제2 장변(LS2)과 제2 단변(SS2)이 접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600)의 제4 모서리(CN4)에 가까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중 하나는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보다 제3 모서리(CN3)에 가깝고,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620) 중 다른 하나는 제2 장변(LS2)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들(610)보다 제4 모서리(CN4)에 가까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300: 디지타이저
310: 제1 배선 320: 제2 배선
400: 쿠션층 500: 센서
600: 제1 연성 회로 기판 610: 제1 연결 패드
620: 제2 연결 패드 630: 제1 연결 배선
640: 제2 연결 배선 700: 제2 연성 회로 기판
OP1: 제1 개구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제1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상기 표시 패널 아래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 상기 장변에 교차하는 단변, 상기 제1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장변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 및 상기 제2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장변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장변과 상기 단변 사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드는 상기 돌출부 내의 상기 장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단변에 중첩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드는 상기 제1 연결 패드보다 상기 장변과 상기 단변이 접하는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의 모서리에 가까운,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평면상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인,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에 중첩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쿠션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면상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상기 표시 패널 아래의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평행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2 장변을 연결하는 단변, 상기 제1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 및 상기 제2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는 제1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 중 상기 제1 장변에 배치되는 제1 연결 패드는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배선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배선은 평면상 적어도 한 번 꺾이는, 표시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변의 길이는 상기 제2 장변의 길이보다 큰,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변의 길이는 상기 제2 장변의 길이와 같은, 표시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단변에 중첩하는 제2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면상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개구,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복수의 제1 배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에 의해 단절되는 복수의 제2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상기 표시 패널 아래의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평행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2 장변을 연결하는 단변, 상기 제1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 패드들 및 상기 제2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드들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200117615A 2020-09-14 2020-09-14 표시 장치 KR20220036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15A KR20220036393A (ko) 2020-09-14 2020-09-14 표시 장치
US17/332,961 US11275469B1 (en) 2020-09-14 2021-05-27 Display device
CN202111049334.4A CN114188371A (zh) 2020-09-14 2021-09-0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15A KR20220036393A (ko) 2020-09-14 2020-09-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393A true KR20220036393A (ko) 2022-03-23

Family

ID=8053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615A KR20220036393A (ko) 2020-09-14 2020-09-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75469B1 (ko)
KR (1) KR20220036393A (ko)
CN (1) CN114188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202B1 (ko) * 2022-10-11 2023-07-07 주식회사 가딘랩 태블릿 모니터의 베젤을 최소화하는 디지타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147A (ko) * 2022-04-22 2023-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0711A1 (de) 2003-09-04 2005-04-07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Elektronische Vorrichtung enthaltend organische Halbleiter
US7078726B2 (en) 2004-09-09 2006-07-1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ealing of electronic device using absorbing layer for glue line
KR20120130990A (ko) * 2011-05-24 2012-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통합형 디스플레이
DE102013210668A1 (de) 2013-06-07 2014-12-11 Würth Elektroni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Moduls
CN103744557B (zh) * 2014-01-15 2016-10-12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032631B1 (ko) * 2015-07-07 2019-10-15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KR102517515B1 (ko) * 2016-07-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패널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80127705A (ko) 2017-05-22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CN208156943U (zh) 2018-03-15 2018-11-27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fpc、液晶显示模组及显示设备
CN110515492B (zh) * 2019-08-28 2023-05-0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其检测方法和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202B1 (ko) * 2022-10-11 2023-07-07 주식회사 가딘랩 태블릿 모니터의 베젤을 최소화하는 디지타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88371A (zh) 2022-03-15
US11275469B1 (en) 2022-03-15
US20220083167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000B2 (en) Smartphone
KR102550324B1 (ko) 표시 장치
US10007371B2 (en) Smartphone
CN210488525U (zh) 触摸传感器-天线模块和包括该触摸传感器-天线模块的显示装置
US10007380B2 (en) Touch input device with edge support member
CN105353547B (zh) 具有输入功能的电光装置
US9798412B2 (en) Touch sensor device
US11481056B2 (en) Display device
KR20190005354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JP5846930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20036393A (ko) 표시 장치
JP6062022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688887B (zh) 觸控面板與電子裝置
JP6243506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124625B1 (ko) 터치 입력 장치
CN110618760A (zh) 触控面板与电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