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020A -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020A
KR20220036020A KR1020200118094A KR20200118094A KR20220036020A KR 20220036020 A KR20220036020 A KR 20220036020A KR 1020200118094 A KR1020200118094 A KR 1020200118094A KR 20200118094 A KR20200118094 A KR 20200118094A KR 20220036020 A KR20220036020 A KR 2022003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phasis
unit
transmissi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020A/ko
Priority to US17/170,532 priority patent/US11296702B1/en
Priority to CN202110354368.8A priority patent/CN114189232A/zh
Publication of KR2022003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0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03K5/134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57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03K19/018571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04L25/0286Provision of wave shaping within th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를 상기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엠퍼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SIGNAL TRANSMISSION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는 복수의 인버터 예를 들어, 제 1 인버터(11) 및 제 2 인버터(12)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버의 수는 신호 위상 및 드라이빙 능력을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제 1 인버터(11) 및 제 2 인버터(12)는 제 1 부하 즉, 프리 스테이지와 제 2 부하 즉, 넥스트 스테이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인버터(11) 및 제 2 인버터(12)는 단순히 프리 스테이지의 출력 신호를 반복적으로 반전시켜 넥스트 스테이지에 전달한다.
프리 스테이지는 클럭 신호(clock)에 따라 데이터(Data_In)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 구성이다.
프리 스테이지는 스텍(stack) 구조로서, 병렬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터(Data_In)를 직렬화하기 위한 다중화기, 래치, 플립플롭 및 다양한 로직 게이트들을 포함하므로 로딩(loading)이 증가하게 된다.
프리 스테이지와 같이 로딩이 큰 회로 구조에 의해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발생된 지터(jitter) 및 출력 신호의 스윙 폭 감소에 의해 타이밍 마진을 감소시키게 된다.
해당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대역폭 감소 특성에 따라 상술한 타이밍 마진 감소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를 상기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엠퍼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입력 노드에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를 상기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엠퍼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 노드의 신호 또는/및 입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엠퍼시스부; 및 상기 엠퍼시스부에 의한 피드백의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지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신호 전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제 2 버퍼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1)는 제 1 부하 즉, 프리 스테이지와 제 2 부하 즉, 넥스트 스테이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1)는 복수의 버퍼 유닛 및 복수의 저항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 및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구동력 제어신호(EQ<1:N>)에 따라 구동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을 조정함으로써 엠퍼시스(Emphasis) 동작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111)은 제 2 및 제 3 버퍼 유닛(112, 113)에 비해 큰 구동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2 또는/및 제 3 버퍼 유닛(112, 113)의 구동력은 조정이 가능하나, 제 2 또는/및 제 3 버퍼 유닛(112, 113)의 최대 구동력이 제 1 버퍼 유닛(111)의 디폴트 구동력에 비해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 제어신호(SW<1:3>)에 따라 해당 신호 경로와 연결/분리가 가능하다.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해당 신호 경로와 연결/분리함으로써 피드백(feedback)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3>)는 신호 전달 회로(101)의 동작 특성에 맞도록 그 값들이 정해지고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3>)는 반도체 장치 내부의 비 휘발성 저장 소자 예를 들어, 퓨즈 셋 등에 프로그램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3>)는 반도체 장치의 모드 레지스터 셋에 저장될 수 있고, 모드 레지스터 라이트 동작 등에 의해 그 값들의 가변이 가능하다.
제 1 버퍼 유닛(111)은 신호 전달 회로(101)의 입력 노드(이하, 입력 노드)와 신호 전달 회로(101)의 출력 노드(이하,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버퍼 유닛(112) 및 제 3 버퍼 유닛(113)은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 사이에 제 1 버퍼(111)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버퍼 유닛(112)은 그 출력단이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버퍼 유닛(113)은 그 출력단이 제 2 버퍼 유닛(112)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자신의 입력단이 출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저항(121)은 제 1 버퍼 유닛(111)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122)은 제 2 버퍼 유닛(112)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저항(123)은 제 3 버퍼 유닛(113)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122)과 제 3 저항(123)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111) 및 제 1 저항(121)은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기 위한 제 1 피드백 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버퍼 유닛(112), 제 3 버퍼 유닛(113), 제 2 저항(122) 및 제 3 저항(123)은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기 위한 제 2 피드백 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 각각이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 각각과 병렬 연결되므로 신호 전달 회로(101)의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 및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은 엠퍼시스부와 지연부로 구분될 수 있다.
엠퍼시스부는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킴으로써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엠퍼시스부는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부는 엠퍼시스부에 의한 피드백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지연부는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1)는 두 개의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더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므로 제 1 내지 제 3 버퍼 유닛(111 - 113) 및 제 1 내지 제 3 저항(121 - 123)을 제 1 엠퍼시스부와 제 2 엠퍼시스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엠퍼시스부는 제 1 피드백 루프를 이용하여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엠퍼시스부는 제 1 버퍼 유닛(111) 및 제 1 저항(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엠퍼시스부는 제 1 엠퍼시스부와 병렬 연결되며, 제 2 피드백 루프를 이용하여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엠퍼시스부는 제 2 버퍼 유닛(112), 제 3 버퍼 유닛(113), 제 2 저항(122) 및 제 3 저항(123)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1)의 출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퍼(200)를 경유하여 넥스트 스테이지에 전달될 수 있다.
버퍼(200)의 수는 신호 전달 회로(101)의 출력 신호의 위상 및 신호 전달 회로(101)의 드라이빙 능력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버퍼(200)는 단순히 입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로 구성할 수도 있고, 신호 전달 회로(101) 또는 추후 설명할 도 5의 신호 전달 회로(102)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제 2 버퍼 유닛(112)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버퍼 유닛(112)은 복수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130, 150-1 - 150-n) 및 복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140, 160-1 - 160-n)을 포함할 수 있다.
피모스 트랜지스터(130)는 게이트 단이 입력 단(IN)과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출력 단(OUT)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150-1 - 150-n)은 소오스 단이 전원 단과 연결되고, 게이트 단에는 구동력 제어신호(EQ<1:N>)를 반전시킨 신호들(EQB<1:N>)이 각각 입력되며, 드레인 단은 피모스 트랜지스터(130)의 소오스 단과 공통 연결될 수 있다.
엔모스 트랜지스터(140)는 게이트 단이 입력 단(IN)과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출력 단(OUT)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160-1 - 160-n)은 소오스 단이 접지 단과 연결되고, 게이트 단에는 구동력 제어신호(EQ<1:N>)가 각각 입력되며, 드레인 단은 엔모스 트랜지스터(140)의 소오스 단과 공통 연결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의 신호 비트들 중에서 '1'의 값을 갖는 신호 비트가 많을수록 제 2 버퍼 유닛(112)의 구동력이 증가하고, 구동력 제어신호(EQ<1:N>)의 신호 비트들 중에서 '1'의 값을 갖는 신호 비트가 적을수록 제 2 버퍼 유닛(112)의 구동력이 감소한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의 신호 비트들 중에서 하나만이 '1'의 값을 가질 경우, 예를 들어, EQ<1:N> 중에서 EQ<1> 만이 '1'인 경우, 복수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150-1 - 150-n) 및 복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160-1 - 160-n) 중에서 150-1과 160-1 만이 턴 온 되므로 제 2 버퍼 유닛(112)의 구동력이 최소로 조정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의 신호 비트들이 모두 '1'의 값을 가질 경우 복수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150-1 - 150-n) 및 복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160-1 - 160-n)이 모두 턴 온 되므로 제 2 버퍼 유닛(112)의 구동력이 최대로 조정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의 신호 비트들이 모두 '0'의 값을 가질 경우 복수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150-1 - 150-n) 및 복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160-1 - 160-n)이 모두 턴 오프 될 수 있다. 복수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들(150-1 - 150-n) 및 복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들(160-1 - 160-n)이 모두 턴 오프 됨에 따라 피모스 트랜지스터(130)로의 전류 소싱(Sourcing) 패스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140)로부터의 전류 싱킹(Sinking) 패스 또한 차단되므로 제 2 버퍼 유닛(112)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제 3 버퍼 유닛(113)은 제 2 버퍼 유닛(112)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 2 버퍼 유닛(112) 또는/및 제 3 버퍼 유닛(113)의 구동력 조정에 따라 엠피서스 동작의 세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1)는 더블 엠퍼시스 동작 즉, 제 1 엠퍼시스 동작(F1)과 제 2 엠퍼시스 동작(F2)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111)과 제 1 저항(121)에 의해 제 1 엠퍼시스 동작(F1)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제 1 버퍼 유닛(111)을 경유하여 출력되고, 제 1 저항(121)을 경유하여 제 1 버퍼 유닛(111)의 입력으로서 피드백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111)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제 1 저항(121)을 경유함에 따라 지연된 전류를 제 1 전류(IR1A)와 제 2 전류(IR1B)라 칭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1)에 초기 입력되는 신호를 선 입력 신호(Pre-input signal)(IN_PRE)라 칭하고, 초기 입력 신호(IN_PRE)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1)의 출력 신호를 선 출력 신호(Pre-output signal)(OUT_PRE)라 칭하며, 제 1 저항(121)을 경유하여 제 1 버퍼 유닛(111)에 피드백되는 신호를 후 입력 신호(Post-input signal)(IN_POST)라 칭하기로 한다.
후 입력 신호(IN_POST)는 제 1 전류(IR1A)에 의해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가 이루어지고, 제 2 전류(IR1B)에 의해 디-앰퍼시스(De-emphasis)가 이루어진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1)의 입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이 수행되고, 입력 신호(IN_POST)에 의해 신호 전달 회로(101)의 출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제 1 엠퍼시스 동작(F1)과 동시에 제 2 버퍼 유닛(112), 제 3 버퍼 유닛(113), 제 2 저항(122) 및 제 3 저항(123)에 의해 제 2 엠퍼시스 동작(F2)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제 2 버퍼 유닛(112) 및 제 3 버퍼 유닛(113)을 경유하여 출력되고, 제 2 저항(122) 및 제 3 저항(123)을 경유하여 제 2 버퍼 유닛(112) 및 제 3 버퍼 유닛(113)의 입력으로서 피드백될 수 있다.
초기 입력 신호(IN_PRE)가 제 2 버퍼 유닛(112), 제 3 버퍼 유닛(113), 제 2 저항(122) 및 제 3 저항(123)을 경유한 신호를 엠퍼시스 출력 신호(Emphasis output signal)(OUT_EMP)라 칭하며, 초기 입력 신호(IN_PRE)와 엠퍼시스 출력 신호(OUT_EMP)가 합성된 신호를 후 입력 신호(IN_POST)라 칭하기로 한다.
후 입력 신호(IN_POST)는 초기 입력 신호(IN_PRE)와 엠퍼시스 출력 신호(OUT_EMP)의 합성에 의해 제 1 엠퍼시스 동작(F1)과 유사한 형태의 프리-엠퍼시스 및 디-앰퍼시스가 이루어진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1)의 입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이 수행되고, 입력 신호(IN_POST)에 의해 신호 전달 회로(101)의 출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블 엠퍼시스 동작에 의해 신호 전달 회로(101)의 입력 신호는 물론이고 출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2)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2)는 제 1 부하 즉, 프리 스테이지와 제 2 부하 즉, 넥스트 스테이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2)는 복수의 버퍼 유닛 및 복수의 저항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 및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구동력 제어신호(EQ<1:N>)에 따라 구동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력을 조정함으로써 엠퍼시스 동작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211)은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에 비해 큰 구동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의 구동력은 조정이 가능하나,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의 최대 구동력이 제 1 버퍼 유닛(211)의 디폴트 구동력에 비해 작은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 제어신호(SW<1:4>)에 따라 해당 신호 경로와 연결/분리가 가능하다.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해당 신호 경로와 연결/분리함으로써 피드백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4>)는 신호 전달 회로(102)의 동작 특성에 맞도록 그 값들이 정해지고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4>)는 반도체 장치 내부의 비 휘발성 저장 소자 예를 들어, 퓨즈 셋 등에 프로그램될 수 있다.
구동력 제어신호(EQ<1:N>) 및 스위칭 제어신호(SW<1:4>)는 반도체 장치의 모드 레지스터 셋에 저장될 수 있고, 모드 레지스터 라이트 동작 등에 의해 그 값들의 가변이 가능하다.
제 1 버퍼 유닛(211)은 신호 전달 회로(102)의 입력 노드(이하, 입력 노드)와 신호 전달 회로(102)의 출력 노드(이하,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은 입력 노드에만 연결될 수 있다.제 2 버퍼 유닛(212)은 그 출력단이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버퍼 유닛(213)은 그 출력단이 제 2 버퍼 유닛(212)의 입력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 4 버퍼 유닛(214)은 그 출력단이 제 3 버퍼 유닛(213)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입력단이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은 도 3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저항(221)은 제 1 버퍼 유닛(211)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222)은 제 2 버퍼 유닛(212)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저항(223)은 제 3 버퍼 유닛(213)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4 저항(224)은 제 4 버퍼 유닛(214)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저항(222), 제 3 저항(223) 및 제 4 저항(224)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211) 및 제 1 저항(221)은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기 위한 제 1 피드백 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 및 제 2 내지 제 4 저항(222 - 224)은 입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기 위한 제 2 피드백 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 각각이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 각각과 병렬 연결되므로 신호 전달 회로(102)의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 및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은 엠퍼시스부와 지연부로 구분될 수 있다.
엠퍼시스부는 입력 노드의 신호와 출력 노드의 신호 각각을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킴으로써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엠퍼시스부는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부는 엠퍼시스부에 의한 피드백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지연부는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2)는 두 개의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더블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므로 제 1 내지 제 4 버퍼 유닛(211 - 214) 및 제 1 내지 제 4 저항(221 - 224)을 제 1 엠퍼시스부와 제 2 엠퍼시스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엠퍼시스부는 제 1 피드백 루프를 이용하여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엠퍼시스부는 제 1 버퍼 유닛(211) 및 제 1 저항(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엠퍼시스부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며, 제 2 피드백 루프를 이용하여 입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입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엠퍼시스부는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 및 제 2 내지 제 4 저항(222 - 224)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2)의 출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퍼(200)를 경유하여 넥스트 스테이지에 전달될 수 있다.
버퍼(200)의 수는 신호 전달 회로(102)의 출력 신호의 위상 및 신호 전달 회로(102)의 드라이빙 능력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버퍼(200)는 단순히 입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2의 신호 전달 회로(101) 또는 도 5의 신호 전달 회로(102)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2)는 더블 엠퍼시스 동작 즉, 제 1 엠퍼시스 동작(F1)과 제 2 엠퍼시스 동작(F2)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211)과 제 1 저항(221)에 의해 제 1 엠퍼시스 동작(F1)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제 1 버퍼 유닛(211)을 경유하여 출력되고, 제 1 저항(221)을 경유하여 제 1 버퍼 유닛(211)의 입력으로서 피드백될 수 있다.
제 1 버퍼 유닛(211)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제 1 저항(221)을 경유함에 따라 지연된 전류를 제 1 전류(IR1A)와 제 2 전류(IR1B)라 칭할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2)에 초기 입력되는 신호를 선 입력 신호(IN_PRE)라 칭하고, 초기 입력 신호(IN_PRE)에 따른 신호 전달 회로(102)의 출력 신호를 선 출력 신호(OUT_PRE)라 칭하며, 제 1 저항(221)을 경유하여 제 1 버퍼 유닛(211)에 피드백되는 신호를 후 입력 신호(IN_POST)라 칭할 수 있다.
후 입력 신호(IN_POST)는 제 1 전류(IR1A)에 의해 프리-엠퍼시스가 이루어지고, 제 2 전류(IR1B)에 의해 디-앰퍼시스가 이루어진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2)의 입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이 수행되고, 입력 신호(IN_POST)에 의해 신호 전달 회로(102)의 출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제 1 엠퍼시스 동작(F1)과 동시에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 제 2 내지 제 4 저항(222 - 224)에 의해 제 2 엠퍼시스 동작(F2)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을 경유하여 출력되고, 제 2 내지 제 4 저항(222 - 224)을 경유하여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의 입력으로서 피드백될 수 있다.
초기 입력 신호(IN_PRE)가 제 2 내지 제 4 버퍼 유닛(212 - 214) 및 제 2 내지 제 4 저항(222 - 224)을 경유한 신호를 엠퍼시스 출력 신호(OUT_EMP)라 칭하며, 초기 입력 신호(IN_PRE)와 엠퍼시스 출력 신호(OUT_EMP)가 합성된 신호를 후 입력 신호(IN_POST)라 칭할 수 있다.
후 입력 신호(IN_POST)는 초기 입력 신호(IN_PRE)와 엠퍼시스 출력 신호(OUT_EMP)의 합성에 의해 제 1 엠퍼시스 동작(F1)과 유사한 형태의 프리-엠퍼시스 및 디-앰퍼시스가 이루어진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전달 회로(102)의 입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이 수행되고, 입력 신호(IN_POST)에 의해 신호 전달 회로(102)의 출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블 엠퍼시스 동작에 의해 신호 전달 회로(102)의 입력 신호는 물론이고 출력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를 상기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엠퍼시스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제 2 엠퍼시스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엠퍼시스 세기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의 피드백 시간 및 상기 제 2 엠퍼시스부의 피드백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제어신호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는 그 값들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반도체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엠퍼시스부는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버퍼 유닛, 및
    상기 제 1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1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엠퍼시스부는
    상기 제 1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2 버퍼 유닛, 및
    상기 제 2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7. 출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1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입력 노드에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를 상기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고, 피드백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제 2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엠퍼시스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구동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엠퍼시스부 및 상기 제 2 엠퍼시스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엠퍼시스 세기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엠퍼시스부의 피드백 시간 및 상기 제 2 엠퍼시스부의 피드백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제어신호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는 그 값들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반도체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엠퍼시스부는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버퍼 유닛, 및
    상기 제 1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1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엠퍼시스부는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된 제 2 버퍼 유닛, 및
    상기 제 2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3. 출력 노드의 신호 또는/및 입력 노드의 신호를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신호에 대한 엠퍼시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엠퍼시스부; 및
    상기 엠퍼시스부에 의한 피드백의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지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구동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엠퍼시스부의 엠퍼시스 세기가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피드백 시간이 조정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제어신호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는 그 값들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반도체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엠퍼시스부는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버퍼 유닛, 및
    상기 제 1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2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제 1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1 저항, 및
    상기 제 2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엠퍼시스부는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버퍼 유닛, 및
    상기 입력 노드의 신호를 상기 입력 노드에 피드백시키기 위한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는 제 2 버퍼 유닛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제 1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1 저항, 및
    상기 제 2 버퍼 유닛과 병렬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KR1020200118094A 2020-09-15 2020-09-15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KR20220036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94A KR20220036020A (ko) 2020-09-15 2020-09-15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US17/170,532 US11296702B1 (en) 2020-09-15 2021-02-08 Signal transmiss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CN202110354368.8A CN114189232A (zh) 2020-09-15 2021-04-01 半导体器件的信号传输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94A KR20220036020A (ko) 2020-09-15 2020-09-15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020A true KR20220036020A (ko) 2022-03-22

Family

ID=8060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94A KR20220036020A (ko) 2020-09-15 2020-09-15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96702B1 (ko)
KR (1) KR20220036020A (ko)
CN (1) CN114189232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1910A (en) 1976-10-21 1978-05-11 Toshiba Corp Noise reduction system
JP5671429B2 (ja) 2011-08-26 2015-02-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11088681B2 (en) * 2019-03-19 2021-08-10 Micron Technology, Inc. High speed signal adjustment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89232A (zh) 2022-03-15
US11296702B1 (en) 2022-04-05
US20220085811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674B1 (ko) 아날로그 혼용 디지탈 디엘엘
KR102003926B1 (ko) 디엠퍼시스 버퍼 회로
US6163178A (en) Impedance controlled output driver
US4763021A (en) CMOS input buffer receiver circuit with ultra stable switchpoint
US6597212B1 (en) Divide-by-N differential phase interpolator
US8081706B2 (en) Lane-to-lane skew reduction in multi-channel, high-speed, transceiver circuitry
US6812872B1 (en) Degenerative inductor-based gain equalization
US7924056B2 (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driver
US7205786B2 (en) Programmable output buffer
US11126216B2 (en) Signal generation circuit synchronized with a clock signal and a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US7557602B2 (en) Pre-emphasis circuit including slew rate controllable buffer
US7973681B2 (en) High speed, low power non-return-to-zero/return-to-zero output driver
US11012074B1 (en) Off chip driving circuit and signal compensation method
US7994835B2 (en) Duty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EP1352472B1 (en) Circuit for receiving and driving a clock-signal
KR20220036020A (ko) 반도체 장치의 신호 전달 회로
US6661271B1 (en) Multi-phase edge rate control for SCSI LVD
EP0709960B1 (en) Variable delay circuit
CN111159081A (zh) 信号接收电路及使用其的半导体装置和半导体***
US6933782B1 (en) Degenerative inductor-based gain equalization
US11640367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igh-speed drivers
KR102630023B1 (ko) 지연 보간기
US11271553B1 (en) Buffer circuit
US20240097946A1 (en) Data receiving circuit, data receiving system, and storage apparatus
US20180302093A1 (en) Dynamic impedance control for voltage mode dr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