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809A -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809A
KR20220035809A KR1020200118010A KR20200118010A KR20220035809A KR 20220035809 A KR20220035809 A KR 20220035809A KR 1020200118010 A KR1020200118010 A KR 1020200118010A KR 20200118010 A KR20200118010 A KR 20200118010A KR 20220035809 A KR20220035809 A KR 2022003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ck
support
typ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선
Original Assignee
강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선 filed Critical 강명선
Priority to KR102020011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5809A/ko
Publication of KR2022003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80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차원 가변형 골조 프레임 모듈과 커버 프레임 모듈을 구비하여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축할 수 있고 사용 후 해체하여 다른 형태의 구조물로 재조립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3축방향 임의 공간 및 시설 구축시 비용 및 시간절감, 재료나 물품 및 장비의 불필요한 생산과 소비를 최소화하고 탄소저감과 지속 가능한 라이프 스타일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프레임 모듈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선택적으로 가변 조절되어 입체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을 포함하며, 프레임 모듈은 제1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제1 테두리 골조를 형성하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제2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래크면의 제2 테두리 골조를 형성하는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그리고 제3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두 쌍이 각각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서포트 골조를 형성하는 서포트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Variable frame module system for versatile use}
본 발명은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유휴부지를 개방하여 커뮤니티의 다양한 요구와 그에 따른 활동을 지원해 주는데 여러 가지 제약이 있는 바, 유휴공간의 옥외 및 실내공간이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해줄 수 있도록 최대의 가변성을 갖추면서도 그러한 프로그램들을 지원해주는 물리적 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효율적인 시설 지원 시스템은 부재. 일반적으로 임차 주체가 외부 용역 업체에 고비용을 지불하여 장비설비 임대 및 설치 철거. 공간의 가변성을 유지하며 장소의 다양한 액티비티를 지원하고, 기마련된 시설과 체계적인 설비 시스템으로 저비용으로 누구나 쉽게 용도에 맞는 시설을 구축 및 해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차원 가변형 골조 프레임 모듈과 커버 프레임 모듈을 구비하여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축할 수 있고 사용 후 해체하여 다른 형태의 구조물로 재조립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3축 방향 임의 공간 및 시설 구축시 비용 및 시간절감, 재료나 물품 및 장비의 불필요한 생산과 소비를 최소화하고 탄소저감과 지속 가능한 라이프 스타일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프레임 모듈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선택적으로 가변 조절되어 입체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을 포함하며, 프레임 모듈은 제1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제1 테두리 골조를 형성하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제2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래크면의 제2 테두리 골조를 형성하는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그리고 제3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두 쌍이 각각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서포트 골조를 형성하는 서포트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래크 프레임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갖는 제C11 래크 부재, 제C1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되는 제C12 래크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C11 래크 부재와 제C1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하는 제C1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갖는 제C21 래크 부재, 제C2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되는 제C22 래크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C21 래크 부재와 제C2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하는 제C2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갖는 제C1 서포트 부재, 제C1 서포트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되는 제C2 서포트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C1 서포트 부재와 제C2 서포트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하는 C형 서포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연결부재와 제C1 서포트 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힌지 접힘과 펼침을 지지하는 힌지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서포트 부재는 일측에 제1 고정면을 갖고 멀티 연결부재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제1 연결부로 형성되어 제C1 서포트 부재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힌지부, 그리고 일측에 제2 고정면을 갖고 제C1 서포트 부재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제2 연결부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제1 연결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C11 래크 부재와 제C1 서포트 부재 또는 제C21 래크 부재와 제C1 서포트 부재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와 서포트 프레임 부재 또는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와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링크 접힘과 펼침을 지지하는 링크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연결부재는 서로 인접되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와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을 지지하는 제C12 조인트,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C3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C12 조인트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체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는 제C1 본체, 제C1 본체의 제1 방향 제1 면에 연결되며,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제1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C1 조인 결합부, 그리고 제C1 본체의 제2 방향 제2 면에 연결되며,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의 제2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C2 조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C3 조인트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체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는 제C3 본체, 그리고 제C3 본체의 제3 방향 제3 면에 연결되며,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C3 조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서포트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는 다른 구조물의 연결을 지지하는 제C4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제C4 조인트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체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는 제C4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체결구멍의 기저부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결합되어 체결구멍을 통해 자력을 전달하는 자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C12 조인트 내지 제C4 조인트 중 서로 인접되는 양측의 조인트를 연결하는 C형 양방향 조인트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형 양방향 조인트 연결부는 미리 설정된 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멀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체결 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제1 체결부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반대위치에 구비되며, 제1 체결부와 반대의 나사산을 갖고 멀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체결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체결부, 그리고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체결공구가 결합되어 체결공구의 체결력 또는 풀림력이 전달되는 체결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크 프레임 부재는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축 방향 양측에서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일부 테두리를 형성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갖는 제X11 래크 부재, 제X1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되는 제X12 래크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X11 래크 부재와 제X1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하는 제X1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축 방향 타측에서 멀티 연결부재에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사각 형상의 일부 테두리를 형성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갖는 제X21 래크 부재, 제X2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되는 제X22 래크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X21 래크 부재와 제X2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하는 제X2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서 제1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하향 연결되어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는 상부 서포트 부재,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서 제1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상향 연결되어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는 하부 서포트 부재, 그리고 상부 서포트 부재와 하부 서포트 부재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각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는 X형으로 연결하여 각도 조절되는 한 쌍의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서포트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갖는 제X1 서포트 부재, 제X1 서포트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되는 제X2 서포트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X1 서포트 부재와 제X2 서포트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하는 X형 서포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는 2개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2개의 하부 서포트 부재 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하부 서포트 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는 제11 결합부와 제12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11 결합부와 제12 결합부를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1 굴절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X형 연결부, 그리고 제1 X형 연결부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제1 X형 연결부와 X형태로 결합되며, 2개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2개의 하부 서포트 부재 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나머지 한 쌍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하부 서포트 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는 제21 결합부와 제22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21 결합부와 제22 결합부를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제2 굴절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X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의 두께의 합은 상부 서포트 부재 또는 하부 서포트 부재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서포트 프레임의 접힘시 외부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는 각각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도 제한 걸림턱을 구비하여 서포트 프레임의 펼침시 미리 설정된 각도 구간 이외의 펼침을 제한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에 결합되어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각도 고정부재는 미리 설정된 고정구멍에 구비되는 복수의 각도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는 복수의 각도 고정구멍 주변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각도 고정구멍의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연결부재는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상측에서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과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X1 조인트, 그리고 제X1 조인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하측에서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과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X2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X1 조인트는 입체 형상을 갖고 해당되는 면에 체결구멍을 갖는 제X1 본체, 제X1 본체의 제1 방향 제1 면에 연결되며,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을 지지하는 제X1 조인 결합부, 제X1 본체의 제3 방향 상측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구멍을 갖는 라운드 체결면을 구비하는 제X2 조인 결합부, 그리고 제X1 본체의 제3 방향 하측에 구비되며,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이 결합되어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X3 조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X1 본체에 구비되는 체결구멍과 결합구멍이 공유되는 공동 안착부에 결합되어 체결구멍과 결합구멍을 통해 자력을 전달하는 자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되는 양측의 제X2 조인 결합부의 결합구멍에 각각 결합되어 제X2 조인 결합부를 연결하는 X형 양방향 조인트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모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며, 폭방향으로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는 커버 프레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모듈은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는 테두리 부재, 그리고 테두리 부재의 내측에서 폭방향으로 길게 복수로 결합되며,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축 방향 길이조절과 각도 조절로 형태의 확장과 변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들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원래의 형태로 해체하거나 또 다른 형태의 구조물로 재조립, 재활용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된 크기와 형태의 확장 또는 변형이 자유롭게 새로운 형식의 간이 설치 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구조물과의 결합이 가능하여 더 다양한 표준화된 부재들의 결합으로 확장할 수 있으므로 적시(JIT ; Just In Time) 형식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가변형 다목적 공간 프레임, 가구, 기기, 시설, 도구, 설비 등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프레임 모듈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3축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선택적으로 가변 조절되어 입체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축 방향은 2차원의 평면을 형성하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그리고 2차원 평면에서 3차원을 구현하기 위해 높이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3축 방향에서 평면방향에 대응되는 가로 방향은 제1 방향으로 설정되고, 세로 방향은 제2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방향은 제3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레임 모듈은 3축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크 프레임 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제1 테두리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제2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래크면의 제2 테두리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제3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두 쌍이 각각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서포트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필요에 따라 각도 조절 결합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프레임 모듈 시스템은 프레임 모듈 시스템의 골조를 형성하는 골조 프레임 모듈과, 골조 프레임 모듈의 해당 결합면에 결합되어 커버 또는 벽면 기능을 하는 커버 프레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골조 프레임 모듈은 외부 형상에 따라 C형 프레임 모듈과 X형 프레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C형 프레임 모듈에 적용되는 경우,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로 구분한다. 그리고 X형 프레임 모듈에 적용되는 경우,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로 구분한다. 한편, 멀티 연결부재는 C형 멀티 연결부재, X형 멀티 연결부재, 커버 멀티 연결부재로 구분한다.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는 외측에 구비되는 각관 형상의 제C11 래크 부재, 제C11 래크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각재 형상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제C12 래크 부재, 그리고 제C1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C11 래크 부재와 제C12 래크 부재는 각관과 각재의 결합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형 관과 봉재의 결합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C11 래크 부재와 제C12 래크 부재는 경량화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제C11 래크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C형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C11 래크 부재는 내부에 슬라이딩하는 프로파일 형상의 제C12 래크 부재가 삽입되도록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일면에는 제C12 래크 부재에 고정된 제C1 래크 고정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슬릿이 구비되며 이동 슬릿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제C11 래크 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색채의 길이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길이 표시부를 구비함에 따라 길이 조절시 연관된 부재들을 특정 위치에서 용이하게 길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길이 표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제C12 래크 부재는 제C1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C12 래크 부재는 각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4면에 길게 홈이 파인 알루미늄 소재의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C12 래크 부재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C1 래크 고정부재의 복수의 고정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제C1 래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C11 래크 부재와 제C1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제C1 래크 고정부재는 노브형 볼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은 프레임의 각변을 형성하는 각관 내부에 프로파일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밀어 넣거나 빼내어 3축 방향 모두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프레임 각변의 길이 조절은 각변을 형성하는 각관들의 내면에 구비된 고정구멍에 노브형 볼트 고정부의 머리부분이 일치하는 경우 노브를 돌려 볼트를 조임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각관과 프로파일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길이 조절 방식은 C형 프레임 모듈과 X형 프레임 모듈,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제C21 래크 부재, 제C22 래크 부재, 그리고 제C2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호환될 수 있다. 제C21 래크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C형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C22 래크 부재는 제C2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C2 래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C21 래크 부재와 제C2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제C1 서포트 부재, 제C2 서포트 부재, 그리고 C형 서포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C1 서포트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C형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C2 서포트 부재는 제C1 서포트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C형 서포트 고정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C1 서포트 부재와 제C2 서포트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각각 조절되기 전의 제1 길이는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이를 고려하여 50cm 내외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된 후의 제2 길이는 제1 길이의 2배가 될 수 있도록 100cm 내외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형 프레임 모듈은 힌지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서포트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하나씩 접힐 수 있다. 힌지 서포트 부재는 C형 멀티 연결부재와 제C1 서포트 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힌지 접힘과 펼침을 지지할 수 있다. 힌지 서포트 부재는 제1 힌지부, 그리고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는 일측에 제1 고정면을 갖고 C형 멀티 연결부재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제1 연결부로 형성되어 제C1 서포트 부재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제2힌지부는 일측에 제2 고정면을 갖고 제C1 서포트 부재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제2 연결부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제1 연결부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서포트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C형 프레임 모듈에서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4개의 다리들은 완전히 펴는 경우 일정 세기 이하의 외부 힘이 작용하는 경우 다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90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형 프레임 모듈은 링크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서포트 부재는 제C11 래크 부재와 제C1 서포트 부재 또는 제C21 래크 부재와 제C1서포트 부재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와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 또는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와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링크 접힘과 펼침을 지지할 수 있다. 링크 서포트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C형 프레임 모듈에서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4개의 다리들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90도 직각으로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세기 이하의 외력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멀티 연결부재는 연결부분에서 각각의 방향으로 인접되는 프레임 모듈 또는 부재들과 상하좌우 결합을 위한 조인트를 구비하며 각각의 조인트는 육면체의 각면 마다 중앙에 체결용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용 구멍의 내측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멀티 연결부재는 체결 구조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석을 이용하여 간편한 결합도 유지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멀티 연결부재는 제C12 조인트, 제C3 조인트, 그리고 제C4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C12 조인트는 서로 인접되는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와 C형 제2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을 지지하며, 제C1 본체, 제C1 조인 결합부, 그리고 제C2 조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C1 본체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체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체결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C1 조인 결합부는 제C1 본체의 제1 방향 제1 면에 연결되며,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C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C2 조인 결합부는 제C1 본체의 제2 방향 제2 면에 연결되며,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C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의 제2 방향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C12 조인트는 C형 프레임 모듈의 상측에서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개의 래크 프레임 부재를 서로 인접되는 위치에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C12 조인트는 각관에 결합되는 부분은 각관의 내경에 해당하는 크기의 돌출된 금속체와 각관의 해당 결합 부위에서 볼트로 체결될 수 있게 나사산이 구비된 체결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C3 조인트는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C3조인트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체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는 제C3 본체, 그리고 제C3본체의 제3 방향 제3 면에 연결되며,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하는 제C3 조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C3조인트는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다리 외곽을 이루는 각관이 끼워진 후 다리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경첩을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체결면과 결합용 볼트를 고려한 체결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제C4 조인트는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C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는 다른 구조물의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C4 조인트는 육면체의 형상에서 체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는 제C4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C4 조인트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서포트 부재의 프로파일 단부에 돌출한 볼트에 결합 가능한 체결구멍과 다른 유닛들과의 결합을 위해 전면, 좌측면, 우측면 세 면에 결합용 체결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멀티 연결부재는 조인트간 연결구조 또는 조인트와 프레임 부재간 연결구조를 나사 체결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형 프레임 모듈의 각 모서리에는 동일 유형의 프레임 모듈 또는 커버 프레임 모듈의 결합을 위한 제C12 조인트 내지 제C4 조인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조인트 부재와 프레임 부재의 결합은 조인트 부재에 구비된 암나사와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의 일단에 구비된 수나사의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C12 조인트 내지 제C4 조인트 중 서로 인접되는 양측의 조인트를 연결하는 C형 양방향 조인트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형 양방향 조인트 연결부는 미리 설정된 방향(시계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C형 멀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체결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제1 체결부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반대위치에 구비되며, 제1 체결부와 반대방향(시계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C형 멀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체결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체결부, 그리고 제1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체결공구가 결합되어 체결공구의 체결력 또는 풀림력이 전달되는 체결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C형 멀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체결구멍의 기저부에 안착부를 구비하고, 안착부에 결합되어 체결구멍을 통해 자력을 전달하는 자석부(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는 링 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석부(M)에 대응되는 결합부재의 자석 결합면에는 자석부(M)에 붙는 동전모양의 철판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C형 프레임 모듈의 C형 멀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조인트간 연결구조 또는 조인트와 프레임 부재간 연결구조를 자력을 이용한 결합구조로 연결할 수도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의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는 제X11 래크 부재, 제X12 래크 부재, 그리고 제X1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은 0도 내지 180도의 각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 부재들이 일정하게 확장된 상태 또는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X11 래크 부재는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축 방향 양측에서 X형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1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일부 테두리를 형성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X12 래크 부재는 제X1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X12 래크 부재는 각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4면에 길게 홈이 파인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X1 래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X11 래크 부재와 제X1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제X1 래크 고정부재는 노브형 볼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의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축 방향 타측에서 X형 멀티 연결부재에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사각 형상의 일부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의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X형 프레임 모듈의 하단부 지지용 받침대 기능을 할 수 있다.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기본적인 길이 조절 구조는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각관의 길이와 수량, 프로파일은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내측의 프로파일을 사이에 두고 프로파일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외측의 각관이 결합되어 각각 길이 조절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의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는 제X21 래크 부재, 제X22 래크 부재, 그리고 제X2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X21 래크 부재는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X21 래크 부재는 바닥 지지대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2개가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X21 래크 부재는 X22 래크 부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바닥면 접촉 폭만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X22 래크 부재는 제X21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X22 래크 부재는 각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4면에 길게 홈이 파인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X2 래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X21 래크 부재와 제X22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의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는 상부 서포트 부재, 하부 서포트 부재, 그리고 한 쌍의 각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서포트 부재는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서 제1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X형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하향 연결되어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서포트 부재는 제X1 서포트 부재, 제X2 서포트 부재, 그리고 X형 서포트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X1 서포트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X형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3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X2 서포트 부재는 제X1 서포트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X형 서포트 고정부재는 제X2 서포트 부재, 그리고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X1 서포트 부재와 제X2 서포트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하부 서포트 부재는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서 제1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X형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제3 방향을 따라 상향 연결되어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서포트 부재는 상부 서포트 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호환될 수 있다. 한 쌍의 각도 조절부재는 상부 서포트 부재와 하부 서포트 부재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각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는 X형으로 연결하여 각도 조절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는 제1 X형 연결부, 그리고 제2 X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X형 연결부는 제11 결합부, 제12 결합부, 제1 굴절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결합부와 제12 결합부는 제1 굴절 연결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2개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2개의 하부 서포트 부재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부 서포트 부재(X132)와 하부 서포트 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굴절 연결부는 제11 결합부와 제12 결합부를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X형 연결부는 제1 X형 연결부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제1 X형 연결부와 X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X형 연결부는 제21 결합부, 제22 결합부,제2 굴절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결합부와 제22 결합부는 제2 굴절 연결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2개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2개의 하부 서포트 부재 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구비되는 나머지 한 쌍의 상부 서포트 부재와 하부 서포트 부재에 일측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 굴절 연결부는 제21 결합부와 제22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21 결합부와 제22 결합부를 설정된 각도를 갖고 어긋난 위치에 구비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의 두께의 합은 상부 서포트 부재 또는 하부 서포트 부재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서포트 프레임의 접힘시 외부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는 각각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도 제한 걸림턱을 구비하여 서포트 프레임의 펼침시 미리 설정된 각도 구간 이외의 펼침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는 동일 평면안에서 완전히 겹치게 하기 위해 서로 접하는 면이 다른 면보다 얇게 파여지고 X자로 교차되는 것을 고려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의 형상과 두께 조절로 X형 프레임 모듈을 완전히 접었을 때 교차하는 제1 굴절 연결부와 제2 굴절 연결부의 접힘 각도를 0도의 각도로 유지하여 일자 형태로 완전히 겹칠 수 있다. 따라서, X형 프레임 모듈을 완전히 접었을 때 일반적인 낚시의자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세로방향 부재들의 축선이 일치하지 않고 한쪽은 안쪽으로 다른 쪽은 바깥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돌출을 방지함으로써 부피 축소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각도 조절부재에 결합되어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각도 고정부재는 미리 설정된 고정구멍에 구비되는 복수의 각도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고정부재는 각도 조절부재에 결합된 반원형 띠의 내측면에 각도 조절방향을 따라 길게 각도 조절 슬릿을 구비하고 각도 고정부로 특정된 각도마다 구비된 각도 고정구멍에 결합하여 조절된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는 복수의 각도 고정구멍 주변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각도 고정구멍의 각도를 서로 다른 색채로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X형 프레임 모듈을 동일한 각도로 조립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각도 조절작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와 각도 고정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X형 프레임 모듈은 X형태로 벌어지는 각도를 필요에 따라 여러 단계로 설정하여 각 단계마다 고정시켜 필요한 벌어짐 각도를 선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X형 프레임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가구나 기기 설치 프레임, 전시용 가벽 등을 구현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의 X형 멀티 연결부재는 제X1 조인트, 그리고 제X2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X1 조인트는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상측에서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과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X2 조인트는 제X1 조인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하측에서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과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X1 조인트는 제X1 본체, 제X1 조인 결합부, 제X2 조인 결합부, 그리고 제X3 조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X1 본체는 입체 형상을 갖고 해당되는 면에 체결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X1 조인 결합부는 제X1 본체의 제1 방향 제1 면에 연결되며,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의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X2 조인 결합부는 제X1 본체의 제3 방향 상측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구멍을 갖는 라운드 체결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X2 조인 결합부는 서로 인접되는 X형 프레임 모듈들의 결합시 X형 프레임 모듈의 각 모서리 연결 부분에서 X자형 교차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조인트 연결부 또는 좌우측 조인트 연결부가 서로 맞대었을 때 일치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변경이 가능한 각도들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결합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구멍은 X형 프레임 모듈의 각도 변화에 따라 90도 수직 방향의 결합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변경 가능한 각도에 대응하여 특정각도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X3 조인 결합부는 결합구멍을 갖고 제X1 본체의 제3 방향 하측에 구비되며, 결합구멍에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일측이 결합되어 X형 서포트 프레임 부재의 제3 방향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제X1 조인트는 X1 본체에 구비되는 체결구멍과 결합구멍이 공유되는 공동 안착부에 결합되어 체결구멍과 결합구멍을 통해 자력을 전달하는 자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가 구비됨에 따라 커버 프레임 패널의 부착시 자석 기반의 탈부착이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서로 인접되는 양측의 제X2 조인 결합부의 결합구멍에 각각 결합되어 제X2 조인 결합부를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의 X형 양방향 조인트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형상의 커버를 형성하여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에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과 커버 프레임 모듈의 여러 가지 조합으로 다양한 형태의 다목적 프레임 모듈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모듈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로 천이나 비닐 막을 결합시켜 해당면의 물리적 시각적 차단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모듈은 프레임 모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며, 폭방향으로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모듈은 테두리 부재와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부재는 제1 테두리 부재와 제2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며,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커버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제1 테두리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부재는 제11 테두리 래크 부재, 제12 테두리 래크 부재, 제1 테두리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테두리 래크 부재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커버 멀티 연결부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각각 내부가 빈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12 테두리 래크 부재는 제11 테두리 래크 부재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길이 조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12 래크 부재는 각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4면에 길게 홈이 파인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래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고정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11 테두리 래크 부재와 제12 테두리 래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단속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래크 고정부재는 노브형 볼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테두리 부재는 제2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커버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래크면의 제2 테두리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테두리 부재는 제21 테두리 래크 부재, 제22 테두리 래크 부재, 제2 테두리 래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테두리 부재의 내측에서 폭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구비하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을 절단 후 절곡하여 각관의 일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제1 커버 부재, 제1 커버 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커버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되는 제2 커버 부재, 길이 조절된 제1 커버 부재와 제2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모듈의 커버 멀티 연결부재는 제1 테두리 부재와 제2 테두리 부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커버 프레임 모듈의 커버 멀티 연결부재는 테두리 조인트 본체, 제1 테두리 부재와 결합되는 제1 테두리 조인트 결합부, 제2 테두리 부재와 결합되는 제2 테두리 조인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모듈의 커버 멀티 연결부재는 일면에 철판이 구비되어 자석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모듈의 외부를 덮는 커버 프레임 모듈은 2차원 평면을 형성하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임의적 크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알루미늄 봉재나 각재가 삽입되는 알루미늄 가이드 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체를 스프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 연결체를 모서리 프레임의 안쪽에 만든 슬릿에 결합시켜 필요한 길이만큼 잡아 당김으로써 길이를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내부 슬라이딩 봉재나 각재를 빼거나 넣어 길이 조절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은 임의크기로 변형 가능한 골조용 프레임 모듈인 C형 프레임 모듈과 X형 프레임 모듈, 그리고 커버 프레임 모듈의 조립과 해체, 그리고 3축 방향에서 해당되는 프레임 모듈의 선택적인 길이 조절과 각도 조절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옥내외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유닛으로 일정 범위 내 원하는 크기나 형태의 의자나 소형 탁자, 물품보관 박스 등을 형성하거나 다수의 3축 방향 확장가능 구조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침대, 책장, 캐비넷, 회의 테이블, 전시를 위한 파티션벽, 씽크대 밑받침, 프로젝터 받침대, 조명이나 디스플레이 설치용 벽면 등 다양한 가구, 기구설치 프레임들로 조립되고 해체되어 또 다른 형식이나 기능의 구조 프레임으로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3축 방향 확장가능 구조 프레임 유닛들은 모두 크기를 최소화한 후 해당되는 부재들을 접어서 2차원 평면상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크기 조절한 후 이들을 차곡차곡 정렬하여 공간을 최소한으로 점유하는 방식으로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골조용 프레임 모듈과 커버 프레임 모듈은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선택적인 길이 조절과 각도 조절을 통해 최소부피로 보관이 가능하며, 휴대나 이동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옥내외 행사들의 지원이 가능한 가변형 JIT(Just In Time)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다형적 시설 구축이 가능하도록 골조 프레임 모듈과 커버 프레임 모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필요 장비 소품을 모듈 구조에 결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유휴공간에 효율적으로 패키징된 프레임 모듈 세트를 항시 구비해 보관함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이며 낮은 유지보수 비용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은 손쉬운 조립방식과 제공된 간단한 메뉴얼을 통해 성인 누구나 자신의 목적에 맞게 설계 및 해체할 수 있고, 고비용의 설비전문업체를 선별하여 전문가에 의한 설치 및 해제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간 이용의 부담을 줄여 유휴부지의 사용 빈도와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은 3축 방향 확장 가능 골조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최소 길이의 2배에 가까운 길이만큼 확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의 평면 프레임을 형성하는 X형 제1 래크 프레임 부재와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에 각각 대응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접어서 수평으로 밀착 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직육면체나 정육면체의 골조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C형 프레임 모듈간의 결합과 커버 프레임 모듈의 결합을 조합하여 좀 더 다양한 종류의 가구 아이템이나 기구 설치를 위한 골조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형 프레임 모듈은 커버 프레임 모듈과 결합하여 대표적인 가구 아이템인 의자를 구현할 수 있다. C형 프레임 모듈에서 각변 길이 50cm의 정육면체로부터 x, y, z 3 방향으로 모두 1m 이내의 길이로 크기 및 형태 변환이 가능하며 C형 프레임 모듈은 커버 프레임 모듈의 적절한 조합과 결합을 통하여 일상생활이나 옥내외 행사 등에 필요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가구 아이템이나 기기 설치 프레임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C형 프레임 모듈을 수평 연결하고 커버 프레임 모듈을 결합하여 벤치나 탁자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C형 프레임 모듈을 수직 기둥형 구조물들로 구현하는 경우 커버 프레임 모듈과 칸막이 패널을 결합하면 서가나 캐비닛 등 다양한 구조물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탁자는 대략 70cm 높이에 최소폭 50cm 내지 80cm 정도까지 조절 가능하며, 캐비닛이나 수납대 등도 50cm 내지 80cm 정도의 길이 조절로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은 가변형 구조 프레임을 3축 각방향 모두에서 최소 길이로 축소한 후 접어서 최소 두께의 사각형 평면형태로 압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피축소로 구조 프레임 유닛들의 이동과 저장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X형 프레임 모듈을 이용하면 다양한 가구 아이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크기 및 형태 변경이 가능한 육면체형 구조 프레임 유닛 들의 결합과 이들 결합된 구조 프레임의 특정 표면 덮개나 칸막이 표면을 조합하여 의자, 테이블, 침대 프레임, 서가, 옷장, 캐비닛 등의 다양한 가구 아이템들을 만들어 사용 후 필요한 경우 해체하여 또 다른 형태와 용도의 가구 아이템으로 재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양한 기구설치 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옥내외 행사나 임시 시설물의 구성시 필요한 조리대, 식수대, 조명설치 벽체, 전시벽면, 스피커 어레이 설치용 프레임, 임시 텐트 프레임 등 다양한 기구설치용 프레임들을 조립하여 구성하고 사용 후 해체하여 또 다른 구조 프레임으로 재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X형 프레임 모듈들을 결합하면 전시를 위한 파티션이나 낮은 무대 프레임 등 큰 구조물이나 지면에서의 높이가 낮은 단과 같은 낮은 설치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전시를 위한 파티션 같이 세정비가 큰 설치물을 구성하는 경우, 전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X형 프레임 모듈의 최하단부 프레임이 지면에 닿는 부분에는 X형 프레임 모듈의 결합체가 형성하는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종의 지지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조인트 결합이 가능하게 X형 제2 래크 프레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Claims (1)

  1.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각각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선택적으로 가변 조절되어 입체 구조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모듈은 제1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제1 테두리 골조를 형성하는 제1 래크 프레임 부재, 제2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멀티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래크면의 제2 테두리 골조를 형성하는 제2 래크 프레임 부재, 그리고 제3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구조를 갖고 적어도 두 쌍이 각각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서포트 골조를 형성하는 서포트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KR1020200118010A 2020-09-14 2020-09-14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KR20220035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10A KR20220035809A (ko) 2020-09-14 2020-09-14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010A KR20220035809A (ko) 2020-09-14 2020-09-14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809A true KR20220035809A (ko) 2022-03-22

Family

ID=8098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010A KR20220035809A (ko) 2020-09-14 2020-09-14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58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028B1 (ko) 다목적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CN110536623A (zh) 模块化家具***
US3428108A (en) Panel connector
US3426913A (en) Structural system and components
AU2010235388B2 (en) Portable assembly-type flat bench
US4986016A (en) Folding display frame with offset hub configuration
US6854238B2 (en) Structural connection system for frameworks
US20130129405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5014861A (en) Modular system for setting up furniture, racks, frameworks and the like
EP1367920A4 (en) STORAGE SHELF MODULE
US20050223665A1 (en) Room divider system for an exhibition booth
WO2013182997A1 (en) Building unit and modular unit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such building units
KR20220035809A (ko) 다목적 사용 가능한 가변형 프레임 모듈 시스템
US9039106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base and modular applications including armchairs, tables, and storage cabinets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GB2510532A (en) Supporting device for a furniture device, in particular for a partition
CN102599736A (zh) 一种多功能的魔术式组合家具及其使用方法
WO1994004771A1 (de) Flexibles, universelles holzbauelement, insbesondere zur errichtung von raumzellen und montagemöbel
KR20190143687A (ko) 조립식다용도상자프레임
US20020178670A1 (en) Modular sectional structure
JP7129817B2 (ja) 組立式のテーブル
RU93242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3080107U (ja) 組み立て式フェンス
US20240026679A1 (en) Fast built assembled wall
KR200198518Y1 (ko) 제품진열 및 전시용 접철 방식의 조립식 공간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