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127A -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 Google Patents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127A
KR20220030127A KR1020200111941A KR20200111941A KR20220030127A KR 20220030127 A KR20220030127 A KR 20220030127A KR 1020200111941 A KR1020200111941 A KR 1020200111941A KR 20200111941 A KR20200111941 A KR 20200111941A KR 20220030127 A KR20220030127 A KR 20220030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tank
tank body
cas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준
심상구
김성진
방상우
조안호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127A/ko
Priority to CN202180050805.5A priority patent/CN115943117A/zh
Priority to US18/040,568 priority patent/US20230278848A1/en
Priority to PCT/KR2021/008520 priority patent/WO2022050550A1/ko
Publication of KR2022003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78Ingredient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67D1/0892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being stored in a rack or sh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2Gas pressure control means, e.g. for maintaining proper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12Ins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탱크몸체; 상기 탱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발포용 케이스; 및 상기 탱크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발포용 케이스 사이의 발포공간에 발포제가 유입된 후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 단열재는 발포를 통해 상기 탱크몸체 및 발포용 케이스와 일체화되며, 상기 발포용 케이스는 상기 탱크몸체를 둘러싸는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혀지는 구조를 갖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Tank Having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단열재와 탱크몸체가 일체화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의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를 가지며, 이온수기나 연수기 등도 넓은 의미에서 정수기에 속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온수 및/또는 냉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그 내부에 가열장치 및/또는 냉각장치(냉수생성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냉수생성부는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직접 증발관(증발기)에 의해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탱크 냉각방식을 사용하거나, 빙축조의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증발기)과 정수가 유동하는 냉수관을 설치한 후 빙축조에 수용된 빙축액을 증발관(증발기)에 의해 냉각하고, 냉각된 빙축액 또는 빙축얼음과 냉수관을 흐르는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관을 통하여 냉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빙축 냉각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증발관(증발기)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와 연결되어 냉각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냉수생성부에 구비되어 차가운 물(정수 또는 빙축액)을 수용하는 냉각탱크는 온도가 낮으므로 외부와 열교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탱크몸체의 표면에 결로(응결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공기 중의 곰팡이 포자 등에 의해 탱크몸체의 표면에 곰팡이가 쉽게 성장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보냉 성능 및/또는 결로방지 성능 확보를 위하여 탱크몸체의 표면에 단열재(보냉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열재는 탱크몸체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EPS(Expandable Poly-Styrene, 스티로폼) 등으로 별도로 제조되어 냉각탱크 표면에 부착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EPS 단열재의 경우에는 별도로 제조되어 탱크몸체에 부착되므로 냉각탱크와 EPS 단열재 사이에 외부 공기가 침투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므로 단열성능(보냉성능)이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탱크몸체 표면에 결로(응결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결로 부분에 외부 공기가 침투하여 곰팡이가 증식하기 쉬운 환경이 될 수 있다.
이러한 EPS 단열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탱크몸체의 표면에 발포단열재를 직접 형성하는 누드 발포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022775호는 냉수탱크 조립체를 발포 지그에 투입한 후 발포공정을 진행하여 냉수탱크 조립체의 외주면에 폴리우레탄 재질의 발포 단열재를 형성하는 누드 발포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누드 발포 공정은 발포 단열재가 발포 지그의 표면(또는 발포 지그 표면에 구비된 비닐)와 냉수탱크 조립체 사이에 형성되므로 발포면이 깨끗하지 않고, 발포면을 사상하는 작업이나 비닐을 제거하는 작업 등 후처리 작업에서 발포가루가 많이 발생하여 불순물인 발포가루가 탱크 내부로 잔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누드 발포 공정은 발포 단열재가 공기 중에 바로 노출되므로 발포 단열재에 형성된 미세한 기공을 통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누드 발포 공정에 의한 발포 단열재는 기공에 곰팡이가 증식하는 경우 곰팡이의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곰팡이가 발포 단열재의 기공을 통해 발포 단열재의 내부로 계속 확산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위생상의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누드 발포 공정에 의하는 경우 발포 단열재에 곰팡이 등이 증식할 수 있는데, 정수기와 같이 사용자가 음용하는 음용수를 저장하는 장치에서 곰팡이의 증식은 위생상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KR 2017-002277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결로성능 및 단열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곰팡이 등의 증식을 차단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형상이 복잡한 탱크몸체에 대해서도 단열재를 일체화할 수 있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발포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미발포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제작이 용이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외부면의 청소가 용이하고 결로(응결수)의 제거가 용이한 냉각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탱크몸체 및 단열재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탱크몸체; 상기 탱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발포용 케이스; 및 상기 탱크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발포용 케이스 사이의 발포공간에 발포제가 유입된 후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 단열재는 발포를 통해 상기 탱크몸체 및 발포용 케이스와 일체화되며, 상기 발포용 케이스는 상기 탱크몸체를 둘러싸는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혀지는 구조를 갖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결로성능 및 단열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곰팡이 등의 증식을 차단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정수기 내부의 부식/오염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형상이 복잡한 탱크몸체에 대해서도 단열재를 일체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포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미발포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한 구조를 갖는 탱크몸체에 대해서도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면의 청소가 용이하고 결로(응결수)의 제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몸체 및 단열재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를 구성하는 발포용 조립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의 하면도.
도 4는 도 2에서 탱크몸체의 형상 확인이 가능하도록 발포용 케이스를 반투명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전개된 형상의 발포용 케이스가 탱크몸체를 덮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탱크몸체의 형상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개된 형상의 발포용 케이스를 반투명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에서 탱크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탱크몸체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에서 발포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발포용 케이스의 전개도.
도 10a는 도 9에서 제 5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b는 도 9의 V1 방향에서 바라 본 정면도.
도 11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발포용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 단면확대도, V2 방향의 정면도.
도 12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발포용 조립체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의 얼음추출구 부분의 확대 사시도, C-C'선에 따른 단면도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E-E' 선에 따른 발포용 조립체의 단면도.
도 15는 도 1의 F-F'선에 따른 발포용 조립체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7은 발포제가 투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발포용 조립체의 반투명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0은 발포용 조립체에 발포제가 투입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반투명 사시도.
도 21은 발포용 조립체에 발포제가 투입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 반투명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의 제품을 도시한 사진.
도 23은 도 22의 사각박스 부분의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
도 1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는 탱크몸체(110), 발포용 케이스(130) 및 발포 단열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탱크몸체(110)와 발포용 케이스(130)는 서로 결합되어 발포제(도18의 FA)가 투입되기 전에 발포용 조립체(101)를 형성하게 된다.
도 1 ,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탱크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탱크몸체(110)는 정수를 수용하는 물저장공간(112)이 형성된 저장탱크부(111)와,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저장공간(116)이 형성된 얼음저장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저장탱크부(111)는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탱크몸체(110)는 물저장공간(112)과 얼음저장공간(116)을 구획하는 격벽부재(119)를 구비할 수 있다. 얼음저장부(115)는 얼음이 추출되는 얼음추출구(11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탱크몸체(110)의 개방된 상부 측에는 탱크 테두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탱크 테두리부(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몸체(110)는 발포용 케이스(130)가 덮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EX)를 갖는다. 이러한 노출부(EX)는 얼음추출구(117)뿐만 아니라, 탱크몸체(110) 내외로 물이 유동하는 물유동구, 온도센서나 수위센서 등과 같은 각종 전장부품 설치를 위한 부분, 탱크몸체(110)를 정수기의 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탱크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는 탱크커버(미도시)가 덮힐 수 있다. 또한, 얼음추출구(117)에는 얼음추출을 위한 모터, 스크류 부재 및 드레인 구조물이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발포용 케이스(130)는 탱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탱크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는 탱크커버에 의해 덮이는 구조를 가지므로, 발포용 케이스(130)는 탱크몸체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탱크몸체(110)가 육면체에 대응하여 상면과 하면 4개의 측면을 갖는 경우 발포용 케이스(130)는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을 덮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발포용 케이스(130)는 발포용 케이스(130)는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을 둘러싸도록 5면에 각각 대응하는 5개의 부분(P1, P2, P3, P4, P5)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부분(P1, P2, P3, P4, P5)은 탱크몸체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가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혀지므로 탱크몸체(110)의 각 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탱크몸체(110)가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발포용 케이스(13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장탱크부(111)와 얼음저장부(115)가 결합된 상태와 같이 탱크몸체(110)가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발포용 케이스(13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개도 형상의 발포용 케이스(130)는 프레스 등을 이용한 포밍공정(성형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개도 형상의 발포용 케이스(130)는 성형이 용이함과 동시에 접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PET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표면의 청소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발포용 케이스(130)의 표면에 결로(응결수)가 발생하거나 곰팡이 등 오염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며, 발포용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하는 발포 단열재(150)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발포용 케이스(130)의 두께는 0.5~1.5mm 사이의 범위(예를 들어, 1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힘선(FL)을 기준으로 접혀져 도 8과 같이 입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혀진 상태에서 발포용 케이스(130)의 각각의 부분(P1, P2, P3, P4, P5)이 중첩되는 경계선(BL) 부분에는 테이프와 같은 접합부재(도 22 및 도 23의 T)가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접합부재가 부착되어야 하는 부분을 화살표로 지시하고 있다. 발포용 케이스(130)는 발포 작업이 이루어질 때 발포 지그에 의해 그 외부면의 변형이 제한되므로 접합부재(T)는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포용 케이스(13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접합력을 제공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접합부재(T)는 경계선(BL) 부분에 부착되는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T)는 경계선(BL) 부분에 도포되는 접착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발포용 케이스(130)에는 탱크몸체(110)의 노출부(EX)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부(EX)에 각각 대응하여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용 케이스(130)에는 관통홀(H)과 노출부(EX) 사이 또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단부와 탱크 테두리부(120) 사이로 발포제(FA)가 누출되지 않도록 단턱(PR)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PR)은 발포용 케이스(130)로부터 탱크몸체(110)를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발포용 케이스(130)는 복수의 부분(P1, P2, P3, P4, P5) 중 적어도 일부가 분할되어 제작된 후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추출구(117)에 대응하는 제5 부분(P5)은 그 구조 및 형상이 복잡하므로 별도로 제작된 후 나머지 부분(P1, P2, P3, P4)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5 부분(P5)과 나머지 부분(P1, P2, P3, P4)의 결합에도 테이프와 같은 접합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사출 공정은 복잡한 형상을 비교적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복잡한 형상의 제조에 용이하므로, 별도로 제작된 부분(예를 들어, P5)은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제작된 부분의 제조에는 PE, LDPE, PP 등의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출공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별도로 제작된 부분은 포밍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보다 다소 두꺼운 1.5mm 이상(예를 들어,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포용 케이스(130)가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펼쳐진 전체 면적이 상당히 커지므로 전개도 형상에 대응하는 전체부분을 한꺼번에 포밍공정(성형공정)에 의해 성형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포밍(성형) 가공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포용 케이스(130)의 복수의 부분(P1, P2, P3, P4, P5)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포밍 가공한 후 테이프 등의 접합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포 단열재(150)는 탱크몸체(110)의 외주면과 상기 발포용 케이스(130) 사이의 발포공간에 발포제(FA)가 유입된 후 발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포 단열재(150)는 발포를 통해 탱크몸체(110) 및 발포용 케이스(13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발포제(FA)는 우레탄(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수 있는 발포액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은 통상적으로 아이소사이안산염화합물과 글리콜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구성재료로 하고, 구성성분인 아이소사이안산염과 다리결합제로 쓰는 물과의 반응으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프레온과 같은 휘발성 용제를 발포제(FA)로 섞어서 만드는 발포 제품을 일컫는다. 우레탄 폼은 사용하는 원료 글리콜의 종류에 따라 초연질(超軟質)·연질·반경질(半硬質)·경질 등의 여러 가지 굳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포제(FA)는 우레탄 폼의 형성이 가능하다면 우레탄 폼의 조성, 제조방법 등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에 구비되는 발포 단열재(150)는 우레탄 폼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포 케이스 내부에 탱크몸체(110)를 수용하고 발포 케이스와 탱크몸체(110) 외면 사이에서 균일한 발포를 수행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발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발포용 케이스(130)에는 발포제(FA)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136)와, 발포과정에서 발포 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AE)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입구(136)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주입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탱크몸체(110)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 발포제(FA)가 발포공간에 충분히 유입되어 발포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복수의 주입구(13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주입구(136)는 탱크몸체의 6면 중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몸체(110)의 하면에 대응하는 제1 부분(P1)과 제5 부분(P5)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구(136)는 완전히 절개되어 형성된 통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구(AE)는 탱크몸체의 6면 중에서 주입구(136)가 형성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몸체(110)의 하면에 대응하는 제1 부분(P1)에서 발포제의 충진이 가장 늦게 발생하는 영역(도 19 및 도 20 참조)에 공기배출구(AE)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구(AE)는 발포용 케이스(130)에서 형상이 복잡한 부분에 충분한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상이 복잡한 부분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구(AE)는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므로 차단막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공기배출구(AE)를 막을 수 있다. 이때, 차단막 부재는 발포과정에서 발포제(FA)의 누출은 방지하고 공기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부직포 또는 간극이 작은 메쉬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차단막 부재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발포제(FA)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막 부재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발포과정에서 발포용 케이스(130)가 발포지그에 의해 지지되므로 차단막 부재를 발포용 케이스(130)의 외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구(AE)는 대략 4mm~1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공기배출구(AE)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코너(꼭지점) 및/또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보조배출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포용 케이스(130)에 큰 크기의 공기배출구(AE)만 구비되는 경우 발포용 케이스(130)의 코너(꼭지점) 및/또는 모서리에서는 공기유동이 작고 이로 인해 코너(꼭지점) 및/또는 모서리 부분에 미발포 영역(미충진 영역)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포용 케이스(130)의 코너(꼭지점) 및/또는 모서리에 보조배출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보조배출구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발포 과정에서 발포제(FA)가 보조배출구를 통해 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보조배출구는 공기의 배출은 가능하되 발포된 발포제(FA)의 누출은 방지할 수 있도록 직경이 대략 1mm 내외, 바람직하게는 0.3~2.0mm 사이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mm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발포용 케이스(130)와 탱크몸체(110)의 결합 부분 사이에는 발포제(FA)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는 밀봉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구조를 통하여, 발포제(FA)의 발포 과정에서 발포제(FA)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제(FA)의 경화가 완료되어 발포 단열재(150)가 형성된 후 발포용 케이스(130)의 외부면과 발포 단열재(150)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가 전개도 형상을 갖는 경우 복수의 부분(P1, P2, P3, P4, P5)가 접힘선(FL)을 통해 접혀져서 입체형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탱크몸체(100)의 노출부(EX)가 발포용 케이스(130)의 관통홀(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에는 다수의 관통홀(H)이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와 위치가 제각각이므로 모든 관통홀(H)의 크기를 노출부(EX)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차를 고려하여 관통홀(H)과 노출부(EX)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하단의 단면도에서 발포용 케이스(130)의 수직방향 단면부분은 노출부(EX)까지 연결되는 형상을 갖지만, 실제로는 공차를 고려하여 발포용 케이스(130)의 수직방향 단면부분과 노출부(EX) 사이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부(TR)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부(TR)를 통하여 발포제(FA)의 누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11 및 도 12의 우측 상단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부(EX)의 둘레에 연장부(ET)를 형성하고 연장부(ET)에 실링부재(S)를 장착할 수 있는 지지부(SP)를 형성하는 밀봉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SR)는 발포용 케이스(130)에서 탱크몸체(110)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단턱(PR)과 탱크몸체(110)의 지지부(SP) 사이에서 밀봉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링부재(SR)는 PE 등으로 제조되는 폼(foa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효과적인 밀봉을 위하여 넓은 접촉면적을 갖는 형상(예를 들어 사각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폼은 넓은 단면적(예를 들어, 사각 단면)으로 노출부(EX)의 둘레를 감싸는 폐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탱크몸체(110)에 구비되는 노출부(EX)의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사각형, 원형과 각형이 조합된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을 가지므로 실링부재(SR)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포용 케이스(130)의 단턱(PR)과 지지부(SP) 사이에서 노출부(EX)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링부재(SR)로 오링(O-ring)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의 우측 상단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탱크몸체(110)는 개방된 영역에 대응하는 탱크 테두리부(120)를 구비하며, 발포용 케이스(130)는 탱크 테두리부(120)에 형성된 단턱과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도록 탱크몸체(110)를 향하여 돌출된 턱부(PR)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의 턱부(PR)와 탱크 테두리부(120)는 일면에서 서로 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보다 확실한 밀봉을 위하여, 발포용 케이스(130)의 턱부(PR) 부분과 탱크 테두리부(120)이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턱부(PR)에 홈을 갖는 'ㄷ'자 단면을 형성하고 탱크 테두리부(120)에도 홈을 갖는 'ㄷ'자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양자가 서로 이중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추출구(117) 주변과 발포용 케이스(130) 사이에도 밀봉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실링부재(SR)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얼음추출구(117) 전체에 둘러 실링부재(SR)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폼으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SR)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경우에도 적색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폼으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SR)가 설치될 수 있다.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의 제조방법(S100)]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의 제조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의 제조방법(S100)은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안착하는 안착단계(S130), 발포 지그의 전후좌후를 폐쇄하는 부분 폐쇄단계(S140), 발포제(FA)를 주입하는 주입단계(S150), 발포 지그의 상면을 폐쇄하는 상면 폐쇄단계(S170) 및 발포제(FA)가 발포되어 및 경화되는 발포경화단계(S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포용 조립체(101)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10), 발포 지그(미도시)를 개방하는 개방단계(S120), 주입구(136)를 폐쇄하는 주입구(136) 폐쇄단계(S160), 경화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를 후처리 및/또는 검사하는 후처리 단계(S19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포용 조립체(101)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몸체(110)와 발포용 케이스(130)를 결합하여 탱크몸체(110)와 발포용 케이스(130) 사이에 발포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탱크몸체(110)에 구비되는 얼음추출구(117) 등의 노출부(EX)는 발포용 케이스(130)에 구비되는 관통홀(H)을 통하여 발포용 케이스(130)의 외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발포용 케이스(130)와 노출부(EX) 사이에는 실링부재(SR)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발포용 조립체(101)를 준비하는 단계(S110)는 비교적 큰 크기를 갖는 공기배출구(AE)를 차단막 부재를 이용하여 막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 부재는 발포제(FA)의 누출은 방지하고 공기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막 부재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발포과정에서 발포용 케이스(130)가 발포지그에 의해 지지되므로 차단막 부재를 발포용 케이스(130)의 외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발포용 케이스(130)는 복수의 부분(P1, P2, P3, P4, P5) 중 적어도 일부가 탱크몸체(110)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복수의 부분의 경계선(BL)에 해당하는 영역에 테이프 등의 접합부재(T)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발포경화단계(S180)에서 발포용 케이스(130)는 발포 지그에 의해 그 외부면의 변형이 제한되므로 접합부재(T)는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포용 케이스(13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접합력을 제공하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발포 지그를 개방하는 개방단계(S120)는 발포용 조립체(101)가 발포 지그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발포용 조립체(101)가 삽입되는 공간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발포 지그는 발포용 조립체(101)의 외관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형상을 갖도록 복수로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발포 지그의 형상은 발포용 조립체(101)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 및 분할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포용 조립체(101)가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원기둥의 둘레면 및 상하면을 지지하는 형상 및 분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발포용 조립체(101)가 육면체 형상을 갖고 발포 지그가 이에 대응하는 6면 지지구조를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용 조립체(101)가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경우 발포 지그는 발포용 조립체(101)의 전후좌우 및 상하 6면을 지지하도록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개방단계(S120)에서는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발포 지그의 상면을 개방하게 되고 발포 지그의 전후좌우면이 발포용 조립체(101)와 적어도 일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발포 지그의 전후좌우면은 하측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측부분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개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좌우면이 발포용 조립체(101)를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안착하는 안착단계(S130)에서는 발포 지그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안착시키게 된다.
발포용 조립체(101)를 발포 지그에 안착되면 발포 지그의 일부를 폐쇄하는 부분 폐쇄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러한 부분 폐쇄단계(S140)는 개방단계(S120)에서 개방된 발포 지그의 전후좌우면이 발포용 조립체(101)의 전후좌우측 외주면과 접촉하여 발포용 조립체(101)의 전후좌우측 외주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발포경화단계(S180)에서 발포제(FA)의 발포 시 발포용 조립체(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발포용 조립체(101)에 발포제(FA)를 주입하는 주입단계(S150)가 수행된다. 이러한 주입단계(S1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용 케이스(130)의 주입구(136)를 통하여 발포제(FA)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발포제(FA)는 우레탄(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할 수 있는 발포액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은 통상적으로 아이소사이안산염화합물과 글리콜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구성재료로 하고, 구성성분인 아이소사이안산염과 다리결합제로 쓰는 물과의 반응으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프레온과 같은 휘발성 용제를 발포제(FA)로 섞어서 만드는 발포 제품을 일컫는다. 우레탄 폼은 사용하는 원료 글리콜의 종류에 따라 초연질(超軟質)·연질·반경질(半硬質)·경질 등의 여러 가지 굳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폼 성형 방법으로는 원숏법(one-shot method)과 프리폴리머법(prepolymer process)이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 프리폴리머법은 미리 글리콜의 일부와 다이아이소사이안산염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부분중합제)를 만들어 두고, 여기에다 나머지 글리콜·발포제(FA)·촉매 따위를 섞어 발포시키는 방법인데, 발포가 고르기 때문에 발포 단열재(150)로 사용하기에 적합한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포제(FA)는 우레탄 폼의 형성이 가능하다면 우레탄 폼의 조성, 제조방법 등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에 구비되는 발포 단열재(150)는 우레탄 폼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포 케이스 내부에 탱크몸체(110)를 수용하고 발포 케이스와 탱크몸체(110) 외면 사이에서 발포를 수행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발포제(FA)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단계(S150)는 발포 공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양만큼의 발포제(FA)를 발포 공간에 주입할 수 있도록 발포제(FA)의 투입 속도와 압력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발포제(FA) 투입시간(예를 들어, 1.3~1.7초 중에서 선택된 값)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조건에 따라 발포제(FA)의 주입을 수행함으로써 발포 단열재(150)가 일정한 품질(예를 들어, 일정한 밀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경화 완료 후에 발포 단열재(150)의 밀도가 0.065~0.085g/㎤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미발포 영역이 발생하지 않고 단열성능과 결로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발포 단열재(150)의 밀도가 0.065~0.085g/㎤가 되도록 발포제(FA) 투입량과 이에 대응하는 발포제(FA) 투입시간을 설정할 수 잇다.
주입단계(S150)는 우레탄 고압 발포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발포제(FA)의 일 예로서 BILLYOL(RF-334T)와 ECO FOAM-A를 일정한 비율(예를 들어, 1:1.1~1.2)로 혼합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FA)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구(136)를 폐쇄하는 주입구 폐쇄단계(S160)를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발포 공간에 발포제(FA)의 주입이 시작되면 발포 공간에서 발포제(FA)의 발포가 수행되며, 발포제(FA)가 주입구(13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포제 주입이 완료된 후 주입구(136)를 폐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구(136) 폐쇄단계(S160)는 발포용 케이스(130)의 주입구(136) 부분을 막음부재(미도시)로 폐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막음부재(BM)의 일 예로서 용이한 작업 수행을 위하여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막음부재(BM)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입구(136)의 용이한 폐쇄가 가능하다면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주입단계(S150)가 완료된 후, 또는 주입단계(S150)와 주입구(136) 폐쇄단계(S160)가 완료된 후 발포 지그의 상면을 폐쇄하는 상면 폐쇄단계(S170)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면 폐쇄단계(S170) 이후에는 발포제(FA)가 발포되어 및 경화되는 발포경화단계(S180)가 수행된다.
발포 공간에 발포제(FA)의 주입이 시작되면 발포 공간에서 발포제(FA)의 발포가 수행되며, 이에 따라 도 18 내지 도 20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AE)를 통해 발포 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발포경화단계(S180) 단계에서 발포제(FA)가 발포 공간을 완전히 메움으로써 발포되지 않은 미발포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구(AE)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발포용 케이스(130)의 코너 및/또는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보조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발포용 케이스(130)의 코너 및/또는 모서리 부분까지 완전한 발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보조배출구는 공기의 배출은 가능하되 발포된 발포제(FA)의 누출은 방지할 수 있도록 직경이 대략 1mm 내외, 바람직하게는 0.3~2.0mm 사이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mm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발포경화단계(S180)는 발포제(FA)의 발포가 완전히 이루어지고 발포된 폼의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2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원활한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포 지그는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5℃)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포 지그는 개방단계(S120)때부터 후속 공정의 수행까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경화단계(S180)가 완료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후, 경화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를 후처리 및/또는 검사하는 후처리 단계(S190)를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 단계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의 외관을 검사하는 검사작업과, 발포 시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버(burr)를 제거하는 작업과, 사상 및 에어 세척 작업, 그리고 포장 작업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발포용 케이스(130)에는 주입구(136)와 공기배출구(AE)가 구비되므로 이러한 공간을 통해 발포 단열재(150)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입구(136)와 공기배출구(AE)를 실리콘, 핫멜트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메움재를 통해 밀봉하는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100)의 제조방법은 발포용 케이스(130)를 사용하여 발포용 케이스(130)와 탱크몸체(110) 사이에 형성된 발포 공간에 발포제(FA)를 투입하여 발포를 수행하고 발포액의 누수를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발포가루가 탱크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품질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용 케이스(130)를 통하여 발포 단열재(150)가 외부 공간과 완전히 차단되므로 발포 단열재(150)의 내부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포 단열재(150)를 통하여 단열 성능과 결로방지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101... 발포용 조립체
110... 탱크몸체 111... 저장탱크부
112... 물저장공간 115... 얼음저장부
116... 얼음저장공간 117... 얼음추출구
119... 격벽 120... 탱크 테두리부
130... 발포용 케이스 150... 발포 단열재
BL... 경계선 ET... 연장부
EX... 노출부 FL... 접힘선
H... 관통홀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P3... 제3 부분
P4... 제4 부분 P5... 제5 부분
PR... 단턱 S... 실링부재
SP... 지지부 T... 접합부재
TR... 공간부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탱크몸체;
    상기 탱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발포용 케이스; 및
    상기 탱크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발포용 케이스 사이의 발포공간에 발포제가 유입된 후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 단열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 단열재는 발포를 통해 상기 탱크몸체 및 발포용 케이스와 일체화되며,
    상기 발포용 케이스는 상기 탱크몸체를 둘러싸는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후 접혀지는 구조를 갖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용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분할되어 제작된 후 나머지 부분과 결합되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중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부분과 분할되어 제작된 부분은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부분은 포밍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되어 제작된 부분은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중 전개도 형상으로 제작된 부분과 분할되어 제작된 부분은 서로 상이한 두깨를 갖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몸체는 정수가 수용되는 저장탱크부와,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를 구비하는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8.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및
    상기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에서 수용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추출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00111941A 2020-09-02 2020-09-02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KR20220030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41A KR20220030127A (ko) 2020-09-02 2020-09-02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CN202180050805.5A CN115943117A (zh) 2020-09-02 2021-07-05 隔热结构一体式水箱
US18/040,568 US20230278848A1 (en) 2020-09-02 2021-07-05 Tank having integrated insulation structure
PCT/KR2021/008520 WO2022050550A1 (ko) 2020-09-02 2021-07-05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41A KR20220030127A (ko) 2020-09-02 2020-09-02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127A true KR20220030127A (ko) 2022-03-10

Family

ID=8049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41A KR20220030127A (ko) 2020-09-02 2020-09-02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8848A1 (ko)
KR (1) KR20220030127A (ko)
CN (1) CN115943117A (ko)
WO (1) WO2022050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02B1 (ko) * 2023-11-15 2024-02-28 (주)삼양컴텍 전차 및 지상 장비용 블래더 타입의 연료탱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연료탱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75A (ko)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019A (ko) * 2002-07-20 2004-01-31 황영모 냉동고 케이스 제작 방법
JP2009162402A (ja) * 2007-12-28 2009-07-23 Sharp Corp 冷蔵庫
KR102295457B1 (ko) * 2017-04-25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냉수생성모듈
KR102499261B1 (ko) * 2017-05-12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37044B1 (ko) * 2017-10-30 2019-10-28 에임트 주식회사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단열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75A (ko)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02B1 (ko) * 2023-11-15 2024-02-28 (주)삼양컴텍 전차 및 지상 장비용 블래더 타입의 연료탱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연료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43117A (zh) 2023-04-07
US20230278848A1 (en) 2023-09-07
WO2022050550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6122B (zh) 水分配器
CN101341013B (zh) 制造整体弹性支座的方法以及采用该方法获得的支座
KR20220030127A (ko) 단열구조 일체형 탱크
JP5997611B2 (ja) フィルタ要素およびフィルタ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6655069B2 (ja) 枕の製造方法
KR20090005358A (ko) 겔 섹션을 구비한 매트리스 또는 매트리스 패드
KR20210070840A (ko) 냉각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755467B1 (ko) 방수커버가 일체로 성형되는 쿠션구름창의 제조금형
KR20210070842A (ko) 냉각탱크의 제조방법
US20220402681A1 (en) Cooling tank, water purifier having same, and cooling tank manufacturing method
JP2001310613A (ja) 通風路開閉用ド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8910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7380852B2 (ja) 樹脂成形用金型及び貯湯タンク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08258561A (ja) 車両室のためのエア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
CN107923652B (zh) 空调机
CN116872427A (zh) 坐垫加工模具、坐垫加工工艺及坐垫
JPS6219857Y2 (ko)
JPH11105037A (ja) ベントホール取付部材、及びシート用パッド
JPS59974Y2 (ja) クリ−ングユニツトケ−ス
JPH09300941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2098473A (ja) 冷蔵庫の内箱の製造方法
JP6556565B2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
JPH05285965A (ja) 表皮材を有する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21032132A (ja) エアクリーナ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2002221696A (ja)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