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074A -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 Google Patents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074A
KR20220030074A KR1020200111824A KR20200111824A KR20220030074A KR 20220030074 A KR20220030074 A KR 20220030074A KR 1020200111824 A KR1020200111824 A KR 1020200111824A KR 20200111824 A KR20200111824 A KR 20200111824A KR 20220030074 A KR20220030074 A KR 2022003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lade
cooking pot
container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633B1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20011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33B1/ko
Priority to PCT/KR2020/017726 priority patent/WO2022050509A1/ko
Publication of KR2022003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55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09Apparatus of hand held type
    • A47J2043/04436Apparatus of hand held type attachable to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81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pivotable on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는 핸들부; 및 상단이 상기 모터축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되게 결합되고, 하향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재료를 혼합시키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Cooking pot having a stirring function}
본 발명은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자재를 조리하여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조리기구가 사용되며,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르게 익히기 위해서는 주걱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기구로는 직화로 조리되는 타입 혹은 전기를 이용한 타입 등이 포함된다.
이렇듯, 조리되는 음식 중 계속해서 저어주지 않게 되면 용기 바닥에 눌어붙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조리자는 이를 계속해서 주시하면서 주걱과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해서 저어주어야 됨으로 번거로움이 있음은 당연하고, 육체적인 피로도도 상당히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고자, 교반 기능을 갖는 냄비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54035호(2014.05.08.공개)를 살펴보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주걱이 음식물을 용기 내에서 저어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어, 음식물이 용기에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조리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모터 부분이 뚜껑에서 분리되지 않아 세척시 전기적인 부품이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그에 따라 세척이 자유스럽지 못해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 사이즈 혹은 용기 사이즈 별로 전혀 대응하지 못해 한정된 용기 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부분 또한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54035호(2014.05.08. 공개)
본 발명은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는 핸들부; 및 상단이 상기 모터축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되게 결합되고, 하향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재료를 혼합시키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의 하부면과 상기 뚜껑의 상부면은 서로 맞닿아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면과 상기 뚜껑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상기 결합부가 상기 뚜껑에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수평 방향 외측으로 일측이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홈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수용되는 걸림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는 외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미세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의 타측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 홈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 돌기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용기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단에 상기 모터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부 축홈과, 하단에 상기 용기 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축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 축과 상기 복수의 날개 축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날개 날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메인 날개 날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날개 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날개 날은 상기 메인 날개 날보다 더 상부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는 모터를 구비한 핸들부가 뚜껑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용 냄비를 사용한 후, 핸들부를 뚜껑으로부터 분리하여, 뚜껑만 따라 분리 및 세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유지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의 외형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 냄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뚜껑 및 결합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핸들부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서 교반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냄비의 구성 부분 전체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제1 방향(x)은 핸들부를 기분으로 핸들부의 손잡이 부분(310S1)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방향이고, 제2 방향(y)은 제1 방향(x)에 교차하는 방향이고, 제3 방향(z)은 제1, 2 방향(x, y)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의 외형이다.
도 1에서 (a)는 조리용 냄비가 결합된 전체 외형이고, (b)는 (a)에서 핸들부(300)를 들어 올렸을 때,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는 식재료를 조리할 때,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300)가 결합된 뚜껑(200)으로 교반부(400)가 장착된 용기(100)를 덮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300)가 결합된 뚜껑(200)으로 용기(100)를 덮고, 핸들부(300)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누르면, 핸들부(300) 내부에 구비된 모터가 회전하면서 교반부(40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용기(100) 내에 담겨있는 식재료가 섞이면서 교반될 수 있다.
더불어, 조리가 종료된 이후, 도 1의 (b)와 같이, 핸들부(300)를 이용하여 뚜껑(200)을 들어 올리면, 핸들부(30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모터축(350)은 교반부(400)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는 사용자가 용기(100)에 담긴 식재료를 조리할 때, 식재료가 자동으로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핸들부(300)와 뚜껑(200)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교반부(400)와 용기(10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조리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조리용 냄비를 세척할 때에는 사용자는 핸들부(300)와 뚜껑(200)을 서로 분리하고, 교반부(400)와 용기(100)를 서로 분리한 후, 모터가 내장된 핸들부(300)를 제외하고, 뚜껑(200), 교반부(400) 및 용기(10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조리용 냄비는 모터를 구비한 핸들부가 뚜껑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용 냄비를 사용한 후, 핸들부를 뚜껑으로부터 분리하여, 뚜껑만 따라 분리 및 세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유지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 냄비의 핸들부(300), 뚜껑(200), 교반부(400) 및 용기(100)가 서로 분리된 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부(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뚜껑(200) 및 결합부(2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핸들부(300)와 뚜껑(200)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서 교반부(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냄비의 구성 부분 전체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300), 뚜껑(200), 교반부(400) 및 용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및 모터축(3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310)은 핸들부(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a)는 핸들부(300)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b)는 (a)에 도시된 핸들부(300)의 본체 부분(310S1)과 손잡이 부분(310S2)에 대해 제1 방향(x)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c)는 (a)에 도시된 핸들부(300)의 본체 부분(310S1)에 대해 제2 방향(y)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310)은 수직 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본체 부분(310S1)과, 본체 부분(310S1)의 상부에서부터 제1 방향(x)으로 수평 연장되는 손잡이 부분(310S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본체 부분(310S1)에는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터(320)가 구비되고, 본체 부분(310S1)의 하부로 모터축(350)이 돌출되어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모터축(350)은 일단이 모터(3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3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핸들부(300)가 뚜껑(200)에 결합될 때, 모터축(350)이 뚜껑(200)의 관통공(200H)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축(350)은 일례로, 이중으로 구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축(350M)과 제2 모터축(350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터축(350M)은 일단이 모터(320)에 연결되고, 제2 모터축(350S)은 일단이 제1 모터축(350M)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교반부(4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터축(350S)의 타단은 교반부(40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2 모터축(350S)의 회전력이 교반부(400)에 전달되도록 외형이 다각형 형상(예를 들어, 8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2 모터축(350M, 350S)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제1, 2 모터축(350M, 350S)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310)의 손잡이 부분(310S2)에는 모터(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40)와 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33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340) 및 전원 버튼(330)은 도 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및 회로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모터(320)를 구비하고 핸들부(300)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310)은 뚜껑(200)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의 본체 부분(310S1)의 하부에는 결합부(21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또는 체결되기 위한 걸림 돌기(3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 돌기(360)는 하우징(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하우징(310)의 수평 방향인 제2 방향(y)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제2 방향(y)으로 미세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 돌기(360)의 타측의 하우징(310) 내부에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360S)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탄성 부재(360S)가 판스프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뚜껑(2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상부를 덮고, 중앙에 관통공(200H)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핸들부(300)가 뚜껑(200)에 결합될 때, 뚜껑(200)의 중앙에 구비된 관통공(200H)으로 모터축(350)이 삽입되어 뚜껑(20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고, 핸들부(300)가 뚜껑(200)에서 분리될 때, 모터축(350)이 관통공(200H)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300)가 뚜껑(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200)의 상부에는 결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부(210)는 관통공(200H)이 위치한 뚜껑(200)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여, 하우징(310)의 본체 부분(310S1)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210C)을 구비할 수 있고, 도 3의 (a)와 같이, 결합홈(210C)의 바닥면에서 관통공(200H)이 위치한 부분이 개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210)의 하부면은 뚜껑(200)의 상부면에 맞닿아 구비되되, 결합부(210)가 뚜껑(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00)에서 결합부(210)와 맞닿는 면이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 결합부(210)는 뚜껑(200)에 용접 접합 방식 또는 리벳(500) 접합 방식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200)에서 결합부(210)와 맞닿는 면이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경우, 결합부(210)는 뚜껑(200)에 리벳(500) 접합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 외에 결합부(210)는 뚜껑(200)에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결합부(210)가 뚜껑(200)에 리벳(500) 접속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는 뚜껑(200)의 중앙 상부에 뚜껑(200)과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부(210)를 도시한 것이고, (b)는 (a)에 도시된 결합부(210)에서 Y1-Y1 라인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c)는 (a)에 도시된 결합부(210)에서 Y2-Y2 라인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일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0)의 하부면과 뚜껑(200)의 상부면은 서로 맞닿아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210)의 하부면과 뚜껑(200)을 관통하는 리벳(500)을 이용하여, 결합부(210)가 뚜껑(200)에 일체로 접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홈(210C)의 바닥면 형상은 하우징(310)을 형성하는 본체 부분(310S1)의 하단면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본체 부분(310S1)이 결합홈(210C)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310) 본체 부분(310S1)의 하단면은 결합홈(210C)의 바닥면에 맞닿을 수 있다.
아울러, 결합홈(210C) 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300)의 본체 부분(310S1)의 하부면이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310)의 본체 부분(310S1) 하부 부분에 구비된 걸림 돌기(360)가 수용되는 걸림 홈(210R)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본체 부분(310S1)이 결합홈(210C)의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걸림 돌기(360)가 결합홈(210C) 측면에 구비된 걸림 홈(210R)에 삽입되어, 핸들부(300)가 결합부(2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부(300)을 들어 올리면, 결합부(210)에 일체로 형성된 뚜껑(200)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더불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0)의 걸림 홈(210R)에는 외부로부터 걸림 홈(210R)을 관통하여 수평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걸림 돌기(360)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210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결합부(2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해제 버튼(210B)을 눌러, 걸림 돌기(360)를 하우징(310) 내측으로 수평 이동시켜, 걸림 돌기(360)가 걸림 홈(210R)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핸들부(300)를 들어 올려, 핸들부(300)가 결합부(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300)가 뚜껑(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교반부(400)는 식재료를 조리하는 동안 용기(100)에 수용된 식재료를 혼합 및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400)는 식재료를 조리하는 동안 용기(100) 및 핸들부(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리용 냄비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모터축(350) 및 용기(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부(400)는 하단이 용기(100)의 바닥면에 구비된 용기 돌기(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핸들부(300)에 구비된 모터축(3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교반부(400)는 회전축(410)과 교반 날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10)은 상단이 모터축(350)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되게 결합되고, 하단이 용기(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위치한 용기 돌기(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410)의 상단에는 모터축(350)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부 축홈(410UH)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410)의 하단에는 용기 돌기(110)가 삽입되는 하부 축홈(410BH)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축홈(410UH)의 평면 형상은 모터축(350)의 외형에 구비된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축홈(410UH)의 평면 형성은 제2 모터축(350S)의 외형 형상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축홈(410BH)의 평면 형상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축(350)을 통하여 회전축(410)에 회전력이 전달될 때, 회전축(410)은 용기 돌기(1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100)의 바닥면 중앙에 용기 돌기(110)가 구비되고, 회전축(410)의 하단에 하부 축홈(410BH)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기(100)의 바닥면에 용기 돌기(110) 대신 함몰홈이 구비되고, 회전축(410)의 하부에 용기(100)의 바닥면에 구비된 함몰홈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교반 날개(4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에 일체로 형성되되, 회전축(410)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410)이 회전함에 따라 식재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교반부(400)를 상부, 하부 및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도 7의 (a)는 용기(100)에 교반부(400)가 결합된 형상을 상부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도 7의 (b)는 핸들부(300), 뚜껑(200), 교반부(400) 및 용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100)의 내부를 바라본 형상이다.
이와 같은 교반 날개(420)는 회전축(41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 축(421)과 복수의 날개 축(421)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날개 날(423)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 및 도 7에서는 날개 축(421)이 2개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날개 축(421)이 3개 또는 4개인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날개 날(423)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이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메인 날개 날(423)은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반 날개(420)는 복수의 날개 축(421)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날개 날(4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날개 날(425)은 회전되는 전면의 폭이 좁고 배변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날개 날은 메인 날개 날(423)보다 더 상부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교반부(4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의 하부에 보조 교반부(430)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조 교반부(430)는 보조 교반부(430)의 중심은 회전축(410)의 하부 축홈(410BH)에 삽입되되, 하부에 용기 돌기(110)가 삽입되는 함몰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연장된 끝부분이 날개 축(421)의 끝 부분이 교반 날개(420)의 날개 축(421)을 관통하여, 교반 날개(420)에 결합될 수 있다.
용기(100)는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냄비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양단에는 용기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된 용기 돌기(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 돌기(110)는 교반부(400)에 포함된 회전축(410)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돌기(110)는 교반부(400)가 용기 돌기(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조리용 냄비는 핸들부(300), 뚜껑(200), 교반부(400) 및 용기(100)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의 (a)는 핸들부(300)의 손잡이 부분(310S2)이 연장되는 제1 방향(x)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제2 방향(y)으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조리용 냄비는 사용되는 동안, 핸들부(300)가 뚜껑(200)에 결합되고, 교반부(400)의 회전축(410)에 구비된 하부 축홈(410BH)은 용기(100)에 구비된 용기 돌기(110)에 결합되고, 교반부(400)의 회전축(410) 상부에 구비된 상부 축홈(410UH)은 핸들부(30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모터축(3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축(35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은 모터축(350)과 회전축(410)을 통하여 교반부(400)의 교반 날개(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조리가 종료된 이후, 사용자가 핸들부(300)의 손잡이 부분(310S2)에 구비된 전원 버튼(330)을 눌러 교반 날개(42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핸들부(300)를 들어 올리면, 조리용 냄비는 도 1의 (b)와 같이,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핸들부(300)의 본체 부분(310S1)에 구비된 해제 버튼(210B)을 눌러 핸들부(300)를 뚜껑(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교반부(400)를 들어올려, 용기(100)로부터 교반부(400)를 분리하여, 조리용 냄비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용기 110: 용기 돌기
200: 뚜껑 210: 결합부
300: 핸들부 310: 하우징
320: 모터 330: 전원 버튼
340: 전원부 350: 모터축
360: 해제 버튼 400: 교반부
410: 회전축 420: 교반 날개

Claims (13)

  1.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뚜껑;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모터축을 포함하는 핸들부; 및
    상단이 상기 모터축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되게 결합되고, 하향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재료를 혼합시키는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형성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하부면과 상기 뚜껑의 상부면은 서로 맞닿아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면과 상기 뚜껑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상기 결합부가 상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수평 방향 외측으로 일측이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홈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수용되는 걸림 홈이 구비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외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미세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의 타측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 홈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 돌기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이 더 구비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버튼이 더 구비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용기 돌기를 구비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단에 상기 모터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부 축홈과,
    하단에 상기 용기 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축홈을 구비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 축과 상기 복수의 날개 축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날개 날을 구비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날개 날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날개 날을 구비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 날은 상기 메인 날개 날보다 더 상부 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는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1020200111824A 2020-09-02 2020-09-02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102440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24A KR102440633B1 (ko) 2020-09-02 2020-09-02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PCT/KR2020/017726 WO2022050509A1 (ko) 2020-09-02 2020-12-07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24A KR102440633B1 (ko) 2020-09-02 2020-09-02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074A true KR20220030074A (ko) 2022-03-10
KR102440633B1 KR102440633B1 (ko) 2022-09-06

Family

ID=8049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24A KR102440633B1 (ko) 2020-09-02 2020-09-02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0633B1 (ko)
WO (1) WO202205050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KR20120091791A (ko) * 2011-02-10 2012-08-20 조동순 내용물 혼합식 저장용기의 뚜껑
KR101215123B1 (ko) * 2012-06-18 2012-12-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40054035A (ko) 2011-07-13 2014-05-08 세브 에스.아. 착탈식 부속품과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손잡이를 구비한 주방용품
KR20150052545A (ko) * 2013-11-06 2015-05-14 이준성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238A (ja) * 2003-08-08 2005-03-03 Eiko Enterprise Co Ltd 鍋及び撹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KR20120091791A (ko) * 2011-02-10 2012-08-20 조동순 내용물 혼합식 저장용기의 뚜껑
KR20140054035A (ko) 2011-07-13 2014-05-08 세브 에스.아. 착탈식 부속품과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손잡이를 구비한 주방용품
KR101215123B1 (ko) * 2012-06-18 2012-12-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50052545A (ko) * 2013-11-06 2015-05-14 이준성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509A1 (ko) 2022-03-10
KR102440633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3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CN111050609A (zh) 具备搅拌功能的烹饪锅盖
KR10207506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JP2012524585A (ja) 手持ち式電気ブレンダーのワンド形装着体
KR2020002289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KR102440633B1 (ko)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2130727B1 (ko) 자동 회전 조리 용기
KR102249510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EP3845101B1 (en) Container with handle for a kitchen appliance
KR20130125027A (ko) 치킨 조리용 자동 교반장치
KR101576207B1 (ko) 복합 교반날개가 구비된 국솥 교반장치
CN210169696U (zh) 一种炒菜器具及集成自动炒菜灶
CN210902564U (zh) 烹饪设备
CN202020685U (zh) 家用半自动中草药煎药器
CN207784954U (zh) 一种翻盖式炉头开合结构及应用该结构的烹饪机
CN208551200U (zh) 电压力锅
KR102249508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CN216932860U (zh) 连接组件和烹饪器具
KR20050003478A (ko) 회전날개가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CN209346771U (zh) 料理机
CN110013182A (zh) 烤盘组件及煎烤机
CN108261113A (zh) 一种食物料理机的搅打控制装置
KR200257741Y1 (ko) 가정용 죽 제조기
KR20220160171A (ko) 교반날개가 결합된 뚜껑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