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148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148A
KR20220029148A KR1020200111125A KR20200111125A KR20220029148A KR 20220029148 A KR20220029148 A KR 20220029148A KR 1020200111125 A KR1020200111125 A KR 1020200111125A KR 20200111125 A KR20200111125 A KR 20200111125A KR 20220029148 A KR20220029148 A KR 20220029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lectronic device
housing
display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강재호
김정진
이민성
정익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148A/ko
Priority to EP21864550.5A priority patent/EP4191366A4/en
Priority to PCT/KR2021/010676 priority patent/WO2022050589A1/ko
Publication of KR2022002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48A/ko
Priority to US18/171,937 priority patent/US2023020975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방향 단부에 인접한 제1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롤러의 반경에 따른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유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는 상기 제2 롤러로 유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전자 장치는, 사용될 경우에,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롤러블 타입 전자 장치(rollable type electronic device)(이하 '롤러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블 전자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fitted together)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우징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extendable display)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움직임에 의해 전자 장치가 수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거나, 내부 구동 메카니즘을 통해 자동적 또는 반자동적으로 확장 상태 또는 축소 상태로 천이됨으로서, 디스플레이의 외부로 노출된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넓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 대비 큰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다. 디스플레이가 커질수록 전자 장치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크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휴대용 장치가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접히거나 전자 장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일부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장치는, 휴대시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줄여 우수한 휴대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상을 시청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넓이를 확장하여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가 하우징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롤러에 감기는 방식, 또는 디스플레이를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근접한 일축을 기점으로 폴딩되어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도록 디스플레이의 진행 방향을 180도 전환시키는 방식이 있다.
전자 장치가 하우징의 움직임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진행 방향을 180도 전환시켜 확장 또는 축소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위한 안테나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안테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인 카메라 실장 공간 및 위치에도 제약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상부 및 하부 디스플레이 가동 범위 내에는 추가적인 부품 실장이 어려울 수 있고, 전자 장치의 하우징 후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외부 하중에 취약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일축에 감겨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축에 감기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전자 장치의 두께가 늘어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예: 다관절 구조)의 실장이 실질적으로 어려울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손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방향 단부에 인접한 제1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롤러의 반경에 따른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유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는 상기 제2 롤러로 유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 전자 장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전자 장치 내부에 효율적으로 실장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전자 장치 내부로 인입되더라도 무선 충전 기능이나 NFC 기능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내부로 인입된 디스플레이가 손상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를 가이드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축소된 상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확장된 상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축소 상태의 전자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확장 상태의 전자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관절 힌지를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바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관절 힌지의 양단과 결합하는 가이드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5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다관절 힌지의 중앙부와 결합하는 가이드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5의 II-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에 장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11의 (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11의 (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력 밴드가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관절 힌지의 마지막 바에 포함된 이중 구배 구조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1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의 바들 사이의 유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제2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의 바들 사이의 유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관절 힌지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다관절 힌지를 도시한다.
도 19는 위치에 따른 다관절 힌지와 보조 다관절 힌지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보조 다관절의 동작을 고려한 다관절 힌지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관절 힌지의 경로를 도시한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어 표시 영역이 축소된 상태의 전자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표시 영역이 확장된 상태의 전자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후면 플레이트(110) 및 사이드 커버(121, 122)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110)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z 방향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1, 122)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 플레이트(110)는 전자 장치(100) 전면(+z 방향의 면)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1, 122) 및 연장부(111)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에 형성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1, 122) 및 후면 플레이트(110)로 정의되는 공간에 전자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82), 또는 인쇄회로기판(181)이 상기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는 상시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부분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고, 해당 부분은 전자 장치(100)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가 확장 상태에 있다는 것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이 전자 장치(100) 외부로 최대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130) 중 외부로 드러난 부분의 크기 또는 면적이 최대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130)가 축소 상태에 있다는 것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이 전자 장치(100) 내부로 최대한 인입되어 디스플레이(130) 중 외부로 드러난 부분의 크기 또는 면적이 최소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는 평면부(도 4a 및 도 4b의 131)(또는 제1 부분)와 평면부(13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벤딩부(도 4a 및 도 4b의 132)(또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31)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항상 노출되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벤딩부(132)는 평면부(131)의 슬라이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132) 중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노출된 부분은 평면부(131)가 하우징에 대해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어 숨겨질 수 있다. 벤딩부(132) 중 내부에 숨겨져 있던 부분은 평면부(131)가 하우징에 대해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인출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드러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평면부(131)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40)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140)는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140)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18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벤딩부(13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다관절 힌지(150)(multi-link 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는 벤딩부(132)의 배면에 부착되고, 벤딩부(132)의 밴딩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는 디스플레이(130)의 높이 방향(도3의 y축)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바들(1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들(151)은 나란히 정렬되어 디스플레이(13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조물(예: 제1 가이드 구조물(160) 및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구조는 다관절 힌지(150)의 움직임을 안내함으로써 다관절 힌지(15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13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의 양단을 일부 수용하여 다관절 힌지(150)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은 가이드 플레이트(161)를 포함하고,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다관절 힌지(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들(151)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홈(16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들 각각은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251)를 포함하고, 돌기(251)는 가이드 홈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다. 돌기(251)가 가이드 홈(162)에 수용됨에 따라 다관절 힌지(150)의 이동 경로는 가이드 홈의 경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관절 힌지(150)는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이며, 이는 디스플레이(130) 중 벤딩부(132)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의 중앙에 배치된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은 다관절 힌지(15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들 각각은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의 가이드 레일에 걸릴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이는 다관절 힌지(150)의 이동 경로 및 디스플레이(13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구조물(170)에서 가이드 레일의 경로는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의 가이드 홈의 경로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의 경로와 가이드 홈의 경로는 이들을 따라 움직이는 다관절 힌지(150)의 이동 경로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일 실시 예에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서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이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슬라이드'는 평면부(131)(또는 평면부(131)가 안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40))의 하우징에 대한 슬라이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높이(세로 길이)는 디스플레이(130)의 y축 방향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130)의 폭(또는 가로 길이)은 디스플레이(130) 중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부분의 x축 방향 길이로 정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확장 또는 축소에 따라 디스플레이(130) 표시 영역의 폭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의 확장 또는 축소는 디스플레이(13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됨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가로로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하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높이 방향(y축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높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130)의 축소 상태 및 확장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최대로 축소된 상태(이하, 축소 상태 또는 제1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0)의 폭은 전자 장치(10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이하, 확장 상태 또는 제2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0)의 폭은 전자 장치(10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평면부(131)가 -x 방향 슬라이드하면, 전자 장치(100) 내부에 숨겨져 있던 벤딩부(132)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의 폭이 커질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평면부(131)가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벤딩부(132)의 일부가 다시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에 설치된 제1 축(191), 및 제2 축(192)을 포함할 수 있다. 두개의 축은 디스플레이(130)의 세로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서로 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축(191)은 전자 장치(100)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되며, 제2 축(192)은 제1 축(191)으로부터 -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change)되는 동안, 벤딩부(132)의 적어도 일부는 1차적으로 제1 축(191)을 중심으로 180도 전환(turn)되고, 2차적으로 제2 축(192)을 중심으로 다시 180도 전환될 수 있다. 제1 축(191)을 중심으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게 되고, 제2 축(192)을 중심으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130)는 다시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가 향하는 방향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이 항하는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벤딩부(13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축(191)을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제1 축(191)을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고,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벤딩부(132)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제2 축(192)이 배치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상태에서 벤딩부(132)는 제1 축(191)을 둘러싸는 제1 부분(133a), 제1 부분(133a)에서 제2 축(192)을 향해 연장하는 제2 부분(133b), 제2 부분(133b)에서 연장하고 제2 축(192)을 둘러싸는 제3 부분(133c), 및 제3 부분(133c)에서 제1 축(191)을 향해 연장하는 제4 부분(13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33a)과 제3 부분(133c)은 곡면을 가지고, 제2 부분(133b)과 제4 부분(133d)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제1 축(191)과 제2 축(192)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1 부분(133a)은 제1 축(191)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전환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부분(133b)은 제1 축(191)을 향해 이동하고, 제1 축(191)을 따라 180도 전환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3 부분(133c)은 제2 축(192)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축(191) 방향으로 이동하고, 및 제1 축(191)을 따라 전환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4 부분(133d)은 제2 축(192)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축(192)을 따라 180도 전환되고, 제1 축(191)을 향해 이동하고, 및 제1 축(191)을 따라 전환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제4 부분(133d)은 제1 축(191)을 따라 완전히 180도 전환되지 않고, 제4 부분(133d)의 일부는 여전히 제1 축(191)의 주변을 감싼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상태에서 벤딩부(132)의 제1 영역(134a)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어 평면부(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벤딩부(132)의 제1 영역(134a)은 제1 부분(133a), 제2 부분(133b), 제3 부분(133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벤딩부(132)의 제1 영역(134a)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벤딩부(132)의 제2 영역(134b)는 제1 축(191)을 감싼 상태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벤딩부(132)의 제2 영역(134b)는 제4 부분(133d)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벤딩부(132)의 제2 영역(134b)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제1 축(191)과 제2 축(192)에서 각각 다른 곡률로 굽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축(191)을 제1 곡률 반경(R1)으로 구부러지고, 제2 축(192)을 제1 곡률 반경(R1)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R2)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에서 제1 부분(133a)의 곡률 반경은 제3 부분(133c)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축(192)을 제1 축(191)보다 작은 반경으로 구부러지므로 전자 장치가 축소 상태인 때, 전면을 향하는 디스플레이(130)와 제1 축(191)을 돌아 후면을 향하는 디스플레이(130) 사이에 제2 축(192)을 돌아 다시 전면을 향하는 부분(예: 제4 부분(133d))이 x축 방향으로는 제1 부분(133a)과 제3 부분(133c) 사이에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는 평면부(131)와 제2 부분(13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축(19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롤러(193), 및 제2 축(19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롤러(193)와 제1 축(19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194)와 제2 축(192)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 및 제2 곡률 반경(R2)는 각각 제1 롤러(193)의 제1 반경 및 제2 롤러(194)의 제2 반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롤러(194)의 제2 반경은 제1 롤러(193)의 제1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 곡률 반경(R1)으로 구부러진 영역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내부로 인입된 디스플레이(130)의 일부는 제2 롤러(194)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가 제1 축(191)과 제2 축(192)을 기준으로 구부러져 이동할 때, 다관절 힌지(150)의 일부는 제1 롤러(193) 및/또는 제2 롤러(194)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다관절 힌지(150) 상에 안착된 벤딩부(132)의 곡률 반경은 제1 롤러(193)와 제2 롤러(194)의 외주 반경과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플레이트(110)는 전면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1)와 제1 롤러(193)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 및 디스플레이(130)에 부착된 다관절 힌지(150)는 상기 갭을 통해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거나, 전자 장치(1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111)는 벤딩부(132) 중 제1 부분(133a)의 일부만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벤딩부(132) 중 제1 축(191)을 감싸는 부분의 일부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x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1 축(191)을 감싸고 있는 벤딩부(132)의 일부가 시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축소 상태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는 디스플레이(130)의 폭(d1)은 전자 장치(100)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130)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소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향하는 디스플레이(130)의 폭(d1)은 전자 장치(100)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130)의 폭(d2)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축(191)과 제2 축(192) 사이 간격(d3)은 전자 장치(100)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130)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191)과 제2 축(192) 사이 간격(d3)은 전자 장치(100)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130)의 폭(d2)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축(191)과 제2 축(192) 사이 간격(d3)은 전자 장치(100)의 폭(d4)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일부가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인입된 부분이 전자 장치(100)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폭 방향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하우징 내에서 디스플레이(13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해당 공간에 무선 충전 코일 또는 NFC 코일 등이 디스플레이(1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80)가 전자 장치(100)의 후면 플레이트(110)를 상당 부분 지지하고, 이는 후면 플레이트(110)와 디스플레이(130) 중 후면을 향하는 부분(예: 제2 부분(133b)) 사이의 충돌로 인한 디스플레이(130) 손상을 방지 또는 줄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를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를 구성하는 바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양단과 결합하는 가이드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도 5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다관절 힌지(150)의 중앙부와 결합하는 가이드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서 도 5의 II-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의 슬라이드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벤딩부(132)의 배면에 부착된 다관절 힌지(150)는 제1 상태에서 제1 롤러(193)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롤러(194)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전환될 때 다관절 힌지(150)는 화살표 방향(A1, A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는 순차적으로 제1 롤러(193)의 일부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축(192)을 향해 이동하고, 및 제2 롤러(194)의 일부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와 상호작용하는 제1 가이드 구조물(160), 및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를 구성하는 각각의 바(151)는 제1 롤러(193) 또는 제2 롤러(194)와 맞닿는 롤러 접촉면(255)(또는 제1 면), 디스플레이(130)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130) 안착면(256)(또는 제2 면), 및 제1 면(255)과 제2 면(256)을 잇는 구배면(257)(또는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바(151)의 구배면(257)은 이웃하는 바의 구배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측 구배면(257a)과 타측 구배면(257b)은 지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256)은 제1 면(255)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구배면들(257a, 257b) 사이의 간격은 제2 면(256)에서 제1 면(255)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를 구성하는 각각의 바(151)는 양단에 길이 방향(즉, y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151)는 중앙부에 롤러 접촉면(255)에서 디스플레이(130) 안착면을 향해 일정 깊이 함몰된 리세스(2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151)는 바(151)의 중앙부에 형성된 후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252)는 리세스(253) 또는 제1 면(255)에서 바(15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즉, z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파트(252a), 및 돌출 파트(252a)의 단부에서 바(151)의 길이 방향(즉,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 파트(252b)로 구현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는 리세스(253), 돌출 파트(252a), 및 연장 파트(252b)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25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은 다관절 힌지(1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은 가이드 홈(162)을 포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양단에 위치된 돌기(251)는 가이드 홈(162)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은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제1 축(191) 및 제2 축(192)을 위한 제1 홀(163), 제2 홀(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191)과 제2 축(192)의 일단은 제1 홀(163)과 제2 홀(164)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 축(191)과 제2 축(192)의 타단은 나머지 가이드 플레이트(161)에 형성된 제1 홀(163)과 제2 홀(164)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지지 부재(18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제3 홀(165) 및 제4 홀(167))을 포함하고, 지지 부재(180)와 제3 홀(165) 및 제4 홀(167) 사이에 체결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5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관절 힌지(150)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251)들은 하나의 가이드 플레이트(161)의 가이드 홈(162)에 수용될 수 있다. 돌기(251)가 가이드 홈(162)에 수용됨에 따라 돌기(251)의 이동 경로는 가이드 홈(162)의 경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관절 힌지(150)는 가이드 홈(162)을 따라 이동하며, 다관절 힌지(150) 상에 부착된 디스플레이(130)의 이동 경로는 가이드 홈(16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162)은 제1 직선부(16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특정 부분이 제1 직선부(162a)에 위치될 때, 상기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30)는 실질적으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40)의 움직임도 제1 직선부(162a)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40)는 가이드 홈(162)에 수용될 수 있는 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직선부(162a)를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140)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40)는 제1 직선부(162a)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40)가 제1 직선부(162a)를 따라 움직이게 해줄 수 있는 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162)은 제1 직선부(162a)의 단부에서 연장하고 제1 축(191)을 중심으로 굽은 제1 곡선부(16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특정 부분이 제1 곡선부(162b)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30)의 방향이 180도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162)은 제1 곡선부(162b)의 단부에서 제2 축(192)을 향해 연장하는 제2 직선부(16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직선부(162c)는 제1 곡선부(162b)의 아래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특정 부분이 제2 직선부(162c)에 위치될 때, 상기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30)는 실질적으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162)은 제2 직선부(162c)의 단부에서 연장하고 제2 축(192)을 중심으로 굽은 제2 곡선부(162d)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특정 부분이 제2 곡선부(162d)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30)의 방향이 180도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곡선부(162d)는 제1 곡선부(162b)보다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곡선부(162b)가 제1 축(191)을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1)을 가질 때, 제2 곡선부(162d)는 제2 축(192)을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1)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r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162)은 제2 곡선부(162d)의 단부에서 제1 축(191)을 향해 연장하는 제3 직선부(162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직선부(162e)는 제2 곡선부(162d)의 위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특정 부분이 제3 직선부(162e)에 위치될 때, 상기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30)는 실질적으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바(151)는 바(151)의 중앙에 위치한 후크(2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의 중앙에 위치된 후크(252)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은 베이스 부재(171) 및 베이스 부재(171)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 부재(171)는 제1 관통홀(173) 및 제2 관통홀(1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191)과 제2 축(192)은 각각 제1 관통홀(173)과 제2 관통홀(174)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은 지지 부재(18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71)는 지지 부재(180)에 체결될 수 있는 관통홀들(175)을 포함하고, 지지 부재(180)는 관통홀들(175)에 대응하는 나사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물의 관통홀들(175)과 지지 부재(180)의 나사홀들에 삽입된 나사에 의해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은 지지 부재(18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중앙에 형성된 후크(252)들은 가이드 레일(17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후크(252) 및 리세스(2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254)에 가이드 레일(172)의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후크(252)가 가이드 레일(17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172)은 제1 직선부(172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172)은 제1 직선부(172a)의 단부에서 연장하고 제1 축(191)을 중심으로 굽은 제1 곡선부(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172)은 제1 곡선부(172b)의 단부에서 제2 축(192)을 향해 연장하는 제2 직선부(17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직선부(172c)는 제1 곡선부(172b)의 아래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172)은 제2 직선부(172c)의 단부에서 연장하고 제2 축(192)을 중심으로 굽은 제2 곡선부(172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곡선부(172d)는 제1 곡선부(172b)보다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곡선부(172b)가 제1 축(191)을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3)을 가질 때, 제2 곡선부(172d)는 제2 축(192)을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3)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r4)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172)은 제2 곡선부(172d)의 단부에서 제1 축(191)을 향해 연장하는 제3 직선부(172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직선부(172e)는 제2 곡선부(172d)의 위쪽 단부에서 -x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에 장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구조물은, 예를 들어, 도 3의 제1 가이드 구조물(160), 제2 가이드 구조물(170) 및 지지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서 도 11의 (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서 도11의 (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서 장력 밴드(320)가 디스플레이(130)에 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310)는 제1 축(191)과 제1 가이드 구조물(16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310)는 정하중 스프링(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정하중 스프링(311)은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진 긴 판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하중 스프링(311)은 최대 하중에 도달한 후 변형된 변위에 관계없이 일정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정하중 스프링(311)의 일단은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의 걸림 돌기(166)에 걸리고, 타단은 제1 축(191) 또는 제1 축(191)에 결합된 제1 롤러(193)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310)는 평면부가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제1 축(191)(또는 제1 롤러(193))을 회전시키는 토크(torque)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하중 스프링(311)은 디스플레이(130)가 축소된 상태에서도 제1 축(191)에 디스플레이(130)를 팽팽하게 해주는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하중 스프링(311)은 제조시에 이미 일정한 하중이 가해진 상태로 제1 롤러(193)와 제1 가이드 구조물(1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장력을 전달하는 장력 밴드(320)(또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력 밴드(320)는 PET(Polyethylene) 시트, PU(polyurethane) 시트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장력 밴드(320)의 일단은 제1 축(191)에 결합된 제3 롤러(195)에 결합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130) 또는 다관절 힌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310)는 제1 축(191)에 토크를 발생시키고, 제1 축(191)은 장력 밴드(32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정하중 스프링(311)은 장력 밴드(32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에 일정 수준의 장력을 제공하며, 장력 밴드(320)는 제1 축(191)을 향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30)를 당겨 디스플레이(130)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력 밴드(320)는 제1 축(191)에 결합된 제3 롤러(195)에 권취되고, 디스플레이(130)가 확장되면 펼쳐지면서 디스플레이(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확장되어 디스플레이(130)의 말단이 이동하더라도 제1 축(191)은 장력 밴드(32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에 장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가 확장된 상태에서 장력 밴드(320)는 디스플레이(130)의 말단에서 제2 축(192)을 향해 연장하고, 제2 축(192)의 일부를 감싸고, 및 제2 축(192)을 기점으로 제1 축(191)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제3 롤러(195)와 디스플레이(130)는 여전히 장력 밴드(32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3 롤러(195)에 작용하는 반시계 방향 토크는 디스플레이(13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130)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롤러(195)와 제1 축(19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롤러(195)는 제1 롤러(193)보다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장력 밴드(320)는 지정된 두께를 가지므로 제3 롤러(195)에 권취된 장력 밴드(320)의 외주면이 제1 롤러(193)의 외주면보다 큰 반경을 가지면 장력 밴드(320)와 다관절 힌지(150) 사이에 간섭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장력 밴드(320)는 제1 부재(33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A' 단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일부에 장력 밴드(320)가 제2 부재(334)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재(334)는 본드 또는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재(330)는 장력 밴드(320) 상에 배치되어 장력 밴드(320)를 디스플레이(130)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재(330)의 중앙부는 장력 밴드(320)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재(330)는 디스플레이(130)와 스크류(333)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부재(330) 중 장력 밴드(320)와 접촉하는 표면(332)은 널링(knurling) 처리될 수 있다. 널링 면(332)은 장력 밴드(320)와 제1 부재(330) 사이에 비교적 높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장력 밴드(320)와 디스플레이(130) 사이의 연결을 더 견고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마지막 바에 포함된 이중 구배 구조를 도시한다.
장력 밴드(320)의 일단이 디스플레이(130)에 부착되면 디스플레이(130) 아래에 배치된 다관절 힌지(150)가 제2 롤러(194)를 지나갈 때 매끄럽게 지나가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가 화살표 방향(A1)을 따라 제2 축(192)에 결합된 제2 롤러(194)로 진입할 때, 제2 롤러(194)와 최초로 닿게 되는 바(152)(이하, 최초-컨택 바)는 다른 바들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최초-컨택 바(152)는 제2 롤러(194)를 향하는 면에 제1 면 (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은 슬라이드면이라고 언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컨택 바(152)는 일측에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제1 면(153)과 제2 면(154)을 가질 수 있다. 최초-컨택 바(152)가 제2 롤러(194)에 진입할 때, 제1 면(153)이 먼저 제2 롤러(194)에 닿고 이는 최초-컨택 바(152)가 화살표 방향(A2)으로 제2 롤러(194)에 부드럽게 안착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6은 제1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의 유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제2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의 유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롤러(193)의 외주면에 배치된 바들(151) 사이의 간격은 제2 롤러(194)의 외주면에 배치된 바들(151)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 롤러(193)의 반경이 제2 롤러(194)의 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다관절 힌지(150)가 제1 롤러(193)를 지날 때 바들(151) 사이의 간격이 제1 롤러(193)를 지날 때 보다 더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193)를 지나는 바들(151) 사이에 생기는 유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롤러와 다관절 힌지(150) 사이에 맞물림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1 롤러(193)를 지나는 바들(151) 사이의 유동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롤러(193)는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부분들(193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 부분들(193a)은 제1 롤러(19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93)의 돌출 부분들(193a)은 제1 롤러(193)를 지나는 바들(151) 사이의 간격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 부분들(193a)이 바들(151)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바들(151) 사이의 간격(d)이 줄어들고, 바들(151) 사이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롤러(193)는 바(151)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들(19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193)는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함몰된 리세스들(193b)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에 제1 롤러(193)를 지나는 바(15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세스들(193b)은 제1 롤러(193)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151)는 리세스(193b)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돌출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들(151)이 제1 롤러(193)를 지나는 동안에는 바(151)의 돌출부(151a)가 제1 롤러(193)의 리세스(193b)에 맞물려 바들(151) 사이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151a)와 리세스(193b)가 쐐기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93b)는 롤러 중심을 향해 벌어지는 구배면(193c, 193d)을 가질 수 있다. 바(151)의 돌출부(151a)는 리세스(193b)의 구배면(193c, 193d)에 대응하는 구배면(151b, 151c)을 가질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의 바(151)가 처음 제1 롤러(193)에 반시계 방향으로 진입할 때, 바(151)의 돌출부(151a)의 C1측 구배면(151b)이 일차적으로 리세스(193b)의 C1측 구배면(193c)에 접촉할 수 있다. 다관절 힌지(150)가 제1 롤러(193)에 반시계 방향으로 더 진입하면 바(151)의 돌출부(151a)의 C2측 구배면(151c)이 리세스(193b)의 C2측 구배면(193d)과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151a)와 리세스(193b)가 쐐기 결합을 하기 때문에 돌출부(151a)가 리세스(193b)에 수용되었을 때 돌출부(151a)는 리세스(193b)로부터 화살표 방향(A)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바(151)가 제1 롤러(193)의 외주를 따라 전환된 후 제1 롤러(193)를 빠져나갈 때 C1측에서 돌출부(151a)와 리세스(193b)가 분리되고, 이후에 C2측에서 돌출부(151a)와 리세스(193b)가 분리된다. 돌출부(151a)와 리세스(193b) 사이에 위와 같은 쐐기 결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제1 롤러(193)를 지나는 동안 디스플레이(130)가 제1 롤러(193)로부터 화살표 방향(A)으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롤러(193)와 다관절 힌지(150) 사이의 구동 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다관절 힌지(350)를 도시한다. 도 19는 위치에 따른 다관절 힌지(150)와 보조 다관절 힌지(35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서 도 18의 Ⅳ-Ⅳ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서 보조 다관절의 동작을 고려한 다관절 힌지(150)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중 다관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중 다관절 구조는 메인 다관절 힌지(150)(또는 제1 다관절 힌지(150))와 보조 다관절 힌지(350)(또는 제2 다관절 힌지(350))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다관절 힌지(150)는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메인 다관절 힌지(150)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61)는 각각의 다관절 힌지(150)를 가이드할 수 있는 제1 가이드 홈(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관절 힌지(150)는 제1 가이드 홈(162)에 의해 안내되고, 제2 다관절 힌지(350)는 제2 가이드 홈(36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62)은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다관절 힌지(350)는, 제1 다관절 힌지(15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보조 바들(351)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들(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돌기들(353)은 제2 가이드 홈(362)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제2 다관절 힌지(350)는 제2 가이드 홈(3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홈(162)의 경로(P1)와 제2 가이드 홈(362)의 경로(P2)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구간(a) 및 제2 구간(b)에서 제2 가이드 홈(362)의 경로(P2)는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에 적어도 일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구간(c)에서 제2 가이드 홈(362)의 경로(P2)는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구간(a)에서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바(151)의 상면들(352)은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의 디스플레이(130) 안착면들(25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간(a)에서는 제1 다관절 힌지(150)와 제2 다관절 힌지(350)가 모두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는 나아가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된 디스플레이(130)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구간(b)에서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은 제1 다관절 힌지(150)에 대해 제1 롤러(193)의 중심을 향해 더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다관절 힌지(350)의 상면들(352)은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디스플레이(130) 안착면들(256)보다 제1 롤러(193)의 중심을 향해 더 이동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은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의 유동을 억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구간(c)에서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은 제1 다관절 힌지(150)에 대해 제1 롤러(193)의 중심을 향해 더 이동하고,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다. 제1 구간(a)이나 제2 구간(b)과 달리,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은 이웃하는 바들(151)과 밀착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은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은 제2 롤러(194)의 외주면에 위치된 경우에도 이웃하는 바들(151)과 사이에 일정한 에어 갭(45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은 이중 구배면을 가질 수 있다. 바들(151)의 측면은 제1 구배면(451)과 제2 구배면(452)을 가지며, 제1 다관절 힌지(150)가 제2 롤러(194)를 감싸는 동안 바들(151)의 제2 구배면들(452)은 서로 밀착되나 제1 구배면들(451) 사이에는 에어 갭(453)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은 제1 다관절 힌지(150)의 에어 갭(453)에 일부 수용될 수 있다.
도 19를 함께 참고하면, 제2 다관절 힌지(350)가 제2 구간(b)에서 제3 구간(c)로 전환될 때 제2 다관절 힌지(350)의 보조 바들(351)은 제1 다관절 힌지(150)의 바들(151) 사이로 삽입되고, 도 20과 같은 구조는 상기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경로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제1 축(191) 및/또는 제2 축(192)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굽힘에 대한 저항력은 곡률 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 디스플레이(130)가 제1 축(191)과 제2 축(192)을 모두 감싸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130) 중 일부에 들뜸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의 경로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구부러지는 부분의 곡률 반경을 가변적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가 제1 경로(P1)를 따르는 경우, 다관절 힌지(150)는 제1 축(191)을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1)으로 구부러지고 제2 축(192)을 중심으로 제2 반경(R2)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다관절 힌지(150)가 제2 경로(P2)를 따르는 경우, 다관절 힌지(150)는 이동 경로가 구부러지면서 제2 롤러(194)의 외주면으로 유도되는 영역(21a)의 곡률 반경이 제1 곡률 반경(R1)에서 제2 곡률 반경(R2)으로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130)의 굽힘에 대한 저항력이 점차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130)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도시된 다관절 힌지(150)의 경로(P1, P2)는 도 5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제1 가이드 구조물(160)의 가이드 홈(162) 및/또는 제2 가이드 구조물(170)의 가이드 레일(17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의 (a)는 카메라와 코일이 배치되는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의 (b)는 도 22의 (a)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의 (c)는 도 22의 (a)의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22의 (d)는 회로와 배터리가 실장되는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의 (e)는 도 22의 (d)의 C-C'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의 (f)는 도 22의 (d)의 D-D'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관절 힌지(150)에 의해 유도되어 내부로 인입된 디스플레이(13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듦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30)에 영향을 받지 않는 카메라 실장 영역(510), 코일 또는 안테나 실장 영역(520), 회로 기판 실장 영역(530) 또는 배터리 실장 영역(5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확보할 수 있다.
카메라 실장 영역(510)은 카메라 모듈(예: 광학계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이 실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코일 또는 안테나 실장 영역(520)은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이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코일이나 안테나가 실장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회로 기판 실장 영역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기판(예: 인쇄 회로 기판)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 실장 영역(540)은 전자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방향 단부에 인접한 제1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롤러의 반경에 따른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유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는 상기 제2 롤러로 유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는 제1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부분의 배면에 부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 및 일면이 상기 제2 부분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면이 상기 제1 롤러 또는 제2 롤러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관절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다관절 힌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들 각각은 양단에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고,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들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걸릴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구조물과 상기 제2 가이드 구조물은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결합되는 장력 밴드 및 상기 제1 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의 외주 반경보다 작은 외주 반경을 가지는 제3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밴드는 상기 제3 롤러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정하중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하중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롤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가이드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장력 밴드는 PET 시트 또는 PU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장력 밴드 상에 배치된 제1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밴드는 상기 제1 부재를 통해 다관절 힌지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들 중 상기 제2 롤러에 처음 닿는 최초 컨택 바는 측면에 제1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초 컨택 바가 상기 제2 롤러에 진입할 때, 상기 최초 컨택 바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제2 롤러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다관절 힌지를 상기 제2 롤러의 외주면으로 유도하는 영역의 곡률이 점차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바들 사이의 갭에 삽입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는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힌지가 상기 제1 롤러를 지날 때,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상기 다관절 힌지의 바들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는 외주면으로부터 회전 중심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힌지의 복수의 바들은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들 사이에 배치된 보조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바는 상기 복수의 바들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바들 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거나 성기 복수의 바들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따.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바들은 상기 제1 롤러를 지날 때 형성되는 이웃하는 바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롤러를 지날 때 형성되는 이웃하는 바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배치되고, 상기 다관절 힌지가 상기 제1 롤러를 지날 때 상기 보조 바는 상기 간격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제1 축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제1 축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무선 충전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제1 폭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방향 단부에 인접한 제1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1 롤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롤러의 반경에 따른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도록 유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는 상기 제2 롤러로 유도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제1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배면에 부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 및
    일면이 상기 제2 부분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면이 상기 제1 롤러 또는 제2 롤러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관절 힌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힌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들 각각은 양단에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고,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안내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바들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걸릴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구조물과 상기 제2 가이드 구조물은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자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결합되는 장력 밴드; 및
    상기 제1 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의 외주 반경보다 작은 외주 반경을 가지는 제3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밴드는 상기 제3 롤러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정하중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하중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 롤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가이드 구조물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밴드는 PET 시트 또는 PU 시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밴드 상에 배치된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밴드는 상기 제1 부재를 통해 다관절 힌지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들 중 상기 제2 롤러에 처음 닿는 최초 컨택 바는 측면에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최초 컨택 바가 상기 제2 롤러에 진입할 때, 상기 최초 컨택 바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제2 롤러에 안착되는, 전자 장치.
  13.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다관절 힌지를 상기 제2 롤러의 외주면으로 유도하는 영역의 곡률이 점차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1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바들 사이의 갭에 삽입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힌지가 상기 제1 롤러를 지날 때,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상기 다관절 힌지의 바들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전자 장치.
  1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외주면으로부터 회전 중심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힌지의 복수의 바들은 상기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힌지는 상기 다관절 힌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들 사이에 배치된 보조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바는 상기 복수의 바들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바들 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거나 성기 복수의 바들로부터 돌출되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들은 상기 제1 롤러를 지날 때 형성되는 이웃하는 바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롤러를 지날 때 형성되는 이웃하는 바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배치되고,
    상기 다관절 힌지가 상기 제1 롤러를 지날 때 상기 보조 바는 상기 간격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전자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제1 축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제1 축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무선 충전 코일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111125A 2020-09-01 2020-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220029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25A KR20220029148A (ko) 2020-09-01 2020-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EP21864550.5A EP4191366A4 (en) 2020-09-01 2021-08-11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PCT/KR2021/010676 WO2022050589A1 (ko) 2020-09-01 2021-08-1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8/171,937 US20230209750A1 (en) 2020-09-01 2023-02-21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25A KR20220029148A (ko) 2020-09-01 2020-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48A true KR20220029148A (ko) 2022-03-08

Family

ID=8049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125A KR20220029148A (ko) 2020-09-01 2020-09-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9750A1 (ko)
EP (1) EP4191366A4 (ko)
KR (1) KR20220029148A (ko)
WO (1) WO202205058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979A1 (ko) * 2022-03-11 2023-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품 배치 공간을 고려한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WO2023182678A1 (ko) * 2022-03-22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340A1 (ko) * 2022-03-3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4088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010253B2 (en) 2020-11-06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3614A1 (en) * 2020-01-29 2022-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support structure for a sliding flexible display
CN111425725A (zh) * 2020-05-21 2020-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屏下支撑结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102252322B1 (ko) * 2015-04-30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3528B1 (ko) * 2016-08-11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9189B1 (ko) *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8259649B (zh) * 2018-02-09 2021-07-3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和控制方法
KR102623425B1 (ko) *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7229B1 (ko) * 2018-07-30 2022-1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23009B2 (en) * 2019-02-12 2021-06-01 Samsung Display Co., Ltd. F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0047385A (zh) * 2019-04-30 2019-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WO2020256183A1 (ko) * 2019-06-19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06598A (zh) * 2019-10-23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11243438B (zh) * 2020-02-07 2022-0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0253B2 (en) 2020-11-06 2024-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3171979A1 (ko) * 2022-03-11 2023-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품 배치 공간을 고려한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WO2023182678A1 (ko) * 2022-03-22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340A1 (ko) * 2022-03-3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4088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589A1 (ko) 2022-03-10
EP4191366A1 (en) 2023-06-07
US20230209750A1 (en) 2023-06-29
EP4191366A4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914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EP3607413B1 (en) Hinged device
EP373494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structure
EP3355159B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11181947B2 (en) Hinge mechanism with integrated slider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US7941192B2 (en) Torsion coil spring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KR101329946B1 (ko) 모바일 디바이스
JP5073563B2 (ja) 筐体相互の連結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EP2728434B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415273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EP2728432A1 (en)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3355155B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11973890B2 (en) Hinge element, hinge, and mobile terminal
US11283911B2 (en) Hinge, folding mechanism, and terminal device
US20220261046A1 (en)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US20230384822A1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0219043A1 (en) Support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2022000732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12933A1 (en) Electronic device
US20130145873A1 (en) Curved spring and slide mechanism
US20220164007A1 (en) Slidable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3852701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205431A (zh) 铰链组件、铰链同步结构及可折叠电子设备
CN114078367B (zh) 电子设备
KR102470325B1 (ko)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