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563A -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 - Google Patents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563A
KR20220024563A KR1020227001340A KR20227001340A KR20220024563A KR 20220024563 A KR20220024563 A KR 20220024563A KR 1020227001340 A KR1020227001340 A KR 1020227001340A KR 20227001340 A KR20227001340 A KR 20227001340A KR 20220024563 A KR20220024563 A KR 2022002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working fluid
bundle
colum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트랑 클로자드
Original Assignee
나발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발 그룹 filed Critical 나발 그룹
Publication of KR2022002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4Distributing or accumulator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4Evaporators with horizon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B01D1/20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2Evaporating by bringing a thin layer of the liquid into contact with a heate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6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hot liquid or hot vapour, e.g. waste liquid, waste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5/00Water-tube boilers of horizontal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horizont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4Distribu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10)에 관한 것으로, 이 증발기는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증발기 본체(11), 고온의 물을 전달하고 증발기 요소를 포함하는 증발기 다발(25), 증발기 다발(25)의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는 스프링클링 시스템, 및 증발기 다발과 스프링클링 시스템을 덮는 케이싱(40)을 포함하고, 배출 영역(55)이 증발기 요소의 단부 칼럼과 케이싱(40) 사이에 형성된다. 증발기(10)는,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를 배출 영역에 모으고 또한 그 작업 유체를 내부 증발기 요소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분배 시스템(29)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
본 발명은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OTEC 플랜트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바다의 표면수와 심수 사이의 온도차를 사용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OTEC 플랜트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작업 유체는 따뜻한 표면수에 의해 증발되어 터빈을 구동시키며, 그 플랜트는 또한 응축기를 포함하고, 이 응축기에서 그 작업 유체는 바다 바닥의 차가운 물로 응축된다.
OTEC 플랜트의 증발기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본체를 가지며, 증발기 다발이 그 본체를 통해 연장된다.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복수의 증발기 요소의 형태로 된 이 증발기 다발은 고온의 물을 증발기를 따라 순환시킨다. 따라서 증발기 요소는 복수의 칼럼을 형성하고, 각 칼럼은 증발기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하측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파이프 및 이 파이프에 장착되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링 시스템이 액체 상태의 작업의 작업 유체를 다발 상으로 뿌리기 위해 그 다발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증발기 본체(당업계에서 쉘로도 알려져 있음)는 피가압 용기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 다발에 의해 증발된 작업 유체를 배출 시스템에 안내한다.
수평 낙하 필름 증발기의 용례에서, 스프링클링 시스템은 배출 시스템 아래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 증발기 다발 상으로 떨어지는 액체 상태의 작업의 유체는 증발 후에 다시 상승하여 배출 시스템으로 가게 된다.
커버(케이싱으로도 알려져 있음)가 일반적으로 제공되어 증기를 배출 시스템 쪽으로 보낸다.
이 케이싱은 스프링클링 시스템 및 증발기 다발을 덮고 그래서 쉘과 함께 증기용 통로를 형성한다.
증발기 다발을 통과할 때, 증발되지 않은 작업 유체는 상측 증발기 요소로부터 하측 증발기 요소로 흐른다.
이 유출은, 증발되지 않은 유체의 유량이 어떤 값을 초과하면 충분히 수직 방향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유출물은 수직 축선으로부터 벗어나고 인접 칼럼의 증발기 요소에 도달한다.
이 현상은 다발의 심부에서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데, 인접하는 편향부들이 서로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부 칼럼으로부터 벗어난 유출물은 케이싱에 도달하고, 이 케이싱에서 유체는 증발되지 않고 흐른다. 이 현상은 플랜트의 작동에 유해한 에지 효과에 대응한다.
에지 효과를 교정하기 위해, 당업계의 일부 방법은 유체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재순환 펌프의 동력 소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동력 소비를 야기함이 없이 에지 효과를 교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그의 대상으로서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를 가지며, 이 작업 유체 증발기는,
-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규정하는 기다란 증발기 본체(횡방향 축선(Y)이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하게 상기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연장되어 있음);
- 고온의 물을 전달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증발기 요소를 포함하는 증발기 다발(증발기 요소는 상기 횡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칼럼을 형성하며, 2개의 다른 칼럼에 인접하는 각 칼럼을 내부 칼럼이라고 하고, 단지 하나의 다른 칼럼에 인접하는 각 칼럼을 단부 칼럼이라고 함);
- 증발기 본체의 상측 부분에서 상기 증발기 다발의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고, 작업 유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액체 상태의 작업의 작업 유체를 상기 증발기 다발 상으로 뿌리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클링 시스템; 및
- 상기 증발기 다발과 스프링클링 시스템을 덮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배출 영역이 단부 칼럼과 케이싱 사이에 형성되고,
증발기는, 액체 상태의 작업의 작업 유체를 상기 배출 영역에 모으고 또한 그 작업 유체를 상기 내부 칼럼 쪽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분배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증발기는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이하의 특징적 사항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재분배 시스템은 복수의 굴곡 시트를 포함하고, 각 시트는 상기 횡방향 축선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굴곡되어 있고 상기 내부 칼럼 쪽으로 향해 있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 각 시트의 제 1 부분은 동일한 시트의 제 2 부분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 각 시트의 상기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 상기 증발기 다발은, 각 단부 칼럼에 인접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시트는 상기 시트를 지지 바아 중의 하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유리하게 제 3 부분은 상기 시트를 대응하는 지지 바아에 걸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 대응하는 시트 금속의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의 반대편에서 제 1 부분의 연장부에 위치되어 있다;
- 케이싱은 각 단부 칼럼에 인접하는 측벽을 형성하며, 각 시트는 케이싱(40)의 측벽 중의 하나에 인접한다;
- 각 시트 금속의 제 1 부분은 케이싱의 대응하는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체적이거나 그 일부분을 형성한다;
- 금속 시트의 제 1 부분은 케이싱의 측벽을 형성한다;
- 각 시트는 증발기 다발의 증발기 요소 전체에 걸쳐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 각 단부 칼럼에 대해, 복수의 시트가 횡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의 앞뒤에 배치되며, 이들 시트의 제 2 부분은 서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이들 특징과 이점은, 비한정적인 예로 주어져 있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개략적인 측면도로, 이 증발기는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보이는 Ⅱ-Ⅱ 단면을 따른 도 1의 증발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사실, OTEC 플랜트를 위한 증발기(10)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증발기(10)는 파이프 증발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수직 플레이트가 예컨대 증발기의 다발의 높이를 형성할 때 플레이트 증발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증발기(10)는 제 1 단부(12)와 제 2 단부(13)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증발기 본체(11)를 갖는다.
제 1 단부(12)에서, 증발기 본체(11)는 제 2 단부(13)를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부분(15) 안으로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부분(14)을 갖는다.
증발기 본체(11)는 예컨대 가압되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쉘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증발기 본체(11)는 원통형 부분(15)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상측 부분(PS)과 하측 부분(PI)을 규정한다.
증발기 본체(11)는 길이 방향 축선(X)에 수직하게 상측 부분(PS)과 하측 부분(PI)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횡방향 축선(Y)을 더 규정한다. 분명히, 이 횡방향 축선(Y)은 길이방향 축선(X)을 포함하는 수평면에 수직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증발기(10)는 스프링클링 시스템(24), 증발기 다발(25), 전달 시스템(26), 배출 시스템(27), 안내 시스템(28) 및 재분배 시스템(29)을 포함한다.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은 증발기 본체(11)의 상측 부분(PS)에 배치되며, 공급 네트워크 및 이 공급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클링 노즐을 포함한다.
특히, 도 1 및 2의 예에서, 공급 네트워크는 복수의 공급 파이프(30)의 형태로 되어 있다.
증발기 본체(11) 내부에서, 각 공급 파이프(30)는 증발기 다발(25)의 위쪽에서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1)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이들 파이프의 부분은 파단선으로 나타나 있고, 본체(11)의 외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더욱이, 도 2의 단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30)는 원호(31) 상에 배치된다. 이 원호(31)는 예컨대 증발기 본체(11)의 각 단부(12, 13)에 배치되는 적절한 지지 수단으로 형성된다.
이 원호(31)의 개구는 예컨대 80°내지 160°이다.
추가로, 공급 파이프(30)는 예컨대 이 원호를 따라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 원호(31)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9개의 공급 파이프(30)가 나타나 있다.
증발기 다발(25)은 복수의 증발기 요소의 형태로 되어 있고, 설명되는 예에서 이 증발기 요소는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본체(11)의 원통형 부분(15)을 통과하는 파이프를 갖는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 요소는 또한 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증발기 파이프는 수천 개이며, 예컨대 3000개이다. 따라서 도 1 및 2의 가독성의 이유로, 이들 파이프는 그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증발기의 다발(25)의 파이프는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횡방향 축선(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칼럼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 칼럼은 2개의 다른 칼럼 또는 단지 하나의 다른 칼럼에 인접한다. 전자의 경우에, 이 칼럼을 내부 칼럼이라고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이 칼럼을 단부 칼럼이라고 한다.
특히, 도 2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 2개의 단부 칼럼이 형성됨이 명백하다.
증발기 다발(25)의 파이프는 물(따뜻한 물, 즉 표면수)을 전달한다. 이 물은 예컨대 도 1의 예에서 증발기 다발(25)에서 주 축선(X)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환한다.
따라서,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을 통해 뿌려지는 작업 유체는 다발(25)의 파 이프와 접촉하면 증발된다.
증발기 다발(25)은, 각 단부 칼럼에 인접해 있고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한다. 이들 지지 바아는 예컨대 횡방향 축선(Y)을 따라 고르게 이격되어 있고, 증발기 다발(25)의 파이프가 증발기 본체(11)에 부착될 수 있게 해준다.
전달 시스템(26)은 증발되지 않은 작업 유체가 예컨대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을 통해 다시 증발기(10) 안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해준다.
이 전달 시스템(26)은 증발기 다발(25)의 아래쪽에서 증발기 본체(11)의 하측 부분(PI)에 배치된다.
배출 시스템(27)은 증발기 다발(25)에 의해 생성된 증기를 배출하고 또한 그증기를 회전용 터빈(미도시)에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배출 시스템(27)은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의 위쪽에서 그래서 증발기 다발(25)의 위쪽에서 증발기 본체(11)의 상측 부분(PS)에 배치된다.
배출 시스템(27)은 예컨대 상측 부분에서 증발기 본체(11)를 통과하는 복수의 채널의 형태로 되어 있다.
안내 시스템(28)은 기체 상태의 작업의 작업 유체를 배출 시스템(27)에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내 시스템(28)은 중심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케이싱(40)을 포함한다. 이 케이싱은 증발기 다발(25) 및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을 덮는다.
케이싱(40)은 증기가 배출 시스템(27)에 전달되기 위한 채널(48)을 형성하도록 증발기 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이 채널(48)은 증발기 본체(11)의 하측 부분(PI)에서, 케이싱(40)과 증발기 본체(1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길이 방향 개구(49A, 49B) 상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개구(49A, 49B) 각각은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케이싱(4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케이싱(40)은, 증발기 다발(25)의 양측에서 횡방향 축선(Y)과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측벽(50A, 50B) 및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의 위쪽에서 측벽(50A, 50B)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곡벽(51)을 규정한다.
각 측벽(50A, 50B)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이다.
더욱이, 각 측벽(50A, 50B)은 증발기 다발(25)의 단부 칼럼 중의 한 단부 칼럼에 인접하며, 그 단부 칼럼과 함께 배출 영역(55)을 형성한다.
특히, 작업 유체가 증발기 다발(25)을 통과함에 따라,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의 일부 유출물이 단부 칼럼을 피해 가며 이 공간(55)에 전달된다.
재분배 시스템(29)은 배출 영역(55)에 위치되며, 증발되지 않은 작업 유체를 이 공간(55)에 모아서 증발기 다발(25)의 심부, 즉 이 다발의 내부 칼럼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재분배 시스템(29)은 복수의 굴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각 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증발기 다발(25)의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시스템(29)의 일부분이 도 2의 Ⅲ 부분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 3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이 도 3에서, 단부 칼럼(60) 및 2개의 내부 칼럼(62)을 볼 수 있다. 더욱이, 증발기 다발(25)의 파이프를 위한 지지 바아(63)를 또한 볼 수 있다.
추가로, 재분배 시스템(29)의 시트(sheet) 세트의 두 시트(65, 66)를 도 3에서 볼 수 있다.
각 시트(65, 66)는 횡방향 축선(Y)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제 1 부분(75A, 76A), 및 제 1 부분(75A, 76A)으로부터 구부려져 있고 내부 칼럼 쪽으로 향해 있는 각각의 제 2 부분(75B, 76B)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부분(75B, 76B)은 공간(55) 내에 있는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의 유출을 잡아 내부 칼럼(62) 쪽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각 시트(65, 66)의 제 1 부분(75A, 76A)은 동일한 시트(65, 66)의 제 2 부분(75B, 76B)과 90°내지 180°, 유리하게는 120°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30°내지 150°의 각도를 형성한다.
각 시트(65, 66)의 제 1 부분(75A, 76A)과 제 2 부분(75B, 76B) 사이의 이음부는 예컨대 그 시트가 경험하는 굽힘에 따라 접힘부 또는 곡부를 형성한다.
각 시트(65, 66)의 각 부분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또는 배출 영역(55)에 있는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 및 그의 유출물을 내부 칼럼(62) 쪽으로 회수하는 데에 유리한 다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한 특정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65, 66)의 제 1 부분(75A, 76A)은 케이싱(40)의 대응하는 측벽(50B) 안으로 고정되거나 통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들 제 1 부분(75A, 76A)은 대응하는 측벽(50B)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이 경우에 케이싱(40)의 측벽(50A, 50B)은,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가 내부 칼럼 쪽으로 유출되게 하도록 되어 있는 시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진다.
시스템(29)에 있는 모든 시트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일 변형예에서,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시트와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3의 예에서, 시트(66)와는 대조적으로, 시트(65)는 또한 제 2 부분(75B)의 반대편에서 제 1 부분(75A)의 연장부에 위치되는 제 3 부분(75C)을 포함한다.
이 제 3 부분(75C)은 예컨대 지지 바아(63)의 시트를 걸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스템(29)의 각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3 부분을 포함한다.
물론, 시트의 부착, 체결 또는 형태의 다른 예도 가능하다. 예컨대, 볼트 및 슬롯형 구멍을 사용하여 제 3 부분(75C)을 대응하는 지지 바아(63)에 부착하여 다른 팽창을 제공할 수 있다.
증발기(10)의 작동 동안에,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의 일부 유출물은 수직 유동 축선을 벗어난다. 따라서, 이 유출물은 단부 칼럼의 근처에 있을 때, 배출 영역(55) 안으로 들어간다.
이 공간(55)에서, 이 유출물은 재분배 시스템(29) 및 특히 플레이트(65, 66)의 제 2 부분(75B, 76B)에 의해 모인다. 그런 다음에, 그 유출물은 비임(25)의 중심 쪽으로 재주입된다.
따라서, 본 재분배 시스템(29)은 분사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킴이 없이 그래서 전기의 과도한 소비 없이 에지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10)로서,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측 부분(PS)과 하측 부분(PI)을 규정하는 기다란 증발기 본체(11) - 횡방향 축선(Y)이 상기 길이방향 축선(X)에 수직하게 상기 상측 부분(PS)과 하측 부분(PI) 사이에 연장되어 있음 -;
    고온의 물을 전달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증발기 요소를 포함하는 증발기 다발(25) - 상기 증발기 요소는 상기 횡방향 축선(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칼럼(60, 62)을 형성하며, 2개의 다른 칼럼에 인접하는 각 칼럼(62)을 내부 칼럼이라고 하고, 단지 하나의 다른 칼럼에 인접하는 각 칼럼(60)을 단부 칼럼이라고 함 -;
    증발기 본체(11)의 상측 부분(PS)에서 상기 증발기 다발(25)의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고, 작업 유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를 상기 증발기 다발(25) 상으로 뿌리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클링 시스템(24); 및
    상기 증발기 다발(25)과 스프링클링 시스템(24)을 덮는 케이싱(40)을 포함하고,
    배출 영역(55)이 상기 단부 칼럼(60)과 케이싱(4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10)는, 액체 상태의 작업 유체를 상기 배출 영역(50)에 모으고 또한 그 작업 유체를 상기 내부 칼럼(62) 쪽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분배 시스템(29)을 더 포함하는, 작업 유체 증발기(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배 시스템(29)은 복수의 굴곡 시트(65, 66)를 포함하고, 각 시트(65, 66)는 상기 횡방향 축선(Y)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부분(75A, 76A) 및 상기 제 1 부분(75A, 76A)에 대해 굴곡되어 있고 상기 내부 칼럼(62) 쪽으로 향해 있는 제 2 부분(75B, 76B)을 포함하는, 증발기(10).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시트(65, 66)의 제 1 부분(75A, 76A)은 동일한 시트의 제 2 부분(75B, 76B)과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증발기(1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 시트(65, 66)의 상기 제 1 부분(75A, 76A) 및/또는 제 2 부분(75B, 76B)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증발기(10).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다발(25)은, 각 단부 칼럼(60)에 인접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지지 바아(63)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시트(65)는 상기 시트(65)를 지지 바아(63) 중의 하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3 부분(75C)을 더 포함하고, 유리하게 제 3 부분(75C)은 상기 시트(65)를 대응하는 지지 바아(63)에 걸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증발기(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시트 금속(65)의 제 3 부분(75C)은 상기 제 2 부분(75B)의 반대편에서 제 1 부분(75A)의 연장부에 위치되어 있는, 증발기(10).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0)은 각 단부 칼럼(60)에 인접하는 측벽(50A, 50B)을 형성하며, 각 시트 금속(65, 66)은 케이싱(40)의 측벽(50A, 50B) 중의 하나에 인접하고,
    각 시트 금속(65, 66)의 제 1 부분(75A, 76A)은 케이싱(40)의 대응하는 측벽(50A, 50B)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체적이거나 그 일부분을 형성하는, 증발기(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65, 66)의 제 1 부분(75A, 76A)은 케이싱(40)의 측벽(50A, 50B)을 형성하는, 증발기(10).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시트(65, 66)는 증발기 다발(25)의 증발기 요소 전체에 걸쳐 상기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증발기(10).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단부 칼럼(60)에 대해, 복수의 시트(65, 66)가 횡방향 축선(Y)을 따라 서로의 앞뒤에 배치되며, 이들 시트(65, 66)의 제 2 부분(75B, 76B)은 서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증발기(10).
KR1020227001340A 2019-06-17 2020-06-16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 KR202200245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6466 2019-06-17
FR1906466A FR3097137B1 (fr) 2019-06-17 2019-06-17 Évaporateur d’un fluide de travail pour une centrale ETM, comportant notamment un système de redistribution
PCT/EP2020/066611 WO2020254315A1 (fr) 2019-06-17 2020-06-16 Evaporateur d'un fluide de travail pour une centrale etm, comportant notamment un système de redistribu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563A true KR20220024563A (ko) 2022-03-03

Family

ID=6813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340A KR20220024563A (ko) 2019-06-17 2020-06-16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16825A1 (ko)
JP (1) JP2022537309A (ko)
KR (1) KR20220024563A (ko)
FR (1) FR3097137B1 (ko)
WO (1) WO20202543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92743A (fr) * 1944-08-31 1951-10-22 Appareil pour la déshydratation et la distillation de tous liquides, et la régénération des huiles résiduelles
US20110056664A1 (en) * 2009-09-08 2011-03-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por compression system
JP2013057484A (ja) * 2011-09-09 2013-03-28 Modec Inc 流下液膜式熱交換器、吸収式冷凍機システム、及び船舶、洋上構造物、水中構造物
US9541314B2 (en) * 2012-04-23 2017-01-10 Daikin Applied Americas Inc. Heat exchanger
CN102914097A (zh) * 2012-11-05 2013-02-06 重庆美的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全降膜式蒸发器及冷水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7137B1 (fr) 2021-06-25
FR3097137A1 (fr) 2020-12-18
US20220316825A1 (en) 2022-10-06
WO2020254315A1 (fr) 2020-12-24
JP2022537309A (ja)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7361A (ko) 증기 압축 냉각 칠러용 강하 경막 증발기
JPH04244202A (ja) 凹凸表面型プレート熱交換器による多段フラッシュ蒸発装置
US4353213A (en) Side stream type conden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947385B1 (en) Moisture separating and heating device and moisture separating and heating facility provided with same
US9188393B2 (en) Multistage pressure condenser and steam turbine plant equipped with the same
JPWO2006106582A1 (ja) 多段フラッシュ蒸発器
KR20220024563A (ko) 특히 재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 증발기
KR20210134743A (ko) 기화 장치
US3279533A (en) Evaporator and impingement plate therefor
US4972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the flow of fluid in a vertical steam generator
US9314802B2 (en) Spraying tube device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JP6982849B2 (ja) 造水装置
NO163043B (no) Kolonne for aa bringe en gasstroem i kontakt med en vaeskestroem og anvendelse av kolonnen for avvanning av en fuktig gasstroem.
TWI616629B (zh) Expansion tank and rehydrator with the same
JP2020006350A (ja) 気液接触装置
US20210396474A1 (en) Vertical heat exchanger
US20220316805A1 (en) Evaporator of a working fluid for an otec plant, comprising in particular a damper system
JP7026939B2 (ja) 多重効用造水装置
KR20220020944A (ko) 커버를 포함하는, otec 플랜트를 위한 작업 유체의 증발기
US20220316697A1 (en) Working fluid evaporator for an etm plant comprising a suitable spraying system
KR102179886B1 (ko) 잠재적으로 폭발성인 불순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0524079A (ja) 炭素複合材料から作製されたスクリーンを含む分離デバイスのための液体ディストリビューター
US427019A (en) Edwin r
KR102620035B1 (ko) 배연 탈황 장치
SU1071580A1 (ru) Деаэрато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