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836A -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836A
KR20220023836A KR1020200104409A KR20200104409A KR20220023836A KR 20220023836 A KR20220023836 A KR 20220023836A KR 1020200104409 A KR1020200104409 A KR 1020200104409A KR 20200104409 A KR20200104409 A KR 20200104409A KR 20220023836 A KR20220023836 A KR 2022002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glass substrate
bezel pattern
layer
thi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영
심진용
이정훈
이지화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836A/ko
Priority to US17/323,609 priority patent/US11711901B2/en
Priority to CN202110913470.7A priority patent/CN114078924A/zh
Priority to EP21191184.7A priority patent/EP3958093A1/en
Publication of KR2022002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모듈은,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을 포함한다.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폴딩 가능한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형상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형상을 가진 표시영역이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모듈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모듈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모듈은,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을 포함한다.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을 부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상기 베젤패턴의 상기 외측 엣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상기 외측 엣지와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 사이의 거리는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사이의 거리는 5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상기 외측 엣지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사이의 거리는 6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상기 접착층의 엣지는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접착층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박막 유리 기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패턴은 평면 상에서 이격된 내측 베젤패턴과 외측 베젤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내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와 상기 외측 베젤패턴의 내측 엣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외측 베젤패턴의 내측 엣지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외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엣지와 정렬되거나,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상기 엣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내측 베젤패턴과 상기 외측 베젤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폐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유기 기판의 두께는 15㎛ 내지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유기 기판은 화학 강화 유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장치는 폴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 상기 입력센서 상에 배치된 광학필름, 및 상기 표시패널 하측에 배치된 하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하측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하측에 배치된 배리어층, 상기 배리어층 하측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 하측에 배치된 커버층, 상기 커버층 하측에 배치된 방열층, 상기 방열층 하측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하측에 배치된 절연층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 상기 입력센서 상에 배치되고, 제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입력센서에 결합된 광학필름, 상기 광학필름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착층을 통해 상기 광학필름에 결합된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3 접착층을 통해 상기 박막 유리 기판에 결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제3 접착층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배치된 베젤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상기 제3 접착층의 엣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모듈, 및 상기 표시장치와 상기 전자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모듈은,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윈도우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와 정렬되거나, 상기 베젤패턴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패턴은 평면 상에서 이격된 내측 베젤패턴과 외측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엣지는 상기 내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와 정렬되거나, 상기 내측 베젤패턴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막 유기 기판의 엣지에 발생한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불량률이 감소된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4e는 도 4c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장치(ED)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펼쳐진 상태를, 도 1b는 폴딩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할 있다. 전자장치(ED)는 표시면(DS)을 통해 이미지(IM)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 주변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이미지(IM)를 표시하고,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IM)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NDA)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전자장치(E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 내에서,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 영역(FA)은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소정의 곡률 및 곡률반경을 갖는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2)은 서로 마주보고, 전자장치(E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ner-f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er-f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펼침 동작으로부터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D)는 펼침 동작,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모듈(WM)의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의 단면도이다. 도 2b 내지 도 2e 각각은 도 2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ED)는 표시장치(DD), 전자모듈(EM), 전원모듈(PSM) 및 케이스(EDC)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원모듈(PSM)는 표시장치(DD)의 폴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외부입력을 감지한다. 표시장치(DD)은 윈도우모듈(WM) 및 표시모듈(DM)을 포함한다. 윈도우모듈(WM)은 전자장치(ED)의 전면을 제공한다. 윈도우모듈(WM)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모듈(DM)은 적어도 표시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에서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과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표시모듈(DM)은 복수 개의 구성이 적층된 적층 구조물일 수 있다. 표시모듈(DM)의 적층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패널(DP)는 전자장치(ELD)의 표시영역(DA, 도 1a 참조) 및 비표시영역(NDA, 도 1a 참조) 에 대응하는 표시영역(DP-DA) 및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역/부분과 영역/부분이 대응한다"는 것은 중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일한 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모듈(DM)은 비표시영역(DP-NDA) 상에 배치된 구동칩(DIC)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비표시영역(DP-NDA)에 결합된 연성회로필름(F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DIC)은 표시패널(DP)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구동칩(DIC)이 표시패널(DP) 상에 실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칩(DIC)은 연성회로필름(FCB)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전자모듈(EM)은 적어도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자모듈(EM)은 무선통신모듈, 카메라모듈, 근접센서모듈, 영상입력모듈, 음향입력모듈, 음향출력모듈,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거나,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모듈(EM)은 전원모듈(PS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컨트롤러는 전자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 입력에 부합하게 표시장치(DD)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메인 컨트롤러는 표시장치(DD) 및 다른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EDC)는 표시모듈(DM), 전자모듈(EM), 및 전원모듈(PSM)을 수용한다. 케이스(EDC)는 서로 분리된 2개의 케이스들(EDC1, EDC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도시하였으나, 전자장치(ED)는 2개의 케이스(EDC1, EDC2)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EDC)는 윈도우(WM)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EDC)는 표시모듈(DM), 전자모듈(EM), 및 전원모듈(PSM) 등 케이스(EDC)에 수용된 구성들을 보호한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윈도우모듈(WM)은 박막 유리 기판(UTG), 박막 유리 기판(UTG)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PF), 및 윈도우 보호층(PF)의 하면에 배치된 베젤패턴(B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보호층(PF)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윈도우모듈(WM)은 플라스틱 필름(PF)과 박막 유리 기판(UTG)을 결합하는 접착층(AL1, 이하 제1 접착층)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윈도우 보호층(PF)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베젤패턴(BP)은 도 2a에 도시된 비-표시영역(DP-NDA)에 중첩한다. 베젤패턴(BP)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일면 또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에는 플라스틱 필름(PF)의 하면에 배치된 베젤패턴(BP)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베젤패턴(BP)은 플라스틱 필름(PF)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베젤패턴(BP)은 유색의 차광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패턴(BP)은 베이스 물질 및 베이스 물질에 혼합된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베젤패턴(BP)의 내측 엣지(B-IE)의 외측영역은 도 1a에 도시된 비-표시영역(NDA)에 해당할 수 있다. 베젤패턴(BP)은 평면 상에서 폐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젤패턴(BP)의 내측 엣지(B-IE)의 내측영역은 도 1a에 도시된 표시영역(DA)에 해당할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두께는 15㎛ 내지 100㎛ 일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은 화학 강화 유리일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는 폴딩과 펼침이 반복되더라도 주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PF)의 두께는 50㎛ 내지 80㎛ 일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PF)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트리아세틸셀루로오스(Triacetylcellulose), 또는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플라스틱 필름(PF)의 상면 상에는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및 반사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 Optically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층들 역시 제1 접착층(AL1)과 동일하고, 통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박막 유리 기판(UTG)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 대비 플라스틱 필름(PF)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스크레치가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과 플라스틱 필름(PF)을 분리한 후 새로운 플라스틱 필름(PF)을 박막 유리 기판(UTG)에 부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베젤패턴(BP)에 비-중첩한다. 또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에 비-정렬된다. 또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외측 엣지(P-E)에 비-정렬될 수 있고, 제1 접착층(AL1)의 외측 엣지(A-E)에 비-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평면상에서 볼 때, 제1 구성의 엣지와 제2 구성의 엣지가 정렬되더라도, 제1 구성과 제2 구성이 서로 중첩하는 영역이 없으면 제1 구성과 제2 구성은 비-중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가 베젤패턴(BP)으로부터 노출되고, 검사 장치를 통해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에 발생한 미세한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 장치는 현미경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 장치로 플라스틱 필름(PF)의 상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를 촬영하여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로부터 시작된 크랙을 확인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와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가 베젤패턴(BP)으로부터 충분히 노출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와 제1 접착층(AL1)의 엣지(A-E)는 정렬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PF)와 제1 접착층(AL1)은 동일한 면적 및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에 정렬될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과 플라스틱 필름(PF)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에 정렬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PF)은 박막 유리 기판(UTG)을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윈도우모듈(WM)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 2b에 도시된 윈도우모듈(WM)이 도 2c에 도시된 윈도우모듈(WM)보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손상을 더 낮출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윈도우 보호층(PF)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플라스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상면이 플라스틱 수지층에 접촉하는 윈도우모듈(WM)을 형성한 것이다. 플라스틱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박막 유리 기판(UTG)의 상면에 베젤패턴(BP)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플라스틱 수지층이 베젤패턴(BP)을 커버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윈도우 보호층(PF)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무기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또는 유/무기 복합층 또는 기능성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팅 또는 증착 방식으로 윈도우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 보호층(PF)의 엣지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에 정렬될 수도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IS), 입력센서(IS) 상에 배치된 광학필름(LF), 및 표시패널(DP) 하측에 배치된 하측부재(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들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 회로 소자층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은 폴리 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베이스층의 평면상 형상은 후술하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의 평면상 형상과 동일하다.
회로 소자층은 유기층, 무기층,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및 증착 등의 방식으로 유기층, 무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베이스층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복수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들을 통해 유기층, 무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되어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은 후술하는 도 4a에 도시된 화소들(PX)의 화소 구동회로 및 신호라인들(SL1~SLm, DL1~DLn, EL1~ELm, CSL1, CSL2, PL)을 형성할 수 있다. 화소 구동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은 후술하는 도 4a에 도시된 화소들(PX)의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발광소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박막 봉지층은 표시 소자층을 밀봉하도록 회로 소자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의 적층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센서(IS)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전극들(미 도시됨), 상기 복수 개의 감지전극들에 연결된 트레이스 라인들(미 도시됨), 및 복수 개의 감지전극들 또는 트레이스 라인들을 절연/보호하기 위한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센서(IS)는 정전용량식센서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센서(IS)는 표시패널(DP)의 제조 시, 연속 공정을 통해서 박막 봉지층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센서(IS) 일체형 표시패널(DP)은 전자패널(EP)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센서(IS)는 표시패널(DP)과는 별도의 패널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표시패널(DP)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감지전극들은 표시영역(DP-DA, 도 4a 참조)에 중첩한다. 트레이스 라인들은 비표시영역(DP-NDA)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트레이스 라인들은 도 4a에 도시된 패드(PD)에 인접하도록 벤딩영역(BA, 도 4a 참조)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스 라인들은 회로 소자층의 신호라인들(SL1~SLm, DL1~DLn, EL1~ELm, CSL1, CSL2, PL)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된다.
트레이스 라인들은 도 4a에 도시된 제1 영역(AA1)에서 표시패널(DP)의 입력센서(IS)를 위해 구비된 신호라인들(입력 신호라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신호라인들은 도 4a에 도시된 신호라인들(SL1~SLm, DL1~DLn, EL1~ELm, CSL1, CSL2, PL)과 다른 신호라인이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신호라인들 각각은 대응하는 패드(PD)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트레이스 라인들은 회로 소자층의 신호라인들과 동일한 연성회로필름(F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학필름(LF)은 외부광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광학필름(LF)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LF)은 적어도 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부재(LM)는 다양한 기능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에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 표시패널(DP)을 지지하는 지지층, 표시패널(DP)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는 방열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부재(LM)에 적층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모듈(WM)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k는 도 2b를 기준으로 우측 부분만 도시하였으나, 좌측 부분은 우측 부분과 대칭일 수 있다. 여기서 대칭은 수학적 개념의 대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k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한 케이스(EDC)의 일부분(EDC-U)이 도시되었다. 평면 상에서 케이스(EDC)의 일부분(EDC-U)은 윈도우 모듈(WM)에 중첩할 수 있다. 케이스(EDC)의 측벽부분과 상측부분이 도시되었고, 이하에서 일부분(EDC-U)은 상측 부분으로 설명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 상에서 케이스(EDC)의 일부분(EDC-U)은 윈도우 모듈(WM)에 비-중첩할 수 있다. 즉, 상측 부분(EDC-U)은 생략되고, 케이스(EDC)는 윈도우 모듈(WM)의 측면에서 결합될 수 도 있다.
상측 부분(EDC-U)과 윈도우 모듈(WM)이 이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상측 부분(EDC-U)과 윈도우 모듈(WM)의 상면은 접촉될 수 있다. 케이스(EDC)와 윈도우 모듈(WM)의 상면 또는 측면 사이에는 또 다른 구성(예컨대 접착층 또는 방수키트)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는 윈도우 모듈(WM)에 중첩한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상측 부분(EDC-U)에 중첩할 수 있다.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는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에 정렬될 수 있다.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 사이의 제1 거리(D1)는 1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일 수 있다. 제1 거리(D1)는 190㎛ 이하일 수 있다. 제1 거리(D1)는 후술하는 도 3d 내지 도 3k에 도시된 내측 베젤패턴(BP-I)의 외측 엣지(B-OE1)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 사이의 거리에 적용될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와 플라스틱 필름(PF)의 외측 엣지(P-E) 사이의 제2 거리(D1)는 5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일 수 있다. 제2 거리(D2)는 180㎛ 이하일 수 있다.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와 플라스틱 필름(PF)의 외측 엣지(P-E) 사이의 제3 거리(DT)는 6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일 수 있다. 제3 거리(DT)는 370㎛ 이하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는 베젤패턴(BP)에 중첩한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 및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는 상측 부분(EDC-U)에 중첩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베젤패턴(BP)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유리 기판(UTG)의 상면에 배치된 베젤패턴(BP)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베젤패턴(BP)은 박막 유리 기판(UTG)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가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에 정렬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젤패턴(BP)의 외측 엣지(B-OE)는 상측 부분(EDC-U)에 중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베젤패턴(BP)은 플라스틱 필름(PF)의 일면 또는 박막 유리 기판(UTG)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베젤패턴(BP)은 플라스틱 필름(PF)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베젤패턴(BP)의 형성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베젤패턴(BP)이 인쇄된 베이스 부재를 같이 폐기하게 된다. 플라스틱 필름(PF) 대비 박막 유리 기판(UTG)의 비용이 높아, 박막 유리 기판(UTG)을 베이스 부재로 사용하면 제조 비용의 상승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3d 내지 3k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젤패턴(BP)은 복수개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패턴(BP)은 내측 베젤패턴(BP-I)과 외측 베젤패턴(BP-O)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내측 베젤패턴(BP-I)은 외측 베젤패턴(BP-O)과 이격되고, 내측 베젤패턴(BP-I)은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측 베젤패턴(BP-I)과 외측 베젤패턴(BP-O)은 동일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는 폐라인 형상을 가질수 있다. 특히, 케이스(EDC)로부터 노출되는 내측 베젤패턴(BP-I)은 폐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베젤패턴(BP-O)은 윈도우 모듈(WM)과 표시모듈(DM, 도 2a)을 결합할 때, 얼라인을 맞추기 위한 기준 패턴이 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내측 베젤패턴(BP-I)과 외측 베젤패턴(BP-O) 각각은 내측 엣지(B-IE1, B-IE2)와 외측 엣지(B-OE1, B-OE2)를 포함한다.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내측 베젤패턴(BP-I)의 외측 엣지(B-OE1)와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 엣지(B-IE2) 사이에 배치된다. 평면 상에서, 내측 베젤패턴(BP-I)의 외측 엣지(B-OE1)는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와 정렬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외측 베젤패턴(BP-O)의 외측 엣지(B-OE2)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와 정렬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평면 상에서, 상측 부분(EDC-U)의 엣지(E-E)는 내측 베젤패턴(BP-I)에 중첩할 수 있다.
도 3f 내지 도 3k에 도시된 윈도우 모듈(WM)은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윈도우 모듈(WM)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f 및 도 3g를 참조하면,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 엣지(B-IE2)와 정렬될 수 있다. 크랙은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발생하기 때문에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와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 엣지(B-IE2)가 정렬되더라도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가 외측 베젤패턴(BP-O)의 외측 엣지(B-OE2)와 정렬되는 경우 크랙이 외측 베젤패턴(BP-O)에 가려져 검출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 3h 내지 도 3k를 참조하면, 평면 상에서 외측 베젤패턴(BP-O)의 외측 엣지(B-OE2)는 플라스틱 필름(PF)의 엣지(P-E)와 비-정렬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외측 베젤패턴(BP-O)은 플라스틱 필름(PF)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h 및 도 3i를 참조하면,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 엣지(B-IE2)와 정렬될 수 있다. 도 3j 및 도 3k를 참조하면, 평면 상에서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는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 엣지(B-IE2)와 비-정렬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외측 베젤패턴(BP-O)의 내측 엣지(B-IE2)는 박막 유리 기판(UTG)의 엣지(U-E)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DD)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PLT)의 평면도이다. 도 4e는 도 4c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배면도이다. 도 4b는 도 4a 및 도 4e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P-DA) 및 표시영역(DP-DA) 주변의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은 화소(PX)의 배치 유무에 의해 구분된다. 표시영역(DP-DA)에 화소(PX)가 배치된다. 비표시영역(DP-NDA)에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구동부(EDV)가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도 4a에 도시된 구동칩(DIC)에 구성된 일부 회로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2 방향(DR2) 내에서 구분되는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벤딩영역(BA)을 포함한다. 제2 영역(AA2) 및 벤딩영역(BA)은 비표시영역(DP-NDA)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 사이에 배치된다.
도 4b는 표시패널(DP)이 벤딩되기 이전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표시패널(DP)이 전자장치(ED)에 설치된 상태를 가정하면, 도 1a와 같이 전자장치(ED)가 펼쳐진 상태에서, 표시패널(DP)의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는 도 4c에 도시되었다. 벤딩영역(BA)의 벤딩 형상에 대해서는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영역(AA1)은 도 1a의 표시면(DS)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AA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0), 제2 비폴딩 영역(NFA20), 및 폴딩 영역(FA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0), 제2 비폴딩 영역(NFA20), 및 폴딩 영역(FA0)은 도 1a 및 도 1b의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에 각각 대응한다.
제1 방향(DR1) 내에서 벤딩영역(BA) 및 제2 영역(AA2)의 길이는 제1 영역(AA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벤딩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영역은 좀 더 쉽게 벤딩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 CSL2), 전원 라인(PL), 및 복수 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구동칩(DIC)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 중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은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1 전압을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벤딩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패드들(PD)은 제2 영역(AA2)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DIC), 전원 라인(PL),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이방성 도전 접착층을 통해 패드들(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모듈(WM) 및 표시모듈(DM)을 포함한다. 윈도우모듈(WM)은 도 2a 내지 도 3k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모듈(W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광학필름(LF), 표시패널(DP), 패널 보호층(PPL), 배리어층(BRL), 지지층(PLT), 커버층(SCV), 방열층(RHL), 쿠션층(CUL), 절연층(INL), 스페이서(SPC), 단차보상패턴(CP) 및 제2 내지 제11 접착층들(AL2 내지 AL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11 접착층들(AL2~AL11)은 감압 접착제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와 같은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보상패턴(CP)과 그에 연관된 제10 및 제11 접착층들(AL10, AL11)은 생략될 수 있다.
광학필름(LF)은 도 4a에 도시된 제1 영역(AA1)에 배치된다. 광학필름(LF)은 적어도 표시영역(DP-DA)을 커버한다. 제2 접착층(AL2)이 광학필름(LF)과 윈도우모듈(WM)을 결합하고, 제3 접착층(AL3)이 광학필름(LF)과 표시패널(DP)을 결합한다. 도 4b에서 표시패널(DP)만 도시되었으나, 도 2e에 도시된 전자패널(EP)과 같이 표시패널(DP)과 제3 접착층(AL3) 사이에 입력센서(IS)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패널(DP)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층(PPL)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 보호층(PPL)은 폴딩 영역(FA)에 미-배치될 수도 있다. 제4 접착층(AL4)이 패널 보호층(PPL)과 표시패널(DP)을 결합하고, 제5 접착층(AL5)이 패널 보호층(PPL)과 배리어층(BRL)을 결합한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패널(DP)의 제1 영역(AA1)을 보호하는 제1 패널 보호층(PPL-1) 및 제2 영역(AA2)을 보호하는 제2 패널 보호층(PPL-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영역(BA)이 휘어질 때, 제2 패널 보호층(PPL-2)은 제2 영역(AA2)과 함께 제1 영역(AA1) 및 제1 패널 보호층(PPL-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이 벤딩영역(BA)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벤딩영역(BA)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4 접착층(AL4)은 제1 패널 보호층(PPL-1)에 대응하는 제1 부분(AL4-1) 및 제2 패널 보호층(PPL-2)에 대응하는 제2 부분(AL4-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외부의 눌림에 따른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층(BRL)은 표시패널(DP)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폴리 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BRL)은 광투과율이 낮은 유색의 필름일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BRL)은 검정색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의 상측으로부터 표시장치(DD)를 바라봤을 때, 배리어층(BRL) 아래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5 접착층(AL5)이 패널 보호층(PPL)과 배리어층(BRL)을 결합하고, 제6 접착층(AL6)이 배리어층(BRL)과 지지층(PLT)을 결합한다.
지지층(PLT)은 배리어층(BRL) 하측에 배치된다. 지지층(PLT)은 60G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PLT)은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PLT)은 SUS 30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층(PLT)은 다양한 금속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PLT)은 표시패널(DP)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PLT)에 의해 표시장치(DD)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는 지지층(PLT)의 일부 영역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에 의해 지지층(PLT)의 가요성이 향상된다. 제6 접착층(AL6)은 서로 이격된 제1 부분(AL6-1)과 제2 부분(AL6-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6 접착층(AL6)이 미-배치됨으로써 지지층(PLT)의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여 지지층(PLT)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층(PLT)은 도 4a에 도시된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는 폴딩영역(PLT-F), 제1 비폴딩 영역(NFA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PLT-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0)에 대응하는 제2 영역(PLT-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영역(PLT-F)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은 소정의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은 격자 형태로 배열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폴딩영역(PLT-F)에 형성됨으로써, 폴딩영역(PLT-F)의 면적을 감소시켜 폴딩영역(PLT-F)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폴딩영역(PLT-F)은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시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제7 접착층(AL7)이 지지층(PLT)과 커버층(SCV)을 결합하고, 제8 접착층(AL8)이 커버층(SCV)과 방열층(RHL)을 결합한다. 커버층(SCV)은 지지층(PLT)에 정의된 개구부들(OP)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층(SCV)은 지지층(PLT)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SCV)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고무,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층(SCV)은 시트 형태로 제조되어 지지층(PLT)에 부착될 수 있다. 제8 접착층(AL8)은 서로 이격된 제1 부분(AL8-1)과 제2 부분(AL8-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8 접착층(AL8)이 미배치됨으로써 커버층(SCV)의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층(RHL)은 높은 열 전도성을 갖는 시트일 수 있다. 방열층(RHL)은 구리, 구리합금, 또는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접착층(AL9)이 방열층(RHL)과 쿠션층(CUL)을 결합한다.
쿠션층(CUL)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쿠션층(CUL)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발포(foam)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UL)은 스펀지 또는 폴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UL) 하측에 절연층(INL)이 배치된다. 절연 테이프가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절연층(INL)은 정전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에 미-도시되었으나, 도 4b에 도시된 연성회로필름(FCB)은 절연층(INL) 상에 배치된다. 절연층(INL)은 연성회로필름(FCB)이 절연층(INL) 상에 배치된 부재들과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열층(RHL), 제9 접착층(AL9), 쿠션층(CUL), 및 절연층(INL) 각각은 소정의 갭(GP)을 두고 이격된 2개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갭(GP)은 0.3mm 내지 3mm 일 수 있고,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차보상패턴(CP)의 일면은 제10 접착층(AL10)을 통해 지지층(PLT)에 결합될 수 있다. 단차보상패턴(CP)의 타면에는 제11 접착층(AL11)이 배치된다. 제11 접착층(AL11)은 표시장치(DD)가 전자장치의 다른 구성과 결합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하측부재(LM)는 도 4b의 제4 절연층(AL4)부터 절연층(INL)까지의 적층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벤딩영역(BA)은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되도록 벤딩 수 있다. 따라서, 구동칩(DIC)은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은 서로 다른 평면(또는 기준면) 상에 배치된 것이다. 벤딩영역(BA)은 단면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벤딩되었다. 벤딩영역(BA)은 소정의 곡률 및 곡률반경을 갖는다. 곡률 반경은 약 0.1 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적어도 벤딩영역(BA)에 배치된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영역(BA),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에 중첩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제1 영역(AA1)의 일부분 및 제2 영역(AA2)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영역(BA)과 함께 벤딩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벤딩영역(BA)을 보호하고, 벤딩영역(BA)의 중립면을 제어한다. 벤딩영역(BA)에 배치된 신호라인들에 중립면이 가까워지도록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영역(BA)의 스트레스를 제어한다.
제4 접착층(AL4)의 제2 부분(AL4-2)이 미-부착된 제2 패널 보호층(PPL-2)의 일면은 스페이서(SPC)에 부착된다. 도 4b 및 도 4c에서 스페이서(SPC)가 단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페이서(SPC)는 2개의 접착층 사이에 베이스층이 배치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은 방열특성이 우수한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f는 지지층(PLT)의 하면을 나타낸다. 지지층(PLT)의 하면 상에 커버층(SCV), 방열층(RHL), 쿠션층(CUL), 및 절연층(INL)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 적층 구조물은 지지층(PLT)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다. 커버층(SCV)은 폴딩영역(PLT-F)에 중첩한다. 커버층(SCV), 방열층(RHL), 쿠션층(CUL), 및 절연층(INL)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페이서(SPC)는 상기 적층 구조물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4f를 참조하면, 단차보상패턴(CP, 도 4b 참조)에 중첩하는 제11 접착층(AL11)은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고, 지지층(PLT)의 엣지를 따라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전자장치 ED
표시장치 DD
표시패널 DP
표시영역, 비-표시영역 DP-DA, DP-NDA
표시모듈 DM
윈도우모듈 WM
박막 유리 기판 UTG
플라스틱 필름 PF
접착층 AL1
베젤패턴 BP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 U-E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 BP-OE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 P-E
접착층의 엣지 A-E
내측 베젤패턴, 외측 베젤패턴 BP-I, BP-O
내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 B-OE1
외측 베젤패턴의 내측 엣지 B-IE2
외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 B-OE2
입력센서 IS
광학필름 LF
하측부재 LM
보호층 PPL
배리어층 BRL
지지층 PLT
커버층 SCV
방열층 RHL
쿠션층 CUL
절연층 INL

Claims (26)

  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된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을 부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상기 베젤패턴의 상기 외측 엣지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상기 외측 엣지와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 사이의 거리는 10㎛ 이상인 표시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사이의 거리는 50㎛ 이상인 표시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베젤패턴의 상기 외측 엣지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사이의 거리는 60㎛ 이상인 표시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와 상기 접착층의 엣지는 정렬된 표시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패턴은 상기 접착층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박막 유리 기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패턴은 평면 상에서 이격된 내측 베젤패턴과 외측 베젤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내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와 상기 외측 베젤패턴의 내측 엣지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외측 베젤패턴의 내측 엣지에 정렬된 표시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외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엣지와 정렬되거나,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상기 엣지의 내측에 배치된 표시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내측 베젤패턴과 상기 외측 베젤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폐라인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된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유기 기판의 두께는 15㎛ 내지 100㎛ 인 표시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유기 기판은 화학 강화 유리인 표시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
    상기 입력센서 상에 배치된 광학필름; 및
    상기 표시패널 하측에 배치된 하측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하측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하측에 배치된 배리어층;
    상기 배리어층 하측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 하측에 배치된 커버층;
    상기 커버층 하측에 배치된 방열층;
    상기 방열층 하측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하측에 배치된 절연층 포함하는 표시장치.
  2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
    상기 입력센서 상에 배치되고, 제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입력센서에 결합된 광학필름;
    상기 광학필름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착층을 통해 상기 광학필름에 결합된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3 접착층을 통해 상기 박막 유리 기판에 결합된 플라스틱 필름; 및
    상기 제3 접착층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배치된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된 표시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의 내측에 배치된 표시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3 접착층의 엣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엣지에 정렬된 표시장치.
  24.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모듈; 및
    상기 표시장치와 상기 전자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모듈은,
    박막 유리 기판;
    상기 박막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및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는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에 비-중첩하고, 상기 박막 유리 기판의 상기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에 비-정렬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윈도우모듈의 일부분에 중첩하는 전자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엣지는 상기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와 정렬되거나, 상기 베젤패턴에 중첩하는 전자장치.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패턴은 평면 상에서 이격된 내측 베젤패턴과 외측 베젤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엣지는 상기 내측 베젤패턴의 외측 엣지와 정렬되거나, 상기 내측 베젤패턴에 중첩하는 전자장치.
KR1020200104409A 2020-08-20 2020-08-20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023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409A KR20220023836A (ko) 2020-08-20 2020-08-20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7/323,609 US11711901B2 (en) 2020-08-20 2021-05-18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02110913470.7A CN114078924A (zh) 2020-08-20 2021-08-10 显示装置和电子设备
EP21191184.7A EP3958093A1 (en) 2020-08-20 2021-08-13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409A KR20220023836A (ko) 2020-08-20 2020-08-20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836A true KR20220023836A (ko) 2022-03-03

Family

ID=7756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409A KR20220023836A (ko) 2020-08-20 2020-08-20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11901B2 (ko)
EP (1) EP3958093A1 (ko)
KR (1) KR20220023836A (ko)
CN (1) CN114078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64A1 (ko) * 2022-09-16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759A (ko) * 2021-09-01 2023-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20B1 (ko) 2012-12-03 2019-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127969B1 (ko) 2013-07-31 202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425418B2 (en) * 2014-09-30 2016-08-2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DE102014221245A1 (de) 2014-10-20 2016-04-21 Tesa Se Dünnglasfolienverbundbahn mit Versteifungsstreifen
EP3031783A1 (en) * 2014-12-09 2016-06-15 AGC Glass Europe Chemically temperable glass sheet
KR20170059543A (ko) 2015-11-20 2017-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495325B1 (ko) 2016-01-1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51771A1 (en) * 2016-03-04 2017-09-08 Corning Incorporated Ion-exchangeable glass with high surface compressive stress
KR102186854B1 (ko) 2016-10-27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KR102406051B1 (ko) * 2017-09-06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66810B2 (en) * 2017-09-29 2020-09-08 Apple Inc. Targeted chemical strengthening of glass articles
KR102479943B1 (ko) * 2017-10-10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73859B1 (ko) 2018-12-06 2024-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153495A (ko) 2020-06-09 2021-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44107B2 (en) 2020-06-0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blocking layer directly attached to supporting member for improved visi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64A1 (ko) * 2022-09-16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8924A (zh) 2022-02-22
US11711901B2 (en) 2023-07-25
EP3958093A1 (en) 2022-02-23
US20220061177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236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625068B2 (en) Display device
EP376419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01589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23836A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4648917A (zh) 电子装置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US11592876B2 (en) Electronic device
US20240006265A1 (en) Display device
KR20220167846A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100137A (ko) 전자 장치
KR20230039889A (ko) 표시장치
KR20220102190A (ko) 전자 장치
CN217740539U (zh) 显示装置
CN217655637U (zh) 电子装置
EP4339736A1 (en) Display device
KR20220158201A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022003A (ko) 표시 장치
JP2024522695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含む電子装置
KR20220158202A (ko) 전자 장치
KR20220136540A (ko) 표시 장치, 윈도우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826262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05564A (ko)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48178A (ko) 표시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497207A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