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70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708A
KR20220021708A KR1020200102607A KR20200102607A KR20220021708A KR 20220021708 A KR20220021708 A KR 20220021708A KR 1020200102607 A KR1020200102607 A KR 1020200102607A KR 20200102607 A KR20200102607 A KR 20200102607A KR 20220021708 A KR20220021708 A KR 2022002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m
nozzle
tub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현
여운걸
박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708A/ko
Priority to PCT/KR2021/010150 priority patent/WO2022035114A1/en
Priority to US17/399,651 priority patent/US11859340B2/en
Priority to US17/401,731 priority patent/US20220049394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드럼바닥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드럼개구부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드럼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A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내에 회전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탑 로딩 방식 세탁기는 급수부 및 세제공급장치가 상기 캐비닛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세제와 물이 상기 드럼의 일측 하부로만 치우치게 공급되기 때문에 포가 골고루 적셔지지 않게 되고, 포가 적절히 적셔지지 않아 세탁 및 헹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에 의한 수류만을 이용하여 헹굼과정을 수행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세제를 씻어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06142는 세탁수를 내조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포를 보다 골고루 적시는 효과를 지닌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발명의 분사노즐은 세제공급장치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여 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세탁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발명은 단일한 배출구를 통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류를 형성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부를 회피하여 드럼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부에 의해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회전부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회전부에 의해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물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헹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기존의 단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와 유사한 분사궤적을 갖도록, 복수개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가 출입되는 의류개구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의류개구부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를 포함하는 터브,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 및 상기 드럼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드럼바닥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드럼개구부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드럼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캐비닛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캐비닛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상면은 상기 의류개구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의류개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의류개구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노즐공급배관 및 상기 노즐공급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노즐 및 제2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기둥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노즐부와 상기 기둥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에 의해 제1드럼공간 및 제2드럼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노즐은 상기 제1드럼공간을 향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2드럼공간을 향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은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드럼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노즐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제1분사구 및 상기 제2노즐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제2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구의 면적은 상기 제2분사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구의 중심에서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인 제1분사방향과 상기 물이 자유낙하 하는 방향인 기준방향이 이루는 각도인 제1각도는 상기 제2분사구의 중심에서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인 제2분사방향과 상기 기준방향이 이루는 각도인 제2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구에서 기준시간 동안 분사하는 물의 양인 제1분사량은 상기 제2분사구에서 상기 기준시간 동안 분사하는 물의 양인 제2분사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상면에 구비되어, 세제를 보관하고 상기 드럼 또는 상기 터브에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제공급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세제공급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공급된 물을 상기 캐비닛 내부로 안내하는 외부급수유로, 상기 외부급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급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세제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안내하는 내부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분사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분사장치로 안내하는 분사급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상면은 상기 의류개구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의류개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의류개구면을 관통하며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노즐공급배관 및 상기 노즐공급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공급배관은 상기 분사급수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수류를 형성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를 회피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물 비산에 따르는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 및 회전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및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의 정면도, 하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분사장치에서 드럼으로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와 급수부가 연결되는 것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상기 터브(20)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고, 도 1은 상기 캐비닛(10)이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드럼(30)으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드럼(30)에 저장된 의류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의류개구부(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의류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캐비닛상면(11)에 의류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상면(11)에 상기 의류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의류개구부(12) 및 의류도어(13)가 반드시 캐비닛상면(11)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브(20)는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20)에는 상기 의류개구부(12)와 연통되는 터브개구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개구부(22)를 형성할 수 있고, 터브개구부(2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의류개구부(12)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의류개구부(12)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도 1에는 터브(20)의 상면이 개방되어 터브개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개구부(22)는 의류개구부(12)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의류개구부(12)와 연통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브(20)는 터브(20)를 지지하는 터브지지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터브지지부는 상기 터브(20)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급수부(6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60)는 급수원과 터브(20)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제가 저장되고 터브(20)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제공급장치를 경유한 물이 세제와 함께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개구부(22)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상기 물 분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물 분사장치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터브(20)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수부(65)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구비된 배수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기 위해,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에는 상기 터브개구부(22)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개구부(31)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일면이 개방되어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면이 상기 드럼개구부(31)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에는 드럼(30)의 내부와 외부, 즉 드럼(30)의 내부와 드럼(30)에 의해 구분되는 터브(2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30)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로 공급된 물은 상기 드럼(30) 관통홀을 통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구동부(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터브(20)의 외부에 고정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30) 등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4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터브(20)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의류개구부(12)는 캐비닛상면(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개구부(22)는 터브(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개구부(31)는 드럼(3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 내부의 일정영역에 의류가 집중된 상태로 드럼(30)이 회전할 경우, 상기 드럼(30)에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가 발생한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30)이 회전하면,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드럼(30)은 진동하면서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30)의 진동은 터브(20)나 캐비닛(10)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거나 감쇠시키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럼(30)의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밸런서(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터브(2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의류가 출입되는 드럼개구부(31) 및 상기 드럼개구부(3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드럼바닥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의 상면이 상기 드럼개구부(31)에 대응되고, 하면이 상기 드럼바닥면(33)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개구부(31)는 캐비닛(10)의 의류개구부(12) 및 터브(20)의 터브개구부(22)를 거쳐 투입되는 의류가 통과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 또는 물 분사장치 등과 같은 수단과 연결되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과정 등에서 급수부(60)를 제어하여 급수량을 조절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과정 또는 헹굼과정 등에서 터브(20)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급수량은 캐비닛(10)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통해 조절될 수도 있고, 세탁물의 양 또는 구동부(50)의 부하 등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급수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세탁과정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령 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급수량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급수부(6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바닥면(33)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 및 회전부(100)의 회전으로 수류가 형성되고 세탁물과의 마찰 또는 충돌이 발생되어 세탁물의 세탁이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 및 회전부(100)와 결합되는 회전축(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각각 회전축(40)을 통해 구동부(5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30)은 상기 드럼바닥면(33)에 제1회전축(41)이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바닥면(33)을 관통하며 상기 제1회전축(41)에 대해 별도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42)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축(42)은 제1회전축(4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은 하나의 구동부(5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될 수 있고, 구동부(50)는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으로 동력을 분배하고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어세트(45)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부(50)의 구동축은 상기 기어세트(45)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세트(45)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은 각각 상기 기어세트(45)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41)은 중공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회전축(42)은 상기 제1회전축(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중실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부(50)를 통해 서로 나란한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에 효과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는 유성기어 방식의 기어세트(45)가 도시되어 있고, 구동축,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이 각각 상기 기어세트(45)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의 회전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50)의 구동축은 유성기어 방식의 기어세트(45)에서 중앙의 선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이 회전되면 기어세트(45)는 선기어의 회전에 의해 위성기어 및 링기어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드럼바닥면(33)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41)은 기어세트(45)의 최외곽에 위치되는 링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00)와 결합되는 제2회전축(42)은 기어세트(45)에서 선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위성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세트(45)는 각 회전축(40)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제한할 수 있는 제1클러치요소(46) 및 제2클러치요소(47)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세트(45)는 터브(20)에 고정되는 기어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클러치요소(46)는 기어하우징에 마련되어 링기어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41)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클러치요소(47)는 구동축과 링기어의 회전을 상호 구속시키거나 구속 해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링기어의 회전 또는 제1회전축(41)의 회전은 제2클러치요소(47)에 의해 구동축과 동기되거나 동기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클러치요소(46) 및 제2클러치요소(47)가 해제 상태에 있게 되면, 유성기어의 회전 관계에 따라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드럼(30)과 회전부(1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클러치요소(46)가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링기어 및 제1회전축(41)의 회전이 제한되고 제2회전축(4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드럼(30)은 정지 상태에 있고 회전부(100)만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부(100)의 회전 방향은 구동부(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클러치요소(47)가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구동축과 제1회전축(41)간의 회전이 상호 구속되고, 유성기어의 회전 관계에 의해 구동축,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의 회전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즉, 드럼(30)과 회전부(10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클러치요소(46) 및 제2클러치요소(47)가 동시에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구동축, 제1회전축(41) 및 제2회전축(42)이 모두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제어부(70)는 세탁과정 및 헹굼과정 등에서 구동부(50), 제1클러치요소(46) 및 제2클러치요소(47)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필요한 운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100)는 바닥부(110), 기둥부(150) 및 블레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바닥면(33)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바닥면(33)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드럼바닥면(33)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제2회전축(42)은 상기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회전축(41)은 드럼(30)에 결합되고, 중공 형태의 제1회전축(41) 내부에 중실축으로 마련되는 제2회전축(42)은 상기 드럼바닥면(33)을 관통하여 회전부(100)의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축(42)에 결합되는 회전부(100)는 드럼(3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회전부(100)는 드럼(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방향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70) 등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1회전축(41)은 드럼바닥면(33)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의 상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부(31)가 형성되고 하면이 드럼바닥면(33)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는 탑 로더에 해당하며, 드럼(30)은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 즉 외주면을 가질 수 있고, 회전의 밸런싱을 위해 드럼(30)의 단면은 원 형상일 수 있다. 즉, 드럼(30)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회전부(100)의 바닥부(110)는 중앙에 제2회전축(42)이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을 향하는 일면, 즉 하면에 제2회전축(42)이 결합될 수 있고, 제2회전축(42)은 드럼(30)의 중앙을 관통하여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회전의 밸런싱을 고려하여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110)는 중앙에 결합된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바닥부(110)의 중앙은 드럼(30)의 중앙과 일치할 수 있다.
바닥부(110)는 기본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할 내용과 같이 돌출부(130)와 기둥부(150) 등의 연결관계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드럼(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하면과 드럼(30) 사이가 이격되어 회전에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바닥부(110)와 드럼바닥면(33) 사이 이격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50)는 바닥부(110)로부터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둥부(150)는 바닥부(11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 제조되어 바닥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둥부(150)는 바닥부(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기둥부(150)는 바닥부(110)의 중앙으로부터 드럼개구부(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부(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둥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기둥부(150)는 단면이 원 형상일 수 있고, 바닥부(110)로부터의 돌출 높이(L1)는 다양할 수 있다.
기둥부(150)는 측면이 곡면을 이루어 외주면(162)을 형성할 수 있고, 회전부(100)는 블레이드(170)를 포함할 수 있고,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외주면(162)에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기둥부(150)를 따라 연장되어 기둥부(150)의 회전 시 드럼(30) 내부에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부(110)측에서 상기 드럼개구부(31)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70)는 대략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의 블레이드(170)가 기둥부(150)의 외주면(162)에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균등 배치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간의 이격길이(L5)는 동일할 수 있다. 드럼(30)의 드럼개구부(31)에서 바라볼 때,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중심(O)으로 기준으로 상호간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 또는 원주방향(C)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기둥부(150)의 외주면(162)에서 바닥부(110)측으로부터 드럼개구부(31)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연장된 길이(L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블레이드(170)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회전부(100)가 회전되면 상기 기둥부(150)의 블레이드(170)에 의해 드럼(30) 내부의 물에는 상승 또는 하강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170)가 바닥부(110)측으로부터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을 향해 경사지며 드럼개구부(31)측으로 연장된 경우, 회전부(100)가 상기 일방향(C1)으로 회전하면 블레이드(170)의 경사진 형태에 의해 하강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100)가 타방향(C2)으로 회전되면 블레이드(170)에 의해 상승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에 대한 일방향(C1) 및 타방향(C2)은 기둥부(150)의 외주면(162)에 대해 서로 반대측 방향에 해당되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에 대한 일방향(C1) 및 타방향(C2)은 회전부(100)의 회전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회전부(100)의 회전방향과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이 서로 나란하므로, 회전부(100)는 상기 일방향(C1)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타방향(C2)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레이드(170)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기둥주에 의해 수류 형성이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고, 블레이드(170)의 경사진 연장 형태에 의해 회전부(100)의 회전 시 단순한 회전형태의 수류가 아니라 드럼(30) 하부의 물이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상승수류 또는 드럼(30) 상부의 물이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하강수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부(100)를 통해 입체적인 수류 형성이 가능하고, 따라서 세탁과정에서 세탁물에 대한 세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를 적절히 활용하여 다양한 세탁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170)는 스크류 형태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1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110)를 향하는 일단부(171)로부터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향하는 타단부(173)까지 스크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부(150)는 상기 바닥부(110)를 향하는 일단부(152)에서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향하는 타단부(154)까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70)가 상기 외주면(162)에 감겨지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상기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으로 경사지며 상기 일단부(171)에서 상기 타단부(17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는 일방향(C1)으로만 경사지게 마련되고 타방향(C2)으로 경사방향이 변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일 블레이드(170)의 경사방향을 연장 도중 타방향(C2)으로 변경되는 경우, 회전부(100)의 회전 시 블레이드(170)의 일부분은 상승수류를 발생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하강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회전부(100)의 일방향(C1) 회전에서 상승수류와 하강수류가 동시 발생될 수 있어 물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하나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레이드(170)가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되, 기둥부(15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회전부(100)의 일방향(C1) 및 타방향(C2) 회전에 대한 수류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방향(C1)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타방향(C2)은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70)는 상기 일단부(171)에서 상기 타단부(17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는 일단부(171)와 타단부(173) 사이에서 끊어짐이 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70)는 상기 일단부(171)로부터 상기 타단부(173)까지 상기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연속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70)는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부분이 없이 전체로서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70)의 적어도 일부가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 또는 원주방향(C)과 나란한 경우, 기둥부(150)의 회전에 따른 상승수류 또는 하강수류 형성에 불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레이드(170)가 길이(L2) 전체에서 기둥부(150)의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전체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가 출입되는 의류개구부(12)를 포함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의류개구부(12)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22)를 포함하는 터브(20),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60),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브개구부(22)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1), 상기 드럼개구부(3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드럼바닥면(33)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드럼(30), 상기 드럼(30)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바닥면(33)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바닥면(33) 상에 위치되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향해 돌출되는 기둥부(150) 및 상기 기둥부(15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블레이드(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급수부(60)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부(60)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통해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장치(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장치(80)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3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5)를 통해 상기 터브(20) 및 상기 드럼(30) 내부로 공급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제공급장치(15)는 또는 상기 분사장치(80)를 통해서 세탁에 필요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세제공급장치(15)가 단순히 물을 상기 드럼(30)의 하부를 향해 낙하시키는 것과 달리 다양한 방향에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은 부채꼴의 호 모양의 패턴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드럼(3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단순히 물을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에 비하여 물의 분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80)를 이용하여 물을 더 넓은 면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드럼(3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실 수 있다. 이는 세탁 과정에서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충분히 젖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의류를 효과적으로 적시는 것 외에도 상기 분사장치(80)를 통해 물을 빠른 속도로 분사함으로써, 헹굼 과정에서 유리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가 없는 경우, 세탁물의 헹굼 과정에서 터브(20) 내부에 저장된 물에 회전력을 가해 수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섬유와 섬유 사이에 이물질이나 세제입자가 침투할 경우 상기와 같은 수류만 이용해서 이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사장치(80)는 헹굼 과정에서 상기 급수부(60)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빠른 속도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은 단순히 세제공급장치(15)를 통해 자유낙하 하는 물에 비하여 높은 운동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은 운동량을 갖는 물로 상기 드럼(30) 내부에 저장된 의류를 타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질 또는 세제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에서 상기 드럼(30) 내부를 향해 물이 분사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100)를 구성하는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타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된 물이 직접 상기 드럼(30)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에 의해 차단될 경우 상기와 같이 헹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급수부(60)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분사하되,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여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은 일정 수준 이상의 속도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를 타격할 경우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에 변형을 야기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충격이 지속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170)의 피로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회전부(10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가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외한 드럼(30) 내부의 공간에 물을 분사할 경우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세탁 및 헹굼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통해 상기 드럼(30) 내부로 상기 급수부(6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사한다. 그러므로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급수부(60)와 연결되어 분사되는 물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상기 분사장치(80)가 상기 드럼(30)과 같이 회전하는 구성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급수부(60)와 물리적인 연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품 중에서 움직이지 않는 구성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터브(20)는 세탁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급수부(60)와 연결된 상기 세제공급장치(15)는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60)는 상기 세제공급장치(15)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므로, 상기 급수부(60) 또한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80) 또한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급수부(6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급수부(6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터브(2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80)가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급수부(60)와 상기 분사장치(80)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상기 분사장치(80)가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60)에 의해 필요한 물을 공급받는 것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되므로 설계,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브(20)의 외부에 상기 분사장치(80)가 설치된다고 함은, 상기 터브(20)와 분리되는 구성인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상기 분사장치(80)가 설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5)와 함께 상기 급수부(6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상기 세제공급장치(15)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물을 저장하는 상기 터브(2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통해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터브(20)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상면(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상면(11)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의류개구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개구부(12)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일부가 원주면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의류개구부(12)는 물리적으로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의류개구부(12)를 둘러싸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부(12)는 상기 캐비닛상면(11)을 관통하는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개구부(12)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상기 의류개구부(12)는 실린더 형상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이 상기 의류개구부(12)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을 의류개구면(14)이라고 지칭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의류개구부(12)의 단면이 일부는 직선이고 일부는 원주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의류개구부(12)에 대응되는 의류개구면(14)의 일부 면은 사각형으로 일부 면은 원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5)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공급통(16) 및 세제공급통(16)을 지지하는 세제공급하우징(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하우징(17)은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개구면(14)에 관통 형성된 세제공급하우징(17)에 상기 세제공급통(16)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세제공급장치(15)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세제공급하우징(17) 및 상기 세제공급통(16)과 함께 상기 의류개구면(1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사설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분사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의류개구면(14) 안쪽에서 상기 급수부(60)와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외측은 상기 드럼(30)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급수부(60)에 의해 공급받은 물을 상기 드럼(30)을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터브개구부(22) 및 상기 드럼개구부(31)를 통과하여 상기 드럼(30) 및 상기 터브(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의류개구면(14)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30) 내부로 물을 분사하되,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에는 물을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의류개구면(14)은 상기 터브개구부(22) 또는 상기 드럼개구부(31)보다 상기 드럼(30)의 중심축과 반경방향으로 가깝게 배치되므로, 상기 분사장치(80)의 분사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드럼(30) 내부로 물을 분사해야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도록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상기 분사장치의 정면도, 도 5(b)는 상기 분사장치의 하면도, 도 5(c)는 상기 분사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도 5(b), 도 5(c)를 참고하면,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급수부(60)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6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노즐공급배관(81) 및 상기 노즐공급배관(81)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30)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부(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은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이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급수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상기 분사장치(8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이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급수부(60)가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공급배관(81)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급수부(60) 통해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이 급수원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노즐공급배관(81)에 공급된 물은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따라 상기 노즐부(87)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와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의 일단에는 노즐분기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분기부(85)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노즐부(87)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분기부(85)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노즐부(87)는 물의 유동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리하는 제1노즐(871) 및 제2노즐(8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분기부(85)를 기점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켠대, 상기 노즐공급배관(81)에서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하던 물이 상기 노즐분기부(85)를 지나면서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단순히 일례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경로 및 방향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은 물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871)과 상기 제2노즐(873)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외력과 진동을 받을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노즐연결부(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연결부(86)는 상기 제1노즐(871)과 상기 제2노즐(873)의 내부 유로 및 유체의 유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제1노즐(871)과 상기 제2노즐(873)을 외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공급배관(81)과 상기 노즐분기부(85) 사이에 분사장착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장착부(82)는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의 유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착부(82)는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의 일단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캐비닛상면(11)과의 결합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단면적을 넓혀 상기 캐비닛상면(11)과 마찰면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사장착부(82)는 상기 캐비닛상면(11)과 마찰면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다른 결합 구조가 형성되는 일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착부(82)의 일측에는 상기 분사장착부(82)의 전후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돌기(84)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돌기(84)는 상기 캐비닛상면(11)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에 상기 탄성돌기(84)가 끼워지고 결합위치까지 회전시킬 경우 상기 탄성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분사장착부(82)를 상기 캐비닛상면(11)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사장착부(82)의 배면에는 결합돌기(83)가 상기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83)는 상기 캐비닛상면(11)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83)는 상기 분사장착부(82)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부분은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돌기 부분은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83)가 삽입되는 상기 캐비닛상면(11)의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8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83)의 회전 방향에 따라 홈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에 상기 결합돌기(83)가 결합홈에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으나, 상기 결합돌기(83)를 결합홈에 삽입한 후에 결합홈을 따라 회전시킬 경우,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83)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83)는 상기 결합홈에서 쉽게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분사장착부(82)를 상기 캐비닛상면(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분사장치(80)를 상기 캐비닛상면(1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상면(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상면(11)에 결합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드럼(30)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을 견고히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탄성돌기(84) 또는 상기 결합돌기(83)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87)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노즐부(87)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871) 및 제2노즐(87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요구될 경우 상기 제1노즐(871) 및 제2노즐(873)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노즐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에는 각각 물이 분사되는 제1분사구(872) 및 제2분사구(8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구(872) 또는 상기 제2분사구(874)를 통과한 물은 관성 및 중력의 영향을 받아 상기 드럼(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구(872) 및 상기 제2분사구(874)를 통해 분사되는 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구(872) 또는 상기 제2분사구(874)를 통과하는 물은 분사되는 분사력 이외에도 중력 등 다양한 외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되는 물의 직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분사되는 물이 분사구를 지나면 반경방향 저항이 사라지므로 분사구에서 멀어질수록 분사되는 물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분사된 물이 물체에 도달할 때에는 분사구보다 넓은 면적에 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사구(872)와 상기 제2분사구(87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는데, 여기서 분사방향이란 분사구를 통과하는 유체가 통과 당시에 갖는 속도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분사구를 평면으로 볼 때, 해당 평면에 존재하는 물 입자가 갖는 속도의 벡터값의 평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방향은 상기 제1분사구(872) 또는 상기 제2분사구(874)를 평면으로 볼 때, 상기 평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법선이란 특정 평면에 대해서 수직인 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사방향은 상술한 것처럼 분사구의 무게중심에서 연장되는 법선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상기 급수부(6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서로 다른 분사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넘어, 상기 드럼(3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기둥부(15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에서 상기 기둥부(150) 방향을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노즐(871)은 상기 기둥부(150)의 왼쪽에 위치하는 드럼(30)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기둥부(150)의 오른편에 위치하는 드럼(30)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단순히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노즐(871)이 상기 기둥부(150)의 오른쪽 공간을 향해, 상기 제2노즐(873)이 상기 기둥부(150)의 왼쪽 공간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각각의 노즐이 물을 분사하는 분사방향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노즐(871)이 상기 기둥부(150)의 왼쪽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경우, 상기 분사된 물이 상기 드럼바닥면(33) 또는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 도달하여 비산될 수 있다. 비산되는 물이 상기 기둥부(150)의 오른쪽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물을 특정방향으로 분사한다고 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이 분사구를 통과하는 당시에의 방향 또는 분사구의 무게중심에서 연장되는 법선 방향을 의미할 것이고, 분사된 물이 도달하는 위치는 분사방향과 별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1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노즐(871)과 상기 제2노즐(873)이 상기 드럼(30)의 다른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드럼(30)의 내부에 더욱 골고루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 내부에 골고루 물을 분사할 경우 특정 부분에 물이 집중되어 세탁 및 헹굼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분사패턴을 표현한 것이다. 도 6(a)는 상기 분사패턴의 전면도, 도 6(b)는 상기 분사패턴의 측면도, 도 6(c)는 상기 분사패턴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를 참고하여 상기 기둥부(150)와 상기 분사장치(80)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S1)을 상정하면, 상기 드럼(30) 내부의 공간은 상기 가상의 평면(S1)에 의해 나눠지는 제1드럼공간(R1)과 제2드럼공간(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드럼(30)의 내부를 구분 지었을 때,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은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서로 다른 공간을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80)는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으나, 상기 드럼(3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에는 물이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노즐부(87)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방향이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를 향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제1분사구(872) 및 상기 제2분사구(874)를 통과한 물이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드럼(30) 내부에 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이나 상기 드럼바닥면(33)에 튕겨서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여 물을 분사한다는 것"은 상기 드럼(30)과 같이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외한 구성품에 일차적으로 분사된 물이 반사 및 비산되어 상기 기둥부(150) 또는 상기 블레이드(170)에 도달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80)의 노즐부(87)를 구성하는 상기 제1노즐(871)은 상기 드럼(30)의 원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노즐(873)은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한다는 것은, 상기 제1노즐(87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분사구(872)의 중심에서 상기 제1분사구(872)에 수직인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873)에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인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방향 또한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다른 구성은 제외하고, 드럼(30), 회전부(100), 터브(20)의 상부 그리고 분사장치(80)만 도시하고 있고,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을 참고하여 상기 분사장치(80)의 왼쪽에 형성되는 상기 제1노즐(871)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패턴을 살펴본다. 상기 분사패턴의 중심선이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중심선이 앞서 언급한 드럼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 한하여 도달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드럼바닥면(33) 또는 상기 회전부(100)의 바닥부(110)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분사 방향의 정의에 따라 상기 제1노즐은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을 향해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에서 분사된 물의 분사패턴은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은 상기 드럼(3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되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외한 공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 내부의 공간은 상기 드럼바닥면(33) 및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 의해 정의되므로,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제외한 공간은 특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6(a)를 참고하면,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노즐(873)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해 분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873)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분사구(874)의 중심에서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도 6(a)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2노즐(873)에서 상기 드럼바닥면(33)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고 분사되는 물의 패턴이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 직접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은" 최초에 상기 제2노즐(873)에서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해 물이 분사된 후, 물의 유동 과정에서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 물이 분사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87)를 구성하는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이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설계될 경우, 의류처리장치 이용 과정에서 상기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다양한 방향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내주면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경우 상기 드럼(30)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물이 직접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드럼(30) 내부에 의류가 일정높이 이상 차있는 경우에도 상기 드럼(30)의 내벽을 따라 상기 드럼바닥면(33)까지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873)의 경우 상기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2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므로, 상기 드럼(30)에 의류가 일정 높이 이상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바닥면(33)에 인접하게 저장된 의류에는 분사된 물이 효과적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의류가 다량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30)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세탁 및 헹굼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드럼(30) 내부에 의류가 소량 저장되어 일정 높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으로 물이 분사되면 저장된 의류에 직접 물이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으로 분사되는 물은 상기 드럼(30)의 내벽에 일차적으로 도달하여 운동량이 소실되므로, 직접 의류에 분사되는 것에 비해 헹굼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직접 드럼바닥면(33)을 향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873)이 더욱 효과적으로 세탁 및 헹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노즐(871)이 상기 드럼 내주면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노즐(873)이 상기 드럼바닥면(33) 방향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드럼(30) 내부에 소량의 의류가 저장되는 경우는 물론 다량의 의류가 저장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세탁 및 헹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노즐(87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분사구(872)의 면적은 상기 제2노즐(87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분사구(874)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분기부(85)에서 분기되어 유동하는 물은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 중 유로의 부피가 큰 쪽으로 더욱 많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노즐(871)에서 더욱 많은 물이 분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80)의 구조적 특성 상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의 길이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사구(872) 또는 상기 제2분사구(874)의 면적 차이를 이용하여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871)에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분사구(872)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노즐(873)에서 더 많은 물을 분사해야 하도록 설계할 경우에는, 상기 제2분사구(874)의 면적을 상기 제1분사구(872)의 면적보다 크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분사구의 중심에서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인 제1분사방향(D1)과 상기 물이 자유낙하 하는 방향인 기준방향이 이루는 각도인 제1각도(a1)는 상기 제2분사구의 중심에서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인 제2분사방향(D2)과 상기 기준방향이 이루는 각도인 제2각도(a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방향(G)은 중력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분사방향(D1) 및 제2분사방향(D2)은 상기 제1분사구(872) 및 상기 제2분사구(874)를 통과하는 물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중력 방향을 의미하는 기준방향과 형성하는 각도가 클수록 더 넓은 면적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각도(a1)가 상기 제2각도(a2)보다 크게 설계되어 상기 제1노즐(871)이 상기 제2노즐(873)보다 더욱 넓은 면적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각도(a2)가 상기 제1각도(a1)보다 크게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노즐이 서로 동일하게 물을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노즐이 다른 노즐보다 더욱 넓은 면적에 물을 분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80)는 다양한 패턴으로 물은 분사하여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패턴을 상측에서 도시하고 있다. 좌측에 위치하는 제1노즐(871)에서 분사되는 물의 패턴이 형성하는 각도를 제1분사각도(a3)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노즐(873)에서 분사되는 물의 패턴이 형성하는 각도를 제2분사각도(a4)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각도(a3) 및 상기 제2분사각도(a4)에 따라 상기 분사되는 물이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를 회피하여 분사되거나,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에 도달하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각도(a3) 및 상기 제2분사각도(a4)는 설계과정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각도(a3) 및 상기 제2분사각도(a4)가 클수록 더 넓은 면적에 물을 분사할 수 있어 세탁 및 헹굼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상기 제1분사각도(a3) 및 상기 제2분사각도(a4)가 과도하게 커질 경우, 한정된 공간 내에서 분사되므로 상기 기둥부(150) 및 상기 블레이드(170)에 물이 분사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상기 제1분사각도(a3) 및 상기 제2분사각도(a4)는 상기 제1노즐(871) 및 상기 제2노즐(873)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구에서 기준시간 동안 분사하는 물의 양인 제1분사량은 상기 제2분사구에서 상기 기준시간 동안 분사하는 물의 양인 제2분사량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1분사량은 초당 분사되는 물의 부피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 단위로는 ㎥/s, ㎤/s 또는 ㎣/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량을 달리 설정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상기 드럼(30) 내부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캐비닛상면(11)에 구비되어, 세제를 보관하고 상기 드럼(30) 또는 상기 터브(20)에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60)는 상기 세제공급장치(15) 및 상기 분사장치(80)와 연결되어 상기 세제공급장치(15) 및 상기 분사장치(80)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는 상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공급된 물을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안내하는 외부급수유로(미도시), 상기 외부급수유로(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급수유로(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급수밸브(61), 상기 급수밸브(61)와 상기 세제공급장치(15)를 연결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세제공급장치(15)로 안내하는 내부급수유로(미도시) 및 상기 급수밸브(61)와 상기 분사장치(80)를 연결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분사장치로 안내하는 분사급수유로(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61)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별도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61)의 일측은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제공급장치(15)로 냉수를 공급하고, 다른 일측은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제공급장치(15)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61)는 상기 냉수 및 온수의 유입을 적절히 조절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급수밸브(61) 중 냉수를 공급받는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될 경우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드럼(30) 내부로 냉수를 분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온수를 공급 받아 상기 분사장치(80)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상면(11)은 상기 의류개구부(12)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의류개구면(14)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80)는 상기 의류개구면(14)을 관통하며 상기 급수부(60)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6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노즐공급배관(81) 및 상기 노즐공급배관(81)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부(87)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은 상기 분사급수유로(6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급수유로(62)가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공급배관(81)의 외주면에 상기 분사급수유로(62)가 결합되고 상기 분사급수유로(62)를 외부에서 더욱 단단하게 조이는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분사급수유로(62)의 외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00: 회전부
11: 캐비닛상면 110: 바닥부 12: 의류개구부
13: 의류도어 14: 의류개구면 15: 세제공급장치
150: 기둥부 16: 세제공급통 17: 세제공급하우징
170: 블레이드 20: 터브 22: 터브개구부
30: 드럼 31: 드럼개구부 33: 드럼바닥면
39: 밸런서 40: 회전축 41: 제1회전축
42: 제2회전축 45: 기어세트 46: 제1클러치요소
47: 제2클러치요소 50: 구동부 60: 급수부
61: 급수밸브 62: 분사급수유로 65: 배수부
70: 제어부 80: 분사장치 81: 노즐공급배관
82: 분사장착부 83: 결합돌기 84: 탄성돌기
85: 노즐분기부 86: 노즐연결부 87: 노즐부
871: 제1노즐 872: 제1분사구 873: 제2노즐
874: 제2분사구 a1: 제1각도 a2: 제2각도
a3: 제1분사각도 a4: 제2분사각도 D1: 제1분사방향
D2: 제2분사방향 G: 기준방향 R1: 제1드럼공간
R2: 제2드럼공간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가 출입되는 의류개구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의류개구부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를 포함하는 터브;
    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 및 상기 드럼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드럼바닥면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드럼개구부을 향해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드럼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둥부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캐비닛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캐비닛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상면은
    상기 의류개구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의류개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의류개구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노즐공급배관; 및
    상기 노즐공급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노즐 및 제2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기둥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노즐부와 상기 기둥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에 의해 제1드럼공간 및 제2드럼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노즐은
    상기 제1드럼공간을 향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2드럼공간을 향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드럼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제1분사구; 및
    상기 제2노즐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제2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구의 면적은 상기 제2분사구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구의 중심에서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인 제1분사방향과 상기 물이 자유낙하 하는 방향인 기준방향이 이루는 각도인 제1각도는 상기 제2분사구의 중심에서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인 제2분사방향과 상기 기준방향이 이루는 각도인 제2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구에서 기준시간 동안 분사하는 물의 양인 제1분사량은 상기 제2분사구에서 상기 기준시간 동안 분사하는 물의 양인 제2분사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상면에 구비되어, 세제를 보관하고 상기 드럼 또는 상기 터브에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제공급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세제공급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공급된 물을 상기 캐비닛 내부로 안내하는 외부급수유로;
    상기 외부급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급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세제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안내하는 내부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밸브와 상기 분사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분사장치로 안내하는 분사급수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상면은
    상기 의류개구부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의류개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의류개구면을 관통하며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노즐공급배관; 및
    상기 노즐공급배관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공급배관은
    상기 분사급수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02607A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KR20220021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07A KR20220021708A (ko)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PCT/KR2021/010150 WO2022035114A1 (en) 2020-08-14 2021-08-03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17/399,651 US11859340B2 (en) 2020-08-14 2021-08-11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US17/401,731 US20220049394A1 (en) 2020-08-14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07A KR20220021708A (ko)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08A true KR20220021708A (ko) 2022-02-22

Family

ID=8022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607A KR20220021708A (ko) 2020-08-14 2020-08-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9340B2 (ko)
KR (1) KR20220021708A (ko)
WO (1) WO20220351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722A (en) * 1990-01-05 1992-12-01 Whirlpool Corporation Spray rinse process for vertical axis automatic washer
US6185774B1 (en) * 1999-06-16 2001-02-13 Whirlpool Corporation Recirculation spray nozzle for a vertical axis washer
JP2002282587A (ja) * 2001-03-23 2002-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US9109321B2 (en) * 2011-03-24 2015-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rinsing objects in an appliance
US10000885B2 (en) * 2013-07-04 2018-06-19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2155003B1 (ko) * 2013-10-24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196182B1 (ko) * 2014-10-2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803304B2 (en) * 2015-06-13 2017-10-3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gitation element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9340B2 (en) 2024-01-02
US20220049409A1 (en) 2022-02-17
WO2022035114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46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4315B1 (ko) 의류처리장치
US8991219B2 (en) Washing machine with reservoirs in the ribs for balancing and wash sprays
JP6142004B2 (ja) 衣類処理装置
EP2108731B1 (en) Washing machine
JP5497903B2 (ja) 洗濯物処理装置
KR102573125B1 (ko) 세탁기
US9003838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US20110146003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20090107164A (ko) 세탁기
EP2516718B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8713977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RU273440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20100106260A (ko) 세탁기
US8991223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US20120144880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alancing system
KR2022002170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2171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242638B2 (en) Washing machine
US202200494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04939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2186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98515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balancer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552154B (zh) 控制洗衣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