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276A - 모든 작동 상황에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든 작동 상황에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276A
KR20220020276A KR1020217041374A KR20217041374A KR20220020276A KR 20220020276 A KR20220020276 A KR 20220020276A KR 1020217041374 A KR1020217041374 A KR 1020217041374A KR 20217041374 A KR20217041374 A KR 20217041374A KR 20220020276 A KR20220020276 A KR 20220020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aking
fixed magnet
braking elemen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루스웜
헤르베르트 카르너
르네 홀처
카를 크라이너
Original Assignee
비투르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투르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투르 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2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8Brakes acting on a linearly mov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레일 유도형 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제동 장치로, 제동 장치가 카 또는 균형추 위에 (보통은 부유식으로)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본체는 적절하게 설치되면 레일을 감싸고 가이드 레일의 한쪽에 있는 위치에 제동 요소를 유지하며 가이드 레일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에 다른 제동 요소를 유지하고, 제동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스위칭 가능한 고정 자석에 의해 자동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고, 이에 따라, 고정 자석을 스위칭하면, 제동 요소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고정 자석으로부터 멀어지게 레일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고정 자석과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거나 혹은 더 커지게 되고, 제동 요소는 제동 요소가 레일에 접하는 시점에 카가 (단지 소소하게) 이동하면 제동 요소가 본체와 레일 사이에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설계되고, 고정 자석이 공극 축소 기구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고정 자석과 아직 레일과 본체 사이에 진입하지 않은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이 축소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고정 자석이 스위칭되자마자 고정 자석이 제동 요소를 다시 자기적으로 트랩된 상태로 유지하는 제동 장치.

Description

모든 작동 상황에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제동 장치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제동 장치 및 안전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제동 장치 또는 안전 장치는 쐐기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 기동 시, 적어도 하나의 제동 요소 또는 그 일부분이 연관된 주행 방향으로 좁아지는 갭 내로 진입함으로써 자체-보강 제동력을 발휘한다. 추가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동 요소가 갭에서 해제되고 나서 대기 위치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
현재 공지되어 있는 제동 장치 및 안전 장치의 대부분은 이를 위해 수동 개입이 필요하다. 카(car)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 요소를 해제한다. 그런 다음 제동 요소가 수동으로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 위치에 올바르게 위치된다.
그러나 현재 구성 형태의 제동 장치 및 안전 장치는 제동 후 또는 걸림 후에 제동 요소가 대기 위치로 완전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미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제동 장치와 안전 장치는 제동 요소를 쐐기 갭 내로 진입시키는 이동이 제동 요소가 후속해서 그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준비하는 데도 사용되도록, 즉 상응하는 상대 이동을 생성하도록 보통 설계된다. 제동 요소를 쐐기 갭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카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동 요소는 즉시 대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공지되어 있는 제동 장치 및 안전 기어의 경우, 재설정을 위해서는 제동 요소가 반드시 쐐기 갭 내로 진입해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브레이크가 작동되었지만 제동 요소가 진입하지 않아서 제동 효과가 없었던 모든 경우들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 재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특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현재 공지되어 있는 제동 장치 및 안전 기어의 경우, 그 과정은 그에 따라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난 후에 제동 효과가 없더라도 우선 제동 효과가 재설정을 목적으로 특별히 생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동 요소가 진입하고 그 과정에서 후속해서 제동 요소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준비하는 각각의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거나 만들어 내도록 카가 더 이동한다. 그런 다음 카는 다시 제동 요소를 진입한 위치에서 해제하기 위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때서야 제동 요소가 복귀될 것이다. 이 과정은 시간을 소모하고 가이드 레일이 불필요한 마모되고 파열될 위험이 있는데, 이는 실제로 단지 자동 해제를 준비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동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되었지만 제동 효과가 발생되지 않았거나 단지 약간의 제동 효과만이 발생된 경우에 용이하고, 신속하며 가이드 레일의 불필요한 마모가 일어날 위험 없이 재설정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방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에 따른 제동 장치가 제안된다.
레일 유도형 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안전 장치는 카 또는 균형추 위에 (보통은 부유식으로)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적절하게 조립되면, 본체는 레일을 감싼다. 본체는 제동 준비 위치에서 레일의 한쪽에 제동 요소를 유지한다. 본체는 제동 준비 위치에서 레일의 반대쪽에 다른 제동 요소를 유지한다.
이 경우, 제동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스위칭 가능한 고정 자석에 의해 자동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대기 위치에서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는 고정 자석을 스위칭하면 제동 요소가 고정 자석으로부터 멀어지게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압되도록 일어난다. 이는 고정 자석과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을 초래하거나 혹은 그러한 공극이 더 커진다.
이 모든 것에서, 제동 장치는 제동 요소가 레일에 접하는 시점에 카가 소소하게 이동하면 제동 요소가 본체와 레일 사이에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자석이 공극 축소 기구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고정 자석과 아직 레일과 본체 사이에서 진입하지 않은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이 축소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고정 자석이 다시 "유지"로 스위칭되지마자 고정 자석이 다시 제동 요소를 자기적으로 트랩된 상태로 유지한다.
공극 축소 기구의 도움으로, 브레이크가 반응했지만 제동 쐐기 또는 브레이크 롤러의 형태로 된 제동 요소 또는 이를 위해 의도된 그 컴포넌트가 본체와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다지 제동 효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브레이크는 어떠한 문제도 없이 완전히 자동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제동 요소 또는 제동 요소의 상응하는 컴포넌트가 이 상황에서 단순히 다시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해하는 고정 자석과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은 이 과정에서 또는 그 후에 대기 위치까지 되돌리기 위하여 고정 자석이 충분한 강도로 제동 요소를 다시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을 정도까지 공극 축소 기구에 의해 축소되거나 혹은 심지어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자석을 가지고 작동하는 제동 장치에서, 예를 들어 덜 빈번한 야간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대기 모드에 있는 즉시 (고정 자석을 포함하는) 제동 장치를 완전 무전류 모드로 스위칭할 가능성이 이제 처음으로 발생한다. 제동 요소 또는 제동 요소의 상응하는 컴포넌트가 가이드 레일에 접하게 된다는 점은 더 이상 불리하지 않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이 많이 들고 마모되기 쉬운 브레이크를 우선 기동시킬 필요 없이 이 위치로부터의 완전 자동 복귀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
바람직하게는, 공극 축소 기구가 가이드 및 드라이브에 의해 실시되는데, 가이드를 따라 고정 자석이 레일 위에 안착된 제동 요소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달리 말하면, 주로 카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게) 이동될 수 있고, 드라이브는 이러한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자석을 고정 자석에 의해 끌어 당겨질 제동 요소 또는 제동 요소의 일부분에 가까이 가게 하는 것에 의해, 공극이 특히 효과적으로 축소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가 대기 위치로 매우 쉽게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압축 스프링이면, 공극을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혹은 제동 요소를 유지하는 고정 자석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이 대기 위치까지 인장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압축 스프링은 다음 사용을 위해 준비된다.
이상적으로는, 드라이브가 모터 구동식 스크루 스핀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루 스핀들이 늘어나거나 혹은 줄어들도록 스크루 스핀들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는 로터리 스핀들 모터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큰 변속비가 매우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를 다시 인장시키는 데 필요한 비교적 큰 힘을 인가하는 데 매우 작은 모터면 충분하다. 스핀들 모터를 매우 작게 유지하는 다른 이유는 애플리케이션 당 스위치온 시간(switch-on time per application)이 비교적 짧아 열 측면은 제한된 정도로만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스핀들 모터가 과열될 것이기 때문에 장기간의 작동 시에 피해야 할 부하 범위(과전압, 과전류)에서 작동될 수 있다.
스크루 스핀들이 순수 힘(pure force)의 영향 하에서 종축 방향 회전을 시작하지 않도록 자체 잠금식으로 설계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는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한다. 스핀들 모터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전원 차단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능동적으로 회전할 때 잠깐만 전원 공급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드라이브가 예를 들어 고정 자석을 제동 요소와 함께 레일로부터 멀리 당기는 것에 의해 자기 자석의 공극을 제거할 때 드라이브가 액추에이터도 재인장시키도록 드라이브와 액추에이터가 설계되고 구성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미 청구된 것과 함께, 가이드 레일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 및 지지 요소를 통해 카와 서로 연결된 균형추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보호 또한 청구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견인식 엘리베이터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는 그 카가 언급된 청구항들 중 한 청구항에 따른 제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
본 발명의 다른 독립적인 태양은, 제동 장치의 제동 요소가 고정 자석에 의해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서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정상 작동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동 요소가 아직 레일과 본체 사이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 중에 혹은 최소 진행 중에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제동 장치를 자동으로 비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 공극 축소 기구를 활성화시켜서 공극 축소 기구가 대기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작업 위치에서 공극 축소 기구가 제동 요소와 레일 간의 상대 이동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제동 요소와 고정 자석 사이의 공극을 제거하거나 혹은 고정 자석이 제동 요소를 다시 자기적으로 트랩된 상태로 유지하고 이상적으로는 액추에이터가 다시 인장되는 정도까지 공극을 축소시키게 하는 단계,
- 공극 축소 기구를 비활성화하여 공극 축소 기구가 작업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동 요소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동 요소가 고정 자석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게 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이 프로세스는 또한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기술되고 이에 따라 청구될 수도 있다.
제동 장치의 제동 요소가 고정 자석에 의해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서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정상 작동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동 요소가 아직 레일과 본체 사이에 진입하지 않았거나 혹은 단지 약간만 진입한 상태에서, 정지 중에 혹은 최소 진행 중에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제동 장치를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는 방법으로,
- 공극 축소 기구를 활성화시켜서 공극 축소 기구가 대기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작업 위치에서 공극 축소 기구가 제동 요소와 레일 간의 상대 이동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제동 요소와 고정 자석 사이의 공극을 제거하거나 혹은 고정 자석이 제동 요소를 다시 자기적으로 트랩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단계,
- 공극 축소 기구를 비활성화하여 공극 축소 기구가 작업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동 요소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동 요소가 고정 자석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게 하는 단계,
- 공극 축소 기구의 비활성화 중에,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게는 또한 인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또한 청구되는 다른 방법은 대기 위치에 전자기적으로 유지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하는 에너지 절약형 대기 작동 방법이다. 프로세스는,
- 제동 장치의 고정 자석을 고정 자석에 의해 유지되는 제동 요소 또는 고정 자석에 의해 유지되는 부분과 함께 정상 제동 작동 시에 본체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진입하도록 의도된 제동 요소의 부분이 레일 위에 안착될 때까지 레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그런 다음 이제 시작하는 대기 작동의 지속 기간 동안 고정 자석을 전원 차단하는 단계,
- 대기 작동의 종료 시에, 고정 자석이 다시 전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드라이브가 반대 방향으로 재활성화되고, 제동 요소의 상기 부분이 레일로부터의 다시 상승되고, 그리고 제동 요소의 이 부분이 대기 위치로의 복귀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다.
공극의 제거가 바람직하게는 힘을 가하여 액추에이터가 인장되는 것에 의해 대기 모드로 복귀하는 식으로 수행된다.
이상적으로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구들 중 하나가 공극 축소 기구로 사용된다.
추가 실시예들, 작동 모드들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을 읽으면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제동 장치가 대기 위치에 있으며, 고정 자석이 지정된 제동 요소를 그 대기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고정 자석이 전원 차단 상태로 스위칭된 후의 도 1에 따른 제동 장치를 슬롯형 링크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고정 자석이 공극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리니어 드라이브에 의해 지정된 고정 요소에 보다 가깝게 이동된 후의 도 1에 따른 제동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동 롤러를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다.
도 9는, 기본적이고 바람직한 기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응하는 제동 장치가 대기 모드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기본적이고 바람직한 기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동 롤러가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의 갭 내로 진입하기 전이지만 상응하는 제동 장치가 막 기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기본적이고 바람직한 기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방으로 진행할 때 제동 롤러가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의 갭 내로 진입하는 바로 동안의 상응하는 제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기본적이고 바람직한 기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응하는 제동 장치가 걸려 있고 제동 롤러는 이에 따라 완전히 진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청구된 공극 축소 기구들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안의 기능 원리를 도시한다.
구성 형태의 개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최선의 개관은 도 1 및 도 4를 함께 고려하는 것에 의해 알 수 있다.
제동 장치(1)는 도 4에서 매우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보이는 바와 같이, 제동 장치는 본체(2)를 포함한다. 사용 준비가 된 상태에서,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본체가 카를 붙잡아야 할 필요 없이 가이드 레일에 대해 그 자신의 중심을 맞출 수 있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체가 카에 대해 그리고 가이드 레일(3)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의 카 또는 카 프레임에 부유식(floating manner)으로 장착된다. 균형추가 자체 제동 장치로 특별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 필요하면 균형추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카는 2개의 평행한 레일들 위에서 안내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 각각의 경우에 레일 당 적어도 1개씩, 2개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본체(2)는 중앙 슬롯(S)을 구비한다. 적절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슬롯(S)은 서로 반대되는 양쪽에서 레일(3)을 파지한다. 레일(3)은 이론적으로는 독립된 제동 레일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레일(3)은 이미 존재하며 샤프트를 따라 카 또는 균형추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될 것이다. 이하, 가이드 레일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도 1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는 가이드 레일(3)의 한쪽에 있는 위치에 제동 요소를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 제동 요소는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라이닝(4)을 포함한다. 이 브레이크 라이닝(4)은 볼트들(5)에 의해 유지된다. 볼트들(5)은 본체(2)의 상응하는 가이드들(F)에서 앞뒤로 활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6),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프링 팩 형태로 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가 브레이크 라이닝(4)과 본체(2)의 상응하는 부분 사이에 안착된다. 브레이크 라이닝(4)의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정확한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너트(7)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들(5)과 스프링 요소들(6)은 이 제동 요소의 추가 컴포넌트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보면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는 가이드 레일(3)의 다른 쪽의 위치에 추가 제동 요소를 유지한다. 이 제동 요소는 브레이크 롤러(8)를 포함하는데, 곧 이를 상세하게 논의한다. 이 제동 요소의 다른 컴포넌트는 슬롯형 링크(9)이다. 슬롯형 링크(9)는 축(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에 부착된다. 슬롯형 링크(9)는 진자 로드(11)를 유지하고, 진자 로드는 다시 브레이크 롤러(8)를 유지한다. 진자 로드(11)는 적절한 플레이트(13)를 통해서 브레이크 롤러에 의해 활주 및 선회하게 안내된다. 플레이트(13)는 도 4에 특히 잘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롤러(8)는 이 진자 로드(11)를 통해 슬롯형 링크(9)에 연결된다. 진자 로드(11)는 복귀 스프링(12)을 유지하는데, 곧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기초하여 가장 잘 짐작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12)의 압축 하에, 진자 로드(11)가 그것에 의해 지지되는 브레이크 롤러(8)와 함께 화살표(P1)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동시에 화살표(P2)의 양방향으로 앞뒤로 진자식으로 진동하는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롤러(8)는 슬롯형 링크(9)에 의해 제어되지만, 특정 영역에서 슬롯형 링크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고정 자석(14)이 제동 장치(1)에 속한다는 것은 도 1을 기준으로 해서도 아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액추에이터(15) 또한 이에 속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15)는 압축 스프링 또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으로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15)는 슬롯형 링크(9)를 그 축(10)을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3)을 향해 선회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전원이 공급되는 한 고정 자석(14)이 이러한 선회를 방지한다. 여기에 도시된 상태에서, 유지 자석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도시 평면과 직교하고 슬롯형 링크의 일부분인 플레이트 섹션(28)을 끌어당긴다. 그 결과, 고정 자석은 슬롯형 링크(9)를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한다.
지지 및 안내 레일(16)이 본체(2)에 체결되어 있는 것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다. 이 지지 및 안내 레일(16)은 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이다. 어떤 경우에도 이는 리니어 드라이브(17)를 유지한다. 본 경우, 리니어 드라이브(17)는 회전 스핀들 모터(29)와 스크루 스핀들(18)을 구비하는 스핀들 드라이브로 설계되는데, 이는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리니어 모터도 생각할 수 있는데, 스핀들 드라이브가 최적의 변속비를 가지며 이에 따라 매우 작고 저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고정 자석(14)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키드(19)를 유지한다. 스키드(19)는 활주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스크루(20)를 통해 지지 및 안내 레일(16)에 체결되는데, 바람직한 본 경우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가이드 스크루 또는 각각의 가이드 스크루가 지지 및 안내 레일의 세장공에서 연장한다.
이 점에서 슬롯형 링크(9)가 선택적으로 추가 활주 가이드(21)를 형성하는 점을 특히 언급할만 하다. 가능하면, 활주 가이드(21)는 브레이크 롤러(8)가 진입하자마자 브레이크 롤러와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의 목적과 보다 정확한 특성은 아래의 설명의 맥락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일반적인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1)의 기본적이고 선택적이지만 명백히 바람직한 기능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4 및 도 8 내지 도 12에 제공된 예시에 기초하여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개략적인 예시들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7과의 명백한 차이들을 설명한다. 그런 그것은 실제로는 중요하지 않다.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적어도 도 4가 도시하지 않는 범위까지 논리적으로 설계될 수 있음은 사실이다.
우선, 도 8 및 도 4를 참조하여 브레이크 롤러(8)를 설명한다. 브레이크 롤러(8)는 주 섹션(22)과 회전축선(LR)을 갖는다. 주 섹션(22)은 일반적으로 가장 큰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측부 표면이 널링 가공되거나 혹은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다. 숄더(23)가 주 섹션(22)의 2개의 단부면들 각각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경우, 숄더(23)는 전형적으로 표면이 매끄러우며, 대부분 연마되거나 혹은 정해진 거칠기를 갖는다. 보통은 솔더(23)보다 직경이 더 작은 가이드 핀(24)은 주로 2개의 숄더들(23)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 단부면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설명한다.
대기 위치에 있는, 즉 정상 작동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의 원리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지 일부만 도시된 본체(2)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여기서도 또한 본체는 서로 반대되는 양쪽에서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한다. 브레이크 라이닝(4)도 또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은 스프링 요소(6)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슬롯형 링크(9)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슬롯형 링크는 축(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에 유지된다. 슬롯형 게이트(9)는 고정 자석(14)에 의해 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에 의해서 고정 자석에 의해 유지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정 자석(14)은 슬롯형 링크(9)를 가이드 레일(3)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경향이 있는 액추에이터(15)의 힘을 극복한다. 마지막으로, 활주 가이드(21)도 또한 명확하게 볼 수 있는데, 여기 이 기본 실시예에서 활주 가이드는 선택적으로 모든 둘레가 폐쇄되는 곡선형 슬롯으로 슬롯형 링크(9)에 통합된다.
도 9에 도시된 비활성화된 대기 위치는 브레이크 라이닝(4)이 가이드 레일(3)과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9에 도시된 대기 위치는 브레이크 롤러(8)가 슬롯형 링크(9)에 의해 가이드 레일(3)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유지되는 것이 추가적인 특징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진자 로드(11)(도 9 내지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음) 및 그 복귀 스프링(12)에 의해 수행된다. 둘 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슬롯형 링크(9)는 다음의 것을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도시하였는데, 이는 도 4에서도 또한 비교적 잘 볼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표면(25)이 본체(2)에 통합되는데, 이는 도 2를 참조하라. 이는 그 중앙에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26)를 구비하며, 이는 도 4를 참조하자.
다음으로 도 10을 고려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가 기동된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의 원리를 도시한다.
이 경우 고정 자석(14)이 스위칭되었다. 그런 다음 슬롯 링크(9)를 해제한다. 나선형 스프링으로도 설계된 액추에이터(15)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영향으로 슬롯형 링크가 가이드 레일(3)의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롤러(8)를 붙잡는다. 브레이크 롤러(8)의 주 섹션(22)이 최종적으로 가이드 레일(3)에 접한다. 이 시점에서 카가 예를 들어 여전히 소소한 속도로 하방 이동하는 경우 브레이크 롤러(8)가 브레이크 롤러의 주 섹션(22)과 가이드 레일(3)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브레이크 롤러(8)가 원칙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과 주행 표면(25)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한다. 브레이크 롤러(8)의 이러한 진입은 브레이크 롤러(8)를 유지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진자 로드(11)가 가이드 레일(3)의 방향으로 진자 로드를 안내하는 브래킷(13)을 통해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동시에, 진자 로드(11)는 상응하게 큰 브래킷 개구 때문에 상하로 선회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브레이크 롤러(8)는 지점들(PH과 PS)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지점(PH)은 브레이크 롤러(8)의 주 섹션(22)의 쉘과 가이드 레일(3) 사이의 접촉 영역이다. 지점(PS)은 브레이크 롤러(8)의 숄더(23)와 주행 표면(25) 사이의 접촉 영역이다. 이 측면에서, 브레이크 롤러의 주 섹션(22)의 대부분 널링되고 또한 경화된 쉘은 홈의 기부를 건드리지 않고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26) 내로 돌출된다. 이는 주 섹션(22)의 쉘의 거칠고 널링된 표면과 본체(2) 사이에 간극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거친 널링을 통해 본체(2)가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브레이크 롤러(8)가 가이드 레일(3)과 본체(2) 사이에서 클램핑됨으로 인해, 본체(2)는 가이드 레일(3)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본체(2)가 바람직하게는 카 또는 균형추 위에 부유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가이드 레일(3)에 대해 화살표(PB)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브레이크 라이닝(4)이 가이드 레일(3)의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에 상응하게 높은 마찰력이 발생한다.
도 12에서 원칙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시점에서 카 또는 평형추의 속도가 여전히 상당한 경우, 브레이크 롤러(8)는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의 갭 내로 더 진입한다. 이 경우 제동력은 제동 장치가 걸릴 정도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그것은 연속적인 안전 장치이다. 주행 표면(25)은 그 단부 영역에 강화된 사면/경사면을 구비한다. 이는 최대 인입 깊이를 제한하고 그 위에서 숄더(23)가 스커핑 손상(scuffing damage)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평평하게 롤 오프(roll off)될 수 있는 멈춤부를 궁극적으로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유형의 브레이크에 의하면, 견인력은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롤러(8)의 주 섹션(22)의 측부 표면이 가이드 레일(3)에서 롤 오프되는 반면 숄더들(23)은 주행 표면(25) 위에서 활주하도록 설정된다. 스커핑 손상을 제어하도록 스톱의 영역에 인서트(27)가 구비될 수 있음을 또한 언급해야 한다. 이 인서트는 (스커핑 손상이 있는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거나 혹은 베어링 금속이나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스커핑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동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면, 유사하게, 상향 이동 중에 제동 장치(1)가 기동될 때 동일한 일이 일어난다. 이 경우, 유일한 차이는 브레이크 롤러(8)가 하향 이동에 의해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의 쐐기 갭 내로 진입한다는 것이다.
도 10과 도 11을 비교하면, 특히 유리한 옵션을 볼 수 있다.
올바르게 설계된 활주 가이드(21)의 경우, 브레이크 롤러(8)가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에서 진입할 때, 슬롯형 링크(9)가 브레이크 롤러(8)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24)에 의해 고정 자석(14)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리 밀려난다. 그 결과, 제동 또는 걸림 중에, 슬롯형 링크(9)가 고정 자석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슬롯형 링크(9)와의 사이에서 개방된 공극이 축소되거나 제거된다.
예를 들어 카가 재시동될 때 제동 장치(1)를 다시 비활성화하기 위하여, 공극의 상기 자동 축소 또는 제거로 인해 고정 자석(14)에 다시 전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카 또는 균형추가 진행 반대 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롤러(8)는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의 쐐기 갭 밖으로 이동된다. 그러한 이동이 일어나고 브레이크 롤러(8)가 다시 자유로워지자마자, 복귀 스프링(12)에 의해 장력을 받는 진자 로드(11)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 위치로 다시 당겨진다. 따라서 제동 장치(1)는 수동으로 재설정해야할 필요 없이 걸림 후 완전 자동으로 다시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능
도 1은 제동 효과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제동 장치(1)가 비활성화된 시점에서 정상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동 장치(1)는 도 1의 대기 위치에 있다.
제동 장치(1)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전자석이 스위칭되고 이에 따라 유지력이 붕괴된다. 도 2는 그 때 일어난 일을 도시한다. 도 2에서, 슬롯형 링크(9)는 고정 자석(14)의 영역에서 절개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슬롯형 링크 뒤에 있는 고정 자석이 더 잘 보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를 나타내는 나선형 스프링이 슬롯형 링크(9)의 플레이트 섹션(28)을 가이드 레일(3)의 방향으로 가압했다. 그 결과, 브레이크 롤러(8)가 가이드 레일(3)에 접한다. 이 시점에 카는 이미 승차장에 있을 수 있거나 혹은 적어도 더 이상 크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카가 이미 정지해 있고 브레이크 롤러(8)가 단지 예방적으로 가이드 레일(3)에 대해 배치된 경우이다. 그러한 예방적 배치는 예를 들어 카가 착지 위치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빠져 나가는 일이 일어나는 경우 브레이크 롤러(8)가 진입해서 제동을 시작하는 것을 보장할 목적일 수 있다. 그러나 우려하는 빠져 나감이 일어나지 않으면 제동 롤러(8)는 본체(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의 갭 내로 진입하지 않는다. 대신 브레이크 롤러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남아 있다.
카가 다시 출발하여 다음 승차장으로 진행하려면, 제동 장치(1)가 다시 비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목적으로, 브레이크 롤러(8)가 대기 위치로 복귀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고정 자석(14)을 단순히 다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서는 성공하지 못한다. 이는 여기서는 자석 아마추어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섹션(28)과 고정 자석(14)의 단부면 사이의 공극(LU)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고정 자석(14)이 나선형 스프링 또는 그것에 의해 형성된 액추에이터(15)의 저항에 대항하여 큰 공극(LU)을 가로질러 플레이트 섹션(28)을 다시 끌어당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절차가 적용된다.
리니어 드라이브(17)는 고정 자석(14)을 가이드 레일(3)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작동은 고정 자석(14)과 슬롯형 링크(9) 또는 그 플레이트 섹션(28)에 의해 형성되는 자석 아마추어 사이의 공극(LU)이 고정 자석(14)이 플레이트 섹션(28)을 자기적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다시 끌어당겨서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질 때까지 일어난다.
리니어 드라이브(17)가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드라이브로 설계된 특정한 경우에, 이는 스핀들 모터(29)가 회전하도록 설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나사산이 장착된 모터 중공 샤프트(30)가 상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루 스핀들(18)이 모터 중공 샤프트(30)에서 나사체결 해제된다. 다른 단부가 고정 자석(14) 또는 그것의 적어도 하나의 스키드(19)에 부착되기 때문에, 고정 자석(14)은 예방 조치로서 가이드 레일(3)의 방향으로 전적으로 병진 이동된다. 이 경우, - 가이드 스크루(20)에 의한 이동 가능한 고정으로 인해 - 적어도 하나의 스키드(19)가 지지 및 안내 레일(16)을 따라 활주한다. 지지 및 안내 레일은 본체(2)에 단단히 연결되거나 혹은 본체(2)의 일체형 부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상응하는 특성 전력 소비에 기초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자석(14)이 자석 아마추어 및 이에 따라 플레이트 섹션(28)을 다시 견고하게 유지하면, 리니어 드라이브(17)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된다. 리니어 드라이브는 이제 고정 자석에 의해 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지고 유지되는 플레이트 섹션(18)과 함께 고정 자석(14)을 가이드 레일(3)의 방향으로 당긴다. 그 결과, 리니어 드라이브(17)는 슬롯형 링크(9)가 대기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슬롯형 링크(9)는 브레이크 롤러(8)를 붙잡아 대기 위치로 되돌린다. 특정한 경우에, 슬롯형 링크(9)는 상응하는 복귀력을 브래킷(13), 복귀 스프링(12) 및 진자 로드(11)를 통해 브레이크 롤러(8)에 인가한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고려하면, 리니어 드라이브가 가이드 레일(3)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식으로 전후 이동하는 병진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위치되면 특히 유리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고정 자석(14)의 하우징은 직경이 감소된 숄더를 구비한다. 이 감소된 직경은 여기서 액추에이터(15)를 형성하는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시트 또는 내부 가이드를 형성한다.
플레이트 섹션(18)이 구멍을 구비하는 것 또한 주목할 만하다. 고정 자석(14)의 로드(STA)가 이 구멍을 통과하여 연장하며, 로드의 단부는 플레이트 섹션(28)이 로드(STA)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루 또는 스플릿 핀 또는 클립을 유지한다. 상기 구멍은 고정 자석(14)의 로드(STA)가 이 구멍에서 앞뒤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여유롭게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15)를 형성하는 스프링이 고정 자석(14)과 플레이트 섹션(28) 사이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지지 및 안내 레일(16)이 처음에는 본체(2)와 별개이고 본체에 스크루 고정되거나 혹은 리벳 고정되는 컴포넌트이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 존재하는 이러한 유형의 제동 장치를 개장함으로써 제동 장치가 수동으로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 없이 혹은 사전에 브레이크 또는 캐치(catch)를 적용해야할 필요 없이 다시 비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동 장치의 기동이 제동 장치의 해제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일어나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니어 드라이브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능을 하면 특히 유리하다.
특허법에 관한 결론
특허법을 우회하고자 하는 시도를 사전에 중단시키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언급해 두는 것이 근본적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도 13에 따른 개념적으로 도시된 일반 기능 도면에 기초하면, 공극 축소 기구가 반드시 필수는 아니지만 이상적으로는 고정 자석(14)을 앞뒤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드라이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전히 물리적인 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폴 피스(K1, K2)에 의해 공극을 축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폴 피스들 각각은 약간의 경사를 갖는 평평한 쐐기 형상의 설부를 형성한다. 폴 피스들(K1, K2)의 쐐기 형상의 설부들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함께 평평한 상부면 및 하부면을 형성한다. 폴 피스들(K1, K2)은 자기 전도성 소재(예컨대, 강철)로 만들어진다. 이들은 양측에서 공극(LU)으로 삽입되는데, 이 공극은 처음에는 플레이트 섹션(28)이 고정 자석(14)에 의해 다시 끌어당겨지기에는 너무 크다. 폴 피스들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을 완전하게 혹은 실질적으로 폐쇄한다. 고정 자석(14)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고정 자석(14)이 플레이트 섹션(28)으로부터 실제로 너무 멀리 있음에도 불구하고 폴 피스들을 통해 큰 힘으로 플레이트 섹션(28)을 다시 끌어당길 수 있다.
그런 다음 폴 피스들은 반대 방향의 인장력들(Z1, Z2)에 의해 공극(LU) 밖으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속도로 측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 섹션(28) 또는 고정 자석(14)을 활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레이트 섹션(28) 및 이에 따른 자석 아마추어는 고정 자석(14)에 계속해서 점점 더 가까워지는데, 이때 양자를 분리시키는 공극은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 가장 마지막에, 폴 피스들이 플레이트 섹션과 고정 자석(14) 사이의 영역을 최종적으로 벗어나면, 플레이트 섹션(28)은 고정 자석(14)으로 "점프"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청구와 관계없이, 비활성화를 목적으로 브레이크가 제동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떨어진 후에, 외부의 바람직하게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제동 장치에 대한 독립적인 보호를 청구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구된 브레이크는 위의 설명 및/또는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첨부 도면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1: 제동 장치
2: 본체
3: 레일
4: 브레이크 라이닝
5: 볼트
6: 스프링 요소
7: 조정 너트
8: 브레이크 롤러
9: 슬롯형 링크
10: 축
11: 진자 로드
12: 복귀 스프링
13: 브래킷
14: 고정 자석
15: 액추에이터
16: 지지 및 안내 레일
17: 리니어 드라이브
18: 스크루 스핀들
19: 스키드
20: 가이드 스크루
21: 활주 가이드
22: 주 섹션
23: 숄더
24: 가이드 핀
25: 주행 표면
26: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
27: 베어링 메탈로 만든 인서트 또는 교체 가능한 인서트
28: 플레이트 섹션
29: 스핀들 모터
30: 내부 나사산이 있는 모터 중공 샤프트
LU: 공극
LR: 브레이크 롤러의 회전 축선
S: 레일을 수용하는 본체의 중앙 슬롯
F: 브레이크 라이닝(4) 또는 그 볼트(5)용의 가이드
P1: 진자 로드의 병진 이동성을 나타냄
P2: 진자 로드의 선회 능력을 나타냄
K1: 폴 피스
K2: 폴 피스
Z1: 인장력
Z2: 인장력
PH: 브레이크 롤러(8)의 주 섹션(22)의 측면과 가이드 레일(2) 사이의 접촉 영역
PS: 브레이크 롤러(8)의 숄더(23)와 본체(2) 사이의 접촉 영역
STA: 고정 자석의 로드
PB: 브레이크 롤러(8)의 구동에 의해 강제되는 본체의 변위를 나타내는 화살표

Claims (6)

  1. 레일 유도형 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제동 장치로,
    제동 장치가 카 또는 균형추 위에 (보통은 부유식으로)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본체는 적절하게 설치되면 레일을 감싸고 가이드 레일의 한쪽에 있는 위치에 제동 요소를 유지하며 가이드 레일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에 다른 제동 요소를 유지하고,
    제동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스위칭 가능한 고정 자석에 의해 자동 액추에이터의 힘에 대항하여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고,
    이에 따라, 고정 자석을 스위칭하면, 제동 요소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고정 자석으로부터 멀어지게 레일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고정 자석과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이 발생하거나 혹은 더 커지게 되고,
    제동 요소는 제동 요소가 레일에 접하는 시점에 카가 (단지 소소하게) 이동하면 제동 요소가 본체와 레일 사이에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설계되는, 제동 장치에 있어서,
    고정 자석이 공극 축소 기구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고정 자석과 아직 레일과 본체 사이에 진입하지 않은 제동 요소 사이의 공극이 축소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고정 자석이 스위칭되자마자 고정 자석이 제동 요소를 다시 자기적으로 트랩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극 축소 기구가 가이드 및 드라이브에 의해 구현되는데, 가이드를 따라 고정 자석이 레일 위에 안착된 제동 요소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드라이브는 그러한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드라이브가 모터 구동식 스크루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스크루 스핀들이 순수 힘(pure force)의 영향 하에서 종축 방향 회전을 시작하지 않도록 자체 잠금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드라이브는 공극을 축소시키거나 제거할 때 액추에이터에 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
  6.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 및 균형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제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217041374A 2019-06-18 2020-06-17 모든 작동 상황에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제동 장치 KR20220020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3423.8 2019-06-18
DE202019103423.8U DE202019103423U1 (de) 2019-06-18 2019-06-18 Bremsvorrichtung mit automatischer Lüftbarkeit in sämtlichen Betriebsfällen
PCT/EP2020/066754 WO2020254399A1 (de) 2019-06-18 2020-06-17 Bremsvorrichtung mit automatischer lüftbarkeit in sämtlichen betriebsfä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276A true KR20220020276A (ko) 2022-02-18

Family

ID=6730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374A KR20220020276A (ko) 2019-06-18 2020-06-17 모든 작동 상황에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73194B2 (ko)
EP (1) EP3986823A1 (ko)
KR (1) KR20220020276A (ko)
CN (1) CN113994118B (ko)
AU (1) AU2020294901A1 (ko)
BR (1) BR112021025525A2 (ko)
DE (1) DE202019103423U1 (ko)
WO (1) WO2020254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2222B2 (en) * 2018-10-26 2022-02-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ing device mechanism
EP4126731A1 (de) * 2020-03-31 2023-02-08 Inventio Ag Gleitführungsschuh für einen aufzug
US11597631B2 (en) * 2021-05-18 2023-03-07 Otis Elevator Company Magnet assemblies of 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elevator systems having encapsulated switch
EP4234470A1 (de) * 2022-02-23 2023-08-30 Elgo Batscale AG Auslöseeinheit für eine fangvorrichtung
CN115231487B (zh) * 2022-07-07 2023-07-28 安徽宇锋智慧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堆垛机机器人用松绳防坠联动机构
US11975945B1 (en) 2022-11-28 2024-05-07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safety brak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850A (en) * 1993-12-16 1995-11-21 Otis Elevator Company Permanent magnet, magnetodynamic safety brake for elevators and the like
JP4709650B2 (ja) * 2003-10-07 2011-06-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用の遠隔リセット可能なロープ無し非常停止装置
JP4594803B2 (ja) * 2005-06-08 2010-1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BRPI0924457A2 (pt) * 2009-03-16 2016-02-16 Otis Elevator Co sistema de segurança de elevador, e, elevador
DE202015106237U1 (de) 2015-11-17 2017-02-20 Wittur Holding Gmbh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mit energiesparendem Auslöser
DE202016103895U1 (de) * 2016-07-19 2017-10-20 Wittur Holding Gmbh Betätigungsorgan für eine Aufzugs-Bremseinrichtung
DE202018104891U1 (de) 2018-08-24 2018-10-08 Wittur Holding Gmbh Bremsfangvorrichtung für den Montagebe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3194B2 (en) 2024-01-16
CN113994118B (zh) 2024-04-30
BR112021025525A2 (pt) 2022-02-01
AU2020294901A1 (en) 2022-01-06
WO2020254399A1 (de) 2020-12-24
CN113994118A (zh) 2022-01-28
US20220363514A1 (en) 2022-11-17
DE202019103423U1 (de) 2019-06-28
EP3986823A1 (de)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0276A (ko) 모든 작동 상황에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제동 장치
EP1902993B1 (de) Selbstrückstellmechanismus für eine Bremsfangeinrichtung Typ BSG
CN111032554B (zh) 用于制动安全装置的辅助驱动装置
KR102068846B1 (ko)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CN108473279B (zh) 用于升降***的轿厢的制动装置
RU2643078C2 (ru) Ловите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объекта лифта
US20150129365A1 (en) Brake
KR20220116149A (ko)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해제 유닛
US20100252377A1 (en) Braking device for a passenger conveyor
DE102011000720A1 (de) Reibungsbremse für Aufzüge mit verbesserten Dämpfungseigenschaften
JP4316731B2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エレベータ用保持ブレーキ
CN114728761A (zh) 能够容易复位的电子防坠装置
JP2009541109A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装置
RU2816420C2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озврата в исходное состояние во всех рабочих ситуациях
AU2020402079B2 (en) Brake device, e.g. with a wedge-shaped brake element, for braking a travelling body that can be moved in a guided manner along a guide rail in a movement direction
KR102022235B1 (ko)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
JP2009035416A (ja) ブレーキ装置
KR10118827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960008456Y1 (ko) 엘리베이터 카용 마그네틱 브레이크장치
US11827494B2 (en) Safety brake system
EP3789334B1 (en) Braking device for elevator apparatus and associated braking method
RU2723006C2 (ru) Ловитель скользяще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лифта
JP2013151346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2005280593A (ja) 斜行軌道牽引車用非常停止装置
RU2022100374A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озврата в исходное положение во всех режимах рабо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