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219A -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 Google Patents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219A
KR20220019219A KR1020210018511A KR20210018511A KR20220019219A KR 20220019219 A KR20220019219 A KR 20220019219A KR 1020210018511 A KR1020210018511 A KR 1020210018511A KR 20210018511 A KR20210018511 A KR 20210018511A KR 20220019219 A KR20220019219 A KR 20220019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sk
filter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9024B1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Priority to PCT/KR2021/0017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35005A1/en
Publication of KR2022001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mask having a side fixing member that can fix the mask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specific part of the face without being fixed to the ear, unlike the conventional mask, and a nose cover part with improved sealing properties around the nose without pressing the user's fa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sk,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1) easy to detach and attach, 2) minimizes contact with the skin including the face during the detachment and attachment process, 3) minimizes irritation to the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4) minimizes discomfort caused by wearing for a long time, and 5) not only clearly specifies the area to be pressed but also minimizes the area to provide consistent fixing force regardless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fogging on glasses, etc., which is a chronic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in the conventional mask, by introducing a cover and a press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k that 6) can increase the adhesion around the nose while minimizing pressure and achieved an effect that could never be achieved in the conventional mask.

Description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본원발명은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마스크와 달리 귀에 고정되지 않고 안면의 특정 부위에 밀착함으로써 마스크를 안면에 고정할 수 있는 측면 고정부재, 사용자의 안면을 압박하지 않으면서도 코 주변부의 밀폐성을 높인 코 덮개를 포함하는 신규한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a side fixing member and a nose cover. Specifically, unlike the conventional mask, it is not fixed to the ear, but a side fixing member that can fix the mask to the face by closely adhering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It is about a filter replaceable mask.

마스크는 질병과 관련된 제품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인의 질병을 남에게 퍼트리지 않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황사,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 또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Masks have been of limited use as disease-related products. It was used as an auxiliary means to prevent spread of one's disease to others or to prevent infection from others.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wearing masks has increased due to the effects of yellow dust and fine dust, this is also to prevent diseases.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마스크에 대한 인식이 급변했다. 마스크에 대한 품귀 현상이 발생되었을 만큼 귀한 대접을 받았었고, 마스크만으로 질병 예방 효과가 크다는 것이 사회적으로 학습되었다. 하루 중 대부분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을 한 경험도 널리 공유되었다.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얼굴을 가린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동, 서양 구분없이 완화되었다.The pandemic of COVID-19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has drastically changed the perception of masks. Masks were treated so preciously that there was a shortage of masks, and it was socially learned that masks alone are effective in preventing disease. The experience of wearing a mask most of the day was also widely shared. The negative view of covering the face by wearing a mask was also alleviated regardless of East and West.

향후 마스크는 안경과 같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모든 가정이 최소 수량 이상을 상시로 비축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봄의 꽃가루, 황사, 한 여름 자동차의 매연, 겨울의 가벼운 감기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닌 것처럼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또한 매우 자연스러운 문화가 될 것이다.In the future, masks have been established as necessities like glasses. It seems that all households always stock more than the minimum quantity. It will be very natural to wear a mask even in the case of pollen in spring, yellow dust, car fumes in midsummer, and a mild cold in winter. Just as wearing glasses is not at all strange, wearing a mask will also become a very natural culture.

마스크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문화적 환경이 급변한 만큼 현재의 개념을 초월한 신개념 마스크가 필요하다. 상시로 착용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게 됨에 따라, 내구성을 높이면서 착용감을 높이고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신규한 개념의 마스크가 필요하다.As the temporal, spa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masks has changed rapidly, a new concept mask that transcends the current concept is needed. As it is not only worn all the time, but also worn for a long time, a new concept mask is needed that can increase durability and reduce discomfort while increasing wearability.

마스크는 고정하는 방식과 착용하는 방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마스크는 끈을 귀에 걸어 마스크를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코와 입 주변을 압박하면서 덮는 본체부로 구성된다.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고정부재인 끈 주변을 따라서 얼굴 및 귀에 눌림 자국이 발생한다.The method of fixing the mask and the method of wearing it needs to be improved. The mask consists of a fixing member that fastens the mask to the face by hanging a string around the ear, and a main body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while pressing. If the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pressure marks are generated on the face and ear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tring, which is a fixing member.

마스크는 착용하는 과정도 번거롭다. 끈의 길이를 조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얼굴에 맞게 코 눌림부의 강도 및 방향, 턱 주변부 등을 조정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폐가 완벽하지 않아 안경에 김이 서리는 문제는 현재의 마스크가 가지고 있는 영원히 해결될 것 같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The process of wearing a mask is also cumbersome.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nose compression part and the chin area according to the face. Nevertheless, the problem of fogging on glasses due to imperfect sealing is recognized as a chronic problem that is unlikely to be solved forever with current masks.

귀에 대한 스트레스도 해결되어야 한다. 마스크는 귀를 가장 중요한 고정부위로 사용하고 있다. 귀를 지지대로 사용해 안면에 착용하는 장치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통적인 안경은 물론, 헤드폰, 이어폰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귀를 지지대로 사용하고 있다. VR 기기도 귀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활용도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The stress on the ears must also be resolved. The mask uses the ear as the most important fixing part. Devices worn on the face using the ears as support are also on the rise. Traditional glasses, as well as headphones and earphones, use the ears as support in various ways. VR devices are also increasingly being used as products that use the ears as support.

귀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장치들을 착용하는 시간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하루 종일 착용하고 있는 안경은 물론 마스크 또한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착용하고 있다. 신규 기술이 적용된 이어폰을 몇 시간씩 사용하는 것은 너무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The time spent wearing devices that use the ears as support is also increasing significantly. Glasses, which are worn all day, as well as masks, are worn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It has become so natural to spend hours on earphones with the new technology.

이와 같이 귀에 대한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인 중 50%가 넘어선 안경 착용자들에게는 그 불편함이 가중될 것이다. 코로나 19 및 미세먼지에 따른 마스크 착용의 일상화도 귀에 대한 물리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physical stress on the ear will increase significantly. The discomfort will be exacerbated by spectacle wearers, who account for more than 50% of adults. The daily use of masks due to COVID-19 and fine dust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aggravate the physical burden on the ears.

그러므로 귀에 대한 물리적인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마스크를 얼굴에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귀에만 의존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닌 귀를 보조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제2의 안착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method that can fix the mask to the face while reducing the physical stress on the ea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that can be fixed by a second seat that can assist or replace the ear,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that only depends on the ea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마스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마스크의 끈 길이에 따른 누설률, 마스크를 착용할 때 느끼는 통증에 대한 사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원발명에서는 사전 연구로 KF94 마스크를 사용하였으며, 9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d the problem of the mask.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n the leakage rat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sk string and the pain felt when wearing the mask. In the present invention, a KF94 mask was used as a preliminary stud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9 participants.

우선, 마스크의 기본적인 목적인 낮은 누설률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끈 길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성인용으로 제작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 마스크의 끈을 포함하는 길이를 얼굴 길이의 120%로 조정한 경우의 누설률을 비교하였다. 후자의 경우가 전자의 경우에 대비하여 누설률이 적게는 25%에서 많게는 83%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스크는 끈 길이를 조절해야만 누설률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a study was conducted on an appropriate length of string to achieve the basic purpose of the mask, which is a low leakage rate. When the mask string length of the mask was not adjusted using a mask made for adults, the leakage rate was compared when the length including the mask string was adjusted to 120% of the face length. In the latter case, compared to the former, the leakage rate was reduced from 25% to 83%. That is, the mask can reduce the leakage rate on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wearing the mask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여기서 언급하는 얼굴 길이는 모르페우스를 이용하여 측정한 얼굴 길이로서 사용자의 왼쪽 귀에서 코 밑까지 그리고 코 밑에서 오른쪽 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The face length referred to here is the length of the face measured using Morpheus, and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user's left ear to the bottom of the nose and from the bottom of the nose to the right ear.

마스크의 끈 길이를 줄일 경우 누설률은 낮출 수 있지만, 장시간 착용에 따른 다양한 부위의 통증이 관측되었다.If the length of the mask string is reduced, the leakage rate can be lowered, but pain in various areas was observed due to long-time wearing.

도 1은 마스크 착용에 따른 통증을 관측한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얼굴의 특정 부분에 대한 통증의 정도를 착용 직후와 8시간 연속적으로 착용한 후에 대한 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 8시간 연속으로 착용할 경우 6번 부위(귀 뒤)에서만 통증의 정도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관측이 되었다. 안면에 대한 압박정도가 약할 경우라도 마스크의 끈이 귀에 계속 고정됨으로써 나타나는 통증으로 분석된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sition at which pain is observed according to wearing a mask. Qualit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degree of pain for a specific part of the face shown in FIG. 1 immediately after wearing and after wearing continuously for 8 hours. It was observed that when the mask was worn continuously for 8 hours without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p, the degree of pain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the 6th area (behind the ear). Even if the degree of pressure on the face is weak, it is analyzed as pain caused by the string of the mask being continuously fixed to the ear.

마스크의 끈 길이를 얼굴 길이의 120%로 조정하여 누설률을 낮춘 상태로 8시간 연속적으로 착용할 경우, 6번 부위를 포함하여 다양한 부위에서 통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와 관련된 4번 부위를 포함하여, 3번 부위, 7번 부위에서도 통증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번 부위와 7번 부위는 근막 압통점의 동통이 발현되는 부위로 두통을 유발하기 쉬우며 3번과 7번의 측두근과 후두부의 상부 경추 폄근의 근육들은 상부 승모근의 근막 압통점의 통증 유발부위로 두통 및 어깨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When the mask strap length was adjusted to 120% of the face length and the leakage rate was lowered and worn continuously for 8 hours, pain increas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6th area. It was found that the pa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3rd and 7th areas, including the 4th area related to the ear. The 3rd and 7th regions are the regions where the pain of the myofascial tenderness point is expressed, and it is easy to induce headache. It can cause shoulder pain.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사전 연구를 통해서 장기간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귀 외의 다른 근골격계에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스크의 착용으로 인해서 초래되는 다양한 통증은 또한 집중력을 떨어트려 학업 또는 업무까지 지장을 줄 수 있다. 최근 들어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의 귀의 변형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at wearing a mask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 cause pain in other musculoskeletal systems other than the ear through the prior study as described above. Various pains caused by wearing a mask can also impair concentration and interfere with schoolwork or work. Recently, when wearing a mask for a long time, the problem of ear deformation in growing children and adolescents is also emerging.

본원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를 제외한 제2의 안착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마스크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서 본원발명이 도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ask that can be fixed by a second seating area excluding the ear.

특허문헌 1은 착용이 간편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얼굴 전면부의 굴곡부에 걸쳐지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광대뼈 상단부에 접촉되고 귀 근처 얼굴 측면까지 얼굴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홀이 구비되고, 얼굴의 코와 입 주변부까지 감싸며, 탄력을 갖는 섬유밴드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이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홀이 구비되고, 콧구멍과 입을 감싸는 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상기 탄성 밀착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와 탄성 밀착부가 얼굴에 걸쳐지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목적은 귀가 불편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안면에 안정적으로 되고, 본체와 필터의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고 사용환경에 따라 본체나 필터를 분리시켜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mask that is easy to wea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that spans the curved portion of the front of the face, and an elastic adhe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to contact the upper cheekbones and extending along the face contour to the side of the face near the ear A frame and a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frame is detachably inserted are provided, the body is made of a fiber band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wraps around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that is detachably inserted therein, and is composed of a filter covering the nostrils and the mouth. It's about keeping.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1 is to be stable on the user's face without discomfort to the ears, an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ilter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the body and filter to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to use the body or filter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use. It is to provide possible masks.

특허문헌 1의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광대뼈 상단부에 접촉되고 귀 근처 얼굴 측면까지 얼굴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볼 부근을 포함한 부위에 넓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부가 약한 부위를 계속적으로 자극하고 있어, 장시간 착용을 할 경우 사용자가 안면에 자국이 남게 될 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가압되는 면과 이를 가압하는 압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일관된 고정력을 담보하기 어렵다.A frame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of Patent Document 1,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cheekbones, and including an elastic adhesion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ace contour to the side of the face near the ear is widely disposed in the region including the vicinity of the cheek. In this case, the weak skin is continuously stimulated, and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 user not only leaves a mark on the face but also feels discomfort.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a consistent fixing force because it does not provide a clear standard for the pressurized surface and the pressure to press it.

특허문헌 2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넥워머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안면의 눈 아래로부터 목까지 커버하는 넥 커버부;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부터 일정 공간 이격되어 형성되어 커버하는 실링 커버부; 넥 커버부의 상단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넥 커버부의 상단부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링부; 및 코와 입에 의한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안면과 목의 보호는 물론 호흡기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넥워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목적은 미세먼지의 차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되, 목과 안면에 대한 보호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미세먼지 차단의 효용성 확보를 위하여 얼굴의 곡면에 밀착성을 가지며, 활동 중에도 턱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 넥워머를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neck warmer for blocking fine dust, comprising: a neck cover par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cover the face from under the eyes to the neck when worn; a sealing cover pa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ser's nose and mouth when worn and covered; a pressing ring portion formed on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neck cover por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neck cov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nd it relates to a neck warmer that includes a filtering unit that filters air by the nose and mouth, and blocks fine dust flowing into the respiratory tract as well as protecting the face and neck.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2 is to effectively block fine dust, but to protect the neck and face, to have adhesion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face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blocking fine dust, and to not run down under the chin during activities We present a functional neck warmer that prevents this from happening.

특허문헌 2의 고무밴드를 사용하는 방식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1) 탈착과 부착이 매우 불편하다는 점이다. 또한 2) 부착과 탈착 과정 중에 얼굴의 쓸림에 의해서 화장이 지워질 우려가 있다. 3) 장시간 착용을 할 경우 사용자가 안면에 자국이 남게 될 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A typical problem of the method using the rubber band of Patent Document 2 is that 1) detachment and attachment are very inconvenient.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makeup being removed by rubbing of the face dur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process. 3)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 user not only leaves a mark on the face but also feels uncomfortable.

특허문헌 3은 웨어러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목적은 안면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에 부가되는 끈과 같은 걸이 도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본체를 일회용품으로 형성하더라도 본체만을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3 relates to a wearable mask, comprising: a body that covers and protects a mouth part of a user's face; and a face fixing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a part of the user's fa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art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mask. The purpose of Patent Document 3 is that when worn on the face, it is closely attached to a part of the face through the concave groove. It is to provide a wearable mask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replacing only the body.

특허문헌 3의 경우 1) 계속적인 착용에 의해서 안면에 자국이 남을 우려가 있고, 2 가압되는 면과 이를 가압하는 압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일관된 고정력을 담보하기 어렵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1) there is a risk of leaving a mark on the face due to continuous wearing, an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a consistent fixation force because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the pressurized surface and the pressure to press it.

특허문헌 4는 마스크에 사용하는 소재의 신축율과 악처에서 이주까지의 길이, 광대뼈의 위치 등을 기초로 한 입체에 대응하는 제도에 의해 성인용에서 소아용으로 도달할 때까지 및 안면, 턱부분, 전두부 등의 각 부에 저스트 피트하는 얼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4의 목적은 안면이나 턱부분 및 전두부에 피트하고 붕대나 반창고 및 안대 등을 대신하는 의료용품 또는 미용 목적으로 적합한 시트형 얼굴 마스크의 입체에 대응하는 제도법 및 상기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4 is a system that corresponds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the elasticity rate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mask, the length from the jaw to the trajectory, the position of the cheekbones, etc. It is related to the face mask which just fits each part of the back. An object of Patent Document 4 is to provide a draw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form of a sheet-type face mask suitable for cosmetic purposes or medical products that fit the face, chin, and frontal region and replace bandages, bandages, and eye patches, and the mask.

특허문헌 4는 귀에 걸고 이의 장력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귀에 대한 스트레스를 극도로 높이는 것에 해당한다.Patent Document 4 corresponds to extremely increasing the stress on the ear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using the tension of the ear hooked.

특허문헌 5는 귀 끈 없이 마스크를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커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5의 목적은 신축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해 안면의 곡면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며, 마스크 커버의 통기성이 양호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Patent Document 5 relates to a mask cover that allows the mask to be mounted on the face without ear straps. An object of Patent Document 5 is to provide a mask tha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face us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has good air permeability of the mask cover.

특허문헌 5는 1) 얼굴에 별도의 앵커 부재를 부착해야 하는 점에서 착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2) 앵커가 부착되는 면에 따라서 얼굴에 자국이 남거나 계속적인 자극에 의해서 피부 손상의 우려가 있다. 3) 또한 앵커가 부착되는 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일관된 고정력을 담보하기 어렵다.In Patent Document 5, 1) a separate anchor member must be attached to the face, which may make it uncomfortable to wear, and 2) depending on the surface to which the anchor is attache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skin by leaving a mark on the face or by continuous stimulation. there is 3)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a consistent fixation force because it does not provide a clear standard for the surface to which the anchor is attached.

특허문헌 6은 신체용 이완 예방 및 개선구에 관한 것으로 제조 비용의 감소를 도모하고, 머리 부분 및 기타 부위에 장착 가능하게 해, 넓은 범위에서 면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신체용 이완 예방 및 개선구를 제공하며, 상기 이완 예방 및 개선구는 두정부 또는 전두부에서 이하선교근부를 경유하여 턱끝부위 및 턱 하부에 걸친 영역을 덮는 기부에 후두부를 감을 수 있는 분기부가 일체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Patent Document 6 relates to a body relax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device, which aim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enables mounting on the head and other parts, and provides a body relax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device capable of applying a tensile force in the plane direction in a wide range Provided is a relief port, wherein the relaxation prevention and relief port is formed integrally with a branching part that can wind the occipital part at the base covering the area covering the tip of the chin and the lower part of the chin from the parietal region or the frontal part via the parotid muscle.

특허문헌 6은 안면 전체를 감싸는 인장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력 자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본원발명에서 제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아니다.Patent Document 6 is for using the tensile force that wraps around the entire face, and it is not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nsile force itself.

한편, 안면에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문제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고글, 방독면, VR 헤드셋 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다. 코를 포함하는 주변부는 안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굴곡이 심하고, 피부가 얇아 완충 작용이 거의 없으며, 높이가 높아 안면과 정확하게 밀착되기 어렵다. 또한, 숨을 쉬거나 말을 할 때 얼굴 근육이 움직임에 따라 더 쉽게 누설이 되는 부위다.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not being accurately attached to the face and lifting is a problem commonly found in goggles, gas masks, VR headsets, including masks. The peripheral part including the nose is more curved than other parts of the face, the skin is thin, so there is little buffering action,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dhere to the face because of the high height. It is also an area that leaks more easily as the facial muscles move when breathing or talking.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스크의 코를 포함한 주변부에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 등을 삽입하거나 표면에 부착하였지만, 여전히 안면과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마스크에 사용되는 철사 등의 금속을 변형시켜 마스크를 안면과 잠시 밀착시키더라도 지지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얼굴 근육이 움직임에 따라 다시 빈틈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매우 단순하고, 이미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미완성의 상태로 남아있는 부분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deformable elastic body is inserted 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sk, including the nose, but it is still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Even if the metal such as wire used in most masks is deformed and th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for a while, there is no part to support it, so there is a gap again as the facial muscles move. This problem is very simple and seems to have already been solved, but in reality, it remains an unfinished state that has not been solved for a long time.

대화 등에 의한 얼굴 근육의 움직임은 마스크의 움직임을 가져온다. 코로나-19와 같이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경우, 콧등과 마스크의 마찰로 인해서 피부 손상이 발생한다.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콧등에 밴드나 반창고를 붙이고 그 위에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이러한 잦은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함이다.Movement of the facial muscles due to conversation or the like brings about movement of the mask. When it is necessary to wear a mask for a long time like COVID-19, skin damage occurs due to friction between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mask. Medical staff such as nurses attach bandages or bandages to the bridge of the nose and wear masks over them to prevent skin damage caused by frequent friction.

방독면은 머리 뒤에 거치되는 밴드 등을 통해서 실리콘 등 탄성있는 실링부가 코를 포함한 주변부를 압박하여 안면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코를 포함한 주변부를 가압하는 힘이 커 장시간 작용이 곤란하다. 또한 안면에 자국이 남아 여성들이 기피하는 문제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As for the gas mask, an elastic sealing part such as silicone presses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nose through a band mounted on the back of the head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face. In this case, the force to press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nose is relatively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problem that women avoid by leaving marks on their faces is a task that needs to be addressed.

마스크와 방독면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이지만, VR 헤드셋은 공기의 흐름과 더불어 빛의 차단 또한 동시에 요구된다. VR 헤드셋 착용시 코를 포함한 주변부가 실링되지 않을 경우 빛 노출에 의한 집중도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출시된 모든 제품 또한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고 방독면과 같이 강하게 압박하는 미완성의 기술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Masks and gas masks are devices that block the flow of air, but VR headsets require airflow and light blocking at the same time. When wearing a VR headset, if the surrounding areas including the nose are not sealed, there is a problem of reduced concentration due to light exposure. All of the currently released products do not seriously consider these problems and present an unfinished technology that presses strongly like a gas mask as a solution.

특허문헌 7은 호흡기의 누설이 없고 최적의 기공의 필터 부분을 선택할 수 있고 숨막힘을 해소하고 또한 안경의 흘림 방지 기능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저렴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피부 접촉부와의 밀착성이 좋은 고정틀 부분과 분리, 접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필터 부분과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분을 다른 소재로 만들어, 기능을 분담한다. 고정틀 부분의 피부 접촉 부품에는 노치를 넣어 두어 장착부분의 장력에 의해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고 소재로서 피부의 온도로 수축하는 형상 기억 수지나 피부 점착성 수지를 이용한다. 접촉 부품의 상부에는 대화나 표정의 변화 등에서의 안면의 근육, 골격 변형에 대응해 신축하는 탄성체 수지를 이용한다. 필터 부분은 고정틀 부분과 분리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필요한 소재를 선택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7 relates to an inexpensive mask for the purpose of not leaking the respiratory tract, selecting an optimal pore filter portion, relieving suffocation, and providing a function to prevent spillage of glasses. It is composed of a fixing frame part with good adhesion to the skin contact part, a filter part that can be separated and attached freely, and a mounting part for fixing to the face. Each part is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and functions are shared. A notch is placed in the skin-contacting part of the fixing frame to enlarge the contact area by the tension of the mounting part, and a shape-memory resin or skin-adhesive resin that contracts with the temperature of the skin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part, an elastic resin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response to facial muscle and skeletal deformations in conversations and changes in facial expressions is used. The filter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frame part, and a mask is provided in which the necessary material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특허문헌 8은 코를 밀폐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양압 하에서 호흡 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및 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개량된 코밀폐 부분을 가지는 마스크를 제공하며, 제1 패들 및 제2 패들을 구비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8 relates to a mask including a part that closes the nose, and provides a mask having an improved nose sealing part that covers at least one of a user's nose and mouth because breathing gas is supplied under positive pressure, and the first paddle and a second paddle.

특허문헌 9는 코패드가 부착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 코패드 및 내층 주름으로 구성되며, 마스크 본체는 외층면, 중간층면 및 내층면을 가지고, 코패드는 외층면에 배치되며, 내층 주름은 내층면에서 연장되어 접혀서 형성되고, 내층 주름 및 외층면은 동시에 코패드를 덮고 코패드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9 relates to a mask with a nose pad attached, and is composed of a mask body, a nose pad, and an inner layer wrinkle, the mask body has an outer layer surface, an intermediate layer surface, and an inner layer surface, the nose pad is disposed on the outer layer surface, the inner layer A mask is provided in which the pleats extend from the inner layer surface and are formed by folding, the inner layer pleats and the outer layer surface simultaneously covering the nose pad and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nose pad formed on the mask body.

특허문헌 10은 신축밴드가 구비된 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위를 따라 신축성과 가요성을 갖는 2차 밀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사용자의 콧등을 위에서 감싸서 밀착하는 코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코 패드의 양측으로부터 하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코와 입 주변을 감싸는 측하부막이 구비되고, 상기 측하부막 테두리부에는 피부와 밀착을 위한 탄성 및 신축성 재질의 1차 밀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2차 밀착부 중 일측으로서 상부 위치에 탄성을 갖는 별도의 신축밴드를 구비시킴으로서 코 패드(40)의 콧등 밀착력을 증대시켜 내부 공기의 상향 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tent Document 10 relates to a close-fitting mask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nd constitutes a second close-fitting part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long the edge of the mask body, and wraps the user's nose from above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mask body for close contact A nose pad is provided, and a lower side membran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nose pad to wrap around the nose and mouth, and the lower side membrane edge is made of an elastic and stretchable material for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on part is constituted and a separate elastic band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at the upper position as one side of the secondary adhesion part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of the nose pad 40 to the bridge of the nose to prevent upward leakage of internal air. .

특허문헌 11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커버의 내측 상부에 중앙은 콧등이 내입되면서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안면의 눈 밑으로 콧등과 양측 광대뼈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 피부와 밀착되도록 된 돌출부가 구비된 밀폐수단이 마련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1 relates to a mask, and the center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to be accommodated while the nose bridge is inserted,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nose bridge and both cheekbones under the eyes of the face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kin It provides a mask provided with a sealing mean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특허문헌 12는 기체가 필터 시트에 여과되지 않고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코 클립 및/또는 코 패드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2 relates to a mask capable of preventing gas from flowing into the mask without being filtered by a filter sheet, and provides a mask including a nose clip and/or a nose pad.

특허문헌 13은 미세먼지가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 하단으로 내측면에 코지지부가 형성된 상부덮개부와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턱지지부가 형성된 하부덮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에 상부덮개부에 형성된 코지지부가 별도의 조작 없이 코에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착용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3 relates to a dust-proof mask that prevents fine dust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system, and forms an upper cover portion with a nos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t the top and bottom and a lower cover portion formed with a chin support portion formed with an air exhaust portion, so that a user can use the mask It provides a mask that can be easily worn with the nose support part formed on the upper cover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when wearing the mask.

특허문헌 14는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얼굴의 곡률에 맞게 형성되어 입과 코를 차폐하게 되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 양측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게 되는 고정끈(200)을 포함하여 한지 고유의 기능을 향유하여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각종 유해 세균등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걸러주면서도 통기성과 보온성 및 속건성, 향균성이 뛰어나서 쾌적한 상태가 오래도록 유지되며, 특히나 인체에 해가 적어 어린이나 노약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마스크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4 relates to an eco-friendly traditional Korean paper mask. The mask body 100 is formed to fit the curvature of the face to shield the mouth and nose, and the fixing strap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0 and can be hung on the ears. (200) enjoys the unique functions of traditional Korean paper, effectively adsorbing and filtering fine dust, pollutants, and various harmful bacteria,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state for a long time due to excellent breathability, heat retention, quick-dry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especially harmful to the human body It provides eco-friendly masks that children and the elderly can use with confidence.

이와 같이 특허문헌 7 내지 14는 마스크와 코를 포함한 주변부의 밀착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공지하고 있다.In this way, Patent Documents 7 to 14 have known various means for close contact with the mask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nose.

종래의 기술은 1) 착용상태에서 임시로 밀착이 되더라도 밀착 정도가 약하고, 2) 사용자의 근육이 움직일 수 밖에 없는 안면 부위라서 안면 근육 등의 움직임에 의해서 밀착이 쉽게 약해질 뿐만 아니라 콧등과 같은 피부와의 잦은 마찰로 인해서 피부 손상이 발생하며, 3) 안면 근육의 움직임이 없어도 마스크 또는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사용자가 움직일 경우 그 진동에 의해서도 밀착 정도가 약해지고, 4) 밀착부위가 코 패드와 같이 코 부위를 강하게 압박하는 형태를 제공하고 있어 여성 사용자의 경우 화장이 지워지고 이로 인해 착용을 기피하게 되며, 5) 일부 방독면의 경우 압박 정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강한 압박만이 가능하고, 또한 6) 사용자의 숙련의 정도에 따라서 밀착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노약자, 어린이와 같이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불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prior art, 1) the degree of adhesion is weak even if it is temporarily adhered in the wearing state, and 2) the user's muscles cannot but move, so the adhesion is easily weakened by the movement of the facial muscles, as well as the skin such as the bridge of the nose. Skin damage occurs due to frequent friction with Because it provides a form that strongly compresses the area, in the case of a female user, makeup is removed and therefore avoids wearing it. Since the degree of adhes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kill, there is a problem that incomplete adhesion may be achieved for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control of devices or instrument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이와 같이 귀를 제외한 제2의 안착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코 주변부에 대한 밀착 방법을 개선한 마스크는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 mask that can be fixed by the second seating area except for the ear and has improved adhesion to the nose periphery has not yet been present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856호 ('특허문헌 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73856 ('Patent Document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4022호 ('특허문헌 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54022 ('Patent Document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095호 ('특허문헌 3')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0095 ('Patent Document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67692호 ('특허문헌 4')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67692 ('Patent Document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145570호 ('특허문헌 5')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145570 ('Patent Document 5')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799884호 ('특허문헌 6')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799884 ('Patent Document 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430호 ('특허문헌 7')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1-000430 ('Patent Document 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030698호 ('특허문헌 8')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9-030698 ('Patent Document 8')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22972호 ('특허문헌 9')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22972 ('Patent Document 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2157호 ('특허문헌 1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157 ('Patent Document 1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9652호 ('특허문헌 11')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9652 ('Patent Document 1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0048호 ('특허문헌 12')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7-0000048 ('Patent Document 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72094호 ('특허문헌 1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7-0072094 ('Patent Document 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32897호 ('특허문헌 1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9-0032897 ('Patent Document 14')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 탈착과 부착이 용이하고, 2) 탈착과 부착 과정 중 안면을 포함한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3) 장시간을 착용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4) 귀를 포함한 다른 근골격계 통증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5) 가압하는 부위를 명확하게 특정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일관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1)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2) minimizes contact with the skin including the face during the process of detachment and attachment, and 3) the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4) Minimizes discomfort such as pain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including ears, and 5) clearly specifies the area to be pressurized and optimizes the area to provide consistent fixation regardless of the user. intended to provide

또한 본원발명은 1) 안면과의 밀착 정도가 강하고, 2) 안면 근육 등이 움직이더라도 안면과의 밀착을 계속 유지하며, 3)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안면과의 밀착 정도가 약해지지 않고, 4) 안면과의 밀착을 위한 압박하는 부위를 최소화하며, 5) 압박의 정도가 자신의 코 높이에 따라 쉽게 조절되며, 또한 6) 노약자, 어린이 등의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face is strong, 2) it continues to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even when the facial muscles, etc. move, and 3)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face even by vibration generated when moving while wearing a mask, etc. does not weaken, 4) minimizes the area of pressure for close contact with the face, 5) the degree of pressur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one's nose, and 6)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can provide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adhesion even to unfamiliar users.

또한 본원발명은 하나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누설률 및 착용감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is excellent in leakage rate and wearability, and is easy to manufacture by using one mask.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의 제1고정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unit covering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a frame part dispos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ame part, coupling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and fixing at least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to the user's face by closely adher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irst fixing part; In the mask comprising,

상기 제1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The first fixing portion is in the face of the user

1)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1고정부위;1)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nclude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to the premolar of the user, and includes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the 1-1 fixation site,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user;

2)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2고정부위;2)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parotid gland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The first-2 fixation site,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as far as the area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front fibers are located, and in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3)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제1-3고정부위;3)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to the masseter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it is the lower face region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and the most protruding muscle belly from the masseter muscle is excluded. Phosphorus 1-3 fixed site;

4)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4고정부위;4)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to the area that does not press the posterior part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including the vertical axis (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1-4 fixed portion;

5)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인 제1-5고정부위;5) the user's temple (temple), the angle of the mandible (Angle of mandible), the lower edge of the mandible (inferior border of mandible) as a triangular region as a vertex 1-5 fixing position;

6)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내부인 제1-6고정부위로서,6) As the 1-6 fixing part, which is the inside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제1-6고정부위;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having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of the user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or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distance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

7)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3,1), (4,1), (5,1), (-1, 2), (1,2), (2,2), (3,2), (-1,3), (1,3), (2,3), (-1,4), (1,4), (-1,5), (1,5), (2,5)인 제1-7고정부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7)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1), (1,-1), (2,-1), (3,-1), (4, -1), (-1,1), (1,1), (2,1), (3,1), (4,1), (5,1), (-1, 2), (1) ,2), (2,2), (3,2), (-1,3), (1,3), (2,3), (-1,4), (1,4), (- 1,5), (1,5), (2,5) of the 1-7th fixed site; including at least one of;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으로서, 상기 5등분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되며,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equal parts, and the 5 divisions are the user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head of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of x,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negative horizontal axis is designated with a negative value of y,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는 것인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provides a mask in which x and y are designated as negative values.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거나,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이거나,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일 수 있다. 상기 제1-6고정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2,4), (1,5), (2,5), (1,1), (1,-1),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1,3), (1,-1), (-1,1)일 수 있다.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or (2,2), (4,2), (1,3), (3,3), (4,3), (5,3), (1,4), (2, 4), (3,4), (4,4), (5,4), (1,5), (2,5), (4,5), (5,5), (1,1) , (1,-1), (-1,1), or (2,1), (2,2), (1,3), (4,3), (5,3), (1,4) ), (2,4), (4,4), (5,4), (1,5), (2,5), (5,5), (1,1), (1,-1) , (-1,1). Preferably, the 1-6 fixation site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2,4), (1,5) , (2,5), (1,1), (1,-1), (-1,1), more preferably (2,2), (1,3), (1,-1), (-1,1).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 2), (1,2), (-1,3), (1,3)일 수 있다.The 1-7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 2), (1,2), (-1,3), ( 1,3).

본원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ilter unit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rea; a frame part dispos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A mask comprising a;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ame part, coupling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and fixing at least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to the user's face by closely adher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ace In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필터부의 일부인 필터상면을 상기 필터상면의 외면에서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이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도 22 내지 24에서 Lateral nasal cartilage, Major alar cartilage, Minor alar cartilages를 포함)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되게하는 덮개를 포함하고,The frame part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which is a part of the filter uni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so that the filter upper surface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ose (including lateral nasal cartilage, major alar cartilage, minor alar cartilages in FIGS. 22 to 24) and its comprising a cover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skin;

여기서 덮개는where the cover

1) 상기 필터상면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강 주름(nasolabial fold)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인 제1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거나,1) By pressing the first pressure part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nasolabial fold region of the user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user's skin, the filter upper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2) 상기 필터상면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입술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도 23 및 도 24 참조) 또는 위입술콧방울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도 24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2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거나,2) of the user's levator labii superioris (see FIGS. 23 and 24) or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see FIG. 24)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user's skin By press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ressing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3) 상기 필터상면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콧방울(alar crease)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인 제3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는 마스크를 제공한다.3) By pressing the third pressure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er's alar crease,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user's skin of the filter upper surface, the filter upper surface provides a mask that closely contacts the user's skin.

상기 덮개는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스크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The cover may support the mask on the user's face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filter upper surface with the user's skin.

상기 필터부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 상기 필터의 양측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 외주변 일부를 따라 고정되는 지지체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는 지지체날개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the filter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rea; It may include; may be included; may include a; may include a; may be included.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필터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필터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상기 지지체프레임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The support wing extends from the filter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 or may be extended from the support frame 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frame.

상기 필터부 전체가 착탈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entire filter unit may be removable and replaceable.

상기 필터는 곡면 형태로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상면;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면이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턱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ay include a filter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face in a curved shape; It is fix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is fixed downwardly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is b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nose and its surrounding skin filter top surface covering; It is fixed along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is fix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is bent to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chin and the skin around it If the filter covering the; may contain.

상기 필터상면 및/또는 상기 필터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1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필터상면 및/또는 상기 필터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2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는 탈착을 할 때 필터본체와 필터상면 및 필터하면이 손상되지 않고 탈착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로는 벨크로, 스냅 단추, 클립을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상면이 배치될 수 있는 범위는 콧망울(tip-defining points) 내지 비골(nasal bone) 하단부일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binding part fixed to the filter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or the filter lower surface, and the first binding part may be a detachable coupling type, and the filter upper surface and/or the filter At least one second binding part fixed to the filter body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binding part may be of a detachable coupling type. Here, the detachable coupling form may be coupled with a force sufficient to detach the filter body without damaging the filter body,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the filter lower surface during detachment. Another detachable coupling form may be at least one of a group including a Velcro, a snap button, and a clip. A range in which the filter upper surface can be disposed may be at the tip-defining points or at the lower end of the nasal bone.

상기 제1결착부 및 제2결착부가 상기 필터상면 및 필터하면의 외주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밀착의 강도가 강해서 탈착시 필터상면 또는 필터하면의 일부가 손상이 되어도 문제가 없다. 이 경우 손상된 필터상면 또는 필터하면은 최외각에 배치되는 부분이므로 나머지 부분에 의해서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first binding part and the second binding part ar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the filter lower surface, the strength of the adhesion is strong, so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if a part of the filter upper surface or the filter lower surface is damaged during detachment. In this case, since the damaged filter upper surface or filter lower surface is a part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it is possible to achieve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by the remaining parts.

상기 제1결착부 또는 제2결착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상면 또는 필터하면에는 주름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은 직선이 아닌 안면 윤곽선, 특히 턱 윤곽선을 따르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Wrinkles may be formed in advance on the filter upper surface or the filter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binding part or the second binding part. The wrinkle may be in the form of a curve along the facial contour, in particular the chin contour, rather than a straight line.

상기 지지체프레임은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과 결합하는 지지체프레임상면; 상기 필터본체의 측부 외주변과 결합하는 지지체프레임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지지체프레임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includes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and a side of the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of the filter body, and the support wing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지지체프레임은 지지체프레임상면이 없고, 상기 필터본체의 측부 외주변과 결합하는 개별의 지지체프레임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지지체프레임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has no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individual support frame side surfaces coupl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of the filter body include, and the support wing may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고정부에 끼움, 걸림, 접착, 점착, 자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구체적으로 지지체고정홀 또는 지지체고정핀일 수 있다.The support wing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by at least one of fitting, hooking, adhesion, adhesion, and magnetic force, and the fixing means may be specifically a support fixing hole or a support fixing pin.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반원형의 띠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상면; 상기 프레임상면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상부홀에 결합하는 프레임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rame disposed along the user's nose and mouth periphery; the frame includes a semi-circular band shape, the frame upper surface disposed along the user's nose and mouth periphery; and a frame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upper hole.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상면에서 하항 연장되어 고정부하부홀에 결합하는 프레임측면;The frame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is coupled to the fixed load lower hole;

이 부가될 수 있다.This can be added.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고정면; 상부에 프레임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고정부상부홀; 상기 고정면의 반대면으로서 지지체날개가 삽입되거나 고정되는 날개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art body, the fixing part body is a fixing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 fixing part upper hole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frame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It may include; a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xed surface, a wing seating part into which the support wing is inserted or fixed.

상기 프레임돌출부와 상기 고정부상부홀의 삽입 정도는 가변되거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돌출부와 분리되어 다른 고정부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frame protrusion and the fixing part upper hole may vary, or the fixing part may be separated from the frame protrusion and replaced with another fixing part.

상기 고정부본체는 하부에 프레임측면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고정부하부홀;이 부가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body has a fixing load hole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frame side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may be add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본체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날개안착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체날개를 고정하는 고정부덮개;가 부가될 수 있다.A fixing part cover for fixing the support wing inserted into the wing seat part while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main body; may be added to the fixing part.

상기 고정부덮개가 상기 고정부본체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날개안착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체날개를 고정하는 방식은 끼움, 걸림, 접착, 점착, 자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다.While the fixing part cover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main body, the method of fixing the support wing inserted into the wing seat part is at least one of fitting, hooking, adhesion, adhesion, and magnetic force.

상기 고정부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날개 지지부가 부가될 수 있다.At least one wing support part may be added to the fixing part body.

상기 고정면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surface may include an elastic body including silicon.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코; 턱; 귀; 유양 골(mastoid bone); 목 뒤; parietal bone 또는 occipital bone의 두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보조고정부위를 이용한 보조고정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se; chin; ear; mastoid bone; back of the neck; head of parietal or occipital bone; An auxiliary fixing member using an auxiliary fixing portion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dded.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반원형의 띠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상면 및 상기 프레임상면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상부홀에 결합하는 프레임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상면의 윗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상면을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킬 수 있다.The frame part includes a frame and the cov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the frame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mouth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band. and a frame protrusion coupled to the fixing part upper hole, wherei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frame upper surface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to bring the filter upper surfa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상기 덮개는 덮개상면커버; 상기 덮개상면커버의 외주변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상면과 결합하는 덮개고정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is a cover top cover; and a cover fixing frame fix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덮개상면커버와 상기 덮개고정틀은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호 고정되는 위치도 가변될 수 있다.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and the cover fixing frame may be detachably fixed, and the mutually fixed positions may be variable.

상기 덮개상면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상면커버가 상기 필터상면을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누름부;가 부가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프레임상면 또는 덮개상면커버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A press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can press the filter upper surface; may be added, and the pressing portion may be fixed or supported by the frame upper surface or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can be

상기 덮개상면커버의 내측 양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일부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주머니가 부가될 수 있다.A pocket for supporting or fixing a part of the pressing part may be added, which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상기 덮개와 상기 필터부는 덮개고정틀노치와 지지체노치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The cover and the filter unit may be coupled by a cover fixing frame notch and a support notch.

상기 누름부는 탄성있는 재질이 굴곡된 형태일 수 있다.The pressing part may have a curved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부위가 점, 선, 또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부위가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부위가 미세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may be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or a surface, there may be at least on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and 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ine protrusion.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방향은 사용자의 피부와 수직인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주름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주름과 수직인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코 외주변을 따르는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코 외주변의 내향 또는 외향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코 주변 근육방향이거나, 상기 방향의 복합적인 조합일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pressed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skin, a wrinkle direction formed on the user's fac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wrinkle formed on the user's face, a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er's nose, or the user's nose It may be an inward or outward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y, a muscle direction around the user's nose, or a complex combination of the above directions.

상기 누름부 형태가 점, 선, 면, 또는 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may be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a surface, or a three-dimensional shape.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다양한 해결수단 중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various combinations of possible forms among the above various solutions.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안면의 특정 부위만을 가압함으로써 안면에 고정되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마스크에 대비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1) 탈착과 부착이 용이하고, 2) 탈착과 부착 과정 중 안면을 포함한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3) 장시간 착용을 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4) 귀를 포함한 다른 근골격계 통증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5) 가압하는 부위를 명확하게 특정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일관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6) 본원발명에서 가압하는 안면의 특정부위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귀에 대한 물리적 힘이 작용하지 않는바, 장시간 착용에 따른 스트레스, 집중력 약화의 문제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sk that is fixed to the face by pressing only a specific part of the fa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sk,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1) easy to attach and detach, 2) minimizes contact with the skin including the face during the process of detachment and attachment, and 3) no irritation to the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4) Minimizes discomfort such as other musculoskeletal pain including the ear, 5) It can provide consistent fixation force regardless of the user by optimizing the area as well as clearly specifying the area to be pressed, 6)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pecific part of the face to be 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ert any physical force on the ear as mentioned above, so there is no problem of stress and weakening of concentration due to prolonged wearing.

또한, 본원발명은 덮개 및 누름부를 도입하여 종래의 마스크에서 해결하지 못한 고질적인 문제인 안경 등에 김이 서리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원발명은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코 주변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로서 종래의 마스크에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효과를 달성했다. 구체적으로 7) 코와의 밀착 정도가 강하고, 8) 안면 근육 등이 움직이더라도 코와의 밀착을 계속 유지할 뿐만 아니라 마찰을 최소화하며, 9) 마스크를 착용하고 움직일 경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밀착 정도가 약해지지 않고, 10) 밀착을 위해서 압박하는 부위를 최소화하였으며, 11) 압박의 정도가 자신의 코 높이에 따라 쉽게 조절되고, 또한 12) 노약자, 어린이 등의 장치나 기구의 조절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fogging glasses, etc., which is a chronic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in conventional masks by introducing a cover and a press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n effect that can never be achieved in a conventional mask as a mask that can increase the adhesion around the nose while minimizing pressure. Specifically, 7) the adhesion with the nose is strong, 8) the adhesion with the nose is maintained even if the facial muscles move, and friction is minimized, and 9) the adhesion degree is improved even by the vibrations that occur when moving while wearing a mask. It does not weaken, 10) the area of pressure is minimized for close contact, 11) the degree of pressur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one's nose, and 12) the user is unfamiliar with the control of devices or instrument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sk capable of providing a certain level of adhesion or higher.

본원발명은 결착부를 구비한 하나의 마스크만을 제공하고 결착부의 탈착 여부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개개인의 안면에 대응할 수 있는 바, 누설률, 착용감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착부를 부가하는 공정은 종래의 공정을 그대로 적용하면서 일부만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상기 구성을 부가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다. 한편, 사용자 안면 크기 및 모양에 대해서 다양한 크기의 마스크를 제공하지 않는 바, 소품종 생산으로서 잉여 제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이는 자원 활용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급속하게 증가하는 마스크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ly one mask having a binding part, and can provide a mask with excellent leak rate and wearability since it can respond to the user's individual face by adjusting whether or not the binding part is detach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adding the binder can be applied by modifying only a part while applying the conventional process as it is, so it is easy and economical to add the configur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masks of various sizes are not provided for the size and shape of the user's face, the possibility of surplus products is low due to the production of small items. This is a more effective use of resource utilization and is also highly desirable from an environmental point of view in that it can reduce the rapidly increasing amount of mask waste.

도 1은 마스크 착용에 따른 통증을 관측한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두개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관자돌기(temporal process) 및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 골격과 근육을 동시에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4는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및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 골격과 근육을 동시에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5는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및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 골격과 근육을 동시에 나타낸 해부도이다.
도 6은 제1-5고정부위를 도시하기 위한 해부도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안면 중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과 이들 내부를 분할하는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을 사람의 안면에 실제 적용한 예시 사진이다.
도 10은 PPT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PT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2는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VAS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3은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PT/VAS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도 14는 제1-7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PT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5는 프레임으로서 실제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특정한 압력으로 고정할 경우, 고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6은 덮개를 부가한 프레임이다.
도 17은 제2고정부재의 위치를 콧볼을 기준으로 위, 중간, 아래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하여 통증을 느끼는 압력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19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한 verbal에 대한 고정도 실험 결과이다.
도 20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한 flexion에 대한 고정도 실험 결과이다.
도 21은 제1-6고정부위 중 (-1,1) 및 (1,-1)을 부가한 walking에 대한 고정도 실험 결과이다.
도 22 내지 24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가 배치될 수 있는 안면을 나타내는 해부학적 모식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는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공인 누설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종래의 마스크(KF 94)에 있어서, 종래 마스크 자체의 피팅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를 압박할 수 있는 덮개를 금속 클립 형태로 제조하여 시착한 사진이다.
도 28은 본원발명에 따른 코피팅 조절기의 유무에 따른 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안면 좌우에만 고정되는 탄성체를 제작하고 코 주변부에서 상기 탄성체의 위치변화를 모션센서를 이용해 추적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착한 사진이다.
도 29는 도 28을 사용하여 위치 변위를 관측한 결과이다.
도 30 및 3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의 분해사시도,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다.
도 32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3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4 및 35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40)의 분해사시도,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다.
도 36 및 37은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스크(50)의 분해사시도,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다.
도 38은 본원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마스크(60)의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다.
도 39 및 40은 본원발명의 제1결착부 및/또는 제2결착부 형태의 2가지를 예시로 보여주고 있다.
도 4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고정면의 다양한 변형예이다.
도 42 내지 도 107은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 및 누름부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8 내지 도 113은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 중 제1-5고정부위 및 해당 고정부위를 압박하는 고정면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sition at which pain is observed according to wearing a mask.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kull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Figure 3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on and muscles at the same time to show the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and medial pterygoid (medial pterygoid) at the same time.
4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on and the muscle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simultaneously show the muscles of mastication and the medial pterygoid.
5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on and the muscle at the same time to show the zygomaticus major and the medial pterygoid at the same time.
6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1-5 fixation site.
7 is a view including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of the user's face, and a predetermined rectangle dividing the inside.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photograph in which a square based on a user's face including a predetermined square among the user's face is actually applied to a person's face in order to perform an experiment.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PPT.
11 is an experimental result for PP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1-6 fixation site.
12 is an experimental result for the VA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1-6 fixation site.
13 is an analysis result of PPT/VA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1-6 fixation sites.
14 is an experimental result for PP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1-7 fixation site.
15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ixation when the frame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the user with a specific pressure as a frame.
Fig. 16 is a frame with a cover attached thereto.
1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up, middle,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nostril.
18 is an experimental result for the pressure to feel pain by adding (-1,1) and (1,-1) among the 1-6 fixation sites.
19 is a high-precision experimental result for verbal in which (-1,1) and (1,-1) are added among the 1-6 fixation sites.
20 is a high-precision test result for flexion with (-1,1) and (1,-1) added among the 1-6 fixation sites.
21 is a high-precision experimental result for walking in which (-1,1) and (1,-1) are added among the 1-6 fixation sites.
22 to 24 are anatomical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fac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compression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osed.
25 to 27 are in the conventional mask (KF 94) to measure the official leakage rat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ask itself is not used. This is a photo of a cover that can press the third pressure par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etal clip and tried on.
28 is an elastic body that is fixed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face in order to check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ose fitting adj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tried-on to track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lastic body in the nose periphery using a motion sensor It's a photo.
FIG. 29 is a result of observing positional displacement using FIG. 28 .
30 and 31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left top view of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and 35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left top view of the mask 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and 37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left top view of the mask 5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left top view of the mask 6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and 40 show two types of the first binding part and/or the second bin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41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fixing part and the fixing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to 107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cover and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8 to 113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1-5 fixing parts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xing surfaces for pressing the fixing par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in whi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y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본원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이하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내지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위를 도시하기 위한 해부도이다.2 to 8 are anatomical views for showing the first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따른 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다.The fixing portion according to FIG. 2 include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styloid process to the user's premolar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ncluding the vertical axis (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여기서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은 도 2 내지 도 7에서 x축 또는 가로축에 해당하는 것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은 도 2 내지 도 7에서 y축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예시로 나타난 점선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1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Here,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corresponds to the x-axis or the horizontal axis in FIGS. 2 to 7 , and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corresponds to the y-axis in FIGS. 2 to 7 . Specifically, the dotted line portion shown as an example in FIG. 2 may be the 1-1 fixing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른 제1-2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다. 도 2와 대비하여 볼 때 세로축의 이동 범위는 동일하며, 시상축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1-2 fixation site according to FIG. 3 is the medial wing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parotid gland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it extends to the region excluding the region where the front fibers are located, and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2, the movement range of the vertical axis is the same, and when viewed as the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axis, the medial pterygoid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parotid gland ( Medial pterygoid) is different in that it extends to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anterior fiber is located among the two branches.

상기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은 도 3에서 최종적으로 2개를 지칭하고 있으며 얼굴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가 되며 이 부분은 제외한다. 도 3에서 예시로 나타난 점선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2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The medial pterygoid is finally referred to as two in FIG. 3,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face is the part where the front fibers are located, and this part is excluded. The dotted line portion shown as an example in FIG. 3 may be the 1-2 fixing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따른 제1-3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를 제공한다.The 1-3 fixation site according to FIG. 4 is the masseter of the user's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styloid process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masseter muscle),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of the movement range,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the most protruding muscle from the masseter muscle Provided is a face-fixed device that excludes the muscle belly.

도 4에서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모두 포함하나,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압박을 가할 경우 쉽게 통증이 느껴지는 부분이므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4, all of the muscles of mastication up to the masseter muscle are included, but the muscle belly most protruding from the masseter muscle is a part that easily feels pain when pressure is applied. it is preferable

도 4에서 예시로 나타난 사각형 점선 부위 중 원형의 점선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3고정부위의 바람직한 부위이다.Among the rectangular dotted line portions shown as an example in FIG. 4, the portion excluding the circular dotted line portion is a preferred portion of the 1-3 fixing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른 제1-4고정부위는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다.The 1-4 fixation sites according to FIG. 5 do not compress the posterior part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when viewed from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도 5에서 예시로 나타난 점선 부위가 본원발명의 제1-4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The dotted line region shown as an example in FIG. 5 may be the 1-4 fixing 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5고정부위,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6고정부위,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8고정부위를 나타낸다.Figure 6 shows the 1-5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1-6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1-8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따른 제1-5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이다.The first to fifth fixation sites according to FIG. 6 are triangular regions having the user's temple,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as vertices.

도 7은 사용자의 안면 중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과 이들 내부를 분할하는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도면으로서, 25개의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가장 큰 정사각형이 본원발명의 제1-6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7 is a view including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of the user's face, and a predetermined rectangle dividing the inside, and 25 small The largest square including the square may be the first to sixth fixing s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7고정부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6고정부위를 확장한 것으로서, 제1-6고정부위 및 제1-7고정부위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8 shows the 1-7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tension of the 1-6 fixing part, based on the user's face applied to the 1-6 fixing part and the 1-7 fixing part One (x, y) value is shown.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거나,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이거나,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일 수 있다. 상기 제1-6고정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2,4), (1,5), (2,5), (1,1), (1,-1),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1,3), (1,-1), (-1,1)일 수 있다.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or (2,2), (4,2), (1,3), (3,3), (4,3), (5,3), (1,4), (2, 4), (3,4), (4,4), (5,4), (1,5), (2,5), (4,5), (5,5), (1,1) , (1,-1), (-1,1), or (2,1), (2,2), (1,3), (4,3), (5,3), (1,4) ), (2,4), (4,4), (5,4), (1,5), (2,5), (5,5), (1,1), (1,-1) , (-1,1). Preferably, the 1-6 fixation site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2,4), (1,5) , (2,5), (1,1), (1,-1), (-1,1), more preferably (2,2), (1,3), (1,-1), (-1,1).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 2), (1,2), (-1,3), (1,3)이다.The 1-7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 2), (1,2), (-1,3), ( 1,3).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며,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having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of the user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distance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위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된다.Here, (x, y)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is the position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equal parts,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user's head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and the y is designated as 1, 2, 3, 4, 5 depending on the user's head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된다.In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x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b-horizontal axis has y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and is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In a given rectangle, x and y are specified as negative values.

도 7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한다. 도 6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가로와 세로를 각각 5등분한 소정사각형을 표시하고 있다.7 shows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axis (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vertical axis distance from the Angle of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6 indicates a predetermined rectangle in which the width and the length are each divided into 5 equal parts.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8에서 숫자가 기재되지 않은 사각형 부분은 도 7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과 동일한 부분이다. 도 8에서 상단의 가로축에 표시된 숫자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 중 x값을 나타내며, 세로축에 표시된 숫자는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 중 y값을 나타낸다. -1이 표시된 부분은 x값이 -1, y값이 -1로서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1,-1)이다. 가로축을 따라 -1, 1, 2, 3, 4, 5로 표시된 부분의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은 (-1,-1), (1,-1), (2,-1), (3,-1), (4,-1), (5,-1)에 해당하며, 세로축을 따라 -1, 1, 2, 3, 4, 5로 표시된 부분의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은 (-1,-1), (-1,1), (-1,2), (-1,3), (-1,4), (-1,5)에 해당한다. 나머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은 x값과 y값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색이 칠해진 부분의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은 (3,2)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 the square part without numbers is the same as the square part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shown in FIG. 7 . In FIG. 8 , the number displayed on the upper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x value among the (x, y) values based on the user's face, and the number displayed on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x, y) value based on the user's face represents the y value. The part marked with -1 has an x value of -1 and a y value of -1, and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 -1). The (x, y) values based on the user's face in the parts marked with -1, 1, 2, 3, 4, 5 along the horizontal axis are (-1,-1), (1,-1), (2 ,-1), (3,-1), (4,-1), (5,-1), along the vertical axis (x, y) values based on the face are (-1,-1), (-1,1), (-1,2), (-1,3), (-1,4), (- 1,5). The remaining unmarked parts are combinations of x-values and y-values. For example, the (x, y) value based on the user's face in the colored portion in FIG. 8 is (3,2).

상기 고정부위의 구체적인 위치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감, 고정력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present a clear standard of the user's discomfort and fixing power accor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fixing part,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제1실험 : 제1-6고정부위의 고정력 측정><Experiment 1 : Measurement of fixation force at 1-6 fixation sites>

도 7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PPT),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VAS)을 측정하였다.The pressure felt by the user (PPT) and the pain felt under a fixed pressure (VAS) were measured for each coordinat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을 별도로 측정한 것은 사용자가 안면의 위치에 따른 근육의 여부, 골격의 위치, 피부의 두께에 따라서 압력을 높였을 때 고정력은 담보되나 사용자가 고통을 느낄 수 있거나, 고통을 크게 느끼지 못하나 고정력이 담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Separately measuring the pressure that the user feels pain and the pain felt under the fixed pressure means that when the user increases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uscle, the location of the skeleton, and the thickness of the skin, the fixation power is guaranteed, but the user suffers from pain. This is because there are cases in which a person can feel the pain or do not feel much pain, but the fixation force is not guaranteed.

도 7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사용자의 통증 역치(PPT)를 측정하였다. 통증 역치(Pressure Pain Threshold: PPT)는 통증을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값으로 본 실험에서 정의하였다.The user's pain threshold (PPT) was measured for each (x, y) coordinate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 The Pain Threshold (PPT) was defined in this experiment as the maximum pressure that can withstand pain.

도 9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소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을 사람의 안면에 실제 적용한 예시 사진이며, 도 10은 PPT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9 is an exemplary photograph in which a square including a predetermined square among a user's face is actually applied to a person's face in order to perform an experiment, and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PPT.

통증을 느끼는 압력 분포는 압통기(Algometer)를 이용하여 해당 좌표에서 통증을 느끼는 압력(통증 역치, PPT)을 측정하였다. 대상자 얼굴 표면에 위치한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 각각에 해당하는 소정사각형 영역에 PPT 장비를 이용하여 통증 역치(PPT)를 측정하였다. 통증을 느끼는 압력의 단위는 ㎏/㎠이다. 해당 좌표에 통증이 시작된 압력 값을 입력하고 상기 압력 값을 상대적 색으로 변환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의 결과는 19명의 인원에 대해서 수행한 값의 평균값이다. 도 11, 12, 13에서 상단의 표는 도 7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위치에 따른 측정값이며, 아래 그래프에서 상기 측정값을 색을 달리하여 표시한 것이다. 하단 그래프의 사각형의 세로축에 표시된 1 내지 5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좌표 중 y 값에 해당하는 것이며, 가로축에 표시된 1 내지 5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좌표 중 x값에 해당하는 것이다.For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to feel pain, the pressure to feel pain (pain threshold, PPT) was measured a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using an Algometer. Pain threshold (PPT) was measured using PPT equipment in a predetermined rectangular area corresponding to each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subject's face surface. The unit of pressure to feel pain is kg/cm2. The result of inputting the pressure value at which the pain started in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and converting the pressure value into a relative color is shown in FIG. 11 . The result of FIG. 11 i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performed for 19 people. 11, 12, and 13, the upper table shows the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x, y)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7, and the measured value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in the graph below. 1 to 5 displayed on the vertical axis of the rectangle of the lower graph correspond to y values among (x, y) coordinates based on the user's face, and 1 to 5 displayed on the horizontal axis are ( x, y) It corresponds to the x value among the coordinates.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소정사각형 각각의 좌표에 용수철이 걸린 압통기(Algometer)를 이용하여 장력을 일정하게 부여한 후 대상자의 불편함 정도 (Discomfort score; VAS)를 조사하였다. 압력은 1㎏/㎠로 고정하였고, 각 좌표에 대해서 불편함 정도 값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상대적 색으로 변환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시각통증척도 (VAS, Visual Analog Scale)는 환자들의 자각하는 통증의 정도를 '없음'과 '극심한 통증'을 0에서 10으로 설정하여, 환자에게 직접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통증에 대한 평가척도로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도 12의 결과는 19명의 인원에 대해서 수행한 값의 평균값이다.In order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pain felt under a fixed pressure, the subject's discomfort score (VAS) was investigated after constant tension was applied to the coordinates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rectangles using an Algometer. The pressure was fixed at 1 kg/cm 2 , and the result of inputting the discomfort level value for each coordinate and converting it into a color relative to the input value is shown in FIG. 12 . The Visual Analog Scale (VAS) is a method used as an evaluation scale for pain by setting the perceived pain level of patients from 0 to 10 and displaying it directly to patients. one of the indicators. The result of FIG. 12 i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performed for 19 people.

한편,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에 대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신규의 통증 지수를 도출하였다. 상기 신규의 통증 지수는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PPT)을 고정된 압력 하에서 느끼는 통증의 값(VAS)으로 나눈 것에 100을 곱한 값으로 강한 압력을 버틸 수 있으면서 통증을 덜 느낄 수 있는 부위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소정사각형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분석을 수행할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a new pain index was deriv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pressure felt by the user and the pain felt under the fixed pressure. The new pain index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100 by dividing the pressure that the user feels pain (PPT) by the value of pain felt under fixed pressure (VAS). Select a region that can withstand strong pressure and feel less pain it is to do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analysis on the coordinates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rectangles are shown in FIG. 13 .

제1-6고정부위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1실험에서는 이와 같이 3가지 방법을 통해서 명확한 고정부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도 11에서는 1.2 이상의 값, 도 12에서는 5.0 이상의 값, 도 13에서는 25 이상의 값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최소하면서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In the first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1-6 fixation site, a clear fixation site could be derived through the three methods as described above, with a value of 1.2 or higher in FIG. 11, a value of 5.0 or higher in FIG. When the value is applied, it was evaluated that it can guarantee fixing power while minimizing discomfort to the user.

<제2실험 : 제1-7고정부위의 고정력 측정><Second Experiment: Measurement of Fixing Force of 1-7 Fixing Sites>

상기와 같이 제1실험을 통하여 제1-6고정부위를 선정하였다. 제1-6고정부위는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 내부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1-6 fixed sites were selected through the first experiment. The 1-6 fixation site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with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본원발명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면서, 귓구멍 앞부터 턱관절 뒷부분 사이의 공간도 고정부위로 활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2실험에서는 이 부위에 대한 추가 평가를 진행하였다. 고정부위의 범위를 안면 뒤쪽으로 확장함에 있어서, 턱관절만 지나지 않으면 활용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확장한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위의 범위를 안면 상부쪽으로 확장하였다.While conducting resea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space between the front of the ear canal and the back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uld also be used as a fixing site. In the second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is site. In extending the range of the fixation part to the back of the face,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utilized only i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as not passed, and this was expanded. Likewise, the range of the fixation area was extend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face.

도 8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 각각의 좌표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압력(PPT)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1실험과 동일하다.The pressure (PPT) at which the user feels pain was measured for each coordinat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FIG. 8 . The measurement method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xperiment.

사용자의 통증 역치(PPT)를 본원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에 따라 측정한 것은 사용자가 안면의 위치에 따른 근육의 여부, 골격의 위치, 피부의 두께에 따라 통증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증 역치가 높을수록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는 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Measuring the user's pain threshold (PPT) according to (x, y) based on the user's 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user has pain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muscles, the position of the skeleton, and the thickness of the ski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face. Because the degree may vary.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pain threshold, the higher the pressure to ensure fixation.

통증을 느끼는 압력의 단위는 ㎏/㎠이다. 해당 좌표에 대한 통증 역치를 기입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의 결과는 9명에 대해서 수행한 값의 평균값이다. 도 14 상단에는 통증 역치(PPT)에 따라서 색깔을 달리한 기준을 나타냈다. 1.2 이하는 통증 역치가 너무 낮아 고정부위로 사용하기에 적절치 않은 영역이며, 1.4 이상은 통증 역치가 가장 높은 가장 바람직한 영역이다.The unit of pressure to feel pain is kg/cm2. The pain thresholds for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were writte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4 . The result of FIG. 14 i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performed for 9 people. In the upper part of FIG. 14 , standards with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pain threshold (PPT) are shown. Below 1.2, the pain threshold is too low to be used as a fixation site, and above 1.4 is the most desirable area with the highest pain threshold.

<고정력 실험><Fixing force test>

본원발명의 제1실험에 따라 도출된 부위 중 특히 통증 대비 고정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부위 5곳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고정력을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Among the sites derived according to the first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ites evaluated to have particularly high fixation power compared to pain were selected and the fixation power was measured by various methods.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값이 각각 (1,5), (1,3), (2,5), (2,2), (2,4)를 각각 1, 2, 3, 4, 5 부위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고정력 실험을 별도로 진행하였다. 상기 1, 2, 3, 4, 5 부위에 대해서 안면을 감싸면서 소정사각형 해당 좌표만을 압박하는 프레임 형태의 반원 틀(이하 '프레임)을 제조한 후 상기 반원 틀이 해당 좌표를 압박하는 압력을 달리한 후 "아에이오우'를 발성을 하거나(Verbal), 반원 틀 수평으로 거치 후 목을 30도로 굽힌 후 다시 원복했을 때 수평 틀의 원위치 유지 여부 (Flexion), 시속 3km/h 및 5km/h의 걷기를 통해서 상기 반원 틀이 정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 (Walking)를 관측하였다. 각각에 대한 실험결과를 표 1, 표 2,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는 3명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The (x, y) values based on the user's face are respectively 1, 2, (1,3), (2,5), (2,2), and (2,4). 3, 4, and 5 sites were named, and a fixation force test was conducted separately for them. For the 1, 2, 3, 4, 5 parts, after manufacturing a semi-circular frame (hereinafter 'frame) in the form of a frame that compresses only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ile wrapping the face, the pressure of the semi-circular frame to press the coordinates is different After doing “Aei Oh” (Verbal), or not maintaining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Flexion) when returning the neck after bending the neck to 30 degrees after placing the semicircle frame horizontally (Flexion), the speed of 3km/h and 5km/h Whether or not the semicircle frame devi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Walking) was observed through walking.The experimental results for each are shown in Table 1, Table 2, and Table 3. This is the average value of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experiment for 3 people am.

도 15는 프레임으로서 실제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특정한 압력으로 고정할 경우, 고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장치의 탄성력을 10g, 30g, 50g으로 차별을 두어 사용자의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달리한 것을 도식화하여 부가하였다.15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fixation when a frame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an actual user with a specific pressure. The elastic force of the device was differentiated into 10g, 30g, and 50g,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face was changed by drawing a diagram.

표 1에서 말하는 압력은 상기 프레임이 사용자에게 가하는 탄성력 또는 압력으로서 g이 단위이다. 표 1은 발성 (Verbal), 구부리기 (Flexion), 걷기 (Walking)의 실험에서 프레임이 제자리에 위치하기 위한 최소한의 압력을 나타낸 것으로서 2번, 4번 위치는 낮은 압력으로서 제자리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The pressure in Table 1 is the elastic force or pressure applied to the user by the frame, and g is the unit. Table 1 shows the minimum pressure for the frame to be placed in place in the experiments of Verbal, Flexion, and Walking. there i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2는 발성 (Verbal), 구부리기 (Flexion), 걷기 (Walking)의 실험 중 고정압력에 따라서 프레임이 자리를 이탈한 인원수를 나타낸다. 표 1과 유사하게 2번과 4번 위치에서는 프레임이 이탈을 하지 않았다.Table 2 shows the number of people whose frame was displaced according to the fixed pressure during the tests of Verbal, Flexion, and Walking. Similar to Table 1, the frame did not deviate at positions 2 and 4.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3은 프레임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은 구역을 프레임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서 나타낸 결과이다. 2번과 4번 위치는 낮은 압력에서도 프레임이 이동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Table 3 show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rame to the area where the movement of the frame does not occur. At positions 2 and 4,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does not move even at low pressure.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5개의 위치에 대해서 프레임에 일정한 무게의 추를 매달은 후에 상기 프레임의 고정여부를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Tabl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whether the frame is fixed after hanging a weight of a certain weight on the frame at the five positions.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표 4에서도 알 수 있듯이 2번과 4번 위치는 낮은 압력에서도 무게가 무거운 추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험을 통해서 2, 4의 위치가 가장 우수한 고정력을 담보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4, positions 2 and 4 can hold heavy weights even at low pressure.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s 2 and 4 guarantee the best fixing force.

<덮개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 측정><Measurement of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cover>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가 부가됨에 따른 고정력을 측정하였다.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는 덮개 자체가 고정력을 부가하거나, 덮개 내부에 배치된 누름부를 통해서 고정력을 부가할 수 있다. 덮개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도 15의 프레임에 본원발명에 따른 누름부와 같은 형태(이하 '누름부')를 부가하였다. 도 16은 덮개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프레임에 누름부를 부가한 것이다.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 fixing force to the cover itself, or through a press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over. In order to measure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cover, the same shape as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pressing part') was added to the frame of FIG. 15 . 16 is a view in which a pressing part is added to the frame in order to measure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cover.

제1고정부위를 상기 고정력 실험에서의 2번 및 4번 위치가 될 수 있도록 프레임을 고정한 후 누름부의 여부 및 누름부의 위치를 콧볼을 기준으로 위, 중간, 아래로 바꾸어 고정력을 관측하였다.After fixing the frame so that the first fixing position could be the 2nd and 4th positions in the fixing force experiment, the fixing force was observ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up, middle, and down based on the nostrils.

도 17은 누름부의 위치를 콧볼을 기준으로 위, 중간, 아래로 나타낸 사진이다.1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up, middle,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nostrils.

고정력은 프레임만을 가지고 수행한 경우와 같이 아에이오우'를 발성을 하거나(Verbal), 시속 3km/h 및 5km/h의 걷기를 통해서 상기 반원 틀이 정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Walking), 프레임에 10, 20, 30, 40, 50g의 별도의 추를 부가한 경우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3명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의 평균값이다.The fixing forc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semicircular frame deviates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voicing 'aeio' (Verbal) or walking at 3 km/h and 5 km/h (Walking), as in the case of performing with only the frame (Walking). Separate weights of 10, 20, 30, 40, and 50 g were added. This experimen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performed on 3 people.

표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프레임의 고정력을 30g으로 할 경우, 누름부의 부가여부에 관계없이 발성 (Verbal), 걷기 (Walking)에 대해서 고정위치를 벗어나지 않았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able 2, when the fixing force of the frame is set to 30 g,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fixed position for Verbal and Walking regardless of whether the pressing part is added.

누름부에 따른 효과를 관측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지지압력을 최소화하여 프레임의 압력을 10g 이하로 줄여서 관측하였다. 이 경우 2번, 4번 위치에서도 최소한의 무게추인 10g 지지하지 못한다. 아래 표5는 이에 따른 실험결과이다. 추의 무게와 누름부의 위치에 따라서 프레임이 본래 위치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O로 표시하였다.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pressing part, the support pressure of the frame was minimized and the pressure of the frame was reduced to 10 g or less. In this case, even at positions 2 and 4, the minimum weight of 10g cannot be supported. Table 5 below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the case where the frame does not deviate from its original position was marked as O.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누름부가 없는 프레임의 경우 2번, 4번 위치에서 모두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누름부 또한 그 위치에 따라서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상이하였으며, 콧볼을 중심으로 아래에 위치할 경우 가장 강한 고정력을 담보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Referring to Table 5, in the case of a frame without a pressing part, it was found that both positions were out of position at positions 2 and 4.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pressing part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strongest fixing force was ensured when it was located below the nostrils.

<(-1,1), (1,-1)의 고정력 측정><Measurement of fixing force of (-1,1), (1,-1)>

본원발명은 또한 일회용 또는 보급형 마스크가 일반 방독면 등에 비해서 매우 가볍기 때문에 상기 <고정력 측정>에 사용된 프레임의 고정력보다 훨씬 낮은 값에서도 마스크가 충분히 얼굴에 고정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종래의 통증이 높지만 고정력이 높은 부위만을 별도로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번 실험은 제1-6에 상기 부위를 부가한 것이지만, 결국 제1-7고정부위에 해당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osable or entry-level mask is very light compared to a general gas mask, etc., considering that the mask can be sufficiently fixed to the face even at a value much lower than the fixing force of the frame used in the <Fixing force measurement>, the conventional pain is high, but the fixing force is high Only this high region was separately selected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is experiment, the above sites were added to 1-6, but in the end, they correspond to the 1-7 fixation sites.

실험은 앞에서 설명한 <제1실험 : 제1-6고정부위의 고정력 측정> 및 <고정력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as <Experiment 1 : Measurement of fixation force at 1-6 fixation sites> and <Fixing force experiment> described above.

도 18은 제1-6고정부위에 (-1,1) 및 (1,-1)을 부가하여 VAS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8에서 1번이 (1,-1)에 해당하며 6번이 (-1,1)에 해당한다. 도 18의 그래프는 1번부터 6번에 대한 VAS를 측정한 것이다. 1번 위치와 6번 위치는 30g의 압력일 경우 통증이 큰 부위로 나타나서 고정부위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10g의 압력일 경우에는 고정부위로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5명에 대한 실험 결과의 평균 값이다.FIG. 18 is a result of measuring VAS by adding (-1,1) and (1,-1) to the 1-6 fixation sites. In FIG. 18, number 1 corresponds to (1,-1) and number 6 corresponds to (-1,1). The graph of FIG. 18 measures the VAS for Nos. 1 to 6. Positions 1 and 6 are not preferable as a fixation site because they appear as painful areas when the pressure is 30 g, but it is indicated that they can be used as a fixation site at a pressure of 10 g. 18 is an average value of experimental results for 5 subjects.

도 19 내지 도 21은 상기 도 18의 실험 결과 중 통증이 적었던 1, 6, 2, 4에 대해서 verbal, flexion, walking에 고정도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3번은 도 18의 6번에 해당한다. 도 19 내지 도 21의 결과를 보면 실험을 수행한 4곳 모두 고정력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는 유력한 고정부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번은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가장 우수한 고정도를 나타내었다.19 to 21 ar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high precision in verbal, flexion, and walking for 1, 6, 2, and 4, which had little pain amo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18 . No. 3 in FIGS. 19 to 21 corresponds to No. 6 of FIG. 18 . From the results of FIGS. 19 to 21 , it can be seen that all four locations in which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can be a strong fixing site that can sufficiently secure the fixing force. In particular, No. 1 showed the best high accuracy in all cases.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해부학적으로 구체적인 위치를 명확히 설정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소한의 힘만으로도 높은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는 특정한 부위를 도출함으로써, 장시간 착용을 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가압하는 부위를 명확하게 특정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 상관없이 일관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atomically specific location was clearly set, and various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area. By deriving a specific area that can guarantee high fixation with minimal force, there is little irritation to the ski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A mask that can be provided can be provided.

<공인 누설률 측정><Accredited leak rate measurement>

<누설률 실시예><Example of leakage rate>

도 25 내지 도 27은 본원발명의 덮개에 따른 공인 누설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종래의 마스크(KF 94)에 있어서, 종래 마스크 자체의 피팅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를 압박할 수 있는 덮개를 금속 클립 형태로 제조하여 시착한 사진이다.25 to 27 are in the conventional mask (KF 94) to measure the official leakage rate according to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that does not use the fitting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ask itself This is a photo of a cover that can press the third pressure par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etal clip and tried on.

도 25 내지 도 27에 따른 클립을 본원발명에 따른 제3압박부(누설률 실시예 1), 제2압박부(누설률 실시예 2), 제1압박부(누설률 실시예 3)를 밀착할 경우에 대한 공인 누설률을 측정하였다.25 to 27, the third pressing part (leak rate Example 1), the second pressing part (leakage rate Example 2), and the first pressing part (leakage rate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losely attached to the clips according to FIGS. The official leak rate was measured for the case.

<누설률 비교예><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종래의 마스크인 KF94 모델의 1회용 마스크를 누설률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상기 마스크는 코 주변부 실링을 위해서 변형이 가능한 철사를 마스크의 코 주변에 삽입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를 가지고 공인 누설률을 측정하였다. 누설률 비교예 1, 2, 3은 각각 누설률 실시예 1, 2, 3에서 누설률을 측정한 위치에서 종래의 KF94를 사용하여 누설률을 측정한 것이다.A disposable mask of the KF94 model, which is a conventional mask, was used as a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In the mask, a deformable wire is inserted around the nose of the mask for sealing around the nose. The official leak rate was measured with the mask. In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3, the leak rate was measured using the conventional KF94 at the position where the leak rate was measured in the leak rate Examples 1, 2, and 3, respectively.

누설률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안내서-0349-04에 기재된 누설률 시험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원발명의 누설률 결과는 시험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인증을 받은 후 진행한 결과이다.The leak rate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leak rate test method described in the Guide-0349-04 of the "Guideline for Standard Specifications of Health Masks (Citizen's Guide)"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leak rate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sult of the test apparatus and method after being certifi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아래 누설률과 관련된 표 결과값에서 1번 행동 내지 5번 행동은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안내서-0349-04에 기재된 ㉮ 머리를 움직이거나 말하지 않고 2분 동안 걷는다. ㉯ 터널의 벽면을 조사하는 것처럼 머리를 좌우로 약 2 분 동안 15 번 정도 움직인다. ㉰ 지붕과 바닥을 조사하는 것처럼 머리를 위 아래로 약 2 분 동안 15번 정도 움직인다. ㉱ 2 분 동안 한글로 된 문장을 큰소리로 말한다. ㉲ 머리를 움직이거나 말하지 않고 2 분 동안 걷는다에 해당하는 것이다.In the table result related to the leak rate below, actions 1 to 5 are for 2 minutes without moving or speaking the head described in the "Guideline for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ealth Masks (Citizen's Guide)" Guide-0349-04. walk ㉯ Move your head from side to side 15 times for about 2 minutes as if examining the wall of a tunnel. ㉰ Move your head up and down 15 times for about 2 minutes, as if examining the roof and floor. ㉱ Say aloud sentences in Korean for 2 minutes. ㉲ is equivalent to walking for 2 minutes without moving the head or talking.

각각의 행동에 대해서 약 2분간의 테스트를 진행하여 총 5회를 실시한 평균값을 사용하였다.For each behavior, the test was conducted for about 2 minutes, and the average value of 5 times in total was used.

<공인 누설률 결과 대비><Compared to the official leak rate results>

표 6, 9, 10은 각각 본원발명의 제3고정부(누설률 실시예 1), 제2고정부(누설률 실시예 2), 제1고정부(누설률 실시예 3)를 밀착할 경우에 대한 공인 누설률이며, 표 7, 11은 누설률 비교예 1, 누설률 비교예 2의 공인 누설률 결과이다. 누설률 비교예 3의 경우, 밀착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누설률 자체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억지로 누설률을 측정하였을 때 40% 이상의 값이 측정되어 실질적으로 의미 있는 값을 도출하지 못하였다.Tables 6, 9, and 10 show the third fixing part (leak rate Example 1), the second fixing part (leak rate Example 2), and the first fixing part (leak rate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whe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the official leak rate for , and Tables 7 and 11 are the official leak rate results of the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2. In the case of the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impossible to measure the leak rate itself because adhesion was not possible. When the leak rate was forcibly measured, a value of 40% or more was measured, and a practically meaningful value could not be derived.

표 11은 누설률 실시예 4로써 동일한 실험을 상기 실시예 1, 2, 3의 부위를 압박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의 코 연골 부위만을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피팅 조절기를 사용할 경우에 대한 공인 누설률 결과이다.Table 11 shows the leak rate of Example 4 for the same experiment without compressing the parts of Examples 1, 2, and 3, but only the user's nasal cartilage, when using the nose fitting adjus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e is the result.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아래 표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누설률 실시예 1 내지 3과 누설률 비교예 1, 2의 공인 누설률을 정리 비교한 결과이다.Table 12 below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official leak rates of the leak rate Examples 1 to 3 and the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공인 누설률Certified leak rate 비고note 누설률 실시예 1Leak Rate Example 1 2.05%2.05% 제3고정부3rd fixed part 누설률 실시예 2Leak Rate Example 2 0.36%0.36% 제2고정부2nd fixed part 누설률 실시예 3Leak Rate Example 3 2.04%2.04% 제1고정부1st fixed part 누설률 실시예 4Leak Rate Example 4 0.71%0.71% 청구항 2 고정부claim 2 fixed part 누설률 비교예 1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1 4.12%4.12% KF94기준 11%미만은 충족Less than 11% of KF94 standards are met 누설률 비교예 2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2 1.57%1.57% KF94기준 11%미만은 충족Less than 11% of KF94 standards are met 누설률 비교예 3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3 -- 고정이 되지 않아 측정불가Cannot be measured because it is not fixed

공인 누설률을 측정할 경우 본원발명에 따른 누설률 실시예 1, 2, 3, 4와 누설률 비교예 모두 KF94의 기준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원발명의 모든 경우가 누설률 비교예에 대비하여 낮은 누설률을 나타냈다.<턱 운동 결과 대비>When measuring the official leak rate, leak rate Examples 1, 2, 3, 4 and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wed that the standards of KF94 were satisfied, but all c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mpared to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s This showed a low leakage rate. <Compared to the result of jaw movement>

표 13, 15, 17은 각각 본원발명의 누설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덮개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착용한 후 상기 누설률 시험 방법 중 턱움직임이 있는 "㉱ 2 분 동안 한글로 된 문장을 큰소리로 말한다" 각각 5번 수행한 시험 결과이고, 표 14, 16은 각각 누설률 비교예 1 내지 2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의 경우 실제는 누설이 많이 발생하지만, 공인 테스트의 규정 내에서는 명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Tables 13, 15, and 17 show that there is a jaw movement in the leak rate test method after wearing the mask includ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leak rate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Sentence in Korean for 2 minutes say out loud" is the test result performed 5 times, respectively, and Tables 14 and 16 show the results of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respectively. In the case of ㉱, a lot of leakage actually occurs, but since it is not clearly known within the regulations of the accredited test, an additional experiment was conducted.

표 13에서 알 수 있듯이 누설률 실시예 1에 따른 덮개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상기 ㉱시험에 대해서도 누설률이 1.87%로서 매우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14를 참조하면, 동일한 위치에 종래의 KF94를 사용할 경우 8.02%로서 11% 미만이라는 규격에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누설률 실시예 1에 대비하여서는 4배 이상의 누설률 값을 보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3, the mask includ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leak rate Example 1 had a leak rate of 1.87% even in the above test, showing a very good value. Referring to Table 14, when the conventional KF94 is used at the same location, it was found that 8.02%, which was less than 11%, was met, but showed a leakage rate value of 4 times or more compared to Example 1 of the leakage rate.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표 15에서 알 수 있듯이 누설률 실시예 2에 따른 덮개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누설률이 0.41%로서 매우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16을 참조하면, 동일한 위치에 종래의 KF94를 사용할 경우 1.41%로 규격에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누설률 실시예 2에 대비하여 4배 정도의 누설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5, the mask including the cover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leak rate showed a very good value as the leak rate was 0.41%. Referring to Table 16, when using the conventional KF94 at the same lo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 was met at 1.41%, but the leakage rate was about 4 times higher than that of Example 2 of the leak rate.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표 17에서 알 수 있듯이 누설률 실시예 3에 따른 덮개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누설률이 2.31%로서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누설률 비교예 3의 경우, 밀착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누설률 자체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억지로 누설률을 측정하였을 때 40% 이상의 값이 측정되어 실질적으로 의미 있는 값을 도출하지 못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7, the mask including the cover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leak rate showed an excellent value as the leak rate was 2.31%.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impossible to measure the leak rate itself because adhesion was not possible. When the leak rate was forcibly measured, a value of 40% or more was measured, and a practically meaningful value could not be derived.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아래 표 18은 본원발명에 따른 누설률 실시예 1 내지 3과 누설률 비교예 1, 2의 공인 누설률 중 가장 누설률이 높은 시험만을 수행한 결과를 정리 비교한 결과이다.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장시간 업무 등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대화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래 표 18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누설률 실시예 1 내지 3은 이러한 경우라도 표 12의 경우와 대비하여 거의 유사한 누설률 값을 보이고 있는 바, 이는 턱 근육이나 얼굴의 근육의 움직임이 있더라도 일정한 실링을 담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와 근육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낮은 누설률을 유지하고 있는 바,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에 대해서 숙달되지 않아도 항상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Table 18 below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only the test having the highest leak rate among the official leak rates of Leak Rate Examples 1 to 3 and Leak Rate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users wear masks and work for a long time, and most of them have conversations accordingly. Referring to Table 18 below, the leak rate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almost similar leak rate values compared to the case of Table 12 even in this case, which is a constant sealing even if there is movement of the jaw muscle or facial musc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 addition, it maintains a low leakage rate regardless of location and muscle use, so that excellent results can always be obtained even if the user is not proficient in wearing a mask.

턱 운동에 대한 누설률Leak rate for jaw movement 비고note 누설률 실시예 1Leak Rate Example 1 1.87%1.87% 제3고정부3rd fixed part 누설률 실시예 2Leak Rate Example 2 0.41%0.41% 제2고정부2nd fixed part 누설률 실시예 3Leak Rate Example 3 2.31%2.31% 제1고정부1st fixed part 누설률 비교예 1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1 8.02%8.02% KF94기준 11%미만은 충족Less than 11% of KF94 standards are met 누설률 비교예 2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2 1.41%1.41% KF94기준 11%미만은 충족Less than 11% of KF94 standards are met 누설률 비교예 3Leak rate comparative example 3 -- 고정이 되지 않아 측정불가Cannot be measured because it is not fixed

반면에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자의 턱 또는 얼굴 근육이 정지될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많은 누설률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위치에 따라서 4배 이상의 누설률 차이가 있는 바,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 숙달 여부, 대화 여부에 따라서 일정하지 못한 값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한편 동일한 실험을 상기 누설률 실시예 1, 2, 3의 부위를 압박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의 코 연골 부위만을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사용할 경우와 비교예의 KF94를 사용하여 누설률을 측정한 결과 표 15 및 표 16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에 따른 결과가 약 1/4의 누설률 값을 나타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ask shows a large difference in leakage rate between when the user's jaw or facial muscles are stopped and when the user's jaw or facial muscles are not stopped, and there is a difference of 4 times or more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of showing an inconsistent valu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experiment, the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nly for the user's nasal cartilage without compressing the parts of Examples 1, 2, and 3 of the leakage rat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leakage rate using KF94 of the case and comparative example, results similar to Tables 15 and 16 were shown. Even in this case, the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leakage rate value of about 1/4.

<변위 실험><Displacement Experiment>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의 유무에 따른 안면에 고정하는 장치의 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안면 좌우에만 고정되는 탄성체를 제작하고 코 주변부에서 상기 탄성체의 위치변화를 모션센서를 사용하여 관측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displacement of the device for fixing to the fa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body fixed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face was manufactured, and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lastic body was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nose using a motion sensor.

도 28은 변위 실험을 하기 위해서 누설률 실시예 2에 따른 덮개를 부가한 탄성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사진이다. 도 28에서 검은점으로 표시한 부분의 변위를 관측하였다. 누설률 실시예 2에 따른 덮개를 부가하거나 부가하지 않은 탄성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아에이오우"의 말하기를 하면서 상기 검은점의 변위를 관측하였다. 기준점으로부터 좌표를 구한 후 이들의 거리를 측정한 후 시간에 따라서 이를 도 29에 나타내었다.28 is a photograph of a user wearing an elastic body to which a cover according to Leak Rate Example 2 is added in order to conduct a displacement test. The displacement of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black dot in FIG. 28 was observed. After the user wore the elastic body with or without the cover according to the leak rate Example 2, the displacement of the black dot was observed while speaking "Aoi". After obtaining the coordinates from the reference point, the distances were measured and shown in FIG. 29 according to time.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자가 코 주변의 철사를 구부려 밀착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말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안면 근육의 수축 이완으로 인해서 밀착도가 떨어진다. 도 29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이와 유사한 결과로서 누설률 실시예 2에 따른 덮개를 부가하지 않은 탄성체를 시착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를 부가할 경우 사용자가 대화를 할 경우라도 해당 부위의 변위(도 29의 실선 참조)가 적어 밀착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mask, even if the user bends the wire around the nose and adheres to it, the adhesion is lowered due to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facial muscles generated by the user speaking. The dotted line in FIG. 29 shows the result of trying on the elastic body to which the cover is not added according to the leak rate Example 2 as a result similar to this. When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t can be indirectly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adhesion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because the dis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 (see the solid line in FIG. 29 ) is small even when the user has a conversation.

본원발명은 위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변이에 따른 피부와의 마찰이 적다. 이는 코로나-19와 같이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할 경우, 콧등과 마스크의 마찰로 인해서 피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change is small, the friction with the skin according to the change is small. Thi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ki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mask when it is necessary to wear a mask for a long time like COVID-19.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Examples 1 to 5>

도 30 및 3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의 분해사시도,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며, 도 32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3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3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4 및 35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40)의 분해사시도,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며, 도 36 및 37은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스크(50)의 분해사시도,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며, 도 38은 본원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마스크(60)의 사시도, 전좌상면도이다.30 and 31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left top view of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and 35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left top view of the mask 4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6 and 37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5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erspective view, a front top view, and FIG. 3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top view of the mask 6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0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실시예 1 내지 6을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1 to 6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8 .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크게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로 나눌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각각의 필터부, 고정부, 프레임부의 특정한 조합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로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는 서로 다르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의 필터부와 제2실시예의 고정부, 제6실시예의 프레임부를 구성하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는 바, 본원발명의 권리가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만으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a fixed part (300, 800, 1300, 1800, 2300), and a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ca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 as an example one embodiment by a specific combination of each of the filter unit, the fixing unit, and the frame unit. The filter parts 100, 600, 1100, 1600, 2100, the fixing parts 300, 800, 1300, 1800, 2300, and the frame parts 200, 700, 1200, 1700, 2200 can be combined differently. . For example, although the filter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xing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rame part of the sixth embodiment are constituted, other embodiments may be constituted, and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to

본원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공통된 부분이 있는 바 하기 설명에서 각각의 도면 부호를 참고한다.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와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의 제1고정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및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를 포함한다.Since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mon parts, reference is made to respective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ilter unit (100, 600, 1100, 1600, 2100)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rea; Frame parts (200, 700, 1200, 1700, 2200)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the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and 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coupled, and at least the filter unit (100, 600, 1100, 1600, 2100) and the frame unit (200, 700, 1200, 1700, 2200) of the user by closely adher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first fixing portion. It includes a fixing part (300, 800, 1300, 1800, 2300) fixed to the face.

상기 제1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The first fixing portion is in the face of the user

1)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1고정부위;1)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nclude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to the premolar of the user, and includes a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the 1-1 fixation site,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user;

2)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2고정부위;2)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parotid gland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The first-2 fixation site,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as far as the area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front fibers are located, and in the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3)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제1-3고정부위;3)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to the masseter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it is the lower face region including the temporal process of the user, and the most protruding muscle belly from the masseter muscle is excluded. Phosphorus 1-3 fixed site;

4)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4고정부위;4)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to the area that does not press the posterior part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including the vertical axis (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1-4 fixation site;

5)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인 제1-5고정부위;5) the user's temple (temple), the angle of the mandible (Angle of mandible), the lower edge of the mandible (inferior border of mandible) as a triangular region as a vertex 1-5 fixing position;

6)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내부인 제1-6고정부위로서,6) As the 1-6 fixing part, which is the inside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제1-6고정부위;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having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zygomatic process of the user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or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distance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

7)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3,1), (4,1), (5,1), (-1, 2), (1,2), (2,2), (3,2), (-1,3), (1,3), (2,3), (-1,4), (1,4), (-1,5), (1,5), (2,5)인 제1-7고정부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7)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1), (1,-1), (2,-1), (3,-1), (4, -1), (-1,1), (1,1), (2,1), (3,1), (4,1), (5,1), (-1, 2), (1) ,2), (2,2), (3,2), (-1,3), (1,3), (2,3), (-1,4), (1,4), (- 1,5), (1,5), (2,5) of the 1-7th fixed site; including at least one of;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으로서, 상기 5등분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되며,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equal parts, and the 5 divisions are the user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head of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is designated as x as a negative valu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negative horizontal axis is designated with a negative value of y,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된다.In the predetermined rectangle, which is further symmetrically disposed based on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x and y are designated as negative values.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거나,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이거나,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일 수 있다. 상기 제1-6고정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2,4), (1,5), (2,5), (1,1), (1,-1),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1,3), (1,-1), (-1,1)일 수 있다.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1), or (2,2), (4,2), (1,3), (3,3), (4,3), (5,3), (1,4), (2, 4), (3,4), (4,4), (5,4), (1,5), (2,5), (4,5), (5,5), (1,1) , (1,-1), (-1,1), or (2,1), (2,2), (1,3), (4,3), (5,3), (1,4) ), (2,4), (4,4), (5,4), (1,5), (2,5), (5,5), (1,1), (1,-1) , (-1,1). Preferably, the 1-6 fixation site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2,4), (1,5) , (2,5), (1,1), (1,-1), (-1,1), more preferably (2,2), (1,3), (1,-1), (-1,1).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 2), (1,2), (-1,3), (1,3)일 수 있다.The 1-7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 2), (1,2), (-1,3), ( 1,3).

상기 제1-1고정부위 내지 제1-7고정부위는 앞의 <제1실험>, <제2실험>, <고정력 실험>을 통해서 효과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상기 제1-1고정부위 내지 제1-7고정부위는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의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이 구체적으로 접하면서 압박하는 부위에 해당한다.The superiority of the effect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1st Experiment>, <2nd Experiment>, and <Fixing Force Experiment> in the above 1-1 fixation site to 1-7 fixation site. The 1-1 fixation part to the 1-7 fixation part are the parts where the fixing surfaces 317, 817, 1317, 1817, 2317 of the fixing parts 300, 800, 1300, 1800, 2300 specifically contact and press. corresponds to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또한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와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및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ilter unit (100, 600, 1100, 1600, 2100)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rea; Frame parts (200, 700, 1200, 1700, 2200)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the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and 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By combin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face, at least the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and 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are fixed to the user's face In the mask comprising a fixing part (300, 800, 1300, 1800, 2300),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는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의 일부인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의 외면에서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이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도 22 내지 24에서 Lateral nasal cartilage, Major alar cartilage, Minor alar cartilages를 포함)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되게하는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를 포함하고,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is a part of the filter part 100, 600, 1100, 1600, 2100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 614, 1114, 1614, 2114) by press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ose (Lateral nasal cartilage, Major alar cartilage, Minor in FIGS. 22 to 24) alar cartilages) and a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skin,

여기서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는Here, the covers 210, 710, 1210, 1710, 2210 are

1)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강 주름(nasolabial fold)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인 제1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거나,1)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114, 614, 1114, 1614, 2114)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or

2)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입술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도 23 및 도 24 참조) 또는 위입술콧방울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도 24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2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거나,2) the user's levator labii superioris (refer to FIGS. 23 and 24) or the levator labii superioris muscle (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by pressing the second pressing part, which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l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see FIG. 24)

3)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콧방울(alar crease)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인 제3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는 마스크를 제공한다.3)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by pressing the third pressure part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er's alar crease on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opposite the user's skin. , 1114, 1614, 2114) to provide a mask that closely adheres to the user's skin.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가 부가될 경우 고정력이 증가되는 것은 <덮개의 부가에 따른 고정력 측정>을 통해서 효과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덮개에 따른 누설률의 결과를 상기 <공인 누설률 측정>에서 수행함으로써 본원발명은 누설률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턱을 움직여도 여전히 낮은 누설률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increase in fixing force when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proved the superiority of the effect through <Measurement of the fix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co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nfirmed that by performing the result of the leak rate according to the cover in the <certified leak rate measurement>,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a very low leak rate, but also maintains a low leak rate even when the jaw is moved.

상기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는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스크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킨다.The covers 210 , 710 , 1210 , 1710 , and 2210 support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 614 , 1114 , 1614 , 2114 with the user's skin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mask on the user's face.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110, 610, 1110, 1610, 2110); 상기 필터(1110, 1610, 2100)의 양측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110, 610) 외주변 일부를 따라 고정되는 지지체프레임(123, 623)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는 지지체날개(128, 628, 1128, 1628, 2128)를 포함하는 지지체(120, 620, 1120, 1620, 2120);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100, 600, 1100, 1600, 2100)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the filter (110, 610, 1110, 1610, 2110)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mouth; It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lter (1110, 1610, 2100) or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23, 623) fixed along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110, 610) to the fixing part (300, 800, 1300, 1800, 2300), the support body (120, 620, 1120, 1620, 2120) including the support wings (128, 628, 1128, 1628, 2128) coupled in a detachable form; includes.

상기 지지체날개(1128, 1628, 2128)는 상기 필터(1110, 1610, 2110)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필터(1110, 1610, 2110)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상기 지지체날개(128, 628)는 상기 지지체프레임(123, 623)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프레임(123, 623)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The support wings 1128 , 1628 , 2128 extend from the filters 1110 , 1610 , 2110 and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s 1110 , 1610 , 2110 , or the support wings 128 , 628 are the support frame As extending from (123, 623), the support frame (123, 623) and may b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전체가 착탈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부(100, 600, 1100, 1600, 2100) 중 상기 사용자의 턱주변부는 주름 형태로 구성되며, 이 때 상기 주름은 상기 사용자의 턱 윤곽선을 따라서 구성된다.Preferably, the entire filter unit (100, 600, 1100, 1600, 2100) is removable and replaceable, and the user's chin circumference of the filter unit (100, 600, 1100, 1600, 2100) is in the form of a pleat, , wherein the wrinkle is configured along the contour of the user's chin.

상기 필터(110, 610, 1110, 1610, 2110)는 곡면 형태로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 상기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의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 상기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112, 612, 1112, 1612, 2112)의 하면이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턱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하면(1616, 2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의 도면에는 필터하면이 미기재되어 있지만, 이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와 동일하게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lter (110, 610, 1110, 1610, 2110) is a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in a curved shape; It is fix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or is spaced down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Is fixed or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is bent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nose and its surrounding skin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It is fix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or is spaced up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It is fixed,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12, 612, 1112, 1612, 2112) is bent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chin and surrounding skin (1616, 2116); may include. Although the filter bottom i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d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도 39 또는 도 40을 참고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마스크는 상기 필터상면 및/또는 상기 필터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1결착부(A-A', B-B', C-C', D-D' 각각 대응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착부(A-A', B-B', C-C', D-D' 각각 대응되는 결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필터상면 및/또는 상기 필터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2결착부(E-E', F-F' 대응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결착부(E-E', F-F')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는 필터본체와 필터상면 및 필터하면이 손상되지 않고 탈착할 수 있는 정도의 힘이어야 한다. 또 다른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로는 벨크로, 스냅 단추, 클립을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상면이 배치될 수 있는 범위는 콧망울(tip-defining points) 내지 비골(nasal bone) 하단부일 수 있다.39 or 40, the masks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one or more first binding parts fixed to the filter body on both sides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or the filter lower surface ( A-A', B-B', C-C', and DD' respectively corresponding coupling parts) are provided, and the first coupling parts A-A', B-B', C-C', DD' Each corresponding coupling unit) may be of a detachable coupling type, and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unit (E-E', FF'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or the filter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filter body) coupling part) is provided, and the second coupling parts E-E', F-F' may be of a detachable coupling type. Here, the detachable coupling form should be such that the filter body,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the filter lower surface can be detached without damage. Another detachable coupling form may be at least one of a group including a Velcro, a snap button, and a clip. A range in which the filter upper surface can be disposed may be at the tip-defining points or at the lower end of the nasal bone.

도 39 또는 도 40에서 결착할 수 있는 부위의 예시로 각각 A-A', B-B', C-C', D-D', E-E', F-F'로 표시하였다. A, B, C, D, E, F의 다수의 점으로 표시하였으며, 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결착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A, B, C, D, E, F의 결착부위는 각각 대응되는 A', B', C', D', E', F'에 결착한다. A, B, C, D는 제1결착부의 예시이고, E, F는 제2결착부의 예시이다.39 or 40, examples of binding sites are indicated as A-A', B-B', C-C', D-D', E-E', and F-F', respectively. A number of points A, B, C, D, E, and F are indicated,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 binding site. The binding sites of A, B, C, D, E, and F bind to the corresponding A', B', C', D', E', and F', respectively. A, B, C, and D are examples of the first binder, E and F are examples of the second binder.

상기 제1결착부 및 제2결착부가 상기 필터상면 및 필터하면의 외주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밀착의 강도가 강해서 탈착시 필터상면 또는 필터하면의 일부가 손상이 되어도 문제가 없다. 이 경우 손상된 필터상면 또는 필터하면은 최외각에 배치되는 부분이므로 나머지 부분에 의해서 사용자의 안면과 밀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A-A', B-B', C-C', D-D', E-E', F-F'의 예시 중 필터상면 및 필터하면의 외주변을 따라 배치된 결합부가 해당된다.When the first binding part and the second binding part ar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the filter lower surface, the strength of the adhesion is strong, so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if a part of the filter upper surface or the filter lower surface is damaged during detachment. In this case, since the damaged filter upper surface or filter lower surface is a part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it is possible to achieve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by the remaining parts. In this case, in the examples of A-A', B-B', C-C', D-D', E-E', and F-F', the coupling part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the filter lower surface corresponds to do.

상기 제1결착부 또는 제2결착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필터상면 또는 필터하면에는 주름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은 직선이 아닌 안면 윤곽선, 특히 턱 윤곽선을 따르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Wrinkles may be formed in advance on the filter upper surface or the filter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binding part or the second binding part. The wrinkle may be in the form of a curve along the facial contour, in particular the chin contour, rather than a straight line.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이 배치될 수 있는 최대 상하 범위는 콧망울(tip-defining points) 이상부터 nasal bone 하단부까지이다.The maximum upper and lower ranges in which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 614 , 1114 , 1614 , and 2114 can be disposed are from the tip-defining points or more to the lower end of the nasal bone.

도 22 내지 24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가 배치될 수 있는 안면을 나타내는 해부학적 모식도로서 도 22에 nasal bone이 기재되어 있으며 콧망울은 통상적으로 언급되는 콧망울을 말한다.22 to 24 are anatomical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fac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compression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osed, the nasal bone is described in FIG.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체프레임(123, 623)은 상기 필터본체(112, 612)의 상면 외주변과 결합하는 지지체프레임상면(124, 624); 상기 필터본체(112, 612)의 측면 외주변과 결합하는 지지체프레임측면(126, 626);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날개(128, 628)는 상기 지지체프레임측면(126, 626)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프레임(123, 623)은 지지체프레임상면(124, 624)이 없고, 상기 필터본체(112, 612)의 측면 외주변과 결합하는 개별의 지지체프레임측면(126, 626);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날개(128, 628)는 상기 지지체프레임측면(126, 626)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프레임상면이 없는 지지체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support frame (123, 62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24, 624)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12, 612); and support frame side surfaces (126, 626)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lter body (112, 612), and the support wings (128, 628) are fixed to the support frame side surfaces (126, 626). The support frame (123, 623) has no upper surface (124, 624) of the support frame, and individual support frame side surfaces (126, 626) coupl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of the filter body (112, 612); The support wings 128 and 628 may be fixed to the side surfaces 126 and 626 of the support frame. The support body withou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is applicable to all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상기 지지체날개(128, 628, 1128, 1628, 2128)는 상기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에 끼움, 걸림, 접착, 점착, 자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부가되며, 상기 부가수단의 구체적인 예는 지지체고정홀(129, 1129, 1629, 2129) 또는 지지체고정핀(629)이다.The support wing (128, 628, 1128, 1628, 2128) is fitted to the fixing part (300, 800, 1300, 1800, 2300), which can be coupled by at least one of the means of fitting, hooking, adhesion, adhesion, and magnetic force. A fixing means is added,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additional means are the support fixing holes 129 , 1129 , 1629 , 2129 or the support fixing pins 629 .

지지체고정홀(129, 1129, 1629, 2129)은 각각 고정핀고정홈(318, 1318, 1818, 2318)에 끼워지고, 고정부덮개(320, 1320, 1820, 2320)에 마련된 고정핀(319, 1319, 1819, 2319)이 고정핀고정홈(318, 1318, 1818, 2318)과 결합함으로써 필터부가 고정부와 고정된다. 제1실시예에서 지지체날개(128)에 사각형 홈이 마련되었으나 이는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고정부덮개(320)의 결착부(322)가 결착홈(321)에 결합할 때 걸리지 않게 홈을 마련한 것이다.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서 고정하는 방식이 끼움 방식으로 예시가 되었으나, 이는 자석이나 다른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The support fixing holes (129, 1129, 1629, 2129) are fitted in the fixing pin fixing grooves (318, 1318, 1818, 2318), respectively, and the fixing pins 319 provided in the fixing part covers (320, 1320, 1820, 2320), 1319 , 1819 , 2319 are coupled to the fixing pin fixing grooves 318 , 1318 , 1818 , and 2318 so that the filter unit is fixed to the fix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a rectangular groove is provided in the support wing 128, but this is not for fixing the position, and the fixing part 322 of the fixing part cover 320 is a groove so as not to be caught when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21. will be prepared 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the fixing method is exemplified as a fitting method, but this can be changed to a magnet or other method.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220, 720, 1220, 1720, 222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20, 720, 1220, 1720, 2220)은 반원형의 띠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상면(222, 722, 1222, 1722, 2222); 상기 프레임상면(222, 722, 1222, 1722, 2222)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에 결합하는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를 포함한다.The frame part 200, 700, 1200, 1700, 2200 includes a frame 220, 720, 1220, 1720, 2220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mouth; and the frame 220, 720, 1220, 1720, and 2220 are frame upper surfaces 222, 722, 1222, 1722, 2222 that ar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mouth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band; Frame protrusions (226, 726, 1226, 1726, 2226)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22, 722, 1222, 1722, 2222)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upper hole (312, 812, 1312, 1812, 2312); include

다른 고정방식으로는 제2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고정부덮개가 없이 지지체날개(628)가 바로 고정부(8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는 지지체날개(628)에 마련된 지지체고정핀(629)이 고정부의 고정부고정홈(819)에 결합된다.As another fixing method, the support wing 628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800 without a separate fixing part cov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upport fixing pin 629 provided on the support wing 628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fixing groove 819 of the fixing part.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가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에 결합하는 방식은 끼움 방식이 예시로 제시되었으나, 끼워지거나 결합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나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에 단차를 두거나 걸림부를 마련할 수 있다. 끼워지거나 결합하는 깊이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이 본원발명에서 한정하는 고정부위에 위치하여 본원발명에서 목적하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The frame protrusion (226, 726, 1226, 1726, 2226)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upper hole (312, 812, 1312, 1812, 2312)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fitting method, but to adjust the depth of fitting or coupling To this end, a step or a locking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rame protrusions 226, 726, 1226, 1726, 2226 or the fixing part upper holes 312, 812, 1312, 1812, 2312. By adjusting the insertion or coupling depth by the user, the fixing surfaces 317, 817, 1317, 1817, and 2317 are positioned at the fixing sit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결합하는 깊이가 고정되었지만 다른 결합 깊이를 갖는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pth of coupling is fixed, there is also a method of replacing the fixing unit body (310, 810, 1310, 1810, 2310) having a different coupling depth.

상기 프레임(220, 720)은 상기 프레임상면(222, 722)에서 하향 연장되어 고정부하부홀(314, 814)에 결합하는 프레임측면(224, 724);이 부가된다.The frames 220 and 720 extend downward from the frame upper surfaces 222 and 722 and frame side surfaces 224 and 724 coupled to the fixed load hole 314 and 814; is added.

상기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는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 상부에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와 결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 상기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의 반대면으로서 지지체날개(128, 628, 1128, 1628, 2128)가 삽입되거나 고정되는 날개안착부(316, 816, 1316, 1816, 2316);를 포함한다.The fixing part 300, 800, 1300, 1800, 2300 includes a fixing part main body 310, 810, 1310, 1810, 2310, and the fixing part main body 310, 810, 1310, 1810, 2310 is a user A fixed surface (317, 817, 1317, 1817, 2317)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Fixing part upper hole (312, 812, 1312, 1812, 2312) provided with a groove that can be coupled to the frame protrusion (226, 726, 1226, 1726, 2226) on the upper portion; A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xing surface 317, 817, 1317, 1817, 2317, the support wings 128, 628, 1128, 1628, 2128 are inserted or fixed wing seating parts 316, 816, 1316, 1816, 2316) includes ;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와 상기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은 결합 위치가 가변되거나, 상기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와 결합하는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의 결합위치가 다른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로 교체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oupling positions of the frame protrusions 226, 726, 1226, 1726, 2226 and the fixing part upper holes 312, 812, 1312, 1812, 2312 are variable, or the frame protrusions 226, 726 , 1226, 1726, 2226)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xing part upper hole (312, 812, 1312, 1812, 2312) coupled to the other fixing part body (310, 810, 1310, 1810, 2310) can be replaced with.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는 수지, 고무, 가죽, 금속, 나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조건으로는 탄성력이 있고, 피부와 접촉할 경우 문제가 없으며, 마찰력을 갖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열전도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의 일측면은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으로서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제1고정부위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위이므로 마찰력이 높고 인체에 대한 반응성이 낮은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The fixing body 310 , 810 , 1310 , 1810 , and 23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in, rubber, leather, metal, and wood. A preferred condition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no problem when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material having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is light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 One side of the fixing unit body (310, 810, 1310, 1810, 2310) is a fixing surface (317, 817, 1317, 1817, 2317) as a part that serves to fix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irst fixing part. A silicone rubber having high frictional force and low reactivity to the human body is preferable.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과 관련하여 고정면의 형태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어느 형태도 가능하나, 주변부가 돌출되고 이 형태가 'C' 또는 꺾쇠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이 피부를 압박할 때 상기 돌출된 주변부가 피부를 더 압박하고 상대적으로 눌리지 않는 피부가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의 중심부로 돌출되어 마스크가 안면의 앞쪽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relation to the fixing surfaces 317, 817, 1317, 1817, and 2317, the shape of the fixing surface may be either polygonal or circular, but the periphery protrudes and this shape is preferably a 'C' or an angle bracket. This is because when the fixing surfaces 317, 817, 1317, 1817, 2317 press the skin, the protruding periphery further presses the skin, and the relatively uncompressed skin is the fixing surface 317, 817, 1317, 1817, 2317. This is because it protrudes to the center and prevents the mask from moving or rotating in front of the face.

상기 고정부(300, 800)는 하부에 프레임측면(224, 724)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고정부하부홀(314, 814);이 부가될 수 있다.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와 프레임(220, 720, 1220, 1720, 2220)이 하나의 결합부를 형성하거나 2개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하는 마스크의 무게 또는 형태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하다.The fixing parts 300 and 800 have fixed load lower holes 314 and 814 provided with grooves to which the frame side surfaces 224 and 724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may be added. The fixing parts 300 , 800 , 1300 , 1800 , 2300 and the frames 220 , 720 , 1220 , 1720 , 2220 form one coupling part or two coupling parts are deformed depending on the weight or shape of the mask to be used. This is possible.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4, 5, 6은 프레임부(1700, 2200)를 고정부(1800, 2300)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결합부(1730, 2230)가 별도로 구비된다. 프레임부(1700, 2200)가 고정부(1800, 2300)에 끼워서 결합된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서 2개의 부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부결합부(1730, 2230)가 각각 좌, 우에서 이들을 결합한다.In Examples 4, 5, and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portion coupling portions 1730 and 2230 for coupling the frame portions 1700 and 2200 with the fixing portions 1800 and 2300 are separately provided. After the frame parts 1700 and 2200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s 1800 and 2300, the fixing part coupling parts 1730 and 2230 consisting of two parts combine them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n order to fix them.

도 41은 상기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에는 고정부(300, 800, 1300, 1800, 2300)의 예시로서 곡면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다각형 형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4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을 나타낸 것이다.41 shows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fixing parts 300 , 800 , 1300 , 1800 and 2300 . Although the curved shape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fixing parts 300, 800, 1300, 1800, and 2300 in FIG. 41, the polygonal shape is also deformable.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41 represents the fixing part upper holes 312 , 812 , 1312 , 1812 , and 2312 .

고정부(300, 1300, 1800, 2300)는 상기 고정부본체(310, 1310, 1810, 2310)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날개안착부(316, 1316, 1816, 2316)에 삽입된 상기 지지체날개(128, 1128, 1628, 2128)를 고정하는 고정부덮개(320, 1320, 1820, 2320)가 부가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제3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서는 고정부덮개(320, 1320, 1820, 2320)가 고정부본체(310, 1310, 1810, 2310)와 고정되나,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체날개(628)가 고정부본체(810)와 고정된다.The fixing parts 300, 1300, 1800, 2300 cover the side surfaces of the fixing part main body 310, 1310, 1810, 2310 and the support wing inserted into the wing seating parts 316, 1316, 1816, 2316 ( 128, 1128, 1628, and 2128 fixing part covers for fixing (320, 1320, 1820, 2320) may be add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to the sixth embodiment, the fixing part cover (320, 1320, 1820, 2320) is fixed with the fixing part body (310, 1310, 1810, 2310),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upport body The wing 628 is fixed to the fixing unit body 810 .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추가적으로 고정부본체(1810, 2310)와 고정부덮개(1820, 23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핀(1811, 2311) 및 고정부홈(1813, 2313)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핀(1811, 2311) 및 고정부홈(1813, 2313)에 의해서 고정되고 반대면만 열리는 조개와 같은 열림 방식에 의해서 필터부(1600, 2100)가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additionally include fixing part pins 1811 and 2311 and fixing part grooves 1813 and 2313 for fixing the fixing part main bodies 1810 and 2310 and the fixing part covers 1820 and 2320.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is fixed by the fixing part pins 1811 and 2311 and the fixing part grooves 1813 and 2313, and the filter parts 1600 and 2100 are inserted and fixed by an opening method such as a clam that only opens on the opposite side. .

또한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만 기재되어 있지만, 고정부(1800, 2300)는 고정부자석(1815, 2315)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are described, the fixing parts 1800 and 23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fixing part magnets 1815 and 2315.

상기 고정부덮개(320, 1320, 1820, 2320)가 상기 고정부본체(310, 1310, 1810, 2310)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날개안착부(316, 1316)에 삽입된 상기 지지체날개(128, 1128)를 고정하는 방식은 끼움, 걸림, 접착, 점착, 자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한다.The fixing part cover (320, 1320, 1820, 2320) while covering the side of the fixing part main body (310, 1310, 1810, 2310), the support wing (128, 1128) is fixed by at least one of fitting, hooking, adhesion, adhesion, and magnetic force.

추가적으로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에 고정면을 넓혀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날개 지지부가 부가될 수 있다. 날개 지지부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에 연결되어 고정면을 늘리는 효과가 있어 더욱 더 안정된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wing support parts may be added to the fixing body (310, 810, 1310, 1810, 2310) to widen the fixing surfa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ng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body (310, 810, 1310, 1810, 2310)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ixing surface, so that more stable fixing force can be ensured.

상기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면(317, 817, 1317, 1817, 2317)은 고정부본체(310, 810, 1310, 1810, 2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재질로서 부가된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모두 피부와 접촉하는 점을 고려하여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서 접착력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The fixing surfaces 317 , 817 , 1317 , 1817 , and 2317 may include an elastic body including silicon. The fixing surfaces 317, 817, 1317, 1817, 231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body 310, 810, 1310, 1810, 2310,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material and in an added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kin, it should be a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an guarantee adhesion.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무게가 무거운 마스크 또는 진동이 심하거나 움직임이 심한 경우에는 추가의 고정력을 부가하기 위해서 코; 턱; 귀; 유양 골(mastoid bone); 목 뒤; parietal bone 또는 occipital bone의 두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보조고정부위를 이용한 보조고정부재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재를 활용하여 더욱 더 안정적인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다. 다만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고정력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조고정부재 또한 강한 압박을 요구하지 않는다.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in order to add an additional fixing force to the heavy mask or the case of severe vibration or movement, the nose; chin; ear; mastoid bone; back of the neck; head of parietal or occipital bone; An auxiliary fixing member using an auxiliary fixing portion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dded. A more stable fixing force can be ensured by using the auxiliary fixing member.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asically high fixing force, the auxiliary fixing member also does not require strong pressure.

상기 프레임부(200, 700, 1200, 1700, 2200)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220, 720, 1220, 1720, 2220) 및 상기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20, 720, 1220, 1720, 2220)은 반원형의 띠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상면(222, 722, 1222, 1722, 2222) 및 상기 프레임상면(222, 722, 1222, 1722, 2222)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상부홀(312, 812, 1312, 1812, 2312)에 결합하는 프레임돌출부(226, 726, 1226, 1726, 2226)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는 상기 프레임상면(222, 722, 1222, 1722, 2222)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의 윗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사용자의 코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시킨다.The frame parts 200, 700, 1200, 1700, and 2200 are the frames 220, 720, 1220, 1720, 2220 and the covers 210, 710, 1210, 1710,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2210), and the frames 220, 720, 1220, 1720, and 2220 are frame upper surfaces 222, 722, 1222, 1722, 2222, which ar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mouth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band, and It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22, 722, 1222, 1722, 2222) and includes frame protrusions (226, 726, 1226, 1726, 2226) coupled to the fixing part upper holes (312, 812, 1312, 1812, 2312). and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is coupled to the frame upper surface (222, 722, 1222, 1722, 222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is disposed and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to bring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and surrounding skin.

종래의 마스크는 코 주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직포 형태의 마스크의 외주변을 따라 금속 재질을 삽입하고 상기 금속재질을 사용자가 자신의 코 주변부와 밀착하도록 변형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말을 하거나 고개를 움직이거나 얼굴 근육이 움직일 때 쉽게 누설이 되는 단점이 있으며, 그때마다 사용자가 다시 피팅을 해야 한다.In the conventional mask, a metal material is inser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sk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to prevent leakage around the nose, and the metal material is deformed so that the user can closely contact the periphery of the nose.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easily leaking when talking, moving the head, or moving facial muscles, and the user has to re-fit each time.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크를 쓸 때 입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서 안경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쉽게 경험할 수 있다.Nevertheless, when wearing a mask, you can easily experience water droplets forming on your glasses due to the air expelled through your mouth.

본원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210, 710, 1210, 1710, 2210)가 마스크의 필터(110, 610, 1100, 1600, 2100), 특히 코와 그 주변부에 배치되는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필터상면의 외부에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상기 사용자의 코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시킨다. 이러한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의 외부에 배치된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는 사용자가 일차적으로 위치를 피팅하여 착용할 경우 말을 하거나 고개를 움직이거나 얼굴 근육이 움직일 때도 누설이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filter (110, 610, 1100, 1600, 2100) of the mask, in particular the nose and its periphery By pressing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to b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and the skin around the user's nose.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is when the user wears it by first fitting the position, talking or moving the head or It has the advantage of not leaking even when the facial muscles are moving.

덮개(210, 710, 1210, 1710, 2210)는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 상기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의 외주변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상면(222, 722, 1222, 1722, 2222)과 결합하는 덮개고정틀(212, 712, 1212, 1712, 2212);을 포함한다.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와 덮개고정틀(212, 712, 1212, 1712, 2212)은 하나의 재질로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결합할 수 있다.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는 실질적으로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눌러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이 상기 사용자의 코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하도록 하는바, 탄성력이 있어야 되며 동시에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압박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가 요구된다.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 중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재질을 두껍게 하거나 보강부를 부가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is a cover upper surface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A cover fixing frame 212, 712, 1212, 1712, which is fix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and is coupled to the frame upper surface 222, 722, 1222, 1722, 2222, 2212); The upper cover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and the cover fixing frame (212, 712, 1212, 1712, 2212) can be integrally molded as a single material, and can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and combined. The top cover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substantially presses the filter top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so that the filter top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is the user's nose.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skin, it must have elasticity and at the same time, strength enough to press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2114 is required. Among the top cover covers (216, 716, 1216, 1716, 2216), the part that directly presses the filter top surface (114, 614, 1114, 1614, 2114) can increase the strength by making the material thicker than other parts or by adding a reinforcing part. there is.

덮개(1710)는 내부에 덮개를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립(1715)이 부가될 수 있다. 도 34의 하부에는 상기 덮개(1710)를 뒤집어서 내부를 도시하는 모식도가 부가되어 있다. 도 34에서는 립을 점선원 A하나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점선원 B, C에도 동일한 립(1715)이 부가된다. 점선원 A를 확대해 보면 립(1715)과 프레임고정틀(1716)의 안쪽면과 결합하는 부분에 프레임고정홈(1728)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간격 d를 가지는 프레임고정틀(1716)이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고정홈(1728)과 프레임고정틀(1716)은 끼워져서 고정이 되거나 단순히 지지만을 할 수 있다. 상기 립(1715)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부가하거나 위치가 변경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서 대응되는 프레임고정홈(1728)과 프레임고정틀(1716)도 변경된다.At least one lip 1715 for reinforcing the cover may be added to the cover 1710 therein.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1710 with the cover 1710 turned over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FIG. 34 . In FIG. 34, only one rib is shown by the dotted line circle A, but the same rib 1715 is added to the dotted line circles B and C. When the dotted line circle A is enlarged, the frame fixing groove 1728 is fitted in a portion where the lip 17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fixing frame 1716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rame fixing frame 1716 having an interval d to be fixed is provided. The frame fixing groove 1728 and the frame fixing frame 1716 may be fitted and fixed or simply supported. The number of the ribs 1715 can be added or their positions can be changed as needed, and the corresponding frame fixing groove 1728 and frame fixing frame 1716 are also changed accordingly.

도 34의 프레임(1720)은 3개의 프레임고정홈(1728)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각각 점선원 A. B, C에 위치하는 간격 d를 가지는 프레임고정틀(1716)에 고정된다.The frame 1720 of FIG. 34 has three frame fixing grooves 1728, and these are fixed to the frame fixing frame 1716 having an interval d positioned at dotted circles A, B, and C, respectively.

상기 립(1715), 프레임고정틀(1716), 프레임고정홈(1728)은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5, 6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될 수 있다.The lip 1715 , the frame fixing frame 1716 , and the frame fixing groove 1728 may be equally applied to Examples 5 and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가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를 압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와 상기 덮개고정틀(212, 712, 1212, 1712, 2212)은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호 고정되는 위치도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는 해부학적으로는 고정된 위치이나 사용자별로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실질적인 위치가 변동이 되므로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의 위치 또한 사용자가 피팅을 할 수 있도록 가변적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안면 크기에 따라서 다른 크기의 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cover of the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must press the first pressing portion to the third pressing portion. To this end, the upper cover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and the cover fixing frame (212, 712, 1212, 1712, 2212) may be detachably fixed, the mutually fixed position may be variable. The first to third pressure portions are anatomically fixed, but the actual positions change when each user wears a mask. It can be variable to allow for fitting. Alternatively, a mask having a different siz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와 상기 덮개고정틀(212, 712, 1212, 1712, 2212)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은 다수의 구멍과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핀이 마련될 수 있거나, 벨크로 타입이 되거나 금속과 자석의 형태가 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a manner in which the upper cover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and the cover fixing frame (212, 712, 1212, 1712, 2212) are detachably fixed, a plurality of holes and pins to be fitted into the holes are provide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being in the form of a velcro type or in the form of metal and magnets.

덮개상면커버(216, 716, 1216, 1716, 2216)와 상기 덮개고정틀(212, 712, 1212, 1712, 2212)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cover (216, 716, 1216, 1716, 2216) and the cover fixing frame (212, 712, 1212, 1712, 2212) can also be integrally molded in other ways.

상기 덮개상면커버(216, 716)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상면커버(216, 716)가 상기 필터상면(114, 614)을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누름부(240, 740)가 별도로 부가될 있다.It is disposed inside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216, 716) and the pressing portion (240, 740) containing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216, 716) can press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may be added separately.

상기 누름부(240, 740)는 반드시 덮개상면커버(216, 716)의 내부에 있을 필요는 없고, 다만 상기 덮개상면커버(216, 716)가 필터상면(114, 614)을 압박할 있도록 배치되면 족하다. 상기 누름부(240, 740)는 프레임상면(222) 또는 덮개상면커버(716)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누름부(240, 740)의 말단에 배치된 누름결합부(242, 742)를 통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덮개상면커버(716)의 내측 양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740)의 일부인 누름결합부(242, 742)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주머니(715)가 부가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s 240 and 74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side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s 216 and 716, but if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s 216 and 716 are arranged to press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and 614, enough The pressing parts 240 and 740 may be fixed or supported by the frame upper surface 222 or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716 . It may be fixed or supported through the pressing coupling parts 242 and 742 disposed at the ends of the pressing parts 240 and 740 . A pocket 715 for supporting or fixing the pressing coupling portions 242 and 742 which is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740 may be ad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716 .

상기 덮개(210)와 상기 필터부(100)는 덮개고정틀노치(214)와 지지체노치(122)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The cover 210 and the filter unit 100 may be coupled by a cover fixing frame notch 214 and a support notch 122 .

다른 방식으로서 실시예 4, 5, 6의 경우와 같이 덮개고정홈(1713)과 필터고정홈(1613)이 동시에 필터고정노치(1615)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필터고정노치(2213)가 덮개고정홈(2113)에 끼워서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as in the case of Examples 4, 5, and 6, the cover fixing groove 1713 and the filter fixing groove 1613 are simultaneously fixed by the filter fixing notch 1615, or the filter fixing notch 2213 is the cover fixing groove (2113) can be coupled by inserting.

상기 누름부(240, 740)는 탄성있는 재질이 굴곡된 형태일 수 있으며, 누름부(240, 740)는 구체적으로 누름부접점(244, 744)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압박을 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s 240 and 740 may have a curved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pressing parts 240 and 740 may specifically press the pressing parts through contact points 244 and 744 .

상기 덮개(210, 710, 1210, 1710, 2210)가 압박하는 부위 또는 상기 누름부(240, 740)가 압박하는 부위가 점, 선, 또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압박하는 부위 자체도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210, 710, 1210, 1710, 2210)가 압박하는 부위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미세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or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240, 740) may be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or a plane, and also a portion to be pressed It may also be at least one or more. In addition,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fine protr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of the pressed portion.

또한, 덮개(210, 710, 1210, 1710, 2210) 또는 누름부(240, 740)의 실질적으로 힘을 부여하는 부분의 형태가 점, 선, 면, 또는 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210, 710, 1210, 1710, 2210) 또는 누름부(240, 740)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나, 결국 본원발명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압박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or the pressing portion (240, 740) of the shape of the portion that provides a substantially force may be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a surface, or a solid.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210, 710, 1210, 1710, 2210) or the pressing part (240, 740)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but in the end, in order to exhibi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art to the third pressing part At least one of them should be pressed.

한편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는 추가고정끈(2400)을 부가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추가고정끈(2400)은 각각 좌우에 부가되며, 2갈래의 양 끝단은 고정부(2300)에 고정된다. 추가고정끈(2400)은 내부 공간 및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1차고정핀(2410) 및 2차고정핀(2420)이 마련된다. 추가고정끈(2400)이 고정부(2300)에 고정되는 부위와 1차고정핀(2410) 사이의 공간에 귀를 걸 수 있다.Meanwhile,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additional fixing string 2400 is added. Additional fixing straps 2400 are add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two prongs are fixed to the fixing part 2300 . Additional fixing string 2400 is provided with a primary fixing pin 2410 and a secondary fixing pin 2420 that can adjust the internal space and length. An ear can be hung in the space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additional fixing string 24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2300 and the primary fixing pin 2410 .

도 42 내지 도 107은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 및 누름부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42 to 107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cover and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 중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과 덮개상면커버(1216, 1716, 2216) 또는 누름부(240, 740)에 의해서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을 압박하는 부위를 예시로 보여주고 있다. 도 42에 따른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은 회색으로 표시된 것이다. 짙은 회색은 필터상면(114, 614)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며 옅은 회색은 가려서 보이지 않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42 shows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2114) is shown as an example.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 614 , 1114 , 1614 , and 2114 according to FIG. 42 are displayed in gray. Dark gray indicate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and 614, and light gray indicates an invisible portion of the filter upper surface 114, 614.

도 42에서 안면 주변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는 검은색 실선은 마스크의 최외각을 나타낸다. 도 42에서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은 탄성이 있는 천이거나 필터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 중 콧방울의 외주부를 포함하는 부위(빨간색 또는 빗금선으로 표시)를 압박함으로써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이 피부와 밀착할 수 있게 한다. 도 42의 경우 코의 양쪽 콧방울 외주부를 압박함으로써 코의 연골부는 별다른 압박이 없이도 필터상면(114, 614, 1114, 1614, 2114)이 연신되거나 변형이 되어 코에 밀착할 수 있다.In FIG. 42 , a solid black line completely surrounding the face indicates the outermost part of the mask. In FIG. 42 ,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 614 , 1114 , 1614 , and 2114 may be elastic fabric or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by pressing the portion (indicated by red or hatched lines) inclu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nostrils among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614, 1114, 1614, and 2114. make it possible In the case of FIG. 42 , by compressing the outer periphery of both nostrils of the nose, the filter upper surfaces 114 , 614 , 1114 , 1614 , and 2114 can be stretched or deformed so that the cartilage part of the nos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without any special pressure.

도 43 내지 도 66은 누름부가 압박하는 부위가 점 또는 선 형태인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43 to 66 show in detail that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er is in the form of a dot or a line.

도 43 내지 도 54는 필터상면과 이를 압박하는 덮개 또는 누름부에 대한 것만을 도식화한 것이다. 회색으로 표시한 것은 본원발명에 따른 필터상면의 예시이다. 필터상면은 콧방울 및 그의 주변부를 덮거나(도 43 내지 45, 49 내지 51) 연골의 상단부 및 그의 주변부를 덮을 수(도 46 내지 48, 52 내지 54) 있다.43 to 54 are diagrams only for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cover or presser that presses it. Marked in gray is an exampl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may cover the nostrils and their periphery ( FIGS. 43 to 45 , 49 to 51 ) or cover the upper end of the cartilage and its periphery ( FIGS. 46 to 48 , 52 to 54 ).

도 43 내지 도 54에서 검은 점은 누름부 또는 덮개가 필터상면의 외면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서 필터상면을 압박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점선의 빨간색 원은 누름부 또는 덮개가 지지되거나 고정되는 부분(이하 '지지부')을 나타내고 있다. 중심에 검은색 선과 주변부에 붉은색 파형이 표시된 것은 압박하는 부분이 선의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도 42 또한 압박하는 부분이 선의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필터상면을 압박하는 검은 점은 탄성에 의해서 위치가 변동이 가능하다.In FIGS. 43 to 54, black dots indicate a portion in which the pressing part or the cover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toward the user's face. A dotted red circle indicates a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pporting part') in which the pressing part or the cover is supported or fixed. A black line in the center and a red waveform in the periphery indicate that the part to be compressed is in the form of a line. Fig. 42 also shows the shape of the line where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The position of the black dot that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can be changed by elasticity.

도 43 내지 도 54에서 예시로 제시하고 있는 덮개 또는 누름부는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로서 일단은 지지하는 부분에 의해서 고정되고 타단은 필터상면의 외면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해서 필터상면을 압박하고 있다. 상기 덮개 또는 누름부가 상기 필터상면을 압박하는 부위와 상기 덮개 또는 누름부가 고정되는 부위 사이가 직선 형태(도 43, 44, 46, 47, 50, 54)이거나 굴곡부(도 45, 48, 49, 51, 52)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가 1개이거나 여러 개(도 49, 51)도 가능하다.The cover or pressing part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S. 43 to 54 is in the form of a spring having elasticity, and one end is fixed by a supporting part and the other end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toward the user's face.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cover or presser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the portion to which the cover or presser is fixed is a straight line (FIGS. 43, 44, 46, 47, 50, 54) or a bent portion (FIGS. 45, 48, 49, 51) , 52) is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one or more bends ( FIGS. 49 and 51 ).

직선이거나 굴곡부를 갖는 형태는 덮개 또는 누름부가 압박하는 방향에 따라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덮개 또는 누름부가 필터상면의 외면에서 압박하는 방향은 사용자의 피부와 수직인 방향이거나(도 43, 44, 46, 48), 사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주름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주름과 수직인 방향(도 49)이거나, 사용자의 코 외주변을 따르는 방향(도 50)이거나, 사용자의 코 외주변의 내향 또는 외향 방향(도 44, 45, 51)이거나, 사용자의 코 주변 근육방향(도 47, 52)이거나, 상기 방향의 복합적인 조합(도 48, 53)일 수 있다.A shape having a straight line or a curved part can be changed in design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or presser press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skin (FIGS. 43, 44, 46, 48), in the direction of wrinkles formed on the user's face, or perpendicular to the wrinkles formed on the user's face direction (FIG. 49), a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er's nose (FIG. 50), an inward or outward direction (FIG. 44, 45, 51) of the user's outer periphery, or a muscle direction around the user's nose (FIG. 47) , 52), or a complex combination of the above directions ( FIGS. 48 and 53 ).

한편 고정부가 압박하는 상기 덮개부의 상대적인 위치는 고정되거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54에서 고정부가 압박하는 상기 덮개부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해서 고정부가 압박하는 부분의 검은 점은 고정부의 탄성에 의해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ver part pressed by the fixing part may or may not be fixed. 43 to 54 , the position of the black dot of the portion pressed by the fixing unit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pressed by the fixing unit may be change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fixing unit.

도 43 내지 45, 49 내지 51에서 덮개 또는 누름부가 압박하는 부위는 제1압박부, 제2압박부 또는 제3압박부에 해당하며, 도 46 내지 48, 52 내지 54는 제2압박부에 해당한다. 도 43 내지 도 44에서 덮개 또는 누름부는 코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3 내지 도 54의 예시에서 하나의 덮개 또는 누름부는 하나의 압박하는 부위가 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하나의 덮개 또는 누름부가 지지하는 부위에 고정되는 부위가 1개(도 43 내지 50, 52, 53)이거나 2개(도 51, 54)를 예시로 구성하였다.43 to 45 and 49 to 51 , 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or the presser corresponds to the first pressing unit, the second pressing unit, or the third pressing unit, and FIGS. 46 to 48 and 52 to 54 correspond to the second pressing unit do. 43 to 44 ,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is symmetrically disposed around the nose. In the example of FIGS. 43 to 54 , one cover or pressing part is configured in a dot shape with one pressing part. However, one (FIGS. 43 to 50, 52, 53) or two (FIG. 51, 54) parts are fixed to the part supported by one cover or the pressing part as an example.

도 55 내지 도 60은 도 43 내지 도 54의 구성에 더하여 코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덮개 또는 누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부가된 것이다. 다만 도 55 내지 도 57의 구성에 있어서도 탄성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중심부는 여전히 코를 직접적으로 압박하지 않는다. 이 경우 덮개 또는 누름부를 형성하는 스프링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다.Figures 55 to 60 ar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Figures 43 to 54,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cover or the pressing portion symmetrically arranged around the nose is added. However, even in the configuration of FIGS. 55 to 57, the elastic spring-shaped central part still does not directly press the nose. In this case, the spring forming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도 61 내지 도 66은 도 43 내지 도 54의 구성 중 지지하는 곳에 고정되는 부위가 2개 이상이며, 굴곡부가 2개 이상인 경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안면에 부착되는 장치의 형태 또는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61 내지 도 66의 다양한 형태 또한 하나의 몸체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61 to 66 show various embodiments for a case in which two or more parts are fixed to a supporting pla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FIGS. 43 to 54 and there are two or more bent parts. This structure can be changed in desig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evice attached to the face or the part to be pressed. The various shapes of FIGS. 61 to 66 may also be configured by deforming one body.

이러한 형태는 또한 지지부의 위치에 따라서도 변형이 가능하다. 지지부가 안면 근처에 형성이 된 경우라면 덮개 또는 누름부가 안면부를 따라서 배치될 것이며, 지지부가 안면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경우라면 덮개 또는 누름부는 안면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는 x, y, z축의 3축을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is shape is also deformabl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upport. If the support is formed near the face, the cover or press will be arranged along the face, and if the suppor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ace, the cover or press will be configured to move away from the face. As such, the spring-shaped elastic body can be variously deformed using the three axes of the x, y, and z axes.

도 67 내지 도 75는 덮개 또는 누름부가 압박하는 부위가 면 형태인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67 to 75 show in detail that 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or the pressing unit is in the form of a surface.

도 67 내지 75에서 내부가 검은색으로 채워진 도형은 본원발명에 따른 덮개 또는 누름부가 필터상면의 외면에서 압박하는 부분이 면의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도 67 내지 도 69는 연골 부분이 연결되지 않은 2개의 덮개 또는 누름부가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이며, 도 70 내지 72는 중간부가 연결된 것이다. 도 73 내지 도 75는 압박하는 부분이 점, 선, 면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다. 이러한 경우라도 덮개 또는 누름부를 이루는 재질을 탄성이 있는 금속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gures filled with black in FIGS. 67 to 75 indicate that the cover or pres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surface that is pr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67 to 69 show that the two covers or presses to which the cartilage is not connected are symmetrically arranged, and FIGS. 70 to 72 are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73 to 75 are cases in which the pressing part includes all points, lines, and surfaces. Even in this cas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metal.

도 76 내지 도 93은 덮개 또는 누름부 또는 추가누름부의 압박하는 부위가 면 형태이면서, 덮개 또는 누름부 또는 추가누름부의 형태가 입체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6 내지 도 93에서 검은색 면은 사용자의 안면 상부에서 하부를 내려도 보았을 때 덮개 또는 누름부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코 연골 주변부의 회색은 추가누름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추가누름부 또한 입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6 내지 도 93에서 한정하고 있는 덮개 또는 누름부는 폼의 탄성이 있는 입체로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거나 여러 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또는 누름부가 필터상면을 압박하는 부분도 면이지만, 상기 덮개 또는 누름부가 지지부에 고정되는 부분도 면이 된다.76 to 93 show a case in which the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or the additional pressing part is in the form of a plane, and the shape of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or the additional pressing part is three-dimensional. 76 to 93, the black side shows the side of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when view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user's face to the lower part. The gray color around the nasal cartilage indicates the additional pressing part, and the additional pressing part is also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cover or pressing part defined in FIGS. 76 to 93 is a three-dimensional form with elasticity, and may consist of one body or multiple bodies. A portion in which the cover or the presser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is also a surface, but the portion where the cover or the presser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is also a surface.

도 94 내지 도 96은 덮개 또는 누름부의 또 다른 입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덮개 또는 누름부가 폼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박하는 부위가 면 또는 미세돌기 형태이다. 지지부에 고정되는 부위는 면 형태로서 도 94 내지 도 96의 구성은 사용자의 안면에 부가되는 압박을 분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예시로 제시하고 있다.94 to 96 show another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and the cover or pressing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foam or silicone, and the pressing part is in the form of a surface or a fine protrusion. The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is in the form of a face, and the configuration of FIGS. 94 to 96 shows various forms capable of disper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face as an example.

도 97 내지 도 107은 덮개 또는 누름부 및/또는 상기 추가누름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면서 회전, 이동, 뒤틀림을 포함하는 운동이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덮개 또는 누름부의 비제한적인 예시의 구체적인 운동 형태로는 슬라이딩, 회전, 힌지 접힘 등 다양한 기계적 운동을 적용할 수 있다.97 to 107 show various examples of a form capable of movement including rotation, movement, and twisting while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and/or the additional pressing part are fixed to the support part. As a specific movement form of the non-limiting example of the cover or the pressing part, various mechanical movements such as sliding, rotation, and hinge folding may be applied.

도 105 내지 도 107의 실시예에서 폼, 에어캡, 실리콘, 스프링 등 형상이 변하는 물체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고 여기서 다시 덮개 또는 누름부를 연결해, 비기계적 운동을 적용하게 한 예시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S. 105 to 107, an object whose shape changes, such as a foam, air cap, silicone, or spring, is fixed to the support and a cover or a press is connected here again to apply a non-mechanical motion.

도 106 내지 도 107은 본원발명에 따른 마스크 중 제1-3고정부위 및 해당 고정부위를 압박하는 고정면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다.106 to 107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fixing parts 1-3 and the fixing surfaces for pressing the fixing parts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8내지 도 113에서 회색영역으로 표시된 부분은 고정면이 사용자의 안면을 압박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검은색 실선은 프레임의 예시로서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색영역으로 표시된 부위 위에도 프레임이 굴곡되어 프레임 자체가 안면을 직접 압박할 수 있다. 도면의 표기에는 프레임이 선으로만 표기가 되었으나, 이를 탄성이 있는 면으로 변경하는 것은 용이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하였다. 아울러 프레임이 굴곡되어 프레임 자체가 안면을 직접 압박할 수 있는 부분도 면으로 변경이 가능하다.In FIGS. 108 to 113, the gray area indicates a portion where the fixing surface presses on the user's face, and the black solid line is an example of the frame and indicates various embodiments of a fram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frame is bent even on the area indicated by the gray area, so that the frame itself can directly press the face. In the notation of the drawings, the frame is marked only with lines, but it is easy to change it to a surface with elasticity, so a specific example thereof is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frame is bent, the part where the frame itself can directly press the face can be changed to a surface.

도 108 내지 도 113에서는 안면의 단면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프레임은 안면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도면에 도시되는 않는 부분도 고정부재가 배치된다.In FIGS. 108 to 113, only the cross-section of the face is shown, but since the frame is in the form of enclosing the face, the fixing member is also arranged in a portion not shown in the drawings.

10, 20, 30, 40, 50, 60 : 마스크
100, 600, 1100, 1600, 2100 : 필터부
110, 610, 1110, 1610, 2110 : 필터
112, 612, 1112, 1612, 2112 : 필터본체
1613 : 필터고정홈
1615, 2213 : 필터고정노치
114, 614, 1114, 1614, 2114 : 필터상면
1616, 2116 : 필터하면
120, 620, 1120, 1620, 2120 : 지지체
122 : 지지체노치
123, 623 : 지지체프레임
124, 624 : 지지체프레임상면
126, 626 : 지지체프레임측면
128, 628, 1128, 1628, 2128 : 지지체날개
129, 1129, 1629, 2129 : 지지체고정홀
200, 700, 1200, 1700, 2200 : 프레임부
210, 710, 1210, 1710, 2210 : 덮개
212, 712, 1212, 1712, 2212 : 덮개고정틀
1713, 2113 : 덮개고정홈
1715 : 립
1716 : 프레임고정틀
214 : 덮개고정틀노치
216, 716, 1216, 1716, 2216 : 덮개상면커버
220, 720, 1220, 1720, 2220 : 프레임
222, 722, 1222, 1722, 2222 : 프레임상면
224, 724 : 프레임측면
226, 726, 1226, 1726, 2226 : 프레임돌출부
1728 : 프레임고정홈
1730, 2230 : 고정부결합부
1732. 2232 : 고정부결합부철
1734. 2234 : 고정부결합부요
240, 740 : 누름부
242, 742 : 누름부결합부
244, 744 : 누름부접점
300, 800, 1300, 1800, 2300 : 고정부
310, 810, 1310, 1810, 2310 : 고정부본체
1811, 2311 : 고정부핀
312, 812, 1312, 1812, 2312 : 고정부상부홀
1813, 2313 : 고정부홈
314, 814 : 고정부하부홀
1815, 2315 : 고정부자석
316, 816, 1316, 1816, 2316 : 날개안착부
317, 817, 1317, 1817, 2317 : 고정면
318, 1318, 1818, 2318 : 고정핀고정홈
319, 1319, 1819, 2319 : 고정핀
320, 1320, 1820, 2320 : 고정부덮개
321 결착홈
322 : 결착부
2400 : 추가고정끈
2410 : 1차고정핀
2420 : 2차고정핀
2430 : 마감부
629 : 지지체고정핀
715 : 주머니
819 : 고정부고정홈
A-A', B-B', C-C', D-D' : 제1결착부
E-E', F-F' : 제2결착부
10, 20, 30, 40, 50, 60 : Mask
100, 600, 1100, 1600, 2100: filter unit
110, 610, 1110, 1610, 2110: filter
112, 612, 1112, 1612, 2112: filter body
1613: filter fixing groove
1615, 2213: filter fixing notch
114, 614, 1114, 1614, 2114: filter top
1616, 2116: If you filter
120, 620, 1120, 1620, 2120: support
122: support notch
123, 623: support frame
124, 624: upper surface of support frame
126, 626: side of support frame
128, 628, 1128, 1628, 2128: support wing
129, 1129, 1629, 2129: support fixing hole
200, 700, 1200, 1700, 2200: Frame part
210, 710, 1210, 1710, 2210: cover
212, 712, 1212, 1712, 2212: cover fixing frame
1713, 2113: cover fixing groove
1715: Rip
1716: frame fixing frame
214: cover fixing frame notch
216, 716, 1216, 1716, 2216: cover top cover
220, 720, 1220, 1720, 2220: Frame
222, 722, 1222, 1722, 2222: Frame upper surface
224, 724: Frame side
226, 726, 1226, 1726, 2226: frame protrusion
1728: frame fixing groove
1730, 2230: fixing part coupling part
1732. 2232: fixed part coupling iron
1734. 2234: fixed part coupling part
240, 740: press part
242, 742: pressing part coupling part
244, 744: press contact
300, 800, 1300, 1800, 2300 : Fixed part
310, 810, 1310, 1810, 2310: fixed part body
1811, 2311: fixed part pin
312, 812, 1312, 1812, 2312: fixed part upper hole
1813, 2313: fixing part groove
314, 814: fixed load hole
1815, 2315: fixed sub-magnet
316, 816, 1316, 1816, 2316: Wing seating part
317, 817, 1317, 1817, 2317: fixed surface
318, 1318, 1818, 2318: fixing pin fixing groove
319, 1319, 1819, 2319: fixing pin
320, 1320, 1820, 2320: fixing part cover
321 locking groove
322: binding part
2400: additional fixing strap
2410: primary fixing pin
2420: secondary fixing pin
2430: closing part
629: support fixing pin
715 : pocket
819: fixing part fixing groove
A-A', B-B', C-C', DD': first binding part
E-E', FF': second binding part

Claims (44)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의 제1고정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1)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작은 어금니(premolar)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1고정부위;
2)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하선(parotid gland)을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의 두 갈래 중 앞쪽 섬유가 위치한 부위를 제외한 부위까지이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2고정부위;
3)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붓돌기(styloid process)를 포함하는 위치부터 상기 사용자의 저작근(muscles of mastication)의 교근(masseter muscle)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이며,
상기 교근(masseter muscle)에서 가장 돌출된 근복부(muscle belly)는 제외하는 것인 제1-3고정부위;
4)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의 이동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주(tragus)의 전단부부터 상기 사용자의 윗꼬리 올림근(zygomaticus major) 후면부를 압박하지 않는 부위까지를 포함하며,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의 이동 범위로 보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관자돌기(temporal process)를 포함하는 안면 하단 부위인 제1-4고정부위;
5)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temple), 턱뼈각(Angle of mandible), 아래턱뼈 아래모서리(inferior border of mandible)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영역인 제1-5고정부위
6)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내부인 제1-6고정부위로서,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상기 사용자의 턱뼈각(Angle of Mandible) 및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를 일면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은 시상축(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및 세로축(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을 가로 및 세로로 하며, 상기 턱뼈각(Angle of Mandible)부터 상기 광대돌기 (Zygomatic process)까지의 세로축 거리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제1-6고정부위;
7)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3,1), (4,1), (5,1), (-1, 2), (1,2), (2,2), (3,2), (-1,3), (1,3), (2,3), (-1,4), (1,4), (-1,5), (1,5), (2,5)인 제1-7고정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가로 및 세로를 5등분했을 때의 소정사각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으로서, 상기 5등분은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후면부터 전면에 따라서 상기 x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두상의 상면부터 하면에 따라서 상기 y가 1, 2, 3, 4, 5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후면부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 상면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정사각형의 상기 사용자 두상의 상면 및 후면 꼭지점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더 배치되는 상기 소정사각형은 x 및 y가 음의 값으로 지정되는 것인 마스크.
Filter unit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rea;
a frame part dispos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a fixing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frame part, coupling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and fixing at least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to the user's face by closely contact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irst fixing part;
In a mask comprising:
The first fixing portion is in the face of the user
1)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nclude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to the premolar of the user,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the lower portion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1-1 fixed site;
2) Among the two branches of the medial pterygoid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from the position including the user's parotid gland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It is up to the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anterior fibers are located,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the user's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the lower part of the fa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site;
3)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from a position including the styloid process of the user to the masseter muscle of the user's muscles of mastication.
When viewed as a movement range of the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it is a lower face region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The most protruding muscle belly (muscle belly) from the masseter muscle is to exclude the first 1-3 fixed position;
4)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agittal or anteroposterior axis, from the front end of the user's tragus to the area that does not compress the rear part of the user's zygomaticus major,
When viewed 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including the user's temporal process (temporal process) 1-4 fixation site;
5) The 1-5 fixation site, which is a triangular region having the user's temple, the angle of the mandible, and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as the vertices.
6) As the 1-6 fixing part, which is the inside of a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Here,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a square with the user's Angle of Mandible and Zygomatic process as one side, and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is the sagittal or sagittal axis.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longitudinal axis (longitudinal or craniocaudal axi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he longitudinal axis distance from the angle of the mandible to the zygomatic process is the length of one side. ;
7) The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1,-1), (1,-1), (2,-1), (3,-1), (4, -1), (-1,1), (1,1), (2,1), (3,1), (4,1), (5,1), (-1, 2), (1) ,2), (2,2), (3,2), (-1,3), (1,3), (2,3), (-1,4), (1,4), (- 1,5), (1,5), (2,5) of the 1-7 fixed sites;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of
Here, (x, y) based on the user's face is selec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a predetermined rectangle whe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quare based on the user's face are divided into 5 equal parts, and the 5 divisions are the user The x is designated as 1, 2, 3, 4, and 5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head of
In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x is designated as a negative value,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is specified in which y is a negative value,
The mask in which x and y are negative values of the predetermined rectangle further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rear vertices of the user's head of a square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2,1), (3,1), (4,1), (1,2), (2,2), (3,2), (1,3), (1,4), (1,5), (2,5), (1,-1), (-1,1)이고,
상기 제1-7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1,-1), (1,-1), (2,-1), (3,-1), (4,-1), (-1,1), (1,1), (2,1), (-1, 2), (1,2), (-1,3), (1,3)인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2,1), (3,1), (4,1), (1) ,2), (2,2), (3,2), (1,3), (1,4), (1,5), (2,5), (1,-1), (-1 , 1) and
The 1-7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1,-1), (1,-1), (2,-1), (3,- 1), (4,-1), (-1,1), (1,1), (2,1), (-1, 2), (1,2), (-1,3), ( 1,3) the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4,2), (1,3), (3,3), (4,3), (5,3), (1,4), (2,4), (3,4), (4,4), (5,4), (1,5), (2,5), (4,5), (5,5), (1,1), (1,-1), (-1,1)인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4,2), (1,3), (3,3), (4) ,3), (5,3), (1,4), (2,4), (3,4), (4,4), (5,4), (1,5), (2,5) ), (4,5), (5,5), (1,1),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1), (2,2), (1,3), (4,3), (5,3), (1,4), (2,4), (4,4), (5,4), (1,5), (2,5), (5,5), (1,1), (1,-1), (-1,1)인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1), (2,2), (1,3), (4,3), (5 ,3), (1,4), (2,4), (4,4), (5,4), (1,5), (2,5), (5,5), (1,1 ), (1,-1), (-1,1) mask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2,4), (1,5), (2,5), (1,1), (1,-1), (-1,1)인 마스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2,4), (1,5), (2) ,5), (1,1), (1,-1),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6고정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기준으로 한 (x, y)의 값이 (2,2), (1,3), (1,-1), (-1,1)인 마스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1-6 fixation part has a value of (x, y) based on the user's face (2,2), (1,3), (1,-1), (-1,1) Mask.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필터부의 일부인 필터상면을 상기 필터상면의 외면에서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이 사용자의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와 밀착되게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여기서 덮개는
1) 상기 필터상면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강 주름(nasolabial fold)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인 제1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거나,
2) 상기 필터상면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입술올림근(evator labii superioris) 또는 위입술콧방울올림근(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2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거나,
3) 상기 필터상면의 상기 사용자의 피부 반대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콧방울(alar crease)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인 제3압박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는 마스크.
Filter unit covering the user's nose and mouth area;
a frame part dispos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ame part, coupling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and fixing at least the filter part and the frame part to the user's face by closely adher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face;
In a mask comprising:
The frame part includes a cover that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which is a part of the filter uni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so that the filter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nose and the skin around it,
where the cover
1) By pressing the first pressure part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nasolabial fold region of the user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user's skin, the filter upper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2) The filter by compressing the second compression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vator labii superioris or evator labii superioris alaeque nasi,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user's skin. The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or
3) A mask for bringing the filter upper surfa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by pressing the third pressure part,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er's alar crease, on the filt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user's sk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스크를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시키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ver is a mask for supporting the mask on the user's face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with the user's skin.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덮는 필터;
상기 필터의 양측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 외주변 일부를 따라 고정되는 지지체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는 지지체날개를 포함하는 지지체;
를 포함하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filter unit
a filter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to cover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a support including support wing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lter or fixed to both sides of a support frame fixed along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in a detachable form;
A mask contain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필터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필터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상기 지지체프레임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인 마스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wing extends from the filter an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lter, or extends from the support frame an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fram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전체가 착탈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인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A mask that the entire filter unit is removable and replace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곡면 형태로 상기 사용자 안면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상부가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코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상면;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부 외주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향 이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필터본체의 하면이 절곡되어 상기 사용자 턱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주변부 피부를 덮는 필터하면;
을 포함하는 마스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lter is
a filter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face in a curved shape;
It is fix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is fixed downwardly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is ben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nose and its surrounding skin filter top surface covering;
It is fix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is fix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is b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jaw and the skin around it When the filter covers;
A mask contain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상면 및/또는 상기 필터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1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13.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first binding part fixed to the filter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or the filter lower surface, and the first binding part is a mask having a detachable coupling typ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상면 및/또는 상기 필터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본체와 고정되는 1개 이상의 제2결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결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인 마스크.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one second binding part fixed to the filter body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or the filter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binding part is a mask of a detachable coupling typ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이 가능한 결합 형태는 벨크로, 스냅 단추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마스크.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tachable coupling form is at least one mask from the group comprising a Velcro and a snap butt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상면이 배치될 수 있는 범위는 콧망울(tip-defining points) 내지 비골(nasal bone) 하단부인 마스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ange in which the filter upper surface can be arranged is the tip-defining points to the lower end of the nasal bo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프레임은
필터본체의 상부 외주변과 결합하는 지지체프레임상면;
필터본체의 측부 외주변과 결합하는 지지체프레임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지지체프레임측면에 고정되는 마스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frame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body;
a side of the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of the filter body;
including,
The support wing is a mask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프레임은
필터본체의 측부 외주변과 결합하는 개별의 지지체프레임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지지체프레임측면에 고정되는 마스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frame is
an individual support frame sid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of the filter body;
including,
The support wing is a mask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날개는
상기 고정부에 끼움, 걸림, 접착, 점착, 자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마스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wing is
A mask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xing part by at least one of fitting, hooking, adhesion, adhesion, and magnetic for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체고정홀 또는 지지체고정핀인 마스크.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xing means is a support fixing hole or a support fixing pin, the mask.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반원형의 띠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상면;
상기 프레임상면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상부홀에 결합하는 프레임돌출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rame disposed along the user's nose and mouth periphery;
The frame is a semicircular band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is arranged along the user's nose and mouth;
a frame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upper hole;
A mask containing.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상면에서 하항 연장되어 고정부하부홀에 결합하는 프레임측면;
이 부가된 마스크.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frame is
a side of the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fixed load hole;
This added mask.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고정면;
상부에 프레임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고정부상부홀;
상기 고정면의 반대면으로서 지지체날개가 삽입되거나 고정되는 날개안착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art body,
The fixing body is
A fixed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 fixing part upper hole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frame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a wing seating part into which a support wing is inserted or fixed a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xed surface;
A mask containing.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돌출부와 상기 고정부상부홀의 삽입 정도는 가변할 수 있는 마스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frame protrusion part and the fixing part upper hole may be varied.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돌출부와 분리되어 다른 고정부로 교체가 가능한 마스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x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frame protrusion, and the mask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fixing par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본체는
하부에 프레임측면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고정부하부홀;
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xing body is
a fixed load lower hole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frame sid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 mask that additionally includes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본체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날개안착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체날개를 고정하는 고정부덮개;
가 부가된 마스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xing part
a fixing part cover for fixing the support wing inserted into the wing seating part while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body;
Mask with added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덮개가 상기 고정부본체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날개안착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체날개를 고정하는 방식은 끼움, 걸림, 접착, 점착, 자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한 마스크.
28. The method of claim 27,
While the fixing part cover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main body, the method of fixing the support wing inserted into the wing seating part is a mask by at least one of fitting, hooking, adhesion, adhesion, and magnetic forc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본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날개 지지부가 부가된 마스크.
24. The method of claim 23,
A mask in which at least one wing support is added to the fixing unit body.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마스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xing surface is a mask including an elastic body containing silicon.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코; 턱; 귀; 유양 골(mastoid bone); 목 뒤; parietal bone 또는 occipital bone의 두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보조고정부위를 이용한 보조고정부재가 부가 된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sleep; chin; ear; mastoid bone; back of the neck; head of parietal or occipital bone; A mask to which an auxiliary fixing member is added using an auxiliary fixing member located in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반원형의 띠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코와 구강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상면 및 상기 프레임상면에서 연장되어 고정부상부홀에 결합하는 프레임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상면의 윗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상면을 압박하여 상기 필터상면을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시키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rame and the cov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The frame includes a frame upper surfac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ser's nose and oral cavity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band, and a frame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rame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upper hole,
The cov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pper surface, and presses the filter upper surface to bring the filter upper surfa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덮개상면커버;
상기 덮개상면커버의 외주변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상면과 결합하는 덮개고정틀;
을 포함하는 마스크.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cover is
cover top cover;
a cover fixing frame fix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mask containing.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상면커버와 상기 덮개고정틀은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호 고정되는 위치도 가변될 수 있는 마스크.
34. The method of claim 33,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and the cover fixing frame may be detachably fixed, and the mutually fixed position of the mask may be varied.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상면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상면커버가 상기 필터상면을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누름부;
가 부가된 마스크.
34. The method of claim 33,
a press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cover upper surface cover can press the filter upper surface;
Mask with added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프레임상면 또는 덮개상면커버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되는 마스크.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mask is fixed or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cover.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상면커버의 내측 양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일부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주머니가 부가되는 마스크.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mask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of the cover to support or fix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ask is add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상기 필터부는 덮개고정틀노치와 지지체노치에 의해서 결합하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A mask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filter unit by a cover fixing frame notch and a support notch.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탄성있는 재질이 굴곡된 형태인 마스크.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pressing part is a mask in which an elastic material is b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부위가 점, 선, 또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인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A mask in which 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is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or a pla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방향은 사용자의 피부와 수직인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주름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주름과 수직인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코 외주변을 따르는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코 외주변의 내향 또는 외향 방향이거나, 사용자의 코 주변 근육방향이거나, 상기 방향의 복합적인 조합일 수 있는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pressed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ser's skin, a wrinkle direction formed on the user's fac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wrinkle formed on the user's face, a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er's nose, or the user's nose A mask that may be in an inward or outward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y, a muscle direction around the user's nose, or a complex combination of the above direc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부위가 적어도 1개 이상인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A mask in which at least one portion is compressed by the co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압박하는 부위가 미세 돌기 형태로 구성된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A mask in which the portion pressed by the cover is in the form of a fine protrusion.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 형태가 점, 선, 면, 또는 입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인 마스크.
36. The method of claim 35,
A mask in which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is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a surface, or a three-dimensional shape.
KR1020210018511A 2020-08-09 2021-02-09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KR102389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1770 WO2022035005A1 (en) 2020-08-09 2021-02-10 Filter replaceable mask including side fixing member and nose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560 2020-08-09
KR20200099560 2020-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219A true KR20220019219A (en) 2022-02-16
KR102389024B1 KR102389024B1 (en) 2022-04-22

Family

ID=8047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511A KR102389024B1 (en) 2020-08-09 2021-02-09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024B1 (en)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566A (en) * 1999-06-21 2001-01-09 Kiyoshi Takamoto Face mask
JP2004267692A (en) 2003-03-04 2004-09-30 Suzuko Sato Face mask having sheet form for corresponding to three dimensional shape, and method of drafting the mask
JP2004329951A (en) * 2003-04-16 2004-11-25 Chizuko Sakaguchi Multiple-purpose mask which does not come into tight contact with nose and mouth
JP2011000430A (en) 2009-05-21 2011-01-06 Haruo Watanabe Perfect protection mask
KR20110009652A (en) 2008-05-16 2011-01-28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Extract produced from orchid family pl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epar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comprising extract produced from orchid family plant
JP4799884B2 (en) 2005-03-11 2011-10-26 恩翔株式会社 Body relax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tool
JP2013188281A (en) * 2012-03-13 2013-09-26 Mitsuaki Kamiyama Mask-auxiliary member, mask and insertion member
KR20150085470A (en) * 2014-01-15 2015-07-23 밍-쳉 왕 Protection Mask
JP3205181U (en) * 2016-04-27 2016-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mask
KR20170000048A (en) 2015-06-22 2017-01-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terilizer
KR20170072094A (en) 2015-12-16 2017-06-26 안철 A filter mask
CN106963001A (en) * 2017-05-09 2017-07-21 南京正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al gauze mask
KR101773856B1 (en) 2015-06-24 2017-09-01 임욱 Mask
JP2018145570A (en)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ボックス Mask cover
JP2019030698A (en) 2011-10-31 2019-02-28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Interface comprising nasal sealing portion
KR20190032897A (en) 2017-09-20 2019-03-28 박태준 Hanji mask
KR101954022B1 (en) 2018-06-21 2019-05-22 방병주 Neck warmer with function of seal for blocking fine dust
KR102012157B1 (en) 2019-04-16 2019-08-19 김강권 Adhesive type mask with elasticity band
JP3222972U (en) 2016-09-12 2019-09-12 宣徳醫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Protective mask with nose pad
KR200490095Y1 (en) 2018-06-07 2019-09-24 방기태 Wearable mask
KR101997813B1 (en) * 2018-02-22 2019-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n electronic powered air purificationrespirator
KR20200033495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Mask having fan
KR20200080112A (en)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181B2 (en) * 1994-07-11 2001-09-0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Grafted seedling produc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566A (en) * 1999-06-21 2001-01-09 Kiyoshi Takamoto Face mask
JP2004267692A (en) 2003-03-04 2004-09-30 Suzuko Sato Face mask having sheet form for corresponding to three dimensional shape, and method of drafting the mask
JP2004329951A (en) * 2003-04-16 2004-11-25 Chizuko Sakaguchi Multiple-purpose mask which does not come into tight contact with nose and mouth
JP4799884B2 (en) 2005-03-11 2011-10-26 恩翔株式会社 Body relax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tool
KR20110009652A (en) 2008-05-16 2011-01-28 가부시키가이샤 니찌레이 바이오사이언스 Extract produced from orchid family pl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epar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comprising extract produced from orchid family plant
JP2011000430A (en) 2009-05-21 2011-01-06 Haruo Watanabe Perfect protection mask
JP2019030698A (en) 2011-10-31 2019-02-28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Interface comprising nasal sealing portion
JP2013188281A (en) * 2012-03-13 2013-09-26 Mitsuaki Kamiyama Mask-auxiliary member, mask and insertion member
KR20150085470A (en) * 2014-01-15 2015-07-23 밍-쳉 왕 Protection Mask
KR20170000048A (en) 2015-06-22 2017-01-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terilizer
KR101773856B1 (en) 2015-06-24 2017-09-01 임욱 Mask
KR20170072094A (en) 2015-12-16 2017-06-26 안철 A filter mask
JP3205181U (en) * 2016-04-27 2016-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mask
JP3222972U (en) 2016-09-12 2019-09-12 宣徳醫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Protective mask with nose pad
JP2018145570A (en)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ボックス Mask cover
CN106963001A (en) * 2017-05-09 2017-07-21 南京正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al gauze mask
KR20190032897A (en) 2017-09-20 2019-03-28 박태준 Hanji mask
KR101997813B1 (en) * 2018-02-22 2019-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n electronic powered air purificationrespirator
KR200490095Y1 (en) 2018-06-07 2019-09-24 방기태 Wearable mask
KR101954022B1 (en) 2018-06-21 2019-05-22 방병주 Neck warmer with function of seal for blocking fine dust
KR20200033495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휴먼퍼스트 Mask having fan
KR20200080112A (en)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KR102012157B1 (en) 2019-04-16 2019-08-19 김강권 Adhesive type mask with elasticity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024B1 (en)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57435A1 (en) Smartmask for health management service
CN101249293B (en) Breathing mask conforming to human body engineering science design and design method thereof
US10966471B1 (en) Soft silicon edged cushion for face masks
EP4176939A1 (en) Mask comprising side fixing parts
WO2021189114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230152594A1 (en)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2389024B1 (en) Filter replaceable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nose cover
KR102389015B1 (e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KR102562912B1 (en) UV protection mask comprising side anker part and pressing part
JP2022188109A (en) Positioning, stabiliz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7493677B2 (en) Mask with side fixings
KR102389033B1 (en) a face mounted device
CN209044190U (en) A kind of VR glasses of safety and comfort
CN111317210A (en) Face support for preventing damage caused by wearing mask and eyeshad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389025B1 (en) nose fitting modulator
KR20230120912A (en) Mask comprising control unit
CN202218622U (en) Disposable mask
KR102602453B1 (en) Mask comprising pocket unit
CN220473782U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WO2020196633A1 (en) Mask
JP4886088B1 (en) Moisturizing mask
CN209542982U (en) Lightweight goggles
CN2188935Y (en) Eye mask for improving vision function of weak vision person
JP2022121347A (en) Spectacle-type variable mask sheet for childcare, eating and drinking, exercise, medical care and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