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8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82A
KR20220018182A KR1020200098366A KR20200098366A KR20220018182A KR 20220018182 A KR20220018182 A KR 20220018182A KR 1020200098366 A KR1020200098366 A KR 1020200098366A KR 20200098366 A KR20200098366 A KR 20200098366A KR 20220018182 A KR20220018182 A KR 2022001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ld air
implantation
fluid inlet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배
최상복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182A/ko
Priority to EP21853844.5A priority patent/EP4194778A4/en
Priority to PCT/KR2021/009263 priority patent/WO2022030811A1/ko
Priority to US18/019,941 priority patent/US20230288125A1/en
Publication of KR2022001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폭과 안내유로 내의 유로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유체 입구부의 전방벽이 저부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유체 입구부와 안내유로 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결빙이 방지될 수 있고, 안내유로를 통과하여 유체 입구부 내로 흘러내린 제상수는 해당 부위에의 고임 없이 더욱 원활히 저부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착상 감지장치의 감지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착상 감지덕트의 유체 입구측 부위에 대한 구조를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보관 대상물을 장시간 혹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이 구비되면서 상기 냉기를 생성 및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내 공기(고내를 순환하는 냉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고내 공기를 설정 온도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증발기는 상기 고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도중 고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나 습기 혹은, 증발기 주변에 존재하는 습기로 인해 그의 표면에 성에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냉장고의 운전이 시작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성에의 제거를 위한 제상 운전이 수행되었다.
즉, 종래에는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성에의 양(착상량)을 직접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 시간을 토대로 한 간접적인 추정을 통해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상 운전이 수행됨에 따른 소비 효율의 저하나, 착상이 과도하게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제상 운전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한 제상 운전은 히터를 발열시켜 증발기 주변 온도를 높임으로써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고, 이렇게 제상 운전이 수행된 이후에는 고내가 빠르게 설정 온도에 이르도록 큰 부하로 운전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클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제상 운전을 위한 시간 혹은, 제상 운전 주기를 단축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증발기 표면의 착상량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증발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대한 온도차이 혹은, 압력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9-0101669호(선행기술 1), 공개특허 제10-2019-0106201호(선행기술 2), 공개특허 제10-2019-0106242호(선행기술 3), 공개특허 제10-2019-01112482호(선행기술 4), 공개특허 제10-2019-0112464호(선행기술 5)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전술된 기술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과는 별개의 유동을 갖도록 이루어진 안내유로(바이패스 유로)를 냉기 덕트에 형성하고, 증발기의 착상으로 상기 안내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차이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 차이를 측정하여 착상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실질적인 착상량의 확인이 가능하며, 이렇게 확인된 착상량을 기준으로 제상 운전의 시작 시점이 정확히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의 착상량에 대한 감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착상 감지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냉기열원의 착상전과 착상시에 크게 차이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량의 차이를 키우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선행기술 1의 경우 착상 감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센서의 위치, 제어부의 제어 방법, 안내유로(바이패스 유로)로부터 유체 입구부(배리어)를 돌출시키는 구조, 착상 감지덕트의 입구 및 출구 위치 등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선행기술 1에서 제시되고 있는 유체 입구부(배리어)의 돌출 구조는 해당 유체 입구부의 돌출 길이 및 슬롯의 길이를 단순한 수치로만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모델별로 덕트가 변경될 경우에는 사실상 동일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착상 감지시 착상 감지장치가 확인하는 온도의 차이는 적어도 30℃를 초과하여야만 착상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변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상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라 함은 착상의 감지뿐 아니라 착상 감지덕트의 막힘과, 제상후 잔빙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체 입구부의 배면인 증발기와의 대향면에 슬롯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슬롯은, 증발기에 착상이 존재할 경우 해당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안내유로 내에 역류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기술의 착상 감지장치는 기존 제공되는 냉장고의 유체 유로에의 적용을 고려한 설계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과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유체 유로에 적용할 경우(예컨대, 해당 유체 유로에 간섭물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착상 감지장치가 새로운 구조로 설계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체의 온/오프시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결빙을 측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여타의 물성치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결빙을 측정할 경우에는 오히려 안내유로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보다 많을 수록 유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은 물성치 확인 조건이 변경될 경우 이를 고려한 최적 형태의 착상 감지장치가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안내유로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목적이 달라지더라도 종래 기술은 그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들은 유로 커버에 형성되는 유체 입구부(배리어)가 안내유로(바이패스 유로) 내에 수용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체 입구부는 상하로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이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폭은 상기 안내유로 내의 유로 폭과 다를 수밖에 없고, 이러한 유로 폭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단턱 부위에 상기 안내유로 내를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예컨대, 제상수)가 고이면서 해당 유체 입구부 내부를 결빙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공개특허 제10-2019-0101669호 공개특허 제10-2019-0106201호 공개특허 제10-2019-0106242호 공개특허 제10-2019-01112482호 공개특허 제10-2019-011246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폭과 안내유로 내의 유로 폭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내유로를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이 고임없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결빙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유로의 구조나 유동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착상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출구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 입구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덕트 내를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이 상기 유체 입구부와의 결합 부위에서 머무르거나 맺히지 않고 곧장 유체 입구부의 저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안내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1덕트와 냉기열원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덕트로 유입되어 냉기열원으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안내유로 내로도 일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안내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2덕트와 저장실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안내유로를 통과한 유체는 제2덕트를 통해 저장실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물성치는 온도,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확인센서가 감지소자 및 감지 유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 유도체가 물성치의 측정시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감지 유도체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포함될 수 있고,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감지소자는 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의 유동량에 따른 온도 차이값(로직 온도)(ΔHt)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기열원이 열전모듈이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열전모듈이 열전소자 및 싱크(sink)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기열원이 증발기 및 냉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기열원이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기열원이 증발기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순환되게 동작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가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 내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가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로부터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부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착상 감지덕트 내를 흘러내린 유체가 상기 유체 입구부와의 연결 부위에 맺혀 결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전방측 벽면은 저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유체 입구부 내를 타고 흘러내린 유체가 이너케이스의 후방측 바닥면이 이루는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나 제2증발기 저부의 응축수 받이를 향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착상 감지덕트 내의 하측 끝단에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유체 입구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입구부가 정위치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안착홈의 깊이가 유체 입구부의 각 둘레측 벽면이 형성하는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와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가 일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1덕트가 제2덕트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저장실 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1덕트가 제2덕트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저장실 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체 입구부의 하측 끝단은 제1덕트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제1덕트의 바닥면보다 더욱 낮게 위치되면서 제1덕트의 저부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에 유동 저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를 이루는 유체 입구부의 하측 끝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면이 상기 제1덕트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밀착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밀착단이 제1덕트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의 저면이 제1덕트와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의 저면이 전후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폭과 안내유로 내의 유로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유로를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이 안내유로와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사이에 고이거나 맺힘없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고, 이로써 해당 부위에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의 전방벽이 저부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유로를 통과하여 유체 입구부 내로 흘러내린 제상수는 해당 부위에의 고임 없이 더욱 원활히 저부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경사는 이너케이스의 후방측 바닥면 중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나 응축수 받이가 형성된 부위를 향하기 때문에 상기 유체 입구부를 통과하여 흘러내린 제상수는 응축수 받이를 향해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상수가 저장실 내로 흘러 내림은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유체 입구부를 가지는 복수의 유로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 유로의 구조나 유동 목적에 따른 최적의 유체 입구부를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각 저장실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운전 기준값에 따라 수행되는 운전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 및 증발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 내의 제2저장실 후방측 공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팬덕트 조립체의 전방측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팬덕트 조립체의 후방측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팬덕트 조립체의 후방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팬덕트 조립체에서 유로커버 및 센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B”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 및 냉기열원의 설치 위치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팬덕트 조립체를 배면에서 본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팬덕트 조립체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팬덕트 조립체를 이루는 쉬라우드의 전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도 7의 “C”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착상 감지덕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착상 감지덕트의 안내유로와 유체 출구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덕트를 이루는 안내유로와 유체 출구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덕트를 이루는 유로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덕트를 이루는 유로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D”부 확대도
도 24는 도 22의 “E”부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커버의 제2결합부가 결합되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F”부 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G”부 확대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1은 도 30의 “H”부 확대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3은 도 32의 “I”부 확대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에 대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5은 도 34의 “J”부 확대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착상 감지덕트에 착상 확인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3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덕트에 착상 확인센서가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착상 감지운전시 제어부에 의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에 대한 착상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발열체의 온/오프 및 각 냉각팬의 온/오프에 따른 착상 감지덕트 내의 온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착상 감지장치를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별로 달리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착상 감지덕트 내를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이 유체 입구부와의 결합 부위에서 머무르거나 맺히지 않고 곧장 유체 입구부의 저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구조의 실시예 및 운전 제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케이스(11)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는 냉장고(1)의 고내 벽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inner-case)(11a) 및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1a)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제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이 서로 다른 온도 영역으로 저장물을 저장하는 두 개의 저장실이 포함됨을 그 예로 한다.
이러한 저장실은 제1설정 기준온도로 유지되는 제1저장실(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저장물이 결빙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서도 냉장고(1)의 외부 온도(실내 온도)에 비해서는 낮은 온도 범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32℃ 이하 0℃ 초과의 고내온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실내온도 혹은,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32℃에 비해 더욱 높거나 혹은, 0℃에 비해 같거나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저장실(12)의 고내온도가 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지정된 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저장실(12)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1운전 기준값으로 운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운전 기준값은 제1하한온도(NT-DIFF1)과 제1상한온도(NT+DIFF1)가 포함되는 온도 범위값이다.
즉, 제1저장실(12) 내의 고내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제1하한온도(NT-DIFF1)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중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고내온도가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제1상한온도(NT+DIFF1)에 이르기 전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제1저장실(12) 내부는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1저장실에 대한 제1운전 기준값을 고려하여 냉기가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된다.
이러한 설정 기준온도(NT)와 운전 기준값(DIFF)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제2설정 기준온도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1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규정된 온도가 사용된다.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저장물을 결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0℃ 이하 -24℃ 이상의 온도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실내 온도 혹은, 저장물의 종류 등에 따라) 0℃에 비해 더욱 높거나 혹은, -24℃에 비해 같거나 더욱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저장실(13)의 고내온도가 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지정된 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저장실(13)은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2운전 기준값으로 운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운전 기준값은 제2하한온도(NT-DIFF2)과 제2상한온도(NT+DIFF2)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저장실(13) 내의 고내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제2하한온도(NT-DIFF2)에 도달될 경우에는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중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내온도가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제2상한온도(NT+DIFF2)에 이르기 전에 냉기 공급을 위한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제2저장실(13) 내부는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2저장실에 대한 제1운전 기준값을 고려하여 냉기가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된다.
특히, 상기 제1운전 기준값은 제2운전 기준값에 비해 상한온도와 하한온도 간의 범위가 더욱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운전 기준값의 제1하한온도(NT-DIFF1)와 제1상한온도(NT+DIFF1)는 ±2.0℃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운전 기준값의 제2하한온도(NT-DIFF2)와 제2상한온도(NT+DIFF2)는 ±1.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저장실에는 유체가 순환되면서 각 저장실 내의 고내온도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는 공기가 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도 상기 저장실을 순환하는 유체가 공기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유체는 공기 이외의 기체가 될 수도 있다.
저장실 외부의 온도(실내온도)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온도센서(1a)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상기 고내온도는 제2온도센서(1b)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1a)와 제2온도센서(1b)는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실내온도와 고내온도는 동일한 하나의 온도센서로 측정되거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온도센서가 협력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온도센서(1b)의 경우 후술될 제2덕트(예컨대, 제2팬덕트 조립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2,13)에는 도어(12b,1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b,13b)는 저장실(12,13)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식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랍식의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2b,13b)는 하나 혹은, 그 이상 복수로 제공 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기열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기열원은 냉기를 생성하여 저장실에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냉기열원의 냉기를 생성하는 구조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기열원은 열전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모듈(23)의 흡열 반응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23)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흡열면(231)과 발열면(232)을 포함하는 열전소자(23a)와, 상기 흡열면(231)이나 발열면(23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싱크(sink)(23b)를 포함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열원의 냉기를 생성하는 구조가 증발기(21,22) 및 압축기(60)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상기 증발기(21,22)는 압축기(60)(첨부된 도 6 참조)와 응축기(도시는 생략됨) 및 팽창기(도시는 생략됨)와 함께 냉동시스템을 이루며, 해당 증발기를 지나는 유체와 열교환되면서 상기 유체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실이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을 포함할 경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저장실(1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증발기(21)와 상기 제2저장실(13)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증발기(2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증발기(21)는 상기 이너케이스(11a) 내부 중 상기 제1저장실(12) 내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증발기(22)는 상기 제2저정실(13) 내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저장실(12) 혹은, 제2저장실(13) 중 적어도 어느 한 저장실 내에만 증발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증발기가 두 개로 제공되더라도 해당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60)는 하나만 제공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60)는 제1냉매통로(61)를 통해 제1증발기(21)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제2냉매통로(62)를 통해 제2증발기(22)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냉매통로(61,62)는 냉매밸브(63)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냉기열원은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은 냉기열원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12,13)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냉각팬은 제1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제1저장실(12)에 공급하는 제1냉각팬(3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냉기를 제2저장실(13)에 공급하는 제2냉각팬(41)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1덕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는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이다. 이러한 제1덕트는 후술될 제2덕트에 구비되는 흡입덕트(42a)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덕트(42a)의 안내에 의해 제2저장실(13)을 유동한 유체가 제2증발기(22)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덕트는 이너케이스(11a)의 바닥면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11a)의 바닥면 일부는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부위로부터 제2증발기(22)가 장착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중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위로부터 해당 경사의 가장 높은 지점을 거쳐 응축수 받이(11c)와 연결되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덕트는 상기 흡입덕트(42a)와 이너케이스(11a)의 바닥면 사이에 제2증발기(22)를 향해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이하, “흡입유로”라 함)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2덕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는 상기 냉기열원을 이루는 증발기(21,22) 주변의 유체가 상기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이다.
이러한 제2덕트는 증발기(21,22)의 전방에 위치되는 팬덕트 조립체(30,40)가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팬덕트 조립체(30,40)는 제1저장실(12) 내에 냉기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팬덕트 조립체(30) 및 제2저장실(13) 내에 냉기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팬덕트 조립체(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21,22)가 위치되는 이너케이스(11a) 내의 팬덕트 조립체(30,40)와 이너케이스(11a)의 후벽면 사이 공간은 유체가 상기 증발기(21,22)와 열교환되는 열교환 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증발기(21,22)가 어느 한 저장실에만 제공되더라도 상기 팬덕트 조립체(30,40)는 각 저장실(12,13) 모두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21,22)가 두 저장실(12,13) 모두에 제공되더라도 상기 팬덕트 조립체(30,40)는 하나만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냉기열원의 냉기를 생성하는 구조가 제2증발기(22)이고, 냉기열원의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는 제2냉각팬(41)이며, 상기 제1덕트는 제2팬덕트 조립체(40)에 형성되는 흡입덕트(42a)이고, 제2덕트는 제2팬덕트 조립체(40)임을 예로 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팬덕트 조립체(40)에는 그릴팬(42)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그릴팬(42)에는 제2저장실(13)로부터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덕트(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42a)는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부위와 함께 제1덕트를 구성하며, 상기 그릴팬(42)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제2저장실(13) 내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흡입덕트(42a)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덕트(42a)의 경사는 기계실로 인해 이너케이스(11a) 내의 후방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사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덕트를 이루는 흡입덕트(42a)와 이너케이스(11a)의 경사진 바닥면 사이에 제공되는 흡입유로를 통해 제2저장실(12) 내의 유체는 제2증발기(22)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1a) 내의 후방측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중 상기 제2증발기(22)의 전방측 부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나고부터는 점차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제2증발기(22)의 직하방에 응축수 받이(11c)가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7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팬덕트 조립체(40)에는 쉬라우드(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43)는 상기 그릴팬(42)의 후면에 결합되며, 이러한 쉬라우드(43)와 그릴팬(42) 사이에 제2저장실(13)로의 냉기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쉬라우드(43)에는 유체유입구(43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증발기(22)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유체유입구(43a)를 통해 그릴팬(42)과 쉬라우드(43) 사이의 냉기 유동을 위한 유로에 유입된 후 상기 유로의 안내를 받아 상기 그릴팬(42)의 각 냉기토출구(42b)를 통과하여 제2저장실(22) 내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냉기토출구(42b)는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팬(42)의 상측 부위와 중간측 부위 및 하측 부위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22)는 상기 유체유입구(43a)에 비해서는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냉각팬(41)은 상기 그릴팬(42)과 쉬라우드(43) 사이의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냉각팬(41)은 쉬라우드(43)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43a)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제2저장실(22) 내의 유체는 흡입덕트(42a) 및 제2증발기(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유체유입구(43a)를 통해 상기 유로에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제상장치(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상장치(50)는 냉기열원(예컨대, 제2증발기)에 착상된 성에의 제거를 위해 열원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 제상장치(50)는 후술될 착상 감지장치(70)의 제상 혹은, 결빙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와 도 7과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상장치(50)에는 제1히터(51)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51)의 발열에 의해 제2증발기(냉기열원)(22)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51)는 제2증발기(22)의 저부(유체 유입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히터(51)의 발열을 통해 제2증발기(22)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상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유체 유동 방향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히터(51)는 제2증발기(22)의 측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증발기(22)의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제2증발기(22)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증발기(22)에 접촉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히터(51)는 시스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시스히터의 복사열 및 대류열을 이용하여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4와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상장치(50)에는 제2히터(5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52)는 상기 제1히터(51)에 비해서는 낮은 출력으로 발열하면서 제2증발기(22)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52)는 제2증발기(22)의 열교환핀에 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히터(52)는 상기 제2증발기(22)에 직접 맞닿은 상태로 열전도를 통해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2히터(52)는 엘 코드(L-cord)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엘 코드 히터의 전도열에 의해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히터(52)는 제2증발기(22) 중 상측 부위(유체 유출측)에 위치된 열교환핀에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상장치(50)는 제1히터(51)와 제2히터(52)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히터(51)와 제2히터(52) 중 어느 한 히터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장치(50)는 증발기용 온도센서(도시는 생략됨)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용 온도센서는 제상장치(5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며, 이렇게 감지되는 온도값은 상기 각 히터(51,52)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인자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히터(51,52)가 온(ON) 된 후, 상기 증발기용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특정 온도(제상 종료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각 히터(51,52)는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종료 온도는 초기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만일 제상 종료 제2증발기(22)에 잔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상 종료 온도는 일정 온도만큼 증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착상 감지장치(7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상 감지장치(70)는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특히, 상기 착상 감지장치(70)는 유체의 물성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하는 감지소자를 이용하여 제2증발기(22)의 착상 정도를 인지하고, 이렇게 인지된 착상 정도를 토대로 제상 운전의 실행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성치는 온도,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상 감지장치 및 증발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 및 도 15는 제2팬덕트 조립체에 착상 감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이며, 도 16 내지 도 28은 착상 감지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착상 감지장치(7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착상 감지장치(70)는 흡입덕트(제1덕트)(42a)와 제2팬덕트 조립체(제2덕트)(40)에 안내되는 유체의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면서 제2증발기(냉기열원)(22)의 착상을 감지하는 장치임을 그 예로 설명한다.
상기 착상 감지장치(70)에는 착상 감지덕트(7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는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며, 유체 입구(711) 및 유체 출구(71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착상 감지덕트(710)는 제2저장실(22)과 흡입덕트(42a)와 제2증발기(22) 및 제2팬덕트 조립체(40)를 순환하는 냉기의 유동 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덕트를 지나면서 냉기열원을 향해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유체 입구(711)는 흡입덕트(42a)와 제2증발기(22)의 유체 유입측 사이의 흡입유로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덕트(42a)를 지나면서 제2증발기(41)의 유체 유입측을 향해 유동되는 유체 중 일부가 상기 유체 입구(711)를 통해 안내유로(713)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유체 입구(711)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중 가장 높은 지점으로부터 응축수 받이(11c)가 함몰 형성된 부위 사이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체 입구(711)로 제상수가 흘러 내릴 경우 이 제상수가 제2저장실(13)로 흐르지 않고 상기 응축수 받이(11c)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적어도 일부는 냉기열원을 지나면서 제2덕트를 향해 유체가 유동되는 유출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 유로는 제2증발기(22)의 유체 유출측과 쉬라우드(43)의 유체유입구(43a) 사이를 유체가 지나도록 제공되는 유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유체 출구(712)는 상기 유출 유로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712)를 통해 착상 감지덕트(71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증발기(22)의 유체 유출측과 쉬라우드(43)의 유체유입구(43a) 사이로 곧장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는 제2증발기(22)를 지나는 유체 유동 및 제2팬덕트 조립체(40) 내트를 유동하는 유체 유동과는 구획된 별도의 유체 유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에는 안내유로(713)(첨부된 도 13과 도 18 및 도 20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안내유로(713)는 유체 입구(711)를 통과하여 착상 감지덕트(710) 내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상기 안내유로(713)는 그릴팬(42)의 배면(제2증발기와의 대향면)에 요입되면서 후면이 개방된 함몰 부위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유로(713)의 상면 및 저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로써 안내유로(713)는 양 측벽면 및 바닥면(요입 방향측의 면, 전면)에 의해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유로(713)의 개방된 저면은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입구(71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713)가 형성되는 부위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팬(42)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안내유로(713)의 함몰 깊이만큼 그릴팬(4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그릴팬(42)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안내유로(713) 내의 양 측벽면에는 착상 확인센서(740)의 양 끝단이 설치되는 설치홈(714)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유로(713)는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유로(713)가 휨 없이 상하 수직한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해당 안내유로(713)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 유동에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는 첨부된 도 16과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출구부(71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출구부(717)는 안내유로(713)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가 유체 출구(712)로 유출될 수 있게 안내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상기 유체 출구부(717)는 쉬라우드(43)의 경사 부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양 측벽면과 바닥면 및 상면을 가지면서 저면과 후면이 개방된 함몰 부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출구부(717)의 개방된 후면의 일부는 유체 출구(712)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체 출구부(717)에는 장착돌부(71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부(717a)는 상기 유체 출구부(717) 내로 유체가 유입되는 부위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그릴팬(42)에 형성된 안내유로(713) 내에 요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출구부(717)의 장착돌부(717a)가 안내유로(713) 내에 요입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체 출구(712)로 제상수나 응축수 등의 수분이 유입될 경우 이 수분은 유체 출구부(717)와 안내유로(713) 간의 연결 부위에 고이지 않고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쉬라우드(43)의 배면 중 상기 유체 출구부(717)의 상측에는 가림돌기(717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림돌기(717b)는 상기 유체 출구(712)의 상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이다.
즉, 상기 가림돌기(717b)의 제공에 의해 쉬라우드(43)의 배면을 타고 흐르는 수분이 상기 유체 출구(712)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가림돌기(717b)는 상부로 볼록한 라운드 구조로 형성(첨부된 도면들 참조)될 수도 있고, 상부로 볼록한 경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순한 일자형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상 감지장치(70)에는 유로커버(7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로커버(720)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개방된 후면(제2증발기에 대향되는 면)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착상 감지덕트(710) 내부의 유로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유로커버(720)의 상측 끝단은 착상 감지덕트(710)를 이루는 유체 출구부(717)의 유체 출구(71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까지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체 출구(712)는 외부로 개방될 수 있고, 안내유로(713)를 통과하여 유체 출구부(717)로 제공된 유체는 상기 유체 출구(71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커버(720)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 출구부(717)는 쉬라우드(43)의 경사면에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이 유체 출구부(717)의 일부를 덮기 위한 유로커버(720)의 일부 역시 상기 쉬라우드(43)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혹은, 라운드)를 가지면서 절곡되게 형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유로커버(720)의 후면(제2증발기와 대향되는 면)은 그릴팬(42)의 후면(제2증발기와 대향되는 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릴팬(42)의 안내유로(713)가 함몰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유로커버(720)가 수용되면서 얹힐 수 있는 얹힘턱(42c)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3과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얹힘턱(42c)은 상기 유로커버(720)의 두께만큼 그릴팬(42)의 배면으로부터 요입될 수 있다.
상기 유로커버(720)의 상측 끝단에는 제1결합부(7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721)는 유체 출구부(717)에 형성되는 결합공(717c)에 결합되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착상 감지장치(70)에는 유체 입구부(7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입구부(730)는 유로커버(720)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둘레측 벽면을 가지면서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입구부(7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를 이루는 안내유로(713) 내의 하측 끝단 부위에 수용됨과 더불어 개방된 저면은 흡입유로(제1덕트를 지나 냉기열원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 상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첨부된 도 8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유로(713) 내의 하측 끝단에는 안착홈(713b)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730)는 상기 안착홈(713b)에 안착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유체 입구부(730)는 항상 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안착홈(713b)의 깊이는 유체 입구부(730)의 각 둘레측 벽면이 형성하는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둘레측 벽면 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안착홈(713b)의 구조를 통해 유체 입구부(730) 내의 유로와 착상 감지덕트(710) 내의 안내유로(713) 내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유체 입구부(730) 내의 유로와 안내유로(713) 내면 간의 연결 부위는 일부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유로(713)의 저부측 끝단 내면은 저부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되고, 유체 입구부(730)의 상부측 끝단 내면은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안내유로(713)를 따라 흘러내린 제상수 등의 수분이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설치 부위에 맺히거나 고여 결빙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개방된 상면은 안내유로(713) 내의 유체 입구(711)에 일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상측 끝단 내면은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해당 부위에 제상수가 맺히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체 입구부(730)는 전방벽(731)과 후방벽(73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전방벽(731)은 안내유로(713) 내의 바닥면에 마주보는 측의 벽면이고, 상기 후방벽(732)은 냉기열원과 마주보는 측의 벽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전방벽(731)에는 제2결합부(73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731a)는 상기 유체 입구부(730)를 이루는 전방벽(73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안내유로(713)의 안착홈(713b) 내에는 상기 후크 구조의 제2결합부(731a)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7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유체 입구부(730) 내의 유로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 내의 안내유로(713)로부터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부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경사 구조의 추가 제공에 의해 안내유로(713)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유체 입구부(730) 내에서 맺히지 않고 원활히 흘러내려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경사는 해당 유체 입구부(730)를 이루는 전방벽(731)을 저부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전방벽(731)의 경사 구조로 인해 상기 유체 입구부(730) 내를 타고 흘러 내리는 제상수가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중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나 응축수 받이(11c)가 형성된 부위를 향해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개방된 저면은 제1덕트를 지나면서 냉기열원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유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흡입유로를 지나는 유체 중 일부가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유체 입구부(7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첨부된 도 7 및 도 8과 도 26 및 도 2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입구부(730)가 적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입구부(730)는 그의 저면이 흡입덕트(제1덕트)(42a)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유체 입구부(730)는 그의 둘레면 전 부위가 상기 안내유로(713) 내에 수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개방된 저면은 그 저부의 흡입유로에 노출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유체 입구부(730)의 비돌출형 구조는 흡입유로 상에 간섭 부품이 위치될 경우 바람직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저면은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과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8 내지 도 3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입구부(730)가 적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입구부(730)는 그의 하측 끝단 부위가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음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유체 입구부(730)의 하측 끝단 부위가 해당 흡입유로를 지나는 유체에 유동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제2증발기(22)의 비착상시 안내유로(713) 내로의 유체 유입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유로 내에 노출되는 유체 입구부(730)의 하측 끝단 저면은 전후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흡입유로를 지나는 유체가 해당 유체 입구부(730) 내로 유입됨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32 내지 도 3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입구부(730)가 적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입구부(730)는 그의 하측 끝단 부위가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유체 입구부(730)의 하측 끝단에는 밀착단(736)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밀착단(736)은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그 전방에 위치된 흡입덕트(42a)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흡입덕트(42a)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이러한 밀착단(736)을 가지는 유체 입구부(730)의 구조는 밀착단(736)이 없는 유체 입구부(730)에 비해 더욱 많은 양의 유체를 공급받고자 할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상 감지장치(70)에는 착상 확인센서(7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는 착상 감지덕트(710)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때, 상기 물성치는 온도나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착상 확인센서(740)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를 통과하는 유체의 물성치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에 의해 확인된 출력값의 차이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계산하여 제상 운전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가 착상 감지덕트(710)를 통과하는 유체량에 따른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확인되도록 제공되는 센서임을 그 예로 한다.
즉, 첨부된 도 17과 도 18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상 감지덕트(710) 내의 유체가 유동되는 부위에 착상 확인센서(740)가 구비되면서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 내의 유체 유동량에 따라 변화되는 출력값을 토대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출력값은 상기한 온도 차이뿐 아니라 압력 차이나 여타의 특성 차이 등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7은 착상 확인센서(740)의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이의 도면에 따르면,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는 감지 유도체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유도체는 감지소자가 물성치(혹은, 출력값)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유도체가 발열체(741)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상기 발열체(741)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소자이다.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에는 감지소자(74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소자(742)는 발열체(741)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소자이다.
즉, 착상 감지덕트(710)를 통과하면서 발열체(741)를 지나는 유체량에 따라 발열체(741) 주변의 온도가 변화됨을 고려할 때 이러한 온도 변화를 감지소자(742)가 측정한 후 이 온도 변화를 토대로 제2증발기(22)의 착상 정도를 계산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에는 센서 피씨비(7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피씨비(743)는 상기 발열체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감지소자(742)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발열체(741)의 온(ON) 상태에서 상기 감지소자(742)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센서 피씨비(743)는 로직 온도(ΔHt)가 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적은 경우, 착상 감지덕트(710)를 유동하는 유체 유량은 적고, 이의 경우 발열체(741)의 온(ON)에 따라 발생된 열은 상기 유동 유체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게 냉각된다.
이로써, 감지소자(742)가 감지하는 온도는 높아지며, 로직 온도(ΔHt) 역시 높아진다.
반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 착상 감지덕트(710) 내를 유동하는 유체 유량은 많아지고, 이의 경우 발열체(741)의 온(ON)에 따라 발생된 열은 상기 유동 유체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이 냉각된다.
이로써, 감지소자(742)가 감지하는 온도는 낮아지며, 로직 온도(ΔHt) 역시 낮아진다.
결국, 상기 로직 온도(ΔHt)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이렇게 판단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토대로 정확한 시점에 제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로직 온도(ΔHt)가 높으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적음으로 판단하고, 로직 온도(ΔHt)가 낮으면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음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준 온도 차이값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기준 온도 차이값에 비해 상기 로직 온도(ΔHt)가 낮을 경우 상기 제2증발기(22)의 제상 운전이 필요함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에는 센서 하우징(744)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하우징(744)은 착상 감지덕트(710) 내를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발열체나 감지소자(742) 혹은, 센서 피씨비(743)에 닿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 하우징(744)은 양측 끝단은 안내유로(713) 내의 양 측벽면에 형성된 설치홈(714)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제어부(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냉장고(1)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80)는 각 온도센서(1a,1b)를 토대로 실내온도 및 고내온도를 확인할 수 있고, 착상 확인센서(740)를 제어하거나 상기 착상 확인센서(740)에서 센싱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상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80)는 각 저장실(12,13) 내의 고내온도가 해당 저장실을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초로 구분되는 불만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해당 저장실 내의 고내온도가 하강할 수 있도록 냉기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 내의 고내온도가 설정 기준온도(NT)를 기초로 구분되는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냉기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착상 감지장치(70)가 착상 감지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착상 감지운전을 미리 설정된 착상 감지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상 감지시간은 제1온도센서(1a)에 의해 측정된 실내온도의 온도값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온도에 따라 가변되게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온도가 높을 수록 혹은, 설정 온도가 낮을 수록 더 잦은 냉기운전의 수행으로 인해 착상 감지시간은 짧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실내온도가 낮을 수록 혹은, 설정 온도가 높을 수록 냉기운전이 더욱 적게 수행되기 때문에 착상 감지시간은 충분히 길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일정 주기로 착상 확인센서(74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착상 확인센서(740)의 발열체(741)가 일정 시간동안 발열되고, 착상 확인센서(740)의 감지소자(742)는 발열체(741)가 온(ON)된 직후의 온도를 감지함과 더불어 발열체(741)가 오프(OFF)된 직후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발열체(741)가 온(ON)된 후 최저 온도와 최대 온도가 확인될 수 있고, 이러한 최저 온도와 최대 온도의 온도 차이값은 최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착상 감지를 위한 변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발열체(741)의 온/오프 시 온도 차이값(로직 온도)(ΔHt)을 확인하고, 이 로직 온도(ΔHt)의 최대값이 제1기준 차이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준 차이값은 제상 운전을 실시하지 않아도 될 정도임으로 설정된 값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로직 온도(ΔHt)의 확인 및 제1기준 차이값과의 비교는 착상 확인센서(740)를 이루는 센서 피씨비(743)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센서 피씨비(743)로부터 수행된 로직 온도(ΔHt)의 확인 및 제1기준 차이값과의 비교 결과값을 제공받아 발열체(741)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2증발기(22)에 대한 착상량을 감지하기 위한 착상 감지운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 필요 시점을 판단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증발기의 착상 전과 착상 시 착상 확인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9에는 제2증발기(22)의 착상 전 제2저장실(13)의 온도 변화와 발열체(의 온도 변화가 도시되고 있고, 도 40에는 제2증발기의 착상 시(착상이 허용치를 초과하여 이루어졌을 경우) 제2저장실의 온도 변화와 발열체의 온도 변화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제상 운전이 완료(S1)된 이후에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제1설정 기준온도 및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한 각 저장실(12,13)의 냉기 운전이 수행(S110)된다.
이때, 상기한 냉기 운전은 상기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지정된 제1운전 기준값에 따라 제1증발기(21) 및 제1냉각팬(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제어를 통해 운전되고, 상기 제2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지정된 제2운전 기준값에 따라 제2증발기(22) 및 제2냉각팬(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제어를 통해 운전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80)는 제1저장실(12)의 고내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설정 기준온도를 기초로 구분되는 불만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냉각팬(31)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내온도가 만족 온도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1냉각팬(31)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냉매밸브(63)를 제어하여 각 냉매통로(61,6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에 대한 냉기 운전을 수행한다.
또한, 제2저장실(13)에 대한 냉기 운전은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제2증발기(22)를 통과한 유체(냉기)가 제2저장실(13)로 제공되고, 상기 제2저장실(13) 내를 순환한 냉기는 상기 제2증발기(22)의 유체 유입측으로 유동된 후 다시금 제2증발기(22)를 통과하는 유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저장실(13)로부터 제2증발기(22)로 유동되는 유체는 제2팬덕트 어셈블리(40)를 이루는 흡입덕트(42a)와 그에 대향되게 위치된 이너케이스(11a) 내의 후방측 바닥면 사이의 흡입유로에 안내받는다.
첨부된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부(730)가 흡입유로 내로 돌출되지 않은 구조의 경우라면 상기 흡입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 유입부(730)에 의한 저항 없이 원활히 유동된다.
만일, 첨부된 도 28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부(730)가 흡입유로 내로 일부 돌출된 구조의 경우라면 상기 흡입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 유입부(730)에 의한 유동 저항을 제공받게 된다.
이로써, 상기 유체 유입부(730)가 흡입유로에 일부 돌출된 구조가 흡입유로에 돌출되지 않은 구조에 비해 더욱 적은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서 착상 확인센서(740)에 의한 물성치 판단에 더욱 큰 변별력을 부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유체 유입부(730)가 흡입유로에 돌출되지 않은 구조는 해당 부위에 각종 구조물이 존재하더라도 간섭 발생이 없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의 유체 출구(712)는 상기 유체 입구(711)와의 압력 차이를 고려한 위치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2냉각팬(4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의 영향까지도 고려한 위치(제2냉각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고려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상 감지덕트(710)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2냉각팬(41)에 의한 압력의 영향은 덜 받으면서도 상기 유체 출구(712)와 유체 입구(711)의 압력 차이에 의해 비착상시에도 불구하고 일부가 강제적으로 유동되며, 이로써 착상 감지를 위한 최소한의 변별력(착상 전후의 온도 차이)은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된 일반적인 냉기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착상 감지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주기에 도달됨을 지속적으로 확인(S120)한다.
이때, 상기 착상 감지운전의 수행 주기는 시간의 주기가 될 수도 있고, 특정한 구성요소나 운전 싸이클과 같은 동일한 동작이 반복 실행되는 주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기가 제2냉각팬(41)이 동작되는 주기가 될 수 있다.
착상 감지장치(70)는 안내유로(713)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에 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값(로직 온도)(ΔHt)을 근거로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을 확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고려할 때, 로직 온도(ΔHt)가 클 수록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한 감지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냉각팬(41)이 동작될 때에만 가장 큰 로직 온도(ΔHt)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팬덕트 조립체(40)의 제2냉각팬(41)은 제1팬덕트 조립체(30)의 제1냉각팬(31)이 정지된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제2냉각팬(41)은 제1냉각팬(31)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체(741)는 상기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발열되거나, 상기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된 직후 혹은, 상기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할 때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냉각팬(41)으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일정한 발열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발열체(741)가 발열되도록 제어됨을 예로 한다.
즉, 착상 감지운전을 위한 주기가 도래되면 발열체(741)의 발열조건을 확인(S130)한 후 이 발열조건에 만족해야만 발열체(741)가 발열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열조건은 제2냉각팬(41)의 구동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발열체가 자동으로 발열되도록 제어되는 조건, 제2냉각팬(41)의 구동 전 안내유로(713) 내의 온도(감지소자에서 확인된 온도)가 점차 하락하는 조건, 제2냉각팬(41)이 동작 중인 조건, 제2저장실(13)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본적인 조건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발열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면 제어부(80)의 제어(혹은, 센서 피씨비의 제어)에 의해 발열체(741)가 발열(S140)된다.
또한, 상기한 발열체(741)의 발열이 이루어지면 감지소자(742)는 안내유로(713) 내의 물성치 즉, 온도(Ht1)를 감지(S150)한다.
상기 감지소자(742)는 상기 발열체(741)의 발열과 동시에 상기 온도(Ht1)를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발열체(741)의 발열이 수행된 직후에 상기 온도(Ht1)를 감지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감지소자(742)가 감지하는 온도(Ht1)는 상기 발열체(741)의 온(ON) 이후 확인되는 안내유로(713) 내의 최저 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Ht1)는 제어부(혹은, 센서 피씨비)(8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741)는 설정된 발열시간 동안 발열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은 안내유로(713) 내부의 온도 변화에 대한 변별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발열시간 동안 발열체(741)가 발열되었을 때의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예측된 혹은, 예측되지 않은 여타 요인에 의한 로직 온도(ΔHt)를 제외하고도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설정된 발열시간은 특정된 시간일 수도 있지만, 주위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시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발열시간이 경과되면 발열체(74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서 발열이 중단(S160)될 수 있다.
물론, 발열시간이 경과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발열체(741)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발열체(741)의 발열이 중단되면 감지소자(742)에 의한 안내유로(713) 내의 물성치 즉, 온도(Ht2)가 감지(S170)된다.
이때, 상기 감지소자(742)의 온도 감지는 상기 발열체(741)의 발열이 중단됨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발열체(741)의 발열이 중단된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감지소자(742)가 감지하는 온도(Ht2)는 상기 발열체(741)의 오프 전후 시점에 확인되는 안내유로(713) 내의 최대 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Ht2)는 제어부(혹은, 센서 피씨비)(8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혹은, 센서 피씨비)(80)는 각 감지 온도(Ht1, Ht2)를 토대로 서로의 로직 온도(ΔHt)를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로직 온도(ΔHt)를 토대로 냉기열원(제2증발기)(22)에 대한 제상 운전의 수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즉, 발열체(741)의 발열시 온도(Ht1)와 발열체(741)의 발열 종료시 온도(Ht2)의 차이값(ΔHt)을 계산(S180) 및 저장한 후 이 로직 온도(ΔHt)로 제상 운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차이값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안내유로(713) 내의 유체 유량이 적고, 이로써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제상 운전을 수행할 정도에 비해서는 작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작으면 제2증발기(22)의 유체 유입측과 유체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가 낮아서 안내유로(713) 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로직 온도(ΔHt)는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이다.
반면, 상기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차이값에 비해 낮을 경우에는 안내유로(713) 내의 유체 유량이 많고, 이로써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제상 운전을 수행할 정도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많으면 제2증발기(22)의 유체 유입측과 유체 유출측 간의 압력 차이가 높아서 이 압력 차이에 의해 안내유로(713) 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로직 온도(ΔHt)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기준 차이값은 제상 운전을 실시해야 될 정도임으로 설정된 값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기준 차이값과 제2기준 차이값은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상기 제1기준 차이값에 비해 제2기준 차이값이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준 차이값 및 제2기준 차이값은 특정한 어느 하나의 값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범위의 값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기준 차이값은 24℃가 될 수 있고, 상기 제1기준 차이값은 상기 24℃ 내지 30℃ 사이의 온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로직 온도와 각 기준 차이값에 대한 비교 결과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확인된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 차이값(예컨대, 24℃ 내지 30℃)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제2증발기(22)의 착상량이 설정된 착상량에 비해 미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제2냉각팬(41)이 정지된 후 다음 주기의 동작시까지 착상 감지는 중단될 수 있다.
이후, 다음 주기의 제2냉각팬(41) 동작이 이루어지면 전술된 착상 감지를 위한 발열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확인된 로직 온도(ΔHt)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 차이값(예컨대, 24℃)에 비해 낮을 경우에는 제2증발기(22)가 설정된 착상량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상 운전이 수행(S2)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상 운전의 수행시 저장되어 있던 각 착상 감지 주기별 로직 온도(ΔHt)는 리셋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2증발기(22)에 대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과정(S2)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발열체(741)가 오프된 후 제어부(80)의 판단에 의해 제상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운전의 수행시 제상장치(50)를 이루는 제1히터(51)가 발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51)의 발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로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히터(51)가 시스히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히터(51)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복사 및 대류를 통해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상 운전의 수행시 제상장치(50)를 이루는 제2히터(52)가 발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히터(52)의 발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로 상기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히터(52)가 엘 코드 히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히터(52)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열교환핀으로 전도되면서 해당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1히터(51)와 제2히터(52)는 동시에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제1히터(51)가 우선적으로 발열된 후 제2히터(52)가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제2히터(52)가 우선적으로 발열된 후 제1히터(51)가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히터(51) 혹은, 제2히터(52)의 발열이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51) 혹은, 제2히터(52)의 발열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제1히터(51)와 제2히터(52)가 함께 제공되더라도 발열의 중단은 두 히터(51,52)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어느 한 히터가 우선적으로 발열 중단된 후 다른 한 히터가 뒤따라 발열 중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각 히터(51,52)의 발열을 위한 설정된 시간은 특정된 시간(예컨대, 1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성에의 착상량에 따라 가변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51) 혹은, 제2히터(52)는 최대 부하로 동작될 수도 있고, 제상량에 따라 가변되는 부하로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상장치(50)의 동작에 따른 제상 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착상 확인센서(740)를 이루는 발열체(741)도 함께 발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상 운전시에는 성에가 녹음으로 인해 발생된 물이 안내유로(713) 내로도 흘러 내릴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렇게 흘러 내리는 물이 안내유로(713) 내에서 결빙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체(741)도 함께 발열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 운전은 시간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온도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임의의 시간 동안 제상 운전이 수행되었을 경우 제상 운전이 종료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제2증발기(2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제상 운전이 종료되도록 제어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상장치(50)의 동작이 완료되면 최대 부하로 제1냉각팬(31)을 동작시켜 제1저장실(12)을 설정된 온도 범위에 이르도록 한 후 최대 부하로 제2냉각팬(41)을 동작시켜 제2저장실(12)을 설정된 온도 범위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냉각팬(31)의 동작시에는 압축기(60)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1증발기(21)로 제공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2냉각팬(41)의 동작시에는 압축기(60)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2증발기(22)로 제공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3)의 온도 조건이 만족되면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한 제2증발기(22)의 착상 감지를 위한 전술된 제어가 다시금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상장치(50)의 동작이 완료된 직후에는 잔빙을 감지하여 추가적인 제상 운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잔빙이 확인되면 제상 운전 시기에 도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잔빙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상 운전은 상기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의 부주의로 어느 한 저장실의 도어가 장시간 개방(미세 개방 등)된 상태에 있을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도어의 개방 감지를 수행하는 센서를 통해 인지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착상 감지장치(70)를 동작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시 강제적인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잦은 도어의 개폐에 의해 착상 감지 운전이 주기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면 착상 감지장치(70)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도어의 잦은 개폐를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에 강제적인 제상 운전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제상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제2증발기(22)에 착상된 얼음뿐 아니라 쉬라우드(43)의 유체유입구(43a)나 그 주변(예컨대, 제2냉각팬 등)에 착상된 얼음 역시 제2히터(52)의 열을 간접적으로 제공받으면서 녹아내린다.
이때, 상기 쉬라우드(43)의 유체유입구(43a)나 그 주변(예컨대, 제2냉각팬 등)에서 녹아 내린 제상수 중 일부는 유체 출구부(717)의 유체 출구(712)를 통해 안내유로(713) 내에 유입된다.
이와 함께, 착상 감지덕트(710)를 이루는 안내유로(713) 내부나 유체 출구부(717)에 착상된 얼음은 상기 제2히터(52)의 열 및 발열체(741)의 열에 의해 녹아내린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로(713) 내부를 따라 흐르는 제상수는 착상 확인센서(740)를 통과한 후 해당 안내유로(713)와 연통되게 위치된 유체 유입부(730) 내의 유로를 통과한 후 유체 입구(711)를 통해 흡입유로에 흘러린다.
이때, 상기 유체 입구부(730)의 전방벽(731)은 저부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유체 입구부(730) 내로 유입된 제상수는 해당 부위에의 고임 없이 더욱 원활히 저부로 흘러내린다.
특히, 상기 경사는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중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나 응축수 받이(11c)가 형성된 부위를 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유체 입구부(730)를 통과하여 흘러내린 제상수는 제2저장실(13) 내로 흘러 내리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응축수 받이(11c)를 향해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상 운전이 완료되면 전술된 냉기 운전이 다시금 새로이 수행(S110)되며, 계속해서 착상 감지를 위한 착상 감지 운전이 재수행된다.
물론, 상기한 제상 운전의 완료 후 착상 감지 운전의 재수행시 확인되는 로직 온도로 잔상 여부를 확인하거나, 감지소자(742)의 고장 여부 확인, 안내유로(713)의 막힘 확인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730) 내의 유로 폭과 안내유로(713) 내의 유로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유로(713)를 타고 흘러내리는 수분이 안내유로(713)와 유체 입구부(730) 내의 유로 사이에 고이거나 맺힘없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고, 이로써 해당 부위에의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체 입구부(730)의 전방벽(731)이 저부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유로(731)를 통과하여 유체 입구부(730) 내로 흘러내린 제상수는 해당 부위에의 고임 없이 더욱 원활히 저부로 흘러내린다.
특히, 상기 경사는 이너케이스(11a)의 후방측 바닥면 중 가장 높은 지점을 지나 응축수 받이(11c)가 형성된 부위를 향하기 때문에 상기 유체 입구부(730)를 통과하여 흘러내린 제상수는 응축수 받이(11c)를 향해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상수가 제2저장실(13) 내로 흘러 내림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유체 입구부(730)를 가지는 복수의 유로커버(7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흡입유로의 구조나 유동 목적에 따른 최적의 유체 입구부(73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 냉장고 1a. 제1온도센서
1b. 제2온도센서 11. 케이스
11a. 이너케이스 11b. 아웃케이스
11c. 응축수 받이 12. 제1저장실
13. 제2저장실 12b,13b. 도어
21,22. 증발기 23. 열전모듈
23a. 열전소자 23b. 싱크
231. 흡열면 232. 발열면
30. 제1팬덕트 조립체 31. 제1냉각팬
40. 제2팬덕트 조립체 41. 제2냉각팬
42. 그릴팬 42a. 흡입덕트
42b. 유체 토출부 42c. 얹힘턱
43. 쉬라우드 43a. 유체유입구
43b. 안내덕트 50. 제상장치
51,52. 히터 60. 압축기
61. 제1냉매통로 62. 제2냉매통로
63. 냉매밸브 70. 착상 감지장치
710. 착상 감지덕트 711. 유체 입구
712. 유체 출구 713. 안내유로
713a. 끼움홈 713b. 안착홈
714. 설치홈 715. 이탈방지돌기
716. 인출안내홈 717. 유체 출구부
717a. 장착돌부 717b. 가림돌기
717c. 결합공 720. 유로커버
721. 제1결합부 722. 접촉돌기
730. 유체 입구부 731. 전방벽
731a. 제2결합부 732. 후방벽
733. 측부벽 736. 밀착단
740. 착상 확인센서 741. 발열체
742. 감지소자 743. 센서피씨비
744. 센서하우징 80. 제어부

Claims (24)

  1.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덕트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를 덮어 냉기열원으로부터 구획하는 유로커버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에 구비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커버의 하측 끝단에는 둘레측 벽면을 가지면서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유체 입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하측 끝단 부위에 수용됨과 더불어 개방된 저면은 제1덕트를 지나 냉기열원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 유로 상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 출구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 입구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덕트와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덕트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장치의 착상 확인센서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를 지나는 유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물성치는 온도, 압력,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확인센서는 센서 및 감지 유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도체는 상기 센서가 물성치를 측정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도체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열전모듈이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흡열면과 발열면을 포함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흡열면과 상기 발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싱크(sink)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열원은 상기 증발기 주변의 유체가 상기 저장실로 순환되게 동작되는 냉각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는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 내의 유로는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유로로부터 저부로 갈수록 점차 내부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하측 끝단에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유체 입구부의 각 둘레측 벽면이 형성하는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덕트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저장실 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상기 제1덕트와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덕트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저장실 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의 하측 끝단은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그의 저면이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보다 더욱 낮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전후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부의 하측 끝단에는 그 전방에 위치된 제1덕트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덕트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를 덮어 냉기열원으로부터 구획하는 유로커버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에 구비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커버의 하측 끝단에는 둘레측 벽면을 가지면서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유체 입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하측 끝단 부위에 수용됨과 더불어 개방된 저면은 제1덕트를 지나 냉기열원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 유로 상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덕트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저장실 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상기 제1덕트와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저장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열원;
    상기 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냉기열원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저장실과 상기 냉기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덕트;
    상기 냉기열원 주변의 유체가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냉기열원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덕트;
    상기 냉기열원에 생성되는 성에나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착상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착상 감지장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착상 감지덕트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를 덮어 냉기열원으로부터 구획하는 유로커버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에 구비되는 착상 확인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커버의 하측 끝단에는 둘레측 벽면을 가지면서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유체 입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상 감지덕트 내의 하측 끝단 부위에 수용됨과 더불어 개방된 저면은 제1덕트를 지나 냉기열원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 유로 상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덕트는 상기 제2덕트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저장실 내를 향해 돌출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입구부의 하측 끝단은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체 입구부의 하측 끝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상면이 상기 제1덕트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제1덕트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부의 저면은 전후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098366A 2020-08-06 2020-08-06 냉장고 KR20220018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66A KR20220018182A (ko) 2020-08-06 2020-08-06 냉장고
EP21853844.5A EP4194778A4 (en) 2020-08-06 2021-07-19 REFRIGERATOR
PCT/KR2021/009263 WO2022030811A1 (ko) 2020-08-06 2021-07-19 냉장고
US18/019,941 US20230288125A1 (en) 2020-08-06 2021-07-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66A KR20220018182A (ko) 2020-08-06 2020-08-0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82A true KR20220018182A (ko) 2022-02-15

Family

ID=8011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366A KR20220018182A (ko) 2020-08-06 2020-08-0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8125A1 (ko)
EP (1) EP4194778A4 (ko)
KR (1) KR20220018182A (ko)
WO (1) WO202203081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69A (ko) 2018-02-23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01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42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1248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서연이화 발포 사출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90112464A (ko)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473A (ja) * 2005-03-11 2006-09-21 Toshiba Corp 冷蔵庫
CN204085027U (zh) * 2014-03-27 2015-01-07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冰箱中水管路结构及冰箱
KR101843641B1 (ko) * 2016-07-19 2018-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79302B1 (ko) * 2019-01-10 202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69A (ko) 2018-02-23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01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242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11248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서연이화 발포 사출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90112464A (ko) 2018-03-26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8125A1 (en) 2023-09-14
EP4194778A4 (en) 2024-08-14
EP4194778A1 (en) 2023-06-14
WO2022030811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12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53637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243834B2 (en) Refrigerator
KR101095554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18012097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097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1722B1 (ko) 냉장고 및 상기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2018006863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열림 감지 방법
AU2015410544B2 (en) Refrigerator
KR20220018181A (ko) 냉장고
KR101754337B1 (ko) 냉장고의 제빙덕트 및 상기 제빙덕트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18005231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8182A (ko) 냉장고
US20240263868A1 (en) Refrigerator
EP4194784A1 (en) Refrigerator
KR10163564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4194779A1 (en) Refrigerator
KR101481489B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장치 및 방법
EP4194777A1 (en) Refrigerator
EP4194776A1 (en) Refrigerator
KR20220018177A (ko) 냉장고
KR20220018176A (ko) 냉장고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20220018178A (ko)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20200069723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