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70A -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70A
KR20220018170A KR1020200098349A KR20200098349A KR20220018170A KR 20220018170 A KR20220018170 A KR 20220018170A KR 1020200098349 A KR1020200098349 A KR 1020200098349A KR 20200098349 A KR20200098349 A KR 20200098349A KR 20220018170 A KR20220018170 A KR 2022001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
pbat
molecular weight
resin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혁
박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0009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170A/ko
Publication of KR2022001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i) PLA-PBAT 블렌드,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 및 (iii)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i) PLA-PBAT 블렌드는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상용화제로서,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이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및 상기 (iii) 첨가제는 가소제,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는 만족스러운 기계적 물성, 유연성 및 투명성을 나타내며, 상용화제의 사용으로 인한 저가의 PLA 함량 증가 및 고가의 PBAT 함량 감소가 가능하며, 과일재배 기간 동안 과일재배 조건에서 충분한 내환경성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PROTECTING ENVELOPE FOR GROWING FRUITS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육 중의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일을 병충해와 조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업으로 과육에 봉투를 씌우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과일 재배에 있어서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종래 과일을 씌우는데 사용하는 종이 봉투는 불투명 종이로 제작되어 봉투 내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저하되어 과일의 성장이 저하되며 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여 당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이 봉투는 비바람에 의해 쉽게 찢어지게 되거나, 까치와 같은 조류가 발을 이용하여 쉽게 찢을 수 있기 때문에 보호력이 약하고, 다음 해에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과일 재배에 있어서 원자재 비용이 증가되며, 종이로 제조되어 물을 쉽게 흡수하기 때문에 과수에 농약 살포시 종이 봉투가 농약을 흡수하여 과일의 표면에 농약이 묻게 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종이와 종이 사이에 방제약을 도포하여 적층으로 형성된 봉투도 있으나, 기화성 방제약은 쉽게 휘발되어 방제효과가 오래가지 못하고 비에 의해 방제약이 유실되거나 종이 내부의 방제약이 종이에 흡수되어 과일에 직접 닿게 되므로 인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합성수지제 과일봉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후 폐기된 과일봉투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최근들어 생분해성 과일 보호봉투의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분해성 수지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락트산 수지는 자연 환경, 특히 폐기물처리 조건 하에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친환경적인 식물 유래의 범용 수지이지만, 압출기 내부에서 열화가 일어나거나 압출기의 노즐부위에서 결정화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의 유리전이온도 및 내열성이 낮아, 고온에 노출되면 변형이나 융착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PLA수지와 같은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여 과일 보호봉투를 제조할 경우, 유연성이 부족하여 부드러운 과육의 표면에 손상을 주거나 과육의 성장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수 있고, 과일 생장 도중에 보호봉투의 생분해가 진행하여 손상 또는 인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로부터 수분이 누출되어 과일에서 수분 유지가 되지 않거나 외부로부터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그 결과, 과일이 손상 또는 외형변화로 상품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과일 재배용 보호봉투는 일단 과일에 적용되면, 장기간 동안 일광, 자외선, 대기, 온도 변화, 우천, 농약 등에 노출되며, 이를 견뎌내기 위해서는 기계적 강도 및 내환경성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과육을 보호하기 위한 내인열성 및 유연성을 나타내어야 하고, 재배 기간 동안 생분해성으로 인한 천공이나 인열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고분자 조성물의 물성을 최적화시키는 방법으로서, PBS, PBSA 또는 PBAT 등의 다른 생분해성 수지를 블렌딩하고 이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0571호, 2012년06월12일 공개)에는, 폴리락트산(PLA) 및 상기 폴리락트산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유연첨가제가 블렌딩 또는 공중합되어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필름이 개시되어 있으며, 유연첨가제로서 탄소수 3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포함하는 폴리올(예를 들면, 1,3-폴리프로판디올, 1,4-폴리부탄디올, 1,6-폴리헥산디올 등), 지방족 성분의 함량이 30 내지 99 몰%인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상기 지방족 성분의 함량 조건을 충족하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 및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수지 등),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글리세린 유도체 등이 언급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라 제조된 필름은, 생분해성 수지로 이루어져 친환경성이면서도 투명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또한 개선된 연신성을 가져 배향방향으로의 파단이 감소되고, 낮은 열수축 개시온도 및 감소된 수축응력을 가져 향상된 후가공성을 나타내며, 저온에서도 열수축 포장이 용이하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저분자량 유연참가제가 블리딩 아웃(bleeding out)되는 문제와 함께, 연약한 과일과 접촉할 때 과일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로 유연성이 있지 않으며, 대기 하의 일광 및 자외선에 견딜 수 있는 내환경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703호, 2017년10월12일 공개)에는 폴리락트산(PLA)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혼합물(A)에 아미노알코올에 의해 사슬교환된 블렌드물을 상용화제로서 첨가하여, PLA와 PBAT의 상용성을 향상시킨 생분해성 컴파운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PLA와 PBAT의 수지 조성물은 필름 성형시 신장률, 인장강도, 인열강도, 인열성장저항 및 열융착강도를 향상시켜, 기존의 낮은 물성으로 인한 제조상의 문제를 극복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용화제의 제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연약한 과일과 접촉할 때 과일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로 유연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대기 하의 일광 및 자외선에 견딜 수 있는 내환경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폴리락트산(PLA) 및 PABT와 같은 다른 생분해성 수지를 블렌딩하여 제조된 필름은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 단순 PLA 수지에서 부족한 물성을 일부 보완할 수 있으나, 연약한 과일을 보호할 정도로 유연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제조비용이 높아 상용화하기 어렵고, 대기 하의 일광 및 자외선에 견딜 수 있는 내환경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열강도 및 융착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PLA와 PBAT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연구에서, PLA의 연질화가 인열강도의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졌으며, 이를 위해 외부 가소제를 첨가하여 PLA의 연질화를 추구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외부 가소제는 PLA의 연질화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가소제를 10중량% 이상 첨가하면 필름 제조시에 표면에서의 용혈(Bleed out)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사용에 제한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외부 가소제의 첨가를 최소화하면서 PLA의 연질화를 개선할 수 있는 상용화제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0571호(2012년06월1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703호(2017년10월12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PLA-PBAT 블렌드, (ii)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 및 (iii)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과일봉투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i) PLA-PBAT 블렌드는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상기 (ii)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이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및
상기 (iii) 첨가제는 가소제,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 PLA-PBAT 블렌드에서,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0∼1,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5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300,000 g/mol의 범위에서 선택되거나,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4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3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200,000 g/mol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 PLA-PBAT 블렌드에서,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는 30:70 ∼ 70:3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40:60 ∼ 60:4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 PLA-PBAT 블렌드는, 중량평균분자량(Mw) 50,000∼1,000,000 g/mol의 고분자량 폴리락트산 및 중량평균분자량(Mw) 5,000∼50,000 g/mol의 저분자량 폴리락트산을 5:95∼20:8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90∼15:8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저분자량 PLA 블록은 5,000∼3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질 수 있으며, 저분자량 PBAT 블록은 5,000∼2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100,00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i) PLA-PBAT 블렌드 100중량부에 대해 1∼3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3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은, 탄소원자수 3∼12의 디올 화합물, 탄소원자수 3∼12의 디아민 화합물, 탄소원자수 3∼12의 아미노알코올 화합물 또는 탄소원자수 3∼12의 감마히드록시알칸산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i) 첨가제는, 상기 (i) PLA-PBAT 블렌드 100중량부에 대해 0.5∼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2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1) 고분자량 폴리락트산 수지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혼합하여 (i) PLA-PBAT 수지 블렌드를 준비하는 단계;
(단계 2) 저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연결시켜 (ii) PLA-PBAT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단계 3)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i) PLA-PBAT 수지 블렌드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상기 (ii) PLA-PBAT 블록 공중합체 및 첨가제를 혼합시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과일봉투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3에서, (i) PLA-PBAT 수지 블렌드, (ii) PLA-PBAT 블록 공중합체 및 (iii) 첨가제를 함께 혼련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는 만족스러운 기계적 물성, 유연성 및 투명성을 나타내며, 상용화제의 사용으로 인한 저가의 PLA 함량 증가 및 고가의 PBAT 함량 감소가 가능하며, 과일재배 기간 동안 일광 대기 하에 충분한 내환경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i) PLA-PBAT 블렌드, (ii)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 및 (iii)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i) PLA-PBAT 블렌드는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상기 (ii)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이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및
상기 (iii) 첨가제는 가소제,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1) 일반적인 PLA 수지 및 PBAT 수지
일반적으로,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은 락트산(Lactic acid)이 단량체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머 전체를 지칭한다. 폴리락트산은 필름의 내열성,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 고려할 때,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1,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50,000∼7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500,000 g/mol의 범위 내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PLA는 천연물을 생물학적 공정으로 제조한 단량체를 원료로 중합된 고분자임에도 역학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환경적 요구에 부합하는 식물유래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최근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PLA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결정화도로 인해 물성이 취약하여 유연성이 낮고 용융점 또한 낮아 중공 성형품, 발포제품 및 필름 등의 응용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폴리락트산 중합체 또는 PLA수지는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예를 들면, 네이처웍스®(Natureworks;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 소재), 비오머®(BIOMER) L9000(Biomer, Inc.; 독일 크라일링 소재), LACEA®(Mitsui Chemical; 일본)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또 다른 적합한 폴리락트산은 특허문헌(예. USP 4,797,468; USP 5,470,944; USP 5,770,682; USP 5,821,327; USP 5,880,254; 및 USP 6,326,458)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PLA는 경질 폴리머로서 연질 PBAT와 조합해서 부드럽게 만들 수 있으나 PLA가 20% 이상 사용될 경우 PLA 고유의 딱딱하고 찢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사용상 문제점이 발생되며 적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비용절약의 관점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하다. PLA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소제를 첨가하고 있으나, 유연성 개선 효과가 부족하며, 가소제의 용혈(bleeding-out)로 인해 경시적으로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co-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adipate-co-terephthalate, PBAT)로도 표현될 수 있는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PBAT 수지는 냉각속도가 느리고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PLA 수지와 혼합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PLA 수지가 가지는 경질 특성으로 인해 성형시 발생하는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BAT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6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 g/mol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400,000 g/mol 의 범위를 갖는 것들이 보통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PBAT 수지는 PLA 수지의 내부 가소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PLA 수지와의 상용성이 낮아 가소제 또는 상용화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들을 예시할 수 있다.
(2) 고분자량 PLA 수지 및 고분자량 PBAT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량 PLA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1,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70,000∼7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500,000 g/mol의 범위 내의 것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PLA 수지의 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PLA 수지의 물성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게 되고, 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상용화제의 사용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범위의 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량 PLA 수지는 대체로 135 내지 180℃의 용융온도,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의 용융온도를 가지므로,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해지고 가공이 용이해진다. 용융온도가 135 ℃보다 낮게 되면 내열성과 기계적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량 PBAT 수지로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6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400,000 g/mol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3) PLA-PBAT 블록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량 PLA 수지 및 고분자량 PBAT 수지를 함유하는 PLA-PBAT 블렌드에서, PLA 수지 및 PBAT 수지 사이의 상용화제로서, PLA 블록 및 PABT 블록을 함유하는 PLA-PBAT 블록공중합체가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설계된 PLA-PBAT 블록공중합체 중의 하나를 상용화제로서 사용하는 것로서, 상기 설계된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이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PLA-PBAT 블록공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며 상기 설계된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첫째,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ABT 블록이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둘째, 저분자량 PLA 블록이 PLA-PBAT 블렌드에 함유된 고분자량 PLA 수지에 비해 낮은 평균분자량을 가지거나, 저분자량 PBAT 블록이 PLA-PBAT 블렌드에 함유된 고분자량 PABT 수지에 비해 낮은 평균분자량을 가지거나, 또는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 둘다가 PLA-PBAT 블렌드에 함유된 고분자량 PLA 수지 및 고분자량 PBAT 수지에 비해 낮은 평균분자량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저분자량 PLA 블록은 5,000∼50,000 g/mol, 바람직하게는 6,000∼4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0∼35,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저분자량 PBAT 블록은 3,000∼30,000 g/mol, 바람직하게는 4,000∼25,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2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상술한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은 저분자량 PLA 수지 및 저분자량 PBAT 수지에서 각각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100,00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량 PLA 수지 및 고분자량 PBAT 수지를 함유하는 PLA-PBAT 수지 블렌드에서,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 공중합체는 다음: 첫째,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ABT 블록을 함유하며, 둘째, 상기 고분자량 PLA 수지에 비해 평균분자량이 비슷하거나 낮아야 하며, 셋째, 상기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상기 저분자량 PABT 블록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사슬원자수 3∼12의 탄화수소기와 같은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조건에서, 고분자량 PLA 수지 및 고분자량 PBAT 수지의 상용화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4)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의 연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을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에 의해 연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면서 두 관능기 사이에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2관능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두 관능기 사이에 탄소수 3 내지 12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2관능성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 사슬의 탄소원자 중의 1∼4개는 다른 헤테로원자, 예를들면 산소원자 및/또는 질소원자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화합물의 예로는 디올 화합물, 디아민 화합물, 아미노알코올 화합물 또는 감마히드록시알칸산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을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로 연결하면, 탄화수소 사슬(예. 알킬렌 사슬, 알킬렌옥시알킬렌 사슬 등)의 길이가 길고 직쇄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분자 세그먼트의 회전이 쉽게 이루어져 필름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에틸렌글리콜 및 에틸렌디아민과 같이 알킬 사슬 길이가 너무 짧거나 알킬기가 분지상으로 곁가지를 쳐서 연결되는 경우 열에 의해 쉽게 분자사슬이 끊어져 유연성 개선이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기로는 사슬원자수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사슬원자수 3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직쇄상 알킬기에서 선택하며, 여기서 알킬기의 탄소원자 중 1∼3개는 산소, 질소 등의 헤테로원자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올 화합물, 디아민 화합물 및 아미노알코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X-R-Y
상기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OH 또는 -NH2를 나타내며,
R은 탄소수 3∼20, 바람직하게는 3∼10의 직쇄 알킬기를 나타내며,
상기 직쇄 알킬기는 알킬 사슬 내에 1∼2개의 -O- 또는 -NR-(여기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냄)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X-[CH2CH2-Z]n[CH2CH2]-Y
상기 화학식 2에서,
X 및 Y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OH 또는 -NH2를 나타내며,
Z는 -O- 또는 -NR-(여기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냄)이며,
n은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올 화합물의 예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을 언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 화합물로는 2,2'-옥시비스(에틸아민), 1,3-프로판디아민, 1,4-부탄디아민, 1,5-펜탄디아민, 1,6-헥산디아민, 에틸렌글리콜 비스(2-아미노에틸)에테르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노알코올 화합물은 C1 내지 C8의 아미노알코올에서 선택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아미노알코올 화합물은 C1의 메탄올아민, C2의 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C3의 N-메틸에탄올아민 및 1-아미노-2-프로판올, 및 C4의 4-아미노-1-부탄올, C5의 5-아미노-1-펜탄올, C6의 6-아미노-1-헥산올, C7의 7-아미노-1-헵탄올, C8의 8-아미노-1-옥탄올, 헵타미놀(Heptaminol) 등에서 선택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아민(MEA)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3-아미노-1-프로판올, 4-아미노-1-부탄올, 5-아미노-1-헥산올,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마히드록시알칸산 화합물은 감마히드록시지방산으로서, 히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 사이에 탄소원자수 3∼12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3∼8의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3-히드록시프로판산, 4-히드록시부티르산, 5-히드록시펜탄산, 6-히드록시헥산산, 7-히드록시헵탄산, 8-히드록시옥탄산 등을 언급할 수 있다.
(5) PLA-PBAT 수지 블렌드 및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에 있어서, (ii) PLA-PBAT 블렌드는, 고분자량 PLA 수지 및 고분자량 PBAT 수지를 30:70 ∼ 70:3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40:60 ∼ 60: 40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ii) PLA-PBAT 블렌드는,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를, PLA-PBAT 블렌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2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LA-PBAT 블렌드는 저분자량 PLA 수지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Mw) 50,000∼1,000,000 g/mol의 고분자량 폴리락트산 수지에 더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 5,000∼50,000 g/mol의 저분자량 폴리락트산 수지를 5:95∼20:8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90∼15:85의 중량비로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된 저분자량 PLA 수지는 (ii) PLA-PBAT 블렌드에서 가소제(즉, 내부 가소제)로서도 작용할 수 있으며, 압출 시에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필름과 같은 성형물에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상기 범위보다 과량으로 사용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인 가소제(즉, 외부 가소제)는 10% 이상 첨가시에 용혈 현상(bleeding out)에 의해 표면에 묻어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지만, 저분자량 폴리락트산은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가소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내부 가소제"란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의 하나로서 역할하면서 다른 수지의 가소제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6)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 PLA-PBAT 수지 블렌드 및 상용화제로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는, 가소제(즉, 외부 가소제),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 및 점착 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는, 필요에 따라, 안정제, 윤활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항균제, 생분해촉진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내후안정제 또는 자외선흡수제와 같은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더욱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의 가소제는 외부 가소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틴(triacetin), 시트레이트(citrate)계 가소제 및 고분자형 가소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는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EC), 트리에틸헥실 시트레이트 및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트리부틸 시트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분자형 가소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리세린아세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는, 생분해성 조성물에 함유된 PLA, PBAT 및 상용화제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의 가소화(plasticization)를 조절할 수 있어서, 필름 성형시 신장률 및 인열강도의 향상이 바람직하게 일어날 수 있다. 가소제가 상기 범위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면, 용혈(bleeding out) 현상으로 표면에 가소제가 묻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고, 상기 범위보다 소량으로 사용되면 가소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아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필러는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의 결정화도를 증대하여 강성, 투명성 및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산칼슘(CaCO3), 활석(talc), 규회석, 탄산마그네슘 (MgCO3), 클레이, 벤토나이트,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 필러의 입자 크기는 0.5∼10 ㎛, 바람직하게는 1∼7 ㎛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무기 필러의 입자가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내에서 용이하게 분산할 수 있다.
무기필러의 함량은 PLA 및 PBAT의 수지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산화방지제는 플라스틱 내에 생성된 라디칼과 반응하여 플라스틱을 안정화시키는 라디칼 포착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2차 산화방지제는 1차 산화방지제의 보조역할을 하며, 과산화물 분해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산화방지제의 대표적인 물질은 페놀계와 방향족 아민계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디-t-부틸-4-하이드로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메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차 산화방지제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PLA 및 PBAT의 수지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의 내열성 및 가공성이 좋고 우수한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가공, 성형 및 압출할 때 금형면 또는 압출기 표면과 수지와의 점착성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아마이드계 왁스(Amide-based wax)를 첨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의 용융점도를 저하시켜 가공온도가 낮아지고, 가공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가공도중의 열화를 감소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마이드계 왁스는 에루카미드, 올레아마이드, 스테아르아마이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또는 둘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에루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마이드계 왁스의 함량은 PLA 및 PBAT의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가공, 성형 및 압출시에 효과적으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의 융착성 및 접착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안료(pigment)는 수지에 혼합하여 색상을 발현하거나, 광택을 내거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료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황화아연(ZnS), 황색산화철(FeO(OH), Fe2O3ㆍH2O) 및 코발트블루(CoOㆍAl2O3)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TiO2)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료의 함량은 상기 PLA 및 PBAT의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7)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계 1) 저분자량 폴리락트산 및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를 준비하는 단계;
(단계 2) 상기 저분자량 폴리락트산(PLA) 및 상기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를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연결시켜 PLA-PBAT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단계 3)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PLA 및 PBAT를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PLA-PBAT 블록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단계 1에서, 저분자량 폴리락트산(PLA) 및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는 공지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2 는 상용화제로 사용되는 PLA-PBAT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 내지 4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200,000의 범위에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다양한 연결기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분자량 PLA 블록과 저분자량 PBAT 블록을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로써 연결시켜 제조된 PLA-PBAT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PLA-PBAT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로서, 저분자량 PLA를 아미노알콜 화합물과 혼합하여 아미드화 반응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킨 다음, 또는 저분자량 PBAT를 첨가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함으로써, 하나의 저분자량 PLA 블록 및 하나의 저분자량 PBAT 블록을 갖는 PLA-PBAT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PLA-PBAT 블록공중합체 제조방법의 또 다른 예로서, 저분자량 폴리락트산(PLA) 및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를,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디올 화합물, 디아민 화합물, 아미노알코올 화합물 또는 감마히드록시알칸산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이때, 저분자량 폴리락트산(PLA) 및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의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산기 중의 하나는 필요에 따라 보호 또는 블로킹될 수 있다.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산기의 보호제 또는 블로킹 방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3에서, PLA, PBAT 및 PLA-PBAT 블록 공중합체가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다른 첨가제와 함께 혼련하여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혼합 및 혼련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3에서, 상기 혼합된 PLA, PBAT 및 상용화제를 압출기의 메인 피더(main feeder)에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 중에서 가소제 및 무기필러를 제외한 다른 첨가제는 함께 투입한 다음, 실린더 1/3 내지 2/3 지점의 실린더 사이드(side)에서, 무게감지식 정량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가소제 및 무기필러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지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은 PLA, PBAT, 상용화제 및 임의의 첨가제의 물리적 혼합물이거나, 이들을 물리적으로 혼합한 다음 가온 및/또는 가압하에 혼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3에서 수득된 혼련물은 마스터배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계 4에서, 상기 결과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할 수 있다.
단계 4에서의 압출 방법 및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11-0008049호(발명의 명칭: 과일 보호 봉투)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2142호(발명의 명칭: 끈-일체형 과일재배봉지,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과일의 농약오염 방지방법)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문헌들은 참조에 의해서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출기로는 단축압출기,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 이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는 160 내지 200℃의 온도조건에서 하는 것이 수지의 용융상태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류의 회전수는 150 내지 400 rpm이 바람직하다. 회전수가 지나치게 빠를 경우에는 혼합물의 압출기내의 체류시간을 감소시키고, 지나친 전단 응력을 발생해 가소화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로 압출한 다음 냉각 수조를 이용하여 냉각하고, 회전식 칼날에 의해 펠렛 형태의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펠렛 형태의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은 최종 수분함량이 500 ppm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후 얻어진 펠렛 형태의 생분해성 수지조성물을 0.5 내지 2.5 mm의 갭(gap)을 가지는 원형 다이스를 사용한 블로우 형성을 통해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버(bur)는 0.8 내지 3.0의 범위가 좋으며, 10 내지 25 m/min의 속도로 제조하여, 10 내지 50 ㎛의 두께를 가지는 블로운 필름(Blown film)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제조예 1(PLA-PBAT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말단 -OH기가 아세테이트기로 블로킹된 저분자량 PLA(Mw 11,000) 100g에, 6-히드록시헥산산 1.5g을 도입하고, 대략 45∼50℃에서 대략 5시간 동안 교반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결과된 반응 혼합물에 말단 카르복실산기가 에스테르화된 저분자량 PBAT(Mw 9,800) 100g을 도입하고, 대략 45∼50℃에서 대략 5시간 동안 교반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여 PLA-PBAT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PLA-PABT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대략 21,000이었다.
제조예 2(PLA-PBAT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말단 -OH기가 블로킹된 저분자량 PLA(Mw 11,000) 100g에,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4g을 도입하고, 대략 45∼50℃에서 대략 5시간 동안 교반 하하면서 아미노알콜과 혼합하여 아미드화 반응을 선택적으로 진행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저분자량 PBAT(Mw 9,800) 100g을 도입하고, 대략 85∼90℃에서 벤젠-물의 공비증류로 물을 제거하면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대략 10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얻어진 반응혼합물에서 PLA-PBAT 블록 공중합체를 분리하였다. 얻어진 PLA-PABT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대략 21,000이었다.
실시예 1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압출장치 및 과일재배용 보호봉투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PLA 수지 100g, PBAT 수지 100g, 제조예 1에서 수득한 PLA-PABT 블록공중합체 10g, 자외선보호제 0.5g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고, 압출기에 도입하여 블로운 성형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한 다음, 보호봉투 제조장치에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지만, 제조예 2에서 수득한 PLA-PABT 블록 공중합체 10g을 사용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및 4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지만, PLA 수지 및 PBAT 수지의 사용량을 각각 30:70 및 70:30으로 변경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및 6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지만, 제조예 1에서 수득된 PLA-PABT 블록공중합체의 사용량을 각각 5g 및 20g으로 변경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지만, 가소제로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대략 10,000 g/mol인 폴리락트산 10g을 더 첨가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진행하지만, 가소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5g을 더 첨가하여,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이용한 과일재배 및 수확)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과일재배용 보호봉투에 공기를 불어넣고 입구를 밀봉한 다음, 대기 및 일광 하에 일정 기간 (대략 100∼180일) 동안 노출하였다.
상기 기간이 경과한 후에, 일부 봉투에서 생분해 현상을 보였지만,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천공이나 인열이 발생한 봉투는 전체의 2.5% 미만이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i) PLA-PBAT 블렌드,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 및 (iii) 첨가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된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로서,
    상기 (i) PLA-PBAT 블렌드는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며;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상용화제로서, 저분자량 PLA 블록 및 저분자량 PBAT 블록이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및
    상기 (iii) 첨가제는 가소제,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PLA-PBAT 블렌드에서,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는 50,000∼1,00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며, 또는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는 20,000∼60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PLA-PBAT 블렌드에서,
    고분자량 폴리락트산(PLA)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는 30:70 ∼ 70:30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 PLA-PBAT 블렌드는,
    중량평균분자량(Mw) 50,000∼1,000,000 g/mol의 고분자량 폴리락트산 및 중량평균분자량(Mw) 5,000∼50,000 g/mol의 저분자량 폴리락트산을 5:95∼20:8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저분자량 PLA 블록은 5,000∼3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며, 저분자량 PBAT 블록은 5,000∼2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10,000 내지 2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i) PLA-PBAT 블렌드 100중량부에 대해 1∼3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 PLA-PBAT 블록공중합체에서,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은, 탄소원자수 3∼12의 디올 화합물, 탄소원자수 3∼12의 디아민 화합물, 탄소원자수 3∼12의 아미노알코올 화합물 또는 탄소원자수 3∼12의 감마히드록시알칸산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i) 첨가제는,
    상기 (i) PLA-PBAT 블렌드 100중량부에 대해 0.5∼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10. (단계 1) 고분자량 폴리락트산 수지 및 고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혼합하여 (i) PLA-PBAT 수지 블렌드를 준비하는 단계;
    (단계 2) 저분자량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저분자량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를 사슬원자수 3∼12의 직쇄 탄화수소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연결시켜 (ii) PLA-PBAT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단계 3)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i) PLA-PBAT 수지 블렌드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상기 (ii) PLA-PBAT 블록 공중합체 및 첨가제를 혼합시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i) PLA-PBAT 수지 블렌드, (ii) PLA-PBAT 블록 공중합체 및 (iii) 첨가제를 함께 혼련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의 제조방법.
KR1020200098349A 2020-08-06 2020-08-06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8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49A KR20220018170A (ko) 2020-08-06 2020-08-06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49A KR20220018170A (ko) 2020-08-06 2020-08-06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70A true KR20220018170A (ko) 2022-02-15

Family

ID=8032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349A KR20220018170A (ko) 2020-08-06 2020-08-06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1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4052A (zh) * 2022-12-12 2023-05-09 东华大学 一种柔软亲肤的改性聚乳酸纤维的制备方法
CN117534944A (zh) * 2023-12-11 2024-02-09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571A (ko) 2010-12-02 2012-06-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1703A (ko) 2016-03-29 2017-10-12 (주)우성케미칼 상용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컴파운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571A (ko) 2010-12-02 2012-06-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1703A (ko) 2016-03-29 2017-10-12 (주)우성케미칼 상용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컴파운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4052A (zh) * 2022-12-12 2023-05-09 东华大学 一种柔软亲肤的改性聚乳酸纤维的制备方法
CN116084052B (zh) * 2022-12-12 2024-02-02 东华大学 一种柔软亲肤的改性聚乳酸纤维的制备方法
CN117534944A (zh) * 2023-12-11 2024-02-09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6807A (en) Melt-stable semi-crystalline lactide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EP0615529B1 (en) Melt-stable lactide polymer film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US6005068A (en) Melt-stable amorphous lactide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CN111801385B (zh) 成形体、片材及容器,以及管状体、吸管、棉签及气球用杆
JP3753254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CN107868416B (zh) 一种聚乳酸复合材料及其应用
KR20110037983A (ko) 생분해성 포장 필름
CA2090977A1 (en) Films containing polyhydroxy acids
KR20220017791A (ko) Pla-pbat 블록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TWI402309B (zh) 生物分解性樹脂組成物及薄膜或薄片
WO2020195550A1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樹脂組成物、その成形体及びフィルム又はシート
KR20220018170A (ko) 과일재배용 생분해성 보호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273207A (ja) ポリ乳酸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41008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5332552B2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チップ状物
Arrieta et al. PLA-based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CNC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From synthesis to biodegradation
KR102187340B1 (ko) 투명도와 유연성이 우수한 필름제조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220018169A (ko) 버섯재배용 생분해성 배지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JP3178692B2 (ja)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3295717B2 (ja) 加工性ポリ(ヒドロキシ酸)
JPH11241009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3905896B2 (ja) 水蒸気バリヤー性が改善された生分解性フィルムおよび水蒸気バリヤー性のコントロール方法
JP2005089537A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成形体、並びに土中分解性抑制方法
JPH11209482A (ja) 生分解性フィルム及びシート
KR950014918B1 (ko) 분해성 통기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