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065A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065A
KR20220015065A KR1020200095092A KR20200095092A KR20220015065A KR 20220015065 A KR20220015065 A KR 20220015065A KR 1020200095092 A KR1020200095092 A KR 1020200095092A KR 20200095092 A KR20200095092 A KR 20200095092A KR 20220015065 A KR20220015065 A KR 2022001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control layer
transmittance control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지석
윤지수
민주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065A/en
Publication of KR2022001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0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01L51/5262
    • H01L27/3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can alleviate color deviations caused by viewing angle changes while realizing low reflection and high brightn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es: a substrate; a first to a third light emitting diod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 light absorption pattern positioned on at least one among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 and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positioned on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nd allow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to enter the same. Accordingly, color deviations caused by viewing angle chang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minimized, and external light reflection can be adjusted to a prescribed level or low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improve the brightness of each subpixel or reduce consumption power based on equal brightnes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ptimized for external light reflectivity and brightness for products having a variety of reflectivity, thereby expanding product groups, satisfying customer needs, reducing material costs by eliminating expensive polarizing plates, and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본 발명은 저반사 및 고휘도를 구현하면서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를 개선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lor devi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while implementing low reflection and high luminance.

최근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또한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에 부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as society enters the information age in earnest, interest in information displays that process and displa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on the rise, and as the demand for using portable information media increases, various lightweight and thin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in the spotlight.

특히, 다양한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among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re self-luminous devices and do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which are non-light emitting devices. Lightweight and thin is possible.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irect current low voltage driving is possible, the response speed is fast, and the internal component is solid, so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impact, and the temperature range is wide. It has advantages.

한편,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각종 배선이나 전극에 의한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 표시패널 상부 표면에 원형 편광판(circular polarizer)을 위치시키게 된다. Meanwhile, in such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circular polarize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reduce reflection by various wires or electrodes made of metal.

원형 편광판은 위상차판과 선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위상차판은 1/4λ 위상지연값을 갖는 4분의 1파장판(quarter wave plate : QWP)로 이루어지며, 선편광판은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축 방향으로 광을 선편광시키게 된다.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composed of a retardation plate and a linear polarizing plate. The retardation plate is composed of a quarter wave plate (QWP) having a 1/4λ phase delay value, and the linear polarizing plate has a polarization axis and is polarized i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The light is linearly polarized.

이러한 원형 편광판을 표시패널에 상부 표면에 위상차판이 위치하도록 하며, 위상차판 상부로 선편광판을 위치시키게 되면, 외부광에 의해 표시패널 내부에서 반사가 일어나게 되고, 반사된 빛이 외부로 나올 때 선편광판을 투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외광반사율이 저감되게 된다. Such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retardation plat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whe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is positioned above the retardation plate, reflection occurs inside the display panel by external light, and when the reflected light comes out, the linear polarizing plate By not being able to transmit the light,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s reduced.

그러나 이와 같이 원형 편광판을 표시패널 상부 표면에 위치시키게 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휘도 또한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되게 된다. 즉, 원형 편광판의 투과율은 약 40% ~ 50%로 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빛의 휘도는 원형 편광판을 통과하면서 50%이상 감소되게 된다. However, whe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s also reduced. That is, the transmittance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about 40% to 50%, and the luminance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is reduced by 50% or more while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RGB 독립발광 방식과, 백색 OLED와 RGB 컬러필터를 이용하는 방식 및 색변환 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이 중 RGB 독립발광 방식은 고효율과 고색순도의 장점이 있으나,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Color Shift)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즉, 표시장치의 시청자가 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와 표시장치를 비스듬하게 바라볼 때의 영상 색감차를 느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divided into an RGB independent light emitting method, a method using a white OLED and an RGB color filter, and a color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for realizing full color, among which RGB independent light emission method Although this method has advantages of high efficiency and high color purit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color shift occurs due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That is, the viewer of the display device may feel a difference in image color when viewing the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and viewing the display device from an angle.

따라서 최근에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외광반사율을 저감하면서도 휘도를 향상시키고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를 개선하기 위한 개발이 활발히 연구 중이다. Therefore, recently, while reducing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luminance is improved and the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color devi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iewing angle is being actively studi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반사 및 고휘도를 구현하면서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를 개선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lor devi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while implementing low reflection and high luminanc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판과, 기판 상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와, 제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위치하는 흡광패턴과, 흡광패턴 상에 위치하고,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투과율제어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of a substrat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nd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Provided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bsorption pattern positioned at

이때, 제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을 투과하는 거리는 시야각이 커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may increas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또한, 흡광패턴은 제 2 및 제 3 발광다이오드 상에만 위치하고, 제 2 및 제 3 발광다이오드가 방출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may be positioned only on the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a portion of light emitted by the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absorbed.

이 경우, 제 1 발광다이오드는 적색광을 방출하고, 제 2 발광다이오드는 녹색광을 방출하며, 제 3 발광다이오드는 청색광을 방출하고, 흡광패턴은 380 내지 580 nm 파장대의 광을 15% 내지 35% 흡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emits red light,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emits green light,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emits blue light, and the absorption pattern absorbs 15% to 35% of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380 to 580 nm. can do.

한편,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제 1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투명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pattern position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이 경우, 흡광패턴 및 투명패턴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는 흡광패턴 및 투명패턴과 중첩하지 않는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that overlap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nd the transparent pattern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that does not overlap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nd the transparent pattern.

구체적으로, 투명패턴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는, 제 2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흡광패턴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보다 얇고, 제 3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흡광패턴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transparent patter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locat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located on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thicker than the

한편, 투과율제어층은 그레이(gray)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may include a gray dye.

또한,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와 투과율제어층 사이로 패시베이션층이 위치하며, 흡광패턴은 투과율제어층의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패시베이션층과 밀착되어 위치하거나, 투과율제어층의 일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타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ivation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and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located at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ivation layer, or faces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t may be located on the other edge.

다른 경우에, 투과율제어층은 기판 외측에 위치하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와 투과율제어층 사이로 각각 제 1 내지 제 3 컬러필터가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case,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substrate, and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ling layer, respectively.

이 경우, 흡광패턴은 투과율제어층의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기판과 밀착되어 위치하거나, 투과율제어층의 일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타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may be positioned at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and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strate, or may be positioned at the other edge facing the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일부 서브화소 상에 배치된 흡광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disposed on some sub-pixels, color deviation due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i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유기발광층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대응하여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원형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the gray dye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o that it is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even without a separate circular polarizing plate.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특히, 전극부와 각 R, G, B 서브화소 별로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는 동시에 휘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는 동등 휘도 기준으로 소비전력 또한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particular, since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for the electrode part and each R, G, and B sub-pixel, it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luminance can be improved, or consumed based on the same luminance It also has the effect of lowering power.

따라서, 저반사와 고휘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수명 및 효율 또한 개선되는 동시에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low reflection and high luminance,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lifespan and efficiency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가진 제품에 대해 휘도와 외광반사율에 최적화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제품군 확대 및 고객 요구(needs)를 만족시킬 수도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고가의 편광판 생략을 통해 재료비용 절감 및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ptimized for luminance and external light reflectivity for products having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expanding product groups and satisfying customer needs, and also Omitting the polariz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terial cost and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광패턴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및 흡광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5는 흡광패턴 대신 기존의 원형 편광판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파장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파장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과율제어층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또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transmitt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the absorp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absorption patter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graphs showing lumin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 conventional circular polarizing plate instead of a light absorption pattern.
6 and 7 are graphs showing lumin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ransmitt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oth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oth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이 출원의 일 예들은 이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이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is applica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examples of this application allow the disclosure of this application to be complet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of this appl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ith knowledg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of this appl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여기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is application are exemplary, and thus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her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explaining the example of this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출원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application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이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is applica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that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이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is appl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에서는 이 출원에 따른 표시장치의 다양한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structure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 제 1 실시예 -- 1st embodi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기판(101) 상에 정의된 각 서브화소(R-SP, G-SP, B-SP)에는 각각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가 구비되나, 설명의 편의 및 도면의 간결함을 위하여 하나의 서브화소(R-SP, G-SP, B-SP)에만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도시하도록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each sub-pixel (R-SP, G-SP, B-SP) defined on the substrate 101 is provided with a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respectively,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rawings For the sake of brevit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illustrated in only one sub-pixel (R-SP, G-SP, B-SP).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기판(101) 상에 다수의 서브화소(R-SP, G-SP, B-SP)가 정의되는데, 다수의 서브화소(R-SP, G-SP, B-SP)들 각각이 데이터라인(DL)들과 게이트라인(미도시)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R-SP, G-SP, and B-SP are defined on a substrate 101 , Each of the sub-pixels R-SP, G-SP, and B-SP may be defined by an intersecting structure of data lines DL and gate lines (not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서로 인접한 적어도 3개의 서브화소(R-SP, G-SP, B-SP)는 컬러 표시를 위한 하나의 단위 화소(P)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위 화소(P)는 서로 인접한 적색 서브화소(R-SP), 녹색 서브화소(G-SP) 그리고 청색 서브화소(B-SP)를 포함하며, 이러한 각각의 서브화소(R-SP, G-SP, B-SP)는 각각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광을 발광하게 된다. At least three sub-pixels R-SP, G-SP, and B-SP adjacent to each other may constitute one unit pixel P for color display. For example, one unit pixel P includes a red sub-pixel (R-SP), a green sub-pixel (G-SP), and a blue sub-pixel (B-SP)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se sub-pixels ( R-SP, G-SP, and B-SP respectively emit red, green, and blue light.

각각의 서브화소(R-SP, G-SP, B-SP)는 각각 발광영역(EA)을 포함하며, 발광영역(EA)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뱅크(119)가 배치되어 비발광영역(NEA)을 이루게 된다. Each of the sub-pixels R-SP, G-SP, and B-SP includes an emission area EA, and a bank 119 is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emission area EA to form a non-emission area NEA. ) is achieved.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서브화소(R-SP, G-SP, B-SP)가 동일한 너비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으나, 각 서브화소(R-SP, G-SP, B-SP)는 서로 다른 너비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sub-pixel (R-SP, G-SP, B-SP)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the same width, but each sub-pixel (R-SP, G-SP, B-) SP) may have various structures with different widths.

이때,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비발광영역(NEA) 상에는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가 구비되며,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내의 발광영역(EA) 상에는 각각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 및 제 2 전극(115)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E)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적색 서브화소(R-SP)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적색 발광다이오드라고 하고, 녹색 서브화소(G-SP)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녹색 발광다이오드라고 하며, 청색 서브화소(B-SP)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를 청색 발광다이오드라고 한다.At this time, a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DTr) is provided on the non-emission area NEA of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and each sub-pixel R-SP, G The light emitting diode E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11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 113b , and 113c ,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i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area EA in the -SP and B-SP, respectively. Here, the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in the red sub-pixel R-SP is referred to as a red light-emitting diode, the light-emitting diode disposed in the green sub-pixel G-SP is referred to as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lue sub-pixel B-SP is referred to as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 is called a blue light emitting diode.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서로 연결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발광다이오드(E)와 연결된다.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E.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기판(101) 상의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스위칭영역(TrA) 상에는 반도체층(103)이 위치하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positioned on the switching region TrA of each of the sub-pixels R-SP, G-SP, and B-SP on the substrate 101 ,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made of silicon. The central portion of which is composed of an active region 103a constituting a channel,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103b and 103c dop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impurities on both sides of the active region 103a.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위치한다. A gate insulating layer 105 is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미도시)이 구비된다. A gate electrode 107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103a of the semiconductor layer 103 and a gate wiring (not shown) extending in one direction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05 .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상부로는 제 1 층간절연막(109a)이 위치하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9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a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107 and the gate wiring (not shown), and in this case,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a and the lower gate insulating film 105 are activ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116 exposing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103b and 103c loca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gion 103a, respectively, are provided.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a, 110b)이 구비되어 있다. Nex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a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116 ,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0a and 110b in contact with 103b and 103c, respectively, are provided.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0a, 110b)과 두 전극(110a, 110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 제 2 층간절연막(109b)이 위치한다.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b is position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a exposed betwee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0a and 110b and the two electrodes 110a and 110b.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0a, 110b)과 이들 전극(110a, 110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ncluding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0a and 110b and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103b and 103c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s 110a and 110b, and the gate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 The insulating layer 105 and the gate electrode 107 form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3)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 또는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게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for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e top gate type in which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made of a polysilicon semiconductor layer or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is shown as an example, and variations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bottom gate type made of pure and impurity amorphous silicon.

이때, 반도체층(103)이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반도체층(103) 하부로 차광층(미도시)이 더욱 위치할 수 있으며, 차광층(미도시)과 반도체층(103) 사이로 버퍼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is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a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positioned below the semiconductor layer 103 , and a buffer layer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03 . city) may be located.

제 2 층간절연막(109b)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0b)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117)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로는 드레인콘택홀(117)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0b)과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의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b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117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10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a drain contact hole 117 is formed above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b. The first electrode 111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10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rough ,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work function value, and forms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E, is located.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데,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111)은 뱅크(119)를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 경계부로 하여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갖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111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and the first electrode 111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Between (111), a bank (bank: 119) is located.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1 uses the bank 119 as a boundary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to each sub-pixel (R-SP, G-SP, B-SP). It has a separate structure.

그리고 뱅크(119)를 포함하는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이 위치하는데,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organic light-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are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111 including the bank 119,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made of a light-emitting material. and a multilayer of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may consist of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이 형성된다. 즉, 적색 서브화소(R-SP)에는 적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13a)이 적색 서브화소(R-SP)의 발광영역(EA)의 전면으로 위치하게 되며, 녹색 서브화소(G-SP)에는 녹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13b)이 녹색 서브화소(G-SP)의 발광영역(EA)의 전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Her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that emit different colors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 is formed. That is, in the red sub-pixel R-SP,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13a emitting red ligh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emission area EA of the red sub-pixel R-SP, and the green sub-pixel G-SP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b emitting green ligh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green sub-pixel G-SP.

그리고, 청색 서브화소(B-SP)에는 청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13c)이 청색 서브화소(B-SP)의 발광영역(EA)의 전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blue sub-pixel B-SP,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13c emitting blue ligh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ght-emitting area EA of the blue sub-pixel B-SP.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R, G, B 컬러를 발하게 되어, 고휘도의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R, G, and B colors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thereby providing a high-luminance full- It implements full color.

이러한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A second electrode 115 forming a cathode is position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제 2 전극(115)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 work function value.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선택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광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according to a selected signal, holes injected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5 are ) provided by electrons are transpor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to form excitons, and when these excitons are transitioned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light is generated and emitted in the form of visible light.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으로,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으로부터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발광되는 각각의 적색광(Red), 녹색광(Green), 청색광(Blue)은 제 2 전극(115)을 투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된다. 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 emission type, and each sub-pixel R-SP and G-SP is form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 B-SP), each of the red light (Red), green light (Green), and blue light (Blu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115 .

이러한 상부 발광방식은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들이 뱅크(119)와 제 1 전극(111) 아래에 넓게 마련될 수 있어, 하부 발광방식에 비해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들의 설계 영역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top light emitting method,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not shown, DTr) can be widely provided under the bank 119 and the first electrode 111, so that compared to the bottom light emitting method, the thin film transistors (not shown, DTr)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wide design area.

이때 이러한 상부 발광방식은 애노드 전극의 제 1 전극(111)이 알루미늄(Al), 및 알루미늄(Al)과 ITO의 적층 구조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의 제 2 전극(115)은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으로부터 발광되는 각각의 적색광, 녹색광 그리고 청색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과 같은 반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is upper emission method,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anod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luminum (Al) and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reflectance such as a stacked structure of aluminum (Al) and ITO,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cathode electrode 115 is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material such as ITO or IZO, or magnesium (Mg), silver (Ag) so that each of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can be transmitted , or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metal material such as magnesium (Mg) and silver (Ag).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패시베이션층(102)이 위치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패시베이션층(10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In addition, the passivation layer 102 in the form of a thin film is positioned 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s encapsulate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102 ( encapsulation).

패시베이션층(102)은 유기발광표시장치(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패시베이션층(102)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기발광표시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E) 및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passivation layer 102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nd the passivation layer 102 protects the light emitting diode (OLED) provi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from external impact. E) and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DTr).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패시베이션층(102) 상에 위치한 흡광패턴(220)을 포함한다. 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positioned on the passivation layer 102 .

흡광패턴(22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E)에서 방출된 광을 일부 흡수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광패턴(220)은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패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2개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패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광패턴(22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1개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패턴일 수도 있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a pattern that partially absorbs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E). In one embodimen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a pattern that absorb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a pattern that absorbs some of the light.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a pattern that absorbs a portion of light emitted from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이러한 흡광패턴(220)은 일부 서브화소(G-SP, B-SP) 상의 발광영역(E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광패턴(220)은 일부 발광다이오드 상에만 위치할 수 있다. 즉, 흡광패턴(220)은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상에만 형성되고 적색 발광다이오드 상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2개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광패턴(22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1개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area EA on some of the sub-pixels G-SP and B-SP. Specifically,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located only on some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is formed only on the green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lue light emitting diode and may not be formed on the red light emitting di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formed only on any two of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can be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이러한 흡광패턴(220)에 대하여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광패턴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및 흡광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2 is a graph showing transmitt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a light absorption patter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absorption patter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광패턴(220)은 녹색 및 청색광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흡광패턴(220)이 광을 흡수하는 정도는 시야각(Viewing Angl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서, 시야각이란 표시장치의 시청자가 표시장치를 바라보는 각도를 의미하며, 시청자가 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의 시야각을 0도로 정의하고, 시청자가 표시장치를 비스듬하게 바라볼수록 시야각이 증가한다고 정의한다.As shown in FIG. 2 ,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bsorb a portion of green and blue light. The degree to which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bsorbs light may vary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Here, the viewing angle means an angle at which a viewer of the display device looks at the display device, the viewing angle when the viewer looks at the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is defined as 0 degrees, and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s the viewer looks at the display device at an angle define that

흡광패턴(220)은 시야각 0도에서 380 내지 580 nm 파장대의 광을 15% 내지 35% 흡수(65% 내지 85% 투과)할 수 있다. 흡광패턴(220)이 시야각 0도에서 380 내지 580 nm 파장대의 광을 15% 미만 흡수한다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흡광패턴(220)이 시야각 0도에서 380 내지 580 nm 파장대의 광을 35% 초과 흡수한다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휘도 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absorb 15% to 35% (transmit 65% to 85%) of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380 to 580 nm at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I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bsorbs less than 15% of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380 to 580 nm at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the effect of improving color devi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insignificant. I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bsorbs more than 35% of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380 to 580 nm at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the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nd thus product reliability may be deteriorated.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는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흡광패턴(220)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흡광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녹색 발광다이오드 상에는 시야각 0도에서 500 내지 580 nm 파장대의 광을 15% 내지 35% 흡수하는 제1 흡광패턴을 배치하고, 청색 발광다이오드 상에는 시야각 0도에서 380 내지 500 nm 파장대의 광을 15% 내지 35% 흡수하는 제2 흡광패턴을 배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absorbing pattern 220 made of the same material is disposed on the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 light absorption pattern formed may be disposed. For example, a first absorption pattern absorbing 15% to 35% of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500 to 580 nm is disposed on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at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and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380 to 500 nm at a viewing angle of 0° is dispos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iode. A second absorption pattern absorbing 15% to 35% may be disposed.

또한, 흡광패턴(220)은 복수의 흡광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광패턴(220)은 녹색광을 흡수하는 흡광잉크 및 청색광을 흡수하는 흡광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광패턴(220)은 적어도 하나의 양자점(Quantum Dot)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a plurality of light absorption inks. In an embodimen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a light absorption ink absorbing green light and a light absorption ink absorbing blue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single material.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quantum dot material.

전술한 바와 같이, 흡광패턴(220)이 광을 흡수하는 정도는 시야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광패턴(220)이 광을 흡수하는 정도는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커질 수 있다. 도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을 투과하는 거리는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발광다이오드에서 시야각 0도 방향으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220)을 투과하는 거리를 1이라고 할 경우, 시야각 30도 방향으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220)을 투과하는 거리는 1.16이 되고, 시야각 60도 방향으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220)을 투과하는 거리는 2가 된다. 즉,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발광다이오드(E)에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220)을 투과하는 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E)에서 방출된 광은 흡광패턴(220)에 더욱 많이 흡수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광패턴(220)은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특정 파장대의 광을 더욱 많이 흡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to which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bsorbs l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Specifically, the degree to which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bsorbs light may increas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any one light emitting diode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may increas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For example, when a distance through which light emitted in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from a specific light emitting diode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220 is 1, the distance at which light emitted in a viewing angle of 30 degrees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220 is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viewing angle of 60 degrees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220 becomes 1.16. That is,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E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220 becomes longer. will be absorb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absorb more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이러한 흡광패턴(220)은 도 3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광패턴(220)의 형상은 흡광패턴(220)이 형성되는 표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패시베이션층(102)의 표면 처리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 또는 소수성 표면 처리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흡광패턴(220)이 패시베이션층(102)과 접촉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E)에서 방출된 광이 흡광패턴(220)을 투과하는 거리도 조절할 수 있다.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3 . The shape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urface on which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is formed, and the passivation layer 102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hydrophilicity or hydrophobicity surface treatment, the area in which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contacts the passivation layer 102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E is absorbed by the absorption pattern 220 . ) can also be adjusted.

이러한 흡광패턴(220)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5는 흡광패턴(220) 대신 기존의 원형 편광판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파장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파장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The effect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4 and 5 are graphs showing lumin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 conventional circular polarizing plate instead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 6 and 7 are graphs showing luminance according to wavelength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서 흡광패턴(220), 투명패턴(210, 후술함), 및 투과율제어층(200, 후술함) 위치에 기존의 원형 편광판을 배치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도 4와 같은 파장별 휘도 그래프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는 시야각이 0도, 30도, 및 60도인 3개의 파장별 휘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에서는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 현상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 3개의 시야각 그래프를 적색 피크 파장을 기준으로 정렬(Red Normalizing)할 필요가 있다.First, in FIG. 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conventional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in the positions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 the transparent pattern 2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to be described later) by wavelength as shown in FIG. 4 . You will have a luminance graph. Specifically, FIG. 4 shows luminance graphs for three wavelengths with viewing angles of 0 degrees, 30 degrees, and 60 degrees. However, in FIG. 4 , since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determine whether a color deviation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viewing angle, it is necessary to align the three viewing angle graphs based on the red peak wavelength (Red Normalizing).

도 5는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 현상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도 4의 3개의 시야각 그래프를 적색 피크 파장을 기준으로 정렬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야각이 증가할 경우 적색광의 휘도는 일정하지만 녹색 및 청색광의 휘도는 점점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표시장치의 시청자가 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보다, 표시장치를 비스듬하게 바라볼 때에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더욱 푸르스름(Bluish)하게 보이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동일한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보는 영상과 표시장치의 비스듬한 위치에서 바라보는 영상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시야각에 상관없이 일관된 영상을 표시해야 되는 표시장치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된 것이다.5 is a graph in which three viewing angle graphs of FIG. 4 are arranged based on a red peak wavelength in order to intuitively determine whether a color deviation occurs due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viewing angle is increased, the luminance of the red light is constant, but the luminance of the green and blue light is gradually increased. That is, when the viewer of the display device looks at the display device from an angle than when the viewer looks at the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looks more bluish.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same image is viewed, the image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viewed from an obliqu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are different. This is a problem in th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that must display a consistent image regardless of the viewing angle.

시야각viewing angle 0도0 degrees 30도30 degrees 60도60 degrees 색좌표(Cx, Cy)Color coordinates (Cx, Cy) 0.296, 0.3140.296, 0.314 0.270, 0.2980.270, 0.298 0.256, 0.2930.256, 0.293 △u′v′△u'v' -- 0.0180.018 0.0280.028

이와 관련된 실험 결과는 위 (표 1)과 같다. 위 (표 1)과 같이, 시야각 0도에서 임의의 색좌표 (0.296, 0.314)가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얼마나 변화하는지 측정한다면,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가 얼마나 발생하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서, △u′v′ 은 시야각에 따른 색감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값이 커질수록 시야각에 따른 색감차가 커진다. 위 (표 1)과 같이, 시야각 0도 대비 시야각 60도의 △u′v′은 0.028이므로, 이만큼 시야각에 따른 색감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흡광패턴(220)을 배치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시야각이 0도, 30도, 및 60도인 3개의 파장별 휘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3개의 시야각 그래프를 적색 피크 파장을 기준으로 정렬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The experimental results related to this are shown above (Table 1). As shown in Table 1 above, if we measure how much arbitrary color coordinates (0.296, 0.314) chang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t 0 degrees of viewing angle, we can see how much color devi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change. Here, Δu'v' means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as this value increases,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s shown in Table 1 above, since Δu′v′ of a viewing angle of 60 degrees compared to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is 0.028, a difference in color occur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by that much. In this regar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improve the above problem by dispos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on the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Specifically, FIG. 6 shows luminance graphs for three wavelengths with viewing angles of 0 degrees, 30 degrees, and 60 degree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three graphs of FIG. A graph in which the viewing angle graph is arranged based on the red peak wavelength is show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는 시야각이 증가하여도 적색광의 휘도뿐만 아니라 녹색 및 청색광의 휘도도 거의 일정하다. 즉, 표시장치의 시청자가 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와 표시장치를 비스듬하게 바라볼 때의 영상 색감차가 거의 느껴지지 않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장치를 어떤 시야각으로 바라보게 되더라도 거의 동일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곧 표시장치가 시야각에 무관하게 일관된 영상을 표시하게 됨으로써 그 품질이 향상된다는 의미이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luminance of red light but also luminance of green and blue light is almost constant even when the viewing angle is increased. That is, when the viewer of the display device looks at the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and when the viewer of the display device looks at the display device at an angle, the difference in image color is hardly fel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view almost the same image no matter what viewing angle the display device is viewed from. This means that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consistent image regardless of the viewing angle, and thus the quality is improved.

시야각viewing angle 0도0 degrees 30도30 degrees 60도60 degrees 색좌표(Cx, Cy)Color coordinates (Cx, Cy) 0.295, 0.3130.295, 0.313 0.297, 0.3030.297, 0.303 0.298, 0.3050.298, 0.305 △u′v′△u'v' -- 0.0080.008 0.0070.007

이와 관련된 실험 결과는 위 (표 2)와 같다. 위 (표 2)는 시야각 0도에서 임의의 색좌표 (0.295, 0.313)이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얼마나 변화하는지 측정한 결과이다. 위 (표 2)과 같이, 시야각 0도 대비 시야각 60도의 △u′v′은 0.007이므로, 위 (표 1)과 비교하였을 때 시야각에 따른 색감차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러한 시야각에 따른 색감차 개선은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배치된 흡광패턴(220)이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많은 양의 녹색 및 청색광을 흡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즉, 흡광패턴(220)이 단순하게 특정 색상의 광을 일정 수준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흡광패턴(220)에 시야각에 따라 흡수 정도를 달리하는 설계를 적용함으로써, 시야각에 무관하게 일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고품질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e experimental results related to this are shown above (Table 2). Above (Table 2) is the result of measuring how much the arbitrary color coordinates (0.295, 0.313) chang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t 0 degrees of viewing angle. As shown in the above (Table 2), since Δu′v′ of a viewing angle of 60 degrees compared to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is 0.007,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above (Table 1). These viewing angles The color differenc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olor difference may be achieved by absorbing a larger amount of green and blue light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by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disposed on the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the absorption pattern 220 does not simply absorb a certain level of light of a specific color, but by applying a design that varies the degree of absorption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o the absorption pattern 220, a consistent image can be displayed regardless of the viewing ang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은 시야각이 증가함에 따라 영상이 푸르스름해지는 현상을 개선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야각에 증가함에 따라 영상에 붉은빛이 더해지는 현상(Redish)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에 증가함에 따라 영상이 붉은빛이 더해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색 및 녹색 발광다이오드 상에만 시야각 0도에서 580 내지 780 nm 파장대의 광을 15% 내지 35% 흡수하는 흡광패턴을 배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the phenomenon that the image becomes bluish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phenomenon of adding light (Redish). 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phenomenon in which red light is added to the image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an absorption pattern that absorbs 15% to 35% of light in the 580 to 780 nm wavelength band at 0 degrees of viewing angle is arranged only on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diodes. can do.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흡광패턴(220) 상에 위치한 투과율제어층(200)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on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

투과율제어층(200)은 투명레진과 그레이(gray) 염료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투명레진과 혼합된 그레이 염료는 파장에 따른 투과율 제어가 가능하다.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may be implemented as a film made of a mixture of a transparent resin and a gray dye, and the gray dye mixed with the transparent resin can control transmittance according to a wavelength.

여기서, 투명레진은 바인더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멜라민계, 폴리비닐알콜계 및 옥사졸린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transparent resin may be made of a binder resin, for example,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based, acrylic-based, polyurethane-based, melamine-based, polyvinyl alcohol-based and oxazoline-based binder resins, preferably may be made of an acrylic binder resin.

이러한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은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투과율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상관색온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투과율은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ncluding the gray dye is designed to change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ransmittance in order to optimize white balance efficiency. 2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es D1 and D2.

즉,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과율제어층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투과율제어층(200)은 두께(D1, D2)에 따라 다양한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the accompanying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may implement various transmittances according to the thicknesses D1 and D2. .

이와 같은 투과율제어층(200)은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두께(D1, D2)를 조절함으로써, 유기발광표시장치(100)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투과율을 설계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adjusts the thicknesses D1 and D2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s ) can be adjusted by designing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it.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별도의 원형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아도, 원형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거나 또는 원형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 보다 더욱 낮게 또는 더욱 높게 원하는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circular polarizing plate, but is similar to the case of us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or lower or higher than when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used. It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과율제어층(200)은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와 전극부(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2)를 서로 상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휘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외광반사율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출 수도 있다. That is,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corresponding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R, G, and B sub-pixels R-SP, G-SP, and B-SP. The thickness D1 of 200 and the thickness D2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ode portion (non-emission area NEA) can be design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rough which R, G,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may be lowered below a certain level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B sub-pixels (R-SP, G-SP, and B-SP).

여기서,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는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상술한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을 구비함으로써 설계 가능한데,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은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에 따른 단차를 보상하여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는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과 중첩하지 않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Here, the thickness D1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R, G, and B sub-pixels R-SP, G-SP, and B-SP is each R, G, It can be designed by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corresponding to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sub-pixel B (R-SP, G-SP, B-SP).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compensates for a ste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hickness D1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to adjust the thickness D1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that does not overlap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 can

이러한 투명패턴(210)은 바인더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멜라민계, 폴리비닐알콜계 및 옥사졸린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pattern 21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inder resin, for example, a polyester-based, acrylic-based, polyurethane-based, melamine-based, polyvinyl alcohol-based, and oxazoline-based binder resin, Preferably, it may be made of an acrylic binder resin.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을 커버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은 패시베이션층(10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굴절율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로부터 발광된 광들이 패시베이션층(102)을 투과하여 투과율제어층(200)으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패시베이션층(102)과 투과율제어층(200) 사이의 경계면에서 광이 굴절되어 손실되거나, 또는 외광반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cover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is preferably design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refractive index as the passivation layer 102, through which each R, G, B sub-pixel ( Between the passivation layer 102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n the process of light emitted from R-SP, G-SP, B-SP) passing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102 and being incident on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from being refracted and lost at the interface of , or from an increase in external light reflectance.

또는, 별도의 투명패턴(210) 외에도 투과율제어층(200)의 일면이 패터닝되어,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아무것도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n addition to the separate transparent pattern 210, one surfac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s patterned, so that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each R, G, and B sub-pixel R-SP, G-SP, B-SP It can also be formed so that nothing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it.

이러한 투과율제어층(200) 상부로는 점착제(미도시)를 개재하여 커버글라스(104)가 부착된다. A cover glass 104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with an adhesive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투과율제어층(200)의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은 패시베이션층(102)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102)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may be located more adjacent to the passivation layer 102, and further away from the passivation layer 102 as shown in FIG. may be located.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은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계 가능하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are design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a limit corresponding to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each R, G, and B sub-pixel (R-SP, G-SP, B-SP). It is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일부 서브화소 상에 배치된 흡광패턴(220)을 포함함으로써,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disposed on some sub-pixels, color deviation due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is minimized. .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대응하여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원형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ncluding a gray dye corresponds to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By positioning it, it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even without a separate circular polarizing plate.

특히,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를 전극부(비발광영역(NEA))의 두께(D2)와 상이하게 설계할 수 있어, 이를 통해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휘도 저하 없이 외광반사율만 낮출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thickness D1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corresponding to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each R, G, and B sub-pixels R-SP, G-SP, and B-SP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ortion (non-emission). It can be designed to be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D2 of the region NEA), so that only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can be lowered without lowering the luminance of the R, G, and B sub-pixels R-SP, G-SP, and B-SP. .

따라서,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가진 제품에 대해 휘도와 외광반사율에 최적화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어, 제품군 확대 및 고객 요구(needs)를 만족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ptimized for luminance and external light reflectivity for products having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s, thereby expanding product groups and satisfying customer needs.

또한, 고가의 원형 편광판 생략을 통해 재료비용 절감 및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 and improve process efficiency by omitting the expensive circular polarizer.

- 제 2 실시예 -- Second embodiment -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oth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앞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제 2 실시예에서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serving the same role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only the characteristic content to b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 상의 비발광영역(NEA)의 스위칭영역(TrA) 상에는 반도체층(103), 게이트절연막(105), 게이트전극(107)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0a, 110b)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위치하며,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과 제 1 층간절연막(109a)에 구비된 드레인콘택홀(117)을 통해 노출된 드레인전극(110b)과 연결되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As shown, on the switching region TrA of the non-emission region NEA on the substrate 101,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gate insulating film 105, the gate electrode 107, and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0a and 110b.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made of The first electrode 111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10b exposed through 117 is positioned.

이때, 제 1전극(111)은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데,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11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and the first electrode 111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A bank 119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s 111 .

그리고 뱅크(119)를 포함하는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발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이 각각 위치하며, 이러한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1 including the bank 119,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R-SP, G-SP, B-SP) for emitting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emitting different colors for each sub-pixel ( 113a, 113b, and 113c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nd a second electrode 115 forming a cathode is position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패시베이션층(102)이 위치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패시베이션층(10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In addition, the passivation layer 102 in the form of a thin film is positioned 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s encapsulate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102 ( encapsul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대응하는 패시베이션층(102) 상부로 흡광패턴(220) 및 투과율제어층(200)이 위치한다. 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on the passivation layer 102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and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are positioned.

전술한 바와 같이,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은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투과율에 따라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상관색온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투과율은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 d3, d4)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ncluding the gray dye is designed so that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ransmittance in order to optimize white balance efficiency.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es d1, d2, d3, and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별도의 원형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아도, 원형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거나 또는 원형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 보다 더욱 낮게 또는 더욱 높게 원하는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s similar to the case of us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or lower or higher than when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used. It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투과율제어층(200)의 총 투과율은 아래 (수학 식 1)과 같이 단위 투과율 당 두께로 설계될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total transmittanc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may be designed as a thickness per unit transmittance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 식 1)(Equation 1)

총 투과율 = 단위 투과율 × 두께 Total transmittance = unit transmittance × thickness

즉,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 d3, d4)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various transmittances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thicknesses d1, d2, d3, and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 d3, d4)를 전극부(비발광영역(NEA))와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 별로 다양하게 설계 가능한데, 이를 통해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d1 , d2 , d3 , and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and each R , G, and B sub-pixels (R-SP, G-SP, B-SP)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for each light emitting area EA, and through this, it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래 (표 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the following (Table 3) in more detail,

Sample 1Sample 1 Sample 2Sample 2 외광반사율external light reflectance 투과율transmittance 외광반사율external light reflectance 투과율transmittance 전극부
(비발광영역(NEA))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11.1%11.1% 45%45% 11.1%11.1% AA
R 서브화소(R-SP)R sub-pixel (R-SP) 1.81%1.81% 45%45% 1.81%1.81% BB G 서브화소(G-SP)G sub-pixel (G-SP) 8.06%8.06% 45%45% 8.06%8.06% CC B 서브화소(B-SP)B sub-pixel (B-SP) 0.74%0.74% 45%45% 0.74%0.74% DD TotalTotal (11.1 + 1.81 + 8.06 + 0.74) × (45%)2 = 4.5%(11.1 + 1.81 + 8.06 + 0.74) × (45%) 2 = 4.5% (11.1 × A2) + (1.81 × B2) + (8.06 × C2) + (0.74 × D2) ≤ 4.5%(11.1 × A 2 ) + (1.81 × B 2 ) + (8.06 × C 2 ) + (0.74 × D 2 ) ≤ 4.5%

위의 (표 3)에서 Sample 1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형 편광판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이며, Sample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Sample 1)의 전극부(비발광영역)에서의 외광반사율이 11.1%이고, R서브화소에서의 외광반사율이 1.81%, G 서브화소에서의 외광반사율이 8.06% 그리고 B 서브화소에서의 외광반사율이 0.74% 이며, 이때 원형 편광판의 투과율이 45%일 경우,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Sample 1)의 외광반사율은 (11.1 + 1.81 + 8.06 + 0.74) × (45%)2 = 4.5%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above (Table 3), Sample 1 is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to minimize external light reflection, and Sample 2 show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ample 1),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region) is 11.1%,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the R sub-pixel is 1.81%,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the G sub-pixel is 8.06%, and the B sub-pixel is 8.06%. When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the pixel is 0.74%,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45%,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of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ample 1) is (11.1 + 1.81 + 8.06 + 0.74) × (45%) 2 = It can be implemented with 4.5%.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Sample 2)(100)는 외광반사율을 (11.1 × A2) + (1.81 × B2) + (8.06 × C2) + (0.74 × D2) ≤ 4.5%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ample 2)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s (11.1 × A 2 ) + (1.81 × B 2 ) + (8.06 × C 2 ) + (0.74 × D 2 ) ≤ 4.5% to design.

(여기서, A는 전극부(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투과율, B는 R서브화소(R-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투과율, C는 G 서브화소(G-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흡광패턴(220) 및 투과율제어층(200)의 투과율, D는 B서브화소(B-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흡광패턴(220) 및 투과율제어층(200)의 투과율 을 의미함.)(Here, A is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and B is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R sub-pixel R-SP. Transmittanc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C is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G sub-pixel G-SP, D is the B sub-pixel (meaning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B-SP).)

즉,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 d3, d4)를 전극부(비발광영역(NEA))와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 별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thickness (d1, d2, d3,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s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and each R, G, and B sub-pixel (R-SP, G-SP, B-). By adjusting for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SP), it is possible to design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원형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패시베이션층(102) 상부로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을 위치시킴에 따라, 원형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외광반사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원하는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circular polarizing plate to minimize external light reflection, but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ncluding a gray dye on the passivation layer 102 ( 20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external light reflectance as in the case of us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or to design to have a desired external light reflectance.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으면서도, 이와 동시에 고휘도를 구현하거나 소비전력을 낮출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s, and at the same time, can realize high brightness or reduce power consumption.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위의 (표 3)을 참조하면, 전극부(비발광영역(NEA))와 R, G 서브화소(R-SP, G-SP)에 비해 B 서브화소(B-SP)에서의 외광반사율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곧, B 서브화소(B-SP)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외광반사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In order to examine this in more detail, referring to Table 3 above, compared to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and R, G sub-pixels (R-SP, G-SP), the B sub-pixel (B- It can be seen that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SP) is remarkably low. This means that the sub-pixel B (B-SP)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외광반사율의 기여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표시패널의 상부 표면에 원형 편광판을 위치함에 따라, 외광반사율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 B 서브화소(B-SP)의 휘도 또한 감소시키게 된다. Nevertheless,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lace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without considering the contribution of external light reflectance of each sub-pixel (R-SP, G-SP, B-SP). The luminance of the B sub-pixel (B-SP), which does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flectance, is also reduced.

특히, RGB 독립발광 방식으로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위하여 효율이 가장 낮은 B 서브화소(B-SP)의 효율을 기준으로 R 서브화소(R-SP)와 G 서브화소(G-SP)의 효율 또한 낮춰서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휘도 또한 낮아지게 된다. In particula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that implements full color in the RGB independent light emitting method is based on the efficiency of the sub-pixel B (B-SP), which has the lowest efficiency, for white balance. Since the efficiency of the R sub-pixel R-SP and the G sub-pixel G-SP is also lowered, the overall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s also lowered.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투과율제어층(200)을 통해 외광반사율에 크게 기여를 하지 않는 B 서브화소(B-SP)의 투과율은 향상시키고, 그 외의 전극부(비발광영역(NEA))나 R, G 서브화소(R-SP, G-SP)의 투과율을 낮춤으로써, 외광반사율을 저감하면서도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Her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ance of the sub-pixel B (B-SP), which does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xternal light reflectivity, is improved through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and the By lowering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electrode (non-emission area (NEA)) or the R and G sub-pixels (R-SP, G-SP), the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can be improved while reducing external light reflectance. there will be

여기서,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4.5%의 외광반사율을 갖는 동시에 상관색온도를 10000K로 설계하고자 하는 경우, 전극부(비발광영역(NEA))에서의 외광반사율이 11.1%이고, R서브화소(R-SP)에서의 외광반사율이 1.81%, G 서브화소(G-SP)에서의 외광반사율이 8.06% 그리고 B 서브화소(B-SP)에서의 외광반사율이 0.74% 이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11.1 × 20%2) + (1.81 × 69.4%2) + (8.06 × 58.4%2) + (0.74 × 80.6%2) ≤ 4.5%으로 설계하면 된다. (즉, 위 표 1에서 A는 20%, B는 69.4%, C는 58.4%, D는 80.6%)Here, as an exampl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nal light reflectance of 4.5% and a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is designed to be 10000K,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the R sub-pixel (R-SP) is 1.81%,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in the G sub-pixel (G-SP) is 8.06%, and the B sub-pixel (B-SP). Since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at is 0.7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1.1 × 20% 2 ) + (1.81 × 69.4% 2 ) + (8.06 × 58.4% 2 ) + (0.74 × 80.6% 2 ) ≤ 4.5%. (That is, in Table 1 above, A is 20%, B is 69.4%, C is 58.4%, D is 80.6%)

이를 위해 B서브화소(B-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제 1 두께(d1)는 전극부(비발광영역(NEA))와 R, G 서브화소(R-SP, G-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2, d3, d4) 보다 얇게 설계하며, R 서브화소(R-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제 2 두께(d2)는 제 1 두께(d1) 보다 두꺼우며, 전극부(비발광영역(NEA))와 G 서브화소(G-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3, d4) 보다 얇게 설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thickness d1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the B sub-pixel B-SP is the electrode portion (non-emission area NEA) and the R and G sub-pixels. It is design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es d2, d3, and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emission area EA of the pixels R-SP and G-SP, and the R sub-pixel R-SP The second thickness d2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emission area EA of It can be design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es d3 and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G-SP.

그리고, G 서브화소(G-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제 3 두께(d3)는 제 1 및 제 2 두께(d1, d2) 보다는 두꺼우며 전극부(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인 제 4 두께(d4)에 비해서는 얇게 설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thickness d3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G sub-pixel G-SP is thicker than the first and second thicknesses d1 and d2, and the electrode It can be designed to be thinner than the fourth thickness d4 ,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non-emission area NEA).

즉, 적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투명패턴(210)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흡광패턴(220)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보다는 얇고, 청색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흡광패턴(220)과 중첩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보다는 두꺼울 수 있다.That is,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overlapping the transparent pattern 210 located on the red light emitting diode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locat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diode, It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locat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iode.

즉,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 d3, d4)는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발광효율에 대응하여 비례하도록 형성하는데, 설계하고자 하는 타겟 상관색온도 또는 색좌표 그리고 외광반사율에 따라,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서브화소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을 가장 얇은 두께로 설계하고, 그 외의 서브화소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를 설계하는 것이다. That is, the thickness (d1, d2, d3,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s formed to be proportional to the luminous efficiency of each sub-pixel (R-SP, G-SP, B-SP). According to the targe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r color coordinates and external light reflectance, transmittance control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of the sub-pixel with the lowest luminous efficiency of each sub-pixel (R-SP, G-SP, B-SP) The layer 200 is designed to have the thinnest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of other sub-pixels is designed.

그리고 발광효율과 상관관계가 없는 전극부(비발광영역(N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은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설계치를 기준으로,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 보다 더욱 두껍게 설계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having no correlation with luminous efficiency is R, G, and B sub-pixels (R-SP, G-SP, B-SP). Based on the design valu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corresponding to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EA) is design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EA).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패시베이션층(102) 상부로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을 위치시킴에 따라,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는 동시에 휘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동등 휘도 기준으로 소비전력 또한 낮출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s by locating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ncluding the gray dye on the passivation layer 102 . At the same time, the luminance can be improved, so that power consumption can also be lowered based on the equivalent luminance standard.

이때,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은 패시베이션층(102)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102)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passivation layer 102 , or may be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passivation layer 102 as shown in FIG. 11 .

흡광패턴(220) 및 투명패턴(210)은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계 가능하다.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parent pattern 210 are design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a limit corresponding to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each R, G, and B sub-pixel (R-SP, G-SP, B-SP). It is possible.

이러한 투과율제어층(200) 상부로는 점착제(미도시)를 개재하여 커버글라스(104)가 부착된다. A cover glass 104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with an adhesive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일부 서브화소 상에 배치된 흡광패턴(220)을 포함함으로써,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 편차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disposed on some sub-pixels, so that color deviation due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is minimized. .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대응하여 그레이 염료를 포함하는 투과율제어층(200)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원형 편광판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including a gray dye corresponds to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113a, 113b, and 113c. By positioning it, it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even without a separate circular polarizing plate.

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전극부(비발광영역(NEA))와 각 R, G, B 서브화소(R-SP, G-SP, B-SP)의 각 발광영역(EA) 별로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d1, d2, d3, d4)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는 동시에 휘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는 동등 휘도 기준으로 소비전력 또한 낮출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rt (non-emission area NEA) and each R, G, and B sub-pixels R-SP, G-SP, and B-SP ), the thickness (d1, d2, d3, d4)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for each light emitting area EA of , or equivalent luminance, power consumption can also be lowered.

따라서, 저반사와 고휘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수명 및 효율 또한 개선되는 동시에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realizing low reflection and high luminance at the same time, while improving lifespan and efficiency, and provi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또한,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가진 제품에 대해 휘도와 외광반사율에 최적화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제품군 확대 및 고객 요구(needs)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ptimized for luminance and external light reflectivity for products having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ivity, thereby expanding product groups and satisfying customer needs.

또한, 고가의 원형 편광판 생략을 통해 재료비용 절감 및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 and improve process efficiency by omitting the expensive circular polarizer.

- 제 3 실시예 -- 3rd embodiment -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세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nit pixel including three sub-pixel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앞서 전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제 3 실시예에서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serving the same role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only the characteristic content to be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ould.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앞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유기발광표시장치(100)와 가장 큰 차이점은 하부 발광방식이며, 백색 OLED와 RGB 컬러필터(106a, 106b, 106c)를 이용 하여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는 점이다. Her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the bottom emission method, and the white OLED and the RGB color filter ( 106a, 106b, and 106c) are used to realize full color.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 상의 비발광영역(NEA)의 스위칭영역(TrA) 상에는 반도체층(103), 게이트절연막(105), 게이트전극(107)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0a, 110b)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위치하며,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로는 컬러필터(106a, 106b, 106c)가 위치하게 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as shown, the semiconductor layer 103, the gate insulating layer 105, the gate electrode 107, and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0a are on the switching region TrA of the non-emission region NEA on the substrate 101. , 110b) is positioned, and color filters 106a, 106b, and 106c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b to correspond to the emission area EA.

컬러필터(106a, 106b, 106c)는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백색광의 색을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색(red) 컬러필터(106a), 녹색(green) 컬러필터(106b), 청색(blue) 컬러필터(106c)가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 발광영역(EA) 상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R, G, B 컬러를 발하게 되어, 고휘도의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게 된다.The color filters 106a, 106b, and 106c are for converting the color of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include a red color filter 106a, a green color filter 106b, and a blue color filter. ) The color filter 106c is positioned on the light emitting area EA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R, G, and B colors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thereby realizing a high-brightness full color.

컬러필터(106a, 106b, 106c) 상부로는 제 2 층간절연막(109b)이 위치하며,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과 제 1 층간절연막(109a)에 구비된 드레인콘택홀(117)을 통해 노출된 드레인전극(110b)과 연결되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b is positioned on the color filters 106a, 106b, and 106c,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105 and the drain provided 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a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9b. The first electrode 111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10b exposed through the contact hole 117 is positioned.

이때, 제 1전극(111)은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데,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11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and the first electrode 111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R-SP, G-SP, and B-SP. A bank 119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s 111 .

그리고 뱅크(119)를 포함하는 제 1 전극(111)의 상부에는 유기발광층(113)이 위치하는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각 서브화소(R-SP, G-SP, B-SP)의 유기발광층(113)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백색광이 발광된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111 including the bank 119 .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ub-pixel R-SP , G-SP, B-SP) the same white light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층(113)이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서로 다른 컬러를 구현하는 발광물질로 서로 다르게 위치하는 것이 아닌, 모두 동일한 백색광을 발광하는 발광물질로 위치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a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implements different colors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Instead of being positioned differently, they are all positioned as light-emitting materials emitting the same white light.

이를 통해, 각 서브화소(R-SP, G-SP, B-SP) 별로 서로 다른 발광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새도우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새도우 마스크 공정에 의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shadow mask process for forming different light emitting materials for each sub-pixel (R-SP, G-SP, B-SP) can be omitted, and problems caused by the shadow mask proces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particular, high resolution can be implemented.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A second electrode 115 forming a cathode is position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패시베이션층(102)이 위치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패시베이션층(10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In addition, the passivation layer 102 in the form of a thin film is positioned 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s encapsulated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102 ( encapsul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하부 발광방식으로, 유기발광층(113)으로부터 발광되는 백색광은 제 1 전극(111)을 투과하여 컬러필터(106a, 103b, 103c)로 입사된 후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light emitting method, and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passe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11 to form the color filters 106a, 103b, 103c) and then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finally realizes an arbitrary imag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층(113)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대응하여 투명패턴(210), 흡광패턴(220), 및 투과율제어층(200)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투명패턴(210), 흡광패턴(220), 및 투과율제어층(200)의 두께를 조절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가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parent pattern 210, a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 200) should be located.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attern 210,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220,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0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to have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 have.

이를 통하여, 설계하고자 하는 타겟 상관색온도 또는 색좌표 그리고 외광반사율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휘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atisfy all of the targe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r color coordinates to be designed, and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and thereby, the luminance can also be improved.

또한, 동등 휘도 기준으로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소비전력 또한 낮출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can also be reduced on the basis of the equivalent luminance.

따라서, 저반사와 고휘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수명 및 효율 또한 개선되는 동시에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외광반사율을 가진 제품에 대해 휘도와 외광반사율에 최적화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제품군 확대 및 고객 요구(needs)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realizing low reflection and high luminance at the same time, while provi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with improved lifespan and efficiency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ptimized for luminance and external light reflectivity for products having various external light reflectances, thereby expanding product groups and satisfying customer needs.

또한, 고가의 원형 편광판 생략을 통해 재료비용 절감 및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 and improve process efficiency by omitting the expensive circular polarizer.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유기발광표시장치
101 : 기판, 102 : 패시베이션층
103 : 반도체층(103a : 액티브영역, 103b, 103c : 소스 및 드레인영역)
104 : 커버윈도우
105 : 게이트절연막, 107 : 게이트전극
109a, 109b :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
110a, 110b : 소스 및 드레인전극
111 : 제 1 전극, 113a, 113b, 113c : 유기발광층, 115 : 제 2 전극
116 :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콘택홀, 117 : 드레인콘택홀
119 : 뱅크
200 : 투과율제어층
210 : 투명패턴
220 : 흡광패턴
DTr :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DL : 데이터라인
1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1: substrate, 102: passivation layer
103: semiconductor layer (103a: active region, 103b, 103c: source and drain regions)
104: cover window
105: gate insulating film, 107: gate electrode
109a, 109b: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s
110a, 110b: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1: first electrode, 113a, 113b, 113c: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5: second electrode
116: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117: drain contact hole
119: bank
200: transmittance control layer
210: transparent pattern
220: light absorption pattern
DTr: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L: data line

Claims (1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위치하는 흡광패턴과;
상기 흡광패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투과율제어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substrat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 light absorption pattern position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a transmittance control layer disposed on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nd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흡광패턴을 투과하는 거리는 시야각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istance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passes through the absorption pattern increases as the viewing angle incre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패턴은 상기 제 2 및 제 3 발광다이오드 상에만 위치하고, 상기 제 2 및 제 3 발광다이오드가 방출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located only on the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bsorbs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by the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diod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다이오드는 적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 2 발광다이오드는 녹색광을 방출하며, 상기 제 3 발광다이오드는 청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흡광패턴은 시야각 0도에서 380 내지 580 nm 파장대의 광을 15% 내지 35% 흡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emits red light,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emits green light,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emits blue light,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bsorbs 15% to 35% of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380 to 580 nm at a viewing angle of 0 degre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투명패턴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pattern position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패턴 및 상기 투명패턴과 중첩하는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흡광패턴 및 상기 투명패턴과 중첩하지 않는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보다 얇은 유기발광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nd the transparent patter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not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and the transparent patter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턴과 중첩하는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상기 흡광패턴과 중첩하는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제 3 발광다이오드 상에 위치한 상기 흡광패턴과 중첩하는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유기발광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transparent pattern,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locat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disposed on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제어층은 그레이(gray)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ncludes a gray dy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투과율제어층 사이로 패시베이션층이 위치하며,
상기 흡광패턴은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패시베이션층과 밀착되어 위치하거나,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상기 일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assivation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positioned at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ivation layer, or is positioned at the other edge facing the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제어층은 상기 기판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투과율제어층 사이로 각각 제 1 내지 제 3 컬러필터가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s located outside the substrate,
and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패턴은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일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과 밀착되어 위치하거나, 상기 투과율제어층의 상기 일 가장자리와 대면하는 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ght absorption pattern is positioned at one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bstrate, or is positioned at the other edge of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facing the one edge.
KR1020200095092A 2020-07-30 2020-07-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202200150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92A KR20220015065A (en) 2020-07-30 2020-07-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92A KR20220015065A (en) 2020-07-30 2020-07-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065A true KR20220015065A (en) 2022-02-08

Family

ID=8025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092A KR20220015065A (en) 2020-07-30 2020-07-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0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6838B2 (en) Light emitting device
EP233062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EP261837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241131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1713945B1 (en) Dual sided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20170012664A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1785130A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76615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10931A (en) Color Filte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06759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20130062572A (en) Polarizer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cluding the same
KR20060000980A (en) Top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220320472A1 (en) Display device
KR2022001506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2018007464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08647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098068B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micro cavity
KR2022001506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2020007551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2022001506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2019002468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KR10259892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panel
KR20160033850A (en) High Luminescence Large Viewing Ang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6003568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Enhanced Brightness Viewing Angle And Color Viewing Angle
US20240065069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