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141A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141A
KR20220014141A KR1020200093844A KR20200093844A KR20220014141A KR 20220014141 A KR20220014141 A KR 20220014141A KR 1020200093844 A KR1020200093844 A KR 1020200093844A KR 20200093844 A KR20200093844 A KR 20200093844A KR 20220014141 A KR20220014141 A KR 2022001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ensing device
holder
treatment apparatu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인방
김도윤
김호영
나현욱
노태균
윤남규
이재복
최준회
표상연
홍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141A/en
Priority to PCT/KR2021/006870 priority patent/WO2022025406A1/en
Publication of KR2022001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41A/en
Priority to US18/103,099 priority patent/US202301751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cabin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to measure a temperature or a humidity in the drum; and a hol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oor and the drum so that the sensing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holder for the sensing device.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CLOTHES TREATING APPARATUS}Clothes processing equipment {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a sensing device can be mounted.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에서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은 곳에서 의류 내지 침구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시키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는 모든 장치들을 가리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세탁기 겸 건조기 등을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fers to all apparatuses for managing or processing clothing, such as washing, drying, or removing wrinkles at home or in a laundry, etc.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and the like.

세탁기는 의류나 침구 등을 세탁하는 장치이고, 건조기는 의류나 침구 등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세탁기 겸 건조기는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장치이다.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washing clothes or bedding, and a dryer is a device for drying clothes or bedding by removing moisture. A washer/dryer is a device that has both a washing function and a drying function.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 또는 건조 행정을 돕는 센싱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세탁기에는 세탁을 보조하기 위한 세탁용 센싱장치가 마련되고, 건조기에는 건조를 보조하기 위한 건조용 센싱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A sensing device that helps a washing or drying operation may be provided in such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is, the washing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sensing device for assisting washing, and the dryer may be provided with a drying sensing device for assisting drying.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센싱장치의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holder for a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센싱장치의 보관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storing a sens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센싱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loss of a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도록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 또는 드럼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cabin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and a sensor to measure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drum and a hol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oor and the drum so that the sensing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센싱장치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hold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um.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되도록 상기 드럼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drum to be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돌기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of a rotational axis of the drum, and the mounting groove may be depressed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돌기의 양측에서 상기 센싱장치가 안착되도록 함몰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seating portions that are recessed to seat the sensing device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rotrusion.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to be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중앙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센싱장치의 외측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안착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 및 제2안착홈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ing device is seated,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around the first seating groove to seat the outer part of the sensing device,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It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groove.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하도록 상기 구획벽에서 돌출되는 연장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wall to engage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홀더와,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의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lifter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o move the clothes inside the drum, wherein the lifter includes the holder and a plurality of lift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along a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drum. It may include a lifting part of the.

상기 장착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장착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부와, 상기 복수의 고리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축 및 상기 드럼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의 회전시에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드럼의 외부에 위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each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to fix the sensing device, a coupling shaft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and the outside of the drum. and a button part extending from the coupling shaft to protrude,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ositioned outside the drum to press the button part when the drum rotates.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의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f the door facing the interior of the cabinet.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드럼 내로 상기 센싱장치가 투입되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된 상기 센싱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ensing device mounted on the holder so that the sens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drum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도어 또는 드럼에 장착되도록 상기 센싱장치의 내부에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magnet inside the sensing device to be mounted on the door or the drum.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의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볼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 또는 드럼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ed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and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t may include a holde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oor or the drum so that the sensor ball that is put into the drum to measure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drum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홀더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센서볼이 분리될 수 있다.In the holder, the sensor ball may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센서볼은 상기 센서볼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서볼의 장착홈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ball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ball, and the holder may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or ball.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홀더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a lifter disposed on the drum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fting parts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o move the clothes inside the drum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홀더에 장착된 상기 센서볼이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되도록 상기 센서볼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is disposed on the door, and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ensor ball so that the sensor ball mounted on the holder is put into the drum.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관리장치에 센싱장치의 보관이 용이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oss of the sensing device by easily storing the sensing device in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 또는 건조 행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hing or drying ope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센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싱장치를 X-X'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센싱장치를 Y-Y'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devic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3 viewed from X-X'.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3 viewed from Y-Y'.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6 .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6 .
9 is a view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9 .
11 is a view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1 .
13 is a front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3 .
15 is a sid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5 when the door is opened.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5 when the door is closed.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front",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또는 의류 건조기 등 의류를 처리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의류 건조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various apparatuses for processing clothes,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clothes dryer,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a clothes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and a drum 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10 .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미도시)를 드럼(20)으로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1)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 laundry inlet 3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to insert or take out clothes (not shown), which are objects to be dried, into or out of the drum 20 . The laundry inlet 3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40 .

캐비닛(10)의 전면 상측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회전 가능한 조그 다이얼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1)에 관한 각종 정보를 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어 패널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panel 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 The control panel 11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 the form of a rotatable jog dial,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1 .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units and display units.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드럼(20)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은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drum 20 having a cylindrical shap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The drum 20 may be rotatably provid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device.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drum 20 will be described later.

캐비닛(10)은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30),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커버(13)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면 커버 및 베이스는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캐비닛, 전면 커버, 상면 커버, 베이스 등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front cover 30 forming a front surface, an upper surface cover 13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base (not shown) forming a bottom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over, the top cover, and the base forming the cabinet are separately provided and assembled, respectively, as an exampl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inet, the front cover, the top cover, the base, etc. may be integrally formed.

의류처리장치(1)는 전면 커버(30)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세탁물 투입구(3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40)를 개방한 후 세탁물 투입구(31)를 통해 건조 대상물을 드럼(20) 내부에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door 4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laundry inlet 31 formed by opening the front cover 30 . After the user opens the door 40 , the object to be dried may be put into or discharged from the drum 20 through the laundry inlet 31 .

캐비닛(10)의 전면 커버(30)에는 사용자의 열교환기(61)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열교환기 커버(3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 heat exchanger cover 32 that allows a user to access the heat exchanger 61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30 of the cabine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1)는 전면 커버(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장치(12)와 시트 수용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장치(12)는 드럼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시트 수용장치(90)는 드럼 내부에 향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드라이어 시트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filter apparatus 12 and a seat receiving apparatus 90 that are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cover 30 . The filter device 12 may be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drum. The sheet accommodating device 9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a dryer sheet provided to provide a fragrance to the inside of the drum therein.

도 2를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기본적인 동작과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A basic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nd an air flow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드럼(20)은 지면과 대략 수평하게 마련되는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의 내주면에는 드럼(20)이 회전할 때, 의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리프터(21)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함에 따라 의류는 리프터(21)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드럼의 외주면에는 드럼(2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롤러(2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drum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ng axis provid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A lifter 2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20 to lift clothes when the drum 20 rotates. As the drum 20 rotates, the movement of the clothes rising and falling by the lifter 21 may be repeated. A roller 22 for supporting the drum 20 to rotate smoothly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드럼(20)은 구동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베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The drum 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by receiving power by a driving device. The driving device may be dispos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The drive may be mounted to the base.

구동장치는 모터(70)와, 모터(70)의 동력을 드럼(20)에 전달하기 위한 풀리(72) 및 벨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72)는 모터(70)와 연결된 회전 샤프트(71)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70)에 의해 회전 샤프트(71)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71)와 함께 풀리(72)가 회전할 수 있다. 벨트(73)는 풀리(72)의 외면과 드럼(20)의 외면에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벨트(73)가 회전하면 벨트(73)와 함께 드럼(20)이 회전할 수 있다. 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motor 70 and a pulley 72 and a belt 73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motor 70 to the drum 20 . The pulley 72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71 connected to the motor 70 . When the rotation shaft 71 is rotated by the motor 70 , the pulley 72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71 . The belt 73 may be installed to 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ulley 7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20 . When the belt 73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70 , the drum 20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belt 73 .

드럼(20)은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여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0)에는 드럼(20)으로 건조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하측 후방에는 상기 유로(80)를 따라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송풍팬(63)이 마련될 수 있다. The drum 20 is provided so that drying can be achieved by accommodating the object to be dried therein. A flow path 80 for circulating dry air to the drum 20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 . In addition, a blowing fan 6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cabinet 10 to flow air along the flow path 80 .

유로(80)는 드럼(20) 내부로부터 드럼(2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유로(81)와,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건조시키는 연결 유로(82)와, 건조한 공기를 드럼(2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 유로(8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ow path 80 includes a discharge flow path 81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drum 20 to the outside of the drum 20 , a connection flow path 82 for dr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20 , and drying air to the drum (20) may include a supply flow path 83 for supplying to the inside.

배출 유로(81)에는 필터 장치(12)가 배치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연결 유로(82)에는 열교환기(61, 62)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유로(82)를 통과하면서 공기는 고온 건조해질 수 있다. 배출 유로(81) 및 연결 유로(8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고온 건조해진 공기는, 공급 유로(83)를 거쳐 다시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에 의해 드럼(20) 내부의 의류가 건조될 수 있다. 의류를 건조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되고, 드럼(2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배출 유로(81)를 통해 드럼(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 filter device 12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assage 8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drum 20 . Heat exchangers 61 and 62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82 . The air may be dried at a high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82 .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81 and the connection passage 82 ,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and the air dried at high temperature may be supplied back into the drum 20 through the supply passage 83 . The clothes inside the drum 20 may be dri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dry air. The air that has dried the clothes is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tate, and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 air in the drum 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2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81 .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드럼(20)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dry the clothes inside the drum 20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또한, 의류처리장치(1)는 배출 유로(81)를 형성하는 배출 덕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덕트(50)는,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필터 장치(12) 및 시트 수용장치(90)가 배치되는 필터 덕트(51)와, 필터 덕트(51)로부터 열교환기(61, 62)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덕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discharge duct 50 forming a discharge passage 81 . The discharge duct 50 form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drum 20 is discharged and heat exchanges from the filter duct 51 in which the filter device 12 and the sheet receiving device 90 are disposed, and the filter duct 51 . It may include a guide duct 52 for guiding air to the groups 61 , 62 .

열교환기(61, 62)는 증발기(61)와 응축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압축기와 팽창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팽창밸브는 히트펌프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는 히트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스식 의류처리장치와 전기 히터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s 61 and 62 may include an evaporator 61 and a condenser 62 .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a compressor and an expansion valve may be provided under the cabinet 10 . Accordingly,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the compressor, and the expansion valve may constitute a heat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heat pump,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gas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n electric heater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센싱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장치(200)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시에 의류의 세탁 또는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하도록 상기 드럼(20) 내에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에 사용되는 센싱장치(200)는 의류와 충돌함으로써 의류에 묻은 이물질 등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탁중 물의 탁도를 센싱하여 세탁 정도를 알 수 있다. 의류 건조기에 사용되는 센싱장치(200)는 행정 중 의류 사이에서 공간을 만들어 주며, 의류가 뭉치지 않고 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럼(20) 내의 온도 및 탁도를 센싱하여 건조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다만 센싱장치(200)는 의류처리장치(1)에 필수적으로 마련되는 구성은 아니며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3 to 5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sensing apparatus 200 .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drum 20 to assist at least one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when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1 operates. For example, the sensing device 200 used in the washing machine may collide with the cloth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lothes. In addition, by sensing the turbidity of the water during washing, it is possible to know the washing degree. The sensing device 200 used in the clothes dryer may create a space between clothes during a stroke, and allow the clothes to be spread without clumping together. In addition, the degree of drying can be known by sensing the temperature and turbidity in the drum 20 . However, the sensing device 200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and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센싱장치(200)는 센서볼(200)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센싱장치(200)는 구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장치(200)는 원기둥,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ball 200 . However, in the drawings, the sensing device 200 is shown in a sphe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shape such as a cylinder, a cuboid, or a cub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장착홈(211)이 각각 마련되는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제2면(202)이 각각 마련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정의한다. 다만, 아래 구성들의 배치방향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first mounting grooves 211 is provided is defined as an up-down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rface 202 is provided, respectively, is defined as a front-back direction. Howev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mponents below is not limited thereto.

센싱장치(200)는 제1면(201), 제2면(202), 제3면(205), 내부지지부재(203), 내부공간(20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201 , a second surface 202 , a third surface 205 , an internal support member 203 , and an internal space 204 .

제1면(201)은 센싱장치(200)의 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면(201)은 제2면(202)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면(20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201 may form one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200 . The first surface 20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202 . That is, the first surface 20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제2면(202)은 제1면(201)과 수직한 면에서 마련될 수 있다. 제2면(202)도 제1면(201)을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면(201)과 제2면(202) 사이에는 제2장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202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201 . A plurality of second surfaces 202 may also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201 . A second mounting groove 21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201 and the second surface 202 .

제3면(205)은 제1면(201)과 제1장착홈(21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면(205)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surface 20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rface 201 and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 A plurality of third surfaces 205 may be provided.

센싱장치(200)의 내부에는 내부지지부재(203) 및 내부공간(204)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지지부재(203)는 센싱장치(200)의 내부에 마련된 다수의 구성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센싱장치(200)의 내부공간(204)을 지지할 수 있다. 센싱장치(200)의 내부공간(204)은 센싱장치(200)가 충격을 받을 경우 완충효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n internal support member 203 and an internal space 204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nsing device 200 . The internal support member 203 may support the inner space 204 of the sensing device 200 so that a plurality of components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200 are not damage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204 of the sensing device 200 to perform a cushioning effect when the sensing device 200 receives an impact.

센싱장치(200)의 내부에는 파이프부재(220)와, 파이프부재(220)의 공간을 이동하는 자석(230)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24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센싱장치(200)는 드럼(20)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A pipe member 220 , a magnet 230 for moving the space of the pipe member 220 , and at least one sensor 2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nsing device 200 . That is, 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24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drum 20 .

파이프부재(220)는 가이드부재(221)와 보강부재(222)와 커버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pe member 220 may include a guide member 221 , a reinforcing member 222 , and a cover member 223 .

가이드부재(221)는 내부에 자석(2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만들 수 있다. 가이드부재(221)의 내부에서 자석(23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그에 따라 전자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발생된 전자기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40) 및 통신기(250)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다. 즉, 에너지 하비스팅(energy harvesting)이 가능할 수 있다. The guide member 221 may make a passag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magnet 230 can move therein. Since the magnet 23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member 221 ,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generated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may supply energy used in at least one sensor 240 and the communicator 250 . Therefore, energy saving is possible. That is, energy harvesting may be possible.

가이드부재(221)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재(22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221 may be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guide member 2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또한, 자석(230)을 포함하는 센싱장치(200)는 후술할 홀더(1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홀더(100)에 센싱장치(200)가 장착시 자석(230)이 홀더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자석(230)의 이동방향은 상하방향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센싱장치(200)가 드럼(2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자석(230)이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200 including the magnet 230 may be easily mounted on the holder 10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holder 100 , the magnet 2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older. Howev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gnet 230 is not limi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the sensing device 200 moves within the drum 20 , the magnet 230 may move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보강부재(222)는 가이드부재(22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221)의 외주에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222)는 가이드부재(221)의 외측에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222 may be provided outside the guide member 221 .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member 221 . The reinforcing member 222 may reinforce strength from the outside of the guide member 221 .

보강부재(222)는 파이프부재(22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장치(200)의 전체 무게중심을 볼 중심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장치(200)가 어느 한쪽에 편향되지 않고 드럼(20)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어느 제1장착홈(211)이 장착돌기(110)와 결합되더라도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222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pe member 220 . Accordingly,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at the center of the ball.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move freely within the drum 20 without being biased to either side. In addition, no matter which first mounting groove 211 is coupl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110, it is possible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커버부재(223)는 파이프부재(2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223)는 가이드부재(2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22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223)는 제1장착홈(211) 또는 제2장착홈(2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240)가 제1장착홈(211) 또는 제2장착홈(21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드럼(20)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재(223) 자석(230)이 가이드부재(2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223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pipe member 220 , respectively. The cover member 223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guide member 221 , respectively. That is, the cover member 22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cover member 22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or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 Accordingly, the sensor 2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or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to sens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drum 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member 2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gnet 230 from the guide member 221 .

센싱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라면 센서는 탁도센서가 될 수 있다. 탁도센서는 세탁수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가 의류 건조기라면 온도센서(241) 또는 습도센서(2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의류건조기 내의 온도 또는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240)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240 . In this case, i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a washing machine, the sensor may be a turbidity sensor. The turbidity sensor may measure the turbidity of the wash water. I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is a clothes dry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241 and a humidity sensor 242 . That i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clothes dryer may be sensed. The at least one sensor 240 may include a non-contact sensor.

센싱장치(200)는 내부의 통신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와 통신하여 센서(240)에서 센싱된 정보를 의류처리장치(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240)는 후술할 홀더(100)에 장착 또는 분리시 이를 감지하여 의류처리장치(1)와 통신하는 통신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250)는 PC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n internal communicator 250 . Accordingly,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240 may be transmitte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by communicating wit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In addition, the sensor 240 may include a communicator 250 to communicate wit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by sensing when it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holder 10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municator 250 may include a PCB.

상기한 센서(240)와 통신기(250)는 일 예에 불과하며 센서(240)와 통신기(250)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above-described sensor 240 and the communicator 250 are merely examples, and the types of the sensor 240 and the communicator 250 are not limited thereto.

센서(240)와 통신기(250)는 파이프부재(2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240)와 통신기(250)는 커버부재(223)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240)는 제1장착홈(211) 또는 제2장착홈(21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드럼(20)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센서(240)와 통신기(25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센싱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240)는 2개로 도시되었으나 1개의 복합센서 또는 세개 이상 등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기(250)의 개수도 1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nsor 240 and the communicator 25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pipe member 220 . That is, the sensor 240 and the communicator 250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223 . The sensor 2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or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to sens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drum 20 .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at least one sensor 240 and the communicator 25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inside or outside the sensing device 200 . In addition, although two sensors 240 are shown, various numbers such as one complex sensor or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The number of communicators 250 is not limited to on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센싱장치(200)는 의류처리장치(1)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은 제1장착홈(211)과 제2장착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capable of being mounted o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 The mount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groove 211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212 .

제1장착홈(211)은 홀더(100)의 장착돌기(1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센싱장치(20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장착홈(211)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장착홈(211)은 복수의 제3면(20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장착홈(21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장착홈(211)이 장착돌기(110)와 결합하므로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may be depressed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200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mounting protrusion 110 of the holder 100 .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grooves 211 may be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surfaces 205 .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grooves 211 may be provided. Since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is coupl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110 ,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holder 100 .

제2장착홈(212)은 홀더(100)의 구획벽(133)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2면(202)에서 함몰될 수 있다. 제2장착홈(212)은 센싱장치(200)의 제2면(202)에서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2장착홈(212)은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장착홈(212)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장착홈(212)은 제2면(202)과 제3면(20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장착홈(212)이 구획벽(133)과 결합하므로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may be recessed in the second surface 202 to be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133 of the holder 100 .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may be recessed inward from the second surface 202 of the sensing device 200 .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grooves 212 may be provid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grooves 212 may be provided.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202 and the third surface 205 . Since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33 ,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holder 100 .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의 정면도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hown in FIG. 1 .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hown in FIG. 6 .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hown in FIG. 6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리프터(21)는 복수의 리프팅부(21a, 21b)와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21)는 의류처리장치(1) 내에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6 to 8 , the lifter 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fting parts 21a and 21b and the holder 100 . A plurality of lifters 21 may be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복수의 리프팅부(21a, 21b)는 의류를 드럼(20)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드럼(20)의 내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팅부(21a, 21b)는 제1리프팅부(21a)와 제2리프팅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프팅부(21a)와 제2리프팅부(21b)는 드럼(20)의 회전축 방향(A)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fting parts 21a and 21b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20 to move the clothes inside the drum 20 . The plurality of lifting units 21a and 21b may include a first lifting unit 21a and a second lifting unit 21b. The first lifting part 21a and the second lifting part 21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 of the drum 20 .

홀더(100)는 드럼(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미작동시에 내부에 보관된 센싱장치(200)가, 이미 드럼(20) 내부에 투입되어 있으므로 작동시 사용자의 별도 동작 없이 세탁 또는 건조를 보조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um 20 . Accordingly, since the sensing device 200 stored therein is already put in the drum 20 when not in operation, washing or drying can be aid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during operation.

홀더(100)는 드럼(20)의 회전축 방향(A)을 따라서 복수의 리프팅부(21a, 2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100)는 제1리프팅부(21a)와 제2리프팅부(2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가 복수의 리프팅부(21a, 21b) 사이에 배치되므로, 의류가 리프팅되는 공간이 아닌 공간의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홀더(100)가 리프팅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므로 건조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만약,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라면 홀더(100)의 배치로 인해 세탁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fting parts 21a and 21b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 of the drum 20 . That is, the holder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fting part 21a and the second lifting part 21b. Since the holder 10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fting parts 21a and 21b, the area of the space other than the space in which the clothes are lifted can be widened, and the effect of drying is reduced because the holder 100 performs the role of the lifting part together. can be increased I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a washing machine, the washing effect may be increased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der 100 .

홀더(100)는 베이스(101)와, 장착돌기(110)와, 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100 may include a base 101 , a mounting protrusion 110 , and a seating portion 120 .

베이스(101)는 홀더(100)의 가장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01)의 상부에는 장착돌기(11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01)의 일부는 안착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1)는 자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230)을 포함하는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1)는 전자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전자석을 제어하여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의 자력을 on 시키면 장착되고, off 시키면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센싱장치(200)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별도 행위 없이 간편하게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 base 101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lder 100 . A mounting protrusion 1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1 . A part of the base 101 may form the seating part 120 . The base 101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including the magnet 230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100 . In addition, the base 101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not shown).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holder 100 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 For example, if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is turned on, it is mounted, and if it is turned off, it can be separated.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without a separate action such as physically removing the sensing device 200 by the user.

장착돌기는 베이스로부터 드럼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장착돌기는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미작동시에 드럼 내에 센싱장치를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장착돌기는 센싱장치의 제1장착홈과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장착홈 중 어느 제1장착홈이라도 장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The mounting projection may protrude from the base toward the center of the drum. The mount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ly,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not in operation, the sensing device can be installed and stored in the drum. The mount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Any of the first mounting groov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mounting grooves may be engaged with the mounting protrusion.

장착돌기(110)는 베이스(101)로부터 드럼(20)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장착돌기(110)는 센싱장치(200)의 장착홈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의 미작동시에 드럼(20) 내에 센싱장치(200)를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장착돌기(110)는 센싱장치(200)의 제1장착홈(211)과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장착홈(211) 중 어느 제1장착홈(211)이라도 장착돌기(110)와 결합할 수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protrude from the base 101 toward the center of the drum 20 . 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be coupled to a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200 .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and stored in the drum 20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not in operation. 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of the sensing device 200 . Any of the first mounting grooves 21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mounting grooves 211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110 .

장착돌기(110)는 드럼(20)의 회전축 방향(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의 중간이 아니고, 제1리프팅부(21a) 또는 제2리프팅부(21b)와 인접한 영역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20)의 회전축 방향(A)으로 연장되므로 리프팅부의 역학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센싱장치(200)의 제1장착홈(211)은 장착돌기(110)의 연장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장착홈(211)은 드럼(20)의 회전축 방향(A)을 따라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extend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 of the drum 20 . Accordingly, the user may mount the sensing device 200 not in the middle of the holder 100 , but in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lifting unit 21a or the second lifting unit 21b. In addition, since it extends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 of the drum 20, the dynamics of the lifting unit can be performed together.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rotrusion 110 . That is,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may be formed to be mounted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 of the drum 20 .

베이스(101)에는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시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장착돌기(11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안착부(1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20)가 마련되므로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안착부(120)가 형성된 영역에만 센싱장치(200)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안착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도 센싱장치(2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base 101 may have a seating part 120 on which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mounted when the holder 100 is mounted thereon. The seating part 1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rotrusion 110 . That is, a plurality of seating units 120 may be provided. Since the seating part 120 is provided,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more stably mounted on the holder 100 . The sensing device 200 may not be mounted only on the region where the seating part 120 is formed, and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seating part 120 is not formed.

의류처리장치(1)가 홀더(100)를 포함하므로 센싱장치(200)의 보관이 용이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장치(20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세탁행정 및 건조행정 중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Sinc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the holder 100 , the sensing apparatus 200 can be easily stored and thus lost can be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use the sensing device 200 to increase the efficiency during the washing cycle and the drying cycle.

도 8은 의류처리장치(1)에서 홀더(100)에 장착된 센싱장치(200)가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nsing device 200 mounted on the holder 100 is separated fro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의류처리장치(1)가 작동시 드럼(20)이 회전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하게 되면 센싱장치(200)가 장착된 홀더(100)가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때, 센싱장치(200)에 중력이 작용하므로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 질 수 있다. 즉, 드럼(20)의 중심방향(B)으로 향할 수 있다. 떨어진 센싱장치(200)는 드럼(20) 내를 이동하며 세탁 또는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장치(200)가 자중에 의해 떨어질 수 있도록 센싱장치(200)의 자중은 센싱장치(200)와 홀더(100)와의 자력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센싱장치(200)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별도 행위 없이 간편하게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perates, the drum 20 may rotate. When the drum 20 rotates, the holder 100 on which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may reach the highest position. At this time, since gravity acts on the sensing device 200, it may fall down by its own weight. That is, it can be directed to the center direction (B) of the drum (20). The distant sensing device 200 may move within the drum 20 and assist at least one of washing and drying. Accordingly, the self-weight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nsing device 200 and the holder 100 so that the sensing device 200 may fall by its own weight.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without a separate action such as physically removing the sensing device 200 by the user.

센싱장치(200)가 장착되면 내부에 마련된 센서가 자기장의 변화 또는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장치(200)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의류처리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센싱장치(200)가 분리되면 내부에 마련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의류처리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When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a sensor provided therein detects that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through at least one of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or a detection sensor, and communicates information related thereto with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1 .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device 200 is separated, a sensor provided therein may detect it and communicate information related thereto with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1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9 .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돌기(110)는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착돌기(110)는 베이스(101)의 측면으로부터 배치될 수 있다. 센싱장치(200)는 홀더(10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를 경우, 기존의 리프터(21) 구조에서 큰 변경 없이 홀더(100)를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9 and 10 , 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100 . Specifically, 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be disposed from the side of the base 101 .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holder 100 . According to this, the holder 100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without a major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lifter 21 .

홀더(100)에 장착된 센싱장치(200)는 드럼(20)이 회전함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하면 드럼(20) 회전방향(C)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드럼(20)의 회전력에 의해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센싱장치(200)가 회전력에 의해 떨어질 수 있도록 드럼(20)의 회전력은 센싱장치(200)와 홀더(100)와의 자력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센싱장치(200)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별도 행위 없이 간편하게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200 mounted on the holder 100 may be separated as the drum 20 rotates. When the drum 20 rotates,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um 20 rotation direction C. That is,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20 . 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2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nsing device 200 and the holder 100 so that the sensing device 200 may fall by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without a separate action such as physically removing the sensing device 200 by the user.

도면에서 센싱장치(200)는 드럼(20)의 회전방향(C)과 반대되는 홀더(100)의 측면방향에 배치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착돌기(110)가 홀더(100)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는 센싱장치(200)가 드럼(20)의 회전력이 아닌 센싱장치(200)의 자중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돌기(110)가 아래 방향을 향할 때 센싱장치(200)가 분리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sensing device 200 is disposed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holder 100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C of the drum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ounting protrusion 110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lder 100 so that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lder 100 . In this case,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parated by the weight of the sensing device 200 rather tha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20 .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protrusion 110 faces downward,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parat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1 .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센싱장치(200)는 상하방향을 따라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홀더(100)는 안착홈과 구획벽(133)과 연장돌기(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11 and 12 ,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or detach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hold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groove, a partition wall 133 , and an extension protrusion 134 .

베이스(10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 안착홈, 구획벽(133), 연장돌기(134)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101)의 형상은 원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10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seating groove, a partition wall 133 , and an extension protrusion 134 may be formed thereon. However, the shape of the base 101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안착홈은 센싱장치(200)가 장착되는 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안착홈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홈은 제1안착홈(131)과 제2안착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may expand an area in which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stably mounte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may be provided. The seat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a second seating groove 132 .

제1안착홈(131)에는 센싱장치(200)의 중앙부가 안착될 수 있다. 제1안착홈(131)에는 제2면(202)이 안착될 수 있다. 제1안착홈(131)은 둥근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A central portion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 The second surface 202 may b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may have a round shape.

제2안착홈(132)에는 센싱장치(200)의 외측부가 안착될 수 있다. 제2안착홈(132)에는 제3면(205)과 인접한 영역이 안착될 수 있다.An outer portion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32 . A region adjacent to the third surface 205 may b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32 .

구획벽(133)은 제1안착홈(131)과 제2안착홈(13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획벽(133)은 제1안착홈(131)과 제2안착홈(132)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133)은 제1안착홈(131)과 제2안착홈(132)을 구획하도록 드럼(20)의 중심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획벽(133)은 센싱장치(200)의 제2장착홈(2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장치(200)는 홀더(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획벽(13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3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2 . The partition wall 133 may partitio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2 . The partition wall 133 may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drum 20 to partitio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2 . The partition wall 13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2 of the sensing device 200 .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holder 100 . The partition wall 13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연장돌기(134)는 구획벽(133)의 외주에서 복수의 리프팅부(21a, 2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돌기(134)는 제1장착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연장돌기(134)의 연장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센싱장치(2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extension protrusion 134 may exten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wall 133 toward the plurality of lifting parts 21a and 21b. The extension protrusion 13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more stably mounted on the holder 100 . However,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xtension protrusion 134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extend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there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도이다.13 is a front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3 .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홀더(100)는 고정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20)의 외부에 마련되는 스토퍼(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3 and 14 , the holder 100 may include a fixing device 14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45 provided outside the drum 20 .

고정장치(140)는 복수의 고리부(141, 142)와, 결합축(143)과, 버튼부(144)와, 고정스프링(146)과, 보조부자(147)와, 돌출부재(148)와, 안착벽(149)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 a coupling shaft 143 , a button portion 144 , a fixing spring 146 , an auxiliary member 147 , and a protruding member 148 . And, it may include a seating wall 149 .

복수의 고리부(141, 142)는 센싱장치(200)를 드럼(2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고리부(141, 142)는 복수의 제1장착홈(211)에 결합되어 센싱장치(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고리부(141, 142)는 제1고리부(141)와 제2고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고리부(141)와 제2고리부(142) 각각은 제1장착홈(2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may fix the sensing device 200 in the drum 20 .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ounting grooves 211 to fix the sensing device 200 .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may include a first ring portion 141 and a second ring portion 142 . That is, each of the first r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ring portion 1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 respectively.

결합축(143)은 복수의 고리부(141, 142)가 각 단부에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축(143)은 복수의 고리부(141, 142) 각각에 마련되는 홀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축(143)은 버튼부(144)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shaft 143 may allow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to be coupled at each end. The coupling shaft 143 may be coupled to a hol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 The coupling shaft 143 may be formed in the button portion 144 .

버튼부(144)는 드럼(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축(14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버튼부(144)는 드럼(20)의 외부에 마련된 스토퍼(145)에 의해 드럼(20) 내로 삽입되는 방향(D)으로 푸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고리부(141, 142) 각각은 제1장착홈(211)에서 분리될 수 있고, 센싱장치(200)가 분리될 수 있다.The button part 144 may extend from the coupling shaft 143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rum 20 . The button unit 144 may be pushed in the direction D to be inserted into the drum 20 by a stopper 145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rum 20 . 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groove 211 , and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parated.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20)의 회전시에 버튼부(144)를 가압하도록 드럼(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스토퍼(14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45)가 존재하므로 의류처리장치(1)가 작동시 사용자의 별도 행위 없이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stopper 145 positioned outside the drum 20 to press the button 144 when the drum 20 rotates. Since the stopper 145 is present,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without a separate action by the user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operating.

고정스프링(146)은 드럼(20) 및 보조부자(147)의 사이에 배치되어 드럼(20)이 흔들리더라도 센싱장치(200)가 쉽게 홀더(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스프링(146)은 드럼(20) 회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fixing spring 146 is disposed between the drum 20 and the auxiliary member 147 to prevent the sensing device 20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even if the drum 20 is shaken. That is, the fixed spring 146 can absorb the impact caused by the drum 20 rotation.

보조부자(147)는 복수의 고리부(141, 142)에 결합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부자(147)의 일단부는 복수의 고리부(141, 142)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드럼(20)에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고리부(141, 142) 각각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member 147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so that the spring is seated. One end of the auxiliary member 147 may b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 and the oth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drum 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142).

돌출부재(148)는 보조부자(147)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재(148)의 외측에는 고정스프링(146)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재(148)의 존재로 인해 고정스프링(146)이 보조부자(147)와 안착벽(149)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148 may protrude from the auxiliary member 147 . A fixing spring 146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member 148 . Due to the presence of the protruding member 148 , the fixing spring 146 may not be separated between the auxiliary member 147 and the seating wall 149 .

안착벽(149)은 드럼(20)의 내면에서 드럼(2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안착벽(149)은 고정스프링(146)이 배치되는 위치의 바깥에 마련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또는 정지 중에 고정스프링(14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ting wall 149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20 to the inside of the drum 20 . The seating wall 149 may be provided outside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spring 146 is disposed to prevent the fixing spring 146 from being separated during operation or stop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고정스프링(146), 보조부자(147), 돌출부재(148) 및 안착벽(149) 각각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Each of the fixing spring 146 , the auxiliary member 147 , the protruding member 148 , and the seating wall 149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15 is a sid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5 when the door is opened.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5 when the door is closed.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홀더(100)는 도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를 마주하는 외부도어(41)와, 캐비닛의 내부를 마주하는 내부도어(42)와, 도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15 to 17 , the holder 100 may be formed in the door. The door may include an outer door 41 facing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 an inner door 42 fac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a rim member 43 forming a rim of the door.

센싱장치(200)의 제2면(202)이 홀더(100)의 제1안착홈(131)에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202 of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of the holder 100 .

내부도어(42)의 캐비닛 내부를 마주하는 영역에는 홀더(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작동시에 도어에 장착된 센싱장치(200)가 후술할 방법으로 작동시 드럼(20) 내부에 투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별도 동작 없이 세탁 또는 건조를 보조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inner door 42 fac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Accordingly, when the sensing device 200 mounted on the door is not in operation, it can be put into the drum 20 when it is operated in a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washing or drying can be aid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홀더(100)에는 센싱장치(200)가 안착되는 안착 부재(44)가 마련될 수 있다. The hold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member 44 on which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내부도어(42)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내부도어(42)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도어(42)는 곡면부(42a), 평면부(42b) 및 테두리부(42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door 42 may be formed of a glass or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 of the inner door 4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The inner door 42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42a, a flat portion 42b, and an edge portion 42c.

홀더(100)는 가압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장치(150)는 제1가압돌기(151), 연장부재(152), 제2가압돌기(153), 지지부재(154), 고정부재(155) 및 가압스프링(1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100 may include a pressing device 150 . The pressing device 150 may include a first pressing protrusion 151 , an extension member 152 , a second pressing projection 153 , a support member 154 , a fixing member 155 , and a pressing spring 156 . .

제1가압돌기(151)는 내부도어(42)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가압돌기(151)는 도어 개방시 센싱장치(200)가 홀더(100)에 장착되도록 외부도어(41)와 내부도어(42)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51 may be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door 42 .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51 may move into a space between the outer door 41 and the inner door 42 so that the sensing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holder 100 when the door is opened.

연장부재(152)는 외부도어(41) 및 내부도어(42)의 사이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재(152)는 홀더(100)와 인접한 영역에서 제1가압돌기(151)와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재(152)는 도어의 외측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연장부재(152)는 도어의 테두리부(42c)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sion member 152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door 41 and the inner door 42 . The extension member 15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51 in an area adjacent to the holder 100 . The extension member 152 may extend to the outer side of the door. That is, the extension member 152 may extend to the edge portion 42c of the door.

연장부재(152)는 판형부재(152a)를 포함할 수 있다. 판형부재(152a)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xtension member 152 may include a plate-shaped member 152a. The plate-shaped member 152a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제2가압돌기(153)는 캐비닛의 전면 커버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가압돌기(153)는 도어의 폐쇄시 판형부재(152a)를 가압할 수 있다. 판형부재(152a)가 가압되면 연장부재(152)가 제1가압돌기(151)가 센싱장치(200)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153 may be inserted into the front cover of the cabinet.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153 may press the plate-shaped member 152a when the door is closed. When the plate-shaped member 152a is pressed, the extension member 152 may move so that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51 presses the sensing device 200 .

지지부재(154)는 판형부재(152a)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54 may support the spring pressed by the plate-shaped member 152a.

고정부재(155)는 연장부재(1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연장부재(152)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55 may fix the extension member 152 so that the extension member 152 is not separated.

가압스프링(156)은 지지부재(154)와 판형부재(152a)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 폐쇄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가압스프링(156)은 도어가 강력하게 닫히는 경우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즉, 버퍼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essing spring 15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54 and the plate-shaped member 152a to be elastically biase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pressure spring 156 may cushion the impact when the door is strongly closed. That is, it can act as a buffer.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폐쇄되면 제2가압돌기(153)가 판형부재(152a)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연장부재(152)도 움직일 수 있다. 연장부재(152)가 움직임에 따라 제1가압돌기(151)가 센싱장치(20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된 센싱장치(200)는 도어에서 분리되어 드럼(2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 행위 없이 드럼(20) 내로 센싱장치(200)를 투입시킬 수 있다.17 , when the door is closed,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153 presses the plate-shaped member 152a, and thus the extension member 152 may also move. As the extension member 152 moves,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51 may press the sensing device 200 . The pressurized sensing device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door and put into the drum 20 . Therefore,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put into the drum 20 without a separate action by the user.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1) 또는 도어는 전자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전자석을 제어하여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의 자력을 on 시키면 장착되고, off 시키면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센싱장치(200)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별도 행위 없이 간편하게 센싱장치(200)를 홀더(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se 101 or the door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not shown).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holder 100 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 For example, if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is turned on, it is mounted, and if it is turned off, it can be separated.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without a separate action such as physically removing the sensing device 200 by the user.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드럼 21; 리프터
30; 전면 커버 40; 도어
100; 홀더 140; 고정장치
150; 가압장치 200; 센싱장치
One; clothes processing device 10; cabinet
20; drum 21; lifter
30; front cover 40; door
100; holder 140; fixture
150; pressurizer 200; sensing device

Claims (20)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도록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 또는 드럼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to measure temperature or humidity in the drum; and
and a hol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oor and the drum so that the sensing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센싱장치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장착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의 내측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holder is provided inside the dru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되도록 상기 드럼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holder includes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drum to be engaged with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돌기에 대응하여 함몰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unting protrusion extends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The mounting groove is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장착돌기의 양측에서 상기 센싱장치가 안착되도록 함몰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lder includes seating portions that are recessed 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protrusion to seat the sens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holder includes a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to be engaged with a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중앙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과, 상기 센싱장치의 외측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안착홈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 및 제2안착홈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lder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ing device is seated,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around the first seating groove to seat the outer part of the sensing device,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의 장착홈과 결합하도록 상기 구획벽에서 돌출되는 연장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hold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wall to engage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홀더와,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의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lifter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o move the clothes inside the drum;
The lifter i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holder; and a plurality of lifting uni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along a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dru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싱장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장착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부;
상기 복수의 고리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축; 및
상기 드럼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의 회전시에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드럼의 외부에 위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groove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holder is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to fix the sensing device;
a coupling shaft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ring parts; and
Includes; a butt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shaft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ru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opper positioned outside the drum to press the button unit when the drum rota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의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er is disposed in an area of the door facing the interior of the cabine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드럼 내로 상기 센싱장치가 투입되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된 상기 센싱장치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ensing device mounted on the holder so that the sens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drum when the door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도어 또는 드럼에 장착되도록 상기 센싱장치의 내부에 자석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 magnet inside the sensing device to be mounted on the door or the drum.
의류의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어 상기 드럼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볼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 또는 드럼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ed for washing or drying clothes,
cabin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accommodating clothes; and
and a hol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oor and the drum so that a sensor ball that is input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asures the state of the drum is detachably mount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센서볼이 분리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lder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sensor ball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볼은 상기 센서볼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센서볼의 장착홈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nsor ball includes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or ball,
The holder includes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sensor bal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를 상기 드럼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홀더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lder is disposed on the drum;
and a lifter including a plurality of lifting parts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o move the clothes inside the drum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홀더에 장착된 상기 센서볼이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되도록 상기 센서볼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lder is disposed on the door,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ensor ball mounted on the holder into the drum.
KR1020200093844A 2020-07-28 2020-07-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20014141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44A KR20220014141A (en) 2020-07-28 2020-07-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21/006870 WO2022025406A1 (en) 2020-07-28 2021-06-02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18/103,099 US20230175189A1 (en) 2020-07-28 2023-01-30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44A KR20220014141A (en) 2020-07-28 2020-07-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41A true KR20220014141A (en) 2022-02-04

Family

ID=8003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44A KR20220014141A (en) 2020-07-28 2020-07-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5189A1 (en)
KR (1) KR20220014141A (en)
WO (1) WO2022025406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8295A1 (en) * 2008-01-15 2009-07-16 The Di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fabrics in a laundry dryer
US10443938B2 (en) * 2009-11-08 2019-10-15 Ga Innovation, Llc Retrofit mois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utomatic shutoff device for clothes dryers
DE102016213232A1 (en) * 2016-07-20 2018-01-25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with improved control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household appliance
KR20180065738A (en) * 2016-12-08 2018-06-18 황기회 Electrolysis Apparatus for Washing and Charging Apparatus Thereof
JP2018143646A (en) * 2017-03-08 2018-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ryness detection device and clothes dryness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5189A1 (en) 2023-06-08
WO2022025406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70119072A1 (en)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59449A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2019015364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40319983A1 (en)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35286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00040478A (en) Clothing dryer and door of the same
EP3543394A1 (en) Drying apparatus,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30156284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200046411A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4008755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436831B1 (en) Laundry drying processor
KR2017008193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14141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18019522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441879A1 (en) Laundry drying processor and removal device including a filter element
AU2021250920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9006205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124675A1 (en) Washing and/or drying appliance
KR20040063394A (en) A dryer
EP266942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30065663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5662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20162795A1 (en) Dryer
US20230265597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