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005A -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005A
KR20220014005A KR1020200093535A KR20200093535A KR20220014005A KR 20220014005 A KR20220014005 A KR 20220014005A KR 1020200093535 A KR1020200093535 A KR 1020200093535A KR 20200093535 A KR20200093535 A KR 20200093535A KR 20220014005 A KR20220014005 A KR 2022001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수
양관식
이종인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005A/ko
Priority to PCT/KR2021/009508 priority patent/WO2022025525A1/ko
Publication of KR2022001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005A/ko
Priority to US18/102,337 priority patent/US202301798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멀티뷰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이나 단말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전자장치는 외부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트를 수신하여, 그에 기초한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최근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한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고화질 라이브 방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을 적용한 방송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시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일례로, 전자장치는 복수의 컨텐트를 동시에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멀티뷰 스트리밍 또는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컨텐트 각각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처리하여 구분된 각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가용 자원, 즉, 리소스의 제약으로 인해, 전자장치가 정해진 개수의 컨텐트를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되는 일부 컨텐트에서 왜곡이 발생하는 등 화면에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에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개수와 형태로만 화면을 구분하여 컨텐트를 표시하는 경우, 컨텐트의 재생 환경이나, 컨텐트 자체의 특성, 사용자의 선호도 등에 따라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멀티뷰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트가 왜곡 없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시청 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멀티뷰 화면을 구성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외부장치는 제1외부장치와 제2외부장치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1외부장치로 전송하고,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2외부장치로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외부장치로부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전자장치에 마련된 디코더 또는 스케일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는, 복수의 컨텐트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한 2 이상의 컨텐트의 믹싱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됨에 기초하여, 선택된 UI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트는 다방위영상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며, 프로세서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방향정보를 알려주는 UI를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인터페이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자장치에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전자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가 전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장치에 관한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컨텐트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믹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믹싱되도록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장치는 제1외부장치와 제2외부장치를 포함하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1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2외부장치로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외부장치로부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전자장치에 마련된 디코더 또는 스케일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는, 복수의 컨텐트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한 2 이상의 컨텐트의 믹싱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됨에 기초하여, 선택된 UI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트는 다방위영상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방향정보를 알려주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자장치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가공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컨텐트가 왜곡없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어, 시청 시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줄이고 사용자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멀티뷰 화면을 구성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멀티뷰 스트리밍이 수행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MEC 시스템을 구현하는 복수의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 중 일부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UI와 함께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UI와 함께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UI와 함께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화면에 재배치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는 외부의 신호공급원, 즉,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예를 들면 컨텐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트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00)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 전자장치(1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에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전자장치(1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박스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단말장치(terminal apparatus)(이하,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또는 user device)이라고도 한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는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모니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0)가 텔레비전인 경우, 전자장치(10)는 직접 또는 전자장치(10)와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부가기기, 예를 들면, 셋탑박스(set-top box, STB), OC 박스(one-connect box), 미디어박스 등을 통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와 부가기기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자장치(10)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에서, 방송 컨텐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신호공급원, 즉, 소스는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도 4의 1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F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DVI,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썬더볼트(Thunderbolt), RGB 케이블,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전자장치(10)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컨텐트 제공을 위한 소스로서, 서버(도 2의 20), 단말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들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12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컨텐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로 구현되는 외부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장치(10)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즉, 컨텐트 서버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는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미디어파일이나 웹컨텐트 등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 즉, 서버(2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외부장치 각각에 접속함으로써, 접속된 각 외부장치로부터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예를 들면, 유튜브(YouTube)와 같은 웹서버나, 넷플릭스(Netflix)와 같은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TT 서버로부터 VOD와 같은 비디오 컨텐트 또는 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컨텐트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VOD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컨텐트 제공을 위한 서버(20)로서 마련된 외부장치로부터 컨텐트를 수신 및 그 수신한 컨텐트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컨텐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출력 즉,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서버(2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20)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는 멀티뷰 스트리밍 또는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멀티뷰 스트리밍이 수행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 예를 들면, 서버(2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장치(10)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컨텐트 제공을 위한 서버(20)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즉, 서버(20)는 방송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송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장치, 즉, 서버(20)는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미디어 파일, 즉, 미디어 컨텐트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미디어서버, 예를 들면,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TT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외부장치, 즉, 서버(20)는 웹컨텐트와 같은 비디오 컨텐트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웹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 축구 등의 스포츠 중계 또는 게임 중계의 다양한 방송영상(방송 컨텐트)을 멀티뷰 스트리밍으로서 전자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복수의 VOD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미디어 컨텐트)을 멀티뷰 스트리밍으로서 전자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멀티뷰 스트리밍의 영상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므로, 서버(20)는 방송 컨텐트, 미디어 컨텐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컨텐트를 멀티뷰 스트리밍에 의해 송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멀티뷰 스트리밍(이하, 멀티뷰 라고도 한다)을 위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수신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가공(processing), 다시 말해, 변경(changing) 또는 수정(editing)하여, 가공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는, 수신된 리소스 상태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가공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서버(20)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가공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는,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므로, 전자장치(10)에서 영상의 왜곡 등의 발생 없이 디스플레이(110)에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트의 가공은,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를 믹싱(mixing) 또는 머지(merge)하여 믹싱 컨텐트 또는 합성 컨텐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20)는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2개의 컨텐트를 합성, 다시 말해, 믹싱하여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진 믹싱 컨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20)는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를 모두 믹싱하여, 하나의 파일로서 믹싱 컨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믹싱 컨텐트는 하나의 스트림으로 서버(20)로부터 전자장치(10)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트의 가공은,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의 해상도를 조정, 즉,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트의 가공은,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의 형식, 예를 들면, 압축 타입 또는 디코딩 타입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20)는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그 용량이 감소되도록 압축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컨텐트의 가공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도록 컨텐트를 변경 가능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둘 이상의 가공 프로세스, 예를 들어, 믹싱 컨텐트의 생성과 해상도 조정을 동시에 적용하여, 가공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서버(20), 즉, 외부장치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는 제1외부장치와 제2외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는 MEC, 다시 말해, 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을 지원하는 복수의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MEC 시스템을 구현하는 복수의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MEC는 트래픽 및 서비스 컴퓨팅의 일부를 중앙 집중식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 에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와 송수신하는 대신, 일부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에지, 즉, MEC 서버에서 분석, 처리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로서 구현된 제1서버(21) 및 MEC 서버로서 구현된 제2서버(22)와 제3서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서버(21)는 전자장치(10)에 대한 제1외부장치로, 제2서버(22)와 제3서버(23)는 각각이 전자장치(10)에 대한 제2외부장치와 제3외부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MEC 시스템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다른 구성, 예를 들면, MEC 서버로서 제4서버가 더 포함되거나, 일부 구성이 변경 또는 배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전자장치(10)가 네트워크 에지로서 제2서버(2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지만, 전자장치(10)의 통신 대상은 제2서버(2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서버(21)는 컨텐트 서버로서 구현되어, 전자장치(10)로 멀티뷰 스트리밍을 위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서버(22)는, 제1서버(21)와 통신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제1서버(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가공한 가공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외부장치(22)는, 제1외부장치(21)로부터 수신된 신호, 즉, 커맨드에 대응하여 멀티뷰의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한 믹싱 컨텐트를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서버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10)는, 도 4에 구성된 구성의 일부가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 예를 들면 구동부(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는 소스, 즉,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는 서버(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멀티뷰 스트리밍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에는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가 가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합성 또는 믹싱되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장치(10)가 서버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HDMI, HDMI-CFC, USB, 컴포넌트(Component), 디스플레이 포트(DP), DVI, 썬더볼트, RGB 케이블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소스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지상파/위성방송 등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연결되거나, 케이블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0)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너와 디모듈레이터는 통합된 형태의 단일 칩으로 설계되거나, 상호 분리된 2개의 칩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외부 마이크 또는 마이크를 구비한 외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마이크 또는 오디오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통해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서버 등과 1:1 또는 1:N (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기기에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자장치(1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0)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전자장치(1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억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으로 전자장치(10)와 외부장치 사이에 1 대 1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가 외부장치와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40)에는 통신 대상 기기인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과 무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20) 등의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적외선 통신규격에 따라 IR(Infrared)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하거나, 다른 외부장치로 리모컨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른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와 리모컨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마이크(microphone)와 같은 음성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음성의 정보로서 소정 데이터를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태/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해당 사용자음성의 처리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loudspeaker)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로서, 사용자음성을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전자장치(10)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가 STT(speech to tex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전자장치(1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음성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에서, 서버(20) 등의 외부장치의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와 이더넷 모뎀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과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10)에서, 서버(20)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장치 및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22)는 전자장치(1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0)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는 사용자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프로세서(1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전자장치(10)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전자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장치(10)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예를 들면, 리모컨(remote control), 게임콘솔(game console),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등을 포함하며, 전자장치(10)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입력장치는 전자장치(1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가 되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는 사용자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microphone)로서 구현되며, 마이크는 전자장치(10)에 마련되거나, 전자장치(10)와 이격 분리되어 마련되거나, 또는 전자장치(10)와 이격 분리된 다른 장치, 예를 들면, 리모컨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다시 말해, 핸드 제스처(hand gesture)(이하, 제스처 라고도 한다)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의 모션감지부는 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등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멀티뷰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사용자입력은,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의 우선순위를 변경하거나, 화면에서의 복수의 컨텐트의 배치 또는 표시 영역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하는 등 다양하게 수신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UI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또는 이미지,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40)에는 전자장치(10)가 텔레비전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TV 어플리케이션 또는 TV 클라이언트와,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VOD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4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자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40), 프로세서(15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장치(10)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전자장치(10)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5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전자장치(10)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예를 들어, H.264/AVC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디코더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디코더는 하드웨어 디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디코더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에는 디코더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에 마련된 복수의 디코더는 각각이 하드웨어 디코더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에는 복수의 디코더로서, 예를 들면, 8K UHD 영상을 디코드할 수 있는 HVEC 디코더 1개, 4K UHD 영상을 디코드할 수 있는 H.264/AVC 디코더 1개, 풀(full) HD 영상을 디코드할 수 있는 H.264/AVC 디코더 2개로 총 4개의 디코더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전자장치(10)에 마련되는 디코더의 개수 및/또는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디코더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멀티뷰 스트리밍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1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케일러는 하드웨어 리소스, 즉, 자원으로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최대 해상도를 결정하는 출력 버퍼(buff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에서, 디코더와 스케일러는 전자장치(10)가 멀티뷰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10)에서 가용 리소스 상태를 결정하는 요인은 디코더와 스케일러와 같은 영상처리부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부가 처리하는 컨텐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컨텐트는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뿐 아니라, JPEG 파일과 같은 사진, 배경화면 등의 정지화상, UI의 메뉴항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에는 튜너,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5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에서, 프로세서(150)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장치(10)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에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례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의 프로세서(15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멀티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으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한 화면에 멀티뷰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501). 여기서, 가용 리소스 상태는 전자장치(10)에서 영상처리를 위한 가용 자원의 용량, 즉,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가용 리소스 상태는 전자장치(10)에 마련된 디코더 및/또는 스케일러의 개수와 종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용 리소스 상태는 인터페이스부(120)에 대하여 할당된 네트워크 대역폭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단계 501에서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 즉,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502).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 즉,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총량이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리소스 상태의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20)에서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믹싱(mixing) 또는 머지(merge)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서버(20), 즉, 외부장치로부터, 단계 502에서 전송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테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503).
일 실시예에서, 리소스 상태의 정보가 전송되는 외부장치와,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장치는 같은 장치, 즉, 단일 서버(20)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소스 상태의 정보가 전송되는 외부장치와,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서버(21)에 리소스 상태의 정보를 전송하고, 제2서버(22)로부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 단계 503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이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504).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150)의 동작은 전자장치(1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프로세서(1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2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버(2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 또는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서버(20)의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서버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서버(21), 제2서버(22) 및 제3서버(23)도 도 6과 같은 구성들이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버(20)의 구성 중 전자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서버(20)가 전자장치(10)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회로(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서버(20)가 복수 개 마련된 경우, 각 서버(21, 22, 23)는 자신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다른 서버 및 전자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로서 제1서버(21)(컨텐트 서버)는, 자신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다른 서버, 예를 들면, MEC 서버로서 마련된 제2서버(22) 또는 제3서버(23)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서버(2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240)에는 전자장치(10)를 포함하는 외부의 장치들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컨텐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에는 사용자의 계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계정정보는 보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정정보는 해당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는 전자기기, 예를 들면 전자장치(10)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는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서버(2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서버(20)의 프로세서(250)는,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전자장치(10)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50)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식으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은 전자장치(10)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한 화면에 멀티뷰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701). 여기서, 가용 리소스 상태는 전자장치(10)에서 영상처리를 위한 가용 자원의 용량, 즉,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단계 701에서 획득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702). 예를 들면, 프로세서(250)는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대상인 4개의 컨텐트 중 2개의 컨텐트를 하나의 파일로 믹싱 또는 머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250)는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대상인 4개의 컨텐트 전부를 하나의 파일로 믹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복수의 컨텐트 각각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획득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컨텐트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가공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컨텐트 중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컨텐트에 대해 해상도를 조정하거나, 압축 타입 또는 디코딩 타입을 변경하는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컨텐트 중 전자장치(10)에서 지원하지 않는 디코딩 타입으로 인코드된 컨텐트에 대해, 그 디코딩 타입을 변경하는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단계 703에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703). 이렇게 전송되는 복수의 컨텐트는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도록 가공된 것이므로, 전자장치(10)의 디스플레이(110)에 멀티뷰 방식으로 왜곡 없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EC 시스템을 구현하여, 아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로서 제1서버(21)(컨텐트 서버)는, 단계 701에서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서버(22)는, 네트워크 에지로서 마련된 제2서버(22)(MEC 서버)로 신호, 즉, 커맨드를 전송하여, 제2서버(22)가, 단계 702에서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서버(22)는,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단계 703에서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멀티뷰 스트리밍 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제1서버(21)(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801). 여기서, 제1서버(21)는 전자장치(10)로 전송 대상이 소정의 개수, 일례로, 4개의 컨텐트의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되는 정보에는 각 컨텐트의 정보, 예를 들면, 디코딩 또는 압축 타입, 해상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1서버(21)로 전송할 수 있다(802).
여기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의 전송은, 801에서 수신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경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1서버(21)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가 복수의 컨텐트를 멀티뷰 스트리밍하기에 부족함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가 3개의 디코더임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리소스 상태의 식별에 기초하여, 801의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을 중단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제1서버(21)는 전자장치(10)로부터 획득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서버(22)(MEC 서버)에서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믹싱 컨텐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803).
일 실시예에서, 제1서버(21)는 획득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에서 가용 자원이 부족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멀티뷰 재생이 불가능한 것을 식별하고, 제2서버(22)에서 부족한 가용 자원에 대응하여 2개의 컨텐트를 합성, 즉, 믹싱한 믹싱 컨텐트(811)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성된 믹싱 컨텐트(811)의 데이터는, 제2서버(22)로부터 전자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믹싱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서버(22)는, 제1서버(21)에 대하여 외부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10)에서 멀티뷰 대상 복수의 컨텐트 중 하나의 믹싱 컨텐트(811)와, 2개의 오리지널 컨텐트에 대응하여, 총 3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에 멀티뷰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오리지널 컨텐트의 데이터는 제1서버(21)로부터 전자장치(10)로 전송되거나, 또는 제2서버(22) 또는 MEC 서버로서 동작 가능한 다른 서버, 예를 들면 제3서버(23)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제1서버(21)(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901). 여기서, 제1서버(21)는 전자장치(10)로 전송 대상이 소정의 개수, 일례로, 4개의 컨텐트의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되는 정보에는 각 컨텐트의 정보, 예를 들면, 디코딩 또는 압축 타입, 해상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1서버(21)로 전송할 수 있다(902).
여기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의 전송은, 901에서 수신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경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1서버(21)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0)의 리소스 상태가 복수의 컨텐트를 멀티뷰 스트리밍하기에 부족함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가용 리소스 상태의 식별에 기초하여, 901의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을 중단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제1서버(21)는 전자장치(10)로부터 획득한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에서 가용 자원이 부족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멀티뷰 재생이 불가능한 것을 식별하고,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믹싱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장치, 즉,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정보는, 믹싱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장치로서 제2서버(22)에 관한 네트워크 주소(예를 들면, URL)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서버(21), 즉, 컨텐트 서버는, 소정 MEC 서버, 예를 들면, 제2서버(22)에서 부족한 가용 자원에 대응하여 4개의 컨텐트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한 믹싱 컨텐트(911)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904). 다만, 도 9에서는 4개의 컨텐트를 하나로 믹싱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컨텐트 중 임의의 개수, 예를 들면, 2개 또는 3개의 컨텐트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전자장치(10)는, 제1서버(21)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서버(22)에 접근하여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905).
제2서버(22)는, 전자장치(1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믹싱 컨텐트(911)의 데이터를 전자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906). 즉,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는 원 스트리밍(one streaming)으로 전자장치(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는 수신된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제2서버(22)에 접속함으로써, 제2서버(22)로부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0)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2서버(22)에 접속함으로써, 제2서버(22)로부터 믹싱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10)에서 멀티뷰 대상 복수의 컨텐트에 대응하여 믹싱 컨텐트(911)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믹싱 컨텐트(911)로서 수신하였지만, 이는 복수의 컨텐트에 대응하므로, 사용자는 멀티뷰 스트리밍으로서 복수의 컨텐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장치(10)의 프로세서(15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멀티뷰 스트리밍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1001). 여기서, 가용 리소스 상태는 전자장치(10)에서 영상처리를 위한 가용 자원의 용량, 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에 마련된 디코더 및/또는 스케일러의 개수와 종류 등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단계 1001에서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일부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컨텐트가 멀티뷰 스트리밍되고, 전자장치(10)에 마련된 디코더의 개수가 3개인 경우, 4개의 컨텐트 중 3개의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전자장치(10)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일부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일부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컨텐트 중 우선순위에 따라 1순위, 2순위 및 3순위의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단계 1002에서 영상으로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 예를 들면, 낮은 4순위의 컨텐트에 관한 UI(user interface)를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1003). 여기서, 표시되는 UI는 메뉴항목, 섬네일,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 중 일부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서버(20)(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1101, 1102, 1103, 1104)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1101, 1102, 1103, 1104)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1101, 1102, 1103, 1104) 중 일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가용 리소스로 3개의 디코더가 식별된 경우, 가용 자원 범위, 다시 말해,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3개의 컨텐트(1101, 1102, 1103)가 재생되어 전자장치(1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UI와 함께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서버(20)(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1201, 1202, 1203, 1204)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1201, 1202, 1203, 1204)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1201, 1202, 1203, 1204) 중 일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가용 리소스로 2개의 디코더가 식별된 경우,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2개의 컨텐트(1201, 1202)가 재생되어 전자장치(1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영상으로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203, 1204)에 관한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203, 1204)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213, 1414)을 포함하며, 전자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1213, 1214)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메뉴항목(1213, 1214)의 리스트는 복수의 컨텐트(1201, 1202)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리스트 내의 메뉴항목(1213, 1214)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는, 어느 하나의 메뉴항목(1213)의 선택에 응답하여, 화면이 전환되어 선택된 메뉴항목(1213)에 대응하는 컨텐트(1203)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추가 영상이 존재함을 통지하는 메시지(1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UI와 함께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서버(20)(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1301, 1302, 1303, 1304)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1301, 1302, 1303, 1304)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1301, 1302, 1303, 1304) 중 일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가용 리소스로 2개의 디코더가 식별된 경우,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2개의 컨텐트(1301, 1302)가 재생되어 전자장치(1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영상으로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303, 1304)에 관한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303, 1304)에 대응하는 섬네일(1313, 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섬네일(1313, 1314)은 복수의 컨텐트(1301, 1302)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재생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섬네일(1313, 1314)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는, 어느 하나의 섬네일(1313)의 선택에 응답하여, 화면이 전환되어 선택된 섬네일(1313)에 대응하는 컨텐트(1303)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재생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UI와 함께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는 360도 입체 영상(이하, 입체 영상 또는 360도 영상 이라고도 한다)과 같은 다방위영상(multi-angle image)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서버(20)(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다방위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컨텐트(1401, 1402, 1403, 1404)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컨텐트(1401, 1402, 1403, 1404)는 다방위영상의 소정 방향, 예를 들면, 정면, 후면, 우측 및 좌측의 영역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서버(20)로부터 컨텐트 부가정보로서 복수의 컨텐트(1401, 1402, 1403, 1404)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1401, 1402, 1403, 1404)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1401, 1402, 1403, 1404) 중 일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가용 리소스로 2개의 디코더가 식별된 경우,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2개의 컨텐트(1401, 1402)가 재생되어 전자장치(1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수신된 컨텐트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컨텐트(1401, 1402)의 영상과 함께, 표시되는 각 컨텐트(1401, 1402)의 방향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 또는 아이콘(1421, 1422)을 UI로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 중 영상으로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403, 1404)에 관한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I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403, 1404)에 대응하는 섬네일(1413, 1414)을 포함할 수 있다. 섬네일(1413, 1414)은 복수의 컨텐트(1401, 1404)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는 수신된 컨텐트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1403, 1404)의 방향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 또는 아이콘(1423, 1424)을 UI로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섬네일(1413, 1414)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는, 어느 하나의 섬네일(1413)의 선택에 응답하여, 화면이 전환되어 선택된 섬네일(1413)에 대응하는 컨텐트(1403)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컨텐트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컨텐트의 영상과 함께, 정보를 알려주는 UI를 표시하는 경우는, 도 14와 같은 다방위 영상을 표시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은 야구나 축구와 같은 스포츠 중계에서의 다양한 뷰(view)의 영상, 예를 들면, 경기장 필드(field) 영상, 관중석 영상, 중계석 영상, 벤치 영상 등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는 다양한 뷰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과 그 영상의 뷰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UI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컨텐트를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일부만 표시하여, 전자장치(10)의 동작에 있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표시되지 않는 컨텐트에 대해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부 컨텐트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멀티뷰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장치(10)의 프로세서(15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멀티뷰 스트리밍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1501). 여기서, 리소스 상태는 전자장치(10)에서 영상처리를 위한 가용 자원의 용량, 즉,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에 마련된 디코더 및/또는 스케일러의 개수와 종류 등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단계 1501에서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서버(20)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502).
일 실시예로, 단계 1501에서 리소스 상태가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를 동시 재생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복수의 컨텐트가 오리지널 컨텐트로서 서버(20)로부터 전자장치(10)로 멀티비디오 스트리밍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계 1502에서 리소스 상태가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를 동시 재생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식별된 경우, 부족한 자원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가 가공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가 서버(20)로부터 전자장치(10)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된 컨텐트는,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이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믹싱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초에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장치와 가공된 컨텐트, 예를 들면,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장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단계 1502에서 수신된 복수의 컨텐트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배치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503). 예를 들면, 복수의 컨텐트 각각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각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영역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컨텐트의 우선순위 정보는, 부가정보로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가 배치된 화면의 레이아웃 변경에 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504). 여기서, 레이아웃 변경에 관한 사용자입력은, 단계 1503에서 배치된 복수의 컨텐트의 우선순위를 변경하거나, 화면에서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배치된 표시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단계 1504에서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따라 변경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재배치하여,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505).
도 1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는, 외부장치, 예를 들면, 서버(20)(컨텐트 서버)로부터 멀티비디오 스트리밍에 의해 복수의 컨텐트(1601, 1602, 1603, 1604)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1601, 1602, 1603, 1604)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텐트(1601, 1602, 1603, 1604)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뷰 대상이 4개의 컨텐트이고, 식별된 가용 리소스로 4개의 디코더가 식별된 경우, 가용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의 디스플레이(110)의 각 영역에 모든 복수의 컨텐트(1601, 1602, 1603, 1604)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컨텐트(1601, 1602, 1603, 1604)는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배치되어, 그 대응하는 영상들이 디스플레이(110)의 각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컨텐트(1601, 1602, 1603, 1604)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컨텐트(1601)가 디스플레이(110)의 제1영역(111)에 배치되고, 순서대로 컨텐트(1602, 1603, 1604)이 각각 제2 내지 제3 영역(112, 113, 114)에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컨텐트를 화면에 재배치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대상인 복수의 컨텐트(1701, 1702, 1703, 1704)를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의 각 영역(111, 112, 113, 114)에 배치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복수의 컨텐트(1701, 1702, 1703, 1704)가 화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화면의 레이아웃 변경에 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1701, 1702, 1703, 1704)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의 각 영역(111, 112, 113, 114)에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가 낮은 컨텐트(1703)에 대해 높은 우선순위, 즉, 1순위를 부여하는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해당 컨텐트(1703)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제1영역(111)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영역(111)에 표시되었던 컨텐트(1701)의 영상은 상대적으로 낮아진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제3영역(113)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아웃 변경의 일례로서 컨텐트에 대한 우선순위를 재부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력 가능한 사용자입력은 우선순위의 재부여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의 각 영역(111, 112, 113, 114)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경하거나, 영역의 개수를 변경(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하는 등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컨텐트의 우선순위 변경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재생 환경의 변화, 컨텐트 자체의 특성, 선호도 등을 반영하여 멀티뷰 화면을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 전자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인터페이스부 121 : 유선 인터페이스부
122 : 무선 인터페이스 130 : 사용자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프로세서
20 : 서버 21 : 제1서버
22 : 제2서버 220 : 인터페이스부
221 : 유선 인터페이스부 222 : 무선인터페이스부
250 : 저장부 250 :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제1외부장치와 제2외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상기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 마련된 디코더 또는 스케일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한 2 이상의 컨텐트의 믹싱에 대응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상기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UI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트는 다방위영상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방향정보를 알려주는 UI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9. 서버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자장치에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하고,
    상기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가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장치에 관한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믹싱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13.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가용 리소스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리소스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2 이상의 컨텐트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되도록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스트림으로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제1외부장치와 제2외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상기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 마련된 디코더 또는 스케일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된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기초한 2 이상의 컨텐트의 믹싱에 대응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의 용량이 상기 전자장치의 가용 리소스 상태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UI에 대응하는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트는 다방위영상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트의 방향정보를 알려주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3535A 2020-07-28 2020-07-28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4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35A KR20220014005A (ko) 2020-07-28 2020-07-28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09508 WO2022025525A1 (ko) 2020-07-28 2021-07-22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18/102,337 US20230179815A1 (en) 2020-07-28 2023-01-27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35A KR20220014005A (ko) 2020-07-28 2020-07-28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005A true KR20220014005A (ko) 2022-02-04

Family

ID=8003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535A KR20220014005A (ko) 2020-07-28 2020-07-28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9815A1 (ko)
KR (1) KR20220014005A (ko)
WO (1) WO20220255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43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비디오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1741B2 (en) * 1999-04-07 2004-03-23 Intel Corporation Random access video playback system on a network
JP2009260818A (ja) * 2008-04-18 2009-11-05 Nec Corp サーバ装置とコンテンツ配信方法とプログラム
EP2408196B1 (en) * 2010-07-14 2017-01-11 Alcatel Lucent A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generating a composite view from multiple content items
US9813470B2 (en) * 2014-04-07 2017-11-07 Ericsson Ab Unicast ABR streaming
US9628405B2 (en) * 2014-04-07 2017-04-18 Ericsson Ab Merging multicast ABR and unicast ABR with progressive download ABR in a customer premises device within the same video delivery pipe
KR102063895B1 (ko) * 2015-04-20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19008B2 (en) * 2016-07-29 2019-02-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video streams into composite media content
US9749577B1 (en) * 2016-08-03 2017-08-29 American Megatrends, Inc. Host video recording by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BMC)
KR102625773B1 (ko) * 2017-01-04 202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뷰 벡터별 다른 렌더링 품질을 갖는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43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비디오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525A1 (ko) 2022-02-03
US20230179815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4813B2 (en) Multiple video content in a composite video stream
US20130283318A1 (en) Dynamic Mosaic for Creation of Video Rich User Interfaces
US20130135179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US2023033359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7153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daptively adjusted documents
WO2020098504A1 (zh) 一种视频切换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US2013017420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lay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8033B2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of applications and display device
US11991231B2 (en) Method for playing streaming media file and display apparatus
US202301798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2502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230179815A1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240639A1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303958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the same
KR20190115256A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96743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from a client device to a server device in a centraliz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11301197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US10104330B2 (en) Multimedia content minimization on mute command
KR2022004867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2034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302621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12733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5994A (ko)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20220032938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464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