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641A -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 Google Patents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641A
KR20220012641A KR1020200091661A KR20200091661A KR20220012641A KR 20220012641 A KR20220012641 A KR 20220012641A KR 1020200091661 A KR1020200091661 A KR 1020200091661A KR 20200091661 A KR20200091661 A KR 20200091661A KR 20220012641 A KR20220012641 A KR 2022001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ssembly
beverage
beverage outlet
disposable cup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09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641A/en
Publication of KR2022001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6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7Separate closure devices for reclosing opened cans or tins, e.g. bee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part constituting a lid assembly for sealing a disposable cup.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e body part constituting the lid assembly, comprising: an upper end part; and a lower end par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a diameter of the upper end part and doubly fastened to a disposable cup, wherein the upper end part comprises: a beverage outlet tha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part to eject the beverage from the disposable cup and protrudes upward; a stopper storag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part; and a concave part formed toward the lower end part in a fan shape centered on the beverage outle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ealing of disposable cups for both hot and cold beverages.

Description

일회용 컵을 밀폐하기 위한 본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A body portion for sealing a disposable cup and a lid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회용 컵을 밀폐하기 위한 본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토바이 배달 등과 같이 큰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내부 음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일회용 컵을 밀폐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portion for sealing a disposable cup and a lid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assembly comprising components for sealing the disposable cup so that the internal beverage does not leak even when there is a large movement, such as a motorcycle delivery.

다양한 음료들의 테이크 아웃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일회용 컵에 대한 높은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일회용 컵을 휴대하는 경우 음료를 흘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컵 뚜껑들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배달 플랫폼을 통한 음료 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운송 수단으로 음료를 배달할 때에도 음료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일회용 컵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컵 뚜껑의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As take-out of various beverages is actively taking place, a high demand for disposable cups continues. In addition, when carrying a disposable cup, cup lids for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spilling are being used in various ways. Meanwhile, as the demand for beverage delivery services through delivery platforms increases in recent years, cup lids that can more effectively seal disposable cups to prevent beverage leakage even when delivering beverages by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motorcycles or bicycles structure may be required.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컵 뚜껑의 구조에 관하여, 아래의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가 참조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유출공에서의 음료 유출을 막기 위해 마개돌부가 유출공을 폐쇄할 수 있고, 음용시에는 마개돌부가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서는 마개재가 음용구멍에 결합되어 컵을 밀폐할 수 있고, 음용시에는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cup lid for preventing leakage of beverages,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or Patent Document 2 may be referred to. In Patent Document 1, it is disclosed that the stopper protrusion can close the outlet hole in order to prevent beverage outflow from the outlet hole, and that the stopper protrusion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during drinking, and in Patent Document 2, the stopper is the drinking hole It is disclosed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cup can be sealed,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when drinking.

다만,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의 컵 뚜껑 구조는, 음료의 배출 통로가 되는 유출공 또는 음용구멍이 다소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온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고, 비교적 큰 직경의 빨대를 통과시키는 냉음료용 컵 뚜껑과는 관련성이 적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서는 마개돌부 또는 마개재에 의한 유출 방지 외에는, 일회용 컵의 밀폐를 위한 다른 구조적 특징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지는 않다.However, the cup lid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or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cup lid for hot beverages in which an outlet or drinking hole, which is a discharge passage for beverages, is formed with a rather small diameter, and allows a straw of a relatively large diameter to pass through. It may have less relevance to cup lids for cold drinks.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1 or Patent Document 2, other structural features for sealing the disposable cup are not presented in detail other than the leakage prevention by the stopper protrusion or the stopper.

따라서, 선행기술들을 참조하더라도 온음료용 컵뿐만 아니라 냉음료용 컵에 대해서도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컵 뚜껑의 구조가 제공되지는 않으므로, 온음료용 컵 및 냉음료용 컵 모두에 대해 활용 가능하고, 배달시와 같이 큰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음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컵 뚜껑의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Therefore, even with reference to the prior art, since the structure of the cup lid that can provide sealing for not only the cup for hot drinks but also the cup for cold drinks is not provided, it can be used for both cups for hot drinks and cups for cold drinks. , a structure of a cup lid that can prevent beverage spillage even when there is a large movement such as during delivery may be required.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700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6700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60366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60366

본 발명으로부터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회용 컵을 밀폐하는 컵 뚜껑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달시와 같이 큰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음료 유출을 방지하고, 온음료 및 냉음료 모두에 대해 일회용 컵의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up lid sealing the disposable cup, prevent beverage leakage even when there is a large movement such as during delivery, to provide sealing.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컵을 밀폐하기 위한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일회용 컵과 이중으로 체결되는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일회용 컵으로부터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의 상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음료 배출구, 상기 상단부의 상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개 보관홈, 및 상기 음료 배출구를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태로 상기 하단부를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lid assembly for sealing the disposable cu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includes a lower end that is double fastened to the disposable cup, wherein the upper en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in order to discharge the beverage from the disposable cup beverage protruding upwards A discharge port, a stopper storag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a concave portion formed toward the lower end in the form of a sector centered on the beverag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온음료용 컵뿐만 아니라 냉음료용컵에 대해서도, 배달시와 같이 큰 움직임이 있더라도 마개부가 음료 배출구에 결합되어 일회용 컵을 밀봉할 수 있으므로, 음료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up for hot beverages but also cups for cold beverages, even when there is a large movement such as during delivery,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beverage outlet to seal the disposable cup, so that the beverag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can

또한, 일회용 컵과 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 구조에 의하면 일회용 컵과 뚜껑 조립체가 이중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 부위에서의 음료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disposable cup and the lower end are coupled, the disposable cup and the lid assembly can be double fastened, so that beverage leakage at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prevented.

특히, 흔들림에 의해 음료가 음료 배출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부가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음료 배출구가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음료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도 구조적으로 음료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outlet by shaking, and the beverage outlet may protrude upward, so even if there is shaking of the beverage, the beverage can be structural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can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뚜껑 조립체가 일회용 컵과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의 상면의 반경에 대한 오목부의 부채꼴 형태의 반경의 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의 높이에 대한 음료 배출구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비 및 상단부의 높이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의 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가 일회용 컵과 이중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마개부가 결합된 상태의 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대안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lid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fastened to a disposable cup.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body par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atio of a radius of a sector of a concave portion to a radius of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por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atio of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ratio of the beverage outlet protruding upward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is double fastened to the disposable cup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lid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and the stopper are coupl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lternative structure of the stopp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below is only for specify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fer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심사기준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임의로 선정되는 용어의 의미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사전적 의미만이 아닌, 명세서의 전반적인 맥락을 반영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general terms wide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in the relevant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xamination standards or precedents. It may vary depending on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arbitrarily selected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reflecting the overall context of the specification, not just dictionary mean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되는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및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더 포함되는 경우 또한 해당 용어로부터 의도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if some components or steps are not included, And when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are further included, it should also be construed as intended from the term.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or 'seco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but the components or step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 . Terms containing an ordinal number should only be interpret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or step from other elements or step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뚜껑 조립체(100)가 일회용 컵(200)과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lid assembly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fastened to a disposable cup 200 .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10) 및 마개부(120)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100)가 일회용 컵(200)과 체결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일회용 컵(200)은 온음료를 담기 위한 종이 재질의 컵일 수 있고, 또는 냉음료를 담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컵일 수 있다. 즉, 뚜껑 조립체(100)는 온음료용 컵 및 냉음료용 컵 모두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d assembly 100 including the body part 110 and the stopper part 120 is fastened to the disposable cup 200 is shown. The disposable cup 200 may be a paper cup for holding a hot drink, or a plastic cup for holding a cold drink. That is, the lid assembly 100 can be utilized for both cups for hot drinks and cups for cold drinks.

뚜껑 조립체(100)는 본체부(110) 및 마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120)는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음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음료 음용시에는 음료 배출을 위해 본체부(110)에 마련된 보관 장소에 보관될 수 있다.The lid assembly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and a stopper portion 120 . The stopper 1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leaking, or may be stored in a storage pl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when drinking.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20) 및 본체부(110)의 음료 배출구(113)의 직경은 일반적인 온음료용 컵 뚜껑의 경우보다 큰 편으로서, 그와 같은 큰 직경에 의해 뚜껑 조립체(100)는 냉음료를 마시기 위한 빨대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 조립체(100)가 냉음료용 컵에 대해서도 활용되기 위하여, 음료 배출구(113)의 직경 및 마개 보관홈(114)의 직경은 20 mm 이상 30 mm 이하일 수 있다.As shown,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outlet 113 of the stopper 120 and the main body 110 is larger than that of a general hot beverage cup lid, and by such a large diameter, the lid assembly 100 can be used with a straw for drinking cold drinks.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lid assembly 100 to be utilized for a cup for cold drinks,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outlet 113 and the diameter of the stopper storage groove 114 may be 2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이와 같은 직경은 일반적인 온음료용 컵 뚜껑의 직경 대비 상당히 큰 것으로서, 뚜껑 조립체(100)가 냉음료용 컵에 대해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20 mm 이상 30 mm 이하의 직경에 의하면 의하면 냉음료용 빨대가 충분히 음료 배출구(113)를 통과할 수 있으며, 빨대를 통해 음료를 휘젓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This diameter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typical cup lid for hot beverages, which may mean that the lid assembly 100 can be utilized for cups for cold beverages. That i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2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the straw for cold drinks can sufficiently pass through the beverage outlet 113, and a space for stirring the beverage through the straw can be secured.

또한, 20 mm 이상 30 mm 이하의 직경에 의하면 뚜껑 조립체(100)가 고형물을 포함하는 음료, 예를 들면 타피오카 펄을 포함하는 버블티와 같은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즉, 해당 직경에 의하면 버블티용 빨대와 같은 대구경 빨대 또한 음료 배출구(113)를 통과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diameter of 2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the lid assembly 100 may be used to drink a beverage containing solids, for example, beverages such as bubble tea containing tapioca pearls. That is, according to the diameter, a large-diameter straw such as a straw for bubble tea may also pass through the beverage outlet 113 .

도 2 및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body par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상단부(111) 및 하단부(112)로 구성될 수 있고, 상단부(111)에는 음료 배출구(113), 마개 보관홈(114), 오목부(115) 및 흐름 방지턱(116)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본체부(110)에 더 형성될 수 있다.2 and 3, the main body 11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end 111 and a lower end 112, the upper end 111 has a beverage outlet 113, stopper storage groove 114, concave (115) and a flow barrier 116 may b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general-purpose elements other than the illustrated elements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body unit 110 .

본체부(110)는 상단부(111), 및 상단부(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일회용 컵(200)과 이중으로 체결되는 하단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2) 및 하단부(112)는 원통형 내지 원뿔대 형태일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n upper end 111 and a lower end 112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111 and double-fastened to the disposable cup 200 . As shown, the upper end 112 and the lower end 112 may have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e shape.

상단부(111)는, 일회용 컵(200)으로부터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상단부(111)의 상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음료 배출구(113), 상단부(111)의 상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개 보관홈(114), 및 음료 배출구(113)를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태로 하단부(112)를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end 111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in order to discharge the beverage from the disposable cup 200 and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ing upwardly, the stopper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It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formed toward the storage groove 114, and the lower end 112 in the form of a sector centered on the beverage outlet 113.

음료 배출구(113)는 상단부(111)의 상면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1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원형면의 바깥쪽에 음료 배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1)의 상면을 이루는 원과 음료 배출구(113)의 원이 내접할 수 있다. 다만 음료 배출구(113)가 상단부(111)의 상면과 반드시 내접할 필요는 없고, 음료 음용에 편리하도록 상단부(111)의 상면의 외측의 적절한 위치에 음료 배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outlet 113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A beverage outlet 113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ircular surfac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 For example, as shown, the circl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and the circle of the beverage outlet 113 may be inscribed. However, the beverage outlet 11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scrib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and the beverage outlet 113 may be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for convenient drinking.

음료 배출구(113)는 상측으로, 즉 상단부(111)를 기준으로 하단부(112)의 반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구(113)는 상단부(111)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온음료를 입에 대고 직접 음용하는 것이 편리해질 수 있고, 상측으로의 돌출에 의해 음료가 음료 배출구(113)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일부 방지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 마개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음료 배출구(113)를 통한 음료 유출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The beverage outlet 113 may protrude toward the upper side, that i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end 112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111 . As shown,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so it can be convenient to drink hot beverages directly to the mouth, for example, by protruding upwards The beverage may be partial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beverage outlet 113 , and when the stopper 120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beverage outflow through the beverage outlet 113 may be completely blocked.

마개 보관홈(114)은 상단부(110)의 상면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원의 중심에 가까운 내측에 마개 보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 보관홈(114)에 의하면 음료 음용시에 음료 배출구(113)를 개방하여 마개부(120)가 마개 보관홈(114)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에 의해 마개부(120)의 분실 우려 및 낙하 우려가 해소될 수 있다.The stopper storage groove 114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0 . A stopper storage groove 114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close to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0 . According to the stopper storage groove 114, the stopper 120 can be coupled to the stopper storage groove 114 by opening the beverage outlet 113 when drinking a drink, and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stopper 120 due to the coupling. The fear of falling can be eliminated.

오목부(115)는 음료 배출구(113)를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에서 오목부(115)의 부채꼴 형태의 중점과 음료 배출구(113)의 중점이 일치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양 중점들이 일치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오목부(115)는 음료 배출구(113)의 주변에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a fan shape centered on the beverage outlet 113 . For example, in a plan view viewed from the upper side, the midpoint of the fan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5 and the midpoint of the beverage outlet 113 may coincide. However, both midpoints are not necessarily coincident, and 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round the beverage outlet 113 .

오목부(115)는 하단부(112)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5)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조로, 상단부(110)를 기준으로 하단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배출구(113)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5)의 구조에 의하면 일회용 컵(200)과 결합시 내부 음료가 크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음료 배출구(113) 측으로 음료가 이동하는 것이 일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음료 배출구(113)에서의 유출이 감소할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toward the lower end 112 . The concave portion 115 has a structure concave downward, and may be concave in a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112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110 .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cave portion 115 concave downwardly with the beverage outlet 113 as the center, the beverage moves toward the beverage outlet 113 even when the internal beverage is greatly shaken when combined with the disposable cup 200 . Since it can be prevented, the outflow from the beverage outlet 113 can be reduced.

한편, 상단부(111)는 상단부(111)의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흐름 방지턱(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방지턱(116)은 상단부(1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량 돌출될 수 있다. 흐름 방지턱(116)에 의하면 음료를 직접 입에 대고 음용하는 경우, 음료 배출구(113)로부터 일부 흘러나온 음료가 흘러내려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nd 111 may further include a flow barrier 116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 As shown, the flow barrier 116 may protrude upward a small amoun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 According to the flow barrier 116, when drinking the beverage directly to the mouth, the beverage partially spilled from the beverage outlet 113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111)의 상면의 반경(r1)에 대한 오목부(115)의 부채꼴 형태의 반경(r2)의 비(r2/r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atio (r2/r1) of the radius r2 of the sector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5 to the radius r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평면도에서, 상단부(111)의 상면의 반경(r1) 및 오목부(115)의 부채꼴 형태의 반경(r2)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110 from the top down, the radius r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and the radius r2 of the sector of the concave portion 115 are shown.

상단부(111)의 상면의 반경(r1)에 대한 오목부(115)의 부채꼴 형태의 반경(r2)의 비(r2/r1)는 0.6 이상 0.8 이하일 수 있다. 비(r2/r1)가 클수록 오목부(115)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비(r2/r1)가 작을수록 오목부(115)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A ratio (r2/r1) of the radius r2 of the sector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5 to the radius r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111 may be 0.6 or more and 0.8 or less. As the ratio (r2/r1) increases, 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and as the ratio (r2/r1) is small, 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비(r2/r1)가 너무 작을 경우 오목부(115)가 음료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이 약화될 수 있고, 비(r2/r1)가 너무 클 경우 상단부(111)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비(r2/r1)는 적정한 범위로 설정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비(r2/r1)는 0.6 이상 0.8 이하일 수 있고, 또는 약 0.7일 수 있다.If the ratio (r2/r1) is too small, the function of the recess 115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leaking may be weakened, and if the ratio (r2/r1) is too large,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the upper part 111 Therefore, the ratio (r2/r1) may be required to be set in an appropriate range. Accordingly, the ratio (r2/r1) may be 0.6 or more and 0.8 or less, or may be about 0.7.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단부(111)의 높이(h1)에 대한 음료 배출구(113)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h2)의 비(h2/h1) 및 상단부(111)의 높이(d1)에 대한 오목부(115)의 깊이(d2)의 비(d2/d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ratio (h2 / h1) of the height (h2) of the beverage outlet 113 for the height (h1) of the upper end 111 protruding upward (h2 / h1) and the height (d1) of the upper end 111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ratio (d2/d1) of the depth d2 of the recessed part 115 with respect to .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에 대한 측면도(110a), 및 도 4의 절개선(A-A)을 따라 본체부(110)를 절개한 단면도(110b)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 a side view 110a of the main body 110 and a cross-sectional view 110b obtained by cutting the main body 110 along the cut line A-A of FIG. 4 are shown.

단면도(110b)를 참조할 때, 상단부(111)의 높이(d1)에 대한 오목부(115)의 깊이(d2)의 비(d2/d1)는 0.5 이상 0.7 이하일 수 있다. 비(d2/d1)가 클수록 오목부(115)가 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고, 비(d2/d1)가 작을수록 오목부(115)가 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110b, the ratio (d2/d1) of the depth d2 of the concave portion 115 to the height d1 of the upper end portion 111 may be 0.5 or more and 0.7 or less. As the ratio d2/d1 increases, 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deeper, and as the ratio d2/d1 decreases, the concave portion 115 may be formed shallower.

오목부(115)가 너무 얕게 설정될 경우 음료 유출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깊게 설정될 경우 상단부(111)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비(d2/d1)는 적절한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d2/d1)는 0.5 이상 0.7 이하일 수 있다. 또는, 비(d2/d1)는 약 0.6일 수 있다.If the recess 115 is set too shallow, the beverage spill prevention function may be lowered, and if it is set too deep,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end 111 may be complicated, so the ratio (d2/d1) is limited to an appropriate range can be For example, the ratio (d2/d1) may be 0.5 or more and 0.7 or less. Alternatively, the ratio (d2/d1) may be about 0.6.

측면도(110a)를 참조할 때, 상단부(111)의 높이(h1)에 대한 음료 배출구(113)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h2)의 비(h2/h1)는 0.3 이상 0.5 이하일 수 있다. 비(h2/h1)가 클수록 음료 배출구(113)가 상측으로 더 높게 돌출될 수 있고, 비(h2/h1)가 작을수록 음료 배출구(113)가 상측으로 더 낮게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ide view 110a, the ratio (h2/h1) of the height h2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es upward to the height h1 of the upper end 111 may be 0.3 or more and 0.5 or less. The larger the ratio (h2/h1), the higher the beverage outlet 113 may protrude upward, and the smaller the ratio (h2/h1), the lower the beverage outlet 113 may protrude upward.

음료 배출구(113)가 너무 높게 돌출될 경우 제조 효율 및 원가의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고, 음료 배출구(113)가 너무 낮게 돌출될 경우 음료 유출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비(h2/h1)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h2/h1)는 0.3 이상 0.5 이하일 수 있다. 또는 비(h2/h1)는 약 0.4일 수 있다.If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es too high, it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cost, and if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es too low, the beverage spill prevention function may be lowered, so the ratio (h2/h1) may be required to be determin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For example, the ratio (h2/h1) may be 0.3 or more and 0.5 or less. Alternatively, the ratio (h2/h1) may be about 0.4.

한편, 마개부(120)가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부분의 높이, 즉 결합부(123)의 높이는 음료 배출구(113)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h2)와 동일할 수 있다. 결합부(123)의 높이가 음료 배출구(113)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h2)와 동일하게 설정됨에 따라 마개부(120)가 본체부(110)에 빈틈 없이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120)의 결합부(123)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8이 참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stopper 1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123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2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es upward. As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123 is set equal to the height h2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113 protrudes upward, the stopper 1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without a gap. For the coupling part 123 of the stopper part 120 ,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8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시 단면도(110b)를 참조할 때, 하단부(112)는, 일회용 컵(200)의 말단 컬링부(210)를 수용하기 위해 하단부(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17), 및 삽입홈(117)에 결합된 말단 컬링부(210)의 측하면(220)을 지지하여 일회용 컵(200)이 분리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삽입홈(117)의 하측에서 하단부(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118)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17) 및 걸림턱(118)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이 참조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the cross-sectional view 110b, the lower end 112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17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112 to receive the distal curled portion 210 of the disposable cup 200, and an insert.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112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7 to support the side surface 220 of the end curling part 210 coupled to the groove 117 to double prevent the disposable cup 200 from being separated. It may include a stopping protrusion 118 formed along the. 6 and 7 may be referred to for the insertion groove 117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8 .

도 6 및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112)가 일회용 컵(200)과 이중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112 is double fastened to the disposable cup 2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단부(112)의 삽입홈(117) 및 걸림턱(118)이 일회용 컵(200)의 말단 컬링부(210) 및 측하면(220)과 이중으로 체결될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6 and 7 , the insertion groove 117 and the locking jaw 118 of the lower end 112 may be double fastened to the end curling portion 210 and the side surface 220 of the disposable cup 200 . It is shown that there is.

도 6에서와 같이, 삽입홈(117)에는 일회용 컵(200)의 말단 컬링부(21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홈(117)에 의한 결합은 주로 온음료용 종이 재질의 컵에서 활용되는 방식으로서, 뚜껑 조립체(100) 및 일회용 컵(200) 간의 이중 체결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end curling part 210 of the disposable cup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117 . The coupling by the insertion groove 117 is mainly used in a cup made of paper material for hot beverages, and may constitute any one of the double coupling between the lid assembly 100 and the disposable cup 200 .

도 7에서와 같이, 걸림턱(118)에 의하면 말단 컬링부(210)의 측면/하면 부분에 해당하는 측하면(220)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118)에 의한 결합은 주로 냉음료용 플라스틱 재질의 컵에서 활용되는 방식으로서, 뚜껑 조립체(100) 및 일회용 컵(200) 간의 이중 체결 중 다른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ide surface 220 corresponding to the side/lower surface portion of the end curling part 210 may be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118 . The coupling by the locking jaw 118 is mainly used in a cup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cold drinks, and may constitute the other of the double coupling between the lid assembly 100 and the disposable cup 200 .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112)의 삽입홈(117) 및 걸림턱(118)을 통한 일회용 컵(200)과의 이중 체결은, 일반적인 온음료용의 삽입 방식 및 일반적인 냉음료용의 걸림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서, 보다 완전하게 뚜껑 조립체(100) 및 일회용 컵(200)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경계면에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이 이중으로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uble fastening with the disposable cup 200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17 and the locking jaw 118 of the lower end 112 is the general insertion method for hot beverages and the general locking method for cold drinks. As a combined one, since the lid assembly 100 and the disposable cup 200 can be more completely coupled, leakage of the beverage at the coupling interface can be double prevented.

도 8 및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12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8을 참조하면, 마개부(120)는 손잡이부(121), 플랜지부(122), 결합부(123) 및 마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마개부(120)에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topper part 120 may include a handle part 121 , a flange part 122 , a coupling part 123 , and a friction part 124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general-purpose elements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topper 120 .

손잡이부(121)는 마개부(120)의 위치를 변경할 때 사용될 수 있고, 플랜지부(122)는 마개부(120)가 본체부(110)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결합부(123)는 본체부(110)의 음료 배출구(113) 또는 마개 수용홈(114)에 결합되어 밀폐 기능을 할 수 있고, 마찰부(124)는 예를 들면 고무 패킹 등으로 형성되어, 음료 배출구(113) 또는 마개 수용홈(114)에 결합된 마개부(1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ndle 121 may be used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120 , and the flange portion 122 may limit the degree to which the stopper 1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 The coupling part 123 is coupled to the beverage outlet 113 or the stopper receiving groove 114 of the body part 110 to perform a sealing function, and the friction part 124 is formed of, for example, a rubber packing,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outlet 113 or the stopper portion 120 coupled to the stopper receiving groove 114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123)의 높이는 음료 배출구(123)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결합부(123)의 직경은 음료 배출구(113)의 직경 및 마개 수용홈(114)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마개부(120)의 삽입 및 분리를 고려하여 결합부(123)의 직경이 음료 배출구(113)의 직경 및 마개 수용홈(114)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작을 수 있고, 다만 그로 인한 임의 분리를 막기 위해 마개부(120)에 마찰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123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123 protrudes upward, and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123 is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outlet 113 and the stopper receiving groove ( 114).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insertion and separation of the stopper 120,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123 may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outlet 113 and the diameter of the stopper receiving groove 114, but arbitrary separation resulting therefrom A friction part 124 may be formed on the stopper 120 to prevent the .

도 9를 참조하면, 마개부(120)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들(120a 내지 120g)이 도시되어 있고, 마개부(120)의 단면도(120h)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20)의 손잡이부(121)에는 음료 공급자를 식별하기 위한 표지가 도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views 120a to 120g of the stopper 120 viewed from various angles are illustrated, and a cross-sectional view 120h of the stopper 120 is illustrated. As shown, a mark for identifying the beverage supplier may be shown on the handle portion 121 of the stopper portion 120 .

도 10 및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 및 마개부(120)가 결합된 상태의 뚜껑 조립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lid assembly 100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110 and the stopper part 120 are coupl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10을 참조하면, 뚜껑 조립체(100)에 대한 제1 사시도(100a) 및 제2 사시도(100b)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부(120)가 본체부(110)에 결합됨에 따라 오토바이 배달 등과 같이 음료의 흔들림이 큰 경우에도, 뚜껑 조립체(100)의 유출 방지 구조에 의해 음료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first perspective view 100a and a second perspective view 100b of the lid assembly 100 are shown. As described above, as the stopper 1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even when the shake of the beverage is large, such as motorcycle delivery, beverage leakage can be prevented by the spill prevention structure of the lid assembly 100. .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부(110) 및 마개부(120)가 결합된 상태의 뚜껑 조립체(100)에 대한 측면도(100c) 및 측단면도(100d)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부(120)의 결합부(123)의 높이가 음료 배출구(123)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마개부(120), 음료 배출구(123)의 돌출 및 오목부(115)의 구조에 의해 음료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 side view 100c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100d of the lid assembly 100 in which the body part 110 and the stopper part 120 are coupled are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123 of the stopper 12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123 protrudes upward, and the stopper 120, the beverage outlet 123 protrude and concave. The flow of the bever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the structure of the portion 115 .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20)의 대안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lternative structure of the stopper 12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1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21)가 형태가 도 9에서의 형태와는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마개부(120)에 대한 사시도(120x) 및 정면도(120y)가 도시되어 있고, 손잡이부(121)가 변경된 형태의 마개부(120)가 본체부(110)와 결합되어 있는 뚜껑 조립체(100)에 대한 사시도(100x)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perspective view 120x and a front view 120y of the stopper portion 120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21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hape in FIG. 9 are shown, and the handle portion A perspective view 100x of the lid assembly 100 in which the stopper 120 of the modified form 121 is coupled to the body 110 is shown.

다만 도 12에서의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마개부(120)를 비롯한 뚜껑 조립체(100)의 다양한 구성들은, 필요에 따라 각 구성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FIG. 12 , and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lid assembly 100 including the stopper 120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as needed and implemented in a range that maintains the function of each configuration.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100: 뚜껑 조립체 110: 본체부
111: 상단부 112: 하단부
113: 음료 배출구 114: 마개 수용홈
115: 오목부 116: 흐름 방지턱
117: 삽입홈 118: 걸림턱
120: 마개부 121: 손잡이부
122: 플랜지부 123: 결합부
124: 마찰부 200: 일회용 컵
210: 말단 컬링부 220: 측하면
100: lid assembly 110: body portion
111: upper part 112: lower part
113: beverage outlet 114: stopper receiving groove
115: recess 116: flow sill
117: insertion groove 118: locking jaw
120: stopper 121: handle portion
122: flange portion 123: coupling portion
124: friction 200: disposable cup
210: end curling part 220: side

Claims (9)

일회용 컵을 밀폐하기 위한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에 있어서,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일회용 컵과 이중으로 체결되는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일회용 컵으로부터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의 상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음료 배출구,
상기 상단부의 상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개 보관홈, 및
상기 음료 배출구를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형태로 상기 하단부를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A body portion constituting a lid assembly for sealing a disposable cup, comprising:
upper part; and
and a lower end tha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and is double fastened to the disposable cup,
the upper part,
A beverage outlet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to protrude upward to discharge the beverage from the disposable cup,
a stopper storag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lid assembly, comprising a concave portion formed toward the lower end in the form of a sector centered on the beverag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일회용 컵의 말단 컬링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말단 컬링부의 측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일회용 컵이 분리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서 상기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part,
an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to receive the end curled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and
A lid assembly compris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at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end curling part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to prevent the disposable cup from being doubled from being separated. constituent body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단부의 상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흐름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lid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flow barrier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상면의 반경에 대한 상기 오목부의 부채꼴 형태의 반경의 비는 0.6 이상 0.8 이하이고, 상기 상단부의 높이에 대한 상기 오목부의 깊이의 비는 0.5 이상 0.7 이하인,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The method of claim 1,
The ratio of the radius of the sector of the concave portion to the radiu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is 0.6 or more and 0.8 or less, and the ratio of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0.5 or more and 0.7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구의 직경 및 상기 마개 보관홈의 직경은 20 mm 이상 30 mm 이하인,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outlet and the diameter of the stopper storage groove is 2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lid assembly.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뚜껑 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뚜껑 조립체는 상기 일회용 컵으로부터의 음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음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료 배출구에 결합되거나,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한 음료 음용을 위해 상기 마개 보관홈에 결합되는, 뚜껑 조립체.
6. A lid assembly comprising a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lid assembly of any one of claims 1 to 5, comprising:
the lid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closure coupled to the upper end to prevent beverage leakage from the disposable cup;
The closure portion is coupled to the beverage outlet to prevent leakage of the beverage, or coupled to the closure storage groove for drinking through the beverage outlet, the lid assemb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손잡이부, 플랜지부, 결합부 및 마찰부를 포함하는, 뚜껑 조립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losure portion comprises a handle portion, a flange portion, an engaging portion and a friction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음료 배출구의 직경 및 상기 마개 보관홈의 직경과 동일한, 뚜껑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beverage outlet and the diameter of the stopper storage groove, the lid assemb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높이는 상기 음료 배출구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상단부의 높이에 대한 상기 음료 배출구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비는 0.3 이상 0.5 이하인, 뚜껑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height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protrudes upward,
The ratio of the height at which the beverage outlet protrudes upward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0.3 or more and 0.5 or less, the lid assembly.
KR1020200091661A 2020-07-23 2020-07-23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KR202200126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661A KR20220012641A (en) 2020-07-23 2020-07-23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661A KR20220012641A (en) 2020-07-23 2020-07-23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641A true KR20220012641A (en) 2022-02-04

Family

ID=8026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661A KR20220012641A (en) 2020-07-23 2020-07-23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6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56U (en) * 2022-04-20 2023-10-27 안병현 Cup provided with see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366A (en) 2004-11-11 2006-06-22 Solo Cup Japan:Kk Lid of drink cup
KR20100086700A (en) 2009-01-23 2010-08-02 송승민 A lid assembly for cu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366A (en) 2004-11-11 2006-06-22 Solo Cup Japan:Kk Lid of drink cup
KR20100086700A (en) 2009-01-23 2010-08-02 송승민 A lid assembly for c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56U (en) * 2022-04-20 2023-10-27 안병현 Cup provided with se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2915B (en) Cup cover
US6135311A (en) Drink valve
US4767019A (en) Splash resistant cup lid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RU2308405C2 (en) Resealable container lid
US11518584B2 (en) Drinking vessel with selectable drinking mode
US5029719A (en) Bottle and cap assembly
US7823802B1 (en) Extensible straw for a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US20100133272A1 (en)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CN102459011B (en) Dispensing closure
US5065880A (en) Splash resistant cup lid
US5018635A (en) Fluid containment and access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KR20140138751A (en) Lid and vapor directing baffle for beverage container
US20090065605A1 (en) Extensible Straw for a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CN104843303A (en) Lid having tapered inner surface for sealing and abutting against container
KR20220012641A (en)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US20190270550A1 (en) Spill-proof Lid for Container
KR20220000285U (en) Lid body for sealing disposable cup and lid assembly including thereof
US10940979B1 (en) Disposable beverage lid
US20040169045A1 (en) Application and assembly suited for use as a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CN114129451A (en) Bottle cap with straw and with anti-reflux function
US20060000791A1 (en) Anti-fraud cap for bottles
AU2007231817B2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CN218419280U (en) Multi-opening cover, container and coffee c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