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090A -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090A
KR20220012090A KR1020200091208A KR20200091208A KR20220012090A KR 20220012090 A KR20220012090 A KR 20220012090A KR 1020200091208 A KR1020200091208 A KR 1020200091208A KR 20200091208 A KR20200091208 A KR 20200091208A KR 20220012090 A KR20220012090 A KR 2022001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tick
wax
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복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9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090A/ko
Publication of KR2022001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쉘부를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 및 형상 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STICK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DUAL STRUCTRUE}
본 발명은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피부의 결점을 보정 또는 은폐시키거나 피부결을 정리하기 위한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와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색감을 통해 피부에 생기와 활력을 부여하고 피부를 미화시키기 위한 아이섀도우, 블러셔, 마스카라, 립스틱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의 경우 액상, 크림상, 케익상, 페이스트상, 스프레이상 또는 스틱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액상이나 크림상과 같은 형태일 경우 피부에 도포 시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사용해야 하므로 제품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며 이물감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고, 케익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경우 스펀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펀지의 오염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레이상은 정확한 부위에 화장품이 적용되기 어려워 용도가 제한적이며, 제품의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틱상의 경우 전술한 바의 형태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체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스틱상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료를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 시에 부드럽게 잘 발려야 하며 스틱상의 유지를 위하여 적절한 경도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화장료에 수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직접 수분을 공급할 경우 충분한 수분 공급에 용이하며, 화장 시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스틱 형상이면서도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이 수분을 포함하는 경우 전반적인 경시 안정성이 현저히 취약하며, 이로 인해 사용 가능한 용기에도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분을 포함하면서도 스틱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39042호는 휘발성 유동 유분과 이를 겔화할 수 있는 왁스, 실리콘엘라스토머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과 물을 배합하여 유중수형 유화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로의 수분 보급이 가능한 스틱 형상의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2340호는 왁스로 합성왁스,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세레신, 스테아릴다이메티콘 및 옥타데센을 포함하고, 계면활성제로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을 포함함으로써 경도가 우수한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수분을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적인 형상 안정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였으나, 그 효과가 충분치 않으며, 이를 수용하는 용기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어 제품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경시변화가 적어 제형 안정성 및 형상 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이 가능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39042호(2016.12.06),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2340호(2020.03.17),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코어부와 쉘부의 이중 구조를 가지며 상기 코어부에는 수분을 포함하는 제형을 상기 쉘부에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형을 각각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제형 및 형상 안정성과 더불어 향상된 사용감 및 사용성을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형과 형상에 대한 경시 안정성, 사용감 및 사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여러 유형의 용기에 적용이 용이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쉘부를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코어부와 쉘부는 양자가 혼합되지 않는 접촉면을 사이에 두고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와 전체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비는 0.2:1 내지 0.7: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35 ℃에서 1일 보관 후 Sun Rheometer CR-500DX 기기로 측정한 경도가 30 내지 150 gf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어부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물방울이 맺히는 워터드롭 타입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보습제, 유기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을 포함하는 에멀젼, 구체적으로 유중수형 에멀젼 제형을 포함하는 코어부의 표면을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유분산 제형을 포함하는 쉘부로 피복함으로써 코어부에 포함되는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풍부한 영양감과 함께 높은 보습 효과를 제공하며, 제형 내 존재하는 수분 손실을 방지하여 장기 보관시에도 높은 형상 및 제형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어부에 포함되는 제형이 갖는 워터드롭 특성에 따라 향상된 발림성, 보습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사용감 및 사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모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발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피부 보습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피부 보습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컷팅한 상태로 45 ℃에서 1주일 보관한 후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컷팅 직후 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왼쪽: 실시예 2, 오른쪽: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컷팅한 상태로 45 ℃에서 1주일 보관한 후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왼쪽: 실시예 2, 오른쪽: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스틱 형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액상, 크림상 제품들이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덜어 문질러 발라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것으로, 고형이기 때문에 바르기 편하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휴대하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이점으로 인하여 최근 많은 용도의 화장품에 대하여 스틱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것이므로 도포 시의 매끈매끈한 발림과 적절한 경도가 요구된다. 경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도포 시에 무너져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발림이 나빠 도포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접촉의 부드러움, 보습감, 발림감에 있어서 불충분했던 점을 감안하여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수분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하고자 하였으나, 이 경우 경시적으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형상이 수축되므로 제형 및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안정성이 부족하고 용기 특성도 한정되어 스틱 형상의 다양한 화장품 개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코어-쉘(core-shell) 이중 구조를 적용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함으로써 제형 및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용 가능한 용기의 한계를 극복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10)은 내부에 수분을 포함하는 제형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어부(11) 및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쉘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을 포함하는 제형을 포함하는 코어부의 외면을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제형을 포함하는 쉘부로 피복함으로써 코어부에 포함되는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해당 제형 내에 포함되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어 수축으로 인한 스틱상의 형상 변형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용기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내부, 즉 코어부에 포함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피부에 도포 시, 다량의 수분을 직접 공급하여 촉촉함과 시원함을 제공할 수 있어 종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건조한 사용감을 개선함은 물론 발림성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쉘부는 양자가 혼합되지 않는 접촉면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며, 상기 쉘부는 1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쉘부는 코어부 외면의 일부 또는 외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와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비는 0.2:1 내지 0.7:1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경비는 “코어부의 횡단면 직경”:“전체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의 비에 대응한다.
상기 코어부와 전체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비는 하한치가 0.25:1 이상 또는 0.4:1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0.6:1 이하 또는 0.5: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코어부와 전체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비는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와 전체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코어부에 포함되는 제형 특유의 특성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이와 반대로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어부의 수분 증발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의 코어-쉘 이중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형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충분한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30 내지 150 gf일 수 있다. 상기 경도의 하한치는 30 gf 이상일수 있고, 상한치는 150 gf 이하 또는 100 gf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전술한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도는 Sun Rheometer CR-500DX 기기를 활용하여 35 ℃, 1일 보관 후의 측정 조건에서 절단 경도를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층 구조로 형성된 스틱상 화장료의 조성물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충진 방식 또는 딥핑(dipping)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충진 방식은 멀티 충진 방식으로, 두 가지 모양으로 설계된 몰드(mold)에 화장료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충진 및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딥핑 방식은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고체 성상의 코어부를 용융된 상태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에 일부 또는 전부 담갔다가 뺀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어부와 쉘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수분을 포함하는 에멀젼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기로 유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oil phase)이 연속상(continuous phase, 외상(external phase)),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water phase)이 분산상(dispersed phase, 내상(internal phase))인 유중수형(Water-in-Oil; W/O)의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에 보습제, 유기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가 비연속적으로 분산된 형태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스틱 형상임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고 균일한 발림성과 즉각적인 수분감을 제공하고자 상기 코어부에 워터드롭(water-drop) 특징을 갖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내상인 수상의 비율이 높으며, 이에 따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물방울이 즉각적으로 생성되는 워터드롭 타입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물방울이 맺힘으로써 피부 표면의 마찰을 줄여 주어 피부에 더 얇고 부드럽게 발림에 따라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도포하자마자 수분을 방출함에 따라 피부에 대해 즉각적으로 수분을 보충하고, 청량감을 부여하며, 유지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는 풍부한 영양감을 제공하며,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유용성 성분을 용해시키고, 계면막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피부에 도포 시 유연한 감촉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디에스터계 오일, 카보네이트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알코올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및 동식물성 오일 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hydrogenated polyisobutene), 이소도데칸(isododec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올레핀) (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이소파라핀(isoparaffin)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세틸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cetyl isoctanoate),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 팔미테이트(palmit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rhrityl tetraethylhexano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c12-15 알킬 에틸헥사노에이트(c12-15 alkyl ethylhexanoate),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isostearyl/dimer dilinoleate), 트리카프릴린(tricaprylin), peg-15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라우레스-6 카복실레이트)(peg-15 pentaerythrityl tetra(laureth-6 carboxylate)), 트리이소노나노인(triisononanoin), 트리이소스테아린(triisostearin), 에리스리틸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erythrityl triethylhexanoate), 폴리글리세릴-10 노나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diisostearate), 디펜타에리스리틸 펜타이소노나노에이트(dipentaerythrityl pentaisononanoate), 디펜타에리스리틸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dipentaerythrityl tri-polyhydroxystearate), 디이소프로필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트리옥틸도데실시트레이트(trioctyldodecyl citrate), 메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진(hydrogenated rosinate) 및 옥틸도데실네오펜타노에이트(octyldodecyl neopentanoate) 등의 에스터계 오일;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디 c12-13 알킬 말레이트(di c12-13 alkyl mal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tridecyl stear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및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tridecyl trimellitate) 등의 디에스터계 오일;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및 디알킬 카보네이트(dialkyl carbonate) 등의 카보네이트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카프릴릭/카프릭/스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stearic triglyceride), 트리에틸옥타노인 (triethyloctanoin) 및 트리카프릴린(tricaprylin)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2-부틸옥탄올(2-butyl-1-octanol), 2-헥실데칸올(2-hexyldecanol), 2-운데실펜타데칸올(2-undecylpentadecanol),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이소스테아릴 알코올(isostearyl alcohol) 및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등의 알코올계 오일; 디메치콘(dimethicone),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phenyl polysiloxane), 디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dimethylcyclosiloxanes),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 cyclopentasiloxane),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dodecamethyl cyclohexasiloxane),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tetradecamethyl hexasiloxane), 옥타메틸트리실록산(octamethyltrisiloxane),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및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등의 실리콘계 오일; 및 스쿠알란(squalane), 타마누 오일(tamanu oil), 마카다미아넛 오일(macadamia nut oil), 해바라기 씨 오일(sunflower seed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달맞이 꽃 오일(evening primrose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살구씨 오일(apricot oil), 참깨 오일(sesame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우드 오일(rosewood oil),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동백 오일(camellia oil),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및 호호바 오일(jojoba oil) 등의 동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10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유용성 성분을 충분히 용해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의 미끄러운 사용감과 답답함, 그리고 피부 흡수가 지연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을 고형화시키고 스틱 형상에 적합한 경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왁스는 고형유(고형으로 된 유지)로, 실온(약 12 내지 25 ℃)에서는 고체 성상을 가지며 온도를 높일 경우 융점 이상에서 액체 성상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왁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왁스는 칸델리라 왁스(candelilla wax),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크리스탈 팜 왁스(crystal palm wax), 라이스 왁스(rice wax), 오우리큐리 왁스(ouricury wax) 등의 식물계 왁스; 밀랍 왁스(bees wax), 라놀린(lanolin), 양모랍(wool wax) 등의 동물계 왁스;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세레신(ceresin),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미세결정 왁스(microcrystalline wax), 페트롤라툼(petrolatum), 반다 왁스(barnsdah wax) 등의 광물계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 wax), 그래뉼 왁스(granule wax), 화이트 왁스(white wax), 겔 왁스(gel wax), 멀티 왁스(multi wax) 등의 합성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수분감 유지 및 형상 변형 방지를 위해 상기 왁스로 오조케라이트 및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3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일수 있으며, 상한치가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 스틱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으며, 수분 유지 특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져 발림성이 저하되고 균일하게 발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화제는 수상부와 유상부 사이의 계면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유중수형 에멀젼 형성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유화제는 유중수 제형의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도록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이 낮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8디메치콘(lauryl PEG-8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에틸디메치콘(Lauryl PEG-10 tris (trimethylsiloxy) silylethyl dimethicone), 비스글리세릴라우릴디메치콘(bis-(glyceryl/lauryl) glyceryl lauryl dimethicone), 피이지-10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피이지-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PEG/PPG-19/19 dimethicone),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티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세테아레스-12(ceteareth-12), 피이지-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EG-60 glyceryl isosteart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60(polysorbate 60),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트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테아릴글루코시드(cetearyl glucoside), 아라키딜알코올(arachidyl alcohol) 및 아라키딜글루코시드(arachidyl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0.1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0.1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4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에멀젼이 형성되지 않거나 조성물의 안정도가 저하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화제 자체의 끈적임과 이취가 심하게 발생되어 사용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부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기 조성 이외에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거나 조성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지방산, 고급 알코올,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필름 형성제, 염료, 안료 등의 색소, 향료, 분산제 등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40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60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외상의 함량이 너무 적어 안정적으로 제형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부는 수분감과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며, 보습제, 유기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유지하는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습제는 분자 내 수산화기(-OH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습제는 에리트리톨(erythritol),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자일리톨(xylitol), 솔비톨(sorbitol), 글리세린(glycerin),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2-펜탄디올(1,2-pent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1,2-옥탄디올(1,2-0ctanedi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1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만족할만한 보습 지속력을 얻을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연한 사용 감촉이 저하되며, 사용 시 끈적이며 눅진한 느낌이 들어 사용감 및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내상인 수상부를 점증하여 겔화하는 유기 점증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점증제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Hydr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세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CETYL HYDROXYETHYLCELLULOSE), 카보머(Carbomer), 젤란검(Gellan Gum), 구아검(Guar Gum), 잔탄검(Xanthan Gum),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및 아라비안검(Gum arabi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점증제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점증제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0.05 중량% 이상 또는 0.1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0.5 중량% 이하 또는 0.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수상부의 점증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의 경도가 높아져 제형 안정도의 악화 및 유화의 유연한 사용 감촉에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증류수(distilled water) 또는 정제수(deionized water)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3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3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50 중량% 이하 또는 4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상의 함량이 너무 적어 수분감이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감 개선 효과를 확보할 수 없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에는 필요한 경우 전술한 조성 이외에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용매 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안정제, 충전제, 킬레이트팅제(이온봉쇄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향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의 함량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40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60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상부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내상의 함량이 너무 적어 수분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워터드롭 특징을 가질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화 제형이 형성되지 않거나 제형 안정도가 매우 불안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유중수 형태의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쉘부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피복함으로써 상기 코어부에 포함되는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유용성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위한 분산매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종류는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
상기 오일은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유분산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40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6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유용성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의 미끄러운 사용감과 답답함, 그리고 피부 흡수가 지연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상기 왁스는 일정 수준의 경도를 형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고형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왁스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는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쉘부에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왁스가 동일한 것이 온도 등 경시 변화를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유분산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5 중량% 이상 또는 8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15 중량% 이하 또는 1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 고상을 유지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 전반적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화제는 본 발명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내 포함되는 성분 간의 밀도 격차를 줄여주고 계면장력을 최소화시켜 분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화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종류는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
상기 유화제는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유분산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한치가 1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한치가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분산성이 저하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임이 유발되어 사용감이 저해할 수 있고 고유의 이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기 조성 이외에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거나 조성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필름 형성제, 염료, 안료 등의 색소, 향료, 분산제, 벌킹제 등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코어부 및 쉘부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사용감과 사용성을 나타내면서도 향상된 제형 및 형상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의 화장품으로도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BB(blemish balm)크림, CC(complete correction)크림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제조예 1-1 내지 1-3]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교반기에 수상부의 각 성분들을 투입하고, 70~80 ℃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별도의 교반기에 유상부의 각 성분들을 투입하고, 90~100 ℃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상부를 상기 유상부에 투입하여 75~85 ℃에서 호모믹서(T.K.Homomixer Mark 2 Model 2.5, PRIMIX사 제품)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0 분간 혼합한 다음, 25 ℃로 냉각하여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유상부 폴리에틸렌 왁스 4.5 3 3
세리신 - 2 -
오조케라이트 5 4 2
칸델리라 왁스 - - 4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 4.5 4.5
디메치콘 9.5 9.5 9.5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치콘 7.65 7.65 7.65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5 6.5 6.5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0.7 0.7 0.7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에틸디메치콘 0.5 0.5 0.5
색소 16 16 16
사이클로펜타실록산*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2.5 2.5 2.5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0.5 0.5 0.5
수상부 정제수 38.9 38.9 38.9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0.2 0.2 0.2
1,3-프로판디올 3 3 3
디소듐-EDTA 0.05 0.05 0.05
염화나트륨 0.5 0.5 0.5
[제조예 2]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교반기에 하기 표 2의 성분을 함량에 따라 투입하고, 90~100 ℃에서 혼합한 후, 25 ℃로 냉각하여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제조예 2-1 제조예 2-2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5 6.5
폴리에틸렌 왁스 4.5 3
오조케라이트 5 2
세리신 - 4.5
멀티 왁스 3 3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 3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2 2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2 2
디메치콘 20 20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13.5 13.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 1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티콘 1 1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0.4 0.4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 3.6 3.6
사이클로펜타실록산/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3 3
색소 25.5 25.5
질화붕소 1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5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스틱 형상의 코어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용융시킨 다음, 상기에서 제조한 스틱상의 코어부를 1회 담근 후, 냉각시켜 스틱상의 코어부의 외부에 쉘부를 형성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코어부 제조 시 제조예 1-1의 조성물 대신 제조예 1-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코어부 제조 시 제조예 1-1의 조성물 대신 제조예 1-3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코어부 제조 시 제조예 1-1의 조성물 대신 제조예 1-2의 조성물을 사용하고, 쉘부 제조 시 제조예 2-1의 조성물 대신 제조예 2-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실시예 1 및 기존 자사의 스틱상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도포 시의 사용감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발림성은 인조피혁에 고르게 도포하고 15 분간 건조한 후 3D laser microscanner (OLS-41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보습 특성은 25~39세 여성의 얼굴에 각 조성물을 도포한 후,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도포 전 항온, 항습 조건(24 ℃,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미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으며, 도포 직후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를 통해, 기존 스틱 형태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두께가 117 ㎛인 반면, 실시예 1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두께가 38 ㎛로 피부 위 실제 화장막의 두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자사 제품의 경우 도포 직후 피부 수분량이 감소한 반면, 실시예 1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직후 피부 수분량이 48 %나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코어부가 워터드롭 특성을 가짐에 따라 수분을 방출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더 얇고 고르게 도포되어 화장막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향상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쉘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코어부가 갖는 워터드롭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수분 증발에 따른 형상 변형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형상 안정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을 컷팅하지 않거나 횡 방향으로 컷팅한 후, 45 ℃에서 1 주일간 방치하면서 감량율을 측정하였다. 감량율은 New classic MF(ML4002, Mettler toled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컷팅 직후의 측정한 중량을 기본값으로 삼고 1 주일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5 내지 7 및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컷팅 유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감량율
(%)
X - 0.02 0.02 - - -
0.03 0.04 0.10 0.06 0.13 0.18
도 5 내지 7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형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 3을 통해 쉘부를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3의 경우 감량율이 각각 0.13 % 및 0.18 %로 높은 반면,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로 쉘부를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감량율이 0.10 % 이하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해서, 코어부와 쉘부에 포함된 왁스가 동일할지라도 그 조성에 따라 제형 변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시예 1 및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코어부와 쉘부에 동일한 조합의 왁스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컷팅한 상태로 45 ℃에서 1주일동안 보관한 경우에도 코어부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부와 쉘부의 왁스 조성이 상이한 실시예 2 및 3의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컷팅 직후에는 코어부와 쉘부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컷팅한 상태로 45 ℃에서 1주일동안 보관한 경우 코어부의 수분 증발에 따른 수축으로 인해 코어부와 쉘부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경시변화에 따른 조성 및 형상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도 충분히 장기 보관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1: 코어부
13: 쉘부

Claims (15)

  1.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쉘부를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쉘부는 양자가 혼합되지 않는 접촉면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전체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의 횡단면 직경비는 0.2:1 내지 0.7:1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35 ℃에서 1일 보관 후 Sun Rheometer CR-500DX 기기로 측정한 경도가 30 내지 150 gf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물방울이 맺히는 워터드롭 타입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보습제, 유기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세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보머, 젤란검, 구아검, 잔탄검, 로커스트콩검 및 아라비안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점증제는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크리스탈 팜 왁스, 라이스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밀랍 왁스, 라놀린, 양모랍,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 왁스, 페트롤라툼, 반다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그래뉼 왁스, 화이트 왁스, 겔 왁스 및 멀티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및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왁스로 오조케라이트 및 폴리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BB크림, CC크림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인,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91208A 2020-07-22 2020-07-22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2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08A KR20220012090A (ko) 2020-07-22 2020-07-22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08A KR20220012090A (ko) 2020-07-22 2020-07-22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090A true KR20220012090A (ko) 2022-02-03

Family

ID=8026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208A KR20220012090A (ko) 2020-07-22 2020-07-22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0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826B1 (ko) * 2022-02-16 2022-08-23 조동혁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2435823B1 (ko) * 2022-02-16 2022-08-23 조동혁 로션 및 모이스쳐밤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42A (ko) 2014-05-14 2016-12-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KR102092340B1 (ko) 2018-12-31 2020-03-24 주식회사 뉴앤뉴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042A (ko) 2014-05-14 2016-12-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KR102092340B1 (ko) 2018-12-31 2020-03-24 주식회사 뉴앤뉴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826B1 (ko) * 2022-02-16 2022-08-23 조동혁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2435823B1 (ko) * 2022-02-16 2022-08-23 조동혁 로션 및 모이스쳐밤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305B1 (ko) 고상의 유중수 화장품 에멀젼
RU267291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губ в форме обратной эмульсии, содержащей влагоудерживающее вещество, и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губами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5732165B1 (ja) うるおい補給用スティック状化粧料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4227075B2 (ja) ポリマーで構造が与えられた液体脂肪相を含む固形エマルション
FR2936154A1 (fr) Compositions de type emulsion comprenant au moins un alcane lineaire volatil.
KR20180120774A (ko)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US9968544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oating keratin fibres
CN111356433A (zh) 包含脂肪相、亲脂性聚合物和挥发性基于烃的油的组合物
FR2945191A1 (fr) Ensemble cosmetique de maquillage et/ou de soin des matieres keratiniques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6925086B1 (ja) 油性***化粧料
KR20220012090A (ko)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US20190167541A1 (en) Cosmetic product for the lips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and makeup method
EP0940137A1 (fr) Composition de soin des lèvres contenant de l'acide acexamique, ses utilisations
JP3001832B2 (ja) 揮発性化合物とポリビニルピロリドンのポリマー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この混合物の使用
JP2004507483A (ja) 不揮発性炭化水素ベース油と不活性微粒子相とを含むつや消し化粧品組成物
FR298411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de reve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KR101045219B1 (ko)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FR2926022A1 (fr) Composition cosmetique, notamment de maquill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a proprietes cosmetiques ameliorees.
JPH1067645A (ja) 親水性成分及び揮発性化合物とペースト状脂肪化合物と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前記混合物の使用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220118489A (ko) 5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성 상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상을 포함하는 2-상 조성물
FR2984698A1 (fr) Kit de maquillage des levres, applicateur de produit cosmetique et procede de maquillage les utilisant
EP1342464B1 (fr) Composition de maquillage ou de soin des matières kératiniques comprenant un composé siliconé non volatil, un polymère liposoluble non siliconé et un agent dispersant particul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