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382A -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382A
KR20220009382A KR1020217036223A KR20217036223A KR20220009382A KR 20220009382 A KR20220009382 A KR 20220009382A KR 1020217036223 A KR1020217036223 A KR 1020217036223A KR 20217036223 A KR20217036223 A KR 20217036223A KR 20220009382 A KR20220009382 A KR 2022000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terference
self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구사시마
료타 기무라
료 사와이
교야 데라마에
게이이치 미즈타니
히로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0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와,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
본 개시는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진전에 의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나 저지연화 등, 통신 퍼포먼스가 대폭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근년에는, 통신 퍼포먼스의 한층 더한 향상을 위해 통신 기술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년에는 주파수 이용 효율의 한층 더한 향상을 위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in band full duplex)이 고려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05/045555호
그러나, 단순히 새로운 통신 기술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높은 통신 퍼포먼스가 실현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서는, 1개의 통신 장치가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데,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가 자신의 수신 회로에 누출되어 들어감으로써 매우 강한 자기 간섭이 발생한다. 그렇게 되면, 통신 장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혼신을 피하기 위해, 결국 종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어, 결과적으로 높은 통신 퍼포먼스가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높은 통신 퍼포먼스를 실현 가능한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한 일 형태의 통신 장치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의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서 발생하는 잔류 자기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서 발생하는 잔류 자기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잔류 자기 간섭을 고려한 통신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관리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중계 장치의 신호 처리 주위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 장치의 신호 처리 주위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부호 뒤에 다른 숫자를 첨부하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 단말 장치(401, 402 및 403)와 같이 구별한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첨부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1, 402 및 403)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단말 장치(40)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항목 순서에 따라 본 개시를 설명한다.
1. 서론
1-1.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의 개요
1-2. 잔류 자기 간섭
2. 통신 시스템의 구성
2-1.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2-2. 관리 장치의 구성
2-3. 기지국 장치의 구성
2-4. 중계 장치의 구성
2-5. 단말 장치의 구성
2-6. 상정 시스템의 구성
3. 상향 백홀 링크 송신으로부터 상향 액세스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
3-1. 전체 이중 릴레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 이중 통신 가능의 리소스
3-2.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대상
3-3. 자기 간섭량의 계산 방법
3-4. 송신 전력 제어 대상 (1): 상향 백홀 링크
3-5. 송신 전력 제어 대상 (2): 상향 액세스 링크
4. 송신 전력 제어 대상 (1) 방법 첫째: 친 노드에 의한 제어
4-1.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의 친 노드로의 보고
4-1-1. 보고 방법 1: 파워 헤드 룸에 의한 보고
4-1-2. 보고 방법 2: 오버로드 인디케이터에 의한 보고
4-1-3. 보고 방법 3: CSI 피드백의 하나의 정보로서 보고
4-1-4. 보고 방법 4: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간섭 캔슬 능력을 보고
4-1-5. 보고 방법 5: 계산한 자기 간섭량을 보고
4-1-6. 보고할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4-2. 친 노드에 의한 상향 백홀 링크의 스케줄링
4-2-1. 시그널링 1: UL 그랜트
4-2-2. 시그널링 2: TPC 커맨드
4-2-3. 시그널링 3: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
4-2-4. 시그널링 4: RRC 시그널링
4-2-5. 그 밖의 시그널링
4-3.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
5. 송신 전력 제어 대상 (1) 방법 둘째: 자 노드 스스로의 판단에 의한 제어
5-1. 오픈 루프 송신 전력 제어
5-2. 조건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5-3.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
6. 송신 전력 제어 대상 (2): 상향 액세스 링크
6-1. 스케줄링
6-2.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
7. 하향 액세스 링크 송신으로부터 하향 백홀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
8. 변형예
9. 결론
<<1. 서론>>
근년의 모바일 트래픽 급증에 수반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혁신 기술의 검토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기술의 하나로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in band full duplex)이 고려되고 있다.
<1-1.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의 개요>
도 1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전체 이중 통신(full duplex)에서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혼신을 피하기 위해,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에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이 행해진다. 그에 비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서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서는,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가 그 통신 장치의 수신 회로에 누출되어 들어감으로써 매우 강한 자기 간섭이 발생한다. 그러나, 간섭 캔슬 기술의 진보에 의해 그 자기 간섭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간섭 캔슬 기술의 진보에 의해, 종래의 전체 이중 통신과 비교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최대 2배로 할 수 있다고 상정된다.
도 2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의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장치(릴레이국)에 자기 간섭 캔슬러가 탑재되는 것을 상정한,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간의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상정한다. 중계 장치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간에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 향상에 추가하여, 중계 장치를 경유함에 따른 패킷 전송 지연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간의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일례로서 예시하지만, 백홀 링크와 백홀 링크간의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며, 동일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중계 장치는, 한쪽의 통신 장치로부터 다른 쪽의 통신 장치로 정보를 전달하는 일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장치는, 한쪽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쪽의 통신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장치가 행하는 통신은, 한쪽의 통신 장치와 중계 장치 사이, 및 중계 장치와 다른 쪽의 통신 장치 사이는 무선 통신인 것을 상정한다.
<1-2. 잔류 자기 간섭>
도 3 및 도 4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서 발생하는 잔류 자기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장치 등의 통신 장치에 자기 간섭 캔슬러가 탑재되는 것을 상정한다. 그러나, 간섭 캔슬 기술을 사용해도 모든 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미처 제거하지 못한 자기 간섭(잔류 자기 간섭)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의 수신 특성을 열화시킨다. 특히, 송신 전력이 크면 돌아 들어가는 잔류 자기 간섭 전력도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송신과 동일 리소스를 사용한 수신을 곤란하게 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장치(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중계 장치)는, 수신 전력과 잔류 자기 간섭 전력의 영향을 고려하면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이하, 전체 이중 리소스(Full Duplex Resource)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 혹은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중계 장치를 포함함) 및 기지국 장치(중계 장치를 포함함) 사이의 링크인 백홀 링크와 기지국 장치(중계 장치를 포함함)와 단말 장치간의 링크인 액세스 링크간에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용이 행해지는 리소스를 인식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액세스 링크의 상정 수신 전력과, 상향 백홀 링크(백홀 링크에 있어서의 상향 방향의 링크)를 사용한 데이터 송신에 의해 발생하는 잔류 자기 간섭을 미리 추정하여, 추정 수신 품질(CQI: Channel Quality Indicator)을 예측한다. 통신 장치는, 그 추정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상향 액세스 링크를 사용한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높이도록, 데이터 송신측의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를 제어한다. 또는 제어원의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 혹은 기지국 장치)는, 상향 백홀 링크를 사용한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자신(예를 들어, 중계 장치) 혹은 다른 통신 장치(제어원의 통신 장치가 기지국 장치라면, 중계 장치)를 제어한다.
도 5는, 잔류 자기 간섭을 고려한 통신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제어에 의해, 통신 장치는, 품질이 높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결과로서, 통신 장치는 높은 통신 퍼포먼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하였는데,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1)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간단히 「전체 이중 통신」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2. 통신 시스템의 구성>>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고, 단말 장치와 무선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LTE 및 NR은, 셀룰러 통신 기술의 일종이며, 기지국이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형으로 복수 배치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이동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LTE」에는 LTE-A(LTE-Advanced), LTE-A Pro(LTE-Advanced Pro) 및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NR에는 NRAT(New Radio Access Technology) 및 FEUTRA(Further EUTRA)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단일의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LTE에 대응하는 셀은 LTE 셀이라고 호칭되고, NR에 대응하는 셀은 NR 셀이라고 호칭된다.
NR은 LTE(LTE-Advanced, LTE-Advanced Pro를 포함하는 제4 세대 통신)의 다음 세대(제5 세대)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이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유스 케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기술이다. NR은, 이들 유스 케이스에 있어서의 이용 시나리오, 요구 조건 및 배치 시나리오 등에 대응하는 기술 프레임 워크를 목표로 하여 검토되고 있다.
이하,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1.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은, 단말 장치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은, LTE, NR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나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통신 시스템(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장치(10)와, 기지국 장치(20)와, 중계 장치(30)와, 단말 장치(40)를 구비한다. 통신 시스템(1)은, 통신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무선 통신 장치가 연계하여 동작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이동 통신이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과 코어 네트워크 CN으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며, 도 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및 단말 장치(40)가 해당된다.
통신 시스템(1)은,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및 단말 장치(40)를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6의 예에서는, 통신 시스템(1)은, 관리 장치(10)로서 관리 장치(101, 10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은,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1, 202, 203) 등을 구비하고 있고, 중계 장치(30)로서 중계 장치(301, 30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은, 단말 장치(40)로서 단말 장치(401, 402, 40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장치는, 논리적인 의미에서의 장치라고 생각해도 된다. 즉, 동일 도면의 장치의 일부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 컨테이너(Container), 도커(Docker) 등으로 실현되고, 그것들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하드웨어 상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LTE의 기지국은 eNodeB(Evolved Node B) 또는 eNB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NR의 기지국은 NGRAN Node(Next Generation RAN node), gNodeB 또는 gNB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LTE 및 NR에서는, 단말 장치(이동국, 이동국 장치 또는 단말기라고도 함)는 UE(User Equipment)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통신 장치의 일종이며, 이동국, 이동국 장치 또는 단말기라고도 칭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라는 개념에는, 휴대 단말기 등의 운반 가능한 이동체 장치(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구조물이나 이동체에 설치되는 장치도 포함된다. 구조물이나 이동체 그 자체를 통신 장치로 간주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라는 개념에는, 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기지국 장치 및 중계 장치도 포함된다. 통신 장치는,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의 일종이다. 또한, 통신 장치는,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로 바꾸어 말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 장치]
관리 장치(10)는,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장치(20)의 통신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혹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로서 기능하는 장치이다.
관리 장치(10)는, 게이트웨이 장치 등과 함께, 코어 네트워크 CN을 구성한다. 코어 네트워크 CN은, 예를 들어 이동체 통신 사업자들의 소정의 엔티티(주체)가 갖는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CN은, EPC(Evolved Packet Core)나 5GC(5G Core network)이다. 또한, 소정의 엔티티는, 기지국 장치(20)를 이용, 운용 및/또는 관리하는 엔티티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가 EPC라면, 관리 장치(10)는 S-GW나 P-GW로서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가 5GC라면, 관리 장치(10)는 UPF(User Plane Function)로서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SMF, PCF, UDM 등이어도 된다. 코어 네트워크 CN은 SMF, PCF, UDM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반드시 코어 네트워크 CN을 구성하는 장치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CN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의 코어 네트워크인 것으로 한다. 이때, 관리 장치(1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서 기능하는 장치여도 된다.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각각과 접속된다. 예를 들어 5GS의 경우, AMF와 NG-RAN 사이에는 N2 레퍼런스 포인트가 존재하고, NG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AMF와 NG-RAN이 서로 논리 접속된다.
기지국 장치(20)의 통신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단말 장치(40)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에어리어 단위(예를 들어, Tracking Area, RAN Notification Area)로 단말 장치(40)별로 관리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단말 장치(40)가 어느 기지국 장치(혹은 어느 셀)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느 기지국 장치(혹은 어느 셀)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등을 단말 장치(40)별로 파악하여 관리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에 의해 제공되는 셀은 서빙 셀(Serving cell)이라고 불린다. 서빙 셀은 pCell(Primary Cell) 및 sCell(Secondary Cell)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가 UE(예를 들어, 단말 장치(40))에 제공되는 경우, 마스터 노드(MN: Master Node)에 의해 제공되는 pCell 및 sCell(s)은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이라고 불린다. 듀얼 커넥티비티의 예로서는, EUTRA-EUTRA Dual Connectivity, EUTRA-NR Dual Connectivity(ENDC), EUTRA-NR Dual Connectivity with 5GC, NR-EUTRA Dual Connectivity(NEDC), NR-NR Dual Connectiv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서빙 셀은 PSCell(Primary Secondary Cell 또는 Primary SCG Cell)을 포함해도 된다. 즉, 듀얼 커넥티비티가 UE에 제공되는 경우, SN(Secondary Node)에 의해 제공되는 PSCell 및 sCell(s)은 SCG(Secondary Cell Group)라고 불린다.
1개의 셀에는, 1개의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ownlink Component Carrier)와 1개의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Uplink Component Carrier)가 대응지어져도 된다. 또한, 1개의 셀에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은, 복수의 대역 부분(BWP: Bandwidth Part)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이 경우, 1개 또는 복수의 BWP가 UE에 설정되고, 1개의 BWP가 액티브 BWP(Active BWP)로서, UE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셀별로, 컴포넌트 캐리어별로, 또는 BWP별로, 단말 장치(40)가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수비학(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슬롯 포맷(Slot configuration))이 달라도 된다. 또한, 1개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셀을 제공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20)는, 단말 장치(4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20)는 통신 장치의 일종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종이다.
기지국 장치(20)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Base Station, Node B, eNB, gNB 등)이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상당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가 eNB, gNB 등인 경우, 기지국 장치(20)가 3GPP 액세스(3GPP Access)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인 경우, 비 3GPP 액세스(Non-3GPP Access)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릴레이국(Relay Node)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RRH(Remote Radio Head)라고 불리는 광 확장 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FPU(Field Pickup Unit) 등의 수신국 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액세스 회선과 무선 백홀 회선을 시분할 다중, 주파수 분할 다중, 혹은 공간 분할 다중으로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도너 노드, 혹은 IAB 릴레이 노드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가 gNB인 경우, 기지국 장치는 gNB CU(Central Unit)와 gNB DU(Distributed Unit)의 조합 또는 이들 중 어느 것으로 칭해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기지국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기지국 장치(20)는, 다른 기지국 장치(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 장치(20)가 eNB끼리, 또는 eNB와 gNB의 조합인 경우, 당해 장치간은 X2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20)가 gNB끼리 또는 eNB와 gNB의 조합인 경우, 당해 장치간은 Xn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20)가 gNB CU와 gNB DU의 조합인 경우, 당해 장치간은 F1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도 된다. 후술되는 메시지ㆍ정보(RRC 시그널링 또는 DCI의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사이에서(예를 들어 X2, Xn, F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되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셀룰러 통신 기술이어도 되고, 무선 LAN 기술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LPWA(Low Power Wide Area) 통신 기술이어도 된다. 여기서, LPWA 통신은, LPWA 규격에 준거한 통신이다. LPWA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어 ELTRES, ZETA, SIGFOX, LoRaWAN, NB-Iot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LPWA 규격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LPWA 규격이어도 된다. 그 밖에,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밀리미터파를 사용한 무선 통신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전파를 사용한 무선 통신이어도 되고, 적외선이나 가시광을 사용한 무선 통신(광 무선)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단말 장치(40)와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여기서, NOMA 통신은 비직교 리소스를 사용한 통신(송신, 수신, 혹은 그 양쪽)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다른 기지국 장치(20) 및 중계 장치(30)와 NOMA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코어 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Interface 등)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Interface, S1 Interface 등)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코어 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NG Interface, S1 Interface 등)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n Interface, X2 Interface 등)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다양한 엔티티(주체)에 의해 이용, 운용 및/또는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티티로서는, 이동체 통신 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 가상 이동체 통신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가상 이동체 통신 인에이블러(MVNE: Mobile Virtual Network Enabler), 뉴트럴 호스트 네트워크(NHN: Neutral Host Network) 사업자, 엔터프라이즈, 교육 기관(학교 법인, 각 자치 단체 교육 위원회 등), 부동산(빌딩, 맨션 등) 관리자, 개인 등이 상정될 수 있다.
물론, 기지국 장치(20)의 이용, 운용 및/또는 관리의 주체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20)는 1 사업자가 설치 및/또는 운용을 행하는 것이어도 되고, 1 개인이 설치 및/또는 운용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의 설치ㆍ운용 주체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복수의 사업자 또는 복수의 개인이 공동으로 설치ㆍ운용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복수의 사업자 또는 복수의 개인이 이용하는 공용 설비여도 된다. 이 경우, 설비의 설치 및/또는 운용은 이용자와는 다른 제3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기지국이라고도 함)라는 개념에는, 도너 기지국뿐만 아니라, 릴레이 기지국(릴레이국, 중계국, 중계 기지국, 혹은 중계국 장치라고도 함)도 포함된다. 또한, 기지국이라는 개념에는, 기지국의 기능을 구비한 구조물(Structure)뿐만 아니라, 구조물에 설치되는 장치도 포함된다.
구조물은, 예를 들어 고층 빌딩, 가옥, 철탑, 역 시설, 공항 시설, 항만 시설, 스타디움 등의 건물이다. 또한, 구조물이라는 개념에는, 건물뿐만 아니라, 터널, 교량, 댐, 담, 철주 등의 구축물(Non-building structure)이나, 크레인, 문, 풍차 등의 설비도 포함된다. 또한, 구조물이라는 개념에는, 육상(협의의 지상) 또는 지중의 구조물뿐만 아니라, 잔교, 메가플로트 등의 수상 구조물이나, 해양 관측 설비 등의 수중 구조물도 포함된다. 기지국 장치는, 처리 장치 혹은 정보 처리 장치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는 도너국이어도 되고, 릴레이국(중계국)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고정국이어도 되고, 이동국이어도 된다. 이동국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이다. 이때, 기지국 장치(20)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장치여도 되고,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능력(Mobility)을 갖는 릴레이국 장치는, 이동국으로서의 기지국 장치(20)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드론(Aerial Vehicle), 스마트폰 등, 원래 이동 능력이 있는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의 기능(적어도 기지국 장치의 기능의 일부)을 탑재한 장치도, 이동국으로서의 기지국 장치(20)에 해당된다.
여기서, 이동체는,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단말기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육상(협의의 지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자동차, 자전거, 버스, 트럭, 자동 이륜차, 열차, 리니어 모터카 등의 차량)여도 되고, 지중(예를 들어, 터널 내)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지하철)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수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여객선, 화물선, 호버크라프트 등의 선박)여도 되고, 수중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잠수정, 잠수함, 무인 잠수기 등의 잠수선)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대기권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비행기, 비행선, 드론 등의 항공기(Aerial Vehicle))여도 되고, 대기권 밖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인공위성, 우주선, 우주 스테이션, 탐사기 등의 인공 천체)여도 된다. 대기권 밖을 이동하는 이동체는 우주 이동체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 기지국 장치(지상국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지상의 구조물에 배치되는 기지국 장치여도 되고, 지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는, 빌딩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 안테나 및 그 안테나에 접속하는 신호 처리 장치여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는, 구조물이나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지상」은, 육상(협의의 지상)뿐만 아니라, 지중, 수상, 수중도 포함하는 광의의 지상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지상 기지국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20)는, 공중 또는 우주를 부유 가능한 비지상 기지국 장치(비지상국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항공기국 장치나 위성국 장치여도 된다.
항공기국 장치는, 항공기 등, 대기권(성층권을 포함함) 내를 부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항공기국 장치는, 항공기 등에 탑재되는 장치여도 되고, 항공기 그 자체여도 된다. 또한, 항공기라는 개념에는, 비행기, 글라이더 등의 중항공기뿐만 아니라, 기구, 비행선 등의 경항공기도 포함된다. 또한, 항공기라는 개념에는, 중항공기나 경항공기뿐만 아니라, 헬리콥터나 오토자이로 등의 회전 날개기도 포함된다. 또한, 항공기국 장치(또는 항공기국 장치가 탑재되는 항공기)는 드론 등의 무인 항공기여도 된다.
또한, 무인 항공기라는 개념에는, 무인 항공 시스템(UAS: Unmanned Aircraft Systems), 연결 무인 항공 시스템(tethered UAS)도 포함된다. 또한, 무인 항공기라는 개념에는, 경무인 항공 시스템(LTA: Lighter than Air UAS), 중무인 항공 시스템(HTA: Heavier than Air UAS)이 포함된다. 그 밖에, 무인 항공기라는 개념에는, 고고도 무인 항공 시스템 플랫폼(HAPs: High Altitude UAS Platforms)도 포함된다.
위성국 장치는, 대기권 밖을 부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위성국 장치는, 인공위성 등의 우주 이동체에 탑재되는 장치여도 되고, 우주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위성국 장치로 되는 위성은, 저궤도(LEO: Low Earth Orbiting) 위성, 중궤도(MEO: Medium Earth Orbiting) 위성, 정지(GEO: Geostationary Earth Orbiting) 위성, 고타원 궤도(HEO: Highly Elliptical Orbiting) 위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위성국 장치는, 저궤도 위성, 중궤도 위성, 정지 위성, 또는 고타원 궤도 위성에 탑재되는 장치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20)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매크로셀과 같은 큰 것부터, 피코셀과 같은 작은 것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펨토셀과 같은 매우 작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빔 포밍의 능력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20)는 빔별로 셀이나 서비스 에어리어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는 중계 장치(301)와 접속되어 있고, 기지국 장치(202)는 중계 장치(302)와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 장치(201)는 중계 장치(301)를 통하여 단말 장치(40)와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202)는, 중계 장치(302)를 통하여 단말 장치(40)와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계 장치]
중계 장치(30)는, 기지국의 중계국으로 되는 장치이다. 중계 장치(30)는, 기지국 장치의 일종이다. 또한, 중계 장치(30)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종이다. 중계 장치는, 릴레이 기지국 장치(혹은 릴레이 기지국)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중계 장치(30)는, 단말 장치(40)와 NOMA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계 장치(30)는, 기지국 장치(20)와 단말 장치(40)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중계 장치(30)는, 다른 중계 장치(30) 및 기지국 장치(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계 장치(30)는, 지상국 장치여도 되고, 비지상국 장치여도 된다. 중계 장치(30)는 기지국 장치(20)와 함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중계 장치는, 고정된 장치여도 되고, 가동 가능한 장치여도 되고, 부유 가능한 장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중계 장치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특정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가 커버하는 셀은, 매크로셀이어도 되고, 마이크로셀이어도 되고, 스몰셀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중계 장치는, 중계의 기능이 충족되는 것이면, 탑재되는 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해 중계기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 장치에 탑재되어도 되고, 자동차나 인력거에 탑재되어도 되고, 기구나 비행기, 드론에 탑재되어도 되고, 텔레비전이나 게임기, 에어컨, 냉장고, 조명 기구 등의 가전에 탑재되어도 된다.
그 밖에, 중계 장치(30)의 구성은 상술한 기지국 장치(20)의 구성과 마찬가지여도 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20)와 마찬가지로, 이동체에 설치되는 장치여도 되고,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이동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단말기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육상(협의의 지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되고, 지중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물론, 이동체는, 수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되고, 수중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그 밖에, 이동체는, 대기권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되고, 대기권 밖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지상국 장치여도 되고, 비지상국 장치여도 된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항공기국 장치나 위성국 장치여도 된다.
또한, 중계 장치(30)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기지국 장치(20)와 마찬가지로, 매크로셀과 같은 큰 것부터, 피코셀과 같은 작은 것이어도 된다. 물론, 중계 장치(30)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펨토셀과 같은 매우 작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중계 장치(30)는 빔 포밍의 능력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중계 장치(30)는 빔별로 셀이나 서비스 에어리어가 형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 중계 장치(30)의 구성은 상술한 기지국 장치(20)의 구성과 마찬가지여도 된다.
[단말 장치]
단말 장치(40)는, 기지국 장치(20) 혹은 중계 장치(3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단말 장치(4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이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업무용 카메라와 같은 기기여도 되고, FPU(Field Pickup Unit) 등의 통신 기기가 탑재된 바이크나 이동 중계차 등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여도 된다. 단말 장치(40)는, 예를 들어 MTC UE, NB-IoT UE, Cat.M UE라고 호칭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다른 단말 장치(40)와 사이드 링크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단말 장치(40)는, 사이드 링크 통신을 행할 때, HARQ 등의 자동 재송 기술을 사용 가능해도 된다. 단말 장치(40)는, 기지국 장치(20) 및 중계 장치(30)와 NOMA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다른 단말 장치(40)와의 통신(사이드 링크)에 있어서도 NOMA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및 다른 단말 장치(40))와 LPWA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그 밖에, 단말 장치(40)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밀리미터파를 사용한 무선 통신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사이드 링크 통신을 포함함)은, 전파를 사용한 무선 통신이어도 되고, 적외선이나 가시광을 사용한 무선 통신(광 무선)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이동체 장치여도 된다. 여기서, 이동체 장치는 이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이때, 단말 장치(40)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여도 되고,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는, 자동차, 버스, 트럭, 자동 이륜차 등의 도로 상을 이동하는 차량(Vehicle), 혹은 당해 차량에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모바일 단말기여도 되고, 육상(협의의 지상), 지중, 수상, 혹은 수중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드론(Aerial UE), 헬리콥터 등의 대기권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되고, 인공위성 등의 대기권 밖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단말 장치(40)는, 동시에 복수의 기지국 장치 또는 복수의 셀과 접속하여 통신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1개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셀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단말 장치(40)는, 어떤 셀을 pCell로서 사용하고, 다른 셀을 sCell로서 사용함으로써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20)가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셀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단말 장치(40)는, 한쪽의 기지국 장치(MN(예를 들어, MeNB 또는 MgNB))가 관리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셀을 pCell, 또는 pCell과 sCell(s)로서 사용하고, 다른 쪽의 기지국 장치(Sn(예를 들어, SeNB 또는 SgNB))가 관리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셀을 pCell, 또는 pCell과sCell(s)로서 사용함으로써 DC(Dual Connectivity)를 실현할 수 있다. DC는 MC(Multi Connectivity)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다른 기지국 장치(20)의 셀(다른 셀 식별자 또는 동일 셀 식별자를 갖는 복수 셀)을 통하여 통신 에어리어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이나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 기술, 멀티 커넥티비티(MC: Multi-Connectivity) 기술에 의해, 그들 복수의 셀을 묶어서 기지국 장치(20)와 단말 장치(40)에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다른 기지국 장치(20)의 셀을 통하여, 협조 송수신(CoMP: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기술에 의해, 단말 장치(40)와 그들 복수의 기지국 장치(20)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반드시 사람이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일 필요는 없다. 단말 장치(40)는, 소위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와 같이, 공장의 기계 등에 설치되는 센서여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여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D2D(Device to Device)나 V2X(Vehicle to everything)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여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는, 무선 백홀 등에서 이용되는 CPE(Client Premises Equipment)라고 불리는 기기여도 된다.
이하,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장치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각 장치의 구성은, 이하의 구성과는 달라도 된다.
<2-2. 관리 장치의 구성>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관리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관리 장치(10)는,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관리 장치(10)는, 통신부(11)와, 기억부(12)와, 제어부(13)를 구비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것과는 달라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에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부(11)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는, 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 컨트롤러, USB 포트 등에 의해 구성되는 USB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또한, 통신부(11)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통신부(11)는, 관리 장치(10)의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통신부(11)는,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기지국 장치(20)와 통신한다.
기억부(1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데이터 판독 기입 가능의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12)는, 관리 장치(1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12)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의 접속 상태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2)는, 단말 장치(40)의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상태나 ECM(EPS Connection Management)의 상태를 기억한다. 기억부(12)는, 단말 장치(40)의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홈 메모리로서 기능해도 된다.
제어부(13)는, 관리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는, 관리 장치(1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13)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라고 간주할 수 있다.
<2-3. 기지국 장치의 구성>
다음에, 기지국 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단말 장치(40) 및 중계 장치(30) 등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기지국 장치(20)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NOMA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통신부(21)와, 기억부(22)와, 상위층 처리부(23)와, 제어부(24)를 구비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것과는 달라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에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통신부(2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40), 중계 장치(30) 및 다른 기지국 장치(2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이다. 통신부(21)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단말 장치(40) 및 중계 장치(30) 등의 다른 통신 장치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21)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통신부(21)는 1개 또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는, NR 및 LTE의 양쪽에 대응한다. 통신부(21)는, NR이나 LTE에 추가하여, W-CDMA나 cdma2000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21)는, NOMA를 사용한 통신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부(21)는, 수신 처리부(211)와, 송신 처리부(212)와, 자기 캔슬러부(213)와, 안테나(214)를 구비한다. 통신부(21)는, 수신 처리부(211), 송신 처리부(212) 및 안테나(214)를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21)가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하는 경우, 통신부(21)의 각 부는, 무선 액세스 방식별로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211) 및 송신 처리부(212)는, LTE와 NR로 개별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수신 처리부(211)는, 안테나(214)를 통하여 수신된 상향 링크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211)는, 무선 수신부(211a)와, 다중 분리부(211b)와, 복조부(211c)와, 복호부(211d)를 구비한다.
무선 수신부(211a)는, 상향 링크 신호에 대하여, 다운컨버트,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제거, 증폭 레벨의 제어, 직교 복조,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제거,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한 주파수 영역 신호의 추출 등을 행한다. 다중 분리부(211b)는, 무선 수신부(211a)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의 상향 링크 채널 및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복조부(211c)는, 상향 링크 채널의 변조 심볼에 대하여,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211c)가 사용하는 변조 방식은,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또는 256QAM이어도 된다. 이 경우, 콘스털레이션 상의 신호점은 반드시 등거리일 필요는 없다. 콘스털레이션은, 불균일 콘스털레이션(NUC: Non Uniform Constellation)이어도 된다. 복호부(211d)는, 복조된 상향 링크 채널의 부호화 비트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된 상향 링크 데이터 및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제어부(24)에 출력된다.
송신 처리부(212)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212)는, 부호화부(212a)와, 변조부(212b)와, 다중부(212c)와, 무선 송신부(212d)를 구비한다.
부호화부(212a)는, 제어부(24)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또한, 부호화부(212a)는, 폴라 부호(Polar code)에 의한 부호화, LDPC 부호(Low Density Parity Check Code)에 의한 부호화를 행해도 된다. 변조부(212b)는, 부호화부(212a)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이 경우, 콘스털레이션 상의 신호점은 반드시 등거리일 필요는 없다. 콘스털레이션은, 불균일 콘스털레이션이어도 된다. 다중부(212c)는,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212d)는, 다중부(212c)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212d)는,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한 시간 영역으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사이클릭 프리픽스)의 부가,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의 생성,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직교 변조, 업컨버트, 여분의 주파수 성분의 제거, 전력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212)에서 생성된 신호는, 안테나(214)로부터 송신된다.
자기 캔슬러부(213)는, 기지국 장치(20) 자신의 데이터 송신에 의한 기지국 장치(20) 자신의 데이터 수신에 부여하는 자기 간섭을 캔슬한다. 예를 들어, 자기 캔슬러부(213)는, 통신부(21)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 경우의 자기 간섭을 캔슬한다. 예를 들어, 자기 캔슬러부(213)는, 송신 처리부(212)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처리부(211)가 취득한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다.
기억부(2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데이터 판독 기입 가능의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22)는, 기지국 장치(2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위층 처리부(23)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노드(예를 들어, 관리 장치(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2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이다. 상위층 처리부(2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23)는, 기지국 장치(2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부(24)는, 기지국 장치(2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다. 제어부(24)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는, 기지국 장치(2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24)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라고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득부(241)와, 통신 제어부(242)와, 생성부(243)와, 수신부(244)와, 송신부(245)를 구비한다. 제어부(2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241) 내지 송신부(245))은 각각 제어부(24)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블록이어도 되고, 하드웨어 블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능 블록이, 각각 소프트웨어(마이크로프로그램을 포함함)로 실현되는 1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이어도 되고, 반도체 칩(다이) 상의 1개의 회로 블록이어도 된다. 물론, 각 기능 블록이 각각 1개의 프로세서 또는 1개의 집적 회로여도 된다. 기능 블록의 구성 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제어부(24)는 상술한 기능 블록과는 다른 기능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2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241) 내지 송신부(245))의 동작은, 중계 장치(30)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동작과 마찬가지여도 된다. 중계 장치(30)의 구성은 후술한다.
<2-4. 중계 장치의 구성>
다음에, 중계 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중계 장치(3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중계 장치(30)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단말 장치(40) 및 중계 장치(30) 등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중계 장치(30)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NOMA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중계 장치(30)는, 통신부(31)와, 기억부(32)와, 상위층 처리부(33)와, 제어부(34)를 구비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것과는 달라도 된다. 또한, 중계 장치(3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에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통신부(3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단말 장치(40) 및 다른 중계 장치(3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이다. 통신부(31)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부(31)는, 기지국 장치(20) 및 단말 장치(40) 등의 다른 통신 장치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31)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통신부(31)는 1개 또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1)는, NR 및 LTE의 양쪽에 대응한다. 통신부(31)는, NR이나 LTE에 추가하여, W-CDMA나 cdma2000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31)는, NOMA를 사용한 통신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부(31)는, 수신 처리부(311)와, 송신 처리부(312)와, 자기 캔슬러부(313)와, 안테나(314)를 구비한다. 통신부(31)는, 수신 처리부(311), 송신 처리부(312), 자기 캔슬러부(313) 및 안테나(314)를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부(31), 수신 처리부(311), 송신 처리부(312), 자기 캔슬러부(313) 및 안테나(314)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통신부(21), 수신 처리부(211), 송신 처리부(212), 자기 캔슬러부(213) 및 안테나(214)와 마찬가지이다.
기억부(3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데이터 판독 기입 가능의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32)는, 중계 장치(3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32)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기억부(22)와 마찬가지이다.
상위층 처리부(33)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3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이다. 상위층 처리부(3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33)는, 중계 장치(3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위층 처리부(33)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기지국 장치(20)와 통신한다.
제어부(34)는, 중계 장치(3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제어부(34)는, 예를 들어 CPU, MPU 등의 프로세서(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4)는, 중계 장치(3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34)는, ASIC나 FPG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라고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34)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득부(341)와, 통신 제어부(342)와, 생성부(343)와, 수신부(344)와, 송신부(345)를 구비한다. 제어부(3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341) 내지 송신부(345))은 각각 제어부(34)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블록이어도 되고, 하드웨어 블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능 블록이, 각각 소프트웨어(마이크로프로그램을 포함함)로 실현되는 1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이어도 되고, 반도체 칩(다이) 상의 1개의 회로 블록이어도 된다. 물론, 각 기능 블록이 각각 1개의 프로세서 또는 1개의 집적 회로여도 된다. 기능 블록의 구성 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제어부(34)는 상술한 기능 블록과는 다른 기능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3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341) 내지 송신부(345))의 동작은, 기지국 장치(20)의 제어부(2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241) 내지 송신부(245))의 동작과 마찬가지여도 된다.
도 10은, 중계 장치(30)의 신호 처리 주위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중계 장치(30)는, 수신 처리부(311)와, 송신 처리부(312)와, 자기 캔슬러부(313)와, 안테나(314)와, 기억부(32)와, 상위층 처리부(33)와, 제어부(34)를 구비한다.
수신 처리부(311)는, 안테나(314)를 통하여 수신된 상향 링크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311)는, 무선 수신부(311a)와, 다중 분리부(311b)와, 복조부(311c)와, 복호부(311d)와, 채널 측정부(311e)를 구비한다. 채널 측정부(311e)는, 다중 분리부(311b)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를 측정함과 함께, 측정 결과를 다중 분리부(311b) 및 제어부(34)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311a), 다중 분리부(311b), 복조부(311c) 및 복호부(311d)의 기능은, 기지국 장치(20)의 무선 수신부(211a), 다중 분리부(211b), 복조부(211c) 및 복호부(211d)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송신 처리부(312)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312)는, 부호화부(312a)와, 변조부(312b)와, 다중부(312c)와, 무선 송신부(312d)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12e)를 구비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12e)는, 네트워크 상의 하위의 노드에 송신하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부호화부(312a), 변조부(312b), 다중부(312c) 및 무선 송신부(312d)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부호화부(212a), 변조부(212b), 다중부(212c) 및 무선 송신부(212d)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자기 캔슬러부(313)는, 중계 장치(30) 자신의 데이터 송신에 의한 중계 장치(30) 자신의 데이터 수신에 부여하는 자기 간섭을 캔슬한다. 예를 들어, 자기 캔슬러부(313)는, 통신부(31)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 경우의 자기 간섭을 캔슬한다. 예를 들어, 자기 캔슬러부(313)는, 무선 송신부(312d)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수신부(311a)가 취득한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다.
<2-5. 단말 장치의 구성>
다음에, 단말 장치(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4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40)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는, 기지국 장치(20) 및 중계 장치(30) 등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단말 장치(40)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 NOMA 통신이 가능해도 된다.
단말 장치(40)는, 통신부(41)와, 기억부(42)와, 상위층 처리부(43)와, 입출력부(44)와, 제어부(45)를 구비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것과는 달라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에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40)의 구성에 있어서, 상위층 처리부(43) 및 입출력부(44)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어도 된다.
통신부(4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및 다른 단말 장치(4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이다. 통신부(41)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부(31)는, 기지국 장치(20) 및 단말 장치(40) 등의 다른 통신 장치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41)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통신부(41)는 1개 또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1)는 NR 및 LTE의 양쪽에 대응한다. 통신부(41)는, NR이나 LTE에 추가하여, W-CDMA나 cdma2000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41)는, NOMA를 사용한 통신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부(41)는, 수신 처리부(411)와, 송신 처리부(412)와, 자기 캔슬러부(413)와, 안테나(414)를 구비한다. 통신부(41)는, 수신 처리부(411), 송신 처리부(412), 자기 캔슬러부(413) 및 안테나(414)를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부(41), 수신 처리부(411), 송신 처리부(412), 자기 캔슬러부(413) 및 안테나(414)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통신부(21), 수신 처리부(211), 송신 처리부(212), 자기 캔슬러부(213) 및 안테나(214)와 마찬가지이다.
기억부(4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데이터 판독 기입 가능의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42)는, 단말 장치(4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42)는, 기지국 장치(20)로부터 취득한 「미접속 상태로부터의 송신에 관한 정보(미접속 송신용 정보)」를 기억한다. 「미접속 상태로부터의 송신에 관한 정보(미접속 송신용 정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위층 처리부(43)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4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이다. 상위층 처리부(4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43)는, 단말 장치(4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위층 처리부(43)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다른 장치와 통신한다.
입출력부(44)는, 유저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44)는, 키보드, 마우스, 조작 키, 터치 패널 등, 유저가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다. 또는 입출력부(4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표시 장치이다. 입출력부(44)는, 스피커, 버저 등의 음향 장치여도 된다. 또한, 입출력부(44)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의 점등 장치여도 된다. 입출력부(44)는, 단말 장치(40)의 입출력 수단(입력 수단, 출력 수단, 조작 수단 또는 통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부(45)는, 단말 장치(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제어부(45)는, 예를 들어 CPU, MPU 등의 프로세서(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5)는, 단말 장치(4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45)는, ASIC나 FPG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라고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45)의 구성은, 중계 장치(30)의 제어부(34)의 구성과 마찬가지여도 된다.
도 12는, 단말 장치(40)의 신호 처리 주위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단말 장치(40)는, 수신 처리부(411)와, 송신 처리부(412)와, 자기 캔슬러부(413)와, 안테나(414)와, 기억부(42)와, 상위층 처리부(43)와, 제어부(45)를 구비한다.
수신 처리부(411)는, 안테나(414)를 통하여 수신된 하향 링크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411)는, 무선 수신부(411a)와, 다중 분리부(411b)와, 복조부(411c)와, 복호부(411d)와, 채널 측정부(411e)를 구비한다. 채널 측정부(411e)는, 다중 분리부(411b)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를 측정함과 함께, 측정 결과를 다중 분리부(411b) 및 제어부(34)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411a), 다중 분리부(411b), 복조부(411c) 및 복호부(411d)의 기능은, 기지국 장치(20)의 무선 수신부(211a), 다중 분리부(211b), 복조부(211c) 및 복호부(211d)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송신 처리부(412)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412)는, 부호화부(412a)와, 변조부(412b)와, 다중부(412c)와, 무선 송신부(412d)와,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412e)를 구비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412e)는, 네트워크 상의 상위의 노드에 송신하는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부호화부(412a), 변조부(412b), 다중부(412c) 및 무선 송신부(412d)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부호화부(212a), 변조부(212b), 다중부(212c) 및 무선 송신부(212d)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자기 캔슬러부(413)는, 단말 장치(40) 자신의 데이터 송신에 의한 단말 장치(40) 자신의 데이터 수신에 부여하는 자기 간섭을 캔슬한다. 예를 들어, 자기 캔슬러부(413)는, 통신부(41)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 경우의 자기 간섭을 캔슬한다. 예를 들어, 자기 캔슬러부(413)는, 무선 송신부(412d)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수신부(411a)가 취득한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다.
<2-6. 상정 시스템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시스템(1)으로서, 이하의 3개의 전체 이중 통신 시스템을 상정한다.
(1) 제1 통신 시스템(상정 시스템(1A))
(2) 제2 통신 시스템(상정 시스템(1B))
(3) 제3 통신 시스템(상정 시스템(1C))
(1) 제1 통신 시스템(상정 시스템(1A))
도 13은, 제1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정 시스템(1A)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양쪽을 사용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통신 시스템(1A)은, 상향 백홀 링크(백홀 링크에 있어서의 상향 방향의 링크)와 상향 액세스 링크(액세스 링크에 있어서의 상향 방향의 링크)의 다중(multiplexing)을 행하고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중계 장치(30)가,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데이터 송신(이하, 상향 백홀 링크 송신이라고 함)과, 상향 액세스 링크의 데이터 수신(상향 액세스 링크 수신이라고 함)을 동시에 행하고 있다.
(2) 제2 통신 시스템(상정 시스템(2A))
도 14는, 제2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정 시스템(1B)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양쪽을 사용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상정 시스템(2A)은, 하향 백홀 링크(백홀 링크에 있어서의 하향 방향의 링크)와 하향 액세스 링크(액세스 링크에 있어서의 하향 방향의 링크)의 다중(multiplexing)을 행하고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중계 장치(30)가,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하향 백홀 링크의 데이터 수신(이하, 하향 백홀 링크 수신이라고 함)과 하향 액세스 링크의 데이터 송신(하향 액세스 링크 수신이라고 함)을 동시에 행하고 있다.
(3) 제3 통신 시스템(상정 시스템(1C))
도 15는, 제3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정 시스템(1C)은, 백홀 링크 혹은 액세스 링크를 사용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다. 도 15의 예에서는, 통신 시스템(1C)은, 상향 백홀 링크와 하향 백홀 링크의 다중(multiplexing)을 행하고 있다. 도 15의 예에서는, 중계 장치(30)가,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향 백홀 링크 송신과 하향 백홀 링크 수신을 동시에 행하고 있다.
<<3. 상향 백홀 링크 송신으로부터 상향 액세스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
상향 백홀 링크 송신으로부터 상향 액세스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에 관한 통신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통신 제어는, 예를 들어 상술한 도 13에 도시하는 상정 시스템(1A)의 통신 제어에 적용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통신 제어는, 상술한 도 15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1C)의 통신 제어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하에 나타내는 상향 백홀 링크 및 상향 액세스 링크의 기재는, 적절하게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로 치환한다.
<3-1. 전체 이중 릴레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 이중 통신 가능의 리소스>
처음에,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NR에 있어서의 리소스 상태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또한, 리소스 상태는 NR에 있어서의 리소스 상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리소스 상태의 종류]
NR에서는 리소스 상태의 종류로서 이하의 3개를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실시에 있어서, 이하의 3종류 이외의 리소스 상태(예를 들어, 사이드 링크를 지정하는 리소스 상태)가 정의되어도 된다.
(1) UL(업링크)
(2) DL(다운링크)
(3) Flexible
이하, (1) 내지 (3)을 각각 설명한다.
(1) UL(업링크)
리소스 상태의 종류로서 UL이 설정된 경우, 당해 리소스는, 단말 장치(40)에 있어서, 상향 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리소스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리소스 상태의 종류로서 UL이 설정된 경우, 당해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20)에 있어서, 상향 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는 리소스인 것을 나타낸다.
(2) DL(다운링크)
리소스 상태의 종류로서 DL이 설정된 경우, 당해 리소스는, 단말 장치(40)에 있어서, 하향 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할 것을 기대하는 리소스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리소스 상태의 종류로서 DL이 설정된 경우, 당해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20)에 있어서, 하향 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리소스인 것을 나타낸다.
(3) Flexible
리소스 상태의 종류로서 Flexible이 설정된 경우, 당해 리소스는, 단말 장치(40)에 있어서, 다른 리소스 상태로서 지시되어 있지 않다면, 상향 링크 채널/신호의 송신, 및 하향 링크 채널/신호의 수신의 양쪽을 행하지 않는 리소스인 것을 나타낸다. 다른 리소스 상태로서 지시된 경우에는, 단말 장치(40)는, 그 지시된 리소스 상태의 동작을 행한다.
[UL에 있어서의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한 리소스]
상향 백홀 링크에 대하여 하향 액세스 링크를 할당할 수 있는 예로서는, 중계 장치(30)가, 기지국 장치(20)로부터,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백홀에 UL, 또한 액세스 링크에 UL, Flexible이 설정된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하여 상향 백홀 링크를 할당할 수 있는 예로서는, 중계 장치(30)가, 기지국 장치(20)로부터, RRC 시그널링에 의해 액세스 링크에 UL, 또한 백홀에 소프트 UL, 소프트 DL 또는 Flexible 중 어느 것이 설정된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소프트 UL이 설정된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20) 등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UL, DL 또는 Flexible로 설정될 수 있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UL로서 설정된다.
또한, 소프트 DL이 설정된 리소스는, 기지국 장치(20) 등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UL, DL 또는 Flexible로 설정될 수 있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DL로서 설정된다.
<3-2.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대상>
다음에,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대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대상으로서는 이하가 상정될 수 있다.
(1) 송신 전력
(2) 빔 포밍
(3) 무선 리소스
(4) 변조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1) 내지 (4)를 각각 설명한다.
(1) 송신 전력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는, 신호를 송신하였을 때, 수신 회로에 돌아 들어가는 자기 간섭의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2) 빔 포밍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의 빔 포밍을 제어한다. 통신 장치는, 수신 빔에 대하여, 송신 빔을 다른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수신 회로에 돌아 들어가는 자기 간섭의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3) 무선 리소스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이나 심볼 길이)를 제어한다.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에 따라 무선 리소스양을 제어하고, 저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로도 수신할 수 있도록 부호화율을 조정함으로써, 품질이 높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4) 변조 부호화 방식(MCS)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이나 심볼 길이)를 제어한다.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에 따라 MCS를 제어하고, 저 SINR로도 수신할 수 있도록 부호화율을 조정함으로써, 품질이 높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3-3. 자기 간섭량의 계산 방법>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는, 중계 장치(30)의 자기 간섭량이 상정된다. 이하, 자기 간섭량의 계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계 장치(30)가 자기 간섭량을 계산하는 경우, 중계 장치(30)는, 이하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자기 간섭량을 계산할 수 있다.
(1) 백홀 링크의 UL 리소스
(2) 액세스 링크의 DL 리소스
이하, (1) 내지 (2)를 각각 설명한다.
(1) 백홀 링크의 UL 리소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 리소스를 사용하여, 자기 간섭량(자기 간섭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의 셀/단말기도 동일 리소스에서 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조정한 경우, 중계 장치(30)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측정 전력을 감산함으로써(즉, 「송신 전력-측정 전력」에 의해), 자기 간섭량(자기 간섭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주위의 셀/단말기도 동일 리소스에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경우, 중계 장치(30)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측정 전력과 셀/단말기간 간섭 전력을 감산함으로써(즉, 「송신 전력-측정 전력-셀/단말기간 간섭 전력」에 의해), 자기 간섭량(자기 간섭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2) 액세스 링크의 DL 리소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ZP CSI-RS(Zero Powe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가 설정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자기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장치(30)는, ZP CSI-RS 리소스와 동일한 타이밍에 상향 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한다. 간섭을 측정하는 ZP CSI-RS 리소스는, 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 Interference Measurement) 리소스라고도 호칭된다.
예를 들어, 주위의 셀/단말기도 동일 리소스에서 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조정한 경우, 중계 장치(30)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측정 전력을 감산함으로써(즉, 「송신 전력-측정 전력」에 의해), 자기 간섭량(자기 간섭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주위의 셀/단말기도 동일 리소스에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경우, 중계 장치(30)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측정 전력과 셀/단말기간 간섭 전력을 감산함으로써(즉, 「송신 전력-측정 전력-셀/단말기간 간섭 전력」에 의해), 자기 간섭량(자기 간섭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3-4. 송신 전력 제어 대상 (1): 상향 백홀 링크>
중계 장치(30)는, 상향 액세스 링크나 후단의 상향 백홀 링크에 간섭을 부여하지 않도록,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제어(예를 들어,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지국 장치(2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5. 방법 첫째: 친 노드에 의한 제어>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의 네트워크 상에서 상위의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를 친 노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는 자기 판단으로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6. 방법 둘째: 자 노드 스스로의 판단에 의한 제어>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를 자 노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3-5. 송신 전력 제어 대상 (2): 상향 액세스 링크>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백홀 링크에 기인하는 자기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제어(예를 들어, 스케줄링)를 행한다. 이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7. 하향 액세스 링크 송신으로부터 하향 백홀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4. 송신 전력 제어 대상 (1) 방법 첫째: 친 노드에 의한 제어>>
우선, 방법 첫째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법 첫째에서는,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지국 장치(2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부터의 스케줄링에 의해,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이 제어된다.
<4-1.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의 친 노드로의 보고>
친 노드가 중계 장치(30)의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를 친 노드에 송신한다. 보고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이 상정된다.
[4-1-1. 보고 방법 1: 파워 헤드 룸에 의한 보고]
우선, 보고 방법으로서는, 파워 헤드 룸(Power head room)에 의한 보고가 고려된다. 파워 헤드 룸은,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의 송신 전력의 여력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하, 송신 전력 여력의 정보라고도 함)이다. 이때, 파워 헤드 룸은, 자기 간섭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보정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최대 송신 전력으로부터 추가로 간섭량에 따른 백오프(보정 계수)를 가산 혹은 감산하여, 파워 헤드 룸을 계산해도 된다. 중계 장치(30)는, 그리고 계산한 파워 헤드 룸을 친 노드에 보고해도 된다.
또한, 파워 헤드 룸의 구체예로서, 이하의 식 (1)에 Type1 PH의 식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식 (1) 중의 각 변수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Figure pct00002
또한, 전체 이중 통신이 적용되는 PH(예를 들어, Type4 PH라고 호칭됨)의 식은, 예를 들어 이하의 식 (2)로 된다.
Figure pct00003
식 (2) 중, FD(i)는 상정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였을 때의 자기 간섭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보정 계수를 나타낸다.
[4-1-2. 보고 방법 2: 오버로드 인디케이터에 의한 보고]
다음에, 보고 방법으로서,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에 의한 보고가 고려된다.
오버로드 인디케이터란, X2 인터페이스(X2 interface)에서 사용되는 시그널링이다. 통신 장치는, 오버로드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피간섭량을 Low, Mid, High의 3레벨의 정보로 인접 셀에 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계 장치(30)는, 오버로드 인디케이터에 자기 간섭량을 포함시켜 친 노드에 보고한다.
[4-1-3. 보고 방법 3: CSI 피드백의 하나의 정보로서 보고]
다음에, 보고 방법으로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의 하나의 정보로서 보고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CSI는, 채널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채널 상태 정보라고도 함)이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주위로부터의 간섭 정보에 자기 간섭 정보를 포함시켜 친 노드에 보고한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대응하는 CSI와, 비전체 이중 통신(non-full duplex)에 대응하는 CSI의 2종류의 정보를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에 피드백해도 된다. 여기서, 비전체 이중 통신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아닌 통신을 나타낸다. 이때, 여기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대응하는 CSI에는, 자기 간섭 정보를 포함시켜 보고된다. 한편, 비전체 이중 통신에 대응하는 CSI에는, 자기 간섭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중계 장치(30)는, 주위로부터의 간섭 정보와는 별도로 자기 간섭 정보를 친 노드에 보고해도 된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비전체 이중 통신(non-full duplex)에 대응하는 CSI(종래의 CSI)를 보고하고, 그 종래의 CSI에 추가하여,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추가 정보를 보고한다. 여기서, 비전체 이중 통신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아닌 통신을 나타낸다. 추가 정보는,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추가의 간섭 정보(크로스링크간 간섭, 자기 간섭을 포함함)이다.
CSI 피드백에 있어서의 주위로부터의 간섭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L1-RSRQ(L1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L1-RSSI(L1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을 들 수 있다.
[4-1-4. 보고 방법 4: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간섭 캔슬 능력을 보고]
다음에, 보고 방법으로서, 상향 링크 송신 전력과 간섭 캔슬 능력을 보고하는 것이 상정된다. 친 노드(기지국 장치(20))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으로부터 간섭 캔슬 능력을 뺌으로써, 중계 장치(30)의 자기 간섭량을 추정할 수 있다.
친 노드로의 간섭 캔슬 능력의 통지 방법으로서는, 중계 장치(30)가, 자신의 간섭 캔슬 능력에 관한 캐퍼빌리티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캐퍼빌리티 정보는, 예를 들어 소정의 캔슬 능력이 결부된 캐퍼빌리티 인덱스이다. 표 1은, 캐퍼빌리티 인덱스와 캔슬 능력의 대응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중계 장치(30)는, 소정의 간섭 캔슬 성능을 보증하는 캐퍼빌리티 정보에 의해 자신의 간섭 캔슬 능력을 통지한다. 또한, 복수의 간섭 캔슬 성능에 대한 복수의 캐퍼빌리티가 정의되어도 된다.
Figure pct00004
중계 장치(30)는, 간섭 캔슬량을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간섭 캔슬에 의해 저감할 수 있는 감쇠량을 dB로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의 정보와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30)의 자기 간섭량을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30)로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지시를 생성한다.
[4-1-5. 보고 방법 5: 계산한 자기 간섭량을 보고]
중계 장치(30)는, 계산한 자기 간섭량을 보고해도 된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다른 제어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자기 간섭량을 친 노드에 보고해도 된다.
[4-1-6. 보고할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상기 보고 방법 1 내지 5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친 노드에 보고할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는, 이하의 정보가 상정될 수 있다.
(1) 간섭량
(2) 간섭을 받는 리소스의 정보
(3) 빔에 관한 정보
이하, (1) 내지 (3)을 각각 설명한다.
(1) 간섭량
간섭량은, 양자화된 간섭 전력 정보. 여기서, 간섭 전력 정보는, 양자화된 자기 간섭 전력의 정보여도 된다. 양자화된 간섭 전력 정보로서는, 2레벨이라면 예를 들어 Low, High가 상정된다. 또한, 양자화된 간섭 전력 정보로서는, 3레벨이라면 Low, Mid, High가 상정된다. 물론, 레벨수는 2레벨, 3레벨로 한정되지 않는다. 간섭 전력 정보의 레벨수는 3레벨보다 많아도 된다.
(2) 간섭을 받는 리소스의 정보
간섭을 받는 리소스의 정보, 시간 및 주파수의 정보이다. 간섭을 받는 리소스는, 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이나 슬롯/심볼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리소스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와 동일한 정보에 의해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리소스는 RIV(Resource Indication Value) 및 SLIV(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에 의해 표시되어도 된다. 여기서, RIV는,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선두와 후방의 조합을 나타낸다. 또한, SLIV는, 시간축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선두와 길이의 조합을 나타낸다.
(3) 빔에 관한 정보
빔에 관한 정보로서는 이하의 (a) 내지 (d)가 상정된다.
(a) 백홀 링크의 상향 링크 송신 빔 및/또는 액세스 링크의 상향 링크 수신 빔에 관한 정보.
(b) 백홀 링크의 상향 링크 송신 안테나(패널) 및/또는 액세스 링크의 상향 링크 수신 안테나(패널)에 관한 정보.
(c) 백홀 링크의 SRI(SRS resource indicator) 혹은 PRACH 어케이전, 및/또는 액세스 링크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인덱스 혹은 CSI-RS 인덱스에 관한 정보.
(d) 백홀 링크의 상향 링크 안테나 포트 및/또는 액세스 링크의 하향 링크 안테나 포트에 관한 정보.
빔 또는 패널의 송수신 조합에 따라 자기 간섭량이 다르다. 그래서,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빔 또는 패널의 송수신 조합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30)의 자기 간섭량을 계산한다.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자기 간섭 전력의 정보, 및/또는 간섭을 받는 리소스의 정보, 및/또는 빔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친 노드에 보고된다.
<4-2. 친 노드에 의한 상향 백홀 링크의 스케줄링>
자기 간섭량의 보고를 받은 친 노드는, 계산한 자기 간섭량을 고려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자 노드(예를 들어, 중계 장치(30))에 대하여,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통상으로부터 낮추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자 노드의 자기 간섭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친 노드에 의한 자 노드의 송신 전력의 제어는, 트리거의 종류에 따라 이하의 (a), (b)로 분류할 수 있다. 하기의 (a)는 명시적 시그널링(explicit signaling), (b)는 묵시적 시그널링(implicit signaling)이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물론, 제어의 트리거는 이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a)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시그널링 수신에 의한 제어(명시적 시그널링)
예를 들어, 동적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비트 필드(bit field)에 의해, 친 노드로부터 자 노드로 송신 전력의 조정이 지시된다.
(b) 다른 제어 정보에 연동된 제어(묵시적 시그널링)
예를 들어, 다른 제어 정보(예를 들어, SFI(Slot Format Indicator)에 의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 친 노드로부터 자 노드로 송신 전력의 조정이 지시된다.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시그널링으로서는, 이하의 4-2-1 내지 4-2-5의 시그널링이 상정될 수 있다.
[4-2-1. 시그널링 1: UL 그랜트]
예를 들어, 친 노드는,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어, DCI)에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자 노드는,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에 의해,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이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에 의해 송신 전력을 제어하도록 통지된 자 노드는, 송신 전력을 소정량(예를 들어, 수dB) 낮춘다.
송신 전력을 낮추는 오프셋값(상기 「소정량」)은, 고정값(예를 들어, -3dB)이어도 되고, RRC 시그널링으로 값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오프셋값은, 상향 링크의 송신 타입(예를 들어, 채널(PUSCH/PUCCH/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SRS)이나, 데이터의 QoS(Quality of Service)의 종류(예를 들어, eMBB 또는 URLLC))에 의해 가변이어도 된다.
[4-2-2. 시그널링 2: TPC 커맨드]
친 노드는, TPC 커맨드(송신 전력 제어용의 제어 정보)에 의해 자 노드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친 노드는, DCI format 2_2/2_3과 같이, 단말기 공통 DCI에 의해, 자 노드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DCI에 포함되는 비트맵 중, 각 수bits를 각 단말기에 할당한다. 자 노드는, 해당 bits가 나타내는 상태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4-2-3. 시그널링 3: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
친 노드는,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slot format indicator)에 의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관한 리소스를 지시한다.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에 의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관한 리소스라고 지시된 경우에는, 자 노드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4-2-4. 시그널링 4: RRC 시그널링]
친 노드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한 리소스를 RRC로 지정한다. 전체 이중 통신(full duplex)이 가능한 리소스가 RRC에 의해 지정되고, 그 리소스로 상향 링크 송신을 행할 때에는, 자 노드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4-2-5. 그 밖의 시그널링]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시그널링은, 상기 4-2-1 내지 4-2-4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시그널링은, 상기 4-2-1과 상기 4-2-4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다고 지시된 리소스에 있어서, UL 그랜트가 지시된 경우에는, 자 노드는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4-3.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
도 16은,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면서,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를 설명한다.
중계 장치(30)의 생성부(343)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을 추정한다(스텝 S101).
중계 장치(30)의 취득부(341)는, 스텝 S101의 추정 결과(이하, 상향 링크 테스트 신호의 정보라고도 함)를 기지국 장치(20)에 송신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한다. 여기서,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송신 전력 여력의 정보(예를 들어, 파워 헤드 룸)여도 되고,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채널 상태 정보(예를 들어, CSI)여도 된다. 또한,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는,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여도 된다. 그리고, 중계 장치(30)의 송신부(345)는, 기지국 장치(20)에 대하여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102).
기지국 장치(20)의 취득부(241)는, 중계 장치(30)로부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20)의 생성부(243)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상향 링크 테스트 신호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 간섭을 포함시킨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 적용 시의 상향 액세스 링크의 추정 SINR을 계산한다(스텝 S103).
기지국 장치(20)의 생성부(243)는, 추정한 SINR에 기초하여, 중계 장치(30)에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기지국 장치(20)의 통신 제어부(242)는, 중계 장치(30)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부(245)를 통하여, 생성부(243)가 생성한 지시 정보를 중계 장치(30)에 송신한다(스텝 S104). 이때, 기지국 장치(20)의 통신 제어부(242)(또는 송신부(245))는,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예를 들어, TPC 커맨드)에 의해 지시를 송신해도 되고,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어, DCI)에 의해 지시를 송신해도 된다.
중계 장치(30)의 수신부(344)는, 기지국 장치(20)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중계 장치(30)의 통신 제어부(342)는, 기지국 장치(20)로부터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값을 변경한다(스텝 S105).
그리고,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장치(30)의 송신부(345)(혹은 통신 제어부(342))는, 변경된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신호/채널을 송신한다(스텝 S106a). 동시에, 중계 장치(30)의 수신부(344)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액세스 링크의 신호/채널을 수신한다(스텝 S106b).
<<5. 송신 전력 제어 대상 (1) 방법 둘째: 자 노드 스스로의 판단에 의한 제어>>
우선, 방법 둘째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법 둘째에서는,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스로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부터의 스케줄링에 의해,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이 제어된다.
<5-1. 오픈 루프 송신 전력 제어>
중계 장치(30)는, 오픈 루프 제어에 의해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경우와 행하지 않는 경우에, 다른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아닌 통상의 상향 링크에 대한 오픈 루프 제어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용의 상향 링크에 대한 오픈 루프 제어를 별개로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아닌 경우의 오픈 루프 상향 링크 전력 제어 팩터 δ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용의 오픈 루프 상향 링크 전력 제어 팩터 δ를 다른 것으로 한다.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용의 상향 링크에 대한 오픈 루프 제어로서는, 이하의 예 1, 예 2가 상정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친 노드란 중계 장치(30)로부터 보아 부모가 되는 노드이다. 예를 들어, 친 노드는 기지국 장치(20)이다. 또한, 자 노드는 중계 장치(30)로부터 보아 자식이 되는 노드이다. 예를 들어, 자 노드는 단말 장치(40)이다.
(예 1)
중계 장치(30)는,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의 상향 링크 송신의 ACK/NACK의 정보와, 자 노드(예를 들어,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 성공/실패의 정보의 양쪽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친 노드로의 상향 링크 송신이 NACK인 경우, 중계 장치(30)는, 다음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을 높인다. 자 노드로부터의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 실패인 경우, 중계 장치(30)는, 다음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을 낮춘다.
(예 2)
중계 장치(30)는, 자 노드(예를 들어,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 성공/실패의 정보는 사용하지 않고,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의 상향 링크 송신의 ACK/NACK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예 3)
중계 장치(30)는, 친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의 상향 링크 송신의 ACK/NACK의 정보는 사용하지 않고, 자 노드(예를 들어,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 성공/실패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5-2. 조건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중계 장치(30)는, 조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SINR에 의해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상향 액세스 링크의 추정 SINR이 작은 경우에는,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을 낮추어, 자기 간섭량을 저감시킨다. 이때, 중계 장치(30)는, SINR의 역치에 따라 송신 전력의 오프셋을 고려할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5-3.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
도 17은,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면서, 상향 백홀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를 설명한다.
중계 장치(30)의 수신부(344)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테스트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01).
중계 장치(30)의 생성부(343)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테스트 신호를 기초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을 포함시킨, 상향 액세스 링크의 수신 SINR을 추정한다(스텝 S202).
중계 장치(30)의 취득부(341)는, 스텝 S202의 추정 결과(수신 SINR의 추정 정보)를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한다. 중계 장치(30)의 통신 제어부(342)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송신 전력의 제어(예를 들어, 오픈 루프 제어나 조건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342)는, 수신 SINR의 추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스텝 S203). 이때, 통신 제어부(342)는, 상술한 <5-1. 오픈 루프 송신 전력 제어>의 예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20)(제1 통신 장치)로의 데이터 송신의 성공 혹은 실패의 정보와, 단말 장치(40)(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의 성공 혹은 실패의 정보에 기초하여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해도 된다.
그리고,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장치(30)의 송신부(345)(혹은 통신 제어부(342))는, 변경된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신호/채널을 송신한다(스텝 S204a). 동시에, 중계 장치(30)의 수신부(344)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액세스 링크의 신호/채널을 수신한다(스텝 S204b).
<<6. 송신 전력 제어 대상 (2): 상향 액세스 링크>>
다음에,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6-1. 스케줄링>
중계 장치(30)는, 상향 백홀 링크에 기인하는 자기 간섭량을 고려하여, 상향 액세스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예 1)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량이 작은 경우(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이 소정의 역치보다 작은 경우),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향 백홀 링크의 리소스에 대하여, 상향 액세스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한편,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량이 큰 경우(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이 소정의 역치보다 큰 경우),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피하도록, 상향 백홀 링크의 리소스에 대하여, 상향 액세스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하지 않는다.
(예 2)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량에 따라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자기 간섭량이 큰 경우(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이 소정의 역치보다 큰 경우),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을 높이고, 자기 간섭량이 작은 경우(예를 들어, 자기 간섭량이 소정의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조정한다.
또한, 제어 방법은, 송신 전력 제어 대상이 상향 백홀 링크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6-2.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
도 18은,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면서, 상향 액세스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 시퀀스를 설명한다.
중계 장치(30)의 수신부(344)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테스트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301).
중계 장치(30)의 생성부(343)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링크 테스트 신호를 기초로,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을 포함시킨, 상향 액세스 링크의 수신 SINR을 추정한다(스텝 S302).
중계 장치(30)의 취득부(341)는, 스텝 S302의 추정 결과(수신 SINR의 추정 정보)를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한다. 중계 장치(30)의 생성부(343)는, 추정한 SINR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40)에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중계 장치(30)의 통신 제어부(342)는, 단말 장치(40)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부(345)를 통하여, 생성부(343)가 생성한 지시 정보를 단말 장치(40)에 송신한다(스텝 S303).
단말 장치(40)는, 중계 장치(30)로부터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값을 변경한다(스텝 S304).
그리고,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장치(30)의 송신부(345)(혹은 통신 제어부(342))는, 변경된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 백홀 링크의 신호/채널을 송신한다(스텝 S305a). 동시에, 단말 장치(40)는, 변경된 상향 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 액세스 링크의 신호/채널을 송신한다. 중계 장치(30)의 수신부(344)는,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상향 액세스 링크의 신호/채널을 수신한다(스텝 S305b).
<<7. 하향 액세스 링크 송신으로부터 하향 백홀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
이어서, 하향 액세스 링크 송신으로부터 하향 백홀 링크 수신으로의 자기 간섭에 관한 통신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통신 제어는, 예를 들어 상술한 도 14에 도시하는 상정 시스템(1A)의 통신 제어에 적용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통신 제어는, 상술한 도 15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1C)의 통신 제어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하에 나타내는 하향 액세스 링크 및 하향 백홀 링크의 기재는, 적절하게 하향 링크 또는 상향 링크로 치환한다.
우선,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가능한 리소스로서는, 액세스 링크의 DL 리소스가 상정된다.
중계 장치(30)가 자기 간섭량을 계산하는 경우, 중계 장치(30)는, 백홀 링크의 UL 리소스나 액세스 링크의 DL 리소스를 사용하여 자기 간섭량을 계산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의 제어 대상으로서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상정된다. PDSCH의 송신 전력은 자유롭게 변경 가능(실장에 의존하여 변경 가능)하다.
그러나, 중계 장치(30)는, SS(Synchronization Sygnals)/CSI-RS의 전력은 변경하지 않는다. SS/CSI-RS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에 의해 송신할 수 없다. 중계 장치(30)는,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이 불가능한 리소스를 친 노드에 교시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DL 슬롯이나 SS/CSI-RS 리소스의 정보를 친 노드에 보고한다.
<<8.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다양한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장치(30)가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는 중계 장치(3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는 기지국 장치(20)여도 된다. 이때, 상술한 중계 장치(30), 취득부(341), 통신 제어부(342), 생성부(343), 수신부(344), 송신부(345)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20), 취득부(241), 통신 제어부(242), 생성부(243), 수신부(244), 송신부(245)로 치환할 수 있다. 물론,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40)여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가,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경우,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2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장치(정보 처리 장치)는 관리 장치(10), 중계 장치(30) 혹은 단말 장치(40)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또는 단말 장치(4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전용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범용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동작(예를 들어, 송수신 처리)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을, 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자기 테이프, 플렉시블 디스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배포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해당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하고, 상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제어 장치는,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또는 단말 장치(40)의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여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기지국 장치(20), 중계 장치(30) 또는 단말 장치(40)의 내부 장치(예를 들어, 제어부(24), 제어부(34) 또는 제어부(45))여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의 서버 장치가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저장해 두고, 컴퓨터에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을 OS(Operating System)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OS 이외의 부분을 매체에 저장하여 배포해도 되고, OS 이외의 부분을 서버 장치에 저장해 두고, 컴퓨터에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고, 혹은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된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밖에, 상기 문서 중이나 도면 중에서 나타낸 처리 수순, 구체적 명칭, 각종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나타낸 각종 정보는, 도시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ㆍ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ㆍ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처리 내용을 모순시키지 않는 영역에서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흐름도 및 시퀀스도에 도시된 각 스텝은, 적절하게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예를 들어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서의 프로세서, 복수의 프로세서 등을 사용하는 모듈, 복수의 모듈 등을 사용하는 유닛, 유닛에 추가로 그 밖의 기능을 부가한 세트 등(즉,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며,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불문한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1개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1개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는, 1개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9. 결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예를 들어, 중계 장치(30))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혹은, 통신 장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는, 동일 대역을 사용한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의 동시 송신(예를 들어, 대역 내 전체 이중 통신)을 고품질로 실현할 수 있다. 결과로서, 통신 장치는 높은 통신 퍼포먼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걸친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송신의 빔 포밍을 제어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자기 간섭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보정된 송신 전력 여력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자기 간섭의 간섭량의 정보가 포함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상기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이고,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인,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이고,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커맨드인,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와 행하지 않는 경우에, 다른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통신부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장치로의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1 통신 장치와는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성공 혹은 실패의 정보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의 성공 혹은 실패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지시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취득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통신 장치의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를 생성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생성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의 정보와,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자기 간섭의 간섭량을 추정하고, 추정한 해당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의 상기 지시를 생성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7)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13)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8)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송신의 빔 포밍을 제어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9)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방법.
(20)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컴퓨터를,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22)
컴퓨터를,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 통신 시스템
10: 관리 장치
20: 기지국 장치
30: 중계 장치
40: 단말 장치
11: 통신부
21, 31, 41: 통신부
12, 22, 32, 42: 기억부
13, 24, 34, 45: 제어부
23, 33, 43: 상위층 처리부
44: 입출력부
211, 311, 411: 수신 처리부
211a, 311a, 411a: 무선 수신부
211b, 311b, 411b: 다중 분리부
211c, 311c, 411c: 복조부
211d, 311d, 411d: 복호부
311e, 411e: 채널 측정부
212, 312, 412: 송신 처리부
212a, 312a, 412a: 부호화부
212b, 312b, 412b: 변조부
212c, 312c, 412c: 다중부
212d, 312d, 412d: 무선 송신부
312e: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412e: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213, 313, 413: 자기 캔슬러부
214, 314, 414: 안테나
241, 341: 취득부
242, 342: 통신 제어부
243, 343: 생성부
244, 344: 수신부
245, 345: 송신부

Claims (20)

  1.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송신의 빔 포밍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자기 간섭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보정된 송신 전력 여력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자기 간섭의 간섭량의 정보가 포함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이고,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인, 통신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이고,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커맨드인,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와 행하지 않는 경우에, 다른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장치로의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제1 통신 장치와는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성공 혹은 실패의 정보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의 성공 혹은 실패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
  13.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수신부와,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지시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통신 장치의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지시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의 정보와,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간섭 캔슬 능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자기 간섭의 간섭량을 추정하고, 추정한 해당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의 상기 지시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송신의 빔 포밍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부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 혹은 해당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통신 방법.
  20.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해당 동일 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과 상기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상기 통신 장치의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217036223A 2019-05-22 2020-04-30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220009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6417 2019-05-22
JPJP-P-2019-096417 2019-05-22
PCT/JP2020/018348 WO2020235326A1 (ja) 2019-05-22 2020-04-30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382A true KR20220009382A (ko) 2022-01-24

Family

ID=7345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223A KR20220009382A (ko) 2019-05-22 2020-04-30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방법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32481A1 (ko)
EP (1) EP3975604A4 (ko)
KR (1) KR20220009382A (ko)
WO (1) WO2020235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3295B2 (en) * 2020-01-28 2024-06-04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control for IAB node fronthaul
US11770473B2 (en) * 2020-05-01 2023-09-26 Qualcomm Incorporated Avoid and react to sudden possibility of damage to receiver in self-interference measurement
US11778650B2 (en) * 2020-06-02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ance to configure self-interference measurement
US11818666B2 (en) * 2020-07-16 2023-11-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figuration of self-interference measurement
US11546032B2 (en) * 2020-07-17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Beam direction selectio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full duplex operation
US20220022206A1 (en) * 2020-07-20 2022-01-20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self-interference and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and reporting
US12047125B2 (en) * 2020-08-04 2024-07-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lf-interference measurement for a repeater node
JP2022086591A (ja) * 2020-11-30 2022-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中継装置、第1の通信装置及び第2の通信装置
US20220182249A1 (en) * 2020-12-03 2022-06-09 Intel Corporation Dynamic energy detection threshold and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US20220231826A1 (en) * 2021-01-15 2022-07-2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uplexing capability indication in wireless networks
WO2022167465A1 (en) * 2021-02-04 2022-08-11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 of radio repeaters
JP2022149779A (ja) * 2021-03-25 2022-10-07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US11825427B2 (en) * 2021-08-20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physical layer security during full-duplex communications
EP4170926A1 (en) * 2021-10-21 2023-04-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ynamic isolation measurement of beamforming repeater
EP4270813A1 (en) * 2022-04-25 2023-1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ower control for network-controlled repeater
WO2023211334A1 (en) * 2022-04-28 2023-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peater self-interference repor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5555A2 (en) 2003-11-05 2005-05-19 Septier Communication Ltd. Hybrid intelligent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113A1 (ja) * 2010-03-12 2011-09-1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区間設定方法、中継局、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
WO2017063696A1 (en) * 2015-10-15 2017-04-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full-duplex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a full-duplex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8152720A (ja) * 2017-03-13 2018-09-2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9057763A (ja) * 2017-09-19 2019-04-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979132B2 (en) * 2018-08-10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Organization of inter-relay discovery reference signals
WO2020206572A1 (en) * 2019-04-06 2020-10-15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multiple transport formats in a slot with full-duplex
CN113661743B (zh) * 2019-04-06 2024-05-24 高通股份有限公司 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发射功率配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5555A2 (en) 2003-11-05 2005-05-19 Septier Communication Ltd. Hybrid intelligen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2481A1 (en) 2022-07-21
WO2020235326A1 (ja) 2020-11-26
EP3975604A1 (en) 2022-03-30
EP3975604A4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5326A1 (ja)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0080044A1 (ja) 通信制御装置、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11785479B2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4208098A (zh) 终端设备、基站设备、终端设备的控制方法以及基站设备的控制方法
US2022032247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0464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program
US2023016482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376745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base station device
CN114342443A (zh) 通信控制装置、通信控制方法和通信控制程序
US2024004826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12413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21241345A1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4001505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033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4018780A1 (ja) 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1070631A1 (ja) 端末装置、基地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WO2022153866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23162763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23166969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30081413A1 (en) Application function nod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071322A1 (en) Base station device, application function node,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3085125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3014214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