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667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667A
KR20220006667A KR1020200083821A KR20200083821A KR20220006667A KR 20220006667 A KR20220006667 A KR 20220006667A KR 1020200083821 A KR1020200083821 A KR 1020200083821A KR 20200083821 A KR20200083821 A KR 20200083821A KR 20220006667 A KR20220006667 A KR 2022000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lor filter
diffraction pattern
dispose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수
오민정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667A/ko
Priority to US17/225,553 priority patent/US20220013586A1/en
Priority to CN202110766540.0A priority patent/CN113921737A/zh
Publication of KR2022000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H01L51/5278
    • H01L27/3211
    • H01L27/322
    • H01L51/5253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영역에 인접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패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에 중첩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을 포함하여,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광의 반사를 저감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모니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과 같은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에는 외부의 자연광에 의한 반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현상은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반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장치는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광 반사를 저감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영역의 투과도가 감소되지 않으면서도, 소정의 각도로 입사하는 외부광이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영역에 인접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패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에 중첩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패턴은 외부광의 적어도 일부를 회절시키는 회절패턴일 수 있다.
상기 회절패턴은 단면상에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회절패턴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굴절률에 비해 상기 회절패턴의 굴절률이 클 수 있다.
상기 회절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1 회절패턴, 및 상기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2 회절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절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하는 제1 서브 회절패턴, 및 상기 발광영역의 중심에 중첩하는 제2 서브 회절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회절패턴 및 상기 제2 서브 회절패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 서브 회절패턴 및 상기 제2 회절패턴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절패턴의 단면상 폭은 상기 제2 회절패턴의 단면상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회절패턴은 평면상에서 상기 분할패턴과 상기 개구부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로부터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패턴은 단면상에서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의 상면에서 상기 분할패턴 방향으로 매립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반사방지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입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패턴은 상기 베이스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주변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컬러필터의 일부분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고,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의 상기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폴딩축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폴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색 광을 생성하는 제1 발광영역, 상기 제1 색 광과 상이한 파장의 제2 색 광을 생성하는 제2 발광영역, 상기 제1 색 광 및 상기 제2 색 광과 상이한 파장의 제3 색 광을 생성하는 제3 발광영역, 및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에 인접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패턴,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고,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개구부에 중첩하고,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2 컬러필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중첩하고,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3 컬러필터,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제3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분할패턴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주변영역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제2 패턴, 및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3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방지부재의 차광물질층 상부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이 외부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외부광이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에 입사하였다가 표시장치 외부로 반사되는 광이 감소되어,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d 및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들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 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표시면(DD-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다. 표시면(DD-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면(DD-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아이콘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동작 형태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폴딩축(F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폴딩되는 폴딩영역(FA), 폴딩영역(FA)에 인접한 제1 평면영역(NFA1), 및 제2 평면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장치(DD)의 장축에 평행한 폴딩축(FX)이 정의된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딩축(FX)은 표시장치(DD)의 단축에 평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폴딩되지 않는 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제1 평면영역(NFA1)의 표시면(DD-IS)과 제2 평면영역(NFA2)의 표시면(DD-IS)이 마주하도록 내측 폴딩(inner-folding or inner-bending)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DD-I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측 폴딩(outer-folding or outer-bending) 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과 펼쳐짐이 반복적으로 동작되는 표시모듈은 폴더블 표시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폴딩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폴딩영역(F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평면상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에 교차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폴딩영역(F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되거나,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에 적용된 표시장치(DD)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태블릿, 자동차용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는는 제2 방향(DR2) 과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a 내지 도 2d의 표시장치(DD)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능성 패널 및/또는 기능성 유닛들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 입력센서,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센서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패널, 입력센서,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d에는 접착부재로써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 내지 2d에 있어서, 입력센서,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 중 다른 구성과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 해당 구성은 "층"으로 표현된다. 입력센서,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 중 다른 구성과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된다. 패널은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복합재료 필름,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하지만, "층"은 상기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층"으로 표현되는 상기 부재 또는 유닛은 다른 부재 또는 유닛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다.
입력센서 및 반사방지유닛 베이스층의 유/무에 따라 입력감지패널, 반사방지패널 또는 입력감지층, 반사방지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는 모두 "패널"타입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반사방지패널(RPP), 및 윈도우(W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에 있어서, 윈도우(WP)를 제외한 구성들의 결합 구조물은 표시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표시패널(DP)에 직접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B1의 구성이 A1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1의 구성과 B1의 구성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B1 구성은 A1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1 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반사방지패널(RPP)과 윈도우(WP) 사이, 입력감지층(ISL)과 반사방지패널(RPP) 사이 각각에 감압접착필름(PSA)이 배치된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감지층(ISL)은 외부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미도시되었으나, 표시패널(DP)의 하측에 보호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는 표시패널(DP)을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DP)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또는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반사방지패널(RPP)은 윈도우(WP)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연광(또는 태양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패널(RPP)은 베이스층 및 컬러필터들을 포함한다. 컬러필터들은 소정의 배열을 갖는다. 표시패널(DP)에 포함된 화소들의 발광컬러들을 고려하여 컬러필터들의 배열이 결정될 수 있다. 반사방지패널(RPP)은 컬러필터들에 인접한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P)는 베이스층(WP-BS) 및 차광 패턴(WP-BZ)을 포함한다. 베이스층(WP-BS)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층(WP-BS)은 유기기판 또는 합성수지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WP-BZ)은 베이스층(WP-BS)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차광 패턴(WP-BZ)은 베이스층(WP-BS)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DD)의 베젤영역 즉,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을 정의할 수 있다. 차광 패턴(WP-BZ)은 유색의 유기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d에 있어서, 윈도우(WP)는 베이스층(WP-BS) 및 차광 패턴(WP-BZ)의 구분없이 간략히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WP-BZ)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WP-BZ)은 반사방지패널(RPP)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WP-BZ)은 또 다른 광학부재 또는 또 다른 합성수지 필름에 배치되어 윈도우(WP)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반사방지패널(RPP), 입력감지패널(ISP), 및 윈도우(WP)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패널(ISP)과 반사방지패널(RPP)의 적층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반사방지층(RPL), 및 윈도우(W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로부터 접착부재들은 대부분 생략되고, 표시패널(DP)에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입력감지층(ISL) 및 반사방지층(RPL)이 연속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과 반사방지층(RPL)의 적층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방지층(RPL)은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영역(DD-DA)에는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이 배치된다.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 인접하게 주변영역(NPXA)이 배치된다. 주변영역(NPXA)은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의 경계를 설정하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 사이의 혼색을 방지한다.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화소행들(PXL-1, PXL-2)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2 방향(DR2)은 화소행들(PXL-1, PXL-2)의 연장방향(또는 행방향)으로 정의되고, 제1 방향(DR1)은 열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화소행들(PXL-1, PXL-2)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화소행들(PXL-1)은 제1 색 광을 생성하는 제1 색의 발광영역(PXA-R, 이하 제1 색 영역) 및 제2 색 광을 생성하는 제2 색의 발광영역(PXA-B, 이하 제2 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색 영역들(PXA-R)은 제2 색 영역들(PXA-B)과 행방향(DR2)을 따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화소행들(PXL-1)은 제1 화소행(PXL-11)과 제2 화소행(PXL-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행들(PXL-11)과 제2 화소행들(PXL-12)은 열방향(DR1)을 따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행(PXL-11)과 제2 화소행(PXL-12)은 제1 색 영역들(PXA-R)과 제2 색 영역들(PXA-B)의 배치순서가 서로 다르다. 열방향(DR1) 내에서, 제1 화소행(PXL-11)의 제1 색 영역(PXA-R)과 제2 화소행(PXL-12)의 제2 색 영역(PXA-B)은 열방향(DR1)을 따라 정렬되고, 제1 화소행(PXL-11)의 제2 색 영역(PXA-B)과 제2 화소행(PXL-12)의 제1 색 영역(PXA-R)은 열방향(DR1)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2 그룹의 화소행들(PXL-2)은 제3 색 광을 생성하는 제3 색의 발광영역(PXA-G, 이하 제3 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의 화소행들(PXL-1)과 제2 그룹의 화소행들(PXL-2)은 열방향(DR1)을 따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속하는 제1 화소행(PXL-11)과 제2 화소행(PXL-12) 사이에 제2 그룹의 화소행(PXL-2)이 배치되고, 인접하는 제2 그룹의 화소행(PXL-2)들의 사이에 제1 화소행(PXL-11)과 제2 화소행(PXL-12)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상 면적이 상이한 제1 색의 발광영역(PXA-R), 제2 색의 발광영역(PXA-B), 및 제3 색의 발광영역(PXA-G)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영역들 중 제2 색의 발광영역(PXA-B)의 면적이 가장 크고, 제3 색의 발광영역(PXA-G)이 가장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제1 색의 발광영역(PXA-R), 제2 색의 발광영역(PXA-B), 및 제3 색의 발광영역(PXA-G)이 모두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색의 발광영역(PXA-R), 제2 색의 발광영역(PXA-B), 및 제3 색의 발광영역(PX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직사각형 형상이거나, 모서리가 라운드 된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라운드 된 정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색의 발광영역(PXA-R)은 레드 광을 생성하고, 제2 색의 발광영역(PXA-B)은 블루 광을 생성하고, 제3 색의 발광영역(PXA-G)은 그린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색의 발광영역(PXA-R), 제2 색의 발광영역(PXA-B), 및 제3 색의 발광영역(PXA-G)이 발광하는 컬러 광들은 발광된 컬러 광들이 혼합되어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는 3가지 컬러 광의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의 I-I'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패널(DP)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서는 도 3의 제1 교차방향(DDR1) 및 제2 교차방향(DDR2)을 따라 연장된 방향과,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방향에 평행한 평면을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BL),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LED), 및 상부 절연층(TF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적층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및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의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을 형성한다. 이후, 포토리소그래피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 소자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LED)에 포함된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신호 라인 등을 형성한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배치된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과 반도체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버퍼층(BFL)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옥사이드층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은 교번하게 적층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은 비정질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부의 반도체 패턴을 도시한 것일 뿐이고, 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도 3 참조)에 반도체 패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도 3 참조)에 걸쳐 특정한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 여부에 따라 전기적 성질이 다르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영역과 비-도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핑영역은 N형 도판트 또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의 트랜지스터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된 도핑영역을 포함한다.
도핑영역은 전도성이 비-도핑영역보다 크고, 실질적으로 전극 또는 신호 라인의 역할을 갖는다. 비-도핑영역이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액티브(또는 채널)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반도체 패턴의 일부분은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일수 있고, 다른 일부분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분은 연결전극 또는 연결 신호라인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랜지스터(T1)의 소스(S1), 액티브(A1), 드레인(D1)이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된다. 도 4에는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신호 라인(SCL)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신호 라인(SCL)은 평면 상에서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D1)에 연결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10) 내지 제6 절연층(60)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0) 내지 제6 절연층(60)은 무기층 또는 유기층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상에 게이트(G1)가 배치된다. 제2 절연층(20) 상에 상부전극(UE)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 상에 제1 연결전극(CN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CNE1)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10 내지 3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1)을 통해 연결 신호 라인(SCL)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절연층(50) 상에 제2 연결전극(CN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전극(CNE2)은 제4 절연층(40) 및 제5 절연층(5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2)을 통해 제1 연결전극(CN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절연층(60) 상에 발광소자(LED)가 배치된다. 제6 절연층(6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3)을 통해 제2 연결전극(CN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 이하 발광 개구부)가 정의된다. 발광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PDL)은 블랙컬러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블랙 성분(black color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베이스 수지에 혼합된 블랙 염료,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주변영역(NPXA, 또는 비발광영역)을 도시하였다. 실질적으로 발광영역(PXA)은 발광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주변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발광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 상에 상부 절연층(TFL)이 배치된다. 상부 절연층(TFL)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 절연층(TFL)은 캡핑층과 박막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d 및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들이다. 도 5a는 도 3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을 도시하였다. 도 5a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및 반사방지층(RPL)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3종의 발광영역(PXA-R, PXA-G, PXA-B)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2d에 기재된 표시장치를 기준으로 확대 도시하였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기준으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5d 및 도 5e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표시장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상이한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회로 소자층(DP-CL) 상에 제1 색 영역(PXA-R), 제2 색 영역(PXA-B), 및 제3 색 영역(PXA-G)에 대응하는 제1 전극들(AE-R, AE-B, AE-G)이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색 영역(PXA-R), 제2 색 영역(PXA-B), 및 제3 색 영역(PXA-G)에 대응하는 발광 개구부들(OP-R, OP-B, OP-G)이 정의된다. 도 5a에서 발광소자(LED, 도 4 참조)의 구성 중 제1 전극들(AE-R, AE-B, AE-G)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미도시 되었다.
도 5a를 참조하면, 입력감지층(ISL)은 상부 절연층(TFL)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제1 절연층(IS-IL1), 제1 도전층(IS-CL1), 제2 절연층(IS-IL2), 제2 도전층(IS-CL2), 및 제3 절연층(IS-IL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IS-IL1) 및 또는 제3 절연층(IS-IL3)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들과 금속층들 중 적어도 2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3층의 금속층 구조,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높고 반사율이 낮은 금속을 상/하층에, 전기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내층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복수 개의 도전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I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I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감지전극들 및 이에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패턴들 및 제2 도전패턴들은 후술하는 분할패턴(BM)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할패턴(BM)은 제1 도전패턴들 및 제2 도전패턴들에 의한 외부광 반사를 방지한다.
제1 절연층(IS-IL1) 내지 제3 절연층(IS-IL3) 각각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은 무기막일 수 있다. 제3 절연층(IS-IL3)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입력감지층(ISL)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분할패턴(BM) 및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패턴(BM)은 주변영역(NPXA)에 중첩한다. 분할패턴(BM)은 블랙컬러를 갖는 패턴으로, 차광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할패턴(BM)은 블랙 성분(black color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성분은 블랙 염료, 및/또는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 성분은 카본 블랙, 크롬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패턴(BM)에는 발광 개구부들(OP-R, OP-B, OP-G)에 대응하는 개구부들(OP-BR, OP-BB, OP-BG, 이하 필터 개구부들)이 정의된다. 분할패턴(BM)의 필터 개구부들(OP-BR, OP-BB, OP-BG)의 개구 면적은 대응하는 화소 정의막(PDL)의 발광 개구부들(OP-R, OP-B, OP-G)의 개구 면적보다 크다. 분할패턴(BM)의 필터 개구부들(OP-BR, OP-BB, OP-BG) 각각의 중심은 대응하는 화소 정의막(PDL)의 발광 개구부들(OP-R, OP-B, OP-G)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는 제1 색 영역(PXA-R), 제2 색 영역(PXA-B), 및 제3 색 영역(PXA-G)에 각각 대응한다. 제1 컬러필터(CF-R)는 제1 색 광, 즉 레드 광을 투과하고, 제2 컬러필터(CF-B)는 제2 색 광, 즉 블루 광을 투과하고, 제3 컬러필터(CF-G)는 제3 색 광, 즉 그린 광을 투과한다.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 각각은 특정한 파장범위의 광을 투과시키고, 해당 파장범위 이외의 광은 흡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입사하는 자연광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일부만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는 베이스 수지 및 베이스 수지에 분산된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한다. 베이스 수지는 염료 및/또는 안료가 분산되는 매질로서, 일반적으로 바인더로 지칭될 수 있는 다양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상에 돌출패턴이 배치된다. 돌출패턴은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분할패턴(BM)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돌출패턴은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패턴은 회절패턴(DFP)일 수 있다. 회절패턴(DFP)은 외부에서 입사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회절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5a에서는 회절패턴(DFP)이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각각의 상부에 모두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절패턴(DFP)은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중 하나 또는 둘의 상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를 커버하는 보호층(OCL)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OCL)은 돌출패턴인 회절패턴들(DFP)을 커버할 수 있다. 보호층(OCL)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보호층(OCL)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OCL)은 생략될 수 있다.
주변영역(NPXA) 내에 배치된 제1 컬러필터(CF-R)의 일부분, 제2 컬러필터(CF-B)의 일부분, 및 제3 컬러필터(CF-G)의 일부분 각각은 분할패턴(BM)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할패턴(BM)이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분할패턴(BM)은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분할패턴(BM)이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와 동일한 레벨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회절패턴(DFP)은 제1 회절패턴(DFP1), 및 제2 회절패턴(DF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절패턴(DFP1)은 평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분할패턴(BM)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회절패턴(DFP1)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방향(DR3)을 따라, 분할패턴(BM)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회절패턴(DFP1)은 평면상에서 분할패턴(BM)과, 분할패턴(BM)에 정의된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의 경계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회절패턴(DFP1)은 평면상에서 분할패턴(BM)과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회절패턴(DFP2)은 평면상에서 분할패턴(BM)에 정의된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에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회절패턴(DFP2)은 평면상에서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가 정의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절패턴(DFP2)은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 및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평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주변영역(NPX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주변영역(NPXA)이 정의된 부분, 즉 화소 정의막(PDL)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평면상에서 화소 정의막(PDL)과,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정의된 발광 개구부(OP-R, OP-B, OP-G)의 경계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평면상에서 화소 정의막(PDL)과 발광 개구부(OP-R, OP-B, OP-G)의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발광영역(PXA-R, PXA-G, PXA-B)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발광영역(PXA-R, PXA-G, PXA-B)의 중심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정의된 발광 개구부(OP-R, OP-B, OP-G)의 중심에 중첩할 수 있다.
회절패턴(DFP)은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을 회절시켜, 회절패턴(DFP)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 중 일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절패턴(DFP)은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이 발광 개구부들(OP-R, OP-B, OP-G)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은 회절패턴(DFP)에 의해 회절되어 분할패턴(BM) 또는 화소 정의막(PDL)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절패턴(DFP1)은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을 회절시켜 분할패턴(BM)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회절패턴(DFP2)은 외부에서 입사하는 광을 회절시켜 화소 정의막(PDL)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절패턴(DFP)은 단면상에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회절패턴(DFP)의 경사면 방향으로 입사한 외부 광이 굴절되어 분할패턴(BM) 또는 화소 정의막(PDL)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회절패턴(DFP)이 단면상에서 상부변이 하부변보다 작은 정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절패턴(DFP)은 단면상에서 삼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상부변이 하부변보다 큰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
회절패턴(DFP)은 보호층(OCL) 및 컬러필터(CF-R, CF-B, CF-G)의 굴절률에 비해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OCL) 및 컬러필터(CF-R, CF-B, CF-G)은 1.4 이상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지고, 회절패턴(DFP)은 1.6 이상 1.8 이하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회절패턴(DFP)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절패턴(DFP)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또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회절패턴(DFP)은 아크릴 계열(Acryl) 또는 실록산 계열(Siloxane)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절패턴(DFP)은 보호층(OCL) 및 컬러필터(CF-R, CF-B, CF-G)의 굴절률에 비해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절패턴(DFP)은 보호층(OCL) 및 컬러필터(CF-R, CF-B, CF-G)의 굴절률에 비해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도 있다. 회절패턴(DFP)이 보호층(OCL) 및 컬러필터(CF-R, CF-B, CF-G)의 굴절률에 비해 낮은 굴절률을 가질 경우, 회절패턴(DFP)은 단면상에서 상부변이 하부변보다 큰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로 제공되는 회절패턴(DFP) 각각은 소정의 간격(s1, s2)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회절패턴(DFP1)과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제1 간격(s1)으로 이격되고,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과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제2 간격(s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s1)과 제2 간격(s2)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하다는 것은 각 구성의 간격이나 폭 등의 수치가 완전히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동일한 설계에도 불구하고 공정상 오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s1)과 제2 간격(s2)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5um 이상 약 3.5um 이하일 수 있다. 제1 간격(s1) 및 제2 간격(s2)은 발광영역의 투과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절패턴(DFP)이 외부광을 회절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복수로 제공되는 회절패턴(DFP) 각각은 단면상에서 소정의 폭(w1, w2, w3)을 가질 수 있다. 회절패턴(DFP)의 폭은 제1 교차방향(DDR1) 및 제2 교차방향(DDR2)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절패턴(DFP1)은 제1 폭(w1)을 가지고,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제2 폭(w2)을 가지고,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제3 폭(w3)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폭(w2) 및 제3 폭(w3)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폭(w2) 및 제3 폭(w3)에 비해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폭(w1)은 3.5um 이상 5.5um 이하일 수 있다. 제2 폭(w2) 및 제3 폭(w3) 각각은 2um 이상 4um 이하일 수 있다. 제1 폭(w1), 제2 폭(w2) 및, 제3 폭(w3)은 발광영역의 투과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절패턴(DFP)이 외부광을 회절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c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회절패턴(DFP1)은 평면상에서 필터 개구부(OP-BG)의 경계를 전면적으로 커버하는 띠(bel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 개구부(OP-BG)의 경계는 평면상에서 정사각형 형태로 정의되고, 제1 회절패턴(DFP1)는 필터 개구부(OP-BG)의 경계를 따라 평면상에서 정사각형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회절패턴(DFP2) 중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평면상에서 발광영역(PXA-G)의 경계를 전면적으로 커버하는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G)의 경계는 평면상에서 정사각형 형태로 정의되고,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은 발광영역(PXA-G)의 경계를 따라 평면상에서 정사각형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회절패턴(DFP2) 중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발광영역(PXA-G)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컬러필터 상부에 적어도 일부가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을 포함하고, 특히, 돌출패턴으로 회절패턴을 포함함에 따라, 표시장치의 외광반사를 감소시켜,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컬러필터 상에 제공되고 분할패턴 및 필터개구부 등에 중첩하는 회절패턴이 외부광을 회절시켜 외부광이 광차단물질을 포함하는 분할패턴 또는 화소 정의막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 광이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회절패턴(DFP)은 제1 회절패턴(DFP1) 및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을 포함하고, 제2 서브 회절패턴(DFP2-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회절패턴(DFP)은 평면상에서 분할패턴(BM)과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의 경계를 커버하는 제1 회절패턴(DFP1)과, 평면상에서 화소 정의막(PDL)과 발광 개구부(OP-R, OP-B, OP-G)의 경계를 커버하는 제1 서브 회절패턴(DFP2-1)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회절패턴(DFP)은 제1 회절패턴(DFP1)을 포함하고,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에 중첩하는 제2 회절패턴(DFP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회절패턴(DFP)은 평면상에서 분할패턴(BM)과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의 경계를 커버하는 제1 회절패턴(DFP1)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들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표시장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상이한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기준으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도 5a 내지 도 5e 등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상에 돌출패턴이 배치되고, 돌출패턴은 엠보패턴(EMP)일 수 있다. 엠보패턴(EMP)은 컬러필터(CF-B, CF-R, CF-G)로부터 돌출된 패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엠보패턴(EMP)은 컬러필터(CF-B, CF-R, CF-G)와 일체의 형상을 가지고, 컬러필터(CF-B, CF-R, CF-G)의 계면에서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패턴일 수 있다. 엠보패턴(EMP)은 컬러필터(CF-B, CF-R, CF-G)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패턴(EMP)은 제1 컬러필터(CF-R) 상에 배치된 제1 엠보패턴(EMP-R), 제2 컬러필터(CF-B) 상에 배치된 제2 엠보패턴(EMP-B), 및 제3 컬러필터(CF-G) 상에 배치된 제3 엠보패턴(EMP-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제1 컬러필터(CF-R), 제2 컬러필터(CF-B), 및 제3 컬러필터(CF-G) 각각이 제1 엠보패턴(EMP-R), 제2 엠보패턴(EMP-B), 및 제3 엠보패턴(EMP-G) 각각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엠보패턴(EMP-R), 제2 엠보패턴(EMP-B), 및 제3 엠보패턴(EMP-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엠보패턴(EMP)은 분할패턴(BM)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엠보패턴(EMP)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분할패턴(BM)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엠보패턴(EMP)이 분할패턴(BM)과 전면적으로 중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엠보패턴(EMP)은 분할패턴(BM)의 일부에만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엠보패턴(EMP)은 컬러필터(CF-B, CF-R, CF-G)의 상면과 비교하였을 때, 분할패턴(BM) 방향으로 매립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패턴(EMP)은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에 중첩하는 컬러필터(CF-B, CF-R, CF-G)의 상면보다 소정의 깊이로 매립된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패턴(EMP-R1, EMP-B1, EMP-G1)은 필터 개구부(OP-BR, OP-BB, OP-BG)에 중첩하는 컬러필터(CF-B, CF-R, CF-G)의 상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엠보패턴(EMP)은 반구(球)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엠보패턴(EMP)은 단면상에서 반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엠보패턴(EMP)은 단면상에서 반원형 형상을 가지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입사하는 광을 굴절시켜, 입사 광이 발광 개구부들(OP-R, OP-B, OP-G)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보패턴(EMP)은 입사 광을 굴절시켜 분할패턴(BM)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엠보패턴(EMP)은 단면상에서 반원형 형상을 가져, 컬러필터(CF-B, CF-R, CF-G)의 평평한 상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엠보패턴(EMP)이 단면상에서 반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엠보패턴(EMP)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보패턴(EMP)은 모서리가 라운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c를 참조하면, 엠보패턴(EMP)은 평면상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필터 개구부(OP-BG, OP-BB, OP-BR)들 사이에 정의된 영역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엠보패턴(EMP-G)은 제3 컬러필터(CF-G) 중 필터 개구부(OP-BG)에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엠보패턴(EMP-R)은 제1 컬러필터(CF-R) 중 필터 개구부(OP-BR)에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면적으로 배치되고, 제2 엠보패턴(EMP-B)은 제2 컬러필터(CF-B) 중 필터 개구부(OP-BB)에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컬러필터 상부에 적어도 일부가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을 포함하고, 특히, 돌출패턴으로 컬러필터 상부에서 돌출된 엠보패턴을 포함함에 따라, 표시장치의 외광반사를 감소시켜,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컬러필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소정의 깊이로 매립된 반구형 엠보패턴이 외부광을 굴절시켜 외부광이 광차단물질을 포함하는 분할패턴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거나, 컬러필터의 평평한 상면으로 인해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켜, 입사한 후 반사되는 외부광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RPL: 반사방지층 DFP: 회절패턴
EMP: 엠보패턴

Claims (20)

  1. 발광영역에 인접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패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에 중첩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외부광의 적어도 일부를 회절시키는 회절패턴인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패턴은 단면상에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회절패턴 및 상기 컬러필터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굴절률에 비해 상기 회절패턴의 굴절률이 큰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1 회절패턴; 및
    상기 개구부에 중첩하는 제2 회절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절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하는 제1 서브 회절패턴; 및
    상기 발광영역의 중심에 중첩하는 제2 서브 회절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회절패턴 및 상기 제2 서브 회절패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 서브 회절패턴 및 상기 제2 회절패턴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절패턴의 단면상 폭은 상기 제2 회절패턴의 단면상 폭보다 큰 표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절패턴은 평면상에서 상기 분할패턴과 상기 개구부의 경계를 커버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로부터 돌출된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와 일체의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단면상에서 반원형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의 상면에서 상기 분할패턴 방향으로 매립된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반사방지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입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패턴은 상기 베이스 면에 접촉하는 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컬러필터의 일부분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고,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컬러필터의 상기 일부분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폴딩축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폴딩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1 색 광을 생성하는 제1 발광영역, 상기 제1 색 광과 상이한 파장의 제2 색 광을 생성하는 제2 발광영역, 상기 제1 색 광 및 상기 제2 색 광과 상이한 파장의 제3 색 광을 생성하는 제3 발광영역, 및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에 인접한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패턴;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고,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개구부에 중첩하고,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2 컬러필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중첩하고, 일부가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제3 컬러필터;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패턴에 중첩하는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분할패턴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제1 패턴;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주변영역의 경계 상에 배치되는 제2 패턴; 및
    상기 제1 발광영역, 상기 제2 발광영역, 및 상기 제3 발광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3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제1 컬러필터, 상기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3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표시장치.
KR1020200083821A 2020-07-08 2020-07-08 표시장치 KR20220006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21A KR20220006667A (ko) 2020-07-08 2020-07-08 표시장치
US17/225,553 US20220013586A1 (en) 2020-07-08 2021-04-08 Display device
CN202110766540.0A CN113921737A (zh) 2020-07-08 2021-07-07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21A KR20220006667A (ko) 2020-07-08 2020-07-08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667A true KR20220006667A (ko) 2022-01-18

Family

ID=7917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21A KR20220006667A (ko) 2020-07-08 2020-07-0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13586A1 (ko)
KR (1) KR20220006667A (ko)
CN (1) CN1139217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79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표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9305A (zh) * 2020-12-15 2022-06-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4101A (ja) * 2014-06-16 2016-0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60089B1 (ko) * 2014-08-05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89819B1 (ko) * 2014-09-01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83879B1 (ko) * 2015-05-14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11120B1 (ko) * 2017-09-22 2022-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922981B (zh) * 2018-07-19 2021-02-2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79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표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1737A (zh) 2022-01-11
US20220013586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6808B2 (ja) 入力検知ユニットを備える表示装置
CN107230434B (zh) 显示装置
JP7477357B2 (ja) 表示装置
CN110867480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7788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and enhanced black color sense characteristics
US11616214B2 (en) Display device
US20220013586A1 (en) Display device
KR20200130578A (ko) 입력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CN111971614B (zh) 具有用于减少纱门效应的光学反射层的显示设备
CN218831212U (zh) 显示装置
KR20220097681A (ko) 표시장치
US20220199949A1 (en) Display device
US20220336781A1 (en) Display device
US1195047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layers with opposing-direction portions
CN218456643U (zh) 显示装置和包括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US11822169B2 (en) Display device
CN218831233U (zh) 显示装置
US20230122827A1 (en) Display device
CN116261349A (zh) 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20220049098A (ko) 전자 장치
KR20230139830A (ko) 표시장치
KR20240015206A (ko) 표시 장치
CN115915850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