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362A -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362A
KR20220005362A KR1020200083130A KR20200083130A KR20220005362A KR 20220005362 A KR20220005362 A KR 20220005362A KR 1020200083130 A KR1020200083130 A KR 1020200083130A KR 20200083130 A KR20200083130 A KR 20200083130A KR 20220005362 A KR20220005362 A KR 20220005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nic crystal
metal
crystal material
groove
optical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9527B1 (en
Inventor
주성현
김에덴
김수동
강주희
김현수
최원균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27B1/en
Publication of KR2022000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44F1/06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parent elements, e.g. sheets,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al artifact compris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metal material; a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formed by fill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groove portio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forms a crystal lattice structure in which colloidal particles are regularly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and a structural color is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colorful visual effects can be given to a metal artifact,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and security of the metal artifact.

Description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ppli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과 같이, 주화, 메달 등과 같은 금속가공품에 다채로운 색상의 독특한 시각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심미성 및 위변조 방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provide aesthetics and anti-counterfeiting effects by giving unique visual effects of various colors to metal products such as coins and medals.

금속 소재의 특성상 그 자체로는 다양한 색상 구현이 불가능하므로, 채색이나 도금을 통해 색상을 구현하는 기술이 사용되기도 하나, 이러한 기술은 시각 효과가 단순하여 위변조가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다.Since it is impossible to realize various colors by itself due to the nature of the metal material, a technique for realizing a color through coloring or plating is sometimes used. 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forge and forge because of its simple visual effect.

보다 다채로운 시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미세한 회절격자 패턴으로 구성된 홀로그램을 금속의 표면에 전사시키거나 직접 부착함으로써 관찰각도에 따라 색상이나 이미지가 변화하는 효과를 구현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채색기법이나 도금기법 등과 비교하여 시각 효과의 차별성이 크지 않고, 각도 의존성이 너무 높아 관찰 각도가 조금만 차이 나도 홀로그램 효과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rder to give a more colorful visual effect, a technique for realizing the effect of changing the color or image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angle by transferring or directly attaching a hologram composed of a fin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to the surface of a metal has been proposed. Compared to the general coloring technique or plating technique, the difference in visual effect is not large, and the angle dependence is so high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hologram effect even if the observation angle is slightly different.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광결정 소재가 포함된 광가변부를 금속 가공품에 적용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 및 향상된 위변조 방지 효과가 구현된 금속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pecifically, by applying an optically variable part contain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containing fine colloidal particles to a metal work, more various visual effects and improved anti-counterfeiting effects are realiz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wor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은,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된 광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결정 소재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결정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광가변부에서 구조색이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al processed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cluding a metal material, a groove formed in the body, and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formed by filling the groove wit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wherei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 polymer matrix and colloidal particles are regularly dispersed to form a crystal lattic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color is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상기 구조색은, 상기 광결정 소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과, 상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서 반사된 투과광이 혼합되어 나타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구조색은 홈부의 바닥면의 반사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tructural color may be a mixture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transmitted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may vary.

상기 광가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광가변부로부터 서로 다른 시각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optically variable parts may be provided, and different visual effects may be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optically variable parts.

또한, 상기 광가변부는, 광결정 소재가 제1 두께로 형성된 제1 영역과, 광결정 소재가 상기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로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시각 효과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결정 소재의 제1 두께와 제2 두께는 홈부의 깊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formed to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formed to a second thickness different from the first thickness, an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have different visual effects. In this case,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may be determined by the depth of the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광가변부는, 홈부의 바닥면이 제1 반사율을 갖는 제1 영역과,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제1 반사율과 다른 제2 반사율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시각 효과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영역은 홈부의 바닥면에 반사율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율 조정부에 의해 홈부의 바닥면의 반사율이 감소되며, 상기 반사율 조정부는 광흡수 코팅 또는 표면 거칠기 증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서 관찰되는 구조색은 상기 광결정 소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에 상대적으로 가깝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관찰되는 구조색은 상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서 반사된 투과광에 상대적으로 가까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has a first reflectance and a second area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has a second reflect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reflectance, and the first area and Visual effects in the second reg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may include a reflectance adjusting uni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reduced by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and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may be a light absorption coating or a surface roughness increasing region. In addition, the structural color observed in the first region is relatively close to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the structural color observed in the second region is transmitted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by passing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can be relatively close to

상기 반사율 조정부는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가공품은,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된 광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결정 소재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결정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광가변부에서 구조색이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al work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cluding a metal material,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formed by filling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in a polymer matrix.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oidal particles are regularly dispersed to form a crystal lattic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color is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상기 광가변부는, 상기 광결정 소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tically variable unit may include a substr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the substrate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또한, 상기 구조색은, 조명과 같은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광결정 소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에 상대적으로 가깝고, 조명과 다른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는 투과광에 상대적으로 가까울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광과 투과광은 서로 보색 관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color may be relatively close to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when viewed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illumination, and relatively close to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when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llumination. In this case, the reflected light and the transmitted light may have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광가변부의 적어도 일면에 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ttern portion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ligh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ight variable portion.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는 박편 형태의 광결정 소재가 투명 레진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may be formed by dispers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form of flakes in a transparent res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 제조방법은,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에 홈부 또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상기 홈부 또는 관통홀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드 입자를 결정 구조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processed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groove or a through-hole in a body including a metal material, dispersing colloidal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and then applying the colloidal particles to the groove or through-ho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crystalline structuring the colloidal particles and curing the polymer matrix.

또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상기 콜로이드 입자를 결정 구조화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하여 광결정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에 홈부 또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광결정 소재를 상기 홈부 또는 관통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teps of dispersing colloidal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colloidal particles and curing the polymer matrix to produce a photonic crystal material, forming a groove or a through hole in a body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may include the step of applying the obtained photonic crystal material to the groove portion or the through hole.

이때,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점도는 100 내지 3000 cP의 점도를 갖고, 상기 결정 구조화하는 단계는 30~50℃에서 유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matrix may have a viscosity of 100 to 3000 cP, and the step of structuring the crystal may be a step of maintaining at 30-50 °C.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가공품의 적어도 일부분에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광결정 소재가 포함된 광가변부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시각효과 및 향상된 위변조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optically variable part containing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ncluding the fine colloidal particles to at least a part of the metal wor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more various visual effects and improved anti-counterfeiting effect.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보석에서 나타나는 심미적인 반사색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의존성이 완화된 색변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 specifically, fine colloidal particles are regularly arranged to realize the aesthetic reflection color that appears in gemstones,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lementing a color conversion effect with reduced angle dependence.

또한, 반사색과 투과색이 서로 보색관계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으므로, 광가변부의 구조에 따라 독특한 시각효과와 더불어 위변조 방지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flected color and the transmitted color can be implemented to have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of simultaneously realizing a unique visual effect and an anti-forgery effec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variable unit.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기존의 광가변 요소를 적용한 금속가공품의 예들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가공품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에서 홈부의 바닥면의 반사율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시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시각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1 is an example of a metal processing product to which a conventional optically variable element is applied.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al processed product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product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pplie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visual effects according to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n the metal wor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review showing the visual effect of a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visual effect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첨부된 도면들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while describ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may be enlarged or reduced than the actual size to help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오로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나열된 특징들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지,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specify the existence of the listed features,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본 명세서에서 '금속가공품'이라는 용어는 주화, 메달, 훈장 등과 같이 비교적 납작한 형상을 갖는 금속가공품 뿐만 아니라 시계, 반지 등과 같이 복잡한 곡면 형상을 갖는 금속가공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때, 금속가공품은 전체 부피가 모두 금속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비금속 물질에 금속 소재가 코팅되는 등 적어도 표면의 일부에 금속이 노출되는 가공품을 의미한다. 또한, 금속 표면이 물리적으로 노출된 가공품 뿐만 아니라, 금속 위에 투명한 코팅이 형성되는 등 적어도 시각적으로 금속성 표면을 갖는 가공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worked metal'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metal products having a relatively flat shape, such as coins, medals, decorations, etc., but also metal products having complex curved shapes, such as watches and rings. In this case, the metal processed product does not have to be formed entirely of metal, and refers to a processed product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exposed to metal, such as a metal material coated on a non-metallic material.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o include workpieces having a metallic surface at least visually, such as in which a transparent coating is formed on the metal, as well as workpieces in which the metal surface is physically expos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조색'이라는 용어는 물질의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색(color)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하여야 하며, 학술적인 의미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구조색'은 물질의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반사광, 투과광, 반사광과 투과광이 혼합된 혼합광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structural colo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the color represent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in an academic sense.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ructure color' may include all colors realized by reflected light, transmitted light, and mixed light in which reflected light and transmitted light are mixed, which are indicated by the structure of a material.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금속가공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al processed product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worked product,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100)은, 몸체부(20) 및 광가변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0)는 금속성 소재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몸체부(20)는 금속 주화나 메달 등과 같이 전체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부분은 광가변부(10)가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2 and 3 , the processed metal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20 and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 The body 20 is a portion including a metallic material. The body 20 may be entire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 metal coin or medal, or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ere, a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a portion in which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is formed.

광가변부(10)는 광결정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20)에 형성된 홈부(21)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광가변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홈부(21)는 몸체부(20)의 표면에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결정 소재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고분자 매트릭스(11)에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12)들이 규칙적으로 분산된 소재일 수 있다. The optically variable unit 10 may include a photonic crystal material. Specificall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may be filled in the groove portion 21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to form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 The groove portion 21 may be formed to be concave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may be a material in which fine colloidal particles 12 are regularly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1 as shown in FIG. 3 .

여기서 고분자 매트릭스(11)는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polymer matrix 11 is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ethoxylate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an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po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mer is derived from any one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propylene glycol 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and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또한 콜로이드 입자(12)는 고분자 매트릭스(11) 내에서 분산되어 규칙적인 결정격자 구조로 배열될 수 있도록 고분자 매트릭스(11)와 굴절률이 유사한 특징을 갖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매트릭스(11)와 굴절률이 동일하거나 굴절률 차이가 0.5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콜로이드 입자(12)는 금속산화물, 고분자 및 탄소 구조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매트릭스(11)가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인 경우에 콜로이드 입자(12)로는 실리카 또는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loidal particles 12 be a material having a characteristic similar to that of the polymer matrix 11 in refractive index so that they can b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1 and arranged in a regular crystal lattice structure. Specific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mer matrix 11 is the same or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0.5 or less. Illustratively, the colloidal particles 12 may be any one of a metal oxide, a polymer, and a carbon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polymer matrix 11 is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it is preferable to use silica or polystyrene as the colloidal particles 12 .

또한 콜로이드 입자(12)는 직경이 1㎛ 이하인 구형 입자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00㎚~5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lloidal particles 12 may be spherical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 μm or less, and preferably have a diameter of about 100 nm to 500 nm.

광결정 소재는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12)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어 포토닉 밴드갭을 갖는 결정격자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아래의 식 1에 따라 파장 선택적인 반사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m은 회절 차수를 나타내는 정수, λ는 반사광의 파장, d는 콜로이드 입자(12)들 사이의 거리, neff는 광결정 소재의 유효굴절률, θ는 광결정 소재에 대한 빛의 입사각(광결정 소재의 법선과 입사광이 이루는 각도)을 의미한다.I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s fine colloidal particles 1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crystal lattice structure having a photonic bandgap, wavelength-selective reflection characteristics may be exhibi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Here, m is an integer representing the diffraction order, λ is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light,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lloidal particles 12, n eff is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θ is the incident angle of light to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gle between the normal and the incident light).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위 식 1에 따라, 광결정 소재는 특정 파장(λ)의 빛만 선택적으로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의 빛들은 투과한다. 이에 따라, 특정 파장의 구조색이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selectively reflects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λ) and transmits light of other wavelengths. Accordingly, a structural color of a specific wavelength may appear.

즉, 콜로이드 입자들 사이의 간격(d)이 감소하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은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광을 관찰할 경우 푸른색 계열의 구조색이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콜로이드 입자들 사이의 간격(d)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긴 파장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은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광을 관찰할 경우 붉은색 계열의 구조색이 나타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colloidal particles is reduced, only light of a relatively short wavelength can be reflected and the remaining wavelengths can be transmitted. Therefore, when observing reflected light, a blue-based structural color may appear. Conversely, if the distance (d) between colloidal particles is increased, only light of a relatively long wavelength can be reflected and other wavelengths can be transmitted. Therefore, when the reflected light is observed, a red-based structural color may appear.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100)도 광가변부(10)에 포함된 광결정 소재로 인해, 특유의 구조색이 관찰될 수 있다. 즉, 광결정 소재의 유효굴절률(neff)과 콜로이드 입자 사이의 간격(d), 그리고 입사각에 따라 결정되는 구조색이 관찰될 수 있다. In the metal-processed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nclud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a unique structural color may be observed. That is,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n eff )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the spacing (d) between the colloidal particles, and the structural color determined by the incident angle can be observed.

특히, 본 발명은 금속가공품에 광결정 소재를 적용함으로 인해, 일반적인 광결정 소재와는 달리 반사광과 투과광이 혼합되어 관찰되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100)은 홈부(21)의 바닥면의 반사율에 따라 관찰되는 구조색이 달라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홈부(21)의 바닥면이 고반사율의 금속 소재인 경우,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 외에,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홈부(21) 바닥면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이 혼합된 색이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홈부(21)의 바닥면 반사율이 낮은 경우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구조색은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반사광의 파장(λ)에 가까울 수 있고, 바닥면 반사율이 증가할수록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에 가까운 구조색이 관찰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to a metal work, unlike a general photonic crys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obtain a unique effect in which reflected light and transmitted light are mixed and observed. Referring to FIG. 3 in more detail, the metal-processed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that the observed structure color varies according to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21 . That is,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is a metal material with high reflectance, in addition to the waveleng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λ in Equation 1), the wavelength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is Mixed colors can be observed. According to this principle, when the bottom reflectance of the groove portion 21 is low, the structural color observed by the observer may be close to the wavelength (λ) of the reflected light determined by Equation 1, and as the bottom reflectance increases,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transmitted Structural color close to the wavelength of light can be observed.

또한, 광결정 소재의 두께에 따라서도 관찰되는 시각 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광결정 소재가 두께우면 소재 내부에서의 산란에 의해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떨어지고, 홈부(21) 바닥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관찰되는 정도가 약해질 수 있다. 광결정 소재의 두께는 홈부(21)의 형성 깊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Also,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observed visual effect. Whe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thick, the overall transparency is lowered due to scattering inside the material, and the degree of obser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21 may be weakened. The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may be controlled by the depth of the groove 21 .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100)의 경우, 동일한 광결정 소재를 적용하더라도 홈부(21)의 설계(홈부 깊이, 홈부 바닥면 반사율 등)에 따라 다양한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etal-processed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am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pplied, various visual effects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groove 21 (groove depth, groove bottom reflectance, etc.)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100)은, 관찰 각도가 변하면 입사각 즉, θ가 변하게 되므로 관찰되는 반사광의 색상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가공품(100)을 여러 각도에서 관찰할 경우 광가변부(10)의 색상이 변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이는 금속가공품(100)에 심미성은 물론 보안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ed metal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bservation angle is changed, the incident angle, that is, θ is changed, so that the color of the observed reflected light also changes. Therefore, when the metal-processed product 100 is observed from various angles, the effect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can be observed. This may impart security to the metal work 100 as well as aesthetics.

도 2 및 도 3에서는 홈부(21)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홈부(2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홈부(21)를 몸체부(20)의 양면에 각각 형성하고 광결정 소재를 채워 복수의 광가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속가공품의 양 면에서 모두 광가변부에 의한 시각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각 홈부(21)의 깊이, 각 홈부(21) 바닥면의 반사율 등을 다르게 할 경우, 각 광가변부에서 서로 다른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lthough only one groove part 21 i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 a plurality of groove parts 21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grooves 2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20 and filled wit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to form a plurality of optically variable portions. In this case, the visual effect by the optically variable part can be observ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work. In addition, when the depth of each groove portion 21 and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groove portion 21 are different, different visual effects can be obtained in each optically variable por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홈부(21)의 깊이가 균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광가변부(10)에 포함되는 광결정 소재의 두께가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depth of the groove portion 21 is not uniform.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nclud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In describing the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200)은 몸체부(20) 및 광가변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가변부(10)는 몸체부(20) 표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부(21)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21)는 영역 별로 깊이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제1 영역(A)은 상대적으로 얕은 제1 깊이로, 제2 영역(B)은 상대적으로 깊은 제2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21)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가변부(10)의 광결정 소재의 두께가 영역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도 4에서 제1 영역(A)의 광결정 소재에 비해, 제2 영역(B)의 광결정 소재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etal processed produc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20 and an optically variable part 10 .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may be formed by fill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groove portion 21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groove 21 may not be uniform for each area.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4 , the first region A may have a relatively shallow first depth, and the second region B may be formed with a relatively deep second depth. That is, the groove 21 may include at least one step.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of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may be different for each region. That is, compared to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of the first area (A) in FIG. 4 , the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of the second area (B) may be thicker.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변부(10)에서 관찰되는 시각적 효과가 금속가공품 영역 별로 차이가 나는 효과가 있다. 광결정 소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제1 영역(A)에서는 투명하고 보다 선명한 구조색이 관찰될 수 있다. 반면, 광결정 소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2 영역(B)에서는 불투명하고 좀더 탁한 구조색이 관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isual effect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is different for each area of the metal work piece. In the first region (A) where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 transparent and clearer structural color may be observed.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region (B) where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relatively thick, an opaque and more turbid structure color may be observed.

도 4에서는 홈부(21)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홈부(21)의 깊이가 영역별로 차이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21)는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깊이가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홈부(21)에 채워지는 광결정 소재의 두께도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므로, 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구조색 및 시각적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FIG. 4 that the depth of the groove portion 21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due to the step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21,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groove 21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depth is continuously changed. In this case, since the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filled in the groove portion 21 is also continuously changed,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structural color and the visual effect that continuously ch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은, 홈부(21)의 바닥면의 일부분에 반사율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광가변부(10)의 영역 별로 홈부(21) 바닥면에서의 반사율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reflectance adjusting part is further provided o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art 21 . For this reason, the reflectan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art 21 may be different for each area of the light variable part 10 . In describing the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300)은 몸체부(20) 및 광가변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가변부(10)는 몸체부(20) 표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부(21)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21)는 영역 별로 깊이가 균일할 수도 있고, 균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processed metal produc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20 and an optically variable part 10 .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may be formed by fill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groove portion 21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groove 21 may or may not be uniform for each area.

홈부(21)의 바닥면의 일부분에는 반사율 조정부(30)가 구비된다. 반사율 조정부(30)에 의해 홈부(21) 바닥면에서의 반사율이 달라진다. 반사율 조정부(30)에 의해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홈부(21) 바닥면에서의 반사율은, 반사율 조정부(30)가 형성되지 않은 제1 영역(A1)에 비해, 반사율 조정부(30)가 형성된 제2 영역(B1)에서 더 낮을 수 있다.A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 The reflectance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is changed by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 The reflectance may be reduced by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 As exemplarily shown in FIG. 6 , the reflectance at the bottom of the groove 21 is, compared to the first area A1 in which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is not formed, in the second region ( B1) may be lower.

반사율 조정부(30)는 광흡수 코팅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홈부(21)의 바닥면의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반사율 조정부(30)가 형성된 제2 영역(B1)은 홈부(21) 바닥면에 광흡수 코팅을 형성하거나 표면을 상대적으로 거칠게 형성한 영역일 수 있다.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may be formed using a light absorption coating, or may be formed by vary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 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B1 in which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is formed may be a region in which a light absorption coating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or a relatively rough surface is formed.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변부(10)에서 관찰되는 시각적 효과가 금속가공품 영역 별로 차이가 나는 효과가 있다. 반사율 조정부(30)가 형성되지 않은 제1 영역(A1)에서는 홈부(21)의 바닥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반사가 일어나므로,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과 광결정 소재를 투과한 후 홈부(21) 바닥면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이 혼합된 색이 관찰될 수 있다. 반면, 반사율 조정부(30)가 형성된 제2 영역(B1)에서는 홈부(21) 바닥면에서의 반사가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므로,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에 보다 가까운 구조색이 관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isual effect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is different for each area of the metal work piece. In the first area A1 in which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is not formed, relatively many reflections occu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 so the wavelength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λ in Equation 1) and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re transmitted After this, a color in which the wavelengths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art 21 are mixed can be observed.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region B1 in which the reflectivity adjusting unit 30 is formed, refl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occurs relatively less, so the structure color closer to the wavelength (λ in Equation 1)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This can be observed.

반사율 조정부(30)는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반사율을 증가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반사율 조정부(30)가 형성된 제2 영역(B1)에서 홈부(21) 바닥면에서의 반사광이 증가되므로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과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홈부(21) 바닥면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이 혼합된 색이 관찰될 수 있다.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that reduces the reflectance. Conversely,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ncreases the reflectance. In this case, since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 is increased in the second region B1 in which the reflectivity adjustment unit 30 is formed, the waveleng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λ in Equation 1) and the groove portion 21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 A color mixed with the wavelengths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can be observed.

반사율 조정부(30)는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문자나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가변부(10)의 구조색과 함께 반사율 조정부(30)에 의한 패턴이 함께 관찰되므로, 보다 다채로운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character or pattern. In this case, since the pattern by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30 is observed together with the structural color of the light variable unit 10, more colorful visual effects can be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몸체부(20)에 홈부 대신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광가변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관찰자와 조명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광결정 소재의 반사에 의한 구조색과 투과에 의한 구조색을 모두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instead of a groove portion, and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is has the effect of observing both the structural color due to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observer and the light. In describing the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400)은, 몸체부(20) 및 광가변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가변부(10)는 몸체부(20)의 상면에서부터 하면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22)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가변부(10)는 제1 기재(41) 및/또는 제2 기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가변부(10)는 제1 기재(41)와 제2 기재(42) 사이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재(41)와 제2 기재(42)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은 아니며, 제1 기재(41)만 포함될 수도 있고, 둘 다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기재(41)와 제2 기재(42)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유리나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metal-processed product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20 and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through hole 22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 Optionally,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41 and/or a second substrate 42 . That is,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41 and the second substrate 42 . The first substrate 41 and the second substrate 42 are not essential, and only the first substrate 41 may be included, or both may be omit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41 and the second substrate 42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glass or a polymer material.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가공품의 상부 및 하부에서 모두 광가변부(10)의 구조색을 관찰할 수 있고, 이때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다른 구조색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서 조명이 상부에 있다고 가정하면, 조명으로부터 광가변부(10)로 입사된 광 중 일부 파장(식 1의 λ)에 해당하는 광은 다시 상부로 반사되고, 나머지 파장은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과 같은 방향, 가령 도 7에서 금속가공품의 상부에서 관찰할 경우, 광가변부(10)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조명과 다른 방향, 가령 도 7에서 금속가공품의 하부에서 관찰할 경우 광가변부(10)를 투과한 투과광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반사광과 투과광은 서로 보색 관계에 있으므로, 금속가공품을 관찰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structural color of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in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etal work, and at this time, there is an effect of observing different structural color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 If it is assumed in FIG. 7 that the illumination is on the upper part, the light corresponding to some wavelengths (λ in Equation 1) among the light incident to the light variable unit 10 from the illumination is reflected back upward, and the remaining wavelengths may be transmitted. . Accordingly, when observed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illumination, for example, from the upper part of the metal work in FIG. 7 ,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light variable unit 10 can be observed. In addition,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variable unit 10 can be observ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llumination, for example, when obser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etal work in FIG. 7 . At this time, since the reflected light and the transmitted light have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different colors can be observ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tal workpiece is observed.

즉, 금속가공품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광결정 소재를 채워 넣음으로써, 위에서 바라볼 때는 광결정 소재 특유의 반사광에 의한 구조색을 관찰할 수 있고, 조명에 비추어 바라보면 위 반사광에 의한 구조색과 보색 관계에 있는 투과광에 의한 구조색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금속가공품을 위에서 바라보면 녹색이 관찰되고, 조명에 비추어 관찰하면 녹색의 보색인 적색이 관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금속가공품에 더욱 다채로운 시각 효과 및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metal work and filling i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when viewed from above, the structural color due to the reflected light peculiar to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can be observed. It becomes possible to observe the structural color by transmitted light in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For example, green may be observed when a metal-worked product is viewed from above, and red, which is a complementary color of green, may be observed when viewed under light.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colorful visual effects and security to the metal work.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의 제4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가변부(10)의 적어도 일면에 패턴부(50)를 형성한 것에서 차이가 있다. 패턴부(50)는 광의 투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부(50)는 제1 기재(41) 표면에 유색 잉크로 문자나 문양 등 소정의 패턴을 인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금속가공품(400A)을 투과광 하에서 관찰할 경우, 투과광에 의한 구조색과 함께 패턴부(50)에 의한 문자 또는 문양이 함께 관찰될 수 있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 work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pplie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7 , at least the optically variable part 10 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pattern portion 50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pattern part 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t least partially blocks light transmission. For example, the pattern unit 50 may be formed by printing a predetermined pattern such as characters or patterns with colored ink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41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metal processed article 400A is observed under transmitted light, a character or pattern by the pattern unit 50 can be observed together with the structure color by the transmitted light.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가 적용된 금속가공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광가변부에 광결정 소재가 박편 형태로 포함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광가변부 중 박편 부분에서만 구조색이 관찰되고, 박편의 모양이나 방향 등에 따라 더욱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al-processed article to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includ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in the form of flakes. For this reason, the structural color is observed only in the flake portion of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and more colorful visual effect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shape or direction of the flake. In describing the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500)은, 몸체부(20) 및 광가변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가변부(10)는 몸체부(20)에 형성된 홈부(21)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의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관통홀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processed metal artic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20 and an optically variable part 10 .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groove portion 21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wit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Alternatively,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7 ,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may be filled in the through hole to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광결정 소재가 박편(16) 형태로 광가변부(10)에 포함된다. 즉, 도 9(b)에 광가변부(10)만 확대 도시한 것처럼, 박편 형태의 광결정 소재(16)들이 투명 레진(13)에 분산되어 광가변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박편 형태의 광결정 소재(16)는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고분자 매트릭스(11)에 콜로이드 입자(12)들이 규칙적으로 분산된 소재일 수 있다. 이때 광결정 소재(16)를 구성하는 고분자 매트릭스(11)와, 광결정 소재(16)가 분산된 투명 레진(13)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includ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in the form of a flake 16 .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9B , only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is enlarged,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s 16 in the form of flakes are dispersed in the transparent resin 13 to form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 In this case,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16 in the form of flakes may be a material in which colloidal particles 12 are regularly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1 like other embodiments. In this case, the polymer matrix 11 constituting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16 and the transparent resin 13 in whic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16 is dispersed may be the same material.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광가변부(10) 전체 영역 중에서 박편 부분에서만 구조색이 관찰되므로, 박편의 모양이나 방향 등에 따라 더욱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al color is observed only in the flake por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more colorful visual effects are provided depending on the shape or direction of the flak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가공품의 제조방법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가공품 제조방법은, 몸체부에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S10),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홈부에 도포하는 단계(S20), 콜로이드 입자를 결정 구조화하는 단계(S30) 및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cessed metal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groove in the body (S10), dispersing colloidal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and then applying the colloidal particles to the groove (S20), colloidal particles It may include a step of structuring the crystal (S30) and a step of curing the polymer matrix (S40).

먼저, 몸체부에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S10)는, 도 1 등을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가공품의 몸체부(20)에 광가변부(10)가 형성될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홈부(21)는 몸체부(20)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영역 별로 다른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First, the step of forming the groove portion in the body portion (S10) is a step of forming a concave region in which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10 is to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of the metal-worked product as exemplari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like. to be. The groove portion 21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 to a predetermined depth, or may be formed to a different depth for each region.

또한, S10 단계는 홈부 대신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Also, step S10 may be replaced with a step of forming a through hole instead of a groove portion.

다음으로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미세한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홈부에 도포한 후(S20), 콜로이드 입자를 결정 구조화하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Next, after dispersing the fine colloidal particles in the polymer matrix and applying them to the grooves (S20), the step of crystallizing the colloidal particles (S30) may be performed.

이때 콜로이드 입자들이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자기 조립(self assembly)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결정 구조화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적당한 환경이란 고분자 매트릭스의 점도, 주변 온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colloidal particles to be regularly arranged by self-assembly in the polymer matrix to form a crystal structure, where the appropriate environment may mean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matrix, ambient temperature, etc. .

고분자 매트릭스의 점도는 5,000cP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100cP ~ 3,000cP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매트릭스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콜로이드 입자들이 너무 쉽게 움직여 격자 구조로 배열되기 어려우며, 반대로 5,000cP 이상으로 매우 높을 때에는 콜로이드 입자들의 운동성이 저하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되기 어려울 수 있다.The viscosity of the polymer matrix is preferably 5,000 cP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about 100 cP to 3,000 cP. When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matrix is too low, the colloidal particles move too easily and are difficult to be arranged in a lattice structure.

또한 점도는 주변 온도에 따라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콜로이드 입자들이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어 쉽고 빠르게 결정격자 구조로 배열될 수 있도록 주변 온도는 대략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3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viscosity has a property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 ambi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about 70°C or less so that the colloidal particles can be evenly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and arranged in a crystal lattice structure easily and quickly, and more specifically, 30°C~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50 degreeC.

콜로이드 입자가 결정 구조화된 후에는 콜로이드 입자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0). 이때 경화 방식으로는 열 경화, 자외선 경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를 사용하기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개시제 등의 첨가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After the colloidal particles are crystal-structured, a step of curing the polymer matrix to prevent the colloidal particles from moving any more may be performed (S40). In this case, various methods such as thermal curing and UV curing may be used as the curing method. In order to use UV curing, additives such as photoinitiators that react to UV light can be included in the polymer matrix.

도 10에서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결정 구조화(S30) 및 경화 단계(S40) 전에 홈부에 도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키고 콜로이드 입자의 결정 구조화 및 경화 단계를 수행한 후에, 몸체부에 형성된 홈부에 경화된 광결정 소재를 적용하여 광가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FIG. 10 that the colloidal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and then applied to the grooves before crystal structuring (S30) and curing step (S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fter dispersing the colloidal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and performing crystal structuring and curing of the colloidal particles, the optically variable portion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cured photonic crystal material to the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또한, 광결정 소재와 홈부 바닥면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primer layer may be added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가변부가 적용된 주화 형태의 금속가공품의 사진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추가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hoto of a coin-shaped metal-worked article to which a light-variable par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에서 홈부의 바닥면의 반사율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11(a)는 홈부 바닥면을 무광면으로 형성하여 반사율이 낮은 경우, 도 11(b)는 홈부 바닥면을 유광면으로 형성하여 반사율이 높은 경우의 사진이다.11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visual effects according to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n the metal wor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a) is a case in which the reflectance is low because the bottom of the groove is formed as a matte surface, and Figure 11 (b) is a photograph in the case where the bottom of the groove is formed as a glossy surface and the reflectance is high.

도 11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동일한 광결정 소재가 적용되었음에도 홈부 바닥면의 반사율에 따라 관찰되는 구조색이 다름을 알 수 있다. 홈부 바닥면이 무광면으로 형성된 도 11(a)의 경우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에 의한 구조색인 녹색에 가까운 색이 관찰되는 반면, 홈부 바닥면이 유광면으로 형성된 도 11(b)의 경우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 외에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홈부 바닥면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이 혼합되어 녹색의 보색인 적색에 가까운 색이 관찰된다.11 , it can be seen that the observed structure colo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even though the sam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pplied. In the case of FIG. 11(a), in which the bottom of the groove is formed as a matte surface, a color close to green, which is a structural color due to the waveleng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λ in Equation 1), is observed, whereas the bottom of the groove is formed as a glossy surface In the case of 11(b), in addition to the waveleng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λ in Equation 1), the wavelength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of the groove is mixed, and a color close to red, which is a complementary color of green, is observ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금속가공품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시진으로,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광가변부를 적용한 예이다. 도 12(a)는 조명과 같은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이고, 도 12(b)는 조명과 다른 방향에서 조명에 비추어 관찰한 경우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visual effect of a metal-worked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ample in which an optically variable part includ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appli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part. Fig. 12(a) is a case in which observation is ma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llumination, and Fig. 12(b) is a case in which the illumination is observ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llumination.

도 12(a)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조명과 같은 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에는 광결정 소재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식 1의 λ)에 의한 구조색인 녹색이 관찰된다. 반면, 도 12(b)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조명과 다른 방향에서 조명에 비추어 관찰하는 경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한 광이 관찰되므로 녹색의 보색인 적색이 관찰된다.As can be seen in FIG. 12( a ), when observed in the same direction as illumination, green, which is a structural color due to the waveleng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λ in Equation 1), is observ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b ), when observing under the illumination from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lluminatio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observed, so that red, which is a complementary color of green, is observ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시각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으로, 광결정 소재를 박편으로 제조하여 투명 레진과 혼합한 후 검은색 기재(종이) 위에 도포하여 경화시킨 것이다. 도 13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박편의 광결정 소재가 없는 투명 레진 부분에서는 검은색의 기재만 관찰되고, 광결정 소재가 있는 부분만 반사광인 녹색이 관찰된다. 13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visual effect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prepared as a thin film, mixed with a transparent resin, and then applied and cured on a black substrate (paper). As can be seen in FIG. 13 , only a black substrate is observed in the transparent resin portion without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of the flake, and green, which is reflected light, is observed only in the portion having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이상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실시예들은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se are only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200, 300, 400, 500: 금속가공품
10: 광가변부
11: 고분자 매트릭스
12: 콜로이드 입자
13: 투명 레진
16: 박편
20: 몸체부
21: 홈부
22: 관통홀
30: 반사율 조정부
41: 제1 기재
42: 제2 기재
50: 패턴부
100, 200, 300, 400, 500: metal products
10: optical variable part
11: Polymer matrix
12: colloidal particles
13: transparent resin
16: Flakes
20: body part
21: home
22: through hole
30: reflectance adjustment unit
41: first substrate
42: second substrate
50: pattern part

Claims (19)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된 광가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결정 소재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결정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광가변부에서 구조색이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Body portion comprising a metal material;
a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 optically variable portion formed by filling the groove portion wit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ncluding,
I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colloidal particles are regularly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to form a crystal lattice structure,
Metal-processed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color is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색은, 상기 광결정 소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과, 상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서 반사된 투과광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al color is a metal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ppear m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색은 상기 홈부의 바닥면의 반사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color is a metal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varies depending on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가변부로부터 서로 다른 시각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optically variable parts are provided,
Metalwork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visual effects are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optically variable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는,
광결정 소재가 제1 두께로 형성된 제1 영역과,
광결정 소재가 상기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로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시각 효과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variable unit,
a first region in whic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s formed to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has a second thickness different from the first thickness;
A metal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effec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소재의 제1 두께와 제2 두께는 홈부의 깊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re metal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depth of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는,
홈부의 바닥면이 제1 반사율을 갖는 제1 영역과,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제1 반사율과 다른 제2 반사율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시각 효과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variable unit,
a first reg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has a first reflecta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ncludes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reflectance different from the first reflectance,
A metal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effec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홈부의 바닥면에 반사율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율 조정부에 의해 홈부의 바닥면의 반사율이 감소되며,
상기 반사율 조정부는 광흡수 코팅 또는 표면 거칠기 증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reflectance adjusting uni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The reflect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reduced by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The reflectance adjusting part is a metal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or surface roughness increase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관찰되는 구조색은 상기 광결정 소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에 상대적으로 가깝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관찰되는 구조색은 상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여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서 반사된 투과광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uctural color observed in the first region is relatively close to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The structural color observed in the second region is relatively close to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율 조정부는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al-worked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ance adjusting un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광결정 소재가 채워져 형성된 광가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결정 소재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결정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광가변부에서 구조색이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Body portion comprising a metal material;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 optically variable part formed by filling the through hole with a photonic crystal material;
including,
In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colloidal particles are regularly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to form a crystal lattice structure,
Metal-processed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color is observed in the optically variable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는,
상기 광결정 소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optical variable unit,
Including a substr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The base material is a metal work,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색은,
조명과 같은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광결정 소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에 상대적으로 가깝고,
조명과 다른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광결정 소재를 투과하는 투과광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ructure color is
When obser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llumination, it is relatively close to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When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rom illumination, a metal-processed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latively close to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과 투과광은 서로 보색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flected light and the transmitted light have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의 적어도 일면에 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12. The method of claim 11,
A metal processing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a pattern portion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light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ight variable portion.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변부는,
박편 형태의 광결정 소재가 투명 레진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12. The method of claim 1 or 11,
The optical variable unit,
A metal processed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nic crystal material in the form of flakes is dispersed in a transparent resin.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에 홈부 또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상기 홈부 또는 관통홀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콜로이드 입자를 결정 구조화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제조방법.
forming a groove or a through-hole in a body including a metal material;
dispersing colloidal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and then applying the colloidal particles to the grooves or through-holes;
crystal structuring the colloidal particles; and
curing the polymer matrix;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worked product comprising a.
고분자 매트릭스에 콜로이드 입자를 분산시킨 후 상기 콜로이드 입자를 결정 구조화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경화하여 광결정 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에 홈부 또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광결정 소재를 상기 홈부 또는 관통홀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제조방법.
preparing a photonic crystal material by dispersing the colloidal particles in a polymer matrix,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colloidal particles, and curing the polymer matrix;
forming a groove or a through-hole in a body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applying the manufactured photonic crystal material to the groove portion or the through ho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worked product comprising a.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점도는 100 내지 3000 cP의 점도를 갖고,
상기 결정 구조화하는 단계는 30~50℃에서 유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가공품 제조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7 or 18,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matrix has a viscosity of 100 to 3000 cP,
The step of structuring the cryst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maintaining at 30 ~ 50 ℃.
KR1020200083130A 2020-07-06 2020-07-06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479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130A KR102479527B1 (en) 2020-07-06 2020-07-06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130A KR102479527B1 (en) 2020-07-06 2020-07-06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362A true KR20220005362A (en) 2022-01-13
KR102479527B1 KR102479527B1 (en) 2022-12-19

Family

ID=7934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130A KR102479527B1 (en) 2020-07-06 2020-07-06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52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067A (en) * 2013-12-03 2016-08-05 아르조위깅스 시큐어리티 Security structure
KR20170018103A (en) * 2012-07-30 2017-02-15 삭소니아 유로코인 게엠바하 Multipart coin blank and coin
KR20190053570A (en) * 2017-11-10 2019-05-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loring method for metal substrate and metal substrate colored by the same
KR20200043080A (en) * 2018-10-17 2020-04-27 한국조폐공사 Secure device using light reflection proper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103A (en) * 2012-07-30 2017-02-15 삭소니아 유로코인 게엠바하 Multipart coin blank and coin
KR20160093067A (en) * 2013-12-03 2016-08-05 아르조위깅스 시큐어리티 Security structure
KR20190053570A (en) * 2017-11-10 2019-05-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loring method for metal substrate and metal substrate colored by the same
KR20200043080A (en) * 2018-10-17 2020-04-27 한국조폐공사 Secure device using light reflection proper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527B1 (en)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9583B2 (en) Optical effect structures
AU704669B2 (en) Diffractive structure
RU2428724C2 (en) Relief microstructures of surface with optical effects and method of making said microstructures
JP4228058B2 (en) Color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527765B2 (en) Surfaces having structured optical appearances
JP4983899B2 (en) Display and labeled goods
US20150205139A1 (en) Decorative Film Articles Utilizing Fresnel Lens Films
JP5720099B2 (en) Display body, article with display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original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tam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body
WO2011068002A1 (en) Display body and labeled article
EP3427968B1 (en) Display
CN102975568A (en) Optical anti-fake component and products u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of optical anti-fake component
JP5143855B2 (en) Display and labeled goods
KR20110074595A (en) Retroreflective sheeting
US20140009836A1 (en) Wood-like films and other decorative films utilizing fresnel mirrors
US6846547B2 (en) Forgery/alteration protective material
Saito et al. Reproduction of the Morpho butterfly's blue: arbitration of contradicting factors
JP2012078447A (en) Display body and article with label
JP2017207593A (en) Display body and authenticity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KR20220005362A (en) Metal artefact with photonic crystal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EP3535133B1 (en) Optical variable device
JP6834344B2 (e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