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362A -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362A
KR20220001362A KR1020200079621A KR20200079621A KR20220001362A KR 20220001362 A KR20220001362 A KR 20220001362A KR 1020200079621 A KR1020200079621 A KR 1020200079621A KR 20200079621 A KR20200079621 A KR 20200079621A KR 20220001362 A KR20220001362 A KR 2022000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utlet
cleaning
area
rotar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우
주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362A/ko
Priority to EP21182176.4A priority patent/EP3932285B1/en
Priority to US17/362,235 priority patent/US11672401B2/en
Publication of KR2022000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6Tubula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필터(210), 인렛가이드(220), 필터하우징(230) 및 구동부(270)를 포함하는 자동세정필터를 제공한다. 회전필터(210)는 인렛가이드(220) 및 필터하우징(230)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인렛가이드(220)의 제1유출구(224)는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은 상기 제1유출구(224)로부터 필터하우징(230)의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AUTOMATIC CLEANING FILTER AND DISHWASH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되는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나 조리 도구 등의 세척 대상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 대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터브 내에 구비되어 식기 등이 수용되는 랙과, 랙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 암과, 세척액을 저장하는 섬프와, 섬프에 저장된 세척액을 분사 암에 공급하는 세척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식기 세척 시 세척액이 재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음에는 섬프에 깨끗한 세척액을 급수하여 식기 등을 세척한 후에,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이 이물과 함께 섬프로 회수될 수 있다. 회수된 세척액은 섬프내의 필터 장치를 거쳐 세척액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이 때에, 필터 장치에 이물이 계속 쌓이기 때문에, 이물에 의하여 필터 장치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세척액 공급 시 유동저항이 커져서 세척 펌프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필터 장치를 통과하는 세척액의 유량과 유속이 감소하여 식기 세척기의 세척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9282호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식기를 수납하는 랙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세척공간;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된 세척수가 수집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제공되며, 세척수 중 이물이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접촉 가능하게 회전되며, 이물을 청소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턱을 구비하는 회전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블레이드 또는 필터부가 마모될 수 있고, 블레이드와 필터부 간의 접촉 시 이물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물이 절삭되어 미세오염이 증가할 수 있고 이물이 필터에 고착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69282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되는 자동세정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필터(210), 인렛가이드(220), 필터하우징(230) 및 구동부(270)를 포함하는 자동세정필터(10)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필터(210)는 복수 개의 제1홀(213)이 형성되며 소정의 빈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렛가이드(220)는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유입되는 제1유입구(222), 상기 제1유입구(222)와 연통되고 상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을 상기 회전필터(210)의 내부로 유출하는 제1유출구(224) 및 상기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하는 몸체부(2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230)은 상기 회전필터(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를 둘러싸는 하우징벽(232) 및 상기 하우징벽(23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필터(210)에 의해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을 외부로 유출하는 제2유출구(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70)는 상기 회전필터(21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필터(210)는 상기 인렛가이드(220) 및 필터하우징(230)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유출구(224)는 상기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은 상기 제1유출구(224)로부터 상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도 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대략 180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유출구(224)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필터(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유출구(224)는 상기 회전축(A)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유출구(234)와 대략 반대방향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6) 및 제1유출부(22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유출구(224)는 상기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230)의 하우징벽(232)은 상기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필터(210) 내측의 상기 소정의 빈 공간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회전필터(210)의 내주면의 일부분과 상기 제2유출구(234)를 연결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분리면(P)을 기준으로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영역(a1)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상기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영역(a2)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상기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제1영역(a1)과 마주하는 제1측부(262a)와 제2영역(a2)과 마주하는 제2측부(26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구획부(26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구획부(260)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상기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부(262a)는 제1영역(a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부(262a)는 상기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측부(262b)는 상기 제1유출구(224) 또는 제2유출구(234)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상기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측부(262b)는 상기 가상의 분리면(P)과 대략 평행한 평면형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구획부(260)에서 상기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부분은 제2유출구(234)의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6) 및 제1유출구(22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몸체부(226)는 상기 제2유출구(234) 쪽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하는 상기 몸체부(226)의 내부의 빈 공간이 제2유출구(234) 쪽으로 확장된다.
상기 몸체부(226)가 상기 유동구획부(260)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렛가이드(220)의 제1유입구(222)는 상기 몸체부(226)의 상부에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222)의 상부에는 필터(25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250)에는 상기 회전필터(210)에 형성된 상기 제1홀(213)의 크기보다 큰 제2홀(25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벽(232)에는 상기 회전필터(210)를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정노즐(242)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노즐(242)은 상기 제1유출구(224)와 마주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유출구(224)가 향하는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노즐(242)은 상기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실(12a)이 형성되는 터브(12); 상기 세척실(12a)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액이 저장되는 섬프(100); 상기 섬프(100)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세정필터(200); 및 상기 섬프(100)와 연결되고 세척액을 재순환시키는 세척 펌프(150)를 포함하는 자동세정필터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230)은 상기 섬프(10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세정필터가 회전필터(210), 인렛가이드(220), 필터하우징(230) 및 구동부(270)를 포함하고, 인렛가이드(220)의 제1유출구(224)가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이 제1유출구(224)로부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는 부분에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강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각도가 90도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제2영역(a2)에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거리가 길어져서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각도가 대략 180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균일하게 유동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제2영역(a2)에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거리가 길어져서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유출구(224)는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되는 지점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수평방향 성분에 대해서 대략 양쪽 갈래로 분리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양쪽 갈래로 나누어져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량 및 유속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더욱 강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유출구(224)는 회전필터(210)의 회전축(A)을 기준으로 제2유출구(234)와 대략 반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된 후에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수평방향 성분에 대해서 대략 양쪽으로 분리된 양쪽 갈래가 제2유출구(234)로 유동하기 위해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비슷하게 될 수 있고 양쪽 갈래의 유량이 비슷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6) 및 제1유출구(224)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유출구(224)는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하우징(230)의 하우징벽(232)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228> 이에 따라, 하우징벽(232)과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 사이에 유동하는,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이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제1영역(a1)과 마주하는 제1측부(262a)와 제2영역(a2)과 마주하는 제2측부(26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구획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쪽 갈래로 나뉘어 서로 반대편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동구획부(260)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상기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뒤엉켜서 크기가 커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유동구획부(260)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제2영역(a2)에서 와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영역(a2)에 이물(s)이 용이하게 모일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측부(262a)는 제1영역(a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뒤엉켜서 크기가 커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유동구획부(260)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제2영역(a2)에서 와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영역(a2)에 이물(s)이 용이하게 모일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측부(262a)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측부(262b)는 제1유출구(224) 또는 제2유출구(23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측부(262b)는 상기 가상의 분리면(P)과 대략 평행한 평면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게 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동구획부(260)에서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부분은 제2유출구(234)의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모인 이물(s)이 제1영역(a1)으로 계속하여 유동하거나 제1영역(a1)에 모인 이물(s)이 제2영역(a2)으로 계속하여 유동하여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동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6) 및 제1유출구(22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6)는 제2유출구(234) 쪽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하는 몸체부(226)의 내부의 빈 공간이 제2유출구(234) 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6)가 유동구획부(26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또한, 인렛가이드(220)가 유동구획부(260)를 대체하여 후술할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을 구획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부품으로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자동세척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렛가이드(220)의 제1유입구(222)는 몸체부(226)의 상부에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제1유입구(222)의 상부에는 필터(250)가 배치되고, 필터(250)에는 회전필터(210)에 형성된 제1홀(213)의 크기보다 큰 제2홀(25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필터(210)에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유입되기 전에 필터(250)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벽(232)에는 상기 회전필터(210)를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정노즐(2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242)이 회전필터(210)의 외측에서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을 측면부(21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정노즐(242)은 제1유출구(224)와 마주하여 배치되고, 제1유출구(224)가 향하는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242)에서 세척액이 분사되더라도,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물(s)을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정노즐(242)은 상기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242)에서 세척액이 분사되더라도,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가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실(12a)이 형성되는 터브(12); 세척실(12a)의 하부에 배치되고 세척액이 저장되는 섬프(100); 섬프(100)에 구비되는 자동세정필터(200); 및 섬프(100)와 연결되고 세척액을 재순환시키는 세척 펌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식기 세척기의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식기 세척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세척액의 유압 및 유량이 감소하지 않아서 식기 세척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어 필터에 흡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세척액의 배수 및 급수의 횟수 또는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세척액의 사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액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액의 사용량이 감소하므로 세척액의 가열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하우징(230)은 섬프(1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세정필터(200)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조가 단순해져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식기 세척기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2 내지 도 5의 자동세정필터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각각 도 2 내지 도 5의 상태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6의 상태에서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2 내지 도 16의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4는 도 2 내지 도 18의 자동세정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반드시 모두 포함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 및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자동세정필터(200)는 식기 세척기(1) 외에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1)는 케이스(11), 터브(12), 도어(20), 섬프(100), 복수의 분사 암(13, 14, 15), 세척 펌프(150), 전환 밸브(130), 급수 밸브(22), 배수 펌프(25), 자동세정필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케이스(11)는 식기 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터브(12)는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터브(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터브(12)의 내부에는 세척 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실(12a)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12)의 바닥(12b)에는 세척액이 섬프(100)로 유입되는 연통홀(12c)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2)의 전면에는 도어(20)가 구비되어 세척실(12a)을 개폐할 수 있다.
세척실(12a)에는 식기 등의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복수의 랙(16, 17)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랙(16, 17)은 세척실(12a)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랙(16)과 세척실(12a)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랙(17)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16)과 상부 랙(17)은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터브(1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암(13, 14, 15)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암(13, 14, 15)은 로우 분사 암(13), 어퍼 분사 암(14) 및 탑 분사 암(15)을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분사 암(13)은 세척실(12a)의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랙(16)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어퍼 분사 암(14)은 로우 분사 암(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랙(17)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탑 분사 암(15)은 세척실(12a)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암(13, 14, 15)은 복수의 분사 암 연결 유로(18, 19, 21)를 통해 세척 펌프(150)로부터 세척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암 연결 유로(18, 19, 21)는 로우 분사 암 연결 유로(18), 어퍼 분사 암 연결 유로(19), 탑 분사 암 연결 유로(21)를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분사 암 연결 유로(18)는 로우 분사 암(13)과 연결될 수 있고, 어퍼 분사 암 연결 유로(19)는 어퍼 분사 암(14)과 연결될 수 있고, 탑 분사 암 연결 유로(21)는 탑 분사 암(15)과 연결될 수 있다.
섬프(100)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세척액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섬프(100)는 급수 유로(23)와 연결될 수 있고 급수 유로(23)를 통해 이물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세척액을 공급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섬프(100)에는 자동세정필터(200)가 구비될 수 있고 자동세정필터(200)를 통해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섬프(100)는 도 1과 같이, 자동세정필터(200)의 필터하우징(23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급수 밸브(22)는 급수 유로(23)를 통해 외부 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단속할 수 있다. 급수 밸브(22)가 개방되면 외부 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급수 유로(23)를 통해 섬프(100) 또는 자동세정필터(200)의 필터하우징(2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유로(23)는 섬프(100) 또는 자동세정필터(200)의 급수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유로(24)는 배수 펌프(25)와 섬프(100) 또는 자동세정필터(200)의 배출구(236)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펌프(25)는 배수 유로(24)와 연결될 수 있고 배수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수 펌프(25)가 작동하면 섬프(100) 또는 자동세정필터(200)의 필터하우징(230) 내부에 저장된, 세척액 또는 이물이 배수 유로(24)를 통해 케이스(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 펌프(150)는 섬프(100) 또는 자동세정필터(200)의 필터하우징(230)에 저장된 세척액을 복수의 분사 암(13, 14, 15)으로 공급할 수 있다. 세척 펌프(150)는 섬프(100) 또는 자동세정필터(200)의 필터하우징(230)에 저장된 세척액을 복수의 분사 암(13, 14, 15)에 반복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척액을 재순환시킬 수 있다.
전환 밸브(130)는 세척 펌프(150)와 복수의 분사 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자동세정필터(200)는 섬프(100)에 구비될 수 있고 연통홀(12c)에 설치될 수 있다. 자동세정필터(200)는 터브(12)에서 섬프(100)로 이동하는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에서 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한편, 자동세정필터(200)의 필터하우징(230)은 섬프(1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세정필터(200)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의 구조가 단순해져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식기 세척기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2 내지 도 5의 자동세정필터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각각 도 2 내지 도 5의 상태에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6의 상태에서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2 내지 도 16의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200)는 회전필터(210), 인렛가이드(220), 필터하우징(230), 급수부(240), 필터(250) 및 구동부(270, 도 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필터]
회전필터(210)는 측면부(212), 하단필터프레임(214), 상단필터프레임 및 실링부재(216a, 21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필터(210)는 중공의 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통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필터(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 1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측면부(212)는 측면필터프레임(212a, 도 2 내지 도 16) 및 필터시트(212b, 도 17 및 도 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회전필터(2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212)는 소정의 빈 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측면필터프레임(212a)은 도 2 내지 도 16과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실린더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면필터프레임(212a)에는 상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필터프레임(212a)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회전필터(210) 내부의 세척액이 필터시트(212b, 도 17 및 도 18)를 통과하여 회전필터(210) 외부의 제2유출구(234)로 유동할 수 있다.
측면필터프레임(212a)은 회전필터(210)의 하단필터프레임(214) 및 상단필터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고, 필터시트(212b, 도 17 및 도 18)와 결합되거나 접하여 필터시트(212b)를 지지할 수 있다.
필터시트(212b)는 도 17 및 도 18과 같이, 회전필터(210)의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측면필터프레임(212a)과 결합되거나 접할 수 있다.
필터시트(212b)에는 복수 개의 제1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213)은 회전필터(2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으로부터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
하단필터프레임(214)은 원반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단필터프레임(214)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측면부(212)의 필터시트(212b, 도 17 및 도 18)를 통과하지 못하고 측면부(212) 내측에 남게 된 이물이 배출구(236)로 이동할 수 있다.
하단필터프레임(214)의 중심부는 가장자리(주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단필터프레임(214)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하단필터프레임(214)의 중심부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8)가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의 하면에는 제1홈부(219, 도 11 및 도 16)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필터프레임(214)은 측면필터프레임(212a)과 결합될 수 있고, 측면필터프레임(212a)을 지지할 수 있다.
하단필터프레임(214)의 하면은 제2실링부재(216b)와 결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상단필터프레임은 중앙부가 상하로 개방되는 원반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단필터프레임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인렛가이드(220)가 회전필터(2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과 달리, 인렛가이드(220)가 회전필터(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단필터프레임은 측면필터프레임(212a)과 결합될 수 있고, 측면필터프레임(21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단필터프레임의 상면은 제1실링부재(216a)와 결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실링부재(216)는 중앙부가 상하로 개방되는 원반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링부재(216a)는 회전필터(210)의 상단필터프레임과 인렛가이드(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프레임과 인렛가이드(220) 중에서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와 접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216b)는 회전필터(210)의 하단필터프레임(214)과 필터하우징(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단필터프레임(214)과 필터하우징(230) 중에서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와 접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216a) 및 제2실링부재(216b)는 회전필터(210)의 회전 시 발생하는 마찰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물이 회전필터(210)의 외부로 빠져나와서 제2유출구(234)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돌출부(218, 도 12 내지 도 16)는 인렛가이드(220)의 하면에 형성된 제2홈부(228, 도 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회전필터(210)는 인렛가이드(2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인렛가이드(2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홈부(219, 도 11 및 도 16)는 도 18과 같이, 구동부(270)의 회전축(27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회전필터(21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 도 17)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인렛가이드]
인렛가이드(220)는 제1유입구(222), 제1유출구(224), 몸체부(226) 및 제2홈부(2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렛가이드(220)의 적어도 일부는 도면과 같이,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과 달리, 인렛가이드(220) 전체가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인렛가이드(220)는 제1유입구(222)에서 유입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을 제1유출구(224)로 유출시킬 수 있고,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유입구(222)는 몸체부(226)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입구(222)는 몸체부(226)의 상단에 상방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222)의 상부는 필터(2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유입구(222)를 통해,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몸체부(226)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물은 필터(250)에 형성된 제2홀(252)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제1유출구(224)는 몸체부(226)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유입구(222)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유출구(224)는 도면과 같이,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과 달리, 제1유출구(224)는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유출구(224)를 통해,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6)를 빠져나와서 회전필터(210) 내측의 빈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출구(224)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방향은 제1유출구(224)를 통해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출되는 주요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고, 수평방향 성분과 수직방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요한 방향은 제1유출구(224)를 통해 유출되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총량 중에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다량이 유출되는 방향 또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 전체가 유출되는 평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평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유출구(224)가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은 제1유출구(224)로부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출구(224)는 도 17과 같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 즉, 도 17에서 측면부(212)의 우측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방향은 도 17 및 도 18에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주요한 유동방향을 표시한 화살표 c1이 향하는 방향 중에서 제1유출구(224) 근처에서 화살표 c1이 향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수평방향 성분이 표시되는 도 17에 의하면, 화살표 c1이 제1유출구(224) 근처에서 향하는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므로, 제1유출구(224)를 통해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출되는 주요한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은 도 17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수직방향 성분이 표시되는 도 18에 의하면, 화살표 c1은 제1유입구(232) 근처에서는 하방을 향하지만 제1유출구(224) 근처에서는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므로, 제1유출구(224)를 통해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출되는 주요한 방향의 수직방향 성분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에서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은 도 17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수평방향 성분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즉, 소정의 방향은 수직방향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 성분이 표시되는 도 17에 의하면, 제1유출구(224)로부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은 도 17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17에서,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즉,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은 제1유출구(224)로부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즉,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즉, 대략 180도)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 및 도 20에서 후술한다.
이와 같이, 제1유출구(224)가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이 제1유출구(224)로부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수평방향 성분에 대해서 대략 양쪽 갈래(도 17의 화살표 c2 및 화살표 c3)로 분리되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쪽 갈래는 제2유출구(234)로 유동하기 위해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간섭되면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즉, 도 17과 같이,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제2유출구(234)로 유동하기 위해 측면부(212)의 필터시트(212b)의 내주면을 따라 대략 화살표 c2의 방향 및 화살표 c3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살표 c2의 방향은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인 화살표 f의 방향과 동일하지만, 화살표 c3의 방향은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인 화살표 f의 방향과 반대방향이다.
즉, 상기 양쪽 갈래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갈래에 속하는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은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화살표 f의 방향)과 반대방향(화살표 c3의 방향)으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는 부분에서는, 측면부(212)와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속도차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는 부분에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강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자동세정필터가 식기 세척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식기 세척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므로 세척액의 유압 및 유량이 감소하지 않아서 식기 세척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막히지 않게 되어 필터에 흡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세척액의 배수 및 급수의 횟수 또는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세척액의 사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액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액의 사용량이 감소하므로 세척액의 가열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1유출구(224)가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유출구(224)는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출구(224)가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유출구(224)가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방향은 수직방향 성분을 반드시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출구(224)는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제1유출구(224)는 제1유출구(224)가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 즉,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우측 부분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 및 도 20에서 후술한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되는 지점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수평방향 성분에 대해서 대략 양쪽 갈래로 분리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양쪽 갈래로 나누어져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량 및 유속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더욱 강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제1유출구(224)는 회전축(A)을 기준으로 제2유출구(234)와 대략 반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된 후에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수평방향 성분에 대해서 대략 양쪽으로 분리된 양쪽 갈래가 제2유출구(234)로 유동하기 위해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비슷하게 될 수 있고 양쪽 갈래의 유량이 비슷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제1유출구(224)는 도면과 같이,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몸체부(226)는 속이 빈 공간이 형성된 관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양단에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6)는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할 수 있고, 제1유출구(224) 부근에서 몸체부(226)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제1유출구(224)가 향하는 상기 소정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몸체부(226)는 도면과 같이, 적어도 일부가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유출구(234) 쪽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몸체부(226)의 일부가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유출구(234)가 위치하는 좌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렛가이드(220)가 후술할 유동구획부(260)를 대체하여 후술할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을 구획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부품으로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자동세척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6)가 제2유출구(234) 쪽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하는 몸체부(226) 내부의 빈 공간이 제2유출구(234) 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222)도 제2유출구(234) 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몸체부(226)의 내측에는 제1유입구(222)에서 제2유입구(224)로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경사면(22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가 둘러싸는 회전필터(210) 내측의 소정의 빈 공간은,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필터(210)의 내주면의 일부분과 제2유출구(234)를 연결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분리면(P)을 기준으로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가 둘러싸는 회전필터(210) 내측의 소정의 빈 공간은,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필터(210)의 내주면의 일부분, 즉, 회전필터(210)의 내주면의 우측부분과 제2유출구(234)를 연결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분리면(P)을 기준으로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a1)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f)과 대략 동일한 방향(c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반면에, 제2영역(a2)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f)과 대략 반대 방향(c3)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제1영역(a1)과 마주하는 제1측부(262a)와 제2영역(a2)과 마주하는 제2측부(26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구획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2 및 도 23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몸체부(226)가 후술할 유동구획부(260)를 대체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몸체부(226)가 구비될 수 있고, 몸체부(226)는 제1영역(a1)과 마주하는 몸체부(226)의 제1측부(226a)와 제2영역(a2)과 마주하는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렛가이드(220)가 후술할 유동구획부(260)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부품으로 간단하고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자동세척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렛가이드(220)가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서 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에서의 유동이 섞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양쪽 갈래로 나뉘어 서로 반대편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서로 다른 방향(c2, c3)으로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26)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226)의 제1측부(226a)가 도면과 같이, 제1영역(a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뒤엉켜서 크기가 커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몸체부(226) 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하는 몸체부(226) 내부의 빈 공간이 제1영역(a1) 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222)도 제1영역(a1) 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6)의 제1측부(226a)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222)와 제1유출구(224)를 연결하는 몸체부(226) 내부의 빈 공간이 제1영역(a1) 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a1)에서는, 제2영역(a2)과 달리,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방향이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므로, 제1영역(a1)에서의 유속이 제2영역(a2)보다 빠를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a1)이 제2영역(a2)보다 작게 되어 유동단면적이 작아지더라도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을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총량은 동일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에서의 압력은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제1영역(a1)이 제2영역(a2)보다 작게 되어 유동단면적이 작아지더라도 유동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영역(a2)에서는,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강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226)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게 되면,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제2영역(a2)에서 와류(도 17의 c4)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영역(a2)에 이물(s)이 용이하게 모일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a1)과 달리, 제2영역(a2)에서는,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므로, 와류가 발생하여 이물(s)이 모여서 크기가 커지더라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몸체부(226) 사이로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몸체부(226) 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는 가상의 분리면(P)과 대략 평행한 평면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는 제1유출구(224) 또는 제2유출구(23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4 및 도 25에서 후술한다.
한편, 몸체부(226)에서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부분은 제2유출구(234)의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모인 이물(s)이 제1영역(a1)으로 계속하여 유동하거나 제1영역(a1)에 모인 이물(s)이 제2영역(a2)으로 계속하여 유동하여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동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4에서 후술한다.
제2홈부(228, 도 16)는 몸체부(226)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홈부(228)에는 회전필터(210)의 제1돌출부(218, 도 12 내지 도 16)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인렛가이드(2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
필터하우징(230)은 회전필터(2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벽(232), 제2유출구(234), 배출구(236), 제1관통공(238) 및 제2관통공(2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230)은 회전필터(21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벽(232)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벽(232)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벽(232)과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 사이에 유동하는,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이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제2유출구(234)는 하우징벽(2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세척 펌프(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출구(234)는 회전필터(210)에 의해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을 외부로 유출할 수 있다.
배출구(236)는 하우징벽(232)의 하부 또는 필터하우징(230)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배수 유로(24) 및 배수 펌프(25)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236)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필터시트(212b, 도 17 및 도 18)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2영역(a2) 등의 측면부(212) 내측에 남게 된 이물을 자동세정필터(2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관통공(238)은 필터하우징(230)의 하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구동부(270)의 회전축(272)이 관통삽입될 수 있다.
제2관통공(239)은 하우징벽(2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급수부(240)의 세정노즐(242)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벽(232)에는 세정노즐(242)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
급수부(240)는 세정노즐(242), 급수구(244) 및 제2몸체부(2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정노즐(242)은 제2몸체부(246)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벽(232)의 제2관통공(239)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정노즐(242)은 회전필터(210)를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242)이 회전필터(210)의 외측에서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을 측면부(21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세정노즐(242)은 제1유출구(224)와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242)에서 세척액이 분사되더라도,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물(s)을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세정노즐(242)은 측면부(212)의 외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노즐(242)에서 세척액이 분사되더라도,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급수구(244)는 제2몸체부(246)에 형성될 수 있고 급수 유로(23) 및 급수 밸브(22)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구(244)는 외부 수원에서 공급되는 깨끗한 세척액을 제2몸체부(246)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제2몸체부(246)는 하우징벽(232)에 설치될 수 있고 급수부(240)와 세정노즐(242)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필터]
필터(250)는 제1유입구(2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필터(250)에는 상기 회전필터(210)에 형성된 상기 제1홀(213)의 크기보다 큰 제2홀(25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필터(210)에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유입되기 전에 필터(250)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유동구획부]
유동구획부(260)는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0)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유동구획부(260)에 대하여, 도 22 및 도 23에서 후술한다.
[구동부]
구동부(270, 도 18)는 필터하우징(2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회전축(2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270, 도 18)는 회전필터(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272)은 필터하우징(230)의 제1관통공(238)에 관통삽입되고, 회전필터(210)의 제1홈부(219, 도 11 및 도 16)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는 도 1 내지 도 18과 달리,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c1)이 제1유출구(224)로부터 제2유출구(234)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d)과 이루는 각도(e1, e2)가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도(e1, e2)가 둔각을 이루더라도,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f)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c2, c3)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는 제2영역(a2)에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도(e1, e2)가 둔각을 이루면,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대략 양쪽(c2, c3)으로 분리된 양쪽 갈래가 제2유출구(234)로 유동하기 위해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불균일하게 유동하여 와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실제로 유동하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유동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제2영역(a2)에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거리가 짧아져서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8과 같이, 상기 각도(e1, e2)가 대략 180도를 이뤄야 상기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e1, e2)가 대략 180도를 이루면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균일하게 유동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제2영역(a2)에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거리가 길어져서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와 달리, 상기 각도(e1, e2)가 예각을 이루더라도,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f)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c2, c3)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는 제2영역(a2)에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각도(e1, e2)가 예각을 이루면, 상기 각도(e1, e2)가 180도 보다 작은 둔각을 이룰 때의 상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각도(e1, e2)가 둔각을 이룰 때보다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더욱 불균일하게 유동하게 되므로,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상기 각도(e1, e2)가 예각 보다 큰 각도인 둔각을 이루면 예각을 이룰 때보다,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제2영역(a2)에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거리가 길어져서 자동세정필터의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서는, 도 1 내지 도 18과 달리, 제1유출구(224)가,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c1)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위치하지 않고, 회전필터(210)의 회전축(A)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제1유출구(224)에서 유출되는 지점과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이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간섭되어 수평방향 성분에 대해서 대략 양쪽 갈래(c2, c3)로 분리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양쪽 갈래(c2, c3)로 나누어져서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량 및 유속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약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와류가 발생하여 유동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8과 같이, 제1유출구(224)가, 제1유출구(224)가 향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는 도 1 내지 도 18과 달리, 인렛가이드(220)의 몸체부(226)가 제2유출구(234) 쪽으로 길게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 이물(s)이 유동하는 와류(c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영역(a2)에 모인 이물(s)이 제1영역(a1)으로 계속하여 유동하거나 제1영역(a1)에 모인 이물(s)이 제2영역(a2)으로 계속하여 유동하여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에 흡착되므로, 유동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을 구획하는 유동구획부(2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를 살펴본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는 도 21과 달리, 유동구획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구획부(260)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영역(a1)과 마주하는 제1측부(262a)와 제2영역(a2)과 마주하는 제2측부(26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구획부(260)가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서 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에서의 유동이 섞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 이물(s)이 유동하는 와류(c7, 도 21)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양쪽 갈래(c2, c3)로 나뉘어 서로 반대편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서로 다른 방향(c2, c3)으로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와류 발생이 억제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한편, 유동구획부(260)가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서 영역을 구획하면, 제1영역(a1)에서 와류(c8)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1영역에서 이물(s)이 모여서 서로 뒤엉켜서 크기가 커질 수 있고 크기가 커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유동구획부(260) 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제1영역(a1)에서 와류(c8)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에, 제2영역(a2)에서는,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므로, 측면부(212)의 내주면에 강한 전단력이 작용하여 측면부(212)에 흡착된 이물(s)이 측면부(2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1영역(a1)과 달리, 제2영역(a2)에서는, 회전필터(210)의 회전방향과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므로, 이물(s)이 모여서 크기가 커지더라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유동구획부(260) 사이로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유동구획부(260) 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동구획부(260)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3을 살펴본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는 도 22와 달리, 유동구획부(260)가 가상의 분리면(P)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구획부(260)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클 수 있다.
유동구획부(260)의 제1측부(262a)는 도 23과 같이, 제1영역(a1)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도 22의 c8)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뒤엉켜서 크기가 커진 이물(s)이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와 유동구획부(260)사이에 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또한, 유동구획부(260)의 제1측부(262a)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a1)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이물이 포함되는 세척액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a1)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제1영역(a1)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영역에 이물(s)이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구획부(260)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게 되면,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제2영역(a2)에서 와류(c4)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영역(a2)에 이물(s)이 용이하게 모일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유동구획부(260)의 제2측부(262b)는 도 23과 같이, 가상의 분리면(P)과 대략 평행한 평면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크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유동구획부(260)에서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부분은 제2유출구(234)의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유출구(234)의 수평면 상에서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2유출구(234)를 통해 세척액이 유출되는 주요한 방향(c6)의 반대방향을 따라 연장한 연장선(g1, g2)이 유동구획부(260)의 제2유출구(234)쪽의 대략 단부와 만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요한 방향은 제2유출구(234)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액의 총량 중에서 세척액의 다량이 유출되는 방향 또는 세척액 전체가 유출되는 평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모인 이물(s)이 제1영역(a1)으로 계속하여 유동하거나 제1영역(a1)에 모인 이물(s)이 제2영역(a2)으로 계속하여 유동하여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회전필터(210)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동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필터가 자동세정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 내지 도 18의 자동세정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는 도 23과 달리, 몸체부(226)가 유동구획부(260)를 대체할 수 있다.
몸체부(226)에서 제2유출구(234)와 마주하는 부분은 도 23의 유동구획부(260)와 마찬가지로, 제2유출구(234)의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유출구(234)의 수평면 상에서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2유출구(234)를 통해 세척액이 유출되는 방향(c6)의 반대방향을 따라 연장한 연장선(g1, g2)이 몸체부(226)의 제2유출구(234)쪽의 단부와 만날 수 있다.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는 제1유출구(224) 또는 제2유출구(23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는 최단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에서,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를 따라 점 h1에서 점 h2로 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최단거리가 k1에서 k2로 점차 커지고,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를 따라 점 h2에서 점 h3로 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최단거리가 k2에서 k3로 점차 점차 작아진다.
즉,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는 점 h1 에서 점 h3로 제1유출구(22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 즉, 점 h1 에서 점 h3 사이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커질 수 있다.
최단거리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4에서,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단면이 원형이고, 점 h1'은 회전필터(210)의 원주상의 점이다. 따라서, 점 h1을 중심으로 하고 점 h1 과 점 h1'을 연결한 직선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의 단면의 내접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점 h1 과 점 h1' 사이의 직선거리에 해당하는 k1은 점 h1과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 사이의 최단거리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k2도 점 h2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 사이의 최단거리에 해당하고, k3도 점 h3와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 사이의 최단거리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커질 수 있다.
유동구획부(260)의 제2측부(262b)도 도 24와 같이, 제1유출구(224) 또는 제2유출구(23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커질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정필터는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가 도 24와 서로 다른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에도,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는 제1유출구(224) 또는 제2유출구(23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는 최단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에서,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를 따라 점 h4에서 점 h5로 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최단거리가 k4에서 k5로 점차 커지고,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를 따라 점 h5에서 점 h6로 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최단거리가 k5에서 k6로 점차 점차 작아진다.
즉, 몸체부(226)의 제2측부(226b)는 점 h4 에서 점 h6로 제1유출구(224)에 가까워질수록 제2영역(a2)을 둘러싸는 회전필터(210)의 측면부(212)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 즉, 점 h4 에서 점 h6 사이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영역(a2)에 이물(s)을 모아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이 제1영역(a1) 보다 커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 세척기
12: 터브 100: 섬프
150: 세척 펌프 200: 자동세정필터
210: 회전필터 212: 측면부
220: 인렛가이드 222: 제1유입구
224: 제1유출구 226: 몸체부
230: 필터하우징 232: 하우징벽
234: 제2유출구 236: 배출구
240: 급수부 242: 세정노즐
250: 필터
260: 유동구획부
262a: 제1측부 262b: 제2측부
270: 구동부

Claims (21)

  1. 복수 개의 제1홀이 형성되며 소정의 빈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필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유입되는 제1유입구, 상기 제1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을 상기 회전필터의 내부로 유출하는 제1유출구 및 상기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를 연결하는 몸체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렛가이드;
    상기 회전필터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필터의 측면부를 둘러싸는 하우징벽 및 상기 하우징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필터에 의해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을 외부로 유출하는 제2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터하우징; 및
    상기 회전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필터는 상기 인렛가이드 및 필터하우징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향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은 상기 제1유출구로부터 상기 제2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수평방향 성분과 0도 보다 큰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자동세정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도 보다 큰, 자동세정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대략 180도인, 자동세정필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자동세정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유출구와 대략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자동세정필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렛가이드의 몸체부 및 제1유출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필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유출구는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자동세정필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하우징벽은 상기 회전필터의 측면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의 외측에 형성되는, 자동세정필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 내측의 상기 소정의 빈 공간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회전필터의 내주면의 일부분과 상기 제2유출구를 연결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분리면을 기준으로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영역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필터의 회전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영역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이 상기 측면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필터의 회전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에는, 제1영역과 마주하는 제1측부와 제2영역과 마주하는 제2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구획부가 구비되는, 자동세정필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동구획부의 위치 또는 형상에 의해 상기 제2영역이 제1영역 보다 큰, 자동세정필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측부는 제1영역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는, 자동세정필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측부는 상기 회전필터의 측면부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필터의 내측에 형성되는, 자동세정필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측부는 상기 제1유출구 또는 제2유출구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2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회전필터의 측면부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는, 자동세정필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측부는 상기 가상의 분리면과 대략 평행한 평면형태를 포함하는, 자동세정필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동구획부에서 상기 제2유출구와 마주하는 부분은 제2유출구의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자동세정필터.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렛가이드의 몸체부 및 제1유출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필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유출구 쪽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를 연결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의 빈 공간이 제2유출구 쪽으로 확장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유동구획부에 해당하는, 자동세정필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렛가이드의 제1유입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의 상부에는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에는 상기 회전필터에 형성된 상기 제1홀의 크기보다 큰 제2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자동세정필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벽에는 상기 회전필터를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정노즐이 구비되는, 자동세정필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세정노즐은 상기 제1유출구와 마주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유출구가 향하는 상기 소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자동세정필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세정노즐은 상기 측면부의 외주면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자동세정필터.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실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세척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액이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세정필터; 및
    상기 섬프와 연결되고 세척액을 재순환시키는 세척 펌프를 포함하는,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섬프에 해당하는, 자동세정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200079621A 2020-06-29 2020-06-29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20220001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621A KR20220001362A (ko) 2020-06-29 2020-06-29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EP21182176.4A EP3932285B1 (en) 2020-06-29 2021-06-28 Automatic cleaning filter and dishwasher equipped with the same
US17/362,235 US11672401B2 (en) 2020-06-29 2021-06-29 Automatic cleaning filter and dishwasher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621A KR20220001362A (ko) 2020-06-29 2020-06-29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62A true KR20220001362A (ko) 2022-01-05

Family

ID=7669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621A KR20220001362A (ko) 2020-06-29 2020-06-29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72401B2 (ko)
EP (1) EP3932285B1 (ko)
KR (1) KR202200013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93370A1 (en) * 2022-12-29 2024-07-03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fil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82B1 (ko) 2010-03-31 201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7050A1 (en) 2005-04-25 2006-10-26 Viking Range Corporation Dishwasher collection chamber filter cleaning system
KR101633933B1 (ko) 2009-12-02 201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8627832B2 (en) 2010-12-13 2014-01-14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9237836B2 (en) * 2012-05-30 2016-01-19 Whirlpool Corporatio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KR102431200B1 (ko) * 2018-02-28 202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82B1 (ko) 2010-03-31 201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2285A1 (en) 2022-01-05
US11672401B2 (en) 2023-06-13
US20210401258A1 (en) 2021-12-30
EP3932285B1 (en)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646B1 (ko) 식기세척기
EP2522268B1 (en) Dishwasher
US10076226B2 (e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er
KR101938710B1 (ko) 식기 세척기
US9010344B2 (en) Rotating filter for a dishwashing machine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US20140102492A1 (en) Dishwasher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KR102559747B1 (ko) 식기세척기
US10314457B2 (en) Filter with artificial boundary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220001362A (ko)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EP3488757B1 (en) Dishwasher
KR100709825B1 (ko) 펌프
KR101769377B1 (ko) 식기세척기
KR101598753B1 (ko) 식기 세척기
KR102671682B1 (ko) 식기세척기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EP4205625A1 (en) Dishwasher
EP4349239A1 (en) Dishwasher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EP2371256B1 (en) Dishwasher
US10722098B2 (en) Dual check valve fluid circulation system for dishwasher appliances
KR20230077348A (ko) 식기세척기
KR20000002682A (ko) 식기세척기의 일체형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